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248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248A
KR20180131248A KR1020170067999A KR20170067999A KR20180131248A KR 20180131248 A KR20180131248 A KR 20180131248A KR 1020170067999 A KR1020170067999 A KR 1020170067999A KR 20170067999 A KR20170067999 A KR 20170067999A KR 20180131248 A KR20180131248 A KR 20180131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sound
display panel
force displacement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6102B1 (ko
Inventor
이성태
김세영
최영락
김광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7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102B1/ko
Priority to EP18172866.8A priority patent/EP3410739B1/en
Priority to CN201810493356.1A priority patent/CN108989957B/zh
Priority to CN202110371221.XA priority patent/CN113115187B/zh
Priority to US15/987,244 priority patent/US10659858B2/en
Publication of KR20180131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248A/ko
Priority to US16/862,116 priority patent/US1098643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69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 H04R1/2876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by means of damping material, e.g. as cladding
    • H04R1/288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by means of damping material, e.g. as cladding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2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5Aspects relating to the positioning and way or means of mounting of exciters to resonant bending wave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7Loudspeakers using bending wave resonance and pistonic motion to generate s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표시 패널의 후면에 위치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와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로부터 이격되고 압축력변위율이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티션, 및 표시 패널의 외곽무에 배치된 접착부재를 구성함으로써, 균일한 음파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보다 향상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 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 장치(Display Device)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전계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유기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양자점 표시 장치(Quantum Dot Display Device)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액정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어레이 기판과 상부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액정표시 장치는 화소 영역에 있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의 배열 상태가 조절되고 배열 상태에 따라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그리고, 유기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소자로서 다른 표시 장치에 비해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 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으므로 널리 주목받고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에 모두 화상을 표시하지만, 소리를 제공하기위해서는 별도의 스피커를 배치해야 한다. 표시 장치에 스피커를 배치할 경우, 스피커를 통해 발생된 소리의 진행 방향은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패널의 전면이 아닌 후면 또는 표시 패널의 아래쪽이 되므로, 표시 패널의 전면에서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 방향으로 소리가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스피커를 통해 발생된 소리가 표시 패널의 후면 또는 표시 패널의 아래쪽으로 진행하므로, 벽 또는 바닥에서 반사되는 소리와의 간섭으로 인해서 음질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TV 등과 같은 세트장치에 포함되는 스피커를 구성할 경우, 스피커가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세트장치의 디자인 및 공간 배치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표시 패널의 전면에서 영상을 시청할 시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 패널의 전면이 될 수 있으며, 소리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는 여러 실험을 하게 되었다. 여러 실험을 거쳐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 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표시 장치를 발명하였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를 표시 패널 후면에 부착할 경우 발생하는 진동이 표시 패널의 특정구역에서 상호 중첩되어 과도하게 높은 진동(Peak)이나 과도하게 낮은 진동(Dip)으로 발생하거나 표시 패널의 특정구역에서 상호상쇄되어 진동이 발생하지 못하므로, 음향이 고르지 못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에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 패널의 전면이 되도록 하고 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여러 실험을 통해 음향발생장치와 음진동이 형성되는 구간이 최적화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표시 장치를 발명하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표시 패널의 특정구역에 음향발생장치를 부착할 때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 패널의 전면이 되고, 음질이 향상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후면에 위치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와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로부터 이격되고 압축력변위율이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티션, 표시 패널의 외곽부에 배치된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표시 패널의 후면에 위치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와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로부터 이격되고 밀도가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티션, 표시 패널의 외곽부에 배치된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 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을 진동시켜 음향
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스피커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세트장치의 디자인 및 스피커의 배치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지지부재에 구성된 너트와 나사에 의해 지지부재와 음향발생장치가 고정됨으로써, 표시 패널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한 쌍의 음향발생장치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균일한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를 고정하는 고정장치 및 음향발생장치의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리브부를 포함함으로써, 음향발생장치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고, 장시간 동작에 의한 음향특성변화가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한 쌍의 음향발생장치가 표시 패널의 좌측영역과 우측영역에 배치되므로, 입체적인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음향발생장치의 주변에 배치된 파티션을 포함함으로써, 음향발생장치의 음진동 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음향발생장치에 배치된 여러겹의 파티션 각각의 압축력변위율이 상이함으로써 음향발생장치에서 발생하는 음진동을 한 영역에 집중시키거나, 표시 패널 전체를 구역으로 구분하여 진동시킬 수 있음으로써, 보다 향상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음향발생장치에 배치되는 파티션의 형태가 원형, 사각형, 나비넥타이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균일한 음파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보다 향상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
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발명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 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1 구조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2 구조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명세서의 음향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절단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음향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음향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지지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이 표시 패널의 후면에 결합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b은 도 9a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이 표시 패널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 유기발광 표시모듈(OLED Module)양자점 모듈(Quantum Dot Module)과 같은 협의의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LCM, OLED, Q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complete product 또는 final product)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자동차용 장치(automotive display) 또는 차량(vehicle)의 다른 형태 등을 포함하는 전장장치(equipment display),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 등의 모바일 전자장치(mobile electronic device)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set electronic device) 또는 세트 장치(set device 또는 set apparatus)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표시 장치는 LCM, OLED,QD 모듈 등과 같은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 및 LCM, OLED, Q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응용제품 또는 최종소비자 장치인 세트 장치까지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표시 패널과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는 LCM, OLED, QD 모듈을 협의의 "표시 장치"로 표현하고, LCM, OLED, QD 모듈을 포함하는 완제품으로서의 전자장치를 "세트장치"로 구별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협의의 표시 장치는 액정(LCD), 유기발광(OLED) 또는 양자점(Quantum Dot)의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인 소스 PCB를 포함하며, 세트장치는 소스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세트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세트 제어부인 세트 PCB를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표시 패널은 액정표시 패널, 유기전계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 패널, 양자점표시 패널(QD: Quantum Dot) 및 전계발광 표시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의 모든 형태의 표시 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음향발생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진동됨으로써 음향을 발생할 수 있는 특정한 표시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표시 패널은 표시 패널의 형태나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이 액정표시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어레이 기판 및 상부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이 유기전계발광(OLED) 표시 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픽셀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어레이 기판 상의 유기 발광 소자(OLED)층, 및 유기 발광 소자층을 덮도록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봉지 기판 또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기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유기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층은 무기발광층(in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예를 들면 나노사이즈의 물질층(nano-sized material layer) 또는 양자점(quantum dot)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은 표시 패널에 부착되는 금속판(metal plate)과 같은 후면(back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금속판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조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은 자동차(automobile)에서의 중앙통제패널(central control panel)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user interface module)로 차량(vehicle)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표시 패널은 표시 패널의 진동이 차량의 내부를 향하여 전파되도록 두 개의 앞좌석들의 탑승자들(occupants) 사이에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내에서의 오디오 경험은 차량 내부의 측면(interior sides)에서만 스피커를 갖는 것에 비하여 개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해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100)과, 표시 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는 엑츄에이터(actuator), 엑사이터(excitor), 또는 트랜스듀서(transducer)로 표현할 수도 있다.
도 1b는 도 1a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음향발생장치(200) 및 지지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supporting member; 300)는 표시 패널(100)의 후면(rear surface) 또는 측면(side surface)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200)는 지지부재(30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의 후면과 음향발생장치(200)의 사이에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의 박막이 더 배치되어 음향발생장치(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표시 패널(100)의 극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지부재(300)는 예를 들면, 커버버텀(cover bottom)일 수 있다. 또는, 표시 패널(100)의 측면을 둘러싸면서 커버버텀과 결합되고 표시 패널(100)의 일측 가장자리를 수용하여 표시 패널(100)을 지지하는 미들캐비넷(middle cabine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300)는 커버버텀, 또는 커버버텀 및 미들캐비넷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표시 패널(100)의 후면 또는 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는 표시 패널(100)의 후면 또는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는 판상부재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지지부재(300)는 커버버텀(Cover Bottom), 플레이트 버텀(Plate Bottom), 백커버(Back Cover),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메탈 프레임(Metal Frame), 메탈 샤시(Metal Chassis), 샤시 베이스(Chassis Base), m-샤시 등 다른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표시 장치의 후면에 배치되는 모든 형태의 프레임 또는 판상 구조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는 금속, 유리, 및 플라스틱 중 하나 또는 금속, 유리, 및 플라스틱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Al)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와 표시 패널(100) 사이에는 파티션(partition)이 포함될 수 있다. 파티션은 음향발생장치(200)에 의하여 표시 패널(100)이 진동할 때 음향이 발생되는 에어갭(air gap) 또는 공간(space)일 수 있다. 음향을 발생시키거나 음향을 전달하는 에어갭 또는 공간을 파티션이라고 할 수 있다. 또는 인클로저(enclosure) 또는 배플(baffle)이라고 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파티션은 표시 패널(100)의 외곽의 네 변의 전체 영역일 수도 있다. 그리고, 파티션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와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접착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400)는 표시 패널(100)과 지지부재(300)를 접착시킨다. 접착부재(400)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 Tape)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 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스피커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세트장치의 디자인 및 스피커의 배치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단면도이다.
음향발생장치는 마그네트가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구조와, 마그네트가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구조로 분류할 수 있다. 제1 구조는 다이나믹 타입(dynamic type) 또는 외자형(external magnetic type) 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조는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또는 내자형(internal magnetic type)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2a는 제1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제2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음향발생장치(200)는 플레이트(210, 210'), 플레이트 상에 있는 마그네트(220), 플레이트 상에 있는 센터폴(230), 센터폴(230) 주위에 배치되는 보빈(250), 및 보빈(250) 외곽에 권취되어 있는 코일(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플레이트(210) 상에 마그네트(220)가 있으며, 마그네트(220) 상에 제2 플레이트(210')가 구비된다.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10')는 마그네트(220)를 지지하면서 음향발생장치(200)를 지지부재(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210)는 지지부재(300)에 형성되는 지지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10') 사이에 위치한 마그네트(220)가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0) 및 제2 플레이트(210') 중 적어도 하나는 철(Fe)과 같이 자성을 지닌 물질로 이루질 수 있다. 플레이트는 이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크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
마그네트(220)는 바륨 훼라이트 등의 소결(燒結) 자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재질은 삼산화이철 (Fe2O3), 탄산바륨 (BaCO3), 자력 성분이 개선된 스트론튬 훼라이트, 알루미늄(Al), 니켈(Ni), 코발트(Co) 의 합금 주조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플레이트(210)의 외곽에 있으며, 제2 플레이트(210') 상에는 프레임(240)이 배치된다. 제1 플레이트(210)의 중앙영역에는 센터폴(230)이 배치된다. 센터폴(230)은 폴피스(pole pieces)라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센터폴(230)과 제1 플레이트(21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센터폴(230)의 주위를 감싸는 보빈(250)이 배치된다. 보빈(250)의 하측부 주변에는 코일(260)이 권취되어 있으며, 이 코일(260)에 음향발생을 위한 전류가 인가된다.
보빈(250)은 종이 또는 알루미늄 시트 등으로 형성되는 환상 구조물일 수 있으며, 보빈(250)의 하측의 일정 영역 주위에 코일(260)이 권취될 수 있다. 보빈(250)과 코일(260)을 합하여 보이스 코일(voice coil)로 표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보빈(250)의 상측 일부와 프레임(240)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될 수 있다. 댐퍼는 에지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
도 2b는 마그네트가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음향발생표시 장치(200)는 제1 플레이트(210) 상에 있는 마그네트(220), 마그네트(220) 상에 있는 센터폴(230), 마그네트(220)와 센터폴(230) 주위에 배치되는 보빈(250), 및 보빈(250) 외곽에 권취되어 있는 코일(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플레이트(210)는 지지부재(300)에 형성되어 있는는 지지홀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0)의 상에 마그네트(220)가 배치되며, 마그네트(220) 상에 센터폴(230)이 배치된다.
마그네트(220)와 센터폴(23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보빈(250)이 배치되며, 보빈(250) 외곽에는 코일(260)이 권취된다.
제2 플레이트(210')는 제1 플레이트(210)의 외곽 주변에 배치되며, 제2 플레이트(210') 외측에는 프레임(240)이 배치된다. 그리고, 프레임(240)과 보빈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된다.
제2 구조의 음향발생장치는 마그네트가 외측에 배치되는 제1 구조에 비하여 누설자속이 작고 전체적인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음향발생장치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음향발생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1 구조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전류가 인가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면, 마그네트(220)의 하면과 연결된 센터폴(230)이 N극이 되고, 마그네트(220)의 상면과 연결된 제1 플레이트(210)가 S극이 되어, 코일(260) 사이에 외부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음향 발생용 전류가 코일(260)에 인가되면 코일(260) 주위에 인가 자기장이 생성되며, 인가 자기장과 외부 자기장에 의하여 보빈(250)을 상측으로 이동하는 힘이 발생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코일(260)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260)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며, 마그네트(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부 자기장이 있으므로, 플레밍의 법칙에 따라 보빈(250) 전체가 센터폴(230)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상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보빈(250)의 일면은 표시 패널(100)의 후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코일(260)의 전류 인가 및 비인가 상태에 따라 표시 패널(100)을 상측(화살표로 표시)으로 진동시키게 되고, 이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전류 인가가 중지되거나 반대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a에서 설명한 유사한 원리에 따라 보빈(25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발생되고, 표시 패널(100)이 하측(화살표로 표시)으로 진동한다.
그리고, 보빈(250)의 상측 일부와 프레임(240)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되어 있다. 댐퍼(270)는 주름진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보빈(250)의 상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하면서 보빈(250)의 상하 진동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댐퍼(270)가 보빈(250)과 프레임(240)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보빈(250)의 상하 진동은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빈(250)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높이 이하로 진동할 경우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250)이 원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260)로의 전류 인가 방향과 크기에 따라서, 표시 패널(100)이 상하로 진동할 수 있으며, 이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2 구조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전류가 인가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2 플레이트(210')가 S극이 되고, 마그네트(220)의 상면과 연결된 센터폴(230)이 N극이 되어, 코일(260) 사이에 외부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음향 발생용 전류가 코일(260)에 인가되면 코일(260) 주위에 인가 자기장이 생성되며, 인가 자기장과 외부 자기장에 의하여 보빈(250)을 상측으로 이동하는 힘이 발생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코일(260)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260)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며, 마그네트(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부 자기장이 있으므로, 플레밍의 법칙에 따라 보빈(250) 전체가 센터폴(230)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상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보빈(250)의 일면은 표시 패널(100)의 후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코일(260)의 전류 인가 및 비인가 상태에 따라 표시 패널(100)을 상측(화살표로 표시)으로 진동시키게 되고, 이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전류 인가가 중지되거나 반대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a에서 설명한 유사한 원리에 따라 보빈(25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발생되고, 표시 패널(100)이 하측(화살표로 표시)으로 진동한다.
그리고, 보빈(250)의 상측 일부와 프레임(240)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되어 있다. 댐퍼(270)는 주름진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보빈(250)의 상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하면서 보빈(250)의 상하 진동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댐퍼(270)가 보빈(250)과 프레임(240)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보빈(250)의 상하 진동은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빈(250)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높이 이하로 진동할 경우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250)이 원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260)로의 전류 인가 방향과 크기에 따라서, 표시 패널(100)이 상하로 진동할 수 있으며, 이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음향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명세서의 음향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100)과, 표시 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제1 음향발생장치(1200)와 제2 음향발생장치(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음향발생장치(1200)와 제2 음향발생장치(120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인접하게 배치된 음향발생장치를 적용할 경우, 다수의 음향발생장치가 이격되어 배치된 경우는 음향발생장치와 표시 패널과의 접촉 특성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어려우며, 다수의 음향발생장치 사이의 간섭 및 딜레이 현상으로 의하여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음향발생장치를 적용할 경우, 다수의 음향발생장치가 이격되어 배치된 경우보다 음향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음파 사이의 간섭 또는 딜레이 현상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음향발생장치(12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20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발생장치(1200)와 제2 음향발생장치(12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100)가 포함된다. 고정장치(1000)는 플라스틱 등의 재료를 몰딩 공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는 몰드 구조물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장치(1000)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제1 음향발생장치(1200), 제2 음향발생장치(1200') 및 지지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supporting member; 300)는 표시 패널(100)의 후면(rear surface) 또는 측면(side surface)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는 표시 패널(100)의 후면 또는 전체에 걸쳐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판상부재일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에 고정되는 너트(330)가 더 포함되며, 고정장치(1000)는 고정장치의 장착홀에 삽입되는 나사(320)에 의하여 너트(33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너트(330)의 내면에는 나사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장치(1000)의 장착홀을 너트(330)의 나사관통홀과 정렬한 후 나사(320)를 조임으로써, 고정장치(1000)를 지지부재(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너트(330)는 예를 들면, 셀프 클린칭 너트(self-clinching nut)일 수 있다. 셀프 클린칭 너트의 하나의 형태로 팸너트(pem nut)를 예로 들 수 있다.
팸너트(pem nut)를 사용할 경우, 음향발생장치(2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팸너트에서 일부 흡수될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30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는 지지부재에 구성된 너트와 나사를 이용하여 지지부재와 음향발생장치를 고정시킴으로써, 표시 패널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와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는 접착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400)는 지지부재(300)의 외곽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표시 패널(100)과 지지부재(300)를 접착시킨다. 접착부재(400)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 Tape)일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음향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1000)는 제1 음향발생장치(12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200')를 서로 인접하도록 고정 지지하는 일체형 고정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1000)는 음향발생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 음향발생장치의 주변에 배치되는 복수의 리브부, 및 고정장치와 지지부재와의 고정을 위한 복수의 장착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지부는 제1 음향발생장치(1200)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200')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120)는 제1 음향발생장치(1200)의 측면 일부와 후면 일부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며, 원통형상일 수 있다. 제2 지지부(1220)는 제2 음향발생장치(1200')의 측면 일부와 후면 일부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며, 원통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1120)와 제2 지지부(1220)는 두 개 또는 네 개의 원호 형상의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돌출부의 일면은 각 음향발생장치(1200, 120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각 음향발생장치(1200, 1200')의 후면 일부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음향발생장치(1200, 1200')가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1000)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1000)의 강성을 유지하며, 장시간 사용하여도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10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 주변에는 복수의 리브부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리브부는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 외측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리브부(1410),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 리브부(1420), 및 제1 리브부(1410)와 세로방향으로 연결되는 제3 리브부(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로방향은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되는 긴 변의 방향이며, 세로방향은 가로방향과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제1 리브부(1410)는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의 외측에서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1000)의 가로방향 외곽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리브부(1410)의 가운데 영역, 즉 제1 지지부(1120)와 제2 지지부(1220) 사이의 중앙 영역은 제1 리브부(1410)의 양측 영역에 비하여 높이가 더 높거나 제1 리브부(1410)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가 장시간 진동하더라도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와 표시 패널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리브부(1410)의 안쪽에는 제1 지지부(1120) 및 제 2지지부(1220)와 일체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리브부(1420)가 배치된다.
도 6에서는 제2 리브부(1420)가 두 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리브부(1420)가 하나 또는 세 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제2 리브부(1420) 사이 또는 두 개의 제1 리브부(1410) 사이에는 제1 리브부(1410) 및 제2 리브부(1420)와 일체로 연결되고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제3 리브부(1430)가 형성된다.
도 6에서는 하나의 제3 리브부(1430)가 포함되어 있으며, 제3 리브부(1430)가 두 개의 제1 리브부(1410) 사이에 걸쳐 길게 연장되는 구조를 예시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3 리브부(1430)가 두 개의 제2 리브부(1420) 사이에서 짧게 연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1120) 또는 제2 지지부(1220)와, 제1 리브부(1410) 사이에는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제4 리브부(14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4 리브부(1440)는 장시간 사용에 의해 열에 의한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의 휨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는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를 고정하는 고정장치 및 음향발생장치의 주변에 복수의 리브부를 구성함으로써, 음향발생장치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고, 장시간 동작에 의한 음향특성변화가 감소될 수 잇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 사이의 이격거리는 리브부를 형성하기 위한 최소임계치보다 클 수 있으며, 제1 음향발생장치(12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200')의 직경인 최대임계치보다는 작을 수 있다.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 사이의 이격거리가 최소임계치 이상으로 큰 경우에는 음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 사이의 이격거리는 제1 음향발생장치(12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200')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함으로써, 음질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발생장치의 크기(직경)가 D일 때, 이격거리는 최소임계치인 약 7mm보다는 크고 음향발생장치 크기 D보다는 작아야 하며 음향발생장치의 크기(D)가 약 28mm일 경우 이보다 다소작은 약 0.85D(dir 23.6mm)의 경우에는 그 음질 특성의 변화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고정장치(1000)와 지지부재(300)와의 고정을 위한 복수의 장착홀이 포함된다. 도 5b에 도시된 너트(330)의 내면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장치(1000)의 장착홀(1310, 1320, 1330, 1340)을 너트(330)의 홀과 정렬한 후 나사(320)를 조임으로써, 고정장치(1000)를 지지부재(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다른 예의 음향출력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점선은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를 배치하되 각각 따로 음향발생장치를 고정한 경우이며, 800~900Hz 대역에서 음압이 급격히 증가하는 딥(Dip.) 현상이 발생(동그라미로 도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딥 현상은 개별적으로 각각 고정되며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음파 사이의 간섭 또는 딜레이 현상 등으로 인하여 특정 주파수에서 강한 음압이 발생되므로, 전체적인 음질의 저하로 인식된다.
그리고, 도 7의 실선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같이 2개의 음향발생장치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1000)가 사용된 경우로, 도 7의 점선에 비하여 일정 주파수에서 음압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되는 딥(Dip) 현상이 상당히 제거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1000)를 적용할 경우,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균일한 음압을 발생시켜 우수한 음향 출력 특성을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지지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는 제1 구조 또는 제2 구조에 의한 음향발생장치 모두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2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음향발생장치(200')의 제1 플레이트(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확경부(214)를 형성한다. 음향발생장치(200')의 제1 플레이트(210)는 원통형 또는 실린더 형상이 아니라 제1 플레이트(210)의 일측은 제1 플레이트(210)의 나머지 부분의 직경보다 큰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직경이 커진 돌출부 영역을 확경부(614)로 표현할 수 있다. 확경부(214)는 환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확경부(614) 중 일부에는 음향발생장치(200')의 고정을 위한 연장부(612)가 형성된다.
연장부(212)에는 나사(screw; 320)와 너트(nut; 330)가 구성된다. 지지부재(300)에 고정된 너트(330)를 이용하여 음향발생장치(200)가 나사(320)에 의하여 지지부재(300)에 결합하게 된다. 너트(330)는 예를 들면, 셀프 클린칭 너트(self-clinching nut)일 수 있다. 셀프 클린칭 너트의 하나의 형태로 팸너트(pem nut)를 예로 들 수 있다.
팸너트(pem nut)를 사용할 경우, 음향발생장치(2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팸너트에서 일부 흡수될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30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200')와 표시 패널(100)사이에 열확산판(500)이 배치될 수 있다. 열확산판(500)은 음향발생장치(200)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열이 표시 패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열도전성이 좋은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확산판(500)은 알루미늄(Al)이나 구리(Cu)같은 금속재질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열확산판(500)은 방열부재라고 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1200)와 파티션(700)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의II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2개의 음향발생장치(1200)를 일체로 고정하는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1000)는 표시 패널(1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의 후면을 기준으로 중앙영역에 위치한 파티션(750)과 표시 패널의 후면 좌측과 우측에 배치된 음향발생장치(1200)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1000)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한 파티션(700), 상측과 하측에 위치한 파티션(700)과 다른방향으로 형성되고 표시 패널(100)의 후면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 끝단에 형성된 파티션(710)이 음향발생장치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1200)에서 발생하는 음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시청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설치된 파티션(700)의 압축력변위율(CFD : Compression Force Deflection)을 다르게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력변위율은 파티션(700)에 사용되는 발포체(Foam)의 물성 측정기준으로 압축력을 가했을 때 변형되는 비율로 표현된다. 그리고 압축력변위율은 밀도를 주요 인자로 하는 측정치이며 발포체의 밀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밀도의 단위는 g/cm3이며, 압축력변위율의 단위는 kgf/cm2이다. 압축력변위율은 발포율로 표현할 수도 있다. 이는 발포체를 형성시 재료의 비율을 조절하여 단위체적의 폼을 형성하는데 기여하는 가스의 비율로 표현될 수 있으며, 발포체서 생성되는 가스의 이용효율이라고 할 수 있다. 발포체를 이용한 폼 테이프로 측정한 압축률변위율은, 예를 들면 0.8mm 두께에 0.18g/cm3의 밀도와 25% CFD 즉 0.25kgf/cm2일 수 있다.
그리고, 밀도와 발포율, 밀도와 압축력변위율은 반대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밀도가 높으면 압축력변위율이 낮고 발포율도 낮을 수 있다.
추가로 음향분야에서 다룰 수 있는 스티프니스(Stiffness)라는 관점도 설명할 수 있다. 스티프니스는 일반적으로 탄성체에 외력 f가 작용해서 변형(변위) x가 생길 때, f와 x는 비례하는 것으로 공식은 f=Sx 이다. 이 S를 스티프니스 또는 강성(剛性)이라고 하는데 압축력변위율과 비교하면 동일 외력에 변위가 증가하면 압축력변위율은 증가하지만 반대로 스티프니스는 감소하여 반대의 개념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압축력변위율은 폼에 관련된 단위이고 스티프니스는 음향기기의 진동체에 관련된 단위라서 동일선상에서 비교 불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를 돕기위해 폼관련 단위인 압축력변위율로 설명하겠다.
국내에서는 CFD에 대한 별도의 명명없이 영문인 CFD를 사용 중이나 본 명세서에서는 압축력변위율로 설명한다.
이러한 압축력변위율을 적용하는 예는, 중앙영역에 위치한 파티션(750)의 경우 약 10%수준의 압축력변위율을 가지는 물질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0)의 후면 좌측과 우측에 배치된 음향발생장치(1200)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한 파티션(700)의 경우 약 30%수준의 압축력변위율을 가지는 물질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의 후면 좌우측 끝단에 형성된 파티션(710)의 경우 약 50%의 압축력변위율을 가지는 물질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티션이 형성된 영역이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며, 제1 영역 및 제3 영역에 형성된 파티션의 압축력변위율은 제2 영역에 형성된 파티션의 압축력변위율보다 높을 수 있다. 제1 영역 및 제3 영역에 형성된 파티션은 음향발생장치를 기준으로 상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압축력변위율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제1 파티션, 및 제1 파티션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압축력변위율을 갖는 제2 파티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압축력변위율은 제2 압축력변위율보다 낮을 수 있다.그러나, 본 명세서에서는 이 압축력변위율의 값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압축력변위율의 값이 적용 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00)의 후면 중앙부에서 좌측과 우측 끝단으로 갈수록 압축력변위율이 커지는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이는 표시 패널(100)의 후면에 부착된 음향발생장치(1200)가 발생시키는 음진동이 영역별로 다른 압축력변위율을 가지는 파티션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표시 패널(100)의 중앙영역에서 좌측과 우측 끝단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으므로, 표시 패널(100) 전방 가운데에 있는 시청자가 표시 패널(100)의 좌측과 우측영역의 음진동이 강화된 음향을 통해 보다 몰입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파티션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혹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1200)를 통해 발생하는 표시 패널의 음향을 분석하기 위한 장치는 제어용 PC(control PC)와 소리를 송수신하는 사운드카드, 사운드카드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음향발생장치(1200)에 증폭전달하는 앰프(Amplifier), 표시 패널에서 음향발생장치(1200)를 통해 발생되는 음향을 수집하는 마이크로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에서 수집된 음향은 사운드카드를 통해 제어용 PC로 입력되고 이를 프로그램에서 확인하여 음향발생장치(1200)의 음향을 분석하게 된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1200)와 파티션(700')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파티션(700)의 형태는 원형이나 사각형태도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표시 패널(100)의 후면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음향발생장치(1200)를 포함하는 고정장치(1000)가 배치될 수 있고 음향발생장치(1200)를 중심으로 제1 파티션(70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700') 내측으로 형태는 동일하지만 크기가 작은 제2 파티션(731')과 제3 파티션(74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0의 제1 파티션(700'), 제2 파티션(731') 및 제3 파티션(741')의 압축력변위율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700')의 압축력변위율은 10%, 제2 파티션(731')의 압축력변위율은 30%, 및 제3 파티션(741')의 압축력변위율은 50%로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음향발생장치(1200)에서 발생한 음진동이 제3 파티션(741')과 제2 파티션(731')을 거쳐 제1 파티션(700')으로 갈수록 약해져서 상대적으로 음향발생장치(1200)에서 높은 음진동을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표시 패널(100)의 전방에 있는 시청자가 보다 좋은 음질로 인해 몰입감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1200), 파티션(700'), 및 노드점(1700)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파티션을 형성하였을 때 음향발생장치(1200)에서 발생한 음진동이 파티션(700')으로 진행하여 반사되고, 음향발생장치(1200)에서 추가로 발생한 음진동이 특정 영역에서 만났을 경우 상호 역극성으로 작용하여 음진동을 상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쇄진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해당 위치에 파티션(700')과 동일한 재질의 파티션 조각을 부착하여 반사 음진동과 발생 음진동이 서로 상쇄진동을 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파티션 조각을 분할 공명점(1700)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도 10과 같이 음향발생장치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거리 또는 일정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분할 공명점(1700)의 위치는 레이저 도플러 장치를 이용하여 최적의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레이저 도플러는 표시 패널(100)의 음진동면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산란되는 형태를 확인하여 진동이 퍼져나가는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진동의 증폭과 상쇄되는 위치를 파악하여 상쇄진동 위치에 분할 공명점을 배치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1200)와 파티션(700)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표시 패널(100)의 후면을 기준으로 좌측영역에 위치한 음향발생장치(1200)를 중심으로 제4 파티션(700)이 배치되고, 표시 패널(100)의 후면을 기준으로 우측영역에 위치한 음향발생장치(1200)를 중심으로 제1 파티션(700')이 배치된다. 일 예로서, 제4 파티션(700)은 음향발생장치(1200)을 둘러싸는 원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1 파티션(700')은 음향발생장치(1200)를 둘러싸는 다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좌측영역과 우측영역의 파티션 형상이 좌우측이 반대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좌측영역에는 제1 파티션(700')이 배치되고, 우측영역에는 제4 파티션(700)이 배치될 수 있다.
좌측의 음향발생장치의 경우, 제4 파티션(700)의 중앙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좌측영역의 음향발생장치(1200)는 음진동의 형태에 따라 제4 파티션(700)의 한쪽으로 치우치게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4 파티션(700)은 원형의 곡률을 달리한 타원형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우측의 음향발생장치의 경우, 제1 파티션(70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음진동의 형태에 따라 제1 파티션(700')의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사각형의 내각이 직각이 아닌 예각과 둔각을 가진 다각형도 적용 가능하다.
음향발생장치(1200)에서 동일한 반경을 가지며 배치되는 제4 파티션(700)은, 음진동이 음향발생장치(1200)로부터 동일거리에 있는 파티션에 전달 및 반사가 일정하므로 음향분석 시 변곡점없이 고르게 음파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티션(700')의 경우 파티션이 없는 경우보다 음진동이 잘 형성될 수 있고, 선형의 파티션을 조합하여 만들수 있으므로 저렴한 재료비와 용이한 배치 및 변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700')에 적용하기 위해 음향발생장치(1200)의 형상을 다각형으로 제작하여 음향발생장치(1200)와 파티션 면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배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700') 내측에 동일한 형태지만 크기가 작은 제2 파티션(731')과 제3 파티션(741')을 형성하고 제4 파티션(700) 내측에 동일한 형태지만 크기가 작은 제5 파티션(731)과 제6 파티션(741)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달리 설명하자면, 상기의 제4, 제5, 제6 파티션(700, 731, 741)은 고정장치(1000)를 중심으로 반지름이 다른 원주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5 파티션(731)과 제6 파티션(741)의 압축력변위율을 다르게 형성하고, 제2 파티션(731')과 제3 파티션(741')의 압축력변위율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파티션(700)과 제1 파티션(700')의 압축력변위율을 10%정도로 하고 제5 파티션(731)과 제2 파티션(731')의 압축력변위율을 30%정도로 하며, 제6 파티션(741)과 제3 파티션(741')의 압축력변위율을 50%정도로 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향발생장치(1200)에서 발생한 음진동이 제6 파티션(741)과 제5 파티션(731)을 거쳐 제4 파티션(700)으로 갈수록 약해져서 상대적으로 음향발생장치(1200) 에서 높은 음진동을 가지게 되고 이로 인해 표시 패널(100)의 전방에 있는 시청자가 보다 좋은 음질로 인해 몰입감을 가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1200)와 파티션(700, 750)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의 좌측과 우측에 음향발생장치(1200)를 가지는 고정장치(1000)가 배치되고 고정장치(1000)를 중심으로 다른 반지름의 원주상 있는 여러 개의 원형 파티션(700, 731, 741)을 배치하며, 도 9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의 후면을 기준으로 중앙영역에 파티션(750)이 배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패널(100)의 중앙영역과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좌측과 우측에 배치된 음향발생장치(1200)의 음진동 발생의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앙영역의 파티션(750)의 압축력변위율은 10%, 음향발생장치(1200)를 둘러싸는 파티션 중 최외곽 파티션(700)의 압축력변위율은 10%, 안쪽 파티션(731)의 압축력변위율은 30%, 및 최내곽 파티션(741)의 압축력변위율은 50%로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100)의 중심부를 중앙영역의 파티션(750)이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00)의 좌측과 우측의 음향발생장치(1200)가 음진동을 발생시키면, 상대적으로 중앙영역과 대비하여 좌측과 우측의 표시 패널(100)이 전 후 진동을 하여 표시 패널(100)에서의 소리가 표시 패널(100)의 전방에 있는 시청자가 있는 중앙영역으로 모아질 수 있다. 좌우 음향발생장치(1200)에서 발생되는 음진동의 좌우 영역을 명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스테레오 음질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압축력변위율은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1200)와 파티션(700, 731, 741)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의 후면을 기준으로 좌우측에음향발생장치(1200)와 음향발생장치(1200)를 둘러싸는 원형 파티션(700, 731, 741)이 배치된다. 그리고, 좌우측 음향발생장치(1200) 외에 표시 패널(100)의 중앙영역에 저음발생장치(900) 및 저음발생장치(900)를 둘러싸는 원형 파티션(700, 731, 741)이 배치된다. 음압이 높은 좌우측의 음향발생장치(1200, 1200')와 저음발생장치(900)를 구성할 경우, 저음발생장치(900)를 저음전용스피커(Woofer)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2.1채널 형태의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저음발생장치(900)를 중앙스피커로 활용할 경우에는 3.1채널 형태의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보다 넓은 음역대의 음진동이 발생하여 중고음과 저음이 골고루 표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저음역대는 200Hz이하, 중음역대는 200Hz~3kHz, 고음역대는 3kHz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저음발생장치(900)의 저음 한계 주파수를 좌우측 음향발생장치(1200)의 저음 한계 주파수보다 낮도록 하는 제1 방식과, 중앙 저음발생장치의 면적이 좌우측 음향발생장치(1200)의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제2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저음 한계 주파수는 각 음향발생장치의 재생 주파수 대역 중 하한값으로서, 각 음향발생장치가 발생시킬 수 있는 가장 저음역대 음파의 주파수를 의미하며, 최저 공명진동수로 표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저음역대 음향이 중고음역대 음향보다 더 커져서 저음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방식과 제2 방식에 제한을 두지 않고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1200)와 파티션(700, 731, 741)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중앙영역의 저음발생장치(900)와 저음발생장치(900)를 둘러싼 원형 파티션(700, 731, 741)이 배치되고, 좌우영역의 음향발생장치(1200)와, 음향발생장치(1200)를 둘러싼 파티션(700")은 나비 넥타이 형태의 다각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100)의 후면을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으로 구분할 경우, 제2 영역에 저음발생장치(900) 및 원형 파티션(700)이 있고, 제1 영역 및 제3 영역의 각각에 음향발생장치(1200)와 다각형 파티션(700")이 있다. 다각형 파티션(700")은 음향발생장치(1200) 쪽으로 꺾어지는 벤트부(bent portion)를 가진 파티션으로 구성되어 나비넥타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나비 넥타이 형태의 다각형 파티션(700")의 파티션에 내측으로 형성된 돌출부(protrusion portion, 722)를 더 구성할 수 있다. 돌출부(722)는 음향발생장치(1200)에서의 반사파를 트랩할 수 있으므로,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따라서, 중고음 영역의 음향발생장치(1200)의 음진동을 보다 최적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는 한쌍의 음향발생장치가 표시 패널의 좌측영역과 우측영역에 배치되므로, 입체적인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는 한쌍의 음향발생장치가 표시 패널의 좌측영역과 우측영역, 및 중앙영역에 배치되므로, 입체적인 스테레오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는 음향발생장치의 주변에 여러 개의 파티션을 구성함으로써, 음향발생장치의 음진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표시 장치는 음향발생장치에 배치되는 파티션의 형태를 원형, 사각형, 나비넥타이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균일한 음파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보다 향상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액정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전계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유기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양자점 표시장지(Quantum Dot Display Device)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complete product 또는 final product)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자동차용 장치(automotive display) 또는 차량(vehicle)의 다른 형태 등을 포함하는 전장장치(equipment display),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 등의 모바일 전자장치(mobile electronic device)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set electronic device) 또는 세트 장치(set device 또는 set apparatus)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후면에 위치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와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로부터 이격되고 압축력변위율이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티션, 및 표시 패널의 외곽부에 배치된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파티션이 형성된 영역을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으로 구분할 때 제1 영역과 제3 영역에 형성된 파티션의 압축력변위율은 제2 영역에 형성된 파티션의 압축력변위율 보다 높은 파티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제1 영역과 제3 영역에 형성된 파티션은 음향발생장치를 기준으로 상하부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1 압축력변위율을 가지는 적어도 2개의 파티션과 적어도 2개의 파티션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압축력변위율을 가지는 파티션이며 제1 압축력변위율은 제2 압축력변위율보다 낮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의 중앙부에서 좌우측 외곽부로 갈수록 파티션의 압축력변위율이 높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파티션은 음향발생장치를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이상의 제1 파티션과 적어도 하나이상의 제2 파티션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제1 파티션과 제2 파티션은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제1파티션의 내측에 제2 파티션이 있고, 제1 파티션의 압축력변위율이 제2 파티션의 압축력변위율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이상의 파티션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노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이상의 파티션의 형태는 다각형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제1 파티션과 제2 파티션은 음향발생장치를 중심으로 다른 반지름을 중심으로 원주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후면에 위치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와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로부터 이격되고 밀도가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티션, 및 표시 패널의 외곽부에 배치된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파티션이 형성된 영역을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으로 구분할 때, 제1 영역과 제3 영역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음향발생장치가 위치하고 제1 영역과 제3 영역에 형성된 파티션의 밀도는 제2 영역에 형성된 파티션의 밀도보다 낮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제1 영역과 제3 영역에 형성된 파티션은 음향발생장치를 기준으로 상하부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1 밀도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파티션과 적어도 2개의 파티션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밀도를 가지는 파티션, 제1 밀도는 제2 밀도보다 클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의 중앙부에서 좌우측 외곽부로 갈수록 파티션의 밀도가 낮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파티션은 음향발생장치를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이상의 제1 파티션과 적어도 하나이상의 제2 파티션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제1 파티션과 제2 파티션은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제1파티션의 내측에 제2 파티션이 있고, 제1 파티션의 밀도가 제2 파티션의 밀도 보다 클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이상의 파티션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노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이상의 파티션의 형태는 다각형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제1 파티션과 제2 파티션은 음향발생장치를 중심으로 다른 반지름의 원주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 패널 200,1200, 1200': 음향발생장치
210: 제1 플레이트 210': 제2 플레이트
212 : 연장부 214: 확경부
220 : 자석 230: 센터폴
240: 프레임 250: 보빈
260: 코일 270: 댐퍼
300: 지지부재 310: 지지홀
320: 나사 330: 너트
400: 접착부재 500: 열확산판
700, 731, 741: 파티션 722: 돌출부
1700: 노드점 900: 저음발생장치
1000: 고정장치

Claims (20)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후면에 위치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로부터 이격되고 압축력변위율이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티션;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외곽부에 배치된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이 형성된 영역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에 형성된 파티션의 압축력변위율은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된 파티션의 압축력변위율 보다 높은,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의 파티션은 상기 음향발생장치를 기준으로 상하부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1 압축력변위율을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제1 파티션, 및 상기 제1 파티션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압축력변위율을 가지는 제2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압축력변위율은 상기 제2 압축력변위율보다 낮은,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의 압축력변위율은 상기 표시 패널의 중앙부에서 좌우측 외곽부로 갈수록 높은,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상기 음향발생장치를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파티션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파티션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티션과 상기 제2 파티션은 동일한 형태인, 표시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티션은 상기 제1 파티션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파티션의 압축력변위율은 상기 제2 파티션의 압축력변위율보다 작은,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티션과 제2 파티션은 상기 음향발생장치를 중심으로 다른 반지름을 중심으로 원주상에 배치된,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티션의 내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공명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티션은 다각형인, 표시 장치.
  1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후면에 위치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로부터 이격되고 밀도가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티션;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외곽부에 배치된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이 형성된 영역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이상의 음향발생장치가 위치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에 형성된 파티션의 밀도는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된 파티션의 밀도보다 낮은,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에 형성된 파티션은 상기 음향발생장치를 기준으로 상하부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1 밀도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제1 파티션, 및 상기 제1 파티션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밀도를 가지는 제2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밀도는 상기 제2 밀도보다 큰, 표시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의 밀도는 상기 표시 패널의 중앙부에서 좌우측 외곽부로 갈수록 낮은, 표시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음향발생장치 사이에 배치된 방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금속재질인, 표시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생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음용 음향발생장치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고음용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고음용 음향발생장치를 둘러싸는 상기 파티션은 나비형 파티션인,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나비형 파티션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돌출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티션의 내측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공명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티션은 다각형인, 표시 장치.
KR1020170067999A 2017-05-31 2017-05-31 표시 장치 KR102266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999A KR102266102B1 (ko) 2017-05-31 2017-05-31 표시 장치
EP18172866.8A EP3410739B1 (en) 2017-05-31 2018-05-17 Display apparatus
CN201810493356.1A CN108989957B (zh) 2017-05-31 2018-05-22 显示设备
CN202110371221.XA CN113115187B (zh) 2017-05-31 2018-05-22 显示设备
US15/987,244 US10659858B2 (en) 2017-05-31 2018-05-23 Display apparatus
US16/862,116 US10986430B2 (en) 2017-05-31 2020-04-29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999A KR102266102B1 (ko) 2017-05-31 2017-05-31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248A true KR20180131248A (ko) 2018-12-10
KR102266102B1 KR102266102B1 (ko) 2021-06-16

Family

ID=62528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999A KR102266102B1 (ko) 2017-05-31 2017-05-3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659858B2 (ko)
EP (1) EP3410739B1 (ko)
KR (1) KR102266102B1 (ko)
CN (2) CN11311518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138A (ko) * 2018-12-20 2020-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1798745A (zh) * 2019-04-03 2020-10-20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760B1 (ko) * 2017-09-14 2022-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30582B1 (ko) * 2017-11-28 2022-08-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48686B1 (ko) * 2018-06-28 2023-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94577B1 (ko) * 2018-08-22 2023-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622181B2 (en) * 2019-02-01 2023-04-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0087172B (zh) * 2019-03-25 2021-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屏幕发声设备
KR20210083929A (ko) * 2019-12-27 2021-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33650A (ko) 2020-04-29 2021-11-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3362A (ja) * 2003-05-15 2004-12-02 Alps Electric Co Ltd 平面スピーカ
JP2009100223A (ja) * 2007-10-16 2009-05-07 Kenwood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スピーカ
CN104067638A (zh) * 2012-01-25 2014-09-2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窄幅型振动板或薄型振动板的制造方法、由该制造方法制造出的扬声器用振动板、扬声器、电子设备、移动体装置
KR101704517B1 (ko) * 2016-03-28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5474A (en) * 1987-09-29 1991-06-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peaker system with image projection screen
US4928312A (en) * 1988-10-17 1990-05-22 Amel Hill Acoustic transducer
WO1999037118A1 (fr) * 1998-01-16 1999-07-22 Sony Corporation Haut-parleur et appareil electronique utilisant un haut-parleur
US6826285B2 (en) * 2000-08-03 2004-11-30 New Transducers Limited Bending wave loudspeaker
GB0405475D0 (en) * 2004-03-11 2004-04-21 New Transducers Ltd Loudspeakers
US20060029788A1 (en) * 2004-08-04 2006-02-09 Foamex L.P. Lower density, thermoformable, sound absorbing polyurethane foams
KR100609914B1 (ko) * 2004-10-22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음향 출력장치과 영상/음향 출력장치
JP2006261962A (ja) * 2005-03-16 2006-09-28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装置
US7643051B2 (en) * 2005-09-09 2010-01-05 Roy Benjamin Sandberg Mobile video teleconferenc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JP4237748B2 (ja) * 2005-12-09 2009-03-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モジュール
KR20080063698A (ko) * 2007-01-02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및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피커 시스템
EP2183913A4 (en) * 2007-07-30 2011-06-22 Lg Electronics Inc DISPLAY ARRANGEMENT AND SPEAKER SYSTEM FOR THE DISPLAY ARRANGEMENT
JP5192799B2 (ja) * 2007-12-25 2013-05-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設置用パネル
JP5251604B2 (ja) * 2009-03-02 2013-07-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音響装置
US8934228B2 (en) * 2011-03-21 2015-01-13 Apple Inc. Display-based speaker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JP5738105B2 (ja) * 2011-07-12 2015-06-17 太陽誘電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及び電子機器
US8781623B2 (en) * 2012-02-27 2014-07-15 Nike, Inc. Interactive bulk packaging system
KR102061748B1 (ko) * 2013-05-07 2020-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29137B1 (ko) * 2014-05-20 2021-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5491474A (zh) * 2014-10-07 2016-04-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具有该显示装置的电子装置
US9843881B1 (en) * 2015-11-30 2017-12-12 Amazon Technologies, Inc. Speaker array behind a display screen
US9602926B1 (en) * 2016-01-13 2017-03-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patial placement of audio and video streams in a dynamic audio video display device
CN106126181A (zh) * 2016-06-28 2016-11-16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屏幕发声控制装置、方法及终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3362A (ja) * 2003-05-15 2004-12-02 Alps Electric Co Ltd 平面スピーカ
JP2009100223A (ja) * 2007-10-16 2009-05-07 Kenwood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スピーカ
CN104067638A (zh) * 2012-01-25 2014-09-2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窄幅型振动板或薄型振动板的制造方法、由该制造方法制造出的扬声器用振动板、扬声器、电子设备、移动体装置
KR101704517B1 (ko) * 2016-03-28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138A (ko) * 2018-12-20 2020-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647336B2 (en) 2018-12-20 2023-05-09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CN111798745A (zh) * 2019-04-03 2020-10-20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US11531512B2 (en) 2019-04-03 2022-12-20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15187A (zh) 2021-07-13
CN113115187B (zh) 2022-12-13
KR102266102B1 (ko) 2021-06-16
US10986430B2 (en) 2021-04-20
EP3410739A1 (en) 2018-12-05
EP3410739B1 (en) 2020-12-23
US10659858B2 (en) 2020-05-19
CN108989957B (zh) 2021-04-27
CN108989957A (zh) 2018-12-11
US20200260169A1 (en) 2020-08-13
US20180352314A1 (en) 2018-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5288B2 (ja) 表示装置及び装置
KR102481196B1 (ko) 표시장치
KR102259805B1 (ko) 표시 장치
KR101817103B1 (ko)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KR102356794B1 (ko) 표시장치
KR20180131248A (ko) 표시 장치
KR102663867B1 (ko) 표시 장치
KR102449465B1 (ko) 세트장치
KR20170135673A (ko) 표시 장치
KR102559531B1 (ko) 표시장치
KR20180121296A (ko) 표시 장치
KR20190014794A (ko) 표시장치
JP2020048194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548686B1 (ko) 표시장치
KR20180130352A (ko) 표시 장치
KR20190007347A (ko) 표시장치
KR20190078177A (ko) 표시장치
KR20230084440A (ko) 표시장치
KR20190078188A (ko) 표시장치
KR102505087B1 (ko) 표시장치
KR102422063B1 (ko) 표시장치
KR20200050913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