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102B1 -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102B1
KR101817102B1 KR1020160161789A KR20160161789A KR101817102B1 KR 101817102 B1 KR101817102 B1 KR 101817102B1 KR 1020160161789 A KR1020160161789 A KR 1020160161789A KR 20160161789 A KR20160161789 A KR 20160161789A KR 101817102 B1 KR101817102 B1 KR 101817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display panel
actuator
disposed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락
박관호
이성태
김광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1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102B1/ko
Priority to US15/471,184 priority patent/US10219079B2/en
Priority to US15/471,155 priority patent/US10142738B2/en
Priority to US15/471,458 priority patent/US10129646B2/en
Priority to US15/471,431 priority patent/US10142739B2/en
Priority to US15/471,173 priority patent/US10237656B2/en
Priority to US15/471,164 priority patent/US10412500B2/en
Priority to CN202010454718.3A priority patent/CN111526464B/zh
Priority to CN202010455653.4A priority patent/CN111526465B/zh
Priority to CN201720765061.6U priority patent/CN207150818U/zh
Priority to CN201710507121.9A priority patent/CN108124224B/zh
Priority to JP2017131154A priority patent/JP6577529B2/ja
Priority to TW106122586A priority patent/TWI655476B/zh
Priority to EP21195108.2A priority patent/EP3941087B1/en
Priority to EP17184428.5A priority patent/EP3331251B1/en
Publication of KR101817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US16/038,075 priority patent/US10547945B2/en
Priority to US16/164,602 priority patent/US10841699B2/en
Priority to US16/352,356 priority patent/US11140482B2/en
Priority to JP2019152083A priority patent/JP6845288B2/ja
Priority to US16/703,719 priority patent/US11265655B2/en
Priority to JP2021029191A priority patent/JP7304908B2/ja
Priority to US17/581,703 priority patent/US1195006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H01L2227/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6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023Diaphragms comprising ceramic-like materials, e.g. pure ceramic, glass, boride, nitride, carbide, mica and carbon mate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025Diaphragms comprising polymer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3Transducers capable of generating both sound as well as tactile vibration, e.g. as used in cellular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5Aspects relating to the positioning and way or means of mounting of exciters to resonant bending wave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7Loudspeakers using bending wave resonance and pistonic motion to generate s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표시패널을 직접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형태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 상이한 음향을 출력하는 다수의 음향출력 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음분리 격벽부를 포함하되, 음분리 격벽부 중 1개 이상의 제1변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반사파와 진행파의 간섭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억제할 수 있어서, 2채널 또는 2.1채널 방식의 표시장치 음향 출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PANEL VIBRATION TYP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패널을 직접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형태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출력되는 음향의 종류별로 정의된 다수의 음향출력 영역을 구획하는 음분리 격벽부를 포함하는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이에 적용할 수 있는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평판 표시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등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 중 액정 표시장치(LCD)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그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물질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화소 영역의 양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의 배열 상태가 조절되고 그에 따라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또한, 최근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는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스스로 발광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함으로써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 등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완제품 개념의 세트 장치가 있으며, 이러한 세트장치의 예로는 TV, 컴퓨터 모니터, 광고판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 또는 세트장치에는 표시되는 영상과 관련된 음향을 발생시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같은 음향 출력 장치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 생산업체는 표시패널 또는 표시장치만을 생산하였고, 스피커를 생산하는 별도의 업체에서 완성된 표시장치에 스피커를 조립하는 방식으로 최종적으로 영상 및 소리가 출력되는 세트장치를 구현하고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스피커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표시 장치(1) 또는 세트장치에서 스피커(2)는 표시 패널의 후면 또는 하단부에 구비되고 있다.
이 경우 스피커(2)를 통해 발생된 소리의 진행 방향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패널의 전면이 아닌 후면 또는 표시패널의 아래쪽이 되기 때문에 표시 장치(1)의 전방에서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 방향으로 소리가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피커(2)를 통해 발생된 소리가 표시패널의 후면 또는 표시패널의 아래쪽으로 진행할 경우에는 벽 또는 바닥에서 반사되는 소리와의 간섭으로 인해서 음질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표시장치에 포함되는 스피커는 발생된 음향의 진행방향이 표시장치 관찰자 방향이 아닌 쪽으로 향하게 되어 음향의 회절 현상 등에 의하여 소리의 정위감(定位感)이 떨어질 뿐 아니라, TV 등과 같은 세트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피커가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세트장치의 디자인 및 공간 배치 상에 일정한 제약이 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최근 표시패널 또는 표시패널에 부착되는 진동판을 액츄에이터로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음향출력 방식에는 표시패널 전체를 진동시켜 1가지 종류의 음향만을 출력하는 것에 제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표시 장치에서 다양한 종류의 음향을 동시에 출력하면서도, 출력되는 소리의 음질을 개선하고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표시패널을 직접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되, 각각 상이한 음향을 출력하는 다수의 음향출력 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음분리 격벽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음향출력 영역을 구획하는 음분리 격벽부 중 1개 이상의 변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반사파와 진행파의 간섭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분리 격벽부 중 1개 이상의 변에 1개 이상의 돌출 구속부를 형성함으로써, 반사파와 진행파의 간섭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음향출력 영역으로서, 좌우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을 포함하는 2채널 방식과, 그에 더하여 저음을 출력하기 위한 중앙영역을 더 포함하는 2.1채널 방식 중 하나를 채택하되, 정재파에 의한 영향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영역을 구성하는 4개 변 중 하나 이상은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변 중 하나 이상에는 돌출 구속부를 배치함으로써, 우수한 음분리 특성을 가지면서도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범위 내에서 각각 상이한 음향을 출력하는 다수의 음향출력 영역에 각각 배치되고,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표시패널 후방을 지지하는 후면지지부(커버버텀)와, 다수의 음향출력 영역의 각각을 둘러싸되 표시패널과 후면지지부에 접촉 배치되어 각 음향출력 영역 내부에 에어갭 공간을 정의하는 음분리 격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음분리 격벽부는 각각의 음향출력 영역을 둘러싸는 4개 변으로 구성되며, 음분리 격벽부의 4개 변 중 하나 이상인 제1변은 해당 영역내에 배치되는 음향출력 액츄에이터 방향으로 꺽어지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절곡부의 첨단 위치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중심을 향할 수 있다.
또한, 제1변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2변에는 해당 영역내에 배치되는 음향출력 액츄에이터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구속부가 더 배치될 수 있으며, 돌출 구속부는 제2변 상에서 이격 배치되는 2개의 돌출 구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음파가 비대칭 방사특성을 가지는 경우, 절곡부가 형성되는 제1변은 음파 중 강한 음파가 향하는 1개 또는 2개 변디 될 수 있으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가 해당되는 음향출력 영역 내에 비대칭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1변이 음향출력 액츄에이터와 가장 가까운 변이 될 수 있다.
음향출력 영역은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하기 위하여 표시패널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는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을 포함하는 2채널 구조이거나,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기 위하여 표시패널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과, 저음역대 음향을 출력하기 위하여 표시패널의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영역을 포함하는 2.1채널 구조일 수 있다.
2.1채널 구조인 경우, 중앙영역의 면적은 좌측영역 또는 우측영역의 면적보다 클 수 있으며, 중앙영역을 정의하는 음분리 격벽부의 4개 변 중 하나 이상의 제1변에는 중앙영역 내에 배치되는 중앙 액츄에이터 방향으로 꺽여지는 절곡부가 배치되고, 제1변에 수직하는 제2변 중 하나 이상에는 중앙 액츄에이터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구속부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음분리 격벽부는 후면지지부의 상면과 표시패널의 하면에 접착되는 접착부재와, 접착부재 외곽에 배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할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패널을 직접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되, 각각 상이한 음향을 출력하는 다수의 음향출력 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음분리 격벽부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음분리 특성을 가지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다수의 음향출력 영역을 구획하는 음분리 격벽부 중 1개 이상의 변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반사파와 진행파의 간섭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 이외에, 음분리 격벽부 중 1개 이상의 변에 1개 이상의 돌출 구속부를 형성함으로써, 반사파와 진행파의 간섭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더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음향출력 영역으로서, 좌우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을 포함하는 2채널 방식과, 그에 더하여 저음을 출력하기 위한 중앙영역을 더 포함하는 2.1채널 방식 중 하나를 채택하되, 각 영역의 음분리 격벽부를 구성하는 4개 변 중 하나 이상에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변 중 하나 이상에는 돌출 구속부를 배치함으로써, 우수한 음분리 특성을 가지면서도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스피커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개략도면으로서, 도 2a는 평면도, 도 2a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음분리 격벽부가 직선인 경우 정재파에 의함 음압 감소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의하여 음분리 격벽부를 구성하는 1개 변 이상에 절곡부를 형성하는 경우의 음향 출력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2가지 타입의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가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하는 원리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표시장치의 후면지지부인 커버 버텀과의 결합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커버버텀과의 결합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음분리 격벽부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은 음향출력 영역이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을 포함하는 2채널 방식에서, 각 영역의 형태와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위치 및 형태에 따른 절곡부 및 추가 구속부의 배치 형태를 다양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절곡부를 포함하는 음분리 격벽부의 제1변의 경사각도와, 추가 구속부재의 위치 및 길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13 및 도 14는 음향출력 영역이 좌우에서 중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과, 저음을 출력하기 위한 중앙영역을 포함하는 2.1채널 방식에서, 각 영역의 형태와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위치 및 형태에 따른 절곡부 및 추가 구속부의 배치 형태를 다양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개략도면으로서, 도 2a는 평면도, 도 2b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100)과, 그 표시패널의 일면에 접촉되어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2개 이상의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 200')와,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및 표시패널을 지지하면서 표시패널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지지부인 커버버텀(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패널(100) 범위 내에는 각각 상이한 음향을 출력하는 다수의 음향출력 영역이 정의되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는 각 음향출력 영역마다 1개씩 배치되어 해당되는 영역내의 표시패널 부분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킨다.
이 때, 각 음향출력 영역을 둘러싸되 표시패널(100)과 후면지지부인 커버버턴(300)에 접촉 배치되어 각 음향출력 영역 내부에 에어갭 공간을 정의하는 음분리 격벽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수의 음향출력 영역으로서, 좌우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을 포함하는 2채널 방식 및 그에 더하여 저음을 출력하기 위한 중앙영역을 더 포함하는 2.1채널 방식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그 중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만을 포함하는 2채널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도 2에 의하면, 음향출력 영역으로서,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하기 위하여 표시패널(100)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는 좌측영역(L) 및 우측영역(R)을 포함하며, 좌측영역을 위한 음분리 격벽부(400)는 좌측영역(L)을 둘러싸는 4개 변(410, 410', 420, 420')을 포함한다.
한편, 음분리 격벽부(400)는 표시패널(100)과 후면지지부인 커버버텀(300)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 구조물로서, 양면 테이프 등과 같은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분리 격벽부(400)는 해당되는 음향출력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일정 폭을 가지는 접착부재로서, 그 일면은 표시패널(100)이 저면에 부착되고 타면은 커버버텀(300)의 상면에 접착됨으로써, 해당되는 음향출력 영역 내부에 밀봉된 에어갭 공간을 형상한다.
한편, 좌측영역(L) 내부에는 좌측 액츄에이터(200)이 배치되고, 우측영역(R) 내부에는 우측 액추에이터(200')가 배치되며, 각 액츄에이터는 후면지지부인 커버버텀(300)에 형성된 지지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좌측 액츄에이터(200)는 좌측영역에 해당되는 표시패널의 저면에 접촉되고, 제공되는 전류신호에 의하여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좌측 음향을 발생하며, 마찬가지로 우측 액츄에이터(200')는 우측영역에 해당되는 표시패널의 저면에 접촉되어 우측영역의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우측 음향을 발생한다.
액츄에이터의 형태와, 액츄에이터가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하는 원리 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5 및 도 6을 참고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좌측영역(L) 및 우측영역(R) 내부에는 각각 음분리 격벽부의 4개 변과 상하의 표시패널 및 커버버텀에 의하여 제1에어갭 공간(700; AG_L) 및 제2에어갭 공간(700'; AG_R)이 형성된다.
이러한 에어갭 공간은 좌/우측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표시패널이 진동할 때 발생되는 음향을 가두는 밀폐공간으로 기능하며, 이러한 에어갭 공간에 의하여 음압이 증가될 뿐 아니라 음향이 전방으로 출력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 음향출력 영역을 위한 음분리 격벽부는 해당되는 음향출력 영역을 둘러싸는 4개 변으로 구성되며, 음분리 격벽부의 4개 변 중 하나 이상인 제1변에는 해당 영역내에 배치되는 음향출력 액츄에이터 방향으로 꺽어지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영역(L)을 둘러싸는 음분리 격벽부(400)의 4개 변(410, 410' 420, 420') 중 상하에 배치되는 제1변(410, 410')에는 좌측 액츄에이터(200) 방향으로 꺽어지는 절곡부(412, 412')가 형성된다.
또한, 제1변에 수직한 2개의 제2변(420, 420')에는 좌측 액츄에이터(200) 쪽으로 돌출 연장되는 1개 이상의 돌출 구속부(422)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각각의 제2변에 2개씩의 돌출 구속부가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좌측영역(L)을 둘러싸는 4개 변 중에서 상하의 2개 변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내측으로 진행하는 2개의 직선격벽부로 구성되며, 2개의 직선격벽부가 만나는 지점에서 절곡부(412)를 형성한다.
물론, 이러한 절곡부는 반드시 직선이 만나서 꺽여지는 형태일 필요는 없으며, 곡선형태의 라운딩 절곡부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돌출구속부(422)는 상하로 연장되는 제2변(420, 420')의 일정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곡부(412, 412') 및 돌출 구속부(422, 422')는 액츄에이터에서 발생된 음파 중 진행파와 음분리 격벽부에서의 반사파 사이의 간섭에 의해 발생되는 정재파에 의하여 음압이 감소되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원리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3 및 도 4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도 2에서는 좌측영역만을 설명하였으나, 우측영역 역시 대칭적으로 동일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 가로방향 또는 수평방향은 표시장치의 긴 변 방향을 의미하며, 세로방향 또는 수직방향은 표시장치의 짧은 변 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음분리 격벽부(400)의 제1변(410, 410')에 형성되는 절곡부의 첨단 위치는 해당되는 음향출력 영역 내부에 배치되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중심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음분리 격벽부(400)는 해당되는 음향출력 영역 내부에서 발생된 음향이 다른 음향출력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구속부재로서, 일정한 높이(두께)와 폭을 가지는 폴리우레탄(PU) 또는 폴리올레핀(PO) 재질의 양면테이프 또는 일면테이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일정 정도 압축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음분리 격벽부(400)는 폼패드(Foam Pad), 구속부재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2와 같은 구조의 표시장치를 이용하면, 좌측 액츄에이터(200)와 우측 액츄에이터(200')에 각각 상이한 전류를 인가하여 좌우측 스테레오 음향을 발생시키고, 음분리 격벽부에 의하여 좌우측 음향을 분리시킴으로써, 우수한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음분리 격벽부가 직선인 경우 정재파에 의함 음압 감소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의하여 음분리 격벽부를 구성하는 1개 변 이상에 절곡부를 형성하는 경우의 음향 출력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에서와 같이, 각 액츄에이터(20)에 의하여 표시패널(10)이 진동함으로써 발생하는 음파는 액츄에이터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면서 진행하며, 이러한 음파를 편의상 진행파(A)로 표현한다.
이 때, 진행하는 음파는 음분리 격벽부(40)의 한 변에서 만나는 경우 그 음분리 격벽에서 반사되어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반사파 A'를 형성한다.
이러한 반사파는 진행파와 중첩 및 간섭되어, 중첩된 음파가 진행하지 못하고 일정한 위치에 정체되어 있는, 소위 정재파(standing wave)을 형성하며, 이러한 정재파에 의하여 음압이 감소되어 음향 출력 특성이 나빠질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로부터의 진행파 A와 음분리 격벽부(40)의 한변에서 반사된 반사파 A'에 의하여 정재파가 발생하고, 그에 따라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음압이 감소되어 음향 출력 특성이 나빠질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액츄에이터와 음분리 격벽부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은 위치, 즉 도 3의 액츄에이터의 수평 및 수직방향과 음분리 격벽부의 각 변 사이의 위치에서 크게 발생된다.
이러한 정재파에 의한 영향으로 인하여, 도 3b의 원으로 표시한 부분과 같이 특정 주파수 대역(약 1kHz 부근)에서 음압이 불안정하거나 음압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됨을 확인하였다.
반면, 도 4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절곡부(412)를 형성하면, 도 3에서와 같이 액츄에이터의 수직 방향으로 향하는 진행파 B가 좌우로 비스듬하게 반사(반사파 B')됨으로써, 진행파(B)와 반사파(B')의 중첩에 의한 정재파 형성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전술한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이 개선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제1변(410)이 비스듬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음향출력 영역의 모서리 부분에서 액츄에이터로부터 제1변의 가장자리로 향하는 진행파 D의 반사파 D'와 다른 진행파 E가 중첩 또는 간섭되어 또다른 정재파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이때, 제2변(420)에 형성된 돌출 구속부(422)가 반사파 D'를 차단함으로써, 진행파 E와의 간섭에 의한 정재파 발생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도 4b는 도 4a와 같은 본 실시예가 적용된 경우의 음향 출력 특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3b과 비교할 때 특정 주파수 대역(1kHz 부근)에서 음압이 상대적으로 증가할 뿐 아니라, 그 영역에서의 음압의 균일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음분리 격벽부의 4개 변 중에서 강한 음파가 도착하는 제1변에 액츄에이터 방향으로 향하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제1변과 수직인 제2변의 일정 위치에 돌출 구속부를 배치함으로써,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절곡부와 돌출 구속부를 포함하는 변과, 절곡부 및 돌출 구속부의 위치 및 크기 등은 음향출력 영역의 형상과 액츄에이터의 배치 등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도 14를 참고로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등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실시예에 의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 200')는 모두 마그네트와,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중앙영역에 돌출 형성되는 센터폴과, 상기 센터폴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음향발생용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이 권취된 보빈을 포함하며, 상기 보빈의 선단부가 상기 표시패널의 일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의 후면 또는 측면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하는 후면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액츄에이터의 플레이트는 는 그 지지구조에 고정된다.
후면지지부는 표시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커버버텀(300)을 포함하며, 표시패널의 측면을 둘러싸면서 상기 커버버텀과 결합되고 표시패널의 일측 가장자리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미들 캐비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면지지부를 구성하는 커버버텀(Cover Bottom)은 표시장치의 후면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판상 부재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후면 지지구조로서 커버버텀(300)을 더 포함하며, 이러한 커버버텀(300)은 미들캐비닛(500) 등과 결합되어 표시패널(100)의 후방을 지지하는 기능과, 본 실시예에 의한 액츄에이터를 고정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이 때, 커버버텀(300)은 그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레이트 버텀(Plate Bottom), 백커버(Back Cover),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메탈 프레임(Metal Frame), 메탈 샤시(Metal Chassis), 샤시 베이스(Chassis Base), m-샤시 등 다른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표시장치의 후방 기저부에 배치되는 모든 형태의 프레임 또는 판상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표시장치"라는 용어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 유기발광 표시모듈(OLED Module)과 같은 협의의 표시장치는 물론, 그러한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와 같은 모바일 전자장치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 또는 세트 장치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의 표시장치는 LCM, OLED 모듈과 같은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물론, 그를 포함하는 응용제품인 세트 장치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표시패널과 그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는 LCM, OLED 모듈을 협의의 "표시장치"로 표현하고, 그러한 LCM, OLED 모듈을 포함하는 완제품으로서의 전자장치를 "세트장치"로 구별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협의의 표시장치는 액정(LCD) 또는 유기발광(OLED) 표시패널과 그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인 소스 PCB를 포함하며, 세트장치는 소스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세트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세트 제어부인 세트 PCB를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표시패널(100)은 액정표시패널, 유기전계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패널, 플라즈마 표시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은 모든 형태의 표시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에 의하여 직접 진동됨으로써 음파를 발생할 수 있는 한 특정한 표시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 구체적으로, 표시패널이 액정 표시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그 교차 영역에 정의되는 픽셀(Pixel)과,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그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물질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이 유기전계발광(OLED) 표시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그 교차 영역에 정의되는 픽셀(Pixel)과, 각 픽셀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어레이 기판 상의 유기 발광 소자(OLED)층, 및 유기 발광 소자층을 덮도록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봉지 기판 또는 엔캡슐레이션(Encap.) 기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상기 유기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표시패널은 그 형태에 제한은 없으나, 아래와 같은 이유로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인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정 표시 패널의 경우 적층되는 레이어가 많고, 별도의 광원이 배치된 간접 광원 방식의 백라이트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에 의하여 직접 진동되는 경우 액정재료의 방향성이 흔들리고 그에 따라 화상의 일그러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유기 발광(OLED) 표시 패널의 유기 발광 소자는 자발광 소자에 해당하여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고, 편광 레이어(POL), 글래스 레이어, 인캡슐레이션 레이어(Encap.)등의 여러 레이어가 하나의 패널로 합지되어 있기 때문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에 의하여 직접 진동되더라도 유기발광층의 발광특성에 영향이 거의 없어서 화상의 일그러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표시패널은 일반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표시패널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2가지 타입의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또는 액츄에이터(200, 200')는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아래에서는 편의상 좌측 액츄에이터를 대표하여 설명하지만, 나머지 액츄에이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좌측 액츄에이터(200)는 영구자석인 마그네트(220)와, 그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210, 210')와, 플레이트의 중앙영역에 돌출되는 센터폴(230)과, 상기 센터폴(230) 주위에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보빈(250)과, 보빈 외곽에 권취되어 음향발생을 위한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2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는 마그네트가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구조와, 마그네트가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구조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는 마그네트가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구조로서 다이나믹 타입 또는 외자형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구조에 의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는 하부 플레이트(210)가 커버버텀(300)에 형성되는 지지홀(310)에 고정되며, 하부 플레이트의 외곽에 환상 형태의 영구자석인 마그네트(220)가 배치된다.
마그네트(220)의 상부에는 상부 플레이트(210')가 배치되고, 상부 플레이트의 외곽에는 상부 플레이트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외부 프레임(240)이 배치된다.
한편, 하부 플레이트(210)의 중앙영역에는 센터폴(230)이 돌출되어 배치되며, 센터폴(230)의 주위를 감싸는 보빈(250)이 배치된다.
보빈(250)의 하측부 주위에는 코일(260)이 권취되어 있으며, 이 코일에 음향발생용 전류가 인가된다.
한편, 보빈의 상측 일부와 외부 프레임(240)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10)와 상부 플레이트(210')는 마그네트(220)을 지지하면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를 커버버텀(300)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하부 플레이트(21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210) 상에 링 형상으로 구비된 마그네트(220)가 구비되고, 마그네트 상에 상부 플레이트(210)가 구비된다.
그리고, 하부 플레이트(210) 및 상부 플레이트(210)가 커버버텀(300)에 결합됨에 따라, 하부 플레이트(210)와 상부 플레이트(210') 사이에 위치한 마그네트(220)가 고정 지지될 수 있다.
플레이트는 철(Fe)과 같이 자성을 지닌 물질로 이루질 수 있다. 플레이트는 그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크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센터폴(230)과 하부 플레이트(21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보빈(250)은 종이 또는 알루미늄 시트 등으로 형성되는 환상 구조물로서, 보빈의 하측 일정 영역 주위에 코일(260)이 권취된다. 이러한 보빈과 코일을 합하여 보이스 코일로 표현할 수 있다.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며, 마그네트(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부 자기장이 있기 때문에, 플레밍의 법칙에 따라 보빈 전체가 센터폴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상측으로 이동한다.
한편, 보빈(250)의 선단부는 표시패널(100)의 후면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전류 인가 및 비인가 상태에 따라 표시패널을 진동시키게 되고, 이러한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된다.
마그네트(220)는 바륨 훼라이트등 소결(燒結) 자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재질은 산화 제2철 (Fe2O3), 탄산바륨 (BaCO3). 자력 성분이 개선된 스트론튬 훼라이트, 알루미늄(Al), 니켈(Ni), 코발트(Co) 의 합금 주조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보빈(250)의 상측 일부와 외부 프레임(240)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되며, 댐퍼(220)는 주름진 구조로 구비되어 보빈의 상하 운동에 따라서 수축 및 이완하면서 상기 보빈의 상하 진동을 조절한다. 즉, 댐퍼(270)가 보빈(250)과 외부 프레임(240)에 각각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보빈의 상하 진동은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제한되고, 구체적으로 보빈(270)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높이 이하로 진동할 경우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이 원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댐퍼는 에지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도 5b는 마그네트가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구조로서 마이크로 타입 또는 내자형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구조에 의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는 하부 플레이트(210)가 커버버텀(300)에 형성되는 지지홀(310)에 고정되며, 하부 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 마그네트(220)가 배치되며, 마그네트 상부에 센터폴이 연장 형성된다.
상부 플레이트(210')는 하부 플레이트의 외곽 주변에 돌출형성되며, 상부 플레이트 외측에는 외부 프레임(240)가 배치된다.
마그네트(220)와 센터폴(23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보빈(250)이 배치되며, 보빈 외곽에는 코일(260)이 권취된다.
또한, 외부 프레임(240)과 보빈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2방식의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는 마그네트가 외측에 배치되는 제1방식에 비하여 누설자속이 작고 전체적인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나, 큰 전류 입력에 의한 자속 감소 현상이 생길 수 있고 제조가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방식 또는 제2방식에 의한 액츄에이터 모두가 사용될 수 있으며, 편의상 아래에서는 제1방식에 의한 구조를 대표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는 도 5에 도시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류 인가에 따라 표시패널을 상하로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할 수 있는 한 다른 종류의 액츄에이터가 사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가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6a는 전류가 인가된 상태로서, 마그네트의 하면과 연결된 센터폴이 N극이 되고, 마그네트의 상면과 연결된 상부 플레이트가 S극이 되어, 코일 사이에 외부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음향 발생용 전류가 코일에 인가되면 코일 주위에 인가 자기장이 생성되는데 인가 자기장과 외부 자기장에 의하여 보빈을 상측으로 이동하는 힘이 발생된다.
따라서, 도 6a와 같이 보빈이 상측으로 이동하고 보빈의 선단부에 접촉되어 있는 표시패널이 상측으로 진동한다.
이 상태에서 전류 인가가 중지되거나 반대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도 4b와 같이, 유사한 원리에 따라 보빈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발생되고, 따라서 표시패널이 하측으로 진동한다.
이와 같이, 코일로의 전류 인가 방향과 크기에 따라서, 표시패널이 상하로 진동하게 되며, 이러한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표시장치의 후면지지부인 커버 버텀과의 결합상태의 일 예를 도시하며 , 도 8은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커버버텀과의 결합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는 표시장치의 지지구조인 커버버텀 또는 백커버 상에 형성된 지지홀에 관통 지지될 수 있으며, 도 7 내지 도 8은 여러가지의 지지구조를 도시한다.
도 7의 지지구조에서는, 커버버텀(300)에는 지지홀(310)이 관통 형성되며,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200)의 하부플레이트(210)와 마그네트(220) 및 상부 플레이트(210') 중 하나 이상이 그 지지홀 내부에 수용되도록 삽입된다.
하부 플레이트(210)의 저면에는 하부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12)가 더 형성되며, 이러한 연장부(212)가 커버버텀(310)의 저면에 고정됨으로써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를 커버버텀에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를 커버버텀에 형성된 지지홀에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하면, 표시패널과 커버 버텀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장치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표시패널과 커버버텀 사이에는 표시패널이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인 제1에어갭 공간 및 제2에어갭 공간이 존재하여야 하는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를 커버버텀의 지지홀에 삽입/고정되는 형태로 구성하면, 표시패널후면과 커버버텀 내면사이에 배치되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높이를 작게할 수 있으므로 에어갭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7은 음향 발생 액츄에이터를 커버버텀에 고정함에 있어서, 커버버텀의 후면에 나사홀을 형성하고, 하부 플레이트의 연장부(212)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하여 볼트(320) 또는 나사를 커버버텀의 나사홀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방식이다.
한편, 도 8a는 단순한 나사 결합 형태가 아니라, 커버버텀(300)과 하부플레이트의 연장부(212) 사이에 일정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펨너트(Pem Nut; 330) 또는 셀프 클린칭 너트(self clinching nut)를 배치한 후 볼트(320)로 고정하는 방식이다.
도 8a와 같이 펨너트(Pem Nut; 330) 또는 셀프 클린칭 너트(self clinching nut)를 이용하면,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커버버텀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확보되므로, 액츄에이터의 진동이 커버버텀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8b에서는, 액츄에이터의 하부 플레이트의 연장부(212) 와 커버버텀 사이에 양면 테이프(Double Side Tape)와 같은 접착부재를 배치하여 접착 고정하는 방식이다.
도 8b와 같이 접착부재를 이용하는 경우 접착부재의 탄성과 두께를 적절히 조절하면 접착부재가 일종의 댐퍼 역할을 하게 되며, 따라서 액츄에이터의 진동이 커버버텀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과 같이, 표시패널과 접촉하여 표시패널을 직접 진동시키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200)를 커버버텀에 형성된 지지홀에 삽입 고정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액츄에이터가 표시장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는 경우에 비하여 표시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음분리 격벽부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음분리 격벽부는 각각의 음향출력 영역에 에어갭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표시패널이 진동할 때 음파를 발생할 수 있도록 표시패널 일측이 표시패널의 지지구조에 접합되어야 하고, 특히 발생된 음향이 표시장치의 측면 등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지 않아야 하므로,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에서는 표시패널의 하면과 지지구조 사이에 일정한 음분리 격벽부(400)를 형성한다.
더 구체적으로,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마다 그 주위의 일정한 구획(즉, 에어갭 공간)인 음향출력 영역이 각각 정의되고, 그 음향출력 영역의 가장자리에는 표시패널의 하면과 커버버텀의 상면 사이에서 음분리 격벽부가 배치되는 것이다.
이 때, 음분리 격벽부(400)는 표시패널 저면과 표시장치의 지지구조 상면 사이에 접착되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430))와 접착부재 외곽에 더 배치되는 실링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접착부재(430)는 다시 커버버텀(300)의 상면에 접착되는 제1접착부(432)와, 표시패널의 하면에 접착되는 제2접착부(436) 및 양 접착부 사이의 본체부(4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체부(434)는 일정한 탄성을 가져서 표시패널 부착시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음분리 격벽부(400)를 구성하는 실링부(440)는 접착부재(430)의 외곽에 더 배치되고 접착부재의 두께 또는 높이보다 더 큰 두께 또는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부(440)는 탄성이 큰 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부재(430)의 두께(t1)보다 더 큰 두께 t2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9와 같이 커버버텀 상면에 두께 t1을 가지는 양면 테이프인 접착부재(430)의 제1접착부(432)를 접착 배치하고, 접착부재의 외곽에 t1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지는 탄성재료의 실링부(440)를 배치한다.
그 상태에서, 표시패널(100)을 접착부재(430)의 제2접착부(436)에 부착시키면 더 큰 두께를 가지는 실링부(440)가 일정 정도 압박되면서 표시패널과 미들캐비닛이 접착된다.
이와 같이, 음분리 격벽부(400)가 접착부재(430) 및 실링부(440)의 이중구조를 가짐으로써, 각 액츄에이터 주위의 음향출력 영역의 에어갭 공간(700, 700')의 밀봉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갭 공간의 두께, 즉 에어갭 공간에서의 표시패널과 커버버텀 사이의 거리는 약0.8~2.5mm로 정해질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의 진동정도 등에 따라 다른 범위로 정해질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음향출력 영역이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을 포함하는 2채널 방식에서, 각 영역의 형태와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위치 및 형태에 따른 절곡부 및 추가 구속부의 배치 형태를 다양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이하에서는 편의상 음분리 격벽부를 구성하는 각 변을 단일의 실선으로 표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압 감소를 야기하는 정재파는 진행파와 반사파의 크기가 큰 지점에서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절곡부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로부터 도달하는 음파가 가장 큰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래 도 10 및 도 11에서는 2채널 구조에서 절곡부 및 돌출 구속부가 배치되는 여러 형태를 예시한다.
우선, 도 10은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이 가로(H), 세로(V)의 길이가 동일한 정사각형 형태이고, 액츄에이터가 각 영역의 정중앙에 배치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좌측영역(L)과 같이 좌측영역을 정의하는 음분리 격벽부의 4개 변 중 상하에 있는 2개의 제1변(410)에 절곡부(412)를 형성하고, 제1변이 수직인 좌우의 2개의 제2변(420)에 각각 2개씩의 돌출 구속부(422)를 배치할 수 있다.
물론, 도 10의 경우에는 완전 대칭이기 때문에, 우측영역(R)과 같이 좌우변을 절곡부(412)가 형성된 제1변(410)으로 하고, 상하변인 제2변(420)에 돌출 구속부를 배치하여도 된다.
물론, 제2변에 형성되는 돌출 구속부는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때, 4개 변 모두에 절곡부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그런 경우 음향출력 영역의 면적이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진동판의 면적이 감소하여 음압이 전체적으로 감소하거나, 음향주파수가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0과 같이, 4개 변 중 2개의 제1변에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2개 변에는 돌출 구속부를 배치함으로써, 진동판 면적 감소를 최소화하면서도 정재파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다.
한편, 도 10과 같은 구조에 의하면, 각 액츄에이터가 해당되는 음향출력 영역의 좌우대칭 및/또는 상하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해당되는 영역의 표시패널 부분의 균일한 진동이 가능하며, 따라서 안정적인 음향출력 및 표시패널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액츄에이터가 배치 또는 출력 특성이 비대칭인 경우로서, 이 때에는 제1변의 선택 및 그에 형성되는 절곡부의 위치가 액츄에이터가 배치 또는 액츄에이터의 출력특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우선, 도 11a와 같이 음향출력 영역의 가로 및 세로의 크기가 다른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음압 감소를 야기하는 정재파는 진행파와 반사파의 크기가 큰 지점에서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가로 및 세로 중 긴 변 의 중앙 부분에서 정재파 발생이 커진다.
즉, 도 11a와 같이 좌측영역의 가로(H)보다 세로(V)의 길이가 더 긴 경우에는, 수직인 좌우 변에 도달하는 음파 F의 크기가 수평인 상하 변에 도달하는 음파 G의 크기보다 크다.
따라서, 음향출력 영역의 가로 및 세로 중 긴 변인 좌우 변을 제1변(410)으로 정의한 후, 그 제1변에 절곡부(412)를 형성한다.
물론, 선택적으로 가로 및 세로 중 짧은 변에는 1 이상의 돌출 구속부(422)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1b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가 해당되는 음향출력 영역 내에 비대칭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이다.
이런 경우, 절곡부가 형성되는 제1변(410)은 음향출력 액츄에이터와 가장 가까운 1개의 변일 수 있다.
즉, 도 11과 같이 음향출력 영역의 좌우 중점(P)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편향된 위치 P'에 액츄에이터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음분리 격벽부의 4개 변 중에서 액츄에이터와 가장 가까운 좌측 수직변을 제1변(410)으로 선택하여, 그 중앙에 절곡부(412)를 배치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하변인 제2변(420, 420')에는 1 이상의 돌출 구속부(422, 422')를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제1변에 대향하는 우측 수직변(410')에는 정재파 형성이 미미하기 때문에, 우측 수직변에는 절곡부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고, 상하 수평변의 우측에도 돌출 구속부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음파가 비대칭 방사특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제1변은 음파 중 강한 음파가 향하는 1개 또는 2개 변일 수 있다.
도 11c는 이러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정 이상의 음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음향출력 영역 내에 2개 이상의 액츄에이터를 인접하여 배치하거나, 타원과 같은 비원형 보빈 형상을 가지는 액츄에이터를 배치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11c의 좌측 도면은 음향출력 영역 내에 2개의 액츄에이터(200-1, 200-2)를 수평으로 인접 배치한 경우로서, 이런 경우에는 상하로 진행하는 음파 F가 좌우로 진행하는 음파 G보다 진폭이 더 크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강한 음파 F가 향하는 상하의 수평변을 제1변(410)으로 정의하고, 그에 절곡부(412)를 형성한다.
이 때, 상하의 제1변에 형성되는 2개의 절곡부(412)를 연결한 선은 2개의 액츄에이터의 중앙 위치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절곡부(412)의 첨단 위치는 2개의 액츄에이터 사이의 중점을 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함으로써, 2개의 액츄에이터에서 발생된 진행파 중 제1변으로 향하는 진행파를 좌우로 분산되도록 반사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정재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1c의 우측 도면은 액츄에이터가 원형이 아닌 타원형 등과 같은 비원형인 경우이다.
도 5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200)의 보빈은 일반적으로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지만, 액츄에이터의 출력을 높이기 위하여 타원형 보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액츄에이터가 타원형 형상인 경우에는, 액츄에이터의 타원 단축 방향으로 진행하는 음파가 강하기 때문에, 도 11c와 같이 타원의 장축방향과 평행한 2개의 변을 제1변(410)으로 정의하고, 그 제1변에 절곡부(412)를 형성한다.
이 때에도, 절곡부(412)의 첨단부분은 비원형 액츄에이터의 중심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절곡부를 포함하는 음분리 격벽부의 제1변의 경사각도와, 추가 구속부재의 위치 및 길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12와 같이, 절곡부가 형성되는 음향분리 격벽부의 제1변(410)은 표시패널의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과 일정한 경사각 θ을 가지도록 내측으로 연장되는 2개의 직선부로 구성되며, 2개의 직선부가 만나는 지점이 절곡부를 형성한다.
물론, 제1변 또는 절곡부는 직선형태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곡선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일 수도 있다.
이 때, 절곡부의 경사각 θ이 커질수록 반사파의 분산 특성이 증가되어 정재파 생성 억제 효과가 좋아지지만, 경사각이 커질수록 음향출력 영역, 즉 진동판의 크기가 감소하여 음압이 감소하고 음파의 주파수가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절곡부의 경사각 θ는 정재파의 억제 필요량 등에 따라 약 10~30도로 가변되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출력 영역이 저음을 위한 것이거나 액츄에이터의 출력이 큰 경우에는 절곡부의 경사각 θ을 크게 하고, 반대로 음향 출력영역의 중고음역을 위한 것이거나 액츄에이터의 출력이 작은 경우에는 절곡부의 경사각 θ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2변(420)에 형성되는 돌출 구속부(422)는 제1길이 d1을 가지며, 제2변(420)의 일단으로부터 제2거리 d2만큼 떨어져서 배치된다.
이 때, 돌출 구속부(422)의 제1길이 d1가 클수록 정재파 억제 효과가 증가하지만, 진동판의 진동특성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재파의 발생정도나 진동판의 필요 면적 등에 따라서 돌출 구속부(422)의 제1길이 d1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재파가 많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돌출 구속부(422)의 제1길이 d1를 크게 하고, 정재파가 많지 않거나 진동판의 면적을 크게 유지해야 하는 경우에는 돌출 구속부(422)의 제1길이 d1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돌출 구속부(422)는 제2변에 2개 형성되되, 액츄에이터의 위치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2와 같이, 돌출 구속부(422) 중 하나가 제2변의 일단으로부터 제2거리 d2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경우, 나머지 돌출구속부는 제2변의 타단으로부터 동일한 제2거리 d2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돌출 구속부(422)는 제1길이 d1 및 돌출 구속부의 모서리로부터 이격거리(제2거리) d2는 제1변에 형성되는 절곡부의 경사각 θ에 비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변에 형성되는 절곡부의 경사각 θ이 큰 경우에는 절곡부에서 반사되어 제2변으로 향하는 반사파의 강도가 커지기 때문에, 또한, 돌출 구속부(422)는 제1길이 d1 또는 돌출 구속부의 모서리로부터 이격거리(제2거리) d2지며, 제2변(420)의 일단으로부터 제2거리 d2를 크게하여 제2변 주위에서의 정재파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평면도로서, 2.1채널 방식을 예시한다.
즉, 도 13 및 도 14는, 음향출력 영역이 좌우에서 중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과, 저음을 출력하기 위한 중앙영역을 포함하는 2.1채널 방식으로서, 이 때 각 영역의 형태와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위치 및 형태에 따른 절곡부 및 추가 구속부의 배치 형태를 다양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의 실시예에서는, 음향출력 영역이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기 위하여 표시패널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좌측영역(L) 및 우측영역(R)과, 저음역대 음향을 출력하기 위하여 표시패널의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영역(C)을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액츄에이터(1200)가 중앙영역(C)의 표시패널(100)을 직접 진동시켜서 저음역대 음향을 발생시키고, 좌측 및 우측 액츄에이터(1200', 1200")는 좌측영역(L) 및 우측영역(R)의 표시패널 부분을 직접 진동시켜서 저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킨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중앙 우퍼에서는 저음 출력이, 좌우측 스테레오 음향 출력이 가능한, 소위 2.1채널 형태의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저음역대는 300Hz 이하, 중음역대는 300~1.5kHz, 고음역대는 1.5kHz 이상으로 정의하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 액츄에이터(1200)의 출력이 좌우측 액츄에이터(1200', 1200")이 출력보다 더 크게 하는 제1방식과, 중앙영역(C)의 면적이 좌측영역(L) 및 우측영역(R)의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제2방식 중 하나 이상을 채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함으로써, 저음역대 음향이 중고음역대 음향보다 더 커져서 저음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중앙영역(C) 면적을 좌우측 영역의 면적보다 더 크게 하면, 동일한 액츄에이터 출력을 가지더라도 저음의 진동판 면적이 커지게 되므로 저음의 안정적인 출력이 가능해진다.
한편, 중앙영역(C)을 정의하는 음분리 격벽부의 4개 변 중 하나 이상의 제1변(1410)에는 중앙영역 내에 배치되는 중앙 액츄에이터(1200) 방향으로 꺽여지는 절곡부(1412)가 배치된다.
또한, 제1변(1410)에 수직하는 제2변(1420)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중앙 액츄에이터(120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구속부(1422)가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좌측영역(L) 또는 우측영역(R)을 정의하는 음분리 격벽부의 4개 변 중에서 중앙영역의 음분리 격벽부와 공유된 변(1410)을 제외한 3개 변 중 하나 이상에는 좌측영역 또는 우측영역에 배치되는 좌측 액츄에이터(1200') 또는 우측 액츄에이터(1200")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3의 좌측 영역과 같이, 좌측 영역의 좌측 수직변은 중앙영역과 공유되어 중앙영역(C)와 좌측영역(L)을 분리하는 기능을 하며, 그 좌측 수직변에 수직한 좌측영역의 상하변(1430)에 절곡부(1432)를 형성하되, 절곡부(1432)는 좌측 액츄에이터(1200')의 중심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좌측영역의 우측 수직변(1440)에는 1 이상의 돌출 구속부(1442)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아래에서 설명할 바와 같이, 중앙영역의 저음에 비하여 좌우측 영역의 중고음은 음압이 낮기 때문에 정재파에 의한 영향이 크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도 13의 우측영역과 같이 좌우측 영역에는 절곡부 및 돌출구속부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특히, 도 13과 같은 구성에서는, 저음을 담당하는 중앙 액츄에이터(1200)의 출력이 더 크기 때문에 중앙영역에서 발생하는 정재파가 가장 커지게 된다.
즉, 좌측 영역 또는 우측 영역에서도 위와 같은 정재파에 의한 음질 약화 현상이 발생되기는 하지만, 중앙영역의 저음역대 음파가 파장이 길고 진폭이 크기 때문에 정재파에 의한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
이에, 도 13과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저음영역에서의 정재파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저음과 스테레오 음향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4는 2.1채널 방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중앙영역(C)의 중앙 액츄에이터(1200)가 수평으로 인접배치되는 2개의 서브 중앙 액츄에이터(1200-1, 1200-2)로 구성되고, 좌측영역의 좌측 액츄에이터는 수직으로 이격 배치되는 2개의 서브 좌측 액츄에이터(1200'-1, 1200'-2)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중앙영역(C)의 상하변을 제1변(1410)으로 정의하고, 그 제1변에 절곡부(1412)를 형성하되, 절곡부(1412)의 첨단위치는 2개의 서브 중앙 액츄에이터(1200-1, 1200-2) 사이의 중점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중앙영역의 좌우변인 제2변(1420)에는 중앙 액츄에이터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구속부(1422)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좌측 영역의 상하변을 제1변(1410')으로 정의하고, 그 제1변(1410')에 절곡부(1412')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4와 같은 구조에서는 서브 좌측 액츄에이터(1200'-1, 1200'-2)가 좌측영역의 상하변에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상하변에서의 정재파 발생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4의 좌측영역과 같이 좌측영역의 상하변에 절곡부(1412')를 형성함으로써 좌측영역에서의 정재파 형성을 최대한 억제한다.
물론, 도 14의 우측영역과 같이 단일의 우측 액츄에이터(1200")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우측영역의 좌측 수직변을 제1변(1410")으로 정의하여, 그 제1변(1410")에만 우측 액츄에이터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412")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패널을 직접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되, 각각 상이한 음향을 출력하는 다수의 음향출력 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음분리 격벽부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음분리 특성을 가지는 패널 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음향출력 영역을 구획하는 음분리 격벽부 중 1개 이상의 제1변에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반사파와 진행파의 간섭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 이외에, 음분리 격벽부 중 1개 이상의 제2변에 1개 이상의 돌출 구속부를 형성함으로써, 반사파와 진행파의 간섭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더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음향출력 영역으로서, 좌우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을 포함하는 2채널 방식과, 그에 더하여 저음을 출력하기 위한 중앙영역을 더 포함하는 2.1채널 방식 중 하나를 채택하되, 각 영역의 음분리 격벽부를 구성하는 4개 변 중 하나 이상에는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변 중 하나 이상에는 돌출 구속부를 배치함으로써, 우수한 음분리 특성을 가지면서도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패널 진동에 의하여 2채널 또는 2.1채널의 음향 출력이 가능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우수한 음분리 특성을 가지면서도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를 억제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음향장치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표시패널 200 : 액츄에이터
210, 210' : 상하부 플레이트 220 : 마그네트
230 : 센터폴 240 : 외부 프레임
250 : 보빈 260 : (보이스) 코일
300 : 커버버텀 310 : 지지홀
400 : 음분리 격벽부 430 : 접착부재
440 : 실링부 410, 1410 : 제1변
420, 1420 : 제2변 412, 1412 : 절곡부
422, 1422 : 돌출 구속부

Claims (13)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범위 내에서 각각 상이한 음향을 출력하는 다수의 음향출력 영역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상기 표시패널 후방을 지지하는 후면지지부;
    상기 다수의 음향출력 영역의 각각을 둘러싸며,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후면지지부에 접촉 배치되어 각 음향출력 영역 내부에 에어갭 공간을 정의하는 음분리 격벽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음분리 격벽부의 적어도 한 변은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방향으로 꺽어지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패널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분리 격벽부는 각각의 음향출력 영역을 둘러싸는 4개 변으로 구성되며, 상기 음분리 격벽부의 4개 변 중 하나 이상인 제1변은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방향으로 꺽어지는 상기 절곡부를 포함하는 패널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첨단 위치는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의 중심을 향하는 패널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2변은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패널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음파가 비대칭 방사특성을 가지며, 상기 제1변은 상기 음파 중 강한 음파가 향하는 1개 또는 2개 변인 패널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는 상기 음향출력 영역 내에 비대칭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변은 상기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와 가장 가까운 변인 패널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구속부는 제2변 상에서 이격 배치되는 2개의 돌출 구속부를 포함하는 패널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 영역은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표시패널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는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을 포함하는 패널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 영역은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표시패널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과, 저음역대 음향을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표시패널의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영역을 포함하는 패널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영역의 면적은 상기 좌측영역 또는 상기 우측영역의 면적보다 큰 패널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영역을 정의하는 음분리 격벽부의 4개 변 중 하나 이상의 제1변에는 상기 중앙영역 내에 배치되는 중앙 액츄에이터 방향으로 꺽여지는 상기 절곡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변에 수직하는 제2변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중앙 액츄에이터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구속부가 배치되는 패널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영역 또는 상기 우측영역을 정의하는 음분리 격벽부의 4개 변 중에서 상기 중앙영역의 음분리 격벽부와 공유된 변을 제외한 3개 변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좌측영역 또는 우측영역에 배치되는 좌측 액츄에이터 또는 우측 액츄에이터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배치되는 패널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분리 격벽부는 상기 후면지지부의 상면과 상기 표시패널의 하면에 접착되는 접착부재와, 상기 접착부재 외곽에 배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패널진동형 음향발생 표시장치.
KR1020160161789A 2016-03-28 2016-11-30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KR101817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789A KR101817102B1 (ko) 2016-11-30 2016-11-30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US15/471,155 US10142738B2 (en) 2016-03-28 2017-03-28 Panel vibration type sound-generating display device
US15/471,458 US10129646B2 (en) 2016-03-28 2017-03-28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US15/471,431 US10142739B2 (en) 2016-03-28 2017-03-28 Panel vibration type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US15/471,173 US10237656B2 (en) 2016-03-28 2017-03-28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US15/471,164 US10412500B2 (en) 2016-03-28 2017-03-28 Actuator fixing device and panel vibration type sound-genera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5/471,184 US10219079B2 (en) 2016-03-28 2017-03-28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vibrating panel
CN201710507121.9A CN108124224B (zh) 2016-11-30 2017-06-28 面板振动型发声显示装置
CN202010455653.4A CN111526465B (zh) 2016-11-30 2017-06-28 面板振动型发声显示装置
CN201720765061.6U CN207150818U (zh) 2016-11-30 2017-06-28 面板振动型发声显示装置
CN202010454718.3A CN111526464B (zh) 2016-11-30 2017-06-28 显示装置和电子设备
JP2017131154A JP6577529B2 (ja) 2016-11-30 2017-07-04 パネル振動型音響発生表示装置
TW106122586A TWI655476B (zh) 2016-11-30 2017-07-05 顯示裝置
EP21195108.2A EP3941087B1 (en) 2016-11-30 2017-08-02 Panel vibration type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EP17184428.5A EP3331251B1 (en) 2016-11-30 2017-08-02 Panel vibration type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US16/038,075 US10547945B2 (en) 2016-03-28 2018-07-17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US16/164,602 US10841699B2 (en) 2016-03-28 2018-10-18 Panel vibration type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US16/352,356 US11140482B2 (en) 2016-03-28 2019-03-13 Actuator fixing device and panel vibration type sound-genera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9152083A JP6845288B2 (ja) 2016-11-30 2019-08-22 表示装置及び装置
US16/703,719 US11265655B2 (en) 2016-03-28 2019-12-04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JP2021029191A JP7304908B2 (ja) 2016-11-30 2021-02-25 装置
US17/581,703 US11950068B2 (en) 2016-03-28 2022-01-21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789A KR101817102B1 (ko) 2016-11-30 2016-11-30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102B1 true KR101817102B1 (ko) 2018-01-10

Family

ID=59702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789A KR101817102B1 (ko) 2016-03-28 2016-11-30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2) EP3331251B1 (ko)
JP (3) JP6577529B2 (ko)
KR (1) KR101817102B1 (ko)
CN (4) CN108124224B (ko)
TW (1) TWI655476B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876A (ko) * 2018-06-28 2020-0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080213B1 (ko) * 2018-11-02 2020-04-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00045805A (ko) * 2018-10-23 2020-05-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00061195A (ko) * 2018-11-23 2020-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차량용 장치
KR20200067667A (ko) * 2018-12-04 2020-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14910A (ko) * 2019-03-29 2020-10-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135227A (zh) * 2020-09-30 2020-12-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发声控制方法及发声控制装置
KR20210008141A (ko) * 2020-02-11 2021-0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EP3745693A4 (en) * 2018-01-25 2021-09-15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WO2022097961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03682A (ko) * 2021-01-15 2022-07-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528544B2 (en) 2020-08-06 2022-12-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561756B2 (en) 2019-05-28 2023-01-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sound generator and vibration damping member
US11924609B2 (en) 2019-03-29 2024-03-05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839B1 (ko) * 2017-05-11 2022-03-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366760B1 (ko) * 2017-09-14 2022-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GB2606946B (en) * 2018-02-13 2023-08-16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TWI718524B (zh) 2018-04-20 2021-02-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具有揚聲模組的電子裝置
TWI658449B (zh) * 2018-05-11 2019-05-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CN108495244A (zh) 2018-05-17 2018-09-04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08806560A (zh) * 2018-06-27 2018-11-13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屏幕发声显示屏及声场画面同步定位方法
CN109240413B (zh) * 2018-07-09 2022-04-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屏幕发声方法、装置、电子装置及存储介质
CN109040919B (zh) * 2018-07-23 2021-03-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发声方法、装置、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KR102594035B1 (ko) * 2018-08-06 2023-10-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94577B1 (ko) 2018-08-22 2023-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0913319B (zh) 2018-09-18 2021-10-01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KR102608137B1 (ko) * 2018-09-20 2023-1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30589B1 (ko) * 2018-09-20 2023-05-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KR102514184B1 (ko) 2018-09-28 2023-03-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625724B1 (ko) * 2018-10-05 2024-0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622979B1 (ko) * 2018-10-15 2024-01-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20092306A (ja) * 2018-12-04 2020-06-11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スピーカ装置
TWI677820B (zh) * 2018-12-11 2019-11-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N109739465B (zh) * 2018-12-21 2021-01-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音频输出方法及移动终端
CN114913791B (zh) * 2018-12-31 2024-03-05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0047392B (zh) * 2019-03-11 2021-02-0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KR102668557B1 (ko) 2019-03-29 2024-05-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130603A (ko) * 2019-05-10 2020-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0234058A (zh) 2019-05-23 2019-09-13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模组以及移动终端
CN110211558A (zh) * 2019-05-27 2019-09-0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0351402B (zh) 2019-06-28 2022-04-0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移动终端
KR20210006117A (ko) * 2019-07-08 2021-0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526452B (zh) * 2020-04-20 2021-12-17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可发声屏幕
CN111741412B (zh) * 2020-06-29 2022-07-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发声控制方法及发声控制装置
TWI803173B (zh) * 2022-01-27 2023-05-21 謝易昀 具有三頻音頻的發聲螢幕
CN217443699U (zh) * 2022-03-21 2022-09-16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1194A (ja) * 1999-08-23 2001-03-06 Authentic Ltd パネル型スピーカ
JP2006319626A (ja) * 2005-05-12 2006-11-24 Kenwood Corp スクリーンスピーカシステム
JP2007267302A (ja) * 2006-03-30 2007-10-11 Nec Access Technica Ltd ディスプレイ用スピーカの構造およびそのスピーカを用いた音源画像一致型ディスプレイ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4891A (ja) * 1987-12-01 1989-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US5025474A (en) * 1987-09-29 1991-06-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peaker system with image projection screen
US4891842A (en) * 1988-03-24 1990-01-02 Posh Diversified, Inc. Sound output unit for installation in a ceiling structure
JPH021987U (ko) * 1988-06-16 1990-01-09
JPH03132296A (ja) * 1989-10-18 1991-06-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JP3599699B2 (ja) 2001-10-16 2004-12-08 株式会社ジャムコ フラットスピーカー
JP2004260346A (ja) 2003-02-24 2004-09-16 Alps Electric Co Ltd 電気音響変換装置
US7382890B2 (en) * 2003-07-31 2008-06-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ound reproduction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JP2005244804A (ja) * 2004-02-27 2005-09-08 Tdk Corp 振動板及びスピーカ
KR100609914B1 (ko) * 2004-10-22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음향 출력장치과 영상/음향 출력장치
TW200706049A (en) * 2005-05-12 2007-02-01 Kenwood Corp Screen speaker system
JP2006339996A (ja) 2005-06-01 2006-12-14 Kenwood Corp スクリーンスピーカシステ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00223A (ja) * 2007-10-16 2009-05-07 Kenwood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スピーカ
JP5060443B2 (ja) * 2008-09-25 2012-10-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パネル状スピーカー
JP2011123696A (ja) * 2009-12-11 2011-06-23 Jvc Kenwood Holdings Inc スピーカ装置
EP3863265A1 (en) * 2011-03-21 2021-08-11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US8934228B2 (en) * 2011-03-21 2015-01-13 Apple Inc. Display-based speaker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JP2012198407A (ja) 2011-03-22 2012-10-18 Panasonic Corp パネルスピーカ
JP2014127767A (ja) * 2012-12-25 2014-07-07 Kyocera Corp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204384B1 (ko) * 2013-09-16 2021-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09145B1 (ko) * 2014-08-18 2021-0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5491474A (zh) * 2014-10-07 2016-04-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具有该显示装置的电子装置
CN104811873B (zh) * 2014-12-23 2019-02-15 北京太和开元科技有限公司 发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1194A (ja) * 1999-08-23 2001-03-06 Authentic Ltd パネル型スピーカ
JP2006319626A (ja) * 2005-05-12 2006-11-24 Kenwood Corp スクリーンスピーカシステム
JP2007267302A (ja) * 2006-03-30 2007-10-11 Nec Access Technica Ltd ディスプレイ用スピーカの構造およびそのスピーカを用いた音源画像一致型ディスプレイ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5693A4 (en) * 2018-01-25 2021-09-15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US11212619B2 (en) 2018-01-25 2021-12-28 Lg Electronics Inc. Electric device having sound output module
US11979700B2 (en) 2018-06-28 2024-05-07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KR102548686B1 (ko) * 2018-06-28 2023-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633372B1 (ko) * 2018-06-28 2024-02-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30104092A (ko) * 2018-06-28 2023-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00001876A (ko) * 2018-06-28 2020-0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765492B2 (en) 2018-06-28 2023-09-19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KR20200045805A (ko) * 2018-10-23 2020-05-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40217B1 (ko) * 2018-10-23 2023-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120713B2 (en) 2018-11-02 2021-09-14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KR102080213B1 (ko) * 2018-11-02 2020-04-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922830B2 (en) 2018-11-02 2024-03-05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KR20200061195A (ko) * 2018-11-23 2020-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차량용 장치
KR102663292B1 (ko) 2018-11-23 2024-05-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차량용 장치
KR20200067667A (ko) * 2018-12-04 2020-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60928B1 (ko) 2018-12-04 2024-04-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843711B2 (en) 2018-12-04 2023-12-12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KR20200114910A (ko) * 2019-03-29 2020-10-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62671B1 (ko) 2019-03-29 2024-04-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924609B2 (en) 2019-03-29 2024-03-05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561756B2 (en) 2019-05-28 2023-01-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sound generator and vibration damping member
US11954399B2 (en) 2019-05-28 2024-04-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sound generator and vibration damping member
KR20210008141A (ko) * 2020-02-11 2021-0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22063B1 (ko) * 2020-02-11 2022-07-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528544B2 (en) 2020-08-06 2022-12-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2135227A (zh) * 2020-09-30 2020-12-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发声控制方法及发声控制装置
WO2022097961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05087B1 (ko) * 2021-01-15 2023-02-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20103682A (ko) * 2021-01-15 2022-07-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1251B1 (en) 2021-09-29
EP3941087A1 (en) 2022-01-19
JP6845288B2 (ja) 2021-03-17
CN111526464A (zh) 2020-08-11
JP2021083119A (ja) 2021-05-27
CN108124224B (zh) 2020-06-23
CN207150818U (zh) 2018-03-27
CN111526465A (zh) 2020-08-11
EP3941087B1 (en) 2024-06-19
JP6577529B2 (ja) 2019-09-18
JP2019198127A (ja) 2019-11-14
EP3331251A1 (en) 2018-06-06
JP2018093468A (ja) 2018-06-14
CN111526465B (zh) 2021-08-13
CN111526464B (zh) 2021-09-14
TWI655476B (zh) 2019-04-01
CN108124224A (zh) 2018-06-05
JP7304908B2 (ja) 2023-07-07
TW201821869A (zh) 2018-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102B1 (ko)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KR101817103B1 (ko)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JP6786661B2 (ja) パネル振動型音響発生表示装置
KR102356794B1 (ko) 표시장치
KR102559531B1 (ko) 표시장치
KR20180131248A (ko) 표시 장치
KR20190078177A (ko) 표시장치
KR20230084440A (ko) 표시장치
KR20190078188A (ko) 표시장치
KR20200082965A (ko) 음향발생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차량용 장치
KR102514184B1 (ko) 표시장치
KR20210085207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