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035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035B1
KR102594035B1 KR1020180091069A KR20180091069A KR102594035B1 KR 102594035 B1 KR102594035 B1 KR 102594035B1 KR 1020180091069 A KR1020180091069 A KR 1020180091069A KR 20180091069 A KR20180091069 A KR 20180091069A KR 102594035 B1 KR102594035 B1 KR 102594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coustic element
display panel
bonding lay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6417A (ko
Inventor
노정훈
안이준
임재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1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035B1/ko
Priority to US16/296,251 priority patent/US11201194B2/en
Priority to CN201910618623.8A priority patent/CN110809220B/zh
Publication of KR20200016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417A/ko
Priority to US17/549,624 priority patent/US2022010244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6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 H04R7/10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comprising superposed layers in conta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69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 H04R1/2876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by means of damping material, e.g. as cladding
    • H04R1/288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by means of damping material, e.g. as cladding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particles moving in a fluid or in a gas, e.g. electrophoretic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63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진동 음향 소자, 표시 패널 및 진동 음향 소자의 하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및 표시 패널 및 프레임 사이에서 진동 음향 소자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복수의 기공들을 갖는 다공층으로서, 공극률이 90%이 이상인 다공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 스피커 기능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텔레비전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되는 패널 하부 시트를 포함한다. 패널 하부 시트는 발열,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표시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소리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리를 출력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별도의 진동판을 포함하는 스피커가 표시 장치에 내장된다. 그러나, 별도의 진동판을 포함하는 스피커를 표시 장치에 장착하는 것은 제조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되고 표시 장치의 슬림화에 역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패널을 진동판으로 사용하면서 향상된 음향 특성을 가지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윈도우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진동 음향 소자,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하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진동 음향 소자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복수의 기공들을 갖는 다공층으로서, 공극률이 90%이 이상인 다공층을 포함한다.
상기 다공층은 망상 구조를 갖을 수 있다.
상기 기공들 중 서로 다른 2 이상의 상기 기공이 상호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모든 경로 상에서, 상기 다공층의 골격은 상기 기공들에 의해 비연속적일 수 있다.
단면도 상에서 상기 기공들의 평균 직경은 20nm 보다 크고 50nm 보다 작을 수 있다.
단면도 상에서 상기 기공들의 평균 직경은 50nm 보다 크고, 상기 다공층은 메톡실기(methoxy)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공층은 0.5MPa 내지 0.05MPa 이내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공층은 이산화규소(SiO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층은, 상기 진동 음향 소자와 중첩하여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하면에 부착되는 제1 결합층,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결합층, 및 상기 제1 결합층 및 제2 결합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및 제2 결합층들과 결합하고, 상기 기공들을 포함하는 중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진동 음향 소자에 대응하는 홀을 포함하여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다공층 사이에서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측면을 감싸며 배치되는 충격 흡수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층의 상면은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하면 및 상기 충격 흡수층의 하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다공층은, 상기 진동 음향 소자에 대응하는 홀을 가지고,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측면과 접하는 제1 결합층,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결합층, 및 상기 제1 결합층 및 제2 결합층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기공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층의 홀을 통해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하면과 접하는 중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진동 음향 소자에 대응하는 홀을 포함하여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다공층 사이에서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측면을 감싸며 배치되는 충격 흡수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공층은,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결합층, 및 상기 제2 결합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기공들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하면 및 상기 충격 흡수층의 하면에 접하는 중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진동 음향 소자에 대응하는 홀을 포함하여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다공층 사이에서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측면을 감싸며 배치되는 충격 흡수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공층은,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하면 및 상기 충격 흡수층의 하면에 부착되는 제1 결합층, 및 상기 제1 결합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공들을 포함하며, 프레임의 상면과 접하는 중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층은,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결합층, 및 상기 제2 결합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기공들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 음향 소자에 대응하는 홈을 포함하여 상기 홈을 통해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측면 및 하면과 접하는 중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층은, 상기 진동 음향 소자에 대응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 결합층,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결합층, 상기 제1 결합층 및 상기 제2 결합층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제1 결합층의 홀에 중첩하는 홀을 포함하는 중간층, 및 상기 진동 음향 소자, 상기 중간층 및 상기 제2 결합층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 음향소자 및 상기 제2 결합층을 연결하는 제4 결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층은,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에 결합하는 제1 결합층,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결합층, 및 상기 제1 결합층 및 제2 결합층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층들과 결합하며, 상기 기공들을 포함하는 중간층, 및 상기 진동 음향 소자에 중첩하고 상기 제1 결합층, 상기 제2 결합층 및 상기 중간층을 관통하여 형성된 홀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 음향 소자는 상기 홀을 통해 하면이 상기 프레임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진동 음향 소자와 중첩하지 않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층은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홀까지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다공층은 상기 홀의 한 변으로부터 상기 진동 음향 소자까지 최단 경로에 배치되며, 상기 다공층의 한 변의 길이는 상기 홀의 상기 한 변의 길이와 같을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되 두께 방향으로 상기 다공층과 중첩하지 않는 감열층(heat reactive lay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진동 음향 소자,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하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진동 음향 소자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프레임 사이의 최단 경로 상에서 상호 부분적으로 중첩하여 형성된 복수의 기공들을 가지는 다공층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겔 구조를 가지고 겔 구조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기공들을 포함하는 다공층을 통해 표시 패널이 프레임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독립하여 진동하도록 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음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다공층에 포함된 기공들은 대체적으로 연결되어, 진동 음향 소자가 배치되는 공간과, 다른 빈 공간을 연통하여 보다 넓은 하나의 울림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음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음향 소자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3의 Q1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c는 도 3의 Q2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2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2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들이다.
도 2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표시 장치의 음향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표시 장치는 화상이나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표시 장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게임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네이게이션 장치, 디지털 카메라, 텔레비전, 외부 광고판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210), 프레임(230)(또는, 브라켓), 진동 음향 소자(250) 및 다공층(28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는 윈도우(220), 결합층(240), 차광층(260) 및 충격 흡수층(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탑", "상면"은 표시 패널(210)을 기준으로 표시면 측을 의미하고, "하부", "바텀", "하면"은 표시 패널(210)을 기준으로 표시면의 반대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표시 장치(100)는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0)는 제1 및 제2 장변들(LS1, LS2)과 제1 및 제2 단변들(SS1, SS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의 모서리(즉, 제1 및 제2 장변들(LS1, LS2)과 제1 및 제2 단변들(SS1, SS2)이 상호 만나는 부분)는 둥근(rounded) 형상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0)는 사각 모서리 또는 다른 형상의 모서리를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은 화면을 표시하는 패널로서, 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21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를 예시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 패널(210)은 액정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등 다른 종류의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은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리지드 기판일 수도 있고, 폴리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으로 폴리이미드 기판을 적용하는 경우, 표시 패널(210)은 휘거나 꺾이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 패널(210)은 표시부 및 표시부 주변에 배치된 비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들은 표시부에 배치되고, 유기 발광 소자들의 구동에 필요한 신호를 제공하는 회로들은 비표시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220)는 표시 패널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220)는 두께 방향으로 표시 패널(210)에 중첩하고, 표시 패널(210)의 상부면(또는, 표시면, 전면)을 커버할 수 있다. 윈도우(220)는 표시 패널(210)보다 클 수 있다(즉,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220)는 표시 패널(210)의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윈도우(220)의 돌출된 부분(즉, 표시 패널(210)의 가장자리보다 돌출된 윈도우(220)의 가장자리 부분)은 프레임(2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윈도우(220)와 표시 패널(210) 사이에는 투명 결합층이 개재되고, 윈도우(220)는 투명 결합층을 통해 표시 패널(21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결합층은 광학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 투명 수지(optical clear resin; OCR)일 수 있다.
윈도우(220)는 테두리에 위치하는 차광 패턴(또는, 장식)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 패턴은 표시 패널(210)의 비표시부와 중첩하여, 비표시부가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 윈도우(220)는 표시 패널(210)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210)과 윈도우(220) 사이에는 상부 기능 모듈이 배치되고, 상부 기능 모듈은 터치 센싱 기능, 컬러 필터링 기능, 컬러 변환 기능, 편광, 생체 정보 인식 기능(예를 들어, 지문 인식 기능) 등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은 시트로 이루어진 시트층, 필름으로 필름층, 박막층, 코팅층, 패널, 플레이트 등일 수 있다. 하나의 기능층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적층된 복수의 박막이나 코팅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능층은 터치 센싱 패널, 컬러 필터, 광학 필름, 지문 센싱 패널 등일 수 있다.
프레임(230)은 표시 패널(210)의 하부에(및 윈도우(2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30)은 다른 부품들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 또는 보호 용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230)은 표시 패널(210), 진동 음향 소자(250) 및 다공층(280)을 수납할 수 있다.
프레임(230)은 바닥부(또는, 몸체부)와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30)의 바닥부는 판 형상을 가지며, 표시 패널(210)에 대체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프레임(230)의 측벽은 프레임(230)의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부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30)의 측벽 상에는 결합층(240)이 배치되고, 프레임(230)은 결합층(240)을 통해 윈도우(22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층(240)은 프레임(230)의 측벽과 중첩하고, 표시 패널(210)과 중첩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결합층(240)은 감압 접착 필름(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블랙 테이프, 방수 테이프일 수 있다.
프레임(230)은 제1 홀(HOLE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HOLE1)은 프레임(230)의 바닥부에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HOLE1)은 프레임(230)의 바닥부의 중앙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 (HOLE1)에는 표시 장치(100)의 배터리 장치(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다공층(280)은 제1 홀 (HOLE1)에 대응하는 제2 홀(HOLE1)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10)과 프레임(230) 사이에는 진동 음향 소자(250), 차광층(260), 충격 흡수층(270) 및 다공층(280)이 배치될 수 있다.
먼저, 차광층(260)은 표시 패널(210)과 동일한 평면 형상 및 동일한 크기(또는, 면적)을 가지며, 표시 패널(2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층(260)은 윈도우(220)보다 낮은 광투과도를 가지고, 표시 패널(210)의 하부로 발산되어 반사되는 광을 차단시킬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250)(또는, 진동자, 구동자(actuator))는 음향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250)는 진동 물질층(430)을 포함하는 압전 소자일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25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4a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진동 음향 소자(250)는 차광층(260)(또는, 표시 패널(2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차광층(260)(또는, 표시 패널(2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음향 소자(250)는 접착층, 점착층,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 등을 통해 차광층(260)(또는, 표시 패널(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 음향 소자(250)에서 유발된 진동이 표시 패널(210)에 전달되고, 표시 패널(210) 전체가 진동판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스피커는 일반적으로 진동판의 크기가 클수록, 진동판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음압 세기가 크며, 저음역의 출력 특성이 우수하다. 표시 장치(100)가 표시 패널(210) 자체를 진동판으로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스피커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표시 장치(100)의 크기가 감소되고, 표시 장치(100)의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가지는 표시 패널(100)이 진동판으로 되는 경우, 표시 장치(100)는 보다 우수한 음향 및 저음역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 진동 음향 소자(250)는 차광판(26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진동 음향 소자(250)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진동 음향 소자(250)는 표시 패널(210)의 하면에 직접 접할 수 있다. 후술할 진동 음향 소자(250)의 제1 전극(410)이 표시 패널(100)의 하면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 진동 음향 소자(250)는 표시 패널(210)에 직접 접함과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충격 흡수층(270)은 차광층(260)(또는, 표시 패널(25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충격 흡수층(270)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하부로부터 표시 패널(2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 또는 완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 흡수층(270)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실리콘(Si), 폴리디메틸아크릴아미드(polydimethylacrylamide, PDMA)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충격 흡수층(270)은 표시 패널(210)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며, 표시 패널(210)에 중첩하고, 진동 음향 소자(250)에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충격 흡수층(270)은 진동 음향 소자(250)에 대응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충격 흡수층(270)은 감압 점착 필름 등을 통해 차광층(260)(또는, 표시 패널(25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210)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하부 기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기능 모듈은 방열 기능, 전자파 차폐기능, 접지 기능, 강도 보강 기능, 지지 기능, 접착 기능, 압력 센싱 기능, 디지타이징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기능 모듈은 지지 기재, 방열층, 전자파 차폐층, 결합층, 압력 센서, 디지타이저 등일 수 있다.
다공층(280)은 프레임(2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공층(280)은 충격 흡수층(270) 및 프레임(2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다공층(280)은 진동 음향 소자(250) 및 프레임(2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다공층(28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공층(280)은 제1 중첩 영역(RO1) 및 제2 중첩 영역(RO2)을 포함하고, 제1 중첩 영역(RO1)은 진동 음향 소자(250)와 중첩하고, 제2 중첩 영역(RO2)은 충격 흡수층(270)과 중첩할 수 있다. 제1 중첩 영역(RO1)의 두께는 제2 중첩 영역(RO2)과 다르고, 예를 들어, 제1 중첩 영역(RO1)의 두께는 제2 중첩 영역(RO2)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공층(280)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진동 음향 소자(25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경우, 제1 중첩 영역(RO1)의 두께는 제2 중첩 영역(RO2)의 두께와 같거나, 제2 중첩 영역(RO2)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다공층(280)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기공들(AP)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공들(AP)은 수직 방향으로(즉, 표시 패널(210)의 표시면에 수직하는 수직 방향으로), 상호 엇갈려 배치되고, 또한 공간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즉, 다공층(280)은 다공층(280)을 구성하는 물질(또는, 분자)의 합성시 나타나는 겔(gel) 구조(또는, 망상 구조(network structure), 네트워크 구조)를 그대로 포함하고, 예를 들어, 다공층(280)은 에어로겔(aerogel) 층(또는, 에어로젤 층)일 수 있다.
다공층(280)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기공들(AP)에 의해 특정 수직선(VL) 상에서(또는, 임의의 모든 수직선 상에서) 다공층(280)을 구성하는 물질(또는, 골격)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지 않거나 지지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다공층(280)의 일면에 전체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대하여 다공층(280)의 두께는 전체적으로 얇아질 수 있다. 즉, 진동 음향 소자(250)에 의해 표시 패널(210)이 진동하는 경우, 표시 패널(210)은 프레임(230)부터 상대적으로 독립하여, 전체적으로 진동할 수 있다.
또한, 다공층(280)에 형성된 기공들(AP)은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므로, 진동 음향 소자(250)가 배치되는 제1 공간(즉, 다공층(280)의 제2 중첩 영역(RO2)과 차광층(260) 사이의 공간)과 배터리가 장착되는 제2 공간(즉, 프레임(230)의 제1 홀(HOLE1) 및 다공층(280)의 제2 홀(HOLE2)에 의해 차광층(260)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공간이 하나의 울림 공간을 형성하고, 울림 공간의 통해 표시 장치(100)의 소리가 증폭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의 음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210)의 하면에 부착된 진동 음향 소자(250)를 포함하고, 표시 패널(210) 전체를 진동판으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210) 및 프레임(230) 사이에 배치되는 다공층(280)을 포함하고, 다공층(280)은 이를 구성하는 물질들의 겔 구조(또는, 네크워크 구조)를 가지고 겔 구조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기공들(AP)(즉, 수직 방향으로 상호 엇갈려 적층되고, 상호 연결된 기공들)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210)이 프레임(230)에 독립하여 전체적으로 진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공층(280)은 진동 음향 소자(250)가 배치되는 제1 공간 및 배터리가 장착되는 제2 공간을 연통하여 제1 및 제2 공간을 하나의 울림 공간으로 형성함으로써, 표시 장치(100)의 음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음향 소자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진동 음향 소자(250)는 제1 전극(410), 제2 전극(420) 및 진동 물질층(4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420)은 제1 전극(410)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진동 물질층(430)은 제1 전극(410)과 제2 전극(4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1 전극(410)과 제2 전극(420)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410)과 제2 전극(420)은 ITO, IZO와 같은 투명한 도전체, 불투명한 금속, 도전성 폴리머(conducting polymer) 또는 탄소 나노 튜브(C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물질층(430)은 전계에 의해 진동하는 피에조(piezo)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물질층(430)은 티탄산 지르콘산 연(PZT, lead zirconate titanate) 등의 압전체(piezoelectric), PVDF(polyvinylidene fluoride) 필름과 같은 압전 필름이나 전기 활성 고분자(Electro Active Poly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물질층(430)은 전압의 극성에 따라 압축 또는 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410)에 양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2 전극(420)에 음의 전압이 인가될 경우, 진동 물질층(430)에는 압축력(F1)이 생겨 두께 방향으로 수축할 수 있다. 반면, 제1 전극(410)에 음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2 전극(420)에 양의 전압이 인가될 경우, 진동 물질층(430)에는 이완력(F2)이 생겨 두께 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410)과 제2 전극(420)에 교류 전압(즉, 극성이 교대로 바뀌는 교류 전압)을 인가할 경우, 진동 물질층(430)은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할 수 있다. 진동 물질층(430)의 수축 및 팽창의 반복에 따라, 진동 음향 소자(250)에 접하는 표시 패널(210)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은 그 자체로 스피커의 진동판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210)이 진동에 의한 공기의 압력 변화에 의해 음향(소리)이 생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이 유기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 진동에 의한 화면 왜곡없이 음향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a에서 진동 음향 소자(250)는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진동 음향 소자(250)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진동 음향 소자(250)는 영구 자석 및 영구 자석을 감싸는 코일을 포함하고, 음향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가 코일에 흐르는 경우,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도 4b는 도 3의 Q1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b에는 표시 패널(21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210)은 베이스 기판(211), 제1전극(212), 화소 정의막(213), 발광층(214), 제2전극(215) 및 봉지층(217)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층(260) 상에는 베이스 기판(211)이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211)은 절연 기판일 수 있다. 베이스 기판(211)은 일 실시예로, 유연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분자 물질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 (polyphenylene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ellulosetriacetate: CA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베이스 기판(211) 상에는 제1전극(212)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전극(212)은 애노드(anode) 전극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베이스 기판(211)과 제1전극(212) 사이에는 복수의 구성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성은 일 실시예로 버퍼층, 복수의 도전성 배선, 절연층 및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극(212) 상에는 화소 정의막(213)이 위치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213)은 제1전극(212) 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제1전극(212) 상에는 발광층(214)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발광층(214)은 적색(red) 광, 녹색(green) 광 및 청색(blue) 광 중 하나를 발광할 수 있다. 적색 광의 파장은 약 620nm 내지 750nm일 수 있으며, 녹색 광의 파장은 약 495nm 내지 217nm일 수 있다. 또한, 청색 광의 파장은 약 450nm 내지 495nm일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 발광층(214)을 백색(white)을 발광할 수 있다. 발광층(214)이 백색을 발광하는 경우, 발광층(214)은,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청색 발광층이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적색, 녹색 및 청색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컬러 필터(Color Filt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발광층(214)은 유기발광층일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층(214)은 양자점 발광층일 수도 있다.
제2전극(215)은 발광층(214) 및 화소 정의막(2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전극(215)은 일 실시예로 발광층(214) 및 화소 정의막(213) 상에 전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전극(215)은 캐소드(cathode) 전극일 수 있다.
제1전극(212), 제2전극(215) 및 발광층(214)은 자발광소자(EL)를 구성할 수 있다.
자발광소자(EL) 상에는 봉지층(217)이 위치할 수 있다. 봉지층(217)은 자발광소자(EL)를 밀봉하고 외부에서 자발광소자(EL)로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봉지층(217)은 박막봉지(Thin Film Encapsulation)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유기막과 하나 이상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봉지층(217)은 제2전극(215) 상에 위치하는 제1무기막(217a), 제1무기막(217a) 상에 위치하는 유기막(217b), 유기막(217b) 상에 위치하는 제2무기막(217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무기막(217a)은 자발광소자(EL)로 수분, 산소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무기막(217a)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주석 산화물, 세륨 산화물, 실리콘 산질화물(SiON)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무기막(217a) 상에는 유기막(217b)이 위치할 수 있다. 유기막(217b)은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유기막(217b)은 액상 유기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재료는 증착, 프린팅 및 코팅을 통해 베이스 기판(211) 상에 제공되고 경화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유기막(217b) 상에는 제2무기막(217c)이 위치할 수 있다. 제2무기막(217c)은 제1무기막(217a)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무기막(217a)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무기막(217c)은 유기막(217b)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무기막(217c)과 제1무기막(217a)은 비표시 영역(NDA)에서 서로 접하여 무기-무기 접합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봉지층(217)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봉지층(217)의 적층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봉지층(217)은 글라스 기판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c는 도 3의 Q2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c에는 차광층(26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충격흡수층(27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차광층(260)은 표시 패널(210)의 하부에 배치되는 광흡수부재(263), 광흡수부재(263)와 표시 패널(210) 사이에 위치하는 탑 결합층(263), 광흡수부재(263) 하부에 위치하는 제1 층간 결합층(265)을 포함한다.
광흡수부재(263)는 빛의 투과를 저지하여 하부의 음향 소자(250) 등이 상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광흡수부재(263)는 기재 및 기재의 일면상에 배치된 블랙 안료나 염료 등과 같은 광 흡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흡수부재(263)는 블랙 잉크를 포함할 수 있다. 광흡수부재(263)는 기재의 상면에 블랙 잉크를 코팅이나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탑 결합층(263)은 광흡수부재(263)를 표시 패널(210)의 하부에 부착시킬 수 있다. 탑 결합층(263)은 상면에 오목하게 패인 오목 패턴이나, 상면에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 패턴과 같은 엠보(embossing)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소자(250)가 차광층(260)에 결합되어 하나의 패널 하부 부재를 구성하는 경우, 강성(rigid)인 음향 소자(250)를 포함하는 패널 하부 부재를 표시 패널(210)(예를 들어, 강성인 표시 패널)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연성인 하부 부재를 표시 패널(210)에 부착하는 경우에 비해 기포가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탑 결합층(263)이 엠보 패턴을 가짐으로써, 상기 기포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엠보 패턴은 차광층(260)이 표시 패널(210)에 결합된 이후에 무너져 없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엠보 패턴은 차광층(260)이 표시 패널(210)에 결합된 이후에도 유지되어, 잔존하는 기포가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탑 결합층(263)은 접착층, 점착층, 또는 수지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탑 결합층(263)은 실리콘계, 우레탄계, 실리콘-우레탄 하이브리드 구조의 SU폴리머, 아크릴계,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비닐알코올계, 젤라틴계, 비닐계, 라텍스계, 폴리에스테르계, 수계 폴리에스테르계 등으로 분류되는 고분자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제1 층간 결합층(265)은 음향 소자(250)와 충격 흡수층(270)을 광흡수부재(263)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층간 결합층(265)은 상술한 탑 결합층(263)의 예시 물질들 중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충격 흡수층(270)은 차광층(260)의 하부에 위치하는 완충부재(271), 완충부재(27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층간 결합층(273) 및 제2 층간 결합층(273)의 하부에 위치하는 방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재(271)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 패널(210), 윈도우(220)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완충부재(271)는 단일층 또는 복수의 적층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부재(271)는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거나, 고무, 우레탄 계열 물질, 또는 아크릴 계열 물질을 발포 성형한 스폰지 등 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부재(271)는 쿠션층일 수 있다.
방열부재는 완충부재(27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방열부재(730)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c에서는 방열부재가 2개의 방열층(275, 277)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제1 방열층(275)과 제2 방열층(277)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다른 방열 특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열층(275)은 그라파이트나 탄소 나노 튜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열층(277)은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고 열전도성이 우수한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방열층(277)은 구리, 니켈, 페라이트, 은 등과 같은 금속 박막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열층(277)은 제1 방열층(275)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방열층(275)과 제2 방열층(277)은 중첩하도록 배치되되, 제1 방열층(275)은 제2 방열층(277)보다 작고, 그 측면이 제2 방열층(277)의 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eh 있다.
제1 방열층(275)과 제2 방열층(277) 사이에는 결합층(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결합층은 제1 방열층(275)과 제2 방열층(277)을 결합하고, 제1 방열층(275)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결합층의 물질은 상술한 탑 결합층(263)의 예시 물질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방열부재 하부에는 바텀 결합 부재(279)가 위치할 수 있다. 바텀 결합 부재(279)는 다공층(280)을 충격 흡수층(27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바텀 결합 부재(279)는 앙면에 결합층을 갖는 테이프, 예컨대 양면 접착 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텀 결합 부재는 음향 소자(250)의 동작시 발생하는 진동 및 열에 강한 감열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다공층(280)은 중간층(510), 제1 결합층(520) 및 제2 결합층(530)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층(5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공들(AP)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층(510)은 이산화규소(SiO2)(MO)(또는, 실리카(silica))로 구성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규소(MO)는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중간층(510)은 실리카 에어로겔일 수 있다.
실리카 에어로겔은 실리카 겔의 준비 공정, 얼라인 공정 및 건조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실리카 겔의 준비 공정에서, 실리카 겔은 졸-겔 합성 기술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실리카를 주원료로 한 용액에 촉매를 첨가하여 겔화 과정을 거치면서 겔이 획득될 수 있다. 이후, 얼라인 공정에서, 실리카 겔은 알콕시실란(alkoxysilane)과 용매의 혼합물에 침지하여 얼라인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 경우, 겔의 강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후, 건조 공정에서, 겔(511)은 기공들(AP) 속에 있는 액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중간층(510)은 90% 이상의 공극률(즉, 전체 부피 대비 기공들(AP)의 비율)을 가지고, 나아가, 98% 이상의 공극률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기공들(AP)은 대체적으로 상호 연결되고, 유체(예를 들어, 공기)가 연결된 기공들(AP)을 중간층(510)을 통과하여 흐를 수 있다.
중간층(510)에 형성된 기공들(AP)은 50nm 이하(또는, 50nm 내지 20nm), 나아가 평균 20nm의 크기(R_AP)(또는, 직경)를 가질 수 있다. 물이 액체일 경우 표면적이 50nm 이상이므로, 물은 중간층(510)(및 다공층(280))으로 침투하지 못할 수 있다. 즉, 기공들(AP)의 크기에 따라 중간층(510)(및 다공층(280))은 강화된 방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중간층(510)이 실리카 에어로겔인 경우, 건조 공정에서 실리카 에어로겔을 초임계 건조시킴으로써, 실리카 에어로겔은 소수성을 가질 수 있다. 실리카 에어로겔의 기본 골격이 되는 실라놀(silanol, Si-OH) 극성 부분은 친수성을 가지나, 초임계 건조 공정을 거치면서 수산화기(-OH)(또는, 하이드록시 그룹)가 용매와 반응하여 메톡실기(methoxy, (-OCH3)x)(또는, 메톡시 그룹)로 변하며, 따라서, 실리카 에어로겔은 소수성을 가질 수 있다.
중간층(510)은 기공들(AP)을 포함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뛰어난 단열성을 가질 수 있다. 비록 공기가 기공들(AP)을 통과하면서 열이 전달될 수 있으나, 실리카 에어로겔의 경우 낮은 열에너지 전달 수치를 가지고, 낮은 온도에서의 복사에 의한 열전달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230) 측에서의 열이 표시 패널(21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 또는 완화 될 수 있다.
중간층(510)의 모듈러스(modulus)는 0.5MPa 이하, 또는, 0.5Mpa 내지 0.05MPa 일 수 있다. 중간층(510)의 모듈러스가 낮아질수록, 표시 패널(210)은 프레임(230)으로부터 독립하여, 보다 자유롭게 진동할 수 있다.
제1 결합층(520)은 중간층(5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 결합층(530)은 중간층(5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중간층(510)은 제1 결합층(520) 및 제2 결합층(5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1 결합층(520)은 양면에 접착 특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아크릴 점착 필름(acryl adhesive) 일 수 있다. 제1 결합층(520)은 라미네이션 과정을 통해 중간층(510)의 상면에 부착되며, 이후, 다공층(280)을 차광층(270)(및/또는 진동 음향 소자(250), 표시 패널(2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결합층(530)은, 제1 결합층(520)과 유사하게, 양면에 접착 특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아크릴 점착 필름일 수 있다. 제2 결합층(530)은 중간층(510)의 하면에 부착되며, 이후, 다공층(280)을 프레임(2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층(530)은 아미노 폴라스트와 같은 감열성(heat reactive)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결합층(530)은 표시 패널(210)이 진동시 프레임(230)과 중간층(510)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마찰/충격과, 마찰/충격으로 인한 노이즈(즉, 음향에 대한 노이즈)를 제거 또는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다공층(280)은 100μ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다공층(280)은 중간층(510) 및 제1 및 제2 결합층들(520, 530)을 포함하되, 중간층(510)은 실리카의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고, 90% 이상의 공극률을 가지며, 0.5MPa 이하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210)은 프레임(23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독립하여 자유롭게 진동하고, 또한 진동 음향 소자(250)가 배치되는 제1 공간 및 배터리가 장착되는 제2 공간이 하나의 울림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장치(100)의 음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다공층(280)은 소수성을 가짐으로써, 외부로부터(특히, 하부로부터) 침투하는 수분으로부터 표시 패널(210)이 보호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2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들이다.
진동 음향 소자(750)의 두께 및 진동판(즉, 표시 패널(210) 및 이에 결합된 구성들)의 두께에 따라 음압(또는, 음향 레벨)이 변화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음압에 대응하여 진동 음향 소자(750)는 두껍게 구성되거나 얇게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진동 음향 소자(750)를 기준으로 진동판의 두께도 상대적으로 두껍게 구성되거나 얇게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_1)은 진동 음향 소자(75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의 표시 장치(100)와 상이하다.
진동 음향 소자(750)는 두께를 제외하고,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음향 소자(2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진동 음향 소자(750)는 충격 흡수층(270)과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진동 음향 소자(750)의 하면과 충격 흡수층(270)의 하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공층(280)의 제1 중첩 영역(RO1)(즉, 진동 음향 소자(750)와 중첩하는 제1 영역)에서의 두께는 제2 중첩 영역(RO2)(즉, 충격 흡수층(270)과 중첩하는 제2 중첩 영역(RO2))의 두께와 같을 수 있다.
따라서, 다공층(280)은, 제1 및 제2 영역들(RO1, RO2) 전체에 걸쳐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중간층(510) 및 제1 및 제2 결합층들(520, 5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공층(280)은 충격 흡수층(270)(또는, 표시 패널(210)) 및 진동 음향 소자(250)를 을 프레임(230)과 연결함으로써, 진동 음향 소자(250)와 프레임(230) 사이에 마찰 및 충격이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표시 장치(100_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_2)는 다공층(88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의 표시 장치(100)와 상이하다.
다공층(880)은 중간층(510), 제1 결합층(811) 및 제2 결합층(5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층(811)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결합층(5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결합층(811)은 제2 중첩 영역(RO2)과 중첩하고, 제1 중첩 영역(RO1)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결합층(811)은 진동 음향 소자(750)(또는, 제1 중첩 영역(RO1))에 대응하는 홀을 포함하고, 제1 결합층(811)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충격 흡수층(270)과 유사하게, 차광층(26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제1 결합층(811)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충격 흡수층(270)을 대체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100_2)의 전체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_3)는 다공층(98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의 표시 장치(100)(및 도 8의 표시 장치(100_2))와 상이하다.
다공층(980)은 중간층(510) 및 제2 결합층(530)을 포함하고,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결합층(51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다공층(980)은 진동 음향 소자(250) 및 충격 흡수층(270)과 완전 분리되고, 표시 패널(210)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진동판을 구성하며, 보다 자유롭게 진동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_4)는 다공층(108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의 표시 장치(100)와 상이하다.
다공층(1080)은 중간층(510) 및 제1 결합층(520)을 포함하고,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 결합층(53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다공층(980)은 프레임(230)과 분리되고, 표시 패널(210)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의 진동판을 구성하며, 도 9의 표시 장치(100_3)와 유사하게, 표시 패널(210)은 보다 자유롭게 진동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210)이 진동함에 따라 다공층(980)의 하면과 프레임(230)의 상면 사이에서 마찰과 충격이 발생하므로, 진동 음향 소자(750)에 마찰과 충격이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_5)는 다공층(118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의 표시 장치(100)(및 도 9의 표시 장치(100_3))와 상이하다.
다공층(1180)은 중간층(1181) 및 제2 결합층(5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중간층(1181)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중간층(5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중간층(1181)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공층(1180)과 유사하게, 제1 중첩 영역(RO1)에서의 두께는 제2 중첩 영역(RO2)에서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중간층(1181)은 상면에 진동 음향 소자(750)(또는, 제1 중첩 영역(RO1))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된 홈(또는, 오목부)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이 진동하는 경우, 차광층(270) 및 중간층(1181)이 이격되고, 표시 패널(210)은 보다 얇은 진동판을 구성하여, 보다 자유롭게 진동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_6)는 다공층(128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의 표시 장치(100)(및 도 11의 표시 장치(100_3))와 상이하다.
다공층(1280)은, 도 11를 참조하여 설명한 중간층(118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1 및 제2 결합층들(520, 53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100_6)의 두께가 보다 감소될 수 있다. 다공층(1280)은 차광층(270)(또는, 표시 패널(210)), 진동 음향 소자(250) 및 프레임(230)과 분리되므로, 표시 패널(210)이 진동하는 경우, 다공층(1280)의 상면이 표시 패널(210)로부터 이격되고 다공층(1280)의 하면이 프레임(230)으로부터 이격되며, 다공층(1280)이 위치가 이탈될 우려가 있으나, 표시 패널(210)의 진동 범위(또는, 진동 높이, 진동 폭)를 감소시키거나, 진동 음향 소자(250)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다공층(1280)의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_7)는 진동 음향 소자(1350) 및 다공층(138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의 표시 장치(100)와 상이하다.
진동 음향 소자(1350)는 두께를 제외하고,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음향 소자(2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1350)는 충격 흡수층(270)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1350)의 두께는 충격 흡수층(270)의 두께와 제1 결합층(1382)의 두께의 합과 같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층(1382)은 다공층(1380)에 포함되고,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결합층(5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결합층(881)과 유사하게, 제1 결합층(1382)은 제2 중첩 영역(RO2)과 중첩하고, 제1 중첩 영역(RO1)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결합층(1382)은 진동 음향 소자(1350)(또는, 제1 중첩 영역(RO1))에 대응하는 홀을 포함하고, 제1 결합층(1382)은 차광층(26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_8)는 진동 음향 소자(1450) 및 다공층(148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3의 표시 장치(100_7)와 상이하다.
진동 음향 소자(1450)는 두께를 제외하고,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음향 소자(2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1450)은 도 13을 참조하여 진동 음향 소자(1350)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 경우, 진동 음향 소자(1450)의 두께는 충격 흡수층(270)의 두께와 제1 결합층(1482)의 두께의 합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층(1482)은 다공층(1480)에 포함되고,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결합층(1382)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 음향 소자(1450)의 하면은 제1 결합층(1482)의 하면보다 하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다공층(1480)에 포함된 중간층(1481)의 제1 중첩 영역(RO1)의 두께는 제2 중첩 영역(RO2)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중간층(1481)의 상면에 진동 음향 소자(1450)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고, 진동 음향 소자(1450)는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_9)는 다공층(158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4의 표시 장치(100_8)와 상이하다.
다공층(1580)은 중간층(1581), 제1 결합층(1582), 제2 결합층(530) 및 제3 결합층(158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층(1582)은 도 14의 제1 결합층(1482)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중간층(1581)은 진동 음향 소자(1450)에 대응하여, 제1 중첩 영역(RO1)에 형성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홀은 중간층(1581)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홀의 높이(즉, 중간층(1581)의 두께)는 진동 음향 소자(1450)의 돌출된 부분의 높이(즉, 제1 결합층(1582)의 하면을 기준으로 진동 음향 소자(1450)가 하부 방향으로 더 돌출된 부분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1450)가 중간층(1581)의 홀에 삽입되는 경우, 진동 음향 소자(1450)가 중간층(1581)의 홀을 채우고 남은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중간층(1581)의 남은 부분에는 제4 결합층(1584)이 배치될 수 있다.
제4 결합층(1584)은 충격 흡수층(270)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거나, 제1 결합층(1582)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결합층(1584)이 충격 흡수층(270)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는 경우, 제4 결합층(1584)의 상부면은 진동 음향 소자(1450)의 하부면과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1450)가 수축/팽창하거나, 표시 패널(210)이 진동하는 경우, 진동 음향 소자(1450)의 하부면이 제4 결합층(1584)의 상부면과 이격되면서, 마찰과 충격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러한 마찰과 충격은 제4 결합층(1584)에 의해 저감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4 결합층(1584)이 제1 결합층(1582)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는 경우, 진동 음향 소자(1450)의 하부면은 제4 결합층(1584)의 상부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 음향 소자(1450)가 수축/팽창하거나, 표시 패널(210)이 진동하더라도, 진동 음향 소자(1450)의 하부면에서 직접적인 마찰과 충격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진동 음향 소자(1450)는 제4 결합층(1584)(또는, 프레임(230))을 기준으로 진동하면서, 표시 패널(210)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진동시킬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_10)는 진동 음향 소자(1650) 및 다공층(168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5의 표시 장치(100_9)와 상이하다.
다공층(1680)은 중간층(1681), 제1 결합층(1682) 및 제2 결합층(530)을 포함하고, 중간층(1681) 및 제1 결합층(1682)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중간층(1581) 및 제1 결합층(1582)와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진동 음향 소자(1650)의 두께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음향 소자(1450)의 두께보다 두껍고, 충격 흡수층(270), 제1 결합층(1682) 및 중간층(1681)의 총 두께와 같을 수 있다. 즉, 진동 음향 소자(1650)는 제2 결합층(530)의 상면까지 연장되고, 진동 음향 소자(1650)의 하면은 제2 결합층(530)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1650)는 제2 결합층(530)을 통해 프레임(230)에 결합되고, 프레임(230)을 기준으로 진동하면서, 표시 패널(210)을 보다 강하게 진동시킬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_11)는 진동 음향 소자(1750) 및 다공층(178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6의 표시 장치(100_10)와 상이하다.
다공층(1780)은 중간층(1781), 제1 결합층(1782) 및 제2 결합층(1783)을 포함하고, 중간층(1781) 및 제1 결합층(1782)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중간층(1681) 및 제1 결합층(1682)와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결합층(1783)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 결합층(5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결합층(1783)은, 제1 결합층(1782)과 유사하게, 진동 음향 소자(1750)(또는, 제1 중첩 영역(RO1))에 대응하여 형성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진동 음향 소자(1750)의 두께는,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음향 소자(1650)의 두께보다 두껍고, 충격 흡수층(270), 제1 결합층(1782), 중간층(1781) 및 제2 결합층(1783)의 총 두께와 같을 수 있다. 즉, 진동 음향 소자(1650)는 프레임(230)의 상면까지 연장되고, 진동 음향 소자(1750)의 하면은 프레임(230)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한편, 진동 음향 소자(1750)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진동 음향 소자(1750)의 하면은 프레임(23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다공층(1780)에 제1 결합층(1782), 중간층(1781) 및 제2 결합층(1783)을 관통하는 하나의 홀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장치(100_11)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_12)는 진동 음향 소자(1850) 및 다공층(188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장치(100_1)와 상이하다.
진동 음향 소자(1850)는 두께를 제외하고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음향 소자(7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1850)의 두께는 충격 흡수층(27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다공층(1880)은 제1 결합층(1881), 중간층(510) 및 제2 결합층(5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층(1881)은 상면에서 진동 음향 소자(1850)(또는, 제1 중첩 영역(RO1))에 대응하여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의 높이(또는, 두께)와 진동 음향 소자(1850)의 두께의 합은 충격 흡수층(270)의 두께와 같을 수 있다.
즉, 제1 결합층(1881)은 볼록부를 통해 진동 음향 소자(1850)의 하면과 결합되고, 진동 음향 소자(1850)와 다공층(1880) 간의 이격 공간을 제거하고, 진동 음향 소자(1850)와 다공층(1880) 사이에서 마찰 및 충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_13)는 진동 음향 소자(1950) 및 다공층(198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장치(100_1)와 상이하다.
진동 음향 소자(1950)는 두께를 제외하고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음향 소자(7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1850)의 두께는 충격 흡수층(270)의 두께보다 크고, 충격 흡수층(270) 및 제1 결합층(1981)의 총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다공층(1980)은 제1 결합층(1981), 중간층(510) 및 제2 결합층(5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층(1981)은 상면에서 진동 음향 소자(1850)(또는, 제1 중첩 영역(RO1))에 대응하여 하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층(1981)의 제1 중첩 영역(RO1)에서의 두께는 제2 중첩 영역(RO2)에서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1850)의 두께와 제1 결합층(1981)의 제1 중첩 영역(RO1)에서의 두께의 합은 충격 흡수층(270)의 두께와 제1 결합층(1981)의 제2 중첩 영역(RO2)에서의 두께의 합과 같을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_14)는 다공층(208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9을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장치(100_13)와 상이하다.
다공층(1980)은 제1 결합층(2081), 중간층(2082) 및 제2 결합층(5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층(2081)은 진동 음향 소자(1950)(또는, 제1 중첩 영역(RO1))에 대응하여 형성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층(2082)은 상면에 진동 음향 소자(1950)에 대응하여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중간층(2082)의 제1 중첩 영역(RO1)에서의 두께는 제2 중첩 영역(RO2)에서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1850)의 두께와 중간층(2082)의 돌출부의 두께의 합은 충격 흡수층(270)의 두께와 제1 결합층(2081)의 두께의 합과 같을 수 있다.
도 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진동 음향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홀, 홈 또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다공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공층은 제1 결합층 및 제2 결합층을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포함함으로써, 진동판(즉, 표시 패널(210)과 결합되어 진동하는 구성)의 두께를 조절하여 요구되는 음압(또는, 음향 레벨)을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 음향 소자의 하면에서의 마찰 및 충격을 방지하거나 저감시킬 수 있다.
도 2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2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_15)는 다공층(280)을 포함하되, 다공층(280)은 제1 내지 제4 영역들(A1 내지 A4) 중 하나의 영역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다공층(280)은 단면도 상에서 진동 음향 소자(250) 및 프레임(230) 사이(및 충격 흡수층(270) 및 프레임(230) 사이)에 배치되되, 평면도 상에서 다른 크기(또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공층(280)은 제1 영역(A1)에 배치될 수 있다. 다공층(280)은 평면도 상 진동 음향 소자(250)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고, 진동 음향 소자(250)와 완전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다공층(280)은 단면도상 진동 음향 소자(250)와 프레임(230) 사이에만 배치될 수 있고, 진동 음향 소자(250)의 수축/팽창에 의해 진동 음향 소자(250)와 프레임(230)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 및 충격을 방지 또는 완화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230) 중 다공층(280)이 배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 상에는 충격 흡수층(270)이 배치되거나, 프레임(230) 자체가 다공층(280)에 대응하여 형성된 홈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즉, 다공층(280)은 제2 영역(A2)에 배치될 수 있다. 다공층(280)은 평면도 상 진동 음향 소자(250)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진동 음향 소자(250)와 완전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다공층(280)은 진동 음향 소자(250)를 에워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다공층(280)은 단면도상 진동 음향 소자(250)와 프레임(230)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다공층(280)은 충격 흡수층(270)과 일부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다공층(280)은 제3 영역(A3)에 배치될 수 있다. 다공층(280)은 평면도 상 진동 음향 소자(250)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진동 음향 소자(250)와 완전 중첩하여 배치되며, 빈 공간(ES)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빈 공간(ES)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및 제2 홀들(HOLE1, HOLE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예를 들어, 배터리 장치가 장착되는 공간)일 수 있다. 또한, 다공층(280)은 빈 공간(ES)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다공층(280)은 진동 음향 소자(250)가 배치되는 제1 공간과 빈 공간(ES)을 연통함으로써, 제1 공간 및 빈공 간을 하나의 울림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_19)의 음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다공층(280)은 제4 영역(A4)에 배치될 수 있다. 다공층(280)은 평면도 상 프레임(230)의 바닥부의 면적과 유사한 면적(즉, 프레임(230)에서 측벽 및 빈 공간(ES)을 제외한 부분과 같은 면적)을 가지고, 평면도 상 표시 패널(210)과 프레임(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210) 전체가 프레임(23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독립하여 자유롭게 진동할 수 있으며, 또한, 표시 패널(210)의 하면 전체를 수분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공층(280)은 평면도 상에서 다양한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진동 음향 소자(250)가 배치되는 제1 공간과 빈 공간(ES) 사이를 연통하여 표시 장치(100_19)의 음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표시 패널(210)의 하면 전체에 커버하여 수분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도 21에서 표시 장치(100_15)는 빈 공간(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표시 장치(100_15)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0_15)는 빈 공간(ES)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_16)는 진동 음향 소자(2250) 및 다공층(2280)을 포함하고, 또한, 감열층(heat reactive layer)(2290)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의 표시 장치(100)와 상이하다. 여기서, 진동 음향 소자(2250)는 두께를 제외하고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진동 음향 소자(2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2250)의 두께는 차광층(260)과 프레임(230) 간의 이격거리(즉, 단면도 상 상하부 방향으로의 거리)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진동 음향 소자(2250)는 표시 패널(210) 측에 결합되고, 프레임(23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진동 음향 소자(270)가 프레임(230)으로부터 이격된 경우, 별도의 지지 부재가 진동 음향 소자(270) 및 프레임(230) 사이에 개재되어, 진동 음향 소자(270)와 프레임(230) 사이에서의 마찰 및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진동 음향 소자(225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 상에서 제2 구간(R2)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30)은 평면도 상에서 상하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구분된 제1 내지 제3 구간들(R1 내지 R3)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구간(R1)에는 카메라 장치 등이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레임(230)의 제1 구간(R1)에는 별도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프레임(230)의 제3 구간(R3)에는 배터리 장치 등이 배치되기 위한 빈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30)의 제2 구간(R2)에 진동 음향 소자(2250)가 배치되고, 카메라 장치, 배터리 장치 등과의 간섭 또는 이들에 대한 영향성을 최소화될 수 있다.
다공층(2280)은 충격 흡수층(270) 및 프레임(230) 사이에 배치되되, 또한, 진동 음향 소자 및 빈 공간(ES)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층(2280)은 빈 공간(ES)의 폭(예를 들어, 좌우측 방향으로의 폭)과 같은 폭을 가지며, 빈 공간(ES)의 상측변 전체와 접하며, 진동 음향 소자(2250)의 하측변의 일부와 접할 수 있다. 즉, 평면도 상에서, 다공층(2280)은 빈 공간(ES)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다공층(2280)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다른 장치들에 대한 진동에 의한 영향성을 최소화시키고, 울림 공간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감열층(2290)은 프레임(230)(또는, 프레임(230)의 바닥부)과 표시 패널(210) 사이에서, 나머지 영역(즉, 진동 음향 소자(2250), 다공층(2280) 및 빈 공간(ES)이 배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감열층(2290)은 나머지 영역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프레임(230)과 표시 패널(210)(또는, 충격 흡수층(27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한편, 감열층(2290)은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 결합층(530)과 유사하게, 감열성 물질을 포마하고, 표시 패널(210)의 진동시 프레임(230)과 표시 패널(210)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충격 및 이로 인한 노이즈를 제거 또는 완화시킬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들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_17)는 다공층(2480) 및 감열층(249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22의 표시 장치(100_16)과 상이하다.
다공층(2480)은 평면도 상 진동 음향 소자(2250)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진동 음향 소자(2250)를 에워싸는 형태로 배치되되, 진동 음향 소자(2250)가 배치되는 제1 공간과 빈 공간(ES)을 연통시킬 수 있다. 다공층(2480)은 진동 음향 소자(2250)를 감싸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진동 음향 소자(2250)의 진동에 의한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제1 구간(R1)에 위치하는 카메라 장치)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감열층(2490)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감열층(2290)과 유사하게 프레임(230)과 표시 패널(210) 사이에서, 나머지 영역(즉, 진동 음향 소자(2250), 다공층(2280) 및 빈 공간(ES)이 배치되는 영역들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4에서 다공층(2480)은 진동 음향 소자(2250)의 측면만을 감싸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공층(248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공층(2480)은 단면도 상 진동 음향 소자(2250)와 프레임(2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_18)는 다공층(258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22의 표시 장치(100_17)과 상이하다.
다공층(2480)은 평면도 상 진동 음향 소자(2250)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진동 음향 소자(2250)를 에워싸는 형태로 배치되되, 빈 공간(ES)과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표시 장치(100_18)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울림 공간들을 필요로 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100_18)는 빈 공간(ES) 이외에 다공층(2580)을 이용하여 별도의 울림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_19)는 다공층(268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22의 표시 장치(100_17)과 상이하다.
다공층(2480)은 평면도 상 진동 음향 소자(2250)의 길이(즉, 좌우측 방향으로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진동 음향 소자(2250)의 하측변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빈 공간(ES)과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다공층(2480)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및 제3 구간(R1, R3)에 대한 진동의 영향성을 최소화하면서, 가장 작은 면적을 이용하여 울림 공간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도 2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표시 장치의 음향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7을 참조하면, 수평축은 주파수(FREQ)를 나타내고, 수직축은 음압(sound press level)(SPL)을 나타낸다.
제1 그래프(GRAPH1)는 다공층(2280) 없이 감열층(2290)만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음향 특성을 나타내고, 제2 그래프(GPAPH2)는 도 22의 표시 장치(100_16)의 음향 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감열층(2290)은 약 3MPa의 모듈러스를 가지고, 다공층(2280)은 0.5MPa 이하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래프(GRAPH1)는 1KHz 주파수에 대하여 82.8dB의 음압을 가지고, 2.43KHz의 공진 주파수(또는, 공명 주파수)를 가진다.
한편, 제2 그래프(GRPAPH2)는 1KHz 주파수에 대하여 86dB의 음압을 가지고, 1.93KHz의 공진 주파수를 가진다.
즉, 표시 장치(100_16)는 가청 주파수 대역에서 약 4dB(또는, 2배 이상) 향상된 음압(또는, 음향 레벨)을 가지며, 또한, 보다 낮은 공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음향을 증폭시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_16)의 음향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표시 장치
210: 표시 패널
220: 윈도우
230: 프레임
240: 결합층
250: 진동 음향 소자
260: 차광층
270: 충격 흡수층
280: 다공층

Claims (20)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진동 음향 소자;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하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진동 음향 소자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복수의 기공들을 갖는 다공층으로서, 공극률이 90% 이상인 다공층; 및
    상기 진동 음향 소자에 대응하는 홀을 포함하여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다공층 사이에서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측면을 감싸며 배치되는 충격 흡수층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 흡수층은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다공층과 중첩하고, 상기 진동 음향 소자와 중첩하지 않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층은 망상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들 중 서로 다른 2 이상의 기공들이 상호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모든 경로 상에서, 상기 다공층의 골격은 상기 기공들에 의해 비연속적인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단면도 상에서 상기 기공들의 평균 직경은 20nm 보다 크고 50nm 보다 작은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단면도 상에서 상기 기공들의 평균 직경은 50nm 보다 크고, 상기 다공층은 메톡실기(methoxy)를 가지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층은 0.5MPa 내지 0.05MPa 이내의 모듈러스를 가지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층은 이산화규소(SiO2)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층은,
    상기 진동 음향 소자와 중첩하여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하면에 부착되는 제1 결합층,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결합층, 및
    상기 제1 결합층 및 제2 결합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및 제2 결합층들과 결합하고, 상기 기공들을 포함하는 중간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층의 상면은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하면 및 상기 충격 흡수층의 하면과 접하는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층은,
    상기 진동 음향 소자에 대응하는 홀을 가지고,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측면과 접하는 제1 결합층,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결합층, 및
    상기 제1 결합층 및 제2 결합층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기공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층의 홀을 통해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하면과 접하는 중간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층은,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결합층, 및
    상기 제2 결합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기공들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하면 및 상기 충격 흡수층의 하면에 접하는 중간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층은,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하면 및 상기 충격 흡수층의 하면에 부착되는 제1 결합층, 및
    상기 제1 결합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공들을 포함하며, 프레임의 상면과 접하는 중간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층은,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결합층, 및
    상기 제2 결합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기공들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 음향 소자에 대응하는 홈을 포함하여 상기 홈을 통해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측면 및 하면과 접하는 중간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층은,
    상기 진동 음향 소자에 대응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 결합층,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결합층,
    상기 제1 결합층 및 상기 제2 결합층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제1 결합층의 홀에 중첩하는 홀을 포함하는 중간층, 및
    상기 진동 음향 소자, 상기 중간층 및 상기 제2 결합층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 음향소자 및 상기 제2 결합층을 연결하는 제4 결합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층은,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에 결합하는 제1 결합층,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결합층, 및
    상기 제1 결합층 및 제2 결합층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층들과 결합하며, 상기 기공들을 포함하는 중간층, 및
    상기 진동 음향 소자에 중첩하고 상기 제1 결합층, 상기 제2 결합층 및 상기 중간층을 관통하여 형성된 홀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 음향 소자는 상기 홀을 통해 하면이 상기 프레임의 상면과 접하는 표시 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진동 음향 소자와 중첩하지 않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층은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홀까지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연장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층은 상기 홀의 한 변으로부터 상기 진동 음향 소자까지 최단 경로에 배치되며,
    상기 다공층의 한 변의 길이는 상기 홀의 상기 한 변의 길이와 같은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되 두께 방향으로 상기 다공층과 중첩하지 않는 감열층(heat reactive layer)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진동 음향 소자;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하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진동 음향 소자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프레임 사이의 최단 경로 상에서 상호 부분적으로 중첩하여 형성된 복수의 기공들을 가지는 다공층; 및
    상기 진동 음향 소자에 대응하는 홀을 포함하여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다공층 사이에서 상기 진동 음향 소자의 측면을 감싸며 배치되는 충격 흡수층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 흡수층은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다공층과 중첩하고, 상기 진동 음향 소자와 중첩하지 않는 표시 장치.
KR1020180091069A 2018-08-06 2018-08-06 표시 장치 KR102594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069A KR102594035B1 (ko) 2018-08-06 2018-08-06 표시 장치
US16/296,251 US11201194B2 (en) 2018-08-06 2019-03-08 Display device
CN201910618623.8A CN110809220B (zh) 2018-08-06 2019-07-10 显示设备
US17/549,624 US20220102443A1 (en) 2018-08-06 2021-12-13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069A KR102594035B1 (ko) 2018-08-06 2018-08-06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417A KR20200016417A (ko) 2020-02-17
KR102594035B1 true KR102594035B1 (ko) 2023-10-25

Family

ID=6922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069A KR102594035B1 (ko) 2018-08-06 2018-08-06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201194B2 (ko)
KR (1) KR102594035B1 (ko)
CN (1) CN1108092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7529A (zh) * 2019-05-30 2020-1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缓冲结构、显示屏模组、其制备方法及终端设备
CN110267172B (zh) * 2019-06-28 2021-02-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发声装置、显示装置及终端
KR20210025417A (ko) * 2019-08-27 2021-03-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EP3962108A1 (en) * 2020-08-31 2022-03-02 LG Display Co., Ltd. Vibration apparatus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4283679B (zh) * 2020-09-28 2024-04-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和电子设备
KR20220164963A (ko) * 2021-06-07 2022-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0499A (ja) 2005-03-24 2006-10-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孔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音響整合層並びにこの音響整合層を備えた超音波送受信器
JP2015050668A (ja) 2013-09-02 2015-03-16 三菱鉛筆株式会社 音響振動板と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1164B2 (en) * 1997-05-27 2010-02-16 Applied Elastomerics, Inc. Collapsible gel articles
GB9816394D0 (en) * 1998-07-29 1998-09-23 New Transducers Ltd Acoustic devices
US6913517B2 (en) * 2002-05-23 2005-07-05 Cabot Microelectronics Corporation Microporous polishing pads
KR20040008265A (ko) * 2002-07-06 200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EP2204688B1 (en) * 2002-09-03 2011-10-26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sound output function and the like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05221897A (ja) * 2004-02-06 2005-08-18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ディスプレイパネル装置
CN1658622A (zh) * 2004-02-18 2005-08-24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移动电话机的音响室设计
US20070202917A1 (en) * 2006-02-27 2007-08-30 Andrew Phelps Display and speaker module
JP5135771B2 (ja) * 2006-11-17 2013-02-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書込み装置、及び表示プログラム
US7648123B2 (en) * 2007-06-25 2010-01-19 Peter E Gagnon Collapsible pump jack
CN101359063A (zh) * 2007-08-01 2009-02-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其棱镜片
CN101561588A (zh) * 2008-04-16 2009-10-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背光模组及其光学板
US20120275013A1 (en) * 2011-04-19 2012-11-01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sheet,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sheet,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3718567B (zh) * 2011-07-21 2017-09-08 喜恩吉股份有限公司 安装自共振型发声扬声器的方法
US20130032132A1 (en) * 2011-08-03 2013-02-07 General Electric Company Oven appliance with dual opening doors
US8879766B1 (en) * 2011-10-03 2014-11-04 Wei Zhang Flat panel displaying and sounding system integrating flat panel display with flat panel sounding unit array
EP2937134A4 (en) * 2012-12-20 2016-01-13 Mitsubishi Rayon Co POLYMERIC COMPOSITION AND POROUS MEMBRANE
CN107768408A (zh) * 2013-04-15 2018-03-06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发光装置
JP6294026B2 (ja) * 2013-08-02 2018-03-14 インターマン株式会社 音響調整装置
KR102204384B1 (ko) * 2013-09-16 2021-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29137B1 (ko) * 2014-05-20 2021-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2016086358A (ja) * 2014-10-28 2016-05-1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1877503B1 (ko) * 2015-12-24 2018-07-11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복합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9964793B2 (en) * 2016-02-23 2018-05-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sipation layer in a display device
KR101817102B1 (ko) * 2016-11-30 2018-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US10142738B2 (en) * 2016-03-28 2018-11-27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generating display device
KR102657577B1 (ko) * 2016-08-22 2024-04-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7285219B2 (ja) * 2017-05-05 2023-06-0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ポリマーフィルムを含む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KR102312125B1 (ko) * 2017-07-03 2021-10-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919454B1 (ko) * 2017-07-31 2018-1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KR102405215B1 (ko) * 2017-11-06 2022-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807732B2 (en) * 2017-11-16 2023-11-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polymer matrix composites
US10843182B2 (en) * 2017-11-17 2020-11-2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porous silicate particles and active metals
KR102386452B1 (ko) 2018-05-02 2022-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0499A (ja) 2005-03-24 2006-10-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孔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音響整合層並びにこの音響整合層を備えた超音波送受信器
JP2015050668A (ja) 2013-09-02 2015-03-16 三菱鉛筆株式会社 音響振動板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43991A1 (en) 2020-02-06
CN110809220B (zh) 2022-12-13
US11201194B2 (en) 2021-12-14
US20220102443A1 (en) 2022-03-31
CN110809220A (zh) 2020-02-18
KR20200016417A (ko) 202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4035B1 (ko) 표시 장치
US11064276B2 (en) Panel bottom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262862B2 (en) Panel bottom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ihe same
EP3471430B1 (en) Panel bottom member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US11079811B2 (en) Sound generator including an ultrasound uni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ound generator,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US10935867B2 (en) Bottom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95188B1 (ko) 표시 장치
US10990181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vibrating element
KR20200083208A (ko) 진동발생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차량
US20240007795A1 (en) Apparatus
KR102668420B1 (ko) 표시 장치
KR20220097279A (ko) 장치 및 진동 발생 장치
CN118250620A (zh) 声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