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912B1 - 원형컵용 카톤 블랭크 - Google Patents

원형컵용 카톤 블랭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912B1
KR100731912B1 KR1020050084119A KR20050084119A KR100731912B1 KR 100731912 B1 KR100731912 B1 KR 100731912B1 KR 1020050084119 A KR1020050084119 A KR 1020050084119A KR 20050084119 A KR20050084119 A KR 20050084119A KR 100731912 B1 KR100731912 B1 KR 100731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anel
carton
line
cup
fol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9388A (ko
Inventor
이성일
이잉호
정연주
Original Assignee
이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일 filed Critical 이성일
Priority to KR1020050084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1912B1/ko
Publication of KR20070029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1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 B65D77/04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the inn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tacks of articles; for special arrangements of groups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bags
    • B65D25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25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 B65D2577/2066Means on, or attached to, container flange facilitating opening, e.g. non-bonding region, cut-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4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 B65D2583/0472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characterised by the dispensing action
    • B65D2583/0477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characterised by the dispensing action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the same position during the dispensing of several successive articles or d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원형컵용 카톤 블랭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회용 종이컵이나 플라스틱 컵과 같은 원형컵을 포장된 상태로 하여 간단한 설치가 가능하면서, 또한 사용시 낱개씩 인출이 용이할 뿐 아니라 사용한 컵의 수거도 동시에 가능하도록 한 원형컵용 카톤을 제공하기 위한 카톤 블랭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는선에 의해 연속적으로 서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측면패널과, 상기 측면패널의 상하부측에 구비되어 개봉가능한 구조를 형성하는 메이저 및 마이너 플랩을 포함하는 원형컵용 카톤 블랭크에 있어서, 상기 각 측면패널의 길이방향으로의 일측 단부에서 소정간격(h)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사각형상으로, 상기 일측 단부측에는 상기 각 측면패널과 힌지가능하도록 상기 일측 단부와 평행한 접는선이 형성되고, 상기 접는선이외의 나머지 부분에는 각 측면패널에서 분리가능한 절취선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각 측면패널의 타측 단부측의 절취선은 상기 원형컵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며, 상기 각 측면패널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접는선과의 사이에는 상기 각 측면패널에서 분리가능한 절취선이 상기 각 측면패널 전체에 걸쳐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기 측면패널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일측 메이저 플랩에는 상기 메이저 플랩에서 분리가능한 소정형상의 절취선이 접는선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일측의 메이저 플랩을 제외한 나머지 플랩은 해당 측면패널과 분리가능하도록 절취선이 형성되며, 타측의 메이저 플랩에는 측면패널의 폭에 상당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카톤, 블랭크, 패널, 플랩, 원형컵, 인출, 수거

Description

원형컵용 카톤 블랭크{Carton blank}
도 1은 일반적인 원형컵용 카톤 블랭크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컵용 카톤 블랭크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원형컵용 카톤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카톤의 사시도
도 4는 카톤 사용을 위한 전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카톤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카톤 블랭크 12, 14, 16, 18....측면 패널
20....카톤 30, 30'....원형컵
22, 24, 32, 34....메이저 플랩
26, 28, 36, 38....마이너 플랩
42, 44, 56....접는선 46, 48, 54, 58, 62....절취선
52....노치
본원 발명은 원형컵용 카톤 블랭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회 용 종이컵이나 플라스틱 컵과 같은 원형컵을 포장된 상태로 하여 간단한 설치가 가능하면서, 또한 사용시 낱개씩 인출이 용이할 뿐 아니라 사용한 컵의 수거도 동시에 가능하도록 한 원형컵용 카톤을 제공하기 위한 카톤 블랭크에 관한 것이다.
통상 판지와 같이 유연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카톤(carton)은 음료수 캔이나 종이컵과 같은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체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이와 같은 카톤을 만들기 위한 카톤 블랭크를 나타낸 평면도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톤 블랭크(10, carton blank)는 종이컵이나 플라스틱컵과 같은 원형컵을 수납하기 위한 사각 기둥 형태의 카톤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완성시 카톤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12, 14, 16, 18)이 접는선(42)에 의해 연속적으로 서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패널의 상부 및 하부측에는 역시 접는선(43)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이저 플랩(22, 24, 32, 34) 및 마이너 플랩(26, 28, 36, 38)이 각각 구비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카톤 블랭크(10)의 경우 상기 메이저 플랩(22, 24, 32, 34) 및 마이너 플랩(26, 28, 36, 38)의 상호 절첩을 통하여 상하부면을 개봉가능한 구조로 형성하게 되며 그 형상 및 상호 절첩 방식은 현재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며, 상기 도 1에 개시된 카톤 블랭크는 그 중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카톤 블랭크의 경우 단지 적층된 원형컵을 수납하는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을 가질 수가 없는 단순한 형태의 카톤만 구현되기 때문에 편의성, 예를 들면 원형컵을 낱개로 인출하거나 사용한 원형컵을 다시 회수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원천적으로 부여할 수가 없게 되어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단순히 원형컵을 수납하는 기능에서 나아가 사용시 원형컵을 낱개로 인출하거나 사용 후 다시 회수하여 일시에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형컵용 카톤 블랭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접는선에 의해 연속적으로 서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측면패널과, 상기 측면패널의 상하부측에 구비되어 개봉가능한 구조를 형성하는 메이저 및 마이너 플랩을 포함하는 원형컵용 카톤 블랭크에 있어서, 상기 각 측면패널의 길이방향으로의 일측 단부에서 소정간격(h)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사각형상으로, 상기 일측 단부측에는 상기 각 측면패널과 힌지가능하도록 상기 일측 단부와 평행한 접는선이 형성되고, 상기 접는선이외의 나머지 부분에는 각 측면패널에서 분리가능한 절취선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각 측면패널의 타측 단부측의 절취선은 상기 원형컵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며, 상기 각 측면패널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접는선과의 사이에는 상기 각 측면패널에서 분리가능한 절취선이 상기 각 측면패널 전체에 걸쳐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기 측면패널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일측 메이저 플랩에는 상기 메이저 플랩에서 분리가능한 소정형상의 절취선이 접는선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일측의 메이저 플랩을 제외한 나머지 플랩은 해당 측면패널과 분리가능하도록 절취선이 형성되며, 타측의 메이저 플랩에는 측면패널의 폭에 상당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각 측면패널 전체에 걸쳐 연속되게 형성되는 상기 절취선상의 상기 각 측면패널이 접하는 부분에는 노치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원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컵용 카톤 블랭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카톤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12, 14, 16, 18)이 접는선(42)에 의해 연속적으로 서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패널의 상부 및 하부측에 메이저 플랩(22, 24, 32, 34) 및 마이너 플랩(26, 28, 36, 38)이 구비되어 상하부면을 개봉가능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은 종래의 경우와 같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통상의 카툰 상하부면을 이루게 되는 메이저 플랩 및 마이너 플랩의 형상에 대해서는 도시된 형태의 것에만 한정하지 아니하고, 메이저 플랩 및 마이너 플랩이 구비된 것이라면 다양한 형태의 것에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카톤 블랭크(10)은 각 측면패널(12, 14, 16, 18)의 길이방향으로의 일측 단부에서 소정간격(h) 만큼 이격된 위치에 각 측면패널(12, 14, 16, 18)에 일측이 힌지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나머지는 각 측면패널(12, 14, 16, 18)에서 분리되어 떨어지도록 하는 사각형상의 스트립(76)이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각형상의 스트립(76)은 각 측면패널(12, 14, 16, 18)의 길이방향으로의 일측 단부측에는 상기 각 측면패널(12, 14, 16, 18)과 힌지가능하도록 상기 일측 단부와 평행한 접는선(44)이 형성되고, 상기 접는선(44)이외의 나머지 부분에는 각 측면패널(12, 14, 16, 18)에서 분리가능한 절취선(46)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각 측면패널(12, 14, 16, 18)의 타측 단부측의 절취선은 상기 원형컵의 곡률(여기서, 가상 원의 반지름: R)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된다.
여기서, 각 측면패널(12, 14, 16, 18)의 길이방향으로의 일측 단부측이라 함은 카톤을 기준으로 하부면, 즉 적층되어 수납되는 원형컵의 하부측을 말하며, 타측 단부측이라 함은 카톤을 기준으로 상부면, 즉 적층되어 수납되는 원형컵의 상부측을 각각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스트립(76)은 각 측면패널(12, 14, 16, 18)의 길이방향으로의 일측 단부측에서 소정간격(h) 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간격(h)은 최종 카톤으로 완성시에 카톤의 하부면에서 하부측으로 노출되는 원형컵의 종류, 예를 들면 종이컵 또는 플라스틱 컵의 높이에 따라 사용자가 파지하기에 적당할 정도가 될 수 있도록 선택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측면패널(12, 14, 16, 18)의 타측 단부측에 형성되는 절취선의 곡률은 카톤에 수납되는 원형컵의 종류, 예를 들면, 종이컵 또는 플라스틱 컵의 곡률에 맞도록 하여 선택되어지며, 이는 상기 절취선이 통상 원형컵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과 정확하게 대응되면서 원형컵 외부면과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카톤 블랭크(10)는 상기 각 측면패널(12, 14, 16, 18)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접는선(44)과의 사이에는 상기 각 측면패널(12, 14, 16, 18)에서 분리가능한 절취선(48)이 상기 각 측면패널(12, 14, 16, 18) 전체에 걸쳐 연속되게 형성된다.
상기 절취선(48)을 따라 각 측면패널(12, 14, 16, 18)은 상하 두 부분으로 분리가능해지는데, 이때 상기 절취선(48)의 형성위치는 수납되는 원형컵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접는선(44)의 위치와의 상호 관계를 설정한 다음, 상기 각 측면패널(12, 14, 16, 18)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접는선(44)과의 사이에서 결정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톤의 하부측으로 노출되는 원형컵을 파지하기에 가장 적당하도록 하여 선택되게 된다.
그리고 보다 용이한 분리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절취선(48)상에 상기 각 측면패널(12, 14, 16, 18)이 접하는 부분에는 노치(52)가 더 구비되도록 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노치(52)는 통상 칼로 살짝 흠집을 내거나 홈을 파내는 것과 같은 모든 형태의 것을 의미하며, 상기 노치(52)가 형성되는 부분은 카톤의 모서리 부분에 해당되므로 절취선(48)을 따라서 보다 잘 찢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카톤 블랭크(10)의 경우 상기 측면패널(12, 14, 16, 18)의 타측 단부, 즉 카톤 형성시 상부면을 형성하는 메이저 플랩(32, 34) 및 마이너 플랩(36, 38)이 구비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일측 메이저 플랩(34)에는 상기 메이저 플랩(34)에서 분리가능한 소정형상의 절취선(54)이 접는선(56)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정형상은 대략 스트립(72)과 같은 형상으로써 손으로 눌릴 경우 상기 절취선(54)을 따라 떨어지게 되며, 카톤 형성시 카톤을 부착대상물에 걸어두기 위한 걸림구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일측의 메이저 플랩(34)는 종래와 같이 접는선(43)이 형성되어 있어 해당 측면패널(16)과 힌지가능하게 결합되어지나, 상기 일측의 메이저 플랩(34)을 제외한 나머지 플랩(32, 36, 38)은 해당 측면패널(12, 14, 18)과 분리가능하도록 절취선(58)이 형성된다.
그리고, 타측의 메이저 플랩(32)에는 측면패널(12, 14, 16, 18)의 폭에 상당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절취선(6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타측의 메이저 플랩(32)에 형성된 각 절취선(58, 62)에 의해 분리되는 보조 패널(74)이 마련되며, 상기 보조 패널(74)은 카톤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전의 원형컵과 사용후의 원형컵을 구분하는 용도로 활용되게 된다.
이상에서 언급한 접는선(42, 43, 44, 56) 및 절취선(46, 48, 54, 58, 62)은 다양한 방법으로 하여 형성할 수가 있는데, 가령 새김눈을 더 깊게 형성하여 다른 영역보다 취약하게 하여 상기 접는선(42, 43, 44, 56)을 형성하거나, 구멍을 보다 촘촘히 새김으로써 취약하게 하여 상기 절취선(46, 48, 54, 58, 62)을 형성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접는선(42, 43, 44, 56)의 경우 접는선을 중심으로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며, 절취선(46, 48, 54, 58, 62)의 경우 약간의 외력으로 눌릴 경우 떨어 져 나갈 수 있을 정도로 연결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발명에서는 원형컵용 카톤을 구현할 수 있는 카톤 블랭크(10)를 제공할 수가 있으며, 상기 카톤 블랭크(10)는 판지와 같은 유연한 재료를 사용하여 별도의 제작장치를 통해 연속적으로 찍어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구매자는 상기 카톤 블랭크(10)를 구매한 다음, 이를 조립하여 카톤을 형성시키고 그 내부에 원형컵을 일체로 적층, 수납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카톤 블랭크(10)에 의해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완성된 카톤을 위주로 하여 이를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원형컵용 카톤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카톤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카톤 블랭크를 조립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카톤(20)이 완성되게 되는데, 이때 내부에는 원형컵이 일체로 적층되어 수납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로 구매한 사용자는, 각 측면패널(12, 14, 16, 18)의 하부측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스트립(76)을 살짝 눌리게 되면, 상기 스트립(76)의 절취선(46)이 각 측면패널(12, 14, 16, 18)에서 떨어지게 되면서 내측으로 눌려져 들어가게 되고, 노치(52) 주변을 엄지와 검지를 사용하여 하부측으로 당길 경우 절취선(48)에 의해 하부면이 떨어져 나가게 된다.
그리고, 카톤(2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메이저 플랩(32)을 개봉하여 당기게 되면 절취선(58)에 의해 측면패널(12)에서 떨어지게 되고, 연이어 절취선(62, 도 2 참조)에 의해 가장자리 부근을 떼어내면, 카톤(20)의 내부 크기에 상당한 보조 패널(74, 도 4 참조)이 형성되게 된다.
그 다음, 카톤(20)의 상부측의 메이저 플랩(34)에 형성된 소정형상, 예를 들면 스트립(72)을 힘으로 눌리게 되면 메이저 플랩(34)에서 떨어져 나가게 되어 부착대상물에 구비된 걸림못에다 걸어 둘 수 있는, 소위 걸림구 역할을 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은 작업이 완료되면, 카톤 사용을 위한 전단계를 나타낸 사시도인 도 4와 같은 상태와 같이 되는데, 상기 카톤(20)의 내부에 수납된 원형컵(3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카톤(20)의 하부면이 개방됨에 하부측으로 소정거리로 내려오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컵(30)의 상부에 형성된 통상의 걸림턱이 사각형상의 스트립(76, 도 3)의 단부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카톤(20)의 하부측으로 돌출된 원형컵(30)을 인출하게 되면 그 위의 원형컵의 걸림턱이 다시 상기 스트립(76)의 단부에 걸리게 되어 원형컵(30)을 낱개로 계속하여 인출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도 5는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보조 패널(74)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부면으로 투입을 한 후, 카톤(20)의 하부측으로 돌출된 원형컵(30)을 낱개로 인출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되는 만큼 적층된 원형컵(30)은 하부측으로 내려 오게 되고, 또한 사용한 원형컵(30')을 다시 개방된 카톤(20)의 상부면으로 투입하게 되면, 상기 사용한 원형컵(30')은 보조 패널(74)에 의해 사용하지 않은 원형컵(30)과 사용한 원형컵(30')으로 구획되게 된다.
만약 사용하지 않은 원형컵(30)을 모두 다 인출하게 된다면, 상기 보조 패널(74)이 최종 상기 스트립(76)의 단부에 걸리게 되고 그 위에 적층된 사용한 원형컵(30')만이 카톤(20)의 내부에 적층되어 수납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한 원형컵(30')을 별도의 분류작업 필요없이 그대로 카톤(20) 내부에 수거될 수가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통상의 원형컵에 형성된 걸림턱이 걸리도록 하는 상기 스트립(7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는선(44)에 의해 힌지가능하기 때문에 원형컵의 인출 때마다 반복적으로 걸림 역할을 수행할 수가 있으며, 또한 그 단부 역시 수납된 원형컵의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원형컵과의 접촉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므로 걸림턱에 걸리는 효과를 최대로 유지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각형상의 스트립(76, 도 3)이 떨어져 나가는 부분에 생기는 구멍으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카톤(2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트립(76)에 대응되는 별도의 종이 스티커(S)를 본 발명에 따른 카톤 블랭크의 일측에다 구비하도록 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단순히 원형컵을 수납하는 기능에서 나아가 사용시 원형컵을 낱개로 인출하거나 사용 후 다시 회수하여 일시에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형컵용 카톤 블랭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카톤의 단면형상을 단지 사각형으로 한정하여 설명을 하고 있으나 원형컵을 수납하기 위한 것이라면 다각형도 얼마든지 가능한 것으로써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 정도 변경은 상기와 같은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임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원 발명에 의하면, 해마다 엄청난 사용량을 나타내는 일회용 컵을 단순하게 수납하는 기능 이외에 낱개로 인출이 용이하면서 동시에 수거까지도 가능하도록 하는 카톤을 구현할 수 있는 카톤 블랭크를 대량으로 공급할 수가 있다.
즉, 일회용 컵이 적층되어진 포장상태에서 간편한 조작을 통해 그대로 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포장상태로 그대로 수거까지도 가능하므로 사용에 따른 편의성을 확보와 함께 무엇보다 주변환경을 청결히 유지할 수가 있다.
아울러 일회용 컵의 크기나 수량에 상관없이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펄프재질인 판지를 사용하므로 친환경 제품으로 이루어져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접는선에 의해 연속적으로 서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측면패널(12, 14, 16, 18)과, 상기 측면패널의 상하부측에 구비되어 개봉가능한 구조를 형성하는 메이저 및 마이너 플랩을 포함하는 원형컵용 카톤 블랭크에 있어서,
    상기 각 측면패널의 길이방향으로의 일측 단부에서 소정간격(h)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사각형상으로, 상기 일측 단부측에는 상기 각 측면패널과 힌지가능하도록 상기 일측 단부와 평행한 접는선(44)이 형성되고, 상기 접는선이외의 나머지 부분에는 각 측면패널에서 분리가능한 절취선(46)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각 측면패널의 타측 단부측의 절취선은 상기 원형컵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며,
    상기 각 측면패널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접는선(44)과의 사이에는 상기 각 측면패널에서 분리가능한 절취선(48)이 상기 각 측면패널 전체에 걸쳐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기 측면패널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일측 메이저 플랩(34)에는 상기 메이저 플랩에서 분리가능한 소정형상의 절취선(54)이 접는선(56)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일측의 메이저 플랩을 제외한 나머지 플랩(32, 36, 38)은 해당 측면패널과 분리가능하도록 절취선(58)이 형성되며, 타측의 메이저 플랩(32)에는 측면패널의 폭에 상당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절취선(6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컵용 카톤 블랭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면패널 전체에 걸쳐 연속되게 형성되는 상기 절취선(48)상의 상기 각 측면패널이 접하는 부분에는 노치(5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컵용 카톤 블랭크.
KR1020050084119A 2005-09-09 2005-09-09 원형컵용 카톤 블랭크 KR100731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119A KR100731912B1 (ko) 2005-09-09 2005-09-09 원형컵용 카톤 블랭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119A KR100731912B1 (ko) 2005-09-09 2005-09-09 원형컵용 카톤 블랭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388A KR20070029388A (ko) 2007-03-14
KR100731912B1 true KR100731912B1 (ko) 2007-06-27

Family

ID=38101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119A KR100731912B1 (ko) 2005-09-09 2005-09-09 원형컵용 카톤 블랭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19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692B1 (ko) 2012-08-16 2014-02-27 주식회사 픽시스 악세서리용 포장상자
KR20190064247A (ko) * 2017-11-30 2019-06-10 이정남 일회용 컵 수거를 위한 카톤 블랭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692B1 (ko) 2012-08-16 2014-02-27 주식회사 픽시스 악세서리용 포장상자
KR20190064247A (ko) * 2017-11-30 2019-06-10 이정남 일회용 컵 수거를 위한 카톤 블랭크
KR102090963B1 (ko) * 2017-11-30 2020-03-19 이정남 일회용 컵 수거를 위한 카톤 블랭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388A (ko) 200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9937C2 (ru) Пачка и коробка для кур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KR200492642Y1 (ko)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CA2497667C (en) Envelope container and dispenser
CN108349644A (zh) 用于消费品的包装
KR100731912B1 (ko) 원형컵용 카톤 블랭크
TW200938106A (en) Cigarette package
EP3484782B1 (en) Shelf-ready pack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610078B2 (en) Carton with article engagement features
JP6724048B2 (ja) 摺動部分を有する消費財のための容器
JP5474575B2 (ja) 包装容器
US7527183B2 (en) Cardboard tool for opening glass ampoules
JP6112998B2 (ja) 表示片付包装用箱
JP2006347589A (ja) 包装箱
EP1538109B1 (en) Box with removable strips for gripping the neck of glass vials
EP2019044A1 (en) Container for paper napkins and package of paper napkins comprising said container
KR200384754Y1 (ko) 원터치 개폐가 가능한 택배용 포장 박스
JP3381552B2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用ボックス、およびその折畳方法
JP3173291U (ja) キャリーケース
JP6693488B2 (ja) 包装箱
KR200454566Y1 (ko) 케이크 포장상자
JPH06255685A (ja) 包装用容器
JP2023082143A (ja) 不織布製の衛生ふきんのシート収納容器
JP3041848U (ja) 吊下片付き紙箱
JP3017684U (ja) Cd等又はfdを付録として収納する本の折丁
DK168154B1 (da) Emballageenhed med flere foldeæs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