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145B1 - 베어링 압입 시스템 - Google Patents

베어링 압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145B1
KR101831145B1 KR1020150138325A KR20150138325A KR101831145B1 KR 101831145 B1 KR101831145 B1 KR 101831145B1 KR 1020150138325 A KR1020150138325 A KR 1020150138325A KR 20150138325 A KR20150138325 A KR 20150138325A KR 101831145 B1 KR101831145 B1 KR 101831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fixed
plate
shaft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340A (ko
Inventor
남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범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범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범서
Priority to KR1020150138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145B1/ko
Publication of KR20170039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7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25Measuring of vehicl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 G01B5/1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internal di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ep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20Debu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90)은,
지지 기능을 하는 테이블 형상의 메인 프레임(10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장착되어 후술하는 내경 측정부(300)와 원판(400)으로 풀리(20)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전방 이송부(200)와, 상기 전방 이송부(200)로부터 풀리(20)를 공급받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장착되고, 공급된 풀리(20)의 홀(26) 내경을 검사하도록 구성된 내경 측정부(300)와, 상기 내경 측정부(300)에 안착된 풀리(20)가 상기 전방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어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 원판(400)과, 상기 원판(400)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상기 원판(400)에 안착된 풀리(20)에 베어링(50)을 올려놓도록 구성된 베어링 이송부(500)와, 상기 원판(400)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상기 풀리(20)에 올려진 베어링(50)을 압입하도록 구성된 베어링 압입부(600)를 포함한다.
따라서, 풀리(20)에 베어링(50)을 삽입하는 전 공정을 무인자동화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베어링 압입 시스템 {Bearing press-fit system}
본 발명은 베어링 압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풀리에 베어링을 삽입하는 전 과정을 무인자동화로 진행하도록 구성하므로 생산성의 향상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베어링 압입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풀리에 베어링이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풀리에 베어링을 압입하는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풀리(20)는, 도 2에서처럼, 외륜(21)과 내륜(25)이 구성되고, 상기 외륜(21)과 내륜(25)은 판상의 디스크(27)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륜(25)의 중앙부에는 베어링(30)이 삽입되는 홀(26)이 구성된다.
상기 외륜(21)은 외측면에 벨트를 걸 수 있도록 양측 단부 둘레를 따라 플랜지(23)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27)는 외륜(21)과 내륜(25)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어 구성되고 관통구(2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풀리(20)의 표면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착색되어 구성된다.
상기 풀리(20)의 홀(26)에 베어링(30)을 삽입하기 위해서 풀리(20)의 밑면, 즉, 디스크(27)의 외측면(29)을 절삭하여 상기 홀(26)의 내측면과 직각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절삭과정에서 상기 관통구(28)에 형성된 버(bur)를 제거하기 위해서 줄을 사용하여 관통구(28)의 내측을 줄질한 후 에어로 불어낸다.
이렇게 상기 버를 제거한 후, 실린더 게이지 등 측정 공구를 이용하여 풀리(20)에 형성된 홀(26)의 내경을 측정하여 베어링 공차에 부합되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홀(26)의 내경을 측정한 후, 도 1에서 도시한 베어링 압입기(10)의 하부에 상기 풀리(20)를 놓고 상기 풀리(20)의 홀(26)에는 베어링(30)을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 압입기(10)를 작동시켜서 베어링(30)이 홀(26)의 내부에 압입되어 수용되도록 한다. 이때, 스태킹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내륜(25)의 종단부 일부를 눌러서 베어링(30)이 이탈되지 않도록 마감하게 된다.
상기 풀리(20)에 베어링(30)이 압입된 후, 풀리(20)를 회전시키면서 측면 및 하면(디스크의 외측면)에 인디케이터(digital indicator)의 지침(40)을 접촉시켜서 풀리(20)의 진동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진동 검사 후, 상기 풀리(20)의 하면 즉, 디스크의 외측면(29)에 방청유를 도포하여 부식이 방지되도록 하므로 공정이 완료된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각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다수의 작업 인력을 필요로 하게 되어 생산 코스트가 비싸지고 생산 속도가 지연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각 공정별로 다수의 풀리를 처리한 후, 대차를 이용하여 다음 공정 구간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생산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례로 100개의 풀리(20)의 홀(26) 내경을 검사한 후, 작업자는 일일이 대차에 상기 풀리(200)를 적재한 후, 베어링(30)을 압입하는 공정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처럼, 각 공정 사이에 이러한 이동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생산성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기 풀리(20)의 홀(26) 내경 및 진동 여부를 검사할 때 작업자가 실린더 게이지 내지는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검사하므로 숙련공이 아니고서는 정확하게 양품을 가려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0247769호 (1999년 12월 14일)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기 각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다수의 작업 인력을 필요로 하게 되어 생산 코스트가 비싸지고 생산 속도가 지연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둘째, 상기 각 공정별로 다수의 풀리를 처리한 후, 대차를 이용하여 다음 공정 구간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생산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례로 100개의 풀리의 홀 내경을 검사한 후, 작업자는 일일이 대차에 상기 풀리를 적재한 후, 베어링을 압입하는 공정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처럼, 각 공정 사이에 이러한 이동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생산성이 지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셋째, 상기 풀리의 홀 내경 및 진동 여부를 검사할 때 작업자가 실린더 게이지 내지는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검사하므로 숙련공이 아니고서는 정확하게 양품을 가려내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은,
지지 기능을 하는 테이블 형상의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 장착되어 후술하는 내경 측정부와 원판으로 풀리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전방 이송부와, 상기 전방 이송부로부터 풀리를 공급받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고, 공급된 풀리의 홀 내경을 검사하도록 구성된 내경 측정부와, 상기 내경 측정부에 안착된 풀리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어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 원판과, 상기 원판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원판에 안착된 풀리에 베어링을 올려놓도록 구성된 베어링 이송부와, 상기 원판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풀리에 올려진 베어링을 압입하도록 구성된 베어링 압입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경 측정부에 안착된 풀리의 버를 제거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버 제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판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베어링 압입부를 거친 풀리의 베어링이 삽입된 깊이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깊이 측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판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깊이 측정부를 거친 풀리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후방 이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후방 이송부의 하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원판에 안착된 풀리를 상기 후방 이송부에 의해서 공급받아, 상기 풀리가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 여부를 검사하도록 구성된 진동 측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후방 이송부의 하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진동 측정부에 안착된 풀리를 상기 후방 이송부에 의해서 공급받아, 방청유를 도포하도록 구성된 방청유 도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방 이송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된 지주와, 상기 지주에 고정되어 길이 방향이, 전방에서 상기 원판을 향하고 일측면이 상기 내경 측정부를 대향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측면에 길이 방향이 상기 원판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장착되어 왕복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장착된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에 고정되어 로드가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승강하도록 작동하는 전방 액튜에이터와, 상기 로드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를 파지하는 전방 핑거와, 상기 전방 액튜에이터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송판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로드가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승강하도록 작동하는 후방 액튜에이터와, 상기 로드의 하단에 고정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서버모터와, 상기 서버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브래킷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를 파지하도록 구성된 후방 핑거와,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판을 전후진시키는 액튜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원판의 상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전방 핑거와 후방 핑거의 하부에 상기 내경 측정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경 측정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테이블 모양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 길이 방향이 상기 전방 이송부를 향하도록 고정된 레일과, 상기 레일에 장착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상면에 고정된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이 측방으로 왕복 이송하도록 상기 받침대에 고정된 액튜에이터와,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 형성된 하부 관통구와, 상기 하부 관통구에 대응하도록 상기 안내판에 형성된 상부 관통구와, 상기 상부 관통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안내판의 상방으로 돌출된 링 형상의 것으로서 상기 풀리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삽입부와, 상기 받침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하부 관통구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승강이 가능한 내경 측정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원판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서버모터와, 상기 원판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가 안착되도록 구성된 지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경 측정기는 에어 마이크로미터(air micromet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 제거부는, 상기 내경 측정부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된 블록과, 상기 블록의 전방면에 상하방을 향하도록 고정된 레일과, 상기 레일에 장착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고정된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을 상하 왕복시키도록 상기 블록의 상단부에 장착된 액튜에이터와, 상기 승강판의 전면에 고정된 서버모터와, 상기 서버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승강판의 전면에 장착되고 길이 방향이 상하방을 향하고 하단에 상기 풀리의 관통구에 삽입되는 키(key)가 형성된 회전관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판이 상기 전방 이송부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관과 상기 상부 관통구가 대응하도록 상기 블록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 이송부는, 상기 전방 이송부를 경계로 해서 상기 내경 측정부의 상대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 회전하도록 장착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상방을 향하도록 고정되어 다수의 베어링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폴(pole)과, 상기 회전판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폴이 통과한 베어링을 상방으로 올리도록 구성된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측방에 배치되어 상기 베어링을 상기 원판으로 이동시키는 측방 이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회전판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단과 하단에 상기 회전판을 향하여 플랜지가 돌출된 지지 프레임과, 상기 플랜지에 길이 방향이 상하방으로 향하도록 장착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플랜지에 고정된 안내축과, 상기 안내축이 통과하고 상기 스크류축에 체결되는 너트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스크류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서버모터와, 상기 너트에 고정되어 상기 폴이 통과한 베어링을 받치도록 구성된 서포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방 이송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된 지주와, 상기 지주에 고정되어 길이 방향이 상기 원판을 향하고 일측면이 상기 지지 프레임을 대향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측면에 길이 방향이 상기 원판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장착되어 왕복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장착된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에 고정되어 로드가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승강하도록 작동하는 측방 액튜에이터와, 상기 로드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베어링을 파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서포터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핑거와,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어 로드가 상기 이송판에 연결되어 전후진하는 액튜에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 압입기는, 상기 원판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원판의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원판과 이격되는 연장부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 지지되고 로드가 하방으로 승강하도록 작동하는 액튜에이터와, 상기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부의 하방으로 관통하는 주축과, 상기 주축에 연결되어 상기 풀리의 상부에 안착된 베어링을 가압하도록 구성된 압입축을 포함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주축은 하단에 연결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압입축은,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 연결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축과, 상기 상부축의 하단에 연결되는 관 형상의 것으로서 내측에 하부가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되어 베어링 가압시 상기 풀리가 안착되는 지그를 일정부분 수용하는 하부축과, 상기 하부축에 하단부가 부분 돌출되도록 수용되는 스태킹 핀을 포함하고, 상기 스태킹 핀은 상기 중공부의 외측에 하부축의 원주를 따라 하단이 돌출되도록 수용 구성되고, 상기 상부축과 하우징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축이 수평이동되면서 자동조심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그는 풀리의 홀에 관통되되 베어링이 풀리에 삽입시 베어링을 지지하는 지그하부축과, 상기 지그하부축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그하부축 보다 직경이 작은 지그상부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그상부축의 상단부는 외측 원주를 따라 하방으로 경사진 지그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축의 중공부 중 하부 일정부분은 상부측보다 직경이 보다 큰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상부벽면과 중공부의 내벽면 간이 서로 접하는 중공부 하단부는 원주를 따라 하방으로 경사진 하부축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 가압을 위해 하부축이 지그를 수용시에 하강하는 하부축경사면이 상기 지그경사면의 안내에 따라 자동조심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은, 판상으로서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관통되는 것으로서, 상부홀과 상기 상부홀 보다 폭이 작은 하부홀로 구성된 장착홀과, 상기 상부홀과 하부홀의 경계부에 형성된 단턱과, 상기 단턱의 상면에 형성된 홈과, 상기 홈에 수용되고 상기 홈의 상방으로 돌출된 베어링 볼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축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베어링 볼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축은 상기 상부홀에 수용되어 상기 베어링 볼에 지지되는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홀을 통과하는 축 형상의 네크와, 상부측으로는 상기 네크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부측으로는 상기 하부축이 끼워지는 삽입홈이 형성된 상부 블록과, 상기 상부 블록의 상단에서 하단을 관통하고 상기 삽입홈의 둘레에 배치되는 카운트 보어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축은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며 상기 스태킹 핀이 관통하고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된 하부 블록을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 블록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상부 블록의 하단에 밀착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에 형성되어 상기 카운트 보어홀에 연결되는 관통구와, 상기 카운트 보어홀을 통해서 상기 관통구로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카운트 보어홀에 걸리는 헤드가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 끼워지는 압축 스프링과,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블록이 통과하는 링과, 상기 상판과 상부홀, 상기 네크와 하부홀 사이에 형성된 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깊이 측정부는, 상기 원판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고정되고 상기 원판을 대향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전면에 상하방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장착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고정되어 원판의 상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지그에 대응되는 브래킷과, 상기 지지판의 장착되어 상기 브래킷의 상부에 배치되어 로드가 상기 브래킷에 장착되고 상기 로드가 승강하도록 작동하는 액튜에이터와, 상기 브래킷에 장착되고 상기 지그에 대응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고 하단부가 상기 풀리의 스태킹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게이지 샤프트와, 상기 브래킷에 장착되고 상기 게이지 샤프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디지털 인디케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후방 이송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된 지주와, 상기 지주에 고정되어 길이 방향이 상기 원판에서 후방을 향하고 일측면이 상기 깊이 측정부를 대향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측면에 길이 방향이 상기 원판에서 후방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장착되어 왕복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장착된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지지판에 고정된 메인 액튜에이터와, 상기 이송판에 고정되어 로드가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승강하도록 작동하는 제1액튜에이터와, 상기 로드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를 파지하는 제1핑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후방 이송부는, 상기 제1액튜에이터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송판에 고정되어 로드가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승강하도록 작동하는 제2액튜에이터와, 상기 로드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를 파지하는 제2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측정부는 상기 제2핑거의 하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 측정부는 상기 제2핑거에 대응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풀리의 홀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된 모터와,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이 끼워지는 상기 풀리에 접하는 디지털 인디케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후방 이송부는, 상기 제2액튜에이터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송판에 고정되어 로드가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승강하도록 작동하는 제3액튜에이터와, 상기 로드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를 파지하는 제3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방청유 도포부는 상기 제3핑거의 하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청유 도포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개방된 용기(容器) 형상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측방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 내부로 방청유를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동 측정부와 상기 방청유 도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에 장착된 불량 배출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전방 이송부에 풀리를 공급하는 공급 컨베이어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후방 이송부로부터 풀리를 공급받아 배출시키는 양품 배출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급 컨베이어에서 상기 전방 핑거에 대응되는 지점의 하면에 부착되고 양측방으로 왕복하는 로드가 구성된 액튜에이터와, 양측의 상기 로드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부착되어 상기 풀리를 홀딩하는 위치조정블록과, 상기 위치조정블록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풀리가 수용되는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각 공정의 무인 자동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수의 작업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생산 코스트가 저렴해지고 생산 속도가 향상되어 생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각 공정이 상기 공급 컨베이어, 원판, 불량 배출 컨베이어, 양품 배출 컨베이어를 통해서 이루어지므로 배경기술처럼 각 공정별로 대차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풀리의 홀 내경 및 진동 여부(진원 여부)를 검사할 때 내경 측정부와 진동 측정부를 통해서 자동을 이루어지므로 숙련공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하게 양품과 불량품을 구분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베어링 압입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풀리에 베어링이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에 구성되는 내경 측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의 내경 측정부에 있어, 공기 마이크로미터의 지그가 풀리 내경으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의 내경 측정부에 있어, 풀리가 후진한 상태에서 삽입관이 하강하여 풀리의 버(bur)를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의 내경 측정부에 안착된 풀리를 제2핑거가 들어올려서 회전판 쪽으로 이송한 후 뒤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의 베어링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의 원판이 회전하여 베어링 압입기 하부에 풀리가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의 베어링 압입기에 구성되는 압입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의 베어링 압입기에 의해 풀리가 스태킹 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의 베어링 압입기에 구성되는 스태킹 핀이 풀리의 중심에 대해서 편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의 베어링 압입기에 의해 풀리에 베어링이 압입되고 스태킹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의 깊이 측정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의 동심원 측정부, 불량 배출 컨베이어, 방청유 도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의 동심원 측정부, 방청유 도포부에 풀리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베어링 압입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풀리에 베어링이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에 구성되는 내경 측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의 내경 측정부에 있어, 공기 마이크로미터의 지그가 풀리 내경으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의 내경 측정부에 있어, 풀리가 후진한 상태에서 삽입관이 하강하여 풀리의 버(bur)를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의 내경 측정부에 안착된 풀리를 제2핑거가 들어올려서 회전판 쪽으로 이송한 후 뒤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의 베어링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의 원판이 회전하여 베어링 압입기 하부에 풀리가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의 베어링 압입기에 구성되는 압입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의 베어링 압입기에 의해 풀리가 스태킹 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의 베어링 압입기에 구성되는 스태킹 핀이 풀리의 중심에 대해서 편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의 베어링 압입기에 의해 풀리에 베어링이 압입되고 스태킹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의 깊이 측정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의 동심원 측정부, 불량 배출 컨베이어, 방청유 도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의 동심원 측정부, 방청유 도포부에 풀리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차량 등의 기계에 장착되는 풀리(20)는 도 12에서처럼, 외륜(21)과 내륜(25)이 구성되고, 상기 외륜(21)과 내륜(25)은 판상의 디스크(27)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륜(25)의 중앙부에는 베어링(30)이 삽입되는 홀(26)이 구성된다.
상기 외륜(21)은 외측면에 벨트를 걸 수 있도록 양측 단부 둘레를 따라 플랜지(23)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27)는 외륜(21)과 내륜(25)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어 구성되며 관통구(2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풀리(20)의 표면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착색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풀리(20)의 홀(26)에 베어링(30)을 삽입하기 위해서 풀리(20)의 밑면 즉, 디스크(27)의 외측면(29)을 절삭하여 상기 홀(26)의 내측면과 직각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90)은, 상기 풀리(20)에 베어링(50)을 압입하는 공정을 무인자동화로 실현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도 3에서처럼, 상기 풀리(20)를 공급하는 공급 컨베이어(1400)가 구성되고, 상기 공급 컨베이어(1400)의 후방에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으로서 지지 기능을 하는 테이블 형상의 메인 프레임(10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공급 컨베이어(1400)로부터 풀리(20)를 후방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전방 이송부(2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 이송부(200)로부터 풀리(20)를 공급받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장착되고, 공급된 풀리(20)의 홀(24) 내경을 검사하도록 내경 측정부(3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경 측정부(300)에 안착된 풀리(20)의 관통구(28)에 형성된 버(bur) 를 제거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버 제거부(700)가 구성된다. 이처럼, 관통구(28)에 버가 생기는 이유는 풀리(20)를 구성하는 디스크(27)의 외측면(29)을 절삭하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경 측정부(300)에 안착된 풀리(20)가 상기 전방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어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 원판(400)이 구성되고, 상기 원판(400)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상기 원판(400)에 안착된 풀리(20)에 베어링(50)을 올려놓도록 구성된 베어링 이송부(5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원판(400)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상기 풀리(20)에 올려진 베어링(50)을 압입하도록 구성된 베어링 압입부(6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원판(400)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상기 베어링 압입부(600)를 거친 풀리(20)에 베어링(50)이 삽입된 깊이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깊이 측정부(8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원판(400)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상기 깊이 측정부(800)를 거친 상기 풀리(20)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후방 이송부(9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후방 이송부(900)의 하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상기 원판(400)에 안착된 상기 풀리(20)를 상기 후방 이송부(900)에 의해서 공급받아, 상기 풀리(20)가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 여부를 검사하도록 구성된 진동 측정부(10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후방 이송부(900)의 하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상기 진동 측정부(1000)에 안착된 풀리(20)를 상기 후방 이송부(900)에 의해서 공급받아, 방청유를 도포하도록 구성된 방청유 도포부(11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후방 이송부(900)로부터 풀리(20)를 공급받아 배출시키는 양품 배출 컨베이어(13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진동 측정부(1000)와 방청유 도포부(1100)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장착되고 길이 방향이 좌우측방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진동 측정부(1000)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것을 배출시키는 불량 배출 컨베이어(1200)가 구성된다.
도 4와 함께 상기 공급 컨베이어(1400)의 상세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급 컨베이어(1400)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벨트(1405)가 회전하므로 풀리(20)를 상기 메인 프레임(100)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메인 프레임(100)의 내측방으로 풀리(20)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 컨베이어(1400)가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공급 컨베이어(1400)에서 후술하는 전방 핑거(270)에 대응되는 지점의 하면에 부착되고 양측방으로 왕복하는 로드(1413)가 구성된 액튜에이터(1410)가 구성된다. 상기 액튜에이터(1410)는 일례로 에어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양측의 상기 로드(1413)에 고정되어 공급 컨베이어(1400)의 양측 상방으로 연장되는 브래킷(1420)이 구성되고, 상기 브래킷(1420)에 부착되어 상기 풀리(20)를 홀딩하는 위치조정블록(1430)이 구성된다. 상기 위치조정블록(1430)은 공급 컨베이어(1400)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벨트(1405)에 안착된 풀리(20)를 좌우 측방에서 압박하여 홀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위치조정블록(1430)은 상호 대향하는 내측면에 오목부(1433)가 형성되어 풀리(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공급 컨베이어(1400)의 후방 단부에 근접 센서가 장착되어 풀리(20)가 위치조정블록(1430) 사이에 배치되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서 상기 벨트(1405)의 회전을 멈추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액튜에이터(1410)를 작동시켜서 양측 위치조정블록(1430)이 풀리(20)를 압박하도록 하면 풀리(20)가 위치조정블록(1430)의 센터에 위치하지 않아도 풀리(20)는 자연히 오목부(1433)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조정블록(1430)의 센터가 풀리(20)의 정지 포인트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정지 포인트를 후술하는 전방 이송부(200)의 전방 핑거(270)가 하강하는 지점과 대응되도록 구성하므로 풀리(20)를 용이하게 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4와 함께 상기 전방 이송부(2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방 이송부(20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지주(210)가 수직으로 세워져서 구성되고, 상기 지주(210)에 고정되어 길이 방향이, 전방에서 상기 원판(400)을 향하고 일측면이 상기 내경 측정부(300)를 대향하는 지지판(22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220)의 일측면에 길이 방향이 상기 원판(400)을 향하도록 레일(230)이 고정되고, 상기 레일(230)에 장착되어 왕복하는 가이드(240)가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240)에 장착된 이송판(25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판(250)에 고정되어 로드(263)가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승강하도록 작동하는 전방 액튜에이터(260)가 구성되는데, 일례로 에어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263)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20)를 파지하는 전방 핑거(27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방 핑거(270)에 부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축(265)이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축(265)이 통과하는 안내블록(267)이 상기 이송판(25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로드(263)가 승강할 때에 전방 핑거(270)가 회동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 액튜에이터(26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송판(25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로드(283)가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승강하도록 작동하는 후방 액튜에이터(280)가 구성되는데, 일례로 에어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283)의 하단에 고정되는 브래킷(288)이 구성되고 상기 브래킷(288)에 장착되어 회전축이 관통하는 서버모터(289)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버모터(289)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브래킷(288)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풀리(20)를 파지하는 후방 핑거(29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288)에 부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축(285)이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축(285)이 통과하는 안내블록(287)이 상기 이송판(25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로드(283)가 승강할 때에 브래킷(288)이 회동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220)에 고정되고 상기 이송판(250)을 전후진시키는 메인 액튜에이터(203)가 구성되는데, 상기 메인 액튜에이터(203)는 로드가 전후진 하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는데, 일례로 에어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액튜에이터(203)의 구동에 의해서 이송판(250)이 전방(공급 컨베이어 쪽)으로 이송한 상태에서, 상기 전방 핑거(270)는 위치조정블록(1430)에 홀딩된 풀리(20)의 상부에 대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방 핑거(270)는 전방 액튜에이터(260)에 의해서 로드(263)가 하강하여 풀리(20)의 홀(26) 내부로 수용되어 확장되므로 풀리(20)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후방 핑거(290)는 상기 내경 측정부(300)에 안착된 풀리(20)에 대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후방 핑거(270)는 후방 액튜에이터(280)의 구동에 의해 로드(283)가 하강하여 풀리(20)의 외측면을 집게처럼 집어서 홀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방 핑거(270)와 후방 핑거(290)는 에어의 유입, 배기에 의해서 벌어졌다가 오므라지는 것으로서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위치조정블록(1430)에 의해서 풀리(20)가 홀딩되고 상기 내경 측정부(300)에 풀리(2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판(250)이 전방으로 이송한 후 전방 핑거(270)와 후방 핑거(290)가 하강하여 각각 풀리(20)를 홀딩한다. 이때, 위치조정블록(1430)은 액튜에이터(1410)에 의해서 양측방으로 벌어지므로 홀딩 상태를 해제하도록 한다. 이렇게 해서 풀리(20)가 홀딩 되면 전방 액튜에이터(260)와 후방 액튜에이터(280)는 각각 전방 핑거(270)와 후방 핑거(290)를 상승시키게 되고, 이송판(250)은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각각의 풀리(20)는 후술하는 내경 측정부(300)의 삽입부(363)와 원판(400)의 지그(410)에 대응하게 되고, 전방 액튜에이터(260)와 후방 액튜에이터(280)의 구동에 의해서 전방 핑거(270)와 후방 핑거(290)가 하강하게 되는데, 후방 핑거(290)는 상기 서버모터(289)의 구동에 의해서 180도 회전하게 되므로 풀리(20)의 디스크(27)의 외측면(29)이 하방을 향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전방 핑거(270)와 후방 핑거(290)가 하강한 후 홀딩 상태를 해제하게 되므로 상기 삽입부(363)와 지그(410)에 풀리(20)가 각각 안착된 상태가 된다. 그러고나서, 상기 전방 핑거(270)와 후방 핑거(290)는 다시 상승하게 되고 이송판(250)은 전방으로 복귀하므로 다음 풀리(20)의 이송을 준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후방 핑거(290)는 역방향으로 180도 회전하여 다음 파지를 준비할 수도 있고, 역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다음 파지를 준비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는 후방 핑거(290)가 정역 방향을 반복하게 되고 후자는 일정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서 작업을 하게 된다.
도 4와 함께 상기 내경 측정부(3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테이블 모양의 받침대(31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310)의 상면에 길이 방향이 상기 전방 이송부(200)를 향하도록 고정된 레일(311)이 구성되고, 상기 레일(311)에 장착된 가이드(320)가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320)의 상면에 고정된 안내판(330)이 구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320)가 상기 전방 이송부(200)의 레일(230)에 대해서 직각 방향이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판(330)이 측방으로 왕복 이송하도록 상기 받침대(310)에 고정된 액튜에이터(340)가 구성되는데, 일례로 로드리스 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받침대(310)의 상면에 하부 관통구(350)가 구성되며, 상기 하부 관통구(350)에 대응하도록 상기 안내판(330)에 상부 관통구(360)가 구성된다.
상기 안내판(330)이 전방 이송부(200)를 향하여 이송한 상태에서 상기 후방 핑거(290)에 대응하도록 위치가 조정되어 구성되고, 반대 방향으로 이송한 상태에서는 상기 버 제거부(700)에 대응하도록 위치가 조정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관통구(36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안내판(330)의 상방으로 돌출된 링 형상의 것으로서 상기 풀리(20)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삽입부(363)가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363)는 풀리(20)의 외륜(21)과 내륜(25) 사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3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하부 관통구(35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승강이 가능한 내경 측정기(370)가 구성된다. 상기 내경 측정기(370)는 에어실린더(380)가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삽입부(363)에 안착된 풀리(20)의 홀(26)까지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경 측정기(370)는 일례로서 에어 마이크로미터(air micrometer)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마이크로미터는 도 5에서처럼, 풀리(20)의 홀(26)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측방에 에어홀이 형성되어 에어가 배기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에어 마이크로미터와 풀리(20) 사이로 에어가 누기될 때의 배출압을 측정하여 상기 홀(26)의 내경이 공차 범위에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즉, 상기 내경이 공차 범위 이하라면 에어 마이크로미터와 풀리(20) 사이로 원활하게 에어가 누기되므로 배출압이 규정압보다 작을 것이고, 내경이 공차 범위 이상이라면 에어 마이크로미터와 풀리(20) 사이로 원활하게 에어가 누기되지 않으므로 배출압이 규정압보다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상기 홀(26) 공차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게 되는데, 상기 에어 마이크로미터는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와 함께 상기 버 제거부(7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버 제거부(700)는 상기 내경 측정부(30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된 블록(71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블록(710)의 전방면에 상하방을 향하도록 고정된 레일(720)이 구성되며, 상기 레일(720)에 장착된 가이드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에 고정된 승강판(740)과, 상기 승강판(740)의 전면에 고정된 서버모터(75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버모터(75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승강판(740)의 전면에 장착되고 길이 방향이 상하방을 향하고 하단에 상기 풀리(20)의 관통구(28)에 삽입되는 키(763, key)가 돌출된 회전관(760)이 구성된다. 상기 회전관(760)은 승강판(740)에 고정된 하우징(770)에 수용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벨트 풀리 방식에 의해서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블록(710)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판(740)을 상하 왕복시키는 액튜에이터(780)가 구성되는데, 일례로 에어실린더로 구성하고 로드를 상기 승강판(740)에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판(330)이 액튜에이터(340)에 의해서 상기 전방 이송부(20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회전관(760)과 상부 관통구(360)가 대응하도록 상기 블록(710)의 위치가 조정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도 6에서처럼, 상기 삽입부(363)에 풀리(20)가 안착된 상태에서 안내판(330)이 전방 이송부(20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승강판(740)이 액튜에이터(340)에 의해서 하강하게 되고, 상기 회전관(760)이 서버모터(750)에 의해서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회전관(760)이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되므로 키(763)는 자연히 풀리(20)의 관통구(28)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구(28)에 형성된 버(bur)가 하방으로 이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서버모터(750)는 정해진 회수대로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관(760)의 키(763)가 풀리(20)의 관통구(28)를 통과한 시점에서 멈추도록 프로그램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관(760)은 액튜에이터(780)에 의해서 다시 상방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처럼, 버가 제거된 후에 상기 내경 측정부(300)의 액튜에이터(340)는 상기 안내판(330)을 전방 이송부(200) 쪽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원판(400)의 구성을 도 3 및 도 4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원판(40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고정되고 원판(400)의 하방에 배치되는 서버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원판(400)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20)가 안착되도록 구성된 지그(410)가 구성된다.
상기 지그(410)는 상기 풀리(20)의 홀(26)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원판(400)의 상면에 돌출된 삽입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그(410)는 원판(400)의 상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원주 피치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그(410)는 하부에 풀리(20)의 홀(26)에 삽입되는 하부축(413)이 구성되고, 상기 하부축(413)의 상부에는 하부축(413)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베어링(50)이 삽입되는 상부축(411)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버모터는 불연속적으로 회전과 멈춤을 반복하도록 구성된다. 즉, 어느 하나의 지그(410)가 전방 이송부(200)의 하방에서 멈추고 다시 회전하여 상기 베어링 이송부(500)에 대응하는 지점에서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런 식으로 각 장치에서 멈추고 다시 회전하는 작동을 반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 이송부(500)의 구성을 도 8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베어링 이송부(500)는, 상기 전방 이송부(200)를 경계로 해서 상기 내경 측정부(300)의 상대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회전하도록 장착된 회전판(510)이 구성되는데, 메인 프레임(100)에 고정된 서버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판(510)에 상방을 향하도록 고정되어 다수의 베어링(50)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폴(520, pole)이 구성된다. 상기 폴(520)은 회전판(510)의 중심 둘레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각 원주피치는 일정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510)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폴(520)이 통과한 베어링(50)을 상방으로 올리도록 구성된 승강부(530)가 구성되고, 상기 승강부(530)의 측방에 배치되어 상기 베어링(50)을 상기 원판(400)으로 이동시키는 측방 이송부(540)가 구성된다.
상기 폴(520)이 회전판(510)에 장착되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판(510)의 상면에 상기 원주피치를 따라 부착되고 회전판(510)의 외측방으로 돌출된 다수의 받침판(515)이 구성되며, 상기 받침판(515)의 상면에 상기 폴(520)이 고정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폴(520)도 회전판(510)의 외측방 둘레에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받침판(515)의 폭은 베어링(50)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폴(520)의 폭은 받침판(515)의 폭보다 크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승강부(530)는 상기 회전판(510)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단과 하단에 상기 회전판(510)을 향하여 플랜지(532)가 돌출된 지지 프레임(531)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532)에 길이 방향이 상하방을 향하도록 장착되어 회전하는 스크류축(533)이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축(533)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플랜지(532)에 고정된 안내축(534)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축(534)이 통과하고 상기 스크류축(533)에 체결되는 너트(535)가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532) 중 상부의 플랜지(532)에 고정되어 상기 스크류축(533)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서버 모터(537)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너트(535)에 고정되어 상기 폴(520)이 통과한 베어링(50)을 받치도록 구성된 서포터(537)가 구성된다. 상기 서포터(537)는 일례로서 베어링(50)을 받칠 수 있도록 U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베어링 이송부(500)에 가장 근접한 폴(520)이 수용되어 구성된다. 상기 서포터(537)는 내측으로 상기 받침판(515)이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받침판(515)의 하부에서 상승할 때 폴(520)에 끼워진 베어링(50)을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방 이송부(54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지주(541)가 고정되고 상기 지주(541)에 고정되어 길이 방향이 상기 원판(400)을 향하고 일측면이 상기 지지 프레임(531)을 대향하는 지지판(542)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542)의 일측면에 길이 방향이 상기 원판(400)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레일(543)이 구성되고, 상기 레일(543)에 장착되어 왕복하는 가이드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에 장착된 이송판(545)이 구성되며, 상기 이송판(545)에 고정되어 로드(547)가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승강하도록 작동하는 측방 액튜에이터(546)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드(547)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베어링(50)을 파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서포터(537)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핑거(548)가 구성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서포터(537)에 수용된 폴(520)의 중심에 대응하도록 핑거(548)가 배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542)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판(545)을 전후진시키는 메인 액튜에이터(549)가 구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상기 폴(520)에 다수의 베어링(50)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530)의 서버모터(536)가 구동하므로 상기 서포터(537)가 상기 받침판(515)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다수의 폴(520) 중 어느 하나는 서포터(537)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서버모터(536)의 구동에 의해서 너트(535)가 상승하므로 서포터(537)도 상방으로 이송하면서 베어링(50)을 올리게 된다. 이때, 맨 상부의 베어링(50)이 폴(520)의 상단을 벗어나지 않도록 올린 후, 상승을 멈추게 된다.
이때, 상기 측방 이송부(540)의 메인 액튜에이터(549)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이송판(545)은 후진한 상태에서 핑거(548)는 상승된 베어링(50)의 상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측방 액튜에이터(546)의 구동에 의해서 로드(547)가 하강하게 되면 핑거(548)는 베어링(50)의 외측방을 집어서 상승하게 되고, 메인 액튜에이터(549)의 구동에 의해서 이송판(545)이 전진하게 되어 핑거(548)는 원판(400)의 지그(410) 상부에 대향하게 된다. 이때, 지그(410)에는 풀리(20)가 안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측방 액튜에이터(546)의 구동에 의해서 로드(547)가 하강하게 되면 베어링(50)은 지그(410)에 끼워지게 되므로 풀리(2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핑거(548)는 다시 상승하게 되고, 상기 메인 액튜에이터(549)의 구동에 의해서 이송판(545)이 후진하므로 핑거(548)는 베어링(5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서포터(537)가 상승하면서 맨 상부의 베어링(50)은 폴(520)의 상단을 벗어나지 않도록 올리게 된다. 이러한 과정의 반복을 통해서 베어링(50)을 모두 옮기게 되면 서포터(537)를 하강시켜서 받침판(515) 하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510)은 서버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하여, 다음 폴(520)이 상기 핑거(548)의 하방에 대응되도록 하고, 서포터(537)가 상승하면서 상기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베어링 압입부(600)의 구성을 도 9 내지 도 11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방으로 연장되고 지면에서 상방으로 이격된 연장부(613)가 형성된 바디(61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613)의 상단에 지지되고 로드가 하방으로 승강하도록 작동하는 액튜에이터(620)가 구성되는데 일례로 유압 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부(613)의 하방으로 관통하는 것으로서 하단에 플레이트(633)가 연결된 주축(63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주축(630)에 연결되어 상기 풀리(20)의 상부에 안착된 베어링(30)을 가압하는 것으로서, 측방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자동조심이 가능한 압입축(640)이 구성된다.
상기 압입축(640)은, 상기 플레이트(633)의 하면에 하우징(650)이 연결되고,상기 하우징(650)에 지지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축(67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축(670)의 하단에 연결되는 관 형상의 것으로서 내측에 하부가 개방된 중공부(660a)가 형성되어 베어링(30) 가압시 상기 풀리(20)가 안착되는 지그(410)를 일정부분 수용하는 하부축(660)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축(670)과 하우징(650)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축(670)이 수평면상으로 이동되면서 자동조심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축(660)의 중공부(660a) 중 하부 일정부분은 상부측보다 직경이 보다 큰 삽입홈(660b)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660b)의 상부벽면과 중공부(660a)의 내벽면 간이 서로 접하는 중공부(660a) 하단부는 원주를 따라 하방으로 경사진 하부축경사면(660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660b)의 외측은 하부축(660)의 단부 중 돌출되는 부분으로 이러한 삽입홈(660b) 외측 돌출부가 베어링(30)을 가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축(660)에 하단부가 부분 돌출되도록 수용되는 스태킹 핀(680)이 구성되는데, 이러한 상기 스태킹 핀(680)은 상기 삽입홈(660b)의 외측 돌출부 외연에 하부축(660)의 원주를 따라 하단이 돌출되도록 수용 구성된다.
따라서, 하부축(660)의 돌출 하단부가 베어링(30)을 가압하여 베어링(30)이 풀리(20)의 홀(26)에 삽입이 완료될 때 스태킹 핀(680)은 상기 홀(26)의 테두리를 눌러서 스태킹부(29)를 성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태킹부(29)는 스태킹 핀(680)이 홀(26) 테두리를 눌러 일정부분 함몰시킨 부분을 말하며, 이러한 스태킹부(29)의 형성에 따라 함몰부의 재질이 이동되어 베어링(30) 상부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스태킹부(29)의 형성에 의해 압입된 베어링(30)은 상기 풀리(20)의 홀(26)로부터 탈출하기 더욱 힘들어져 베어링(3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태킹 핀(680)은 하부축(660)의 둘레를 따라 다수 개가 원주 방향을 따라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650)은, 판상으로서 상기 플레이트(633)에 연결되는 바디(651)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651)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관통되는 것으로서, 상부홀(653)과 상기 상부홀(653) 보다 폭이 작은 하부홀(654)로 구성된 장착홀(652)이 구성된다. 상기 하부홀(654)의 폭이 상부홀(653)의 것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상부홀(653)과 하부홀(654)의 경계부에 단턱(65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턱(655)의 상면에 홈(656)이 형성되고, 상기 홈(656)에 수용되고 상기 홈(656)의 상방으로 돌출된 베어링 볼(657)이 구성된다.
상기 상부축(670)은 상기 상부홀(653)에 수용되어 상기 베어링 볼(657)에 지지되고 상기 단턱(655)에 걸리는 상판(671)이 구성되며, 상기 상판(671)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홀(654)을 통과하는 축 형상의 네크(67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네크(673)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축(660)에 연결되고 하단에 상기 하부축(660)이 끼워지는 삽입홈(677)이 형성된 상부 블록(675)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블록(675)의 상단에서 하단을 관통하고 상기 삽입홈(677)의 둘레에 배치되는 카운트 보어홀(679)이 구성된다.
상기 하부축(660)은 상기 삽입홈(677)에 끼워지고 상기 스태킹 핀(680)이 원주를 따라 복수개가 수용되며 내측에 중공부(660a)가 형성된 하부블록(662)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블록(662)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상부 블록(675)의 하단에 밀착되는 플랜지(66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663)에 형성되어 상기 카운트 보어홀(679)에 연결되는 관통구(664)가 구성된다.
상기 스태킹 핀(680)은 중공부(660a)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지점에 원주를 따라 복수개가 관통 수용되며, 그 하단부가 하부블록(662) 하부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므로 하부블록(662)의 하단이 베어링(30)을 가압하기 위해 풀리(20)의 홀(26)에 삽입될 때 스태킹 핀(680)이 상기 홀(26)의 테두리를 압축하여 스태킹부(29)를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태킹 핀(680)이 통과하도록 상기 하부블록(662)에는 상하방으로 관통하는 카운트보어홀(H)이 구성되고, 상기 스태킹 핀(680)은 상부에 헤드(683)가 형성되어 카운트보어홀(H)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태킹 핀(680)은 압축 스프링(685)에 끼워진 상태로 카운트보어홀(H)에 삽입되며, 압축 스프링(685)에 의해서 하부블록(662)의 상방으로 상승한 상태에서 베어링(30)을 압입할 때 하부블록(662)이 상부블록(675)의 삽입홈(677)의 상면에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스태킹 핀(680)은 상기 상면에 지지된 상태로 스태킹부(29)를 성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카운트 보어홀(679)을 통해서 상기 관통구(664)로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카운트 보어홀(679)에 걸리는 헤드(666)가 형성된 샤프트(66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665)가 끼워지는 압축 스프링(667)과, 상기 샤프트(665)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블록(662)이 통과하는 링(668)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671)과 상부홀(653), 상기 네크(673)와 하부홀(654) 사이에 갭(669)을 형성하여 상판(671)이 베어링 볼(657)에 지지되어 상기 갭(669)만큼 수평면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축(670)과 하우징(650)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축(670)이 수평면상으로 이동되면서 자동조심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베어링 압입부(600)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원판(400)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20)가 안착되도록 구성된 지그(410)는 상기 풀리(20)의 홀(26)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원판(400)의 상면에 돌출된 삽입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그(410)는 원판(400)의 상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원주 피치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그(410)는 하부에 풀리(20)의 홀(26)에 삽입되는 하부축(413)이 구성되고, 상기 하부축(413)의 상부에는 하부축(413)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베어링(30)이 삽입되는 상부축(411)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축(411)의 상단부는 외측 원주를 따라 하방으로 경사진 지그경사면(411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축(660)의 중공부(660a)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축경사면(660c)은 하강시 상기 지그경사면(411a)과 접하여 지그경사면(411a)의 안내에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하부축경사면(660c)과 지그경사면(411a) 간의 하강 안내와, 하우징(650)과 상부축(670) 간의 유격 및 베어링 볼(657)에 의한 상부축(670) 지지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조심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서버모터는 불연속적으로 회전과 멈춤을 반복하도록 구성된다. 즉, 어느 하나의 지그(410)가 상기 압입기(600)의 하부축(660) 하방에서 멈추고 다시 회전하여 다른 하나의 지그(410)가 상기 압입기(600)의 하부축(660) 하방에서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정지 및 회전 작동을 반복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지그(410)의 하부축(413)이 풀리(20)에 끼워지고, 상부축(411)이 베어링(30)에 삽입되므로 상기 베어링(30)이 풀리(20)의 홀(26) 상단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원판(400)이 회전하여 지그(410)가 상기 압입축(64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원판(400)을 이용한 본원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상기 액튜에이터(620)의 작동에 의해서 로드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주축(630)이 하강하면서 하부축(660)의 링(668)이 풀리(20)를 눌러줘서 베어링(30)을 압입할 때 풀리(20)가 흔들리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압축 스프링(667)에 의해서 링(668)이 풀리(20)에 부딪칠 때 완충 가능하도록 하므로 풀리(20)가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며, 상기 샤프트(665)는 링(668)의 승강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하부블록(662)의 돌출되는 하단부가 베어링(30)의 상단을 압입하게 되어 베어링(30)은 풀리(20)의 홀(26)에 삽입된다. 이때, 하부블럭(662)의 돌출되는 하단부가 홀(26)에 유입되면서 스태킹 핀(680)은 홀(26) 외측의 상단 테두리를 누르게 되므로 스태킹부(29)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태킹부(29)는 홀(26)의 외측 상단 테두리가 스태킹 핀(680)에 의해 눌러지면서 베어링(30)의 상단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베어링(30)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스태킹부(29)가 성형된 후 액튜에이터(620)의 작동에 의해서 로드는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압입축(640)은 베어링(30)의 상방으로 이탈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원판(400)의 회전에 의해서 지그(410)가 압입축(640)의 하부에 위치할 때, 지그(410)와 압입축(640)의 중심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경우는 드물다. 따라서, 도 12에서처럼, 압입축(640)과 지그(410)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하부축(660)의 하부축경사면(660c)이 풀리(20)가 안착된 지그(410)의 지그경사면(411a)에 의해 자연스럽게 안내되어 자동조심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판(671)이 수평면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 볼(657)에 의해서 지지되는 구성 외에도 상기 상판(671)과 상부홀(653), 상기 네크(673)와 하부홀(654) 사이에 형성된 갭(669)으로 인해서 가능하다. 따라서, 하부블럭(662)는 용이하게 홀(26)에 수용되면서 스태킹부(29)의 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깊이 측정부(800)의 구성을 도 14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깊이 측정부(800)는, 상기 베어링 압입부(600)와 상기 원판(400)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지주(81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주(810)에 고정되고 상기 원판(400)을 대향하는 지지판(820)이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820)의 전면(원판을 향하는 면)에 상하방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레일(830)이 구성되며, 상기 레일(830)에 장착되는 가이드(84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840)에 고정되어 상기 원판(400)의 상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지그(410)에 대응되는 브래킷(85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85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판(820)에 장착되어 로드(865)가 상기 브래킷(850)에 장착되고 상기 로드(865)가 승강하도록 작동하는 액튜에이터(860)가 구성된다. 상기 액튜에이터(860)는 일례로 에어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850)에 장착되고 상기 지그(410)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하우징(870)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870)을 관통하고 하단부가 상기 풀리(20)의 스태킹부(29)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게이지 샤프트(880)가 구성된다. 상기 게이지 샤프트(880)는 관 형상으로서 풀리(20)의 홀(26) 지름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스태킹부(29)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870)은 상하방으로 통과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에 상기 게이지 샤프트(880)가 삽입되어 구성되고 상기 게이지 샤프트(880)는 상단부에 폭이 확장된 헤드(885)가 형성되어 관통구에 걸리도록 구성하므로 게이지 샤프트(880)가 하방으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브래킷(850)에 장착되고 상기 게이지 샤프트(880)의 상부 즉 상기 헤드(885)의 상부에 배치되는 디지털 인디케이터(89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890)로부터 입력된 측정값을 전송받아서 불량여부를 감지하는 제어부가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890)와 액튜에이터(860)에 연계되어 인디케이터(890)가 터치되는 순간 측정값을 전송받고 상기 액튜에이터(860)의 로드(865)를 상승시켜서 게이지 샤프트(880)가 풀리(20)로부터 상승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 압입부(600)에 의해서 베어링(50)이 압입된 풀리(20)가 상기 원판(40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깊이 측정부(800)의 게이지 샤프트(88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게이지 샤프트(880)와 지그(410)의 중심은 상호 공차범위 내에서 일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액튜에이터(860)의 구동에 의해서 로드(865)가 하강하게 되면 게이지 샤프트(880)의 하단이 풀리(20)의 스태킹부(29)에 접촉하게 되고, 지그(410)는 관 형상의 게이지 샤프트(880) 내부로 수용된다. 이때, 상기 게이지 샤프트(880)가 상승하면서 디지털 인디케이터(890)에 닿는 순간의 측정값이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고 이때 제어부는 상기 액튜에이터에 전기신호를 전송하여 게이지 샤프트(880)를 상승시키도록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디지털 인디케이터(890)의 높이는 풀리(20)의 외측면(29)을 제로(zero) 점으로 인식하고 상승한 상태로서 스태킹부(29)에 닿는 순간, 상기 외측면(29)에서의 높이를 측정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베어링(50)이 풀리(20)의 홀(26) 내부에 충분히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계되어 불량 여부를 출력하여 알리게 된다.
상기 후방 이송부(900)의 구성을 도 15 및 도 16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후방 이송부(90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지주(901)가 고정되고, 상기 지주(901)에 고정되어 길이 방향이 상기 원판(400)에서 후방을 향하고 일측면이 상기 깊이 측정부(800)를 대향하는 지지판(902)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902)의 일측면에 길이 방향이 상기 원판(400)에서 후방을 향하도록 레일(903)이 고정되고, 상기 레일(903)에 장착되어 왕복하는 가이드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에 이송판(906)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이송판(906)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지지판(902)에 고정된 메인 액튜에이터(920)가 구성된다. 상기 메인 액튜에이터(920)는 일례로서 서버모터(921)와 상기 서버모터(921)에 연결된 스크류축(923)과 상기 스크류축(923)에 체결되어 상기 이송판(906)에 고정된 너트(925)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버모터(921)의 정역 회전에 의해서 스크류축(923)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이송판(906)은 전후방으로 왕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판(906)에 고정되어 로드가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승강하도록 작동하는 제1액튜에이터(907)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드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20)를 파지하는 제1핑거(909)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액튜에이터(907)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송판(906)에 고정되어 로드가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승강하도록 작동하는 제2액튜에이터(910)가 구성되고, 상기 로드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20)를 파지하는 제2핑거(912)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액튜에이터(91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송판(906)에 고정되어 로드가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승강하도록 작동하는 제3액튜에이터(915)가 구성되고, 상기 로드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20)를 파지하는 제3핑거(919)가 구성된다.
상기 제1액튜에이터(907), 제2액튜에이터(910), 제3액튜에이터(915)는 일례로서 에어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액튜에이터(920)의 구동에 의해서 이송판(906)이 전진한 상태에서 제1핑거(909)는 상기 깊이 측정부(800)를 거친 풀리(20) 즉 상기 풀리(20)가 장착된 지그(410)에 대응하게 되고, 상기 제2핑거(912)는 상기 진동 측정부(1000), 상기 제3핑거(919)는 상기 방청유 도포부(1100)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메인 액튜에이터(920)의 구동에 의해서 이송판(906)이 후진하게 되면 제1핑거(909), 제2핑거(912), 제3핑거(919)가 각각 진동 측정부(1000), 방청유 도포부(1100), 양품 배출 컨베이어(1300)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진동 측정부(1000)의 구성을 도 15 및 도 16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진동 측정부(1000)는 상기 제2핑거(912)의 하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핑거(912)에 대응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1001)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1)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풀리(20)의 홀(26)에 삽입되는 회전축(1003)이 구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1001)은 상방으로 개방된 용기(容器) 형상으로서 베어링이 삽입되고 상기 베어링에 상기 회전축(1003)이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003)은 풀리(20)의 외측면(29)을 받치는 플랜지(100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003)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하우징(1001)의 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된 모터(1005)가 구성된다. 상기 모터(1005)는 상기 회전축(1003)에 기어구동방식 또는 벨트구동방식에 의해서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지지된 폴(1009, pole)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1003)이 끼워지는 상기 풀리(20)에 접하는 디지털 인디케이터(1007)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원판(40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깊이 측정부(800)를 거친 풀리(20)가 상기 후방 이송부(900)의 지지판(902) 하방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메인 액튜에이터(920)에 의해서 상기 이송판(906)은 원판(400) 쪽으로 전진한 상태가 된다. 이때, 제1액튜에이터(907)의 로드는 상승한 상태에서 제1핑거(909)의 하방에 풀리(20)가 배치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제1액튜에이터(907)의 구동에 의해서 제1핑거(909)가 하강하여 풀리(20)를 파지한 후, 상기 제1액튜에이터(907)의 구동에 의해서 제1핑거(909)가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메인 액튜에이터(920)의 구동에 의해서 이송판(906)은 후진하게 되고, 제1핑거(909)는 상기 진동 측정부(1000)의 회전축(1003)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액튜에이터(907)의 구동에 의해서 제1핑거(909)가 하강하므로 풀리(20)의 홀(26)에 상기 회전축(1003)이 끼워지게 되므로 상기 플랜지(1005)에 풀리(20)가 안착된 상태가 된다.
그러면, 상기 제1핑거(909)는 풀리(20)의 홀딩 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제1액튜에이터(907)의 구동에 의해서 제1핑거(909)는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메인 액튜에이터(920)의 구동에 의해서 이송판(906)은 전방으로 이송하게 된다. 그러면, 다시 제1핑거(909)는 원판(400) 상부에 위치한 지그(410)에 대응하게 되고, 제2핑거(912)는 상기 진동 측정부(1000)의 회전축(1003)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3핑거(919)는 상기 방청유 도포부(1100)의 상부에 대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모터(1005)를 작동시키므로 상기 회전축(1003)이 회전하게 되므로 풀리(20)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풀리(20) 자체의 중량에 의해서 플랜지(1005)와의 슬립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인디케이터(1007)는 풀리(20)에 터치한 상태이므로 풀리(20)의 회전에 방해가 될 정도로 마찰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인디케이터(1007)에는 제어부가 연계되므로 풀리(20)의 진원 여부를 측정하게 된다. 만약 진원이 아닌 경우(불량인 경우)에는 상기 모터(1005)의 구동을 멈추게 하고 제2핑거(912)가 하강하도록 상기 제2액튜에이터(910)를 작동시키고 제2핑거(912)를 풀리(20)를 홀딩한 후 제2액튜에이터(910)의 작동에 의해서 제2핑거(912)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상기 메인 액튜에이터(920)의 구동에 의해서 이송판(906)을 후진시켜서 제2핑거(912)가 상기 불량 배출 컨베이어(12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제2액튜에이터(910)의 작동에 의해서 제2핑거(912)를 하강시키고 홀딩 상태를 해제한 후, 다시 상승하도록 한다. 그러면, 풀리(20)는 불량 배출 컨베이어(1200)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불량 배출 컨베이어(1200)를 구동시켜서 풀리(20)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제1액튜에이터(907)와 제3액튜에이터(915)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불량 풀리(20)가 배출된 후, 메인 액튜에이터(920)의 구동에 의해서 이송판(906)은 다시 전진하여 제1핑거(909), 제2핑거(912), 제3핑거(919)는 각각 진동 측정부(1000), 방청유 도포부(1100), 양품 배출 컨베이어(1300)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만약, 상기 제어부가 풀리(20)의 진원을 확인하게 되면, 제1액튜에이터(907), 제2액튜에이터(910), 제3액튜에이터(915)는 각각 제1핑거(909), 제2핑거(912), 제3핑거(919)를 하강시켜서 풀리(20)를 홀딩하도록 한 후, 다시 상승시킨다. 그리고, 메인 액튜에이터(920)에 의해서 이송판(906)을 후진시키므로 제1핑거(909), 제2핑거(912), 제3핑거(919)는 각각 진동 측정부(1000), 방청유 도포부(1100), 양품 배출 컨베이어(1300)에 대응되고 상기 제1액튜에이터(907), 제2액튜에이터(910), 제3액튜에이터(915)의 구동에 의해서 제1핑거(909), 제2핑거(912), 제3핑거(919)를 하강시켜서 홀딩상태를 해제하므로 각각의 풀리(20)가 진동 측정부(1000), 방청유 도포부(1100), 양품 배출 컨베이어(1300)에 안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방청유 도포부(1100)의 구성을 도 15 및 도 16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방청유 도포부(110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개방된 용기(容器) 형상의 바디(1110)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1110)의 측방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1110) 내부로 방청유를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펌프(1120)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 측정부(1000)에 안착된 풀리(20)가 양품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2핑거(912)에 의해서 상기 방청유 도포부(1100)에 안착된다. 그리고, 제2핑거(912)는 상승하여 전방으로 이송하게 되고 상기 방청유 도포부(1100)에 안착된 풀리(20)의 상부에는 제3핑거(919)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3핑거(919)가 상기 풀리(20)를 파지하여 상기 양품 배출 컨베이어(1300)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풀리(20)는 착색된 상태에서 디스크(27)의 외측면(29)이 절삭되므로 상기 외측면(29)이 방청유 도포부(1100)에 안착되므로 부식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90)의 각 구성은 피엘씨(PLC) 또는 씨피유(CPU)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9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처럼, 구동하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1400)에 상기 풀리(20)를 올려놓는다. 이때, 풀리(20)는 디스크(27)의 외측면(29)이 상방을 향하도록 하여 올려놓는다. 그러면, 공급 컨베이어(1400)의 구동에 의해서 풀리(20)는 전방으로 이송되고 공급 컨베이어(1400)의 후방단부에 장착된 근접센서가 풀리(20)가 근접한 것을 감지하게 되면 공급 컨베이어(1400)는 구동을 멈추게 된다.
이때, 풀리(20)는 양측의 위치조정블록(1430) 사이에 배치하게 되고, 상기 액튜에이터(1410)를 작동시켜서 양측 위치조정블록(1430)이 풀리(20)를 압박하도록 하면 풀리(20)가 위치조정블록(1430)의 센터에 위치하지 않아도 풀리(20)는 자연히 오목부(1433)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조정블록(1430)의 센터가 풀리(20)의 정지 포인트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정지 포인트를 후술하는 전방 이송부(200)의 전방 핑거(270)가 하강하는 지점과 대응하므로 풀리(20)를 용이하게 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조정블록(1430)에 의해서 풀리(20)가 홀딩되고 상기 이송판(250)이 전방으로 이송한 후 상기 전방 핑거(270)가 하강하여 상기 풀리(20)를 홀딩한다. 이때, 위치조정블록(1430)은 액튜에이터(1410)에 의해서 양 측방으로 벌어지므로 홀딩 상태를 해제하도록 한다. 이렇게 해서 풀리(20)가 전방 핑거(270)에 홀딩 되면 전방 액튜에이터(260)는 전방 핑거(270)를 상승시키게 되고, 이송판(250)은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풀리(20)는 상기 내경 측정부(300)의 삽입부(363)에 대응하게 되고 전방 액튜에이터(260)의 구동에 의해서 전방 핑거(270)가 하강하므로 풀리(20)의 외륜(21)과 내륜(25) 사이에 상기 삽입부(363)가 끼워지게 되어 풀리(20)는 상기 내경 측정부(300)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그러고나서, 상기 전방 핑거(270)는 홀딩 상태를 해제한 후 다시 상승하게 되고, 이송판(250)은 전방을 이송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풀리(20)는 내경 측정부(300)에 의해서 내경을 측정 받게 되고 상기 버 제거부(700)를 통해서 버(bur)도 제거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공급 컨베이어(1400)를 통해서 풀리(20)가 공급되면 상기 기재한 것처럼 정지 포인트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이송판(250)이 전방으로 이송한 후 상기 전방 핑거(270)와 후방 핑거(290)가 하강하여 각각 풀리(20)를 홀딩한다. 이때, 위치조정블록(1430)은 액튜에이터(1410)에 의해서 양측방으로 벌어지므로 홀딩 상태를 해제하도록 한다. 이렇게 해서 풀리(20)가 홀딩 되면 전방 액튜에이터(260)와 후방 액튜에이터(280)는 각각 전방 핑거(270)와 후방 핑거(290)를 상승시키게 되고, 이송판(250)은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도 4에서처럼, 각각의 풀리(20)는 후술하는 내경 측정부(300)의 삽입부(363)와 원판(400)의 지그(410)에 대응하게 되고, 전방 액튜에이터(260)와 후방 액튜에이터(280)의 구동에 의해서 전방 핑거(270)와 후방 핑거(290)가 하강하게 되는데, 후방 핑거(290)는 상기 서버모터(289)의 구동에 의해서 180도 회전하게 되므로 풀리(20)의 디스크(27) 외측면(29)이 하방을 향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전방 핑거(270)와 후방 핑거(290)가 하강한 후 홀딩 상태를 해제하게 되므로 상기 삽입부(363)와 지그(410)에 풀리(20)가 각각 안착된 상태가 된다. 그러고나서, 상기 전방 핑거(270)와 후방 핑거(290)는 다시 상승하게 되고 이송판(250)은 전방으로 복귀하므로 다음 풀리(20)의 이송을 준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후방 핑거(290)는 역방향으로 180도 회전하여 다음 파지를 준비할 수도 있고, 역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다음 파지를 준비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는 후방 핑거(290)가 정역 방향을 반복하게 되고 후자는 일정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서 작업을 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상기 공급 컨베이어(1400)에서 내경 측정부(300)로 풀리(20)가 공급되면, 상기 삽입부(363)가 풀리(20)의 외륜(21)과 내륜(25)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에어 마이크로미터인 상기 내경 측정기(370)가 에어실린더(380)의 구동에 의해서 상승하여, 도 5에서처럼, 풀리(20)의 홀(26)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내경 측정기(370)의 측방으로 에어가 배기되어 상기 내경 측정기(370)와 풀리(20)의 홀(26) 사이로 에어가 누기될 때의 배출압을 측정하여 상기 홀(26)의 내경이 공차 범위에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즉, 상기 내경이 공차 범위 이하라면 에어 마이크로미터와 풀리(20) 사이로 원활하게 에어가 누기되므로 배출압이 규정압보다 작을 것이고, 내경이 공차 범위 이상이라면 에어 마이크로미터와 풀리(20) 사이로 원활하게 에어가 누기되지 않으므로 배출압이 규정압보다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상기 홀(26) 공차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양불량 여부는 상기 내경 측정기(370)에 접속된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통해서 공지하게 되며, 상기 내경 측정기(370)는 에어 실린더(380)의 구동에 의해서 다시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서처럼, 상기 삽입부(363)에 풀리(20)가 안착된 상태에서 안내판(330)이 전방 이송부(20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승강판(740)이 액튜에이터(340)에 의해서 하강하게 되고, 상기 회전관(760)이 서버모터(750)에 의해서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회전관(760)이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되므로 키(763)는 자연히 풀리(20)의 관통구(28)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구(28)에 형성된 버(bur)가 하방으로 이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서버모터(750)는 정해진 회수대로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관(760)의 키(763)가 풀리(20)의 관통구(28)를 통과한 시점에서 멈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관(760)은 액튜에이터(780)에 의해서 다시 상방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버가 제거된 후에 상기 내경 측정부(300)의 액튜에이터(340)는 상기 안내판(330)을 전방 이송부(200) 쪽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이송부(200)의 후방 핑거(290)에 의해서 상기 원판(400)의 지그(410)에 풀리(20)가 뒤집어진 상태로 장착된다. 즉, 샤프트 형상의 지그(410)가 상기 풀리(20)의 홀(26)에 삽입되고, 풀리(20)는 디스크(27)가 하방을 향하게 되고 개방부는 상방을 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판(400)은 회전하여 풀리(20)가 장착된 지그(410)가 베어링 이송부(500)의 측방 이송부(540)의 하방에 위치하게 되면 멈추게 된다. 이처럼, 상기 원판(400)은 내경 측정부(300), 베어링 이송부(500), 베어링 압입부(600), 깊이 측정부(800), 후방 이송부(900) 순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각 지점에서는 작업을 위해서 멈추게 된다. 즉, 상기 각 지점에서 작업이 종료되면 다음 지점으로 이송하도록 회전하게 되어, 회전과 멈춤을 반복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상기 내경 측정부(300)를 거친 풀리(20)는 원판(40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베어링 이송부(500)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베어링 이송부(500)는 도 8에서처럼, 각각의 상기 폴(520)에 다수의 베어링(50)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530)의 서버모터(536)가 구동하므로 상기 서포터(537)가 상기 받침판(515)의 하방에 위치하게 되고, 다수의 폴(520) 중 어느 하나는 서포터(537)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서버모터(536)의 구동에 의해서 너트(535)가 상승하므로 서포터(537)도 상방으로 이송하면서 베어링(50)을 올리게 된다. 이때, 맨 상부의 베어링(50)이 폴(520)의 상단을 벗어나지 않도록 올린 후, 상승을 멈추게 된다.
이때, 상기 측방 이송부(540)의 메인 액튜에이터(549)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이송판(545)은 후진한 상태에서 핑거(548)는 상승된 베어링(50)의 상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측방 액튜에이터(546)의 구동에 의해서 로드(547)가 하강하게 되면 핑거(548)는 베어링(50)의 외측방을 집어서 상승하게 되고, 메인 액튜에이터(549)의 구동에 의해서 이송판(545)이 전진하게 되어 핑거(548)는 원판(400)의 지그(410) 상부에 대향하게 된다. 이때, 지그(410)에는 풀리(20)가 안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측방 액튜에이터(546)의 구동에 의해서 로드(547)가 하강하게 되면 베어링(50)은 지그(410)에 끼워지게 되므로 풀리(2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핑거(548)는 다시 상승하게 되고, 상기 메인 액튜에이터(549)의 구동에 의해서 이송판(545)이 후진하므로 핑거(548)는 베어링(5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서포터(537)가 상승하면서 맨 상부의 베어링(50)은 폴(520)의 상단을 벗어나지 않도록 올리게 된다. 이러한 과정의 반복을 통해서 베어링(50)을 모두 옮기게 되면 서포터(537)를 하강시켜서 받침판(515) 하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510)은 서버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하여, 다음 폴(520)이 상기 핑거(548)의 하방에 대응되도록 하고, 서포터(537)가 상승하면서 상기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베어링(50)이 지그(410)에 장착되면 풀리(2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가 되고, 풀리(20)의 홀(26)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원판(400)이 회전하여 지그(410)가 상기 베어링 압입부(600)의 하방에 위치하게 되면, 도 10에서처럼, 상기 원판(400)의 지그(410)가 풀리(20)와 베어링(5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액튜에이터(620)의 작동에 의해서 로드(625)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주축(630)이 하강하면서 하부축(660)의 링(668)이 풀리(20)를 눌러줘서 베어링(50)을 압입할 때 풀리(20)가 흔들리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압축 스프링(667)에 의해서 링(668)이 풀리(20)에 부딪칠 때 완충 가능하도록 하므로 풀리(20)가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며, 상기 샤프트(665)는 링(668)의 승강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하부블록(662)의 하단 돌출부가 베어링(50)의 상단을 압입하게 되어 베어링(50)은 풀리(20)의 홀(26)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하부블록(662)의 하단 돌출부가 홀(26)에 유입되면서 스태킹 핀(680)은 홀(26)의 상단 내측을 누르게 되므로 도 11 및 도 13에서처럼, 스태킹부(29)가 형성된다.
상기 스태킹부(29)는 홀(26)의 외측 상단부가 스태킹 핀(680)에 의해 눌러지면서 베어링(50)의 상단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베어링(50)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스태킹부(29)가 성형된 후 액튜에이터(620)의 작동에 의해서 로드(625)는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압입축(640)은 베어링(50)의 상방으로 이탈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원판(400)의 회전에 의해서 지그(410)가 압입축(640)의 하부에 위치할 때, 지그(410)와 압입축(640)의 중심이 정확하게 일치할 수 없다. 따라서, 도 12에서처럼, 하부축(660)과 풀리(20)의 각 중심이 서로 편심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하부축(660)의 중공부(660a)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축경사면(660c)은 지그(410)의 상부축(411)에 형성되는 지그경사면(411a)에 안내되어 자동조심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축(670)의 상판(671)이 상기 베어링 볼(657)에 안내되어 수평면상으로 이송하므로 하부축(660)의 중심은 상기 홀(26)의 중심과 일치하게 된다. 이처럼, 상판(671)이 수평면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은 상기 베어링 볼(657)에 의해서 지지되는 구성 외에도 상기 상판(671)과 상부홀(653), 상기 네크(673)와 하부홀(654) 사이에 형성된 갭(669)으로 인해서 가능하다. 따라서, 삽입부(661)는 용이하게 홀(26)에 수용되면서 스태킹부(29)의 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베어링(50)이 풀리(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원판(400)이 회전하여 상기 깊이 측정부(800)의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깊이 측정부(800)에서는 풀리(20)에 베어링(50)이 제대로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액튜에이터(860)의 구동에 의해서 로드(865)가 하강하게 되면 게이지 샤프트(880)의 하단이 풀리(20)의 스태킹부(29)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게이지 샤프트(880)가 상승하면서 디지털 인디케이터(890)에 닿는 순간의 측정값이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고 이때 제어부는 상기 액튜에이터에 전기신호를 전송하여 게이지 샤프트(880)를 상승시키도록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디지털 인디케이터(890)의 높이는 풀리(20)의 외측면(29)을 제로(zero) 점으로 인식하고 상승한 상태로서 스태킹부(29)에 닿는 순간, 상기 외측면(29)에서의 높이를 측정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베어링(50)이 풀리(20)의 홀(26) 내부에 충분히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계되어 불량 여부를 출력하여 알리게 된다.
이렇게 해서 풀리(20)에 베어링(50)이 삽입된 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원판(400)의 회전에 의해 베어링(50)이 삽입된 풀리(20)는 상기 후방 이송부(900)의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5 및 도 16에서처럼, 상기 메인 액튜에이터(920)의 구동에 의해서 이송판(906)이 전진한 상태에서 제1핑거(909)는 상기 깊이 측정부(800)를 거친 풀리(20) 즉 상기 풀리(20)가 장착된 지그(410)에 대응하게 되고, 상기 제2핑거(912)는 상기 진동 측정부(1000), 상기 제3핑거(919)는 상기 방청유 도포부(1100)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메인 액튜에이터(920)의 구동에 의해서 이송판(906)이 후진하게 되면 제1핑거(909), 제2핑거(912), 제3핑거(919)가 각각 진동 측정부(1000), 방청유 도포부(1100), 양품 배출 컨베이어(1300)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원판(40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깊이 측정부(800)를 거친 풀리(20)가 상기 후방 이송부(900)의 지지판(902) 하방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메인 액튜에이터(920)에 의해서 상기 이송판(906)은 원판(400) 쪽으로 전진한 상태가 된다. 이때, 제1액튜에이터(907)의 로드는 상승한 상태에서 제1핑거(909)의 하방에 풀리(20)가 배치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제1액튜에이터(907)의 구동에 의해서 제1핑거(909)가 하강하여 풀리(20)를 파지한 후, 상기 제1액튜에이터(907)의 구동에 의해서 제1핑거(909)가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메인 액튜에이터(920)의 구동에 의해서 이송판(906)은 후진하게 되고, 제1핑거(909)는 상기 진동 측정부(1000)의 회전축(1003)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액튜에이터(907)의 구동에 의해서 제1핑거(909)가 하강하므로 풀리(20)의 홀(26)에 상기 회전축(1003)이 끼워지게 되므로 상기 플랜지(1005)에 풀리(20)가 안착된 상태가 된다.
그러면, 상기 제1핑거(909)는 풀리(20)의 홀딩 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제1액튜에이터(907)의 구동에 의해서 제1핑거(909)는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메인 액튜에이터(920)의 구동에 의해서 이송판(906)은 전방으로 이송하게 된다. 그러면, 다시 제1핑거(909)는 원판(400) 상부에 위치한 지그(410)에 대응하게 되고, 제2핑거(912)는 상기 진동 측정부(1000)의 회전축(1003)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3핑거(919)는 상기 방청유 도포부(1100)의 상부에 대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모터(1005)를 작동시키므로 상기 회전축(1003)이 회전하게 되어 풀리(20)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풀리(20) 자체의 중량에 의해서 플랜지(1005)와의 슬립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인디케이터(1007)는 풀리(20)에 터치한 상태이므로 풀리(20)의 회전에 방해가 될 정도로 마찰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인디케이터(1007)에는 제어부가 연계되므로 풀리(20)의 진원 여부를 측정하게 된다. 만약 진원이 아닌 경우(불량인 경우)에는 상기 모터(1005)의 구동을 멈추게 하고 제2핑거(912)가 하강하도록 상기 제2액튜에이터(910)를 작동시키고 제2핑거(912)를 풀리(20)를 홀딩한 후 제2액튜에이터(910)의 작동에 의해서 제2핑거(912)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상기 메인 액튜에이터(920)의 구동에 의해서 이송판(906)을 후진시켜서 제2핑거(912)가 상기 불량 배출 컨베이어(12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제2액튜에이터(910)의 작동에 의해서 제2핑거(912)를 하강시키고 홀딩 상태를 해제한 후, 다시 상승하도록 한다. 그러면, 풀리(20)는 불량 배출 컨베이어(1200)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불량 배출 컨베이어(1200)를 구동시켜서 풀리(20)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제1액튜에이터(907)와 제3액튜에이터(915)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불량 풀리(20)가 배출된 후, 메인 액튜에이터(920)의 구동에 의해서 이송판(906)은 다시 전진하여 제1핑거(909), 제2핑거(912), 제3핑거(919)는 각각 진동 측정부(1000), 방청유 도포부(1100), 양품 배출 컨베이어(1300)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만약, 상기 제어부가 풀리(20)의 진원을 확인하게 되면, 제1액튜에이터(907), 제2액튜에이터(910), 제3액튜에이터(915)는 각각 제1핑거(909), 제2핑거(912), 제3핑거(919)를 하강시켜서 풀리(20)를 홀딩하도록 한 후, 다시 상승시킨다. 그리고, 메인 액튜에이터(920)에 의해서 이송판(906)을 후진시키므로 제1핑거(909), 제2핑거(912), 제3핑거(919)는 각각 진동 측정부(1000), 방청유 도포부(1100), 양품 배출 컨베이어(1300)에 대응되고 상기 제1액튜에이터(907), 제2액튜에이터(910), 제3액튜에이터(915)의 구동에 의해서 제1핑거(909), 제2핑거(912), 제3핑거(919)를 하강시켜서 홀딩상태를 해제하므로 각각의 풀리(20)가 진동 측정부(1000), 방청유 도포부(1100), 양품 배출 컨베이어(1300)에 안착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진동 측정부(1000)에 안착된 풀리(20)가 양품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2핑거(912)에 의해서 상기 방청유 도포부(1100)에 안착된다. 그리고, 제2핑거(912)는 상승하여 전방으로 이송하게 되고 상기 방청유 도포부(1100)에 안착된 풀리(20)의 상부에는 제3핑거(919)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3핑거(919)가 상기 풀리(20)를 파지하여 상기 양품 배출 컨베이어(1300)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풀리(20)는 착색된 상태에서 디스크(27)의 외측면(29)이 절삭되므로 상기 외측면(29)이 방청유 도포부(1100)에 안착되므로 부식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베어링 압입 시스템(90)은, 각 공정의 무인 자동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수의 작업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생산 코스트가 저렴해지고 생산 속도가 향상되어 생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각 공정이 상기 공급 컨베이어(1400), 원판(400), 불량 배출 컨베이어(1200), 양품 배출 컨베이어(1300)를 통해서 이루어지므로 배경기술처럼 각 공정별로 대차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풀리(20)의 홀(26) 내경 및 진동 여부(진원 여부)를 검사할 때 내경 측정부(300)와 진동 측정부(1000)를 통해서 자동을 이루어지므로 숙련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확하게 양품과 불량품을 구분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90: 베어링 압입 시스템 100: 메인 프레임
200: 전방 이송부 203: 메인 액튜에이터
205: 로드 210: 지주
220: 지지판 230: 레일
240: 가이드 250: 이송판
260: 전방 액튜에이터 263: 로드
265: 가이드축 267: 안내블록
270: 전방핑거 280: 후방 액튜에이터
283: 로드 285: 가이드 축
287: 안내블록 288: 브래킷
289: 서버모터 290: 후방핑거
300: 내경 측정부 310: 받침대
311: 레일 320: 가이드
330: 안내판 340: 액튜에이터
350: 하부 관통구 360: 상부 관통구
363: 삽입부 370: 내경 측정기
380: 에어실린더 400: 원판
410: 지그 500: 베어링 이송부
510: 회전판 515: 받침판
520: 폴 530: 승강부
531: 지지 프레임 532: 플랜지
533: 스크류축 534: 안내축
535: 너트 536: 서버모터
537: 서포터 540: 측방 이송부
541: 지주 542: 지지판
543: 레일 544: 가이드
545: 이송판 546: 측방 액튜에이터
547: 로드 548: 핑거
549: 메인 액튜에이터 600: 베어링 삽입부
610: 바디 613: 연장부
620: 액튜에이터 625: 로드
630: 주축 633: 플레이트
640: 압입축 650: 하우징
651: 바디 652: 장착홀
653: 상부홀 654: 하부홀
655: 단턱 656: 홈
657: 베어링 볼 660: 하부축
661: 삽입부 662: 하부블록
663: 플랜지 664: 관통구
665: 샤프트 666: 헤드
667: 압축스프링 668: 링
669: 갭 670: 상부축
671: 상판 673: 네크
675: 상부블록 677: 삽입홈
679: 카운트 보어홀 680: 스태킹 핀
683: 헤드 685: 압축스프링
H: 카운트 보어홀 700: 버 제거부
710: 블록 720: 레일
730: 가이드 740: 승강판
750: 서버모터 760: 회전관
763: 키 770: 하우징
780: 엑튜에이터 783: 로드
800: 깊이 측정부 810: 지주
820: 지지판 830: 레일
840: 가이드 850: 브래킷
860: 액튜에이터 865: 로드
870: 하우징 880: 게이지 샤프트
885: 헤드 890: 디지털 인디케이트
900: 후방 이송부 901: 지주
902: 지지판 903: 레일
905: 가이드 906: 이송판
907: 제1액튜에이터 908: 로드
909: 제1핑거 910: 제2액튜에이터
911: 로드 912: 제2핑거
915: 제3액튜에이터 917: 로드
919: 제3핑거 920: 메인 액튜에이터
921: 서버모터 923: 스크류축
925: 너트 1000: 진동 측정부
1001: 하우징 1003: 회전축
1005: 플랜지 1005: 모터
1007: 디지털 인디케이터 1009: 폴
1100: 방청유 도포부 1110: 바디
1120: 펌프 1200: 불량 배출 컨베이어
130: 양품 배출 컨베이어

Claims (26)

  1. 지지 기능을 하는 테이블 형상의 메인 프레임(10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장착되어 후술하는 내경 측정부(300)와 원판(400)으로 풀리(20)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전방 이송부(200)와,
    상기 전방 이송부(200)로부터 풀리(20)를 공급받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장착되고, 공급된 풀리(20)의 홀(26) 내경을 검사하도록 구성된 내경 측정부(300)와,
    상기 내경 측정부(300)에 안착된 풀리(20)가 상기 전방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어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 원판(400)과,
    상기 원판(400)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상기 원판(400)에 안착된 풀리(20)에 베어링(50)을 올려놓도록 구성된 베어링 이송부(500)와,
    상기 원판(400)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상기 풀리(20)에 올려진 베어링(50)을 압입하도록 구성된 베어링 압입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 측정부(300)에 안착된 풀리(20)의 버(bur)를 제거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버 제거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400)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상기 베어링 압입부(600)를 거친 상기 풀리(20)에 베어링(50)이 삽입된 깊이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깊이 측정부(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400)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상기 깊이 측정부(800)를 거친 상기 풀리(20)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후방 이송부(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이송부(900)의 하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상기 원판(400)에 안착된 상기 풀리(20)를 상기 후방 이송부(900)에 의해서 공급받아, 상기 풀리(20)가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 여부를 검사하도록 구성된 진동 측정부(1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이송부(900)의 하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상기 진동 측정부(1000)에 안착된 상기 풀리(20)를 상기 후방 이송부(900)에 의해서 공급받아, 방청유를 도포하도록 구성된 방청유 도포부(1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7. 제1항에서 제6항까지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이송부(20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된 지주(210)와,
    상기 지주(210)에 고정되어 길이 방향이, 전방에서 상기 원판(400)을 향하고 일측면이 상기 내경 측정부(300)를 대향하는 지지판(220)과,
    상기 지지판(220)의 일측면에 길이 방향이 상기 원판(400)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레일(230)과,
    상기 레일(230)에 장착되어 왕복하는 가이드(240)와,
    상기 가이드(240)에 장착된 이송판(250)과,
    상기 이송판(250)에 고정되어 로드(263)가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승강하도록 작동하는 전방 액튜에이터(260)와,
    상기 로드(263)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20)를 파지하는 전방 핑거(270)와,
    상기 전방 액튜에이터(26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송판(25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로드(283)가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승강하도록 작동하는 후방 액튜에이터(280)와,
    상기 로드(283)의 하단에 고정되는 브래킷(288)과,
    상기 브래킷(288)에 장착되어 회전축이 관통하는 서버모터(289)와,
    상기 서버모터(289)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브래킷(288)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20)를 파지하도록 구성된 후방 핑거(290)와,
    상기 지지판(220)에 고정되고 상기 이송판(250)을 전후진시키는 메인 액튜에이터(203)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220)은 상기 원판(400)의 상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전방 핑거(270)와 후방 핑거(290)의 하부에 상기 내경 측정부(30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 측정부(30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테이블 모양의 받침대(310)와,
    상기 받침대(310)의 상면에 길이 방향이 상기 전방 이송부(200)를 향하도록 고정된 레일(311)과,
    상기 레일(311)에 장착된 가이드(320)와,
    상기 가이드(320)의 상면에 고정된 안내판(330)과,
    상기 안내판(330)이 측방으로 왕복 이송하도록 상기 받침대(310)에 고정된 액튜에이터(340)와,
    상기 받침대(310)의 상면에 형성된 하부 관통구(350)와,
    상기 하부 관통구(350)에 대응하도록 상기 안내판(330)에 형성된 상부 관통구(360)와,
    상기 상부 관통구(36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안내판(330)의 상방으로 돌출된 링 형상의 것으로서 상기 풀리(20)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삽입부(363)와,
    상기 받침대(3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하부 관통구(35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승강이 가능한 내경 측정기(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9. 제1항에서 제6항까지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고정되고 상기 원판(400)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서버모터와,
    상기 원판(400)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20)가 안착되도록 구성된 지그(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 측정기(370)는 에어 마이크로미터(air microme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11. 제2항에서 제6항까지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 제거부(700)는,
    상기 내경 측정부(30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된 블록(710)과,
    상기 블록(710)의 전방면에 상하방을 향하도록 고정된 레일(720)과,
    상기 레일(720)에 장착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고정된 승강판(740)과,
    상기 승강판(740)을 상하 왕복시키도록 상기 블록(710)의 상단부에 장착된 액튜에이터(780)와,
    상기 승강판(740)의 전면에 고정된 서버모터(750)와,
    상기 서버모터(75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승강판(740)의 전면에 장착되고 길이 방향이 상하방을 향하고 하단에 상기 풀리(20)의 관통구(28)에 삽입되는 키(763, key)가 형성된 회전관(760)을 포함하고,
    안내판(330)이 상기 전방 이송부(20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관(760)과 상부 관통구(360)가 대응하도록 상기 블록(710)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12. 제1항에서 제6항까지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이송부(500)는,
    상기 전방 이송부(200)를 경계로 해서 상기 내경 측정부(300)의 상대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회전하도록 장착된 회전판(510)과,
    상기 회전판(510)에 상방을 향하도록 고정되어 다수의 베어링(50)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폴(520, pole)과,
    상기 회전판(510)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폴(520)이 통과한 베어링(50)을 상방으로 올리도록 구성된 승강부(530)와,
    상기 승강부(530)의 측방에 배치되어 상기 베어링(50)을 상기 원판(400)으로 이동시키는 측방 이송부(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530)는,
    상기 회전판(510)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단과 하단에 상기 회전판(510)을 향하여 플랜지(532)가 돌출된 지지 프레임(531)과,
    상기 플랜지(532)에 길이 방향이 상하방을 향하도록 장착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 스크류축(533)과,
    상기 스크류축(533)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플랜지(532)에 고정된 안내축(534)과,
    상기 안내축(534)이 통과하고 상기 스크류축(533)에 체결되는 너트(535)와,
    상기 지지 프레임(531)에 장착되어 상기 스크류축(533)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서버모터(536)와,
    상기 너트(535)에 고정되어 상기 폴(520)이 통과한 베어링(50)을 받치도록 구성된 서포터(5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이송부(54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된 지주(541)와,
    상기 지주(541)에 고정되어 길이 방향이 상기 원판(400)을 향하고 일측면이 상기 지지 프레임(531)을 대향하는 지지판(542)과,
    상기 지지판(542)의 일측면에 길이 방향이 상기 원판(400)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레일(543)과,
    상기 레일(543)에 장착되어 왕복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장착된 이송판(545)과,
    상기 이송판(545)에 고정되어 로드(547)가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승강하도록 작동하는 측방 액튜에이터(546)와,
    상기 로드(547)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베어링(50)을 파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서포터(537)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핑거(548)와,
    상기 지지판(542)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판(545)을 전후진시키는 메인 액튜에이터(54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15. 제1항에서 제6항까지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압입부(600)는,
    상기 원판(400)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원판(400)의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원판(400)과 이격되는 연장부(613)가 형성된 바디(610)와,
    상기 연장부(613)의 상단에 지지되고 로드(625)가 하방으로 승강하도록 작동하는 액튜에이터(620)와,
    상기 로드(625)에 연결되어 상기 연장부(613)의 하방으로 관통하는 주축(630)과,
    상기 주축(630)에 연결되어 풀리(20)의 상부에 안착된 베어링(30)을 가압하는 것으로서, 수평면상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자동조심이 가능한 압입축(6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630)은 하단에 연결된 플레이트(633)를 포함하고,
    상기 압입축(640)은,
    상기 플레이트(633)의 하면에 연결된 하우징(650)과,
    상기 하우징(650)에 지지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축(670)과,
    상기 상부축(670)의 하단에 연결되는 관 형상의 것으로서 내측에 하부가 개방된 중공부(660a)가 형성되어 베어링(30) 가압시 상기 풀리(20)가 안착되는 지그(410)를 일정부분 수용하는 하부축(660)과,
    상기 하부축(660)에 하단부가 부분 돌출되도록 수용되는 스태킹 핀(680)을 포함하고,
    상기 스태킹 핀(680)은 상기 중공부(660a)의 외측에 하부축(660)의 원주를 따라 하단이 돌출되도록 수용 구성되고,
    상기 상부축(670)과 하우징(650)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축(670)이 수평이동되면서 자동조심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410)는
    풀리(20)의 홀(26)에 관통되되 베어링(30)이 풀리(20)에 삽입시 베어링(30)을 지지하는 지그하부축(413)과, 상기 지그하부축(413)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그하부축(413) 보다 직경이 작은 지그상부축(411)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그상부축(411)의 상단부는 외측 원주를 따라 하방으로 경사진 지그경사면(411a)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축(660)의 중공부(660a) 중 하부 일정부분은 상부측보다 직경이 보다 큰 삽입홈(660b)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660b)의 상부벽면과 중공부(660a)의 내벽면 간이 서로 접하는 중공부(660a) 하단부는 원주를 따라 하방으로 경사진 하부축경사면(660c)이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30) 가압을 위해 하부축(660)이 지그(410)를 수용시에 하강하는 하부축경사면(660c)이 상기 지그경사면(411a)의 안내에 따라 자동조심이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650)은,
    판상으로서 상기 플레이트(633)에 연결되는 바디(651)와,
    상기 바디(651)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관통되는 것으로서, 상부홀(653)과 상기 상부홀(653) 보다 폭이 작은 하부홀(654)로 구성된 장착홀(652)과,
    상기 상부홀(653)과 하부홀(654)의 경계부에 형성된 단턱(655)과,
    상기 단턱(655)의 상면에 형성된 홈(656)과,
    상기 홈(656)에 수용되고 상기 홈(656)의 상방으로 돌출된 베어링 볼(657)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축(670)은 상기 상부홀(653)에 수용되어 상기 베어링 볼(657)에 지지되고 상기 단턱(655)에 걸리는 상판(671)과,
    상기 상판(671)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홀(654)을 통과하는 축 형상의 네크(673)와,
    상기 네크(673)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축(660)에 연결되고 하단에 상기 하부축(660)이 끼워지는 삽입홈(677)이 형성된 상부 블록(675)과,
    상기 상부 블록(675)의 상단에서 하단을 관통하고 상기 삽입홈(677)의 둘레에 배치되는 카운트 보어홀(679)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축(660)은 상기 삽입홈(677)에 끼워지며 상기 스태킹 핀(680)이 관통하고 내측에 중공부(660a)가 형성된 하부 블록(662)과,
    상기 하부 블록(662)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상부 블록(675)의 하단에 밀착되는 플랜지(663)와,
    상기 플랜지(663)에 형성되어 상기 카운트 보어홀(679)에 연결되는 관통구(664)와,
    상기 카운트 보어홀(679)을 통해서 상기 관통구(664)로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카운트 보어홀(679)에 걸리는 헤드(666)가 형성된 샤프트(665)와,
    상기 샤프트(665)가 끼워지는 압축 스프링(667)과,
    상기 샤프트(665)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블록(662)이 통과하는 링(668)과,
    상기 상판(671)과 상부홀(653), 상기 네크(673)와 하부홀(654) 사이에 형성된 갭(66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1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 측정부(800)는,
    상기 원판(400)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지주(810)와,
    상기 지주(810)에 고정되고 상기 원판(400)을 대향하는 지지판(820)과,
    상기 지지판(820)의 전면에 상하방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레일(830)과,
    상기 레일(830)에 장착되는 가이드(840)와,
    상기 가이드(840)에 고정되어 상기 원판(400)의 상면까지 연장되어 지그(410)에 대응되는 브래킷(850)과,
    상기 지지판(820)에 장착되어 상기 브래킷(850)의 상부에 배치되어 로드(865)가 상기 브래킷(850)에 장착되고 상기 로드(865)가 승강하도록 작동하는 액튜에이터(860)와,
    상기 브래킷(850)에 장착되고 지그(410)에 대응하는 하우징(870)과,
    상기 하우징(870)을 관통하고 하단부가 상기 풀리(20)의 스태킹부(29)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게이지 샤프트(880)와,
    상기 브래킷(850)에 장착되고 상기 게이지 샤프트(880)의 상부에 배치되는 디지털 인디케이터(8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1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이송부(90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된 지주(901)와,
    상기 지주(901)에 고정되어 길이 방향이 상기 원판(400)에서 후방을 향하고 일측면이 상기 깊이 측정부(800)를 대향하는 지지판(902)과,
    상기 지지판(902)의 일측면에 길이 방향이 상기 원판(400)에서 후방을 향하도록 고정되는 레일(903)과,
    상기 레일(903)에 장착되어 왕복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장착된 이송판(906)과,
    상기 이송판(906)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지지판(902)에 고정된 메인 액튜에이터(920)와,
    상기 이송판(906)에 고정되어 로드가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승강하도록 작동하는 제1액튜에이터(907)와,
    상기 로드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20)를 파지하는 제1핑거(90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이송부(900)는,
    상기 제1액튜에이터(907)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송판(906)에 고정되어 로드가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승강하도록 작동하는 제2액튜에이터(910)와,
    상기 로드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20)를 파지하는 제2핑거(912)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측정부(1000)는 상기 제2핑거(912)의 하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측정부(1000)는 상기 제2핑거(912)에 대응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된 하우징(1001)과,
    상기 하우징(1001)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풀리(20)의 홀(26)에 삽입되는 회전축(1003)과,
    상기 회전축(1003)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하우징(1001)의 측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된 모터(1005)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축(1003)이 끼워지는 상기 풀리(20)에 접하는 디지털 인디케이터(10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이송부(900)는,
    상기 제2액튜에이터(91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송판(906)에 고정되어 로드가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승강하도록 작동하는 제3액튜에이터(915)와,
    상기 로드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20)를 파지하는 제3핑거(919)를 포함하고,
    방청유 도포부(1100)는 상기 제3핑거(919)의 하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방청유 도포부(110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개방된 용기(容器) 형상의 바디(1110)와,
    상기 바디(1110)의 측방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1110) 내부로 방청유를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펌프(1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측정부(1000)와 상기 방청유 도포부(11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상면에 장착된 불량 배출 컨베이어(1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전방 이송부(200)에 풀리(20)를 공급하는 공급 컨베이어(1400)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후방 이송부(900)로부터 풀리(20)를 공급받아 배출시키는 양품 배출 컨베이어(1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컨베이어(1400)에서 전방 핑거(270)에 대응되는 지점의 하면에 부착되고 양측방으로 왕복하는 로드(1413)가 구성된 액튜에이터(1410)와,
    양측의 상기 로드(1413)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브래킷(1420)과,
    상기 브래킷(1420)에 부착되어 상기 풀리(20)를 홀딩하는 위치조정블록(1430)과,
    상기 위치조정블록(143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풀리(20)가 수용되는 오목부(14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압입 시스템.
KR1020150138325A 2015-10-01 2015-10-01 베어링 압입 시스템 KR101831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325A KR101831145B1 (ko) 2015-10-01 2015-10-01 베어링 압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325A KR101831145B1 (ko) 2015-10-01 2015-10-01 베어링 압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340A KR20170039340A (ko) 2017-04-11
KR101831145B1 true KR101831145B1 (ko) 2018-02-22

Family

ID=58580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325A KR101831145B1 (ko) 2015-10-01 2015-10-01 베어링 압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1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660B1 (ko) * 2018-06-07 2019-03-07 명신정밀 주식회사 칩 제거장치가 구비된 로터코어 선별장치
KR102630311B1 (ko) 2023-11-02 2024-01-29 강현규 볼스크루의 베어링 동시 압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3062A (zh) * 2017-06-30 2017-10-20 嘉善中正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轴承的自动压装装置
CN107378451A (zh) * 2017-06-30 2017-11-24 嘉善中正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轴承工装设备
CN107414460A (zh) * 2017-06-30 2017-12-01 嘉善中正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转盘式轴承工装设备
CN107363538B (zh) * 2017-08-13 2023-07-18 宁波三灵电子有限公司 一种emt定位螺钉型管接件系列自动装配机
CN108466722B (zh) * 2018-03-19 2023-08-01 江苏昊晟塑业科技有限公司 一种挤塑机的成品计量包装装置
CN108311872A (zh) * 2018-03-30 2018-07-24 合肥达因汽车空调有限公司 一种皮带轮轴承压铆一体工装
CN108356505A (zh) * 2018-04-05 2018-08-03 胡君分 一种汽配螺母的自动压入装置
CN108673130B (zh) * 2018-05-29 2020-06-23 众奥自动化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增压器中间体的辅助加工设备
CN108857357B (zh) * 2018-06-27 2023-12-08 东莞市安易达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滑轮支架组装机
CN108942140A (zh) * 2018-08-02 2018-12-07 徐恩成 塑料齿轮插片装置及其插片方法
CN109290756A (zh) * 2018-08-23 2019-02-01 温州市科泓机器人科技有限公司 带智能化辨识的骨头固定器安装装备
CN108994566A (zh) * 2018-08-23 2018-12-14 温州市科泓机器人科技有限公司 机械手辅助骨头固定器安装装备
CN108788683B (zh) * 2018-08-27 2023-08-29 宁波市拓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管状电机轴承安装设备
CN108994584B (zh) * 2018-09-06 2020-10-23 芜湖全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刹车卡钳压活塞装置
CN109249203A (zh) * 2018-11-01 2019-01-22 横店集团英洛华电气有限公司 一次性双轴承压装装置
CN109211063B (zh) * 2018-11-12 2020-10-27 安徽华旦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轴承内圈滚动测孔机
CN109406175A (zh) * 2018-12-30 2019-03-01 杭州翰融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轮毂焊缝检测方法及设备
CN109406173A (zh) * 2018-12-30 2019-03-01 杭州翰融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轮毂检测报警方法及轮毂压合检测设备
CN109406176A (zh) * 2018-12-30 2019-03-01 杭州翰融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轮毂误差检测方法及设备
CN109406174A (zh) * 2018-12-30 2019-03-01 杭州翰融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轮毂检测报警方法及设备
CN109968005B (zh) * 2019-04-02 2021-07-23 佛山市科华传动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齿轮的制造装置
CN110170812B (zh) * 2019-06-17 2020-05-26 江西艾芬达暖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烘干架焊接堵头自动套铜圈设备和控制方法
CN110142593B (zh) * 2019-06-19 2021-03-05 重庆长安民生物流股份有限公司 轮胎铅块压装机压装铅块的压装方法
CN110125660B (zh) * 2019-06-19 2021-03-05 重庆长安民生物流股份有限公司 轮胎铅块压装机
CN110509055B (zh) * 2019-09-04 2021-04-06 恩坦华汽车零部件(镇江)有限公司 一种汽车玻璃升降器微型直流电机齿轮壳装配方法
CN110614500A (zh) * 2019-10-11 2019-12-27 杭州巧狮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传动轴两端轴承齿轮压装装置
CN111230484A (zh) * 2020-02-23 2020-06-05 石家庄精石新材料科技有限公司 单向器装配系统的弹簧滚柱组配上料机构
CN111300017B (zh) * 2020-03-10 2021-10-15 湖北三峡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转向系统轴承压装机构
CN111266864B (zh) * 2020-03-16 2021-07-30 文金凤 一种轴承组装设备及其使用方法
CN112008372B (zh) * 2020-09-07 2021-09-24 邵东智能制造技术研究院有限公司 灯饰按钮底盖压装装置
CN113770686A (zh) * 2021-09-01 2021-12-10 昆明嘉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通用型轴承装配装置及其方法
CN114178823B (zh) * 2021-12-24 2023-03-28 深圳市汇智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全自动齿轮箱组装轴承与轮轴设备
KR102615002B1 (ko) * 2022-01-18 2023-12-18 박종성 베어링 조립장치
CN114871731A (zh) * 2022-05-31 2022-08-09 陈子宇 一种防抖动伺服电机零部件装配设备
CN114850820B (zh) * 2022-06-07 2024-05-24 中山华南包装制品有限公司 千秋盖全自动组装机
CN115351535A (zh) * 2022-09-29 2022-11-18 傲科塑料制品(张家港)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套用卡环穿引装置及其使用方法
CN116967738A (zh) * 2023-08-09 2023-10-31 安徽玖邦驱动科技有限公司 一种微型电机生产用主轴自动冲压系统
CN116810341B (zh) * 2023-08-31 2023-11-14 泰州中科扭力铰链有限公司 一种扭力铰链弹片结构涂油自动组装装置
CN117484119A (zh) * 2024-01-03 2024-02-02 浙江苏可安药业有限公司 一种用于组装气雾剂产品的组装设备
CN117943817B (zh) * 2024-03-25 2024-05-28 三易精密工业(苏州)有限公司 一种pin针压装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014B1 (ko) 2009-01-08 2011-01-14 주식회사 모코 기어 압입 장치
KR101534187B1 (ko) 2013-11-20 2015-07-06 김종구 방청유 코팅 처리장치
JP2016052706A (ja) 2014-09-04 2016-04-14 東京発條株式会社 圧入装置、圧入方法、及び保持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7769B1 (ko) 1997-05-02 2000-04-01 배길성 모터의 베어링 커버 압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014B1 (ko) 2009-01-08 2011-01-14 주식회사 모코 기어 압입 장치
KR101534187B1 (ko) 2013-11-20 2015-07-06 김종구 방청유 코팅 처리장치
JP2016052706A (ja) 2014-09-04 2016-04-14 東京発條株式会社 圧入装置、圧入方法、及び保持部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660B1 (ko) * 2018-06-07 2019-03-07 명신정밀 주식회사 칩 제거장치가 구비된 로터코어 선별장치
KR102630311B1 (ko) 2023-11-02 2024-01-29 강현규 볼스크루의 베어링 동시 압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340A (ko)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145B1 (ko) 베어링 압입 시스템
CN110369997B (zh) 一种汽车凸轮轴与轴承及定位销自动装配设备
CN103438929B (zh) 换向器自动检测装置
KR101573485B1 (ko) 단차 측정 자동화장치
CN101000073A (zh) 全自动铁路货车轴承装配系统
CN108512013A (zh) 一种新能源汽车连接器扭簧插孔自动化装配设备
CN113172417B (zh) 一种支重轮装配生产线
KR101998696B1 (ko) 내경나사 탭핑 및 접촉식 피치 검사 자동화 시스템
WO2022105332A1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阀片自动加工设备
CN206898761U (zh) 一种活塞总成自动化装配检测设备
CN217165379U (zh) 一种非标轴承内孔及台阶外圆直径自动检测装置
KR101049313B1 (ko) 브레이크 디스크 측정검사용 척킹장치
CN206330748U (zh) 轮毂轴承少球检测装置
CN106140647B (zh) 检测设备
CN202947878U (zh) 滚针轴承旋转灵活性自动检测机
CN111420891A (zh) 轮毂圆度自动检测分料装置
CN208471057U (zh) 汽车刹车片涂胶自动输送机
KR20100087069A (ko) 스프링 앗세이 조립방법
CN113042930B (zh) 电枢片自动检测设备
JP4229326B2 (ja) ブッシュ圧入装置
CN209945181U (zh) 内牙通过检测设备
CN111504382B (zh) 一种汽车冲压件检具
CN211348531U (zh) 半导体芯片分选测试装置的上料输送装置
CN108827129B (zh) 一种内螺纹工件的螺纹平整度检验机
CN210789904U (zh) 一种适用于生产线的转子轴承压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