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075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075A
KR20210109075A KR1020200023415A KR20200023415A KR20210109075A KR 20210109075 A KR20210109075 A KR 20210109075A KR 1020200023415 A KR1020200023415 A KR 1020200023415A KR 20200023415 A KR20200023415 A KR 20200023415A KR 20210109075 A KR20210109075 A KR 20210109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generating
display panel
generating device
display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희
이진욱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3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9075A/ko
Priority to US17/023,217 priority patent/US11561573B2/en
Priority to CN202110212902.1A priority patent/CN113316067A/zh
Publication of KR20210109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0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G10K9/12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using piezoelectric driv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시키는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복수의 측면 각각과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마주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복수의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텔레비전,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전자 패드, 웨어러블 기기, 워치 폰, 휴대용 정보 기기, 네비게이션, 또는 차량 제어 표시 기기 등의 전자 제품 또는 가전 제품에 탑재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으로 사용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영상과 관련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표시 장치는 음향 장치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표시 장치의 후방 또는 하방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벽 또는 지면에서 반사되는 음향 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음질이 떨어지고, 이로 인하여 정확한 음향 전달이 어려울 수 있고,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패널의 하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저음 재생 대역을 개선하고 음압 레벨을 향상시키며 음압의 평탄도를 개선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시키는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복수의 측면 각각과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복수의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표시 패널은 서로 수직 또는 평행하는 제1 내지 제4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내지 제4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내지 제4 측면 각각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내지 제4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에 수직한 제2 측면의 길이의 비율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과 대응되는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측면과 대응되는 음향 발생 장치의 제2 측면의 길이의 비율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측면을 하나 이상 구비한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복수의 측면 각각과 상기 표시 패널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의 복수의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 사이의 제1 거리,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의 제2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측면과 사이의 제2 거리, 상기 제1 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의 제3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3 측면 사이의 제3 거리,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의 제4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4 측면 사이의 제4 거리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거리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 사이의 제1 거리, 상기 제1 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의 제2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측면과 사이의 제2 거리,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제3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3 측면 사이의 제3 거리, 및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의 제4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4 측면 사이의 제4 거리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거리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내지 제4 모서리 각각에 인접한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 사이의 제1 거리, 상기 제3 또는 제4 음향 발생 장치의 제2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측면과 사이의 제2 거리, 상기 제1 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의 제3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3 측면 사이의 제3 거리, 및 상기 제2 또는 제4 음향 발생 장치의 제4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4 측면 사이의 제4 거리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복수의 측면을 갖는 제1 음향 발생 장치, 및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를 이격되게 둘러싸고, 상기 표시 패널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측면을 갖는 제2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내지 제4 측면 각각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내지 제4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평면 상 폭과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의 평면 상 폭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제1 내지 제4 측면을 갖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시키고,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내지 제4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측면을 갖는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내지 제3 측면 각각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내지 제3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다.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또는 제3 측면과 평행한 장축을 가지며,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내지 제3 측면 각각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내지 제3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제4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4 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에 수직한 제2 측면의 길이의 비율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과 대응되는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측면과 대응되는 음향 발생 장치의 제2 측면의 길이의 비율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또는 제4 측면과 평행한 장축을 가지며,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내지 제3 측면 각각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내지 제3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제4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4 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곡면으로 둘러싸인 표시부를 지지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을 진동시키며, 곡면으로 둘러싸인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곡면의 복수의 부분과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곡면의 복수의 부분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기판의 곡면의 복수의 부분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다.
상기 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원호를 갖는 원호부, 및 상기 원호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호부 상에 배치된 원형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원형 표시부에 대응되는 원형을 가지며, 상기 음향 발생 장치와 상기 원형 표시부의 중심점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제1 반지름을 갖는 원형 측면을 구비한 제1 음향 발생 장치, 및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를 이격되게 둘러싸고, 상기 제1 반지름보다 큰 제2 반지름을 갖는 원형 측면을 구비한 제2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평면 상 폭과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의 평면 상 폭은 동일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음향 발생 장치의 복수의 측면과 음향 발생 장치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표시 패널의 복수의 측면 사이의 거리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표시 패널의 복수의 진동 사이의 보강 간섭 및 상쇄 간섭을 최적화할 수 있고, 음향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저음 재생 대역을 개선하고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화소 어레이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음향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및 제2 가지 전극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의 진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2의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2는 도 2의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3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주파수에 따른 음압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도 2의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음향 발생 장치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주파수에 따른 음압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음향 발생 장치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주파수에 따른 전 고조파 왜곡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연성 필름들이 펼쳐진 경우,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7의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2는 도 17의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3은 도 17의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탑”, “상면”은 표시 장치를 기준으로 상부 방향, 즉 Z축 방향을 가리키고, “하부”, “바텀”, “하면”은 표시 장치를 기준으로 하부 방향, 즉 Z축 방향의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좌”, “우”, “상”, “하”는 표시 장치를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방향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좌”는 X축 방향의 반대 방향, “우”는 X축 방향, “상”은 Y축 방향, “하”는 Y축 방향의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및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워치 폰(Watch Phone),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등의 다양한 제품의 표시 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평면 상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는 제1 방향(X축 방향)의 단변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X축 방향)의 단변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장변이 만나는 모서리는 직각으로 형성되거나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평면 형태는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는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는 소정의 곡률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커버 윈도우(1100), 터치 감지 장치(1200), 표시 패널(1300), 음향 발생 장치(510), 및 하부 커버(18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100)는 표시 패널(130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표시 패널(1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100)는 표시 패널(1300)의 상면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1100)는 접착 부재를 통해 터치 감지 장치(1200)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투명 접착 필름(Optically Cleared Adhesive film, OCA) 또는 투명 접착 레진(Optically Cleared Resin, OCR)일 수 있다.
커버 윈도우(1100)는 표시 패널(1300)의 영상을 표시하는 투과부와 투과부 이외의 영역에 해당하는 차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100)의 차광부는 표시 패널(1300)의 영상 이외의 불필요한 구성들이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도록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커버 윈도우(1100)의 차광부는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패턴이 형성된 데코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1100)의 차광부는 회사의 로고 또는 다양한 문자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1100)는 유리, 사파이어,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윈도우(1100)는 리지드(Rigid)하거나 플렉서블(Flexible)하게 형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1200)는 커버 윈도우(1100)와 표시 패널(1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1200)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자기 용량(Self-Capacitance) 방식 또는 상호 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과 같이 정전 용량 방식 또는 적외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1200)는 표시 패널(1300)의 상부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터치 감지 장치(1200)는 표시 패널(13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1300)의 상부 기판은 생략되고, 터치 감지 장치(1200)는 표시 패널(1300)의 봉지막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감지 장치(1200)는 사용자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는 외부 광이 터치 감지 장치(1200)의 라인들 또는 표시 패널(1300)의 라인들에 의해 반사되어 표시 패널(1300)이 표시하는 영상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터치 감지 장치(1200) 상에 배치되는 편광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1200)는 터치 회로 보드(1210) 및 터치 구동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회로 보드(1210)는 터치 감지 장치(12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회로 보드(1210)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통해 터치 감지 장치(1200)의 일측에 마련된 패드들 상에 부착될 수 있다. 터치 회로 보드(1210)는 터치 접속 단자를 포함할 수 있고, 터치 접속 단자는 표시 회로 보드(1310)의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회로 보드(1210)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일 수 있다.
터치 구동부(1220)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로 형성되어 터치 회로 보드(121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터치 구동부(1220)는 터치 회로 보드(1210)를 통해 터치 감지 장치(1200)의 터치 전극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터치 구동부(1220)는 터치 전극들 중 구동 전극들에 터치 구동 신호들을 인가하고, 터치 전극들 중 감지 전극들로부터 감지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터치 구동부(1220)는 감지 신호를 기초로 구동 전극들과 감지 전극들 사이의 정전 용량 변화량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좌표를 포함하는 터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 패널(1300)은 복수의 화소가 형성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주변 영역인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화소, 복수의 화소에 접속되는 스캔 라인들, 발광 제어 라인들, 데이터 라인들, 및 전압 공급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캔 라인들과 발광 제어 라인들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데이터 라인들과 전압 공급 라인들은 제1 방향(X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바깥쪽에서부터 표시 패널(1300)의 가장자리까지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표시 영역(NDA)은 스캔 라인들에 스캔 신호들을 인가하는 스캔 구동부, 발광 제어 라인들에 에미션 신호들을 인가하는 발광 제어 구동부, 데이터 라인들과 패드들 사이의 팬 아웃 라인들, 및 연성 필름(1390)에 접속되는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들은 표시 패널(1300)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1300)은 표시 회로 보드(1310), 표시 구동부(1320), 음향 구동부(1330), 및 연성 필름(139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회로 보드(1310)는 표시 패널(1300)의 일측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회로 보드(1310)의 일단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통해 표시 패널(1300)의 일측에 마련된 패드들 상에 부착될 수 있다. 터치 회로 보드(1210)와 표시 회로 보드(1310)는 연성 인쇄 회로 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으며, 표시 패널(130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구부러질 수 있다. 표시 회로 보드(1310)는 커넥터를 통해 터치 회로 보드(1210)의 터치 접속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표시 구동부(1320)는 연성 필름(1390) 상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300)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들과 전압들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구동부(1320)는 메인 회로 보드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타이밍 신호들을 입력 받고,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정극성/부극성 데이터 전압들로 변환하여 패드들을 통해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할 수 있다. 표시 구동부(1320)는 스캔 제어 라인들을 통해 스캔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스캔 제어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표시 구동부(1320)는 표시 패널(1300)의 서브 화소들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 전압들을 패드들에 공급할 수 있다.
표시 구동부(1320)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로 형성되어 연성 필름(1390) 상에 장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구동부(1320)는 표시 패널(1300)의 일측에 부착될 수 있다.
음향 구동부(1330)는 표시 회로 보드(1310) 상에 배치되어 음향 발생 장치(510)에 음향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음향 구동부(1330)는 메인 회로 보드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데이터는 음향의 주파수 대역 정보, 음향의 음압 레벨, 및 음향의 진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구동부(1330)는 음향 데이터를 기초로 음향 신호들을 생성하여, 음향 발생 장치(51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구동부(1330)는 집적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연성 필름(1390)의 일측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1300)의 하측에서 표시 패널(1300)의 상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연성 필름(1390)의 타측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이용하여 표시 회로 보드(1310)의 상측에서 표시 회로 보드(1310)의 상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성 필름(1390)은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서블 필름(Flexible Film)일 수 있다.
한편, 연성 필름(1390)은 생략될 수 있으며, 표시 회로 보드(1310)가 표시 패널(1300)의 일측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1300)의 일측은 표시 패널(1300)의 하면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표시 패널(1300)의 일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3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압력 민감 접착제와 같은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1300)의 하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발생 장치(510)는 인가된 전압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는 압전 물질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1300)을 진동시키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또는 압전 액추에이터(Piezoelectric Actuator)일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도 2에서 직육면체 형태를 갖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 커버(1800)는 표시 패널(1300) 및 음향 발생 장치(5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커버(1800)는 표시 장치(1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커버(1800)는 표시 패널(13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보울(Bowl)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커버(1800)의 측벽들은 커버 윈도우(1100)의 가장자리와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커버(1800)의 측벽들은 접착 부재를 통해 커버 윈도우(1100)의 가장자리에 접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음향 발생 장치(510)는 표시 패널(130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고, 연성 회로 기판(1350)을 통해 표시 회로 보드(1310) 상의 음향 구동부(1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압력 민감 접착제와 같은 접착 부재를 통해 표시 패널(13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발생 장치(510)는 표시 패널(1300)의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표시 패널(13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1300)은 복수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300)은 서로 수직 또는 평행하는 제1 내지 제4 측면(1301~1304)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300)의 제1 측면(1301)은 평면 상에서 표시 패널(1300)의 상 측면일 수 있고, 제2 측면(1302)은 제1 측면(1301)과 대응되는 하 측면일 수 있다. 표시 패널(1300)의 제3 측면(1303)은 평면 상에서 표시 패널(1300)의 좌 측면일 수 있고, 제4 측면(1304)은 제3 측면(1303)과 대응되는 우 측면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면(1301, 1302) 각각은 제3 및 제4 측면(1303, 1304) 각각과 수직일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표시 패널(1300)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발생 장치(510)의 형상은 표시 패널(1300)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발생 장치(510)는 표시 패널(1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1301~1304)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측면(511~514)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의 복수의 측면 각각과 음향 발생 장치(510)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표시 패널(1300)의 복수의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내지 제4 측면(511~514) 각각과 표시 패널(1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1301~1304) 각각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음향 발생 장치(510)의 복수의 측면 각각과 표시 패널(1300)의 복수의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의 오차가 10% 이내인 경우, 음향 발생 장치(510)의 복수의 측면 각각과 표시 패널(1300)의 복수의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측면(511)과 표시 패널(1300)의 제1 측면(1301) 사이의 제1 거리(d1)와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2 측면(512)과 표시 패널(1300)의 제2 측면(1302) 사이의 제2 거리(d2)는 동일할 수 있다(d1=d2).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3 측면(513)과 표시 패널(1300)의 제3 측면(1303) 사이의 제3 거리(d3)와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4 측면(514)과 표시 패널(1300)의 제4 측면(1304) 사이의 제4 거리(d4)는 동일할 수 있다(d3=d4). 또한, 제1 및 제2 거리(d1, d2) 각각과 제3 및 제4 거리(d3, d4) 각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d1=d2=d3=d4).
제1 내지 제4 거리(d1~d4)가 동일함으로써,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내지 제4 측면(511~514) 각각에서 발생한 진동들은 표시 패널(1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1301~1304) 각각에 동일한 시간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1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1301~1304) 각각에 도달한 진동들은 동일한 진폭과 위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1301~1304)에 도달한 후 다시 음향 발생 장치(510)로 되돌아오는 진동들은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내지 제4 측면(511~514) 각각에 동일한 시간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내지 제4 측면(511~514) 각각에 도달한 진동들은 동일한 진폭과 위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는 제1 내지 제4 거리(d1~d4)에 따라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510) 및 표시 패널(1300)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13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300)의 복수의 진동 사이의 보강 간섭 및 상쇄 간섭을 최적화함으로써, 음향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저음 재생 대역을 개선하고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측면(511)과 제1 측면(511)에 수직한 제3 측면(513)의 길이의 비율은,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측면(511)과 대응되는 표시 패널(1300)의 제1 측면(1301)과 제1 측면(1301)에 수직한 제3 측면(1303)의 길이의 비율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및 제3 측면(511, 513) 각각의 길이의 비율과, 표시 패널(1300)의 제1 및 제3 측면(1301, 1303) 각각의 길이의 비율 사이의 오차가 10% 이내인 경우,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및 제3 측면(511, 513) 각각의 길이의 비율과, 표시 패널(1300)의 제1 및 제3 측면(1301, 1303) 각각의 길이의 비율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의 형상은 표시 패널(130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써,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내지 제4 측면(511~514)과 표시 패널(1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1301~1304) 사이의 거리가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발생 장치(510)의 모든 측면에서 표시 패널(1300)까지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써, 전 고조파 왜곡(Total Harmonic distortion, THD)을 최소화하고 표시 장치(10)의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시 회로 보드(1310)는 케이블(1312)을 통해 메인 회로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음향 구동부(1330)는 케이블(1312)을 통해 메인 회로 보드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음향 구동부(1330)는 표시 회로 보드(131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커넥터(1311) 및 제2 커넥터(1313)는 표시 회로 보드(1310)의 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1311)는 케이블(1312)의 일 단에 마련된 제1 연결 단자에 연결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1313)는 연성 회로 기판(1350)의 일단에 마련된 연결 단자에 연결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1312)의 일 단에 마련된 제1 연결 단자는 제1 커넥터(1311)의 삽입부에 삽입될 있다. 케이블(1312)의 타단에 마련된 제2 연결 단자는 메인 회로 보드의 메인 커넥터의 삽입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화소 어레이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300)은 기판(SUB), 화소 어레이층(PAL), 편광 필름(PF), 및 패널 하부 부재(LPM)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베이스 기판일 수 있고, 고분자 수지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은 리지드(Rigid) 기판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기판(SUB)은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기판(SUB)이 플렉서블 기판인 경우, 폴리이미드(PI)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소 어레이층(PAL)은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어레이층(PAL)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복수의 게이트 라인 각각에 접속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화소 어레이층(PAL)은 버퍼층(BF),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발광 소자층(EDL), 및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은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BF)은 공기 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층(BF)은 교번하여 적층된 복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및 알루미늄옥사이드층 중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다중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은 박막 트랜지스터, 게이트 절연막(GI), 층간 절연막(ILD), 보호층(PAS), 및 평탄화층(OC)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버퍼층(BF) 상에 배치되어 화소의 화소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는 화소 회로의 구동 트랜지스터 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반도체층(ACT),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ACT)은 버퍼층(BF)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반도체층(ACT)은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중첩될 수 있다. 반도체층(ACT)은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직접 접촉될 수 있고, 게이트 절연막(GI)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 전극(GE)과 마주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게이트 절연막(GI)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게이트 절연막(GI)을 사이에 두고, 반도체층(ACT)과 중첩될 수 있다.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은 층간 절연막(ILD)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SE)은 게이트 절연막(GI) 및 층간 절연막(ILD)에 마련된 컨택홀을 통해 반도체층(ACT)의 일단과 접촉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DE)은 게이트 절연막(GI) 및 층간 절연막(ILD)에 마련된 컨택홀을 통해 반도체층(ACT)의 타단과 접촉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DE)은 발광 소자(EL)의 애노드 전극(AE)에 접속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은 반도체층(ACT)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절연막(GI)은 반도체층(ACT) 및 버퍼층(BF)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반도체층(ACT)과 게이트 전극(GE)을 절연시킬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은 소스 전극(SE)이 관통하는 컨택홀 및 드레인 전극(DE)이 관통하는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층간 절연막(ILD)은 게이트 전극(GE)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간 절연막(ILD)은 소스 전극(SE)이 관통하는 컨택홀 및 드레인 전극(DE)이 관통하는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층간 절연막(ILD)의 컨택홀은 게이트 절연막(GI)의 컨택홀과 연결될 수 있다.
보호층(PAS)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부에 마련되어, 박막 트랜지스터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층(PAS)은 발광 소자(EL)의 애노드 전극(AE)이 관통하는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평탄화층(OC)은 보호층(PAS)의 상부에 마련되어,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단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탄화층(OC)은 발광 소자(EL)의 애노드 전극(AE)이 관통하는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층(EDL)은 발광 소자(EL) 및 화소 정의막(PDL)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EL)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발광 소자(EL)는 애노드 전극(AE), 발광층(E), 및 캐소드 전극(CE)을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 전극(AE)은 평탄화층(OC)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노드 전극(AE)은 화소 정의막(PDL)에 의해 정의되는 개구 영역(OA)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애노드 전극(AE)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DE)에 접속될 수 있다.
발광층(E)은 애노드 전극(AE)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발광층(E)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수광층, 전자 저지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층(E)은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층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층(E)이 유기 발광층에 해당하는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가 발광 소자(EL)의 애노드 전극(AE)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고, 발광 소자(EL)의 캐소드 전극(CE)이 공통 전압 또는 캐소드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정공과 전자 각각은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을 통해 유기 발광층(E)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정공과 전자가 유기 발광층(E)에서 서로 결합하여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캐소드 전극(CE)은 발광층(E)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소드 전극(CE)은 화소 별로 구분되지 않고 전체 화소에 공통되는 전극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소드 전극(CE)은 개구 영역(OA)에서 발광층(E)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비개구 영역에서 화소 정의막(PD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개구 영역(OA)을 정의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복수의 발광 소자(EL) 각각의 애노드 전극(AE)을 이격 및 절연시킬 수 있다.
봉지층(TFE)은 캐소드 전극(CE) 상에 배치되어, 발광 소자(EL)를 덮을 수 있다. 봉지층(TFE)은 발광 소자(EL)에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편광 필름(PF)은 화소 어레이층(PAL) 상에 배치되어, 외부광 반사로 인한 시인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편광 필름(PF)은 선 편광판과 λ/4 판(Quarter-Wave Plate)과 같은 위상 지연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상 지연 필름은 화소 어레이층(PAL)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선 편광판은 위상 지연 필름과 커버 윈도우(1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LPM)는 기판(SUB)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LPM)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기 위한 광 흡수 부재,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 부재, 표시 패널(1300)의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 흡수 부재는 표시 패널(1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 흡수 부재는 광의 투과를 저지하여 광 흡수 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구성들, 예를 들어 표시 회로 보드(1310), 음향 발생 장치(510) 등이 표시 패널(1300)의 상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광 흡수 부재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 패널(13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는 고분자 수지 또는 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 부재는 완충 부재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 부재는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고, 열 전도성이 우수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패널 하부 부재(LPM)는 생략될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LPM)가 생략되는 경우, 표시 회로 보드(1310) 및 음향 발생 장치(510)는 기판(SUB)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100)는 편광 필름(PF) 상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300)의 상면을 보호할 수 있다.
표시 구동부(1320)는 연성 필름(1390) 상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300)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들과 전압들을 공급할 수 있다.
연성 필름(1390)의 일측은 기판(SUB)의 일측에 부착될 수 있고, 연성 필름(1390)의 타측은 표시 회로 보드(1310)의 일측에 부착될 수 있다. 연성 필름(1390)의 일측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이용하여 기판(SUB)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연성 필름(1390)의 타측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이용하여 표시 회로 보드(1310)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 회로 보드(1310)의 일면의 반대 면인 타면은 패널 하부 부재(LPM)와 마주할 수 있다.
음향 구동부(1330)는 표시 회로 보드(131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커넥터(1313)는 표시 회로 보드(1310)의 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넥터(1313)는 연성 회로 기판(1350)의 일단에 마련된 연결 단자에 연결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접착 부재(1610)에 의해 패널 하부 부재(LPM)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고, 표시 패널(13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표시 패널(1300)을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1610)는 압력 민감 점착제일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연성 회로 기판(1350)을 통해 음향 구동부(1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음향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및 제2 가지 전극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의 진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음향 발생 장치(510)는 인가된 전압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는 압전 물질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1300)을 진동시키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또는 압전 액추에이터(Piezoelectric Actuator)일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진동층(511), 제1 전극(512), 및 제2 전극(513)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층(511)은 제1 전극(512)에 인가된 구동 전압과 제2 전극(513)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라 변형되는 압전 소자일 수 있다. 이 경우, 진동층(511)은 PVDF(Poly Vinylidene Fluoride) 필름이나 PZT(Plumbum Ziconate Titanate(티탄산지르콘납)) 등의 압전체, 전기 활성 고분자(Electro Active Polyme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진동층(511)의 제조 온도가 높기 때문에, 제1 전극(512)과 제2 전극(513)은 녹는점이 높은 은(Ag) 또는 은(Ag)과 팔라듐(Pd)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512)과 제2 전극(513)이 은(Ag)과 팔라듐(Pd)의 합금으로 형성되는 경우, 은(Ag)의 함량이 팔라듐(Pd)의 함량보다 높을 수 있다.
진동층(511)은 제1 가지 전극(5122)과 제2 가지 전극(5132) 사이마다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층(511)은 제1 가지 전극(5122)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과 제2 가지 전극(5132)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 간의 차이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할 수 있다.
제1 전극(512)과 제2 전극(513)은 연성 회로 기판(570)의 패드들에 연결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570)의 패드들은 음향 발생 장치(510)의 일면 상에 노출된 제1 전극(512) 및 제2 전극(51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512)은 제1 줄기 전극(5121)과 제1 가지 전극(51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줄기 전극(5121)은 진동층(511)의 적어도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줄기 전극(5121)은 진동층(511)의 일부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줄기 전극(5121)은 진동층(51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지 전극(5122)은 제1 줄기 전극(5121)으로부터 분지될 수 있다. 제1 가지 전극(5122)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513)은 제2 줄기 전극(5131)과 제2 가지 전극(5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513)은 제1 전극(512)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513)은 제1 전극(512)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제2 줄기 전극(5131)은 진동층(511)의 적어도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줄기 전극(5121)은 진동층(511)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줄기 전극(5131)은 진동층(511)의 타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줄기 전극(5131)은 진동층(511)의 일부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2 줄기 전극(5131)은 진동층(51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지 전극(5132)은 제2 줄기 전극(5131)으로부터 분지될 수 있다. 제2 가지 전극(5132)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지 전극(5122)과 제2 가지 전극(5132)은 수직 방향(Z축 방향)에서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지 전극(5122)과 제2 가지 전극(5132)은 수직 방향(Z축 방향)에서 제1 가지 전극(5122), 제2 가지 전극(5132), 제1 가지 전극(5122), 제2 가지 전극(5132)의 순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가지 전극(5122)과 제2 가지 전극(5132)은 수평 방향(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서, 제1 가지 전극(5122)과 제1 가지 전극(5122)의 상부에 배치된 제2 가지 전극(5132)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이 상부 방향(↑)인 경우, 진동층(511)은 제2 가지 전극(5132)에 인접한 상부 영역에서 정극성을 가지며, 제1 가지 전극(5122)에 인접한 하부 영역에서 부극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가지 전극(5122)과 제1 가지 전극(5122)의 하부에 배치된 제2 가지 전극(5132)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이 하부 방향(↓)인 경우, 진동층(511)은 제1 가지 전극(5122)에 인접한 상부 영역에서 부극성을 가지며, 제2 가지 전극(5132)에 인접한 하부 영역에서 정극성을 가질 수 있다.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은 제1 가지 전극(5122)과 제2 가지 전극(5132)을 이용하여 진동층(511)에 전계를 가하는 폴링(Poling) 공정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도 7에서, 제1 가지 전극(5122)과 제1 가지 전극(5122)의 상부에 배치된 제2 가지 전극(5132)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이 상부 방향(↑)이고, 제1 가지 전극(5122)이 부극성의 구동 전압을 인가 받으며, 제2 가지 전극(5132)이 정극성의 구동 전압을 인가 받는 경우, 진동층(511)은 제1 힘(F1)에 따라 수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힘(F1)은 수축력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이 상부 방향(↑)이고, 제1 가지 전극(5122)이 정극성의 구동 전압을 인가 받으며, 제2 가지 전극(5132)이 부극성의 구동 전압을 인가 받는 경우, 진동층(511)은 제2 힘(F2)에 따라 팽창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힘(F2)은 신장력일 수 있다.
도 7과 다른 예를 들어, 제1 가지 전극(5122)과 제1 가지 전극(5122)의 상부에 배치된 제2 가지 전극(5132) 사이에 배치된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이 하부 방향(↓)이고, 제1 가지 전극(5122)이 부극성의 구동 전압을 인가 받으며, 제2 가지 전극(5132)이 정극성의 구동 전압을 인가 받는 경우, 진동층(511)은 신장력에 따라 팽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진동층(511)의 극성 방향이 하부 방향(↓)이고, 제1 가지 전극(5122)이 정극성의 구동 전압을 인가 받으며, 제2 가지 전극(5132)이 부극성의 구동 전압을 인가 받는 경우, 진동층(511)은 수축력에 따라 수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512)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과 제2 전극(513)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이 정극성 및 부극성으로 반복되는 경우, 진동층(511)은 수축과 팽창을 반복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진동층(511)의 수축과 팽창의 반복에 의하여 진동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의 진동층(511)이 진동하는 경우, 표시 패널(1300)은 응력에 의해 표시 패널(1300)의 두께 방향인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표시 패널(1300)은 음향 발생 장치(510)에 의해 진동함으로써,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하면과 측면들을 둘러싸는 보호층(5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층(519)은 절연 물질 또는 진동층(51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512), 제2 전극(513), 및 제1 전극(512)과 제2 전극(513)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진동층(511) 상에는 보호층(519)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519)은 진동층(511), 제1 전극(512), 및 제2 전극(513)을 둘러싸서 보호할 수 있으나, 생략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2의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8의 표시 장치는 도 3의 표시 장치와 음향 발생 장치(510)의 구성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1)는 표시 패널(1300)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측면을 하나 이상 구비한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는 표시 패널(1300)의 제1 및 제2 측면(1301, 1302)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는 표시 패널(130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 각각은 제1 및 제2 연성 회로 기판(1351, 1352) 각각을 통해 표시 회로 보드(1310) 상의 음향 구동부(1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압력 민감 접착제와 같은 접착 부재를 통해 표시 패널(13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발생 장치(510)는 표시 패널(1300)의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표시 패널(13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1300)은 복수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300)은 서로 수직 또는 평행하는 제1 내지 제4 측면(1301~1304)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300)의 제1 측면(1301)은 평면 상에서 표시 패널(1300)의 상 측면일 수 있고, 제2 측면(1302)은 제1 측면(1301)과 대응되는 하 측면일 수 있다. 표시 패널(1300)의 제3 측면(1303)은 평면 상에서 표시 패널(1300)의 좌 측면일 수 있고, 제4 측면(1304)은 제3 측면(1303)과 대응되는 우 측면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면(1301, 1302) 각각은 제3 및 제4 측면(1303, 1304) 각각과 수직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 각각은 표시 패널(1300)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측면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 발생 장치(520)는 제1 내지 제4 측면(521~524)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음향 발생 장치(530)는 제1 내지 제4 측면(531~5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20)의 제1, 제3, 및 제4 측면(521, 523, 524) 각각은 표시 패널(1300)의 제1, 제3, 및 제4 측면(1301, 1303, 1304)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530)의 제2 내지 제4 측면(522~524) 각각은 표시 패널(1300)의 제2 내지 제4 측면(1302~1304)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표시 패널(1300)의 복수의 측면 각각과 표시 패널(1300)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의 복수의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음향 발생 장치(510)의 복수의 측면 각각과 표시 패널(1300)의 복수의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의 오차가 10% 이내인 경우, 음향 발생 장치(510)의 복수의 측면 각각과 표시 패널(1300)의 복수의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 발생 장치(520)의 제1 측면(521)과 표시 패널(1300)의 제1 측면(1301) 사이의 제1 거리(d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30)의 제2 측면(532)과 표시 패널(1300)의 제2 측면(1302) 사이의 제2 거리(d2)는 동일할 수 있다(d1=d2). 제1 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의 제3 측면(523, 533)과 표시 패널(1300)의 제3 측면(1303) 사이의 제3 거리(d3), 및 제1 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의 제4 측면(524, 534)과 표시 패널(1300)의 제4 측면(1304) 사이의 제4 거리(d4)는 동일할 수 있다(d3=d4). 또한, 제1 및 제2 거리(d1, d2) 각각과 제3 및 제4 거리(d3, d4) 각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d1=d2=d3=d4).
제1 내지 제4 거리(d1~d4)가 동일함으로써, 제1 음향 발생 장치(520)의 제1, 제3, 및 제4 측면(521, 523, 524) 각각과, 제2 음향 발생 장치(530)의 제2 내지 제4 측면(522~524) 각각에서 발생한 진동들은 표시 패널(1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1301~1304) 각각에 동일한 시간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1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1301~1304) 각각에 도달한 진동들은 동일한 진폭과 위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1301~1304)에 도달한 후 다시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 각각으로 되돌아오는 진동들은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 각각에 동일한 시간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 각각에 도달한 진동들은 동일한 진폭과 위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1)는 제1 내지 제4 거리(d1~d4)에 따라 배치된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와 표시 패널(1300)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13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11)는 표시 패널(1300)의 복수의 진동 사이의 보강 간섭 및 상쇄 간섭을 최적화함으로써, 음향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저음 재생 대역을 개선하고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1)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와,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 사이의 공간을 포함한 음향 발생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영역의 제1 측면과 제3 측면의 길이의 비율은 표시 패널(1300)의 제1 측면(1301)과 제3 측면(1303)의 길이의 비율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음향 발생 영역의 제1 및 제3 측면 각각의 길이의 비율과, 표시 패널(1300)의 제1 및 제3 측면(1301, 1303) 각각의 길이의 비율 사이의 오차가 10% 이내인 경우, 음향 발생 영역의 제1 및 제3 측면 각각의 길이의 비율과, 표시 패널(1300)의 제1 및 제3 측면(1301, 1303) 각각의 길이의 비율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영역의 형상은 표시 패널(130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써, 음향 발생 영역의 복수의 측면과 표시 패널(1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1301~1304) 사이의 거리가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발생 영역의 모든 측면에서 표시 패널(1300)까지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써, 전 고조파 왜곡(Total Harmonic distortion, THD)을 최소화하고 표시 장치(11)의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거리(d1~d4) 각각은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 사이의 제5 거리(d5)보다 짧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 사이의 제5 거리(d5)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20)의 제1 측면(521)과 표시 패널(1300)의 제1 측면(1301) 사이의 제1 거리(d1)보다 길 수 있다(d5>d1).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 사이의 제5 거리(d5)는 제2 음향 발생 장치(530)의 제2 측면(532)과 표시 패널(1300)의 제2 측면(1302) 사이의 제2 거리(d2)보다 길 수 있다(d5>d2).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 사이의 제5 거리(d5)는 제1 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의 제3 측면(523, 533)과 표시 패널(1300)의 제3 측면(1303) 사이의 제3 거리(d3)보다 길 수 있다(d5>d3).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 사이의 제5 거리(d5)는 제1 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의 제4 측면(524, 534)과 표시 패널(1300)의 제4 측면(1304) 사이의 제4 거리(d4)보다 길 수 있다.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는 표시 패널(1300)과의 거리보다 더 이격됨으로써,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 상호 간의 진동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1)는 제1 내지 제4 거리(d1~d4) 보다 큰 제5 거리(d5)만큼 이격된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를 포함함으로써, 음향의 왜곡을 최소화하고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2의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9의 표시 장치는 도 3의 표시 장치와 음향 발생 장치(510)의 구성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2)는 표시 패널(1300) 및 음향 발생 장치(51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300)은 서로 수직 또는 평행하는 제1 내지 제4 측면(1301~1304)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표시 패널(1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1301~1304)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측면(511~514)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제3, 및 제4 측면(511, 513, 514) 각각과 표시 패널(1300)의 제1, 제3, 및 제4 측면(1301, 1303, 1304) 각각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제3, 및 제4 측면(511, 513, 514) 각각과 표시 패널(1300)의 제1, 제3, 및 제4 측면(1301, 1303, 1304) 각각 사이의 거리의 오차가 10% 이내인 경우,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제3, 및 제4 측면(511, 513, 514) 각각과 표시 패널(1300)의 제1, 제3, 및 제4 측면(1301, 1303, 1304) 각각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2 측면(512)은 표시 회로 보드(1310), 음향 구동부(1330), 및 연성 필름(1390) 중 적어도 하나와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측면(511)과 표시 패널(1300)의 제1 측면(1301) 사이의 제1 거리(d1)와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3 측면(513)과 표시 패널(1300)의 제3 측면(1303) 사이의 제3 거리(d3)는 동일할 수 있다(d1=d3).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3 측면(513)과 표시 패널(1300)의 제3 측면(1303) 사이의 제3 거리(d3)와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4 측면(514)과 표시 패널(1300)의 제4 측면(1304) 사이의 제4 거리(d4)는 동일할 수 있다(d3=d4). 따라서, 제1, 제3, 및 제4 거리(d1, d3, d4) 각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제3, 및 제4 거리(d1, d3, d4)가 동일함으로써,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제3, 및 제4 측면(511, 513, 514) 각각에서 발생한 진동들은 표시 패널(1300)의 제1, 제3, 및 제4 측면(1301, 1303, 1304) 각각에 동일한 시간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1300)의 제1, 제3, 및 제4 측면(1301, 1303, 1304) 각각에 도달한 진동들은 동일한 진폭과 위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300)의 제1, 제3, 및 제4 측면(1301, 1303, 1304)에 도달한 후 다시 음향 발생 장치(510)로 되돌아오는 진동들은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제3, 및 제4 측면(511, 513, 514) 각각에 동일한 시간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제3, 및 제4 측면(511, 513, 514) 각각에 도달한 진동들은 동일한 진폭과 위상을 가질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2 측면(512)과 표시 패널(1300)의 제2 측면(1302) 사이의 제2 거리(d2)는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측면(511)과 표시 패널(1300)의 제1 측면(1301) 사이의 제1 거리(d1)보다 길 수 있다. 제2 거리(d2)는 표시 장치(12)의 배터리, 표시 회로 보드(1310), 음향 구동부(1330), 및 연성 필름(1390) 등의 수용 공간에 의하여 제1 거리(d1)보다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2)는 제1 내지 제4 거리(d1~d4)에 따라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510) 및 표시 패널(1300)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12)의 슬림화를 유지하는 동시에 음향의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2의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11은 도 2의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2는 도 2의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13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주파수에 따른 음압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 내지 12 각각의 표시 장치(13, 14, 15)는 동일한 크기의 음향 발생 장치(510)의 위치를 달리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서, 표시 장치(13)는 제1 방향(X축 방향)의 장축을 갖는 음향 발생 장치(510) 및 제1 방향(X축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Y축 방향)의 장축을 갖는 표시 패널(13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300)은 서로 수직 또는 평행하는 제1 내지 제4 측면(1301~1304)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표시 패널(1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1301~1304)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측면(511~514)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제3, 및 제4 측면(511, 513, 514) 각각과 표시 패널(1300)의 제1, 제3, 및 제4 측면(1301, 1303, 1304) 각각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2 측면(512)은 표시 회로 보드(1310), 음향 구동부(1330), 및 연성 필름(1390) 중 적어도 하나와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측면(511)과 표시 패널(1300)의 제1 측면(1301) 사이의 제1 거리(d1)와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3 측면(513)과 표시 패널(1300)의 제3 측면(1303) 사이의 제3 거리(d3)는 동일할 수 있다(d1=d3).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3 측면(513)과 표시 패널(1300)의 제3 측면(1303) 사이의 제3 거리(d3)와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4 측면(514)과 표시 패널(1300)의 제4 측면(1304) 사이의 제4 거리(d4)는 동일할 수 있다(d3=d4). 따라서, 제1, 제3, 및 제4 거리(d1, d3, d4) 각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제3, 및 제4 거리(d1, d3, d4)가 동일함으로써,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제3, 및 제4 측면(511, 513, 514) 각각에서 발생한 진동들은 표시 패널(1300)의 제1, 제3, 및 제4 측면(1301, 1303, 1304) 각각에 동일한 시간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1300)의 제1, 제3, 및 제4 측면(1301, 1303, 1304) 각각에 도달한 진동들은 동일한 진폭과 위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300)의 제1, 제3, 및 제4 측면(1301, 1303, 1304)에 도달한 후 다시 음향 발생 장치(510)로 되돌아오는 진동들은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제3, 및 제4 측면(511, 513, 514) 각각에 동일한 시간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제3, 및 제4 측면(511, 513, 514) 각각에 도달한 진동들은 동일한 진폭과 위상을 가질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2 측면(512)과 표시 패널(1300)의 제2 측면(1302) 사이의 제2 거리(d2)는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측면(511)과 표시 패널(1300)의 제1 측면(1301) 사이의 제1 거리(d1)보다 길 수 있다.
도 11에서, 표시 장치(14)는 제1 방향(X축 방향)의 장축을 갖는 음향 발생 장치(510) 및 제1 방향(X축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Y축 방향)의 장축을 갖는 표시 패널(13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300)은 서로 수직 또는 평행하는 제1 내지 제4 측면(1301~1304)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표시 패널(1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1301~1304)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측면(511~514)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3 및 제4 측면(513, 514) 각각과 표시 패널(1300)의 제3 및 제4 측면(1303, 1304) 각각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2 측면(512)은 표시 회로 보드(1310), 음향 구동부(1330), 및 연성 필름(1390) 중 적어도 하나와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3 측면(513)과 표시 패널(1300)의 제3 측면(1303) 사이의 제3 거리(d3)와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4 측면(514)과 표시 패널(1300)의 제4 측면(1304) 사이의 제4 거리(d4)는 동일할 수 있다(d3=d4).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2 측면(512)과 표시 패널(1300)의 제2 측면(1302) 사이의 제2 거리(d2)는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측면(511)과 표시 패널(1300)의 제1 측면(1301) 사이의 제1 거리(d1)보다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표시 장치(14)에서의 제2 거리(d2)는 도 10의 표시 장치(13)에서의 제2 거리(d2)보다 짧을 수 있다. 도 11의 표시 장치(14)에서의 제2 거리(d2)와 제1 거리(d1)의 차이는 도 10의 표시 장치(13)에서의 제2 거리(d2)와 제1 거리(d1)의 차이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도 11의 표시 장치(14)의 음향 발생 장치(510)는 도 10의 표시 장치(13)의 음향 발생 장치(510)보다 표시 패널(1300)의 중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1의 표시 장치(14)는 도 10의 표시 장치(13)보다 표시 패널(1300)을 진동판의 역할로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2에서, 표시 장치(15)는 제2 방향(Y축 방향)의 장축을 갖는 음향 발생 장치(510) 및 제2 방향(Y축 방향)의 장축을 갖는 표시 패널(13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300)은 서로 수직 또는 평행하는 제1 내지 제4 측면(1301~1304)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표시 패널(1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1301~1304)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측면(511~514)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측면(511)과 표시 패널(1300)의 제1 측면(1301) 사이의 제1 거리(d1)와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2 측면(512)과 표시 패널(1300)의 제2 측면(1302) 사이의 제2 거리(d2)는 동일할 수 있다(d1=d2).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3 측면(513)과 표시 패널(1300)의 제3 측면(1303) 사이의 제3 거리(d3)와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4 측면(514)과 표시 패널(1300)의 제4 측면(1304) 사이의 제4 거리(d4)는 동일할 수 있다(d3=d4). 또한, 제1 및 제2 거리(d1, d2) 각각과 제3 및 제4 거리(d3, d4) 각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거리(d1, d2) 각각은 제3 및 제4 거리(d3, d4)보다 클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 내지 도 12를 도 13에 결부하면, 도 12에 도시된 표시 장치(15)의 저음역대 음압 레벨(SPL)은 도 10에 도시된 표시 장치(13) 및 도 11에 도시된 표시 장치(14)의 저음역대 음압 레벨(SPL)보다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400Hz 이하의 음압 레벨(SPL)을 비교하면, 도 12의 표시 장치(15)의 음압 레벨(SPL)이 도 10 및 도 11 각각의 표시 장치(13, 14)의 음압 레벨(SPL)보다 높을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표시 장치(15)는 도 10 및 도 11 각각의 표시 장치(13, 14)보다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측면(511)과 제3 측면(513)의 길이의 비율이 표시 패널(1300)의 제1 측면(1301)과 제3 측면(1303)의 길이의 비율과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표시 장치(15)는 음향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저음 재생 대역을 개선하고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도 2의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음향 발생 장치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주파수에 따른 음압 레벨(SPL)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음향 발생 장치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주파수에 따른 전 고조파 왜곡률(Total Harmonic distortion, THD)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6)는 서로 다른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음향 발생 장치(510)를 포함하는 제1 내지 제3 표시 장치(16_1, 16_2, 16_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표시 장치(16_1, 16_2, 16_3) 각각의 음향 발생 장치(510)의 크기, 표시 패널(1300)의 크기, 및 제1 거리(d1)와 제3 거리(d3)의 비율(Gap)은 하기의 [표 1]과 같다.
표시 패널
(1300)
제1 표시 장치(16_1)의 음향 발생 장치(510) 제2 표시 장치(16_2)의 음향 발생 장치(510) 제3 표시 장치(16_3)의 음향 발생 장치(510)
b1(mm) 73(b1) a1(mm) 25 15 10
b2(mm) 156(b2) a2(mm) 20 35 30
- d1(mm) 68 70 73
- d3(mm) 24 21 21
b2/b1 2.14 d1/d3 2.83 3.33 3.47
도 14를 도 15에 결부하면, 제3 표시 장치(16_3)의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1 내지 제3 영역(A1~A3)에서 음압 레벨(SPL)이 급격히 하강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표시 장치(16_1, 16_2) 각각의 음향 발생 장치(510)는 비슷한 수준의 음압 레벨(SPL)을 가질 수 있다.도 14를 도 16에 결부하면, 제3 표시 장치(16_3)의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4 영역(A4)에서 전 고조파 왜곡률(THD)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제2 표시 장치(16_2)의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5 영역(A5)에서 전 고조파 왜곡률(THD)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제1 표시 장치(16_1)의 제1 거리(d1)와 제3 거리(d3)의 비율(d1/d3)은 표시 패널(1300)의 단변과 장변의 비율(b2/b1)과 가장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표시 장치(16_1)는 제2 및 제3 표시 장치(16_2, 16_3)보다 개선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20)는 상부 세트 커버(2110), 하부 세트 커버(2120), 표시 패널(2300), 연성 필름(2321), 표시 구동 회로(2322), 표시 회로 보드(2340), 케이블(2350), 제어 회로 보드(2360), 타이밍 제어 회로(2371),, 음향 구동부(2372), 및 음향 발생 장치(510)를 포함한다.
상부 세트 커버(2110)는 표시 장치(20) 상면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상부 세트 커버(2110)는 표시 패널(2300)의 표시 영역을 제외한 비표시 영역을 덮을 수 있다. 하부 세트 커버(2120)는 표시 패널(2300) 및 음향 발생 장치(5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세트 커버(2120)는 연성 필름(2321)이 구부러져 표시 회로 보드(2340), 케이블(2350), 제어 회로 보드(2360)가 표시 패널(23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 표시 회로 보드(2340), 케이블(2350), 제어 회로 보드(2360)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2300)은 제1 기판(2301)과 제2 기판(23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2302)은 제1 기판(2301)의 일면과 마주할 수 있다. 제1 기판(2301)과 제2 기판(2302)은 리지드(Rigid)하거나 플렉서블(Flexible)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2301)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판(2302)은 유리, 플라스틱, 봉지 필름, 또는 배리어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기판(2302)은 생략될 수 있다.
표시 패널(2300)은 제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제1 전극, 무기 반도체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무기 발광 표시 패널, 또는 제1 전극, 양자점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연성 필름(2321) 각각의 일측은 표시 패널(2300)의 제1 기판(2301)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타측은 표시 회로 보드(2340)의 일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2301)의 크기가 제2 기판(2302)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제1 기판(2301)의 일측은 제2 기판(2302)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연성 필름(2321)은 제2 기판(2302)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기판(2301)의 일측에 부착될 수 있다. 복수의 연성 필름(2321) 각각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이용하여 제1 기판(2301)의 일면과 표시 회로 보드(2340)의 일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복수의 연성 필름(2321) 각각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또는 칩-온 필름(Chip on Film)과 같은 플렉서블 필름(Flexible Film)일 수 있다. 연성 필름(2321)은 제1 기판(2301)의 하부로 벤딩(Bending)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 회로 보드(2340), 케이블(2350), 및 제어 회로 보드(2360)는 제1 기판(2301)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표시 구동 회로(2322) 각각은 복수의 연성 필름(2321) 각각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구동 회로(2322)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표시 구동 회로(2322) 각각은 타이밍 제어 회로(2371)의 데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들로 변환하여 연성 필름(2321)을 통해 표시 패널(2300)의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할 수 있다.
표시 패널(2300)은 데이터 라인들과 교차하는 스캔 라인들, 및 데이터 라인들과 스캔 라인들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들에 배치되는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캔 라인들은 표시 패널(2300)에 형성되는 스캔 구동부로부터 스캔 신호들을 공급받을 수 있다. 스캔 구동부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타이밍 제어 회로(2371)의 스캔 제어 신호에 따라 스캔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화소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라인과 적어도 하나의 스캔 라인에 접속되며, 스캔 라인에 스캔 신호가 공급되는 경우 데이터 라인의 데이터 전압을 공급 받는다.
표시 회로 보드(2340) 각각은 케이블(2350)을 통해 제어 회로 보드(2360)에 연결될 수 있다. 표시 회로 보드(2340) 각각은 케이블(2350)에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2351)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회로 보드(2340)는 연성 인쇄 회로 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인쇄 회로 보드(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케이블(2350)은 플렉서블 케이블(Flexible Cable)일 수 있다.
제어 회로 보드(2360)는 케이블(2350)을 통해 표시 회로 보드(23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회로 보드(2360)는 케이블(2350)에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23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 보드(2360)는 연성 인쇄 회로 보드 또는 인쇄 회로 보드일 수 있다.
타이밍 제어 회로(2371)는 제어 회로 보드(236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 회로(2371)는 집적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 회로(2371)는 시스템 회로 보드의 시스템 온 칩으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타이밍 신호들을 입력 받으며, 타이밍 신호들에 따라 표시 구동 회로(2322)들의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음향 구동부(2372)는 제어 회로 보드(236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 구동부(2372)는 집적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음향 구동부(2372)는 시스템 회로 보드부터 음향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음향 구동부(2372)는 디지털 데이터인 음향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인 음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음향 구동부(2372)는 음향 신호를 음향 발생 장치(510)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1 기판(2301)의 일면의 반대 면인 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음향 구동부(2372)의 음향 신호에 따라 표시 패널(2300)을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인가된 전압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는 압전 물질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2300)을 진동시키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또는 압전 액추에이터(Piezoelectric Actuator)일 수 있다.
도 18은 도 17의 연성 필름들이 펼쳐진 경우,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19는 도 17의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며, 도 20은 도 19의 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20을 참조하면, 음향 발생 장치(510)는 표시 패널(230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고, 연성 회로 기판(2352)을 통해 제어 회로 보드(2360) 상의 음향 구동부(23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압력 민감 접착제와 같은 접착 부재(2380)를 통해 표시 패널(23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발생 장치(510)는 표시 패널(2300)의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표시 패널(23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2300)은 복수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2300)은 서로 수직 또는 평행하는 제1 내지 제4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300)의 제1 측면은 평면 상에서 표시 패널(2300)의 상 측면일 수 있고, 제2 측면은 제1 측면과 대응되는 하 측면일 수 있다. 표시 패널(2300)의 제3 측면은 평면 상에서 표시 패널(2300)의 좌 측면일 수 있고, 제4 측면은 제3 측면과 대응되는 우 측면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면 각각은 제3 및 제4 측면 각각과 수직일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표시 패널(2300)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발생 장치(510)의 형상은 표시 패널(2300)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발생 장치(510)는 표시 패널(2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측면(511~514)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의 복수의 측면 각각과 음향 발생 장치(510)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표시 패널(2300)의 복수의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내지 제4 측면(511~514) 각각과 표시 패널(2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측면(511)과 표시 패널(2300)의 제1 측면 사이의 제1 거리(d1)와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2 측면(512)과 표시 패널(2300)의 제2 측면 사이의 제2 거리(d2)는 동일할 수 있다(d1=d2).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3 측면(513)과 표시 패널(2300)의 제3 측면 사이의 제3 거리(d3)와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4 측면(514)과 표시 패널(2300)의 제4 측면 사이의 제4 거리(d4)는 동일할 수 있다(d3=d4). 또한, 제1 및 제2 거리(d1, d2) 각각과 제3 및 제4 거리(d3, d4) 각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d1=d2=d3=d4).
제1 내지 제4 거리(d1~d4)가 동일함으로써,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내지 제4 측면(511~514) 각각에서 발생한 진동들은 표시 패널(2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 각각에 동일한 시간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2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 각각에 도달한 진동들은 동일한 진폭과 위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2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에 도달한 후 다시 음향 발생 장치(510)로 되돌아오는 진동들은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내지 제4 측면(511~514) 각각에 동일한 시간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내지 제4 측면(511~514) 각각에 도달한 진동들은 동일한 진폭과 위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는 제1 내지 제4 거리(d1~d4)에 따라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510) 및 표시 패널(2300)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23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2300)의 복수의 진동 사이의 보강 간섭 및 상쇄 간섭을 최적화함으로써, 음향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저음 재생 대역을 개선하고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측면(511)과 제1 측면(511)에 수직한 제3 측면(513)의 길이의 비율은,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측면(511)과 대응되는 표시 패널(2300)의 제1 측면과 제1 측면(1301)에 수직한 제3 측면의 길이의 비율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의 형상은 표시 패널(230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써,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내지 제4 측면(511~514)과 표시 패널(2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 사이의 거리가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발생 장치(510)의 모든 측면에서 표시 패널(2300)까지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써, 전 고조파 왜곡(Total Harmonic distortion, THD)을 최소화하고 표시 장치(10)의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성 필름(2321)은 표시 패널(2300)의 하부로 구부러질 수 있고, 표시 회로 보드(2340)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 회로 보드(2340)와 제어 회로 보드(2360)는 표시 패널(23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케이블(2350)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압력 민감 점착제와 같은 접착 부재에 의해 표시 패널(23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연성 회로 기판(2352)을 통해 제어 회로 보드(23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2352)은 연성 인쇄 회로 보드 또는 플렉서블 케이블일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2352)의 일측은 제1 패드와 제2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2352)의 제1 패드는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1 전극에 연결되고, 연성 회로 기판(2352)의 제2 패드는 음향 발생 장치(510)의 제2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2352)의 타측은 제어 회로 보드(2360)의 커넥터(2353)에 연결되기 위한 접속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연성 회로 기판(2352)의 접속부에 의해 제어 회로 보드(2360)의 커넥터(2353)에 연결될 수 있다.
타이밍 제어 회로(2371) 및 음향 구동부(2372)는 제어 회로 보드(23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음향 구동부(2372)는 제어 회로 보드(2360)가 아닌 시스템 회로 보드, 전원 회로 보드, 또는 음향 회로 보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 회로 보드는 다른 집적 회로 없이 음향 구동부(2372) 만을 실장할 수 있다.
음향 구동부(2372)는 음향 신호들을 디지털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er, DSP),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인 구동 전압들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Digital Analog Converter, DAC),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구동 전압들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Amplifier, AMP)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구동부(2372)는 스테레오 신호들에 따라 음향 발생 장치(510)를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 전압과 제2 구동 전압을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음향 구동부(2372)로부터 제1 구동 전압과 제2 구동 전압을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1 구동 전압과 제2 구동 전압에 따라 표시 패널(2300)을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표시 패널(2300)은 제1 기판(2301), 제2 기판(2302), 화소 어레이층(2303), 커버 윈도우(2304), 및 방열 필름(230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2302)은 제1 기판(2301)의 일면과 마주할 수 있다. 화소 어레이층(2303)은 제1 기판(2301)과 제2 기판(23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어레이층(2303)의 설명은 도 5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커버 윈도우(2304)는 제2 기판(2302) 상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2300)의 상면을 보호할 수 있다.
방열 필름(2305)은 제1 기판(2301)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방열 필름(2305)의 하면에 배치되어 음향 발생 장치(510)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 필름(2305)은 열 전도율이 높은 그라파이트(Graphite), 은(Ag), 구리(Cu), 또는 알루미늄(Al)과 같은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은 도 17의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21)는 표시 패널(2300)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측면을 하나 이상 구비한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는 표시 패널(2300)의 제1 및 제2 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는 표시 패널(230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 각각은 연성 회로 기판(2352)을 통해 제어 회로 보드(2360) 상의 음향 구동부(23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압력 민감 접착제와 같은 접착 부재를 통해 표시 패널(23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발생 장치(510)는 표시 패널(2300)의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표시 패널(23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2300)은 복수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2300)은 서로 수직 또는 평행하는 제1 내지 제4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300)의 제1 측면은 평면 상에서 표시 패널(2300)의 상 측면일 수 있고, 제2 측면은 제1 측면과 대응되는 하 측면일 수 있다. 표시 패널(2300)의 제3 측면은 평면 상에서 표시 패널(2300)의 좌 측면일 수 있고, 제4 측면은 제3 측면과 대응되는 우 측면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면 각각은 제3 및 제4 측면 각각과 수직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 각각은 표시 패널(2300)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측면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 발생 장치(520)는 제1 내지 제4 측면(521~524)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음향 발생 장치(530)는 제1 내지 제4 측면(531~5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20)의 제1 내지 제3 측면(521~523) 각각은 표시 패널(2300)의 제1 내지 제3 측면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530)의 제1, 제2, 및 제4 측면(521, 522, 524) 각각은 표시 패널(2300)의 제1, 제2, 및 제4 측면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표시 패널(2300)의 복수의 측면 각각과 표시 패널(2300)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의 복수의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의 제1 측면(521, 531)과 표시 패널(2300)의 제1 측면 사이의 제1 거리(d1), 및 제1 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의 제2 측면(522, 532)과 표시 패널(2300)의 제2 측면 사이의 제2 거리(d2)는 동일할 수 있다(d1=d2). 제1 음향 발생 장치(520)의 제3 측면(523)과 표시 패널(2300)의 제3 측면 사이의 제3 거리(d3),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30)의 제4 측면(534)과 표시 패널(2300)의 제4 측면 사이의 제4 거리(d4)는 동일할 수 있다(d3=d4). 또한, 제1 및 제2 거리(d1, d2) 각각과 제3 및 제4 거리(d3, d4) 각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d1=d2=d3=d4).
제1 내지 제4 거리(d1~d4)가 동일함으로써, 제1 음향 발생 장치(520)의 제1 내지 제3 측면(521~523) 각각과, 제2 음향 발생 장치(530)의 제1, 제2, 및 제4 측면(521, 522, 524) 각각에서 발생한 진동들은 표시 패널(2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 각각에 동일한 시간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2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 각각에 도달한 진동들은 동일한 진폭과 위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2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에 도달한 후 다시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 각각으로 되돌아오는 진동들은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 각각에 동일한 시간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 각각에 도달한 진동들은 동일한 진폭과 위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21)는 제1 내지 제4 거리(d1~d4)에 따라 배치된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와 표시 패널(2300)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23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21)는 표시 패널(2300)의 복수의 진동 사이의 보강 간섭 및 상쇄 간섭을 최적화함으로써, 음향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저음 재생 대역을 개선하고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21)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와,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 사이의 공간을 포함한 음향 발생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영역의 제1 측면과 제3 측면의 길이의 비율은 표시 패널(2300)의 제1 측면과 제3 측면의 길이의 비율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영역의 형상은 표시 패널(230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써, 음향 발생 영역의 복수의 측면과 표시 패널(2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 사이의 거리가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발생 영역의 모든 측면에서 표시 패널(2300)까지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써, 전 고조파 왜곡(Total Harmonic distortion, THD)을 최소화하고 표시 장치(21)의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거리(d1~d4) 각각은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 사이의 제5 거리(d5)보다 짧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 사이의 제5 거리(d5)는 제1 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의 제1 측면(521, 531)과 표시 패널(2300)의 제1 측면 사이의 제1 거리(d1)보다 길 수 있다(d5>d1).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 사이의 제5 거리(d5)는 제1 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의 제2 측면(522, 532)과 표시 패널(2300)의 제2 측면 사이의 제2 거리(d2)보다 길 수 있다(d5>d2).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 사이의 제5 거리(d5)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20)의 제3 측면(523)과 표시 패널(2300)의 제3 측면 사이의 제3 거리(d3)보다 길 수 있다(d5>d3).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 사이의 제5 거리(d5)는 제2 음향 발생 장치(530)의 제4 측면(534)과 표시 패널(2300)의 제4 측면 사이의 제4 거리(d4)보다 길 수 있다.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는 표시 패널(2300)과의 거리보다 더 이격됨으로써,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 상호 간의 진동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21)는 제1 내지 제4 거리(d1~d4) 보다 큰 제5 거리(d5)만큼 이격된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20, 530)를 포함함으로써, 음향의 왜곡을 최소화하고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2는 도 17의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2의 표시 장치는 도 19의 표시 장치와 음향 발생 장치(510)의 구성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22)는 표시 패널(2300)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측면을 하나 이상 구비한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는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540~5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540~570) 각각은 표시 패널(2300)의 제1 내지 제4 모서리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540~570) 각각은 제1 방향(X축 방향) 또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540~570)는 표시 패널(230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540~570) 각각은 연성 회로 기판(2352)을 통해 제어 회로 보드(2360) 상의 음향 구동부(23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압력 민감 접착제와 같은 접착 부재를 통해 표시 패널(23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발생 장치(510)는 표시 패널(2300)의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진동함으로써, 표시 패널(2300)을 진동시킬 수 있다.
표시 패널(2300)은 복수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2300)은 서로 수직 또는 평행하는 제1 내지 제4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300)의 제1 측면은 평면 상에서 표시 패널(2300)의 상 측면일 수 있고, 제2 측면은 제1 측면과 대응되는 하 측면일 수 있다. 표시 패널(2300)의 제3 측면은 평면 상에서 표시 패널(2300)의 좌 측면일 수 있고, 제4 측면은 제3 측면과 대응되는 우 측면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면 각각은 제3 및 제4 측면 각각과 수직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540~570) 각각은 표시 패널(2300)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측면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40, 550) 각각의 제1 측면은 표시 패널(2300)의 제1 측면에 대응될 수 있다. 제3 및 제4 음향 발생 장치(560, 570) 각각의 제2 측면은 표시 패널(2300)의 제2 측면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및 제3 음향 발생 장치(540, 560) 각각의 제3 측면은 표시 패널(2300)의 제3 측면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및 제4 음향 발생 장치(550, 570) 각각의 제4 측면은 표시 패널(2300)의 제4 측면에 대응될 수 있다.
표시 패널(2300)의 복수의 측면 각각과 표시 패널(2300)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540~570)의 복수의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540, 550)의 제1 측면과 표시 패널(2300)의 제1 측면 사이의 제1 거리(d1), 및 제3 또는 제4 음향 발생 장치(560, 570)의 제2 측면과 표시 패널(2300)의 제2 측면 사이의 제2 거리(d2)는 동일할 수 있다(d1=d2). 제1 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540, 560)의 제3 측면과 표시 패널(2300)의 제3 측면 사이의 제3 거리(d3), 및 제2 또는 제4 음향 발생 장치(550, 570)의 제4 측면과 표시 패널(2300)의 제4 측면 사이의 제4 거리(d4)는 동일할 수 있다(d3=d4). 또한, 제1 및 제2 거리(d1, d2) 각각과 제3 및 제4 거리(d3, d4) 각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d1=d2=d3=d4).
제1 내지 제4 거리(d1~d4)가 동일함으로써,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540~570)에서 발생한 진동들은 표시 패널(2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 각각에 동일한 시간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2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 각각에 도달한 진동들은 동일한 진폭과 위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2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에 도달한 후 다시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540~570)로 되돌아오는 진동들은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540~570)에 동일한 시간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540~570)에 도달한 진동들은 동일한 진폭과 위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22)는 제1 내지 제4 거리(d1~d4)에 따라 배치된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540~570)와 표시 패널(2300)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23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22)는 표시 패널(2300)의 복수의 진동 사이의 보강 간섭 및 상쇄 간섭을 최적화함으로써, 음향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저음 재생 대역을 개선하고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22)는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540~570)와,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540~570) 사이의 공간을 포함한 음향 발생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영역의 제1 측면과 제3 측면의 길이의 비율은 표시 패널(2300)의 제1 측면과 제3 측면의 길이의 비율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영역의 형상은 표시 패널(230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써, 음향 발생 영역의 복수의 측면과 표시 패널(2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 사이의 거리가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발생 영역의 모든 측면에서 표시 패널(2300)까지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써, 전 고조파 왜곡(Total Harmonic distortion, THD)을 최소화하고 표시 장치(22)의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3은 도 17의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3의 표시 장치는 도 19의 표시 장치와 음향 발생 장치(510)의 구성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23)는 복수의 측면을 갖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80), 및 제1 음향 발생 장치(580)를 이격되게 둘러싸고, 표시 패널(2300)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측면을 갖는 제2 음향 발생 장치(5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590)는 표시 패널(2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측면(591~59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590)의 복수의 측면 각각과 제2 음향 발생 장치(590)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표시 패널(2300)의 복수의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590)의 제1 내지 제4 측면(591~594) 각각과 표시 패널(2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음향 발생 장치(590)의 제1 측면(591)과 표시 패널(2300)의 제1 측면 사이의 제1 거리(d1)와 제2 음향 발생 장치(590)의 제2 측면(592)과 표시 패널(2300)의 제2 측면 사이의 제2 거리(d2)는 동일할 수 있다(d1=d2). 제2 음향 발생 장치(590)의 제3 측면(593)과 표시 패널(2300)의 제3 측면 사이의 제3 거리(d3)와 제2 음향 발생 장치(590)의 제4 측면(594)과 표시 패널(2300)의 제4 측면 사이의 제4 거리(d4)는 동일할 수 있다(d3=d4). 또한, 제1 및 제2 거리(d1, d2) 각각과 제3 및 제4 거리(d3, d4) 각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d1=d2=d3=d4).
제1 내지 제4 거리(d1~d4)가 동일함으로써, 제2 음향 발생 장치(590)의 제1 내지 제4 측면(591~594) 각각에서 발생한 진동들은 표시 패널(2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 각각에 동일한 시간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2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 각각에 도달한 진동들은 동일한 진폭과 위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2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에 도달한 후 다시 제2 음향 발생 장치(590)로 되돌아오는 진동들은 제2 음향 발생 장치(590)의 제1 내지 제4 측면(591~594) 각각에 동일한 시간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2 음향 발생 장치(590)의 제1 내지 제4 측면(591~594) 각각에 도달한 진동들은 동일한 진폭과 위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23)는 제1 내지 제4 거리(d1~d4)에 따라 배치된 제2 음향 발생 장치(590) 및 표시 패널(2300)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23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23)는 표시 패널(2300)의 복수의 진동 사이의 보강 간섭 및 상쇄 간섭을 최적화함으로써, 음향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저음 재생 대역을 개선하고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음향 발생 장치(590)의 제1 측면(591)과 제1 측면(591)에 수직한 제3 측면(593)의 길이의 비율은, 제2 음향 발생 장치(590)의 제1 측면(591)과 대응되는 표시 패널(2300)의 제1 측면과 제1 측면(1301)에 수직한 제3 측면의 길이의 비율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590)의 형상은 표시 패널(230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써, 제2 음향 발생 장치(590)의 제1 내지 제4 측면(591~594)과 표시 패널(2300)의 제1 내지 제4 측면 사이의 거리가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음향 발생 장치(590)의 모든 측면에서 표시 패널(2300)까지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써, 전 고조파 왜곡(Total Harmonic distortion, THD)을 최소화하고 표시 장치(23)의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 발생 장치(580)는 평면 상에서 폐루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590)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80)를 이격되게 둘러싸면서 폐루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80)의 평면 상 폭(d6)과 제2 음향 발생 장치(590)의 평면 상 폭(d7)은 동일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80, 590)는 독립적으로 구동됨으로써, 서로의 진동을 보완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23)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80, 590)를 포함함으로써, 전 고조파 왜곡(THD)을 최소화하고 표시 장치(23)의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30)는 기판(3110), 원형 표시부(3120), 구동 회로부(3130), 스캔 구동부(3140), 구동 전원 공급 라인(3150), 및 캐소드 전원 공급 라인(3160)을 포함한다.
기판(3110)은 원호부(3111) 및 구동 회로 접속부(31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3110)은 플렉서블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원호부(3111)는 원형 표시부(31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지름을 갖는 원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동 회로 접속부(3113)는 원호부(31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구동 회로 접속부(3113)는 구동 회로부(3130), 구동 패드부(3114) 및 복수의 링크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회로 접속부(3113)는 구동 패드부(3114)를 통해 표시 구동부(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다.
기판(3110)은 터치 회로 접속부(3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회로 접속부(3115)는 원호부(311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터치 회로 접속부(3115)는 터치 패드부(3116)를 통해 표시 장치(30)의 터치 구동부(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다.
기판(3110)은 지지 기판(3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기판(3100)은 기판(31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기판(3110)을 평면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지지 기판(3100)은 기판(3110)의 원호부(3111)를 둘러싸는 원호부(3101)를 포함할 수 있다.
원형 표시부(3120)는 기판(3110)의 원호부(3111) 상에 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원형 표시부(3120)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호부(3111)의 반지름보다 작은 반지름을 가질 수 있다. 원형 표시부(3120)는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더미 화소 영역(DM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더미 화소 영역(DMA)은 표시 영역(DA)의 원주를 따라 배치되어 표시 영역(DA)의 최외곽에 형성된 화소들을 감쌀 수 있다. 더미 화소 영역(DMA)은 복수의 더미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회로부(3130)는 구동 패드부(3114)를 통해 표시 구동부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 제어 신호, 및 구동 전압을 이용하여 원형 표시부(3120)의 표시 영역(DA)에 형성된 복수의 화소를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원형 표시부(3120)의 표시 영역(DA)은 구동 회로부(3130)에 의해 구동되어 소정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캔 구동부(3140)는 원형 표시부(3120)의 둘레를 따라 원호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의 스캔 라인에 접속될 수 있다. 스캔 구동부(3140)는 구동 패드부(3114)와 스캔 제어 링크 라인들을 통해 표시 구동부로부터 공급되는 스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스캔 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스캔 구동부(3140)는 스캔 펄스를 복수의 스캔 라인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캔 구동부(3140)는 원형 표시부(3120)의 좌측 둘레 또는 우측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스캔 라인 각각의 일단 또는 타단에 스캔 펄스를 공급할 수 있다.
구동 전원 공급 라인(3150)은 화소 구동 전원을 복수의 화소 전원 라인에 공급할 수 있다. 구동 전원 공급 라인(3150)은 구동 회로부(3130)로부터 데이터 라인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의 공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화소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동 전원 공급 라인(3150)은 복수의 구동 전원 링크 라인 각각을 통해 표시 영역(DA)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복수의 화소 전원 라인 각각의 하측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 전원 공급 라인(3150)은 기판(3110) 상에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원주 라인(3151), 제1 및 제2 숄더 라인(3153, 3155)으로 구분될 수 있다. 원주 라인(3151)은 구동 회로 접속부(3113)에 인접한 원형 표시부(3120)의 일측부를 제외한 나머지 원형 표시부(1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 숄더 라인(3153)은 구동 회로 접속부(3113)에 인접한 원주 라인(3151)의 일측 끝단과 구동 패드부(3114)의 제1 구동 전원 패드 사이에 일정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숄더 라인(3153)은 원주 라인(3151)의 일측 끝단을 제1 구동 전원 패드에 연결할 수 있다.
제2 숄더 라인(3155)은 구동 회로 접속부(3113)에 인접한 원주 라인(3151)의 타측 끝단과 구동 패드부(3114)의 제2 구동 전원 패드 사이에 일정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숄더 라인(3155)은 원주 라인(3151)의 타측 끝단을 상기 제2 구동 전원 패드에 연결할 수 있다.
캐소드 전원 공급 라인(3160)은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지도록 원형 표시부(3120)의 둘레를 따라 구동 전원 공급 라인(3150)과 원형 표시부(3120) 사이의 기판(3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캐소드 전원 공급 라인(3160)의 양 끝단은 구동 회로 접속부(3113)에 형성된 구동 패드부(3114)의 캐소드 전원 패드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소드 전원 공급 라인(3160)은 구동 전원 공급 라인(315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면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5는 도 24의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음향 발생 장치(510)는 지지 기판(3100)의 하면에 배치되어 지지 기판(3100) 및 기판(3110)을 진동시킬 수 있다. 지지 기판(3100) 및 기판(3110)은 진동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압력 민감 접착제와 같은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지지 기판(3100)의 하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발생 장치(510)는 인가된 전압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는 압전 물질을 이용하여 지지 기판(3100)을 진동시키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또는 압전 액추에이터(Piezoelectric Actuator)일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곡면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발생 장치(510)는 지지 기판(3100)의 원호부(3101) 또는 기판(3110)의 원호부(3111)에 대응되는 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와 지지 기판(310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심점(CP)을 가질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는 제1 반지름(r1)을 갖는 원형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기판(3100)의 원호부(3101)는 제1 반지름(r1)보다 큰 제2 반지름(r2)을 갖는 원형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의 측면 중 한 지점과 지지 기판(3100)의 원호부(3101) 사이의 거리(d1)는 음향 발생 장치(510)의 측면 중 다른 지점과 지지 기판(3100)의 원호부(3101) 사이의 거리(d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음향 발생 장치(510)의 측면들과 지지 기판(3100)의 원호부(3101) 사이의 거리가 동일함으로써, 음향 발생 장치(510)에서 발생한 진동들은 지지 기판(3100)의 원호부(3101)에 동일한 시간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기판(3100)의 원호부(3101)에 도달한 진동들은 동일한 진폭과 위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 기판(3100)의 원호부(3101)에 도달한 후 다시 음향 발생 장치(510)로 되돌아오는 진동들은 음향 발생 장치(510)의 측면들에 동일한 시간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음향 발생 장치(510)의 측면들에 도달한 진동들은 동일한 진폭과 위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30)는 일정 거리로 이격된 음향 발생 장치(510) 및 지지 기판(3100)의 원호부(3101)을 포함함으로써, 지지 기판(3100) 및 기판(3110)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30)는 표시 패널(1300)의 복수의 진동 사이의 보강 간섭 및 상쇄 간섭을 최적화함으로써, 음향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저음 재생 대역을 개선하고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6은 도 24의 표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31)는 지지 기판(3100),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80, 59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기판(3100),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80, 59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심점(CP)을 가질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590)는 제1 반지름(r1)을 갖는 원형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기판(3100)의 원호부(3101)는 제1 반지름(r1)보다 큰 제2 반지름(r2)을 갖는 원형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80)는 제1 반지름(r1)보다 작은 제3 반지름(r3)을 갖는 원형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590)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80)를 이격되게 둘러쌀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590)의 측면 중 한 지점과 지지 기판(3100)의 원호부(3101) 사이의 거리(d1)는 제2 음향 발생 장치(590)의 측면 중 다른 지점과 지지 기판(3100)의 원호부(3101) 사이의 거리(d1)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590)의 측면들과 지지 기판(3100)의 원호부(3101) 사이의 거리가 동일함으로써, 제2 음향 발생 장치(590)에서 발생한 진동들은 지지 기판(3100)의 원호부(3101)에 동일한 시간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기판(3100)의 원호부(3101)에 도달한 진동들은 동일한 진폭과 위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 기판(3100)의 원호부(3101)에 도달한 후 다시 제2 음향 발생 장치(590)로 되돌아오는 진동들은 제2 음향 발생 장치(590)의 측면들에 동일한 시간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2 음향 발생 장치(590)의 측면들에 도달한 진동들은 동일한 진폭과 위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30)는 일정 거리로 이격된 제2 음향 발생 장치(590) 및 지지 기판(3100)의 원호부(3101)을 포함함으로써, 지지 기판(3100) 및 기판(3110)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30)는 표시 패널(1300)의 복수의 진동 사이의 보강 간섭 및 상쇄 간섭을 최적화함으로써, 음향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저음 재생 대역을 개선하고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향 발생 장치(580)는 평면 상에서 폐루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음향 발생 장치(590)는 제1 음향 발생 장치(580)를 이격되게 둘러싸면서 폐루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음향 발생 장치(580)의 평면 상 폭(d6)과 제2 음향 발생 장치(590)의 평면 상 폭(d7)은 동일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80, 590)는 독립적으로 구동됨으로써, 서로의 진동을 보완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31)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580, 590)를 포함함으로써, 전 고조파 왜곡(THD)을 최소화하고 표시 장치(31)의 음압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표시 장치 1100: 커버 윈도우
1200: 터치 감지 장치 1300: 표시 패널
1800: 하부 커버
20: 표시 장치 2110: 상부 세트 커버
2120: 하부 세트 커버 2300: 표시 패널
2321: 연성 필름 2322: 표시 구동 회로
2340: 표시 회로 보드 2350: 케이블
2360: 제어 회로 보드 2371: 타이밍 제어 회로
2372: 음향 구동부
30: 표시 장치 3110: 기판
3120: 원형 표시부 3130: 구동 회로부
3140: 스캔 구동부 3150: 구동 전원 공급 라인
3160: 캐소드 전원 공급 라인
510: 음향 발생 장치
520, 530: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
540~570: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
580, 590: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

Claims (20)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시키는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복수의 측면 각각과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복수의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서로 수직 또는 평행하는 제1 내지 제4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내지 제4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내지 제4 측면 각각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내지 제4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에 수직한 제2 측면의 길이의 비율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과 대응되는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측면과 대응되는 음향 발생 장치의 제2 측면의 길이의 비율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측면을 하나 이상 구비한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복수의 측면 각각과 상기 표시 패널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의 복수의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 사이의 제1 거리,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의 제2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측면과 사이의 제2 거리, 상기 제1 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의 제3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3 측면 사이의 제3 거리,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의 제4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4 측면 사이의 제4 거리는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거리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표시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 사이의 제1 거리, 상기 제1 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의 제2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측면과 사이의 제2 거리,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제3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3 측면 사이의 제3 거리, 및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의 제4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4 측면 사이의 제4 거리는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거리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음향 발생 장치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표시 장치.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내지 제4 모서리 각각에 인접한 제1 내지 제4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 사이의 제1 거리, 상기 제3 또는 제4 음향 발생 장치의 제2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측면과 사이의 제2 거리, 상기 제1 또는 제3 음향 발생 장치의 제3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3 측면 사이의 제3 거리, 및 상기 제2 또는 제4 음향 발생 장치의 제4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4 측면 사이의 제4 거리는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복수의 측면을 갖는 제1 음향 발생 장치, 및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를 이격되게 둘러싸고, 상기 표시 패널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측면을 갖는 제2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내지 제4 측면 각각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내지 제4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평면 상 폭과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의 평면 상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장치.
  13. 제1 내지 제4 측면을 갖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진동시키고,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내지 제4 측면 각각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 측면을 갖는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내지 제3 측면 각각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내지 제3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또는 제3 측면과 평행한 장축을 가지며,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내지 제3 측면 각각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내지 제3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제4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4 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에 수직한 제2 측면의 길이의 비율은,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측면과 대응되는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2 측면과 대응되는 음향 발생 장치의 제2 측면의 길이의 비율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또는 제4 측면과 평행한 장축을 가지며,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제1 내지 제3 측면 각각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내지 제3 측면 각각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제4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제4 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표시 장치.
  17. 곡면으로 둘러싸인 표시부를 지지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을 진동시키며, 곡면으로 둘러싸인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곡면의 복수의 부분과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곡면의 복수의 부분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기판의 곡면의 복수의 부분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원호를 갖는 원호부, 및 상기 원호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호부 상에 배치된 원형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원형 표시부에 대응되는 원형을 가지며, 상기 음향 발생 장치와 상기 원형 표시부의 중심점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제1 반지름을 갖는 원형 측면을 구비한 제1 음향 발생 장치; 및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를 이격되게 둘러싸고, 상기 제1 반지름보다 큰 제2 반지름을 갖는 원형 측면을 구비한 제2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발생 장치의 평면 상 폭과 상기 제2 음향 발생 장치의 평면 상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장치.
KR1020200023415A 2020-02-26 2020-02-26 표시 장치 KR2021010907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415A KR20210109075A (ko) 2020-02-26 2020-02-26 표시 장치
US17/023,217 US11561573B2 (en) 2020-02-26 2020-09-16 Display device
CN202110212902.1A CN113316067A (zh) 2020-02-26 2021-02-25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415A KR20210109075A (ko) 2020-02-26 2020-02-26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075A true KR20210109075A (ko) 2021-09-06

Family

ID=77366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415A KR20210109075A (ko) 2020-02-26 2020-02-26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61573B2 (ko)
KR (1) KR20210109075A (ko)
CN (1) CN1133160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976A (ko) * 2020-03-31 2021-10-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20220067585A (ko) * 2020-11-16 2022-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104519U (zh) 2013-03-11 2016-03-23 苹果公司 便携式电子设备
KR101517523B1 (ko) 2013-04-01 2015-05-04 한국세라믹기술원 압전 스피커
TWI518650B (zh) * 2014-10-27 2016-01-2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KR20170076567A (ko)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이동 단말기
KR102320360B1 (ko) * 2017-07-18 2021-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67889B1 (ko) * 2017-08-10 2022-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20190087004A1 (en) * 2017-09-15 2019-03-21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KR102430582B1 (ko) * 2017-11-28 2022-08-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34276B1 (ko) 2017-12-08 2022-08-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EP3613514A1 (en) * 2018-08-20 2020-02-26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flexible vibration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lexible vibration module
KR20200068341A (ko) * 2018-12-05 2020-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CN113630702B (zh) * 2019-03-29 2024-05-07 乐金显示有限公司 振动设备
KR102662671B1 (ko) * 2019-03-29 2024-04-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11306A (ko) * 2019-07-22 2021-0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63554A1 (en) 2021-08-26
US11561573B2 (en) 2023-01-24
CN113316067A (zh)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880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sound generating apparatus
US10911851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230259225A1 (en) Display device having shaped sealing member
US20240004490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by display device
US11638076B2 (en) Display device
KR102605479B1 (ko) 압전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521415B2 (en) Display device
US11510010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circuit board having sound generator
US11561573B2 (en) Display device
KR20240028395A (ko) 전자 기기
US11190866B2 (en) Display device
US11445297B2 (en) Display device
US20210058691A1 (en) Display device
US11432059B2 (en) Display device and sound providing method
US1161703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668375B1 (ko) 음향 발생 장치를 갖는 회로보드와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105614A (ko) 음향 발생 장치를 갖는 회로보드와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40030788A (ko) 표시 장치
KR202200809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