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560B1 -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 - Google Patents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560B1
KR101791560B1 KR1020170056802A KR20170056802A KR101791560B1 KR 101791560 B1 KR101791560 B1 KR 101791560B1 KR 1020170056802 A KR1020170056802 A KR 1020170056802A KR 20170056802 A KR20170056802 A KR 20170056802A KR 101791560 B1 KR101791560 B1 KR 101791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
cooking
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규
Original Assignee
(주)조이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이쿡 filed Critical (주)조이쿡
Priority to KR1020170056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41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air fr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Abstract

조리대상물을 가열하는 열원의 열손실이 최소화되어 에너지 효율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하부가 외기와 연통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형성된 관통형 중공의 내주를 따라 구비되되 전원 공급에 따라 가열되는 발열히팅부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향식 자연대류시키는 가열부; 상기 관통형 중공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가열된 공기가 유입되어 대류되는 조리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밀폐식 조리부; 및 상기 가열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상기 가열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되 동심원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열커버로 구비되는 열손실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열커버의 내주 및 상기 가열부의 외주 사이에는 상기 가열부의 몸통으로부터 전도된 열기의 열량을 흡수한 공기가 상향식 자연대류되는 보온관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열손실방지부의 상부에는 상기 보온관통공간 및 상기 관통형 중공으로부터 대류되는 공기가 상호 합류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개구면적이 협소화되는 합류가이더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electric cooker of natural convection type}
본 발명은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대상물을 가열하는 열원의 열손실이 최소화되어 에너지 효율이 개선된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 방식 중에서 구이 방식은 생선 또는 육류 등의 조리대상물의 내부 육질이 적당한 수분을 함유하게 되면서도 표면은 바삭하게 되어 요리의 식감이 개선된다. 또한, 조리 방식 중에서 구이 방식은 조리대상물이 그을림에 의해 고유의 향을 갖게 되는 바, 요리의 풍미가 개선된다. 따라서, 식감 및 풍미를 중시하는 생선 또는 육류 요리의 대부분이 구이 방식으로 조리되고 있다.
한편, 전통적인 구이 방식은 숯불 등의 직화로써 석쇠에 얹혀진 조리 대상물을 직접 가열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전통적 구이 방식은 구이의 참맛을 즐길 수 있는 것이었으나, 숯불 등의 직화 마련 및 취급이 쉽지 않아 일반 가정에서는 즐기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 가정 내에서는 전기 구이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조리대상물을 조리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전기 구이 방식은 열원으로부터 발열되는 열기의 일부가 상기 조리대상물에 순환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열손실이 발생하여 제품의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열원의 열손실에 의해 상기 조리대상물이 안정적으로 조리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조리시간이 증가되어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66190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리대상물을 가열하는 열원의 열손실이 최소화되어 에너지 효율이 개선된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가 외기와 연통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형성된 관통형 중공의 내주를 따라 구비되되 전원 공급에 따라 가열되는 발열히팅부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향식 자연대류시키는 가열부; 상기 관통형 중공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가열된 공기가 유입되어 대류되는 조리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밀폐식 조리부; 및 상기 가열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상기 가열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되 동심원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열커버로 구비되는 열손실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열커버의 내주 및 상기 가열부의 외주 사이에는 상기 가열부의 몸통으로부터 전도된 열기의 열량을 흡수한 공기가 상향식 자연대류되는 보온관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열손실방지부의 상부에는 상기 보온관통공간 및 상기 관통형 중공으로부터 대류되는 공기가 상호 합류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개구면적이 협소화되는 합류가이더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열손실방지부의 내주 및 상기 가열부의 외주 사이에는 훈증재료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훈증용기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그리고, 상기 밀폐식 조리부는 상부에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며 상기 조리대상물의 기름이 하부로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조리용 팬과, 상기 조리용 팬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조리공간이 형성되는 팬커버부와, 상기 팬커버부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조리공간에 가열된 공기의 순환 대류가 가이드되는 대류가이더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안착되며 측면부에 공기유동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기름이 수용되는 기름수용부가 형성되는 기름받이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단의 테두리에 형합되는 복수개의 안착리브가 외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돌설된 안착지지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열부의 하부에는 상기 발열히팅부로부터 방사되는 복사열에 의해 가열되도록 상기 관통형 중공에 대면 배치되는 대류유도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조리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발열히팅부는 축방향을 향해 내주를 따라 코일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열부에 형성된 관통형 중공 내부의 공기가 상향식 자연 대류되어 상기 팬커버부의 내부에 형성된 조리공간에 순환 대류되므로 조리대상물에 열기가 고르게 전달되어 조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가열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된 열손실방지부에는 내부의 공기가 상기 가열부로부터 방열된 열기로부터 열량이 흡수되어 조리대상물의 조리에 사용되도록 대류되므로 에너지 낭비가 최소화되어 제품의 에너지 효율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훈증용기는 내부에 수용된 훈증재료가 기화되어 생성된 증기가 조리대상물에 스며들게 되어 사용자에게 새로운 맛과 향이 제공될 뿐만 아니라 착탈식으로 복수개의 단열커버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기만 하면 증기량이 조절되므로 조리성 및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대류유도부는 상기 관통형 중공에 대면 배치되어 발열히팅부로부터 방사되는 복사열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도 인접하는 공기가 예열되어 대류되므로 열손실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발열히팅부의 가열시간이 단축되어 조리시간이 감소되므로 조리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에서 공기의 가열과정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에서 가열된 공기의 합류 및 순환 대류과정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에서 공기의 가열과정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에서 가열된 공기의 합류 및 순환 대류과정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100)는 베이스부(10), 가열부(20) 그리고 밀폐식 조리부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0)는 절연성과 내열성을 가지고 각 구성부품이 일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케이스부(10a)와 케이스커버(10b)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부(10a)는 용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에 연통공간(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통공간(11)에는 상기 가열부(20) 및 외부전원을 상기 가열부(20)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미도시) 등을 포함하는 각종 구성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부(10a)의 바닥면에는 상기 연통공간(11)과 외기가 연통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유입홀(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입홀(12)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는 상기 가열부(2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10a)의 측면에는 상기 가열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가열부(2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치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부(20)는 상기 스위치부(13)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이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발산되는 열기량이 조절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커버(10b)는 뒤집어진 용기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하면부 테두리를 따라 하측을 향해 연장된 측벽부(14)가 상기 케이스부(10a)의 상단부(15)에 형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부(10a)의 상단부(15)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케이스부(10a)의 내부에 구성부품의 설치 후 상기 케이스커버(10b)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조립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측벽부(14)의 내주 및 상기 케이스부(10a) 상단부 (15) 외주에 홈/돌기가 형성되고 상호 끼움 결합될 수도 있으며,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부(10a) 및 상기 케이스커버(10b)는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커버(10b)에는 상면부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상측을 향해 정렬걸림부(16)가 돌설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렬걸림부(16)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기름받이(60)의 하부 테두리가 걸림되어 좌우 요동이 방지되도록 정렬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커버(10b)의 중앙부에는 장착홀(17)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홀(17)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걸림단(18)이 돌설된다.
이때, 상기 걸림단(18)은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협소화되도록 단면 프로파일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걸림단(18)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안착리브(72)가 형합되도록 안착되어 상기 안착리브(72)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이탈됨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열부(20)는 내부에 관통형 중공(21)이 형성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단열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열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장착홀(17)에 삽입되어 상단부의 일측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형 중공(21)의 테두리, 즉 상기 가열부(20)의 내부에는 발열히팅부(2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발열히팅부(22)는 상기 스위치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며, 전원 공급에 따라 발열되도록 구동된다. 이때, 상기 발열히팅부(22)는 시즈 히터(sheath heater)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즈 히터는 금속 보호관에 전열선을 코일 형상으로 내장하고 절연 분말인 산화마그네슘이 충진되어 연선과 보호관이 절연되는 관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발열히팅부(22)는 상기 가열부(20)의 축방향으로 내주를 따라 코일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열부(20)에는 상기 발열히팅부(22)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단부 및 하단부 테두리를 따라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히팅장착부(20a)가 돌설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발열히팅부(22)는 실질적으로 상기 관통형 중공(21)의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관통형 중공(21) 내부의 공기(도 4의 c1)가 가열됨에 따라 상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밀폐식 조리부에 공급되도록 전원공급에 따라 상기 관통형 중공(21) 내부의 공기(c1)를 동시에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열히팅부(22)는 상기 가열부(20)의 축방향으로 내주를 따라 코일 형상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관통형 중공(21) 내부의 공기(c1)를 가열할 수 있는 면적이 증가되어 가열 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폭방향으로 넓은 설치 면적이 필요하지 않아 공간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발열히팅부(22)는 상기 가열부(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열부(20)의 내주를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관통형 중공(21) 내부의 공기가 상향식 자연대류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100)는 상기 가열부(20)의 외주를 감싸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열커버를 포함하는 열손실방지부(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열커버가 두개로 구비된 형상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며, 반경방향 내측에서 외측으로 배치된 순서에 따라 제1단열커버(40a), 제2단열커버(40b)로 구분하여 나타낸다.
상세히, 상기 열손실방지부(40)는 상기 제1단열커버(40a) 및 상기 제2단열커버(40b)를 포함하여 구비되되 각 단열커버(40a,40b)는 단열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단열커버(40a)는 상기 가열부(2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단열커버(40a)의 내주에는 상기 가열부(20)가 배치되되, 상기 제1단열커버(40a)는 상기 가열부(20)와 동심원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열커버(40b)는 상기 제1단열커버(40a)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단열커버(40a) 및 가열부(20)가 내주에 배치되되 상기 가열부(20)와 동심원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손실방지부(40)의 내주 및 상기 가열부(20)의 외주 사이에는 보온관통공간(4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열커버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보온관통공간(41)은 상기 각 단열커버의 수량에 대응되도록 분할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온관통공간(41)은 제1단열커버(40a) 및 상기 제2단열커버(40b)에 의해 제1보온관통공간(41a) 및 제2보온관통공간(41b)으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보온관통공간(41a)은 상기 제1단열커버(40a)의 내주 및 상기 가열부(20)의 외주 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열히팅부(22)가 전원공급에 따라 발열되면 상기 가열부(20)의 몸통에 상기 발열히팅부(22)의 열기가 전도되어 상기 제1보온관통공간(41a)측으로 방열(도 4의 h1)된다.
이때, 상기 제1보온관통공간(41a) 내부의 공기(c2)는 상기 제1보온관통공간(41a)측으로 방열된 열기(h1)로부터 열량이 흡수되어 온도가 상승한다. 이때, 온도가 상승된 상기 제1보온관통공간(41a) 내부의 공기(c2)는 상향식 자연대류에 의해 상측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보온관통공간(41b)은 상기 제1단열커버(40a)의 외주 및 상기 제2단열커버(40b)의 내주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원리로 상기 제1단열커버(40a)의 몸통에 전도된 열기가 상기 제2보온관통공간(41b) 측으로 방열(h2)되어 상기 제2보온관통공간(41b) 내부의 공기(c3)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상향식 자연대류에 의해 상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열커버는 수량이 증가될수록 외부로 손실되는 열량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제품의 설계 및 제조 비용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수량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열히팅부(22)로부터 발열되는 열기가 상기 각 단열커버(40a,40b)에 의해 외부로의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각 보온관통공간(41a,41b) 내부의 공기가 단열재로서 사용되므로 에너지 낭비가 최소화되고 제품의 에너지 효율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각 단열커버(40a,40b)는 상호 상이한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단열커버(40b)는 상기 제1단열커버(40a)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단열커버 중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치되는 단열커버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웃하는 단열커버보다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단열커버를 통해 전도되는 열기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감소되어 단열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부(20)의 외주에는 상기 가열부(20) 및 상기 열손실방지부(40)가 상호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이격돌기(23)가 돌설된다.
상세히, 상기 복수개의 이격돌기(23)는 상기 가열부(20)의 외주를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격돌기(23)는 상기 제1보온관통공간(41a)의 폭길이에 대응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각 이격돌기(23)의 단부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의 테두리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손실방지부(40)에는 상기 이격돌기(23)에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관통홀(42a,42b)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단열커버(40a) 및 상기 제2단열커버(40b)에는 외주를 따라 상기 기설정된 각도에 대응되도록 각각 복수개의 제1관통홀(42a) 및 제2관통홀(42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격돌기(23), 상기 제1관통홀(42a) 및 상기 제2관통홀(42b)이 상호 정렬되도록 배치된 후 상기 결합홈의 나사산에 나사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43)가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가열부(20) 및 상기 열손실방지부(40)는 내부에 상기 보온관통공간(41)이 형성되도록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열손실방지부(40)에는 상기 가열부(20) 및 상기 열손실방지부(40)가 상기 케이스부(10a)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지지부재(44)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재(44)는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부(10a)의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지지부재(44)의 일단부에는 상기 케이스부(10a)의 하부에 배치되어 하면부를 지지하는 받침부재(19)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44)의 일단부와 상기 받침부재(19)는 상기 유입홀(12)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제2체결부재(19a)가 나사 체결됨에 따라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44)의 타단부에는 상측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 연장된 연장지지부(44a)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장지지부(44a)는 상기 열손실방지부(40)에 포함된 단열커버 중 가장 직경이 큰 단열커버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지지부(44a)는 외면이 상기 제2단열커버(40b)의 내주 및 외주 중 어느 일측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제3체결부재(46)가 나사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2단열커버(40b)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가열부(20) 및 상기 열손실방지부(40)는 상기 연장지지부(44a)에 의해 상기 케이스부(10a)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 상태로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재(4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20) 및 상기 열손실방지부(40)는 상기 연통공간(11) 및 상기 관통형 중공(21)이 상호 연통된 상태로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재(44)에 의해 고정되므로 상기 연통공간(11)에 유입된 외기가 상기 가열부(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관통형 중공(21)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부(20)의 하부에는 대류유도부(47)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대류유도부(47)는 상기 가열부(20)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류유도부(47)는 상기 관통형 중공(21)에 대면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가열부(20)의 하단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류유도부(47)는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재(44)에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단열커버(40b)의 내주에 결합된 상기 각 연장지지부(44a)의 끝단부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고정연장부(44b)가 절곡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고정연장부(44b)의 단부는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대류유도부(47)의 테두리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단열커버(40b)의 하단부는 상기 대류유도부(47)가 상기 제2단열커버(40b)의 내주 측에 상기 가열부(20)의 하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가열부(20)의 하단부보다 하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열손실방지부(4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단열커버 중 가장 큰 직경을 가지고 최외곽에 배치되는 단열커버의 하단부는 상기 가열부(20)의 하단부보다 더 낮은 높이에 배치되도록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대류유도부(47)는 상기 제2단열커버(40b)의 하단측 내주에 배치되되 상기 가열부(20)의 하단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관통형 중공(21)이 상기 연통공간(11)과 상호 연통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대류유도부(47)는 전원 공급에 따라 발열되는 상기 발열히팅부(22)의 하부측으로부터 방사되는 복사열(r)에 의해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대류유도부(47)는 열전도성이 좋은 구리,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가열부(20)의 하부에 대면되는 상기 대류유도부(47)의 내면은 상기 복사열(r)의 흡수가 용이한 흑색 계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대류유도부(47)는 상기 발열히팅부(22)의 복사열(r)이 원활하게 흡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류유도부(47)에 인접하는 공기(c4)는 상기 대류유도부(47)로부터 열량이 흡수되어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자연대류에 의해 상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류유도부(47)는 상기 인접하는 공기(c4)가 상기 관통형 중공(21)을 향해 집중되도록 상기 가열부(20)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되 상기 제2단열커버(40b)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중앙부에 오목홈부(47a)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오목홈부(47a)는 하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열히팅부(22)의 하부와 대면되는 부분의 단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열전도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온도가 상승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홈부(47a)의 표면으로부터 방열되는 열량을 흡수하여 대류되는 공기가 상기 오목홈부(47a)에 의해 유동방향이 상기 관통형 중공(21) 측으로 유도되어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홀(12)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상기 대류유도부(47)에 의해 예열되고, 예열된 상기 대류유도부(47)에 인접하는 공기(c4)가 상기 관통형 중공(21)측으로 지속적으로 대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열히팅부(22)로부터 발열되는 상기 복사열(r)의 손실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상기 대류유도부(47)는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도 자연대류가 유도되도록 공기를 예열하므로 에너지 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관통형 중공(21)에는 온도가 상승되도록 예열된 상기 대류유도부(47)에 인접하는 공기(c4)가 유입되어 상기 발열히팅부(22)에 의해 가열되므로 가열시간이 단축되어 조리시간이 감소되므로 조리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대류유도부는 전원공급에 따라 가열되는 발열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발열수단은 상기와 같은 원리로 상기 가열부(20)의 하부 측 연통공간(11)의 공기를 예열하여 상기 가열부(20) 측으로 대류되도록 링 형상의 전열선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대류유도부는 송풍팬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송풍팬은 상기 관통형 중공(21)에 대면되도록 배치되어 구동됨에 따라 상기 연통공간(11)에 유입된 공기가 상기 관통형 중공(21)측을 향해 강제 대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밀폐식 조리부에 가열된 공기가 더욱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에는 상기 가열부(20)로부터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밀폐식 조리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밀폐식 조리부라 함은 조리대상물이 조리되도록 가열된 공기가 일측에 순환 대류되되 상기 조리대상물에 열기를 전달하여 냉각된 공기는 타측으로 배출되도록 반밀폐형 공간이 형성되는 조리부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밀폐식 조리부는 상기 관통형 중공(21)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조리공간(32a)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밀폐식 조리부는 기름받이(60), 안착지지부(70), 조리용 팬(31), 팬커버부(32) 그리고 대류가이더부(3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기름받이(60)는 용기 형상으로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밀폐식 조리부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이 수용되도록 기름수용부(6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름받이(60)의 상단 테두리에는 계단형 단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복수개의 안착단(65a,65b)을 포함하는 다단안착부(65)가 형성되며, 상기 밀폐식 조리부의 구성 부품이 상단부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름받이(60)의 측면부에는 복수개의 공기유동홀(62)이 관통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기름받이(60)의 내부 및 외부가 상호 연통되어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부(20) 및 상기 열손실방지부(40)는 상기 밀폐식 조리부와의 사이 간격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장착홀(17)을 통해 상단부 일측이 상기 케이스커버(10b)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지지부(7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커버(10b)의 상부로 노출된 상기 가열부(20) 및 상기 열손실방지부(40)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내부에 중공(71)이 형성된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지지부(70)에는 외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안착리브(72)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안착리브(72)의 하단부에는 상기 걸림단(18)에 형합되도록 걸림형합홈(72a)이 함몰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형합홈(72a)은 상기 걸림단(18)의 단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형합홈(72a) 및 상기 걸림단(18)은 상기 안착지지부(70)가 내부에 상기 가열부(20) 및 상기 열손실방지부(40)가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커버(10b)의 상부에 안착되면 상호 형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지지부(70)는 상기 안착리브(72)가 상기 걸림단(18)에 걸림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안착지지부(70)는 내주면이 상기 가열부(20) 및 상기 열손실방지부(40)와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어 열에 의한 변형 내지 파손이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리브(72)에는 상기 기름받이(60)가 안착되도록 형합되는 안착경사부(72b)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경사부(72b)는 제1경사면부(72c)과 제2경사면부(72d)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경사면부(72c)는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경사면부(72d)는 상기 제1경사면부(72c)의 끝단부로부터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경사면부(72d)는 상기 제1경사면부(72c)의 경사각보다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더 큰 경사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경사면부(72c) 및 상기 제2경사면부(72d)가 상호 연결되는 부분이 실질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름받이(60)의 중앙부에는 상기 안착경사부(72b)가 형합되도록 형합경사부(63)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형합경사부(63)는 상기 기름받이(60)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되되 상기 안착경사부(72b)의 단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경사각을 갖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협소화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기름받이(60)가 상기 안착경사부(72b)가 상기 형합경사부(63)의 하부에 형합되어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에 안착되면, 좌우 요동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어느 일측에 집중적으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제1경사면부(72c)에 걸림되어 이탈이 방지되므로 안전성 및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리브(72)의 하단부에는 복수개의 마찰돌기(72e)가 돌설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복수개의 마찰돌기(72e)는 상기 안착리브(72)의 하단부에 폭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마찰돌기(72e)는 상기 케이스커버(10b)의 상면과 상호 접촉되어 상기 안착지지부(70)의 좌우 요동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지지부(70)는 상기 케이스커버(10b)의 상부에 안착되되 상기 복수개의 마찰돌기(72e)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상하 방향이 전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마찰돌기(72e)의 상부에는 냄비 등의 조리용기가 안착되어 상기 가열부(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가 가열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조리대상물이 조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밀폐식 조리부는 상기 기름받이(60), 상기 안착지지부(70), 상기 조리용 팬(31), 상기 팬커버부(32) 및 상기 대류가이더부(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다른 조리용기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열손실방지부(40)의 상부에는 합류가이더부(6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합류가이더부(64)는 상기 단열커버의 상단부에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가열부(20) 및 상기 열손실방지부(40)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합류가이더부(64)가 상기 기름받이(60)에 형성된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상세히, 상기 합류가이더부(64)는 중앙부에 상기 가열부(20)와 대면되도록 합류홀(64a)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형합경사부(63)의 끝단부로부터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개구면적이 협소화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보온관통공간(41a) 및 상기 제2보온관통공간(41b)로부터 대류되는 공기(c2,c3)와 상기 가열부(20) 내부로부터 대류되는 공기(c1)는 상측으로 갈수록 개구면적이 협소화됨에 따라 상기 합류홀(64a)측으로 유동 방향이 가이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합류가이더부(64)의 하부와 상기 가열부(20)의 상부 사이에 형성된 합류공간(64b)에는 상기 제1보온관통공간(41a) 및 상기 제2보온관통공간(41b)로부터 대류되는 공기(c2,c3)와 상기 가열부(20) 내부로부터 대류되는 공기(c1)가 합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합류된 공기는 상기 합류홀(64a)을 통해 상향식 자연대류되며 상기 밀폐식 조리부에 공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열재로서 사용된 상기 각 보온관통공간(41a,41b)의 공기(c2,c3)가 조리대상물(M)의 조리에 사용되도록 상기 합류가이더부(64)에 의해 상기 가열부(20) 내부로부터 대류되는 공기(c1)가 합류되어 상기 밀폐식 조리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열히팅부(22)의 열손실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상향식 자연대류만으로도 상기 조리대상물(M)의 조리가 가능하여 제품의 생산성 및 에너지 효율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리용 팬(31)은 그릴팬, 오븐팬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에 상기 조리대상물(M)이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리용 팬(31)의 중앙부에는 상기 관통형 중공(21)과 연통되도록 유입연통홀(31a)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입연통홀(31a)에는 자연대류에 의해 상향되는 상기 합류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리용 팬(31)은 상기 제1안착단(65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되 상기 제2안착단(65b)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테두리부가 상기 제1안착단(65a)의 상단부에 걸림되어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용 팬(31)에는 상기 조리대상물(M)로부터 생성되는 기름이 하부로 배출되도록 배출홀(31b)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홀(31b)을 통해 배출되는 기름이 하측으로 낙하되어 상기 기름수용부(61)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커버부(32)는 상기 조리용 팬(31)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조리공간(32a)이 형성되도록 뒤집어진 용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팬커버부(32)의 직경은 상기 제1안착단(65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안착단(65b)의 상단부에 걸림되며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팬커버부(32)가 상기 제2안착단(65b)의 상단부에 안착되면 상기 팬커버부(32)의 내부에는 실질적으로 상부가 밀폐되되 하부가 상기 배출홀(31b)에 의해 개구된 반밀폐형 상기 조리공간(3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팬커버부(32)의 하단부에는 대류가이더부(33)가 결합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대류가이더부(33)는 상기 팬커버부(32)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상기 조리공간(32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류가이더부(33)는 상기 관통형 중공(21)과 대면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향식 자연대류에 의해 상측으로 유동된 상기 합류된 공기는 상기 관통형 중공(21)과 대면되도록 배치된 상기 대류가이더부(33)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반사되도록 유동 방향이 가이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류가이더부(33)의 테두리에는 상기 합류된 공기가 상기 조리대상물(M) 측으로 향하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라운드지게 형성된 순환유도부(33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합류된 공기는 상기 대류가이더부(33)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조리공간(32a) 내부에 순환 대류될 수 있으며, 순환 대류되어 상기 조리대상물(M)에 열기를 전달한 공기(c5)는 상기 기름받이(60)의 상기 공기유동홀(6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리대상물(M)에 열기가 고르게 전달되어 조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측으로 대류되는 가열된 공기가 상기 팬커버부(32)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열기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상기 팬커버부(32)가 열기에 의한 변형 등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대류가이더부(33)는 상기 조리용 팬(31)의 중앙부에 형성된 유입연통홀(31a)을 통해 상기 합류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조리대상물(M)로부터 발생되는 기름 내지 수분 등의 낙하로 인한 고장 내지 오염 등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손실방지부(40)의 내주 및 상기 가열부(20)의 외주 사이에는 훈증용기(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훈증용기(80)는 용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8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81)에는 참나무칩, 쥬스, 와인 등의 훈증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훈증용기(80)는 상기 열손실방지부(40)의 외면 일측에 착탈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열손실방지부(40)가 복수개의 단열커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훈증용기(80)는 복수개의 단열커버 중 어느 하나에 착탈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훈증용기(80)에는 상기 단열커버의 상단 테두리가 내측으로 걸림되는 용기장착부(82)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용기장착부(82)에 상기 제1단열커버(40a)의 상단 테두리가 걸림되어 상기 훈증용기(80)가 상기 제1단열커버(40a)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장착되면, 상기 훈증용기(80)는 상기 제1보온관통공간(41a)의 테두리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훈증용기(80)는 상기 가열부(20)로부터 방열되는 열기(h1) 및 상향식 자연대류되는 상기 제1보온관통공간(41a) 내부의 공기(c2)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81)에 수용된 훈증재료가 기화되어 생성된 증기가 상향식 자연대류되는 상기 제1보온관통공간(41a) 내부의 공기(c2)와 혼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밀폐식 조리부의 내부에서 조리되는 상기 조리대상물(M)에는 상기 훈증재료의 향이 스며들어 사용자에게 새로운 맛과 향이 제공될 수 있으므로 조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훈증용기(80)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장착될수록 열기가 감소되므로 상기 훈증재료가 기화되어 생성되는 증기량이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훈증용기(80)가 상기 제2보온관통공간(41b)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훈증용기(80)로부터 생성되는 증기량이 상기 제1보온관통공간(41a)에 구비되는 경우보다 적게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쉽게 착탈식으로 상기 훈증용기(80)를 상기 복수개의 단열커버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기만 하면 증기량이 조절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베이스부 11: 연통공간
18: 걸림단 20: 가열부
21: 관통형 중공 22: 발열히팅부
31: 조리용 팬 32: 팬커버부
33: 대류가이더부 40: 열손실방지부
41: 보온관통공간 47: 대류유도부
60: 기름받이 64: 합류가이더부
80: 훈증용기 100: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

Claims (5)

  1. 하부가 외기와 연통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형성된 관통형 중공의 내주를 따라 구비되되 전원 공급에 따라 가열되는 발열히팅부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향식 자연대류시키는 가열부;
    상기 관통형 중공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가열된 공기가 유입되어 대류되는 조리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밀폐식 조리부; 및
    상기 가열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상기 가열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되 동심원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열커버로 구비되는 열손실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열커버의 내주 및 상기 가열부의 외주 사이에는 상기 가열부의 몸통으로부터 전도된 열기의 열량을 흡수한 공기가 상향식 자연대류되는 보온관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열손실방지부의 상부에는 상기 보온관통공간 및 상기 관통형 중공으로부터 대류되는 공기가 상호 합류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개구면적이 협소화되는 합류가이더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손실방지부의 내주 및 상기 가열부의 외주 사이에는 훈증재료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훈증용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식 조리부는
    상부에 조리대상물이 안착되며 상기 조리대상물의 기름이 하부로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조리용 팬과,
    상기 조리용 팬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상기 조리공간이 형성되는 팬커버부와,
    상기 팬커버부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조리공간에 가열된 공기의 순환 대류가 가이드되는 대류가이더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안착되며 측면부에 공기유동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기름이 수용되는 기름수용부가 형성되는 기름받이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단의 테두리에 형합되는 복수개의 안착리브가 외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돌설된 안착지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하부에는 상기 발열히팅부로부터 방사되는 복사열에 의해 가열되도록 상기 관통형 중공에 대면 배치되는 대류유도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
KR1020170056802A 2017-05-04 2017-05-04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 KR101791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802A KR101791560B1 (ko) 2017-05-04 2017-05-04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802A KR101791560B1 (ko) 2017-05-04 2017-05-04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560B1 true KR101791560B1 (ko) 2017-10-30

Family

ID=6030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802A KR101791560B1 (ko) 2017-05-04 2017-05-04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5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354B1 (ko) 2006-11-30 2007-07-10 하명복 오븐
KR101340648B1 (ko) 2012-08-14 2013-12-12 최성택 조리기구
KR101508240B1 (ko) 2014-01-23 2015-04-07 주식회사 해피콜 직화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354B1 (ko) 2006-11-30 2007-07-10 하명복 오븐
KR101340648B1 (ko) 2012-08-14 2013-12-12 최성택 조리기구
KR101508240B1 (ko) 2014-01-23 2015-04-07 주식회사 해피콜 직화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7471B2 (ja) 炊飯器
KR101415926B1 (ko) 구이 용기
KR101826787B1 (ko) 다용도 복합 조리기
WO2016099081A1 (ko) 양방향 가열조리기
KR200469933Y1 (ko)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
KR101791560B1 (ko) 자연대류식 전기조리기
KR200475796Y1 (ko) 직열구이냄비
KR200406372Y1 (ko) 열기 유도커버가 구비된 조리용 솥
KR101836984B1 (ko) 숯불 화로
JP4179252B2 (ja) 組込式誘導加熱調理器
KR101285707B1 (ko) 냄새 제거용 조리용기
KR20039364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20180002542U (ko) 구이용 로스팅장치
KR20039116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101040024B1 (ko) 탄소섬유발열체를 이용한 다목적 가열기
KR101728660B1 (ko) 전자렌지용 취사 용기
KR200350884Y1 (ko) 테이블용 전기식 로스터
KR102562613B1 (ko) 가정용 조리기구
KR200464310Y1 (ko) 조리 용기
KR101544367B1 (ko)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내장 받침대
JP6289393B2 (ja) 炊飯器
KR20190092045A (ko) 전기구이기구
KR101051550B1 (ko) 직화 오븐기
KR101131541B1 (ko) 직화 조리기
KR200492753Y1 (ko) 보조 용기가 구비된 직화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