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073B1 - 미생물 배양 시트 - Google Patents
미생물 배양 시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1073B1 KR101811073B1 KR1020127022309A KR20127022309A KR101811073B1 KR 101811073 B1 KR101811073 B1 KR 101811073B1 KR 1020127022309 A KR1020127022309 A KR 1020127022309A KR 20127022309 A KR20127022309 A KR 20127022309A KR 101811073 B1 KR101811073 B1 KR 1018110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sheet
- culture
- microorganism
- adhesive la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26—Inoculator or sampler
- C12M1/28—Inoculator or sampler being part of container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16—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containing, or adapted to contain, solid media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4—Determining presence or kind of microorganism; Use of selective media for testing antibiotics or bacteriocides; Compositions containing a chemical indicator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24—Methods of sampling, or inoculating or spreading a sample; Methods of physically isolating an intact microorganism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14—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means providing thin layers or with multi-level tray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22—Transparent or translucent par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13—Producing thin layers of samples on a substrate, e.g. smearing, spinning-on
- G01N2001/2833—Collecting samples on a sticky, tacky, adhesive surfa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환경 미생물의 포집효율이 우수한 미생물 배양 시트와 포집효율이 우수한 환경 미생물의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기재 시트와 상기 기재 시트 위에 형성된 건조 배양층과, 상기 건조 배양층을 피복하는 커버 시트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양 시트로서, 상기 커버 시트는, 내면에 점착층과 박리 필름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배양 시트이다. 점착층에 의해 환경 미생물을 포집하므로, 포집효율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버 시트의 점착층에 의해서 고체 형태의 피험면이나 공중에 부유하는 미생물을 우수한 포집율로 포집할 수 있는 미생물 배양 시트, 그리고, 상기 미생물 배양 시트와 건조 배양층의 겔화 용액으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양 키트 등에 관한 것이다.
미생물의 존재를 확인하고, 또는 미생물 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한천 평판 혼석법(混釋法)이 있고, 미리 멸균시킨 샤알레에 형성한 한천 배지가 사용된다. 또, 식품이나 의약품의 제조 설비의 위생관리 등의 목적으로, 조리 기구, 용기 등의 표면에 부착된 세균의 검출 방법으로서 스탬프법이 알려져 있다. 이 스탬프법은, 한천 배지 등을 시험 대상물에 직접 부착시켜서 그 표면에 존재하는 세균을 검출하는 방법이며, 세균을 채취한 후에 그대로 배양할 수 있도록, 세균이 증식가능한 영양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스탬프 형상으로 고형화한 스탬프 배지가 이용되고 있다. 스탬프 배지는, 피검사 대상물에 꽉 누르는 것을 고려해서, 한천 배지 등을 채운 샤알레 본체에 덮개를 떼어내기 가능하게 부착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샤알레 본체와 덮개는 모두 폴리프로필렌 등의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샤알레 본체는 각진 형상이나 환 형상을 한 기판에 원 형상의 오목부를 돌출 형성한 형상을 하고 있으며, 덮개는 샤알레 본체의 오목부의 외주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끼워 부착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샤알레 본체의 원형 오목부에 한천 배지 등을 충전하고, 거기에 덮개를 씌우고 또한 내부가 멸균 상태로 되어 있다(특허문헌 1).
또, 식품이나 의약품의 제조 설비의 위생관리 등의 목적으로, 농도 2.5% 이상의 함수한천 배지의 표면을 피복하는 커버 시트의 면에 점착층을 형성한 미생물 검출용 디바이스가 있다(특허문헌 2). 미생물을 포집한 점착 시트 등을 고형 배지에 적층해서 미생물을 배양하면, 검출되는 미생물 수가 고형 배지의 삼출액량에 따라서 변동한다고 하는 문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농도 2.5% 이상의 함수한천 배지를 사용함으로써 고형배지에 함유되는 삼출액에 의한 미생물의 이동을 억제하고, 검출되는 미생물 수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라고 한다.
한편, 희석액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마개로 꼭 막는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캡(cap)과, 이 캡에 고정 또는 일체화된 면봉축과, 이 면봉축의 선단에 부착되어서 캡을 단단히 막은 상태에 있어서 희석액 중에 침지되는 면구(綿球)를 가지고 이루어진 닦아내기 검사 키트로서, 상기 캡에 연장봉을 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닦아내기 검사 키트가 있다(특허문헌 3). 닦아내기 검사법은, 멸균 완료된 인산완충 생리식염수 등으로 적셔서 멸균시킨 면봉 등을 이용해서 검사 대상 기구 등의 표면을 닦은 후에, 이것을 수납 병에 넣어, 시료 검사액으로 하는 것이지만, 캡에 연장봉을 부착함으로써 닦아내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고 한다.
또, 피험면의 미생물을 섬유층으로 닦아내 포집한 후에,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층으로 배양하는 검사 방법도 존재한다(특허문헌 4). 피검사 대상물 표면을 닦아낸 섬유층을,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층을 상층에 지니는 배지에 얹어놓거나, 또는 들러붙게 해서 배양을 행하여, 미생물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의 닦아내기 검사 방법이다. 함수 매트릭스와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층으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지의 상기 함수 매트릭스층을 검사 대상에 직접 접촉시켜서 균을 채취하는 방법에서는, 배지성분 등이 검사 대상에 부착되는 등의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섬유층과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층을 분리하고, 상기 섬유층으로 검사 대상물을 닦아내며, 그 후에, 이 섬유층을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층으로 배양한다고 하는 것이다.
또한, 공중 부유균용의 에어 샘플러가 각 회사에서 판매되고 있지만, 청정한 환경의 경우 샘플링 시간을 길게 취하지 않으면 안되어, 장시간 샤알레를 해방시켜두면 배지의 수분이 줄어들어서 금이 가거나 건조되어, 균의 발육에 영향을 줄 경우가 있다(특허문헌 5).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한, 한천 배지를 스탬프용 배지로서 사용하는 방법은, 피검사 부위에 직접 한천 배지를 접촉할 필요가 있으므로, 피검사 부위가 배지 성분이나 수분으로 오염되어, 접촉 부위가 균의 온상이 될 경우가 있다. 이러한 배지의 잔존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균 포집 후의 세정이 필요해져, 조작이 번잡해진다. 또, 한천 배지를 피검사 부위에 접촉시켜 균을 포집하는 방법에서는, 미생물의 포집율이 낮아, 피검사 부위에 부착되어 있는 균의 50%도 포집할 수 없다. 특히, 흰옷 등의 천을 피검사 부위로 할 경우에는, 천에 배지성분과 수분이 흡수되어, 흰옷이 오염되는 동시에 천에 부착되어 있는 균의 포집 효율이 더욱 저감될 경우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에서는, 배지성분으로서 한천 배지를 사용하고 있지만, 한천은, 100℃ 전후의 가열로 졸화하여, 45 내지 50℃ 부근에서 겔화하는 것으로, 겔화물로부터 응고수가 삼출되기 쉽다. 이 때문에, 편모를 지니는 균의 배양 등에 한천 배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응고수에 의해서 균이 유주(遊走)하여, 콜로니가 잘 보이지 않게 될 경우가 있다. 또, 한천에는, 불포화 지방산이 함유되어, 불포화 지방산의 작용에 예민한 균의 배양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한천에 커버 시트의 점착층을 씌웠을 경우, 부착 이물에 의해서 기포의 혼입도 쉬워 시인성이 나빠질 경우가 있다.
게다가, 특허문헌 3에 의한 닦아내기법은, 용기 속에 희석액과 함께 면봉이 세트되어, 상기 희석액에 침지된 면구로 검사 대상물을 닦아낸 후에, 면구를 용기에 회수하는 것이지만, 포집한 균을 함유하는 희석액의 일부만이 샤알레 등의 검사 용기 내에 분주되어서 배양에 제공되므로, 일반적으로 미생물의 배양 고체수가 저감한다. 또, 희석액에 침지시킨 면구를 검사 대상물에 직접 접촉시키므로, 검사 대상물이 오염될 경우가 있다.
또, 특허문헌 4의 측정 방법도, 닦아낼 때에 습윤된 섬유층을 사용하는 점에서 특허문헌 3과 공통되는 것으로, 함수섬유층이 직접 접촉되므로, 검사 대상물이 오염될 경우가 있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스탬프 배지와 마찬가지로 검사 대상물이 흡수물인 경우에는, 검체 대상에 수분이 흡수되어, 검사 대상에 부착되어 있는 균의 포집 효율이 더욱 저감될 경우가 있다.
한편, 미생물 배양 시트는, 검체를 간편하게 채취해서 처리할 수 있고, 또한 컴팩트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스탬프용 배지는, 함수한천 배지를 사용하므로 소정의 두께가 필요해진다. 또, 한천은 냉수가용분말이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아니어서, 건조배지를 조제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건조 배양층을 사용한 컴팩트한 시트 형상물의 개발이 요망된다.
또한, 특허문헌 3은 희석액으로 함수한 면구로, 특허문헌 4는 멸균수 등으로 함수한 섬유층으로 균을 포집한 후에 다른 배지에서 균을 배양하는 것이지만, 식품이나 의약품의 제조 장치의 위생관리 등의 목적으로 균을 포집할 때 커버 시트의 점착층으로 균을 포집 가능하다면, 함수물에 의해서 균을 포집할 경우에 생기는 피험면의 오염을 회피할 수 있다. 또, 건조 배양층을 사용하여, 배양 시 겔화 용액을 투여함으로써 함수배양층으로 조제할 수 있으면, 사용 전의 보존이 용이하고, 또한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중의 미생물 검사에는, 종래, 한천 배지에 의한 낙하균법이나 충돌법이 실시되고 있지만, 장시간 포집하려고 하면 한천으로부터 수분이 증발하여 균의 생육에 영향을 주므로 청정도가 있는 실내의 검사에는 고가의 멤브레인 필터 등을 사용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피험면으로부터의 미생물의 포집이 용이하고, 포집한 균을 배양할 수 있는 건조 배양층을 지니며, 고정밀도로 미생물을 검출할 수 있고, 공기 중의 미생물 검사에 있어서는 포집시간이 장시간이더라도 배양가능하며 컴팩트한 미생물 배양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미생물 배양 시트에 대해서 상세히 검토한 결과, 커버 시트의 내면에 점착층과 박리 필름을 적층하면, 박리 필름을 박리해서 점착층을 피험면과 접촉시킴으로써 포집율 높게 미생물을 포집할 수 있는 것, 검사 대상 미생물용 조성의 건조 배양층에, 예를 들어, 생리식염수나 멸균 정제물 등의 겔화 용액을 적하한 후에 커버 시트를 피복함으로써 해당 배양층에서 검사 대상 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는 것, 또한, 검사 부위가 배지 성분으로 오염되는 것도 수분을 부여하는 일도 없기 때문에, 접촉 부위의 청정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커버 시트의 점착층과 배양층을 겔화 용액을 개재해서 접촉시킴으로써 기포의 혼입을 방지하고, 한천 배지에서도 각별히 높은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기재 시트와 상기 기재 시트 위에 형성된 건조 배양층과, 상기 건조 배양층을 피복하는 커버 시트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양 시트로서, 상기 커버 시트는, 내면에 점착층과 박리 필름이 적층된 것인, 미생물 배양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기재 시트와 상기 기재 시트 위에 형성된 건조 배양층과, 상기 건조 배양층을 피복하는 커버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 시트는, 내면에 점착층과 박리 필름이 적층된 미생물 배양 시트와, 상기 건조 배양층의 겔화 용액으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양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미생물 배양 키트의 점착층에 포집한 균의 배양 방법으로서, 상기 점착층에 균을 포집하는 공정과, 상기 겔화 용액을 첨가해서 커버 시트의 점착층을 건조 배양층에 씌워 건조 배양층을 겔화하는 공정과, 겔화 완료 후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의 배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공기 중의 미생물 검사에는 박리 필름을 벗겨서 커버 시트의 점착층을 위로 해서 샤알레의 밑면에 붙여 에어 샘플러에 세트하고, 소정 시간 샘플링 후, 상기 겔화 용액을 첨가해서 커버 시트의 점착층을 건조 배양층에 씌워 건조 배양층을 겔화하는 공정과, 겔화 완료 후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의 배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에어 샘플러를 사용하지 않는 낙하균 측정을 행할 경우에는 커버 시트의 점착층을 위로 해서 소정 시간 방치 후 상기 조작을 행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 시트의 내면에 형성한 점착층을 피험면에 접촉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정량적으로 미생물을 포집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다. 또한, 수분이 거의 없는 점착층을 사용하므로, 피험면이 오염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허문헌 3과 같이 닦아내기 10㎖의 희석액을 1㎖ 취해서 계측하는 검사법보다도 보다 정확하게 그 부위의 균을 계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배양층에 겔화 용액을 적하한 뒤, 균을 포집한 커버 시트의 점착층을 피복하면 겔화 용액이 점착층에 젖어 퍼지기 때문에 기포의 혼입이 적고, 기포에 의한 시인성 저하가 없어, 균과 균 이외의 쓰레기나 기포 등과의 구별이 명확해서, 시인성이 향상되므로 고정밀도로 미생물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층에 의해서 공기 중의 미생물도 포집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한천 배지에 의한 낙하균법이나 충돌법에서 문제로 되는 배지가 건조된다고 하는 결점을 해소할 수 있어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재 시트에 테두리층이 형성될 경우에는, 생리식염수 등의 겔화 용액을 투여해도 테두리층이 붕괴되지 않아 안정적이어서, 작업의 조작성 및 안정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시트는, 기재 시트와 커버 시트를 투명 소재로 조제할 수 있고, 배면, 측면으로부터의 입사광에 의해서 미생물 콜로니를 계측할 수 있어, 사용 방법의 선택폭을 넓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시트는, 건조 배양층을 피복하는 커버 시트를 지니므로, 배양 조작 중의 낙하균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겔화 용액 투여 후의 건조 배양층의 수분의 증발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컴팩트성은 명확하고 사용 후의 폐기물의 저감에도 기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기재 시트, 건조 배양층 및 커버 시트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양 시트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a), A-A'선 단면도(b) 및 B-B'선 단면도(c)로서, 커버 시트(40)는, 상기 건조 배양층(30)과 대향하는 내면에 점착층(43)이 적층되고, 또한 상기 점착층(43)은, 박리 필름(45)으로 피복되어, 기재 시트의 대략 중앙에 원형의 배양층이 형성되는 양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기재 시트, 건조 배양층 및 커버 시트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양 시트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2(a)는 기재 시트가 다층구조인 양태를 나타내고, 도 2(b)는 건조 배양층이 다층구조인 양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기재 시트, 건조 배양층, 테두리층 및 커버 시트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양 시트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a), A-A'선 단면도(b) 및 B-B'선 단면도(c)로서, 사각형의 기재 시트(10)의 대략 중앙에 건조 배양층(30)이 형성되고, 커버 시트(40)는 상기 건조 배양층(30)과 대향하는 내면에 점착층(43)이 적층되고, 또 상기 점착층(43)은 박리 필름(45)으로 피복되며, 또한 상기 건조 배양층(30)의 외주에 테두리층(20)이 형성되어, 이들을 피복하도록, 사각형의 커버 시트(40)가 설치되어 있는 양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기재 시트, 건조 배양층, 테두리층, 및 점착층과 박리 필름이 커버 시트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양 시트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로, 도 4(a)는 기재 시트가 다층 구조인 양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건조 배양층이 다층구조인 양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기재 시트, 건조 배양층, 및 점착층과 박리 필름이 적층된 커버 시트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양 시트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기재 시트와 커버 시트를 연이어 설치해서, 기재 시트 위에 건조 배양층을 형성하고, 커버 시트에 점착층과 박리 필름을 적층하고, 이어서 커버 시트를 꺾어 구부려서 미생물 배양 시트를 형성하는 양태를 나타낸 평면도(a) 및 단면도(b), (c);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기재 시트, 건조 배양층, 및 점착층과 박리 필름이 적층된 커버 시트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양 시트로서, 건조 배양층을 형성한 기재 시트가 양면 테이프(50)에 의해서 커버 시트에 고정 설치된 양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기재 시트, 건조 배양층, 및 점착층과 박리 필름이 적층된 커버 시트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양 시트로서, 기재 시트의 전체면에 건조 배양층이 형성되고, 또한 양면 테이프(50)에 의해서 기재 시트에 커버 시트가 고정 설치된 양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기재 시트, 건조 배양층 및 커버 시트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양 시트의 외관 사시도;
도 9는 실시예 1에서 검출한 콜로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비교예 2에서 검출한 콜로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실시예 4에서 검출한 콜로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비교예 3에서 검출한 콜로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기재 시트, 건조 배양층 및 커버 시트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양 시트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2(a)는 기재 시트가 다층구조인 양태를 나타내고, 도 2(b)는 건조 배양층이 다층구조인 양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기재 시트, 건조 배양층, 테두리층 및 커버 시트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양 시트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a), A-A'선 단면도(b) 및 B-B'선 단면도(c)로서, 사각형의 기재 시트(10)의 대략 중앙에 건조 배양층(30)이 형성되고, 커버 시트(40)는 상기 건조 배양층(30)과 대향하는 내면에 점착층(43)이 적층되고, 또 상기 점착층(43)은 박리 필름(45)으로 피복되며, 또한 상기 건조 배양층(30)의 외주에 테두리층(20)이 형성되어, 이들을 피복하도록, 사각형의 커버 시트(40)가 설치되어 있는 양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기재 시트, 건조 배양층, 테두리층, 및 점착층과 박리 필름이 커버 시트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양 시트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로, 도 4(a)는 기재 시트가 다층 구조인 양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건조 배양층이 다층구조인 양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기재 시트, 건조 배양층, 및 점착층과 박리 필름이 적층된 커버 시트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양 시트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기재 시트와 커버 시트를 연이어 설치해서, 기재 시트 위에 건조 배양층을 형성하고, 커버 시트에 점착층과 박리 필름을 적층하고, 이어서 커버 시트를 꺾어 구부려서 미생물 배양 시트를 형성하는 양태를 나타낸 평면도(a) 및 단면도(b), (c);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기재 시트, 건조 배양층, 및 점착층과 박리 필름이 적층된 커버 시트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양 시트로서, 건조 배양층을 형성한 기재 시트가 양면 테이프(50)에 의해서 커버 시트에 고정 설치된 양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기재 시트, 건조 배양층, 및 점착층과 박리 필름이 적층된 커버 시트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양 시트로서, 기재 시트의 전체면에 건조 배양층이 형성되고, 또한 양면 테이프(50)에 의해서 기재 시트에 커버 시트가 고정 설치된 양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기재 시트, 건조 배양층 및 커버 시트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양 시트의 외관 사시도;
도 9는 실시예 1에서 검출한 콜로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비교예 2에서 검출한 콜로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실시예 4에서 검출한 콜로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비교예 3에서 검출한 콜로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첫번째 양상은, 기재 시트와 상기 기재 시트 위에 형성된 건조 배양층과, 상기 건조 배양층을 피복하는 커버 시트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양 시트로서, 상기 커버 시트는, 내면에 점착층과 박리 필름이 적층된, 미생물 배양 시트에 관한 것이다.
커버 시트에 점착층과 박리 필름이 적층되므로, 박리 필름을 박리해서 점착층을 피험면과 접촉시켜서 용이하게 미생물을 정량적으로 포집할 수 있고, 또한 배양층이 건조 배양층으로 형성되므로, 컴팩트하고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다. 기재 시트 위에 테두리층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 건조 배양층을 형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테두리층을 기재 시트 위에 형성하면, 테두리층이 소수성 수지로 제조되는 것과 더불어, 생리식염수 등의 겔화 용액의 투여에 의해서도 테두리층이 붕괴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건조 배양층은, 상기 기재 시트에 패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커버 시트의 점착층, 그리고 겔화 용액과 건조 배양층을 조합시킴으로써 기포의 혼입을 방지하여 배양 가능하게 해서, 배양 후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1) 미생물 배양 시트의 구성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시트의 바람직한 양태의 일례를 도 1(a), (b), (c)에 나타낸다. 도 1(a)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은, 직사각형의 기재 시트(10)의 대략 중앙에 건조 배양층(30)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건조 배양층(30)을 피복하도록, 직사각형의 커버 시트(40)가 설치되어 있는 양태를 나타낸다. 상기 커버 시트(40)는 상기 건조 배양층(30)과 대향하는 내면에 점착층(43)이 적층되고, 또한 상기 점착층(43)은 박리 필름(45)으로 피복되어 있다. 또,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 시트(40)는 점착층(43)을 개재해서 기재 시트(10)에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재 시트(10)에 건조 배양층(30)이 패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2(a)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 시트(10)가 기재 시트(11)와 기재 시트(13)의 2층으로 이루어진 다층 시트여도 되고, 또 플라스틱 이외의 다른 층을 적층하는 다층 시트여도 된다. 또한,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조 배양층(30)이 2층 이상의 다층으로 구성되는 것이더라도 된다. 또, 패턴 형성으로 조제된 건조 배양층(30)의 형상은, 도 1에 나타낸 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정방형, 직사각형, 그 밖의 다각형, 부정형이어도 된다. 이 점은 기재 시트(10)의 형상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시트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 시트(10) 위에 테두리층(20)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 건조 배양층(30)이 형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건조 배양층(30)의 외주에 테두리층(20)을 형성함으로써, 생리식염수 등의 겔화 용액을 소정의 범위로 한정할 수 있고, 또한 겔화 용액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테두리층(20)의 외측에는, 건조 배양층이 존재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테두리층(20)을 지니는 미생물 배양 시트의 바람직한 양태의 일례를 도 3(a), (b), (c)에 나타낸다. 도 3(a)는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c)는 도 3 (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3에, 직사각형의 기재 시트(10)의 대략 중앙에 건조 배양층(30)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건조 배양층(30)의 외주에 테두리층(20)이 형성되어, 이들을 피복하도록, 직사각형의 커버 시트(40)가 설치되어 있는 양태를 나타낸다. 상기 커버 시트(40)는, 상기 건조 배양층(30)과 대향하는 내면에 점착층(43)이 적층되고, 또 상기 점착층(43)은 박리 필름(45)으로 피복되어 있다. 기재 시트(10) 위에 직접 건조 배양층(30)을 형성하고, 또한 테두리층(20)을 소수성 수지로 조제함으로써, 건조 배양층(30)에 겔화 용액을 투여했을 경우더라도 테두리층(20)이 겔화 용액에 의해서 붕괴되는 일이 없다.
또한, 테두리층(20)의 형성에 의해 테두리층(20)으로 둘러싸인 건조 배양층(30) 위에 겔화 용액을 적하하고, 커버 시트(40)를 내려서 커버 시트(40)의 점착층(43)을 피복하는 것만으로 겔화 용액을 테두리층(20) 내의 건조 배양층(30)의 영역 전체에 균일하게 퍼지게 할 수 있어, 특별한 기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조작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는, 기재 시트(10)에 테두리층이 소수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도 4(a)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 시트(10)가 기재 시트(11)와 기재 시트(13)의 다층 시트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되고, 또한, 플라스틱 이외의 다른 층을 적층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상기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조 배양층(30)이 2층 이상의 다층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테두리층은, 기재 시트(10)의 표면에 형성되고, 기재 시트(10)와 테두리층 사이에는, 건조 배양층(30)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소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테두리층을 안정적으로 기재 시트(10) 위에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배지 재료의 낭비를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건조 배양층(30)의 등가원의 직경은, 20 내지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이다. 미생물 배양 시트에 적하하는 겔화 용액은 일반적으로 1㎖이며, 상기 범위에서 충분히 겔화 용액을 흡수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는 테두리층(20)의 높이는, 건조 배양층의 높이보다 100 내지 1200㎛ 높고,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1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800㎛로 조제된다. 상기 범위이면, 겔화 용액을 건조 배양층(30)에 투여하면 겔화 용액이 누설되거나 공극을 만드는 일 없이 테두리층(20)까지 신속하게 확산되어, 겔화 용액의 건조 배양층에 의한 흡수를 기다리지 않고 즉시 커버 시트(40)를 피복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테두리층의 폭은, 균일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장 미세한 부분이 폭 0.5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이다. 상기 범위에서 커버 시트와의 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에서는, 기재 시트에, 건조 배양층의 외주에 소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테두리층을 지니면 되고, 단일 테두리층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테두리층의 외측에, 더욱 테두리층이 형성되는 다중 테두리로 이루어진 테두리층이어도 된다.
또한,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시트(40)가 기재 시트(10)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어도 되고, 그 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시트(40)와 기재 시트(10)가 양면 접착 테이프(50) 등을 개재해서 고정 설치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시트는, 기재 시트(10)의 전체면에 건조 배양층(30)이 형성되는 것이어도 되고, 건조 배양층에 부직포를 포함한 것이어도 된다.
(2) 기재 시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기재 시트는, 내용매성, 인쇄 적성을 지닐 필요가 있다. 또, 미생물 배양 시트로서, 내수성도 요구되고, 건조 배양층을 형성할 때의 건조 처리에 견디는 내열성을 지니는 것도 요구된다. 기재 시트는, 단층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적층 시트이어도 된다.
기재 시트가 단층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타이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등의 플라스틱 시트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플라스틱 시트는, 투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기재 시트로부터의 투과광에 의해서도 미생물 콜로니를 관찰할 수 있고, 시인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계측 방법의 선택 폭을 넓힐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시트는, 건조 배양층으로 생육시킨 콜로니를 관찰, 계수하는 것이지만, 기재 시트나 커버 시트가 투명하면, 미생물 배양 시트의 배면으로부터의 투사광으로 관찰할 수도 있고, 측면으로부터의 입사광으로 관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커버 시트 측으로부터도 기재 시트 측으로부터도 관찰 및 계수할 수 있다. 단, 발포에 의해 백색을 보이는 것, 어느 것인가로 착색된 것도 사용할 수도 있다. 배양하는 균종에 따라서는, 투명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착색에 의해 생육시킨 콜로니를 계수하기 쉬울 경우가 있으며,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 적층 시트로서는, 상기 플라스틱 시트의 2종 이상을 적층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시트에 종이 기재를 적층한 적층 시트나 종이 기재에 합성 수지를 코팅한 적층 시트 등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적층 시트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필름과 종이 기재와의 적층 시트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합성 수지를 주원료로 해서 종이와 같이 성형된 합성지도 기재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합성지로서, 유포 코퍼레이션 제품인 상품명 「유포」나 토요보(TOYOBO CO., LTD) 제품인 「크리스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기재 시트는, 상기 건조 배양층과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미리 건조 배양층을 형성하는 쪽에, 표면처리를 행한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표면처리로서는, 코로나 방전 처리, 오존 처리, 산소 가스 혹은 질소 가스 등을 이용한 저온 플라즈마 처리, 글로 방전 처리, 화학약품 등을 이용해서 처리하는 산화 처리, 그 밖의 전처리 등이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기재 시트의 표면에, 미리 앵커(anchor) 코팅제를 도포하고, 표면처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앵커 코팅제로서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우레탄계), 폴리에틸렌 이민계, 폴리뷰타다이엔계, 유기 티타늄계, 그 밖의 앵커 코팅제를 예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네이트, 다이페닐메탄 다이아이소사이네이트, 폴리메틸렌 폴리페닐렌 폴리아이소사이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아이소사이네이트, 또는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네이트, 자일릴렌 다이아이소사이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아이소사이네이트 등의 다작용성 아이소사이아네이트와, 폴리에터계 폴리올, 폴리에스터계 폴리올,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올, 그 밖의 하이드록실기 함유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서 얻어지는 폴리에터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기재 시트는, 컬(curl) 등이 없이 평탄한 것이 바람직하며, 그 두께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통상, 25 내지 1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이다.
또, 기재 시트에는, 미리 물에 불용성이며 미생물의 생육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잉크로 격자모양 인쇄 무늬가 인쇄되어 있어도 된다. 격자모양 인쇄를 행함으로써 콜로니가 다수 형성되었을 경우, 몇 군데의 격자모양 내의 균 수를 계측 안분해서 대략의 전체 수를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쇄 판의 양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느 것이라도 되지만, 착색제, 수지, 용제 등의 선택 범위가 넓은 점에서 그라비어 인쇄 등이 바람직하다. 격자모양의 크기는 사방 1㎝ 정도가 적당하다.
(3) 건조 배양층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시트는, 기재 시트에 건조 배양층이 배치된다. 점착층으로 포집된 미생물이 건조 배양층으로 배양될 때에는, 상기 건조 배양층은, 미생물의 발육에 적합한 수분을 함유할 필요가 있고, 일반적으로는, 겔화 혹은 증점할 수 있는 종래 공지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등을 널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의 총칭을 본 발명에서는 겔화제라 한다. 또, 건조 배양층에는, 영양성분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건조 배양층은 부직포를 포함한 구성이어도 된다.
(i) 겔화제
본 발명의 건조 배양층을 구성하는 겔화제로서는, 카라기난, 구아검, 잔탄검, 로커스트빈검, 알긴, 전분 및 그 유도체, 셀룰로스 유도체(예를 들어, 카복시메틸셀룰로스나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스 등) 등의 수용성 고분자 다당류나 폴리비닐알코올(PVA)이나 변성 PVA, 불포화 다이카복실산을 공중합한 것, 아크릴산 및 그 유도체, 폴리에터(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등) 등의 수용성 폴리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구아검은, 저농도로 극히 높은 점도를 보이므로 소량으로 균의 발육에 적합한 환경을 만들 수 있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점도, 강도, 균의 발육성을 고려해서 2종 이상의 겔화제를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ii) 영양성분
본 발명의 건조 배양층에는, 상기 겔화제에 부가해서, 영양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영양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일반 생균 검사용으로서는, 효모 엑기스·펩톤·포도당 혼합물, 육류 엑기스·펩톤 혼합물, 펩톤·대두 펩톤·포도당 혼합물 등을, 대장균·대장균군 검사용으로서는, 펩톤·구연산철 암모늄·유당 등을, 포도상 구균용으로서는, 육류 엑기스·펩톤·만니트·난황 혼합물, 펩톤·육류 엑기스·효모 엑기스·피루브산 나트륨 등을, 비브리오용으로서는 효모 엑기스·펩톤·자당·티오황산 나트륨·구연산 나트륨 등을, 장구균용으로서는, 소뇌 엑기스·하트 엑기스·펩톤·포도당 등을, 진균용으로서는, 펩톤·포도당 혼합물, 효모 엑기스·포도당 혼합물, 포테이토 엑기스·포도당 혼합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발육시키고자 하는 미생물에 따라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iii) 발색 지시약, 선택제, 기질, 완충제(pH 조정제) 등 다른 성분
본 발명의 건조 배양층에는, 상기 겔화제에 부가해서, 발색지시약, 선택제, 기질 등 다른 성분을 배합해서, 건조 배양층을 형성할 수 있다.
발색지시약은, 배양 과정에서 발육하는 미생물로 대사되어, 콜로니가 착색되므로, 콜로니 수의 계수를 극히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발색지시약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트라이페닐테트라졸륨클로라이드(이하 TTC라 표시), p-톨릴테트라졸륨 레드, 테트라졸륨 바이올렛, 페테톨릴테트라졸륨 블루 등의 테트라졸륨염이나 뉴트럴 레드 혼합물, 페놀 레드, 브롬 티몰 블루, 티몰 블루 혼합물 등의 pH 지시약이 있다. 미생물의 생육에 따라서, 발색 또는 변색되어서 미생물의 생육이 보기 쉬워지고, 또한, 특정한 미생물이 지니는 효소의 발색 또는 형광효소기질을 가해 둠으로써, 특정한 미생물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검출 목적 이외의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선택제를 가해도 되고, 이러한 선택제로서는, 항생 물질, 합성 항균제 등의 항생제, 색소, 계면활성제, 무기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항생 물질로서는, 메티실린, 세프타메타졸, 세픽심(cefixime), 세프타지딤(ceftazidime), 세프설로딘(cefsulodin), 바시트라신(Bacitracin), 폴리믹신(polymyxin) B, 리팜피신(rifampicin), 노보비오신(novobiocin), 콜리스틴(colistin), 린코마이신,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테트라사이클린, 스트렙토마이신 등을 예시할 수 있고, 합성 항균제로서는, 설파제(sulfa drug), 날리딕스산(nalidixic acid), 올라퀸독스(olaquindox)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색소로서는, 제균 또는 살균 작용이 있는 크리스탈 바이올렛, 브릴리언트 그린, 말라카이트 그린, 메틸렌 블루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로서는, Tergitol7, 도데실황산염, 라우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20) 솔비탄모노올레에이트(Tween 80), 폴리옥시에틸렌(20)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Tween 20)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무기염류로서는, 아셀렌산염, 아텔루륨산염, 아황산염, 질화나트륨, 염화리튬, 옥살산염, 고농도의 염화나트륨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이외에도 타우로콜산염, 글라이신, 담즙말, 담즙산염, 데옥시콜산염, 고농도의 당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완충제는, 검액 중의 pH를 7.0으로부터 크게 일탈하고 있을 경우 7.0으로 되돌리는 작용을 지니고 있다. 이것은, 균이 생존하기 쉬운 pH가 중성의 7.0 부근에 있는 것에 따른다. 완충제로서는,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인산수소이칼륨, 인산이수소칼륨, 염화나트륨 등의 조합을 예시할 수 있다.
또, 발색지시약의 종류에 따라서는 멸균 처리 시 착색이 눈에 띄는 것도 있고, 건조 배양층에 함유시키지 않고, 후술하는 겔화 용액에 발색지시약을 함유한 것을 사용해서 발색시키는 배지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건조 배양층에서는, 적어도 겔화제(i)를 함유하면 되고, 더욱 영양성분(ii)이나 발색지시약, 선택제, 기질 등 다른 성분(iii)을 함유해도 된다. 또, 발색지시약이나 선택제의 조합에 따라서는 혼합에 의해서 반응을 일으킬 경우가 있으며, 이들을 다른 층에 함유시킴으로써 혼합 반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색지시약을 최상층에 형성함으로써 콜로니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v) 건조 배양층의 구성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건조 배양층은, 적어도 전술한 겔화제(i)를 함유한 것이 기재 시트로 형성할 수 있으면 되고, 그 밖에 영양성분(ii), 발색지시약, 선택제, 기질 등 다른 성분(iii)을 함유한 것이나 건조 배양층이 2층 이상의 다층이어도 된다. 또한, 건조 배양층은 기재 시트의 전체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패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건조 배양층에 부직포 등을 포함한 것이라도 된다. 부직포로서는, 합성 섬유(예를 들어, 나일론, 폴리에스터(특히, 친수화 처리한 것),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올레핀(특히, 친수화 처리한 것, 폴리우레탄 등), 반합성 섬유(예를 들어, 레이온 등), 천연섬유(예를 들어, 셀룰로스, 솜, 비단, 양모(짐승털) 등), 무기 섬유(예를 들어, 유리 섬유 등) 등의 재료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직포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의 건조 배양층의 두께는, 건조 시 50 내지 1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600㎛이다. 또, 도포량은, 건조 시 5 내지 400g/㎡,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g/㎡이다. 상기 범위에서, 균의 발육에 최적인 점도의 건조 배양층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4) 커버 시트
본 발명에서는, 커버 시트의 내면에 점착층과 박리 필름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커버 시트는, 배양 중의 낙하균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는 동시에, 겔화 용액 투여 후의 건조 배양층의 수분증발을 방지하는 작용을 지닌다. 또, 적층되는 박리 필름을 제거하고, 점착층을 피험면에 접촉시켜 균을 포획한 후에 겔화 용액을 주입하고, 건조 배양층과 접촉시킴으로써, 건조 배양층에서 균을 배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커버 시트는, 피험면이나 건조 배양층과의 접촉이 용이한 유연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방수성, 수증기 불투과성을 지니는 동시에, 미생물의 배양 후, 커버 시트를 통해서 콜로니를 관찰 및 계수할 수 있도록,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 시트로 열거한 바와 같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폴리스타이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등의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커버 시트의 개폐 등의 작업성을 고려하면, 폴리에스터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 시트에는, 기재 시트의 항에서 기재한 코로나 방전 처리 등의 표면처리가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커버 시트는, 배양하는 미생물의 종류에 의해, 적합한 기체투과성, 주로 산소투과성, 또는 산소 비투과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점도 고려해서 선정할 수 있다.
커버 시트는 피험면과 접촉할 수 있는 적당한 유연성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커버 시트의 두께는 10 내지 200㎛ 정도가 바람직하며, 20 내지 70㎛ 정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커버 시트는, 어떤 형상이어도 되지만, 잡균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조 배양층을 피복할 수 있도록, 건조 배양층보다도 큰 크기로 할 필요가 있다.
커버 시트의 내면에 적층되는 점착층은, 피험면 상의 미생물을 포획하는데 충분한 점착성을 지니고, 포획 부위를 오염, 오손시키지 않는 것이면 된다. 이러한 점착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를 들 수 있다. 특히, 미생물의 점착면에 있어서의 형광표식성의 점에서는, 점착제는 투명성이 높고, 또한, 무형광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점착제나 실리콘계 점착제이다.
이러한 아크릴계 점착제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13인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인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터,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프로필, (메타)아크릴산 뷰틸, (메타)아크릴산 헥실, (메타)아크릴산 옥틸, (메타)아크릴산 노닐 및 (메타)아크릴산 데실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주 모노머로 하고, 이것에 (메타)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메타)아크릴산 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 메톡시에틸, (메타)아크릴산 에톡시에틸, (메타)아크릴산 뷰톡시에틸, (메타)아크릴산 에틸렌 글라이콜이라고 하는 친수성 모노머를 1종 또는 2종 이상 공중합시킨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점착 특성(특히 점착력)의 개선을 위하여, 이러한 공중합체에,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유기 과산화물, 에폭시기 함유 화합물이라고 하는 열가교제에 의한 처리나, 자외선, γ선, 전자선 등의 조사 처리 등을 행하여, 가교를 실시한 것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고무계 점착제로서는, 천연 고무, 라텍스, 스타이렌계 중합체 블록과 공액 다이엔계 중합체 블록과의 블록 공중합체, 스타이렌계 중합체 블록과, 스타이렌계 모노머 및 공액 다이엔계 모노머의 랜덤 공중합체 블록과의 블록 공중합체 및 이들의 수첨물 등의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기타, 천연 고무,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 공중합체, 스타이렌-뷰틸렌 공중합체, 스타이렌-에틸렌-뷰틸렌-스타이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아이소뷰틸렌, 폴리아이소프렌 등의 베이스 폴리머에 터펜 수지,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쿠마론-인덴계 수지, 로진계 수지, 페놀계 수지, 자일렌계 수지, 스타이렌계 수지 등의 점착성 부여제와, 파라핀계 오일, 나프텐계 오일 등의 연화제를 조합시켜서 얻어지는 것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계 점착제로서는, -SiO(CH3)2-를 반복 단위로 하는 폴리머의 말단에 실란올기(SiOH)를 가지는 고분자량의 폴리다이메틸실록산, 폴리다이메틸다이페닐실록산 등의 폴리머 성분과 3차원 실리케이트 구조를 지니고 있어서 말단에 트라이메틸실록시기를 지니는 가교 성분으로 이루어진 부분 가교된 폴리 실록산으로 이루어진 실리콘계 수지, 주성분이 다이메틸 실록산 및/또는 페닐메틸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것, 다이메틸실록산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오가노실록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물 등의 수용성 점착제를 사용할 경우, 필요에 따라서 점착제 100중량부당 5 내지 40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가소제를 첨가해도 되고, 가소제를 첨가함으로써, 점착제의 유연성 및 점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점착층의 두께는 1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이다.
또한, 박리 필름으로서는, 사용 시 점착층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점착층과의 접촉면에 실리콘 처리가 시행된 폴리에스터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박리 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이다.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시트는, 상기 점착층으로 균을 포집한 후에, 박리 필름에 상기 점착층을 피복해도 된다. 다수의 미생물 배양 시트를 사용해서 균을 포집하고, 이들에 일시에 겔화 용액을 투여할 경우에는, 일단 점착층을 박리 필름으로 재피복하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재피복 때문에, 전부가 박리되지 않도록, 박리 필름의 일부를 커버 시트에 고정 설치시켜도 된다.
또, 기재 시트에 격자모양 인쇄 무늬가 인쇄되어 있지 않을 경우, 커버 시트에, 미리 물에 불용성이고 미생물의 생육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잉크로 격자모양 인쇄 무늬가 인쇄되어 있어도 된다. 인쇄판의 양식은, 기재 시트와 마찬가지로, 착색제, 수지, 용제 등의 선택 범위가 넓은 점에서 그라비어 인쇄 등이 바람직하다. 격자모양의 크기는 사방 1㎝ 정도가 적당하다.
(5) 테두리층
본 발명에서는 기재 시트에 테두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테두리층은, 기재 시트에 형성된 건조 배양층의 외주에 조제된다. 테두리층이 형성됨으로써 겔화 용액을 건조 배양층에 투여하고, 커버 시트를 피복함으로써 겔화 용액은 테두리층까지 신속하게 확산되고, 이것에 의해서 단시간에 작업할 수 있다. 또, 겔화 용액은 테두리층의 내측에 있는 건조 배양층에 흡수되어서 팽윤되어, 건조 배양층과 커버 시트와의 밀착성에 의해 건조 배양층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커버 시트와의 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커버 시트에 콜로니 형성을 위한 층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콜로니가 우수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재 시트에 형성되는 테두리층의 높이는, 건조 배양층의 높이보다 100 내지 1200㎛ 높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1000㎛ 높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800㎛ 높게 조제된다. 100㎛보다 낮으면, 확산한 후에 겔화 용액의 퍼짐을 억제할 수 없어, 누설이 생길 경우가 있다. 한편, 1200㎛를 초과하면, 흡수 후의 건조 배양층의 상부에 과도한 공간부가 발생하므로, 커버 시트와의 밀착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여, 배양 중에 건조 배양층이 건조하기 쉽고, 또는, 일단, 커버 시트와 건조 배양층이 밀착한 경우더라도, 과도한 공간에 의해 커버 시트가 건조 배양층으로부터 벗겨져, 건조 배양층의 건조를 초래할 경우가 있다. 상기 범위이면, 겔화 용액을 건조 배양층에 흡수시키면서 전체면에 퍼지게 할 수 있고, 또한 누설되는 일이 없어, 커버 시트와의 밀착성도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테두리층은 기재 시트 위에 형성된다. 건조 배양층 위에 테두리층을 형성하면, 건조 배양층이 겔화 용액을 흡수한 후에 테두리층이 붕괴될 경우가 있지만, 기재 시트에 직접 형성되므로, 겔화 용액에 의한 침윤이 없고, 테두리층의 박리 등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소수성 수지는, 배양 시 투여한 겔화 용액의 퍼짐에 대해서 물을 튕겨서 누설을 방지하는 것으로, 겔화 용액이 수계이므로 이것에 반발할 수 있는 소수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테두리층에 이용하는 소수성 수지로서는, 수용성 수지나 친수성 수지가 아닌 한, 대부분의 소수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은 착색되어 있어도 되고, UV 경화 수지, 핫멜트 수지, 열발포 잉크나 UV 발포제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UV 경화 수지로서는, 라디컬형에서는, 아크릴레이트계, 불포화 폴리에스터계, 카티온형에서는,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옥세탄계, 비닐 에터계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UV 경화 수지의 경화를 위한 조사 조건은, 적산 광량 50 내지 2000 mJ/㎠,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mJ/㎠이다.
또, 핫멜트 수지로서는, 연화점 온도가 1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인 것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유는, 120℃를 초과하면 기재 시트에 컬(curl)이 생길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핫멜트 수지로서는, 우레탄계, 폴리아마이드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터계,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계, 스타이렌뷰타다이엔 고무계나 우레탄 고무계 등의 합성 고무계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수성 수지로서, 열발포 잉크나 UV 발포제 등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인더로서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그리고, 염소화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한, 염화 고무나 고리화 고무 등의 고무류 등을 이용한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잉크는 단지 소수성이라고 하기보다도 발수성이면 더욱 바람직하며, 이 점에서 상기 수지에 실리콘류나 왁스류를 첨가한 잉크는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테두리층에 이용하는 소수성 수지는, 소수성, 발수성임과 동시에, 도막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고, 상기 수지에 종래 공지의 발포제 등을 첨가해서, 발포 잉크로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UV 발포 잉크로서, 적어도 아크릴레이트 반응성 희석제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반응성 희석 등의 반응성 희석제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광중합성 올리고머, 폴리에스터아크릴레이트 광중합성 올리고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광중합성 올리고머, 아크릴계 광중합성 올리고머, 특수 광중합성 올리고머 등의 광중합성 올리고머와, 광중합개시제로 이루어진 자외선 경화형 잉크에, 무기 발포제, 유기 발포제, 액체 발포제 등의 발포제를 함유해서 이루어진 자외선 경화형 발포 잉크를 예시할 수 있다.
또, 상기 소수성 수지에는, 첨가제로서, 소포제, 중합 금지제, 안료분산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또한, 통상 사용되는 착색 안료를, 15질량% 미만의 범위에서 함유해도 되며, 15질량%를 초과하면, 발포를 저해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할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소수성 수지로서, 상기 모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UV 경화 수지나 핫멜트 수지가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테두리층의 형성은 일정한 높이를 지니는 패턴 형성이 필요하고, 이들 2종의 수지는 비용매계의 상태로 디스펜서(dispenser) 등에 의한 도포에 의해서 형상 가공이 용이하고, 그 후 광조사나 냉각에 의해서 용이하게 경화시키는 것만으로 패턴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에 의해서 테두리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소수성 수지를 인쇄나 도포, 도공 등에 의해 패턴 형성하면 된다. 그 후, 메탈할라이드퓨란, 수은 램프 등으로 자외선(UV)을 조사하거나, 냉각시킨다.
또, 테두리층으로서, 소수성 재료의 도려낸 물품을 건조 배양층의 외주에 접착시켜 테두리층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기재 시트로서 엠보스 가공품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예를 들어, 테두리층의 형상에 볼록 형상이 형성된 엠보스 가공품이면, 상기 볼록 형상의 내측에 건조 배양층을 형성하면 되고, 한편, 건조 배양층을 형성하는 개소를 오목부에서 형성하고, 이것에 의해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는 나머지 부분을 테두리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기재 시트로서 두꺼운 소수성 기재를 사용하고, 건조 배양층을 형성하는 부분을 오목 형상으로 깎고, 나머지 부분을 테두리층으로 하는 방법이나, 또는 테두리층의 형상에 볼록 형상을 형성하고, 이 볼록 형상의 내측에 건조 배양층을 형성하면, 상기 볼록 형상을 테두리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단,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6) 격자 인쇄층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시트에는 격자인쇄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격자인쇄층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재 시트나 커버 시트에 형성해도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재 시트로서 플라스틱 시트에 종이기재를 적층한 적층 시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러한 종이기재에 격자 인쇄층을 형성해도 된다. 격자인쇄는, 착색제, 수지, 용제 등의 선택 범위가 넓은 점에서 그라비어 인쇄 등이 바람직하다. 격자모양의 크기는 사방 1㎝ 정도가 적당하다.
(7) 겔화 용액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시트는, 균류의 배양에 앞서서, 건조 배양층에 겔화 용액을 투여해서 겔화할 필요가 있다.
겔화 용액으로서는, 미생물 배양 시트를 구성하는 건조 배양층의 조성에 대응해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건조 배양층이 겔화제뿐일 경우에는, 영양성분이 용해된 겔화 용액을 사용한다. 영양성분의 농도는, 미생물 배양 시트에 겔화에 적합한 소정량을 투여했을 경우에, 균류의 배양에 바람직한 농도로 한다. 또한, 발색지시약, 선택제 및 기질 등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
한편, 건조 배양층에, 영양성분, 발색지시약, 선택제, 기질 등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에는, 멸균 생리식염수나 멸균 정제수 등을 겔화 용액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겔화 용액으로서, 건조 배양층에 함유되지 않은 영양성분, 발색지시약, 선택제 및 기질 등의 특정 성분으로 이루어진 피검용액을 사용할 경우, 이러한 특정 성분이, 멸균 처리 등 기타의 공정으로 변질, 변색, 분해 등을 받기 쉬울 경우에는, 특히 유효하다. 또한, 건조 배양층에 발색지시약, 선택제, 기질 등을 함유시켜 영양성분만 겔화 용액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겔화 용액을 사용함으로써, 점착층과 건조 배양층 간을 겔화 용액을 개재해서 접촉시킴으로써 기포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8) 미생물 배양 시트의 사용 방법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시트는, 커버 시트에 적층된 박리 필름을 박리해서 점착층을 노출시키고, 해당 점착층을 피험면에 접촉시켜서 균을 포집할 수 있다. 이어서, 미생물 배양 시트를 구성하는 건조 배양층에 상기 겔화 용액을 소정량 투여해서 상기 점착층을 배양층에 피복해서 겔화 완료 후 소정 시간, 소정 온도에서 배양하고, 커버 시트 또는 기재 시트로부터 미생물 콜로니를 관찰한다.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시트는, 식품이나 의약품 등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위생관리의 목적으로, 장치나 시설 등의 표면을 피험면으로 하고, 상기 피험면에 있는 미생물을 점착층을 개재해서 포집할 수 있다. 이러한 피험면으로서는, 상기 제조 공정에 한정되지 않고, 패스트 푸드 등 식품 판매의 점포, 병원, 진료소, 학교의 급식 주방 등의 공공 시설에 있어서의 위생관리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시트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측정 방법인 낙하균법에도 사용할 수 있다. 낙하균법은, 일정 시간 개방한 일정 면적의 한천평판 배지 상에 공중 부유 미생물을 자연 낙하시켜서 포착하는 방법이며, 일정 시간 후에 회수해서 배양하여 콜로니 수로서 계측하지만, 공중 부유 미생물이 적은 환경 하에서는 미생물 수가 적기 때문에 검출하기 위해서는 장시간의 개방 시간이 필요해진다. 종래의 평판한천 배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수분이 증산(蒸散)되어, 배지가 건조되어 버린다고 하는 결점이 있어, 에어컨 등의 공기의 분출구에 있어서도 배지의 건조라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시트는, 건조 배양층을 사용해서, 균을 포집한 후에 겔화 용액으로 건조 배양층을 겔화 또는 증점시키므로, 상기 문제는 없다.
(9) 미생물 배양 키트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미생물 배양 시트와, 상기 겔화 용액으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양 키트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미생물 배양 키트를 사용해서, 상기 미생물 배양 시트의 커버 시트의 박리 필름을 벗겨서 점착층을 피험면에 접촉시켜서 균을 포집하여, 상기 겔화 용액을 첨가해서 커버 시트의 점착층을 건조 배양층에 씌워 건조 배양층을 겔화하고, 겔화 완료 후 배양하여, 발생하는 콜로니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균의 포집방법으로서는, 상기 미생물 배양 시트의 커버 시트의 박리 필름을 벗겨서 점착층을 소정 시간 해방 상태로 해서 낙하균을 포집해도 된다. 이어서, 상기 겔화 용액을 첨가해서 커버 시트의 점착층을 건조 배양층에 씌워 건조 배양층을 겔화하고, 겔화 완료 후 배양하여, 발생하는 콜로니를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키트를 사용할 때, 상기 미생물 배양 시트에 균류를 포집한 점착면을 피복해서 보존하고, 배양 직전에 건조 배양층에 상기 겔화 용액을 투여해서 겔화시키고, 이어서 균을 배양해도 된다. 균류를 포집한 미생물 배양 시트가 다수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조작에 의해서,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미생물 배양 시트에 사용하는 건조 배양층의 함유 성분과 겔화 용액은 균류의 배양에 밀접한 관계를 지닌다. 이 때문에, 겔화 용액에, 특정 균류의 증식에 바람직한 영양성분, 발색지시약, 선택제, 기질 등을 함유시키면, 동일한 미생물 배양 시트에 다른 겔화 용액을 조합시킴으로써, 각종 균류의 배양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10)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시트는, 상기 기재 시트의 위쪽에 적어도 겔화제를 함유하는 건조 배양층을 형성할 수 있으면, 그 제조 방법은 무방하다.
예를 들어, 기재 시트 위에 접착제를 도공하고, 상기 겔화제나 영양성분, 발색지시약, 선택제, 기질, 완충제(pH 조정제) 등 다른 성분을 분말 형태로 균일하게 접착시켜서 조제할 수 있다. 접착제로서는, 미생물의 발육에 저해성을 주지 않는 것이면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에 불용성인 접착제, 예를 들어, 아크릴계의 감압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적어도 겔화제를 함유하고, 그 밖에 영양성분, 발색지시약, 선택제, 기질, 완충제(pH 조정제)로부터 1종 이상을 함유하는 배지액을 인쇄나 도포, 도공, 분무 등에 의해서 기재 시트의 위쪽에 형성해도 된다. 배지액은 직접 기재 위에 성분을 고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적어도 접착성이 있는 성분이 용해되어 있는 것, 또한 건조 배양층을 구성하는 성분을 용해, 혹은 분산시킨 것이다. 예를 들어, 용매로서 알코올을 사용할 경우에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이나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등을 메탄올이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이것에 적어도 겔화제를 용해, 현탁 또는 분산시킨 것이나, 용매로서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폴리비닐알코올이나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등을 물에 용해시키고, 더욱 겔화제 등을 용해, 분산시킨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건조 배양층은, 상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 시트의 일부에 형성해도 되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 시트의 상부 전체면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기재 시트에 직접 건조 배양층을 형성할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기재 시트에 부직포를 배치하고, 상기 부직포에 배지액을 함침시켜서 건조 배양층을 형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레이온 부직포 등의 합성 섬유 부직포, 면 부직포 등의 천연섬유 부직포 등의 그물코의 크기가 15 내지 100메시 정도인 것을 기재 시트에 설치하고, 그 위에 적어도 겔화제를 함유시키고, 그 밖에 영양성분, 발색지시약, 선택제, 기질, 완충제(pH조정제)로부터 1종 이상을 함유하는 배지액을 도포, 분무 등에 의해서 함침시키면 된다.
이에 부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 배양층은 2 이상의 다층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배지액을 기재 시트에 적층하고, 이어서, 발색지시약 등을 함유하는 용액을 적층함으로써, 콜로니의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킨 건조 배양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건조 배양층을 사용함으로써, 한천 배지와 마찬가지로 미생물 콜로니를 관찰 및 계수할 수 있고, 또한 한천 배지를 사용할 경우보다도 매우 우수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 밝혀졌다. 또, 배양층의 건조는, 배지액에 함유되는 상기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면 되고, 온도, 압력 등, 종래 공지의 방법에 준해서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시트가 건조 배양층의 외주에 테두리층을 지닐 경우에는, 미리 테두리층을 형성한 후에 건조 배양층을 형성해도 되고, 건조 배양층을 형성한 후에 테두리층을 형성해도 된다. 또, 미리 테두리층이 형성된 기재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테두리층이 형성된 기재 시트로서는, 적어도 소수성 수지를 표면에 지니는 기재 시트로서, 이것에 테두리층이 엠보스 가공된 것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예를 들어, 기재 시트에 테두리층의 형상에 볼록 형상이 형성되는 것은, 상기 볼록 형상의 내측에 건조 배양층을 형성하면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 건조 배양층을 형성하는 개소를 오목부의 엠보스 가공으로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의 외주에 형성되는 볼록부를 테두리층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기재 시트에 건조 배양층을 형성하기 전에 테두리층을 패턴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소수성 수지판을 소정 형상으로 도려 내고, 이것을 기재 시트에 접착해서 테두리층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기재 시트로서 두꺼운 소수성 수지판을 사용하고, 건조 배양층을 형성하는 부분을 오목 형상으로 깎아서 나머지 부분을 테두리층으로 하는 방법이나, 또는 테두리층의 형상에 볼록 형상을 형성하고, 이 볼록 형상의 내측에 건조 배양층을 형성하면, 상기 볼록 형상을 테두리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소수성 수지로서, 전술한 UV 경화 잉크, 핫멜트, 열발포 잉크나 UV발포제 등을 사용하여, 패턴 형성해서 테두리층을 형성해도 된다. 이들은 비용매계이며, 패턴 형성을 디스펜서 도포 등으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고, 경화도 용이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소수성 수지로서 상기 UV 경화 잉크 등을 사용해서 테두리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소수성 수지를 적절한 용매에 용해시키고, 인쇄나 도포, 도공 등에 의해 패턴 형성해도 된다.
소수성 수지가 UV 경화 잉크나 UV 발포 잉크일 경우에는, 패턴 형성 후에, UV를 조사한다. 자외선(UV) 조사 조건으로서는, 적산 광량 50 내지 2000mJ/㎠,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mJ/㎠이며, 자외선 조사 램프의 광과 열을 병용할 수 있다. 발포 가능 조사 조건의 폭은 발포제의 종류에 따라서 변화된다. 한번으로는 소정의 높이를 확보할 수 없을 경우에는, 복수회의 인쇄에 의해 테두리층을 형성해도 된다. 자외선 조사 램프로서는, 메탈할라이드 램프, 수은 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조 배양층을 형성한 후에 테두리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UV 경화 잉크, 핫멜트, 열발포 잉크나 UV 발포제 등을 사용해서, 패턴 형성에 의해서 테두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건조 배양층에, UV 조사에 의해서 변질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에는, UV 조사 시, 건조 배양층을 금속 등으로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소수성 수지판을 소정 형상으로 도려내고, 이것을 건조 배양층이 형성된 기재 시트의 상기 건조 배양층의 외주의 기재 시트에 접착시켜 테두리층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시트는, 커버 시트(40)에 점착층(43)과 박리 필름(45)이 적층된다. 커버 시트(40)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용액을 도공 및 건조시켜 점착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박리 필름을 적층하고, 건조 배양층(30)이나 필요에 따라서 테두리층(20)이 형성된 기재 시트(10)에 적층한다. 상기 점착층(43)이 기재 시트(10)와 접촉함으로써, 기재 시트에 커버 시트(40)를 고정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커버 시트와 기재 시트가 동일 부재로 구성될 경우에는, 미리, 점착층(43)과 박리 필름(45)을 커버 시트(40)에 적층하고, 이것을 기재 시트에 가열 밀봉이나 라미네이트(laminate) 접착 등에 의해서 고정 설치해도 된다. 도 5(a)의 평면도, 도 5(b)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 시트(10)와 커버 시트(40)를 연이어 설치한 채 기재 시트(10)에 테두리층(20)과 건조 배양층(30)을 형성하고, 한편, 커버 시트(40)에 점착층(43)과 박리 필름(45)을 적층하고, 이것을 꺾어 구부려서 미생물 배양 시트를 형성해도 된다. 도 6(c)에 그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방법에 따르면, 기재 시트(10)와 커버 시트(40)가 연어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점착층(43)으로 포집한 미생물을 건조 배양층(30)에서 배양할 때, 점착층(43)을 벗어나는 일 없이 건조 배양층(30) 위에 피복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횡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층(43)과 박리 필름(45)을 적층한 커버 시트(40)와 기재 시트(10)를 별개로 조제하고, 커버 시트(40)와, 건조 배양층(30)을 형성한 기재 시트(10)를, 양면 접착 테이프(50) 등으로 맞대어도 된다.
또, 도 8에, 커버 시트(40)에 격자인쇄가 형성되어, 커버 시트(40)와 건조 배양층(30)을 형성한 기재 시트(10)가 단부에서 접착된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시트의 외관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시트는, 감마선 조사나 에틸렌옥사이드 가스 멸균 등의 멸균을 실시하고,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시트의 제품으로 한다.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시트는, 함유되는 미생물 영양성분의 종류나, 사용하는 기재 시트, 커버 시트의 통기성 등에 따라서 각종 미생물의 배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는 하등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UV 경화 잉크(쥬죠 케미칼사(JUJO Chemical Co., Ltd.) 제품, 상품명 「레이큐아 GA 4100-2」)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테이진 듀폰(Teijin Du Pont) 제품, 상품명 「테이진테트론필름」) 위에 디스펜서에 의해서 폭 1.0㎜, 높이 750㎛, 직경 52㎜의 원 형상의 테두리층을 형성하고, 수은 램프에 의해 적산 광량 250mJ/㎠로 조사해서 테두리층을 경화시켰다. 얻어진 테두리층의 높이는 750㎛(건조 배양층의 높이와의 차이 + 400㎛), 폭은 1㎜였다.
이어서, 메탄올 210㎖에 폴리비닐피롤리돈 K-90 20g을 용해시키고, 이것에 구아 검 분말(산쇼사(SANSHO Co., Ltd.) 제품, 상품명 「NEOVISCO G」, 400메쉬 타입) 60g을 분산시키고, 또한 영양성분으로서 트립톤(벡톤, 디킨슨 앤 컴퍼니(Becton, Dickinson and Company) 제품, 상품명 「BACT TRYPTONE」) 3.26g, 육류 엑기스(옥소이드(Oxoid)사 제품, 상품명 「Lab-Lemco」) 0.82g, 효모 엑기스(벡톤, 디킨슨 앤 컴퍼니 제품, 상품명 「YEAST EXTRACT」) 0.03g, 포도당(와코쥰야쿠코교(和光純藥工業)사 제품, 상품명 「D-(+)-GLUCOSE」) 0.16g, 염화나트륨(와코쥰야쿠코교사 제품) 0.41g 및 인산수소이나트륨(와코쥰야쿠코교사 제품) 0.37g을 혼합해서 도포액을 조정하였다.
이 영양성분, 겔화제를 함유한 도포용액을 상기 테두리층을 형성한 기재의 테두리 내에 디스펜서에 의해서 도포하였다. 이어서, 도포한 층을 50℃에서 15분간 건조시켜 건조 배양층을 형성하였다. 건조 시의 층의 두께는 350㎛였다.
다음에, 아크릴계 점착제 100중량부(SK 다인 1495/소켄화학(綜硏化學))에 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경화제 1중량부(L-45/소켄화학)를 혼합 조정하고, 실리콘 처리된 두께 50㎛의 폴리에스터 필름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20㎛로 되도록 도포해서 두께 40㎛의 OPP 필름(OP-U-1/토셀로(Tohcello))의 코로나 처리면과 맞대어서 점착층을 제작하고, 상기 테두리층과 건조 배양층을 형성한 PET 기재 위에 적층하여, 단부를 접착시키고, γ 선으로 멸균시켜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시트로 하였다.
균주로서 황색 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을 사용하고, 액체 배지(TRYPTIC SOY BROTH)에서 36±1℃에서 18시간 배양을 행한 균액을 멸균 생리식염수로 균 수가 103/㎖로 되도록 희석한 액 1㎖를 고무판의 표면에 적하시키고 자연건조시킨 면을 피험물로 하였다. 얻어진 고무판은, 200㎠에 1×103개의 황색 포도상 구균이 부착되어 있었다. 이 고무판에, 상기 미생물 배양 시트의 폴리에스터 필름으로 이루어진 박리 필름을 벗기고, 점착층으로 피험물에 대해서 1회 압착하고, 황색 포도상 구균을 포집하였다.
이어서, 상기 미생물 배양 시트의 건조 배양층 위에 멸균 완료된 피펫으로 0.05g/ℓ의 TTC 첨가 멸균 정제수를 1㎖ 첨가하고, 그 위에 커버 시트를 피복하여, 상기 멸균 정제수를 테두리층 내 전체에 퍼트리고, 약 1분간 정치시켜 겔을 형성시킨 후, 부화기에 넣고, 36±1℃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에 발생한 콜로니 수를 각각 계수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발생한 콜로니를 도 9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시판의 미생물 검출용 시트(칫소주식회사 제품, 상품명 「사니타군」(SANITA KUN), 일반 생균용)를 사용하였다. 이 미생물 검출용 시트의 커버를 열고, 부직포부에 멸균 생리식염수 1㎖를 첨가하고, 15분 방치하였다.
실시예 1에서 조제한 것과 마찬가지의 피험물에, 상기 미생물 검출용 시트의 박리 필름을 벗기고, 부직포부에서 피험물에 대해서 1회 압착하고, 황색 포도상 구균을 포집하였다.
이어서, 상기 미생물 검출용 시트의 습윤 부직포 위에 커버 시트를 피복하고, 부화기에 넣어, 36±1℃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에 발생한 콜로니 수를 각각 계수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비교예 1의 검출용 시트의 커버 시트를 벗기고, 실시예 1의 커버 시트를 사용해서 실시예 1에서 조제한 것과 마찬가지 피험물에, 상기 미생물 검출용 시트의 박리 필름을 벗기고, 점착층으로 피험물에 대해서 1회 압착하고, 황색 포도상 구균을 포집하였다.
이어서, 비교예 1에서 사용한 미생물 검출용 시트의 부직포부에 멸균 생리식염수 1㎖를 첨가하고, 충분히 습윤시킨 후에 커버 시트의 점착층에 피복하고, 부화기에 넣어, 36±1℃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에 발생한 콜로니 수를 각각 계수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배지로서, 정제수 1000㎖에 효모 엑기스(벡톤, 디킨슨 앤 컴퍼니 제품) 2.5g, 트립톤(벡톤, 디킨슨 앤 컴퍼니 제품, 상품명 「BACT TRYPTONE」) 5.0g, (D-(+)-포도당(나카라이테스크사 제품) 1.0g 및 한천 15.0g을 균등 부유액으로 한 후, 121℃에서 15분간 고압증기멸균시키고 50℃까지 냉각시킨 후, 용기에 분주시켜 이루어진 표준 한천 배지를 사용해서 두께 3.5mm, 면적 10㎠의 스탬프 배지를 조제하였다. 이것을 γ선으로 멸균시켜 비교 스탬프 배지로 하였다.
실시예 1에서 조제한 것과 마찬가지 피험물에, 상기 비교 스탬프 배지를 1회 압착하고, 황색 포도상 구균을 포집하였다.
다음에, 상기 비교 스탬프 배지에 뚜껑을 덮고, 부화기에 넣어, 36±1℃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에 발생한 콜로니 수를 각각 계수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발생한 콜로니를 도 10에 나타낸다.
균 수 측정결과[단위: 개] | |
콜로니 수 | |
실시예 1 | 55 |
비교예 1 | 4 |
실시예 2 | 33 |
비교예 2 | 5 |
(결과)
비교예 1과 비교예 2는, 함수배양층을 검사 대상물에 직접 접촉시켜서 미생물을 포집하는 것으로, 배양 콜로니 수는 각각 4개, 5개이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예 1과 실시예 2는, 박리 필름을 벗겨서 노출시킨 점착층을 검사 대상물에 직접 접촉시켜서 미생물을 포집하는 것이며, 콜로니 수는 55개, 33개였다. 이것에 의해, 박리 필름을 벗겨서 노출시킨 점착층을 검사 대상물에 직접 접촉시켜서 미생물을 포집하는 방법은, 포집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 도 9에 나타낸 실시예 1의 콜로니와 도 10에 나타낸 비교예 2의 콜로니를 비교하면, 비교예 2의 한천 배지보다도 실시예 1의 건조 배양층을 사용하는 쪽이, 콜로니의 시인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3)
상기 건조 배양층으로서, (i) 실시예 1과 마찬가지 조성으로 제작한 미생물 배양 시트와, (ii) 건조 배양층에 영양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해서 조제한 미생물 배양 시트를 사용해서, 실시예 1에서 조제한 것과 마찬가지의 피험물에, 상기 미생물 검출용 시트의 박리 필름을 벗기고, 점착층으로 피험물에 대해서 1회 압착하여, 황색 포도상 구균을 포집하였다. 또한, 상기 (i), (ii)의 건조 시의 건조 배양층의 두께는 320 내지 360㎛였다. 이어서, (i)의 미생물 배양 시트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상기 미생물 배양 시트의 건조 배양층 위에 소정의 희석액(겔화 용액)을 1㎖ 첨가하고, (ii)의 미생물 배양 시트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상기 미생물 배양 시트의 건조 배양층에 트립톤(벡톤, 디킨슨 앤 컴퍼니 제품, 상품명 「BACT TRYPTONE」) 20.0g, 육류 엑기스(옥소이드사 제품, 상품명 「Lab-Lemco」) 5.0g, 효모 엑기스(벡톤, 디킨슨 앤 컴퍼니 제품, 상품명 「YEAST EXTRACT」) 1.0g, 포도당(와코쥰야쿠코교사 제품, 상품명 「D-(+)-GLUCOSE」) 1.0g, 염화나트륨(와코쥰야쿠코교사 제품) 1.0g, 인산수소이나트륨(와코쥰야쿠코교사 제품) 1.0g 및 TTC(와코쥰야쿠코교사 제품) 0.05g을 멸균 정제수 1000㎖에 용해시킨 영양성분액(겔화 용액)을 1㎖ 첨가하고, 그 위에 각각 커버 시트를 피복하여, 상기 겔화 용액을 테두리층 내 전체에 퍼트리고, 약 1분간 정치시켜 겔을 형성시킨 후, 부화기에 넣어, 36±1℃에서 48시간 배양하고, 배양 후에 발생한 콜로니 수를 각각 계수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균 수 측정결과[단위: 개] | |
건조 배양층 | 콜로니 수 |
영양 성분 함유 | 171 |
영양 성분 함유하지 않음 | 195 |
(결과)
건조 배양층에 영양성분을 함유시키고, 영양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겔화 용액으로 건조 배양층을 겔화시킬 경우에도, 건조 배양층에 영양성분을 함유시키지 않고, 영양성분을 함유하는 겔화 용액으로 건조 배양층을 겔화할 경우에도, 검출하는 콜로니 수는 거의 동등하였다. 이것에 의해, 건조 배양층을 겔화할 때, 영양성분을 함유하는 겔화 용액을 사용함으로써, 미생물 배양 시트를 제조할 때, 다른 겔화 용액을 첨부함으로써, 다른 균의 검출이 가능해지고, 생산 라인을 일원화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미생물 배양 시트의 점착층의 박리 필름(폴리에스터 필름)을 벗겨 점착면을 손가락으로 꽉 누른 후, 상기 미생물 배양 시트의 건조 배양층에 0.05g/ℓ의 TTC 첨가 멸균 정제수를 분주시키고, 이어서 상기 점착층의 점착면을 배양층에 씌우면서 상기 멸균 정제수를 미생물 배양 시트의 테두리층 내 전체에 퍼트리고, 약 1분간 정치시켜 겔을 형성한 후, 부화기에 넣고, 36±1℃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에 발생한 콜로니 수를 도 1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시판의 스탬프 배지 DD 체커(checker)(교쿠토제약공업(極東製藥工業) 제품, 일반세균 검출용 DD 한천 배지)를 사용해서, 좌측의 한천 배지 표면에 손가락을 꽉 눌러, 오른쪽의 한천 배지 표면에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해서 미생물 배양 시트의 점착층에 손가락을 꽉 누른 것을 붙이고, 이것을 부화기에 넣어, 36±1℃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에 발생한 콜로니 수를 도 12에 나타낸다.
(결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조 배양층으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양 시트와 커버 시트의 점착층의 조합은 매우 시인성이 좋고 콜로니를 양호하게 판별할 수 있었다. 이것에 비해서, 도 12의 오른쪽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천 배지에 점착층을 조합시킨 경우에는 잔 기포 등이 들어가기 쉽고, 또한, 콜로니가 점착층과 한천 사이에서 확산되어 콘트라스트가 없어서 보기 어려웠다.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 시트는, 균의 포집율이 우수한 미생물 배양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건조 배양층은, 한천 배지보다도 콜로니의 시인성이 우수하여, 유용하다.
10: 기재 시트 20: 테두리층
30: 건조 배양층 40: 커버 시트
43: 점착층 45: 박리 필름
50: 양면 접착 테이프
30: 건조 배양층 40: 커버 시트
43: 점착층 45: 박리 필름
50: 양면 접착 테이프
Claims (10)
- 기재 시트와 해당 기재 시트 위에 형성된 건조 배양층과, 상기 건조 배양층을 피복하는 커버 시트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양 시트로서,
상기 건조 배양층은, 상기 기재 시트에, 알코올에 용해된 폴리비닐피롤리돈과, 알코올에 분산된 겔화제를 함유하는 배지액을 패턴 형성하고, 그리고 건조시킨 것이고,
상기 기재 시트는, 상기 기재 시트의 위에 그리고 상기 기재 시트와 직접적으로, 상기 건조 배양층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상기 건조 배양층의 외주에 소수성 수지로 이루어진 테두리층을 지니고,
상기 테두리층은 상기 건조 배양층의 높이보다 100 내지 1200㎛ 높고,
상기 커버 시트는 내면에 점착층과 박리 필름이 적층된 것인 미생물 배양 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1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배양 시트.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 및/ 또는 커버 시트는 투명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배양 시트.
- 제1항에 기재된 미생물 배양 시트와, 상기 건조 배양층 중에 함유되어 있지 않은 균의 배양을 가능하게 하는 성분, 발색지시약 및 선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겔화 용액으로 이루어진 미생물 배양 키트.
- 제7항에 기재된 미생물 배양 키트의 점착층에 포집한 균의 배양 방법으로서,
상기 점착층에 균을 포집하는 공정;
상기 겔화 용액을 첨가해서 커버 시트의 점착층을 건조 배양층에 씌워 건조 배양층을 겔화하는 공정; 및
겔화 완료 후 배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의 배양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균의 포집방법이, 상기 점착층을 피험면에 접촉시켜서 균을 포집하는 방법인 것인 균의 배양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균의 포집방법이, 상기 점착층을 소정 시간 해방 상태로 하여 낙하균을 포집하는 방법인 것인 균의 배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019012 | 2010-01-29 | ||
JP2010019012 | 2010-01-29 | ||
PCT/JP2011/051502 WO2011093342A1 (ja) | 2010-01-29 | 2011-01-26 | 微生物培養シー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1904A KR20120121904A (ko) | 2012-11-06 |
KR101811073B1 true KR101811073B1 (ko) | 2017-12-20 |
Family
ID=4431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22309A KR101811073B1 (ko) | 2010-01-29 | 2011-01-26 | 미생물 배양 시트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10563167B2 (ko) |
EP (1) | EP2530141B1 (ko) |
JP (1) | JP5803677B2 (ko) |
KR (1) | KR101811073B1 (ko) |
CN (1) | CN102762711A (ko) |
WO (1) | WO2011093342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73719A (ko) | 2021-11-19 | 2023-05-26 | 최선규 | 농업용 미생물 간편 무균 배양 키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53511B2 (ja) * | 2011-09-07 | 2016-02-09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ディスペンス液塗布シートの製造方法 |
CA2919698C (en) * | 2013-08-08 | 2022-03-22 | Tiax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on and sampling of chemical species |
US10215668B2 (en) * | 2015-04-17 | 2019-02-26 | Luigi Novaro | Air quality test unit and process |
US9952123B2 (en) * | 2015-04-17 | 2018-04-24 | Luigi Novaro | Air quality test unit and process |
US10563164B1 (en) | 2015-10-08 | 2020-02-18 | Charm Sciences, Inc. | Plate reader |
US10495563B1 (en) | 2016-04-28 | 2019-12-03 | Charm Sciences, Inc. | Plate reader observation methods and operation |
CN107513493A (zh) * | 2016-06-16 | 2017-12-26 | 孙百莉 | 一种用于微生物测试的系统及其制作方法 |
EP3545072A1 (en) * | 2016-11-28 | 2019-10-02 | JNC Corporation | Culture equipment of microorganisms and method for counting number of microorganisms using same |
EP3562930B1 (en) * | 2016-12-28 | 2021-09-01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Microbial detection devices including adhesive masked nutrien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
CN110121551B (zh) * | 2016-12-28 | 2024-04-12 | 3M创新有限公司 | 微生物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
CN109943239B (zh) * | 2017-12-21 | 2021-02-19 | 哈尔滨格林标本技术开发有限公司 | 一种无毒组织切片封片胶的制备方法 |
FR3083612B1 (fr) * | 2018-07-04 | 2021-06-04 |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 Dispositif de collecte de particules |
CN109929907A (zh) * | 2019-01-10 | 2019-06-25 | 航天神舟生物科技集团有限公司 | 适用于空间环境的表面微生物显色检测片及其制备方法 |
WO2021170606A1 (en) * | 2020-02-26 | 2021-09-02 | Merck Patent Gmbh |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differential growth of microorganisms |
KR102523608B1 (ko) * | 2020-06-05 | 2023-04-27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세포배양기 |
KR102523609B1 (ko) * | 2020-06-19 | 2023-04-27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세포배양기 |
KR102523612B1 (ko) * | 2020-06-19 | 2023-04-27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세포배양기 |
CN112586675B (zh) * | 2020-12-29 | 2022-02-08 | 江汉大学 | 纳豆自动化生产系统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93919A (ja) * | 2007-02-09 | 2008-08-28 | Dainippon Printing Co Ltd | 培養容器 |
JP2009153500A (ja) * | 2007-12-28 | 2009-07-16 | Dainippon Printing Co Ltd | 微生物培養シート |
Family Cites Families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924224A (en) * | 1969-03-10 | 1973-04-10 | A. King Paul | Microbiological testing devic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
US3827942A (en) * | 1972-11-13 | 1974-08-06 | Miles Lab | Blood agar culture medium |
EP0070310B1 (en) | 1981-01-27 | 1986-05-07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Dry culture media |
EP0348343A3 (de) | 1988-06-20 | 1991-08-28 | Ciba-Geigy Ag | Synergistisches Mittel und Verfahren zur selektiven Unkrautbekämpfung in Getreide, Mais und Reis |
US4945061A (en) | 1989-11-27 | 1990-07-31 | Ezzat Iskander | Disposable culture dish with reinforcement ribs |
US5622761A (en) | 1995-02-27 | 1997-04-22 | Cole; Roger J. | Double-sided releaseable adhesive tape or note |
JPH08280377A (ja) * | 1995-04-14 | 1996-10-29 | Dainippon Printing Co Ltd | 培養装置 |
US5681712A (en) | 1995-06-02 | 1997-10-28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Surface colony coun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
JP3850465B2 (ja) | 1995-07-07 | 2006-11-29 | 日水製薬株式会社 | 簡易培地及び微生物の検出方法 |
JPH0937765A (ja) * | 1995-08-02 | 1997-02-10 | Dainippon Printing Co Ltd | 培養装置 |
JPH0975062A (ja) * | 1995-09-14 | 1997-03-25 | Dainippon Printing Co Ltd | 培養装置 |
JPH0975063A (ja) * | 1995-09-18 | 1997-03-25 | Dainippon Printing Co Ltd | 培養装置 |
JPH09206062A (ja) * | 1996-02-06 | 1997-08-12 | Dainippon Printing Co Ltd | 培養装置 |
JP2000304663A (ja) | 1999-04-19 | 2000-11-02 | Midori Anzen Co Ltd | ポータブル型空中浮遊菌サンプラ |
JP4143219B2 (ja) | 1999-05-19 | 2008-09-03 | 日水製薬株式会社 | 簡易培地及びその製造方法 |
US6649406B1 (en) * | 1999-11-23 | 2003-11-18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Device for propagation and storage of microorganisms |
JP4396078B2 (ja) | 1999-12-17 | 2010-01-13 | チッソ株式会社 | 微生物培養器、及びこれを用いた微生物培地 |
JP2001333796A (ja) | 2000-05-29 | 2001-12-04 | Chisso Corp | 微生物の拭き取り検査方法 |
US6632661B2 (en) | 2000-12-07 | 2003-10-14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Self-spreading microbiological culture device |
JP2002171964A (ja) * | 2000-12-11 | 2002-06-18 | Chisso Corp | 黄色ブドウ球菌検出用培地積層物およびシート状培地 |
CA2556071A1 (en) | 2004-02-19 | 2005-09-01 | Toray Industries, Inc. | Nanofiber compound solutions, emulsions and gels, production method thereof, nanofiber synthetic papers, and procution method thereof |
US20050239200A1 (en) * | 2004-04-23 | 2005-10-27 | Beckwith Scott W | Devices for culturing anaerobic microorganis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
JP2006230220A (ja) * | 2005-02-22 | 2006-09-07 | Nitto Denko Corp | 微生物検査用キット及び該キットを用いた微生物の検査方法 |
JP2006230315A (ja) | 2005-02-25 | 2006-09-07 | Nitto Denko Corp | 微生物検出用デバイス及び微生物の検出方法 |
JP2008101971A (ja) | 2006-10-18 | 2008-05-01 | I Bio:Kk | 拭き取り検査キット |
JP2008278772A (ja) | 2007-05-09 | 2008-11-20 | I Bio:Kk | スタンプ培地 |
WO2008153063A1 (ja) | 2007-06-11 | 2008-12-18 | Dai Nippon Printing Co., Ltd. | 細胞培養膜、細胞培養キット、多孔質体、細胞培養膜の製造方法及び多孔質体の製造方法 |
JP2009153501A (ja) * | 2007-12-28 | 2009-07-16 | Dainippon Printing Co Ltd | 微生物培養シートおよび微生物培養シートの製造方法 |
JP5082930B2 (ja) * | 2008-03-03 | 2012-11-28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微生物培養シート |
US11124757B2 (en) * | 2009-07-14 | 2021-09-21 | Kikkoman Corporation | Microorganism culture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2011
- 2011-01-26 WO PCT/JP2011/051502 patent/WO201109334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1-26 CN CN2011800073045A patent/CN102762711A/zh active Pending
- 2011-01-26 EP EP11737055.1A patent/EP2530141B1/en active Active
- 2011-01-26 JP JP2011551881A patent/JP5803677B2/ja active Active
- 2011-01-26 US US13/575,906 patent/US10563167B2/en active Active
- 2011-01-26 KR KR1020127022309A patent/KR10181107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1-06 US US16/735,267 patent/US20200231930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93919A (ja) * | 2007-02-09 | 2008-08-28 | Dainippon Printing Co Ltd | 培養容器 |
JP2009153500A (ja) * | 2007-12-28 | 2009-07-16 | Dainippon Printing Co Ltd | 微生物培養シート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73719A (ko) | 2021-11-19 | 2023-05-26 | 최선규 | 농업용 미생물 간편 무균 배양 키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WO2011093342A1 (ja) | 2013-06-20 |
US10563167B2 (en) | 2020-02-18 |
US20130084624A1 (en) | 2013-04-04 |
EP2530141A4 (en) | 2014-01-15 |
KR20120121904A (ko) | 2012-11-06 |
EP2530141B1 (en) | 2016-07-06 |
JP5803677B2 (ja) | 2015-11-04 |
US20200231930A1 (en) | 2020-07-23 |
CN102762711A (zh) | 2012-10-31 |
WO2011093342A1 (ja) | 2011-08-04 |
EP2530141A1 (en) | 2012-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1073B1 (ko) | 미생물 배양 시트 | |
JP6512245B2 (ja) | 微生物培養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 |
JP4396078B2 (ja) | 微生物培養器、及びこれを用いた微生物培地 | |
JP5082930B2 (ja) | 微生物培養シート | |
JP5724220B2 (ja) | 微生物培養シート、微生物培養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培地液注入装置 | |
JP2009153500A (ja) | 微生物培養シート | |
JP6066274B2 (ja) | 微生物培養具および微生物培養具を用いた微生物検査方法 | |
JPH09206062A (ja) | 培養装置 | |
JP2009153501A (ja) | 微生物培養シートおよび微生物培養シートの製造方法 | |
JP5764900B2 (ja) | 微生物検査用カバーシート、微生物検査用カバー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微生物検査用キット | |
JP7507591B2 (ja) | 微生物培養シート | |
JP5796294B2 (ja) | 微生物培養シート | |
JP6443060B2 (ja) | 微生物培養シート | |
JP6724333B2 (ja) | 微生物培養シート及び微生物の検出方法 | |
JP2006230220A (ja) | 微生物検査用キット及び該キットを用いた微生物の検査方法 | |
JP2006136274A (ja) | 微生物検査用粘着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粘着性シートを用いた微生物検査方法及び検査用キット | |
JP2019030337A (ja) | 微生物培養シート | |
JP2001333796A (ja) | 微生物の拭き取り検査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