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649B1 - 높이 조절가능한 과속 방지턱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가능한 과속 방지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649B1
KR101792649B1 KR1020127023725A KR20127023725A KR101792649B1 KR 101792649 B1 KR101792649 B1 KR 101792649B1 KR 1020127023725 A KR1020127023725 A KR 1020127023725A KR 20127023725 A KR20127023725 A KR 20127023725A KR 101792649 B1 KR101792649 B1 KR 101792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portion
speed
height
protrusions
sens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0417A (ko
Inventor
츄 홍 멍 알란
준 이프 츄
Original Assignee
에코트리 바이오루브 (엠)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트리 바이오루브 (엠)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filed Critical 에코트리 바이오루브 (엠)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ublication of KR20120120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with obstructing members moving in a translatory motion, e.g. vertical lift barriers,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1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 E01F13/123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or forcibly arresting or disabling vehicles, e.g. spiked mats depressible or retractable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one-way spike barriers, power-controlled prong barri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될 때에는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고, 제한 구역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될 때에는 장애물로써 이용하는 조절가능한 과속 방지턱에 관한 것이다. 과속 방지턱은, 중간부분(120) 및 2개의 측면부분(110a,110b)을 지니는 휴대용 몸체(100)를 포함한다. 몸체(100)의 높이(290)는 과속 방지턱 또는 장애물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조절가능하다. 높이(290)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배열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몸체(100)에는, 그 곳을 통과하는 차량과 같은 물체의 수량을 추적하기 위한 센서가 제공된다. 따라서 방지턱 및 장애물로서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Description

높이 조절가능한 과속 방지턱{HEIGHT ADJUSTABLE SPEED BUMP}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될 때에는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고, 제한 구역(restricted areas)을 차단(blockimg)하기 위해 사용될 때에는 장애물로써 이용하기 위한 조절가능한 과속 방지턱에 관한 것이다.
과속 방지턱(speed bumps)은 운전자들이 과도한 속도로 차량을 운전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과속 방지턱은, 일반적으로 도로 표면 위쪽에서 도로를 가로지르는 리쥐(ridge)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또는 견고한 고형물 험프(solid hump)을 포함한다. 험프를 통과하는 동안 차량이 흔들리게 되므로 운전자가 고속으로 차량을 운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동적인 과속 방지턱(dynamic speed bumps)들은, 차량이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운행해야만 작동되게끔 설계되어 있으므로, 다른 차량들은 과속 방지턱의 불편함을 느낄 수 없을 것이다. 유사하게는, 또한 동적인 과속 방지턱들은, 속도 센서들은 사용함으로써, 긴급 차량들이 더 빠른 속도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미국특허 제4342525 A 호에서와 같은 접이식 과속 방지턱(retractable speed bump)은 선택된 섹션에서 다른 높이(고도)를 제공하게끔 도로에 설치된다. 이러한 것은 일반적으로 상부 및 하부를 포함하고,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쇄기 형태(wedge-shaped)의 부재를 포함하는 장방형의 상자(rectangularly-shaped encasement)를 개시하는데, 쇄기 형태의 부재는 상자에 슬라이드 할 수 있게 끼워 맞춰지며 볼 베어링과 같은 마찰-저감 수단에 의해 작용하게끔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상부 부재(upper member)의 윗부분이 가로 또는 도로 레벨 위쪽으로 상승한다. 이러한 상승은 상자에 부착된 유압 실린더(hydraulic cylinder) 및 하부부재(lower member)의 활성화에 반응하는 것이다. 미국 제5267808A 호에는 접을 수 있고 펼칠 수 있으며(retractable and extendable)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차량 과속 방지턱을 개시한다. 이것은 차량 속도를 감지하거나 탐지하는 센서와, 과속 방지턱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액츄에이터 및 과속 방지턱이 활성화되게끔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에 반응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접이식 과속 방지턱의 또 다른 설계는 미국특허 제7011470 B1A호 이다. 하우징이 도로에 매립되어 있거나 도로 윗부분의 램프(ramp)에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은, 속도 센서에 의해 탐지되는 차량의 속도에 반응하여 하우징 위쪽으로 펼쳐지는 접이식 금속 용기(retractable canister)를 가진다.
미국 제2003053860 A1 호는, 접이식 제한 표면(retractable restriction surface)을 사용하는 자동차에 임피던스(impedance)를 제공하거나 철회하도록, 저장볼륨(reservoir volume)과 활성볼륨(active volume)사이를 유체가 이동하는, 유체가 채워진 접이식 과속 방지턱을 개시한다.
일단이 힌지식으로 된 피봇식 램프 요소(pivoting ramp element)를 포함하는 가변적인 과속 방지턱 장치가 미국 제6010277 A 호에 개시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 및 실린더 어셈블리가 피봇식 램프 요소와 유량 조절 밸브를 지지한다. 유량 조절 밸브(flow control valve)는 피봇식 램프 요소의 반응을 제어하도록 작동한다.
미국 2002001505 A1은 자동으로 속도에 감응하는 과속 방지턱을 개시하는데, 상기 과속 방지턱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전방 플레이트 및 상승된 위치를 향해 전방 플레이트를 바이어스하는 스프링을 지닌다. 잠금 메카니즘(lock mechanism)은, 소정의 속도 이상의 속도로 운행하는 차량의 타이어에 의해 충격이 가해질 때, 전방 플레이트가 상승된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도록 한다. 차량이 소정 속도 이하로 운행할 때, 전방 플레이트는 상승된 위치에서 고정되지 않으며, 차량이 부딪히는 느낌을 받지 않도록 수평 위치로 접혀진다.
전술한 논의에서와 같이, 차량의 교통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설계의 과속 방지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에 설치될 때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고, 제한 구역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될 때에는 장애물로써 이용하는 높이 조절가능한 과속 방지턱을 제공하기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에 설치되는 경우에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고, 제한 구역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는 장애물로써 이용하는 높이 조절가능한 과속 방지턱이 제안되어 있다. 과속 방지턱(speed bump)은 휴대용(운반할 수 있는) 몸체(body)를 포함한다. 몸체 높이(elevation)는 과속 방지턱(speed bump) 또는 장애물(barrier)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조절가능하다. 또한 상기 과속 방지턱은 용이하게 설치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과속 방지턱은, 센서를 통과하는(pass over) 물체의 수량을 추적하기 위해, 몸체 상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센서는 추적 정보를 컴파일 한다. 이러한 정보는, 교통(량)이 얼마나 분주한가를 분석하는 것, 차량 주차 구역을 제어하는 것,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는 압력센서(pressure sensor)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는 광학센서(optical sensor)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는, 추가적인 사용을 위해 추적 정보(tracking information)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저장하기 위한 원격 전자 수신 수단(remote electronic receiving means)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모듈식(modular)으로 되어 있다. 적어도 2개의 측면부분(side portions)은, 사용되는 동안에, 중간부분(middle portion)과 결합되는데, 이러한 결합(mating)은 2개의 측면부분과 중간부분 사이의 돌기 및 홀을 통해 이루어진다. 2개의 측면부분(side portions)은 일정한 거리로 떨어져 있으며, 중간부분은 측면부분들 사이에 수용된다. 중간부분은, 대향하는 제2 면(second face)보다 더 많이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1 면(first face)를 지니는데, 위쪽을 향하는 양쪽 측면을 지닌 2개의 측면부분과 결합할 수 있으므로, 몸체는 위쪽으로 향하는 제1 면과 함께 바닥 층(bottom layer) 상에 설치되고, 그 높이는 제2 면이 위쪽으로 향하고 있을 때 보다 더 높다. 이러한 배열은, 필요 조건에 좌우되며, 다른 높이를 달성하는 단순한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모듈식 구조는 운반 및 보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부분은, 돌기 및 홀들 사이의 결합의 변화에 따라 높아질 수 있다. 각각의 측면부분에 수용되는 홀들은, 다수의 레벨에 의해 중간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부분의 돌기보다 더 수량화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식 몸체(modular body)는, 적어도 2개의 측면부분 및 중간부분을 포함한다. 2개의 측면부분은, 사용되는 동안에 일정 거리로 떨어져 있으며, 그들 사이에 중간부분이 수용된다. 리드스크류(leadscrew)에 의해 작동되는 잭스크류(jackscrew)는 중간부분 내에 제공되고, 중간부분은 잭스크류의 탑 노드(top node)에 놓여지므로, 중간부분은 리드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2개의 측면부분과는 독립적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더 높이 상승하는 중간부분은 차량이 더 빨리 속도를 낮추도록 한다. 이러한 모든 것들은 제어장치 내부의 스위치에 의해 완료된다. 그리고 동시에 중간부분은 또한 다른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장애물로 사용할 때에는 높이를 더 높여서 제한구역(restricted area)을 더 잘 보호할 수 있게 한다.
중간부분 상승의 다른 실시예는 공압 리프트 메카니즘(pneumatic lift mechanism)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중간부분 상승의 또 다른 실시예는 스프링 및 케이블(spring and cable) 메카니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과속 방지턱을 사용하여 차량 주차구역(vehicle parking area)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차량의 주차구역 입구에 방지턱(bump) 겸 장애물을 놓는(설치) 단계 및 센서를 통과하는 차량과 같은 물체(objects)들의 수량을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차량 주차구역이 비어있는 상태는 주차구역 내의 표시수단(indicating means)에 의해 표시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과속 방지턱을 사용하여 특정 지점(specific location)에서의 교통(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과속 방지턱은, 방지턱을 통과하는 차량과 같은 물체의 수량을 추적하기 위해 특정 지점에 놓여져서, 교통(량)에 대한 개선 조치를 실행하기 위해 추적 정보를 분석한다.
본 발명은 일부 새로운 특징들 및 부품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데, 이후에서는 첨부 도면으로 본 발명을 충분히 설명하고 예시하고 있으며, 특히 첨부된 청구항에서 지적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을 버리지 않거나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도 상세설명에서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가능한 과속 방지턱은, 도로에 설치도리 때는 차량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자동차 속도제한 구역을 블록킹하기 위해 사용될 때는 장애물로써 이용할 수 있다.
하기의 도면들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동일한 참조부호는 전부 동일한 부품으로 인용된다. 도면은 축척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으며, 대신에 발명의 원리를 예증하는데 중점을 둔다. 상세 설명, 첨부 청구항 및 도면을 고려해보면, 본 발명의 장점 및 다양한 실시예들은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 방지턱의 평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1 배열(first arrangement)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라인 X-X'를 따라서 절개한 과속 방지턱의 단면도이다.
도 2c 및 도 2d는, 도 2a 및 도 2b를 대안적으로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라인 X-X'를 따라서 절개한 과속 방지턱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잭스크류를 지니고 있으며,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2 배열(second arrangement)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라인 Y-Y'를 따라서 절개한 과속 방지턱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잭스크류에 의해 상승되지 않을 때, 도 3a의 라인 X-X'를 따라서 절개한 과속 방지턱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잭스크류에 의해 상승되었을 때, 도 3b의 라인 X-X'를 따라서 절개한 휴대용(운반할 수 있는) 과속 방지턱의 단면도이다.
도 5는, 공압 리프트 수단(pneumatic lift means)을 사용하여,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3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스프링 및 케이블 메카니즘을 사용하여,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4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다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충분하게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므로 당업자들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모든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의 기본 지식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는 것을 유의야 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품들의 부호, 위치, 관계 및 치수에 대한 도면의 확장은, 본 발명이 해석되고 이해되는 하기의 설명 후에 본 기술분야의 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추가로, 특정한 힘, 중량, 강도 및 유사한 필요 요건들에 일치하는 정확한 치수 및 치수 비율 또한 본 발명이 해석되고 이해되는 하기의 설명 후에 본 기술분야의 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 방지턱(speed bump)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1 배열(first arrangement)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라인 X-X'를 따라서 절개한 과속 방지턱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과속 방지턱은 휴대용 몸체(100,portable body)를 나타낸다. 몸체(100)의 높이(290,elevation)는, 과속 방지턱(speed bump) 또는 장애물(barrier)로써 사용하느냐에 좌우되어 조절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수단(130,sensing means)은, 몸체(100) 상에 결합되어 있는데, 센싱수단(130)을 통과하는 물체의 수량을 추적(tracking)하고 추적 정보(tracking information)를 컴파일(compiling)한다. 상기 센싱수단(130)은, 압력센서(pressure sensor) 또는 광학센서(optical sensor) 또는 다른 타입의 센서일 수 있으며, 물체가 위로 통과하는 것을 탐지한다. 센싱수단(130)은, 추적 정보를 무선으로 추적하고 저장하기 위해서 원격 전자 수신기(remote electronic receiv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적 정보는, 개선 조치(improvement measures)를 결정하기 위해서, 특정 도로가 얼마나 분주한가를 분석하거나 평가하기 위해 전파(radio wave)에 의해 지정된 장소나 구역으로 재전송 된다.
바람직하게는, 몸체(100)는, 높이(290)를 조절하기 위해, 모듈식으로 되어 있다. 모듈방식(modularity)은,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카니즘에 의해 달성된다. 적어도 2개의 측면부분(110a,110b,side portions)은, 사용되는 동안에, 중간부분(120,middle portion)과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mating)은 2개의 측면부분(110a,110b)과 중간부분(120) 사이의 돌기(270,projections) 및 홀(275,holes)을 통해 이루어진다. 2개의 측면부분(110a,110b)은 일정 거리로 떨어져 있으며, 중간부분(120)은 측면부분들 사이에 수용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분(120)은, 대향하는 제2 면(260,second face)보다 더 많이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1 면(250,first face)를 지니는데, 위쪽을 향하는 양쪽 측면(either face)을 지닌 2개의 측면부분(110a,110b)과 결합할 수 있으므로, 몸체(100)는 위쪽으로 향하는 제1 면(250)을 지닌 바닥 층(240,bottom layer) 상에 설치되고, 그 높이(290)는 제2 면(260)이 위쪽으로 향하고 있을 때 보다 더 높다. 이것은, 2가지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하기 위해 2개의 다른 높이가 달성되도록, 중간부분(120)의 방향을 수동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매우 단순한 배열이다. 다른 높이는 다른 정도의 속도로 들어오는 차량을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다. 유사하게는, 또한 다른 높이는 다양한 범위의 보호구역을 제한하기 위해 필요하다. 다른 높이(290)을 제공하는 중간부분(120)의 다른 부분(품)은 또한 몸체(100)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따른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부분(120)은, 도 2c 및 도 2d에 의해 묘사된 바와 같이, 돌기(270) 및 홀(275) 사이의 결합의 변화에 따라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측면부분(110a,110b)에 수용되며 홀(275)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벨에 의해 중간부분(120)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부분(120)의 돌기(270)보다 더 수량화(정량화)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의 실시예는, 측면부분(110a,110b)이 접이식(retractable)인 것이 가능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돌기(270)와 홀(275) 사이의 결합을 조절하게끔, 측면부분(110a,110b)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2 배열(second arrangement)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도 1의 라인 Y-Y'를 따라서 절개한 과속 방지턱의 단면도를 나타내는데, 높이(290,elevation)는 적어도 하나의 잭스크류(410,jackscrew)로 조절된다. 도 4a는, 잭스크류에 의해 상승되지 않을 때, 도 3a의 라인 X-X'를 따라서 절개한 과속 방지턱의 단면도이며, 반면에 도 4b는 잭스크류에 의해 상승되었을 때의 경우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식 몸체(100)의 높이(290)는, 리드스크류(420,leadscrew)에 의해 작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잭스크류(410)에 의해 조절된다. 잭스크류(410)은 중간부분(120) 내부(안쪽)에 제공되며, 중간부분(120)은 잭스크류(410)의 탑 노드(430,top node)에 놓여지므로, 중간부분(120)은, 리드스크류(420)와 연결된 노브(440,knob)의 회전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측면부분(110a,110b)과는 독립적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노브(440)는 수동 또는 자동 수단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부분(120)의 높이는 리드스크류(420)의 피치(pitch)에 기반하여 일관되게 변동될 수 있다. 노브(440)의 모든 회전은 선형(linear)으로 되어 중간부분(120)의 높이를 변화시킨다. 또한 노브(440)는 기어 시스템(미도시 됨)과 연계될 수 있는데, 기어 시스템은 다른 기어 비(gear ratio)의 기어들로 구성되어 중간부분(120)의 높이를 선형으로 조절하는데 있어 속도 변화를 허용한다. 기어 시스템(미도시 됨)은, 중간부분(120)의 다른 부분(품)들의 상승을 조절하기 위해, 다수의 잭스크류(120)와 연계될 수 있다. 기어 시스템을 가지고, 보다 지속적으로 과속 방지턱의 높이 변화를 달성할 수 있다.
더 높이 상승하는 중간부분(120)은 차량이 더 빨리 속도를 낮추도록 한다. 이러한 모든 것들은 제어장치 내부의 스위치(미도시 됨)에 의해 완료된다. 그리고, 동시에 중간부분(120)은 또한 다른 스위치(미도시 됨)를 누름으로써 초기 위치(orginal position)로 복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부분(120)은, 과속 방지턱의 높이보다 더 높은 레벨로 상승할 수 있어서, 차량의 입구 또는 출구를 막는 장애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중간부분(120)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측면부분(110a,110b)의 높이 보다 높으며, 중간부분(120)이 상승되기 이전에 지면에 포함될 수(embedded) 있다. 이러한 중간부분(120)의 높이는, 이전 단락에서 설명된, 잭스크류(410) 메카니즘에 의해 당성될 수 있다. 중간부분(120)의 높이를 더 높게 달성시키는 다른 수단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 리프트 메카니즘(500,pneumatic lift mechanism)을 사용하거나 스프링 및 케이블 메카니즘(600)을 사용하는 것이다.
스프링 및 케이블 메카니즘(600)은, 바람직하게는 중간부분(120)을 위쪽으로 향하게 하는 압축 스프링과 같은, 다수의 탄성수단(610,resilient means)으로 구성된다. 전기모터(630)는 케이블(6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풀리(640,pulley)와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케이블(620)은,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 케이블이며, 탄성수단(610)의 바이어스(biasing)에 대하여 중간부분을 지지하도록 중간부분(120)에 부착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중간부분(120)의 높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640)로부터 풀어지는 케이블(620)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과속 방지턱은 차량 주차구역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으며, 과속 방지턱을 통과하는 동안 센싱수단(130)에 의해 감지되는 차량의 수량을 추적하기 위해 차량 주차구역의 바로 입구에 놓여진다. 주차구역이 비어있는 상태는 주차구역 내의 표시수단(indicating means)에 의해 표시된다. 또한 과속 방지턱은, 특정 지점(specific location)에서의 교통(량)을 모니터링하고 컴파일된 추적 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특히 교통(량)에 대한 개선 조치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과속 방지턱은, 개인 주차장을 위한 '주차금지' 장애물로서 또는 도로 분할기(road dividers)로서 또는 교통을 정리(redirecting traffic)하기 위한 또는 안전구역(secured area)을 보호하기 위한 장애물과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될 수 있다. 높이는, 수동으로 또는 원격 조종(remote control)을 사용함으로써, 질주하는 자동차를 정지시킬 때와 같은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비공식적으로 사용함에 있어, 주요 주차장(car park) 소유자는, 주차장 구역으로 들어가고 주차장 구역에서 나가는 차량의 수량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그리고 주차장 사용자에게 얼마나 많은 자동차를 여전히 주차시킬 수 있는지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일정한 사인보드에 신호를 재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법 및 작동 방식의 추가 논의에 있어서, 동일성은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따라서, 사용법 및 작동 방식에 대한 논의는 더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설명은, 예증를 목적으로 설명되는 많은 상세 설명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세부적인 설계에 있어서는 많은 수정과 변경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으며, 구성과 작동은, 청구항에 규정됨으로써,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나타낼 수 있으며, 모든 변경은, 의도된 청구항이 포함하는 동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다.

Claims (10)

  1. 도로에 설치될 때에는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고, 제한 구역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될 때에는 장애물로써 이용하는 조절가능한 과속 방지턱은, 휴대용 몸체(100)를 포함하는데, 상기 몸체(100)는,
    중간부분(120);
    적어도 2개의 측면부분(110a,110b); 을 지니며, 이로 인해 상기 중간부분(120)의 높이(290)는, 과속 방지턱 또는 장애물로서 사용하느냐에 좌우되어,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되,
    몸체(100)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수단(1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수단(130)은, 그 위를 통과하는 물체의 수량을 추적하고, 이로 인해 적어도 하나의 센싱수단(130)은 추적 정보를 컴파일 하며,
    적어도 하나의 센싱수단(130)은, 추적 정보를 처리하여 센싱수단을 통과하는 물체의 수량을 무선으로 전송받고, 전송받은 추적 정보를 분석하거나 평가하여 개선 조치를 결정하기 위해 지정된 장소나 구역으로 무선으로 재전송하기 위한 원격 전자 수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가능한 과속 방지턱.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수단(130)은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가능한 과속 방지턱.
  4.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수단(130)은 광학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가능한 과속 방지턱.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몸체(100)는 높이(290)를 조절하기 위해 모듈식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과속 방지턱은,
    다수의 돌기(270);
    다수의 홀(275);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홀(275) 및 다수의 돌기(270)는, 각각 또는 그 반대로, 중간부분(120) 및 측면부분(110a,110b)에 수용되며;
    중간부분(120)은, 대향하는 제2 면(260) 보다 더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제1 면(250)을 지니고, 위쪽으로 향하는 양쪽 측면을 지니는 다수의 돌기(270) 및 홀(275)을 통해서 측면부분(110a,110b)과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가능한 과속 방지턱.
  7. 제 1항에 있어서,
    몸체(100)는 높이(290)를 조절하기 위해 모듈식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과속 방지턱은,
    다수의 돌기(270);
    다수의 홀(275);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홀(275) 및 다수의 돌기(270)는, 각각 또는 그 반대로, 중간부분(120) 및 측면부분(110a,110b)에 수용되며;
    이로 인해 다수의 홀(275)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벨에 의해 중간부분(120)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다수의 돌기(270)보다 더 수량화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가능한 과속 방지턱.
  8. 제 1항에 있어서,
    몸체(100)는 높이(290)를 조절하기 위해 모듈식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과속 방지턱은,
    리드스크류(420)에 의해 작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잭스크류(410); 를 더 포함하고, 잭스크류(410)는 중간부분(120) 내부에 제공되며, 중간부분(120)은 잭스크류(410)의 탑 노드(430,top node)에 놓여지므로, 상기 중간부분(120)은, 리드스크류(420)와 연결된 노브(440,knob)의 회전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측면부분(110a,110b)과는 독립적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가능한 과속 방지턱.
  9. 제 1항에 있어서,
    몸체(100)는 높이(290)를 조절하기 위해 모듈식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과속 방지턱은,
    중간부분(120)을 상승시키도록 중간부분(120)의 아래에 수용되는 공압 리프트 메카니즘(500,pneumatic lift mechanism)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가능한 과속 방지턱.
  10. 제 1항에 있어서,
    몸체(100)는 높이(290)를 조절하기 위해 모듈식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과속 방지턱은,
    다수의 탄성수단(610);
    중간부분(120)에 부착되는 케이블(620);
    케이블(620)과 연결된 풀리(640);
    풀리(640)로부터 풀어질 수 있는 케이블(62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풀리(640)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모터(630); 를 더 포함하며,
    이로 인해 탄성 수단(610)은 중간부분(120)을 위쪽으로 향하게 하고, 케이블(620)은, 탄성수단(610)의 바이어스에 대하여 중간부분(120)을 지지하도록 하고, 중간부분(120)의 높이는 풀리(640)로부터 풀어질 수 있는 케이블(620)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가능한 과속 방지턱.











KR1020127023725A 2010-02-11 2011-01-28 높이 조절가능한 과속 방지턱 KR101792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MYPI2010000650 2010-02-11
MYPI2010000650A MY163912A (en) 2010-02-11 2010-02-11 Height adjustable speed bump
PCT/MY2011/000009 WO2011099842A2 (en) 2010-02-11 2011-01-28 Height adjustable speed bu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417A KR20120120417A (ko) 2012-11-01
KR101792649B1 true KR101792649B1 (ko) 2017-11-03

Family

ID=44368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725A KR101792649B1 (ko) 2010-02-11 2011-01-28 높이 조절가능한 과속 방지턱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30209169A1 (ko)
EP (1) EP2534305A4 (ko)
KR (1) KR101792649B1 (ko)
CN (1) CN102782217B (ko)
BR (1) BR112012020032A2 (ko)
CA (1) CA2789459C (ko)
MY (1) MY163912A (ko)
SG (1) SG183236A1 (ko)
WO (1) WO2011099842A2 (ko)
ZA (1) ZA2012066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02295B1 (es) * 2012-12-26 2013-12-17 Isastur Servicios, S.L. Badén inteligente escamoteable
CN103132471A (zh) * 2013-01-31 2013-06-05 北京工业大学 一种活塞式可变道路限速控制装置
CN105279974B (zh) * 2014-07-26 2019-11-15 刁心玺 一种道路传感方法,装置及系统
CN104217594B (zh) * 2014-09-28 2016-08-31 贵州大学 车辆计数器
CN104914777A (zh) * 2015-04-12 2015-09-16 合肥翔瑞车库自动化设备有限公司 智能车库管理系统
IN2015CH03866A (ko) 2015-07-28 2015-08-14 Wipro Ltd
US9677232B2 (en) 2015-09-17 2017-06-13 Robert C. Zwerneman Retractable speed barrier
WO2018018030A2 (en) * 2016-07-22 2018-01-25 Eikon Corporation Self-deploying vehicle intrusion barrier
US10233600B2 (en) * 2016-09-17 2019-03-19 James P Janniello Intelligent speed regulator
US9951487B1 (en) * 2016-12-28 2018-04-24 Luis Ricardo Gonzalez De Cosio Leal Elevation mechanism for an articulated platform for streets
CN106758919B (zh) * 2017-03-02 2018-11-02 招商局重庆交通科研设计院有限公司 道路减速带
CN106875748B (zh) * 2017-03-16 2023-03-07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人行横道智能防冲撞系统的控制方法
USD893331S1 (en) * 2018-05-04 2020-08-18 Brady Worldwide Inc Speed bump
USD893332S1 (en) * 2018-05-04 2020-08-18 Brady Worldwide Inc Speed bumps
CN108677781B (zh) * 2018-06-07 2023-06-20 中国矿业大学(北京) 一种公路用防震减速带
CN109164721A (zh) * 2018-08-24 2019-01-08 高福程 一种可根据车速大小自由调整高度的智能减速盒
US11198386B2 (en) 2019-07-08 2021-12-14 Le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headlights in a host vehicle
US11578467B2 (en) 2019-07-10 2023-02-14 Viken Detection Corporation Vehicle barrier apparatus and method with transfer force deployment
US11485197B2 (en) 2020-03-13 2022-11-01 Le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ir quality alert to an occupant of a host vehicle
US20210372062A1 (en) * 2020-06-02 2021-12-02 Lear Corporation Speed bump system having an actuatable speed bump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ctuatable speed bump
US11315429B1 (en) 2020-10-27 2022-04-26 Le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lert to a driver of a host vehicle
US11618520B2 (en) * 2020-11-13 2023-04-04 Victor Hugo Rueda Cableway system that is used to transport occupied vehicles between a pair of transfer stations
CN115506278B (zh) * 2021-06-22 2023-06-30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智能减速系统和减速方法
CN114351620A (zh) * 2022-02-18 2022-04-15 深圳市源鼎华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值守智能停车场道闸
CN114855663A (zh) * 2022-04-14 2022-08-05 广州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用于交叉路口的机非分隔装置及应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861Y1 (ko) * 2005-11-24 2006-02-14 허원권 랙기어와 수밀링을 이용한 맨홀의 높이조절장치
KR100666963B1 (ko) * 2006-09-27 2007-01-10 주식회사 거성이엔지건축사사무소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진출입장치
JP2007303268A (ja) * 2006-04-10 2007-11-22 Univ Kanagawa 可動式車両減速ハンプ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2156A (en) * 1976-03-04 1977-03-15 William Turner Retractable safety speed bump
GB2175335B (en) * 1985-05-20 1988-09-14 Berger Traffic Markings Limite Speed bumps
GB8721786D0 (en) * 1987-09-16 1987-10-21 Mpe Ltd Vehicle barrier
GB9000906D0 (en) * 1990-01-16 1990-03-14 R E Rubber Company Limited Modular speed ramp
FR2660334B1 (fr) * 1990-04-02 1992-08-14 Marchal Georges Borne de voierie escamotable.
US5059060A (en) * 1990-06-28 1991-10-22 Howard Steinhardt Traffic control system
FR2699208B1 (fr) * 1992-12-11 1995-03-24 Rene Anglade Barrière extensible.
FR2705979B1 (fr) * 1993-06-04 1995-08-18 Innovatron Ind Sa Dispositif support d'élément de mobilier urbain escamotable à actionneur électrique.
IL114163A (en) * 1995-06-15 2000-08-13 Follman Aaron Road speed limiting strips
US6457900B2 (en) * 1998-11-04 2002-10-01 Michael L. Bond Speed sensitive automatic speed bump
US6623206B1 (en) * 1999-04-07 2003-09-23 Pmg, Inc. Portable speed bump
GB2357363A (en) * 1999-12-18 2001-06-20 Roke Manor Research Speed bump containing a camera for reading vehicle number plates
CN2438628Y (zh) * 2000-08-23 2001-07-11 李祖科 便携式多功能举升装置
CN1676755A (zh) * 2005-04-28 2005-10-05 王开龙 压缩式路面机动车限速装置
KR20060000015U (ko) * 2006-10-16 2006-11-03 율삼엔지니어링(주) 시간대별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과속방지턱
US7507052B2 (en) * 2007-03-29 2009-03-24 David Gardner Griffiths Speed bump devices
KR100917102B1 (ko) * 2007-07-09 2009-09-15 공철규 자동식 과속방지턱
US7435033B1 (en) * 2008-01-16 2008-10-14 Esbenshade Gary M Vehicle diverting system
CN201362824Y (zh) * 2009-02-11 2009-12-16 高世超 簧压式无震路障
CN201400856Y (zh) * 2009-09-22 2010-02-10 高世超 一种无震路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861Y1 (ko) * 2005-11-24 2006-02-14 허원권 랙기어와 수밀링을 이용한 맨홀의 높이조절장치
JP2007303268A (ja) * 2006-04-10 2007-11-22 Univ Kanagawa 可動式車両減速ハンプ
KR100666963B1 (ko) * 2006-09-27 2007-01-10 주식회사 거성이엔지건축사사무소 와이어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안전진출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34305A4 (en) 2017-06-07
CN102782217A (zh) 2012-11-14
WO2011099842A2 (en) 2011-08-18
SG183236A1 (en) 2012-09-27
EP2534305A2 (en) 2012-12-19
CN102782217B (zh) 2015-05-20
US20130209169A1 (en) 2013-08-15
CA2789459A1 (en) 2011-08-18
ZA201206693B (en) 2013-06-26
KR20120120417A (ko) 2012-11-01
MY163912A (en) 2017-11-15
WO2011099842A3 (en) 2011-12-15
CA2789459C (en) 2018-03-13
BR112012020032A2 (pt)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649B1 (ko) 높이 조절가능한 과속 방지턱
KR102125913B1 (ko) 도로용 연결식 플랫폼에 대한 엘레베이션 메커니즘
US5486065A (en) Traffic speed control unit and assembly
EP3655588B1 (en) Device with electrical or pneumatic actuation of a folding mechanism for encouragement of reduction of vehicle speed
KR100917102B1 (ko) 자동식 과속방지턱
CN113213393A (zh) 用于车辆的剪式升降机
US4342525A (en) Retractable speed bump
US20060233609A1 (en) Energy absorbing bollard system
EP2011923A2 (en) Vehicle speed reducing device
KR100583175B1 (ko) 건축단지 과속 방지턱
AU2005306938A1 (en) Retractable energy absorbing system
CA2827898A1 (en) Leveling railway vehicl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7669679B2 (en) Wheel assembly for decelerating and/or controlling a vehicle
CN109712411B (zh) 信息化自感应控速检测装置及使用方法
KR20090087614A (ko) 어린이 보호구역의 과속 방지 시스템
GB2304769A (en) Traffic calming device
CA2518038C (en) 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unmanned mine vehicle
JP4112565B2 (ja) 道路進入禁止区域内へ侵入の自動車への警告用の突条付きマット
US20030190189A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structural supports
CN211228195U (zh) 一种基于非牛顿流体的智能升降减速带装置
JP3306587B2 (ja) 緩衝式防護柵
JP2967478B2 (ja) ガード装置
KR20220009010A (ko) 경보시스템이 구비된 과속방지턱
WO2021137069A1 (en) Pod vehicle
GB2327696A (en) A Tyre Defl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