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572B1 -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폴리머, 광배향막 및 위상차막 - Google Patents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폴리머, 광배향막 및 위상차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572B1
KR101833572B1 KR1020137005123A KR20137005123A KR101833572B1 KR 101833572 B1 KR101833572 B1 KR 101833572B1 KR 1020137005123 A KR1020137005123 A KR 1020137005123A KR 20137005123 A KR20137005123 A KR 20137005123A KR 101833572 B1 KR101833572 B1 KR 101833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ilm
meth
polymer
alky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6249A (ko
Inventor
코키 츠바키
시게키 아와
타케시 코바야시
타카노리 마츠야마
요시히로 카와츠키
Original Assignee
오사카 유키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효고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사카 유키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효고켄 filed Critical 오사카 유키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6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5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0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301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one oxygen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0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303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one or more carboxylic moieties in the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using mesoge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11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11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 G02F1/133726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made of a mesogenic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light irradiation, e.g. linearly polarised light photo-polymeri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독성 및 환경 부하가 낮은 용매에 용해할 수 있는 등이 뛰어난 특징을 갖는,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 폴리머,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광배향막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 이루어진 막에 액정 배향능을 발생시킨 광배향막, 및 상기 광배향막상에 액정성 화합물을 배향시킨 위상차막을 제공한다.
상기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 폴리머는, 일반식 (I) 〔각 기호는 명세서 중에 규정대로이다.〕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폴리머, 광배향막 및 위상차막{Copolymerizable (meth)acrylic acid polymer, optical alignment film and phase difference film}
본 발명은,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 폴리머, 광배향막 및 위상차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말단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측쇄와 말단에 아크릴산 에스테르 부분을 갖는 측쇄를 동시에 갖는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 폴리머,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광배향막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 이루어진 막에 액정 배향능을 발생시킨 광배향막 및 상기 광배향막상에 액정성 화합물을 배향시킨 위상차막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액정 디스플레이 그밖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도 포함함) 분야에서는, 위상차막(광학 이방성막)이 여러 가지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위상차막은, 액정 배향능을 갖는 막(또는 기판) 위에 액정성 화합물을 도포하여 제조되지만, 종래, 상기 막(또는 기판)에 액정 배향능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그 표면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기판 표면에 피복한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 수지막을 한 방향으로 직물 등에 비비는 러빙 처리가 알려져 있고, 액정표시장치용 배향막 등의 형성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미세한 먼지의 발생에 의한 액정 제조 라인의 오염이나, 정전기에 의한 TFT(박막 트랜지스터) 소자의 파괴 등이, 액정 패널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제품 비율의 저하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거나 정량적인 배향 제어가 곤란한 것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러빙 처리를 대신하여, 광조사에 의해, 액정 배향능을 부여하는 광배향막이 여러 가지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1∼3). 특히, 특허 문헌 2에는, 광반응성 측쇄 말단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를 중합시킨 광배향재가 양호한 광반응 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광배향재는, 원료인 모노머가 고가이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상기 모노머의 일부를 보다 염가의 다른 모노머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한 공중합성 폴리머가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다른 모노머는 말단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점은 공통되지만, 광반응성을 나타내는 구조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폴리머를 이용하여 위상차이 필름을 제조하려면, 폴리머를 우선 용매에 용해하고, 이와 같은 용액을 기판상에 도포하여 건조하고, 직선 편광 등을 조사하여, 필요에 따라 가열하여 광배향막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광배향막상에 액정성 화합물을 도포하고, 이를 가온하여 상기 액정성 화합물을 배향시켜, 다시 UV경화한 후, 가열함으로써 배향성을 향상시켜서 위상차이 필름으로 한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에서, 최초로 폴리머를 용해시키는 용매로서는, 가능한 한 독성이나 환경 부하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특허 문헌 2 및 특허 문헌 3 기재된 폴리머는 용해성이 나쁘고, 독성이나 환경 부하의 비교적 높은 용매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기판상에 도포한 폴리머에 직선 편광을 조사할 때의 노광량에는, 광배향막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최적인 범위(최적 편광 노광량. 본 명세서에서는, 단지, 최적 노광량이라고도 한다.)가 있는 한편, 어느 노광량을 넘으면 막이 열화하여 버린다는 한계치(한계 편광 노광량. 본 명세서에서는, 단지, 한계 노광량이라고도 한다.)도 존재하기 때문에, 매우 적합한 광배향막을 제조하려면 그 노광량을 확실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조정은, 편광을 조사하는 기계에 의해, 그 노광 강도 및 노광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실시되지만, 최적 노광량의 값이 작고(광감수성 높고), 또 한계 노광량과의 차이가 작으면, 이와 같은 조정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광배향막에 액정성 화합물을 배향시켜서 위상차막을 제조할 때, 액정성 화합물을 UV경화시킨 후, 200℃를 넘는 고온으로 가열할 필요가 있지만, 이와 같은 가열의 과정의 전후에서, 막의 복굴절율이 감소한다(내열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JPH08-015681호 공보 (특허 문헌 2) JP2007-304215호 공보 (특허 문헌 3) JP2008-276149호 공보
상기 배경에서, 본 발명은, 독성 및 환경 부하가 낮은 용매에 용해할 수 있는,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 폴리머,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광배향막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 이루어진 막에 액정 배향능을 발생시킨 광배향막, 및 상기 광배향막상에 액정성 화합물을 배향시킨 위상차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액정막의 제막프로세스, 즉 막의 가열(소성) 공정에서, 복굴절율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는(내열성이 높음)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 폴리머,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광배향막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 이루어진 막에 액정 배향능을 발생시킨 광배향막, 및 상기 광배향막상에 액정성 화합물을 배향시킨 위상차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배향막을 제조할 때에 조사하는 편광의 최적 노광량의 값이 비교적 크고(광감수성이 낮고), 및/또는 상기 최적 노광량과 한계 노광량의 차이가 크고, 노광량의 조절이 용이한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 폴리머,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광배향막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 이루어진 막에 액정 배향능을 발생시킨 광배향막, 및 상기 광배향막상에 액정성 화합물을 배향시킨 위상차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실시한 결과, 말단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측쇄와 말단에 아릴 아크릴산 에스테르(바람직하게는, 계피산에스테르) 부분을 갖는 측쇄를 동시에 갖는, 신규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 폴리머를 이용하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1〕
일반식 (I)
Figure 112013017764047-pct00001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알킬기, 또는 알킬기, 알콕시기, 시아노기 및 할로겐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기로 치환된 페닐기이며, 고리 A 및 고리 B는 각각 독립하여,
Figure 112013017764047-pct00002
〔단, X1∼X38의 각각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이다.〕
로 표시되는 기이며, Z는-CH=CHCOO-(트랜스체) 또는-N=N-로 표시되는 기이며, p 및 q는 각각 독립하여 1∼12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며, m 및 n은, 0.65≤m≤0.95, 0.05≤n≤0.35, m+n=1의 관계를 만족하는 공중합체에 차지하는 각 모노머의 몰분율이다.〕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공중합성 (메타) 아크릴산 폴리머,
〔2〕또한, 또 다른 본 발명은 일반식 (I-A)
Figure 112013017764047-pct00003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알킬기, 또는 알킬기, 알콕시기, 시아노기 및 할로겐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기로 치환된 페닐기이며, X1A∼X4A의 각각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이며, 고리 B는
Figure 112013017764047-pct00004
〔단, X1B∼X4B 및 X31B∼X38B의 각각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이다.〕
로 표시되는 기이며, Z는-CH=CHCOO-(트랜스체) 또는-N=N-로 나타나는 기이며, p 및 q는 각각 독립하여 1∼12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며, m 및 n은, 0.65≤m≤0.95, 0.05≤n≤0.35, m+n=1의 관계를 만족하는 공중합체에 차지하는 각 모노머의 몰분율이다.〕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 폴리머,
〔3〕또한, 본 발명은 일반식 (I-a)
Figure 112013017764047-pct00005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알킬기, 또는 알킬기, 알콕시기, 시아노기 및 할로겐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기로 치환된 페닐기이며, X1A∼X4A의 각각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이며, 고리 B는,
Figure 112013017764047-pct00006
〔단, X1B∼X4B 및 X31B∼X38B의 각각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이다.〕
로 표시되는 기이며, p 및 q는 각각 독립하여 1∼12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며, m 및 n은, 0.65≤m≤0.95, 0.05≤n≤0.35, m+n=1의 관계를 만족하는 공중합체에 차지하는 각 모노머의 몰분율이다.〕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 폴리머,
〔4〕또한, 본 발명은 일반식 (I-b)
Figure 112013017764047-pct00007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알킬기, 또는 알킬기, 알콕시기, 시아노기 및 할로겐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기로 치환된 페닐기이며, X1A∼X4A 및 X31B∼X38B의 각각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이며, p 및 q는 각각 독립하여, 1∼12 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며, m 및 n은, 0.65≤m≤0.95, 0.05≤n≤0.35, m+n=1의 관계를 만족하는 공중합체에 차지하는 각 모노머의 몰분율이다.〕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 폴리머,
〔5〕또한, 본 발명은 일반식 (I-c)
Figure 112013017764047-pct00008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알킬기, 또는 알킬기, 알콕시기, 시아노기 및 할로겐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기로 치환된 페닐기이며, X1A∼X4A 및 X1B∼X4B의 각각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이며, Z는-CH=CHCOO-(트랜스체) 또는-N=N-로 나타나는 기이며, p 및 q는 각각 독립하여 1∼12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며, m 및 n은, 0.65≤m≤0.95, 0.05≤n≤0.35, m+n=1의 관계를 만족하는 공중합체에 차지하는 각 모노머의 몰분율이다.〕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 폴리머,
〔6〕상기〔1〕∼〔5〕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 폴리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광배향막용 조성물,
〔7〕상기〔6〕의 광배향막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막에, 이방성을 갖는 광을 조사하고, 다시 이를 가열하여 액정 배향능을 발생시킨 광배향막,
〔8〕상기〔7〕의 광배향막상에 액정성 화합물을 배향시킨 위상차막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 폴리머(I)는, 독성이 낮고 환경 부하가 낮은 용매인 메틸에틸케톤 및/또는 시클로헥사논 및/또는 1-메톡시-2-프로판올에 가용이라는 뛰어난 특징을 갖는다. 또, 메틸에틸케톤과 시클로헥사논과 1-메톡시-2-프로판올은, 비점이 각각 약 80℃, 약 155℃, 약 120℃로 낮기 때문에, 그 만큼, 용매를 제거하기 위한 건조 공정이 용이해진다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머는 이것을 배향막으로서 사용하고, 다시 액정성 화합물을 배향시켜 위상차막을 제작하면, 상기 위상차막의 제막프로세스에 있어서의 가열 공정으로의 막의 복굴절율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즉, 막의 내열성이 높아진다), 및/또는, 광배향막을 제조할 때에 조사하는 편광의 최적 노광량의 값이 비교적 커지는 및/또는 상기 최적 노광량과 한계 노광량의 차이가 커진다(즉, 노광량의 조절이 용이해진다)라는 뛰어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폴리머(1)에서,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일반식 (I-A)
Figure 112013017764047-pct00009
〔식 중 기호는 상기와 동일 의미가 있다.〕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 폴리머.
일반식 (I-B)
Figure 112013017764047-pct00010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알킬기, 또는 알킬기, 알콕시기, 시아노기 및 할로겐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기로 치환된 페닐기이며, 고리 A 및 고리 B는 각각 독립하여
Figure 112013017764047-pct00011
〔단, X1∼X38의 각각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이다.〕
로 표시되는 기이며, p 및 q는 각각 독립하여 1∼12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며, m 및 n은, 0.65≤m≤0.95, 0.05≤n≤0.35, m+n=1의 관계를 만족하는 공중합체에 차지하는 각 모노머의 몰분율이다.〕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 폴리머.
일반식(I-a)
Figure 112013017764047-pct00012
〔식 중, 기호는 상기와 동일 의미를 갖는다.〕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 폴리머.
일반식 (I-b)
Figure 112013017764047-pct00013
〔식 중, 기호는 상기와 동일 의미를 갖는다.〕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 폴리머.
일반식 (I-c)
Figure 112013017764047-pct00014
〔식 중, 기호는 상기와 동일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반식 (I)( 일반식 (I-A) 및 (I-B) 및 일반식 (I-a)∼(I-c)를 포함한다. 이하 동일)에서, R1로서는, 메틸기가 바람직하다. R2로서는, 알킬기, 또는 알킬기, 알콕시기, 시아노기 및 할로겐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1의 기로 치환된 페닐기가 바람직하고, 이 중 알킬기, 또는 시아노기로 치환된 페닐기가 더욱 바람직하고, 알킬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R2의 다른 바람직한 예로서는,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또는 시아노기로 치환된 페닐기를 들 수 있고, 이 중,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로 치환된 페닐기가 바람직하다. R2의 다른 바람직한 예로서는, 알콕시기 또는 시아노기로 치환된 페닐기를 들 수 있고, 이 중, 알콕시기로 치환된 페닐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R2의 다른 바람직한 예는, 알킬기이다. X1∼X38로서는, 모두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가 바람직하다. p 및 q로서는, 모두, 3∼9중 어느 하나의 정수가 바람직하고, 이 중 5∼7중 어느 하나의 정수가 바람직하며, 6이 가장 바람직하다. m에 대해서는, 바람직하게는 약 0.75≤m≤약 0.85의 범위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약 0.8이다. 대응하는 n의 바람직한 범위는, m+n=1로부터 스스로 정해지는 범위이다. 즉, 바람직하게는 약 0.15≤n≤약 0.25의 범위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약 0.2이다.
본 발명의 일반식 (I)에서, X1A∼X4A로서는,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가 바람직하고, 특히, X1A∼X4A중 어느 하나가 할로겐 원자이며, 그 외가 수소 원자인 경우가 바람직하고, 또한 모두 수소 원자인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 X31B∼X38B로서는,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가 바람직하고, 전부가 수소 원자인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다.
R2의 알킬기 또는 R2의 페닐기의 치환기의 알킬기로서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들 수 있어 그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6의 것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의 것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틸기를 들 수 있다. R2의 페닐기의 치환기의 알콕시기로서는, 탄소수 1∼12의 알콕시기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6의 것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의 것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톡시기를 들 수 있다. R2의 페닐기의 치환기의 할로겐 원자로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를 들 수 있고, 이 중, 불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X1∼X38에서, 알킬기로서는, 탄소수 1∼4의 것을 들 수 있고, 그 중 메틸기가 가장 바람직하고, 알콕시기로서는, 탄소수 1∼4의 것을 들 수 있으며, 그 중 메톡시기가 가장 바람직하고, 할로겐 원자로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를 들 수 있고, 이 중, 불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X1A∼X38A는, 고리 A 또는 고리 B상의 치환기인 X1∼X38에 대해서, 이들이 고리 A상의 치환기인 경우를 나타내고, X1B∼X38B는, 이들이 고리 B상의 치환기인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X1∼X38에 대한 설명은, 그대로 X1A∼X3 8A 및 X1B∼X38B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머 (I)는, 일반식 (II),
Figure 112013017764047-pct00015
〔식 중, 기호는 상기와 동일 의미를 갖는다.〕
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 모노머(M1)의 소정량과 일반식 (III),
Figure 112013017764047-pct00016
〔식 중, 기호는 상기와 동일 의미를 갖는다.〕
로 표시되는 (메타)아크릴산 모노머(M2)의 소정량을, 무용매 또는 용매중 혼합하여 중합시키는 것으로, 제조할 수 있다. 중합은 광 또는 열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중합 공정에서, 재료나 용매 등을 넣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중합 전에 반응 용기에 미리 전재료를 투입한 후에 중합을 개시해도 되고, M1과 M2를 혼합한 후, 이와 같은 혼합물이나 용매 등의 일부에 대해 중합 개시한 후에, 나머지를 적하 또는 분할 투입 등의 방법에 의해 단계적으로 추가해도 된다.
또, M1과 M2의 중합시에, 필수는 아니지만, 다른 모노머를, 함유시켜도 되고, 이와 같은 모노머는, 중합성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인 한, 그 이외의 점에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액정성을 갖는 것이 아니어도 된다.
이와 같은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등의 (메타)아크릴모노머, 스티렌,α-메틸스티렌, p-스티렌설폰산, 에틸비닐에테르, N-비닐이미다졸,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피리딘, 2-비닐나프탈렌, 염화비닐, 불화비닐, N-비닐카르바졸, 비닐아민, 비닐페놀, N-비닐-2-피롤리돈 등의 비닐계 모노머, 4-아릴-1,2-디메톡시벤젠, 4-아릴페놀, 4-메톡시아릴벤젠 등의 아릴계 모노머, 페닐말레이미드,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류를 들 수 있다.
용액 중에서 중합하는 경우에는, 범용의 유기용매를 특별히 한정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용매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시크로펜타논 등의 케톤계 용매, 초산에틸, 부틸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디에틸에테르, 디글림(diglyme) 등의 에테르계 용매, 헥산,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톨루엔, 자일렌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아세트니트릴 등의 니트릴계 용매, N-메틸 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등의 아미드계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함께 이용해도 된다.
상기의 중합시에는, 중합 개시제를 이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좋고, 구체적인 예로서는,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AIBN), 디에틸-2,2'-아조비스이소부틸레이트(V-601),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디메틸아조비스메틸프로비오네이트 등의 아조계 중합 개시제, 과산화벤조일, 과산화수소, 과산화라우로일 등의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등의 과황산염계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중합 개시제는,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또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중합시의 온도는, 모노머인 M1 및 M2의 종류, 중합 용매종, 개시제종 등에 의해 다르지만, 바람직하게는 40∼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20℃의 범위이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폴리머(1)는, 광중합 개시제, 계면활성제, 용매 등 이외, 광 및 열에 의해 중합을 발생시키는 중합성 조성물에 통상 포함되는 성분을 적당 첨가하여 광배향막용 조성물로 할 수 있다. 이들 임의 성분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폴리머(I)의 총중량에 대해, 광중합 개시제는 약 1∼약 10중량%, 계면활성제는 약 0.1∼약 5중량%, 용매는 약 70∼약 99중량%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소량의 광조사에 의해 균일한 막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범용의 광중합제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 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의 아조니트릴계 광중합 개시제, 이르가큐아 907(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이르가큐아 369(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등의 α-아미노케톤계 광중합 개시제,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트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트페논, 디에톡시아세트페논, 1-(4-이소프로필 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포리노페닐)-부탄-1-온 등의 아세트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등의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 벤조일안식향산, 벤조일안식향산메틸, 4-페닐벤조페논, 히드록시벤조페논, 아크릴화 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설파이드 등의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2-클로르치옥산손, 2-메틸치옥산손, 이소프로필치옥산손, 2,4-디이소프로필치옥산손 등의 치옥산손계 광중합 개시제, 2,4,6-트리클로로-s-트리아진, 2-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p-메톡시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p-메톡시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피페로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스티릴 s-트리아진, 2-(나프토-1-일)-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메톡시나프토-1-일)-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피페로닐)-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메틸(4'-메톡시스티릴)-6-트리아진 등의 트리아진계 광중합 개시제, 카르바졸계 광중합 개시제, 이미다졸계 광중합 개시제 등; 또한, α-아실록시에스테르, 아실포스핀옥사이드, 메틸페닐글리옥시레이트, 벤질, 9, 10-페난스렌퀴논, 캠퍼-퀴논, 에틸안스라퀴논, 4,4'-디에틸이소프타로페논, 3,3', 4,4'-테트라(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치옥산손 등의 광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함께 이용해도 된다.
계면활성제로서는, 균일한 막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계면활성제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릴황산 소다, 라우릴황산암모늄,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염, 알킬에테르인산염, 나트륨오레일숙시네이트, 미리스틴산칼륨, 야자유 지방산 칼륨, 나트륨라우로일살코시네이트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스테아린산소르비탄, 미리스틴산글리세릴, 디오레인산글리세릴, 소르비탄스테어레이트, 소르비탄오레에이트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스테아릴 트리메틸암모늄염화물, 염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니움, 염화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카오틴성 계면활성제; 라우릴베타인, 알킬술포베타인, 코카미드프로필베타인, 알킬디메틸아미노초산 베타인 등의 알킬베타인, 알킬이미다졸린, 라우로일살코신나트륨, 코코안포초산나트륨등의 양성 계면활성제; 또한, BYK-361, BYK-306, BYK-307(빅케미재팬사 제조), 플로라이드 FC430(스미토모 3M사 제조), 메가퍼크 F171, R08(다이닛폰잉크가카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의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용매로서는, 톨루엔, 에틸벤젠,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디부틸에테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에탄올, 프로판올, 시클로헥산, 시클로펜타논, 메틸시클로헥산, 테트라히드로프란, 디옥산, 시클로헥사논, n-헥산, 초산에틸, 초산부틸,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 중, 독성이나 환경 부하의 관점 및/또는 수지기재(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시클로올레핀폴리머(COP) 등)에 대한 내용해성의 관점에서,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폴리머(I)는,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1-메톡시-2-프로판올에도 용해한다는 뛰어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광배향막용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막으로 한 후, 상기 막에 이방성을 갖는 광을 조사하고, 다시 이것을 가열하여 액정 배향능을 일으키게 하는 것으로, 광배향막으로 할 수 있다.
광배향막용 조성물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어느 방법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스핀 코팅법, 바 코팅법, 다이코타법, 스크린 인쇄법, 스프레이 코터법 등이 있다. 조성물의 도포 후, 건조하여 용제를 제거함으로써, 조성물의 층을 형성시킨다. 건조 공정은 이 분야에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어느 방법이라도 좋고, 수지층이 일정한 형태로 고정화하여, 막을 형성할 때까지 실시한다.
사용할 수 있는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알칼리 유리, 무알칼리 유리 등의 유리기재,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아크릴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시클로올레핀폴리머,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3불화염화에틸렌 등의 수지기재, 철, 알루미늄, 동 등의 금속기재 등을 들 수 있고, 유리기재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방성을 갖는 광으로서는, 직선 편광 이외, 예를 들면, 부분 편광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직선 편광이란, 전기장(또는 자장)의 진동 방향을 포함한 면이 하나에 특정되는 광이며, 부분 편광은, 전기장(또는 자장)의 진동의 강도가 특정 방향에 대해 다른 방향보다 강한 것을 말한다. 직선 편광은, 광원에서부터의 광에, 편광 필터나 편광 프리즘을 이용하는 것으로 얻는 고화할 수 있다. 부분 편광은, 부분 편광 필터를 사용하여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방성을 갖는 광이면, 모두 이용할 수 있지만, 효율적으로 광배향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직선 편광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사하는 광은,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근자외선, 원자외선 등), X선, 하전 입자선(예를 들면, 전자전등) 등, 조사에 의해 화학반응을 발생시키는 조사선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조사선은 200㎚∼500㎚의 파장을 갖는 경우가 많고, 광가교를 유효하게 발생시키는 점에서 350㎚에서 450㎚의 근자외선이 바람직하다. 광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크세논램프, 고압 수은 램프, 초고압 수은 램프, 메탈할라이드램프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광원에서 얻은 보라색 외광이나 가시광선은 간섭 필터나 색필터 등을 이용하여 조사하는 파장 범위를 제한해도 된다. 조사 에너지(최적 노광량)는, 폴리머(I)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은, 약 5mJ/㎠∼50mJ/㎠이다.
또, 편광을 조사할 때에, 포토마스크를 사용하면, 광배향막에 2 이상이 다른 방향으로 패턴 형태로 액정 배향능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광배향막용 조성물을 도포, 건조한 후에, 그 위에 포토마스크를 씌우고 이방성을 갖는 광을 조사하여 노광 부분에게만 액정 배향능을 주고, 필요에 따라서, 방향을 바꾸고, 이를 여러 차례 반복하는 것으로, 복수 방향으로 패턴형태로 액정 배향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광조사의 후, 가열을 실시하면 가열 중합이 진행하여, 광, 열 등에 대해서 보다 높은 내구성의 광배향막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는, 중합이 진행하는데 충분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80∼250℃ 정도이며, 100∼200℃ 정도가 바람직하고, 120∼170℃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열 중합을 실시하는 경우는, 조성물 중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중합 개시제를 첨가해도 되고, 첨가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에 의해 형성되는 광배향막의 막 두께는, 약 10∼약 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0∼약 500㎚, 약 100∼약 200㎚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얻어지는 광배향막상에 액정성 화합물을 도포하여 가온하여 UV광을 조사하고, 다시 가열소성을 실시하는 것으로, 위상차막을 형성시킨다.
액정성 화합물로서는, 분자 중에 중합성기를 갖는 다관능 액정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액정성 에폭시 화합물, 액정성 옥세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 중, 다관능 액정성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다관능 액정성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식(IV)∼(V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식 IV)
Figure 112013017764047-pct00017
〔식 중, n은 1∼18의 정수, R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식 V)
Figure 112013017764047-pct00018
〔식 중, n은 1∼18의 정수,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 Z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수 1∼8의 알킬기이다.〕
(식 VI)
Figure 112013017764047-pct00019
〔식 중, n은 1∼18의 정수,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 Z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수 1∼8의 알킬기이다.〕
액정성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식(V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식 VII)
Figure 112013017764047-pct00020
(식 중, n은 1∼20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2∼15의 정수를 나타낸다.)
액정성 옥세탄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식(VI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식 VIII)
Figure 112013017764047-pct00021
〔식 중, n은 1∼18의 정수, Z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수 1∼8의 알킬기이다.〕
액정성 화합물을 도포한 후, 가온할 때의 온도로서는, 통상, 50∼100℃ 정도이며, 60∼90℃ 정도가 바람직하고, 65∼85℃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UV광의 조사는, 상기의 광배향막으로의 조사와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가열소성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고 그 온도는, 통상, 150∼300℃ 정도이며, 200∼250℃ 정도가 바람직하고, 210∼230℃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열소성시간은 0.5∼3시간 정도이며, 0.6∼2시간 정도가 바람직하고, 0.6∼1.5시간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위상차막에 대해, 그 막 두께는 용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0.1∼2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0∼5.0㎛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일반식 (I)은, 원료 모노머인 M1과 M2가 m:n의 몰비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M1과 M2가 반드시 교대로 결합하여 코폴리머를 구성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일반식 (1)은, M1과 M2를 m:n의 몰비로 중합시킨 코폴리머, 예를 들면, 교호형, 랜덤형, 그래프트형 등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 일반식 (I)에서, 모노머끼리를 연결하는 파선은, 통상은 단결합손이지만, M1과 M2의 중합시에, 다른 모노머도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이들 모노머가 상기 파선 부분에 들어가 존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원래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 폴리머의 합성
[실시예 1]
Figure 112013017764047-pct00022
폴리[1-[6-[4-[4-[(E)-2-메톡시카르보닐비닐]페녹시카르보닐]페녹시]헥실옥시카르보닐]-1-메틸에틸렌-CO-1-[6-[4-카르복시페녹시]헥실옥시카르보닐]-1-메틸에틸렌](M1: M2=90:10)(중합체 1)
4-[6-(2-메틸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안식향산4-[(E)-2-메톡시카르보닐비닐]페닐에스테르 5g(11 밀리몰), 4-[6-(2-메틸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안식향산 29.6g(96 밀리몰) 및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35g(2.1 밀리몰)을 시클로헥사논 196g에 용해했다. 이 용액에 질소를 1시간 통기하였다. 이어서, 80℃에서 가열하였다. 10시간 후 반응액을 냉각하여,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노말 헥산 346g에 실온에서 적하하였다. 분리한 중합체를 여취하여, 감압하, 50℃에서의 건조에 의해 중합체 1을 26g 얻었다.
<중량 평균 분자량(MW)의 측정>
상기에서 얻어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얻어진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30700이었다.
<산가의 측정>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즉, 100㎖삼각 플라스크에 THF 약 60 ㎖를 취하여, 페놀프탈레인을 지시약으로서 0.1mol/ℓ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였다.폴리머 약 1.5g를 정량 칭량하여, 상기 용액에 균일하게 용해, 교반하고, 0.1mol/ℓ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적정을 실시하여, 미적색이 약 30초간 사라지지 않는 점을 적정 종점으로 하였다.
다음 식에 따라, 산가를 산출하였다.
산가=(0.1×f×A×56.1/B)/(C/100)
A:적정량(㎖)
f: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역가
B:폴리머 조성물량(g)(폴리머를 포함한, 적정 종료후의 용액의 양)
C:폴리머 농도(%)(폴리머량/폴리머 조성물량×100)
상기에서 얻어진 폴리머의 산가는, 156mgKOH/g이었다.
<상전이 온도의 측정>
상기에서 얻어진 폴리머의 상전이 온도를, 시차주사 열량 측정(DSC)을 이용하여 측정한바, 160∼180℃이었다.
[실시예 2]
Figure 112013017764047-pct00023
폴리[1-[6-[4-[4-[(E)-2-메톡시카르보닐비닐]페녹시카르보닐]페녹시]헥실옥시카르보닐]-1-메틸에틸렌-CO-1-[6-[4-카르복시페녹시]헥실옥시카르보닐]-1-메틸에틸렌](M1 : M2=80:20)(중합체 2)
4-[6-(2-메틸아크릴로일옥시)헥실 옥시]안식향산 4-[(E)-2-메톡시카르보닐비닐]페닐에스테르의 사용량을 8g(17 밀리몰), 4-[6-(2-메틸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안식향산의 사용량을 21g(69 밀리몰),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의 사용량을 0.28g(1.7 밀리몰), 시클로헥사논의 사용량을 116g으로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고, 중합체 2를 24g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MW) 31700, 산가 130mgKOH/g, 상전이 온도 148∼173℃을 갖고 있었다.
[실시예 3]
Figure 112013017764047-pct00024
폴리[1-[6-[4-[4-[(E)-2-메톡시카르보닐비닐]페녹시카르보닐]페녹시]헥실옥시카르보닐]-1-메틸에틸렌-CO-1-[6-[4-카르보키시페녹시]헥실옥시카르보닐]-1-메틸에틸렌](M1 : M2=70:30)(중합체 3)
4-[6-(2-메틸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안식향산 4-[(E)-2-메톡시카르보닐비닐]페닐에스테르의 사용량을 10g(21 밀리몰), 4-[6-(2-메틸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안식향산의 사용량을 15.3g(50 밀리몰),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의 사용량을 0.23g(1.4 밀리몰), 시클로헥사논의 사용량을 101.2g 및 노말 헥산의 사용량을 253g으로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중합체 3을 24g 얻었다.
얻어진 폴리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MW) 33300, 산가는 110 mgKOH/g상전이 온도 155∼166℃을 갖고 있었다.
[실시예 4]
Figure 112013017764047-pct00025
폴리[1-[6-[4-[4-[(E)-2-메톡시카르보닐비닐]페녹시카르보닐]페녹시]헥실옥시시카르보닐]-1-메틸에틸렌-CO-1-[6-[3-플루오르-4-카르복시페녹시]헥실옥시카르보닐]-1-메틸에틸렌](M1:M2=81:19)(중합체 4)
4-[6-(2-메틸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안식향산 4-[(E)-2-메톡시카르보닐비닐]페닐에스테르 2g(4 밀리몰), 2-플루오르-4-[6-(2-메틸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안식향산 5.6g(17 밀리몰),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1g(0.6 밀리몰), 시클로헥사논 116g 및 노말헥산 76g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중합체 4를 5g 얻었다.
얻어진 폴리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MW) 48200, 산가는 132mgKOH/g, 상전이 온도 85∼120℃을 갖고 있었다.
[실시예 5]
Figure 112013017764047-pct00026
폴리[1-[6-[4-[(E)-2-[4-시아노페녹시]카르보닐비닐]페녹시]헥실옥시카르보닐]-1-메틸에틸렌-CO-1-[6-[4-카르복시페녹시]헥실옥시카르보닐]-1-메틸에틸렌](M1 : M2=80:20)(중합체 5)
4-[6-(2-메틸아크릴로일옥시) 헥실옥시]-(E)-계피산 4-시아노페닐에스테르(23 밀리몰), 4-[6-(2-메틸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안식향산 28g(92 밀리몰)를 이용하고,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의 사용량을 0.38g(2.3 밀리몰), 시클로헥사논의 사용량을 153g으로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중합체 5를 22g 얻었다.
얻어진 폴리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MW) 24800, 산가 135mgKOH/g, 상전이 온도 160∼180℃을 갖고 있었다.
[비교예 1]
폴리[1-[6-[4-[(E)-2-히드로키시카르보닐비닐]페녹시]헥실옥시카르보닐]-1-메틸에틸렌](중합체 6)
4-[6-(2-메틸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E)-계피산 20g(23 밀리몰)를 이용하고,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의 사용량을 0.2 g(1.2 밀리몰), 시클로헥사논의 사용량을 80g으로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중합체 6을 17g 얻었다.
얻어진 폴리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MW) 35000, 산가 169mgKOH/g, 상전이 온도 162∼197℃을 갖고 있었다.
[비교예 2]
폴리[1-[6-[4-[(E)-2-히드록시카르보닐비닐]페녹시]헥실옥시카르보닐]-1-메틸에틸렌-CO-1-[6-[4-카르복시페녹시]헥실옥시카르보닐]-1-메틸에틸렌](중합체 7) 4-[6-(2-메틸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E)-계피산 10g(30 밀리몰), 4-[6-(2-메틸아크릴로일옥시) 헥실옥시]안식향산 37g(120 밀리몰)를 이용하고, 2,2'-아조비스이소브티로니트릴의 사용량을 0.5g(3.0 밀리몰), 시클로헥사논의 사용량을 187g으로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중합체 7을 40g 얻었다.
얻어진 폴리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MW) 31000, 산가 178mgKOH/g상전이 온도 155∼182℃를 갖고 있었다.
[실시예 6]
Figure 112013017764047-pct00027
폴리[1-[6-[4-[(E)-2-[4-메톡시페녹시]카르보닐비닐]페녹시]헥실옥시르보닐-1-메틸에틸렌-CO-1-[6-[4-카르복시페녹시]헥실옥시카르보닐]-1-메틸에틸](M1: M2=80:20)(중합체 8)
4-[6-(2-메틸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E)-계피산4-메톡시페닐에스테르 10.0g(23 밀리몰), 4-[6-(2-메틸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안식향산 27.9g(91 밀리몰)를 이용하여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의 사용량을 0.5 g(3 밀리몰), 시클로헥사논의 사용량을 152g으로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중합체 8을 25g 얻었다.
얻어진 폴리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MW) 46000, 산가 135mgKOH/g, 상전이 온도 70∼146℃을 갖고 있었다.
[실시예 7]
Figure 112013017764047-pct00028
폴리[1-[6-[4-[4-메톡시페닐아조]페녹시]헥실옥시카르보닐]-1-메틸에틸렌-CO-1-[6-[4-카르복시페녹시]헥실옥시카르보닐]-1-메틸에틸렌](M1:M2=80:20)(중합체 9) 1-(4-메톡시페닐아조)-4-[6-(2-메틸 아크릴로 일 옥시) 헥실 옥시]벤젠 10.0g(25 밀리몰), 4-[6-(2-메틸아크릴로일옥시)헥실옥시]안식향산 30.9 g(100 밀리몰)를 이용하고, 2,2'-아조비스이소브티로니트릴의 사용량을 0.4g(3 밀리몰), 시클로헥사논의 사용량을 123g으로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중합체 9를 33g 얻었다.
얻어진 폴리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MW) 48000, 산가 138mgKOH/g, 상전이 온도 72∼148℃을 갖고 있었다.
2.광배향막용 조성물의 조제
중합체 1∼9를, 각각 시클로헥사논에 5중량%의 농도로 용해시키고, 광배향막용 조성물 1∼9로 하였다.
3. 광배향막의 제조
광배향막용 조성물 1을 유리 기판상에 스핀 코터를 이용하여 약 100㎚의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그 후, 80℃에서 건조시켜, 계속하여 직선 편광 UV광선을 40mJ/㎠ 조사하였다. 이어서, 150℃에서 10분간 가열처리를 실시하여, 배향을 야기 하여 광배향막 1을 제작하였다.
광배향막용 조성물 2를 이용하여 직선 편광 UV광선의 조사량을 30mJ/㎠, 그 후의 가열 처리 온도를 140℃로 하는 것 이외는 광배향막 1의 제조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광배향막 2를 제작하였다.
광배향막용 조성물 3을 이용하여 직선 편광 UV광선의 조사량을 20mJ/㎠, 그 후의 가열 처리 온도를 140℃로 하는 것 이외는 광배향막 1의 제조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광배향막 3을 제작하였다.
광배향막용 조성물 4를 이용하여 직선 편광 UV광선의 조사량을 30mJ/㎠, 그 후의 가열 처리 온도를 110℃로 하는 것 이외는 광배향막 1의 제조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광배향막 4를 제작하였다.
광배향막용 조성물 5를 이용하여 직선 편광 UV광선의 조사량을 5mJ/㎠, 그 후의 가열 처리 온도를 140℃로 하는 것 이외는 광배향막 1의 제조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광배향막 5를 제작하였다.
광배향막용 조성물 6을 유리 기판상에 스핀 코터를 이용하여 약 100㎚의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그 후, 120℃에서 건조시켜서 이어서 직선 편광 UV광선을 5mJ/㎠ 조사하였다. 이어서, 160℃에서 10분간 가열처리를 실시하여, 배향을 야기 시켜서 광배향막 6을 제작하였다.
광배향막용 조성물 7을 이용하여 직선 편광 UV광선의 조사량을 15mJ/㎠, 그 후의 가열 처리 온도를 150℃로 하는 것 이외는 광배향막 6의 제조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광배향막 7을 제작하였다.
광배향막용 조성물 8을 이용하여 직선 편광 UV광선의 조사량을 20mJ/㎠, 그 후의 가열 처리 온도를 130℃로 하는 것 이외는 광배향막 1의 제조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광배향막 8을 제작하였다.
광배향막용 조성물 9를 이용하여 직선 편광 UV광선의 조사량을 10mJ/㎠, 그 후의 가열 처리 온도를 130℃로 하는 것 이외는 광배향막 1의 제조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광배향막 9를 제작하였다.
4. 위상차막의 제조
하기 식(VI-a)으로 표시되는 2관능 액정성 아크릴레이트
Figure 112013017764047-pct00029
19중량%, 광중합 개시제(이르가큐아 907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1중량%,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80중량%로 위상차막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조제한 위상차막용 조성물을, 광배향막상 1에, 스핀 코터를 이용하여 약 2㎛의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그 후, 70℃에서 배향시키고, 계속하여 무편광 UV광선을 100mJ/㎠ 조사하였다. 이어서, 230℃에서 1시간, 가열소성을 실시하여 위상차막 1을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광배향막 2∼9 위에, 각각 위상차막 2∼9를 제작하였다.
5. 성능 평가
<폴리머의 용해성>
중합체 1∼7의 1, 5, 10, 20%에 있어서의 각종 용제에 대한 용해성을 육안으로 평가하고, 완전하게 용해한 것을 ○, 녹아 나머지가 있는 것을 △, 불용인 것을×로서 기록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가 의미하는 곳은, 이후의 표에서 동일하다).
Figure 112013017764047-pct00030
중합체 8 및 9의 1, 5, 10, 20%에 있어서의, 각종 용제에 대한 용해성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017764047-pct00031
중합체 1∼9의 1, 5, 10, 20%에 있어서의, 1-메톡시-2-프로판올에 대한 용해성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017764047-pct00032
<폴리머의 광감수성(편광 노광량)>
중합체 1∼7을 이용하여 제작한 광배향막의 최적 편광 노광량과 한계 편광 노광량에 대해, 제작한 광배향막상에 위상차막을 제작하고, 그 배향성으로부터 평가를 실시하였다. 가장 배향성이 높은 편광 노광량을 최적 편광 노광량으로 하고, 배향성이 저하하기 시작하는 노광량을 한계 편광 노광량으로 하여,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017764047-pct00033
중합체 8 및 9를 이용하여 제작한 광배향막의 최적 편광 노광량과 한계 편광 노광량에 대해, 제작한 광배향막상에 위상차막을 제작하고, 그 배향성으로부터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017764047-pct00034
중합체 1∼7을 이용하여 제작한 광배향막상으로의 위상차막의 제작시에, 그 소성공정의 전후에 있어서의 복굴절율의 유지율을 평가하였다. 복굴절율의 측정은, 편광 해석 장치 OPTIPRO(신텍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이후의 실험에 대해 동일하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017764047-pct00035
중합체 8 및 9 이용하여 제작한 광배향막상으로의 위상차막의 제작시에, 그 소성공정의 전후에 있어서의 복굴절율의 유지율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017764047-pct00036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 폴리머는, 이를 사용하는 광배향막 및 위상차막의 원료로서 유용하고, 또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광배향막 및 위상차막은, 각종 광학 부재로서 특히, 컴퓨터나 팩시밀리 등의 OA기기, 휴대 전화, 전자수첩, 액정 TV, 비디오 카메라 등의 액정표시장치의 광학 소자로서 유용하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일반식 (I-a)
    Figure 112013017764047-pct00041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알킬기, 또는 알킬기, 알콕시기, 시아노기 및 할로겐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기로 치환된 페닐기이며, X1A∼X4A의 각각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이며, 고리 B는,
    Figure 112013017764047-pct00042

    〔단, X1B∼X4B 및 X31B∼X38B의 각각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이다.〕
    로 표시되는 기이며, p 및 q는 각각 독립하여 1∼12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며, m 및 n은, 0.65≤m≤0.95, 0.05≤n≤0.35, m+n=1의 관계를 만족하는 공중합체에 차지하는 각 모노머의 몰분율이다.〕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 폴리머.
  4. 일반식 (I-b)
    Figure 112017103844406-pct00043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알킬기, 또는 알킬기, 알콕시기, 시아노기 및 할로겐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기로 치환된 페닐기이며, X1A∼X4A 및 X31B∼X38B의 각각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이며, p 및 q는 각각 독립하여, 1∼12중 어느 하나의 정수이며, m 및 n은, 0.65≤m≤0.95, 0.05≤n≤0.35, m+n=1의 관계를 만족하는 공중합체에 차지하는 각 모노머의 몰분율이다.〕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 폴리머.
  5. 일반식 (I-c)
    Figure 112017103844406-pct00044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알킬기, 또는 알킬기, 알콕시기, 시아노기 및 할로겐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기로 치환된 페닐기이며, X1A∼X4A 및 X1B∼X4B의 각각은 각각 독립하여, 수소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이며, Z는-CH=CHCOO-(트랜스체)로 나타나는 기이며, p 및 q는 각각 독립하여 1∼12중 어느 하나의정수이며, m 및 n은, 0.65≤m≤0.95, 0.05≤n≤0.35, m+n=1의 관계를 만족하는 공중합체에 차지하는 각 모노머의 몰분율이다.〕
    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 폴리머.
  6. 청구항 3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 폴리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광배향막용 조성물.
  7. 청구항 6에 기재된 광배향막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막에, 이방성을 갖는 광을 조사하고, 다시 이를 가열하여 액정 배향능을 발생시킨 광배향막.
  8. 청구항 7에 기재된 광배향막상에 액정성 화합물을 배향시킨 위상차막.




KR1020137005123A 2010-07-28 2011-07-27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폴리머, 광배향막 및 위상차막 KR1018335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69808 2010-07-28
JPJP-P-2010-169808 2010-07-28
PCT/JP2011/067037 WO2012014915A1 (ja) 2010-07-28 2011-07-27 共重合性(メタ)アクリル酸ポリマー、光配向膜及び位相差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362A Division KR101861502B1 (ko) 2010-07-28 2011-07-27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폴리머, 광배향막 및 위상차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249A KR20130096249A (ko) 2013-08-29
KR101833572B1 true KR101833572B1 (ko) 2018-02-28

Family

ID=455301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362A KR101861502B1 (ko) 2010-07-28 2011-07-27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폴리머, 광배향막 및 위상차막
KR1020137005123A KR101833572B1 (ko) 2010-07-28 2011-07-27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폴리머, 광배향막 및 위상차막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362A KR101861502B1 (ko) 2010-07-28 2011-07-27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폴리머, 광배향막 및 위상차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5843772B2 (ko)
KR (2) KR101861502B1 (ko)
TW (1) TWI495648B (ko)
WO (1) WO20120149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4323B2 (ja) * 2011-02-23 2015-09-24 大阪有機化学工業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用組成物
WO2012165550A1 (ja) * 2011-05-31 2012-12-06 Dic株式会社 桂皮酸誘導体およびその重合体、ならびにその硬化物からなる液晶配向層
JP6150731B2 (ja) * 2011-11-29 2017-06-21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液晶配向膜の製造方法
CN104937480B (zh) * 2012-07-24 2018-01-16 日产化学工业株式会社 液晶取向膜的制造方法、液晶取向膜、液晶显示元件、聚合物以及液晶取向剂
KR101515527B1 (ko) 2012-08-21 2015-04-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이방성 필름
KR101592430B1 (ko) * 2012-08-27 2016-02-05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배향성 공중합체, 이를 이용한 광학 이방성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903785B (zh) * 2012-10-05 2017-08-15 日产化学工业株式会社 具有水平电场驱动型液晶显示元件用液晶取向膜的基板的制造方法
JP6369942B2 (ja) * 2012-11-14 2018-08-08 日産化学株式会社 光反応性組成物、それを用いた光配向膜、及び光学異方性膜
KR20140101291A (ko) * 2013-02-08 2014-08-19 제이엔씨 주식회사 감광성 폴리머 및 광 배향성 위상차 필름
JP2014206715A (ja) * 2013-03-19 2014-10-30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横電界駆動型液晶表示素子用液晶配向膜を有する基板の製造方法
KR20150143571A (ko) * 2013-04-11 2015-12-23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
WO2014185411A1 (ja) * 2013-05-13 2014-11-20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横電界駆動型液晶表示素子用液晶配向膜を有する基板の製造方法
JPWO2014185410A1 (ja) * 2013-05-13 2017-02-23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横電界駆動型液晶表示素子用液晶配向膜を有する基板の製造方法
WO2014185413A1 (ja) * 2013-05-13 2014-11-20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横電界駆動型液晶表示素子用液晶配向膜を有する基板の製造方法
KR102214302B1 (ko) * 2013-05-13 2021-02-08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횡전계 구동형 액정 표시 소자용 액정 배향막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CN105431770B (zh) * 2013-05-31 2021-06-04 日产化学工业株式会社 具有横向电场驱动型液晶表示元件用液晶取向膜的基板的制造方法
KR102244413B1 (ko) * 2013-06-05 2021-04-23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횡전계 구동형 액정 표시 소자용 액정 배향막을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248600B1 (ko) * 2013-10-04 2021-05-06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중합성 액정 화합물, 액정성 중합체, 액정성 조성물 및 단층 도포형 수평 배향 필름
US20170205669A1 (en) * 2014-05-23 2017-07-20 Dic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and oriented material used in same
KR102145981B1 (ko) * 2014-10-31 2020-08-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배향막용 화합물, 배향막, 배향막의 제조 방법 및 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6618043B2 (ja) * 2014-11-12 2019-12-11 日産化学株式会社 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及び液晶表示素子
JP6725883B2 (ja) * 2015-03-11 2020-07-22 日産化学株式会社 硬化膜形成組成物、配向材および位相差材
JP6672815B2 (ja) * 2015-04-14 2020-03-25 Jsr株式会社 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及び液晶素子
JP2018109788A (ja) * 2018-03-16 2018-07-12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横電界駆動型液晶表示素子用液晶配向膜を有する基板の製造方法
TWI747133B (zh) * 2019-01-09 2021-11-2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製造光學非等向膜之方法
TW202204451A (zh) * 2020-06-15 2022-02-01 日商大阪有機化學工業股份有限公司 新穎聚合物和使用此之光配向膜及相位差膜
KR20230067726A (ko) 2021-11-08 2023-05-17 주식회사 클랩 광배향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액정 광배향제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707B1 (ko) 1995-09-15 2005-04-06 롤리크 아게 가교결합성,광활성중합체물질
JP2005234550A (ja) 2004-01-22 2005-09-02 Dainippon Printing Co Ltd 液晶表示素子
JP2006259129A (ja) 2005-03-16 2006-09-28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補償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光学補償シート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1878B2 (ja) * 1994-01-14 2003-12-0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補償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素子
JP2990270B2 (ja) * 1997-09-24 1999-12-13 工業技術院長 配向樹脂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配向樹脂膜を用いた光学素子
JP3163539B2 (ja) * 1998-05-11 2001-05-08 工業技術院長 液晶性配向膜、液晶性配向膜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素子
JP4640540B2 (ja) * 2000-09-19 2011-03-02 林テレンプ株式会社 配向膜の製造方法
JP4537718B2 (ja) * 2004-01-22 2010-09-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JP2006098800A (ja) * 2004-09-29 2006-04-13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補償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549833B2 (ja) * 2004-12-13 2010-09-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配向膜及びその製造技術、並びに液晶装置
JP2007131707A (ja) * 2005-11-09 2007-05-31 Nitto Denko Corp アゾ官能基を含む共重合体
JP4935982B2 (ja) * 2005-11-10 2012-05-23 Dic株式会社 光配向膜用組成物、光学異方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7582078B2 (en) * 2006-02-14 2009-09-0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 employing liquid crystal block copolymer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8089894A (ja) * 2006-09-29 2008-04-17 Dainippon Printing Co Ltd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075483B2 (ja) * 2007-04-27 2012-11-21 林テレンプ株式会社 高分子フィルム、分子配向素子の作製方法、および液晶配向膜
CN102066454B (zh) * 2008-06-13 2013-08-07 大阪有机化学工业株式会社 光线各向异性薄膜材料及光线各向异性薄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707B1 (ko) 1995-09-15 2005-04-06 롤리크 아게 가교결합성,광활성중합체물질
JP2005234550A (ja) 2004-01-22 2005-09-02 Dainippon Printing Co Ltd 液晶表示素子
JP2006259129A (ja) 2005-03-16 2006-09-28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補償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光学補償シート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Mater. Chem., 2008, 18, 63-6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72751A (ja) 2015-10-01
KR20130096249A (ko) 2013-08-29
WO2012014915A1 (ja) 2012-02-02
KR101861502B1 (ko) 2018-05-25
TW201206964A (en) 2012-02-16
KR20170120721A (ko) 2017-10-31
TWI495648B (zh) 2015-08-11
JP5843772B2 (ja) 2016-01-13
JP5963903B2 (ja) 2016-08-03
JPWO2012014915A1 (ja)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3572B1 (ko) 공중합성 (메타)아크릴산폴리머, 광배향막 및 위상차막
TWI570450B (zh) An optical film,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JP6250324B2 (ja) 光配向膜用組成物および新規重合体
JP6425021B2 (ja) 硬化膜を形成したフィルム、配向材および位相差材
JP5898404B2 (ja) 光配向膜用及び光学異方性フィルム用組成物
KR101888220B1 (ko) 위상차이 필름의 제조 방법
JP2015165302A (ja) 長尺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5114864A1 (ja) 光反応性液晶組成物、表示素子、光学素子、表示素子の製造方法、光学素子の製造方法
CN110720064B (zh) 聚合性液晶组合物及相位差板
KR20220048487A (ko)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 소자
JP2021140186A (ja) 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および液晶表示素子
CN112368143B (zh) 层叠体
CN113614181A (zh) 聚合物组合物和单层相位差材料
KR20210148158A (ko) 중합체 조성물 및 단층 위상차재
JP2015172756A (ja)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026139B2 (ja) 光配向膜用及び光学異方性フィルム用組成物
JP6794257B2 (ja) 液晶配向剤、液晶配向膜および液晶表示素子
JP5432555B2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表示装置
WO2021256428A1 (ja) 新規重合体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光配向膜および位相差膜
WO2020203632A1 (ja) 重合体組成物及び単層位相差材
JP2011007835A (ja) 光学フィルムとそれを備える画像表示装置ならびに新規重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