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579B1 - 포장 상자 - Google Patents

포장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579B1
KR101809579B1 KR1020167029302A KR20167029302A KR101809579B1 KR 101809579 B1 KR101809579 B1 KR 101809579B1 KR 1020167029302 A KR1020167029302 A KR 1020167029302A KR 20167029302 A KR20167029302 A KR 20167029302A KR 101809579 B1 KR101809579 B1 KR 101809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piece
line
cover
pl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8537A (ko
Inventor
슈이치 오가와
아키라 다카세
후미코 노다
메구미 이마이
다쿠지 고바야시
유미코 야쿠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93636A external-priority patent/JP5646098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29844A external-priority patent/JP631198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ublication of KR20160148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26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 B65D5/665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the lid being held in closed position by self-locking integral flaps or tabs
    • B65D5/6655Local flaps or tabs provided at the lid edge opposite to the hi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0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 B65D5/541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one or more closur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the container body having a pyramid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5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means of a tongue integral with one of th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0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 B65D5/541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one or more closure flaps and in the container body so as to form after rupture a lid hinged to a side edge of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 B65D5/545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a closure hinged to an edge of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26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 B65D5/665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the lid being held in closed position by self-locking integral flaps or tabs
    • B65D5/6661Flaps provided over the total length of the lid edge opposite to the hi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5Tearable part of the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상품이 상자체 내에 간극(間隙)없이 충전(充塡)되어 있는 경우라도, 천정면 커버의 끼움편의 슬릿이 측벽 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된 사이드 플랩에 걸린 슬릿 록을 용이하게 해제 가능한 포장 상자를 제공하는 것.
천정면 커버(540)의 플랩 대향 둘레부(541)로부터 선단 둘레부(542)까지 연장된 절취 유도선(543)을 따라 절취 가능한 천정면 커버의 일부가, 절취 유도선(543)을 따라 사람의 손에 의해 절취되면서 파지되어 천정면 커버(540)로부터 기립하여 슬릿 록형 걸림 구조(LK)에 의한 걸림을 해제 가능한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을 형성하고 있는 것에 의해, 상자체 내가 간극없이 충전되어 있는 경우라도 끼움편(550)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이 형성된 측의 슬릿(SL22)에서의 끼움편(550)과 사이드 플랩(530)과의 걸림인 슬릿 록형 걸림 구조(LK)에 의한 걸림을 해제하는 포장 상자(500).

Description

포장 상자{PACKAGING BOX}
본 발명은, 끼움편의 연결 기단부(基端部)를 절곡선을 따라 일부 절입된 슬릿 내에 사이드 플랩(side flap)의 일부를 걸리게 하여 개폐 커버를 닫은 상태를 유지하는 슬릿 록형 걸림 구조를 형성하는 포장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장품류, 약품류, 식품류, 완구류 등의 상품 자체 또는 상품을 수용하여 매장 등의 판매장에서 진열되는 예쁘게 꾸민 팬시 박스(fancy box)를 판매장까지 이송할 때 상처나 충격으로부터 지키기 위하여 상품 자체 또는 상품을 수용한 팬시 박스를 포장하는 포장 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포장 상자로서, 끼움편과 중첩되는 상자체의 전면(前面) 상단에 형성된 원호형의 절결부(切缺部)와, 상자체에서의 이 절결부와 대면하는 개소(箇所)에 원호형의 절입으로 둘러싸이고 손가락을 거는 구멍을 형성 가능한 압입편(押入片)을 구비하고, 손가락을 거는 구멍에 손가락을 걸어서 커버부를 들어올림으로써, 커버부를 개봉하는 포장 케이스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또한, 포장 상자로서, 커버판과 끼움편과의 경계 양단(兩端)에 설치된 절취선(슬릿)과 사이드 플랩을 구비하고, 절취선(슬릿)에 사이드 플랩을 거는 이른바, 슬릿 록 구조를 가진 물품 수납용 상자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3).
또한, 포장 상자로서, 천정면부 플랩편과 천정면부 끼움 플랩편의 사이의 가로 방향 절곡선의 양 단부에 형성되고 록 기구(機構)를 구성하는 록용 절입과, 천정면부 내 플랩편의 기단부에 형성되고 록 기구를 구성하는 록용 돌출편과, 천정면부 플랩편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고 절단 유도선을 파단할 때의 조작 개시부가 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한 봉함 상자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4).
그리고, 천정면부 플랩편이 통형 본체의 개구부를 폐색(閉塞)한 상태에서는, 록용 돌출편이 록용 절입에 들어가는 것에 의해 천정면부 끼움 플랩편이 걸려, 천정면부 플랩편에 의한 개구부의 폐색 자세가 유지된다.
또한, 절단 유도선을 파단시킴으로써 개봉하여 수용물을 꺼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포장 상자로서, 끼움편의 양단 기부(基部)를 커버편(사이드 플랩)의 앞쪽 둘레부에 걸어맞추어서 커버판의 폐쇄된 상태를 록하는 종이 상자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5).
그리고, 커버판의 앞부분에 접은 자국이나 절취선을 형성한 압입부를 사람의 손으로 압입하여 몰입시키고, 그 오목부에 손가락을 넣어 커버판을 끌어올려 록을 분리하여 개봉하도록 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7-253966호 공보(특히, 도 1 내지 도 3 참조) 일본공개특허 제2001-301741호 공보(특히, 도 1 참조) 일본공개특허 제2007-209598호 공보(특히, 도 1 및 도 2 참조) 일본공개특허 제2013-1424호 공보(특히, 도 1 내지 도 3 참조) 일본공개특허 제2002-19766호 공보(특히, 도 1 내지 도 10 참조) 일본공개특허 평10-77029호 공보(특히, 도 2 내지 도 4 참조)
그러나, 전술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포장 케이스는, 압입편이 상자체의 내측으로 압입되어 손가락을 거는 구멍이 형성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팬시 박스 등에 의해 상자체 내가 간극없이 충전되어 있는 경우, 무엇보다, 압입편을 내측에 압입하여 손가락을 거는 구멍을 형성할 수 없으므로, 커버부를 개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술한 특허 문헌 2 및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종래의 물품 수납용 상자는, 커버판을 열 때, 정면판과 끼움편의 사이에 손끝을 넣어 끼움편을 휘게 함으로써 절취선(슬릿)에 있어서의 사이드 플랩의 걸림을 해제하는 구조이므로, 팬시 박스 등에 의해 상자체 내가 간극없이 충전되어 있는 경우, 정면판과 끼움편의 사이에 손끝을 넣어 끼움편을 휘게 하지 못하여, 커버판을 열고 팬시 박스 등을 물품 수납용 상자로부터 꺼내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술한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종래의 봉함 상자는, 플랜지부로부터 파단을 개시하고 천정면부 플랩편의 일부를, 록 기구의 록을 해제하지 않고, 여는 구조였기 때문에, 팬시 박스 등에 의해 상자체 내가 간극없이 충전되어 있는 경우, 팬시 박스 등이 천정면부 플랩편의 나머지 부분에서 걸려서 팬시 박스 등을 봉함 상자로부터 꺼내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술한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종래의 종이 상자는, 커버판을 열 때, 압입부를 사람의 손으로 압입하여 몰입시키는 구조이므로, 팬시 박스 등에 의해 상자체 내가 간극없이 충전되어 있는 경우, 무엇보다, 압입부를 사람의 손으로 압입할 수 없고, 커버판을 열어서 팬시 박스 등을 물품 수납용 상자로부터 꺼내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포장 상자로서, 상부 커버의 한쪽의 측 둘레로부터 배면측에 걸쳐, 재봉선, 절취선 등의 분리선으로 현수 구멍을 가지는 현수편을 구비한 현수용 포장 상자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6)가, 분리선은, 단지, 상부 커버의 일부를 현수편으로 하여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상부 커버의 개봉과는 관계가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상품이 상자체 내에 간극없이 충전되어 있는 경우라도, 개폐 커버의 끼움편의 슬릿이 커버 측방 부재의 개폐 커버측 둘레부에 연결하여 형성된 사이드 플랩에 걸린 슬릿 록을 간편하게 해제 가능한 포장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상품을 수용하는 다면체의 상자체의 적어도 일면을 구성하고, 또한 기단부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요동(搖動) 개폐 가능하며 상기 일면의 위치에 형성된 상품 출입구를 봉지(封止)하는 개폐 커버와; 상기 개폐 커버에 대한 측방에 위치하고 다면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커버 측방 부재의 개폐 커버측 둘레부에서 서로 절곡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품의 비어져 나옴을 저지하는 사이드 플랩과; 상기 개폐 커버의 선단 둘레부에서 서로 절곡선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자체 내에 끼워넣어져 개폐 커버를 유지시키는 끼움편;을 구비하고, 상기 끼움편의 연결 기단부를 절곡선을 따라 일부 절입된 슬릿 내에 상기 사이드 플랩의 일부를 걸리게 하여 개폐 커버를 닫은 상태를 유지하는 슬릿 록형 걸림 구조를 형성하는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개폐 커버에서의 사이드 플랩과 대향하는 플랩 대향 둘레부로부터 선단 둘레부까지 연장된 절취 유도선을 따라 절취 가능한 개폐 커버의 일부가, 상기 절취 유도선을 따라 사람의 손에 의해 절취되면서 파지(把持)되고 개폐 커버에 대하여 기립하여 슬릿 록형 걸림 구조에 의한 걸림을 해제 가능한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을 형성하고 있는 것에 의해, 전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포장 상자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슬릿이, 상기 끼움편과 개폐 커버와의 경계가 되는 절곡선의 기점(起点)으로부터 끼움편을 향해 사이드 플랩의 적어도 두께 분을 절입한 후에 끼움편의 측단 측을 향하여 절입한 L자형 절입과 상기 끼움편의 개폐 커버에 대한 절곡 상태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개폐 커버에 대한 끼움편의 절곡 상태에서 L자형 절입에 의해 끼움편과의 경계의 절곡선보다 전방으로 돌출하는 개폐 커버의 일부가,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의 기립 시에 상기 슬릿 내의 사이드 플랩과 맞닿아 슬릿 록형 걸림 구조에 의한 걸림을 해제 가능한 록 해제 돌출편을 형성하고 있는 것에 의해, 전술한 과제를 또한 해결한다.
본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포장 상자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절취 유도선이, 상기 개폐 커버의 플랩 대향 둘레부 및 선단 둘레부와 직교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전술한 과제를 또한 해결한다.
본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포장 상자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절취 유도선이, 상기 개폐 커버의 선단 둘레부와 플랩 대향 둘레부와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한 정원(正圓)의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전술한 문제점을 또한 해결한다.
본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포장 상자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다면체의 어느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전술한 과제를 또한 해결한다.
본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포장 상자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슬릿 록 해제 파지편 및 사이드 플랩 중 적어도 한쪽이, 다른 쪽과 대향하는 면에 서로 박리되어 재접합 가능한 접착제를 도포한 가고정 풀칠부를 가지고 있는 것에 의해, 전술한 과제를 또한 해결한다.
본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포장 상자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상자체의 적어도 일면을 구성하는 전벽판(前壁板) 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된 절결부가, 상기 개폐 커버의 선단 둘레부의 절취 유도선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전술한 과제를 또한 해결한다.
본 발명의 포장 상자는, 상품을 수용하는 다면체의 상자체의 적어도 일면을 구성하고, 또한 기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 개폐 가능하며 일면의 위치에 형성된 상품 출입구를 봉지하는 개폐 커버와; 이 개폐 커버에 대한 측방에 위치하고 다면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커버 측방 부재의 개폐 커버측 둘레부에서 서로 절곡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품의 비어져 나옴을 저지하는 사이드 플랩과; 개폐 커버의 선단 둘레부에서 서로 절곡선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자체 내에 끼워넣어져 개폐 커버를 유지시키는 끼움편;을 구비하고, 끼움편의 연결 기단부를 절곡선을 따라 일부 절입된 슬릿 내에 사이드 플랩의 일부를 걸리게 하여 개폐 커버를 닫은 상태를 유지하는 슬릿 록형 걸림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에 의해, 개폐 커버가 함부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기와 같은 특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포장 상자에 의하면, 개폐 커버에서의 사이드 플랩과 대향하는 플랩 대향 둘레부로부터 선단 둘레부까지 연장된 절취 유도선을 따라 절취 가능한 개폐 커버의 일부가, 절취 유도선을 따라 사람의 손에 의해 절취되면서 파지되고 개폐 커버에 대하여 기립하여 슬릿 록형 걸림 구조에 의한 걸림을 해제 가능한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을 형성하고 있는 것에 의해, 개폐 커버를 열 때 사람의 손에 의한 개폐 커버의 플랩 대향 둘레부로부터 개폐 커버가 열리는 방향을 위쪽으로 한 경우의 위쪽을 향하면서, 또한 전방을 향한 인장력으로 절취 유도선을 따라 절취되어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이 기립하는 동시에, 인장력으로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이 위쪽으로, 또한 전방으로 인장되는 것에 의해 끼움편도 위쪽, 또한 전방으로 인장되어 끼움편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이 형성된 측의 슬릿이 사이드 플랩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대적으로 볼 때 사이드 플랩이 슬릿으로부터 빼내어져 슬릿이 위쪽으로 이동하므로, 상자체 내가 간극없이 충전되어 있는 경우라도 끼움편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이 형성된 측의 슬릿에서의 끼움편과 사이드 플랩과의 걸림인 슬릿 록형 걸림 구조에 의한 걸림을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다.
본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의 포장 상자에 의하면,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이 나타내는 효과에 더하여, 슬릿이, 끼움편과 개폐 커버와의 경계가 되는 절곡선의 기점으로부터 끼움편을 향해 사이드 플랩의 적어도 두께 분을 절입한 후에 끼움편의 측단 측을 향하여 절입한 L자형 절입과 끼움편의 개폐 커버에 대한 절곡 상태에 의해 형성되고, 개폐 커버에 대한 끼움편의 절곡 상태에서 L자형 절입에 의해 끼움편과의 경계의 절곡선보다 전방으로 돌출하는 개폐 커버의 일부가,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의 기립 시에 슬릿 내의 사이드 플랩과 맞닿아 슬릿 록형 걸림 구조에 의한 걸림을 해제 가능한 록 해제 돌출편을 형성하고 있는 것에 의해,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을 기립시켰을 때 절곡선을 중심으로 록 해제 돌출편이 요동하여 슬릿 내의 사이드 플랩이 슬릿 내로부터 상대적으로 밀어내어지므로 끼움편에서의 좌우 방향에서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이 형성된 측의 슬릿에서의 끼움편과 사이드 플랩과의 걸림인 슬릿 록형 걸림 구조에 의한 걸림을 확실하게 해제할 수 있다.
본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의 포장 상자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이 나타내는 효과에 더하여, 절취 유도선이, 개폐 커버의 플랩 대향 둘레부 및 선단 둘레부와 직교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사람의 손에 의해 개폐 커버의 플랩 대향 둘레부로부터 개폐 커버의 일부를 기립시킬 때, 절취 유도선에 작용하는 응력의 방향이 개폐 커버의 플랩 대향 둘레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선단 둘레부와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변화하고, 또한 이 응력의 작용하는 점이 절취 유도선의 1개소에 머물러서 집중되지도 않고 개폐 커버의 플랩 대향 둘레부로부터 선단 둘레부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이동하고, 응력이 작용하는 궤적이 원호형이 되므로, 절취 유도선을 따라 원활하게 절취하면서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의 포장 상자에 의하면,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이 나타내는 효과에 더하여, 절취 유도선이, 개폐 커버의 선단 둘레부와 플랩 대향 둘레부와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한 정원의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사람의 손에 의해 개폐 커버의 플랩 대향 둘레부로부터 개폐 커버의 일부를 기립시킬 때, 절취 유도선에 작용하는 응력의 크기가 정원의 반경에 대응하여 대략 균일하게 되는 동시에 사람의 손의 부하의 크기가 대략 균일하게 되므로, 절취 유도선을 따라 더 한층 원활하게 절취하면서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의 포장 상자에 의하면,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이 나타내는 효과에 더하여, 다면체의 어느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포장 상자에 수용된 상품이 외부로부터 개구부를 통하여 시인(視認)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상품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포장 상자에 수용된 상품에 기재된 상품 정보의 바코드가 외부로부터 개구부를 통하여 판독 가능하게 되므로, 검품자 등이 상품을 검품할 수 있다.
본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의 포장 상자에 의하면,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이 나타내는 효과에 더하여, 슬릿 록 해제 파지편 및 사이드 플랩 중 적어도 한쪽이, 다른 쪽과 대향하는 면에 서로 박리되어 재접합 가능한 접착제를 도포한 가고정 풀칠부를 가지고 있는 것에 의해,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이 개폐 커버와 동일면의 자세로 가고정되므로, 포장 상자를 한 번 개봉한 후라도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의 자세를 원래의 개폐 커버와 동일면의 자세로 되돌려 슬릿 록하여 포장 상자를 계속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재차 슬릿 록을 해제할 수 있다.
본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의 포장 상자에 의하면,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이 나타내는 효과에 더하여, 상자체의 적어도 일면을 구성하는 전 벽판 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된 절결부가, 개폐 커버의 선단 둘레부의 절취 유도선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인장력으로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이 위쪽으로, 또한 전방으로 인장될 때 전 벽판 부재에서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 근방이 전방으로 쉽게 휘어져서 끼움편도 전방으로 쉽게 변위되므로 끼움편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이 형성된 측의 슬릿 록형 걸림 구조에 의한 걸림을 더 한층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자체의 적어도 일면을 구성하는 전 벽판 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된 절결부가, 개폐 커버의 선단 둘레부의 절취 유도선과 대향하고 있는 것에 의해, 인장력으로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이 위쪽으로, 또한 전방으로 인장될 때 절취 유도선의 종점인 슬릿 록 해제 파지편과 끼움편과의 이음매에서의 응력이 분산되므로, 이 부분에 생기기 쉽상인 파손을 억제하여 슬릿과 사이드 플랩과의 슬릿 록형 걸림 구조에 의한 걸림을 더욱 확실하게 해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포장 상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포장 상자의 전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의 동작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의 동작을 나타낸 후방향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의 동작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의 동작을 나타낸 후방향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의 동작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의 동작을 나타낸 후방향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의 동작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의 동작을 나타낸 후방향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의 동작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의 동작을 나타낸 후방향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포장 상자의 개폐 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1의 부호 9A-9A에서 보았을 때의 측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3a의 부호 9B-9B에서 보았을 때의 측단면도이다.
도 9c는 도 5a의 부호 9C-9C에서 보았을 때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포장 상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포장 상자의 전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포장 상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포장 상자의 전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포장 상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포장 상자의 전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포장 상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포장 상자의 전개 도면이다.
도 18a는 제5 실시예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의 동작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
도 18b는 제5 실시예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의 동작을 나타낸 후방향 사시도이다.
도 19a는 제5 실시예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의 동작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
도 19b는 제5 실시예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의 동작을 나타낸 후방향 사시도이다.
도 20a는 제5 실시예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의 동작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
도 20b는 제5 실시예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의 동작을 나타낸 후방향 사시도이다.
도 21a는 제5 실시예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의 동작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
도 21b는 제5 실시예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의 동작을 나타낸 후방향 사시도이다.
도 22a는 제5 실시예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의 동작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
도 22b는 제5 실시예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의 동작을 나타낸 후방향 사시도이다.
도 23은 제5 실시예의 포장 상자의 개폐 커버인 천정면 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
도 24a는 도 16의 부호 "24A-24A에서 보았을 때의 측단면도이다.
도 24b는 도 18a의 부호 24B-24B에서 보았을 때의 측단면도이다.
도 24c는 도 19a의 부호 24C-24C에서 보았을 때의 측단면도이다.
도 25a는 제6 실시예의 포장 상자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
도 25b는 제7 실시예의 포장 상자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포장 상자 상부의 전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품을 수용하는 다면체 상자체의 적어도 일면을 구성하고, 또한 기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 개폐 가능하며 일면의 위치에 형성된 상품 출입구를 봉지하는 개폐 커버와; 이 개폐 커버에 대한 측방에 위치하고 다면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커버 측방 부재의 개폐 커버측 둘레부에서 서로 절곡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품의 비어져 나옴을 저지하는 사이드 플랩과; 개폐 커버의 선단 둘레부에서 서로 절곡선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자체 내에 끼워넣어져 개폐 커버를 유지시키는 끼움편;을 구비하고, 끼움편의 연결 기단부를 절곡선을 따라 일부 절입된 슬릿 내에 사이드 플랩의 일부를 걸리게 하여 개폐 커버를 닫은 상태를 유지하는 슬릿 록형 걸림 구조를 형성하는 포장 상자에 있어서, 개폐 커버에서의 사이드 플랩과 대향하는 플랩 대향 둘레부로부터 선단 둘레부까지 연장된 절취 유도선을 따라 절취 가능한 개폐 커버의 일부가, 절취 유도선을 따라 사람의 손에 의해 절취되면서 파지되어 개폐 커버에 대하여 기립하여 슬릿 록형 걸림 구조에 의한 걸림을 해제 가능한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을 형성하고, 상자체 내가 간극없이 충전되어 있는 경우라도 끼움편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이 형성된 측의 슬릿에서의 끼움편과 사이드 플랩과의 걸림인 슬릿 록형 걸림 구조에 의한 걸림을 해제하는 것이면, 그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어떤 것이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포장 상자는, 개폐 커버의 선단측에 연결된 끼움편의 슬릿 내에 사이드 플랩의 일부가 거는 슬릿 록형 걸림 구조를 가지고, 다면체의 적어도 일면이 개폐 커버를 구성하면, 입방체라도 되고 직육면체라도 되며 예를 들면, 육각 기둥 등의 다각 기둥이라도 되며, 또는 델타 다면체나 플라톤 입체(Platonic solid), 아르키메데스 입체 등의 다면체라도 되고, 다면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면의 형상이나 크기는 한 종류라도 되고 복수 종류라도 된다.
개폐 커버는, 복수 개가 있어도 되며, 또한, 다면체의 하나의 면에 의해 1개의 개폐 커버가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다면체의 인접하는 복수의 면에 의해 1개의 개폐 커버가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일부 절입된 슬릿에는, 단지 절입하여 형성된 슬릿뿐만 아니라, 절입되어 절결과 같이 폭을 가지도록 한 슬릿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포장 상자의 재료는, 다면체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가요성(可撓性)을 가지고 있으면, 코트지, 골판지, 코트 골판지, 골판지 등의 종이라도 되고, 플라스틱 등의 수지라도 된다.
또한, 절취 유도선의 형상은, 개폐 커버의 플랩 대향 둘레부로부터 선단 둘레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면, 원호형의 곡선이라도 되고, 직선이라도 된다.
또한, 절취 유도선의 형태는, 원하는 선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절단되어 절취하기 용이한 이른바, 미싱선이나 절취선이라도 되고, 원하는 선의 두께를 다른 개소(箇所)보다 얇게 하여 원하는 선을 따라 절취하기 용이하게 한 것이라도 된다.
[실시예 1]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포장 상자(10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에 따라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포장 상자(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포장 상자(100)의 전개도이며, 도 3a, 도 4a, 도 5a, 도 6a, 도 7a는, 본 발명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의 동작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며, 도 3b, 도 4b, 도 5b, 도 6b, 도 7b는, 각각 도 3a, 도 4a, 도 5a, 도 6a, 도 7a에 대응하는 후방향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포장 상자(100)의 개폐 커버(111)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며, 도 9a는, 도 1의 부호 9A-9A에서 보았을 때의 측단면도이며, 도 9b는, 도 3a의 부호 9B-9B에서 보았을 때의 측단면도이며, 도 9c는, 도 5a의 부호 9C-9C에서 보았을 때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포장 상자(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가 있는 코트 골판지제이며, 개폐 커버(111)를 가지며 상품의 일례인 팬시 박스(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는 다면체의 일례인 역사각뿔(5면체) 상자체(110)와, 개폐 커버(111)를 유지시키는 끼움편(120)과, 사이드 플랩으로서의 좌측 사이드 플랩(130) 및 우측 사이드 플랩(140)을 구비하고 있다.
개폐 커버(111)는, 역사각뿔의 상자체(110)의 일면을 구성하고, 또한 기단부(111a)에서 절곡선인 개폐 기단부 절괘선(折罫線) BL1을 지점으로 하여 요동 개폐 가능하며 일면의 위치에 형성된 상품 출입구 EE(도 8 참조)를 봉지(封止)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끼움편(120)은, 개폐 커버(111)의 선단 둘레부(111c)에서 서로 절곡선인 개폐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자체(110) 내에 끼워넣어져 개폐 커버(111)를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좌측 사이드 플랩(130)은, 개폐 커버(111)에 대한 측방에 위치하고 역사각뿔의 일부를 구성하는 커버 측방 부재로서의 좌측 벽판 부재(113)의 개폐 커버측 둘레부에서 서로 절곡선인 좌측벽 상단부 절괘선 BL3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품의 비어져 나옴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측 사이드 플랩(140)은, 좌측 사이드 플랩(130)과 마찬가지로, 개폐 커버(111)에 대한 측방에 위치하고 역사각뿔의 일부를 구성하는 커버 측방 부재로서의 우측 벽판 부재(115)의 개폐 커버측 둘레부에서 서로 절곡선인 우측벽 상단부 절괘선 BL4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품의 비어져 나옴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포장 상자(100)의 방향에 대하여, 설명의 편의 상, 개폐 커버(111)를 위쪽으로 하고, 개폐 커버(111)의 자유단인 선단 둘레부(111c)를 앞쪽, 기단부(111a)를 후방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좌」, 「우」는, 조립 포장 상자(100)를 기준으로 한 「좌」, 「우」, 즉 포장 상자(100)의 후 벽판 부재(112)로부터 전 벽판 부재(114)를 향할 때의 「좌」, 「우」이다.
역사각뿔의 상자체(1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커버(111)와, 후 벽판 부재(112)와, 커버 측방 부재로서의 좌측 벽판 부재(113)와, 전 벽판 부재(114)와, 커버 측방 부재로서의 우측 벽판 부재(115)와, 우측 사이드 후측 풀칠부(116)로 구성되어 있다.
후 벽판 부재(112)는, 개폐 커버(111)의 기단부(111a)에서 절곡선인 개폐 기단부 절괘선 BL1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좌측 벽판 부재(113)는, 후 벽판 부재(112)의 좌단부에서 절곡선인 후벽 좌단부 절괘선 BL5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전 벽판 부재(114)는, 좌측 벽판 부재(113)의 전단부에서 절곡선인 좌측벽 전단부 절괘선 BL6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우측 벽판 부재(115)는, 전 벽판 부재(114)의 우단부에서 절곡선인 전벽 우단부 절괘선 BL7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우측 사이드 후측 풀칠부(116)는, 우측 벽판 부재(115)의 후단부에서 절곡선인 우측벽 후단부 절괘선 BL8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포장 상자(100)가 조립될 때, 예를 들면, 후 벽판 부재(112) 및 좌측 벽판 부재(113)가, 후벽 좌단부 절괘선 BL5에서 서로 90°가 되도록 절곡되고, 좌측 벽판 부재(113) 및 전 벽판 부재(114)가, 좌측벽 전단부 절괘선 BL6에서 서로 90°가 되도록 절곡된다.
마찬가지로, 전 벽판 부재(114) 및 우측 벽판 부재(115)가, 전벽 우단부 절괘선 BL7에서 서로 90°가 되도록 되도록 절곡되고, 우측 벽판 부재(115) 및 우측 사이드 후측 풀칠부(116)가, 우측벽 후단부 절괘선 BL8에서 서로 90°가 되도록 되도록 절곡된다.
그리고, 우측 사이드 후측 풀칠부(116)가, 후 벽판 부재(112)의 우단부의 내측면에 일례로서 접착제로 접착되어 상자체(110)의 역사각뿔의 측면이 형성된다.
또한, 좌측 사이드 플랩(130)이, 좌측벽 상단부 절괘선 BL3에서 내측인 우측으로 절곡되고, 마찬가지로, 우측 사이드 플랩(140)이, 우측벽 상단부 절괘선 BL4에서 내측인 좌측으로 절곡된다.
개폐 커버(111)가, 개폐 기단부 절괘선 BL1에서 내측인 앞쪽으로 절곡되고, 끼움편(120)이, 개폐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에서 내측인 아래쪽으로 절곡된다.
포장 상자(100)는, 끼움편(120)의 연결 기단부를 개폐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를 따라 일부 절입된 슬릿 내에 사이드 플랩의 일부를 걸리게 하여 개폐 커버(111)를 닫은 상태를 유지하는 슬릿 록형 걸림 구조 LK를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끼움편(120)의 개폐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의 근방에 좌측 L자형 절입 CT1 및 우측 L자형 절입 CT2가 있고, 끼움편(120)을 개폐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에서 개폐 커버(111)에 대하여 절곡함으로써, 끼움편(120)과 개폐 커버(111)와의 간극인 좌측 슬릿 SL1 및 우측 슬릿 SL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 상자(100)의 재료의 두께가 비교적 두꺼우므로, L자형 절입(CT1, CT2)과 슬릿(SL1, SL2)을 형성하였으나, 포장 상자(100)의 재료의 두께가 비교적 얇은 경우에는, 간단하게 직선형 절입, 즉 I자형 절입으로 슬릿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좌측 사이드 플랩(130)의 전단부에 형성된 좌측 슬릿 걸림편(131)이, 좌측 슬릿 SL1에 들어가고, 좌측 슬릿 SL1에 있어서 끼움편(120)이 좌측 슬릿 걸림편(131)에 의해 걸린다.
마찬가지로, 우측 사이드 플랩(140)의 전단부에 형성된 우측 슬릿 걸림편(141)이, 우측 슬릿 SL2에 들어가고, 우측 슬릿 SL2에 있어서 끼움편(120)이 우측 슬릿 걸림편(141)에 의해 걸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 커버(111)에서의 사이드 플랩과 대향하는 플랩 대향 둘레부인 우측 플랩 대향 둘레부(111b)로부터 선단 둘레부(111c)까지 일례로서 미싱선인 절취 유도선(111d)이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절취 유도선(111d)을 따라 절취 가능한 개폐 커버(111)의 일부가, 절취 유도선(111d)을 따라 사람의 손에 의해 절취되면서 파지되고 개폐 커버(111)에 대하여 기립하여 슬릿 록형 걸림 구조 LK에 의한 걸림을 해제 가능한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을 형성하고 있다.
이하,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개폐 커버(111)를 열 때 사람의 손에 의한 개폐 커버(111)의 우측 플랩 대향 둘레부(111b)로부터 위쪽을 향하면서, 또한 전방을 향한 인장력으로 절취 유도선(111d)을 따라 절취되어, 개폐 커버(111)의 일부에 의해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이 형성된다.
이 때,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은, 나머지 부분인 개폐 커버(111)에 대하여 약간 기립한 자세로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절취 유도선(111d)이, 개폐 커버(111)의 우측 플랩 대향 둘레부(111b) 및 선단 둘레부(111c)와 직교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사람의 손에 의해 개폐 커버(111)의 우측 플랩 대향 둘레부(111b)로부터 개폐 커버(111)의 일부를 기립시킬 때, 절취 유도선(111d)에 작용하는 응력의 방향이, 개폐 커버(111)의 우측 플랩 대향 둘레부(111b)와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선단 둘레부(111c)와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서서히 변화한다.
또한, 이 응력이 작용하는 점이, 절취 유도선(111d)의 1개소에 머물러서 집중되지도 않고 개폐 커버(111)의 우측 플랩 대향 둘레부(111b)로부터 선단 둘레부(111c)를 향해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응력이 작용하는 궤적이 원호형이 된다.
즉, 절취 유도선(111d)을 따른 절취가 원활하게 된다.
또한, 절취 유도선(111d)이, 개폐 커버(111)의 선단 둘레부(111c)와 우측 플랩 대향 둘레부(111b)와의 교차점 CP를 중심으로 한 정원(正圓)의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사람의 손에 의해 개폐 커버(111)의 우측 플랩 대향 둘레부(111b)로부터 개폐 커버(111)의 일부를 기립시킬 때, 절취 유도선(111d)에 작용하는 응력의 크기가 정원의 반경에 대응하여 거의 균일하게 되는 동시에, 손의 부하의 크기가 거의 균일하게 된다.
즉, 절취 유도선(111d)을 따른 절취가 더 한층 원활하게 된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사람의 손에 의한 위쪽을 향하면서, 또한 전방을 향한 인장력에 의해,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이, 기립한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사람의 손에 의한, 전방을 향한 인장력에 의해, 끼움편(120)도 전방으로 인장된다.
이렇게 되면, 끼움편(120)에서의 좌우 방향에서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이 형성된 측의 슬릿인 우측 슬릿 SL2가, 우측 사이드 플랩(140)의 우측 슬릿 걸림편(141)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대적으로 볼 때 우측 슬릿 걸림편(141)이 우측 슬릿 SL2로부터 뽑힌다.
즉, 우측 슬릿 SL2에서의 끼움편(120)에 있어서의 우측 슬릿 걸림편(141)과의 걸림이 해제된다.
그리고, 포장 상자(100)는, 가요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람의 손에 의한 전방을 향한 인장력에 의해, 전 벽판 부재(114)가 다소 휘어져서, 우측 슬릿 SL2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사람의 손에 의한 위쪽을 향하면서, 또한 전방을 향한 인장력에 의해,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이 위쪽으로, 또한 전방으로 인장된다.
이렇게 되면, 끼움편(120)도 위쪽으로, 또한 전방으로 인장되어, 상대적으로 볼 때 우측 슬릿 걸림편(141)이 우측 슬릿 SL2로부터 뽑힌 채로의 상태에서, 끼움편(120)도 위쪽으로 이동한다.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사람의 손에 의한, 위쪽을 향하면서, 또한 전방을 향한 인장력에 의해, 개폐 커버(111)의 좌우 방향에서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이 설치된 측이 선행하도록 개폐 커버(111)가 약간 뒤틀리면서 열릴려고 한다.
이 때, 끼움편(120)이 좌우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다른 쪽의 좌측 슬릿 SL1에서의 끼움편(120)과 좌측 사이드 플랩(130)의 좌측 슬릿 걸림편(131)과의 걸림이 느슨하게 된다.
그리고, 좌측 슬릿 SL1이, 좌측 사이드 플랩(130)의 좌측 슬릿 걸림편(131)에 대하여 경사지면서 위쪽으로 이동하여, 상대적으로 볼 때 좌측 슬릿 걸림편(131)이 좌측 슬릿 SL1의 좌측으로부터 뽑힌다.
즉, 좌측 슬릿 SL1에서의 끼움편(120)과 좌측 슬릿 걸림편(131)과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어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사람의 손에 의한, 위쪽을 향한 인장력에 의해, 끼움편(120)이 상자체(110)로부터 뽑혀서 개폐 커버(111)가 열린 상태로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사람의 손에 의한 인장력의 방향이 위쪽이면서, 전방이며, 인장력의 방향을 역방향으로 되돌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슬릿 록을 원활하게 해제하여 개폐 커버(111)를 열 수 있다.
그리고, 커터 등의 도구가 불필요하며, 포장 상자(100)에 수용된 팬시 박스를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9a∼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슬릿 SL2가, 우측 L자형 절입 CT2(도 2 참조)와, 끼움편(120)의 개폐 커버(111)에 대한 절곡 상태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우측 L자형 절입 CT2는, 끼움편(120)과 개폐 커버(111)와의 경계가 되는 개폐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의 기점으로부터 끼움편(120) 측을 향해 우측 사이드 플랩(140)의 적어도 두께 d1분을 절입한 후에 끼움편(120)의 측단 측을 향해 절입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폐 커버(111)에 대한 끼움편(120)의 절곡 상태에서 우측 L자형 절입 CT2에 의해 끼움편(120)과의 경계의 개폐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보다 전방으로 돌출하는 개폐 커버(111)의 일부가, 록 해제 돌출편(111f)을 형성한다.
록 해제 돌출편(111f)은,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의 기립 시에 우측 슬릿 SL2의 내측의 우측 슬릿 걸림편(141)과 맞닿아서 슬릿 록형 걸림 구조 LK에 의한 걸림을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록 해제 돌출편(111f)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슬릿 걸림편(141)이, 우측 사이드 플랩(140)의 적어도 두께 d1분 정도의 우측 슬릿 SL2의 내측에 들어가서 끼움편(120)을 걸리게 하고 있다.
또한, 록 해제 돌출편(111f)이, 개폐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9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사람의 손으로 절취 유도선(111d)을 따라 개폐 커버(111)의 일부인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이 절취되어 파지된다.
그리고, 사람의 손에 의한, 위쪽을 향하면서, 또한 전방을 향한 인장력에 의해,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은, 개폐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를 중심으로 위쪽으로, 또한 전방으로 요동한다.
이 때, 개폐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를 기준으로 한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의 반대측에 설치된 록 해제 돌출편(111f)은, 우측 슬릿 SL2를 막도록 아래쪽으로, 또한 후방으로 요동하여, 우측 슬릿 SL2의 내측에 있는 우측 슬릿 걸림편(141)과 맞닿는다.
그리고, 록 해제 돌출편(111f)은, 우측 슬릿 SL2의 내측에 있는 우측 슬릿 걸림편(141)을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작용한다.
이 때, 우측 슬릿 걸림편(141)에 대한 반력에 의해, 개폐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 및 그 근방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 끼움편(120), 우측 슬릿 SL2가 전방으로 약간 이동하는 동시에, 전 벽판 부재(114)가 전방으로 휘어진다.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9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사람의 손에 의해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이 더욱 요동하여 기립하면, 록 해제 돌출편(111f)은, 우측 슬릿 SL2를 막도록 요동한다.
이렇게 되면, 록 해제 돌출편(111f)이 우측 슬릿 걸림편(141)의 전방을 가압하게 되어, 개폐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 및 그 근방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 끼움편(120), 우측 슬릿 SL2가 전방으로 약간 더 이동하는 동시에, 전 벽판 부재(114)가 전방으로 더욱 휘어진다.
이에 따라, 우측 슬릿 SL2의 내측의 우측 슬릿 걸림편(141)이, 우측 슬릿 SL2의 내측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밀어내어져, 우측 슬릿 SL2에서의 끼움편(120)과 우측 슬릿 걸림편(141)과의 걸림이 해제된다.
즉, 록 해제 돌출편(111f)을 설치함으로써, 전술한 도 4a∼도 5b의 타이밍에서, 우측 슬릿 SL2에서의 끼움편(120)과 우측 슬릿 걸림편(141)과의 걸림이 해제되어, 개폐 커버(111)를 더욱 열기 쉽게 된다.
그리고, 이 걸림이 완전히 해제되는 타이밍은, 끼움편(120)과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과의 상대적인 자세에 의존하며, 양자가 대략 일직선 상의 자세로 되었을 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을 좌우 방향의 우측에만 설치하였으나, 좌측에 설치해도 되고, 또한 좌우 방향의 양측에 각각 설치해도 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 상, 개폐 커버(111)를 위쪽으로 하는 방향으로 설명하였으나, 개폐 커버(111)의 위치는, 위쪽으로 한정되지 않고, 아래쪽이라도 되고, 측방이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다면체의 1개의 면을 개폐 커버(111)로 하였으나, 다면체의 복수의 면을 개폐 커버(111)로 하여, 개폐 커버(111)의 개수를 복수 개로 해도 된다.
또한, 다면체의 상자체(110)의 어느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포장 상자(100)에 수용된 상품이 외부로부터 개구부를 통하여 시인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개구부에 위치와 상품에 기재된 상품 정보의 바코드의 위치를 맞추어서 상품을 수용하면, 포장 상자(100)에 수용된 상품에 기재된 상품 정보의 바코드가 외부로부터 개구부를 통하여 판독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 및 우측 사이드 플랩(140) 중 적어도 한쪽인 우측 사이드 플랩(140)이, 다른 쪽과 대향하는 면에 서로 박리되어 재접합 가능한 접착제를 도포한 가고정 풀칠부(142)를 가지고 있다.
이로써,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이 개폐 커버(111)와 동일면의 자세로 가고정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끼움편(120)이, 개폐 커버(111)에 대하여 약 120°의 각도(예각)로 절곡되고, 개폐 커버(111)에 대하여 약 120°의 각도(예각)의 자세로 설치된 전 벽판 부재(114)의 내측면을 따라 상자체(110) 내에 껴워져 있다.
개폐 커버(111)와 전 벽판 부재(114)가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면, 개폐 커버와 전 벽판 부재가 이루는 각도가 직각일 때와 비교하여, 끼움편(120)의 선단측이 개폐 커버(111)의 기단부 측에 위치하고 슬릿 내에 사이드 플랩의 슬릿 걸림편이 깊게 들어가 있으므로, 사람의 손 특히 손끝을 끼움편(120)과 전 벽판 부재(114)의 사이에 들어가서 슬릿 록을 해제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개폐 커버(111)와 전 벽판 부재(114)가 이루는 각도가 예각일 때, 상자체(110) 내가 간극없이 충전되어 있지 않아도,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을 가지는 구성은 유효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포장 상자(100)는, 개폐 커버(111)에서의 우측 사이드 플랩(140)과 대향하는 우측 플랩 대향 둘레부(111b)로부터 선단 둘레부(111c)까지 연장된 절취 유도선(111d)을 따라 절취 가능한 개폐 커버(111)의 일부가, 절취 유도선(111d)을 따라 사람의 손에 의해 절취되면서 파지되고 개폐 커버(111)에 대하여 기립하여 슬릿 록형 걸림 구조 LK에 의한 걸림을 해제 가능한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을 형성하고 있는 것에 의해, 팬시 박스 등에서 상자체(110) 내가 간극없이 충전되어 있는 경우라도 끼움편(120)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이 형성된 측의 우측 슬릿 SL2에서의 끼움편(120)과 우측 사이드 플랩(140)과의 걸림인 슬릿 록형 걸림 구조 LK에 의한 걸림을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우측 슬릿 SL2가, 끼움편(120)과 개폐 커버(111)와의 경계가 되는 개폐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의 기점으로부터 끼움편(120) 측을 향해 우측 사이드 플랩(140)의 적어도 두께 d1분을 절입한 후에 끼움편(120)의 측단 측을 향하여 절입한 우측 L자형 절입 CT2와 끼움편(120)의 개폐 커버(111)에 대한 절곡 상태에 의해 형성되고, 개폐 커버(111)에 대한 끼움편(120)의 절곡 상태에서 우측 L자형 절입 CT2에 의해 끼움편(120)과의 경계의 개폐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보다 전방으로 돌출하는 개폐 커버(111)의 일부가,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의 기립 시에 우측 슬릿 SL2 내의 우측 사이드 플랩(140)과 맞닿아 슬릿 록형 걸림 구조 LK에 의한 걸림을 해제 가능한 록 해제 돌출편(111f)을 형성하고 있는 것에 의해, 끼움편(120)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이 형성된 측의 우측 슬릿 SL2에서의 끼움편(120)과 우측 사이드 플랩(140)과의 걸림인 슬릿 록형 걸림 구조 LK에 의한 걸림을 확실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절취 유도선(111d)이, 개폐 커버(111)의 우측 플랩 대향 둘레부(111b) 및 선단 둘레부(111c)와 직교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절취 유도선(111d)을 따라 원활하게 절취되면서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취 유도선(111d)이, 개폐 커버(111)의 선단 둘레부(111c)와 우측 플랩 대향 둘레부(111b)와의 교차점 CP를 중심으로 한 정원의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절취 유도선(111d)을 따라 더 한층 원활하게 절취되면서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면체의 어느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상품을 확인할 수 있고, 검품자 등이 상품을 검품할 수 있다.
또한,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 및 우측 사이드 플랩(140) 중 적어도 한쪽인 우측 사이드 플랩(140)이, 다른 쪽과 대향하는 면에 서로 박리되어 재접합 가능한 접착제를 도포한 가고정 풀칠부(142)를 가지고 있는 것에 의하여, 포장 상자(100)를 한 번 개봉한 후에도 슬릿 록 해제 파지편(111e)의 자세를 원래의 개폐 커버(111)와 동일면의 자세로 되돌려 슬릿 록하여 포장 상자(100)를 계속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재차 슬릿 록을 해제할 수 있는 등, 그 효과는 매우 크다.
[실시예 2]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포장 상자(200)에 대하여, 도 10 및 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포장 상자(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포장 상자(200)의 전개도이다.
제2 실시예의 포장 상자(200)는, 제1 실시예의 포장 상자(100)의 다면체의 면의 개수 및 형상을 변경하여 개폐 커버(111)의 개수도 변경한 것이며, 많은 요소가 제1 실시예의 포장 상자(100)와 공통되므로, 공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아래 2자리수가 공통되는 200번대의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포장 상자(200)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가 있는 코트 골판지제이며, 2개의 개폐 커버(211A, 211B)를 가지고 상품(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는 다면체의 일례인 이른바, 어묵형(팔면체)의 상자체(210)와, 사이드 플랩으로서의 좌측 사이드 플랩(230A, 230B) 및 우측 사이드 플랩(240A, 240B)과, 개폐 커버(211A, 211B)를 각각 유지시키는 끼움편(220A, 220B)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포장 상자(200)의 방향에 대하여, 설명의 편의 상, 한쪽 개폐 커버(211A)를 위쪽으로 하고, 이 개폐 커버(211A)의 자유단인 선단 둘레부(211Ac)를 앞쪽, 기단부(211Aa)를 뒤쪽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다른 쪽 개폐 커버(211B) 측의 구조는, 한쪽 개폐 커버(211A) 측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포장 상자(200)가 조립될 때, 각각 절곡선 BL에서 내측으로 절곡되고, 풀칠부(216)가 우측 벽판 부재(215)의 내측면에, 일례로서 접착제로 접착되어, 상자체(210)의 어묵형(팔면체)의 측면이 형성된다.
그 외에는, 전술한 제1 실시예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포장 상자(200)는, 개폐 커버(211A)에서의 우측 사이드 플랩(240A)과 대향하는 우측 플랩 대향 둘레부(211Ab)로부터 선단 둘레부(211Ac)까지 연장된 절취 유도선(211Ad)을 따라 절취 가능한 개폐 커버(211A)의 일부가, 절취 유도선(211Ad)을 따라 사람의 손에 의해 절취되면서 파지되고 개폐 커버(211A)에 대하여 기립하여 슬릿 록형 걸림 구조 LK에 의한 걸림을 해제 가능한 슬릿 록 해제 파지편(211Ae)를 형성하고 있는 것에 의해, 상품에 의해 상자체(210) 내가 간극없이 충전되어 있는 경우라도 끼움편(220A)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슬릿 록 해제 파지편(211Ae)이 형성된 측의 우측 슬릿 SL2에서의 끼움편(220A)과 우측 사이드 플랩(240A)과의 걸림인 슬릿 록형 걸림 구조 LK에 의한 걸림을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는 등, 그 효과는 매우 크다.
[실시예 3]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포장 상자(300)에 대하여, 도 12 및 도 1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포장 상자(3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포장 상자(300)의 전개도이다.
제3 실시예의 포장 상자(300)는, 제2 실시예의 포장 상자(100)의 다면체의 일부의 면을 곡면으로 변경한 것이며, 많은 요소가 제2 실시예의 포장 상자(100)와 공통되므로, 공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아래 2자리수가 공통되는 300번대의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포장 상자(300)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가 있는 코트 골판지제이며, 2개의 개폐 커버(311A, 311B), 2개의 곡면을 가지고 상품(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는 다면체의 일례인 이른바, 어묵형(2곡면+6면체)의 상자체(310)와, 사이드 플랩으로서의 좌측 사이드 플랩(330A, 330B) 및 우측 사이드 플랩(340A, 340B)과, 개폐 커버(311A, 311B)를 각각 유지시키는 끼움편(320A, 320B)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 상자(300)의 방향에 대하여, 설명의 편의 상, 한쪽 개폐 커버(311A)를 위쪽으로 하고, 이 개폐 커버(311A)의 자유단인 선단 둘레부(311Ac)을 앞쪽, 기단부(311Aa)를 뒤쪽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다른 쪽 개폐 커버(311B) 측의 구조는, 한쪽 개폐 커버(311A) 측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포장 상자(300)가 조립될 때, 후방 좌측 곡면(317) 및 후방 우측 곡면(318)이, 곡면형으로 굽혀지고, 그 외의 개소가, 각각 절곡선 BL에서 내측으로 절곡되고, 풀칠부(316)가 우측 벽판 부재(315)의 내측면에, 일례로서 접착제로 접착되어 상자체(310)의 어묵형(2곡면+6면체)의 측면이 형성된다.
그 외에는,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포장 상자(300)는, 개폐 커버(311A)에서의 우측 사이드 플랩(340A)과 대향하는 우측 플랩 대향 둘레부(311Ab)로부터 선단 둘레부(311Ac)까지 연장된 절취 유도선(311Ad)을 따라 절취 가능한 개폐 커버(311A)의 일부가, 절취 유도선(311Ad)을 따라 사람의 손에 의해 절취되면서 파지되고 개폐 커버(311A)에 대하여 기립하여 슬릿 록형 걸림 구조 LK에 의한 걸림을 해제 가능한 슬릿 록 해제 파지편(311Ae)를 형성하고 있는 것에 의해, 상품에 의해 상자체(310) 내가 간극없이 충전되어 있는 경우라도 끼움편(320A)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슬릿 록 해제 파지편(311Ae)이 형성된 측의 우측 슬릿 SL2에서의 끼움편(320A)과 우측 사이드 플랩(340A)과의 걸림인 슬릿 록형 걸림 구조 LK에 의한 걸림을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는 등, 그 효과는 매우 크다.
즉, 포장 상자(300)의 상자체(310)가, 후방 좌측 곡면(317) 및 후방 우측 곡면(318) 등의 곡면을 가지는 다면체라도, 전술한 제2 실시예 등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
이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포장 상자(400)에 대하여, 도 14 및 도 1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포장 상자(4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포장 상자(400)의 전개도이다.
제4 실시예의 포장 상자(400)는, 제1 실시예의 포장 상자(100)의 다면체의 면의 개수 및 형상을 변경하여 개폐 커버(111)의 개수도 변경한 것이며, 많은 요소가 제1 실시예의 포장 상자(100)와 공통되므로, 공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아래 2자리수가 공통되는 400번대의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포장 상자(400)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가 있는 코트 골판지제이며, 2개의 개폐 커버(411A, 411B)를 가지고 상품(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는 다면체의 일례인 이른바, 경사진 입방 팔면체(26면체)의 상자체(410)와, 사이드 플랩으로서의 좌측 사이드 플랩(430A, 430B) 및 우측 사이드 플랩(440A, 440B)과, 개폐 커버(411A, 411B)를 각각 유지시키는 끼움편(420A, 420B)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포장 상자(400)의 방향에 대하여, 설명의 편의 상, 한쪽 개폐 커버(411A)를 위쪽으로 하고, 이 개폐 커버(411A)의 자유단인 선단 둘레부(411Ac)를 앞쪽, 기단부(411Aa)를 뒤쪽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다른 쪽 개폐 커버(411B) 측의 구조는, 한쪽 개폐 커버(411A) 측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포장 상자(400)가 조립될 때, 각각 절곡선 BL에서 내측으로 절곡되고, 삼각형상의 면에 인접하는 삼각형 풀칠부(416A)가, 각각 삼각형 풀칠부(416A)에 인접하는 사각형상 판 부재(412)의 내측면에, 일례로서 접착제로 접착되고 사각형 풀칠부(416B)가, 뒤쪽 우측 판 부재(419)의 내측면에, 일례로서 접착제로 접착된다.
그리고, 좌측 사이드 플랩(430A) 및 우측 사이드 플랩(440A)이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고, 개폐 커버(411A)의 끼움편(420A)이 상자체(410) 내에 끼워넣어져 상자체(410)의 경사진 방향 입방 팔면체(26면체)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끼움편(420A)이, 개폐 커버(411A)에 대하여 약 45°의 각도(둔각)로 절곡되고, 개폐 커버(411A)에 대하여 약 45°의 각도(둔각)의 자세로 설치된 전 벽판 부재(414)의 내측면을 따라 상자체(410) 내에 끼워넣어져 있다.
개폐 커버(411A)와 전 벽판 부재(414)가 이루는 각도가 둔각이면, 사람의 손 특히 손끝을 끼움편(420A)과 전 벽판 부재(414)의 사이에 넣고자 해도, 전 벽판 부재(414)에 대하여 그 사이를 넓히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그 사이에 손끝이 들어가기 곤란하다.
따라서, 개폐 커버(411A)와 전 벽판 부재(414)가 이루는 각도가 둔각일 때, 상자체(410) 내가 간극없이 충전되어 있지 않아도, 슬릿 록 해제 파지편(411Ae)을 가지는 구성은 유효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포장 상자(400)는, 개폐 커버(411A)에서의 좌측 사이드 플랩(430A)과 대향하는 좌측 플랩 대향 둘레부(411Ab)로부터 선단 둘레부(411Ac)까지 연장된 절취 유도선(411Ad)을 따라 절취 가능한 개폐 커버(411A)의 일부가, 절취 유도선(411Ad)을 따라 사람의 손에 의해 절취되면서 파지되고 개폐 커버(411A)에 대하여 기립하여 슬릿 록형 걸림 구조 LK에 의한 걸림을 해제 가능한 슬릿 록 해제 파지편(411Ae)을 형성하고 있는 것에 의해, 상품에 의해 상자체(410) 내가 간극없이 충전되어 있는 경우라도 끼움편(420A)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슬릿 록 해제 파지편(411Ae)이 형성된 측의 좌측 슬릿 SL1에서의 끼움편(420A)과 좌측 사이드 플랩(430A)과의 걸림인 슬릿 록형 걸림 구조 LK에 의한 걸림을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는 등, 그 효과는 매우 크다.
[실시예 5]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포장 상자(500)에 대하여, 도 16 내지 도 2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포장 상자(5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포장 상자(500)의 전개도이며, 도 18a, 도 19a, 도 20a, 도 21a, 도 22a는, 본 발명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의 동작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며, 도 18b, 도 19b, 도 20b, 도 21b, 도 22b는, 각각 도 18a, 도 19a, 도 20a, 도 21a, 도 22a에 대응하는 후방향 사시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포장 상자(500)의 개폐 커버인 천정면 커버(540)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며, 도 24a는, 도 16의 부호 24A-24A에서 보았을 때의 측단면도이며, 도 24b는, 도 18a의 부호 24B-24B에서 보았을 때의 측단면도이며, 도 24c는, 도 19a의 부호 24C-24C에서 보았을 때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포장 상자(500)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가 있는 골판지제이며, 상품을 수용하는 상자체(510)의 적어도 일면을 구성하고, 또한 기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요동 개폐 가능하며 일면의 위치에 형성된 상품 출입구를 봉지하는 개폐 커버(540)와 이 개폐 커버(540)에 대한 측방에 위치하고 다면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커버 측방 부재의 개폐 커버측 둘레부에서 서로 절곡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품의 비어져 나옴을 저지하는 사이드 플랩(520, 530)과 개폐 커버(540)의 선단 둘레부에서 서로 절곡선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자체(510) 내에 끼워넣어져 개폐 커버(540)를 유지시키는 끼움편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즉 상품의 일례인 팬시 박스(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는 상자체(510)와, 팬시 박스의 비어져 나옴을 저지하는 사이드 플랩인 우측 사이드 플랩(520) 및 좌측 사이드 플랩(530)과, 상자체(510)의 상단부를 개폐 가능하게 봉지하는 천정면 커버로 이루어지는 개폐 커버(540)와, 상자체(510) 내로 끼워넣어져 천정면 커버(540)를 유지시키는 끼움편(55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좌」, 「우」는, 조립 포장 상자(500)를 기준으로 한 「좌」, 「우」, 즉 포장 상자(500)의 전 벽판 부재(511)를 향하여 후 벽판 부재(512)로부터 보았을 때의 「좌」, 「우」이다.
이 중, 상자체(510)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 벽판 부재(511)와, 후 벽판 부재(512)와, 복수의 측벽판 부재인 우측 벽판 부재(513) 및 좌측 벽판 부재(514)와, 후벽 풀칠부(515)와, 바닥판 부재인 앞쪽 바닥판 부재(516), 뒤쪽 바닥판 부재(517), 우측 바닥판 부재(518) 및 좌측 바닥판 부재(519)로 구성되어 있다.
우측 벽판 부재(513)는, 전 벽판 부재(511)의 우단부에서 절곡선인 전 벽 우단부 절괘선 BL11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후 벽판 부재(512)는, 우측 벽판 부재(513)의 후단부에서 절곡선인 후벽 우단부 절괘선 BL12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좌측 벽판 부재(514)는, 전 벽판 부재(511)의 좌단부에서 절곡선인 전벽 좌단부 절괘선 BL13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후벽 풀칠부(515)는, 후 벽판 부재(512)의 좌단부에서 절곡선인 후벽 좌단부 절괘선 BL14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앞쪽 바닥판 부재(516)는, 전 벽판 부재(511)의 하단부에서 절곡선인 전벽 하단부 절괘선 BL15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앞쪽 바닥판 부재(516)는, 앞쪽 바닥 베이스(516a)와, 앞쪽 바닥 풀칠부(516b)와, 앞쪽 바닥 설편(舌片)(516c)을 가지고, 앞쪽 바닥 풀칠부(516b)는, 절곡선인 앞쪽 바닥 절괘선 BL16을 통하여 앞쪽 바닥 베이스(516a)와 연결되어 있다.
뒤쪽 바닥판 부재(517)는, 앞쪽 바닥판 부재(516)와 마찬가지로, 후 벽판 부재(512)의 하단부에서 절곡선인 후벽 하단부 절괘선 BL17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뒤쪽 바닥판 부재(517)는, 뒤쪽 바닥 베이스(517a)와, 뒤쪽 바닥 풀칠부(517b)와, 뒤쪽 바닥 설편(517c)을 가지고, 뒤쪽 바닥 풀칠부(517b)는, 절곡선인 뒤쪽 바닥 절괘선 BL18을 통하여 뒤쪽 바닥 베이스(517a)와 연결되어 있다.
우측 바닥판 부재(518)는, 우측 벽판 부재(513)의 하단부에서 절곡선인 우측 벽 하단부 절괘선 BL19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좌측 바닥판 부재(519)는, 우측 바닥판 부재(518)와 마찬가지로, 좌측 벽판 부재(514)의 하단부에서 절곡선인 좌측벽 하단부 절괘선 BL20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포장 상자(500)가 조립될 때, 예를 들면, 전 벽판 부재(511) 및 우측 벽판 부재(513)가, 전벽 우단부 절괘선 BL11에서 서로 90°가 되도록 절곡되고, 우측 벽판 부재(513) 및 후 벽판 부재(512)가, 후벽 우단부 절괘선 BL12에서 서로 90°가 되도록 절곡된다.
마찬가지로, 전 벽판 부재(511) 및 좌측 벽판 부재(514)가, 전벽 좌단부 절괘선 BL13에서 서로 90°가 되도록 절곡되고, 후 벽판 부재(512) 및 후벽 풀칠부(515)가, 후벽 좌단부 절괘선 BL14에서 서로 90°가 되도록 절곡된다.
그리고, 후벽 풀칠부(515)가, 좌측 벽판 부재(514)의 후단부의 내측면에, 일례로서 접착제로 접착되어 상자체(510)의 외주가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이 된다.
그 후, 예를 들면, 한 번, 상자체(510)의 평면 단면 형상이, 찌그러진 평행사변형의 상태가 되고, 앞쪽 바닥 풀칠부(516b)가, 좌측 바닥판 부재(519)의 외측면에 일례로서 접착제로 접착된다.
마찬가지로, 뒤쪽 바닥 풀칠부(517b)가, 우측 바닥판 부재(518)의 외측면에, 일례로서 접착제로 접착된다.
그리고, 상자체(510)의 평면 단면 형상을, 찌그러진 평행사변형 상태로부터 각도가 90°인 사각형의 상태로 한다.
이렇게 되면, 앞쪽 바닥판 부재(516)가 앞쪽 바닥 절괘선 BL16에서 절곡된 상태로부터 절곡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되고, 또한 뒤쪽 바닥판 부재(517)도 마찬가지로 뒤쪽 바닥 절괘선 BL18에서 절곡된 상태로부터 절곡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되고, 앞쪽 바닥 설편(516c)이, 뒤쪽 바닥 베이스(517a)의 내면측에 들어가는 동시에, 뒤쪽 바닥 설편(517c)도 마찬가지로 앞쪽 바닥 베이스(516a)의 내면측에 들어간다.
그리고, 앞쪽 바닥 설편(516c)과 뒤쪽 바닥 설편(517c)이 걸어맞추어지고, 앞쪽 바닥 베이스(516a)의 둘레부와 뒤쪽 바닥 베이스(517a)의 둘레부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각도가 90°인 사각형의 상태, 즉 팬시 박스를 수용 가능한 상태에서 상자체(510)의 평면 단면 형상이 안정된다.
또한, 우측 사이드 플랩(520)은, 커버 측방 부재의 개폐 커버측 둘레부, 즉 우측 벽판 부재(513)의 상단부가 절곡선인 우측벽 상단부 절괘선 BL21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 사이드 플랩(530)은, 커버 측방 부재의 개폐 커버측 둘레부, 즉 좌측 벽판 부재(514)의 상단부가 절곡선인 좌측벽 상단부 절괘선 BL22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개폐 커버인 천정면 커버(540)는, 이 천정면 커버(540)의 기단부가 후 벽판 부재(512)의 상단부에서 절곡선인 후벽 상단부 절괘선 BL23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끼움편(550)은, 천정면 커버(540)의 선단 둘레부(542)에서 절곡선인 천정면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4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포장 상자(500)는, 끼움편(550)의 연결 기단부를 천정면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4을 따라 일부 절입된 슬릿 내에 사이드 플랩의 일부를 걸리게 하여 천정면 커버로 이루어지는 개폐 커버(540)를 닫은 상태를 유지하는 슬릿 록형 걸림 구조 LK를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끼움편(550)의 천정면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4의 근방에 우측 L자형 절입 CT11 및 좌측 L자형 절입 CT22가 있고, 끼움편(550)을 천정면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4에서 천정면 커버(540)에 대하여 절곡함으로써, 끼움편(550)과 천정면 커버(540)와의 간극인 우측 슬릿 SL11 및 좌측 슬릿 SL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 상자(500)의 재료의 두께가 비교적 두꺼우므로, L자형 절입(CT11, CT22)으로 슬릿(SL11, SL22)을 형성하였으나, 포장 상자(500)의 재료의 두께가 비교적 얇은 경우에는, 간단히 직선형 절입, 즉 I자형 절입으로 슬릿을 형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우측 사이드 플랩(520)의 전단부에 형성된 우측 슬릿 걸림편(521)이, 우측 슬릿 SL11에 들어가고, 우측 슬릿 SL11에 있어서 끼움편(550)이 우측 슬릿 걸림편(521)에 의해 걸린다.
마찬가지로, 좌측 사이드 플랩(530)의 전단부에 형성된 좌측 슬릿 걸림편(531)이, 좌측 슬릿 SL22에 들어가고, 좌측 슬릿 SL22에 있어서 끼움편(550)이 좌측 슬릿 걸림편(531)에 의해 걸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 커버가 되는 천정면 커버(540)의 플랩 대향 둘레부인 좌측 플랩 대향 둘레부(541)로부터 선단 둘레부(542)까지, 일례로서 미싱선인 절취 유도선(543)이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절취 유도선(543)을 따라 절취 가능한 천정면 커버(540)의 일부가, 절취 유도선(543)을 따라 사람의 손에 의해 절취되면서 파지되고 천정면 커버(540)로부터 기립하여 슬릿 록형 걸림 구조 LK에 의한 걸림을 해제 가능한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을 형성한다.
이하에서,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6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천정면 커버(540)를 열 때 사람의 손에 의한 천정면 커버(540)의 좌측 플랩 대향 둘레부(541)로부터 위쪽을 향하면서, 또한 전방을 향한 인장력으로 절취 유도선(543)을 따라 절취되고, 개폐 커버가 되는 천정면 커버(540)의 일부에 의해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이 형성된다.
이 때,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은, 나머지 부분인 천정면 커버(540)에 대하여 약간 기립한 자세가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절취 유도선(543)이, 개폐 커버가 되는 천정면 커버(540)의 좌측 플랩 대향 둘레부(541) 및 선단 둘레부(542)와 직교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사람의 손에 의해 개폐 커버가 되는 천정면 커버(540)의 좌측 플랩 대향 둘레부(541)로부터 천정면 커버(540)의 일부를 기립시킬 때, 절취 유도선(543)에 작용하는 응력의 방향이, 천정면 커버(540)의 좌측 플랩 대향 둘레부(54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선단 둘레부(542)와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서서히 변화한다.
또한, 이 응력이 작용하는 점이, 절취 유도선(543)의 1개소에 머물러서 집중되지도 않고 천정면 커버(540)의 좌측 플랩 대향 둘레부(541)로부터 선단 둘레부(542)를 향해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응력이 작용하는 궤적이 원호형이 된다.
즉, 절취 유도선(543)을 따른 절취가, 원활하게 된다.
또한, 절취 유도선(543)이, 천정면 커버(540)의 선단 둘레부(542)와 좌측 플랩 대향 둘레부(541)와의 교차점 CP를 중심으로 한 정원의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사람의 손으로 천정면 커버(540)의 좌측 플랩 대향 둘레부(541)로부터 천정면 커버(540)의 일부를 기립시킬 때, 절취 유도선(543)에 작용하는 응력의 크기가 정원의 반경에 대응하여 거의 균일하게 되는 동시에, 손의 부하의 크기가 거의 균일하게 된다.
즉, 절취 유도선(543)을 따른 절취가, 더 한층 원활하게 된다.
도 19a 및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사람의 손에 의한, 위쪽을 향하면서, 또한 전방을 향한 인장력에 의해,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이, 기립한다.
도 20a 및 도 2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9a 및 도 19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사람의 손에 의한 전방을 향한 인장력에 의해, 끼움편(550)도 전방으로 인장된다.
이렇게 되면, 끼움편(550)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이 형성된 측의 슬릿인 좌측 슬릿 SL22가, 좌측 사이드 플랩(530)의 좌측 슬릿 걸림편(531)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대적으로 볼 때 좌측 슬릿 걸림편(531)이 좌측 슬릿 SL22로부터 뽑힌다.
즉, 좌측 슬릿 SL22에서의 끼움편(550)과 좌측 슬릿 걸림편(531)과의 걸림이 해제된다.
그리고, 포장 상자(500)는, 가요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람의 손에 의한 전방을 향한 인장력에 의해, 전 벽판 부재(511)가 다소 휘어져서, 좌측 슬릿 SL22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도 21a 및 도 2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0a 및 도 20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사람의 손에 의한 위쪽을 향하면서, 또한 전방을 향한 인장력에 의해,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이 위쪽으로, 또한 전방으로 인장된다.
이렇게 되면, 끼움편(550)도 위쪽으로, 또한 전방으로 인장되고, 상대적으로 볼 때 좌측 슬릿 걸림편(531)이 좌측 슬릿 SL22로부터 뽑아진 채로의 상태에서, 끼움편(550)도 위쪽으로 이동한다.
도 22a 및 도 2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1a 및 도 21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사람의 손에 의한 위쪽을 향하면서, 또한 전방을 향한 인장력에 의해, 천정면 커버(540)의 좌우 방향에서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이 설치된 측이 선행하도록 천정면 커버(540)가 약간 뒤틀리면서 열릴려고 한다.
이 때, 끼움편(550)이 좌우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다른 쪽의 우측 슬릿 SL11에서의 끼움편(550)과 우측 사이드 플랩(520)의 우측 슬릿 걸림편(521)과의 걸림이 느슨하게 된다.
그리고, 우측 슬릿 SL11이, 우측 사이드 플랩(520)의 우측 슬릿 걸림편(521)에 대하여 경사지면서 위쪽으로 이동하고, 상대적으로 볼 때 우측 슬릿 걸림편(521)이 우측 슬릿 SL11의 우측으로부터 뽑힌다.
즉, 우측 슬릿 SL11에서의 끼움편(550)에서의 우측 슬릿 걸림편(521)과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어서,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2a 및 도 22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사람의 손에 의한, 위쪽을 향한 인장력에 의해, 끼움편(550)이 상자체(510)로부터 뽑혀서 천정면 커버(540)가 열린 상태로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사람의 손에 의한 인장력의 방향이 위쪽, 전방이며, 인장력의 방향을 역방향으로 되돌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슬릿 록을 원활하게 해제하여 천정면 커버(540)를 열 수 있다.
그리고, 커터 등의 도구가 불필요하며, 포장 상자(500)에 수용된 팬시 박스를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4a∼도 2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슬릿 SL22가, 좌측 L자형 절입 CT22(도 17 참조)와 끼움편(550)의 천정면 커버(540)에 대한 절곡 상태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좌측 L자형 절입 CT22는, 끼움편(550)과 천정면 커버(540)와의 경계가 되는 천정면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4의 기점으로부터 끼움편(550) 측을 향해 좌측 사이드 플랩(530)의 두께 d1분을 절입한 후에 끼움편(550)의 측단 측을 향해 절입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천정면 커버(540)에 대한 끼움편(550)의 절곡 상태에서 좌측 L자형 절입 CT22에 의해 끼움편(550)과의 경계의 천정면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4보다 전방으로 돌출하는 천정면 커버(540)의 일부가, 록 해제 돌출편(545)을 형성한다.
록 해제 돌출편(545)은,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의 기립 시에 좌측 슬릿 SL22의 내측의 좌측 슬릿 걸림편(531)과 맞닿아 슬릿 록형 걸림 구조 LK에 의한 걸림을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 록 해제 돌출편(545)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슬릿 걸림편(531)이, 좌측 사이드 플랩(530)의 두께 d1분 정도의 좌측 슬릿 SL22의 내측에 들어가 끼움편(550)을 걸리게 하고 있다.
또한, 록 해제 돌출편(545)이, 천정면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4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2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4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사람의 손으로 절취 유도선(543)을 따라 개폐 커버가 되는 천정면 커버(540)의 일부인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이 절취되어 파지된다.
그리고, 사람의 손에 의한 위쪽을 향하면서, 또한 전방을 향한 인장력에 의해,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은, 천정면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4를 축으로 위쪽으로, 또한 전방으로 요동한다.
이 때, 천정면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4를 기준으로 한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의 반대측에 설치된 록 해제 돌출편(545)은, 좌측 슬릿 SL22를 막도록 아래쪽으로, 또한 후방으로 요동하여, 좌측 슬릿 SL22의 내측에 있는 좌측 슬릿 걸림편(531)과 맞닿는다.
그리고, 록 해제 돌출편(545)은, 좌측 슬릿 SL22의 내측에 있는 좌측 슬릿 걸림편(531)을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작용한다.
이 때, 좌측 슬릿 걸림편(531)에 대한 반력에 의해, 천정면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4 및 그 근방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 끼움편(550), 좌측 슬릿 SL22가 전방으로 약간 이동하는 동시에, 전 벽판 부재(511)가 전방으로 휘어진다.
도 2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4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사람의 손으로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이 더욱 요동하여 기립하면, 록 해제 돌출편(545)은, 좌측 슬릿 SL22를 막도록 요동한다.
이렇게 되면, 록 해제 돌출편(545)이 좌측 슬릿 걸림편(531)의 전방을 가압하게 되어, 천정면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4 및 그 근방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 끼움편(550), 좌측 슬릿 SL22가 전방으로 약간 더 이동하는 동시에, 전 벽판 부재(511)가 전방으로 더욱 휘어진다.
이에 따라, 좌측 슬릿 SL22의 내측의 좌측 슬릿 걸림편(531)이, 좌측 슬릿 SL22의 내측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밀어내어지고, 좌측 슬릿 SL22에서의 끼움편(550)과 좌측 슬릿 걸림편(531)과의 걸림이 해제된다.
즉, 록 해제 돌출편(545)을 설치함으로써, 전술한 도 19a 및 도 19b의 타이밍에서, 좌측 슬릿 SL22에서의 끼움편(550)과 좌측 슬릿 걸림편(531)과의 걸림이 해제되어, 천정면 커버(540)를 더욱 열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8a, 도 19a, 도 20a, 도 2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 벽판 부재(511)의 상단부에 설치한 일례로서 원호형의 절결부(511a)가, 천정면 커버(540)의 선단 둘레부(542)의 절취 유도선(543)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인장력으로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이 위쪽으로, 또한 전방으로 인장될 때 전 벽판 부재(511)에서의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 근방이 전방으로 쉽게 휘어져서, 끼움편(550)도 전방으로 변위되기 쉬워진다.
또한, 인장력으로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이 위쪽으로, 또한 전방으로 인장될 때 절취 유도선(543)의 종점인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과 끼움편(550)과의 이음매에서의 응력이 분산된다.
즉, 이 부분에 생기고 쉬운 파손이 억제된다.
그리고, 절결부(511a)의 형상은, "V"자형이라도 되고 "コ"자형이라도 되며 원호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을 좌우 방향 좌측에만 설치하였으나, 우측에 설치해도 되고, 또한 좌우 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포장 상자(500)는, 개폐 커버가 되는 천정면 커버(540)의 플랩 대향 둘레부인 좌측 플랩 대향 둘레부(541)로부터 선단 둘레부(542)까지 연장된 절취 유도선(543)을 따라 절취 가능한 천정면 커버(540)의 일부가, 절취 유도선(543)을 따라 사람의 손에 의해 절취되면서 파지되고 천정면 커버(540)로부터 기립하여 슬릿 록형 걸림 구조 LK에 의한 걸림을 해제 가능한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을 형성하고 있는 것에 의해, 팬시 박스 등에 의해 상자체(510) 내가 간극없이 충전되어 있는 경우라도 끼움편(550)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이 형성된 측의 좌측 슬릿 SL22에서의 끼움편(550)과 좌측 사이드 플랩(530)과의 걸림인 슬릿 록형 걸림 구조 LK에 의한 걸림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끼움편(550)과 천정면 커버(540)와의 경계가 되는 천정면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4의 기점으로부터 끼움편(550) 측을 향하여 사이드 플랩의 두께 d1분을 절입한 후에 끼움편(550)의 측단 측을 향하여 절입한 좌측 L자형 절입 CT22와, 끼움편(550)의 천정면 커버(540)에 대한 절곡 상태에 의해 형성되고, 천정면 커버(540)에 대한 끼움편(550)의 절곡 상태에서 좌측 L자형 절입 CT22에 의해 끼움편(550)과의 경계의 천정면 선단 둘레부 절괘선 BL24보다 전방으로 돌출하는 천정면 커버(540)의 일부가,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의 기립 시에 슬릿 내의 좌측 사이드 플랩(530)과 맞닿아 슬릿 록형 걸림 구조 LK에 의한 걸림을 해제 가능한 록 해제 돌출편(545)을 형성하고 있는 것에 의해, 끼움편(550)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이 형성된 측의 좌측 슬릿 SL22에서의 끼움편(550)과 좌측 사이드 플랩(530)과의 걸림인 슬릿 록형 걸림 구조 LK에 의한 걸림을 확실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절취 유도선(543)이, 개폐 커버가 되는 천정면 커버(540)의 좌측 플랩 대향 둘레부(541) 및 선단 둘레부(542)와 직교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절취 유도선(543)을 따라 원활하게 절취하면서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취 유도선(543)이, 천정면 커버(540)의 선단 둘레부(542)와 좌측 플랩 대향 둘레부(541)와의 교차점 CP를 중심으로 한 정원의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절취 유도선(543)을 따라 더 한층 원활하게 절취하면서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 벽판 부재(511)의 상단부에 형성된 절결부(511a)가, 천정면 커버(540)의 선단 둘레부(542)의 절취 유도선(543)과 대향해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끼움편(550)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슬릿 록 해제 파지편(544)이 형성된 측의 슬릿 록형 걸림 구조 LK에 의한 걸림을 더 한층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동시에, 이 부분에 생기기 쉬운 파손을 억제하고 좌측 슬릿 SL22에서의 끼움편(550)과 좌측 사이드 플랩(530)과의 슬릿 록형 걸림 구조 LK에 의한 걸림을 더욱 확실하게 해제할 수 있는 등, 그 효과는 매우 크다.
[실시예 6]
이어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인 포장 상자(600)에 대하여, 도 25a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25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포장 상자(600)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제6 실시예의 포장 상자(600)는, 제5 실시예의 포장 상자(500)의 개폐 커버가 되는 천정면 커버(540)에서의 좌측 플랩 대향 둘레부(541)의 절취 유도선(543)의 개소에 플랩 대향 둘레부 절결(646)을 형성한 것이며, 많은 요소가 제5 실시예의 포장 상자(500)와 공통되므로, 공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아래 2자리수가 공통되는 600번대의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인 포장 상자(600)에서는, 도 2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커버가 되는 천정면 커버(640)에서의 좌측 플랩 대향 둘레부(641)의 절취 유도선(643)의 개소에 플랩 대향 둘레부 절결(646)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플랩 대향 둘레부 절결(646)이 표식이 된다.
그 결과, 절취 유도선(643)의 절취 개시 위치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손끝이 플랩 대향 둘레부 절결(646)에 걸리기 쉬워, 손끝을 천정면 커버(640)의 일부인 슬릿 록 해제 파지편(644)이 되는 개소와 좌측 사이드 플랩(630)의 사이에 넣기 쉬워진다.
그 결과, 절취 유도선(643)을 따라 용이하게 절취하여 슬릿 록 해제 파지편(644)을 기립시킬 수 있는 등, 그 효과는 매우 크다.
[실시예 7]
이어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인 포장 상자(700)에 대하여, 도 25b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25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포장 상자(700)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제7 실시예의 포장 상자(700)는, 제5 실시예의 포장 상자(500)의 개폐 커버가 되는 천정면 커버(540)의 좌측 플랩 대향 둘레부(541)에 있어서 절취 유도선(543)보다 전방의 개소에 플랩 대향 둘레부 돌출편(747)을 형성한 것이며, 많은 요소가 제5 실시예의 포장 상자(500)와 공통되므로, 공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아래 2자리수가 공통되는 700번대의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인 포장 상자(700)에서는, 도 2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커버가 되는 천정면 커버(740)의 좌측 플랩 대향 둘레부(741)에서의 절취 유도선(743)을 경계로 하여 절취 유도선(743)보다 전방의 개소에 플랩 대향 둘레부 돌출편(747)이 형성되어 있다.
플랩 대향 둘레부 돌출편(747)은, 좌우 방향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로써, 플랩 대향 둘레부 돌출편(747)이 표식이 된다.
그 결과, 절취 유도선(743)의 절취 개시 위치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손끝이 플랩 대향 둘레부 돌출편(747)에 걸리기 쉬워, 손끝을 천정면 커버(740)의 일부인 플랩 대향 둘레부 돌출편(747)과 좌측 사이드 플랩(730)의 사이에 넣기 쉬워진다.
그 결과, 절취 유도선(743)을 따라 용이하게 절취하여 슬릿 록 해제 파지편(744)을 기립시킬 수 있는 등, 그 효과는 매우 크다.
그리고, 플랩 대향 둘레부 돌출편(747)을, 좌측 벽판 부재(714)의 면보다 약간 돌출시키면, 보다 효과적이다.
[실시예 8]
이어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인 포장 상자(800)에 대하여, 도 2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2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포장 상자 상부의 전개도이다.
제8 실시예의 포장 상자(800)는, 제5 실시예의 포장 상자(500)를 육각 기둥형으로 형성한 것이며, 많은 요소가 제5 실시예의 포장 상자(500)와 공통되므로, 공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아래 2자리수가 공통되는 800번대의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인 육각 기둥형의 포장 상자(800)에서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 벽판 부재(811), 후 벽판 부재(812), 우측 벽판 부재(813a), 우측 벽판 부재(813b), 좌측 벽판 부재(814a), 좌측 벽판 부재(814b), 측벽 풀칠부(81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육각 기둥형의 포장 상자(800)는, 삼각기둥형의 팬시 박스나 평면에서 볼 때 단면이 마름모형인 사각기둥형의 팬시 박스를 조밀하게 수납 가능하다.
이 중, 측벽 풀칠부(815)는, 전 벽판 부재(811)의 내측면에, 일례로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또한, 개폐 커버가 되는 천정면 커버(840)에는, 2개의 끼움편(850a, 850b)이 연결되어 있다.
한쪽 끼움편(850b)이, 우측 벽판 부재(813a)의 상단부와 연결된 우측 사이드 플랩(820)의 우측 슬릿 걸림편(821)에 의해 슬릿 록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쪽 끼움편(850a)이, 좌측 벽판 부재(814a)의 상단부와 연결된 좌측 사이드 플랩(830)의 좌측 슬릿 걸림편(831)에 의해 슬릿 록된다.
또한, 끼움편(850a, 850b)이, 전 벽판 부재(811)의 상단부와 연결된 전방 플랩(860)의 일부에 의해 슬릿 록된다.
절취 유도선(843a, 843b)은, 2개 설치되고, 한쪽 절취 유도선(843a)은, 좌측 플랩 대향 둘레부(841a)로부터 좌측의 끼움편 둘레부(842a)까지 연장되고, 다른 쪽 절취 유도선(843b)은, 우측 플랩 대향 둘레부(841b)로부터 우측의 끼움편 둘레부(842b)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개폐 커버가 되는 천정면 커버(840)의 일부를 절취 유도선(843a, 843b)을 손의 인장력에 의해 절취하여, 슬릿 록 해제 파지편(844a, 844b)을 형성한다.
이렇게 되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슬릿에서의 끼움편(850a, 850b)과 좌측 사이드 플랩(830) 또는 우측 사이드 플랩(820)과의 걸림인 슬릿 록형 걸림 구조 LK에 의한 걸림을 해제할 수 있는 등, 그 효과는 매우 크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특히, 화장품류, 약품류, 식품류, 완구류 등의 상품 자체 또는 상품을 수용하여 매장 등의 판매장에서 진열되는 예쁘게 꾸민 팬시 박스를 판매장까지 이송할 때 흠집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품 자체 또는 상품을 수용한 팬시 박스를 포장하는 포장 상자에 관한 것이다.
100, 200, 300, 400: 포장 상자
110, 210, 310, 410: 상자체
111, 211A, 311A, 411A: 개폐 커버
211B, 311B, 411B: (다른 쪽) 개폐 커버
111a, 211Aa, 311Aa, 411Aa: 기단부
211Ba, 311Ba, 411Ba: (다른 쪽) 기단부
111b, 211Ab, 311Ab: 우측 플랩 대향 둘레부
411Ab: 좌측 플랩 대향 둘레부
211Bb, 311Bb, 411Bb: (다른 쪽) 플랩 대향 둘레부
111c, 211Ac, 311Ac, 411Ac: 선단 둘레부
211Bc, 311Bc, 411Bc: (다른 쪽) 선단 둘레부
111d, 211Ad, 311Ad, 411Ad: 절취 유도선
211Bd, 311Bd, 411Bd: (다른 쪽) 절취 유도선
111e, 211Ae, 311Ae, 411Ae: 슬릿 록 해제 파지편
211Be, 311Be, 411Be: (다른 쪽) 슬릿 록 해제 파지편
111f, 211Af, 311Af, 411Af: 록 해제 돌출편
211Bf, 311Bf, 411Bf: (다른 쪽) 록 해제 돌출편
112: 후 벽판 부재
412: 사각형상 판 부재
113: 좌측 벽판 부재(커버 측방 부재)
114, 414: 전 벽판 부재
115, 215, 315: 우측 벽판 부재(커버 측방 부재)
116: 우측 사이드 후측 풀칠부
216, 316: 풀칠부
416A: 삼각형 풀칠부
416B: 사각형 풀칠부
317: 후방 좌측 곡면
318: 후방 우측 곡면
419: 뒤쪽 우측 판 부재
120, 220A, 320A, 420A: 끼움편
220B, 320B, 420B: (다른 쪽) 끼움편
130, 230A, 330A, 430A: 좌측 사이드 플랩
230B, 330B, 430B: (다른 쪽) 좌측 사이드 플랩
131: 좌측 슬릿 걸림편
140, 240A, 340A, 440A: 우측 사이드 플랩
240B, 340B, 440B: (다른 쪽) 우측 사이드 플랩
141: 우측 슬릿 걸림편
142: 가고정 풀칠부
BL: 절곡선
BL1: 개폐 기단부 절괘선(절곡선)
BL2: 개폐 선단 둘레부 절괘선(절곡선)
BL3: 좌측벽 상단부 절괘선(절곡선)
BL4: 우측벽 상단부 절괘선(절곡선)
BL5: 후벽 좌단부 절괘선(절곡선)
BL6: 좌측벽 전단부 절괘선(절곡선)
BL7: 전벽 우단부 절괘선(절곡선)
BL8: 우측벽 후단부 절괘선(절곡선)
CP: (선단 둘레부와 플랩 대향 둘레부와의) 교차점
CT1: 좌측 L자형 절입
CT2: 우측 L자형 절입
d1: 사이드 플랩의 두께
EE: 상품 출입구
LK: 슬릿 록형 걸림 구조
SL1: 좌측 슬릿
SL2: 우측 슬릿
500, 600, 700, 800: 포장 상자
510, 610, 710, 810: 상자체
511, 611, 711, 811: 전 벽판 부재
511a, 611a, 711a: 절결부
512, 812: 후 벽판 부재
513, 813a: 우측 벽판 부재(측벽판 부재)
813b: 우측 벽판 부재(측벽판 부재)
514, 614, 714, 814a: 좌측 벽판 부재(측벽판 부재)
814b: 좌측 벽판 부재(측벽판 부재)
515: 후벽 풀칠부
815: 측벽 풀칠부
516: 앞쪽 바닥판 부재(바닥판 부재)
516a: 앞쪽 바닥 베이스
516b: 앞쪽 바닥 풀칠부
516c: 앞쪽 바닥 설편
517: 뒤쪽 바닥판 부재(바닥판 부재)
517a: 뒤쪽 바닥 베이스
517b: 후방측 바닥 풀칠부
517c: 뒤쪽 바닥 설편
518: 우측 바닥판 부재(바닥판 부재)
519: 좌측 바닥판 부재(바닥판 부재)
520, 820: 우측 사이드 플랩
521, 821: 우측 슬릿 걸림편
530, 630, 730, 830: 좌측 사이드 플랩
531, 831: 좌측 슬릿 걸림편
540, 640, 740, 840: 천정면 커버(개폐 커버)
541, 641, 741, 841a: 좌측 플랩 대향 둘레부
841b: 우측 플랩 대향 둘레부
542, 642, 742, 842a: 선단 둘레부(좌측의 끼움편 둘레부)
842b: 선단 둘레부(우측의 끼움편 둘레부)
543, 643, 743, 843a: 절취 유도선
843b: 절취 유도선
544, 644, 744, 844a: 슬릿 록 해제 파지편
844b: 슬릿 록 해제 파지편
545, 645, 746: 록 해제 돌출편
646: 플랩 대향 둘레부 절결
747: 플랩 대향 둘레부 돌출편
550, 650, 750, 850a: 끼움편
850b: 끼움편
860: 전방 플랩
BL11: 전벽 우단부 절괘선(절곡선)
BL12: 후벽 우단부 절괘선(절곡선)
BL13: 전벽 좌단부 절괘선(절곡선)
BL14: 후벽 좌단부 절괘선(절곡선)
BL15: 전벽 하단부 절괘선(절곡선)
BL16: 앞쪽 바닥 절괘선(절곡선)
BL17: 후벽 하단부 절괘선(절곡선)
BL18: 뒤쪽 바닥 절괘선(절곡선)
BL19: 우측벽 하단부 절괘선(절곡선)
BL20: 좌측벽 하단부 절괘선(절곡선)
BL21: 우측벽 상단부 절괘선(절곡선)
BL22: 좌측벽 상단부 절괘선(절곡선)
BL23: 후벽 상단부 절괘선(절곡선)
BL24: 천정면 선단 둘레부 절괘선(절곡선)
CP: (선단 둘레부와 플랩 대향 둘레부와의) 교차점
CT11: 우측 L자형 절입
CT22: 좌측 L자형 절입
d1: 사이드 플랩의 두께
LK: 슬릿 록형 걸림 구조
SL11: 우측 슬릿
SL22: 좌측 슬릿

Claims (7)

  1. 전(前)벽판 부재와 후(後)벽판 부재와 복수의 측벽판 부재와 바닥판 부재로 구성되어 상품을 수용하는 상자체와; 상기 측벽판 부재의 상단부(上端部)에서 서로 절곡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품의 비어져 나옴을 저지하는 사이드 플랩(side flap)과; 상기 후벽판 부재의 상단부에서 서로 절곡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상자체의 상단부를 개폐 가능하게 봉지(封止)하는 천정면 커버와; 상기 천정면 커버의 선단(先端) 둘레부에서 서로 절곡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상자체 내에 끼워넣어져 상기 천정면 커버를 유지하는 끼움편;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편의 연결 기단부(基端部)를 절곡선을 따라 일부 절입된 슬릿(slit) 내에 상기 사이드 플랩의 일부인 슬릿 걸림편을 걸리게 하여 상기 천정면 커버를 닫은 상태를 유지하는 슬릿 록(lock)형 걸림 구조를 형성하는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천정면 커버의 사이드 플랩 대향 둘레부로부터 상기 선단 둘레부까지 연장된 절취 유도선을 따라 절취 가능한 상기 천정면 커버의 일부가, 상기 절취 유도선을 따라 사람의 손에 의해 절취되면서 파지(把持)되고 상기 천정면 커버로부터 기립하여 슬릿 록형 걸림 구조에 의한 걸림을 해제 가능한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을 형성하고,
    상기 사람의 손에 의한 위쪽 및 전방을 향한 인장력에 의해, 상기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이, 상기 기립하고, 상기 사람의 손에 의한 전방을 향한 인장력에 의해, 상기 끼움편도 전방으로 인장되고, 상기 끼움편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에서 상기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이 형성된 측의 상기 슬릿이, 상기 사이드 플랩의 슬릿 걸림편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대적으로 볼 때 상기 슬릿 걸림편이, 상기 슬릿으로부터 뽑히며,
    상기 끼움편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상기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이 형성된 측의 슬릿에서의 상기 끼움편과 상기 사이드 플랩의 걸림인 슬릿 록형 걸림 구조에 의한 걸림을 해제하는,
    포장 상자.
  2. 전벽판 부재와 후벽판 부재와 복수의 측벽판 부재와 바닥판 부재로 구성되어 상품을 수용하는 상자체와; 상기 측벽판 부재의 상단부에서 서로 절곡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품의 비어져 나옴을 저지하는 사이드 플랩과; 상기 후벽판 부재의 상단부에서 서로 절곡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상자체의 상단부를 개폐 가능하게 봉지하는 천정면 커버와; 상기 천정면 커버의 선단 둘레부에서 서로 절곡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상자체 내에 끼워넣어져 상기 천정면 커버를 유지하는 끼움편;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편의 연결 기단부를 절곡선을 따라 일부 절입된 슬릿 내에 상기 사이드 플랩의 일부인 슬릿 걸림편을 걸리게 하여 상기 천정면 커버를 닫은 상태를 유지하는 슬릿 록형 걸림 구조를 형성하는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천정면 커버의 사이드 플랩 대향 둘레부로부터 선단 둘레부까지 연장된 절취 유도선을 따라 절취 가능한 상기 천정면 커버의 일부가, 상기 절취 유도선을 따라 사람의 손에 의해 절취되면서 파지되고 상기 천정면 커버로부터 기립하여 슬릿 록형 걸림 구조에 의한 걸림을 해제 가능한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을 형성하고,
    상기 슬릿이, 상기 끼움편과 상기 천정면 커버와의 경계가 되는 절곡선의 기점(起点)으로부터 상기 끼움편을 향해 상기 사이드 플랩의 두께 분을 절입한 후에 상기 끼움편의 측단 측을 향하여 절입된 L자형 절입과, 상기 끼움편의 상기 천정면 커버에 대한 절곡 상태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천정면 커버에 대한 상기 끼움편의 절곡 상태에서 상기 L자형 절입에 의해 상기 끼움편과의 경계의 절곡선보다 전방으로 돌출하는 상기 천정면 커버의 일부가, 상기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의 기립 시에 상기 슬릿 내의 상기 사이드 플랩과 맞닿아서 상기 슬릿 록형 걸림 구조에 의한 걸림을 해제 가능한 록 해제 돌출편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끼움편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상기 슬릿 록 해제 파지편이 형성된 측의 슬릿에서의 상기 끼움편과 상기 사이드 플랩의 걸림인 슬릿 록형 걸림 구조에 의한 걸림을 해제하는,
    포장 상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 유도선이, 상기 천정면 커버의 사이드 플랩 대향 둘레부 및 선단 둘레부와 직교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포장 상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 유도선이, 상기 천정면 커버의 선단 둘레부와 사이드 플랩 대향 둘레부와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한 정원(正圓)의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포장 상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벽판 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된 절결부(切缺部)가, 상기 천정면 커버의 선단 둘레부의 절취 유도선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포장 상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벽판 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된 절결부가, 상기 천정면 커버의 선단 둘레부의 절취 유도선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포장 상자.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벽판 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된 절결부가, 상기 천정면 커버의 선단 둘레부의 절취 유도선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포장 상자.
KR1020167029302A 2014-04-30 2015-04-28 포장 상자 KR101809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93636 2014-04-30
JP2014093636A JP5646098B1 (ja) 2014-04-30 2014-04-30 包装箱
JP2014129844A JP6311984B2 (ja) 2014-06-25 2014-06-25 包装箱
JPJP-P-2014-129844 2014-06-25
PCT/JP2015/062885 WO2015166964A1 (ja) 2014-04-30 2015-04-28 包装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537A KR20160148537A (ko) 2016-12-26
KR101809579B1 true KR101809579B1 (ko) 2017-12-15

Family

ID=54358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302A KR101809579B1 (ko) 2014-04-30 2015-04-28 포장 상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308392B2 (ko)
EP (1) EP3138783B1 (ko)
KR (1) KR101809579B1 (ko)
CN (1) CN106458360B (ko)
TW (1) TWI510412B (ko)
WO (1) WO20151669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205243D0 (en) 2012-03-26 2012-05-09 Kraft Foods R & D Inc Packaging and method of opening
GB2511559B (en) 2013-03-07 2018-11-14 Mondelez Uk R&D Ltd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GB2511560B (en) 2013-03-07 2018-11-14 Mondelez Uk R&D Ltd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US10603862B2 (en) * 2017-08-25 2020-03-31 Dome Zero Inc Box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USD896628S1 (en) * 2018-03-20 2020-09-22 Oldboy Longboards, LLC Pyramid skate bearings box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8819A (ja) 2012-12-04 2014-06-12 Okahashi Kk 包装箱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89659A (en) * 1930-11-22 1935-02-05 Adsit Carton
US2116652A (en) * 1935-10-05 1938-05-10 Adler Leon Package
US2313987A (en) 1941-06-12 1943-03-16 Sutherland Paper Co Dispensing carton
US2986323A (en) 1959-12-30 1961-05-30 American Can Co Carton
JPS5333716Y2 (ko) * 1972-04-03 1978-08-19
JPS599359B2 (ja) 1976-09-07 1984-03-01 日本電気株式会社 シリアルプリンタのリボンチエンジ機構
US4802590A (en) * 1987-10-26 1989-02-07 Smith Barry W Milk carton with folded spout
IT1223178B (it) * 1987-11-27 1990-09-19 Duca Carmelo Lo Struttura di scatola con aumentata resistenza all'apertura del fondo
IT1248520B (it) * 1991-06-21 1995-01-19 Abar Service Srl Scatola con sigillo rompibile all'apertura della scatola stessa
US5082117A (en) * 1991-07-08 1992-01-21 Paperboard Industries Corporation Carton having a pour spout
NL9401637A (nl) * 1994-10-05 1996-05-01 Crystal Bv Doosvormige verpakking met afsluitbare strooiopening.
JP3621206B2 (ja) 1996-08-30 2005-02-16 株式会社コーセー 吊下げ用包装箱
JP2001301741A (ja) 2000-04-18 2001-10-31 Kose Corp 物品収納用箱
JP2002019766A (ja) 2000-07-10 2002-01-23 Rengo Co Ltd 紙 箱
FR2811965B1 (fr) * 2000-07-20 2003-01-10 Oreal Boite en carton ou amteriau analogue, a dispositif de fermeture ameliore
ITMI20032347A1 (it) * 2003-12-01 2005-06-02 Gi Bi Effe Srl Scatola con coperchio antimanomissione.
DE102004034875A1 (de) * 2004-07-19 2006-03-16 Siemens Ag Vorrichtung zum Lokalisieren einer Radelektronik in einem Kraftfahrzeug
ITMI20042387A1 (it) * 2004-12-15 2005-03-15 Gi Bi Effe Srl Scatola con fondo resistente all'apertura ed avente sue porzioni rompibili per impedire che esso venga chiuso nuovamente dopo la sua prima apertura
CN2771112Y (zh) 2005-01-26 2006-04-12 北京市农林科学院 一种包装盒
JP4965134B2 (ja) 2006-02-10 2012-07-04 株式会社コーセー 陳列用パッケージ
ITMI20060304A1 (it) 2006-02-20 2007-08-21 Gi Bi Effe Srl Scatola con migliorata resistenza all'apertura dekl suo pannello di chiusura
JP2007253966A (ja) 2006-03-22 2007-10-04 Kyocera Mita Corp 包装ケース
CN201102725Y (zh) 2007-07-31 2008-08-20 安徽高炉酒厂 酒瓶包装盒
FR2930236B1 (fr) 2008-04-21 2010-05-28 Packetis Etui de conditionnement comportant des moyens temoin d'inviolabilite
JP5727876B2 (ja) * 2011-06-17 2015-06-03 花王株式会社 封緘箱
CN202508375U (zh) 2012-03-31 2012-10-31 中山中荣纸类印刷制品有限公司 一种食品包装盒
JP5944737B2 (ja) 2012-04-28 2016-07-05 花王株式会社 包装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8819A (ja) 2012-12-04 2014-06-12 Okahashi Kk 包装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05070A1 (en) 2018-10-25
EP3138783A1 (en) 2017-03-08
US10308392B2 (en) 2019-06-04
EP3138783B1 (en) 2020-04-01
US20170043901A1 (en) 2017-02-16
EP3138783A4 (en) 2018-01-03
WO2015166964A1 (ja) 2015-11-05
TWI510412B (zh) 2015-12-01
KR20160148537A (ko) 2016-12-26
CN106458360B (zh) 2017-11-03
TW201536640A (zh) 2015-10-01
CN106458360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579B1 (ko) 포장 상자
US2141752A (en) Transparent container
JP3174661U (ja) 物品を包装するためのカートンおよびブランク
TWI693185B (zh) 包裝箱以及貨品分裝箱
CN107709182A (zh) 纸板箱和纸板箱坯件
US20080128480A1 (en) Thumb-actuated candy or mint box
MX2013008843A (es) Caja de carton y plantilla para caja de carton.
JP5642413B2 (ja) 緩衝機能付包装用箱
JP5928889B2 (ja) 包装用箱
EP2571789A1 (en) Folded pack for holding thin elongate products
JP6311984B2 (ja) 包装箱
JP5088693B2 (ja) 缶類用ホルダー
JP5646098B1 (ja) 包装箱
JP3171813U (ja) 矩形輸送ケース
JP6214169B2 (ja) 梱包箱及び梱包体
KR100731912B1 (ko) 원형컵용 카톤 블랭크
JP7244603B1 (ja) 開封済みチェック機能付き容器
JP6676444B2 (ja) 包装箱
JP5456813B2 (ja) 包装箱
JP4065309B1 (ja) ブリスターパッケージ
KR200496096Y1 (ko) 제과류 포장케이스
JP5626887B2 (ja) ジッパー付きカートン
JP4272252B1 (ja) ブリスターパッケージ
JP6991801B2 (ja) マルチパック包装体
JP2021008304A (ja) 改ざん防止機能付き包装用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