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543B1 - 복실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복실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543B1
KR101832543B1 KR1020137025144A KR20137025144A KR101832543B1 KR 101832543 B1 KR101832543 B1 KR 101832543B1 KR 1020137025144 A KR1020137025144 A KR 1020137025144A KR 20137025144 A KR20137025144 A KR 20137025144A KR 101832543 B1 KR101832543 B1 KR 101832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ntainer
chamber
forming portion
medic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5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6969A (ko
Inventor
미노루 혼다
Original Assignee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6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3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 products to be m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6Making non-permanent or releasabl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04Preventing sticking together, e.g. of some areas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47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using particular temperature distributions or gradients; using particular heat distributions or gradients
    • B29C66/3472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using particular temperature distributions or gradients; using particular heat distributions or gradients in the plane of the joint, e.g. along the joint line in the plane of the joint or perpendicular to the joint line in the plane of the j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3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 B29C66/532Joining single elements to the wall of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 B29C66/5326Joining single elements to the wall of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said single elements being substantially flat
    • B29C66/53261Enclosing tubular articles between substantially flat elements
    • B29C66/53262Enclosing spouts between the walls of bags, e.g. of medical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 B29C66/723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comprising a non-plastics layer
    • B29C66/7232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comprising a non-plastics layer consisting of metals or their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 B29C66/7234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comprising a barri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4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 B29C66/9141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parts to be joined, e.g. the joining process taking the temperature of the parts to be joined into accou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16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of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24Separating means having peelable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2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9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48Blood bags, medical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약시일부 (30) 에 의해 분리된 약제 수용실 (61) 및 약액 수용실 (62) 을 포함하는 복실 용기 (100) 의 제조 방법으로서, 일변 (11A, 12A) 끼리가 접합된 제 1 약제 수용실 형성부 (11) 및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 (12) 를 포함하는 제 1 시트상 부재 (10), 그리고 일변 (21A, 22A) 끼리가 접합된 제 2 약제 수용실 형성부 (21) 및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 (22) 를 포함하는 제 2 시트상 부재 (20) 를 준비하는 공정과, 제 1 시트상 부재 (10) 및 제 2 시트상 부재 (20) 를 접합함으로써 약제 수용실 (61) 및 약액 수용실 (62) 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약시일부 (30) 는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 (12) 의 일변 (12A) 및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 (22) 의 일변 (22A) 끼리가 접합됨으로써 형성된다.

Description

복실 용기 및 그 제조 방법{DOUBLE-CHAMBER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복실 (複室)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제와 분말 제제 또는 고형 제제 등의 건조 약제를 별개로 수용해 두고, 사용시에 액제와 건조 약제를 혼합할 수 있는 복실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실 용기는 의료 현장에서 사용된다. 복실 용기는 사용시에 연통 가능한 칸막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복실 용기의 보관시에는 칸막이 수단에 의해 약제 수용실과 약액 수용실이 서로 분리되어 있다.
복실 용기의 사용시에는 약제 수용실과 약액 수용실이 서로 연통된다. 약제 수용실에 수용되어 있던 건조 약제와, 약액 수용실에 수용되어 있던 약액은 혼합된다. 건조 약제 및 약액은 혼합약으로서 환자 등에게 투여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8-215285호 (특허문헌 1)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8-257102호 (특허문헌 2) 에는, 약제 수용실과 약액 수용실을 따로따로 멸균할 수 있고, 제조에 수고를 필요로 하지 않는 복실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4-364850호 (특허문헌 3)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4-364851호 (특허문헌 4) 에는, 액제, 분말제 혹은 고형제를 보존할 때, 흡습성을 갖는 액제, 분말제 혹은 고형제에만 건조제를 작용시킬 수 있는 복실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6165161호 명세서 (특허문헌 5) 에는, 이물질의 혼입없이 IV 용액을 충전할 수 있는 포트를 구비한 복실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8-21528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8-25710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4-36485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4-364851호 미국 특허 제6165161호 명세서
본 발명은, 보다 저렴하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복실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기초하는 복실 용기의 제조 방법은, 약 (弱) 시일부에 의해 서로 분리된 약제 수용실 및 약액 수용실을 포함하는 복실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일변끼리가 접합된 제 1 약제 수용실 형성부 및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를 포함하는 제 1 시트상 부재, 그리고 일변끼리가 접합된 제 2 약제 수용실 형성부 및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를 포함하는 제 2 시트상 부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시트상 부재 및 상기 제 2 시트상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상기 약제 수용실 및 상기 약액 수용실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약제 수용실 형성부의 타변 및 상기 제 2 약제 수용실 형성부의 타변끼리가 접합됨으로써 상기 약제 수용실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의 타변 및 상기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의 타변끼리가 접합됨으로써 상기 약액 수용실이 형성되고, 상기 약시일부는, 상기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의 상기 일변 및 상기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의 상기 일변끼리가 접합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제 1 시트상 부재 및 상기 제 2 시트상 부재가 상기 약시일부에 있어서 서로 박리됨으로써, 상기 약액 수용실 및 상기 약제 수용실이 서로 연통된다.
본 발명에 기초하는 복실 용기는, 약시일부에 의해 서로 분리된 약제 수용실 및 약액 수용실을 포함하는 복실 용기로서, 일변끼리가 접합된 제 1 약제 수용실 형성부 및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를 포함하는 제 1 시트상 부재와, 일변끼리가 접합된 제 2 약제 수용실 형성부 및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트상 부재에 접합되는 제 2 시트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약제 수용실 형성부의 타변 및 상기 제 2 약제 수용실 형성부의 타변끼리가 접합됨으로써 상기 약제 수용실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의 타변 및 상기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의 타변끼리가 접합됨으로써 상기 약액 수용실이 형성되고, 상기 약시일부는, 상기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의 상기 일변 및 상기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의 상기 일변끼리가 접합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제 1 시트상 부재 및 상기 제 2 시트상 부재가 상기 약시일부에 있어서 서로 박리됨으로써, 상기 약액 수용실 및 상기 약제 수용실이 서로 연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저렴하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복실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얻을 수 있다.
도 1 은 비교예 1 에 있어서의 복실 용기의 제조 방법의 제 1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비교예 1 에 있어서의 복실 용기의 제조 방법의 제 2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비교예 2 에 있어서의 복실 용기의 제조 방법의 제 1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비교예 2 에 있어서의 복실 용기의 제조 방법의 제 2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비교예 2 에 있어서의 복실 용기의 제조 방법의 제 2 공정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실 용기의 제조 방법의 제 1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실 용기의 제조 방법의 제 1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중의 VIII 선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실 용기의 제조 방법의 제 2 공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중의 X-X 선을 따른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 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실 용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복실 용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비교예]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도 1 ∼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비교예 1, 2 에 대해 설명한다. 각 비교예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부품, 상당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비교예 1]
도 1 은 본 비교예에 있어서의 복실 용기 (100Y) (도 2 참조) 의 제조 방법의 제 1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제 1 용기 (110) 및 제 2 용기 (120) 가 접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복실 용기 (100Y) 의 제조 방법의 제 2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제 1 용기 (110) 및 제 2 용기 (120) 가 접합되어 복실 용기 (100Y) 가 얻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복실 용기 (100Y) 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8-215285호 (특허문헌 1)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8-257102호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복실 용기와 유사하다.
도 1 을 참조하여, 복실 용기 (100Y) (도 2 참조) 의 제조 방법의 제 1 공정에 있어서는 제 1 용기 (110) 및 제 2 용기 (120) 가 준비된다.
(제 1 용기 (110))
제 1 용기 (110) 는 이면측 시트 (112), 전면측 시트 (122) 및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1) 를 구비한다.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1) 는 이면측 시트 (112) 및 전면측 시트 (122) 중에 소정의 길이만큼 매몰되도록 배치된다.
이면측 시트 (112) 및 전면측 시트 (122) 가 서로 중첩되어 있는 부분의 둘레 가장자리는 띠상으로 용착된다. 이면측 시트 (112) 의 일변 (112A) 측과 전면측 시트 (122) 의 일변 (122A) 과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1) 가 중첩되어 있는 부분도, 동일하게 띠상으로 용착된다.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1) 와 이면측 시트 (112) 및 전면측 시트 (122) 의 용착 부분, 그리고 이면측 시트 (112) 및 전면측 시트 (122) 와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1) 가 중첩되어 있는 부분의 외측의 용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 (매립 형성되어 있는 부분) 이, 약시일부 (133) 를 형성한다.
상기 용착에 의해 주머니상으로 형성된 제 1 용기 (110) 는 방사선 또는 EOG (Ethylene Oxide Gas) 등에 의해 멸균 처리된다. 제 1 용기 (110) 에 형성된 개구 부분 (도시 생략) 부터 제 1 용기 (110) 내부에 건조 약제 (도시 생략) 가 충전된 후, 당해 개구 부분이 용착된다. 당해 용착에 의해, 약제 수용실 (161) 이 제 1 용기 (110) 의 내부에 형성된다.
이면측 시트 (112) 는 알루미늄박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구성된다. 알루미늄박 라미네이트 필름은 최외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층으로 구성되고, 최내층이 폴리에틸렌 (PE) 층으로 구성된다. PET 층 및 PE 층 사이에 알루미늄박이 끼인다 (PE 층/알루미늄박/PET 층).
전면측 시트 (122) 는 실리카 (SiO2) 증착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구성된다. 실리카 증착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은, 예를 들어 최외층이 PE 층 및 폴리프로필렌 (PP) 층의 코폴리머층으로 구성되고, 최내층이 PE 층으로 구성된다. PE 층 및 PP 층의 코폴리머층과 PE 층 사이에 PET 층이 끼인다 (PE+PP 층/SiO2 증착 PET 층/PE 층).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1) 는 이면측 시트 (112) 의 최내층 (PE 층) 및 전면측 시트 (122) 의 최내층 (PE 층) 에 대해 용착 강도가 작은 (약접착하는) 수지로 구성된다.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1) 를 구성하는 수지는, 폴리에틸렌과 폴리에틸렌에 대해 상용성을 가지지 않는 수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의 폴리머 블렌드이다.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 비율은 3:7 ∼ 7:3 정도이다.
(제 2 용기 (120))
제 2 용기 (120) 는 이면측 시트 (111), 전면측 시트 (121),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2) 및 포트 (150) 를 구비한다.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2) 는 이면측 시트 (111) 및 전면측 시트 (121) 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포트 (150) 도, 이면측 시트 (111) 및 전면측 시트 (121) 로부터 돌출되도록,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2) 와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이면측 시트 (111) 및 전면측 시트 (121) 가 중첩되어 있는 부분의 둘레 가장자리는 띠상으로 용착된다. 이면측 시트 (111) 의 일변 (111A) 측과 전면측 시트 (121) 의 일변 (121A) 과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2) 가 중첩되어 있는 부분도, 동일하게 띠상으로 용착된다. 이면측 시트 (111), 전면측 시트 (121) 및 포트 (150) 도 동일하게 용착된다.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2) 와 이면측 시트 (111) 및 전면측 시트 (121) 의 용착 부분, 그리고 이면측 시트 (111) 및 전면측 시트 (121) 와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2) 가 중첩되어 있는 부분의 외측의 용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 (돌출되어 있는 부분) 이 약시일부 (134) 를 형성한다.
포트 (150) 로부터 제 2 용기 (120) 내부에 약액 (도시 생략) 이 충전된 후, 당해 포트 (150) 에 뚜껑체 (152) 가 장착된다. 뚜껑체 (152) 의 장착에 의해, 약액 수용실 (162) 이 제 2 용기 (120) 의 내부에 형성된다. 그 후, 제 2 용기 (120) 는 고압 증기에 의해 멸균 처리된다.
(제 1 용기 (110) 및 제 2 용기 (120) 의 접합)
제 1 용기 (110) 및 제 2 용기 (120) 가 준비된 후, 제 1 용기 (110) 및 제 2 용기 (120) 는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1) 및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2) 가 마주 보도록 배치된다. 제 2 용기 (120) 의 약시일부 (134) 가, 제 1 용기 (110) 에 있어서의 이면측 시트 (112) 의 일변 (112A) 및 전면측 시트 (122) 의 일변 (122A)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용기 (110) 에 있어서의 이면측 시트 (112) 의 일변 (112A) 과 제 2 용기 (120) 에 있어서의 이면측 시트 (111) 의 일변 (111A) 은, 비교적 고온의 열이 부여됨으로써 강고하게 용착된다. 동일하게, 제 1 용기 (110) 에 있어서의 전면측 시트 (122) 의 일변 (122A) 과 제 2 용기 (120) 에 있어서의 전면측 시트 (121) 의 일변 (121A) 은, 비교적 고온의 열이 부여됨으로써 강고하게 용착된다.
제 1 용기 (110) 의 일변 (112A) 과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2) 는, 상기 서술한 각각의 재질 특성으로부터 약용착된다. 동일하게, 제 1 용기 (110) 의 일변 (122A) 과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2) 는, 상기 서술한 각각의 재질 특성으로부터 약용착된다.
도 2 를 참조하여, 제 1 용기 (110) 및 제 2 용기 (120) 가 상기와 같이 접합됨으로써, 복실 용기 (100Y) 가 얻어진다. 약시일부 (133) 및 약시일부 (134) 에 의해, 복실 용기 (100Y) 에 있어서의 약시일부 (130) 가 형성된다. 복실 용기 (100Y) 에 있어서는, 건조 약제 (도시 생략) 가 수용된 약제 수용실 (161) 및 약액 (도시 생략) 이 수용된 약액 수용실 (162) 이, 약시일부 (130) 에 의해 서로 액밀 (液密) 상으로 분리된다.
복실 용기 (100Y) 의 사용시에는 약액 수용실 (162) 가 압박된다. 약시일부 (130) (약시일부 (133)) 에 있어서, 이면측 시트 (112) 의 일변 (112A) (도 1 참조) 과 전면측 시트 (122) 의 일변 (122A) (도 1 참조) 이 박리된다. 약시일부 (130) (약시일부 (134)) 에 있어서, 이면측 시트 (111) 의 일변 (111A) (도 1 참조) 과 전면측 시트 (121) 의 일변 (121A) (도 1 참조) 이 박리된다. 약제 수용실 (161) 및 약액 수용실 (162) 이 서로 연통된다.
약제 수용실 (161) 에 수용되어 있던 건조 약제와 약액 수용실 (162) 에 수용되고 있던 약액은 혼합된다. 건조 약제 및 약액은 혼합약으로서 복실 용기 (100Y) 로부터 환자 등에게 투여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본 비교예에 있어서의 복실 용기 (100Y) 를 개량하여, 복실 용기 (100Y) 보다 저렴한 복실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복실 용기 (100Y) 에 있어서,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1) 및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2) 를 형성하지 않는다는 양태를 생각할 수 있다. 당해 양태에 대하여, 이하,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비교예 2 로서 설명한다.
[비교예 2]
도 3 은 본 비교예에 있어서의 복실 용기 (100Z) (도 4 참조) 의 제조 방법의 제 1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제 1 용기 (110A) 및 제 2 용기 (120A) 가 접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복실 용기 (100Z) 의 제조 방법의 제 2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제 1 용기 (110A) 및 제 2 용기 (120A) 가 접합되어 복실 용기 (100Z) 가 얻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을 참조하여, 본 비교예에 있어서의 복실 용기 (100Z) (도 3 참조) 의 제조 방법의 제 1 공정에 있어서는, 제 1 용기 (110A) 및 제 2 용기 (120A) 가 준비된다.
제 1 용기 (110A) 는 상기 서술한 비교예 1 (도 1 참조) 에 있어서의 제 1 용기 (110) 와는 달리,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1) 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제 2 용기 (120A) 도, 상기 서술한 비교예 1 (도 1 참조) 에 있어서의 제 2 용기 (120) 와는 달리,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2) 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제 1 용기 (110A) 는 이면측 시트 (112) 의 일변 (112A) 과 전면측 시트 (122) 의 일변 (122A) 이 떨어진 상태로 준비된다. 제 2 용기 (120A) 는 이면측 시트 (111) 의 일변 (111A) 과 전면측 시트 (121) 의 일변 (121A) 이 약용착된 상태로 준비된다. 이면측 시트 (111) 의 일변 (111A) 과 전면측 시트 (121) 의 일변 (121A) 이 용착된 부분에 있어서, 약시일부 (135) 가 형성된다.
(제 1 용기 (110A) 및 제 2 용기 (120A) 의 접합)
제 1 용기 (110A) 및 제 2 용기 (120A) 가 준비된 후, 제 1 용기 (110A) 에 있어서의 이면측 시트 (112) 의 일변 (112A) 과 제 2 용기 (120A) 에 있어서의 이면측 시트 (111) 의 일변 (111A) 이 열용착된다. 동일하게, 제 1 용기 (110A) 에 있어서의 전면측 시트 (122) 의 일변 (122A) 과 제 2 용기 (120A) 에 있어서의 전면측 시트 (121) 의 일변 (121A) 이 열용착된다.
도 4 를 참조하여, 이면측 시트 (112) 의 일변 (112A) 과 이면측 시트 (111) 의 일변 (111A) 의 용착에 의해, 이들 사이에 용착부 (136) 가 형성된다. 전면측 시트 (122) 의 일변 (122A) 과 전면측 시트 (121) 의 일변 (121A) 의 용착에 의해, 이들 사이에 용착부 (137) 가 형성된다.
여기서, 복실 용기 (100Z) 의 사용시에는 약액 수용실 (162) 가 압박된다. 이 때, 약제 수용실 (161) 및 약액 수용실 (162) 의 연통을 위해서는, 약시일부 (135) 에 있어서, 이면측 시트 (111) 의 일변 (111A) 과 전면측 시트 (121) 의 일변 (121A) 이 박리될 필요가 있다. 한편, 이면측 시트 (112) 의 일변 (112A) 과 이면측 시트 (111) 의 일변 (111A) 은, 누설액을 방지하기 위해, 용착부 (136) 에 있어서 강고하게 용착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동일하게, 전면측 시트 (122) 의 일변 (122A) 과 전면측 시트 (121) 의 일변 (121A) 은, 누설액을 방지하기 위해, 용착부 (137) 에 있어서 강고하게 용착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각 용착부 (136, 137) 에 있어서 강고한 용착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각 용착부 (136, 137) 의 면적을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면측 시트 (112) 의 일변 (112A) 과 이면측 시트 (111) 의 일변 (111A) 의 접촉 면적 및 전면측 시트 (122) 의 일변 (122A) 과 전면측 시트 (121) 의 일변 (121A) 의 접촉 면적을 넓게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들의 접촉 면적을 확대시키면서 제 1 용기 (110A) 및 제 2 용기 (120A) 를 접합하고자 하면, 이면측 시트 (111) 의 일변 (111A) 및 전면측 시트 (121) 의 일변 (121A) 은 제 1 용기 (110A) 의 약제 수용실 (161) 의 내부에 비집고 들어가기 쉬워진다. 이면측 시트 (112) 의 일변 (112A) 과 이면측 시트 (111) 의 일변 (111A) 사이에는 홈 (140) 이 형성된다. 전면측 시트 (122) 의 일변 (122A) 과 전면측 시트 (121) 의 일변 (121A) 사이에는 홈 (141) 이 형성된다.
홈 (140, 141) 이 형성되면, 홈 (140, 141) 의 내부에 건조 약제가 비집고 들어간다. 복실 용기 (100Z) 의 사용시에 있어서, 홈 (140, 141) 의 내부에 있어서 건조 약제가 녹아 남는다. 본 비교예에 있어서의 복실 용기 (100Z) 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복실 용기 (100Z) 는, 사용시에 있어서 건조 약제 전부가 적절히 투여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도 5 를 참조하여, 홈 (140, 141) (도 4 참조) 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면측 시트 (111) 의 일변 (111A) 의 선단 극한까지 이면측 시트 (112)를 용착하고, 또한, 전면측 시트 (121) 의 일변 (121A) 의 선단 극한까지 전면측 시트 (122) 를 용착시키는 것이 생각된다. 이 경우, 이면측 시트 (111) 의 일변 (111A) 및 전면측 시트 (121) 의 일변 (121A) 이 존재하고 있는 부분을 초과하여, 이면측 시트 (112) 와 전면측 시트 (122) 가 서로 접촉되어, 이들이 강용착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들이 강용착된 경우, 약제 수용실 (161) 과 약액 수용실 (162) 은, 사용시에 있어서 적절히 연통되기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실시형태]
본 발명에 기초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개수, 양 등에 대해서 언급하는 경우, 특별히 기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반드시 그 개수, 양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부품, 상당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도 6 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실 용기 (100) (도 9 참조) 의 제조 방법의 제 1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로, 제 1 시트상 부재 (10) 및 제 2 시트상 부재 (20) 가 접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실 용기 (100) (도 9 참조) 의 제조 방법의 제 1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도 6 과 마찬가지로, 제 1 시트상 부재 (10) 및 제 2 시트상 부재 (20) 가 접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 은 도 7 중의 VIII 선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는 복실 용기 (100) 의 제조 방법의 제 2 공정을 나타내는 평면도로, 제 1 시트상 부재 (10) 및 제 2 시트상 부재 (20) 가 접합되어 복실 용기 (100) 가 얻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 은 도 9 중에 있어서의 X-X 선을 따른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실 용기 (100) (도 9 참조) 의 제조 방법의 제 1 공정에 있어서는 제 1 시트상 부재 (10), 제 2 시트상 부재 (20), 포트 (50) 및 커버 시트 (52) 가 준비된다.
(제 1 시트상 부재 (10))
제 1 시트상 부재 (10) 는 제 1 약제 수용실 형성부 (11) 및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 (12) 를 포함한다.
제 1 약제 수용실 형성부 (11) 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변 (11A) 및 타변 (11B ∼ 11D) 을 갖는다.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 (12) 도,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변 (12A) 및 타변 (12B ∼ 12D) 을 갖는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약제 수용실 형성부 (11) 는 LDPE 층 (11P) (Low Density Polyethylene 층), 실리카 증착 PET 층 (11Q), PET 층 (11R) 및 L-LDPE 층 (11S) (Linear-Low Density Polyethylene 층) 이 순차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LDPE 층 (11P) 이 최내층측에 위치하고, L-LDPE 층 (11S) 이 최외층측에 위치한다.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 (12) 는, PE 와 PP 의 블렌드층, PE 층 및 PE 층이 순차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자세한 것은 도시 생략). 최내층의 PP 층은 후술하는 제 2 시트상 부재 (20) 의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 (22) 에 대해 적정한 약시일 강도를 형성 및 유지한다. 중간층으로서의 PP 층은 유연성 및 투명성을 갖는다. 최외층으로서의 PE 층은 제 1 약제 수용실 형성부 (11) 의 LDPE 층 (11P) 과 용착된다.
도 6 및 도 7 을 다시 참조하여, 제 1 약제 수용실 형성부 (11) 및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 (12) 는 제 1 약제 수용실 형성부 (11) 의 일변 (11A) 및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 (12) 의 일변 (12A) 끼리가 서로 띠상으로 접합된다.
(제 2 시트상 부재 (20))
제 2 시트상 부재 (20) 는 제 2 약제 수용실 형성부 (21) 및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 (22) 를 포함한다.
제 2 약제 수용실 형성부 (21) 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변 (21A) 및 타변 (21B ∼ 21D) 을 갖는다.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 (22) 도,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변 (22A) 및 타변 (22B ∼ 22D) 을 갖는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약제 수용실 형성부 (21) 는 LDPE 층 (21P), 알루미늄 시트층 (21Q), 및 PET 층 (21R) 이 순차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LDPE 층 (21P) 이 최내층측에 위치하고, PET 층 (21R) 이 최외층측에 위치한다.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 (22) 는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 (12) 와 마찬가지로, PE 와 PP 의 블렌드층, PE 층 및 PE 층이 순차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자세한 것은 도시 생략). 최내층의 PE 와 PP 의 블렌드층은 제 1 시트상 부재 (10) 의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 (12) 에 대해 적정한 약시일 강도를 형성 및 유지한다. 중간층으로서의 PE 층은 유연성 및 투명성을 갖는다. 최외층으로서의 PE 층은 제 2 약제 수용실 형성부 (21) 의 LDPE 층 (21P) 과 용착된다.
도 6 및 도 7 을 다시 참조하여, 제 2 약제 수용실 형성부 (21) 및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 (22) 는 제 2 약제 수용실 형성부 (21) 의 일변 (21A) 및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 (22) 의 일변 (22A) 끼리가 서로 띠상으로 접합된다.
커버 시트 (52) 는 EPS (Expanded Polypropylene) 층, 알루미늄박층 및 PET 층이 순차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커버 시트 (52) 는 후술하는 제 2 공정에 있어서, 제 1 약제 수용실 형성부 (11) 에 장착된다. 커버 시트 (52) 와 실리카 증착 PET 층 (11Q) (도 8 참조) 에 의해, 약제 수용실 (61) (후술한다) 에 수용된 건조 약제에 대한 수분, 가스, 자외선 등의 영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시트상 부재 (10) 및 제 2 시트상 부재 (20) 의 접합)
제 1 시트상 부재 (10) 및 제 2 시트상 부재 (20) 는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 (12) 및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 (22) 가 내측에 위치하고, 또한, 제 1 약제 수용실 형성부 (11) 및 제 2 약제 수용실 형성부 (21) 가 외측에 위치하도록 대향 배치된다. 포트 (50) 는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 (12) 의 타변 (12C) 과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 (22) 의 타변 (22C)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커버 시트 (52) 는 제 1 약제 수용실 형성부 (11) 의 이면측 (제 2 약제 수용실 형성부 (21) 의 반대측) 에 배치된다.
도 9 및 도 10 을 참조하여, 제 1 약제 수용실 형성부 (11) 에 대하여, 커버 시트 (52) 가 열용착된다. 도 9 중에 있어서는 편의상, 커버 시트 (52) 는 일점 쇄선으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제 1 시트상 부재 (10) (도 10 참조) 및 제 2 시트상 부재 (20) (도 10 참조) 는 개구부 (62H) (도 9 참조) 및 개구부 (61H) (도 10 참조) 를 제외하고 접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시트상 부재 (10) 에 있어서의 제 1 약제 수용실 형성부 (11) 의 타변 (11B ∼ 11D) 과 제 2 시트상 부재 (20) 에 있어서의 제 2 약제 수용실 형성부 (21) 의 타변 (21B ∼ 21D) 이, 비교적 높은 온도 (예를 들어 약 165 ℃) 에서 강고하게 열용착된다. 강용착부 (43, 44) (도 9 참조) 가 형성된다. 포트 (50) 가 제 1 시트상 부재 (10) 및 제 2 시트상 부재 (20) 사이에 고정된다.
동일하게, 제 1 시트상 부재 (10) 에 있어서의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 (12) 의 타변 (12B ∼ 12D) 과 제 2 시트상 부재 (20) 에 있어서의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 (22) 의 타변 (22B ∼ 22D) 이, 비교적 높은 온도 (예를 들어 약 165 ℃) 에서 강고하게 열용착된다. 강용착부 (41, 42, 45) (도 9 참조) 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 1 시트상 부재 (10) 에 있어서의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 (12) 의 일변 (12A) 과 제 2 시트상 부재 (20) 에 있어서의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 (22) 의 일변 (22A) 이, 비교적 낮은 온도 (예를 들어 약 135 ℃) 에서 약하게 열용착된다. 제 1 시트상 부재 (10) 에 있어서의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 (12) 의 일변 (12A) 과 제 2 시트상 부재 (20) 에 있어서의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 (22) 의 일변 (22A) 이 접합됨으로써, 약시일부 (30) 가 형성된다.
제 1 시트상 부재 (10) 및 제 2 시트상 부재 (20) 는 개구부 (61H) 및 개구부 (62H) 가 개구된 상태에서, 방사선 또는 EOG (Ethylene Oxide Gas) 등에 의해 멸균 처리된다.
개구부 (61H) 로부터, 제 1 약제 수용실 형성부 (11) 및 제 2 약제 수용실 형성부 (21) 사이의 공간에, 소정의 건조 약제 (도시 생략) 가 충전된다. 그 후, 개구부 (61H) 가 용착된다. 당해 용착에 의해, 약제 수용실 (61) 이 형성된다.
동일하게, 개구부 (62H) 로부터,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 (12) 및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 (22) 사이의 공간에, 소정의 약액 (도시 생략) 이 충전된다. 그 후, 개구부 (62H) 가 용착된다. 당해 용착에 의해 약액 수용실 (62) 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약제 수용실 (61) 및 약액 수용실 (62) 을 포함하는 복실 용기 (100) 가 얻어진다. 복실 용기 (100) 에 있어서는 건조 약제 (도시 생략) 가 수용된 약제 수용실 (61) 및 약액 (도시 생략) 이 수용된 약액 수용실 (62) 이 형성된다. 약제 수용실 (61) 및 약액 수용실 (62) 은 약시일부 (30) 에 의해 서로 액밀상으로 분리된다.
복실 용기 (100) 의 사용시에는 약액 수용실 (62) 이 압박된다. 약시일부 (30) 에 있어서,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 (12) 의 일변 (12A) (도 10 참조) 과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 (22) 의 일변 (22A) (도 10 참조) 이 박리된다. 약제 수용실 (61) 및 약액 수용실 (62) 이 서로 연통된다.
약제 수용실 (61) 에 수용되어 있던 건조 약제와 약액 수용실 (62) 에 수용되어 있던 약액은 혼합된다. 건조 약제 및 약액은 혼합약으로서 복실 용기 (100) 로부터 환자 등에게 투여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작용·효과)
복실 용기 (100) 는 상기 서술한 비교예 1 에 있어서의 복실 용기 (100Y) (도 2 참조) 와는 달리,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1) 및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2) 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복실 용기 (100) 는 복실 용기 (100Y) 에 비해 저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복실 용기 (100) 의 제조 방법 및 복실 용기 (100) 에 있어서는 제 1 시트상 부재 (10) 에 있어서의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 (12) 의 일변 (12A) 과 제 2 시트상 부재 (20) 에 있어서의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 (22) 의 일변 (22A) 이 접합됨으로써, 약시일부 (30) 가 형성된다. 그 후의 공정에 있어서, 약시일부 (30) 에 대해서는 열이 중첩적으로 부여되지 않는다. 복실 용기 (100) 의 사용시에는 약제 수용실 (61) 과 약액 수용실 (62) 은, 약시일부 (30) 에 있어서 적절히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포트 (50) (도 10 참조) 는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 (12) 의 타변 (12C) 과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 (22) 의 타변 (22C) 사이에 배치된다.
도 11 을 참조하여, 복실 용기 (100A) 와 같이, 포트 (50) 는 제 1 약제 수용실 형성부 (11) 의 타변 (11C) 과 제 2 약제 수용실 형성부 (21) 의 타변 (21C) 사이에 배치되어도 된다. 포트 (50) 는 제 1 시트상 부재 (10) 와 제 2 시트상 부재 (20) 가 비교적 높은 온도 (예를 들어 약 165 ℃) 에서 강고하게 열용착됨으로써, 제 1 시트상 부재 (10) (타변 (11C)) 및 제 2 시트상 부재 (20) (타변 (21C)) 사이에 고정된다.
포트 (50) 가 타변 (11C) 및 타변 (21C)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포트 (50) 와 약제 수용실 (61) 사이에는 약시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38) 를 형성하면 된다.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38) 는 제 1 약제 수용실 형성부 (11) 의 최내층 (LDPE 층) 및 제 2 약제 수용실 형성부 (21) 의 최내층 (LDPE 층) 에 대해 용착 강도가 작은 (약접착하는) 수지로 구성된다.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38) 의 배치 형성에 의해, 복실 용기 (100A) 의 보관시에 있어서, 약제 수용실 (61) 에 수용한 건조 약제가 포트 (50) 중에 비집고 들어가는 것은 방지된다.
복실 용기 (100A) 의 사용시에는 약시일부를 형성하는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38) 가 제 1 약제 수용실 형성부 (11) 또는 제 2 약제 수용실 형성부 (21) 로부터 박리된다. 포트 (50) 와 약제 수용실 (61) 이 서로 연통된다. 건조 약제 및 약액은 포트 (50) 를 통해 혼합약으로서 환자 등에게 투여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해 구성에 있어서는, 1 장의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38) 가 사용된다. 당해 구성에 의해서도,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1) 및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2) 를 구비한 복실 용기 (100Y) (도 2 참조) 에 비해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38) 를 형성하지 않고, 제 1 약제 수용실 형성부 (11) 및 제 2 약제 수용실 형성부 (21) 를 비교적 낮은 온도 (예를 들어 약 135 ℃) 에서 약하게 열용착하는 것에 의해 약시일부를 형성해도 된다. 당해 구성에 의하면,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38) 가 형성되지 않는 만큼 보다 저렴하게 제조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에 기초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0 : 제 1 시트상 부재
11 : 제 1 약제 수용실 형성부
11A, 12A, 21A, 22A, 111A, 112A, 121A, 122A : 일변
11B ∼ 11D, 12B ∼ 12D, 21B ∼ 21D, 22B ∼ 22D : 타변
11P, 21P : LDPE 층
11Q : 실리카 증착 PET 층
11R, 21R : PET 층
11S : L-LDPE 층
12 :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
20 : 제 2 시트상 부재
21 : 제 2 약제 수용실 형성부
21Q : 알루미늄 시트층
22 :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
30, 130, 133, 134, 135 : 약시일부
41 ∼ 45 : 강용착부
50, 150 : 포토
52 : 커버 시트
61, 161 : 약제 수용실
61H, 62H : 개구부
62, 162 : 약액 수용실
100, 100A, 100Y, 100Z : 복실 용기
110, 110A : 제 1 용기
111, 112 : 이면측 시트
120, 120A : 제 2 용기
121, 122 : 전면측 시트
131, 132, 38 : 약시일부 형성용 시트
136, 137 : 용착부
140, 141 : 홈
152 : 뚜껑체

Claims (2)

  1. 약시일부 (30) 에 의해 서로 분리된 약제 수용실 (61) 및 약액 수용실 (62) 을 포함하는 복실 용기 (100) 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 1 약제 수용실 형성부 (11) 및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 (12) 의 일변 (11A, 12A) 끼리를 띠상으로 접합함으로써, 제 1 시트상 부재 (10) 를 형성하는 공정과,
    제 2 약제 수용실 형성부 (21) 및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 (22) 의 일변 (21A, 22A) 끼리를 띠상으로 접합함으로써, 제 2 시트상 부재 (20) 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시트상 부재 (10) 및 상기 제 2 시트상 부재 (20) 를 대향 배치시킨 후에 상기 제 1 시트상 부재 (10) 및 상기 제 2 시트상 부재 (20) 를 접합함으로써 상기 약제 수용실 (61) 및 상기 약액 수용실 (62) 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약제 수용실 형성부 (11) 의 타변 (11B ∼ 11D) 및 상기 제 2 약제 수용실 형성부 (21) 의 타변 (21B ∼ 21D) 끼리가 접합됨으로써 상기 약제 수용실 (61) 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 (12) 의 타변 (12B ∼ 12D) 및 상기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 (22) 의 타변 (22B ∼ 22D) 끼리가 접합됨으로써 상기 약액 수용실 (62) 이 형성되고,
    상기 약시일부 (30) 는, 상기 제 1 약액 수용실 형성부 (12) 의 상기 일변 (12A) 및 상기 제 2 약액 수용실 형성부 (22) 의 상기 일변 (22A) 끼리가 접합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제 1 시트상 부재 (10) 및 상기 제 2 시트상 부재 (20) 가 상기 약시일부 (30) 에 있어서 서로 박리됨으로써, 상기 약제 수용실 (61) 및 상기 약액 수용실 (62) 이 서로 연통되는 복실 용기의 제조 방법.

  2. 삭제
KR1020137025144A 2011-03-03 2012-02-28 복실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1832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46209 2011-03-03
JP2011046209 2011-03-03
PCT/JP2012/054881 WO2012118060A1 (ja) 2011-03-03 2012-02-28 複室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969A KR20140006969A (ko) 2014-01-16
KR101832543B1 true KR101832543B1 (ko) 2018-02-26

Family

ID=46757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5144A KR101832543B1 (ko) 2011-03-03 2012-02-28 복실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278049B2 (ko)
EP (1) EP2682091B1 (ko)
JP (1) JP5920335B2 (ko)
KR (1) KR101832543B1 (ko)
CN (1) CN103429213B (ko)
BR (1) BR112013022055B1 (ko)
RU (1) RU2598628C2 (ko)
WO (1) WO20121180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3218A (zh) * 2014-10-29 2016-08-24 李和伟 一种固液分离即配即用的包装装置及其制备方法
EP3478241A4 (en) 2016-06-29 2020-03-04 Fresenius Medical Care KIT INCLUDING AT LEAST TWO BAGS
KR101819483B1 (ko) * 2017-02-16 2018-01-17 주식회사 보위 앰플을 구비한 포장용기
USD900311S1 (en) 2018-05-18 2020-10-27 Baxter International Inc. Dual chamber flexible container
EP3796883A2 (en) 2018-05-18 2021-03-31 Baxter International Inc. Dual chamber flexible container, method of making and drug product us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7687A (ja) 1999-01-06 2000-07-18 Terumo Corp 医療用容器および医療用容器の製造方法
JP2001252333A (ja) 2000-03-13 2001-09-18 Material Eng Tech Lab Inc 医療用複室容器
JP3419139B2 (ja) * 1995-04-11 2003-06-23 ニプロ株式会社 可撓性複室容器
JP2004329433A (ja) 2003-05-02 2004-11-25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複室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9270U (ko) * 1977-02-26 1978-09-21
JP3060132B2 (ja) 1991-03-02 2000-07-10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複室容器
JP3060133B2 (ja) 1990-11-07 2000-07-10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複室容器
CA2072594C (en) 1990-11-07 1998-06-02 Fujio Inoue Containers having plurality of chambers
JP3016347B2 (ja) 1995-02-10 2000-03-06 株式会社ニッショー 複室容器の製造方法
JP3016348B2 (ja) 1995-03-23 2000-03-06 株式会社ニッショー 複室容器
US5944709A (en) 1996-05-13 1999-08-31 B. Braun Medical, Inc. Flexible, multiple-compartment drug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US7243787B2 (en) * 2003-03-26 2007-07-17 Nipro Corporation Medicine bag
JP4412463B2 (ja) 2003-12-11 2010-02-10 藤森工業株式会社 複室容器
KR101211552B1 (ko) * 2004-08-16 2012-12-12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의료용 다층 용기 및 의료용 다층 복실용기
TWI409057B (zh) * 2004-09-27 2013-09-21 Nipro Corp 醫療用容器
EP1838272B8 (en) * 2004-11-26 2013-09-25 Hosokawa Yoko Co., Ltd. Medical liquid container and preparation-containing medical liquid container
ATE543748T1 (de) * 2005-06-15 2012-02-15 Fujimori Kogyo Co Doppelkammerpackung
US20100219094A1 (en) * 2006-05-23 2010-09-02 Nipro Corporation Contai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9139B2 (ja) * 1995-04-11 2003-06-23 ニプロ株式会社 可撓性複室容器
JP2000197687A (ja) 1999-01-06 2000-07-18 Terumo Corp 医療用容器および医療用容器の製造方法
JP2001252333A (ja) 2000-03-13 2001-09-18 Material Eng Tech Lab Inc 医療用複室容器
JP2004329433A (ja) 2003-05-02 2004-11-25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複室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3144317A (ru) 2015-04-10
EP2682091B1 (en) 2017-07-05
US20130334079A1 (en) 2013-12-19
JP5920335B2 (ja) 2016-05-18
KR20140006969A (ko) 2014-01-16
US9278049B2 (en) 2016-03-08
RU2598628C2 (ru) 2016-09-27
JPWO2012118060A1 (ja) 2014-07-07
BR112013022055B1 (pt) 2020-06-30
WO2012118060A1 (ja) 2012-09-07
CN103429213A (zh) 2013-12-04
EP2682091A4 (en) 2014-08-27
BR112013022055A2 (pt) 2016-11-29
EP2682091A1 (en) 2014-01-08
CN103429213B (zh)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543B1 (ko) 복실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US9278051B2 (en) Method for reinforcing weak sealed portion of multi-chamber medical container
JP2000167022A (ja) 複室医療容器
JP4463205B2 (ja) 医療用複室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5557004B2 (ja) 医療用容器
JP2001087350A (ja) 複室輸液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48338B1 (ko) 유동체 수용 용기 및 유동체 수용 용기의 제조 방법
JP2009039210A (ja) 医療用容器包装袋、およびこれを用いた医療用容器の収容方法、薬剤混注済み医療用容器包装体、薬剤未混注の医療用容器包装体の製造方法、ならびに薬剤未混注の医療用容器包装体
JP4920246B2 (ja) 医療用薬液容器および薬剤入り医療用薬液容器
KR102435928B1 (ko) 자립형 백 및 이의 제조방법
AU2013292245B2 (en) Pack for individual active-substance-containing films,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pack
KR101124328B1 (ko) 다중챔버를 갖는 의료용 수액백 키트
JP2005245677A (ja) 未混合防止機構つき医療用複室容器
JP5473419B2 (ja) 注出口部材、該注出口部材を取り付けた多室包装袋及び該多室包装袋に内容物を充填した内容物充填体
JP6925178B2 (ja) スパウト付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内容物入りスパウト付包装袋
JP2004181065A (ja) 輸液バッグ包装体
JP2016131577A (ja) 医療用複室容器
JPWO2016152981A1 (ja) 医療用バッグ
JP2006247378A (ja) 医療用複室容器
JP2004313487A (ja) 医療用複室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54203A (ja) 医療用複室容器
JP2022010025A (ja) 自立袋
JP6348775B2 (ja) 包装袋
WO2023147491A2 (en) Packaging system for storage of a perishable product
JP2012183180A (ja) 輸液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