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008B1 - 작업장치 및 스크린 인쇄기 - Google Patents

작업장치 및 스크린 인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008B1
KR101822008B1 KR1020167025304A KR20167025304A KR101822008B1 KR 101822008 B1 KR101822008 B1 KR 101822008B1 KR 1020167025304 A KR1020167025304 A KR 1020167025304A KR 20167025304 A KR20167025304 A KR 20167025304A KR 101822008 B1 KR101822008 B1 KR 101822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leaning
movable portion
tank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2801A (ko
Inventor
타케시 후지모토
야스히토 에나츠
Original Assignee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2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12Machine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for drying prin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5/00Clean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5/003Cleaning arrangements or devices for screen printer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35/00Cleaning
    • B41P2235/10Clean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r devices
    • B41P2235/20Wiping devices
    • B41P2235/24Wiping devices using rolls of cleaning cl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기대(2)와, 기대(2)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부(3)와, 가동부(3)에 액체(4)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5)를 구비한다. 가동부(3)는 액체(4)를 소비하는 작업부(3b)를 갖는다. 액체 공급부(5)는 가동부(3)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서 이동이 규제된 액체용 탱크(9)를 구비한다. 액체 공급부(5)는 액체용 탱크(9)로부터 가동부(3)로 연장되는, 가요성을 갖는 관상 부재(10)를 구비한다. 액체 공급부(5)는 가동부(3)에 설치된 펌프(11)를 구비한다. 펌프(11)는 관상 부재(10)를 통해서 액체용 탱크(9) 내의 액체(4)를 작업부(3a)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액체(4)를 탱크(9)부터 가동부(3)로 안내하는 관상 부재(10)에 구멍이 생겼다고 해도 액체(4)가 누설될 일이 없다.

Description

작업장치 및 스크린 인쇄기{WORK DEVICE AND SCREEN PRINTING MACHINE}
본 발명은 액체를 소비하는 가동부를 구비한 작업장치 및 세정액을 소비하는 클리닝 헤드를 구비한 스크린 인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체를 소비하는 가동부를 갖는 작업장치로서는 스크린 인쇄기의 클리너가 있다. 이 클리너는 스크린 인쇄용 마스크의 하방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클리너 헤드를 구비하고, 이 마스크를 세정한다. 이 클리너 헤드는 상술한 가동부를 구성한다. 클리너 헤드는 스크린 인쇄기의 기대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어서 마스크에 대하여 이동한다.
클리너 헤드는 마스크의 오염을 닦아내는 클리닝 테이프를 구비하고 있다. 이 클리닝 테이프는 세정액을 포함한 상태에서 마스크에 압박된다. 세정액은 기대에 부착된 탱크에 저장되어 있고, 세정시에 탱크로부터 클리닝 테이프에 공급된다. 탱크와 클리닝 헤드는 가요성 호스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가요성 호스의 도중에는 펌프가 설치되어 있다.
이 펌프는 기대측에 설치되어 있고, 탱크 내의 세정액을 흡입하여 클리닝 헤드를 향해서 토출한다.
이 클리너는 세정액을 클리닝 테이프에 공급한 후, 클리닝 테이프가 마스크에 압박되어 있는 상태에서 클리닝 헤드가 이동함으로써 마스크를 청소한다. 클리닝 헤드가 이동할 때에는 가요성 호스가 휘어서 변형된다.
일본 특허공개 2007-307759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스크린 인쇄기에서는, 세정시에 클리닝 헤드가 마스크를 따라서 이동하면 가요성 호스가 변형한다. 변형한 가요성 호스가 다른 부재에 접촉하면, 이 접촉 부분이 마모될 우려가 있다. 이 마모가 과도하게 진행해서 가요성 호스에 구멍이 생기면 펌프에 의해 압송된 세정액이 누설되게 된다. 세정액이 누설된 경우에는 펌프의 토출압으로 날려진 세정액에 의해 마스크의 하방이 넓은 범위에 걸쳐 오염되어 버리고, 마스크의 하방에 위치하는 전자기기의 통전 부분이 세정액으로 단락될 우려도 있다. 이 때문에, 스크린 인쇄기와 같은 가동부에서 액체를 소비하는 작업장치에 있어서는, 가요성 호스로부터 액체가 누설하는 것을 확실하게 막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액체를 탱크로부터 가동부로 안내하는 관상 부재에 구멍이 생겼다고 해도 액체가 누설할 일이 없는 작업장치 및 스크린 인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작업장치는 기대와, 상기 기대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에 액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액체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는 액체를 소비하는 작업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공급부는 상기 가동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기대에 대한 이동이 규제된 액체용 탱크와, 가요성을 갖고 상기 액체용 탱크로부터 상기 가동부로 연장되는 관상 부재와, 상기 가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관상 부재를 통해서 상기 액체용 탱크 내의 액체를 상기 작업부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펌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쇄기는, 상기 발명에 의한 작업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된 스크린 인쇄기로서, 상기 작업부는 스크린 인쇄용 마스크에 대하여 이동해서 상기 마스크를 세정하도록 구성된 클리너 헤드이며, 상기 액체 공급부는 상기 클리너 헤드에 설치된 펌프를 사용해서 액체용 탱크 내의 세정액을 흡입하여 상기 클리너 헤드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한 작업장치에 있어서는, 펌프가 동작함으로써 관상 부재 내가 부압으로 된다. 관상 부재에 구멍이 생겼을 경우, 펌프가 동작하고 있으면 이 구멍으로부터 공기가 관상 부재 내에 흡입된다. 펌프가 정지한 후는, 공기가 이 구멍으로부터 관상 부재 내에 들어가고, 관상 부재 내의 액체가 기대측에 위치하는 탱크로 되돌아온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를 탱크로부터 가동부로 안내하는 관상 부재에 구멍이 생겼다고 해도 액체가 누설할 일이 없는 작업장치 및 스크린 인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은 탱크를 파단한 상태에서 그려져 있다.
도 2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스크린 인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스크린 인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스크린 인쇄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클리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클리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스크린 인쇄기의 제어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스크린 인쇄기의 클리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작업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도 1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작업장치(1)는 기대(2) 상에 설치된 가동부(3)에 포함되는 작업부(3a)에서 액체(4)를 소비하는 것이다. 이 종류의 작업장치(1)로서는, 예를 들면 도포액을 가동식 노즐에 의해 피도포부에 도포하는 도포액 도포장치나, 세정액을 가동식 클리닝 헤드에 공급하는 세정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가동식 노즐이나 가동식 클리닝 헤드는 가동부(3)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작업장치(1)는 기대(2)와, 가동부(3)와, 이 가동부(3)에 액체(4)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5)를 구비하고 있다. 기대(2)는 공장(도시하지 않음)의 바닥(6) 위에 놓여져 있다.
기대(2) 상에는 지지용 프레임(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용 프레임(7)은 기대(2)의 상방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레일(8)을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가동부(3)는 이 슬라이드 레일(8)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동부(3)는 액체(4)를 소비하는 작업부(3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가동부(3)는 구동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고 있고, 이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어서 슬라이드 레일(8)을 따라 이동한다.
액체 공급부(5)는 기대(2)의 옆에 위치하는 액체용 탱크(9)와, 이 탱크(9)로부터 가동부(3)로 연장되는 관상 부재(10)와, 가동부(3)에 설치된 펌프(11)를 구비하고 있다.
탱크(9)는 기대(2)의 옆쪽이며 가동부(3)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도시 하지 않는 브래킷에 의해 기대(2)에 부착되어 있다. 즉, 이 탱크(9)는 기대(2)에 대한 이동이 규제된 것이다.
관상 부재(10)는 가요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관상 부재(10)로서는, 예를 들면 고무제의 호스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관상 부재(10)는 가동부(3)가 이동함으로써 과대한 장력이 가하여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느슨함부(12)가 형성되는 상태에서 기대(2)와 가동부(3)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느슨함부(12)는 옆쪽으로부터 보아서 횡치의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펌프(11)는 전동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동원으로 해서 동작하는 것으로, 펌프(11)의 흡입구(11a)는 관상 부재(10)에 의해 탱크(9)에 접속되어 있다. 토출구(11b)는 액체 공급로(3b)에 접속되어 있다. 펌프(11)는 관상 부재(10)를 통해서 액체(4)를 흡인해서 가동부(3)의 액체 공급로(3b)에 토출한다. 바꿔 말하면, 이 펌프(11)는 관상 부재(10)를 사용해서 탱크(9) 내의 액체(4)를 가동부(3)에 공급한다. 액체 공급로(3b)는 펌프(11)의 토출구(11b)와 작업부(3a)를 접속하고 있다. 이 액체 공급로(3b)에는 액체(4)의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13)가 설치되어 있다. 펌프(11)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는 펌프(11)에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고, 펌프(11)와 함께 가동부(3)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작업장치(1)에 있어서는, 펌프(11)가 작동함으로써 탱크(9) 내의 액체(4)가 관상 부재(10)를 통해서 펌프(11)에 흡인되고, 펌프(11)로부터 액체 공급로(3b)를 지나서 작업부(3a)에 공급된다. 액체(4)는 작업부(3a)에서 소비된다. 관상 부재(10) 내는 펌프(11)가 동작함으로써 부압으로 된다.
가동부(3)가 슬라이드 레일(8)을 따라 이동하면 관상 부재(10)가 기대(2)에 대하여 이동한다. 관상 부재(10)는 가동부(3)가 슬라이드 레일(8)의 일단과 타단의 사이를 왕복함으로써 기대(2)나 그 밖의 주변의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반복해서 접촉한다. 이 때문에, 관상 부재(10)는 기대(2)나 그 밖의 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이 마모되어 구멍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관상 부재(10)에 구멍이 생겼을 경우, 펌프(11)가 동작하고 있으면 이 구멍으로부터 공기(대기)가 관상 부재(10) 내에 흡입된다. 펌프(11)가 정지한 후는 공기가 이 구멍으로부터 관상 부재(10) 내에 들어가고, 관상 부재(10) 내의 액체(4)가 기대(2)측에 위치하는 탱크(9)에 중력에 의해 되돌아간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액체(4)를 탱크(9)로부터 가동부(3)로 안내하는 관상 부재(10)에 구멍이 생겼다고 해도 액체(4)가 누설할 일이 없는 작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관상 부재(10)에 구멍이 생긴 경우에는 액체 공급로(3b)를 흐르는 액체(4)의 양이 감소한다. 액체(4)의 양이 감소하면 액체 공급로(3b) 내에 공기가 혼입되거나, 액체(4)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액체(4)가 부족되는 상태는 센서에 의해 검출된다. 이 때문에, 이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장치(1)는 관상 부재(10)에 구멍이 생긴 것을 운전자에게 알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작업의 신뢰성이 높은 작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인쇄기를 도 2∼도 9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스크린 인쇄기(21)는 기대(22)와, 이 기대(22) 상에 탑재된 각종의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대(22) 상에 탑재된 각종의 장치란 기판 반송용의 컨베이어(23) 및 클리너 헤드(24)를 갖는 컨베이어 유닛(25)과, 인쇄용의 스퀴지 유닛(26) 등이다. 스퀴지 유닛(26)은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기대(22) 상에 스퀴지 지지용 프레임(27)을 통해서 지지되어 있다.
컨베이어(23)는 프린트 기판(6)의 양단부를 지지하여 반송하는 구조의 것이다. 이 컨베이어(23)의 반송 방향은 도 2의 지면과는 직교하는 방향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컨베이어(23)의 반송 방향을 X방향이라고 하고, 이 X방향과는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Y방향이라고 한다. 컨베이어(23)는 반송 구동부(23a)(도 7 참조)에 의한 구동에 의해 프린트 기판(6)을 X방향으로 반송한다.
컨베이어 유닛(25)은 기대(22) 상에서 Y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28)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컨베이어 유닛(25)은 X방향 구동부(31)(도 7 참조)와 Y방향 구동부(32)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X방향 구동부(31)와 Y방향 구동부(32)에 의한 구동에 의해 X방향과 Y방향으로 이동한다. X방향 구동부(31)와 Y방향 구동부(32)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스크린 인쇄기(21)의 후술하는 컨트롤러부(33)에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컨베이어 유닛(25)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가동부」에 상당한다.
컨베이어 유닛(25)은 컨베이어 유닛(25) 상의 프린트 기판(34)을 상방의 마스크(35)에 접촉하는 인쇄 위치와 마스크(35)보다 낮은 반송 위치(도 2 참조)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하 방향 구동부(36)(도 7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상하 방향 구동부(36)는 컨베이어(23) 상에서 프린트 기판(34)을 클램프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마스크(35)는 스퀴지 지지용 프레임(27)에 부착되어 있고, 이 스퀴지 지지용 프레임(27)을 통해서 기대(22)에 지지되어 있다. 이 마스크(35)는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서 말하는 「스크린 인쇄용 마스크」에 상당하는 것이다.
스퀴지 지지용 프레임(27) 상에는 스퀴지 유닛(26)이 Y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스퀴지 유닛(26)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퀴지(37)를 갖는 스퀴지 헤드(38)와, 스퀴지(37)를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39)(도 7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스퀴지(25)는 마스크(35)의 상면에 땜납 페이스트(도시하지 않음)를 도포하기 위한 것이다. 스퀴지 유닛(26)의 액츄에이터(39)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방향 구동부(39a)와, 상하 방향 구동부(39b)와, 회전 방향 구동부(39c)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구동부(39a∼39c)는 후술하는 컨트롤러부(33)에 접속되어 있다.
컨베이어 유닛(25)에 설치되어 있는 클리너 헤드(24)는, 이 스크린 인쇄기(21)에 설치되어 있는 클리너부(41)(도 5 및 도 6 참조)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클리너 헤드(24)에 의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작업부」가 구성되어 있다. 클리너부(41)는 마스크(35)에 부착된 잉여의 땜납 페이스트를 제거하는 위한 것으로, 건식 클리너(42)와 습식 클리너(43)를 구비하고 있다.
건식 클리너(42)는 마스크(35)의 하면으로부터 땜납 페이스트를 흡인해서 제거하는 흡인 부재(44)(도 5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흡인 부재(44)는 도시하지 않은 블로워 호스를 통해서 블로워 모터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블로워 모터는 블로워 호스를 통해서 흡인 부재(44)로부터 흡인한 공기를 토출하는 것이다. 또한, 이 흡인 부재(44)는 도시하지 않는 승강장치에 의해 구동되고, 클리닝 시에 후술하는 토출 노즐(48)과 함께 클리너 헤드(24)에 대하여 승강한다.
습식 클리너(43)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45)와, 가동부 호스(46)와, 펌프(47)와, 토출 노즐(48)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습식 클리너(43)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액체 공급부」에 상당한다.
탱크(45)는 세정액(49)(도 5 참조)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도 2∼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대(22)의 외측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탱크(45)도 기대(22)에 대한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이 탱크(45)는 클리너 헤드(24)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부여되어 있다. 세정액(49)은 땜납 페이스트가 용해되는 클리닝 용제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탱크(45)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액체용 탱크」에 상당한다.
가동부 호스(46)는 가요성을 갖는 호스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45)의 출구 파이프(45a)와 펌프(47)의 흡입 파이프(47a)를 연통하고 있다. 이 가동부 호스(46)는 클리너 헤드(24)가 컨베이어 유닛(25)과 함께 이동했을 때에 과대한 장력이 가하여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느슨함부(50)가 형성되는 상태에서 출구 파이프(45a)와 흡입 파이프(47a)에 접속되어 있다. 느슨함부(50)는, 도 2∼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대(22)의 X방향의 일단부 상에 배치되어 있고, 옆쪽으로부터 보아서 횡치의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가동부 호스(46)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관상 부재」에 상당한다.
펌프(47)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리너 헤드(24)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 펌프(47)는 도시하지 않는 전동 모터를 구동원으로 해서 동작하는 것으로, 가동부 호스(46)로부터 세정액(49)을 흡인해서 클리너 헤드(24)의 액체 공급로(51)(도 5 참조)에 토출한다. 바꿔 말하면, 이 펌프(47)는 가동부 호스(46)를 사용해서 탱크(45) 내의 세정액(49)을 클리너 헤드(24)에 공급한다. 펌프(47)를 구동하는 전동 모터는 펌프(47)에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고, 펌프(47)와 함께 클리너 헤드(24)에 지지되어 있다.
액체 공급로(51)는 펌프(47)의 토출구(47b)와 후술하는 토출 노즐(48)을 연통하고 있다. 이 액체 공급로(51)에는 용제 도달 센서(52)가 설치되어 있다. 용제 도달 센서(52)는 액체 공급로(51) 내의 세정액(49)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으로, 검출 신호를 후술하는 컨트롤러부(33)에 송출한다.
토출 노즐(48)은 클리너 헤드(24)의 상단부에 도시하지 않는 승강장치를 통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 승강장치는 클리닝시에 토출 노즐(48)과 상술한 흡인 부재(44)를 클리너 헤드(24)에 대하여 승강시킨다. 이 승강장치의 동작은 컨트롤러부(33)에 의해 제어된다.
토출 노즐(48) 상에는 클리닝 테이프(53)가 겹쳐서 있다. 토출 노즐(48)은 세정액(49)을 클리닝 테이프(53)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 토출 노즐(48)은 클리닝시에 클리너 헤드(24)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클리닝 테이프(53)를 마스크(35)에 하방으로부터 압박한다. 클리닝 테이프(53)는 도시하지 않는 테이프 공급장치에 의해 구동되어서 소정 길이씩 토출 노즐(48)의 위에 풀려진다.
컨트롤러부(33)는 이 스크린 인쇄기(2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 않은 CPU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컨트롤러부(33)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제어부(61)와, IO 제어부(62)와, 카메라 제어부(63)와, 주제어부(64)와, 기억부(6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컨트롤러부(33)에는 표시 유닛(66)과 입력 유닛(67)이 접속되어 있다.
구동 제어부(61)는 컨베이어 유닛(25)과, 스퀴지 유닛(26) 및 기판 카메라 유닛(68)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의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기판 카메라 유닛(68)은 프린트 기판(34)의 식별용의 마크나 피듀셜 마크 등을 촬상하기 위한 것으로, 기판 카메라부(69)와 기판 카메라 구동부(70)를 구비하고 있다. 기판 카메라부(69)의 촬상 범위는 기판 카메라 구동부(70)에 의해 구동되어서 변화된다.
IO 제어부(62)는 클리너부(41)에 설치되어 있는 펌프 구동용 전동 모터와, 건식 클리너용 승강장치와, 습식 클리너용 승강장치와, 테이프 공급장치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클리너부(41)의 용제 도달 센서(52)는 이 IO 제어부(62)에 접속되어 있다.
카메라 제어부(63)는 컨베이어 유닛(25)에 설치되어 있는 마스크 카메라부(71)와, 기판 카메라 유닛(68)에 설치되어 있는 기판 카메라부(69)의 동작을 제어한다. 마스크 카메라부(71)는 마스크(35)에 설치되어 있는 식별용 마크나 피듀셜 마크를 촬상하기 위한 것이다. 이 마스크 카메라부(71)의 촬상 범위는 마스크 카메라 구동부(72)에 의해 구동되어서 변화된다.
주제어부(64)는 상술한 구동 제어부(61)와, IO 제어부(62)와, 카메라 제어부(63)의 동작을 통괄해서 제어한다.
기억부(65)는 기판 데이터(73)와 머신 데이터(74)를 기억하고 있다. 기판 데이터(73)는 사용하는 프린트 기판(34)의 종류나 크기 등의 데이터이다. 머신 데이터(74)는 스크린 인쇄기(21)의 각 부의 성능이나 사용 이력 등의 데이터이다.
이어서, 이 스크린 인쇄기(21)의 동작을 도 8과 도 9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스크린 인쇄기(21)가 프린트 기판(34)에 땜납 페이스트를 인쇄할 때에는, 우선 도 8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도의 스텝 S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34)이 컨베이어(23)에 의해 스크린 인쇄기(21) 내에 반입된다. 이어서. 스텝 S2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34)이 컨베이어(23) 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스텝 S3에 있어서 기판 카메라부(69)가 프린트 기판(34)의 피듀셜 마크를 촬상하고, 컨트롤러부(33)가 프린트 기판(34)의 위치를 인식한다.
그 후에, 스텝 S4에 있어서 마스크 카메라부(71)가 마스크(35)의 피듀셜 마크를 촬상하고, 컨트롤러부(33)가 마스크(35)의 위치를 인식한다. 이어서, 스텝 S5에 있어서 판맞춤이 행하여진다. 이 판맞춤은 컨베이어 유닛(25)이 프린트 기판(34)을 X방향과 Y방향으로 이동시켜 프린트 기판(34)의 위치를 마스크(35)에 맞춤으로써 실시된다.
이와 같이 판맞춤이 행하여진 후, 스텝 S6에 있어서 스퀴징이 행하여지고, 땜납 페이스트가 프린트 기판(34)에 도포된다. 스퀴징이란 스퀴지(37)가 땜납 페이스트를 마스크(35) 상에서 긁어내는 동작이다. 이어서, 스텝 S7에 있어서 판 분리가 행하여진다. 이 판 분리란 프린트 기판(34)을 마스크(35)로부터 하방으로 떼어 놓는 동작이다. 그 후에 프린트 기판(34)의 고정이 해제되어(스텝 S8), 컨베이어(23)에 의해 프린트 기판(34)이 반출된다(스텝 S9).
이와 같이 1매의 프린트 기판(34)에 대해서 스크린 인쇄가 종료한 후, 스텝 S10에 있어서 컨트롤러부(33)에 있어서 생산 매수가 가산된다. 그리고, 스텝 S11에 있어서 스크린 인쇄를 행한 프린트 기판(34)의 매수가 미리 정한 생산 매수에 도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컨트롤러부(33)가 판별한다. 이 때, 생산 매수가 예정 매수에 도달하고 있는 경우에는 인쇄 동작이 종료된다. 생산 매수가 예정 매수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2로 진행되고, 클리닝 처리가 행하여진다.
클리닝 처리는 도 9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행하여진다. 클리닝 처리를 실시함에 있어서는, 우선 스텝 P1에 있어서 클리닝을 실시하는 타이밍인지의 여부를 컨트롤러부(33)가 판별한다. 컨트롤러부(33)가 클리닝 처리를 실시하는 타이밍이 아니라고 판별한 경우에는 클리닝 처리가 종료된다. 클리닝 처리를 실시하는 타이밍인 경우에는, 스텝 P2에 있어서 컨트롤러부(33)가 클리닝 방법을 선택한다.
클리닝 방법은 건식 클리너(42)를 사용하는 방법과, 습식 클리너(43)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선택 동작은, 예를 들면 운전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클리닝 방법을 선택할 경우와, 프린트 기판(34)의 크기나 인쇄 개소 수 등에 적합한 방법을 컨트롤러부(33)가 선택할 경우가 있다.
건식 클리너(42)를 사용하는 클리닝 방법이 선택된 경우에는, 스텝 P3에 있어서 클리너 헤드(24)가 클리닝 개시 위치로 이동하고, 스텝 P4에 있어서 클리너 헤드(24)가 상승한다. 이 때에는, 흡인 부재(44)도 클리너 헤드(24)에 대하여 상승한다.
그 후에 스텝 P5에서 건식 클리너(42)가 흡인을 개시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클리너 헤드(24)가 클리닝 종료 위치까지 이동한다(스텝 P6). 클리너 헤드(24)가 클리닝 종료 위치에 도달한 후, 건식 클리너(42)에 있어서 흡인이 정지되고(스텝 P7), 클리너 헤드(24)가 하강한다. 이 때에는 흡인 부재(44)도 하강한다(스텝 P8). 이와 같이 클리너 헤드(24)가 하강함으로써 건식의 클리닝 처리가 종료된다.
스텝 P2에 있어서 습식 클리너(43)를 사용하는 방법이 선택된 경우에는, 스텝 P9에 있어서 클리너 헤드(24)가 클리닝 개시 위치로 이동하고, 스텝 P10에 있어서 클리너 헤드(24)가 상승한다. 이 때는 토출 노즐(48)도 클리너 헤드(24)에 대하여 상승한다. 토출 노즐(48)이 상승함으로써 클리닝 테이프(53)가 마스크(35)의 하면에 압박된다.
이어서, 스텝 P11에 있어서 펌프(47)가 동작을 개시하고, 세정액(49)이 탱크(45)로부터 가동부 호스(46)를 통해서 펌프(47)에 흡입되어, 액체 공급로(51)를 통해서 토출 노즐(48)에 압송된다. 세정액(49)은 미리 정한 양만 토출 노즐(48)에 공급된다. 토출 노즐(48)에 공급된 세정액(49)은 토출 노즐(48)로부터 클리닝 테이프(53)에 토출되어, 클리닝 테이프(53)에 흡입된다. 이 때, 용제 도달 센서(52)가 세정액(49)의 유무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검출 신호로서 컨트롤러부(33)에 송출한다.
컨트롤러부(33)는 이 검출 결과를 표시 유닛(66)에 표시시킨다. 이 표시는 세정액(49)이 액체 공급로(51)를 흐르는(정상인) 것을 의미하는 것과, 세정액(49)이 액체 공급로(51)를 흐르고 있지 않은(이상인) 것을 나타내는 것이 있다.
그 후에 스텝 P12에 있어서, 클리너 헤드(24)가 클리닝 종료 위치로 이동한다. 클리닝 테이프(53)가 마스크(35)에 압박되어 있는 상태에서 클리너 헤드(24)가 이동함으로써 마스크(35)의 하면이 클리닝 테이프(53)에 의해 닦여서 세정된다. 클리너 헤드(24)가 이동했을 때에는 가동부 호스(46)의 느슨함부(50)가 변형하기 때문에 가동부 호스(46)에 과대한 인장력이 가하여질 일은 없다.
클리너 헤드(24)가 클리닝 종료 위치로 이동한 후, 스텝 P13에 있어서 클리너 헤드(24)가 하강한다. 이 때는 토출 노즐(48)도 하강한다. 이와 같이 클리너 헤드(24)가 하강함으로써 습식의 클리닝 처리가 종료된다.
습식의 클리닝이 반복해서 행하여짐으로써 탱크(45) 내의 세정액(49)이 감소한다. 탱크(45)는 기대(22)의 외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세정액(49)의 보충은 작업자가 스크린 인쇄기(21)의 밖에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린 인쇄기(21)를 정지시키지 않고 실시 가능하다.
가동부 호스(46)의 느슨함부(50)는 클리너 헤드(24)의 이동에 따라서 변형한다. 이 때문에, 느슨함부(50)를 구성하는 가동부 호스(46)가 다른 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마모되어, 이 가동부 호스(46)에 구멍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스크린 인쇄기(21)에 있어서는 펌프(47)가 동작함으로써 가동부 호스(46) 내가 부압으로 된다. 가동부 호스(46)에 구멍이 생겼을 경우, 펌프(47)가 동작하고 있으면 이 구멍으로부터 공기(대기)가 가동부 호스(46) 내에 흡입된다. 펌프(47)가 정지한 후는 공기가 이 구멍으로부터 가동부 호스(46) 내에 들어가고, 가동부 호스(46) 내의 세정액(49)이 탱크(45)에 중력에 의해 되돌아간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세정액(49)을 탱크(45)로부터 클리너 헤드(24)로 안내하는 가동부 호스(46)에 구멍이 생겼다고 해도 세정액(49)이 누설할 일이 없는 스크린 인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스크린 인쇄기(21)에 있어서, 가동부 호스(46)에 구멍이 생기면 가동부 호스(46) 내에 공기가 들어가고, 펌프(47)의 토출구에 접속된 세정액 공급로(51)에 세정액(49)이 없는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세정액(49)이 없는 상태란 세정액(49)과 함께 기포가 흐르는 것을 포함한다. 세정액 공급로에는 세정액(49)의 유무를 검출하는 용제 도달 센서(52)가 설치되어 있다. 즉, 가동부 호스(46)의 구멍이 생긴 것을 용제 도달 센서(52)에 의해 검출할 수 있고, 운전자에 알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청소 동작의 신뢰성이 높은 스크린 인쇄기를 제공할 수 있다.
1 : 작업장치 2, 22 : 기대
3 : 가동부 3b, 51 : 액체 공급로
5 : 액체 공급부 9, 45 : 탱크
10 : 관상 부재 11, 47 : 펌프
13 : 센서 21 : 스크린 인쇄기
24 : 클리너 헤드 25 : 컨베이어 유닛
46 : 가동부 호스 48 : 토출 노즐
52 : 용제 도달 센서

Claims (3)

  1. 기대와,
    상기 기대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에 액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액체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는 액체를 소비하는 작업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공급부는,
    상기 가동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기대에 대한 이동이 규제된 액체용 탱크와,
    가요성을 갖고 상기 액체용 탱크로부터 상기 가동부로 연장되는 관상 부재와,
    상기 가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관상 부재를 통해서 상기 액체용 탱크 내의 액체를 상기 작업부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펌프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관상 부재는, 상기 액체용 탱크와 상기 가동부에 설치된 상기 펌프 사이를 연통시키는 부재이며,
    상기 작업부는 스크린 인쇄용 마스크에 대하여 이동해서 상기 마스크를 세정하도록 구성된 클리너 헤드이며,
    상기 액체 공급부는 상기 클리너 헤드에 설치된 펌프를 사용해서 액체용 탱크 내의 세정액을 흡입하여 상기 클리너 헤드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 상기 작업부 사이의 액체 공급로에 설치되어, 이 액체 공급로를 흐르는 액체의 유무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기.
  3. 삭제
KR1020167025304A 2014-03-20 2014-03-20 작업장치 및 스크린 인쇄기 KR101822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57729 WO2015140982A1 (ja) 2014-03-20 2014-03-20 作業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801A KR20160122801A (ko) 2016-10-24
KR101822008B1 true KR101822008B1 (ko) 2018-01-25

Family

ID=54143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304A KR101822008B1 (ko) 2014-03-20 2014-03-20 작업장치 및 스크린 인쇄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73967B2 (ko)
KR (1) KR101822008B1 (ko)
CN (1) CN106103097B (ko)
WO (1) WO20151409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23556B2 (ja) * 2016-12-05 2021-08-18 株式会社Fuji 印刷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CN108284666A (zh) * 2016-12-07 2018-07-17 苏州欣航微电子有限公司 一种便于清洗的丝网印刷机油墨添加机构
GB2568290A (en) * 2017-11-12 2019-05-15 Asm Assembly Systems Singapore Pte Ltd Under-screen cleaning system
CN113306277B (zh) * 2021-05-11 2023-04-28 北京金诚印务有限公司 一种智能防伪印刷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0447A (ja) 1999-04-02 2000-10-10 Rengo Co Ltd 印刷機におけるインキ供給装置
JP2007307759A (ja) * 2006-05-17 2007-11-29 Yamaha Motor Co Ltd スクリーン印刷機
JP2013233675A (ja) 2012-05-07 2013-11-21 Panasonic Corp スクリーン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83544U (ko) * 1987-11-20 1989-06-02
JP2534949B2 (ja) * 1992-01-18 1996-09-18 株式会社イソワ 段ボ―ルシ―ト用印刷機
JPH09207310A (ja) * 1996-02-01 1997-08-12 Minoguruupu:Kk ワークテーブルレス式スクリーン印刷機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並びに印刷シート材に対するスクリーン印刷乾燥方法
JP4789476B2 (ja) * 2005-01-31 2011-10-12 株式会社梅谷製作所 インキ粘度調整装置及び印刷機
JP5700951B2 (ja) * 2010-04-27 2015-04-15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0447A (ja) 1999-04-02 2000-10-10 Rengo Co Ltd 印刷機におけるインキ供給装置
JP2007307759A (ja) * 2006-05-17 2007-11-29 Yamaha Motor Co Ltd スクリーン印刷機
JP2013233675A (ja) 2012-05-07 2013-11-21 Panasonic Corp スクリーン印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801A (ko) 2016-10-24
CN106103097A (zh) 2016-11-09
JPWO2015140982A1 (ja) 2017-04-06
JP6373967B2 (ja) 2018-08-15
WO2015140982A1 (ja) 2015-09-24
CN106103097B (zh) 201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850B1 (ko) 복합 스텐실 프린터와 디스펜서 및 관련 방법
KR101876863B1 (ko) 복합 스텐실 프린터와 디스펜서 및 관련 방법
KR101876855B1 (ko) 복합 스텐실 프린터와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기판 상에 점성 물질을 적층하는 방법
KR102108592B1 (ko) 스텐실 와이퍼 스팟 클리너 조립체 및 관련 방법
KR101822008B1 (ko) 작업장치 및 스크린 인쇄기
KR101876868B1 (ko) 복합 스텐실 프린터와 디스펜서 및 관련 방법
WO200508262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stencil
KR102373280B1 (ko) 스텐실 셔틀 어셈블리를 갖춘 스텐실 프린터
US7040228B2 (en) Self-contained vacuum module for stencil wiper assembly
JP5903542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CN107921776B (zh) 用于模板印刷机的双重作用模板擦拭器组件
JP6412356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
JPH07241977A (ja) スクリーン印刷機
JP5031638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における反り矯正装置
US20090158949A1 (en) Screen printing apparatus
CN115335235B (zh) 印刷控制装置及印刷控制方法
JP2010125716A (ja) スクリーン印刷機
JP5185806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
JP2021062518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H0550578A (ja) スクリーン印刷機
CN114502379B (zh) 收纳体移动装置和部件供给装置
JP2009241515A (ja) スクリーン印刷機のクリーニング装置
KR101775955B1 (ko) 인쇄회로기판의 스크린 인쇄 시스템
WO2021053790A1 (ja) 部品実装機
JP2023009394A (ja) 液滴吐出装置及び液滴吐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