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145B1 - 플랫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턴오버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플랫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턴오버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145B1
KR101837145B1 KR1020100104512A KR20100104512A KR101837145B1 KR 101837145 B1 KR101837145 B1 KR 101837145B1 KR 1020100104512 A KR1020100104512 A KR 1020100104512A KR 20100104512 A KR20100104512 A KR 20100104512A KR 101837145 B1 KR101837145 B1 KR 101837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composition
cream
comparative example
melan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3288A (ko
Inventor
김유정
조성아
조준철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104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145B1/ko
Publication of KR20120043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1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r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의 멜라닌 배출 촉진 및 피부 턴오버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랫레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에서 생성된 멜라닌의 배출을 촉진하고, 기미, 주근깨, 피부 잡티 및 태양 광선에 의한 피부 그을림 등의 피부 색소 침착 현상을 개선시키는 피부의 멜라닌 배출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턴오버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랫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턴오버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Skin Turnover Containing Citrus depressa extracts}
본 발명은 플랫레몬 추출물(Citrus depressa extracts)을 함유하는 피부의 멜라닌 배출 촉진 및 피부 턴오버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랫레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에서 생성된 멜라닌의 배출을 촉진하고, 기미, 주근깨, 피부 잡티 및 태양 광선에 의한 피부 그을림 등의 피부 색소 침착 현상을 개선시키는 피부의 멜라닌 배출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턴오버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멜라닌(melanin)은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에서 생성이 되는데 이 멜라노사이트에는 티로시나제 등의 효소가 존재하며, 이들이 함께 작용하여 생체 내에 항상 존재하는 티로신(tyrosine)이라는 아미노산을 기질로 중합화하는 산화반응을 통해 흑갈색의 색소인 멜라닌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멜라닌은 멜라노사이트의 수지상 돌기를 통하여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라는 표피 세포로 이동한다. 여기서 멜라닌은 핵 주변에 모자와 같은 구조를 형성하여 자외선으로부터 유전자를 보호하고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을 제거하여 세포 내 단백질을 보호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멜라닌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게 되면 기미나 주근깨, 점 등과 같은 과색소침착증을 유발하여 미용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한편 생체 내에는 멜라닌을 분해하는 효소가 없고 다만 케라티노사이트가 표피에서 떨어져 나갈 때 피부에서 같이 떨어져나감으로써 제거된다. 따라서, 타이로시나제의 활성을 저해하면 멜라닌의 생성속도를 줄여서 피부를 밝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피부색을 결정하는 것은 말처럼 그리 단순하지만은 않다. 멜라노사이트의 증식 및 분화, 타이로시나제의 정확한 3차 구조 형성 및 당과의 결합, 타이로시나제의 ER에서 골지(Golgi)로의 이동, 멜라노좀의 멜라노사이트 내에서의 이동 및 케라티노사이트로의 전달, 합성되는 멜라닌의 종류, 피부의 산화-환원상태, 및 미백에 관여하는 싸이토카인(cytokine)과 호르몬의 생성 조절 등 다양한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와 같이 피부색은 실로 다양한 요인의 복합 작용에 의해서 결정된다.
또한, 레저 인구의 증가로 외부에서 활동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 색소 침착 현상은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과색소침착은 피부미용 관점에서 심각한 정신적 부담을 주어 정상적인 사회활동에 지장을 주기도 한다. 특히 동양권의 여성들은 예로부터 하얗고 고운 피부를 선호해 왔으며, 이를 미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아오면서 피부 색소 이상 증상과 과색소침착 등의 예방과 개선에 대한 욕구가 더욱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멜라닌의 과잉 생성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품과 약제들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례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글루타치온(glutathione) 및 알부틴(arbutin) 등의 타이로시나제 저해활성을 가진 물질들을 화장료나 의약품에 배합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들 중 대부분의 것은 효과가 불충분하거나 제형상 불안정한 면이 있고, 하이드로퀴논 같은 화합물은 강한 탈색작용을 나타내지만 자체가 피부감작성을 가지고 있어 피부 알레르기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정상적인 피부의 기능을 변화시켜 백반증을 유발하는 등, 피부에 대한 안전성 측면에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설령 타이로시나제를 저해하더라도 이 물질이 각질형성세포인 케라티노사이트에 작용하여 멜라닌의 생합성을 촉진시키는 인자의 생성을 증가시킨다면, 결과적으로 미백작용은 약화되거나 오히려 악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타이로시나제의 저해제가 좋은 미백제라고 볼 수 없으며, 많은 타이로시나제 저해제가 개발되고 있지만 모두가 좋은 미백효과를 보이고 있지는 않다.
이와 같이, 지금까지 개발된 미백제는 멜라닌 생합성에 없어서는 안되는 기본적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양을 줄이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렇게 개발된 미백제들은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부작용에 의해 사용량이 제한되어 만족할 만한 미백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양을 사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피부는 얕은 층인 표피(epidermis)와 표피 밑의 보다 깊은 층인 진피(dermis)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피의 밑에는 피부밑조직 (subcutaneous tissue)이라고 불리는 별도의 결합조직층(피하조직)이 있다. 표피는 상피조직(epithelial tissue)으로 구성되어 있는 피부의 가장 바깥쪽 층으로서 모두 다섯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바닥쪽에서부터 기저층(basal layer), 가시층(spinous layer), 과립층(granular layer), 투명층(clear layer) 및 각질층(horny layer)으로 되어 있는데, 바닥쪽에서 계속 새 세포를 만들어내어 세포를 위로 밀어올리면서 각질화된 죽은 세포는 차츰 떨어져 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피부의 표피 바닥에서 새로운 세포가 만들어져서 오래된 세포를 피부 밖으로 밀어서 체외로 떨어져 나가게 하는 주기를 턴-오버 주기라고 한다. 따라서, 이러한 턴-오버 주기를 촉진함으로써, 피부 표피에 생성되었던 멜라닌을 체외로 빨리 배출할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고 이를 이용하여 멜라닌을 체외로 빨리 배출시킴으로써 미백 효과를 높이는 연구에 매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미백제들 보다 효과가 우수하면서 제형 내 불안정성, 피부 자극성, 감작성 및 변이원성 등이 없는 화장료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플랫레몬 추출물이 피부의 턴-오버 주기를 촉진시킴으로써 피부 표피에 생성된 멜라닌을 체외로 빨리 배출해 주고, 피부톤을 개선시켜 주면서 피부 자극이 거의 없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의 턴-오버 주기를 촉진함으로써 피부 표피에 생성된 멜라닌을 체외로 빨리 배출시키고, 피부톤을 개선시켜 주면서 피부 자극이 없는 플랫레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의 멜라닌 배출 촉진 및 피부 턴오버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플랫레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의 멜라닌 배출 촉진 및 피부 턴오버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의 멜라닌 배출 촉진 및 피부 턴오버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은 플랫레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의 턴-오버 주기를 촉진함으로써 피부 표피에 생성된 멜라닌을 체외로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피부의 톤을 밝게 해줌으로써 우수한 피부의 멜라닌 배출 촉진 및 피부 턴오버 촉진 효과를 제공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플랫레몬 추출물을 사용하여 피부 자극 없이 피부의 멜라닌 배출 촉진 및 피부 턴오버 촉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피부의 멜라닌 배출 촉진 및 피부 턴오버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플랫레몬(Citrus depressa)은 "시콰사" 혹은 "히라미레몬"으로 불리는 감귤류의 일종으로 일본 오키니와 지역과 대만에서 자생하는 과일이다. 크기가 작고 녹색을 띄는 플랫레몬은 영양 성분이 풍부하여 오키나와의 장수 식품으로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비타민 C와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높아 영양 공급 및 노화 방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동안 다른 감귤류(Citrus)에서는 미백 등 여러 피부 효능에 대해서 밝혀진 바가 있었으나 플랫레몬의 효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었다. 본 발명은 플랫레몬 추출물이 다른 감귤류의 추출물보다 월등한 미백 효과를 가지며 피부에 활성 성분을 공급해주어 저해된 피부 신진대사를 회복시켜주고, 피부 턴오버를 촉진시켜줌으로써 피부에 생성된 멜라닌의 배출을 촉진시켜 미백효과를 가져다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플랫레몬 추출물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플랫레몬을 물 또는 유기 용매에 침출하고, 정제, 분리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기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C1 내지 C5의 저급 알코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클로로포름일 수 있다. 상기 C1 내지 C5의 저급 알코올은,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프로필알코올, n-부탄올 및 이소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용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플랫레몬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30.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플랫레몬 추출물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목적하고자 하는 충분한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3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 증가 비율 대비 미백 효과의 증가율이 미미하며 비용에 대한 부담도 발생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 효과를 위한 화장품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 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첨가된 미백용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로션,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바디 세정제, 미용액, 비누, 유액, 로션, 연고, 젤,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 등의 화장료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기존의 미백 성분들, 예를 들어 코직산, 알부틴 또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등과 같은 미백성분들을 더 함유할 수도 있으며, 이들 기존의 미색성분들의 구체적인 종류 및 함량은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플랫레몬 추출물 외에, 그의 제형에 따른 다른 통상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통상의 성분의 종류 및 함량은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으며, 당업자는 어려움 없이 적의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들 실시예와 시험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을 갖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플렛레몬 추출물은 바이오랜드(Bioland)로부터 구입하였다.
먼저, 하기 표 1 의 원료 중 1∼6번 성분들을 70℃에서 혼합 용해하여 수상을 준비한 다음, 7∼13번 성분들을 70℃에서 혼합 용해하여 오일상(유상)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오일상을 수상에 첨가하고 호모믹서(일본 Tokushu Kika사)로 교반하여 1차 유화한 후 14번 성분을 첨가하여 점증시켰다. 기포를 제거한 후, 15번 성분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이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의 미백용 화장료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수상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2. 글리세린 8 8 8 8 8 8 8
3. 부틸렌글리콜 4 4 4 4 4 4 4
4. 히아루론산 추출물 5 5 5 5 5 5 5
5. 베타글루칸 7 7 7 7 7 7 7
6. 카보머 0.1 0.1 0.1 0.1 0.1 0.1 0.1
유상 7.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드
8 8 8 8 8 8 8
8. 하이드로지네이티드
폴리데센
5 5 5 5 5 5 5
9.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1.5 1.5 1.5 1.5 1.5 1.5
10.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0.4 0.4 0.4 0.4 0.4 0.4
11. 세테아릴 알코올 1 1 1 1 1 1 1
12.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3. 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4. 트리에탄올아민 0.1 0.1 0.1 0.1 0.1 0.1 0.1
15. 플랫레몬 추출물 0.1 10 20 30 - 0.05 40
[시험예 1] 인체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한 미백용 화장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건강한 14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피검자의 윗팔뚝 부위에 직경 1.5 cm의 구멍이 뚫린 불투명 테이프를 부착한 뒤, 각 피검자의 최소 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의 1.5∼2 배 정도의 자외선(UVB)을 조사하여 피부의 흑화를 유도하고,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한 미백용 화장료를 하루에 2회씩(아침, 저녁) 매일 두 달간 바르게 한 다음, 두 달 후에 크로마미터(Chromameter, Minolta CR-300)를 이용하여 피부의 명암을 측정하였다.
효과의 판정은 피부의 명암을 나타내는 "L"값을 구하여 결정하였다. 참고로, 인위적으로 태우지 않은 한국인 피부색은 일반적으로 50-70의 값을 나타낸다. 색차계(미놀타 CR2002)를 사용하여 피부의 흑백 정도를 측정하여 효과를 판정하였다. 색을 표시하는 데에는 L*a*b* 표색계를 사용하나, 본 발명에서는 주로 L* 값(명도)을 지표로 하였다. L* 값은 표준 백판으로 교정하며, 측정은 1개 부위에 5회 이상 측정을 되풀이함으로써 색소침착부를 균등하게 측정하였다. 도포 시작시점(도포 전)과 완료시점(도포 두 달 후)에서의 피부색의 차이(△L*)를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미백효과는 시료 도포 부위와 대조군 부위의 △L*의 비교로 판정하는데, △L* 값이 높을수록 미백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0069210665-pat00001
 평가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미백효과(ΔL) 1.71 2.53 2.99 3.50 0.8 0.83 1.46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플랫레몬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1∼4 및 비교예 3의 ΔL값은 플랫레몬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 및 매우 적은 양을 포함하는 비교예 2와 비교하여 볼 때 높은 수치이므로, 본 발명에 의한 플랫레몬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미백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플랫레몬 추출물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비교예 2의 경우 미백 효과를 거의 나타내고 있지 않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는 비교예 3의 경우 플랫레몬 추출물의 함량이 실시예 4 보다 증가하였는데도 불구하고 그 미백 효과는 오히려 감소하여 효율적이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토대로 하여 플랫레몬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가 가장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4∼9]
비교예 4∼9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하기 표 3 의 원료 중 1∼6번 성분들을 70℃에서 혼합 용해하여 수상을 준비한 다음, 7∼13번 성분들을 70℃에서 혼합 용해하여 오일상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오일상을 수상에 첨가하고 호모믹서(일본 Tokushu Kika사)로 교반하여 1차 유화한 후 14번 성분을 첨가하여 점증시켰다. 기포를 제거한 후, 16∼21번 성분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이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비교예 4∼9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비교예 4∼9에서 사용된 레몬, 오렌지, 자바라, 유자, 귤 및 왕귤 추출물은 바이오랜드(Bioland)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성분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수상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2. 글리세린 8 8 8 8 8 8
3. 부틸렌글리콜 4 4 4 4 4 4
4. 히아루론산 추출물 5 5 5 5 5 5
5. 베타글루칸 7 7 7 7 7 7
6. 카보머 0.1 0.1 0.1 0.1 0.1 0.1
유상 7.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드 8 8 8 8 8 8
8. 하이드로지네이티드 폴리데센 5 5 5 5 5 5
9.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1.5 1.5 1.5 1.5 1.5
10.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0.4 0.4 0.4 0.4 0.4
11. 세테아릴 알코올 1 1 1 1 1 1
12.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3. 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4. 트리에탄올아민 0.1 0.1 0.1 0.1 0.1 0.1
16. 레몬(Citrus Medica Limonum) 추출물 10 - - - - -
17. 오렌지(Citrus Aurantium Dulcis) 추출물 - 10 - - - -
18. 자바라(Citrus Jabara) 추출물 - - 10 - - -
19. 유자(Citrus Junos) 추출물 - - - 10 - -
20. 귤(Citrus Unshiu) 추출물 - - - - 10 -
21. 왕귤(Citrus Grandis) 추출물 - - - - - 10
[시험예 2] 인체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한 플랫레몬 추출물과 다른 감귤류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비교예 4∼9에서 제조한 미백용 화장료의 미백효과를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먼저, 건강한 14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피검자의 윗팔뚝 부위에 직경 1.5 cm의 구멍이 뚫린 불투명 테이프를 부착한 뒤, 각 피검자의 최소 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의 1.5∼2 배 정도의 자외선(UVB)을 조사하여 피부의 흑화를 유도하고, 상기 비교예 4∼9에서 제조한 미백용 화장료를 도포한 다음, 두 달 후에 크로마미터(Chromameter, Minolta CR-300)를 이용하여 피부의 명암을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항목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미백효과(ΔL) 1.25 1.31 1.18 1.42 1.28 1.47
상기 표 3 및 표 4의 결과를 비교하여 보면, 플랫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인 실시예 1∼4의 ΔL값은 다른 감귤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교예 4∼9와 비교하였을 때 미백 효과가 월등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인체 피부에 대한 피부 자극감 조사
상기 시험예 1,2의 피검자들을 대상으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9의 화장료를 두 달 동안 사용하도록 한 후 피부 자극감을 비교하였다. 이때, 판단 기준은 피검자들이 자극감의 정도에 따라 점수를 1∼5까지 부여하여 비교한 것으로, 1에 가까울수록 자극이 없고, 5에 가까울수록 자극이 많은 것을 의미하며, 각각의 평균점수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피부 자극감
실시예 1 1.2
실시예 2 1.1
실시예 3 1.2
실시예 4 1.3
비교예 1 1.8
비교예 2 1.9
비교예 3 3.5
비교예 4 4.2
비교예 5 4.5
비교예 6 4.5
비교예 7 4.7
비교예 8 4.3
비교예 9 4.8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4의 미백용 화장료가 비교예 1∼9 보다 미백 효과는 우수하면서 피부 자극은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인체피부에서의 피부 턴오버 촉진 효과 확인 시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9, 대조군(무처리군) 및 양성대조군(1% 젖산 처리군)의 피부 턴오버(Turn over)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한 남녀 28명(평균연령 34세)을 대상으로 시험물질 도포 전 피시험자의 팔 상박부 안쪽 색상을 색도변화계로 측정한 후 디하이드록시 아세톤(DHA)이 함유된 크림을 사용하여 인공탠닝시키고, 시험물질 도포 전과의 색상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후 1일 2회씩 상기 실시예 및 대조군에 따라 얻어진 시료를 혼합용매(물:에탄올:부틸렌글리콜 = 80:15:5)에 0.2 중량%씩 녹여진 시료를 도포하면서 매일 탈색되는 정도를 색도변화계로 측정하여 원래의 피부색으로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단백질 변색에 따른 색도변화=피부 턴오버시간)을 측정하였다. 피부 턴오버 촉진율을 하기 수학식 2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69210665-pat00002
여기서 턴오버 시간은 기존의 각질층이 새로운 각질층으로 교체되는데 걸리는 시간, 즉 DHA에 의해 탠닝된 후 피부가 원상복귀되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시험물질 턴오버 시간(day) 턴오버촉진율(%)
대조군 18.5 -
양성대조군 12.8 30.8
실시예 1 12.0 35.1
실시예 2 11.5 37.8
실시예 3 11.2 39.5
실시예 4 10.8 41.6
비교예 1 15.2 17.8
비교예 2 15.1 18.4
비교예 3 13.9 24.9
비교예 4 14.7 20.5
비교예 5 14.6 21.1
비교예 6 14.8 20.0
비교예 7 14.2 23.2
비교예 8 14.9 19.5
비교예 9 14.1 23.8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4의 미백용 화장료가 비교예 1∼9 보다 턴오버를 촉진함으로써 턴오버 주기가 짧아져 멜라닌 배출을 촉진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플랫레몬 추출물(Citrus depressa Extract)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턴오버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플랫레몬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턴오버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레몬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의 각질층 교체를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로션,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바디 세정제, 미용액, 비누, 유액, 로션, 연고, 젤,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로 제형화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104512A 2010-10-26 2010-10-26 플랫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턴오버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7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512A KR101837145B1 (ko) 2010-10-26 2010-10-26 플랫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턴오버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512A KR101837145B1 (ko) 2010-10-26 2010-10-26 플랫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턴오버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288A KR20120043288A (ko) 2012-05-04
KR101837145B1 true KR101837145B1 (ko) 2018-03-09

Family

ID=46263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512A KR101837145B1 (ko) 2010-10-26 2010-10-26 플랫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턴오버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1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962B1 (ko) 2021-09-24 2022-09-30 주식회사미네랄하우스 하이퍼미네랄 이온수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하이퍼미네랄 이온수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633B1 (ko) * 2017-04-27 2019-10-04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쿠아사 종자 오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4338724A1 (fr) 2021-12-02 2024-03-20 Chanel Parfums Beauté Extrait alcoolique d ecorces de citrus depressa, son procede d obtention, et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le contena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733A (ja) 2000-05-29 2001-12-04 Okinawa Shokuryo Kk α−アミラーゼ阻害物質
JP2004250408A (ja) 2003-02-21 2004-09-09 Yumejin Kk ハイビスカスの成分抽出法並びに化粧料及び洗浄料への利用
JP2005278590A (ja) 2004-03-31 2005-10-13 Yasuo Yonamine ヒラミレモン加工品とその製造方法
JP2006169223A (ja) 2004-12-10 2006-06-29 Road 21 Kk ヒラミレモンエキス配合シルクゲル化粧品
JP2009073769A (ja) * 2007-09-21 2009-04-09 Nof Corp メラニン生成抑制剤および美白用化粧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733A (ja) 2000-05-29 2001-12-04 Okinawa Shokuryo Kk α−アミラーゼ阻害物質
JP2004250408A (ja) 2003-02-21 2004-09-09 Yumejin Kk ハイビスカスの成分抽出法並びに化粧料及び洗浄料への利用
JP2005278590A (ja) 2004-03-31 2005-10-13 Yasuo Yonamine ヒラミレモン加工品とその製造方法
JP2006169223A (ja) 2004-12-10 2006-06-29 Road 21 Kk ヒラミレモンエキス配合シルクゲル化粧品
JP2009073769A (ja) * 2007-09-21 2009-04-09 Nof Corp メラニン生成抑制剤および美白用化粧料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다음 블로그, "멜라노 화이트닝 솔루션" (공개일: 2007.07.0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962B1 (ko) 2021-09-24 2022-09-30 주식회사미네랄하우스 하이퍼미네랄 이온수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하이퍼미네랄 이온수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288A (ko) 201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036B1 (ko)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39096B1 (ko) 과색소침착 피부용 피부 미백 조성물
KR100825450B1 (ko)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A3011834C (en) Ski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ccharin, maltol, and theobromine
KR20130088912A (ko) 텐저레틴 및 egcg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10535758A (ja) ジオスゲニンを含む皮膚美白用組成物
KR101026879B1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37145B1 (ko) 플랫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턴오버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95514B1 (ko) 디오스게닌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245563B1 (ko) 마데카소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제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0670237B1 (ko) 홍화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홍화씨 내 화장료 유효성분 추출방법
KR20220107545A (ko) α-MSH 경쟁효과와 티로시나아제 저해효과를 동시에 가지는 신규의 멜라닌 색소 형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2061B1 (ko) 아테미신산, 이의 유도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제
KR101161738B1 (ko) 진센노사이드 알에이치2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0924060B1 (ko) 퓨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 조성물
KR20100004531A (ko) 옥잠화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01519B1 (ko) 플라티코딘-디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제
KR102430512B1 (ko) 릴린 및/또는 vegf-c의 생산 및/또는 활성 촉진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KR101155695B1 (ko) 진센노사이드 알지3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US20100061948A1 (en)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rtemisinine
KR20170026733A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72529B1 (ko) Par-2 저해활성을 갖는 신규의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KR20110085544A (ko) 루시놀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1663A (ko) 디하이드로에보디아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