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9948A -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9948A
KR20120079948A KR1020110001311A KR20110001311A KR20120079948A KR 20120079948 A KR20120079948 A KR 20120079948A KR 1020110001311 A KR1020110001311 A KR 1020110001311A KR 20110001311 A KR20110001311 A KR 20110001311A KR 20120079948 A KR20120079948 A KR 20120079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conversation
message
terminal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승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1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9948A/ko
Publication of KR20120079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9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63F13/87Communicating with other players during game play, e.g. by e-mail or cha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그의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의 대화체를 문어체로 변환하여 대화메시지를 전송하는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그의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온라인 게임 내에서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는 경우, 해당되는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함으로써 게임 사용자의 올바른 언어를 사용하도록 장려할 수 있고, 언어를 배우는 아이들 사이에서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대화체 단어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어 게임 실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언어 폭력으로부터 아이들을 보호할 수 있고, 올바른 언어 사용을 권장하여 사용자가 게임 내 다른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더욱 친밀감을 느낄 수 있게 하며,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versation message during game}
본 발명은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의 대화체를 문어체로 변환하여 대화메시지를 전송하는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internet)은 전세계 어디서나 접속하고자 하는 상대편 컴퓨터에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라는 공통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방형 네트워크로서, 기본적인 문자 정보의 전달은 물론 압축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멀티미디어 정보의 전달에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인터넷은 국내를 비롯해 세계적으로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되면서 기존 사업의 전 부분에 걸쳐 효율성과 생산성 제고를 위한 전략적인 도구로서 중요성이 급속히 증대되고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지속적으로 창출됨은 물론, 그 영역도 확장되고 있는 추세여서 인터넷을 이용한 사업자들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비즈니스의 일환으로 인터넷 광고, 인터넷 방송, 온라인 게임, 인터넷 신문/잡지, 검색서비스, 포탈 서비스, 전자 상거래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이트들 중 최근 들어 가정용 PC의 증가, PC방의 활성화, 저렴한 초고속 통신망의 폭넓은 이용 등의 인프라 확대로 인하여 게임 산업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일반적인 게임의 종류에는 업소용 게임(또는 아케이드 게임), 가정에서 TV에 연결해서 이용하는 비디오게임,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는 휴대용 게임 및 컴퓨터를 이용하는 컴퓨터 게임, 네트워크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등이 있다. 특히, 온라인 게임은 공간적인 제약이 없는 인터넷을 이용한 네트워크 게임으로 수만 명의 사용자들이 일정한 시나리오 내에서 각자의 역량에 따라 수많은 사용자들과 경쟁할 수 있는 게임이다.
온라인 게임에서 각 플레이어는 대화메시지 기능을 이용하여 게임과 동시에 커뮤니케이션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온라인 게임 내 대화메시지의 부적절한 표현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줄 뿐 아니라 언어 폭력에 이를 수도 있는 악영향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게임 실행 중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대화메시지를 작성하고, 작성된 대화메시지를 확인하여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대화체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하고, 문어체 단어로 변환된 대화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게임 실행 중 단말기로부터 대화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대화메시지를 확인하여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대화체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하고, 문어체 단어로 변환된 대화메시지를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게임장치 및 게임 실행 중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대화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거나, 문어체 단어로 변환된 대화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장치는 단말기와 대화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게임 실행 중 단말기로부터 대화메시지 수신하고, 수신된 대화메시지를 확인하여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대화체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하고, 문어체 단어로 변환된 대화메시지를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장치에 있어서, 대화메시지에 사용될 수 있는 욕설, 비속어, 은어, 사투리 및 채팅어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는 대화체 단어 및 대화체 단어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정확한 문법과 문장 형식에 따른 문어체 단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대화메시지에 대한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및 감탄사 중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확인하고, 확인된 단어와 저장부에 저장된 대화체 단어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대화체 단어에 연관된 문어체 단어를 저장부에서 검색하고, 대화메시지에서 대화체 단어를 검색된 문어체 단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기로 문어체 단어의 사용을 권장하는 경고메시지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게임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또는 제어부 또는 저장부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대화메시지를 입력 받는 입력부 및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가 입력되면, 입력된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대화체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하고, 문어체 단어로 변환된 대화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대화메시지에 사용될 수 있는 욕설, 비속어, 은어, 사투리 및 채팅어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는 대화체 단어 및 대화체 단어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정확한 문법과 문장 형식에 따른 문어체 단어를 저장하는 단말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은 게임장치가 게임 실행 중 제1단말기로부터 대화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게임장치가 수신된 대화메시지를 확인하여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게임장치가 대화체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하는 단계 및 게임장치가 문어체 단어로 변환된 대화메시지를 제2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에 있어서, 대화체 단어는 욕설, 비속어, 은어, 사투리 및 채팅어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는 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에 있어서, 문어체 단어는 대화체 단어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정확한 문법과 문장 형식에 따른 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에 있어서, 판단하는 단계는 게임장치가 대화메시지의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및 감탄사 중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확인하는 단계와, 게임장치가 확인된 단어와 기 저장된 대화체 단어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 매칭되는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게임장치가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변환하는 단계는 게임장치가 대화체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와, 게임장치가 대화체 단어에 연관된 문어체 단어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게임장치가 대화체 단어를 검색된 문어체 단어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에 있어서,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게임장치가 제1단말기로 문어체 단어의 사용을 권장하는 경고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은 단말기가 게임 실행 중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대화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작성된 대화메시지를 확인하여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기가 대화체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문어체 단어로 변환된 대화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게임 내에서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는 경우, 해당되는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함으로써 게임 사용자의 올바른 언어를 사용하도록 장려할 수 있다.
또한, 언어를 배우는 아이들 사이에서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대화체 단어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어 게임 실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언어 폭력으로부터 아이들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올바른 언어 사용을 권장하여 사용자가 게임 내 다른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더욱 친밀감을 느낄 수 있게 하며,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와 게임장치의 연동을 통한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를 제공하는 단말기와 연동하는 게임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고,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시스템(이하, 게임 시스템(100))은 게임장치(40)를 통해 게임을 실행하는 복수의 단말기(10) 및 복수의 단말기(10)로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장치(40) 및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망(50)으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실행을 위한 데이터는 인터넷 상의 게임장치(40)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한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및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의 디지털 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모든 게임 실행을 위한 데이터는 인터넷 상의 게임장치(40)에 저장되고, 제1단말기(20) 및 제2단말기(30)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든 이용될 수 있다.
통신망(50)은 게임 시스템(100)에서 제1단말기(20), 제2단말기(30) 및 게임장치(5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통신망(50)은 제1단말기(20), 제2단말기(30) 및 게임장치(4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망(50)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망으로, 아이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망 일 수 있다. 또한, 통신망(50)은 유선통신망, 이동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위성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망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중, 통신망(50)이 와이파이 망으로 구성되는 경우 즉, 현재 위치한 장소 근처에 무선접속장치(AP, Access Point)가 설치되어 일정한 거리 내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일 때,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와이파이 망을 통해 게임 실행 중 게임장치(40)로부터 대화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통신망(50)을 통해 게임장치(40)에 접속하여 게임 실행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는 게임 실행 중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대화메시지를 작성한다. 즉, 단말기(10)는 사용자로부터 채팅, 쪽지 또는 귓말 등에 해당하는 대화메시지를 입력 받는다. 그리고 나서, 단말기(10)는 작성된 대화메시지를 확인하여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대화체 단어는 욕설, 비속어, 은어, 사투리 및 채팅어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는 단어이다. 이때, 단말기(10)는 대화메시지에 대한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및 감탄사 등의 단어를 확인하고, 확인된 단어와 기 저장된 대화체 단어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매칭되는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기(10)는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대화체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한다. 여기서, 단말기(10)는 대화메시지에서 대화체 단어를 추출하고, 대화체 단어에 연관된 문어체 단어를 검색하고, 대화체 단어를 검색된 문어체 단어로 변환한다. 이때, 문어체 단어는 대화체 단어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정확한 문법과 문장 형식에 따른 단어이다. 그리고, 단말기(10)는 대화메시지에 문어체 단어의 사용을 권장하는 경고메시지를 제시한다. 이후, 단말기(10)는 문어체 단어로 변환된 대화메시지를 전송한다.
게임장치(40)는 통신망(50)을 통해 제1단말기(20) 및 제2단말기(30)에 게임을 제공하고, 제1단말기(20)로부터 수신되는 대화메시지를 제2단말기(3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장치(40)는 제1단말기(20)와 제2단말기(30) 사이의 게임 실행 중 제1단말기(20)로부터 대화메시지 수신한다. 대화메시지가 수신되면, 게임장치(40)는 수신된 대화메시지를 확인하여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대화체 단어는 욕설, 비속어, 은어, 사투리 및 채팅어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는 단어이다. 이때, 게임장치(40)는 대화메시지에 대한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및 감탄사 등의 단어를 확인하고, 확인된 단어와 기 저장된 대화체 단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매칭되는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게임장치(40)는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대화체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한다. 여기서, 게임장치(40)는 대화체 단어를 추출하고, 대화체 단어에 연관된 문어체 단어를 검색하고, 대화체 단어를 검색된 문어체 단어로 변환한다. 이때, 문어체 단어는 대화체 단어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정확한 문법과 문장 형식에 따른 단어이다. 한편, 게임장치(40)는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1단말기(20)로 문어체 단어의 사용을 권장하는 경고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게임장치(40)는 문어체 단어로 변환된 대화메시지를 제2단말기(30)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온라인 게임 내에서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는 경우, 해당되는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함으로써 게임 사용자가 올바른 언어를 사용하도록 장려할 수 있고, 언어를 배우는 아이들 사이에서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대화체 단어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어 게임 실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언어 폭력으로부터 아이들을 보호할 수 있고, 올바른 언어 사용을 권장하여 사용자가 게임 내 다른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더욱 친밀감을 느낄 수 있게 하며,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시스템(100)의 단말기(10)는 게임 실행을 위하여 단말제어부(11), 입력부(12), 표시부(13), 단말저장부(14), 오디오처리부(15) 및 단말통신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제어부(11)는 단말기(10)의 각 구성을 초기화하고, 필요한 신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제어부(11)는 게임 실행 중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대화메시지를 작성한다. 그리고 나서, 단말제어부(11)는 작성된 대화메시지를 확인하여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대화체 단어는 욕설, 비속어, 은어, 사투리 및 채팅어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는 단어이다. 이때, 단말제어부(11)는 대화메시지에 대한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및 감탄사 등의 단어를 확인하고, 확인된 단어와 기 저장된 대화체 단어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매칭되는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제어부(11)는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11)는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대화체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한다. 여기서, 단말제어부(11)는 대화체 단어를 추출하고, 대화체 단어에 연관된 문어체 단어를 검색하고, 대화체 단어를 검색된 문어체 단어로 변환한다. 이때, 문어체 단어는 대화체 단어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정확한 문법과 문장 형식에 따른 단어이다. 그리고, 단말제어부(11)는 대화메시지에 문어체 단어의 사용을 권장하는 경고메시지를 제시한다. 이후, 단말제어부(11)는 문어체 단어로 변환된 대화메시지를 전송한다.
입력부(12)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단말기(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단말제어부(11)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2)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는 표시부(13)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는 단말기(10)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화면에 터치되는 신호를 입력 받거나,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1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게임 접속을 요청하는 입력신호를 단말제어부(11)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대화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한다.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3)는 게임 실행에 따른 게임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표시부(13)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대화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저장부(14)는 단말기(1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단말저장부(14)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단말제어부(1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기(1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사용자의 요청 신호에 따라 게임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대화메시지를 작성하는 프로그램 및 대화메시지의 대화체 단어를 확인하여 문어체 단어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단말기(1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게임 실행 중 작성되는 대화메시지의 대화체 단어를 비교하기 위한 대화체 데이터베이스(DB) 및 문어체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된다.
오디오처리부(15)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단말제어부(1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오디오처리부(15)는 단말기(10)의 기능 실행이나 사용자의 게임 실행에 따른 경고음이나 효과음을 제공할 수 있다.
단말통신부(16)는 단말기(10)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즉, 단말통신부(16)는 통신망(50)을 통해 게임장치(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단말통신부(16)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통신부(16)는 다른 단말기에 의해 작성된 대화메시지를 게임장치(40)로부터 수신하거나, 다른 단말기로 대화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100)에서 단말기(10)는 게임 실행 중 작성되는 대화메시지의 포함된 대화체 단어를 확인하여 문어체 단어로 변환하고, 문어체 단어로 변환된 대화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는 게임 실행 중 게임장치(40)를 통해 수신되는 대화메시지를 분석하여 대화체 단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대화체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문어체 단어로 변환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시스템(100)의 게임장치(40)는 제어부(41), 저장부(42) 및 통신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41)는 게임장치(40)의 각 구성을 초기화하고, 필요한 신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41)는 제1단말기(20)와 제2단말기(30) 사이의 게임 실행 중 제1단말기(20)로부터 대화메시지 수신한다. 대화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41)는 수신된 대화메시지를 확인하여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대화체 단어는 욕설, 비속어, 은어, 사투리 및 채팅어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는 단어이다. 이때, 제어부(41)는 대화메시지에 대한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및 감탄사 등의 단어를 확인하고, 확인된 단어와 기 저장된 대화체 단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매칭되는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1)는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대화체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한다. 여기서, 제어부(41)는 대화체 단어를 추출하고, 대화체 단어에 연관된 문어체 단어를 검색하고, 대화체 단어를 검색된 문어체 단어로 변환한다. 이때, 문어체 단어는 대화체 단어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정확한 문법과 문장 형식에 따른 단어이다. 그리고, 제어부(41)는 제1단말기(20)로 대화메시지에 문어체 단어의 사용을 권장하는 경고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41)는 문어체 단어로 변환된 대화메시지를 제2단말기(30)로 전송한다.
저장부(42)는 게임장치(4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42)는 제어부(4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42)는 게임장치(4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대화메시지의 대화체 단어를 확인하여 문어체 단어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42)는 게임 실행 중 작성되는 대화메시지의 대화체 단어를 비교하기 위한 대화체 데이터베이스 및 문어체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된다.
통신부(43)는 게임장치(40)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즉, 통신부(43)는 통신망(50)을 통해 단말기(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43)는 대화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게임장치(40)는 서버 기반 컴퓨팅 방식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41), 저장부(42) 및 통신부(43)를 각각 독립된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되거나, 상기 제어부(41), 저장부(42) 및 통신부(43)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게임장치(40)는 단말기(10)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서비스를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에 따르면, 게임장치(40)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데이터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컴퓨팅 자원을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장치(40)는 단말기(10)에 대하여 게임이 실행되는 가상의 컴퓨팅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컴퓨팅 공간을 통해 게임이 실행되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또한, 게임장치(40)는 게임 데이터 및/또는 게임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저장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저장 공간을 통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게임장치(40)는 게임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서 해당 게임 소프트웨어를 단말기(10)로 제공하거나, 해당 게임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단말기(10)에 실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게임장치(40)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팅 자원을 통해서, 게임 실행 중 단말기(10)로부터 대화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대화메시지를 확인하여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대화체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하고, 상기 문어체 단어로 변환된 대화메시지를 다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10)는 S11 단계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게임을 실행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S13 단계에서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작성이 요청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대화메시지 작성이 요청되면, 단말기(10)는 S15 단계에서 대화메시지 입력을 위한 작성창을 화면에 제시한다. 이후, 단말기(10)는 S17 단계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대화메시지를 작성한다. 한편, 대화메시지 작성이 요청되지 않는 경우, 단말기는 S11 단계에서 게임을 계속 실행한다.
대화메시지가 작성되면, 단말기(10)는 S19 단계에서 대화메시지를 분석한다. 즉, 단말기(10)는 대화메시지에 대한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및 감탄사 등의 단어를 확인하고, 확인된 단어와 기 저장된 대화체 단어를 비교한다. 그리고 나서, 단말기(10)는 S21 단계에서 작성된 대화메시지를 확인하여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즉, 비교 결과 매칭되는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기(10)는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대화체 단어는 욕설, 비속어, 은어, 사투리 및 채팅어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는 단어이다.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기(10)는 S23 단계에서 대화체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한다. 여기서, 단말기(10)는 대화체 단어를 추출하고, 대화체 단어에 연관된 문어체 단어를 검색하고, 대화체 단어를 검색된 문어체 단어로 변환한다. 이때, 문어체 단어는 대화체 단어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정확한 문법과 문장 형식에 따른 단어이다. 그리고, 단말기(10)는 S25 단계에서 문어체 단어의 사용을 권장하는 경고메시지를 제시한다. 이후, 단말기(10)는 S27 단계에서 문어체 단어로 변환된 대화메시지를 다른 단말기로 전송한다. 한편,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 단말기(10)는 S29 단계에서 대화메시지를 문어체 단어의 변경 없이 다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온라인 게임 내에서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는 경우, 해당되는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함으로써 게임 사용자의 올바른 언어를 사용하도록 장려할 수 있고, 언어를 배우는 아이들 사이에서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대화체 단어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어 게임 실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언어 폭력으로부터 아이들을 보호할 수 있고, 올바른 언어 사용을 권장하여 사용자가 게임 내 다른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더욱 친밀감을 느낄 수 있게 하며,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시스템(100)에서 단말기(10)는 게임 실행 중 작성되는 대화메시지의 대화체 단어를 확인하여 문어체 단어로 변환하고, 문어체 단어로 변환된 대화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는 게임 실행 중 게임장치(40)를 통해 수신되는 대화메시지를 분석하여 대화체 단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대화체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문어체 단어로 변환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와 게임장치의 연동을 통한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와 게임장치(40)의 연동을 통한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단말기(20)와 제2단말기(30)는 각각의 사용자 요청에 따라 S31 단계와 S33 단계에서 게임장치(40)로 게임 접속을 요청하고, 게임장치(40)의 승인 신호에 따라 S35 단계에서 게임을 실행한다.
게임 실행 중 제1단말기(10)는 S37 단계에서 대화메시지를 작성한다. 여기서, 제1단말기(20)는 대화메시지 작성이 요청되는지 확인하고, 대화메시지 작성이 요청되면, 대화메시지 입력을 위한 작성창을 화면에 제시한다. 이후, 제1단말기(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대화메시지를 작성한다.
대화메시지가 작성되면, 제1단말기(20)는 S39 단계에서 대화메시지를 제2단말기(30)로 전송하기 위하여 게임장치(40)에 요청한다.
대화메시지가 수신되면, 게임장치(40)는 S41 단계에서 수신된 대화메시지를 분석한다. 이때, 게임장치(40)는 대화메시지에 대한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및 감탄사 등의 단어를 확인하고, 확인된 단어와 기 저장된 대화체 단어를 비교한다. 그리고 나서, 게임장치(40)는 S43 단계에서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즉, 게임장치(40)는 비교 결과 매칭되는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대화체 단어는 욕설, 비속어, 은어, 사투리 및 채팅어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는 단어이다.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게임장치(40)는 S45 단계에서 대화체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한다. 여기서, 게임장치(40)는 대화체 단어를 추출하고, 대화체 단어에 연관된 문어체 단어를 검색하고, 대화체 단어를 검색된 문어체 단어로 변환한다. 이때, 문어체 단어는 대화체 단어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정확한 문법과 문장 형식에 따른 단어이다. 그리고, 게임장치(40)는 S51 단계에서 제1단말기(20)로 대화메시지에 문어체 단어의 사용을 권장하는 경고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1단말기(20)는 S53 단계에서 경고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게임장치(40)는 S47 단계에서 문어체 단어로 변환된 대화메시지를 제2단말기(30)로 전송한다. 한편,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 게임장치(40)는 S55 단계에서 대화메시지를 문어체 단어로 변경 없이 제2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대화메시지가 수신되면, 제2단말기(30)는 S49 단계에서 수신된 대화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를 통해, 온라인 게임 내에서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는 경우, 해당되는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함으로써 게임 사용자의 올바른 언어를 사용하도록 장려할 수 있고, 언어를 배우는 아이들 사이에서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대화체 단어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어 게임 실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언어 폭력으로부터 아이들을 보호할 수 있고, 올바른 언어 사용을 권장하여 사용자가 게임 내 다른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더욱 친밀감을 느낄 수 있게 하며,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를 제공하는 단말기와 연동하는 게임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를 제공하는 단말기(10)와 연동하는 게임장치(40)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게임장치(40)는 S61 단계에서 다수의 단말기(10)로부터 게임 접속이 요청되는지 판단한다. 이때, 게임 접속이 요청되면, 게임장치(40)는 S63 단계에서 게임 접속을 승인한다. 한편, 게임 접속이 요청되지 않는 경우, 게임장치(40)는 다수의 단말기(10)로부터 게임 접속이 요청되는지 계속 확인한다.
게임장치(40)는 S65 단계에서 제1단말기(20)와 제2단말기(30) 사이의 게임 실행 중 제1단말기(20)로부터 대화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대화메시지가 수신되면, 게임장치(40)는 S67 단계에서 수신된 대화메시지를 분석한다. 이때, 게임장치(40)는 대화메시지에 대한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및 감탄사 등의 단어를 확인하고, 확인된 단어와 기 저장된 대화체 단어를 비교한다. 그리고 나서, 게임장치(40)는 S69 단계에서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즉, 게임장치(40)는 비교 결과 매칭되는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게임장치(40)는 S71 단계에서 대화체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한다. 여기서, 게임장치(40)는 대화체 단어를 추출하고, 대화체 단어에 연관된 문어체 단어를 검색하고, 대화체 단어를 검색된 문어체 단어로 변환한다. 그리고, 게임장치(40)는 S73 단계에서 제1단말기(20)로 대화메시지에 문어체 단어의 사용을 권장하는 경고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게임장치(40)는 S75 단계에서 문어체 단어로 변환된 대화메시지를 제2단말기(30)로 전송한다. 한편,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 게임장치(40)는 S77 단계에서 대화메시지를 문어체 단어로 변경 없이 제2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단말기(20)는 게임 실행 중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대화메시지(701)를 작성한다. 이때, 제1단말기(20)는 대화메시지(701)에 대화체 단어(701)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대화메시지(701)에 대화체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제1단말기(20)는 대화체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경하고, 변경된 대화메시지(801)를 제2단말기(30)로 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제2단말기(30)는 문어체 단어로 변환된 대화메시지(801)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제1단말기(20)는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문어체 사용을 권장하는 경고메시지(901)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PMP, PDA, 노트북 및 MP3 플레이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장치에서 게임 실행 중 채팅 등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대화메시지의 대화체를 문어체로 변환하여 대화메시지를 전송하는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그의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온라인 게임 내에서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는 경우, 해당되는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함으로써 게임 사용자의 올바른 언어를 사용하도록 장려할 수 있고, 언어를 배우는 아이들 사이에서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대화체 단어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어 게임 실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언어 폭력으로부터 아이들을 보호할 수 있고, 올바른 언어 사용을 권장하여 사용자가 게임 내 다른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더욱 친밀감을 느낄 수 있게 하며,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10: 단말기
11: 단말제어부
12: 입력부
13: 표시부
14: 단말저장부
15: 오디오처리부
16: 단말통신부
20: 제1단말기
30: 제2단말기
40: 게임장치
41: 제어부
42: 저장부
43: 통신부
50: 통신망
100: 게임 시스템

Claims (17)

  1. 게임 실행 중 단말기로부터 대화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대화메시지를 확인하여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대화체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하고, 상기 문어체 단어로 변환된 대화메시지를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게임장치; 및
    상기 게임 실행 중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대화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거나, 상기 문어체 단어로 변환된 대화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시스템.
  2. 단말기와 대화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게임 실행 중 상기 단말기로부터 대화메시지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대화메시지를 확인하여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대화체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하고, 상기 문어체 단어로 변환된 대화메시지를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메시지에 사용될 수 있는 욕설, 비속어, 은어, 사투리 및 채팅어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는 대화체 단어 및 상기 대화체 단어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정확한 문법과 문장 형식에 따른 문어체 단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화메시지에 대한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및 감탄사 중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단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대화체 단어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화체 단어에 연관된 문어체 단어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고, 상기 대화메시지에서 대화체 단어를 상기 검색된 문어체 단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로 상기 문어체 단어의 사용을 권장하는 경고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 또는 제어부 또는 저장부가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장치.
  8. 사용자로부터 대화메시지를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게임 실행 중 상기 대화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대화체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하고, 상기 문어체 단어로 변환된 대화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말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메시지에 사용될 수 있는 욕설, 비속어, 은어, 사투리 및 채팅어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는 대화체 단어 및 상기 대화체 단어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정확한 문법과 문장 형식에 따른 문어체 단어를 저장하는 단말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게임장치가 게임 실행 중 제1단말기로부터 대화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임장치가 상기 수신된 대화메시지를 확인하여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게임장치가 상기 대화체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장치가 상기 문어체 단어로 변환된 대화메시지를 제2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체 단어는
    욕설, 비속어, 은어, 사투리 및 채팅어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되는 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문어체 단어는
    상기 대화체 단어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정확한 문법과 문장 형식에 따른 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장치가 상기 대화메시지의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및 감탄사 중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게임장치가 상기 확인된 단어와 기 저장된 대화체 단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매칭되는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게임장치가 상기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게임장치가 상기 대화체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게임장치가 상기 대화체 단어에 연관된 문어체 단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장치가 상기 대화체 단어를 상기 검색된 문어체 단어로 변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게임장치가 상기 제1단말기로 상기 문어체 단어의 사용을 권장하는 경고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
  16. 단말기가 게임 실행 중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대화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작성된 대화메시지를 확인하여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대화메시지에 대화체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대화체 단어를 문어체 단어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문어체 단어로 변환된 대화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001311A 2011-01-06 2011-01-06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79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311A KR20120079948A (ko) 2011-01-06 2011-01-06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311A KR20120079948A (ko) 2011-01-06 2011-01-06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948A true KR20120079948A (ko) 2012-07-16

Family

ID=46712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311A KR20120079948A (ko) 2011-01-06 2011-01-06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99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1291A (ko) * 2017-10-30 2017-11-29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채팅 단말기
KR102325413B1 (ko) 2021-07-28 2021-11-11 조영우 Sns 서버의 욕설 사용 개선을 위한 채팅 서비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1291A (ko) * 2017-10-30 2017-11-29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채팅 단말기
KR102325413B1 (ko) 2021-07-28 2021-11-11 조영우 Sns 서버의 욕설 사용 개선을 위한 채팅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7941B2 (en) Managing dialog data providers
AU2020273370B2 (en) Cross-device handoffs
US20200294505A1 (en) View-based voice interaction method, apparatus, server, terminal and medium
US10311856B2 (en) Synthesized voice selection for computational agents
JP5794779B2 (ja) クライアントの入力メソッド
US10810242B2 (en) Scalable and effective document summarization framework
WO2018067404A1 (en) Synthesized voice selection for computational agents
KR101649393B1 (ko)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기반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시스템
CN103168298A (zh) 基于搜索引擎推断的虚拟协助
US11620143B2 (en) Interface and mode selection for digital action execution
KR20200093029A (ko) 보안 처리 환경에서의 데이터 전송
US9275034B1 (en) Exceptions to action invocation from parsing rules
CN108738362A (zh) 基于多层级引用符数据生成应用的深度链接
US102552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 voice-based user-input
KR20120079948A (ko) 게임 실행 중 대화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826279B1 (ko)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 및 시스템
JP2018524676A (ja) メッセンジャー基盤サービス提供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方法
KR101882963B1 (ko) 게임데이터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70141180A (ko) 게임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80433A (ko) 게임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2004968B1 (ko) 메신저 서비스의 첨부파일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US20220129966A1 (en) Method of transmitting messag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20080432A (ko) 게임 실행 중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80431A (ko) 이종의 네트워크를 적용하는 게임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그의 게임장치
KR20210081811A (ko) 음성인식 성능 향상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