KR101126421B1 -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 Google Patents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421B1
KR101126421B1 KR1020080098427A KR20080098427A KR101126421B1 KR 101126421 B1 KR101126421 B1 KR 101126421B1 KR 1020080098427 A KR1020080098427 A KR 1020080098427A KR 20080098427 A KR20080098427 A KR 20080098427A KR 101126421 B1 KR101126421 B1 KR 101126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spring
elevating
pin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4881A (ko
Inventor
김종영
Original Assignee
김종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영 filed Critical 김종영
Priority to KR1020080098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421B1/ko
Publication of KR20080094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2Shores or struts, e.g. individual oblique support elements for stabilizing hulls in dry-d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을 건조할 때 선체블럭의 하부를 받쳐주는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핀지그의 하측에 위치하는 고정지지대의 내측으로 승하강되게 삽입되는 승강내관을 적은 힘으로 상승하게 하고 하강할 때는 서서히 하강하게 하는 탄력올림구를 삽입 설치하되, 이 탄력올림구의 상단부의 높이가 고정핀이 끼워지는 높이보다 아래쪽에 있도록 하고, 탄력올림구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스프링캡이 승강내관의 하단부에 걸린 상태로 승강내관의 내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삽입되게 하며, 이 스프링캡으로 스프링의 상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승강내관이 승하강하는 대로 스프링캡이 승하강되게 함으로써, 탄력올림구가 고정지지대의 내측에서 승강내관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승강내관이 고정지지대의 내측에서부터 승하강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게 함과 아울러 승강내관을 하사점까지 최대로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의 고정지지대(10) 내측에 승강내관(20)의 하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올림구(30)를 설치하되, 상기 탄력올림구(30)는 고정지지대(10)의 하단부에 결합 설치되는 바닥판(37)의 중앙 상부에 전체길이가 고정지지대(10) 보다 짧은 스프링가이드(31)가 수직 설치되고, 스프링가이드(31)의 외측에는 승강내관(20)의 내측 하단부로 삽입되는 하방이 개방된 관체형으로 형성되며 상측 중앙부에 스프링가이드(31)가 헐겁게 끼워지는 통공(34)이 형성되고 하측 외주연에 상면이 승강내관(20)의 하단부에 걸리는 걸림턱부(33)가 형성된 스프링캡(35)이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가이드(31)의 상단부에는 스프링가이드(31)에 헐겁게 끼워진 스프링캡(35)이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32)가 설치되고, 스프링가이드(31)의 외부에는 상하단부가 스프링캡(35)의 내측 저면과 바닥판(37)의 상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최대로 압축되었을 때의 높이가 스프링캡(35)의 내측 높이보다 높지 않은 스프링(36)이 탄력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체블럭, 핀지그, 고정지지대, 승강내관, 고정핀, 스프링, 탄력올림구, 스프링캡, 플런저, 스톱퍼

Description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Pin Jigger for supporting Blocks in the Body of a Shiputilizing Elastic Member}
본 발명은 선박을 건조할 때 선체블럭의 하부를 받쳐주는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핀지그의 하측에 위치하는 고정지지대의 내측으로 승하강되게 삽입되는 승강내관을 적은 힘으로 상승하게 하고 하강할 때는 서서히 하강하게 하는 탄력올림구를 삽입 설치하되, 이 탄력올림구의 상단부의 높이가 고정핀이 끼워지는 높이보다 아래쪽에 있도록 하고, 탄력올림구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스프링캡이 승강내관의 하단부에 걸린 상태로 승강내관의 내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삽입되게 하며, 이 스프링캡으로 스프링의 상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승강내관이 승하강하는 대로 스프링캡이 승하강되게 함으로써, 탄력올림구가 고정지지대의 내측에서 승강내관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승강내관이 고정지지대의 내측에서부터 승하강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게 함과 아울러 승강내관을 하사점까지 최대로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는 선박을 건조할 때 선체블럭의 하부를 높이 조절하며 받쳐주는 것으로서, 고정지지대의 상부에 다수개의 핀구멍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승강내관을 승하강되게 삽입 설치하며, 승강내관을 고정지지대에서 안테나식으로 승하강시키면서 핀구멍으로 고정핀을 끼워서 승강내관의 높이를 조정하며, 승강내관의 상단부에 나사식으로 설치된 지지헤드가 선체블럭의 하부를 받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핀지그는 크기가 다양하지만 통상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핀지그는 승강내관이 상사점으로 상승하였을 때의 높이가 2m 내외, 승강내관이 하사점으로 하강하였을 때 1.1m 내외의 높이에 승강내관의 무게가 30kg 내외가 되며, 이러한 핀지그의 설치개수는 선체블럭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수십 개에서 200~300여 개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무거운 승강내관을 수십 회에서 수백 회에 걸쳐 손으로 잡아 올리는데는 대단히 힘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승강내관을 작은 힘으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많은 연구 개발이 있었고, 그에 따라 태엽방식, 기어방식, 실린더방식, 와이어 권취방식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개발되었는데, 위의 여러 가지 방식은 핀지그가 안테나형으로 형성되어 공간이 한정된 상황에서 위의 다양한 방식의 승강내관 승하강장치를 설치하는데 여려가지 제약이 뒤를 따랐다.
위와 같은 제약을 불구하고 핀지그에 승강내관 승하강장치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 경우는 핀지그의 무게가 더욱더 무거워지는 문제와 제품의 제작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핀지그의 하측에 위치하는 고정지지대의 내측에 승강내관을 적은 힘으로 상승하게 하고 하강할 때는 서서히 하강하게 하는 탄력올림구를 삽입 설치하되, 탄력올림구가 고정지지대의 내측에서 승강내관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승강내관이 고정지지대의 내측에서부터 승하강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게 함과 아울러 승강내관을 하사점까지 최대로 하강시킬 때는 승강내관의 하단부가 고정지지대의 내측 바닥면에 닿을 만큼 최대로 하강하여 승강내관이 하강하는 높이가 감소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삭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의 고정지지대 내측에는 승강내관의 하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올림구를 설치하되, 상기 탄력올림구는 고정지지대의 하단부에 결합 설치되는 바닥판의 중앙 상부에 전체길이가 고정지지대 보다 짧은 스프링가이드가 수직 설치되고, 스프링가이드의 외측에는 승강내관의 내측 하단부로 삽입되는 하방이 개방된 관체형으로 형성되며 상측 중앙부에 스프링가이드가 헐겁게 끼워지는 통공이 형성되고, 하측 외주연에 상면이 승강내관의 하단부에 걸리는 걸림턱부가 형성된 스프링캡이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가이드의 상단부에는 스프링가이드에 헐겁게 끼워진 스프링캡이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가 설치되고, 스프링가이드의 외부에는 상하단부가 스프링캡의 내측 저면과 바닥판의 상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최대로 압축되었을 때의 높이가 스프링캡의 내측 높이보다 높지 않은 스프링이 탄력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핀지그의 내측에 설치되는 탄력올림구에 의해 승강내관을 적은 힘으로 상승하게 하고 하강할 때는 서서히 하강하게 하여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 승강내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고, 탄력올림구가 고정지지대의 내측에서 승강내관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탄력올림구의 상단부의 높이가 고정핀을 끼우는 높이보다 낮아서 고정핀을 핀구멍에 끼우는 것과 승강내관을 승하강시키는데 전혀 지장을 주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내관을 하사점까지 최대로 하강시킬 때에 스프링캡이 승강내관의 하단부에 걸리면서 승강내관의 내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삽입되고 그 스프링캡의 내측으로 압축되는 스프링이 삽입됨에 따라 승강내관의 하단부가 고정지지대의 내측 바닥면에 닿을 만큼 최대로 하강하여 승강내관이 하강하는 높이가 감소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이는 승강내관의 하측에 탄력올림구가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승강내관의 하강높이를 감소시키지 않아서 핀지그의 높이조절량(높이)을 감소시키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승강내관이 탄력올림구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력으로 상승할 때 상기 플런저의 선단부가 승강내관의 외측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그 접촉 저항에 의해 승강내관이 급작스럽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강내관이 급작스럽게 상승하면서 승강내관의 상단부가 작업자의 턱을 타격하게 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공지된 핀지그(1)의 내부에 탄력올림구(30)를 수직방향으로 삽입설치한 것이다.
상기 공지된 핀지그(1)는 외주연에 지지날개(11)를 방사상으로 용접으로 고정설치한 고정지지대(10)과, 고정지지대(10)에 승하강되게 삽입되는 것으로 상단부에 지지헤드(22)가 나사식으로 설치되며 상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핀구멍(21)을 관통 형성한 중공관형태의 승강내관(20)과, 승강내관(20)에 형성된 핀구멍(21)으로 삽입되어 승강내관(20)의 높이를 고정하게 하는 고정핀(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핀구멍은 고정지지대(10)에도 승강내관(20)에 형성된 핀구멍(21)에 대응되게 핀구멍을 형성한 경우도 있으며, 본 발명의 특징부가 되는 탄력올림구(30)와 스톱퍼(40)의 설치는 승강내관(20)에만 핀구멍이 형성된 것과, 고정지지대(10) 및 승강내관(20)에 핀구멍을 모두 형성한 경우 모두에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지지대(10) 내측에는 승강내관(20)의 하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올림구(30)가 설치된다.
상기 탄력올림구(3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지지대(10)의 하단부에 용접으로 결합 설치되는 바닥판(37)의 중앙 상부에 전체길이가 고정지지대(10) 보다 짧은 스프링가이드(31)가 상하방향으로 수직 설치된다.
그리고 스프링가이드(31)의 외측에는 상측 중앙부에 스프링가이드(31)가 헐겁게 관통되는 통공(34)이 형성되고 하측 외주연에는 상면이 승강내관(20)의 하단부에 걸리는 걸림턱부(33)가 형성된 스프링캡(35)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캡(35)은 승강내관(20)의 내측 하단부로 삽입되어 걸리며 그 내측으로 스프링(36)이 신축하면서 출몰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하방이 개방된 관체형으로 형성되고, 스프링캡(35)의 높이는 도 2에서와 같이 최대로 압축된 스프링(36)이 완전히 삽입되도록 스프링(36)의 최대압축높이 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가이드(31)의 상단부에는 스프링가이드(31)에 헐겁게 끼워진 스프링캡(35)이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32)가 설치되는데, 이 이탈방지구(32)는 도 3에서와 같이 스프링가이드(31)의 상단부에 볼트부를 형성한 뒤에 그 볼트부에 통공(34)보다 외경이 큰 와셔가 붙은 너트를 체결하여 스프링캡(35)이 와셔부분에 걸려 상측으로 스프링캡(35)이 이탈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구(32)는 다른 예로 스프링가이드(31)의 상단부 중앙에 나사구멍을 형성하고 그 나사구멍에 머리부가 통공(34) 보다 큰 볼트를 체결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가이드(31)의 외부에는 상하단부가 스프링캡(35)의 내부 상부측 저면과 바닥판(37)의 상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최대로 압축되엇을 때의 높이가 스프링캡(35)의 내측 높이보다 높지 않은 스프링(36)이 탄력적으로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도 1 및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지지대(10)의 외부 일측에는 핀지그(1)를 사용하지 아니할 때 고정지지대(10)에서 빼내어 분리시킨 승강내관(20)을 삽입시켜 보관하게 하는 승강내관 삽입대(12)가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이는 국내의 선박 제조업체마다 핀지그(1)의 보관방식이 다르므로 승강내관 삽입대(12)를 필요에 맞게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스톱퍼(40)가 추가로 설치된 것이며, 이는 승강내관(20)이 탄력올림구(30)에 설치된 스프링(36)의 탄력으로 상승할 때 상기 플런저의 선단부가 승강내관(20)의 외측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승강내관(20)이 급작스럽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강내관(20)이 급작스럽게 상승하면서 승강내관(20)의 상단부가 작업자의 턱을 타격하게 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상기 고정지지대(10)의 상부 일측이나 또는 양측에 핀구멍(21)과 대응하는 플런저홀(44)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이 플런저홀(44) 외측의 고정지지대(10) 외부면에는 플런저홀(44)로 삽입되는 플런저(43)와, 플런저(43)를 플런저홀(44)측으로 탄력적으로 밀어주는 스프링(42)과, 플런저(43) 및 스프링(42)을 커버하는 케이스(41)로 이루어지는 스톱퍼(40)가 설치된 것이다.
이때, 상기 플런저(43)에는 플런저(43)가 플런저홀(44)로 삽입되어 있게 하는 홀걸림부(43a)가 플런저홀(44)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42)이 이 홀걸림부(43a) 후면과 케이스(41)의 내면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설치하는 스프링(36)은 압축코일스프링이며, 이 압축코일스프링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아서 스프링의 높이가 변하지 않은 자유상태를 자유높이라고 칭하고,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에 하중이 가해져 압축되는 경우에는 스프링의 높이가 낮아지면서 압축된 만큼 탄력이 생겨서 그 탄력으로 필요한 일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압축코일스프링을 채용한 본 발명에서의 스프링(36)은 승강내관(20)을 상승시킬 때는 그 스프링이 압축되었다가 팽창하려는 탄성복원력으로 서서히 상승시킬 수 있으면서 하강시에는 급작스럽게 낙하하지 않을 정도의 탄력을 가지는 스프링을 선택하는데, 승강내관(20)이 중간쯤 내려왔을 때는 승강내관(20)의 중량과 스프링(36)의 탄성력이 힘의 평형을 이루는 정도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36)의 상단부가 스프링캡(35)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스프링캡(35)의 상측 저면에 탄력적으로 받쳐져 있고, 이 스프링캡(35)의 하단부 외측에 형성된 걸림턱부(33)는 승강내관(20)의 하단부에 걸려서 스프링(36)의 탄력으로 승강내관(20)을 떠받치고 있는 상태이다.
이때, 상기 스프링캡(35)의 상측으로 관통하여 돌출되는 스프링가이드(31)의 상단부에는 스프링캡(35)이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32)가 스프링캡(35)의 중앙 상측에 형성된 통공(34) 보다 넓게 형성되어서 스프링(36)이 스프링캡(35)을 상측으로 계속적으로 밀어주는 데도 불구하고 스프링캡(35)이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이탈방지구(32)는 통공보다 외경이 확대된 와셔와 그 와셔의 상측에서 스프링가이드(31)의 상단부에 형성된 볼트부에 체결되는 너트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도 1에서와 같이 승강내관(20)이 가장 높은 위치로 상승되어 있는 경우는 승강내관(20)의 아래측 핀구멍(21)에 고정핀(2)이 관통된 상태에서 그 관통된 고정핀(2)이 고정지지대(10)의 상단부에 얹혀있으므로 승강내관(20)은 하강하지 않고 고정지지대 상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이며, 이와 같이 승강내관(20)이 고정핀(2)에 의해 고정지지대의 상단부에 걸려있어서 스프링(36)에는 아무런 하중을 가하지 않아 스프링은 압축되지 않은 자유높이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핀(2)을 핀구멍(21)에서 빼내면 압축되지 않아서 탄발력이 없으며 자유높이를 유지하고 있던 스프링(36)의 탄력보다 승강내관(20)의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승강내관(20)이 무거운 만큼의 무게에 의해 스프링(36)을 압축시키면서 승강내관(20)이 하강하게 되고, 승강내관(20)이 하강할수록 스프링(36)이 점점 더 압축되면서 서서히 하강하는 속도가 느려지다가 승강내관(20)이 중간쯤 내려왔을 때는 승강내관(20)의 중량과 스프링(36)의 탄성력이 힘의 평형을 이루어 승강내관(20)의 하강이 정지하게 된다.
이렇게 승강내관(20)이 하강을 멈출 때는 승강내관(20)의 중량(하중)과 스프링의 탄성력이 힘의 평형을 이루는 때로서 승강내관(20)의 중량을 그에 대응하는 스프링의 동일한 탄성력이 받쳐주므로, 이 시점에 승강내관(20)의 하중과 스프링(36)의 탄성력이 힘의 평형을 이루어 이때부터는 아주 작은 힘으로 작업자가 손으로 눌러도 승강내관(20)이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내관(20)이 하강할 때에는 그 내측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캡(35)도 하강하게 되는데, 이 스프링캡(35)은 상측 중앙에 형성된 통공(34)으로 스 프링가이드(31)가 헐겁게 관통되어 있음에 따라 승강내관(20)이 하강하는 대로 스프링캡(35)도 자유롭게 하게 하강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작업자가 승강내관(20)을 손으로 잡아 지그시 누르는 힘에 의해 승강내관(20)이 하강하는데, 승강내관(20)을 하강시키면서 원하는 높이에서 핀구멍(21)으로 고정핀(2)을 끼워서 관통시키면, 핀구멍(21)을 관통한 고정핀(2)이 고정지지대(10)의 상부에 얹혀서 승강내관(20)은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승강내관(20)의 높이가 맞춰진 뒤에는 승강내관(20)의 상측에 선체블럭이 얹혀지게 되는데, 승강내관의 핀구멍을 관통한 고정핀이 고정지지대의 상단부에 얹혀있으므로 승강내관이 더 이상 하강하지 않으면서 선체블록을 받쳐주게 되고, 이 상태에서 선체블록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승강내관은 압축된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승강내관(20)을 하강시키다가 도 2와 같이 스프링(36)이 최대로 압축되게 되면, 스프링의 코일과 코일 간에 간격이 없이 밀착되어 스프링의 밀착높이가 단축되면서 승강내관(20)의 하단부 내측으로 삽입 설치된 스프링캡(35)의 내부로 압축된 스프링(36)이 모두 들어가 있게 되어 승강내관(20)은 하단부가 고정지지대(10)의 내측 바닥면에 닿을 만큼 근접할 때까지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승강내관(20)의 하측에 스프링(36)이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승강내관(20)이 최대로 하강하는 높이가 감소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2와 같이 승강내관(20)이 최대로 하강한 상태에서 승강내관(20)을 상승시킬 때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때는 스프링(36)이 최대로 압축되어 그 탄발력으로 승강내관(20)을 상승시키려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스프링(36)의 탄력은 너무 강하지 않고 승강내관(20)이 서서히 상승할 정도로 해야 한다.
만약에 스프링(36)의 탄력이 너무 강하게 하면 금속으로 제작되며 30kg 내외의 무거운 승강내관(20)이 급작스럽게 상승하면서 작업자의 턱을 순간적으로 타격하여 큰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승강내관(20)이 서서히 올라갈 정도로 탄력을 맞추어야 한다.
승강내관(20)의 상측에 얹혀있던 선체블록이 승강내관을 누르지 않도록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선체블록이 얹혀서 승강내관이 하강하면서 압축되었던 스프링의 탄력이 승강내관의 무게보다 크므로 승강내관을 상승시키게 되는데, 위의 설명에서와 같이 승강내관의 중량과 스프링의 탄성력이 힘의 평형을 이루는 지점을 고정지지대의 중간 측에 있게 스프링의 탄력을 선택하여 설치하였기 때문에 그 스프링의 탄력이 승강내관의 중량에 비하여 대폭 크지 않으므로 승강내관이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서서히 승강내관(20)이 올라가는 과정에서 스프링(36)의 길이가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탄력이 점차적으로 약해지게 되며, 그로 인하여 상승하는 속도가 점점 느려지다가 승강내관(20)의 무게(하중)와 스프링(36)의 탄성력이 힘의 평형을 이루게 되면 저절로 상승하던 승강내관(20)의 상승이 정지하게 된다.
이때는 승강내관(20)의 무게가 실제로는 30kg 내외로 무거우나 스프링(36)이 탄력적으로 떠받쳐줌에 따라 이때의 승강내관(20)의 무게(하중)와 스프링(36)의 탄성력이 힘의 평형을 이루어 그 다음부터는 승강내관(20)을 손으로 잡아서 들어 올리면 승강내관(20)을 작은 힘으로 가볍게 상승시킬 수 있는데, 이는 승강내관(20)이 정지했던 중간 부분부터 승강내관(20)을 필요로 하는 높이까지 들어올리기 때문에 들어 올리는 높이가 높지 않아서 바닥부터 들어 올리는 것보다 적은 힘으로 승강내관(20)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필요로 하는 위치에서 상승을 정지시키고 핀구멍(21)에 고정핀을 끼워서 필요로 하는 높이를 맞추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내관(20)을 최대로 상승시킨 뒤에도 본 발명의 특징부가 되는 탄력올림구(30)의 상단부의 높이가 고정핀(2)을 끼우는 높이보다 낮으므로, 고정핀(2)을 핀구멍(21)을 끼울 때 승강내관(20)이 어느 위치에 있든지 간에 관계없이 고정핀(2)을 끼우는데 간섭이 전혀 없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캡(35)의 걸림턱(33)을 제외한 관형 몸체부분이 승강내관(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고, 스프링캡(35)의 내부에 스프링(36)이 삽입되므로 탄력올림구가 고정지지대의 내측에서 승강내관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승강내관(20)이 고정지지대(10)의 내측에서부터 승하강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 경우는 일실시예에 관한 구조가 동일하게 적용 설치된 핀지그에 스톱퍼(40)가 추가로 설치된 것으로서, 이는 승강내관(20)이 탄력올림구(30)에 설치된 스프링(36)의 탄력으로 상승할 때, 상기 플런저의 선단부가 승강내관(20)의 외측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승강내관(20)이 급작스럽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강내관(20)이 급작스럽게 상승하면서 승강내관(20)의 상단부가 작업자의 턱을 타격하게 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스프링(36)의 탄력이 강하면 승강내관(20)이 하사점에서 상승할 때 빠르게 올라가고, 반대로 승강내관(20)이 상사점에서 하강할 때도 빠르게 하강하게 되게 되는데, 이때는 플런저(43)의 선단부가 스톱퍼(40) 내의 스프링(42)의 탄력에 의해 승강내관(20)의 외부면에 밀착하고 있음에 따라 그 접촉 저항에 의해 승강내관(20)이 빠르게 승하강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승강내관(20)이 승하강하다가 플런저(43)의 선단부가 승강내관(20)의 핀구멍(21)과 일치하면 플런저(43)는 스프링(42)에 의해 탄력적으로 밀리고 있음에 따라 핀구멍(21)로 삽입되어 승강내관(20)의 승하강이 일시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이렇게 정지된 상태에서 높이를 맞출 때에는 이 상태에서 고정핀을 핀구멍(21)에 끼워 고정할 수 있고, 다른 높이에 높이를 맞추려고 할 때는 승강내관(20)을 조금은 강하게 상측이나 하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돌리게 되면, 선단부가 둥근 플런저(43)가 핀구멍(21)에 끼워져 있고 그 후방에는 스프링(42)이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승강내관(20)을 움직이는 힘이 스프링(42)의 탄력보다 커지면 플런저(43)가 그 핀구멍(21)에서 이탈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원하지 않는 핀구멍에서 이탈한 뒤에 승강내관(20)을 필요로 하는 높이로 이동시키면서 그 원하는 위치의 핀구멍(21)에 고정핀(2)을 끼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승강내관 삽입대(12)에는 핀지그(1)를 사용하지 않을 때 사용자에 따라 고정지지대(10)에서 승강내관(20)을 분리해낸 뒤에 그 분리해낸 승강내관(20)을 승강내관 삽입대(12)에 끼워 보관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승강내관이 상사점까지 상승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승강내관이 하사점까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 부를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고정지지대에 스톱퍼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승강내관 삽입대와 스톱퍼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핀지그 2 : 고정핀 10 : 고정지지대
20 : 승강내관 21 : 핀구멍 30 : 탄력올림구
31 : 스프링가이드 32 : 이탈방지구 33 : 걸림턱부
34 : 통공 35 : 스프링캡 36 : 스프링
37 : 바닥판 40 : 스톱퍼 41 : 케이스
42 : 스프링 43 : 플런저 44 : 플런저홀

Claims (2)

  1. 외주연에 지지날개(11)를 방사상으로 설치한 고정지지대(10)와, 고정지지대(10)의 내측에 승하강되게 삽입되는 것으로 상단부에 지지헤드(22)가 나사식으로 설치되며 상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핀구멍(21)을 관통 형성한 중공관형태의 승강내관(20)과, 승강내관(20)에 형성된 핀구멍(21)으로 관통되어 승강내관(20)의 조정된 높이를 고정하게 하는 고정핀(2)으로 이루어지는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대(10) 내측에는 승강내관(20)의 하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올림구(30)를 설치하되,
    상기 탄력올림구(30)는 고정지지대(10)의 하단부에 결합 설치되는 바닥판(37)의 중앙 상부에 전체길이가 고정지지대(10) 보다 짧은 스프링가이드(31)가 수직 설치되고,
    스프링가이드(31)의 외측에는 승강내관(20)의 내측 하단부로 삽입되는 하방이 개방된 관체형으로 형성되며 상측 중앙부에 스프링가이드(31)가 헐겁게 관통되는 통공(34)이 형성되고, 하측 외주연에 상면이 승강내관(20)의 하단부에 걸리는 걸림턱부(33)가 형성된 스프링캡(35)이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캡(35)의 상측으로 상향 관통된 스프링가이드(31)의 상단부에는 스프링가이드(31)에 헐겁게 관통된 스프링캡(35)이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32)가 설치되고,
    스프링가이드(31)의 외부에는 상하단부가 스프링캡(35)의 내측 저면과 바닥판(37)의 상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최대로 압축되었을 때의 높이가 스프링캡(35)의 내측 높이보다 높지 않은 스프링(36)이 탄력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2. 삭제
KR1020080098427A 2008-10-06 2008-10-06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KR101126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427A KR101126421B1 (ko) 2008-10-06 2008-10-06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427A KR101126421B1 (ko) 2008-10-06 2008-10-06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881A KR20080094881A (ko) 2008-10-27
KR101126421B1 true KR101126421B1 (ko) 2012-03-28

Family

ID=40154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427A KR101126421B1 (ko) 2008-10-06 2008-10-06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4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194Y1 (ko) * 2009-08-10 2011-06-21 (주)엘티 핀 지그용 승하강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핀 지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397U (ja) * 1991-03-11 1993-02-19 川鉄ライフ株式会社 フリーサイズ対応型小型舟艇移動船台
KR100644147B1 (ko) * 2004-03-04 2006-11-13 장철주 승강장치가 설치된 핀 지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397U (ja) * 1991-03-11 1993-02-19 川鉄ライフ株式会社 フリーサイズ対応型小型舟艇移動船台
KR100644147B1 (ko) * 2004-03-04 2006-11-13 장철주 승강장치가 설치된 핀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881A (ko) 2008-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3933A (ko) 선박블록 받침대용 탄력핀지그
KR101126421B1 (ko)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KR200475548Y1 (ko) 맨홀 커버 분리 장치
CN117169555A (zh) 一种继电保护自动测试系统
CN202643101U (zh) 吊装器
KR101986501B1 (ko) 반응고 단조성형장치
CN202625709U (zh) 卷扬机多功能限制器
US4568064A (en) Mechanical lifting jack
EP0068575B1 (en) Stacking device
JP5580564B2 (ja) ジャッキ式吊り上げ時の弛み取り方法
CN220691710U (zh) 一种用于数据分析的存储装置
KR200274931Y1 (ko) 조립식 행거용 서포트
SU117884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влечени трубы из грунта
CN218477141U (zh) 一种键帽自动压合机
CN216190870U (zh) 一种用于房屋建筑施工的安全升降机
CN211393426U (zh) 线材打包机钢带专用吊具
CN220802056U (zh) 一种抗浮装置
CN208880234U (zh) 三级形星轮夹具
CN215208224U (zh) 一种具有缓冲功能的升降平台
KR102083868B1 (ko) 성형소재 분리 장치
CN209411578U (zh) 一种可收缩起重棒
CN211597669U (zh) 一种建筑用附墙升降架的安全保护装置
JP5297059B2 (ja) 重量物昇降装置
KR20160115305A (ko) 차량용 오일 수거장치
KR200459334Y1 (ko) 핀 지그 레벨 무 부하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