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010A - 경보시스템이 구비된 과속방지턱 - Google Patents

경보시스템이 구비된 과속방지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010A
KR20220009010A KR1020200087189A KR20200087189A KR20220009010A KR 20220009010 A KR20220009010 A KR 20220009010A KR 1020200087189 A KR1020200087189 A KR 1020200087189A KR 20200087189 A KR20200087189 A KR 20200087189A KR 20220009010 A KR20220009010 A KR 20220009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ower frame
speed bump
frame
sp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정국
제정모
탁현우
장영훈
정경훈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87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9010A/ko
Publication of KR20220009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1/00Road engineering aspects of Embedding pads or other sensitive devices in paving or other road surfaces, e.g. traffic detectors, vehicle-operated pressure-sensitive actuators, devices for monitoring atmospheric or road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treadles built into the ro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교, 어린이 보호구역과 같은 속도 제한지역의 차량 과속을 감지하고, 이를 주변 보행자에게 알리는 경보시스템이 구비된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노면에 고정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측으로 볼록한 돔 형태로 되어 차량의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는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 상단에 설치되어 상부프레임에 상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부; 상기 하부프레임 상단에 설치되어 차량 통과 시 차량 하중으로 인한 상부프레임에 발생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 상단에 설치되어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압력 발생 시간차를 계산하여 과속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경보시스템이 구비된 과속방지턱{Speed Bump with Alarm System}
본 발명은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교, 어린이 보호구역과 같은 속도 제한지역의 차량 과속을 감지하고, 이를 주변 보행자에게 알리는 경보시스템이 구비된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속방지턱은 차량의 주행속도를 낮추기 위하여 도로의 노면에서 일정 높이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구조물로, 학교나 주택가 등 유동인구가 많은 구역, 어린이 보호구역, 과속으로 인한 교통사고가 잦은 구간에서의 보행자 안전 등 차량으로 인한 사고 방지, 지나친 과속으로 인한 소음 등을 예방한다. 이외에도 주로 공사현장에서도 도로를 가로질러 전력선이나 물의 공급이 필요할 경우에 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임시로 설치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과속방지턱은 대게 원호 형태로 차량 진입과 진출 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양측면 모두 완곡한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재질은 아스콘, 시멘트, 철제판, 합성고무 등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과속방지턱의 표면에 노랑색과 흰색의 띠가 반복되도록 우레탄을 끓여 과속방지턱에 점착시키거나, 노랑색과 흰색의 띠가 반복되도록 과속방지턱에 페인트 칠을 하여 주행중인 차량이 먼 거리에서도 과속방지턱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과속방지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한 속도 이상으로 과속방지턱을 통과하는 차량이 많다. 최근 학교 등 주변에 위치한 어린이 보호구역이나 도로가 좁은 곳에서의 도로변에 차량이 주차가 되어 있는 경우, 보행자와 차량 운전자 서로 인식하기 어려워 갑작스런 보행자 또는 차량의 움직임으로 인해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9190호 ‘노약자용 과속방지턱 알림장치’와 같이 과속방지턱 내부에 신호를 발신하는 발신기를 구비하여, 진입하는 차량에게 과속방지턱이 있음을 알려주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신호를 수신받기 위해서는 차량에 별도로 수신기를 구비하여야 하고, 운전자에 따라서 그 사용의 필요성을 느끼는 경우가 다르기에 차량의 생산에서 기본 장착 장치로 선택되지 않는다. 또한, 운전자에 따라서 네비게이션 등을 통해 사전에 과속방지턱이 있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속도를 줄이지 않고 과속방지턱을 통과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등록특허는 과속방지턱 주변에 위치한 노약자, 어린이 등 보행자에게 과속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어, 과속 차량 접근 시 사전에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10-1358191 B1 ‘완충부재가 구비된 과속방지턱’ KR10-1538915 B1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과속방지턱’ KR10-2116948 B1 ‘역주행 및 과속 방지턱’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과속방지턱을 통과하는 차량의 속도가 소정의 기준 이상이 경우, 이를 주변 보행자에게 알려 과속 차량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경보시스템이 구비된 과속방지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노면에 설치되는 경보시스템을 구비한 과속방지턱은 노면에 고정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측으로 볼록한 돔 형태로 되어 차량의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는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 상단에 설치되어 상부프레임에 상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부; 상기 하부프레임 상단에 설치되어 차량 통과 시 차량 하중으로 인한 상부프레임에 발생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 상단에 설치되어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압력 발생 시간차를 계산하여 과속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프레임은 소정의 간격마다 장방형으로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상단에 센서부가 구비되고, 각 돌출부 사이에 스프링부 및 제어부가 구비되어 차량 통과 시 제어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차량 과속 시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부, 차량 과속 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보시스템이 구비된 과속방지턱은,
상기 과속방지턱을 통과하는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속도가 소정의 기준 이상일 경우, 해당 차량 정보 및 속도를 국토교통부, 주변 경찰서 등으로 전송할 수 있고, 과속방지턱 주변에 위치한 보행자에게 차량이 과속하고 있다는 것을 알림으로써 경각심을 주어 차량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 (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경보시스템이 구비된 과속방지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보시스템을 구비한 과속방지턱은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로의 노면에 설치되어 차량(1)이 상기 과속방지턱(2) 위로 통과한다.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보시스템을 구비한 과속방지턱의 구성은 노면에 고정되는 하부프레임(21); 상기 하부프레임(21)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측으로 볼록한 돔 형태로 되어 차량의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는 상부프레임(22); 상기 하부프레임(21) 상단에 설치되어 상부프레임(22)에 상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부(213); 상기 하부프레임(21) 상단에 설치되어 차량 통과 시 차량 하중으로 인한 상부프레임(22)에 발생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214); 및 상기 하부프레임(21) 상단에 설치되어 센서부(214)를 통해 감지된 압력 발생 시간차를 계산하여 과속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21)은 합성고무 또는 강화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구성되고, 도로에 매립되는 형태가 아닌 장방형의 판재로 구성되어 볼트 등의 부품에 의해 도로에 고정되는 구성으로써 도로를 크게 훼손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프레임(21)은 소정의 간격마다 장방형으로 형성된 돌출부(211)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11) 상단에 센서부(214)가 구비되고, 각 돌출부(211) 사이에는 스프링부(213) 및 제어부가 구비되어 차량 통과 시 제어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참고하여 상기 제어부가 돌출부(211) 측면 등 차량 하중으로 인한 상부프레임 상하 움직임 시 접촉이 되지 않는 하부프레임에 위치하도록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부(214)는 스프링부(213) 상단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22)은 상부에 타이어가 접촉되는 접촉면이 과속방지턱(2)의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중심부가 측부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고, 원호형상으로 곡선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프레임(22)의 상부에 강화패드를 구비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차량 과속 시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부(212) 차량 과속 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미도시)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차량의 축간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축간 거리와 차량으로 인한 상부프레임(22)의 압력 발생 시간 차이를 계산하여 속도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부(213)은 상부프레임(22)와 하부프레임(21) 사이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하부프레임(21)에 대해 상부프레임(22)을 탄성적으로 지탱하여 차량이 상부프레임(22)를 타고 넘어갈 때 하중을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시킨다. 이 경우, 상기 스프링부(213)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적용할 수 있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스프링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215)는 배터리 또는 하부프레임(21)의 일측으로 전선이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 차량
2 : 과속방지턱
21 : 하부프레임
211 : 돌출부
212 : 스피커부
213 : 스프링부
214 : 센서부
215 : 전원부
22 : 상부프레임

Claims (3)

  1. 도로의 노면에 설치되는 과속방지턱에 있어서,
    노면에 고정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측으로 볼록한 돔 형태로 되어 차량의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는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 상단에 설치되어 상부프레임에 상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부;
    상기 하부프레임 상단에 설치되어 차량 통과 시 차량 하중으로 인한 상부프레임에 발생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 상단에 설치되어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압력 발생 시간차를 계산하여 과속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경보시스템을 구비한 과속방지턱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소정의 간격마다 장방형으로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상단에 센서부가 구비되고, 각 돌출부 사이에 스프링부 및 제어부가 구비되어 차량 통과 시 제어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시스템을 구비한 과속방지턱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 과속 시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부와,
    차량 과속 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경보시스템을 구비한 과속방지턱
KR1020200087189A 2020-07-15 2020-07-15 경보시스템이 구비된 과속방지턱 KR202200090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189A KR20220009010A (ko) 2020-07-15 2020-07-15 경보시스템이 구비된 과속방지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189A KR20220009010A (ko) 2020-07-15 2020-07-15 경보시스템이 구비된 과속방지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010A true KR20220009010A (ko) 2022-01-24

Family

ID=8004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189A KR20220009010A (ko) 2020-07-15 2020-07-15 경보시스템이 구비된 과속방지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901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191B1 (ko) 2012-04-26 2014-02-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완충부재가 구비된 과속방지턱
KR101538915B1 (ko) 2015-01-13 2015-07-24 (주)경일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과속방지턱
KR102116948B1 (ko) 2019-11-22 2020-05-29 주식회사 태성이엔지 역주행 및 과속 방지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191B1 (ko) 2012-04-26 2014-02-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완충부재가 구비된 과속방지턱
KR101538915B1 (ko) 2015-01-13 2015-07-24 (주)경일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과속방지턱
KR102116948B1 (ko) 2019-11-22 2020-05-29 주식회사 태성이엔지 역주행 및 과속 방지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649B1 (ko) 높이 조절가능한 과속 방지턱
US3805448A (en) Vehicular traffic control apparatus
KR20220009010A (ko) 경보시스템이 구비된 과속방지턱
KR20190057595A (ko) 스마트 방지턱
KR100646683B1 (ko) 보행자 감지기능을 가진 도로 횡단보도.
US20190096246A1 (en) Compact modular wireless sensing radar infrastructure device
WO2021001588A1 (es) Dispositivo de protección de peatones destinado a ser instalado en una entrada de paso de peatones
KR102246940B1 (ko) 경계석 안전장치
US20220316158A1 (en) Directional warning system and method
US20060039751A1 (en) Highway marker
KR102110051B1 (ko) 경계석 안전장치
JP4112565B2 (ja) 道路進入禁止区域内へ侵入の自動車への警告用の突条付きマット
KR100961607B1 (ko) 조립식 차선규제봉
KR100618203B1 (ko) 안개지역 도로를 위한 도로 주행 안전장치.
KR100955063B1 (ko) 과속 방지턱 및 이를 갖는 도로 시설물
KR200189319Y1 (ko) 과속방지장치
KR102004301B1 (ko) 압전 하베스터를 이용한 도로 안전경고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04302B1 (ko) 도로 안전경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안전경고 방법
KR100208143B1 (ko) 횡단보행자 감지장치가 구비된 교통 신호등
KR102181472B1 (ko) 트램 혼용차로에서의 도로면 안전장치
KR100835849B1 (ko) 자동차 과속방지 시스템
KR102233259B1 (ko) 차량 주행도로의 위험구간 시야확보용 주변차량 인식장치 및 주변차량 인식방법
KR100584676B1 (ko) 무인운반차의 범퍼장치
JP2004332321A (ja) 発音機能を有する側溝構造
CN214061330U (zh) 一种具有提示功能的公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