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933B1 - 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 화합물 - Google Patents

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933B1
KR101808933B1 KR1020157033616A KR20157033616A KR101808933B1 KR 101808933 B1 KR101808933 B1 KR 101808933B1 KR 1020157033616 A KR1020157033616 A KR 1020157033616A KR 20157033616 A KR20157033616 A KR 20157033616A KR 101808933 B1 KR101808933 B1 KR 101808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ol
methyl
added
compound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110A (ko
Inventor
크리스토퍼 데이빗 비들
데이빗 앤드류 코티스
준리앙 하오
조셉 헤르만 크루쉰스키 주니어
매튜 로버트 라인하드
존 메너트 스카우스
크레이그 다니엘 울프앵겔
Original Assignee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60003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9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atoms,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 C07D2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atoms,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other than aralkyl radicals
    • C07D217/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atoms,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other than aralkyl 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2Non-condensed isoquinolines, e.g. papave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95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Epidemiology (AREA)
  • Other In-Based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 화합물, 특히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파킨슨병 또는 정신분열증과 연관된 인지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화학식 I>

Description

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 화합물 {3,4-DIHYDROISOQUINOLIN-2(1H)-YL COMPOUNDS}
본 발명은 특정 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 화합물, 그의 제약 조성물, 그의 사용 방법,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파킨슨병은 뇌에서의 도파민성 뉴런의 손실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진행성 신경변성 장애이다. 파킨슨병은 다른 운동 증상 (예를 들어 무운동증 및 운동완만) 및 비-운동 증상 (예를 들어 인지 장애, 수면 장애, 및 우울증)과 함께 안정시 진전으로 나타난다. 파킨슨병의 치료를 위한 현행 요법은 도파민 전구체, 예컨대 레보도파, 및 도파민 효능제, 예컨대 프라미펙솔을 포함한다. 이러한 직접 작용 도파민 요법은 부분적으로 고용량 연관 인지 장애, 발작 위험 (특정 D1 효능제에 대해 설치류에서 제시된 바와 같음), 및 내성 발생으로 인해 유효성이 제한된다. 파킨슨병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에 대한 상당한 미충족 필요가 남아있다.
알로스테릭 조절제는 리간드-결합 환경을 변형시킴으로써 리간드와 그의 수용체의 상호작용을 원격으로 변경하는 작용제이다. 이러한 유형의 조절의 예는 알로스테릭 (2차) 부위에의 조절제의 결합이 리간드의 오르토스테릭 (1차) 결합 부위에 전하는 수용체 단백질에서의 입체형태적 변화를 생성하는 경우이다. 알로스테릭 효과의 특성은 조절제가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강화시키는 경우에 양성인 것으로 지칭되거나, 또는 이것이 리간드와 오르토스테릭 결합 부위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는 경우에 음성인 것으로 지칭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도파민 1 수용체 (D1)의 양성 알로스테릭 조절제 (PAM)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D1이 역할하는 상태, 예컨대 파킨슨병 및 정신분열증의 치료, 예컨대 파킨슨병에서의 경도 인지 장애 뿐만 아니라 정신분열증에서의 인지 장애 및 음성 증상과 같은 연관된 증상의 완화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알츠하이머병의 증상, 예컨대 인지 장애를 치료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단독요법으로서 파킨슨병에서의 운동 증상을 개선시키는데 유용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화합물은 우울증 및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 (ADHD)를 치료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은, D1 수용체의 PAM이며 따라서 상기 논의된 장애의 치료에 유용한 특정 신규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은 이러한 장애의 대체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신규 화합물의 공결정질 형태를 추가로 제공한다.
유럽 특허 출원 공개 번호 EP 330360은 오피오이드 카파-수용체의 효능제로서의 및 진통제로서 유용한 특정 이소퀴놀린 화합물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번호 5236934는 안지오텐신 II 수용체의 억제제로서의 및 CNS 장애, 예컨대 인지 기능장애를 치료하는데 유용한 특정 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화합물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US 2006/0287359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및 에스트로겐 관련 질환, 예컨대 유방암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특정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화합물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15115057267-pct00001
상기 식에서,
n은 0, 1 또는 2이고;
R1은 할로겐이고;
R2는 할로겐, H, CN, C1 - C3 알콕시 또는 C1 - C3 알킬이고;
R3은 H, 할로겐, C1 - C3 알콕시 또는 C1 - C3 알킬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화학식 Ia>
Figure 112015115057267-pct00002
상기 식에서,
n은 0, 1 또는 2이고;
R1은 할로겐이고;
R2는 할로겐, H, CN, C1 - C3 알콕시 또는 C1 - C3 알킬이고;
R3은 H, 할로겐, C1 - C3 알콕시 또는 C1 - C3 알킬이다.
본 발명은
n이 0, 1 또는 2이고;
R1이 할로겐이고;
R2가 할로겐이고;
R3이 H 또는 C1 - C3 알콕시인
화학식 I 또는 Ia의 화합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n이 0, 1 또는 2이고;
R1이 Cl, F 또는 Br이고;
R2가 Cl, OCH3, H, F, CN 또는 CH3이고;
R3이 OCH3, H, CH2CH3, Cl, OCH(CH3)2, OCH2CH3, F, CH(CH3)2 또는 CH3
화학식 I 또는 Ia의 화합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n이 0 또는 2이고;
R1이 Cl이고;
R2가 Cl 또는 F이고;
R3이 H 또는 OCH3
화학식 I 또는 Ia의 화합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b의 화합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화학식 Ib>
Figure 112015115057267-pct00003
화학식 I의 특정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c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Ic>
Figure 112015115057267-pct00004
화학식 I의 특정한 화합물은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타논이다.
본 발명은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타논 및 4-히드록시벤조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타논 및 4-히드록시벤조산을 약 1 대 1의 비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타논 및 4-히드록시벤조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공결정질 형태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타논 및 4-히드록시벤조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안정한 공결정질 형태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0.2 도의 회절각에 대한 허용오차로 18.2°의 회절각 2-세타에서의 회절 피크를 16.0°, 25.4°, 및 7.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피크 중 1개 이상과 조합하여 갖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한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타논 및 4-히드록시벤조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공결정질 형태를 추가로 제공한다.
화학식 I의 특정한 화합물은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2-히드록시프로판-2-일)-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탄-1-온이다.
본 발명은 0.2 도의 회절각에 대한 허용오차로 14.27°의 회절각 2-세타에서의 회절 피크를 15.71°, 18.01°, 18.68°, 22.43°, 및 25.0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피크 중 1개 이상과 조합하여 갖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한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2-히드록시프로판-2-일)-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탄-1-온의 결정질 형태를 추가로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파킨슨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파킨슨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파킨슨병과 연관된 신경인지 장애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파킨슨병과 연관된 신경인지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정신분열증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신분열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알츠하이머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의약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파킨슨병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정신분열증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알츠하이머병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파킨슨병을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타논 및 4-히드록시벤조산,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파킨슨병 및 정신분열증을 비롯하여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유용한 질환 또는 상태의 치료/예방/억제 또는 개선에 사용되는 다른 약물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른 약물(들)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경로 및 양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이 1종 이상의 다른 약물과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에,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외에도 이러한 다른 약물을 함유하는 제약 단위 투여 형태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외에도 1종 이상의 다른 활성 성분을 또한 함유하는 것들을 포함한다. 개별적으로 또는 동일한 제약 조성물로 투여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과 조합될 수 있는 파킨슨병의 치료에 유효한 다른 활성 성분의 예는 하기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 도파민 전구체, 예컨대 레보도파; 멜레보도파, 및 에틸레보도파; 및
(b) 도파민 효능제, 예컨대 프라미펙솔, 로피니롤, 아포모르핀, 로티고틴, 브로모크립틴, 카베르골린, 및 페르골리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입체이성질체로서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모든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우세하게 1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이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우세하게 1종의 거울상이성질체이다.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에 의해 나타내어진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특정한 부분입체이성질체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Ia>
Figure 112015115057267-pct00005
상기 식에서, 파선형 결합
Figure 112015115057267-pct00006
및 쐐기형 결합
Figure 112015115057267-pct00007
은 트랜스 배위의 부분입체이성질체를 나타낸다.
실시예 1의 화합물: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타논을 비롯한 실시예에 의해 나타내어진 화학식 I 또는 Ia의 화합물의 특정한 거울상이성질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공결정"은 화합물의 회합이 주로 비-공유 및 비-이온성 화학적 상호작용, 예컨대 수소 결합을 통하는 2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다중 성분 결정질 고체 형태를 지칭한다. 제약 기술분야에서, 공결정은 전형적으로 활성 제약 성분인 제1 화합물, 및 게스트 화합물 또는 공형성제로서 지칭되는 제2 화합물을 포함한다. 공결정은 제1 화합물이 본질적으로 비하전 또는 중성으로 존재한다는 점에서 결정질 염 형태와 구별될 수 있다. 공결정은 게스트 화합물이 배타적으로 물 또는 용매가 아닌 점에서 결정질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 형태와 구별될 수 있다. 바람직한 공결정은 적합한 융점을 갖는 안정한 형태 중 하나이다.
본원에 사용된 기 "할로겐"은 클로로, 플루오로, 브로모 또는 아이오도를 지칭한다. 할로겐의 특정한 값은 클로로 및 플루오로이다.
본원에 사용된 기 "C1 - C3 알콕시"는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및 i-프로폭시를 지칭한다. C1 - C3 알콕시의 특정한 값은 메톡시이다.
본원에 사용된 기 "C1 - C3 알킬"은 메틸, 에틸, n-프로필 및 i-프로필을 지칭한다. C1 - C3 알킬의 특정한 값은 메틸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환자"는 동물, 예컨대 포유동물을 지칭하며, 인간을 포함한다. 인간은 바람직한 환자이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현재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써 파킨슨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따라서, 용어 "치료 " 및 "치료하는"은 존재하는 장애 및/또는 그의 증상의 진행을 저속화, 중단, 저지, 제어 또는 정지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나, 반드시 모든 증상의 총체적 제거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향후 증상이 일어날 위험성이 있는 환자에게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써 파킨슨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고, 이와 같은 예방적 치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본원에 기재된 파킨슨병과 같은 장애를 치료하는데 유효한 양, 즉 투여량을 지칭한다. 담당 진단자는, 통상의 기술자로서, 통상의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및 유사한 상황에서 얻어진 결과를 관찰함으로써 유효량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유효량 또는 용량을 결정함에 있어서, 투여될 화학식 I의 화합물; 사용되는 경우에, 다른 작용제의 공-투여; 포유동물의 종; 그의 크기, 연령, 및 전반적 건강; 장애, 예컨대 파킨슨병의 침범 정도 또는 중증도; 개별 환자의 반응; 투여 방식; 투여된 제제의 생체이용률 특성; 선택된 투여 요법; 다른 병용 의약의 사용; 및 다른 관련 환경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수의 요인이 고려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갖는 제약 조성물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제약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헌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D.B. Troy, Editor, 21st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6] 참조).
인간 D1 수용체 양성 알로스테릭 조절 검정
인간 D1 수용체를 안정하게 발현하는 HEK293 세포는 pBABE-블레오 벡터 및 포에닉스 레트로바이러스 시스템을 사용하여 레트로바이러스 유전자 전달을 통해 생성하였다. 세포를 10% 소 혈청, 20mM HEPES, 2mM 글루타메이트, 및 150μg/ml 제오신으로 보충된 DMEM/F12 (깁코(Gibco)) 중에서 37℃에서 5% CO2에서 성장시켰다. 대략 80% 전면생장률에서, FBS 플러스 8% DMSO 중에 현탁된 0.25% 트립신/EDTA를 사용하여 세포를 수거하고, 액체 질소 중에 저장하였다. 검정일에, 세포를 해동하고, STIM 완충제 (0.1% BSA, 20mM HEPES, 200μM IBMX, 및 100μM 아스코르브산으로 보충된 행크 평형 염 용액) 중에 재현탁시켰다. 시험 화합물을 DMSO 중에 연속적으로 (1:3) 희석하고, 이어서 도파민의 EC20 농도를 2X 함유하는 STIM 완충제 중에 추가로 1:40 희석하였다. 도파민의 EC20 농도는 도파민에 의해 유도될 수 있는 최대 양의 20% 이하로 시클릭 AMP를 증가시키는 농도로서 정의되고; 본 검정에서, ECmax는 5μM이고, EC20은 일반적으로 12nM이었다. 25 μl의 이 용액을 25μl의 세포 현탁액 (1,250개 세포)과 혼합하고, 96-웰 반-면적 플레이트의 각 웰에 분배하였으며; 최종 DMSO 농도는 1.25%였다. 플레이트를 25℃에서 6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cAMP 제조를 판매업체 지침서에 따라 HTRF 검출 (시스바이오(Cisbio)™)을 사용하여 정량화하였다: 항-cAMP 크립테이트 및 D2-접합체 (각각 25μl)를 함유하는 용해 완충제를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추가 60-9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엔비전(EnVision) 플레이트 판독기 (퍼킨엘머(PerkinElmer)™)를 사용하여 형광을 검출하였다. cAMP 표준 곡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cAMP 농도로 전환시키고, 4-파라미터 비선형 로지스틱 방정식 (에이베이스(Abase)™ v5.3.1.22)을 사용하여 절대 EC50으로서 분석하였다. 양성 알로스테릭 조절제에 대한 절대 EC50을 도파민 EC20 범위의 창을 기준으로 하여 절반-최대량의 cAMP를 생성하는 농도로서 계산하였으며, 이는 5μM 도파민의 첨가에 의해 정의된 ECmax 반응에 대한 최소 반응을 정의한다.
상기 검정에서, 본원에 예시된 화합물은 인간 D1 수용체에서 300 nM 미만의 절대 EC50을 입증하였다. 실시예 1의 화합물은 인간 D1 수용체에서 83.8 ± 4.4%의 최대 반응과 함께 3.66 ± 0.67 nM (SEM; n=9)의 절대 EC50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의 공결정은 인간 D1 수용체에서 1.11 ± 0.11 nM (SEM; n=2)의 절대 EC50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의 화합물은 인간 D1 수용체에서 91.3 ± 2.4%의 최대 반응과 함께 11.75 ± 1.27 nM (SEM; n=16)의 절대 EC50을 나타내었다. 이들 데이터는 화학식 I의 예시된 화합물이 인간 D1 수용체의 양성 알로스테릭 조절제인 것을 입증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항파킨슨 효과는 인간화 도파민 1 수용체 (D1) 녹-인 마우스에서의 기초 (습관화된) 운동 활성 및 레세르핀-유발 무운동증에 대한 효과를 비롯하여 운동 활성의 동물 모델과 같은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절차를 사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인간 D1 수용체 녹-인 마우스의 생성
뮤린 도파민 1 (D1) 수용체가 그의 인간 대응물에 의해 대체된 트랜스제닉 마우스를 표준 기술에 의해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 게놈 단편을 RP23 박테리아 인공 염색체 라이브러리로부터 서브클로닝하고, PGK-네오 표적화 벡터 내에 재클로닝하였다. 마우스 오픈 리딩 프레임을 엑손 2에서 인간 D1 수용체 오픈 리딩 프레임으로 대체하였다. 엑손 2의 상류의 네오 선택 마커를 이후에 제거하기 위해 frt 부위에 의해 플랭킹하였다. loxP 선택 부위에 의한 엑손 2의 플랭킹은 cre 뉴클레아제 유전자를 발현하는 마우스와 교배시킴으로써 D1 녹-아웃 마우스를 생성하는 옵션을 허용하였다.
C57BL/6 N 배아 줄기 세포 라인 B6-3을 20% 태아 소 혈청 및 2x106 단위/l 백혈병 억제 인자를 갖는 고-글루코스 DMEM 중에서 마우스 배아 섬유모세포의 유사분열적으로 불활성화된 피더 층 상에서 성장시켰다. 1000만개 배아 줄기 세포 플러스 30 마이크로그램의 선형화 벡터 DNA를 전기천공시키고, G418 선택 (200 마이크로그램/ml)에 적용하였다. 클론을 단리하고, 서던 블롯팅에 의해 분석하였다.
예상 크기 삽입물을 함유하는 클론을 배반포에 삽입하고, 생성된 마우스를 PCR에 의해 유전자형 분석하였다. 수컷 키메라를 Flp 뉴클레아제 유전자를 함유하는 암컷과 교배시켜 선택 마커를 제거하였다. 선택 마커 없이 인간 D1 수용체를 함유하는 자손을 PCR에 의해 확인하였다. 수컷 이형접합체를 암컷 C57BL/6 마우스와 교배시켰다. 인간 D1 수용체를 함유하는 수컷 및 암컷 자손을 교배시키고, 동형접합체를 PCR에 의해 확인하였다. 동형접합체의 행동 및 생식은 정상이었으며, 콜로니는 후속 세대를 위해 동형접합체 상태로 유지되었다.
기초 (습관화된) 운동 활성
운동 활성은 자동화 시스템을 사용하여 마우스에서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측정하였다. 인간 D1 수용체 녹-인 마우스를 챔버에 두고, 60분 동안 챔버에 습관화시켰다. 이 시간 동안, 이들은 시간에 걸쳐 감소된 이동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 이후에, 동물 움직임은 용량-의존성 방식으로 증가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행을 지칭하는 운동 활성 (수평 및 수직 활성)의 측정을 위한 적외선 빔을 갖는 직사각형 프레임 내에 운동 활성 박스를 위치시켰다. 운동 활성을 7:30 내지 15:00시의 시간 사이에 기록하였다.
마우스를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치료군에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각각의 마우스를 60분 습관화 동안 운동 활성 박스 중 1개에 개별적으로 두었다. 이어서, 마우스에 경구 투여하고, 보행의 총 수를 60분 기간에 걸쳐 각각의 마우스에 대해 10분당 기록하였다. 레세르핀 전처리를 한 마우스에서는, 이전의 습관화 기간을 포함하지 않았다. 따라서, 투여 후 즉시, 보행의 총 수를 60분 동안 측정하였다. 데이터를 추가의 분석을 위해 소프트웨어/컴퓨터에서 스프레드시트로 전환시켰다. 통계적 분석을 1원 ANOVA에 이어서 피셔 LSD 또는 던넷 시험을 사용한 사후 분석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기초 (습관화된) 운동 검정에서, 실시예 1, 2, 3, 4 및 13의 화합물은 용량 반응 방식으로 마우스에서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였다 (표 1 내지 5). 이는 실시예 1, 2, 3, 4 및 13의 화합물이 환경에 습관화된 동물의 운동 활성화에 효과적인 것을 입증하였다.
<표 1>
Figure 112015115057267-pct00008
<표 2>
Figure 112015115057267-pct00009
<표 3>
Figure 112015115057267-pct00010
<표 4>
Figure 112015115057267-pct00011
<표 5>
Figure 112015115057267-pct00012
레세르핀-유발 무운동증의 반전
레세르핀은 카테콜아민 고갈제이다 (도파민 및 노르에피네프린을 고갈시킴). 18-24시간 후, 레세르핀으로 처리된 마우스는 무운동성으로 되었으며, 운동 활성 수가 감소되었다. 레세르핀-유발 무운동증은 0.15, 0.3 mg/kg 또는 0.6 mg/kg 레세르핀을 피하 단일 투여한 지 대략 18-24시간 후 운동 활성에 대한 화합물의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사용된 장비는 표 6 및 7에서의 실시예 1의 평가에 대해 습관화된 운동 활성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이었다. 실시예 3의 화합물의 경우에 (표 8에 제시된 바와 같음), 에토비전(Ethovision) 8 비디오 추적 시스템을 사용하여 운동 활성을 측정하였다.
수컷 인간화 도파민 D1 수용체 녹-인 마우스를 치료군에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각각의 마우스를 운동 활성 박스 중 1개에 개별적으로 두었다. 각각의 마우스에 대해 10분당 보행을 투여 후 최대 60분 동안 측정하였다. 따라서, 레세르핀-유발 탐색적 행동에 대한 효과를 총 60분 동안 평가하였다. 데이터를 추가의 분석을 위해 소프트웨어/컴퓨터에서 스프레드시트로 전환시켰다. 통계적 분석을 1원 ANOVA에 이어서 t-검정을 사용한 사후 분석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검정에서, 실시예 1의 화합물은 레세르핀 처리의 효과를 반전시켰으며, 적외선 빔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용량 반응 방식으로 마우스에서의 움직임을 회복시켰다 (표 6 및 7). 이는 실시예 1의 화합물이 파킨슨병의 생체내 모델에 효과적인 것을 입증하였다.
<표 6>
Figure 112015115057267-pct00013
<표 7>
Figure 112015115057267-pct00014
상기 검정에서, 실시예 3의 화합물은 레세르핀 처리의 효과를 반전시켰으며, 비디오 추적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용량 반응 방식으로 마우스에서의 움직임을 회복시켰다 (표 8). 이는 실시예 3의 화합물이 파킨슨병의 생체내 모델에 효과적인 것을 입증하였다.
<표 8>
Figure 112015115057267-pct00015
전전두엽 피질에서의 아세틸콜린의 세포외 수준에 대한 효과
아세틸콜린 (Ach)은 보다 높은 인지 기능을 위한 주요 뇌 신경전달물질이다. 알츠하이머병에서, 콜린성 뉴런의 손실에 의한 해마와 같은 기억 기능에 중요한 피질 뇌 영역의 변성이 존재한다. 도네페질 (아리셉트(Aricept)®)은, 아세틸콜린의 뇌 수준을 상승시키며 증진된 인지의 임상 증거를 나타내는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억제제이다. 도파민 D1 효능제는 동물 모델에서 아세틸콜린 방출 및 인지 성능을 조절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인간화 도파민 D1 수용체 녹-인 (hD1KI) 마우스를 자유롭게 이동하는 해마에서 Ach의 세포외 수준을 증가시키는 화합물은 알츠하이머병과 연관된 인지 기능장애의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실험 절차
미세투석 프로브를 이소플루란 마취 하에 수컷 hD1 KI 마우스 (찰스 리버(Charles River), 영국)의 복측 해마 (HPC) 내에 정위적으로 이식하였다. 프로브 이식을 위한 브레그마로부터의 좌표는 하기이다: AP -3.1; LM +2.8; DV -4.5 mm.
다음 날, 프로브가 인공 CSF (NaCl (141 mM), KCl (5 mM), MgCl2 (0.8 mM) 및 CaCl2 (1.5 mM) 함유)에 의해 관류되도록 동물을 연결하였다. 90분 휴약 기간 후, 투석물 샘플을 20분 간격에서 수집하였다. 2시간 후, 동물에 비히클 (20% 히드록시프로필 베타시클로덱스트린) 또는 시험 화합물을 경구로 주사하고, 샘플을 추가의 3시간 동안 수집하였다. 모든 샘플을 드라이 아이스 상에 즉시 동결시키고, 신경전달물질 및 대사물의 범위에 대한 분석을 기다리는 동안 -80℃에서 저장하였다.
샘플 분석
각각의 투석 샘플 (29 μL)에 하기를 첨가하였다: 20μL 완충제 (1M 비스-트리스(Bis-Tris), pH10), 20 μL 혼합된 중수소화 표준물질 및 260μl 0.1% w/v 단실 클로라이드 (아세톤 중). 샘플을 볼텍싱하고, 65℃에서 30분 동안 가열하고, 이어서 N2 하에 건조시키고, 40μl 50:50 (v/v) ACN:물 (10 mM 포름산암모늄 및 0.06% 포름산 함유) 중에 재현탁시켰다. 이어서, 샘플을 13000 rpm에서 10분 동안 주위 온도에서 원심분리하고, 35 μl를 03-FIVR 바이알 내에 피펫팅하고; 10 μl를 CTC PAL HTC-xt 오토샘플러를 사용하여 LC-MS/MS 상에 주입하였다.
단실화 샘플 (약물 표준물질 포함)의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를 시마즈(Shimadzu) LC-20AD XR 이원 펌프 및 2.6 μm 페노메넥스 키네텍스(Phenomenex Kinetex), XB-C18 HPLC 칼럼을 사용한 구배 하에 수행하였다. 이동상 A는 아세토니트릴/물 5%:95% (v/v), 2 mM 포름산암모늄 및 0.06% 포름산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동상 B는 아세토니트릴/물 95%: 5% (v/v), 2 mM 포름산암모늄 및 0.06% 포름산으로 이루어졌다.
AB 사이엑스(Sciex) API5500은 2회 기간 (아세틸콜린 (Ach)의 검출을 위한 양성 TIS 모드의 기간 1, 및 양성 및 음성 TIS 모드에 의한 기간 2)으로 작동하였다.
데이터 취급
데이터는 주사-전 제어 기간의 백분율로서 표현하였다 - 약물 전달 이전의 3개의 샘플을 평균내고 (= 100%) 이 값의 백분율로서 값을 표현함으로써 수득함. RM/피트 (반복된 측정에 의한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여, 치료군 사이의 반응을 비교하였다. p <0.05의 확률 값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고려된다.
결과
ACh 반응은 약물 투여 후 2시간 기간에 걸친 각각의 약물 조건에 대해, 주사-전 대조군 기준선과 비교하여, 곡선하 면적 (AUC)을 측정함으로써 계산하였다. 이어서, 데이터를 ANOVA (1원; JMP v9)에 이어서 사후 t-검정에 의해 분석하였다.
30 mg/kg IP에서의 실시예 4의 화합물 또는 1 mg/kg IP에서의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억제제 도네페질의 투여는 세포외 수준의 Ach에서 비히클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제공하였다 (표 9). 이는 실시예 4의 화합물이 알츠하이머병의 생체내 모델에 효과적인 것을 입증하였다.
<표 9>
hD1 KI 마우스 해마에서의 ACh 반응에 대한 실시예 4 (30 mg/kg IP) 또는 도네페질 (1 mg/kg IP)의 효과
Figure 112015115057267-pct00016
화학식 Ia, Ib, 및 Ic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화학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 또는 본원에 기재된 신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신규 중간체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을 제공하며, 하기 절차에 의해 예시된다.
일반적으로, n이 0, 1 또는 2인 화학식 Ia의 화합물은 n이 0, 1 또는 2이고 Pg1이 적합한 히드록실 보호기를 나타내는 것인 화학식 I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 Pg1의 특정한 값은 tert-부틸(디메틸)실릴 및 tert-부틸(디페닐)실릴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Pg1이 tert-부틸(디메틸)실릴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용매,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와 반응시켜 화학식 Ia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15115057267-pct00017
n이 2이고 Pg1이 tert-부틸(디메틸)실릴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적합한 용매 중에서 메틸 리튬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2). 적합한 용매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을 포함한다. Pg1이 tert-부틸(디메틸)실릴인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적합한 전이 금속 촉매, 예컨대 1,1'-비스(디-i-프로필포스피노)페로센(1,5-시클로옥타디엔)로듐(I)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의 존재 하에 수소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반응은 용매, 예컨대 메탄올 중에서 편리하게 수행한다. Pg1이 tert-부틸(디메틸)실릴인 화학식 IV의 화합물은 화학식 V의 화합물을 전이 금속 커플링 촉매, 예컨대 아세트산팔라듐, 리간드, 예컨대 트리-o-톨릴포스핀 및 염기, 예컨대 트리에틸아민의 존재 하에 에틸 아크릴레이트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반응은 용매, 예컨대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편리하게 수행한다. 화학식 V의 화합물은 화학식 VIII의 화합물을 활성화제, 예컨대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및 염기, 예컨대 트리에틸 아민의 존재 하에 적절한 R1, R2, R3 -페닐아세트산으로 아실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반응은 용매, 예컨대 디메틸 포름아미드 중에서 편리하게 수행한다.
<반응식 2>
Figure 112015115057267-pct00018
대안적으로,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Pg1이 적합한 히드록실 보호기인 화학식 V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3). Pg1의 특정한 값은 tert-부틸(디메틸)실릴 및 tert-부틸(디페닐)실릴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Pg1이 tert-부틸(디메틸)실릴인 화학식 VI의 화합물을 활성화제, 예컨대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의 존재 하에 2,6-디클로로페닐아세트산으로 아실화시켜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반응은 용매,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편리하게 수행한다. 화학식 VI의 화합물은 화학식 VII의 화합물을 촉매, 예컨대 팔라듐의 존재 하에 수소로 환원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반응은 용매, 예컨대 에탄올 중에서 편리하게 수행한다. 화학식 VII의 화합물은 화학식 VIII의 화합물을 촉매, 예컨대 아세트산팔라듐, 리간드, 예컨대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6'-디메톡시비페닐 및 염기, 예컨대 탄산칼륨의 존재 하에 2-메틸부트-3-엔-2-올과 커플링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반응은 용매, 예컨대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서 편리하게 수행한다. 화학식 VIII의 화합물은 화학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화학식 IX의 중간체 화합물을 통해 화학식 X의 화합물로부터 다단계 방식으로 또는 제조예 및 실시예에서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X의 화합물은 제조예 및 실시예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112015115057267-pct00019
n이 0이고 Pg1이 tert-부틸(디메틸)실릴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화학식 IIIa의 화합물을 적합한 용매 중에서 메틸 마그네슘 브로마이드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4). 화학식 IIIa의 화합물은 화학식 VIIa의 화합물을 활성화제, 예컨대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및 염기, 예컨대 트리에틸 아민의 존재 하에 적절한 R1, R2, R3 -페닐아세트산으로 아실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반응은 용매, 예컨대 디메틸 포름아미드 중에서 편리하게 수행한다. 화학식 VIIa의 화합물은 화학식 VIII의 화합물을 팔라듐 (0) 촉매의 존재 하에 일산화탄소 및 메탄올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4>
Figure 112015115057267-pct00020
n이 1이고 Pg1이 tert-부틸(디메틸)실릴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화학식 IIIb의 화합물을 적합한 용매 중에서 메틸 마그네슘 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5). 화학식 IIIb의 화합물은 화학식 VIIb의 화합물을 활성화제, 예컨대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및 염기, 예컨대 트리에틸 아민의 존재 하에 적절한 R1, R2, R3 -페닐아세트산으로 아실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반응은 용매, 예컨대 디메틸 포름아미드 중에서 편리하게 수행한다. 화학식 VIIb의 화합물은 화학식 VIII의 화합물을 실시예 및 제조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팔라듐 (0) 촉매 및 리간드의 존재 하에 아세톤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5>
Figure 112015115057267-pct00021
본원에 사용된 "DMSO"는 디메틸술폭시드를 지칭하고; "트리스"는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을 지칭하고; "DTT"는 디티오트레이톨을 지칭하고; "HEC"는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스를 지칭하고; "DMEM"은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를 지칭하고; "MS"는 질량 스펙트럼을 지칭하고; "HEPS"는 4-(2-히드록시에틸)-1-피페라진에탄술폰산을 지칭한다.
제조예 1
메틸 2-브로모-D-페닐알라니네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22
2-브로모-D-페닐알라닌 (22.4 g, 91.8 mmol)을 메탄올 (459 mL) 중에 용해시켰다. 아세틸 클로라이드 (65.3 mL, 917.7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3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27.2 g, 92.3 mmol)을 수득하였다. MS (m/z): 258 (M+1).
메틸 2-브로모-D-페닐알라니네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의 대안적 합성.
아세틸 클로라이드 (562.79 g, 7.17 mol)를 적절한 용기 내에서 메탄올 (10.00 L)에 0℃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7.5℃로 가열하고, 교반하였다. 30분 후, 2-브로모-D-페닐알라닌 (500.00 g, 2.05 mol)을 첨가하고, 환류 하에 가열하였다. 4시간 후, 20℃로 냉각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 (589 g, 1.96 mol)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MS (m/z): 258(M-Cl (79Br)), 260(M-Cl (81Br)).
제조예 2
메틸 2-브로모-N-(메톡시카르보닐)-D-페닐알라니네이트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23
메틸 2-브로모-D-페닐알라니네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27.2 g, 92.3 mmol)를 디클로로메탄 (923 mL) 및 물 (185 mL) 중에 용해시켰다. 중탄산나트륨 (31.0 g, 369.4 mmol) 및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 (7.86 mL, 101.6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시간 교반하였다. 물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디클로로메탄 추출물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10-75% 구배)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9.1 g, 92.1 mmol)을 수득하였다. MS (m/z): 316 (M+1).
메틸 2-브로모-N-(메톡시카르보닐)-D-페닐알라니네이트의 대안적 합성.
물 (2.94 L) 및 탄산수소나트륨 (648.25 g, 7.64 mol)을 적절한 용기 내에서 디클로로메탄 (9.86 L) 중 메틸 2-브로모-D-페닐알라니네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580 g, 1.91 mol)에 10℃에서 첨가하였다. 5분 후,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 (198.53 g, 2.10 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20℃에서 교반하였다. 3시간 후, 물 (2.5 L)을 첨가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부를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556 g, 1.74 mol)을 수득하였다. MS (m/z): 315.8(M+1 (79Br)), 317.8(M+1 (81Br)).
제조예 3
디메틸 (3R)-5-브로모-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3-디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24
빙초산 (115 mL, 2.01 mol) 및 진한 황산 (38.4 mL, 719.9 mmol) 중 메틸 2-브로모-N-(메톡시카르보닐)-D-페닐알라니네이트 (29.1 g, 92.10 mmol) 및 파라포름알데히드 (9.13 g, 101.3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 사이에 분배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합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5-40% 구배)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7.6 g, 84.0 mmol)을 수득하였다. MS (m/z): 328 (M+1).
제조예 3a
디메틸 (3R)-5-브로모-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3-디카르복실레이트 및 (3R)-5-브로모-2-메톡시카르보닐-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25
적절한 용기 내의 10℃에서의 아세트산 (4.29 L)에, 2-브로모-N-(메톡시카르보닐)-D-페닐알라니네이트 (572 g, 1.81 mol) 및 파라포름알데히드 (205.86 g, 2.17 mol)를 첨가하였다. 10분 후, 진한 황산 (2.63 kg, 26.83 mol)을 천천히 첨가하고, 이어서 35℃에서 교반하였다. 12시간 후, 15℃로 냉각시키고, 물 (7.5 L) 및 에틸 아세테이트 (6 L)를 첨가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L)로 재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과 아세트산과의 혼합물 (640 g, 1.69 mol)을 수득하였다. 질량 스펙트럼 (m/z): 3a: 327.95(M+1 (79Br)), 330.05(M+1 (81Br)). 3b: 314(M+1 (79Br)), 315.95(M+1 (81Br)).
제조예 4
Figure 112015115057267-pct00026
메틸 (3R)-5-브로모-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의 합성.
5N 염산 (330.6 mL, 1.65 mol) 중 디메틸 (3R)-5-브로모-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3-디카르복실레이트 (27.55 g, 84.0 mmol)를 용해시키고, 환류 하에 3일 동안 가열하였다. 감압 하에 농축시켜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고체를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40℃에서 밤새 건조시켜 (3R)-5-브로모-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히드로클로라이드 (1:1) (20.8 g, 71.1 mmol)를 수득하였다. 아세틸 클로라이드 (50.6 mL, 711.0 mmol)를 메탄올 (474 mL) 중 (3R)-5-브로모-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히드로클로라이드 (1:1) (20.8 g, 71.1 mmol)의 0℃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실온으로 가온하고, 3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21.9 g, 71.4 mmol)을 수득하였다. MS (m/z): 270 (M+1).
제조예 5
(3R)-5-브로모-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히드로클로라이드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27
물 (1.3 L) 및 36.5% 염산 (9.07 Kg, 90.81 mol)을 적절한 용기 내에서 디메틸 (3R)-5-브로모-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3-디카르복실레이트 및 (3R)-5-브로모-2-메톡시카르보닐-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제조예 3a) (520 g, 1.27 mol)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95℃에서 교반하였다. 12시간 후, 혼합물을 10℃로 냉각시키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체를 진공 하에 40℃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332 g, 1.13 mol)을 수득하였다. MS (m/z): 256.1(M-Cl (79Br)), 258(M-Cl (81Br)).
제조예 6
2-tert-부틸-3-메틸-(3R)-5-브로모-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3-디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28
메틸 (3R)-5-브로모-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21.0 g, 68.5 mmol)를 1,4-디옥산 (685 mL) 중에 용해시켰다.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 (685 mL, 17.5 mol) 및 디-tert-부틸디카르보네이트 (29.9 g, 137.0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2상 혼합물을 90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5-50% 구배)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9.5 g, 52.7 mmol)을 수득하였다. MS (m/z): 270 (M-tBOC+1).
제조예 7
[(3R)-5-브로모-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일]메탄올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29
수소화알루미늄리튬 (2 L, 2.00 mol, THF 중 1M)을 적절한 용기 내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4.88 L) 중 (3R)-5-브로모-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카르복실산 히드로클로라이드 (325.4 g, 1.11 mol)에 -35℃에서 첨가하고, 이어서 25℃로 60분에 걸쳐 가온하고, 교반하였다. 3시간 후, 혼합물을 -5℃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물 (76 mL), 15% w/w 수성 수산화나트륨 (76 mL) 및 물 (228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로 가열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 (750 g)을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고체를 수득하였다. 디클로로메탄 (690 mL)을 고체에 첨가하고, 30분 동안 슬러리화한 후, 여과하여 고체를 수득하였다. 고체를 진공 하에 35℃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148.9 g, 0.55 mol)을 수득하였다. MS (m/z): 242(M+1 (79Br)), 244(M+1 (81Br)).
제조예 8
tert-부틸 (3R)-5-브로모-3-(히드록시메틸)-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30
메탄올 (10.1 mL, 248.5 mmol) 및 수소화붕소리튬 (99.4 mL, 198.8 mmol, THF 중 2 M)을 수조 상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497 mL) 중 2-tert-부틸-3-메틸-(3R)-5-브로모-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3-디카르복실레이트 (18.4 g, 49.7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40분 교반하고, 반응물을 물로 켄칭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5-80% 구배)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였다. 고진공 하에 밤새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 (19.1 g, 55.8 mmol)로서 수득하였다. MS (m/z): 286 (M-tBu+1).
제조예 9
(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3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75.5 mL, 998.3 mmol)을 디클로로메탄 (226 mL) 중 tert-부틸 (3R)-5-브로모-3-(히드록시메틸)-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카르복실레이트 (15.5 g, 45.3 mmol)의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30분 교반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진공 하에 건조시켜 [(3R)-5-브로모-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일]메탄올;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습윤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3R)-5-브로모-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일]메탄올; 2,2,2-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디클로로메탄 (753 mL) 중에 용해시켰다. 1H-이미다졸 (51.3 g, 753 mmol), N,N-디메틸-4-피리딘아민 (460 mg, 3.77 mmol), 및 t-부틸디메틸클로로실란 (13.6 g, 90.4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을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디클로로메탄 추출물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19.4 mmol의 tert-부틸 (3R)-5-브로모-3-(히드록시메틸)-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카르복실레이트에 의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 실행으로부터의 조 생성물과 합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5-40% 구배)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4.3 g, 40.1 mmol)을 수득하였다. MS (m/z): 356 (M+1).
(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의 대안적 합성.
tert-부틸디메틸클로로실란 (193.7 g, 1.29 mol)을 디클로르메탄 (2.61 L) 중 [(3R)-5-브로모-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일]메탄올 (148.9 g, 0.58 mol), 1H-이미다졸 (202.9 g, 2.92 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0.72 g, 5.84 mmol)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4 L)의 혼합물에 20℃에서 첨가하고, 적절한 용기 내에서 교반하였다. 3시간 후, 혼합물 10℃로 냉각시키고,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 용액 (1.3 L)을 첨가하였다. 수성부를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2 x 2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메틸 tert-부틸 에테르 (1.5 L) 중에 용해시키고, 염수 (2 x 1 L)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톨루엔 (5 L)으로 희석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톨루엔 (2.6 L)을 잔류물에 첨가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210 g, 0.53 mol)을 수득하였다. MS (m/z). 356(M+1 (79Br)), 358(M+1 (81Br)).
제조예 10
(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3,4 디히드로이소퀴놀린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32
(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4.2 g, 11.8 mmol)을 디에틸 에테르 (118 mL) 중에 용해시켰다. N-클로로숙신이미드 (2.36 g, 17.7 mmol)를 첨가하였다. 30분 실온에서 교반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수산화칼륨 (42.0 mL, 30.3 mmol, MeOH 중 5%) 중에 용해시키고,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물에 붓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디클로로메탄 추출물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5-100% 구배)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40 g, 9.59 mmol)을 수득하였다. MS (m/z): 354 (M+1).
(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3,4 디히드로이소퀴놀린의 대안적 합성.
N-클로로숙신이미드 (106.7 g, 0.79 mol)를 적절한 용기 내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3.85 L) 중 (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220 g, 0.52 mol)의 용액에 20℃에서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30분 후,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메탄올 중 5% w/w 수산화칼륨 (2.2 L, 1.69 mol) 중에 용해시키고, 20℃에서 교반하였다. 30분 후, 혼합물을 물 (3 L)에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 (3 x1 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210 g, 0.50 mol)을 수득하였다. MS (m/z): 354(M+1 (79Br)), 356(M+1 (81Br)).
제조예 11
(1S,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33
(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3,4 디히드로이소퀴놀린 (3.4 g, 9.59 mmol)을 디에틸 에테르 (160 mL) 중에 용해시켰다. 드라이 아이스 - 아세톤 조 상에서 -78℃로 냉각시켰다. 메틸마그네슘 클로라이드 (26.9 mL, 80.6 mmol, THF 중 3M)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천천히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천천히 켄칭하였다.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1.73 mmol의 (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3,4 디히드로이소퀴놀린에 의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 실행으로부터의 조 생성물과 합하였다. 합한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5-65% 구배)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78 g, 10.2 mmol)을 수득하였다. MS (m/z): 370 (M+1).
화합물 (1S,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의 상대 배위는 1-차원 NOE 실험 (1D-NOESY)을 사용하여 NMR 분광분석법에 의해 결정하였다. 1.30 ppm에서의 메틸 기의 선택적 여기는 3.11 ppm에서의 Ha에 대한 NOE를 발생시켰다. 이 NOE 증진은 단지, 시스 이성질체에서 메틸 양성자가 Ha로부터 너무 떨어져 있어 NOE를 나타낼 수 없기 때문에 메틸 및 Ha가 고리의 동일한 측 상에 있는 (트랜스 이성질체) 배위와 일치한다. 위치 3에 대한 절대 화학이 R인 것으로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 1에서의 절대 화학은 S인 것으로 추론된다.
Figure 112015115057267-pct00034
(1S,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의 대안적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35
메틸마그네슘 클로라이드 (0.66 L, 1.99 mol, THF 중 3M)를 적절한 용기 내에서 디에틸 에테르 (2.8 L) 중 (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3,4 디히드로이소퀴놀린 (93.5 g, 0.24 mol)의 용액에 -65℃에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20℃로 2시간에 걸쳐 가열하고, 교반하였다. 16시간 후,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반응물을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 용액 (2.5 L)으로 켄칭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5 L)로 추출하고,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1 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표제 화합물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오일을 48 mmol 및 229 mmol의 [(3R)-5-브로모-3,4-디히드로이소퀴놀린-3-일]메톡시-tert-부틸-디메틸-실란에 의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 실행으로부터의 조 생성물과 합하고, 이들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헥산 중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 5-65%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51 g, 0.41 mol)을 수득하였다. MS (m/z): 370.1 (M+1 (79Br)), 372.1(M+1 (81Br)).
제조예 12
tert-부틸 (1S,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36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1.23 g, 5.54 mmol)를 디클로로메탄 (15 mL) 중 [(1S,3R)-5-브로모-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3-일]메톡시-tert-부틸-디메틸-실란 (2.01 g, 5.43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주위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0-4% 구배)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54 g, 5.40 mmol)을 수득하였다. MS (m/z): 370.2, 372.2 (M-BOC+1).
제조예 13
1-[(1S,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6-디클로로페닐)에타논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37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7.97 g, 15.3 mmol)를 디메틸포름아미드 (51.0 mL) 중 (1S,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3.78 g, 10.2 mmol) 및 2,6-디클로로페닐아세트산 (2.30 g, 11.2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트리에틸아민 (2.13 mL, 15.3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물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디클로로메탄 추출물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5-50% 구배)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4.70 g, 8.43 mmol)을 수득하였다. MS (m/z): 556 (M+1).
제조예 14
에틸 (2E)-3-{(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2,6-디클로로페닐)아세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일}프로프-2-에노에이트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38
질소를 아세토니트릴을 통해 버블링하였다. 트리-o-톨릴포스핀 (72.3 mg, 0.23 mmol), 아세트산팔라듐 (II) (11.8 mg, 0.052 mmol) 및 아세토니트릴 (0.96 mL)을 마이크로웨이브 용기 내에 두었다. 10분 교반하였다. 에틸 아크릴레이트 (0.31 mL, 2.88 mmol)를 첨가하였다. 1-[(1S,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6-디클로로페닐)에타논 (0.54 g, 0.96 mmol)을 첨가하였다. 트리에틸아민 (0.40 mL, 2.88 mmol)을 첨가하고, 격렬히 교반하였다. 반응물의 표면을 가로질러 질소를 취입하였다. 용기를 밀봉하고, 마이크로웨이브 내에서 160℃로 35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갈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0.27 mmol의 1-[(1S,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6-디클로로페닐)에타논에 의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응 실행으로부터의 조 생성물과 합하였다. 합한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구배, 0-10%)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54 g, 0.93 mmol)을 수득하였다. MS (m/z): 576 (M+1).
하기 화합물을 본질적으로 제조예 14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115057267-pct00039
제조예 16
tert-부틸 (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3-에톡시-3-옥소-프로필)-1-메틸-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40
10% 탄소 상 팔라듐 (0.09 g)을 100 ml 파르 병에 첨가하였다. 질소로 퍼징하였다. 에탄올 (5 mL)을 첨가하여 촉매를 습윤화시켰다. tert-부틸 (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E)-3-에톡시-3-옥소-프로프-1-에닐]-1-메틸-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카르복실레이트 (330 mg, 0.67 mmol)를 용액으로서 에탄올 (15 mL) 중에 첨가하였다. 병을 밀봉하고, 질소로 퍼징하였다.   용기를 수소로 퍼징하고, 414 kPa의 수소로 가압하였다.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진탕하였다. 환기하고, 용기를 열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0-10% 구배)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투명한 무색 오일 (252 mg, 0.51 mmol)로서 수득하였다. MS (m/z): 392.2 (M-BOC+1).
제조예 17
에틸 3-{(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2,6-디클로로페닐)아세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일}프로파노에이트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41
드라이 박스에서, 교반 막대 및 유리 라이너를 갖춘 85 ml 파르 오토클레이브에 1,1'-비스(디-i-프로필포스피노)페로센(1,5-시클로옥타디엔)로듐(I)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7 mg, 0.010 mmol)를 첨가하였다. 에틸 (2E)-3-{(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2,6-디클로로페닐)아세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일}프로프-2-에노에이트 (133 mg, 0.23 mmol)를 용액으로서 무수 메탄올 (5 mL) 중에 첨가하였다. 오토클레이브를 밀봉하고, 드라이 박스로부터 꺼냈다. 용기를 수소로 퍼징하고, 690 kPa의 수소로 가압하였다.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환기하고, 용기를 열었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25% 메틸 t-부틸 에테르: 헥산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투명한 무색 오일 (121 mg, 0.21 mmol)로서 수득하였다. MS (m/z): 578 (M+1).
제조예 18
(1S,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히드로클로라이드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42
염화수소 (267.24 g, 1.02 mol, 1,4-디옥산 중 4M)를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4.19 L) 중 (1S,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419 g, 1.02 mol)에 10℃에서 첨가하고, 15분 동안 적절한 용기 내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2.5 L)로 세척하고, 여과물 상에서 30분 동안에 이어서 진공 하에 오븐 내에서 40℃에서 16시간 동안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380 g, 0.89 mol)을 수득하였다. MS (m/z): 370(M-Cl (79Br)), 372(M-Cl (81Br)).
제조예 19
(E)-4-[(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일]-2-메틸-부트-3-엔-2-올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43
(1S,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히드로클로라이드 (310 g, 723.83 mmol) 및 2-메틸부트-3-엔-2-올 (508.95 g, 5.79 mol)을 적절한 용기 내에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8 L)에 첨가하고, 용액을 통해 10분 동안 질소를 버블링하여 탈기시켰다. 탄산칼륨 (315.12 g, 2.28 mol),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6'-디메톡시비페닐 (15.32 g, 36.19 mmol) 및 아세트산팔라듐 (II) (8.29 g, 36.19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통해 15분 동안 질소를 버블링하여 탈기하고, 이어서 125℃로 가열하였다. 16시간 후, 혼합물을 20℃로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1.5L) 및 물 (2.5 L)로 희석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염수 (2.5 L)로 세척하고, 이어서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소헥산 중 0-5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93 g, 459.1 mmol)을 수득하였다. MS (m/z): 376(M+1).
제조예 20
4-[(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일]-2-메틸-부탄-2-올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44
에탄올 (816 mL) 중 (E)-4-[(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일]-2-메틸-부트-3-엔-2-올 (68 g, 168.83 mmol)의 용액을 압력 수소화 용기에 첨가하고, 5% 활성탄 상 팔라듐 (35.83 g, 16.84 mmol)을 첨가하였다. 용기를 수소 기체로 퍼징하고, 470 kPa의 수소 기체로 가압하고, 25℃에서 교반하였다. 16시간 후, 용기를 환기하고, 반응 혼합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였다. 규조토를 에틸 아세테이트로를 세척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오일을 수득하였다. 오일을 에틸 아세테이트 (1 L) 중에 용해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64 g, 161 mmol)을 수득하였다. MS (m/z): 378.2 (M+1).
제조예 21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6-디클로로페닐)에타논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45
4-[(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일]-2-메틸-부탄-2-올 (0.21 g, 0.36 mmol)을 THF (2.0 mL) 중에 용해시켰다. 드라이 아이스 - 아세톤 조 상에서 냉각시켰다. 메틸 리튬 (0.67 mL, 1.07 mmol, 디에틸 에테르 중 1.6 M)을 천천히 첨가하고, 드라이 아이스-아세톤 조 상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 (2 mL)을 첨가하였다. 드라이 아이스-아세톤 조를 제거하고,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합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투명한 무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구배, 0-30%)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투명한 무색 오일 (0.16 g, 0.29 mmol)로서 수득하였다. MS (m/z): 564 (M+1).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6-디클로로페닐)에타논의 대안적 합성.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112.9 g, 682.36 mmol)을 적절한 용기 내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1.63 L) 중 2,6-디클로로페닐아세트산 (173.09 g, 818.83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25℃에서 교반하였다. 1시간 후, 테트라히드로푸란 (1.63 L) 중 4-[(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일]-2-메틸-부탄-2-올 (217 g, 545.89 mmol)의 용액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45℃로 가열하고, 교반하였다. 24시간 후, 혼합물을 20℃로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2 L의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L)로 희석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 (1.5 L), 1M 수성 수산화나트륨 (1 L), 물 (1 L) 및 염수 (1.5 L)로 세척하였다. 유기부를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376 g, 532.70 mmol)을 수득하였다. MS (m/z): 564.2(M+1 (35Cl)), 566.2 (M+1 (37Cl)).
하기 화합물을 본질적으로 제조예 21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115057267-pct00046
실시예 1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타논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47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6-디클로로페닐)에타논 (0.16 g, 0.28 mmol)을 THF (2.8 mL) 중에 용해시켰다.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0.30 mL, 0.30 mmol, THF 중 1M)를 첨가하였다. 40분 교반하였다.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합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구배, 0-60%)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 (0.12 g, 0.26 mmol)로서 수득하였다. MS (m/z): 450 (M+1).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타논의 대안적 합성.
테트라-n-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651.71 mL, 651.71 mmol, THF 중 1M)를 적절한 용기 내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4 L) 중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6-디클로로페닐)에타논 (400 g, 566.71 mmol)의 용액에 5℃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로 가열하고, 교반하였다. 3시간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켜 3 L의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L)로 희석하였다. 유기부를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 (2 L), 물 (2 L) 및 염수 (2 x 2 L)로 세척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 오일을 2-프로판올 (2.5 L) 중에 용해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오일을 수득하였다. 키랄 SFC에 의해 AS-H 칼럼 (50 x 250mm, 5 마이크로미터 입자 크기)을 사용하여 280 g/분에서 80% 초임계 이산화탄소 및 20%의 이소프로필 알콜 중 디에틸메틸아민의 0.2% 용액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82.8 g, 389.62 mmol)을 수득하였다. MS (m/z): 450.2(M+1 (35Cl)), 452.2 (M+1 (37Cl)). 광회전: [α] 20 D -39.4° (c = 0.95, MeOH).
실시예 2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타논 및 4-히드록시벤조산의 공결정화.
Figure 112015115057267-pct00048
화합물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타논 (402.56 mg) 및 4-히드록시벤조산 (144.7 mg)을 교반막대와 함께 40 mL 바이알 내에 두었다. 바이알을 물 (39 mL)로 가득 채웠다. 샘플을 1200 rpm에서 50℃에서 (교반플레이트 설정) 교반하였다. 실리콘 오일을 바이알의 베이스 주변에 점적하여 핫플레이트에 의한 우수한 열 전달을 보장하였다. 농후한 백색 슬러리는 회백색 고체의 덩어리를 생성하였다. 슬러리화 1시간 후, 바이알의 격막을 통해 삽입된 온도계는 40.5℃를 나타내었으며, 샘플은 담백색 고체의 균질한 슬러리로 변하였다. 밤새 슬러리화한 후, 샘플은 솜털모양의 백색 고체의 균질한 슬러리였다. 온도계는 43.1℃를 나타내었다. 편광 현미경검사는 완전 복굴절을 나타내었다. 담백색 고체를 진공 여과에 의해 단리하고, 그 자리에서 공기 스트림 하에 10분 동안 건조시켰다. 샘플을 75℃ 진공 오븐 내에 2시간 동안 두어 표제 조성물을 백색 결정질 고체 (484 mg, 94.9%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융점 개시 = 160.0℃ (시차 주사 열량측정).
X선 분말 회절
결정질 고체의 X선 회절 (XRD) 패턴을 CuKa 공급원 (λ = 1.54060 Å) 및 반텍 검출기를 구비한 브루커(Bruker) D4 엔데버 X선 분말 회절계 상에서 35 kV 및 50 mA에서 작동하여 수득하였다. 샘플을 2θ에서의 0.009°의 스텝 크기 및 0.5 초/스텝의 스캔 속도, 및 0.6 mm 발산, 5.28 고정된 산란방지 슬릿, 및 9.5 mm 검출기 슬릿을 사용하여 2θ에서의 4 내지 40°를 스캔하였다. 건조 분말을 석영 샘플 홀더 상에 패킹하고, 평활면을 유리 슬라이드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결정 형태 회절 패턴을 주위 온도 및 상대 습도에서 수집하였다. 임의의 주어진 결정 형태의 경우에, 회절 피크의 상대 강도가 결정 형태 또는 습성과 같은 요인으로부터 생성된 바람직한 배향으로 인해 변할 수 있다는 것이 결정학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배향의 효과가 존재하는 경우에, 피크 강도는 변경되지만, 다형체의 특징적인 피크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게다가, 임의의 주어진 결정 형태의 경우에, 각 피크 위치는 약간 변할 수 있다는 것이 결정학 관련 기술분야에 또한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피크 위치는 샘플이 분석되는 온도 또는 습도의 변동, 샘플 변위, 또는 내부 표준물질의 존재 또는 부재로 인해 이동할 수 있다. 본 경우에, 2θ에서의 0.2의 피크 위치 변동성은 나타낸 결정 형태의 명백한 확인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이러한 잠재적 변동을 고려할 것이다. 결정 형태의 확인은 특징적인 피크 (° 2θ의 단위에서), 전형적으로 보다 현저한 피크의 임의의 고유한 조합을 기준으로 수행될 수 있다. (United States Pharmacopeia #35, National Formulary #30, Chapter <941>, pages 427-432, 2012). 주위 온도 및 상대 습도에서 수집된 결정 형태 회절 패턴은 8.853 및 26.774 도 2-세타에서의 피크를 갖는 NBS 표준 참조 물질 675 (운모)을 기준으로 조정된다.
실시예 2의 공-결정의 제조된 샘플은 하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은 회절 피크 (2-세타 값)를 갖는, 특히 0.2 도의 회절각에 대한 허용오차로 18.2에서의 피크를 16.0, 25.4, 및 7.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피크 중 1개 이상과 조합하여 갖는, CuKa 방사선을 사용한 X선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한다.
<표 3>
Figure 112015115057267-pct00049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타논 및 4-히드록시벤조산의 공결정의 대안적 제조.
20 mL 바이알에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타논 (2.00 g, 1.00 당량; 4.44 mmol)을 첨가하였다. 아세톤 (4 mL)을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투명한 용액이 형성되었다. 4-히드록시벤조산 (0.756 g; 1.23 당량; 5.47 mmol)을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경미한 현탁액이 형성되고, 이어서 농후한 현탁액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핫플레이트 상에서 60℃로 가열하였다. 1 mL 분취물 중 아세톤을 60℃에서 양호한 혼합 현탁액이 관찰될 때까지 첨가하였다. 첨가된 총 아세톤은 9.00 mL (122.43 mmol, 7.11 g)였다. 온도를 ~60℃에서 수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냉장고에 두어 회수를 개선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진공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2 mL의 아세톤으로 헹구고, 진공 오븐 내에서 40℃에서 밤새 건조시켜 표제 조성물을 백색 결정질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HPLC 분석은 공결정에서의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타논 대 4-히드록시벤조산의 몰비가 1 대 1인 것을 입증하였다.
HPLC 분석
칼럼: 애질런트(Agilent) 조르박스(ZORBAX) 보너스-RP, 신속 분해, 4.6x75mm, 3.5μ
칼럼 온도: 30℃
주입 부피: 2 μL
검출: UV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타논 (실시예 1) @ 219nm
4-히드록시벤조산 @ 256nm
유량: 1.5 mL/분
이동상: A) 물 중 0.1% TFA
B) 아세토니트릴 중 0.1% TFA
Figure 112015115057267-pct00050
Figure 112015115057267-pct00051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타논 및 4-히드록시벤조산의 공결정의 제2 대안적 제조.
화합물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타논 (45.06 g, 0.1 mol) 및 4-히드록시벤조산 (14.5 g, 1.05 mol 당량)을 23℃에서 53:47 이소프로필 알콜:헵탄 (236 mL, 4 부피) 중에 슬러리화하고, 65℃로 가열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타논 및 4-히드록시벤조산 (553 mg, 1.0 중량% 시딩 로딩)의 공결정으로 시딩하고, 6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헵탄 (943 mL, 16 부피3)을 65℃에서 4.6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슬러리를 65℃에서 추가의 30분 동안 교반하고, 23℃로 2시간에 걸쳐 냉각시키고, 23℃에서 밤새 교반하고, 진공 여과하였다. 생성물 고체를 10:90 이소프로필 알콜:헵탄 (2 x 50 mL) 및 헵탄 (50 mL)으로 헹구고, 이어서 진공 오븐 내에서 40℃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켜 표제 조성물을 백색 결정질 생성물 (51.3 g, 86.3 wt% 수율)로서 수득하였다.
융점 개시 = 162.2℃ (시차 주사 열량측정).
제조예 23
4-[(1S,3R)-3-(히드록시메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일]-2-메틸-부탄-2-올 히드로클로라이드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52
tert-부틸 (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카르복실레이트 (161 mg, 0.34 mmol)를 에틸 아세테이트 (962 μL) 중에 용해시켰다. 빙조 상에서 냉각시켰다. 염화수소 (843 μL, 3.37 mmol, 디옥산 중 4M)를 첨가하고, 빙조 상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에탄올 중에 용해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100 mg, 0.34 mmol)을 수득하였다. MS (m/z): 264.2 (M+1).
하기 화합물을 본질적으로 제조예 23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115057267-pct00053
제조예 25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2-(2-클로로-5-메톡시-페닐)에타논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54
4-[(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일]-2-메틸-부탄-2-올 (0.36 g, 0.95 mol)을 디클로로메탄 (9.5 mL) 중에 용해시켰다.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99 μL, 2.86 mmol)을 첨가하였다. 2-(2-클로로-5-메톡시-페닐)아세트산 (229.5 mg, 1.14 mmol)을 첨가하였다. O-(7-아자-1H-벤조트리아졸-1-일)-N, N, N', 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561 mg, 1.40 mmol)를 첨가하고, 주위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갈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아세톤: 헥산 (구배, 0-20%)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불투명한 오일 (0.46 g, 0.82 mmol)로서 수득하였다. MS (m/z): 560.2 (M+1).
하기 화합물을 본질적으로 제조예 25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115057267-pct00055
제조예 28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5-비닐-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6-디클로로페닐)에탄-1-온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56
1-[(1S,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6-디클로로페닐)에타논 (300 mg, 0.54 mmol) 및 비닐보론산 디부틸 에스테르 (0.24 mL, 1.08 mmol)를 1,4-디옥산 (5.4 mL) 중에 용해시켰다. 수성 Na2CO3 용액 (2.7 mL, 물 중 2M)을 첨가하였다. 질소로 10분 탈기시켰다. 비스(트리페닐포스핀)염화팔라듐 (II) (76 mg, 0.11 mmol)을 첨가하였다. 80℃로 가열하였다. 2시간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합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구배, 5-80%)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 (220 mg, 0.44 mmol)로서 수득하였다. MS (m/z): 504 (M+1).
제조예 29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1-히드록시에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6-디클로로페닐)에탄-1-온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및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2-히드록시에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6-디클로로페닐)에탄-1-온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57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5-비닐-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6-디클로로페닐)에탄-1-온 (477 mg, 0.95 mmol)을 THF (9.5 mL) 중에 용해시켰다. 0℃로 냉각시켰다. BH3 (1.9 mL, 1.89 mmol, THF 중 1M)을 첨가하였다. 4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0℃로 냉각시켰다. NaOH (3.8 mL, 물 중 3 M) 및 H2O2 (0.58 mL, 물 중 30% wt/wt%)를 첨가하였다.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포화 NaHCO3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구배, 5-60%)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1-히드록시에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6-디클로로페닐)에탄-1-온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을 백색 발포체 (92 mg, 0.19 mmol) (MS (m/z): 522 (M+1))로서; 및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2-히드록시에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6-디클로로페닐)에탄-1-온을 백색 발포체 (254 mg, 0.49 mmol) (MS (m/z): 522 (M+1))로서 수득하였다.
제조예 30
1-((1S,3R)-5-아세틸-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6-디클로로페닐)에탄-1-온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58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1-히드록시에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6-디클로로페닐)에탄-1-온 (92 mg, 176 μmol, 2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을 CH2Cl2 (1.8 mL) 중에 용해시켰다. NaHCO3 (92 mg, 1.1mmol) 및 3,3,3-트리아세톡시-3-아이오도프탈리드 (90 mg, 211 μ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40분 교반하였다. 포화 NaHCO3 용액 및 포화 Na2S2O3 용액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합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구배, 5-60%)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 (0.068 g, 130 μmol)로서 수득하였다. MS (m/z): 522 (M+1).
하기 화합물을 본질적으로 제조예 30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115057267-pct00059
제조예 33
2-((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2-(2,6-디클로로페닐)아세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일)아세트알데히드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60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2-히드록시에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6-디클로로페닐)에탄-1-온 (160 mg, 0.31 mmol)을 CH2Cl2 (3.1 mL) 중에 용해시켰다. NaHCO3 (160 mg, 1.90 mmol) 및 3,3,3-트리아세톡시-3-아이오도프탈리드 (156 mg, 0.37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40분 교반하였다. 포화 NaHCO3 용액 및 포화 Na2S2O3 용액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합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구배, 5-60%)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 (140 mg, 0.27 mmol)로서 수득하였다. MS (m/z): 520.2 (M+1).
제조예 34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2-히드록시프로필)-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6-디클로로페닐)에탄-1-온 (2종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61
2-((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2-(2,6-디클로로페닐)아세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일)아세트알데히드 (138 mg, 0.27 mmol)를 THF (2.7 mL) 중에 용해시켰다. 0℃로 냉각시키고, MeMgCl (0.097 mL, 0.29 mmol, Et2O 중 3M)을 첨가하였다. 30분 0℃에서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합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구배, 2-60%)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 (122 mg, 0.23 mmol)로서 수득하였다. MS (m/z): 536.2 (M+1).
하기 화합물을 본질적으로 제조예 34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115057267-pct00062
제조예 36
1-((1S,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클로로-6-플루오로페닐)에탄-1-온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63
(1S,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1.85 g, 4.99 mmol) 및 2-클로로-6-플루오로페닐아세트산 (1.04 g, 5.49 mmol)을 디클로로메탄 (50 mL) 중에 용해시켰다.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2.85 g, 7.49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3 mL, 7.49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3시간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추출하였다. 디클로로메탄 추출물을 합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구배, 5-60%)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 (2.2 g, 4.07 mmol)로서 수득하였다. MS (m/z): 540.2 (M+1).
제조예 37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5-비닐-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클로로-6-플루오로페닐)에탄-1-온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64
1-((1S,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클로로-6-플루오로페닐)에탄-1-온 (1.8 g, 3.33 mmol) 및 비닐보론산 디부틸 에스테르 (1.5 mL, 6.65 mmol)를 1,4-디옥산 (22 mL) 중에 용해시켰다. 수성 Na2CO3 용액 (11 mL, 물 중 2M)을 첨가하였다. 질소로 10분 탈기시켰다. 비스(트리페닐포스핀)염화팔라듐 (II) (467 mg, 0.67 mmol)을 첨가하였다. 80℃로 가열하였다. 2시간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합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구배, 5-40%)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 (1.54 g, 3.15 mmol)로서 수득하였다. MS (m/z): 488.2 (M+1).
제조예 38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2-히드록시에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클로로-6-플루오로페닐)에탄-1-온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65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5-비닐-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클로로-6-플루오로페닐)에탄-1-온 (1.54 g, 3.15 mmol)을 THF (31 mL) 중에 용해시켰다. 0℃로 냉각시켰다. BH3 (6.3 mL, 6.3 mmol, THF 중 1M)을 첨가하였다. 4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0℃로 냉각시켰다. NaOH (12.6 mL, 물 중 3 M) 및 H2O2 (1.92 mL, 물 중 30% wt/wt%)를 첨가하였다.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포화 NaHCO3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구배, 5-60%)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2-히드록시에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클로로-6-플루오로페닐)에탄-1-온을 백색 발포체 (1.08 g, 2.13 mmol)로서 수득하였다. MS (m/z): 506.2 (M+1).
제조예 39
2-((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2-(2-클로로-6-플루오로페닐)아세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일)아세트알데히드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66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2-히드록시에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클로로-6-플루오로페닐)에탄-1-온 (1.08 g, 2.13 mmol)을 CH2Cl2 (21 mL) 중에 용해시켰다. NaHCO3 (1.08 g, 12.9 mmol) 및 3,3,3-트리아세톡시-3-아이오도프탈리드 (1.09 g, 2.56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40분 교반하였다. 포화 NaHCO3 용액 및 포화 Na2S2O3 용액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합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구배, 5-60%)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 (0.87 g, 1.73 mmol)로서 수득하였다.
제조예 40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일)프로판-2-온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67
(1S,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히드로클로라이드 (2.5 g, 6.14 mmol), 아세톤 (30 mL), 삼염기성 인산칼륨, N-수화물 (3.99 g, 18.4 mmol), 카탁시움(CataCXium) A (디(1-아다만틸)-n-부틸포스핀, 220 mg, 0.61 mmol) 및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290 mg, 0.31 mmol)을 혼합하였다. 70℃에서 2일 교반하였다. 0℃로 냉각시켰다. 물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합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구배, 10-100%)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 (1.3 g, 3.74 mmol)로서 수득하였다. MS (m/z): 348 (M+1).
제조예 41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2-(6-클로로-2-플루오로-3-메톡시페닐)아세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일)프로판-2-온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68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일)프로판-2-온 (1.3 g, 3.74 mmol)을 디클로로메탄 (37 mL) 중에 용해시켰다.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0 mL, 11.22 mmol), 2-(6-클로로-2-플루오로-3-메톡시페닐)아세트산 (1.06 g, 4.86 mmol),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91 g, 4.86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16시간 교반하였다. 포화 수성 NaHCO3 용액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구배, 5-50%)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 (1.6 g, 2.69 mmol)로서 수득하였다. MS (m/z): 548.6 (M+1).
제조예 42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2-히드록시프로판-2-일)-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6-디클로로페닐)에탄-1-온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69
1-((1S,3R)-5-아세틸-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6-디클로로페닐)에탄-1-온 (68 mg, 130 μmol)을 THF (1.3 mL) 중에 용해시켰다. 0℃로 냉각시키고, MeMgCl (87 μL, 261 μmol, Et2O 중 3M)을 첨가하였다. 30분 0℃에서 및 30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MeMgCl (87 μL, 261 μmol, Et2O 중 3M)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60분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합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 (0.054 g, 100 μmol)로서 수득하였다. MS (m/z): 536.2 (M+1).
하기 화합물을 본질적으로 제조예 42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115057267-pct00070
실시예 3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2-히드록시프로판-2-일)-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탄-1-온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71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2-히드록시프로판-2-일)-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2-(2,6-디클로로페닐)에탄-1-온 (0.054 g, 100 μmol)을 THF (1.0 mL) 중에 용해시켰다.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0.11 mL, 110 μmol, THF 중 1M)를 첨가하였다. 30분 교반하였다.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합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구배, 10-100%)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 (0.03 g, 71 μmol)로서 수득하였다. MS (m/z): 422 (M+1).
실시예 3a
결정질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2-히드록시프로판-2-일)-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탄-1-온의 제조.
1.932g의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2-히드록시프로판-2-일)-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탄-1-온을 80℃/1000rpm에서 교반하면서 시클로펜틸 메틸 에테르 중에 128mg/mL의 농도에서 용해시켰다. 용액에서 백색 고체로 침전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어서 간략한 슬러리 기간 후 주위 온도로 냉각시켰다. 고체를 진공 여과에 의해 단리하고, 질소 하에 간략하게 건조시킨 후, 계속해서 65℃ 진공 오븐 내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1.606g의 표제 화합물을 86.8%의 수율로 회수하였다.
X선 분말 회절
결정질 고체의 XRD 패턴을 CuKa 공급원 (λ = 1.54060 Å) 및 반텍 검출기를 구비한 브루커 D4 엔데버 X선 분말 회절계 상에서 35 kV 및 50 mA에서 작동하여 수득하였다. 샘플을 2θ에서의 0.0087°의 스텝 크기 및 0.5 초/스텝의 스캔 속도, 및 0.6 mm 발산, 5.28mm 고정된 산란방지 슬릿, 및 9.5 mm 검출기 슬릿을 사용하여 2θ에서의 4 내지 40°를 스캔하였다. 건조 분말을 석영 샘플 홀더 상에 패킹하고, 평활면을 유리 슬라이드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임의의 주어진 결정 형태의 경우에, 회절 피크의 상대 강도가 결정 형태 및 습성과 같은 요인으로부터 생성된 바람직한 배향으로 인해 변할 수 있다는 것이 결정학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배향의 효과가 존재하는 경우에, 피크 강도는 변경되지만, 다형체의 특징적인 피크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문헌 [The U. S. Pharmacopeia 35 - National Formulary 30 Chapter <941> Characterization of crystalline and partially crystalline solids by X-ray powder diffraction (XRPD) Official December 1, 2012-May 1, 2013]을 참조한다. 게다가, 임의의 주어진 결정 형태의 경우에, 각 피크 위치는 약간 변할 수 있다는 것이 결정학 관련 기술분야에 또한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피크 위치는 샘플이 분석되는 온도 또는 습도의 변동, 샘플 변위, 또는 내부 표준물질의 존재 또는 부재로 인해 이동할 수 있다. 본 경우에, 2θ에서의 ± 0.2의 피크 위치 변동성은 나타낸 결정 형태의 명백한 확인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이러한 잠재적 변동을 고려할 것이다. 결정 형태의 확인은 특징적인 피크 (° 2θ의 단위에서), 전형적으로 보다 현저한 피크의 임의의 고유한 조합을 기준으로 수행될 수 있다. 주위 온도 및 상대 습도에서 수집된 결정 형태 회절 패턴은 8.85 및 26.77 도 2-세타에서의 NIST 675 표준 피크를 기준으로 조정된다.
실시예 3a의 결정질 화합물의 제조된 샘플은 하기 표 10에 기재된 바와 같은 회절 피크 (2-세타 값)를 갖는, CuKa 방사선을 사용한 XRD 패턴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패턴은 0.2 도의 회절각에 대한 허용오차로 14.3에서의 피크를 15.7, 18.0, 18.7, 22.4 및 25.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피크 중 1개 이상과 조합하여 함유한다.
<표 10> 실시예 3a의 X선 분말 회절 피크
Figure 112015115057267-pct00072
하기 화합물을 본질적으로 실시예 3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115057267-pct00073
실시예 4a
공결정질 2-(2,6-디클로로페닐)-1-((1S,3R)-5-(2-히드록시-2-메틸프로필)-3-(히드록시메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탄-1-온 및 4-히드록시벤조산의 제조.
2-(2,6-디클로로페닐)-1-((1S,3R)-5-(2-히드록시-2-메틸프로필)-3-(히드록시메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탄-1-온 (98.33 mg) 및 4-히드록시벤조산 (35.40 mg)을 교반 막대를 구비한 20 mL 바이알에 두었다. 바이알을 물 (~20 mL)로 가득 채우고, 45℃에서 (교반플레이트 설정) 밤새 슬러리화하였다. 샘플을 결정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48시간에 걸쳐 60℃에서 추가로 슬러리화하였다. 아세톤 (1mL)을 첨가하고, 샘플을 밤새 40℃/1000 rpm에서 슬러리화하였다. 이 물질은 결정질로 나타났다. 생성된 백색 고체를 진공 여과에 의해 단리하고, 그 자리에서 진공 및 공기 스트림 하에 10분 동안 건조시켰다.
X선 분말 회절
결정질 고체의 X선 회절 (XRD) 패턴을 CuKa 공급원 (λ = 1.54060 Å) 및 반텍 검출기를 구비한 브루커 D4 엔데버 X선 분말 회절계 상에서 35 kV 및 50 mA에서 작동하여 수득하였다. 샘플을 2θ에서의 0.009°의 스텝 크기 및 0.5 초/스텝의 스캔 속도, 및 0.6 mm 발산, 5.28 고정된 산란방지 슬릿, 및 9.5 mm 검출기 슬릿을 사용하여 2θ에서의 4 내지 40°를 스캔하였다. 건조 분말을 석영 샘플 홀더 상에 패킹하고, 평활면을 유리 슬라이드를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결정 형태 회절 패턴을 주위 온도 및 상대 습도에서 수집하였다. 임의의 주어진 결정 형태의 경우에, 회절 피크의 상대 강도가 결정 형태 및 습성과 같은 요인으로부터 생성된 바람직한 배향으로 인해 변할 수 있다는 것이 결정학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배향의 효과가 존재하는 경우에, 피크 강도는 변경되지만, 다형체의 특징적인 피크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게다가, 임의의 주어진 결정 형태의 경우에, 각 피크 위치는 약간 변할 수 있다는 것이 결정학 관련 기술분야에 또한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피크 위치는 샘플이 분석되는 온도 또는 습도의 변동, 샘플 변위, 또는 내부 표준물질의 존재 또는 부재로 인해 이동할 수 있다. 본 경우에, 2θ에서의 0.2의 피크 위치 변동성은 나타낸 결정 형태의 명백한 확인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이러한 잠재적 변동을 고려할 것이다. 결정 형태의 확인은 특징적인 피크 (° 2θ의 단위에서), 전형적으로 보다 현저한 피크의 임의의 고유한 조합을 기준으로 수행될 수 있다. (United States Pharmacopeia #35, National Formulary #30, Chapter <941>, pages 427-432, 2012). 주위 온도 및 상대 습도에서 수집된 결정 형태 회절 패턴은 8.85 및 26.77 도 2-세타에서의 피크를 갖는 NBS 표준 참조 물질 675 (운모)을 기준으로 조정된다.
실시예 4a 공-결정의 제조된 샘플은 하기 표 1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회절 피크 (2-세타 값)를 갖는, 특히 0.2 도의 회절각에 대한 허용오차로 7.0에서의 피크를 18.8, 16.1, 및 19.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피크 중 1개 이상과 조합하여 갖는, CuKa 방사선을 사용한 X선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한다.
표 11: 실시예 4a의 X선 분말 회절 피크
Figure 112015115057267-pct00074
실시예 7
2-(2-클로로-6-메톡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에타논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75
1-[(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2-(2-클로로-6-메톡시-페닐)에타논 (0.58 g, 1.04 mmol)을 THF (5.3 mL) 중에 용해시켰다. 아세트산 (16 mL, 279 mmol) 및 물 (5.3 mL)을 첨가하였다. 5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 용해시키고,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아세톤: 헥산 (구배, 0-30%)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 (0.34 g, 0.76 mmol)로서 수득하였다. MS (m/z): 446.0 (M+1).
하기 화합물을 본질적으로 실시예 8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115057267-pct00076
실시예 10
2-(2-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에타논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77
2-(2-클로로페닐)아세트산 (96.8 mg, 0.56 mmol) 및 O-(7-아자-1H-벤조트리아졸-1-일)-N, N, N', 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200 mg, 0.52 mmol)를 디클로로메탄 (2 mL) 중에 용해시켰다.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83 μL, 1.05 mmol)을 첨가하였다. 주위 온도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0.4 mL) 중 4-[(1S,3R)-3-(히드록시메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일]-2-메틸-부탄-2-올 (92 mg, 0.35 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디클로로메탄 (1 mL)으로 헹구고, 주위 온도에서 3.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구배, 0-60%)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10% (메탄올 중 2N 암모니아): 디클로로메탄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발포체 (78 mg, 0.19 mmol)로서 수득하였다. MS (m/z): 416.2 (M+1).
하기 화합물을 본질적으로 실시예 10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115057267-pct00078
실시예 12
3-클로로-2-[2-[(1S,3R)-3-(히드록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2-옥소-에틸]벤조니트릴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79
바이알 내에서, 2-(2-클로로-6-시아노-페닐)아세트산 (75.4 mg, 0.37 mmol)을 아세토니트릴 (0.3 mL) 중에서 슬러리화하였다. 트리에틸아민 (114 μL, 0.82 mmol)을 첨가하고, 고체가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O-(벤조트리아졸-1-일)-N, N, N', 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65 mg, 0.51 mmol)를 첨가하고, 주위 온도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분리형 플라스크 내에서, 4-[(1S,3R)-3-(히드록시메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일]-2-메틸-부탄-2-올 히드로클로라이드 (102 mg, 0.34 mol)를 아세토니트릴 (0.3 mL) 중에 슬러리화하였다. 트리에틸아민 (227 μL, 1.63 mmol)을 첨가하였으며,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주위 온도에서 10분 교반하였다. 2-(2-클로로-6-시아노-페닐)아세트산, 아세토니트릴, 트리에틸아민, 및 O-(벤조트리아졸-1-일)-N, N, N', 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반응 혼합물을 바이알에서 4-[(1S,3R)-3-(히드록시메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일]-2-메틸-부탄-2-올 히드로클로라이드, 아세토니트릴 및 트리에틸아민 반응 혼합물을 함유하는 플라스크로 옮겼다. 아세토니트릴 (0.9 mL)로 헹구고, 균질한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물,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추출물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0-60% 구배)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C18 개질 실리카 상에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녹색 오일 (34 mg, 0.08 mmol)로서 수득하였다: (m/z): 441.2 (M+1).
제조예 46
2-(2-클로로-6-메틸-페닐)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80
100 mL 스크류 마개 바이알에 2-(2-클로로-6-메틸-페닐)아세토니트릴 (8.0g, 48.30 mmol) 및 3N 수성 수산화나트륨 (80 mL, 240.00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10℃에서 18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10℃로 냉각시키고, 진한 염산 (15mL)으로 pH 1로 산성화시켰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분리하고, 유기 상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켰다. 디에틸 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 (7.20 g, 39.00 mmol)로서 수득하였다: MS (m/z): 184.8 (M+1).
제조예 47
tert-부틸 2-(2-클로로-5-이소프로필-페닐)아세테이트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81
비스(디벤질리덴아세톤)팔라듐 (49.2 mg, 85.6 μmol)을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격막으로 밀봉하였다. 질소로 플러싱하였다. 트리-tert-부틸포스핀 (85.6 μL, 85.6 μmol, 톨루엔 중 1M) 및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 (12.8 mL, 11.56 mmol, 메틸시클로헥산 중 0.9M)를 시린지를 통해 첨가하였다. 2-브로모-1-클로로-4-이소프로필-벤젠 (1.0 g, 4.28 mmol) 및 t-부틸 아세테이트 (865.2 μL, 6.42 mmol)를 시린지를 통해 첨가하였다. 톨루엔 (10.7 mL)을 시린지를 통해 첨가하였으며, 반응 혼합물은 만지기에 뜨겁게 되었다. 주위 온도 수조 상에 두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동결기 내에서 주말에 걸쳐 저장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가온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희석하고,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을 첨가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디에틸 에테르 층을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아세톤: 헥산 (0-2% 구배)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04 g)을 수득하였다. 다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디클로로메탄: 헥산 (0-20% 구배)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490 mg, 1.82 mmol)을 수득하였다. MS (m/z): 213.0 (M-tBu+1).
하기 화합물을 본질적으로 제조예 47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115057267-pct00082
제조예 49
2-(2-클로로-5-이소프로필-페닐)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83
tert-부틸 2-(2-클로로-5-이소프로필-페닐)아세테이트 (483 mg, 1.80 mmol)를 디클로로메탄 (5.1 mL) 중에 용해시켰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9 mL, 14.4 mmol)을 천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380 mg, 1.79 mmol)을 수득하였다. MS (m/z): 229.8 (M+18).
하기 화합물을 본질적으로 제조예 49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115057267-pct00084
제조예 51
이소프로필 2-(3-이소프로폭시페닐)아세테이트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85
2-(3-히드록시페닐)아세트산 (5.04 g, 32.8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49.9 mL) 중에 용해시켰다. 탄산칼륨 (15.1 g, 108.2 mmol) 및 2-아이오도프로판 (15.1 mL, 150.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로 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주위 온도에서 6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5℃로 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추가의 탄산칼륨 (9.2 g, 65.6 mmol) 및 2-아이오도프로판 (15.1 mL, 150.8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90℃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150℃로 올리고, 밤새 가열하였다.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물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합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아세톤: 헥산 (0-20% 구배)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4.79 g, 20.27 mmol)을 수득하였다. MS (m/z): 237.0 (M+H), 254.0 (M+18).
하기 화합물을 본질적으로 제조예 51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115057267-pct00086
제조예 53
2-(3-이소프로폭시페닐)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87
이소프로필 2-(3-이소프로폭시페닐)아세테이트 (4.2 g, 17.8 mmol)를 테트라히드로푸란 (35.6 mL) 중에 용해시켰다. 물 (35.6 mL) 및 수산화리튬 (6.05 g, 248.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6℃로 밤새 가열하였다. 감압 하에 농축시켜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수층을 5N HCl로 pH 1로 산성화시켰다. 수층을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디에틸 에테르 추출물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3.37 g, 17.35 mmol)을 수득하였다. MS (m/z): 195.0 (M+1), 212.0 (M+18).
하기 화합물을 본질적으로 제조예 53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115057267-pct00088
제조예 55
2-(2-클로로-5-이소프로폭시-페닐)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89
2-(3-이소프로폭시페닐)아세트산 (3.24 g, 16.6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1.1 mL) 중에 용해시켰다. 빙조 상에서 냉각시키고, 용액 N-클로로숙신이미드 (2.44 g, 18.3 mmol)를 디메틸포름아미드 (12.2 mL) 중에 첨가하였다. 밤새 교반하고, 반응물이 주위 온도가 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희석하였다. 물로 세척하였다. 물 세척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디에틸 에테르 추출물을 합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아세톤: 헥산 (0-25% 구배)으로 용리시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08 g, 13.47 mmol)을 수득하였다. MS (m/z): 245.8 (M+18).
하기 화합물을 본질적으로 제조예 55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115057267-pct00090
제조예 57
메틸 2-(2-클로로-6-시아노-페닐)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91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의 2M 용액 (62.6 mL, 461.8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 L)에 -78℃에서 첨가하였다. 1,3-디메틸-3,4,5,6-테트라히드로-2(1H)-피리미디논 (19.94 mL, 164.91 mmol)을 천천히 첨가하고, 이어서 3-클로로-2-메틸-벤조니트릴 (20 g, 131.93 mmol)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5분 동안 교반하면서 -78℃에서 유지하였다. 반응 용기를 이산화탄소 (1 L; 25.65 mol)로 15분 동안 퍼징하였다. 물 (100mL)을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0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수성 상의 pH를 >12로 증가시켰다. 수성 층을 분리하고,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진한 염산으로 pH-1로 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하고, 농축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 (16.0 g; 81.80 mmol)로서 수득하였다. MS (m/z): 195.9 (M+1).
제조예 58
메틸 (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92
자기 교반기 막대를 함유하는 유리 압력 용기 내에서, (1S,3R)-5-브로모-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 (30 g, 81.0 mmol), 아세트산팔라듐 (1.8 g, 8.1 mmol), 비스-(1,3-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 (6.7 g, 16.2 mmol) 및 탄산나트륨 (34.3 g, 324.0 mmol)을 디메틸 술폭시드 (360 mL) 및 메탄올 (180 mL)의 혼합물 중에 현탁시켰다. 용기를 일산화탄소 (410 kPa)로 충전하고, 교반하면서 100℃로 가온하였다. 온도를 100℃에서 19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혼합물이 주위 온도로 냉각되도록 하다. 생성된 현탁액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메틸 tert-부틸 에테르 (1000mL)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염수 (3 x 500 mL)로 세척하였다.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암오렌지색 오일 (26.7 g, 76.4 mmol)로서 수득하였다: MS (m/z): 350.0 (M+1).
제조예 59
메틸 (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2-(6-클로로-2-플루오로-3-메톡시-페닐)아세틸]-1-메틸-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5-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93
트리에틸아민 (0.36 mL, 2.57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6.4 mL) 중 메틸 (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1,2,3,4-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린-5-카르복실레이트 (500 mg, 1.29 mmol),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02 g, 1.93 mmol) 및 2-(6-클로로-2-플루오로-3-메톡시-페닐)아세트산 (356 mg, 1.54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 (60 mL)을 첨가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3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였다.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정형 황색 고체 (703 mg, 1.15 mmol)로서 수득하였다: MS (m/z): 550.0 (M+1).
하기 화합물을 본질적으로 제조예 59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115057267-pct00094
Figure 112015115057267-pct00095
Figure 112015115057267-pct00096
Figure 112015115057267-pct00097
Figure 112015115057267-pct00098
실시예 13
2-(6-클로로-2-플루오로-3-메톡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1-히드록시-1-메틸-에틸)-1-메틸-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2-일]에타논의 합성.
Figure 112015115057267-pct00099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란타넘 (III) 클로라이드 비스(염화리튬) 착물의 0.6M 용액 (1.92 mL, 1.15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5 mL) 중 메틸 (1S,3R)-3-[[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2-[2-(6-클로로-2-플루오로-3-메톡시-페닐)아세틸]-1-메틸-3,4-디히드로-1H-이소퀴놀린-5-카르복실레이트 (703 mg, 1.15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디에틸 에테르 중 메틸 마그네슘 브로마이드의 3M 용액 (3.50 당량; 4.03 mmol; 1.34 mL; 1.39 g)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염수 (25 mL)로 켄칭하였다. 기체 발생이 중지된 후, 에틸 아세테이트 (3 x 25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였다.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0 mL) 중에 재용해시키고,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3수화물 (492 mg, 1.73 mmol)을 첨가하였다.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단기 플래쉬 실리카 패드 (15g)를 통해 에틸 아세테이트 (50mL)로 세척하였다.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C18 개질 실리카 상에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 (349 mg, 0.76 mmol)로서 수득하였다: (m/z): 436.0 (M+1).
하기 화합물을 본질적으로 실시예 13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115057267-pct00100
Figure 112015115057267-pct00101
Figure 112015115057267-pct00102
Figure 112015115057267-pct00103
Figure 112015115057267-pct00104

Claims (17)

  1.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Figure 112015115057267-pct00105

    상기 식에서,
    n은 0, 1 또는 2이고;
    R1은 할로겐이고;
    R2는 할로겐, H, CN, C1 - C3 알콕시 또는 C1 - C3 알킬이고;
    R3은 H, 할로겐, C1 - C3 알콕시 또는 C1 - C3 알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Figure 112015115057267-pct00106

    상기 식에서
    n은 0, 1 또는 2이고;
    R1은 할로겐이고;
    R2는 할로겐, H, CN, C1 - C3 알콕시 또는 C1 - C3 알킬이고;
    R3은 H, 할로겐, C1 - C3 알콕시 또는 C1 - C3 알킬이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n이 0, 1 또는 2이고;
    R1이 할로겐이고;
    R2가 할로겐이고;
    R3이 수소 또는 C1 - C3 알콕시인
    화합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n이 0, 1 또는 2이고;
    R1이 Cl, F 또는 Br이고;
    R2가 Cl, OCH3, H, F, CN 또는 CH3이고;
    R3이 OCH3, H, CH2CH3, Cl, OCH(CH3)2, OCH2CH3, F, CH(CH3)2 또는 CH3
    화합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n이 0 또는 2이고;
    R1이 Cl이고;
    R2가 Cl 또는 F이고;
    R3이 H 또는 OCH3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타논인 화합물.
  7. 2-(2,6-디클로로페닐)-1-[(1S,3R)-3-(히드록시메틸)-5-(3-히드록시-3-메틸부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타논 및 4-히드록시벤조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8. 0.2 도의 회절각에 대한 허용오차로 18.2°의 회절각 2-세타에서의 회절 피크를 16.0°, 25.4°, 및 7.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피크 중 1개 이상과 조합하여 갖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한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제7항에 따른 조성물의 공결정질 형태.
  9. 유효량의 제1항, 제2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서 파킨슨병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10. 유효량의 제1항, 제2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정신분열증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서 정신분열증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2-(2,6-디클로로페닐)-1-((1S,3R)-5-(2-히드록시-2-메틸프로필)-3-(히드록시메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탄-1-온인 화합물.
  12. 2-(2,6-디클로로페닐)-1-((1S,3R)-5-(2-히드록시-2-메틸프로필)-3-(히드록시메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탄-1-온 및 4-히드록시벤조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13. 0.2 도의 회절각에 대한 허용오차로 7.0°의 회절각 2-세타에서의 회절 피크를 18.8°, 16.1°, 및 19.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피크 중 1개 이상과 조합하여 갖는, CuKα 방사선을 사용한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제12항에 따른 조성물의 공결정질 형태.
  14. 제11항의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서 파킨슨병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15. 제11항의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정신분열증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서 정신분열증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16. 2-(2,6-디클로로페닐)-1-((1S,3R)-5-(2-히드록시-2-메틸프로필)-3-(히드록시메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탄-1-온 및 4-히드록시벤조산,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서 파킨슨병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17. 2-(2,6-디클로로페닐)-1-((1S,3R)-5-(2-히드록시-2-메틸프로필)-3-(히드록시메틸)-1-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에탄-1-온 및 4-히드록시벤조산,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정신분열증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서 정신분열증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KR1020157033616A 2013-05-30 2014-05-27 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 화합물 KR101808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28740P 2013-05-30 2013-05-30
US61/828,740 2013-05-30
US201361905329P 2013-11-18 2013-11-18
US61/905,329 2013-11-18
PCT/US2014/039494 WO2014193781A1 (en) 2013-05-30 2014-05-27 3,4-dihydroisoquinolin-2(1h)-yl compoun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110A KR20160003110A (ko) 2016-01-08
KR101808933B1 true KR101808933B1 (ko) 2017-12-13

Family

ID=50983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616A KR101808933B1 (ko) 2013-05-30 2014-05-27 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 화합물

Country Status (38)

Country Link
US (1) US8962654B2 (ko)
EP (1) EP3004061B8 (ko)
JP (2) JP6130590B2 (ko)
KR (1) KR101808933B1 (ko)
CN (1) CN105228985B (ko)
AP (1) AP2015008867A0 (ko)
AU (2) AU2014274435B2 (ko)
BR (1) BR112015029090B1 (ko)
CA (1) CA2912849C (ko)
CL (1) CL2015003444A1 (ko)
CR (1) CR20150622A (ko)
CY (1) CY1119361T1 (ko)
DK (1) DK3004061T3 (ko)
DO (1) DOP2015000289A (ko)
EA (1) EA029220B1 (ko)
ES (1) ES2647086T3 (ko)
GT (1) GT201500334A (ko)
HK (1) HK1216314A1 (ko)
HR (1) HRP20171696T1 (ko)
HU (1) HUE034607T2 (ko)
JO (1) JO3316B1 (ko)
LT (1) LT3004061T (ko)
ME (1) ME02838B (ko)
MX (1) MX2015016495A (ko)
MY (1) MY180751A (ko)
NZ (1) NZ713809A (ko)
PE (1) PE20152032A1 (ko)
PH (1) PH12015502658B1 (ko)
PL (1) PL3004061T3 (ko)
PT (1) PT3004061T (ko)
RS (1) RS56294B1 (ko)
SG (1) SG11201509310QA (ko)
SI (1) SI3004061T1 (ko)
TN (1) TN2015000514A1 (ko)
TW (2) TWI691488B (ko)
UA (1) UA118759C2 (ko)
WO (1) WO2014193781A1 (ko)
ZA (1) ZA2015082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8119B2 (en) 2009-11-27 2022-10-04 Genzyme Corporation Amorphous and a crystalline form of genz 112638 hemitartrate as inhibitor of glucosylceramide synthase
JO3316B1 (ar) * 2013-05-30 2019-03-13 Lilly Co Eli مركبات 3، 4-داي هيدرو أيزو كوينولين -2(1h)-يل
AR106332A1 (es) * 2015-10-23 2018-01-03 Lilly Co Eli Forma cristalina de 2-(2,6-diclorofenil)-1-[(1s,3r)-3-(hidroximetil)-5-(3-hidroxi-3-metilbutil)-1-metil-3,4-dihidroisoquinolin-2(1h)-il]etanona
WO2017178377A1 (en) 2016-04-13 2017-10-19 Ucb Biopharma Sprl Tetrahydroisoquinoline derivatives
IL269379B (en) 2017-02-21 2022-06-01 Univ Emory cxcr4 receptor modulators and related uses
EP3418270A1 (en) 2017-06-19 2018-12-26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Novel biphenylsulfoximines as allosteric modulators of the dopamine d1 receptor
MA51199A (fr) 2017-12-01 2020-10-07 UCB Biopharma SRL Agents d'imagerie
TWI725408B (zh) * 2018-04-20 2021-04-21 美商美國禮來大藥廠 多巴胺d1受體正向異位調節劑
JP2022514659A (ja) 2018-12-18 2022-02-14 イーライ リリ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ドーパミン作動性cns障害の治療におけるly3154207の使用のための用量レジメン
TWI825323B (zh) * 2019-06-18 2023-12-11 美商美國禮來大藥廠 用於製備2-(2,6-二氯苯基)-1-[(1s,3r)-3-(羥甲基)-5-(3-羥基-3-甲基丁基)-1-甲基-3,4-二氫異喹啉-2(1h)-基]乙烯酮之方法及中間物
EP3993794A1 (en) * 2019-07-01 2022-05-11 UCB Biopharma SRL A substituted tetrahydroisoquinoline derivative as a d1 positive allosteric modulator
MA56445A (fr) 2019-07-01 2022-05-11 UCB Biopharma SRL Dérivé de tétrahydroisoquinoléine substitué utilisé comme modulateur allostérique positif de d1
EP4200280B1 (en) 2020-10-07 2024-02-21 Eli Lilly And Company Phenyl-3,4-dihydroisoquinolin-2(1h)-yl-ethan-1-one derivatives as dopamine d1 receptor positive allosteric modulators
EP4267555A1 (en) 2020-12-03 2023-11-01 UCB Biopharma SRL Octahydroisoquinolinyl derivatives
WO2022129356A1 (en) * 2020-12-18 2022-06-23 UCB Biopharma SRL Prodrugs of 2-(3,5-dichloro-1-methyl-indazol-4-yl)-1-[(1s,3r)-3-(hydroxymethyl)-5-(1-hydroxy-1-methyl-ethyl)-1-methyl-3,4-dihydro-1h-isoquinolin-2-yl]ethanone
MX2023007155A (es) 2020-12-18 2023-06-28 UCB Biopharma SRL Un derivado de tetrahidroisoquinolina sustituido como un modulador alosterico positivo de d1.
WO2022129267A1 (en) * 2020-12-18 2022-06-23 UCB Biopharma SRL Amorphous solid dispersions
JP2023554033A (ja) * 2020-12-18 2023-12-26 ユーシービー バイオファルマ エスアールエル ジヒドロイソキノリニル誘導体
WO2022192231A1 (en) 2021-03-08 2022-09-15 Eli Lilly And Company Use of mevidalen and other d1 positive allosteric modulators in the treatment of hallucinations and dementia-related psychosis
EP4304577A1 (en) 2021-03-09 2024-01-17 Eli Lilly And Co. Use of mevidalen and other d1 positive allosteric modulators for slowing of parkinson's disease progress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6934A (en) 1992-08-26 1993-08-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1,2,3,4-tetrahydroisoquinolines useful in the treatment of CNS disorders
WO2008109336A1 (en) 2007-03-01 2008-09-12 Janssen Pharmaceutica N.V. Tetrahydroisoquinoline compounds as modulators of the histamine h3 receptor
US20120252853A1 (en) 2011-04-01 2012-10-04 H. Lundbeck A/S Positive allosteric modulators of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8910999T2 (de) 1988-02-19 1994-03-24 Smithkline Beecham Farma 1,2,3,4-Tetrahydroisoquinoline, Verfha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Kappa-Rezeptor Agonisten.
US5246943A (en) * 1992-05-19 1993-09-21 Warner-Lambert Company Substituted 1,2,3,4-tetahydroisoquinolines with angiotensin II receptor antagonist properties
US5932590A (en) 1996-12-05 1999-08-03 Merck & Co., Inc. Inhibitors of farnesyl-protein transferase
ZA991301B (en) 1998-02-18 1999-09-13 Neurosearch As Glutamate receptor modulators.
AU5959201A (en) 2000-05-11 2001-11-20 Bristol Myers Squibb Co Tetrahydroisoquinoline analogs useful as growth hormone secretagogues
US7601739B2 (en) 2003-08-08 2009-10-13 Virgina Commonwealth University Compounds having antiestrogenic and tissue selective estrogenic properties, and compounds with anti-androgenic properties for treatment of prostate cancer and androgen receptor dependent diseases
US7541466B2 (en) 2003-12-23 2009-06-02 Genzyme Corporation Tetrahydroisoquinoline derivatives for treating protein trafficking diseases
BR112014015081A2 (pt) 2011-12-21 2017-06-13 Actelion Pharmaceuticals Ltd derivados heterocíclicos e seu uso como moduladores do receptor d2 de prostaglandina
JO3316B1 (ar) * 2013-05-30 2019-03-13 Lilly Co Eli مركبات 3، 4-داي هيدرو أيزو كوينولين -2(1h)-ي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6934A (en) 1992-08-26 1993-08-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1,2,3,4-tetrahydroisoquinolines useful in the treatment of CNS disorders
WO2008109336A1 (en) 2007-03-01 2008-09-12 Janssen Pharmaceutica N.V. Tetrahydroisoquinoline compounds as modulators of the histamine h3 receptor
US20120252853A1 (en) 2011-04-01 2012-10-04 H. Lundbeck A/S Positive allosteric modulators of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LT3004061T (lt) 2017-11-27
CN105228985B (zh) 2017-05-10
EA029220B1 (ru) 2018-02-28
ES2647086T3 (es) 2017-12-19
GT201500334A (es) 2018-11-23
CY1119361T1 (el) 2018-02-14
TWI691489B (zh) 2020-04-21
AU2016238934A1 (en) 2016-10-27
PH12015502658A1 (en) 2016-03-07
HUE034607T2 (en) 2018-02-28
EP3004061A1 (en) 2016-04-13
HK1216314A1 (zh) 2016-11-04
CL2015003444A1 (es) 2016-07-15
BR112015029090A2 (pt) 2017-07-25
WO2014193781A1 (en) 2014-12-04
AU2016238934B2 (en) 2017-08-03
JO3316B1 (ar) 2019-03-13
JP6387433B2 (ja) 2018-09-05
KR20160003110A (ko) 2016-01-08
UA118759C2 (uk) 2019-03-11
EP3004061B8 (en) 2017-10-04
ME02838B (me) 2018-01-20
PL3004061T3 (pl) 2018-01-31
CR20150622A (es) 2016-01-06
TN2015000514A1 (en) 2017-04-06
CN105228985A (zh) 2016-01-06
US8962654B2 (en) 2015-02-24
BR112015029090B1 (pt) 2023-05-09
SG11201509310QA (en) 2015-12-30
ZA201508213B (en) 2017-08-30
BR112015029090A8 (pt) 2020-03-17
SI3004061T1 (sl) 2017-10-30
CA2912849C (en) 2017-05-30
EA201592082A1 (ru) 2016-04-29
JP2017178945A (ja) 2017-10-05
NZ713809A (en) 2019-11-29
JP2016520127A (ja) 2016-07-11
MX2015016495A (es) 2016-03-01
EP3004061B1 (en) 2017-08-30
MY180751A (en) 2020-12-08
PE20152032A1 (es) 2016-01-28
JP6130590B2 (ja) 2017-05-17
PH12015502658B1 (en) 2016-03-07
DK3004061T3 (en) 2017-10-23
HRP20171696T1 (hr) 2017-12-29
TW201940469A (zh) 2019-10-16
AU2014274435B2 (en) 2016-07-14
TWI691488B (zh) 2020-04-21
RS56294B1 (sr) 2017-12-29
US20140357664A1 (en) 2014-12-04
CA2912849A1 (en) 2014-12-04
DOP2015000289A (es) 2015-12-31
AU2014274435A1 (en) 2015-11-19
PT3004061T (pt) 2017-10-19
AP2015008867A0 (en) 2015-11-30
TW201536745A (zh)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933B1 (ko) 3,4-디히드로이소퀴놀린-2(1h)-일 화합물
KR102318727B1 (ko) 1,4-이치환된 피리다진 유사체 및 smn-결핍-관련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그의 용도
CA2999332A1 (en) Crystalline form of 2-(2,6-dichlorophenyl)-1-[(1s,3r)-3-(hydroxymethyl)-5-(3-hydroxy-3-methylbutyl)-1-methyl-3,4-dihydroisoquinolin-2(1h)-yl]ethanone for the treatment of parkinson&#39;s disease
JPWO2002094790A1 (ja) 縮合ヘテロ環化合物およびその医薬用途
KR20150131233A (ko) 치환된 트리아졸로피리딘 및 이의 사용 방법
US20170342051A1 (en) Indole and pyrrole compounds,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CN103748087A (zh) 吲唑和吡咯并吡啶衍生物和其药学用途
AU2010279999A1 (en) Nitrogenous-ring acylguanidine derivative
AU2019256350B2 (en) Pyrazo-tetrahydroisoquinoline derivatives as dopamine D1 receptor positive modulators
CA2907657A1 (en) Piperazine derivatives as fasn inhibitors
CN104640853A (zh) 作为β-淀粉样蛋白抑制剂的吲哚-酰胺化合物
KR20100015933A (ko) Nk3 길항제로서의 이소퀴놀리논 유도체
TW201331206A (zh) 作為c-Met抑制劑的新型稠環雜環衍生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