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279B1 -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279B1
KR101826279B1 KR1020110014137A KR20110014137A KR101826279B1 KR 101826279 B1 KR101826279 B1 KR 101826279B1 KR 1020110014137 A KR1020110014137 A KR 1020110014137A KR 20110014137 A KR20110014137 A KR 20110014137A KR 101826279 B1 KR101826279 B1 KR 101826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ame
user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4704A (ko
Inventor
표승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4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279B1/ko
Publication of KR20120094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2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spects of the displayed game sce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3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 A63F13/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using wireless networks, e.g. cellular phone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단말기가 함께 게임을 실행하는 경우, 게임 실행화면은 외부의 영상장치를 통해 표시하고, 단말기에는 제어화면을 표시한다. 이를 통해, 단말기의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에 표시하고, 게임 제어화면을 다수의 단말기에 표시하여 다수의 스크린으로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단말기에서 동시에 진행되는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를 통해 공유하고, 각각의 단말기에는 부가정보를 표시함으로써, 게임 진행의 흥미를 유발하고, 컨텐츠 이용을 증가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display game data using terminal and system}
본 발명은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단말기가 함께 게임을 실행하는 경우, 게임 실행화면은 외부의 영상장치를 통해 표시하고, 단말기에는 제어화면을 표시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의 발달과 단말기 사양의 발전에 따라 종래의 단순한 통신장치 또는 정보 제공 장치의 범주를 벗어나 이동통신단말기는 현대인의 필수 소지품이 되었고, 토탈 엔터테인먼트 기기로 진화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와 함께, 단말기 시장은 소비자의 구매를 자극하는 새로운 기술 및 기능으로 인하여 짧은 기간에 대단히 빠른 성장을 하고 있다.
특히, 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넘어서 사용자들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설치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하여 음성정보, 문자정보, 화상정보, MP3(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ayer 3) 및 게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출퇴근 시간이 점점 길어지고, 레저 활동에 투자되는 시간이 점점 늘어남에 따라 출퇴근과 같은 자투리 시간이나 여가 활동 중에 발생하는 틈새 시간에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게임을 즐기려는 사람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인 게임의 종류에는 업소용 게임(또는 아케이드 게임), 가정에서 티비(TV)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비디오게임,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는 휴대용 게임 및 컴퓨터를 이용하는 컴퓨터 게임, 네트워크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등이 있다. 이중, 온라인 게임은 공간적인 제약이 없는 인터넷을 이용한 네트워크 게임으로 수만 명의 사용자들이 일정한 시나리오 내에서 각자의 역량에 따라 수많은 사용자들과 경쟁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를 통해 게임 또는 영화와 같은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단말기의 작은 화면에 실행화면이 표시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불편사항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불편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티비-아웃(TV-Out)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도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티비-아웃 기능을 갖는 단말기는 외부의 영상장치를 통해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동일한 영상이 그대로 표시되기 때문에,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화면이 커진 효과만을 느낄 뿐 게임 진행 상의 불편한 점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단말기가 함께 게임을 실행하는 경우, 게임 실행화면은 외부의 영상장치를 통해 표시하고, 단말기의 화면에는 다른 부가정보와 사용자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단말기가 함께 게임을 실행하는 경우, 하나의 단말기에서 다수의 단말기에 대한 게임조작정보를 수집하여 게임 실행을 제어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시스템은 게임을 실행하여, 그 실행화면을 영상장치의 해상도에 따라 출력하고, 게임과 연관된 제어화면을 표시하고, 제2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게임조작정보를 게임데이터에 적용하는 제1단말기와, 게임에 대한 제어화면을 표시하고, 게임조작정보를 제1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단말기 및 제1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게임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영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다른 단말기 및 영상장치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게임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통신부와, 게임 실행에 따른 제어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게임을 실행하여, 그 실행화면을 영상장치의 해상도에 따라 출력하고, 게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와 사용자정보를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고, 다른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게임조작정보를 게임데이터에 적용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는 제1단말기 및 외부장치와 게임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비스통신부 및 제1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외부장치의 해상도에 연관하여 게임 실행화면을 조절하고, 실행화면을 외부장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서비스통신부 또는 서비스제어부가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은 제1단말기가 제2단말기 및 영상장치와 연결하는 단계와, 제1단말기가 게임을 실행하는 단계와, 제1단말기가 게임 실행화면을 상기 영상장치의 해상도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와, 제1단말기가 게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와 제1단말기의 사용자정보를 제2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1단말기가 2단말기로부터 게임조작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1단말기가 수신된 게임조작정보를 게임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의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에 표시하고, 게임 제어화면을 단말기에 표시하여 다수의 스크린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단말기에서 동시에 진행되는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를 통해 공유하고, 각각의 단말기에는 부가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표시하여 게임 진행의 흥미를 유발하고, 컨텐츠 이용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내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내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를 통해 게임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게임을 실행하고,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로 출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때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시스템은 다수의 단말기(10a, 10b, ... ,10n), 영상장치(20), 네트워크(30) 및 서비스장치(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게임을 실행하고,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를 제1단말기(10a)라 하고, 제1단말기(10a)의 제어에 따라 제1단말기(10a)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기를 제2단말기(10b)라 한다. 이때, 제2단말기(10b)는 게임의 종류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수개가 될 수 있다.
네트워크(30)는 단말기(10), 영상장치(20) 및 서비스장치(4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30)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망으로, 아이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망 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30)는 유선네트워크, 이동네트워크, 근거리무선통신, Wibro(Wireless Broadband),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및 위성네트워크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중, 네트워크(30)가 와이파이 망으로 구성되는 경우 즉, 현재 위치한 장소 근처에 무선접속장치(AP, Access Point)가 설치되어 일정한 거리 내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는 무선랜 일 때, 제1단말기(10a)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와이파이 망을 통해 게임 실행화면을 외부의 영상장치(2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단말기(10a)는 제2단말기(10b)와 게임에 대한 부가정보 및 각각의 사용자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단말기(10a)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영상장치(20)에 게임 실행화면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단말기(10a)는 제2단말기(10b) 및 영상장치(2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단말기(10a)는 영상장치(20)와 무선 티비-아웃 기능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단말기(10a)는 제2단말기(10b)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와 같은 근거리무선통신 또는 무선랜 등을 통해 연결된다.
제1단말기(10a)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게임을 실행한다. 여기서, 게임데이터는 게임 공급 업체가 제공하는 게임서버에서 다운로드되어 기 저장된 컨텐츠 이거나,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되는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제1단말기(10a)는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의 해상도에 따라 출력한다. 즉, 제1단말기(10a)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실행되는 게임에 대한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의 해상도에 대응하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나서, 제1단말기(10a)는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로 전송한다. 이때, 제1단말기(10a)는 영상장치(20)로 최적 해상도를 요청하고, 요청에 상응하여 영상장치(20)로부터 최적 해상도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최적 해상도에 따라 실행화면의 해상도를 조절한다.
제1단말기(10a)는 게임에 연관된 부가정보와 제1단말기(10a)의 사용자정보를 제2단말기(10b)로 전송한다. 여기서, 부가정보는 게임데이터의 파일 타입, 사이즈 및 해상도 등에 해당하는 파일정보와 게임데이터에 대한 설명, 스토리, 장르, 제작 년도, 캐릭터, 맵 및 아이템에 해당하는 이용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사용자정보는 게임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점수, 등급, 레벨, 주무기, 공격성향, 수비성향, 최근 게임기록, 역대 게임기록 및 매너도 등과 같은 정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1단말기(10a)는 제2단말기(10b)의 사용자정보를 요청한다. 그리고, 제1단말기(10a)는 제2단말기(10b)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제1단말기(10a)는 게임 실행에 따른 제어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제1단말기(10a)는 게임에 연관된 부가정보와 제2단말기(10b)의 사용자정보를 제어화면으로 표시한다.
제1단말기(10a)는 제2단말기(10b)로부터 게임조작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1단말기(10a)는 제2단말기(10b)로부터 수신된 게임조작정보를 게임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제1단말기(10a)는 게임 실행 중 제2단말기(10b)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게임에 적용하고, 적용된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게임조작정보는 게임 진행에 따라 발생하는 공격, 이동, 방어, 및 기타 게임 조작을 위해 입력되는 신호가 될 수 있다.
제1단말기(10a)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화면을 오프(Off)하여 대기모드를 수행하고, 임의의 키를 누르는 입력 신호에 따라 제어화면을 다시 표시할 수 있다.
제2단말기(10b)는 제1단말기(10a)의 제어에 따라 게임을 실행한다. 여기서, 제2단말기(10b)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제1단말기(10a)와 연결되고, 제2단말기(10b)의 사용자는 게임 실행에 따라 출력되는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제2단말기(10b)는 제1단말기(10a)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정보 전송 요청에 따라 제2단말기(10b)의 사용자정보를 제1단말기(10a)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2단말기(10b)는 제1단말기(10a)로부터 수신되는 게임에 연관된 부가정보 및 제1단말기(10a)의 사용자정보를 제어화면으로 표시한다.
제2단말기(10b)는 게임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게임조작정보를 제1단말기(10a)로 전송한다.
서비스장치(4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제1단말기(10a) 및 영상장치(20)와 통신하여 게임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40)는 제1단말기(10a)의 요청에 따라 제1단말기(10a)에서 실행되는 게임의 화면을 영상장치(20)의 해상도에 따라 조절하여 출력한다. 즉, 서비스장치(40)는 사용자의 제어 신호에 따라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의 최적의 해상도에 대응하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장치(40)는 조절된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장치(40)는 게임의 화면의 해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영상장치(20)로 최적의 해상도를 요청한다. 이후, 서비스장치(40)는 요청에 상응하여 영상장치(20)의 최적 해상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최적 해상도에 따라 게임 실행화면에 대한 해상도를 조절한다.
이를 통해, 단말기의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에 표시하고, 게임 제어화면을 다수의 단말기에 표시하여 다수의 스크린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단말기에서 동시에 진행되는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를 통해 공유하고, 각각의 단말기에는 부가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표시하여 게임 진행의 흥미를 유발하고, 컨텐츠 이용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는 단말제어부(11), 입력부(12), 단말표시부(13), 단말저장부(14), 오디오처리부(15) 및 단말통신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단말제어부(11)는 게임실행모듈(11a)와 외부출력모듈(11b)을 포함하고, 단말저장부(14)는 게임데이터 DB(14a)를 포함한다.
단말제어부(11)는 단말기(10)의 각 구성을 초기화하고, 필요한 신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제어부(11)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영상장치(20)에 게임 실행화면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단말제어부(11)는 영상장치(2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된다. 이때, 단말제어부(11)는 영상장치(20)와 무선 티비-아웃 기능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단말제어부(11)는 다른 단말기와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무선통신 또는 무선랜 등을 통해 연결된다.
단말제어부(1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게임을 실행한다. 여기서, 게임데이터는 게임 공급 업체가 제공하는 게임서버에서 다운로드되어 기 저장된 컨텐츠 이거나,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되어 이용되는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제어부(11)는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의 해상도에 따라 출력한다. 즉, 단말제어부(11)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실행되는 게임에 화면을 영상장치(20)의 해상도에 대응하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나서, 단말제어부(11)는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로 전송한다. 이때, 단말제어부(11)는 영상장치(20)로 최적 해상도를 요청하고, 요청에 상응하여 영상장치(20)로부터 최적 해상도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최적 해상도에 따라 게임 실행화면의 해상도를 조절한다.
단말제어부(11)는 게임에 연관된 부가정보와 단말기(10)의 사용자정보를 다른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부가정보는 게임데이터의 파일 타입, 사이즈 및 해상도 등에 해당하는 파일정보와 게임데이터에 대한 설명, 스토리, 장르, 제작 년도, 캐릭터, 맵 및 아이템에 해당하는 이용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사용자정보는 게임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점수, 등급, 레벨, 주무기, 공격성향, 수비성향, 최근 게임기록, 역대 게임기록 및 매너도 등과 같은 정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단말제어부(11)는 다른 단말기의 사용자정보를 요청한다. 그리고, 단말제어부(11)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11)는 게임 실행에 따른 제어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단말제어부(11)는 게임에 대한 부가정보와 다른 단말기의 사용자정보를 제어화면으로 표시한다.
단말제어부(11)는 제2단말기(10b)로부터 게임조작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단말제어부(11)는 제2단말기(10b)로부터 수신된 게임조작정보를 게임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즉, 단말제어부(11)는 게임 실행 중 제2단말기(10b)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게임에 적용하고, 적용된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게임조작정보는 게임 진행에 따라 발생하는 공격, 이동, 방어, 및 기타 게임 진행을 위해 입력되는 신호가 될 수 있다.
단말제어부(11)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화면을 오프하여 대기모드를 수행하고, 임의의 키를 누르는 입력 신호에 따라 제어화면을 다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제어부(11)는 다른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게임을 실행한다. 여기서, 단말제어부(11)는 네트워크(30)를 통해 다른 단말기와 연결되고, 단말기(10)의 사용자는 게임 실행에 따라 출력되는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11)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정보 전송 요청에 따라 단말기(10)의 사용자정보를 다른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제어부(11)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게임에 연관된 부가정보 및 다른 단말기의 사용자정보를 제어화면으로 표시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단말제어부(11)는 게임실행모듈(11a)와 외부출력모듈(11b)을 구비한다.
게임실행모듈(11a)는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를 통해 출력하기 위하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게임실행모듈(11a)는 다수의 단말기를 통해 게임을 진행하기 위하여 다른 단말기의 화면에 게임에 대한 부가정보와 사용자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게임실행모듈(11a)는 다른 단말기와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무선통신 또는 무선랜 등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게임실행모듈(11a)은 제2단말기(10b)로부터 게임조작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게임실행모듈(11a)은 제2단말기(10b)로부터 수신된 게임조작정보를 게임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외부출력모듈(11b)는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의 해상도에 따라 출력한다. 이때, 외부출력모듈(11b)은 영상장치(20)로 최적 해상도를 요청하고, 요청에 상응하여 영상장치(20)로부터 최적 해상도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최적 해상도에 따라 게임 실행화면의 해상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나서, 외부출력모듈(11b)는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로 전송한다.
입력부(12)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단말기(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단말제어부(11)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2)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는 단말표시부(13)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게임 실행을 요청하는 입력신호를 단말제어부(11)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는 단말기(10)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화면에 터치되는 신호를 입력 받거나,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는 게임 실행화면을 외부의 영상장치(20)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단말제어부(11)로 전달한다.
단말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단말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표시부(1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표시부(13)는 게임 실행에 따른 부가정보와 상대방에 대한 사용자정보가 제어화면으로 표시된다.
단말저장부(14)는 단말기(1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단말저장부(14)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단말제어부(1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기(1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게임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게임 실행화면을 외부로 출력하는 프로그램 및 다른 단말기와 연계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단말기(1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게임 실행에 이용되는 게임데이터 DB(14a)를 포함하고, 게임데이터 DB(14a)에는 부가정보 및 사용자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부가정보는 게임데이터의 파일 타입, 사이즈 및 해상도 등에 해당하는 파일정보와 게임데이터에 대한 설명, 스토리, 장르, 제작 년도, 캐릭터, 맵 및 아이템에 해당하는 이용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사용자정보는 게임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점수, 등급, 레벨, 주무기, 공격성향, 수비성향, 최근 게임기록, 역대 게임기록 및 매너도 등과 같은 정보가 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15)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단말제어부(1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오디오처리부(15)는 단말기(10)의 기능 실행이나 사용자의 게임 실행에 따른 경고음이나 효과음을 제공할 수 있다.
단말통신부(16)는 단말기(10)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즉, 단말통신부(16)는 네트워크(30)을 통해 영상장치(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단말통신부(16)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통신부(16)는 게임 실행화면을 무선 티비-아웃 기능을 통해 영상장치(20)로 전송하고, 게임에 대한 제어화면을 다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40)는 서비스제어부(41), 서비스저장부(42) 및 서비스통신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비스제어부(41)는 서비스장치(40)의 각 구성을 초기화하고, 필요한 신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제어부(41)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제1단말기(10a) 및 영상장치(20)와 통신하여 게임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서비스제어부(41)는 제1단말기(10a)의 요청에 따라 제1단말기(10a)에서 재생되는 게임데이터의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의 해상도에 따라 조절하여 출력한다. 즉, 서비스제어부(41)는 사용자의 제어 신호에 따라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의 최적의 해상도에 대응하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제어부(41)는 조절된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제어부(41)는 게임 실행화면의 해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영상장치(20)로 최적의 해상도를 요청한다. 이후, 서비스제어부(41)는 요청에 상응하여 영상장치(20)의 최적 해상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최적 해상도에 따라 게임 실행화면에 대한 해상도를 조절한다.
서비스저장부(42)는 서비스장치(4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서비스저장부(42)는 서비스제어부(4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저장부(42)는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로 출력하기 위하여 영상장치(20)의 해상도에 따라 실행화면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서비스통신부(43)는 서비스장치(40)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즉, 서비스통신부(43)는 네트워크(30)을 통해 단말기(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통신부(43)는 단말기(10)로부터 게임 실행화면을 수신하고, 영상장치(20)로부터 최적의 해상도를 수신한다. 그리고, 서비스통신부(43)는 영상장치(20)의 해상도에 따라 해상도가 조절된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로 전송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서비스장치(40)의 서버제어부(41) 또는 서버통신부(43)가 서버 기반 컴퓨팅 기반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장치(20)로 전송되는 게임데이터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로 출력하기 위한 모든 게임데이터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저장되고, 단말기(10)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든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내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를 이용하여 게임데이터를 영상장치(20)에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먼저, 제1단말기(10a)는 S11 단계에서 영상장치(2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단말기(10a)는 영상장치(20)와 무선 티비-아웃 기능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단말기(10a)는 S13 단계에서 제2단말기(10b)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제1단말기(10a)는 블루투스,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무선통신 또는 무선랜 등을 통해 연결된다.
제1단말기(10a)는 S15 단계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게임을 실행한다. 여기서, 게임데이터는 게임 공급 업체가 제공하는 게임서버에서 다운로드되어 기 저장된 컨텐츠 이거나,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되어 이용되는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제1단말기(10a)는 S17 단계에서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의 해상도에 따라 조절한다. 즉, 제1단말기(10a)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실행되는 게임에 대한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의 해상도에 대응하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나서, 제1단말기(10a)는 S19 단계에서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로 전송한다. 이때, 제1단말기(10a)는 영상장치(20)로 최적 해상도를 요청하고, 요청에 상응하여 영상장치(20)로부터 최적 해상도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최적 해상도에 따라 실행화면의 해상도를 조절한다.
게임 실행화면이 수신되면, 영상장치(20)는 S21 단계에서 실행화면을 표시한다.
제1단말기(10a)는 S23 단계에서 게임데이터에 연관된 부가정보와 제1단말기(10a)의 사용자정보를 제2단말기(10b)로 전송하고, 제2단말기(10b)의 사용자정보를 요청한다. 여기서, 부가정보는 게임데이터의 파일 타입, 사이즈 및 해상도 등에 해당하는 파일정보와 게임데이터에 대한 설명, 스토리, 장르, 제작 년도, 캐릭터, 맵 및 아이템에 해당하는 이용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사용자정보는 게임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점수, 등급, 레벨, 주무기, 공격성향, 수비성향, 최근 게임기록, 역대 게임기록 및 매너도 등과 같은 정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단말기(10a)는 S25 단계에서 제2단말기(10b)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제2단말기(10b)는 S27 단계에서 제1단말기(10a)로부터 수신되는 게임에 연관된 부가정보 및 제1단말기(10a)의 사용자정보를 제어화면으로 표시한다.
제1단말기(10a)는 S29 단계에서 게임에 대한 부가정보와 제2단말기(10b)의 사용자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즉, 제1단말기(10a)는 게임 실행에 따른 제어화면을 표시한다.
이후, 제2단말기(10b)는 S31 단계에서 게임조작정보를 입력 받는다. 즉, 제2단말기(10b)는 게임 실행 중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발생하는 조작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게임조작정보는 게임 진행에 따라 발생하는 공격, 이동, 방어, 및 기타 게임 진행을 위해 입력되는 신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단말기(10b)는 S33 단계에서 게임조작정보를 제1단말기(10a)로 전송한다.
게임조작정보가 수신되면, 제1단말기(10a)는 S35 단계에서 제2단말기(10b)의 게임조작정보를 게임데이터에 적용한다.
이를 통해, 단말기의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에 표시하고, 게임 제어화면을 다수의 단말기에 표시하여 다수의 스크린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단말기에서 동시에 진행되는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를 통해 공유하고, 각각의 단말기에는 부가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표시하여 게임 진행의 흥미를 유발하고, 컨텐츠 이용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내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를 이용하여 게임데이터를 영상장치(20)에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먼저, 제1단말기(10a)는 S41 단계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게임을 실행한다. 여기서, 게임데이터는 게임 공급 업체가 제공하는 게임서버에서 다운로드되어 기 저장된 컨텐츠 이거나,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되어 이용되는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제1단말기(10a)는 S43 단계에서 영상장치(2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단말기(10a)는 영상장치(20)와 무선 티비-아웃 기능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단말기(10a)는 S45 단계에서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의 해상도에 따라 조절한다. 즉, 제1단말기(10a)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실행되는 게임에 대한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의 해상도에 대응하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나서, 제1단말기(10a)는 S47 단계에서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로 전송한다. 이때, 제1단말기(10a)는 영상장치(20)로 최적 해상도를 요청하고, 요청에 상응하여 영상장치(20)로부터 최적 해상도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된 최적 해상도에 따라 실행화면의 해상도를 조절한다.
게임 실행화면이 수신되면, 영상장치(20)는 S49 단계에서 실행화면을 표시한다.
제1단말기(10a)는 S51 단계에서 제2단말기(10b)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제1단말기(10a)는 블루투스,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무선통신 또는 무선랜 등을 통해 연결된다.
제1단말기(10a)는 S53 단계에서 게임데이터에 연관된 부가정보와 제1단말기(10a)의 사용자정보를 제2단말기(10b)로 전송하고, 제2단말기(10b)의 사용자정보를 요청한다. 여기서, 부가정보는 게임데이터의 파일 타입, 사이즈 및 해상도 등에 해당하는 파일정보와 게임데이터에 대한 설명, 스토리, 장르, 제작 년도, 캐릭터, 맵 및 아이템에 해당하는 이용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사용자정보는 게임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점수, 등급, 레벨, 주무기, 공격성향, 수비성향, 최근 게임기록, 역대 게임기록 및 매너도 등과 같은 정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단말기(10a)는 S55 단계에서 제2단말기(10b)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제2단말기(10b)는 S57 단계에서 제1단말기(10a)로부터 수신되는 게임에 연관된 부가정보 및 제1단말기(10a)의 사용자정보를 제어화면으로 표시한다.
제1단말기(10a)는 S59 단계에서 게임에 대한 부가정보와 제2단말기(10b)의 사용자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즉, 제1단말기(10a)는 게임 실행에 따른 제어화면을 표시한다.
이후, 제2단말기(10b)는 S61 단계에서 게임조작정보를 입력 받는다. 즉, 제2단말기(10b)는 게임 실행 중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발생하는 조작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게임조작정보는 게임 진행에 따라 발생하는 공격, 이동, 방어, 및 기타 게임 진행을 위해 입력되는 신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단말기(10b)는 S63 단계에서 게임조작정보를 제1단말기(10a)로 전송한다.
게임조작정보가 수신되면, 제1단말기(10a)는 S65 단계에서 제2단말기(10b)의 게임조작정보를 게임데이터에 적용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를 통해 게임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40)를 통해 게임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먼저, 제1단말기(10a)는 S71 단계에서 영상장치(2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단말기(10a)는 영상장치(20)와 무선 티비-아웃 기능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단말기(10a)는 S73 단계에서 제2단말기(10b)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제1단말기(10a)는 블루투스,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무선통신 또는 무선랜 등을 통해 연결된다.
제1단말기(10a)는 S75 단계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게임을 실행한다. 여기서, 게임데이터는 게임 공급 업체가 제공하는 게임서버에서 다운로드되어 기 저장된 컨텐츠 이거나,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되어 이용되는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제1단말기(10a)는 S77 단계에서 게임 실행에 따라 게임데이터 실행화면을 서비스장치(40)로 전송한다.
서비스장치(40)는 S79 단계에서 무선통신을 통해 영상장치(20)와 연결될 수 있다. 서비스장치(40)와 영상장치(20)가 연결되면, 서비스장치(40)는 S81 단계에서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의 해상도에 따라 조절한다. 즉, 서비스장치(40)는 사용자의 제어 신호에 따라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의 최적의 해상도에 대응하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장치(40)는 S83 단계에서 조절된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장치(40)는 게임 실행화면의 해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영상장치(20)로 최적의 해상도를 요청한다. 이후, 서비스장치(40)는 요청에 상응하여 영상장치(20)의 최적 해상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최적 해상도에 따라 실행화면에 대한 해상도를 조절한다.
게임 실행화면이 수신되면, 영상장치(20)는 S85 단계에서 실행화면을 표시한다.
제1단말기(10a)는 S87 단계에서 게임데이터에 연관된 부가정보와 제1단말기(10a)의 사용자정보를 제2단말기(10b)로 전송하고, 제2단말기(10b)의 사용자정보를 요청한다. 여기서, 부가정보는 게임데이터의 파일 타입, 사이즈 및 해상도 등에 해당하는 파일정보와 게임데이터에 대한 설명, 스토리, 장르, 제작 년도, 캐릭터, 맵 및 아이템에 해당하는 이용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사용자정보는 게임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점수, 등급, 레벨, 주무기, 공격성향, 수비성향, 최근 게임기록, 역대 게임기록 및 매너도 등과 같은 정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단말기(10a)는 S89 단계에서 제2단말기(10b)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제2단말기(10b)는 S91 단계에서 제1단말기(10a)로부터 수신되는 게임에 연관된 부가정보 및 제1단말기(10a)의 사용자정보를 제어화면으로 표시한다.
제1단말기(10a)는 S93 단계에서 게임에 대한 부가정보와 제2단말기(10b)의 사용자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즉, 제1단말기(10a)는 게임 실행에 따른 제어화면을 표시한다.
이후, 제2단말기(10b)는 S95 단계에서 게임조작정보를 입력 받는다. 즉, 제2단말기(10b)는 게임 실행 중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발생하는 조작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게임조작정보는 게임 진행에 따라 발생하는 공격, 이동, 방어, 및 기타 게임 진행을 위해 입력되는 신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단말기(10b)는 S97 단계에서 게임조작정보를 제1단말기(10a)로 전송한다.
게임조작정보가 수신되면, 제1단말기(10a)는 S99 단계에서 제2단말기(10b)의 게임조작정보를 게임데이터에 적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는 게임을 실행하고, 해당되는 진행 화면을 영상장치(20)의 해상도에 따라 조절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실행되는 게임과 연관된 부가정보, 사용자정보 및 다른 사용자에 대한 게임조작정보를 게임데이터에 적용하여 다른 영상장치에 표시한다. 이에 사용자는 다수의 스크린을 통해 게임을 진행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또한, 사용자는 제1단말기(10a)와 제2단말기(10b)를 동시에 사용하여 게임을 조작하고, 이에 대한 실행화면을 영상장치(20)를 통해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제1단말기(10a)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제2단말기(10b)를 이용하는 다른 이용자와 게임 실행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영상장치(20)를 통해 게임 실행 화면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실행 중 제1단말기(10a), 제2단말기(10b) 및 영상장치(20)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단말기(10a)와 제2단말기(10b)의 제어화면에는 게임에 대한 부가정보 및 상대방 사용자정보가 표시되고, 영상장치(20)에는 게임 실행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제1단말기(10a)는 제2단말기(10b)로부터 수신되는 게임조작정보를 게임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PMP, PDA, 노트북 및 MP3 플레이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장치에서, 다수의 단말기가 함께 게임을 실행하는 경우, 게임 실행화면은 외부의 영상장치를 통해 표시하고, 단말기에는 제어화면을 표시함으로써, 단말기의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에 표시하고, 게임 제어화면을 다수의 단말기에 표시하여 다수의 스크린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단말기에서 동시에 진행되는 게임 실행화면을 영상장치를 통해 공유하고, 각각의 단말기에는 부가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표시하여 게임 진행의 흥미를 유발하고, 컨텐츠 이용을 증가 시킬 수 있다.
10a, 10b, ... , 10n: 단말기 11: 단말제어부
12: 입력부 13: 단말표시부 14: 단말저장부
15: 오디오처리부 16: 단말통신부 11a: 게임실행 모듈
11b: 외부출력 모듈 14a: 게임데이터 DB 20: 영상장치
30: 네트워크 40: 서비스장치 41: 서비스제어부
42: 서비스저장부 43: 서비스통신부

Claims (5)

  1. [청구항 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게임의 실행 결과로 나타나는 게임 실행 화면을 출력하는 영상 장치;
    상기 게임의 제어를 위한 게임 제어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영상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게임 조작 명령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다른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게임 조작 명령에 의해 상기 게임을 실행하고, 그에 따른 게임 실행 화면을 상기 영상 장치로 출력하는 제1 단말기; 및
    상기 게임의 제어를 위한 게임 제어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게임 조작 명령을 입력 받아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말기는, 게임 연동을 위하여 게임과 관련된 부가 정보 및 제1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제2 단말기로 전송하면서, 제2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게임 제어 화면을 통해 출력하고,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부가 정보 및 제1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 화면을 통해 출력하며, 상기 제2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시스템.
  2. 다른 단말기 및 영상장치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게임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통신부;
    게임 실행에 따른 게임의 제어를 위한 게임 제어 화면을 출력하고,
    게임과 관련된 부가정보 및 다른 단말기로부터 상대방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게임을 실행하여, 상기 게임과 연관된 부가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다른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게임조작정보를 게임데이터에 적용하고, 적용된 실행화면을 영상장치에 출력하는 단말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단말기가 제2단말기 및 영상장치와 연결하는 단계;
    제2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게임 조작 명령에 의해 상기 제1단말기가 게임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게임과 연관된 부가정보 및 상기 제1단말기의 사용자정보를 상기 제2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제1단말기가 제2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고, 제2단말기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기가 게임에 연관된 부가정보 및 제2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제어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게임조작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게임조작정보를 게임데이터에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
KR1020110014137A 2011-02-17 2011-02-17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101826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137A KR101826279B1 (ko) 2011-02-17 2011-02-17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137A KR101826279B1 (ko) 2011-02-17 2011-02-17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027A Division KR101882963B1 (ko) 2016-09-30 2016-09-30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704A KR20120094704A (ko) 2012-08-27
KR101826279B1 true KR101826279B1 (ko) 2018-02-07

Family

ID=46885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137A KR101826279B1 (ko) 2011-02-17 2011-02-17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376A (ko) 2019-09-04 2021-03-12 주식회사 볼트홀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488B1 (ko) * 2013-01-07 2015-05-2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대형 인터랙티브 컨텐츠 시스템
KR101960456B1 (ko) * 2017-08-04 2019-03-20 주식회사 판타포 Vr기기 중앙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972B1 (ko) * 2006-04-24 200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통신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을 이용한 게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972B1 (ko) * 2006-04-24 200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통신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을 이용한 게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376A (ko) 2019-09-04 2021-03-12 주식회사 볼트홀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704A (ko) 201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027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을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US20130019179A1 (en) Mobile application enhancements
CN106406924B (zh) 应用程序启动和退出画面的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1479464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반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시스템,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서비스장치
US9965733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updating user data based on a completion status of a combination of business task and conversation task
KR101755012B1 (ko) 컨텐츠 공유 방법, 시스템 및 그의 단말기
KR101826279B1 (ko)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 및 시스템
JP5913580B2 (ja) 為替レート概念を適用したゲーム提供システム、このための端末機、サービス装置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210075851A1 (en) Application parti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882963B1 (ko)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749891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자원 상황 기반 프레임 레이트 조절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2536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output data in portable terminal
KR101479463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법, 시스템,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서비스장치
KR20150055147A (ko)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80433A (ko) 게임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2450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반의 영상데이터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70141180A (ko) 게임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1564090B1 (ko)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80432A (ko) 게임 실행 중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845915B1 (ko) 환율 개념을 적용한 게임 제공 방법,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
Tang et al. User input enrichment via sensing devices
KR101544732B1 (ko)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20079948A (ko)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87453A (ko) 단말기의 퀵 메뉴 편집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40031482A (ko) 캐릭터 연동 방법,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