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671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671B1
KR102662671B1 KR1020190037500A KR20190037500A KR102662671B1 KR 102662671 B1 KR102662671 B1 KR 102662671B1 KR 1020190037500 A KR1020190037500 A KR 1020190037500A KR 20190037500 A KR20190037500 A KR 20190037500A KR 102662671 B1 KR102662671 B1 KR 102662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parts
modules
vibr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4910A (ko
Inventor
김치완
유경열
고유선
장용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7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671B1/ko
Priority to US16/447,304 priority patent/US11166108B2/en
Priority to TW112130782A priority patent/TW202347117A/zh
Priority to TW111140718A priority patent/TWI815712B/zh
Priority to TW110108944A priority patent/TWI785531B/zh
Priority to TW108121790A priority patent/TWI725455B/zh
Priority to JP2019130579A priority patent/JP7023895B2/ja
Priority to GB2302416.9A priority patent/GB2617897B/en
Priority to GB2309866.8A priority patent/GB2619169B/en
Priority to GB1910098.1A priority patent/GB2582674B/en
Priority to GB2103533.2A priority patent/GB2595340B/en
Priority to DE102019119519.5A priority patent/DE102019119519A1/de
Priority to CN202210783684.1A priority patent/CN115171574A/zh
Priority to CN202210783676.7A priority patent/CN115171573A/zh
Priority to CN201911325270.9A priority patent/CN111754858B/zh
Priority to CN202210783165.5A priority patent/CN115148130B/zh
Priority to CN202210783721.9A priority patent/CN115171575A/zh
Publication of KR20200114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910A/ko
Priority to US17/463,546 priority patent/US11770656B2/en
Priority to JP2022019010A priority patent/JP2022065058A/ja
Priority to US18/234,203 priority patent/US2023038871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5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having a stacked or multilayer struct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2Composite materials, e.g. having 1-3 or 2-2 type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3Ceramic composi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7Macromolecular compos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7Loudspeakers using bending wave resonance and pistonic motion to generate s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압전 특성을 갖는 복수의 제1 부분, 및 복수의 제1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복수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모듈을 구비한 진동 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모두 동일하거나, 일부 상이하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저음 재생 대역을 개선하고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출원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텔레비전,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폰, 테블릿 컴퓨터, 전자 패드, 웨어러블 기기, 워치 폰, 휴대용 정보 기기, 네비게이션, 또는 차량 제어 표시 기기 등의 전자 제품 또는 가전 제품에 탑재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영상과 관련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표시 장치는 음향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표시 장치의 후방 또는 하방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벽 또는 지면에서 반사되는 음향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음질이 떨어지고, 이로 인하여 정확한 음향 전달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장치는 마그네트와 코일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그러나,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음향 장치가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표시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얇은 두께를 구현할 수 있는 압전 소자가 주목받고 있다.
압전 소자는 취성 특성으로, 외부 충격으로 인해 파손이 쉽게 발생하고, 이로 인해 음향 재생의 신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은 진동 모듈의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을 동일하게 배치하거나 일부 상이하게 배치함으로써, 재생 주파수 대역을 확장하고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그리고, 본 출원은 진동 모듈의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압전 물질의 배열방향과 진동판으로 작용하는 표시 패널의 구조에 따라 달라지는 압전 특성을 이용하여, 최저 재생 주파수를 감소시켜 저음역대의 음압을 개선하고 재생 주파수 대역을 확장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그리고, 본 출원은 복수의 진동 모듈 중 일부의 진동 모듈과 표시 패널 사이에 플레이트를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진동 모듈 각각의 공진 주파수를 달리하여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압전 특성을 갖는 복수의 제1 부분, 및 복수의 제1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복수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모듈을 구비한 진동 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모두 동일하거나, 일부 상이하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진동 모듈을 포함한다. 복수의 진동 모듈 각각은 복수의 서브 모듈을 갖는 압전 복합층을 포함하고,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은 압전 특성을 갖는 복수의 제1 부분, 및 복수의 제1 부분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부분을 포함한다. 그리고, 그리고,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모두 동일하거나, 일부 상이하다.
기타 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진동 모듈의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을 동일하게 배치하거나 일부 상이하게 배치함으로써, 재생 주파수 대역을 확장하고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진동 모듈의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압전 물질의 배열방향과 진동판으로 작용하는 표시 패널의 구조에 따라 달라지는 압전 특성을 이용하여, 최저 재생 주파수를 감소시켜 저음역대의 음압을 개선하고 재생 주파수 대역을 확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진동 모듈 중 일부의 진동 모듈과 표시 패널 사이에 플레이트를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진동 모듈 각각의 공진 주파수를 달리하여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진동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진동 모듈의 압전 복합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진동 모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진동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진동 모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진동 모듈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진동 모듈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진동 모듈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진동 모듈이 부착된 진동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진동 모듈이 부착된 진동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진동판의 음압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도 6에 도시된 진동 모듈이 부착된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표시 장치에서, 진동 모듈이 추가로 부착된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음압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진동 모듈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진동 모듈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진동 모듈의 제8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진동 모듈의 제9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진동 모듈의 제10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18에 도시된 진동 모듈의 플레이트의 구성에 따른 음압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4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진동 모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진동 모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음압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7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진동 모듈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8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진동 모듈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9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진동 모듈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0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진동 모듈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1은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음압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2는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음압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3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진동 모듈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4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진동 모듈의 제8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5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진동 모듈의 제9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6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진동 모듈의 제10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7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진동 모듈의 제11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8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진동 모듈의 제12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예를 들면,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는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는 연관된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제2, 및 제3 구성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제1, 제2, 및 제3 구성요소의 두 개 이상의 모든 구성요소의 조합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 또는 유기 발광 표시 모듈(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Module; OLED Modu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에서 "표시 장치"는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Complete Product 또는 Final Product)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자동차용 장치(Automotive Apparatus) 또는 차량(Vehicle)의 다른 형태 등을 포함하는 전장 장치(Equipment Apparatus),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 등의 모바일 전자 장치(Mobile Electronic Apparatus)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Set Electronic Apparatus) 또는 세트 장치(Set Device 또는 Set Apparatus)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사용되는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패널, 유기 전계 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 패널, 및 전계 발광 표시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의 모든 형태의 표시 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예의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하여 진동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특정한 표시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표시 패널은 표시 패널의 형태나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이 액정 표시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 필터 및/또는 블랙 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 기판과, 어레이 기판 및 상부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이 유기 전계 발광(OLED) 표시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픽셀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어레이 기판 상의 유기 발광 소자(OLED)층, 및 유기 발광 소자층을 덮도록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봉지 기판 또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기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유기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층은 무기발광층(In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예를 들어 나노사이즈의 물질층(Nano-sized Material Layer) 또는 양자점(Quantum Do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의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스케일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제와 다른 스케일을 가지므로, 도면에 도시된 스케일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진동 모듈(200), 구조물(300), 고정 부재(400), 및 파티션(50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듈(200)의 구동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SW)을 전방(FD)으로 직접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듈(200)의 구동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SW)을 전방(FD)으로 직접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00)은 음향(SW)을 직접 발생시키는 진동판 또는 스피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이 음향(SW)을 출력할 때, 표시 패널(100)은 음향(SW)을 직접 발생시키는 진동판, 패널 스피커, 또는 평면 스피커일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00)은 영상의 표시와 음향(SW)의 발생을 겸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액정 표시 패널,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및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등과 같은 모든 형태의 표시 패널 또는 곡면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에 따른 표시 패널(100)은 진동 모듈(200)에 의해 진동됨으로써 음파(또는 음향)를 출력하거나 터치에 응답하는 햅틱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으며, 특정한 표시 패널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100)은 표시 패널(100)은 기판(또는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된 픽셀 회로, 및 픽셀 회로에 연결되고 애노드 전극, 캐소드 전극, 및 발광층을 갖는 픽셀 어레이층(또는 표시부)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픽셀 어레이층의 구조에 따라 탑 에미션(Top Emission) 방식, 바텀 에미션(Bottom Emission) 방식, 또는 듀얼 에미션(Dual Emission) 방식 등의 형태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애노드 전극은 제1 전극 또는 픽셀 전극 등으로 표현될 수도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캐소드 전극은 제2 전극 또는 공통 전극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탑 에미션 방식은 픽셀 어레이층에서 발생된 광을 표시 패널(100)의 기판의 전방(FD)(또는 표시 장치의 전방)으로 방출시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바텀 에미션 방식은 픽셀 어레이층에서 발생된 광을 기판의 후방(또는 표시 장치의 전방)을 통해 외부로 방출시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0)는 투명 점착 부재를 매개로 표시 패널(100) 상에 부착되는 기능성 필름(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투명 점착 부재는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OCA(Optical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 Clear Resi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르면, 기능성 필름은 외부 광의 반사를 방지하여 표시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야외 시인성과 명암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반사 방지층(또는 반사 방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방지층은 외부 광이 표시 패널(100)의 픽셀 어레이층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또는 라인들 등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 광이 외부로 진행하는 것을 차단하는 원편광층(또는 원편광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기능성 필름은 표시 패널(100)의 픽셀 어레이층으로부터 외부 쪽으로 출광되는 광의 경로를 제어하는 광 경로 제어층(또는 광 경로 제어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 경로 제어층은 고굴절층과 저굴절층이 교번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픽셀 어레이층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시야각에 따른 컬러 시프트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 때, 저굴절층은 광 경로 제어층의 최상층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 모듈(200)은 표시 패널(100)의 후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모듈(200)은 압전 특성을 가지면서 상대적으로 높은 유연성(Flexibility)을 갖는 박막의 필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듈(200)은 표시 패널(100)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으므로, 진동 모듈(200)에 의해 표시 패널(100)의 두께가 과도하게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진동 모듈(200)은 표시 패널(100)을 진동판으로 사용하는 음향 발생 모듈, 음향 발생 장치, 필름 액츄에이터, 필름형 압전 복합체 액츄에이터, 필름 스피커, 필름형 압전 스피커, 또는 필름형 압전 복합체 스피커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동 모듈(200)은 다양한 주파수를 갖는 음향 신호에 의해 진동하여 고유 주파수(또는 고유 진동수)를 갖는 표시 패널(1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듈(200)은 표시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과 동기되는 음향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표시 패널(100)을 진동시킬 수 있으며, 표시 패널(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은 입력 신호의 주파수와 표시 장치(10)의 고유 주파수가 일치할수록 음압 특성(Sound Pressure Level Characteristic; SPL Characteristic)이 증가되고 재생 음역 대역이 확장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진동 모듈(200)은 표시 패널(100)에 배치된 터치 패널에 대한 사용자 터치에 동기되는 햅틱 피드백 신호(또는 촉각 피드백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표시 패널(1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0)은 진동 모듈(20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 및 햅틱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또는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진동 모듈(200)은 복수의 제1 부분(201) 및 복수의 제2 부분(20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부분(201) 각각은 무기 물질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무기 물질부는 전기 활성 물질(Electro Active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활성 물질은 외력에 의해 결정 구조에 압력 또는 비틀림 현상이 작용하면서 양(+) 이온과 음(-) 이온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에 따른 유전 분극에 의해 전위차가 발생되고, 반대로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전계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는 특성을 갖는다.
복수의 제2 부분(202) 각각은 복수의 제1 부분(20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부분(201) 및 복수의 제2 부분(202) 각각은 동일 평면(또는 동일층)에서 나란하게 배치(또는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부분(202) 각각은 인접한 2개의 제1 부분들(201) 사이의 갭을 채우도록 구성됨으로써, 인접한 제1 부분들(201)과 연결되거나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모듈(200)은 제2 부분(202)에 의해 제1 부분(201)의 단위 격자 내의 링크에 의한 진동 에너지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압전 특성과 플렉서빌리티(Flexibility)가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모듈(200)은 제1 방향(X)을 따라 제1 부분(201)과 제2 부분(202)이 동일 평면 상에서 교대로 배치됨으로써 단일층 구조를 갖는 대면적 복합체 필름(또는 유무기 복합체 필름)을 구성할 수 있으며, 대면적 복합체 필름은 복수의 제2 부분(202)에 의해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2 부분(202) 각각은 유기 물질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부분(201)인 무기 물질부 사이를 채울 수 있다. 유기 물질부는 무기 물질부 사이마다 배치됨으로써 무기 물질부(또는 제1 부분)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무기 물질부에 집중되는 스트레스를 완화(Releasing)시킴으로써 진동 모듈(200)의 전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진동 모듈(200)에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부분(201)은 유기 물질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의 제2 부분(202)은 무기 물질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진동 모듈(200)은 무기 물질부(제1 부분) 및 유기 물질부(제2 부분)가 동일층에 배치됨으로써 무기 물질부로 전달되는 충격이 유기 물질부에 의해 흡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외부에서 표시 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무기 물질부의 파손 및 파손에 의한 진동 성능 저하(또는 음향 성능 저하)가 최소화되거나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진동 모듈(200)은 진동 모듈(200)은 압전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압전 세라믹과, 압전 세라믹의 내충격성을 보완하고 유연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압전 세라믹 내에 배치되는 고분자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모듈(200)은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결정 구조를 갖는 압전 세라믹을 포함함으로써 외부에서 인가된 음향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또는 기계적 변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듈(200)은 무기 물질부(제1 부분)에 교류 전압이 인가되면, 무기 물질부가 역압전 효과에 의해 수축과 팽창을 교번적으로 반복함에 따라 휨 방향이 교대로 바뀌는 휨 현상에 의해 진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진동을 통해 표시 패널(100)을 진동시킴으로써 음향 또는 햅틱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 모듈(200)은 접착 부재(150)(또는 모듈 접착 부재)를 매개로 표시 패널(100)의 일면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 부재(150)는 표시 패널(100)의 후면과 진동 모듈(2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150)는 표시 패널(100)의 후면과 진동 모듈(200) 각각과 밀착력 및 접착력이 우수한 접착층을 포함하는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일 수 있다. 그리고, 접착 부재(150)의 접착층은 에폭시(Epoxy), 아크릴(Acryl), 실리콘(Silicon), 또는 우레탄(Urethane)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부재(150)의 접착층은 점착 부여제, 왁스 성분, 또는 산화 방지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는 진동 모듈(200)의 진동에 의해 표시 패널(100)로부터 접착 부재(150)가 떨어지는 것(또는 박리)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점착 부여제는 로진 유도체 등이 될 수 있고, 왁스 성분은 파라핀 왁스(Paraffin Wax) 등이 될 수 있으며, 산화 방지제는 티오에스터(Thiolester) 등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150)는 표시 패널(100)과 진동 모듈(200) 사이에 마련된 중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부재(150)의 중공부는 표시 패널(100)과 진동 모듈(200) 사이에 에어 갭을 마련할 수 있다. 에어 갭은 진동 모듈(200)의 진동에 따른 음파(또는 음압)를 표시 패널(100)에 집중시킴으로써 접착 부재(150)에 의한 진동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표시 패널(10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의 음압 특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조물(300)은 제1 커버부(310), 제2 커버부(330), 및 제3 커버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부(310)는 갭 공간(GS)을 사이에 두고 표시 패널(100)의 제1 면 전체(예를 들어, 후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부(310)는 지지 부재, 하우징, 시스템 커버, 세트 커버, 백 커버, 커버 버텀, 후면 프레임, 또는 샤시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의 후면은 일면, 제1 면, 배면, 또는 하면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커버부(330)는 제1 커버부(310)의 끝단에 연결되고 표시 패널(100)의 제2 면 전체(예를 들어, 측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 커버부(330)는 제1 커버부(310)와 결합되는 별도의 미들 프레임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미들 프레임으로 구현된 제2 커버부(330)는 제1 커버부(310)의 측면과 표시 패널(100)의 측면 모두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들 프레임으로 구현된 제2 커버부(330)는 제1 커버부(3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커버부(350)는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을 덮을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3 커버부(350)는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AA)과 중첩되는 개구부를 갖는 액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커버부(350)는 제1 커버부(310) 또는 미들 프레임과 결합되어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을 덮음으로써 표시 패널(100)을 지지하거나 고정할 수 있다. 제3 커버부(350)는 표시 패널(100)의 전면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사용자(또는 시청자)에게 직접적으로 노출되므로, 표시 장치의 디자인적인 외관 미감을 저하시키며, 표시 장치의 베젤 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고정 부재(400)를 통해 표시 패널(100)을 제1 커버부(310)에 결합시키고, 이를 통해 제3 커버부(350)을 생략(또는 제거)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베젤 폭을 감소시키고 표시 장치의 디자인적인 외관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구조물(300)은 제1 커버부(310), 제2 커버부(330), 및 제3 커버부(350)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400)는 제1 커버부(310)와 제2 커버부(330)를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400)는 표시 패널(100)의 후면 가장자리와 제1 커버부(310)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과 제1 커버부(310)를 접착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400)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d Tape), 단면 테이프(Single-sided Tape), 또는 양면 접착 폼 패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티션(500)은 표시 패널(100)과 제1 커버부(310) 사이에 개재되어, 진동 모듈(200)을 이격되게 둘러쌀 수 있다. 파티션(500)은 진동 모듈(200)에 의해 발생되어 표시 패널(100)과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음향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티션(500)은 진동 모듈(20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표시 패널(100)에 집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티션(500)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또는 폴리올레핀(Polyolefin)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를 들어, 파티션(500)은 일면 테이프 또는 양면 테이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진동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진동 모듈의 압전 복합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진동 모듈(200)은 플렉서빌리티(Flexibility)를 가짐으로써 음향 신호에 의해 휘어져 진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듈(200)은 표시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과 동기되는 음향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표시 패널(1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진동 모듈(200)은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되거나 표시 패널(100)에 내장된 터치 패널(또는 터치 센서층)에 대한 사용자 터치에 동기되는 햅틱 피드백 신호(또는 촉각 피드백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표시 패널(1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0)은 진동 모듈(20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 및 햅틱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또는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진동 모듈(200)은 압전 복합층(PCL), 제1 전극층(203), 및 제2 전극층(204)을 포함할 수 있다.
압전 복합층(PCL)은 복수의 제1 부분(201)과 복수의 제2 부분(20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부분(201) 각각은 소정의 제1 길이(d1)를 갖는 라인 패턴(Line Pattern)일 수 있으며, 제1 방향(X)을 따라 소정의 제2 길이(d2)(또는 간격)을 가지도록 서로 이격되고,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부분(201) 각각의 제1 길이(d1)와 복수의 제2 부분(202) 각각의 제2 길이(d2)는 압전 복합층(PCL)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부분(202) 각각의 제2 길이(d2)는 압전 복합층(PCL)의 중앙부로부터 압전 복합층(PCL)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부분(201) 각각의 제1 길이(d1)가 증가할수록 압전 복합층(PCL) 내의 복수의 제1 부분(201)의 비중이 증가할 수 있고, 복수의 제2 부분(202) 각각의 제2 길이(d2)가 증가할수록 압전 복합층(PCL) 내의 복수의 제1 부분(201)의 비중이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1 부분(201) 각각의 제1 길이(d1)가 증가할수록 진동 모듈(200)의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고, 복수의 제2 부분(202) 각각의 제2 길이(d2)가 증가할수록 진동 모듈(200)의 플렉서빌리티가 향상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부분(201) 각각은 제조 공정에서 발생되는 공정 오차(또는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모두 동일한 크기, 예를 들어 넓이, 면적, 또는 부피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부분(201) 각각은 서로 다른 크기, 예를 들어, 넓이, 면적, 또는 부피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부분(201) 각각은 전계에 의한 압전 효과(Piezoelectric Effect)(또는 압전 특성)에 의해 진동하는 무기 물질 또는 압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부분(201) 각각은 전기 활성부, 무기 물질부, 압전 물질부, 또는 진동부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부분(201) 각각은 전기 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활성 물질은 외력에 의해 결정 구조에 압력 또는 비틀림 현상이 작용하면서 양(+) 이온과 음(-) 이온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에 따른 유전 분극에 의해 전위차가 발생되고, 반대로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전계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는 특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부분(201) 각각에 구성되는 무기 물질부는 납(Pb), 지르코늄(Zr), 티탄(Ti) 아연(Zn), 니켈(Ni), 및 니오븀(Nb)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부분(201) 각각에 구성되는 무기 물질부는 납(Pb), 지르코늄(Zr), 및 티타늄(Ti)를 포함하는 PZT(lead zirconate titanate)계 물질, 또는 납(Pb), 아연(Zn), 니켈(Ni), 및 니오븀(Nb)를 포함하는 PZNN(lead zirconate nickel niobate)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무기 물질부는 납(Pb)을 포함하지 않는 CaTiO3, BaTiO3, 및 SrTiO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제2 부분(202) 각각은 복수의 제1 부분(20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부분(201)과 복수의 제2 부분(202) 각각은 동일 평면(또는 동일층)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부분(202) 각각은 인접한 2개의 제1 부분(201)들 사이의 갭을 채우도록 구성됨으로써 인접한 제1 부분(201)과 연결되거나 접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부분(202) 각각은 소정의 제2 길이(d2)을 갖는 라인 패턴일 수 있으며, 제1 부분(201)을 사이에 두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2 부분(202) 각각은 제조 공정에서 발생되는 공정 오차(또는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모두 동일한 크기, 예를 들어 넓이, 면적, 또는 부피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2 부분(202) 각각은 서로 다른 크기, 예를 들어, 넓이, 면적, 또는 부피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10)의 진동 모듈(200)은 무기 물질부(제1 부분) 및 유기 물질부(제2 부분)가 동일층에 배치됨으로써, 표시 장치에 대한 외부 충격을 유기 물질부를 통해 흡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무기 물질부의 파손 및 파손에 의한 진동 성능 저하(또는 음향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제2 부분(202)은 제1 부분(201)과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201)과 제2 부분(202) 각각의 크기는 진동 모듈(200)의 진동 특성 및/또는 유연성 등의 요구 조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부분(202) 각각에 구성되는 유기 물질부는 제1 부분(201)인 무기 물질부와 비교하여 유연한 특성을 갖는 유기 물질 또는 유기 폴리머(Polymer)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부분(202) 각각은 유기 물질, 유기 폴리머, 유기 압전 물질, 또는 유기 비압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부분(202) 각각은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접착부, 신축부, 벤딩부, 댐핑부, 또는 연성부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물질부는 무기 물질부 사이마다 배치됨으로써 무기 물질부(또는 제1 부분)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무기 물질부에 집중되는 스트레스를 완화시킴으로써 진동 모듈(200)의 전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진동 모듈(200)에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전 복합층(PCL)은 무기 물질로 이루어져 압전 특성을 갖는 제1 부분(201)과 유기 물질로 이루어져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제2 부분(202)이 교번적으로 반복하여 연결됨으로써 얇은 필름 형태를 가지며,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100)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거나 표시 패널(100)이 설정된 진동 특성 또는 음향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또한, 본 출원에 따른 진동 모듈(200)은 유기 물질부와 무기 물질부의 패턴 형상으로 구현됨으로써, 진동 모듈(200)의 면적(또는 크기)이 무한적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표시 패널(100)에 대한 진동 모듈(200)의 패널 커버리지가 증가함으로써 표시 패널(100)의 진동에 따른 음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모듈(200)의 슬림화가 가능하므로, 구동 전압의 상승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진동 모듈(200)은 무기 물질부 및 유기 물질부를 포함하여 얇은 필름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부품 및/또는 기구물에 간섭되지 않고 표시 장치에 일체화 또는 장착될 수 있다.
압전 복합층(PCL)은 일정한 온도 분위기에서 제1 전극층(203)과 제2 전극층(204)에 인가되는 일정한 전압에 의해 분극화될 수 있다.
제1 전극층(203)은 압전 복합층(PCL)의 제1 면(또는 전면)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부분(201) 각각의 제1 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전극층(203)은 투명 도전성 물질, 반투명 도전성 물질, 또는 불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또는 반투명 도전성 물질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불투명 도전성 물질은 알루미늄(Al), 구리(Cu), 금(Au), 은(Ag), 몰리브덴(Mo), 또는 마그네슘(Mg) 등을 포함하거나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전극층(204)은 압전 복합층(PCL)의 제1 면과 반대되는 제2 면(또는 후면)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1 부분(201) 각각의 제2 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 전극층(204)은 투명 도전성 물질, 반투명 도전성 물질, 또는 불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층(204)은 제1 전극층(203)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진동 모듈(200)은 제1 보호 필름(205) 및 제2 보호 필름(2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 필름(205)은 제1 전극층(203) 상에 배치되고 압전 복합층(PCL)의 제1 면 또는 제1 전극층(203)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호 필름(205)은 PI(polyimide) 필름 또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필름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보호 필름(206)은 제2 전극층(204) 상에 배치되고 압전 복합층(PCL)의 제2 면 또는 제2 전극층(204)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보호 필름(206)은 PI(polyimide) 필름 또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필름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진동 모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진동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듈(200)은 압전 복합층(PCL), 제1 전극층(203), 및 제2 전극층(204)을 포함할 수 있다.
압전 복합층(PCL)은 복수의 서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은 압전 특성을 갖는 복수의 제1 부분, 및 복수의 제1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복수의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층(203)은 복수의 서브 모듈의 제1 면(또는 전면) 상에 배치되어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의 제1 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층(203)은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에 음향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전극층(203)은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제1 전극층 각각은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에 음향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제2 전극층(204)은 복수의 서브 모듈의 제1 면과 반대되는 제2 면(또는 후면) 상에 배치되어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의 제2 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층(204)은 일체로 형성된 공통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압전 복합층(PCL)은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모듈(210)은 압전 복합층(PCL)의 좌측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브 모듈(210)은 압전 특성을 갖는 복수의 제1 부분(211), 및 복수의 제1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복수의 제2 부분(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서브 모듈(210)의 복수의 제1 부분(211)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브 모듈(210)의 복수의 제2 부분(212)은 복수의 제1 부분(211)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제1 부분(21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서브 모듈(210)의 복수의 제2 부분(212)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서브 모듈(220)은 압전 복합층(PCL)의 우측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브 모듈(220)은 압전 특성을 갖는 복수의 제1 부분(221), 및 복수의 제1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복수의 제2 부분(2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 서브 모듈(220)의 복수의 제1 부분(221)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서브 모듈(220)의 복수의 제1 부분(221)의 배열 방향은 제1 서브 모듈(210)의 복수의 제1 부분(211)의 배열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제3 서브 모듈(230)은 압전 복합층(PCL)의 좌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서브 모듈(230)은 압전 특성을 갖는 복수의 제1 부분(231), 및 복수의 제1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복수의 제2 부분(23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3 서브 모듈(230)의 복수의 제1 부분(231)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서브 모듈(230)의 복수의 제1 부분(231)의 배열 방향은 제1 및 제2 서브 모듈(210, 22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211, 221)의 배열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제4 서브 모듈(240)은 압전 복합층(PCL)의 우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서브 모듈(240)은 압전 특성을 갖는 복수의 제1 부분(241), 및 복수의 제1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복수의 제2 부분(24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4 서브 모듈(240)의 복수의 제1 부분(241)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서브 모듈(240)의 복수의 제1 부분(241)의 배열 방향은 제1 내지 제3 서브 모듈(210, 220, 23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의 배열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 각각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을 포함함으로써 동일한 압전 특성을 가질 수 있고, 다른 서브 모듈에서 발생된 진동을 보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에 따른 진동 모듈(200)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100)의 진동 영역을 증가시키고 입체 음향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진동 모듈(200)의 제1 방향(X) 또는 제2 방향(Y)으로 복수의 서브 모듈을 추가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대형 표시 장치의 경우 대형(또는 대면적)의 진동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진동 모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듈(200)은 압전 복합층(PCL)을 포함할 수 있고, 압전 복합층(PCL)은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모듈(210)은 압전 복합층(PCL)의 좌측 상단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서브 모듈(210)은 복수의 제1 부분(211), 및 복수의 제2 부분(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서브 모듈(210)의 복수의 제1 부분(211)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브 모듈(210)의 복수의 제2 부분(212)은 복수의 제1 부분(211)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제1 부분(21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서브 모듈(210)의 복수의 제2 부분(212)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서브 모듈(220)은 압전 복합층(PCL)의 우측 상단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서브 모듈(220)은 복수의 제1 부분(221), 및 복수의 제2 부분(2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 서브 모듈(220)의 복수의 제1 부분(221)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서브 모듈(220)의 복수의 제1 부분(221)의 배열 방향은 제1 서브 모듈(210)의 복수의 제1 부분(211)의 배열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제3 서브 모듈(230)은 압전 복합층(PCL)의 좌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서브 모듈(230)은 복수의 제1 부분(231), 및 복수의 제2 부분(23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3 서브 모듈(230)의 복수의 제1 부분(231)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서브 모듈(230)의 복수의 제1 부분(231)의 배열 방향은 제1 서브 모듈(210)의 복수의 제1 부분(211)의 배열 방향과 동일하며, 제2 서브 모듈(220)의 복수의 제1 부분(221)의 배열 방향과도 동일할 수 있다.
제4 서브 모듈(240)은 압전 복합층(PCL)의 우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고, 제4 서브 모듈(240)은 복수의 제1 부분(241), 및 복수의 제2 부분(24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4 서브 모듈(240)의 복수의 제1 부분(241)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서브 모듈(240)의 복수의 제1 부분(241)의 배열 방향은 제1 내지 제3 서브 모듈(210, 220, 23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의 배열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 각각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을 포함함으로써 동일한 압전 특성을 가질 수 있고, 다른 서브 모듈에서 발생된 진동을 보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에 따른 진동 모듈(200)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100)의 진동 영역을 증가시키고 입체 음향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진동 모듈(200)의 제1 방향(X) 또는 제2 방향(Y)으로 복수의 서브 모듈을 추가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대형 표시 장치의 경우 대형(또는 대면적)의 진동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진동 모듈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듈(200)은 압전 복합층(PCL)을 포함할 수 있고, 압전 복합층(PCL)은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모듈(210)은 압전 복합층(PCL)의 좌측 상단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서브 모듈(210)은 복수의 제1 부분(211), 및 복수의 제2 부분(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서브 모듈(210)의 복수의 제1 부분(211)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브 모듈(210)의 복수의 제2 부분(212)은 복수의 제1 부분(211)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제1 부분(21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서브 모듈(210)의 복수의 제2 부분(212)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서브 모듈(220)은 압전 복합층(PCL)의 우측 상단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서브 모듈(220)은 복수의 제1 부분(221), 및 복수의 제2 부분(2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 서브 모듈(220)의 복수의 제1 부분(221)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서브 모듈(220)의 복수의 제1 부분(221)의 배열 방향은 제1 서브 모듈(210)의 복수의 제1 부분(211)의 배열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제3 서브 모듈(230)은 압전 복합층(PCL)의 좌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서브 모듈(230)은 복수의 제1 부분(231), 및 복수의 제2 부분(23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3 서브 모듈(230)의 복수의 제1 부분(231)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서브 모듈(230)의 복수의 제1 부분(231)의 배열 방향은 제1 서브 모듈(210)의 복수의 제1 부분(211)의 배열 방향과 동일할 수 있고, 제2 서브 모듈(220)의 복수의 제1 부분(221)의 배열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제4 서브 모듈(240)은 압전 복합층(PCL)의 우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고, 제4 서브 모듈(240)은 복수의 제1 부분(241), 및 복수의 제2 부분(24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4 서브 모듈(240)의 복수의 제1 부분(241)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서브 모듈(240)의 복수의 제1 부분(241)의 배열 방향은 제2 서브 모듈(220)의 복수의 제1 부분(221)의 배열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서브 모듈(240)의 복수의 제1 부분(241)의 배열 방향은 제1 및 제3 서브 모듈(210, 23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211, 231)의 배열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부분(211, 231)이 제2 방향(Y)으로 배열된 제1 및 제3 서브 모듈(210, 230)과, 복수의 제1 부분(221, 241)이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제2 및 제4 서브 모듈(220, 240)은 압전 특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부분(211, 231)이 제2 방향(Y)으로 배열된 서브 모듈(210, 23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과 복수의 제1 부분(221, 241)이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서브 모듈(220, 24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은 서로 다른 고유 주파수(또는 고유 진동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1 부분(211, 231)이 제2 방향(Y)으로 배열된 서브 모듈(210, 23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과 복수의 제1 부분(221, 241)이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서브 모듈(220, 24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은 동일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특성을 갖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복수의 제1 부분(211, 231)이 제2 방향(Y)으로 배열된 서브 모듈(210, 23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과 복수의 제1 부분(221, 241)이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서브 모듈(220, 24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 각각의 음압은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피크 값(Peak Value)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을 포함함으로써, 음압의 주파수 특성을 상호 보완하여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진동 모듈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듈(200)은 압전 복합층(PCL)을 포함할 수 있고, 압전 복합층(PCL)은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모듈(210)은 압전 복합층(PCL)의 좌측 상단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서브 모듈(210)은 복수의 제1 부분(211), 및 복수의 제2 부분(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서브 모듈(210)의 복수의 제1 부분(211)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브 모듈(210)의 복수의 제2 부분(212)은 복수의 제1 부분(211)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제1 부분(21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서브 모듈(210)의 복수의 제2 부분(212)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서브 모듈(220)은 압전 복합층(PCL)의 우측 상단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서브 모듈(220)은 복수의 제1 부분(221), 및 복수의 제2 부분(2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 서브 모듈(220)의 복수의 제1 부분(221)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서브 모듈(220)의 복수의 제1 부분(221)의 배열 방향은 제1 서브 모듈(210)의 복수의 제1 부분(211)의 배열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제3 서브 모듈(230)은 압전 복합층(PCL)의 좌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서브 모듈(230)은 복수의 제1 부분(231), 및 복수의 제2 부분(23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3 서브 모듈(230)의 복수의 제1 부분(231)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서브 모듈(230)의 복수의 제1 부분(231)의 배열 방향은 제1 및 제2 서브 모듈(210, 22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211, 221)의 배열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제4 서브 모듈(240)은 압전 복합층(PCL)의 우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고, 제4 서브 모듈(240)은 복수의 제1 부분(241), 및 복수의 제2 부분(24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4 서브 모듈(240)의 복수의 제1 부분(241)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서브 모듈(240)의 복수의 제1 부분(241)의 배열 방향은 제3 서브 모듈(230)의 복수의 제1 부분(231)의 배열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서브 모듈(240)의 복수의 제1 부분(241)의 배열 방향은 제1 및 제2 서브 모듈(210, 22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211, 221)의 배열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부분(211, 221)이 제2 방향(Y)으로 배열된 제1 및 제2 서브 모듈(210, 220)과, 복수의 제1 부분(231, 241)이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제3 및 제4 서브 모듈(230, 240)은 압전 특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부분(211, 221)이 제2 방향(Y)으로 배열된 서브 모듈(210, 22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과 복수의 제1 부분(231, 241)이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서브 모듈(230, 24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은 서로 다른 고유 주파수(또는 고유 진동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1 부분(211, 221)이 제2 방향(Y)으로 배열된 서브 모듈(210, 22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과 복수의 제1 부분(231, 241)이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서브 모듈(230, 24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은 동일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특성을 갖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복수의 제1 부분(211, 221)이 제2 방향(Y)으로 배열된 서브 모듈(210, 22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과 복수의 제1 부분(231, 241)이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서브 모듈(230, 24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 각각의 음압은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피크 값(Peak Value)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을 포함함으로써, 음압의 주파수 특성을 상호 보완하여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진동 모듈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듈(200)은 압전 복합층(PCL)을 포함할 수 있고, 압전 복합층(PCL)은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모듈(210)은 압전 복합층(PCL)의 좌측 상단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서브 모듈(210)은 복수의 제1 부분(211), 및 복수의 제2 부분(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서브 모듈(210)의 복수의 제1 부분(211)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브 모듈(210)의 복수의 제2 부분(212)은 복수의 제1 부분(211)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제1 부분(21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서브 모듈(210)의 복수의 제2 부분(212)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서브 모듈(220)은 압전 복합층(PCL)의 우측 상단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서브 모듈(220)은 복수의 제1 부분(221), 및 복수의 제2 부분(2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2 서브 모듈(220)의 복수의 제1 부분(221)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서브 모듈(220)의 복수의 제1 부분(221)의 배열 방향은 제1 서브 모듈(210)의 복수의 제1 부분(211)의 배열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제3 서브 모듈(230)은 압전 복합층(PCL)의 좌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서브 모듈(230)은 복수의 제1 부분(231), 및 복수의 제2 부분(23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3 서브 모듈(230)의 복수의 제1 부분(231)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서브 모듈(230)의 복수의 제1 부분(231)의 배열 방향은 제1 서브 모듈(210)의 복수의 제1 부분(211)의 배열 방향과 상이할 수 있고, 제2 서브 모듈(220)의 복수의 제1 부분(221)의 배열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제4 서브 모듈(240)은 압전 복합층(PCL)의 우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고, 제4 서브 모듈(240)은 복수의 제1 부분(241), 및 복수의 제2 부분(24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4 서브 모듈(240)의 복수의 제1 부분(241)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서브 모듈(240)의 복수의 제1 부분(241)의 배열 방향은 제1 서브 모듈(210)의 복수의 제1 부분(211)의 배열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서브 모듈(240)의 복수의 제1 부분(241)의 배열 방향은 제2 및 제3 서브 모듈(220, 23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221, 231)의 배열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부분(211, 241)이 제2 방향(Y)으로 배열된 제1 및 제4 서브 모듈(210, 240)과, 복수의 제1 부분(221, 231)이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제2 및 제3 서브 모듈(220, 230)은 압전 특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부분(211, 241)이 제2 방향(Y)으로 배열된 서브 모듈(210, 24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과 복수의 제1 부분(221, 231)이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서브 모듈(220, 23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은 서로 다른 고유 주파수(또는 고유 진동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1 부분(211, 241)이 제2 방향(Y)으로 배열된 서브 모듈(210, 24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과 복수의 제1 부분(221, 231)이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서브 모듈(220, 23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은 동일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특성을 갖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복수의 제1 부분(211, 241)이 제2 방향(Y)으로 배열된 서브 모듈(210, 24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과 복수의 제1 부분(221, 231)이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서브 모듈(220, 23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 각각의 음압은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피크 값(Peak Value)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을 포함함으로써, 음압의 주파수 특성을 상호 보완하여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진동 모듈이 부착된 진동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진동판(20a)은 진동 모듈(200)의 진동을 전달받아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진동판(20a)은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동 모듈(200)의 진동을 전달받아 일정 수준의 음압을 갖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강성과 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의 표시 패널(100)은 진동 모듈(200)의 진동을 전달받아 음향(SW)을 직접 발생시키는 진동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판(20a)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X)과 평행한 단변과, 제2 방향(Y)과 평행한 장변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모듈(200)은 제2 방향(Y)과 평행한 장변을 갖는 진동판(20a)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진동 모듈(200)은 압전 복합층(PCL)을 포함할 수 있고, 압전 복합층(PCL)은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의 배열 방향은 도 6에 도시된 진동 모듈(200)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은 진동판(20a)의 장변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진동 모듈이 부착된 진동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도 13의 진동판(20b) 자체의 구성은 도 12의 진동판(20a) 자체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모듈이 부착되지 않은 도 13의 진동판(20b)은 진동 모듈이 부착되지 않은 도 12의 진동판(20a)과 형상, 구조, 물질, 및 고유 주파수 등이 동일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진동판(20b)은 진동 모듈(200)의 진동을 전달받아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진동판(20b)은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동 모듈(200)의 진동을 전달받아 일정 수준의 음압을 출력할 수 있는 강성과 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의 표시 패널(100)은 진동 모듈(200)의 진동을 전달받아 음향(SW)을 직접 발생시키는 진동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진동판(20b)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X)과 평행한 단변과, 제2 방향(Y)과 평행한 장변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모듈(200)은 제2 방향(Y)과 평행한 장변을 갖는 진동판(20b)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진동 모듈(200)은 압전 복합층(PCL)을 포함할 수 있고, 압전 복합층(PCL)은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의 배열 방향은 도 8에 도시된 진동 모듈(200)의 제2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은 표시 패널(100)의 단변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3에 도시된 진동판(20b)은 도 8에 도시된 진동 모듈(200)이 부착됨으로써, 도 12에 도시된 진동판(20a)과 다른 고유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판의 음압 특성은 진동판의 구조적 특성과 진동 모듈(200)의 압전 물질의 배열 방향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진동판(20b)에서 출력되는 음압 특성은 도 12에 도시된 진동판(20a)에서 출력되는 음압 특성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 및 도 13 각각에 도시된 진동판(20a, 20b)은 진동 모듈(200)의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의 배열 방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이한 음압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음압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2에 도시된 진동판(20a)과 도 13에 도시된 진동판(20b)은 진동 모듈(200)의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의 배열 방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이한 음압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진동판(20a)은 진동판(20a)의 장변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이 부착될 수 있고, 도 13에 도시된 진동판(20b)은 진동판(20b)의 단변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k 내지 4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도 12에 도시된 진동판(20a)에서 출력된 음압(SPL)의 제1 피크(Peak1)의 주파수는 도 13에 도시된 진동판(20b)에서 출력된 음압(SPL)의 제2 피크(Peak2)의 주파수와 다를 수 있다.
그리고, 9k 내지 11kHzs의 주파수 대역에서, 도 12에 도시된 진동판(20a)에서 출력된 음압(SPL)의 제3 피크(Peak3)의 주파수는 도 13에 도시된 진동판(20b)에서 출력된 음압(SPL)의 제4 피크(Peak4)의 주파수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진동판(20a)과 도 13에 도시된 진동판(20b)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을 포함함으로써, 서로 다른 주파수 특성을 갖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5는 도 6에 도시된 진동 모듈이 부착된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a)는 진동 모듈(200)의 진동을 전달받아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장치(10a)는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 등의 모바일 전자 장치(Mobile Electronic Apparatus)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동 모듈(200)의 진동을 전달받아 일정 수준의 음압을 갖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세트 전자 장치(Set Electronic Apparatus) 또는 세트 장치(Set Device 또는 Set Apparatus)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a)는 진동 모듈(200)의 진동을 전달받아 음향(SW)을 직접 발생시키는 진동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0a)는 평면 상에서 제1 방향(X)과 평행한 단변과, 제2 방향(Y)과 평행한 장변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모듈(200)은 제2 방향(Y)과 평행한 장변을 갖는 표시 장치(10a)의 후면(예를 들어, 백 커버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진동 모듈(200)은 압전 복합층(PCL)을 포함할 수 있고, 압전 복합층(PCL)은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의 배열 방향은 도 6에 도시된 진동 모듈(200)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은 표시 장치(10a)의 장변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표시 장치에서, 진동 모듈이 추가로 부착된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도 16의 표시 장치(10a) 자체의 구성은 도 15의 표시 장치(10b) 자체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모듈이 부착되지 않은 도 15의 표시 장치(10a)는 진동 모듈이 부착되지 않은 도 16의 표시 장치(10b)와 형상, 구조, 물질, 및 고유 주파수 등이 동일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b)는 진동 모듈(200)의 진동을 전달받아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장치(10b)는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 등의 모바일 전자 장치(Mobile Electronic Apparatus)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동 모듈(200)의 진동을 전달받아 일정 수준의 음압을 갖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세트 전자 장치(Set Electronic Apparatus) 또는 세트 장치(Set Device 또는 Set Apparatus)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a)는 진동 모듈(200)의 진동을 전달받아 음향(SW)을 직접 발생시키는 진동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0b)는 평면 상에서 제1 방향(X)과 평행한 단변과, 제2 방향(Y)과 평행한 장변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모듈(200)은 제2 방향(Y)과 평행한 장변을 갖는 표시 장치(10b)의 후면(예를 들어, 백 커버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진동 모듈(200)은 압전 복합층(PCL)을 포함할 수 있고, 압전 복합층(PCL)은 제1 내지 제6 서브 모듈(210, 220, 230, 240, 250, 2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5 서브 모듈(250)은 제1 서브 모듈(210)의 제1 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6 서브 모듈(260)은 제2 서브 모듈(220)의 제1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5 서브 모듈(250)은 제3 서브 모듈(230)의 제2 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6 서브 모듈(260)은 제4 서브 모듈(220)의 제2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5 서브 모듈(250) 또는 제6 서브 모듈(260)은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 중 적어도 하나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그 위치가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의 배열 방향은 도 6에 도시된 진동 모듈(200)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은 표시 장치(10b)의 장변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5 및 제6 서브 모듈(250, 26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251, 261)의 배열 방향은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의 배열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5 및 제6 서브 모듈(250, 26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251, 261)은 표시 패널(100)의 단변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표시 장치(10b)는 도 15에 도시된 표시 장치(10a)에서 제5 및 제6 서브 모듈(250, 26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도 16에 도시된 표시 장치(10b)는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 251, 261)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제1 내지 제6 서브 모듈(210, 220, 230, 240, 250, 260)을 포함함으로써, 음압의 주파수 특성을 상호 보완하여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음압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6에 도시된 표시 장치(10b)는 도 15에 도시된 표시 장치(10a)에서 제5 및 제6 서브 모듈(250, 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이 동일 방향으로 배열된 표시 장치(10a)와 복수의 제1 부분 중 일부(211, 221, 231, 241)와 다른 일부(251, 261)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표시 장치(10b)는 서로 다른 고유 주파수(또는 고유 진동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5에 도시된 표시 장치(10a)와 도 16에 도시된 표시 장치(10b)는 동일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표시 장치(10a)는 1k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음압을 갖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나, 1k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음압을 갖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표시 장치(10b)는 1k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표시 장치(10a)에서 출력된 음향과 유사한 수준의 음압을 갖고, 1k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표시 장치(10a)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음압을 갖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도 14의 설명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b)의 장변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은 표시 장치(10b)의 단변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 부분(251, 261)과 서로 다른 주파수 특성을 갖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10b)의 장변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과 표시 장치(10b)의 단변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 부분(251, 261) 각각은 동일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특성을 갖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 251, 261)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서브 모듈(210, 220, 230, 240, 250, 260)을 포함함으로써, 음압의 주파수 특성을 상호 보완하여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8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진동 모듈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듈(200)은 압전 복합층(PCL)을 포함할 수 있고, 압전 복합층(PCL)은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의 배열 방향은 도 6에 도시된 진동 모듈(200)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6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20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200)에서 플레이트(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90)는 표시 패널(100)과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듈(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플레이트(290)는 접착 부재를 매개로 표시 패널(100)과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듈(200)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290)는 진동 모듈(200)의 진동을 표시 패널(100)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290)는 진동 모듈(200)의 질량(Mass)을 증가시켜 진동 모듈(20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의 공진 주파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진동 모듈(20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이 재생할 수 있는 최저 음역대(또는 최저 재생 주파수)를 감소시켜 저음 재생 대역의 음압을 개선하고, 재생 주파수 대역을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플레이트(290)를 구비한 진동 모듈(200)을 포함함으로써,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290)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eless Steel),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합금, 마그네슘(Mg) 리튬(Li) 합금, 알루미늄(Al) 합금,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100)의 진동 영역을 증가시키고 입체 음향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플레이트(290)를 포함함으로써 재생 주파수 대역을 확장하여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9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진동 모듈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듈(200)은 압전 복합층(PCL)을 포함할 수 있고, 압전 복합층(PCL)은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의 배열 방향은 도 8에 도시된 진동 모듈(200)의 제2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7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20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200)에서 플레이트(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90)는 표시 패널(100)과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듈(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290)는 진동 모듈(200)의 질량(Mass)을 증가시켜 진동 모듈(20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의 공진 주파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진동 모듈(20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이 재생할 수 있는 최저 음역대(또는 최저 재생 주파수)를 감소시켜 저음 재생 대역의 음압을 개선하고, 재생 주파수 대역을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플레이트(290)를 구비한 진동 모듈(200)을 포함함으로써,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100)의 진동 영역을 증가시키고 입체 음향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플레이트(290)를 포함함으로써 재생 주파수 대역을 확장하여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20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진동 모듈의 제8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듈(200)은 압전 복합층(PCL)을 포함할 수 있고, 압전 복합층(PCL)은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의 배열 방향은 도 9에 도시된 진동 모듈(200)의 제3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8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20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200)에서 플레이트(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90)는 표시 패널(100)과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듈(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290)는 진동 모듈(200)의 질량(Mass)을 증가시켜 진동 모듈(20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의 공진 주파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진동 모듈(20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이 재생할 수 있는 최저 음역대(또는 최저 재생 주파수)를 감소시켜 저음 재생 대역의 음압을 개선하고, 재생 주파수 대역을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플레이트(290)를 구비한 진동 모듈(200)을 포함함으로써,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을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서브 모듈(210, 220, 230, 240) 각각의 음압의 주파수 특성을 상호 보완하여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플레이트(290)를 더 포함함으로써, 최저 재생 주파수를 감소시키고 재생 주파수 대역을 확장하여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2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진동 모듈의 제9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듈(200)은 압전 복합층(PCL)을 포함할 수 있고, 압전 복합층(PCL)은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의 배열 방향은 도 10에 도시된 진동 모듈(200)의 제4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9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20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200)에서 플레이트(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90)는 표시 패널(100)과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듈(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290)는 진동 모듈(200)의 질량(Mass)을 증가시켜 진동 모듈(20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의 공진 주파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진동 모듈(20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이 재생할 수 있는 최저 음역대(또는 최저 재생 주파수)를 감소시켜 저음 재생 대역의 음압을 개선하고, 재생 주파수 대역을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플레이트(290)를 구비한 진동 모듈(200)을 포함함으로써,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을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서브 모듈(210, 220, 230, 240) 각각의 음압의 주파수 특성을 상호 보완하여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플레이트(290)를 더 포함함으로써, 최저 재생 주파수를 감소시키고 재생 주파수 대역을 확장하여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2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진동 모듈의 제10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듈(200)은 압전 복합층(PCL)을 포함할 수 있고, 압전 복합층(PCL)은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210, 220, 230, 24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의 배열 방향은 도 11에 도시된 진동 모듈(200)의 제5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0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200)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200)에서 플레이트(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90)는 표시 패널(100)과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듈(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290)는 진동 모듈(200)의 질량(Mass)을 증가시켜 진동 모듈(20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의 공진 주파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진동 모듈(20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이 재생할 수 있는 최저 음역대(또는 최저 재생 주파수)를 감소시켜 저음 재생 대역의 음압을 개선하고, 재생 주파수 대역을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플레이트(290)를 구비한 진동 모듈(200)을 포함함으로써,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211, 221, 231, 241)을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서브 모듈(210, 220, 230, 240) 각각의 음압의 주파수 특성을 상호 보완하여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플레이트(290)를 더 포함함으로써, 최저 재생 주파수를 감소시키고 재생 주파수 대역을 확장하여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23은 도 18에 도시된 진동 모듈의 플레이트의 구성에 따른 음압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플레이트(290)는 표시 패널(100)과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듈(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290)는 진동 모듈(200)의 질량(Mass)을 증가시켜 진동 모듈(20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의 공진 주파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진동 모듈(20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이 재생할 수 있는 최저 음역대(또는 최저 재생 주파수)를 감소시켜 저음 재생 대역의 음압을 개선하고, 재생 주파수 대역을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플레이트(290)를 구비한 진동 모듈(200)을 포함함으로써,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290a)는 제1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플레이트(290b)는 제1 두께의 2배인 제2 두께를 가질 수 있고,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290b)는 제1 플레이트(290a)보다 진동 모듈(200)의 질량을 더 증가시킬 수 있고, 진동 모듈(20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의 공진 주파수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진동 모듈(200)의 무게를 증가시킬수록 최저 재생 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재생 주파수 대역을 확장할 수 있다.
도 24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진동 모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제1 내지 제3 영역(A1, A2, A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은 좌측 영역이고, 제2 영역(A2)은 우측 영역이며, 제3 영역(A3)은 중앙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영역(A1, A2)은 표시 패널(100)의 중심부 또는 제3 영역(A3)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복수의 진동 모듈은 표시 패널(100)의 후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00)의 제1 및 제2 영역(A1, A2) 각각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복수의 진동 모듈은 제1 내지 제4 진동 모듈(600, 700, 800, 9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진동 모듈(600, 700, 800, 900) 각각은 복수의 서브 모듈을 갖는 압전 복합층(PCL),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진동 모듈(600)의 압전 복합층(PCL)은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610, 620, 630, 640)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610, 620, 630, 640) 각각은 압전 특성을 갖는 복수의 제1 부분(611, 621, 631, 641), 및 복수의 제1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복수의 제2 부분(612, 622, 632, 6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진동 모듈(700)의 압전 복합층(PCL)은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710, 720, 730, 740)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710, 720, 730, 740) 각각은 압전 특성을 갖는 복수의 제1 부분(711, 721, 731, 741), 및 복수의 제1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복수의 제2 부분(712, 722, 732, 7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진동 모듈(800)의 압전 복합층(PCL)은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810, 820, 830, 840)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810, 820, 830, 840) 각각은 압전 특성을 갖는 복수의 제1 부분(811, 821, 831, 841), 및 복수의 제1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복수의 제2 부분(812, 822, 832, 8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진동 모듈(900)의 압전 복합층(PCL)은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910, 920, 930, 940)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910, 920, 930, 940) 각각은 압전 특성을 갖는 복수의 제1 부분(911, 921, 931, 941), 및 복수의 제1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복수의 제2 부분(912, 922, 932, 9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은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중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은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을 진동시킴으로써,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을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음향(SW)을 발생시키거나 햅틱 피드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3 및 제4 진동 모듈(800, 900)은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A2)과 중첩될 수 있다. 제3 및 제4 진동 모듈(800, 900)은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A2)을 진동시킴으로써,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A2)을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음향(SW)을 발생시키거나 햅틱 피드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예 따르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후면의 좌측 영역에 배치된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과 표시 패널(100) 후면의 우측 영역에 배치된 제3 및 제4 진동 모듈(800, 900)을 포함함으로써, 좌우 음향 분리에 의한 2채널 형태의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은 좌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제3 및 제4 진동 모듈(800, 900)은 우측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과 제3 및 제4 진동 모듈(800, 900)은 표시 패널(1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진동 모듈(600)의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610, 620, 630, 64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611, 621, 631, 641)의 배열 방향은 제3 진동 모듈(800)의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810, 820, 830, 84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811, 821, 831, 841)의 배열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진동 모듈(700)의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710, 720, 730, 74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711, 721, 731, 741)의 배열 방향은 제4 진동 모듈(900)의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910, 920, 930, 940)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911, 921, 931, 941)의 배열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3 및 제4 진동 모듈(800, 90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 각각의 제1 서브 모듈(610, 710)은 압전 복합층(PCL)의 좌측 상단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서브 모듈(620, 720)은 압전 복합층(PCL)의 우측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 각각의 제3 서브 모듈(630, 730)은 압전 복합층(PCL)의 좌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고, 제4 서브 모듈(640, 740)은 압전 복합층(PCL)의 우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진동 모듈(600)은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중첩될 수 있고, 제2 진동 모듈(700)은 제1 진동 모듈(600)과 평면 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1 진동 모듈(600)의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610, 620, 630, 640)의 복수의 제1 부분(611, 621, 631, 641)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진동 모듈(700)의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710, 720, 730, 740)의 복수의 제1 부분(711, 721, 731, 741)의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611, 621, 631, 641, 711, 721, 731, 741)을 포함함으로써 동일한 압전 특성을 가질 수 있고, 다른 서브 모듈에서 발생된 진동을 보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에 따른 진동 모듈(200)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611, 621, 631, 641, 711, 721, 731, 741)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100)의 진동 영역을 증가시키고 입체 음향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진동 모듈(200)의 제1 방향(X) 또는 제2 방향(Y)으로 복수의 서브 모듈을 추가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대형 표시 장치의 경우 대형(또는 대면적)의 진동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예예 따르면, 표시 장치(10)는 복수의 진동 모듈을 둘러싸는 파티션(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션(500)은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을 둘러싸는 제1 파티션(510),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A2)을 둘러싸는 제2 파티션(520), 및 표시 패널(100)의 제3 영역(A3)을 둘러싸는 제3 파티션(5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티션(510)은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을 이격되게 둘러싸고, 제2 파티션(520)은 제3 및 제4 진동 모듈(800, 900)을 이격되게 둘러쌀 수 있다. 그리고, 제3 파티션(530)은 제1 및 제2 파티션(510, 5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파티션(510)은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에서 발생된 진동을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에 집중시키고, 제2 파티션(520)은 제3 및 제4 진동 모듈(800, 900)에서 발생된 진동을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A2)에 집중시키며, 제3 파티션(530)은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에서 발생된 진동과, 제3 및 제4 진동 모듈(800, 900)에서 발생된 진동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5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진동 모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여기에서, 도 25에 도시된 표시 장치는 도 24에 도시된 표시 장치와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의 배치만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제1 진동 모듈(600)은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중첩될 수 있고, 제2 진동 모듈(700)은 제1 진동 모듈(600)과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1 진동 모듈(600)의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610, 620, 630, 640)의 복수의 제1 부분(611, 621, 631, 641)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진동 모듈(700)의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710, 720, 730, 740)의 복수의 제1 부분(711, 721, 731, 741)의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611, 621, 631, 641, 711, 721, 731, 741)을 포함함으로써 동일한 압전 특성을 가질 수 있고, 다른 서브 모듈에서 발생된 진동을 보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에 따른 진동 모듈(200)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611, 621, 631, 641, 711, 721, 731, 741)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100)의 진동 영역을 증가시키고 입체 음향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진동 모듈(200)의 제1 방향(X) 또는 제2 방향(Y)으로 복수의 서브 모듈을 추가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대형 표시 장치의 경우 대형(또는 대면적)의 진동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6은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음압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도 24에 도시된 표시 장치(10c)와 도 25에 도시된 표시 장치(10d)는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의 배열 방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이한 음압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은 제1 파티션(510)으로 둘러싸이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을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파티션(510)으로 둘러싸이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X)과 평행한 단변과, 제2 방향(Y)과 평행한 장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표시 장치(10c)에서, 제1 파티션(510)으로 둘러싸이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은 제1 영역(A1)의 단변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이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5에 도시된 표시 장치(10d)에서, 제1 파티션(510)으로 둘러싸이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은 제1 영역(A1)의 장변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이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4에 도시된 표시 장치(10c)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의 장변이 제2 방향(Y)과 평행하고,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이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의 단변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5에 도시된 표시 장치(10d)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의 장변이 제2 방향(Y)과 평행하고,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이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의 장변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4에 도시된 표시 장치(10c)의 제1 영역(A1)의 진동 면적은 도 25에 도시된 표시 장치(10d)의 제1 영역(A1)의 진동 면적보다 증가할 수 있고, 도 24에 도시된 표시 장치(10c)의 음압의 평탄도가 더 균일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장치(10c, 10d)의 음압 특성은 진동판으로 작용하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의 구조적 특성과,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의 압전 물질의 배열 방향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1k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도 24에 도시된 표시 장치(10c)의 음압의 평탄도는 도 25에 도시된 표시 장치(10d)의 음압의 평탄도보다 균일할 수 있다.
도 27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진동 모듈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e)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중첩되는 제1 진동 모듈(600) 및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A2)과 중첩되는 제3 진동 모듈(8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진동 모듈(600)의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610, 620, 630, 640)의 복수의 제1 부분(611, 621, 631, 641)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진동 모듈(800)의 복수의 제1 부분(811, 821, 831, 841)의 배열 방향은 제1 진동 모듈(600)의 복수의 제1 부분(611, 621, 631, 641)의 배열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도 28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진동 모듈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f)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중첩되는 제1 진동 모듈(600) 및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A2)과 중첩되는 제3 진동 모듈(8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장치(10f)는 도 27에 도시된 표시 장치(10e)에서, 플레이트(650, 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650)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제1 진동 모듈(6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650)는 제1 진동 모듈(600)의 질량(Mass)을 증가시켜 제1 진동 모듈(60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의 공진 주파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제1 진동 모듈(60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이 재생할 수 있는 최저 음역대(또는 최저 재생 주파수)를 감소시켜 저음 재생 대역의 음압을 개선하고, 재생 주파수 대역을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10f)는 플레이트(650)를 구비한 제1 진동 모듈(600)을 포함함으로써,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29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진동 모듈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g)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중첩되는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과,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A2)과 중첩되는 제3 및 제4 진동 모듈(800, 9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진동 모듈(600)은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중첩될 수 있고, 제2 진동 모듈(700)은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중첩되고 제1 진동 모듈(600)과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진동 모듈(600)의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610, 620, 630, 640)의 복수의 제1 부분(611, 621, 631, 641)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진동 모듈(700)의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710, 720, 730, 740)의 복수의 제1 부분(711, 721, 731, 741)의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진동 모듈(700)의 제1 서브 모듈(710)의 좌측 상부 꼭지점은 제1 진동 모듈(600)의 제4 서브 모듈(640)의 우측 하부 꼭지점과 접촉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의 대각선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표시 장치(10g)의 제1 영역(A1)의 진동 면적을 증가시키고 표시 장치(10)의 음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 24에 도시된 표시 장치(10c)는 제1 방향(X)을 따라 배치된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을 포함할 수 있고, 도 25에 도시된 표시 장치(10d)는 제2 방향(Y)을 따라 배치된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병렬 배치 구조를 갖는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은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의 진동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도 24 및 도 25 각각에 도시된 표시 장치(10c, 10d)의 저음 재생 대역의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9에 도시된 표시 장치(10g)는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의 대각선을 따라 배치된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각선 배치 구조를 갖는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은 병렬 배치 구조를 갖는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보다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의 진동 면적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29에 도시된 표시 장치(10g)는 도 24 및 도 25 각각에 도시된 표시 장치(10c, 10d)보다 음압 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의 대각선 배치 구조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 내에 2x2 구조로 배치된 복수의 진동 모듈과 유사한 효과를 가지므로,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을 진동시키는 진동 모듈의 개수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도 30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진동 모듈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h)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중첩되는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과,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A2)과 중첩되는 제3 및 제4 진동 모듈(800, 9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h)는 도 29에 도시된 표시 장치(10g)에서, 플레이트(750, 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750)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제2 진동 모듈(7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750)는 제2 진동 모듈(700)의 질량(Mass)을 증가시켜 제2 진동 모듈(70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의 공진 주파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제2 진동 모듈(70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이 재생할 수 있는 최저 음역대(또는 최저 재생 주파수)를 감소시켜 저음 재생 대역의 음압을 개선하고, 재생 주파수 대역을 확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플레이트(750)를 구비한 제2 진동 모듈(700)은 질량이 상대적으로 증가되어 표시 패널(100)의 공진 주파수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플레이트를 구비하지 않은 제1 진동 모듈(600)은 질량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표시 패널(100)의 공진 주파수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를 구비하지 않은 제1 진동 모듈(600)과 플레이트(750)를 구비한 제2 진동 모듈(700)은 압전 특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를 구비하지 않은 제1 진동 모듈(600)은 상대적으로 고음 재생 대역의 음압을 향상시킬 수 있고, 플레이트(750)를 구비한 제2 진동 모듈(700)은 상대적으로 저음 재생 대역의 음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를 구비하지 않은 제1 진동 모듈(600)과 플레이트(750)를 구비한 제2 진동 모듈(700)은 동일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특성을 갖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10h)는 서로 다른 압전 특성을 갖는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을 포함함으로써, 음압의 주파수 특성을 상호 보완하여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31은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음압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도 28에 도시된 표시 장치(10f)는 도 27에 도시된 표시 장치(10e)에서 플레이트(650)를 더 포함하기 때문에, 도 27에 도시된 표시 장치(10e)와 상이한 음압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에 도시된 표시 장치(10e)는 플레이트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제1 진동 모듈(600)의 질량을 상대적으로 감소시켜 표시 장치(10e)의 공진 주파수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28에 도시된 표시 장치(10f)는 플레이트(650)를 포함함으로써, 제1 진동 모듈(600)의 질량(Mass)을 증가시켜 표시 장치(10f)의 공진 주파수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 27에 도시된 표시 장치(10e)와 도 28에 도시된 표시 장치(10f) 각각은 동일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특성을 갖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에 도시된 표시 장치(10e)의 최대 음압과 최저 음압의 차(DV1)는 도 28에 도시된 표시 장치(10f)의 최대 음압과 최저 음압의 차(DV2)와 유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7에 도시된 표시 장치(10e)와 도 28에 도시된 표시 장치(10f)는 서로 다른 압전 특성을 갖기 때문에, 서로의 주파수 특성을 상호 보완할 수 있다.
도 32는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음압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도 30에 도시된 표시 장치(10h)는 도 29에 도시된 표시 장치(10g)에서 플레이트(750, 950)를 더 포함하기 때문에, 도 29에 도시된 표시 장치(10g)와 상이한 음압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 29에 도시된 표시 장치(10g)는 대각선 배치 구조를 갖는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10)의 제1 영역(A1)의 진동 면적을 증가시켜 적은 진동 모듈로 다수의 진동 모듈을 적용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9에 도시된 표시 장치(10g)는 대각선 배치 구조를 갖는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을 포함하기 때문에, 하나의 제1 진동 모듈(600)만을 포함하는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표시 장치(10e, 10f)보다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의 음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29에 도시된 표시 장치(10g)는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표시 장치(10e, 10f)보다 음압이 높고 주파수 특성이 다른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다만, 도 29에 도시된 표시 장치(10g)의 최대 음압과 최저 음압의 차(DV3)는 도 27 및 도 28 각각에 도시된 표시 장치(10e, 10f)의 최대 음압과 최저 음압의 차(DV1, DV2)와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표시 장치(10e, 10f, 10g)보다 더 높은 평탄도를 갖는 음향을 출력하기 위하여, 도 30에 도시된 표시 장치(10h)는 대각선 배치 구조를 갖는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을 포함하면서,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제2 진동 모듈(700) 사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750)를 구비한 제2 진동 모듈(700)은 질량이 상대적으로 증가되어 표시 패널(100)의 공진 주파수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플레이트를 구비하지 않은 제1 진동 모듈(600)은 질량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표시 패널(100)의 공진 주파수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를 구비하지 않은 제1 진동 모듈(600)은 상대적으로 고음 재생 대역의 음압을 향상시킬 수 있고, 플레이트(750)를 구비한 제2 진동 모듈(700)은 상대적으로 저음 재생 대역의 음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10h)는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을 대각선을 따라 배치하면서,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제2 진동 모듈(700) 사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750)를 더 포함함으로써, 음압의 주파수 특성을 상호 보완하여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30에 도시된 표시 장치(10h)의 최대 음압과 최저 음압의 차(DV4)는 도 27 내지 도 29 각각에 도시된 표시 장치(10e, 10f, 10g)의 최대 음압과 최저 음압의 차(DV1, DV2, DV3)보다 감소될 수 있고, 음압의 평탄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33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진동 모듈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중첩되는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과,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A2)과 중첩되는 제3 및 제4 진동 모듈(800, 9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의 대각선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표시 장치(10)의 제1 영역(A1)의 진동 면적을 증가시키고 표시 장치(10)의 음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진동 모듈(600)의 복수의 제1 부분(611, 621, 631, 641)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진동 모듈(700)의 복수의 제1 부분(711, 721, 731, 741)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부분(611, 621, 631, 641)이 제2 방향(Y)으로 배열된 제1 진동 모듈(600)과 복수의 제1 부분(711, 721, 731, 741)이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제2 진동 모듈(700)은 압전 특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도 33에 도시된 표시 장치(10)는 대각선 배치 구조를 갖는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10)의 제1 영역(A1)의 진동 면적을 증가시켜 적은 진동 모듈로 다수의 진동 모듈을 적용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33에 도시된 표시 장치(10)는 제1 진동 모듈(600)의 복수의 제1 부분(611, 621, 631, 641)과 제2 진동 모듈(700)의 복수의 제1 부분(711, 721, 731, 741)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함으로써, 음압의 주파수 특성을 상호 보완하여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34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진동 모듈의 제8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중첩되는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과,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A2)과 중첩되는 제3 및 제4 진동 모듈(800, 9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은 제2 방향(Y)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표시 장치(10)의 제1 영역(A1)의 진동 면적을 증가시키고 표시 장치(10)의 음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진동 모듈(600)의 복수의 제1 부분(611, 621, 631, 641)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진동 모듈(700)의 복수의 제1 부분(711, 721, 731, 741)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부분(611, 621, 631, 641)이 제2 방향(Y)으로 배열된 제1 진동 모듈(600)과 복수의 제1 부분(711, 721, 731, 741)이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제2 진동 모듈(700)은 압전 특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도 34에 도시된 표시 장치(10)는 병렬 배치 구조를 갖는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10)의 제1 영역(A1)의 진동 면적을 증가시켜 적은 진동 모듈로 다수의 진동 모듈을 적용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34에 도시된 표시 장치(10)는 제1 진동 모듈(600)의 복수의 제1 부분(611, 621, 631, 641)과 제2 진동 모듈(700)의 복수의 제1 부분(711, 721, 731, 741)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함으로써, 음압의 주파수 특성을 상호 보완하여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35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진동 모듈의 제9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중첩되는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과,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A2)과 중첩되는 제3 및 제4 진동 모듈(800, 9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은 제2 방향(Y)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표시 장치(10)의 제1 영역(A1)의 진동 면적을 증가시키고 표시 장치(10)의 음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진동 모듈(600)의 제1 및 제3 서브 모듈(610, 630)과 제2 진동 모듈(700)의 제1 및 제3 서브 모듈(710, 730)의 복수의 제1 부분(611, 631, 711, 731)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진동 모듈(600)의 제2 및 제4 서브 모듈(620, 640)과 제2 진동 모듈(700)의 제2 및 제4 서브 모듈(720, 740)의 복수의 제1 부분(621, 641, 721, 741)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방향(Y)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611, 631, 711, 731)과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621, 641, 721, 741)은 압전 특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제2 진동 모듈(700)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750)는 제2 진동 모듈(700)의 질량(Mass)을 증가시켜 제2 진동 모듈(70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의 공진 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35에 도시된 표시 장치(10)는 병렬 배치 구조를 갖는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10)의 제1 영역(A1)의 진동 면적을 증가시켜 적은 진동 모듈로 다수의 진동 모듈을 적용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35에 도시된 표시 장치(10)는 제2 방향(Y)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611, 631, 711, 731)과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621, 641, 721, 741)을 포함함으로써, 음압의 주파수 특성을 상호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도 35에 도시된 표시 장치(10)는 플레이트를 구비하지 않은 제1 진동 모듈(600)과 플레이트(750)를 구비한 제2 진동 모듈(700)을 포함함으로써 최저 재생 주파수를 감소시켜 저음 재생 대역의 음압을 개선하고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36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진동 모듈의 제10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중첩되는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과,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A2)과 중첩되는 제3 및 제4 진동 모듈(800, 9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은 제1 방향(X)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표시 장치(10)의 제1 영역(A1)의 진동 면적을 증가시키고 표시 장치(10)의 음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진동 모듈(600)의 제1 및 제3 서브 모듈(610, 630)과 제2 진동 모듈(700)의 제1 및 제3 서브 모듈(710, 730)의 복수의 제1 부분(611, 631, 711, 731)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진동 모듈(600)의 제2 및 제4 서브 모듈(620, 640)과 제2 진동 모듈(700)의 제2 및 제4 서브 모듈(720, 740)의 복수의 제1 부분(621, 641, 721, 741)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방향(Y)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611, 631, 711, 731)과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621, 641, 721, 741)은 압전 특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제2 진동 모듈(700)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750)는 제2 진동 모듈(700)의 질량(Mass)을 증가시켜 제2 진동 모듈(70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의 공진 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36에 도시된 표시 장치(10)는 병렬 배치 구조를 갖는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10)의 제1 영역(A1)의 진동 면적을 증가시켜 적은 진동 모듈로 다수의 진동 모듈을 적용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36에 도시된 표시 장치(10)는 제2 방향(Y)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611, 631, 711, 731)과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621, 641, 721, 741)을 포함함으로써, 음압의 주파수 특성을 상호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도 36에 도시된 표시 장치(10)는 플레이트를 구비하지 않은 제1 진동 모듈(600)과 플레이트(750)를 구비한 제2 진동 모듈(700)을 포함함으로써 최저 재생 주파수를 감소시켜 저음 재생 대역의 음압을 개선하고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37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진동 모듈의 제11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중첩되는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과,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A2)과 중첩되는 제3 및 제4 진동 모듈(800, 9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의 대각선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표시 장치(10)의 제1 영역(A1)의 진동 면적을 증가시키고 표시 장치(10)의 음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진동 모듈(600)의 제1 및 제4 서브 모듈(610, 640)과 제2 진동 모듈(700)의 제1 및 제4 서브 모듈(710, 740)의 복수의 제1 부분(611, 641, 711, 741)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진동 모듈(600)의 제2 및 제3 서브 모듈(620, 630)과 제2 진동 모듈(700)의 제2 및 제3 서브 모듈(720, 730)의 복수의 제1 부분(621, 631, 721, 731)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방향(Y)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611, 641, 711, 741)과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621, 631, 721, 731)은 압전 특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제2 진동 모듈(700)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750)는 제2 진동 모듈(700)의 질량(Mass)을 증가시켜 제2 진동 모듈(70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의 공진 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37에 도시된 표시 장치(10)는 대각선 배치 구조를 갖는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10)의 제1 영역(A1)의 진동 면적을 증가시켜 적은 진동 모듈로 다수의 진동 모듈을 적용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37에 도시된 표시 장치(10)는 제2 방향(Y)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611, 641, 711, 741)과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621, 631, 721, 731)을 포함함으로써, 음압의 주파수 특성을 상호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도 37에 도시된 표시 장치(10)는 플레이트를 구비하지 않은 제1 진동 모듈(600)과 플레이트(750)를 구비한 제2 진동 모듈(700)을 포함함으로써 최저 재생 주파수를 감소시켜 저음 재생 대역의 음압을 개선하고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38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진동 모듈의 제12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중첩되는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과,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A2)과 중첩되는 제3 및 제4 진동 모듈(800, 9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의 대각선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표시 장치(10)의 제1 영역(A1)의 진동 면적을 증가시키고 표시 장치(10)의 음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 진동 모듈(600)의 제1 및 제3 서브 모듈(610, 630)과 제2 진동 모듈(700)의 제1 및 제3 서브 모듈(710, 730)의 복수의 제1 부분(611, 631, 711, 731)은 평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진동 모듈(600)의 제2 및 제4 서브 모듈(620, 640)과 제2 진동 모듈(700)의 제2 및 제4 서브 모듈(720, 740)의 복수의 제1 부분(621, 641, 721, 741)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방향(Y)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611, 631, 711, 731)과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621, 641, 721, 741)은 압전 특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과 제2 진동 모듈(700)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750)는 제2 진동 모듈(700)의 질량(Mass)을 증가시켜 제2 진동 모듈(700)이 부착된 표시 패널(100)의 공진 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38에 도시된 표시 장치(10)는 대각선 배치 구조를 갖는 제1 및 제2 진동 모듈(600, 700)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10)의 제1 영역(A1)의 진동 면적을 증가시켜 적은 진동 모듈로 다수의 진동 모듈을 적용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38에 도시된 표시 장치(10)는 제2 방향(Y)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611, 631, 711, 731)과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부분(621, 641, 721, 741)을 포함함으로써, 음압의 주파수 특성을 상호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도 38에 도시된 표시 장치(10)는 플레이트를 구비하지 않은 제1 진동 모듈(600)과 플레이트(750)를 구비한 제2 진동 모듈(700)을 포함함으로써 최저 재생 주파수를 감소시켜 저음 재생 대역의 음압을 개선하고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 영상전화기,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와치 폰(Watch Phone),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폴더블 기기(Foldable Device), 롤러블 기기(Rollable Device), 벤더블 기기(Bendable Device), 플렉서블 기기(Flexible Device), 투명 표시 장치(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커브드 기기(Curved Device),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데스크탑 PC(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컴퓨터(Netbook Computer), 포터블컴퓨터(Portable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네비게이션, 차량용 네비게이션, 차량용 표시장치, 텔레비전, 월페이퍼(Wall Paper), 샤이니지(Signage) 기기, 게임기기, 조명장치, 노트북, 모니터, 카메라, 캠코더, 및 가전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서브 모듈을 갖는 압전 복합층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듈을 포함하고,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은 압전 특성을 갖는 복수의 제1 부분, 및 복수의 제1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복수의 제2 부분을 포함하며,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모두 동일하거나, 일부 상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부분은 무기 물질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제2 부분은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서브 모듈은 압전 복합층의 좌측 상단에 배치된 제1 서브 모듈, 압전 복합층의 우측 상단에 배치된 제2 서브 모듈, 압전 복합층의 좌측 하단에 배치된 제3 서브 모듈, 및 압전 복합층의 우측 하단에 배치된 제4 서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서브 모듈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과 제3 및 제4 서브 모듈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3 서브 모듈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과 제2 및 제4 서브 모듈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과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듈 사이에 개재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각각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진동 모듈을 포함하고, 복수의 진동 모듈 각각은 복수의 서브 모듈을 갖는 압전 복합층을 포함하며,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은 압전 특성을 갖는 복수의 제1 부분, 및 복수의 제1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복수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모두 동일하거나, 일부 상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진동 모듈은 제1 영역과 중첩되는 제1 진동 모듈, 제1 영역과 중첩되고 제1 진동 모듈과 엇갈리게 배치되는 제2 진동 모듈, 제2 영역과 중첩되는 제3 진동 모듈, 및 제2 영역과 중첩되고 제3 진동 모듈과 엇갈리게 배치되는 제4 진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진동 모듈의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제3 진동 모듈의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과 동일하고, 제2 진동 모듈의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제4 진동 모듈의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진동 모듈 각각의 복수의 서브 모듈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 진동 모듈 각각은 압전 복합층의 좌측 상단에 배치된 제1 서브 모듈, 압전 복합층의 우측 상단에 배치된 제2 서브 모듈, 압전 복합층의 좌측 하단에 배치된 제3 서브 모듈, 및 압전 복합층의 우측 하단에 배치된 제4 서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진동 모듈의 제1 및 제4 서브 모듈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제1 진동 모듈의 제2 및 제3 서브 모듈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과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진동 모듈의 제1 및 제3 서브 모듈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제1 진동 모듈의 제2 및 제4 서브 모듈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과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진동 모듈의 복수의 서브 모듈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제2 진동 모듈의 복수의 서브 모듈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과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진동 모듈은, 제1 영역과 중첩되는 제1 진동 모듈, 제1 진동 모듈과 평면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진동 모듈, 제2 영역과 중첩되는 제3 진동 모듈, 및 제3 진동 모듈과 평면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제4 진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진동 모듈의 복수의 서브 모듈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제2 진동 모듈의 복수의 서브 모듈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과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 진동 모듈 각각은, 압전 복합층의 좌측 상단에 배치된 제1 서브 모듈, 압전 복합층의 우측 상단에 배치된 제2 서브 모듈, 압전 복합층의 좌측 하단에 배치된 제3 서브 모듈, 및 압전 복합층의 우측 하단에 배치된 제4 서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진동 모듈의 제1 및 제3 서브 모듈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제1 진동 모듈의 제2 및 제4 서브 모듈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과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진동 모듈은, 제1 영역과 중첩되는 제1 진동 모듈, 제1 진동 모듈과 평면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진동 모듈, 제2 영역과 중첩되는 제3 진동 모듈, 및 제3 진동 모듈과 평면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제4 진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 진동 모듈 각각은, 압전 복합층의 좌측 상단에 배치된 제1 서브 모듈, 압전 복합층의 우측 상단에 배치된 제2 서브 모듈, 압전 복합층의 좌측 하단에 배치된 제3 서브 모듈, 및 압전 복합층의 우측 하단에 배치된 제4 서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진동 모듈의 제1 및 제3 서브 모듈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제1 진동 모듈의 제2 및 제4 서브 모듈의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과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제2 및 제4 진동 모듈 각각과 표시 패널 사이에 개재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표시 패널 200: 진동 모듈
201: 복수의 제1 부분 202: 복수의 제2 부분
203: 제1 전극층 204: 제2 전극층
210~240: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
300: 구조물 400: 고정 부재
500: 파티션

Claims (24)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서브 모듈을 갖는 압전 복합층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은,
    압전 특성을 갖는 복수의 제1 부분; 및
    상기 복수의 제1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복수의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모두 동일하거나, 일부 상이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제1 부분 및 상기 복수의 제2 부분 각각은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되는 라인 패턴을 갖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은 무기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2 부분은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은,
    상기 압전 복합층의 좌측 상단에 배치된 제1 서브 모듈;
    상기 압전 복합층의 우측 상단에 배치된 제2 서브 모듈;
    상기 압전 복합층의 좌측 하단에 배치된 제3 서브 모듈; 및
    상기 압전 복합층의 우측 하단에 배치된 제4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 모듈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모두 동일한, 표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모듈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과 상기 제3 및 제4 서브 모듈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서로 다른, 표시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서브 모듈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과 상기 제2 및 제4 서브 모듈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서로 다른,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듈 사이에 개재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진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진동 모듈 각각은 복수의 서브 모듈을 갖는 압전 복합층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은,
    압전 특성을 갖는 복수의 제1 부분; 및
    상기 복수의 제1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복수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모두 동일하거나, 일부 상이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제1 부분 및 상기 복수의 제2 부분 각각은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되는 라인 패턴을 갖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 모듈은,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는 제1 진동 모듈;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고 상기 제1 진동 모듈과 엇갈리게 배치되는 제2 진동 모듈;
    상기 제2 영역과 중첩되는 제3 진동 모듈; 및
    상기 제2 영역과 중첩되고 상기 제3 진동 모듈과 엇갈리게 배치되는 제4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모듈의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상기 제3 진동 모듈의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제2 진동 모듈의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상기 제4 진동 모듈의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과 동일한, 표시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진동 모듈 각각의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모두 동일한,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진동 모듈 각각은,
    상기 압전 복합층의 좌측 상단에 배치된 제1 서브 모듈;
    상기 압전 복합층의 우측 상단에 배치된 제2 서브 모듈;
    상기 압전 복합층의 좌측 하단에 배치된 제3 서브 모듈; 및
    상기 압전 복합층의 우측 하단에 배치된 제4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모듈의 상기 제1 및 제4 서브 모듈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상기 제1 진동 모듈의 상기 제2 및 제3 서브 모듈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과 서로 다른, 표시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모듈의 상기 제1 및 제3 서브 모듈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상기 제1 진동 모듈의 상기 제2 및 제4 서브 모듈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과 서로 다른, 표시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모듈의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상기 제2 진동 모듈의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과 서로 다른, 표시 장치.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 모듈은,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는 제1 진동 모듈;
    상기 제1 진동 모듈과 평면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진동 모듈;
    상기 제2 영역과 중첩되는 제3 진동 모듈; 및
    상기 제3 진동 모듈과 평면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제4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모듈의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상기 제2 진동 모듈의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과 서로 다른, 표시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진동 모듈 각각은,
    상기 압전 복합층의 좌측 상단에 배치된 제1 서브 모듈;
    상기 압전 복합층의 우측 상단에 배치된 제2 서브 모듈;
    상기 압전 복합층의 좌측 하단에 배치된 제3 서브 모듈; 및
    상기 압전 복합층의 우측 하단에 배치된 제4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모듈의 상기 제1 및 제3 서브 모듈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상기 제1 진동 모듈의 상기 제2 및 제4 서브 모듈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과 서로 다른, 표시 장치.
  2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 모듈은,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는 제1 진동 모듈;
    상기 제1 진동 모듈과 평면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진동 모듈;
    상기 제2 영역과 중첩되는 제3 진동 모듈; 및
    상기 제3 진동 모듈과 평면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제4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진동 모듈 각각은,
    상기 압전 복합층의 좌측 상단에 배치된 제1 서브 모듈;
    상기 압전 복합층의 우측 상단에 배치된 제2 서브 모듈;
    상기 압전 복합층의 좌측 하단에 배치된 제3 서브 모듈; 및
    상기 압전 복합층의 우측 하단에 배치된 제4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모듈의 상기 제1 및 제3 서브 모듈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은 상기 제1 진동 모듈의 상기 제2 및 제4 서브 모듈의 상기 복수의 제1 부분의 배열 방향과 서로 다른, 표시 장치.
  24. 제 10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4 진동 모듈 각각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개재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90037500A 2019-03-29 2019-03-29 표시 장치 KR102662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500A KR102662671B1 (ko) 2019-03-29 2019-03-29 표시 장치
US16/447,304 US11166108B2 (en) 2019-03-29 2019-06-20 Display apparatus
TW112130782A TW202347117A (zh) 2019-03-29 2019-06-21 顯示裝置
TW111140718A TWI815712B (zh) 2019-03-29 2019-06-21 聲波產生裝置與顯示裝置
TW110108944A TWI785531B (zh) 2019-03-29 2019-06-21 電子裝置
TW108121790A TWI725455B (zh) 2019-03-29 2019-06-21 顯示裝置
JP2019130579A JP7023895B2 (ja) 2019-03-29 2019-07-12 表示装置
GB2103533.2A GB2595340B (en) 2019-03-29 2019-07-15 Display apparatus
GB2309866.8A GB2619169B (en) 2019-03-29 2019-07-15 Display apparatus
GB1910098.1A GB2582674B (en) 2019-03-29 2019-07-15 Display apparatus
GB2302416.9A GB2617897B (en) 2019-03-29 2019-07-15 Display apparatus
DE102019119519.5A DE102019119519A1 (de) 2019-03-29 2019-07-18 Anzeigevorrichtung
CN202210783676.7A CN115171573A (zh) 2019-03-29 2019-12-20 显示设备
CN201911325270.9A CN111754858B (zh) 2019-03-29 2019-12-20 显示设备
CN202210783165.5A CN115148130B (zh) 2019-03-29 2019-12-20 声音生成装置
CN202210783721.9A CN115171575A (zh) 2019-03-29 2019-12-20 电子设备
CN202210783684.1A CN115171574A (zh) 2019-03-29 2019-12-20 声音生成装置
US17/463,546 US11770656B2 (en) 2019-03-29 2021-08-31 Display apparatus
JP2022019010A JP2022065058A (ja) 2019-03-29 2022-02-09 表示装置
US18/234,203 US20230388718A1 (en) 2019-03-29 2023-08-15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500A KR102662671B1 (ko) 2019-03-29 2019-03-29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910A KR20200114910A (ko) 2020-10-07
KR102662671B1 true KR102662671B1 (ko) 2024-04-30

Family

ID=6770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500A KR102662671B1 (ko) 2019-03-29 2019-03-29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1166108B2 (ko)
JP (2) JP7023895B2 (ko)
KR (1) KR102662671B1 (ko)
CN (5) CN115171575A (ko)
DE (1) DE102019119519A1 (ko)
GB (4) GB2582674B (ko)
TW (4) TWI7855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2181B2 (en) * 2019-02-01 2023-04-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10109075A (ko) * 2020-02-26 2021-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52748A (ko) * 2020-10-21 2022-04-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진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KR20220091669A (ko) * 2020-12-23 2022-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비납계 압전 재료 조성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비납계 압전 소자, 및 비납계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5543067A (zh) * 2021-06-30 2022-12-30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触觉回馈装置
CN117581565A (zh) * 2021-11-10 2024-02-20 株式会社道弘 SoT模块
TWI796967B (zh) * 2022-03-14 2023-03-21 宏碁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6500A (ja) 2013-12-27 2015-07-06 太陽誘電株式会社 圧電音響素子及び圧電スピーカ
JP6053794B2 (ja) 2012-08-10 2016-12-27 京セラ株式会社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817102B1 (ko) 2016-11-30 2018-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3794B2 (ja) * 1981-02-24 1985-11-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用プラズマ点火装置
JPH07327297A (ja) * 1994-05-31 1995-12-12 Hitachi Metals Ltd 圧電スピーカ
JP3517535B2 (ja) * 1996-07-10 2004-04-12 日本碍子株式会社 表示装置
US6629341B2 (en) 1999-10-29 2003-10-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Method of fabricating a piezoelectric composite apparatus
JP2001326999A (ja) 2000-05-18 2001-11-22 Olympus Optical Co Ltd 圧電構造体の加工方法および複合圧電体の製造方法
EP1480489A3 (en) * 2003-05-23 2009-07-01 Alps Electric Co., Ltd. Exciting device for producing sound
JP4237748B2 (ja) 2005-12-09 2009-03-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モジュール
JP5204380B2 (ja) 2006-04-10 2013-06-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圧電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液体噴出装置
KR101226071B1 (ko) * 2007-11-06 2013-01-24 아크리온 테크놀로지즈 인코포레이티드 음향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및 그것을 만드는 방법
JP4524700B2 (ja) 2007-11-26 2010-08-18 ソニー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およびスピーカ駆動方法
JP4655243B2 (ja) * 2008-09-09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スピーカシステムおよびスピーカ駆動方法
KR101159734B1 (ko) 2008-12-22 2012-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압전형 스피커 및 이의 제작방법
JP2011181866A (ja) * 2010-03-04 2011-09-15 Fujifilm Corp 積層構造体及びそれを用いた圧電デバイス
KR20120064984A (ko) 2010-12-10 2012-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압전 스피커
TW201233196A (en) * 2011-01-26 2012-08-01 Ho Hsin Progressive Technology Co Ltd Piezoelectric planar speaker having plurality of dual-mode piezoelectric plates
US8934228B2 (en) * 2011-03-21 2015-01-13 Apple Inc. Display-based speaker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JP5841175B2 (ja) 2011-03-21 2016-01-13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を伴う電子装置
TWI493983B (zh) * 2011-06-29 2015-07-21 Kyocera Corp A sound generator and an acoustic generating device using the same
JP5855508B2 (ja) 2012-03-29 2016-02-0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9883289B2 (en) 2012-08-10 2018-01-30 Kyocera Corporation Acoustic generator, acoustic genera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140036846A (ko) 2012-09-18 201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국부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101383702B1 (ko) * 2012-12-12 2014-04-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유닛
KR102061748B1 (ko) 2013-05-07 2020-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16107B1 (ko) 2013-12-30 2020-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17526B1 (ko) 2014-01-02 2020-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플렉서블 리모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4952370B (zh) * 2014-03-31 2019-02-05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屏幕及其使用方法
US9525943B2 (en) * 2014-11-24 2016-12-20 Apple Inc. Mechanically actuated panel acoustic system
US20160179230A1 (en) 2014-12-23 2016-06-23 Intel Corporation Electroactive layer coupled to a flexible display
CN104751749B (zh) * 2015-04-13 2017-07-11 深圳市科润光电股份有限公司 贴片led数码管封装结构
KR101598927B1 (ko) 2016-01-22 2016-03-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압전 스피커
KR101817105B1 (ko) 2016-12-30 2018-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츄에이터 고정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KR101704517B1 (ko) 2016-03-28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KR101696786B1 (ko) * 2016-04-21 2017-01-16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압전 스피커
US10197787B2 (en) 2016-08-30 2019-02-05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pane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JP2018074322A (ja) * 2016-10-27 2018-05-10 京セラ株式会社 音響発生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音響発生装置、電子機器
KR102647375B1 (ko) * 2016-11-29 2024-03-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59805B1 (ko) * 2016-11-30 2021-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64431B1 (ko) * 2017-03-16 2021-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압전 소자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2284718B1 (ko) * 2017-05-31 2021-07-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10176B1 (ko) 2017-06-23 2021-10-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67975B1 (ko) * 2017-07-06 2022-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하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20360B1 (ko) 2017-07-18 2021-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20554B1 (ko) 2017-08-10 2022-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88383B1 (ko) 2017-12-13 2023-0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KR102501909B1 (ko) 2018-04-20 2023-0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TW202002672A (zh) * 2018-06-29 2020-01-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喇叭結構層及顯示器
CN109068245A (zh) * 2018-08-01 2018-12-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屏幕发声装置、发声显示屏及其制造方法和屏幕发声系统
EP3613514A1 (en) 2018-08-20 2020-02-26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flexible vibration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lexible vibration module
US20200080796A1 (en) * 2018-09-11 2020-03-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Additive manufactured heat exchanger
KR102068986B1 (ko) * 2018-11-12 2020-0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CN114879398A (zh) * 2018-12-31 2022-08-09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535015B1 (ko) * 2019-01-22 2023-05-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CN110351402B (zh) * 2019-06-28 2022-04-0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移动终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3794B2 (ja) 2012-08-10 2016-12-27 京セラ株式会社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5126500A (ja) 2013-12-27 2015-07-06 太陽誘電株式会社 圧電音響素子及び圧電スピーカ
KR101817102B1 (ko) 2016-11-30 2018-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25455B (zh) 2021-04-21
DE102019119519A1 (de) 2020-10-01
GB2582674B (en) 2021-05-19
TW202036941A (zh) 2020-10-01
US20200314553A1 (en) 2020-10-01
GB2619169A (en) 2023-11-29
GB202302416D0 (en) 2023-04-05
TW202308186A (zh) 2023-02-16
GB202103533D0 (en) 2021-04-28
GB2617897A (en) 2023-10-25
GB2595340A (en) 2021-11-24
GB2582674A (en) 2020-09-30
US20230388718A1 (en) 2023-11-30
GB2595340B (en) 2023-04-05
GB201910098D0 (en) 2019-08-28
US11770656B2 (en) 2023-09-26
CN115148130B (zh) 2024-02-02
CN115171574A (zh) 2022-10-11
TWI815712B (zh) 2023-09-11
JP2022065058A (ja) 2022-04-26
US11166108B2 (en) 2021-11-02
CN111754858A (zh) 2020-10-09
TW202135349A (zh) 2021-09-16
GB2617897B (en) 2024-02-07
GB202309866D0 (en) 2023-08-16
TW202347117A (zh) 2023-12-01
CN115171573A (zh) 2022-10-11
US20210400394A1 (en) 2021-12-23
JP2020167360A (ja) 2020-10-08
CN115171575A (zh) 2022-10-11
GB2619169B (en) 2024-04-03
JP7023895B2 (ja) 2022-02-22
CN111754858B (zh) 2022-07-22
TWI785531B (zh) 2022-12-01
CN115148130A (zh) 2022-10-04
KR20200114910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2671B1 (ko) 표시 장치
US11483662B2 (en) Display apparatus for generating sound by panel vibration type
TW202201977A (zh) 顯示設備
KR20210076657A (ko) 표시장치
US11804203B2 (en) Display apparatus
US11871169B2 (en) Display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20230217161A1 (en) Apparatus
JP2024035130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