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318B1 - 노후 구조물 철거장치 및 철거방법 - Google Patents

노후 구조물 철거장치 및 철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318B1
KR101828318B1 KR1020160071744A KR20160071744A KR101828318B1 KR 101828318 B1 KR101828318 B1 KR 101828318B1 KR 1020160071744 A KR1020160071744 A KR 1020160071744A KR 20160071744 A KR20160071744 A KR 20160071744A KR 101828318 B1 KR101828318 B1 KR 101828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lumn
wall
anchor bolt
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9729A (ko
Inventor
김태성
Original Assignee
김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성 filed Critical 김태성
Priority to KR1020160071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318B1/ko
Publication of KR20170139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overing the whole worksite, e.g. building,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한지 오래된 빌딩이나 아파트 또는 화력발전소의 굴뚝 등 낡은 구조물을 해체하여 철거할 때 분진이나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철거할 수 있는 노후 구조물 철거장치 및 철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노후 구조물 철거장치 및 철거방법{Removal Device of The Decrepit Structure and the Removal Method}
본 발명은 지은 지 오래된 빌딩이나 아파트 또는 화력발전소의 굴뚝 등 낡은 구조물을 해체하여 철거할 때 근로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도모하는 한편, 분진이나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변 주민과 구조물에 피해를 주지 않는 노후 구조물 철거장치 및 철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자 노후 구조물이 증가함에 따라 낡은 건물을 해체한 후 다시 새로운 건물을 짓거나 건물의 일정 부분만을 해체하여 보수하는 작업이 많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노후 구조물 중 빌딩이나 아파트 등 고층 구조물의 철거작업은 고공(高空)에서 발판에 의지해 작업하므로 추락 위험이 많음은 물론 철거과정에서 소음과 분진 등을 발생시켜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고 이는 민원의 대상이 되며 이에 따라 공기지연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 오래된 화력발전소의 경우 굴뚝 높이가 100150m에 달하므로 철거작업이 더욱 위험하고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7860호는 해체할 건물을 해체막으로 막고 공사를 함으로써 소음과 분진에 따른 민원발생 요인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건물 외주면에 지지대를 설치하는 한편, 해체할 건물 주변에 해체막을 조립하여 설치하고 해체작업을 하고 한 층의 해체가 끝나면 다시 해체막을 분해하는 한편 해체막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가이드 빔을 이용하여 아래로 이동시켜 다시 지지대를 설치하고 이어 해체막을 조립하여 설치하고 해체작업을 하는 과정을 되풀이하여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고 또 작업시간을 많이 소요하게 되므로 공사기일이 크게 늦어지고 이에 따라 공사비가 크게 증대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상기 기술은 100m 이상의 높은 구조물이나 화력발전소의 굴뚝에는 건물 해체용 구조물을 설치하기가 어렵고 설혹 설치한다 해도 철거 잔해를 처리할 방법이 없어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 관련특허
1. 특허등록 제0101050호
2. 특허등록 제0627873호
따라서 고층의 노후 구조물을 철거하는 공사에 수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한편, 소음과 분진이 철거현장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민원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공기를 단축시켜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철거장치와 철거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 100m 이상의 높은 건물이나 굴뚝에도 사용할 수 있는 철거장치와 철거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과제는 철거대상 구조물과 동일한 형상이되 철거할 노후 구조물의 외주면 보다 20~50% 넓게 제조되고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천정;과 높이는 자키 2개를 합친 길이보다 10~50% 길고 상기 하우징의 천정 외주면을 따라 2~5m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 상기 기둥과 기둥 사이를 천으로 두르고 고정하여 형성된 벽체; 상기 기둥의 중간 부위와 밑 부분에 위치하고 하우징 안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부 지지대 및 하부 지지대;로 구성된 하우징 형태의 철거장치를 사용하여 철거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첫째, 철거할 노후 구조물의 외벽과 하우징의 벽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이 공간에 받침대를 설치하고 하우징 내에서 작업을 하므로 근로자들이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 철거장치를 노후 구조물을 받침대로 사용하여 철거대상 노후 구조물을 위로부터 덮어씌우고 하우징 내에서 철거작업을 함으로써 철거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과 소음이 하우징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함으로써 민원발생의 여지를 없앨 수 있다.
셋째, 철거잔해는 철거할 건물 외벽에 화물용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고 이 화물용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공사현장 아래로 반출할 수 있다.
넷째, 100m 이상의 높은 건물이나 굴뚝을 철거할 때에는 하우징 천정을 개폐식으로 함으로써 철거잔해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천정위로 들어 올려 반출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 철거장치는 제조하기도 쉽고 철거작업도 어렵지 않으므로 공기를 대폭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제 1 도 : 벽체를 부착하기 이전의 본 발명 하우징 골조의 사시도
제 2 도 : 벽체가 부착된 본 발명 하우징의 사시도
제 3 도 : 본 발명 하우징을 노후 구조물을 받침대로 하여 노후 구조물에 덮어씌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제 4 도 : 천정의 제2 실시예
제 5 도 : 자키의 사시도
본 발명은 노후 구조물을 해체하여 철거(이하. ‘철거’라 함)를 할 때 우선 근로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또 철거과정에서 나오는 분진이나 소음이 하우징 외부로 유출되지 않음으로써 공사현장 주변의 주민이나 건물에 피해를 주지 않는 노후 구조물의 철거장치 및 철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벽체를 부착하기 이전의 본 발명 하우징 골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벽체가 부착된 본 발명 하우징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하우징을 노후 구조물을 받침대로 하여 노후 구조물에 덮어씌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천정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 철거작업에 사용하는 유압자키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 하우징(100)은 노후 구조물(10)을 철거하는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철거할 노후 구조물(10)을 받침대로 하여 미리 철거할 부위를 위로부터 덮어씌우는 장치로서 근로자가 하우징(100) 안에서 철거작업을 할 수 있어 고공에서 작업을 할 때 자주 발생하는 낙상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을 기할 수 있고 나아가 철거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과 소음 등이 하우징(100) 외부로 나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사현장 주변의 주민이나 건물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는 철거장치이다.
상기 하우징(100)은 천정(110);과 하우징(100)을 지지하는 기둥(120); 및 상기 기둥(120)과 기둥(120) 사이를 천으로 두르고 고정하여 형성된 벽체(130); 상기 기둥(120)에 부착되고 하우징 내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상하 2개의 작업발판지지대 즉, 상부지지대(140);와 하부지지대(150);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0)은 상기 구조만으로도 충분하지만 기둥(120)의 지지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기둥(120)과 나란히 형성된 서포터(160);를 더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160)는 천정(110)과 하부지지대(150)를 각각 상하 지지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노후 구조물(10)의 형상대로 즉, 4각형 구조의 건물인 경우에는 4각형으로, 5각형 구조의 건물인 경우에는 5각형으로 형성도면이고, 도 4는 천정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 철거작업에 사용하는 유압자키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 하우징(100)은 노후 구조물(10)을 철거하는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철거할 노후 구조물(10)을 받침대로 하여 미리 철거할 부위를 위로부터 덮어씌우는 장치로서 근로자가 하우징(100) 안에서 철거작업을 할 수 있어 고공에서 작업을 할 때 자주 발생하는 낙상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을 기할 수 있고 나아가 철거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과 소음 등이 하우징(100) 외부로 나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사현장 주변의 주민이나 건물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는 철거장치이다.
상기 하우징(100)은 천정(110);과 하우징(100)을 지지하는 기둥(120); 및 상기 기둥(120)과 기둥(120) 사이를 천으로 두르고 고정하여 형성된 벽체(130); 상기 기둥(120)에 부착되고 하우징 내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상하 2개의 작업발판지지대 즉, 상부지지대(140);와 하부지지대(150);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0)은 상기 구조만으로도 충분하지만 기둥(120)의 지지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기둥(120)과 나란히 형성된 서포터(160);를 더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160)는 천정(110)과 하부지지대(150)를 각각 상하 지지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노후 구조물(10)의 형상대로 즉, 4각형 구조의 건물인 경우에는 4각형으로, 5각형 구조의 건물인 경우에는 5각형으로 형성하며, 굴뚝이나 쿨링타워와 같이 원형인 경우에는 역시 원형으로 제조한다. 따라서 하우징(100)은 철거할 노후 구조물(10)의 형상 및 면적에 따라 그때그때 제조하여 사용한다. 한편, 하우징(100)은 상기한 구조 외에는 별다른 구조가 없어 내부가 비어 있으므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철거대상인 노후 구조물(10)을 받침대로 사용하여 철거부위를 위로부터 덮어씌울 수 있다.
상기 천정(110)은 하우징(100)의 상부로서 알루미늄과 같이 가볍고 튼튼한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되며 철거대상인 노후 구조물(10)과 동일한 형상이되 상기 노후 구조물(10)의 면적보다 20~50% 넓게 제조하였으므로 노후 구조물(10)을 위로부터 덮어씌워도 하우징(100) 내부에 철거작업을 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천정(110)은 하우징(100) 상부에 붙박이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원칙이지만 화력발전소 굴뚝과 같이 100~150m의 높은 구조물인 경우에는 철거 잔해를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위로 들어내서 배출하여야 하므로 천정(110)은 위로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제조하여야 한다.
상기 기둥(120) 역시 알루미늄과 같이 가볍고 튼튼한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하되 상기 천정(110)의 외주면을 따라 2~5m 간격으로 설치하며, 상기 기둥(120)의 높이는 후술하는 유압자키(이하, ‘자키(300)’라 함) 2개를 합친 길이보다 10~50% 길게 제조한다. 따라서 기둥(120)의 수는 노후 구조물(10)의 크기에 따라 정해진다.
상기 벽체(130)는 천을 상기 기둥(120)과 기둥(120) 사이에 두르고 고정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가능한 한 텐트 천과 같이 가볍고 튼튼한 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음을 위하여 천 내부에 방음재를 하는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둥(120)에는 지지대가 2개 형성되어 있다. 즉, 상부지지대(140)는 작업발판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둥(120)의 중간부위에 형성되어 하우징(100)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하부지지대(150)는 기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둥(120)의 밑 부분에 형성되고 역시 하우징(100)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상부지지대(140)는 본체(141)와 연장부(14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41)에는 상기 연장부(142)를 수용하는 홈(141-1)이 형성되어 있어 홈(141-1)으로부터 연장부(142)를 인출하여 상부지지대(140)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고 또 연장부(142)를 홈(141-1)으로 유입시켜 상부지지대(140)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그 이유는 노후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하우징(100)의 벽체(130)와 노후 구조물(10)의 외벽(11)간의 거리가 달라지므로 이미 제조한 하우징(100)을 면적이 유사한 노후 구조물(10)들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철거작업을 할 때에는 상기 상부지지대(140)의 연장부(142)를 홈(141-1)으로부터 인출하여 연장부(142)가 노후 구조물(10)의 외벽(11)에 닿게 하고 상기 상부지지대(140)위에 작업발판을 깔고 철거작업을 하면 된다. 작업발판은 판 조각이나 구멍이 송송 뚫린 철판 등 공사현장에서 흔히 발판으로 쓰이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지지대(140)가 노후 구조물 벽체(11)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상부지지대(140)위에 설치한 작업발판과 벽체(11)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으므로 근로자가 작업 중 발을 헛디뎌 추락 사고를 당할 위험이 없으며 따라서 근로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대(150) 역시 본체(151)와 연장부(15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51)에는 상기 연장부(152)를 수용하는 홈(151-1)이 형성되어 있음은 상부지지대(140)와 같다. 따라서 하부지지대(150) 역시 같은 방법으로 외벽(11)에 닿게 한 후 그 위에 작업발판을 깔고 간단한 작업도구들을 쌓아놓고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둥(110)이 하우징(100)을 보다 튼튼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천정(110)과 하부지지대(150) 사이에 기둥(120)과 나란히 보조지지대인 서포터(16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하우징(100)은 노후 구조물(10)과 동일한 형상이고 상기 노후 구조물(10)의 외주면 보다 20~50% 넓게 제조되고 하우징(100)의 상부를 덮는 천정(110);과 높이는 자키(300) 2개를 합친 길이보다 10~50% 길고 상기 하우징(100)의 천정(110) 외주면을 따라 2~5m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120); 상기 기둥(120)과 기둥(120) 사이를 천으로 두르고 고정하여 형성된 벽체(130); 상기 기둥(120)의 중간 부위에 형성되고 연장부(142)를 홈(141-1)으로부터 인출하여 연장부(142)가 노후 구조물(10)의 외벽(11)에 닿게 하여 그 위에 작업발판을 깔 수 있도록 한 상부지지대(140); 상기 기둥(120)의 밑에 형성되고 연장부(152)를 홈(151-1)으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연장부(152)가 노후 구조물(10)의 외벽(11)에 닿게 한 하부지지대(15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에는 기둥(120)이 보다 튼튼하게 하우징(1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천정(110)과 하부지지대(150) 사이에 기둥(120)과 나란히 보조지지대인 서포터(150)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하우징(100)을 사용하여 노후 구조물을 철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노후 구조물 철거장치로서 철거대상인 노후 구조물(10)과 동일한 형상이고 상기 노후 구조물(10)의 외주면 보다 20~50% 넓게 제조되고 하우징(100)의 상부를 덮는 천정(110);과 높이는 자키(300) 2개를 합친 길이보다 10~50% 길고 상기 하우징(100)의 천정(110) 외주면을 따라 2~5m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120); 상기 기둥(120)과 기둥(120) 사이를 천으로 두르고 고정하여 형성된 벽체(130); 상기 기둥(120)의 중간 부위에 하우징(100) 내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연장부(142)를 홈(141-1)으로부터 인출하여 연장부(142)가 노후 구조물(10)의 외벽(11)에 닿게 함으로써 그 위에 작업발판을 깔 수 있도록 한 상부지지대(140); 상기 기둥(120)의 밑에 하우징(100) 내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연장부(152)를 홈(151-1)으로부터 인출하여 연장부(152)가 노후 구조물(10)의 외벽(11)에 닿게 함으로써 기둥(120)을 튼튼하게 지지할 수 있는 하부지지대(150);로 구성되어 있는 하우징(100)을 준비한다.
이어 노후 구조물(10) 철거작업에 사용할 앵커볼트(200)를 준비한다. 앵커볼트(200)는 노후 구조물(10)의 외벽(11)을 따라서 사용하고 한 번 사용한 앵커볼트(200)는 컷팅되어 버려지므로 사용량이 많으며 따라서 그 수를 충분히 구비하여야 한다.
이어 자키(300)를 준비한다. 상기 자키(300)는 유압자키로서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와 동일한 길이의 받침부(320)로 구성되어 있어 평소에는 받침부(320)가 몸체(310)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유압으로 받침부(320)를 몸체(310)로부터 인출하거나 인출된 받침부(320)를 몸체(310)로 수용하는 등 자키(300)의 길이를 자유자재로 늘이고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받침부(320)를 최대로 인출하면 그 길이는 몸체(310) 길이의 2배가 된다. 상기 자키(300) 역시 노후 구조물(10)의 외벽(11)을 따라서 사용하므로 그 수를 충분히 구비하여야 한다.
이어 상부지지대(140)에 설치할 작업발판을 준비한다.
이어 노후 구조물(10) 외벽(11)을 둘러가면서 앵커볼트(200)를 길이의 40~70%가 삽입되도록 박아 넣는다. 그러므로 각 앵커볼트(200) 길이의 30~60%는 외벽(11)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앵커볼트(200)의 일부를 외벽(11) 외부로 노출시키는 이유는 이 노출된 부분을 자키(300)의 받침대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한번 사용한 앵커볼트(200)의 노출부위(200-1)는 절단되어 버려진다. 즉, 앵커볼트(200)는 소모품이며 이하에서는 각 앵커볼트(200)를 외벽(11)에 삽입된 높이에 따라 위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앵커볼트(210), 제2 앵커볼트(220), 제3 앵커볼트(230) …로 호칭한다.
이어 상기 앵커볼트(200)의 노출부위(200-1)를 받침대로 하여 도 3과 같이 제1 자키(310)와 제2 자키(320)를 최대로 신장시킨 후 제1 자키(310)는 제1 앵커볼트(210)위에, 제2 자키(320)는 제2 앵커볼트(220) 위에 설치한다. 상기 자키(300)를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앵커볼트(200)를 23개 나란히 설치한 후 그 위에 발판을 부착하고 자키(3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어 상부지지대(140)에 작업발판을 설치한다. 이 때 작업발판과 노후 구조물의 외벽(11)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상부지지대(140)의 연장부(142)를 노후 구조물 외벽(11)까지 연장시키고 작업발판을 설치하므로 작업발판과 외벽(11)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아 추락사고 등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어 상기 하우징(100)을 노후 구조물(10)을 받침대로 하여 노후 구조물(10)을 위로부터 덮어씌운다.
이어 상기 하우징(100) 안에서 노후 구조물(10)의 맨 위로부터 제1 앵커볼트(210)가 삽입된 부위까지 철거작업을 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을 노후 구조물(10)을 위로부터 덮어씌우고 하우징(100) 내부에서 철거작업을 수행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근로자의 안전을 기할 수 있음은 물론 분진과 소음이 발생하더라도 하우징(100)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으므로 분진으로 인한 공기 오염이 발생하지 않으며 분진과 소음으로 인한 민원이 발생할 여지가 없다. 또 해체된 철거물이 하우징(100) 외부로 비산되지 않으므로 주변에 건물이 있더라도 훼손할 우려가 없다.
이어 해체된 노후 구조물을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한다. 철거된 노후 구조물의 배출작업은 철거할 구조물의 외벽에 설치한 비계나 화물용 엘리베이터 등 일반 공사장에서 흔히 사용하는 장비를 이용하여 아래로 배출하면 된다. 그러나 굴뚝과 같이 높은 구조물의 경우에는 일반 공사장에서 사용하는 장비를 설치할 수 없으므로 이때에는 천정을 개폐식으로 한 하우징(100)을 사용하여 천정(120)을 위로 들어 올리고 크레인을 이용하여 철거된 잔해를 위로 들어올려서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철거잔해를 배출하더라도 하우징(100)은 자키(300)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철거작업을 하기 전의 높이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이어 유압을 작동하여 제1 자키(310)의 받침부(312)를 몸체(311)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자키(310)는 그 길이가 1/2로 줄어들므로 하우징(100)은 그 줄어든 길이만큼 밑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어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제1 앵커볼트(210)를 절단한다. 그러면 제1 자키(310)는 제2 자키(320)위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지만 제1 앵커볼트(210)가 외벽(11)으로부터 절단되어 있으므로 상하좌우로 유동할 수 있다.
이어 유압을 작동하여 제2 자키(320)의 받침부(322)를 몸체(321)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제2 자키(320) 역시 길이가 1/2로 줄어들고 또 제1 자키(310) 역시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제1 자키(310) 역시 제2 자키(320)위로 내려오므로 하우징(100) 역시 그 줄어든 길이만큼 밑으로 내려오게 된다. 한편, 각각 길이가 1/2로 줄어든 제1 자키(310)와 제2 자키(320)의 길이는 자키(300) 1개의 길이가 되므로 그 결과 하우징(100)은 제1 앵커볼트(210)가 설치되어 있던 높이까지 내려오게 된다.
이어 제1 자키(310)와 제2 자키(320)를 회수한다.
이어 제1 자키(310)를 제2 앵커볼트(220)위에 설치하는 한편, 제2 자키(320)를 제3 앵커볼트(230) 위에 설치하고 상술한 순서대로 철거작업을 반복하여 진행한다.
10 : 노후 구조물 11 : 외벽
100 : 하우징 110 : 천정
120 : 기둥 ` 130 : 벽체
140 : 상부 지지대 141 : 본체
141-1 : 홈 142 : 연장부
150 : 하부 지지대 151 : 본체
151-1 : 홈 152 : 연장부
160 : 서포터
200 : 앵커볼트 ` 300 : 자키
310 : 제1 자키 311 : 몸체
312 : 받침부 320 : 제2 자키
321 : 몸체 322 : 받침부

Claims (5)

  1. 철거대상 구조물(10)과 동일한 형상이고 철거할 노후 구조물의 외주면 보다 20~50% 넓게 제조되고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천정;과
    높이는 자키 2개를 합친 길이보다 10~50% 길고 상기 하우징의 천정 외주면을 따라 2~5m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
    상기 기둥과 기둥 사이를 천으로 두르고 고정하여 형성된 벽체;
    상기 기둥의 중간 부위에 형성되고 연장부를 홈으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연장부가 노후 구조물의 외벽에 닿게 하여 그 위에 작업발판을 깔 수 있도록 한 상부지지대;
    상기 기둥의 밑에 형성되고 연장부를 홈으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연장부가 노후 구조물의 외벽에 닿게 함으로써 기둥을 더욱 튼튼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하부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후 구조물 철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과 상기 하부지지대 사이에는 기둥과 나란하게 서포터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후 구조물 철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은 노후 구조물이 100~150m의 높은 구조물인 경우에는 위로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후 구조물 철거장치.
  4. 철거대상 구조물과 동일한 형상이고 철거할 노후 구조물의 외주면 보다 20~50% 넓게 제조되고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천정;과 높이는 자키 2개를 합친 길이보다 10~50% 길고 상기 하우징의 천정 외주면을 따라 2~5m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 상기 기둥과 기둥 사이를 천으로 두르고 고정하여 형성된 벽체; 상기 기둥의 중간 부위에 형성되고 연장부를 홈으로부터 인출하여 연장부가 노후 구조물의 외벽에 닿게 함으로써 그 위에 작업발판을 깔 수 있도록 한 상부지지대; 상기 기둥의 밑에 형성되고 연장부를 홈으로부터 인출하여 연장부가 노후 구조물의 외벽에 닿게 함으로써 기둥을 튼튼하게 지지할 수 있는 하부지지대; 로 구성되어 있는 하우징을 준비하는 단계;
    이어 노후 구조물 철거작업에 사용할 앵커볼트를 준비하는 단계;
    이어 자키를 준비하는 단계;
    이어 상부지지대에 설치할 작업발판을 준비하는 단계;
    이어 노후 구조물 외벽을 둘러가면서 앵커볼트를 길이 40~70%가 삽입되도록 박아 넣어 각 앵커볼트(200) 길이의 30~60%를 외벽 외부로 노출시키는 단계;
    이어 상기 앵커볼트의 노출부위를 받침대로 하여 제1 자키는 제1 앵커볼트 위에, 제2 자키는 제2 앵커볼트 위에 설치하는 단계;
    이어 유압으로 제1 자키와 제2 자키를 최대 길이로 신장시키는 단계;
    이어 상부지지대의 연장부(142)를 노후 구조물의 외벽까지 연장시켜 상부지지대와 노후 구조물의 외벽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단계; 이어 상기 상부지지대 위에 작업발판을 설치하는 단계;
    이어 노후 구조물을 받침대로 하여 상기 하우징을 상기 노후 구조물의 위로부터 덮어씌우는 단계;
    이어 상기 하우징 안에서 노후구조물의 맨 위로부터 제1 앵커볼트가 삽입된 부위까지 철거작업을 하는 단계;
    이어 철거된 노후 구조물을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
    이어 유압을 작동하여 제1 자키의 받침부를 몸체 내부로 삽입하여 제1 자키의 길이를 1/2로 줄여 상기 하우징이 상기 자키의 줄어든 길이만큼 아래로 내려오게 하는 단계;
    이어 상기 노출되어 있는 제1 앵커볼트를 절단하여 제1 자키가 상하자유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이어 유압을 작동하여 제2 자키의 받침부를 몸체 내부로 삽입하여 제2 자키의 길이를 1/2로 줄임으로써 하우징이 제1 앵커볼트가 설치되어 있던 위치까지 내려오게 하는 단계;
    이어 제1 자키와 제2 자키를 회수하는 단계;
    이어 제1 자키를 제2 앵커볼트 위에 위치시키고 제2 자키를 제3 앵커볼트 위에 설치하고 상술한 순서대로 철거작업을 반복하여 진행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후 구조물 철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노후 구조물이 100~150m의 높은 구조물인 경우에는 절단된 철거 잔해를 천정을 위로 열고 크레인을 이용하여 배출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후 구조물 철거방법.
KR1020160071744A 2016-06-09 2016-06-09 노후 구조물 철거장치 및 철거방법 KR101828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744A KR101828318B1 (ko) 2016-06-09 2016-06-09 노후 구조물 철거장치 및 철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744A KR101828318B1 (ko) 2016-06-09 2016-06-09 노후 구조물 철거장치 및 철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729A KR20170139729A (ko) 2017-12-20
KR101828318B1 true KR101828318B1 (ko) 2018-03-30

Family

ID=6093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744A KR101828318B1 (ko) 2016-06-09 2016-06-09 노후 구조물 철거장치 및 철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3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475B1 (ko) * 2020-05-11 2020-10-23 김영호 센서기반의 구조물 안전해체 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307B1 (ko) 2018-08-13 2020-09-02 (주) 플랜디 글로벌 발전소의 대형 보일러 구조물 해체 공정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2134277B1 (ko) 2019-10-10 2020-07-15 (주) 플랜디 글로벌 대형 구조물 해체 공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503A (ja) * 1993-08-20 1995-02-28 Kajima Corp 全天候無公害解体工法
KR960004051B1 (ko) * 1993-09-15 1996-03-25 김정용 건물의 신축 및 철거용 조립식 패널구조물
JP2004131984A (ja) * 2002-10-09 2004-04-30 Japan Steels International Inc 作業ユニット
KR20100088822A (ko) * 2009-02-02 2010-08-11 (주)내경엔지니어링 친환경 자동 건물 해체공법 및 건물 해체용 구조물
JP2010203034A (ja) * 2009-02-27 2010-09-16 Shimizu Corp 建物改修/解体用装置及び建物の改修/解体方法
JP2011017230A (ja) * 2009-07-10 2011-01-27 Kajima Corp 飛散防止装置
KR20110083186A (ko) * 2010-01-13 2011-07-20 금강공업 주식회사 거푸집 작업발판의 인양방법
JP2014177783A (ja) * 2013-03-14 2014-09-25 Taisei Corp 構造物解体システム
JP2015014161A (ja) * 2013-07-07 2015-01-22 大成建設株式会社 構造物改築方法および構造物改築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503A (ja) * 1993-08-20 1995-02-28 Kajima Corp 全天候無公害解体工法
KR960004051B1 (ko) * 1993-09-15 1996-03-25 김정용 건물의 신축 및 철거용 조립식 패널구조물
JP2004131984A (ja) * 2002-10-09 2004-04-30 Japan Steels International Inc 作業ユニット
KR20100088822A (ko) * 2009-02-02 2010-08-11 (주)내경엔지니어링 친환경 자동 건물 해체공법 및 건물 해체용 구조물
JP2010203034A (ja) * 2009-02-27 2010-09-16 Shimizu Corp 建物改修/解体用装置及び建物の改修/解体方法
JP2011017230A (ja) * 2009-07-10 2011-01-27 Kajima Corp 飛散防止装置
KR20110083186A (ko) * 2010-01-13 2011-07-20 금강공업 주식회사 거푸집 작업발판의 인양방법
JP2014177783A (ja) * 2013-03-14 2014-09-25 Taisei Corp 構造物解体システム
JP2015014161A (ja) * 2013-07-07 2015-01-22 大成建設株式会社 構造物改築方法および構造物改築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475B1 (ko) * 2020-05-11 2020-10-23 김영호 센서기반의 구조물 안전해체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729A (ko)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318B1 (ko) 노후 구조물 철거장치 및 철거방법
KR101027860B1 (ko) 친환경 자동 건물 해체공법 및 건물 해체용 구조물
CN108868193A (zh) 钢结构建筑逆向拆除的施工方法
CN113027167A (zh) 高层建筑环保拆除方法
JP6603824B2 (ja) 多層階建屋解体時の上方飛散防止養生システム及び上方飛散防止養生方法
JP6088926B2 (ja) 構造物改築方法
JP3204708U (ja) 昇降足場装置
JP3881343B2 (ja) 筒状構造物の解体方法およびその解体装置
JP6684011B1 (ja) 多層階建屋解体時の上方飛散防止養生システム及び上方飛散防止養生方法
JP6391135B2 (ja) 仮設柱の設置方法
JP2015094086A (ja) 立坑のライニングコンクリート施工方法、及び立坑用プラットフォーム
JP6093665B2 (ja) 構造物改築方法
JP5542041B2 (ja) 構造物解体方法および構造物解体システム
JP2020190142A (ja) 多層階建屋解体時の上方飛散防止養生システム及び上方飛散防止養生方法
KR102335856B1 (ko) 철골빔 설치용 안전 난간대
JP6061339B2 (ja) 構造物改築方法および構造物改築システム
JP2007262687A (ja) 建物の解体工法及びメンテナンス工法
JP6320242B2 (ja) 仮設柱の設置方法
JP6391134B2 (ja) 解体方法および解体システム
JP7097203B2 (ja) クライミング式テルハ及び建物の解体方法
JP6418825B2 (ja) ジャッキ反力支持部材とこの反力支持部材を用いた建物解体方法
JP2009299350A (ja) 建造物の解体方法
JP6132349B2 (ja) 構造物改築方法
JP2010070941A (ja) 免震化工事における水平力拘束方法とその装置
JP5376121B2 (ja) タンクの屋根改修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新設屋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