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132B1 - 콜라겐 수식 리포솜으로 이루어지는 화장료 기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 Google Patents

콜라겐 수식 리포솜으로 이루어지는 화장료 기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132B1
KR101789132B1 KR1020100067944A KR20100067944A KR101789132B1 KR 101789132 B1 KR101789132 B1 KR 101789132B1 KR 1020100067944 A KR1020100067944 A KR 1020100067944A KR 20100067944 A KR20100067944 A KR 20100067944A KR 101789132 B1 KR101789132 B1 KR 101789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liposome
water
ski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6664A (ko
Inventor
츠요시 코지마
신이치 코지마
히로유키 요시카와
토모미 카즈모리
테루히사 카네코
치히로 카이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페이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페이스
Publication of KR20110036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1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콜라겐 본래가 가지는 3중 나선구조를 손상하지 않고, 피부에의 친화성, 및 저류성을 향상시켜, 피부 화장료로서 사용했을 때의 피부의 수분 유지능력의 향상, 및 결합수량의 향상을 도모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보습효과를 발휘시킨다.
3중 나선구조를 가지는 수용성 콜라겐으로 표면 수식된 리포솜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기제.

Description

콜라겐 수식 리포솜으로 이루어지는 화장료 기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COSMETIC BASE COMPRISING COLLAGEN-MODIFIED LIPOSOME AND SKIN COSMETIC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콜라겐 수식 리포솜으로 이루어지는 화장료 기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콜라겐이란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섬유상 단백질로서, 피부 조직 중에서는 진피의 주성분이 콜라겐이다. 정상적인 피부의 콜라겐은, 이른바 피부에서의 지주(支柱)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고, 표피를 확실히 지지하고 있어 피부의 탄력성이나 탱탱함을 가져다 준다. 이 콜라겐은, 3중 나선구조를 하고 있고, 그 구조 형상에 의해, 수분 유지능력이 매우 높으며, 또한 결합수(結合水)량도 높다고 알려져 있다.
종래, 이 콜라겐의 높은 수분 유지능력에 의한 보습효과를 기대하여, 많은 피부 화장료, 및 서플리먼트 등이 개발되어 있지만, 콜라겐의 평균 분자량이 약 20만~약 40만으로 매우 높기 때문에, 각 제제(製劑)에의 용해성의 향상, 피부에의 침투 개선에 대해서는, 가열처리하여 용해성을 향상시킨 젤라틴, 또는 그 젤라틴을 절단 처리하여 얻어지는 저분자 젤라틴(이른바 가수분해 콜라겐)으로 대응되고 있다.
하기 비특허문헌은, 모두 소수성의 장쇄 알킬기 혹은 콜레스테롤을 풀루란 등의 다당류에 화학적으로 결합시키고, 이들 소수기 수식 다당류와 리포솜을 혼합함으로써, 소수성 기가 리포솜 막에 자발적으로 흡수되어, 소수기 수식 다당류에 의해 피복된 리포솜이 조제된다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리포솜 내포물의 샘이 억제되어 안정화된다는 기술이다. 또한 이 피복에 의해 리포솜의 혈중에서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콜라겐에 관해 말하자면, 소수성 기를 콜라겐 분자에 도입하는 과정에서 가열공정이 들어가기 때문에, 콜라겐의 3중 나선구조는 파괴되어 버리므로, 이들 비특허문헌에 나타난 기술은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피복방법 및 목적도 다르다. 따라서, 리포솜에의 고분자 물질의 피복이라는 관점에서는 선행기술문헌이라 할 수 있지만, 본 특허와는 피복 기술 및 또는 목적에 있어서 분명히 다른 것이다.
Takada, M., Yuzuriha, T., Katayama, K., Iwamoto, K., Sunamoto, J., Biochim. Biophys. Acta, 802, 237(1984) Sunamoto, J., Iwamoto, K., Takada, M., Yuzuriha, T., Katayama, K., In Polymers in Medicine; Chillini, E., Giusti, P.A., Eds. Plenum Publishing Co. New York, 1984, p.157., Moellerfeld, J., Press, W., Ringsdorf, Hamazaki, H., Sunamoto, J., J. Biochim. Biophys. Acta, 857, 265(1986), Sunamoto, J., Sato, T., Taguchi, T., Hamazaki, H., Macromolecules, 25, 5567(1992)
본 발명의 목적은, 콜라겐 본래가 가지는 3중 나선구조를 손상하지 않고, 피부에의 친화성, 및 저류성(貯留性)을 향상시켜, 피부 화장료로서 사용했을 때의 피부의 수분 유지능력의 향상, 및 결합수량의 향상을 도모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보습효과를 발휘시키는 것이다.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3중 나선구조를 유지한 채의 수용성 콜라겐을 각질층 세포간 지질(脂質)구조와 유사한 2분자막 구조를 가지는 리포솜 표면에 흡착시킨 콜라겐 수식 리포솜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 관한 것이다.
(1)3중 나선구조를 가지는 수용성 콜라겐으로 표면 수식된 리포솜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기제.
(2)3중 나선구조를 가지는 수용성 콜라겐으로 표면 수식된 리포솜의 수용액과 히알루론산 및/또는 가수분해 엘라스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화장료용 기제.
(3)3중 나선구조를 가지는 수용성 콜라겐이 아텔로콜라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화장료용 기제.
(4)동결 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료용 기제.
(5)(1) 내지 (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료용 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화장료.
(6)동결 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에 기재된 피부 화장료.
본 발명의 콜라겐 수식 리포솜은, 물에의 용해성이나 분산성 향상을 위한 화학처리 등을 행하고 있지 않고, 3중 나선구조를 유지한 상태의 수용성 콜라겐을 리포솜에 흡착시킨 것이며, 수분 유지능력이 높은 상태의 콜라겐을 사용하여 피부에 대한 보수(保水)효과가 뛰어난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통상은, 수용성 콜라겐은 그 하전(荷電)상태에 의해 히알루론산과 공존시킴으로써 복합체를 형성해버려, 용액이 불균일한 상태가 되어, 각각의 본래의 보수기능이 부전화(不全化)되어 버린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표면 전하를 컨트롤한 리포솜에 수용성 콜라겐을 흡착시킴으로써, 수용성 콜라겐의 구조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어, 히알루론산이나 가수분해 엘라스틴의 공존하에서 상술한 복합체를 형성하지 않고, 균일하고 안정된 조성물을 얻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한 콜라겐이 가지는 3중 나선구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용액, 겔, 에멀젼 등 자유수(自由水)가 존재하고 있는 제형에 대해서는, 콜라겐의 변성온도(어류: 20-30℃, 포유류: 36-38℃)이하에서 제조, 보관이 이루어짐으로써 그 안정화가 도모된다. 한편, 동결 건조함으로써 자유수를 0%로 하고, 변성온도 이상에 있어서도 3중 나선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시에 수용액을 첨가해 동결 건조 조성물을 분산하여, 피부에 도포하고, 그 후는 변성온도 이하에서 보관·유지하는, 사용시 조제 타입이어도 콜라겐 3중 나선구조를 안정화한 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콜라겐의 3중 나선구조는, 자유수의 존재에 의해 변성온도 이상에서 그 구조가 붕괴되어 젤라틴이 되는데, 가령 물이 존재하고 있어도 그것이 결합수인 한, 변성온도 이상에서도 3중 나선구조가 붕괴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의 화장료용 기제의 콜라겐 수식 리포솜은, 미리 표면 전하를 컨트롤한 리포솜에 수용성 콜라겐을 흡착시켜 표면 처리한 것이다.
리포솜의 표면 전하를 +로 컨트롤하기 위해서는, 리포솜 막의 주성분인 포스파티딜콜린(표면 전하는 0)에 +하전을 가지는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알킬에테르암모늄염 등을 첨가하여 +하전으로 컨트롤한 리포솜을 얻는다.
또한 리포솜의 표면 전하를 -로 컨트롤하기 위해서는, 리포솜 막의 주성분인 포스파티딜콜린(표면 전하는 0)에 -하전을 가지는 디세틸인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딘산 등을 첨가하여 -하전으로 컨트롤한 리포솜을 얻는다.
리포솜의 표면에 흡착시키는 수용성 콜라겐의 전하를 컨트롤하기 위해서는, 효소처리함으로써 +하전을 가지는 콜라겐이 얻어지고, 알칼리처리함으로써 -하전을 가지는 콜라겐이 얻어진다.
리포솜의 분자량은 평균 약 1만~약 300만 사이에서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리포솜의 표면에 흡착시키는 수용성 콜라겐은, 리포솜:콜라겐=1:0.01~1:100, 바람직하게는 1:0.1~1:10의 몰비로 흡착시키면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용성 콜라겐은, 물에의 용해성이나 분산성 향상을 위한 화학처리 등을 행하지 않는 3중 나선구조를 유지한 상태의 콜라겐이다. 수용성 콜라겐의 분자량은 약 20만~약 40만이 바람직하다. 또한 콜라겐 분자의 양 말단에 있는 텔로펩타이드를 제거한 아텔로콜라겐이, 텔로펩티드에 의해 드물게 생기는 알레르기 반응을 배제하는 데 있어 바람직하다.
통상은, 제조·보관의 번잡성 및 물에의 용해성의 향상을 위해, 가열처리한 젤라틴이나 본래의 콜라겐의 분자량을 화학 또는 효소처리 등으로 잘라, 저분자화된 것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용성 콜라겐은, 콜라겐 본래의 3중 나선구조를 유지한 상태의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수분 유지능력이 높다.
본 발명에서의 리포솜이란, 인지질과 물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인지질의 단층 혹은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폐쇄 소포체(小胞體)로서, 세포와의 친화성이 높다. 리포솜의 막 형성 기재로서는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딘산, 리소포스파티딜콜린, 스핑고미엘린, 난황 레시틴, 대두 레시틴 등의 천연 혹은 합성의 인지질 또는 수소첨가 인지질, 콜레스테롤류, 예를 들면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의 알킬에스테르, 피토스테롤, 피토스테롤의 알킬에스테르, 글리세로 당지질, 세틸갈락토사이드와 같은 아실글루코시드, 디세틸인산, 디알킬형 합성 계면활성제, N-아실-스핑고신 또는 그 황산에스테르, N-아실스핑고 당지질, N-고급 아실글루타티온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 외에, 리포솜의 안정화 혹은 상전이 온도의 개선을 위해 다가 알코올, 고급 알코올, 고급 지방산 등을 필요에 따라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리포솜에, 친수성 약효성분 및 또는 친유성 약효성분을 내포시켜도 된다. 친수성 약효성분이나 친유성 약효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항산화제, 항균제, 항염증제, 혈행 촉진제, 미백제, 피부 거침 방지제, 노화 방지제, 보습제, 호르몬제, 비타민제, 색소, 및 단백질류를 들 수 있다.
리포솜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초음파법, 에탄올 주입법, 콜산 제거법, 역상(逆相) 증발법, 익스트루더(extruder)법,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저법(microfluidizer method)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높은 보습효과를 가지는 히알루론산 및/또는 가수분해 엘라스틴과 공존시킴으로써, 수분 유지능력이 뛰어난 고기능 보수 화장료의 제작이 가능해지고, 이것에 의해 건조한 피부에 기인하는 주름, 피부의 턴오버의 조절도 가능해진다.
엘라스틴은, 콜라겐과 함께 목덜미 인대(nuchal ligament), 혈관, 피부 등의 결합 조직에 있는 중요한 단백질인데, 물에는 거의 용해되지 않는 성질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의 가수분해 엘라스틴이란, 목덜미 인대 등을 효소처리 또는 옥살산처리함으로써 물에의 용해성을 향상시킨 가수분해 엘라스틴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콜라겐 수식 리포솜 혹은 콜라겐 수식 리포솜에 히알루론산 및/또는 가수분해 엘라스틴을 배합한 화장료용 기제를 배합하여 피부 화장료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미용액, 유액, 크림, 화장수, 팩, 세안료, 마사지료, 리퀴드 파운데이션, 유화 파운데이션이나 파우더 파운데이션 등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등의 화장료, 및 바디용 화장료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에 있어서, 콜라겐 수식 리포솜의 배합 기준으로서는 피부 화장료 중에 0.001~10wt%이고, 바람직하게는 0.01~5wt%이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에 있어서, 콜라겐 수식 리포솜과 히알루론산 및/또는 가수분해 엘라스틴의 배합 비율에 대해서는, 임의의 비율로 사용되는데, 히알루론산 및/또는 가수분해 엘라스틴의 총 배합 비율에 대해서는, 피부 화장료당 0.001~10wt%가 바람직하고, 0.005~1wt%가 보다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이것을 넘으면, 물에의 분산성이 곤란해져, 분리, 변색, 혹은 악취 등의 안정성, 또한 피부 화장료로서의 관능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에 통상의 화장료에 배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유지류, 탄화수소, 납류, 지방산, 합성 에스테르류 등, 알코올류, 분체, 계면활성제, 증점제, 고분자화합물, 겔화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산란제, 산화 방지제, 색소, 안료, 방부제, 향료, 약제 또는 물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지류로서는 호호바유, 피마자유, 올리브유, 대두유, 야자유, 팜유, 카카오유, 밍크유, 터틀유(turtle oil)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류로서는 유동 파라핀, 바셀린,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 스쿠알렌 등을 들 수 있다.
납류로서는 밀랍, 라놀린,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candelilla wax)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산으로서는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이소스테아린산, 라우린산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에스테르류로서는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부틸,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모노스테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락트산미리스틸, 사과산이소스테아릴,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유지류, 탄화수소, 납류, 지방산, 합성 에스테르류는 통상 합쳐서 피부 화장료당 0~30w/w%의 비율로 배합된다.
알코올류로서는 에탄올,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라우릴알코올,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류는 통상 피부 화장료당 0~25w/w%의 비율로 배합된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류,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야자유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라우릴황산나트륨, 피로글루타민산이소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디알킬술포숙신산, 브롬화세틸피리디늄, 염화-n-옥타데실트리메틸암모늄, 모노알킬인산, N-아실술타민산, N-아실글루타민,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환원 라놀린, 슈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통상 피부 화장료당 0~10w/w%의 비율로 배합된다.
증점제로서는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메틸폴리실록산, 덱스트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라긴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증점제는 통상 피부 화장료당 0~5w/w%의 비율로 배합된다.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피로글루타민산, 아세틸글루타민산, 프로시아니딘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는 통상 피부 화장료당 0~25%의 비율로 배합된다.
방부제로서는 안식향산, 살리실산, 디히드로아세트산 혹은 그들의 염류,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류의 페놀류, 트리클로산 할로카본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는 통상 피부 화장료당 0~0.3w/w%의 비율로 배합된다.
향료는 통상 화장료에 사용하는 것이면 어떤 향료를 사용해도 된다.
안료로서는 산화철,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카올린, 탤크 등을 들 수 있다. 안료는 통상 피부 화장료당 0~5w/w%의 비율로 배합된다.
약제로서는 소맥 배아(胚芽)유, 비타민 A, 비타민 B2, 비타민 E,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 혹은 나트륨, D-판토테닐알코올, 글리시리진산(glycyrrhizinate)디칼륨, 글루타티온(glutathione), UV 흡수제, 킬레이트제, 식물 추출물, 미생물 대사물/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약제는 통상 피부 화장료당 0~5w/w%의 비율로 배합된다.
물로서는 수돗물, 미네랄 워터, 소금물(salt water), 해수, 해양 심층수, 초순수, 극지(極地) 얼음 유래 물, 미네랄 함유수(mineral-containing water),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물은 임의의 비율로 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해양 심층수란, 표면 해수가 침강하고 있고 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저온, 청정하며 영양염이 풍부한 고유수(固有水)로서, 그 취수 해역은 1000~4000m, 바람직하게는 2000~3000m이고, 취수 심도는 250~500m, 바람직하게는 300~400m이다.
해양 심층수는 많은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보습성이 뛰어나고, 또한 침투감이 뛰어나기 때문에, 화장료에 배합시키고 있는 유효 성분의 피부 내로의 침투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피부 화장료의 제형은 임의이며, 예를 들면 가용화계 유화제형 혹은 분산형의 제형을 취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콜라겐의 변성온도 이상에서 보관하기 위해서는, 상술의 화장료용 기제나 피부 화장료를 동결 건조하면 된다. 동결 건조법이란, 삼중점 이하의 압력에서 상(相)변화가 고액 평형선상(solid-liquid equilibrium line)에서 생기고, 수분은 고상(固相)(얼음)으로부터 승화에 의해 직접 기화 제거되어, 수분 제거, 즉 건조가 이루어지는 것을 가리킨다. 이러한 승화에 의한 탈수 건조법을 진공 동결 건조라고 부르는데, 이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물의 존재하에서 온도에 의해 변성하기 쉬운 유효 성분을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콜라겐 수식 리포솜 수용액을 동결 건조함으로써 수분을 제거한 고형분으로 이루어지는 제제를 조제하고, 사용시에 수용액을 첨가해 진탕하여, 콜라겐 수식 리포솜의 균일 분산액을 얻는다. 얼굴의 신경 쓰이는 부분 등에 도포한 후, 분산액은 20℃이하의 조건하에 보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3중 나선구조를 가지는 콜라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또한 리포솜의 침투 과정에 수반하여, 콜라겐의 피부 각질층에의 흡수도 동시에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용성 콜라겐을 수식한 리포솜 수용액
0.9wt%의 난황 레시틴으로 이루어지는 리포솜 수용액을 익스트루더법(extruder method)(M.J.Hope, M.B.Bally, G.Webb and P.R.Cullis, Biochim. Biophys. Acta, Vol.812, 55(1985))으로 조제하였다. 이 리포솜 막은 난황 레시틴:콜레스테롤:디세틸인산=4:4:2(몰비)로 구성되고, pH 7.0에서 -로 하전하고 있었다. 이 리포솜의 평균적인 분자량은 약 50만~약 100만이었다. 18℃에서, 이 수용액과 중성에서 +하전을 가지는 아텔로콜라겐 0.5wt% 수용액을 1:5의 비율로, 교반하면서 상술한 리포솜 수용액에 분자량 약 30만의 아텔로콜라겐 수용액을 적하하고, 또한 1시간 분산기로 교반함으로써, 수용성 콜라겐을 수식한 리포솜 수용액을 얻었다. 5℃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2]
수용성 콜라겐을 수식한 리포솜 수용액
1.2wt%의 난황 레시틴으로 이루어지는 리포솜 수용액을 익스트루더법(M.J.Hope, M.B.Bally, G.Webb and P.R.Cullis, Biochim. Biophys. Acta, Vol.812, 55(1985))으로 조제하였다. 이 리포솜 막은 난황 레시틴:콜레스테롤: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4:4:2(몰비)로 구성되고, pH 7.0에서 +로 하전하고 있었다. 이 리포솜의 평균적인 분자량은 약 50만~약 100만이었다. 18℃에서, 이 수용액과 중성에서 -하전을 가지는 분자량 약 30만의 아텔로콜라겐 0.5wt% 수용액을 2:5의 비율로, 교반하면서 상술한 리포솜 수용액에 아텔로콜라겐 수용액을 적하하고, 또한 1시간 분산기로 교반함으로써, 수용성 콜라겐을 수식한 리포솜 수용액을 얻었다. 5℃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3]
수용성 콜라겐을 표면 수식한 리포솜과 히알루론산, 가수분해 엘라스틴으로 이루어지는 동결 건조 제제
실시예 1에서 얻은 수용성 콜라겐을 표면 수식한 리포솜 수용액 40중량부에, 17℃에서, 0.5wt% 히알루론산나트륨 수용액 10중량부를 적하하고, 이어서 0.1wt% 가수분해 엘라스틴 수용액 50중량부를 적하하여, 동 온도로 30분 더 교반하였다. 이 용액 90중량부에 만니톨 10중량부를 교반하면서 용해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동결 건조 조성물을 얻었다. 이 조성물에 물을 첨가하여 수용성 콜라겐을 표면 수식한 리포솜과 히알루론산, 가수분해 엘라스틴으로 이루어지는 수용액을 얻었지만, 통상 관찰되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나트륨의 복합체에 의한 침전은 생기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동결 건조 조성물의 수용성 콜라겐의 3중 나선구조의 안정성을 45℃에서 관찰하였다. 3중 나선구조의 안정성 확인은 SDS-폴리아크릴아미드겔 전기 영동(泳動) 및 변성온도 이하에서 보존한 동일 샘플의 점도와의 비교(3중 나선구조가 붕괴되면 점도의 저하가 생김)로 행하였다.
Figure 112010045428266-pat00001
표 1의 결과로부터, 동결 건조 조성물의 안정성은 분명히 뛰어났으며, 충분히 제품화에 견딜 수 있는 레벨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수용성 콜라겐을 표면 수식한 리포솜 미용액
난황 레시틴(1.5wt%), 콜레스테롤(0.3wt%), 디세틸인산(0.2wt%), 올레인산(0.5wt%), 스테아릴알코올(0.3wt%), 스테아린산글리세린(2.Owt%), 아르기닌(0.7wt%), 1,3-부틸렌글리콜(5wt%), 디프로필렌글리콜(2wt%), 글리세린(3wt%), 옥수수유(1.5wt%), 아보카도유(1wt%), 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5(0.5wt%) 및 정제수(100wt%로 조정)로 이루어지는 리포솜 미용액을 LLC법(T.Kaneko and H.Sagitani, Colloids & Surfaces, Vol.69, 125(1992))으로 조제하였다. 15℃에서, 이 미용액 80중량부에 0.5wt%의 +의 하전을 가지는 아텔로콜라겐 수용액 10중량부를 교반하에서 적하하여, 10분간 교반을 계속하고, 이어서 0.5% 히알루론산나트륨 10중량부를 교반하에서 적하하고, 또한 10분간 교반을 계속하여 목적으로 하는 미용액을 얻었다. 현미경 관찰의 결과, 통상 관찰되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나트륨의 복합체는 생기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1
콜라겐의 각질층에의 흡수 능력 시험
실시예 1에서 얻은 수용성 콜라겐을 표면 수식한 리포솜 수용액과 동일 농도(0.083wt%)의 콜라겐 수용액을 사용하여 사람 피부 각질층에의 콜라겐의 흡수성을 시험하였다. n수는 8명으로, 아세톤/에테르(1/1) 용액으로 처리한 상완(上腕) 내측에 시료를 도포하고, 패치(patch)판으로 폐쇄하 15시간 후에 채취하여 측정을 행하였다.
각질층에 흡수된 콜라겐의 정량법: 도포 15시간 후에 정제수와 에탄올로 피부상에 남은 샘플을 닦아내고, 테이프 스트리핑법(tape stripping method)에 의해 각질층을 채취하였다(2-5층, 6-10층과 11-15층을 각각 모아서 측정 샘플로 하였다). 채취한 테이프 중 한 장째는 제거하고, 2장째 이후를 측정 시료로 하였다. 채취한 테이프의 수용성 성분을 회수하고, 성분 중의 히드록시프롤린 함량을 측정하여, 콜라겐으로 환산해 흡수량을 산출하였다(미도포의 컨트롤부의 히드록시프롤린량을 측정하여, 블랭크로 하였다).
Figure 112010045428266-pat00002
표 2의 결과로부터, 콜라겐은 수용액에서는 거의 각질층에 흡수되지 않지만, 리포솜에 흡착시킴으로써 각질층에의 흡수가 촉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실시예 2의 수용액의 보습 능력 시험
실험 조건은 이하와 같다.
(실험 조건)
상완 내측을 SDS 용액으로 처리하여 거친 피부를 형성시키고, 그 이틀 후에 각 샘플을 아침 저녁 1회씩 도포하기 시작하여 측정을 개시하였다.
n=6명으로, 20±1℃/40±5RH%로 제어한 방에 피험자를 30분 정치(靜置)한 후에 각질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측정기기: Skin Surface Hygrometer[SKICON-200](각층 수분량을 μS의 단위로 측정)
Figure 112010045428266-pat00003
표 3으로부터, 실시예 2의 수용액은 컨트롤부보다 분명히 거친 피부 개선 효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실시예 4의 미용액의 피부의 탱탱함 회복 효과
실험 조건은 이하와 같다.
(실험 조건)
상완 내측을 아세톤/에테르(1/1) 용액으로 처리하여(3일간의 인터벌로 2회 처리) 거친 피부를 형성시키고, 그 다음날부터 각 샘플을 아침 저녁 1회씩 도포하기 시작하여, 측정을 개시하였다. n=8명으로, 20±1℃/40±5RH%로 제어한 방에 피험자를 60분 이상 정치한 후에 피부의 점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측정기기: Dermal Torque Meter(Dia-Stron사 제품) DTM값(Ur/Ue)이 1에 가까울수록 피부의 점성이 높고, 회복이 좋은 것을 나타낸다.
Figure 112010045428266-pat00004
표 4로부터, 실시예 4의 미용액은 유의 차를 가지고 컨트롤보다 탱탱함의 빠른 회복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화장료용 기제는, 수용성 콜라겐의 구조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히알루론산이나 가수분해 엘라스틴과의 공존하에서도 복합체를 형성하지 않고, 적합한 피부 화장료로 할 수 있다.

Claims (13)

  1. (a) 3중 나선구조를 가지면서 양성 전하(+) 또는 음성 전하(-)로 컨트롤된 수용성 콜라겐을 상기 수용성 콜라겐의 전하와 반대되는 표면 전하로 컨트롤된 리포솜에 적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혼합물을 교반함으로써 정전기력에 의해 리포솜 표면에 수용성 콜라겐을 흡착시킨 다음, 콜라겐 수식 리포솜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콜라겐의 피부 각질층으로의 흡수를 촉진시키는 콜라겐 수식 리포솜을 함유하는 화장료용 기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력에 의해 리포솜 표면에 수용성 콜라겐을 흡착시키는 것은 상기 3중 나선구조를 가지면서 양성 전하로 컨트롤된 수용성 콜라겐을 pH 7.0에서 표면 전하가 음성 전하로 컨트롤된 리포솜에 흡착시키거나, 상기 3중 나선구조를 가지는 음성 전하로 컨트롤된 수용성 콜라겐을 pH 7.0에서 표면 전하가 양성 전하로 컨트롤된 리포솜에 흡착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콜라겐은 아텔로콜라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솜의 막은 난황 레시틴, 콜레스테롤 및 디세틸인산이 몰비 기준으로 4: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 수식 리포솜에 히알루론산 및 가수분해 엘라스틴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적하하고 교반한 다음, 콜라겐 수식 리포솜과 히알루론산 또는 가수분해 엘라스틴, 또는 히알루론산 및 가수분해 엘라스틴 둘 모두를 함유하는 화장료용 기제를 수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 수식 리포솜 또는 기제를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제1항, 제2항, 제5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콜라겐, 히알루론산 또는 가수분해 엘라스틴의 피부 각질층으로의 흡수를 촉진시키는 콜라겐 수식 리포솜을 함유하는 화장료용 기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제는 피부 보습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기제.
  12. 제10항에 기재된 화장료용 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화장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용 기제 또는 피부 화장료는 동결 건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화장료.
KR1020100067944A 2009-10-02 2010-07-14 콜라겐 수식 리포솜으로 이루어지는 화장료 기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KR101789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30825 2009-10-02
JP2009230825A JP5695308B2 (ja) 2009-10-02 2009-10-02 コラーゲン修飾リポソームからなる化粧料基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664A KR20110036664A (ko) 2011-04-08
KR101789132B1 true KR101789132B1 (ko) 2017-10-23

Family

ID=43733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944A KR101789132B1 (ko) 2009-10-02 2010-07-14 콜라겐 수식 리포솜으로 이루어지는 화장료 기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289367B2 (ko)
EP (1) EP2324813B1 (ko)
JP (1) JP5695308B2 (ko)
KR (1) KR101789132B1 (ko)
CN (1) CN102028629B (ko)
ES (1) ES2606903T3 (ko)
PT (1) PT2324813T (ko)
TW (1) TWI5087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56602B2 (ja) * 2010-04-16 2015-07-29 株式会社フェース ゼラチンおよび/またはエラスチン構成ポリペプチドで修飾されたリポソームからなる化粧料基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化粧料
CN102440958B (zh) * 2011-11-29 2013-01-23 海南永田药物研究院有限公司 一种布洛芬钠脂质体固体制剂及其制法
CN103655213B (zh) * 2012-09-18 2018-11-13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内含易热变性物质的脂质体和内含多个脂质体的保护胶囊
JP6000033B2 (ja) * 2012-09-18 2016-09-28 株式会社ピカソ美化学研究所 内包物質に耐熱性を与えたリポソ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6051015B2 (ja) * 2012-10-30 2016-12-21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ベシクル分散水溶液及び該ベシクル分散水溶液を含有する皮膚外用組成物
IL229836A0 (en) 2013-12-08 2014-03-31 Y & B Mother S Choice Ltd Formulations to reduce or suppress irritation to eye tissue
JP6910751B2 (ja) * 2014-02-18 2021-07-28 共栄化学工業株式会社 保湿剤、抗炎症剤、抗酸化剤、皮膚のターンオーバー改善剤、細胞活性化剤及び美白剤
JP5900906B2 (ja) * 2014-07-07 2016-04-06 株式会社フェース 化粧料基剤の製造方法および皮膚化粧料
CN106214597A (zh) * 2015-09-18 2016-12-14 广州十长生化妆品有限公司 一种具有令肌肤恢复弹性的乳清蛋白霜及其制备方法
US11497708B2 (en) * 2016-06-16 2022-11-15 BEMY Cosmetics, Inc. Customized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rejuvenating and utilizing conditioned media and/or components thereof
WO2018144093A2 (en) * 2016-11-03 2018-08-09 Pinsky Mark A Formulations for improved skin care
EP3977983A1 (en) * 2017-10-27 2022-04-06 XYON Health Inc. Topical formulations for treating dermatological disorders including male pattern baldness
KR102553815B1 (ko) * 2022-11-30 2023-07-10 주식회사 팬터메딕 폴리엘락틱엑시드(plla)를 이용한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9313A (ja) * 2003-12-24 2005-07-07 Shu Uemura:Kk 皮膚化粧料用基剤の製造方法および皮膚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2104B1 (fr) 1987-10-22 1990-03-30 Bioetica Sa Procede de stabilisation de phases lamellaires lipidiques hydratees, par ex. de liposomes, composition de phases lamellaires lipidiques hydratees, par ex. des liposomes, stabilisees par un emploi d'un support stabilisant a base d'atelocollagene et de glycosaminoglycannes et utilisation en pharmacie ou en cosmetologie
EP0397542B1 (en) * 1988-12-02 1992-07-15 Coletica Stabilization process for hydrated lamellar phases
US5244672A (en) * 1988-12-02 1993-09-14 Coletica Composition containing liposomes stabilized by a stabilizing support based on atelocollagen and glycosaminoglycans
FR2643909B1 (fr) * 1989-03-03 1993-01-22 Bioetica Sa Composition de base pour la preparation d'une composition cosmetique formant composition capillaire et composition cosmetique formant composition capillaire ainsi preparee, contenant de l'heparine ou de l'heparane sulfate
US5603872A (en) * 1991-02-14 1997-02-18 Baxter International Inc. Method of binding recognizing substances to liposomes
AU656173B2 (en) * 1991-02-14 1995-01-27 Baxter International Inc. Interaction between bioadhesive liposomes and target sites
JP3521517B2 (ja) * 1994-12-28 2004-04-19 株式会社コーセー 皮膚外用剤
US5846651A (en) * 1995-08-02 1998-12-08 Mitsubishi Chemical Mkv Company Adhesive tape made of polyvinyl chlorid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JP3687277B2 (ja) * 1997-06-10 2005-08-24 サンスター株式会社 美白化粧料
US6146650A (en) * 2000-02-07 2000-11-14 Sun-Pro Of California, Inc. Moisturizing skin cream
WO2005099889A1 (ja) * 2004-04-07 2005-10-27 Keio University リポソームを鋳型とする中空ナノ粒子の作製方法
JP4228230B2 (ja) * 2004-11-08 2009-02-25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リポソーム懸濁液の製造方法及びリポソームを用いた用途
JP4510842B2 (ja) * 2007-03-26 2010-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ポリヒドロキシアルカノエート被覆リポソーム
KR100924643B1 (ko) 2007-10-12 2009-11-02 세원셀론텍(주) 아텔로콜라겐을 포집한 리포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9313A (ja) * 2003-12-24 2005-07-07 Shu Uemura:Kk 皮膚化粧料用基剤の製造方法および皮膚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89367B2 (en) 2016-03-22
CN102028629B (zh) 2016-09-21
CN102028629A (zh) 2011-04-27
TW201113046A (en) 2011-04-16
JP5695308B2 (ja) 2015-04-01
US20110081402A1 (en) 2011-04-07
JP2011079745A (ja) 2011-04-21
ES2606903T3 (es) 2017-03-28
EP2324813B1 (en) 2016-10-12
PT2324813T (pt) 2016-11-17
EP2324813A1 (en) 2011-05-25
TWI508750B (zh) 2015-11-21
KR20110036664A (ko) 2011-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132B1 (ko) 콜라겐 수식 리포솜으로 이루어지는 화장료 기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US10426715B2 (en) Liposome composition
KR101094477B1 (ko) pH 감응형 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U2392921C2 (ru) Улучшенная доставка агентов, полезных для кожи
JP2005179313A (ja) 皮膚化粧料用基剤の製造方法および皮膚化粧料
US20110081387A1 (en) Liposomes encapsulating an oxazolidin-2-one compound
JP2012051872A (ja) 皮膚化粧料
KR20070065945A (ko) 피부 화장료
JPS60153938A (ja) 新規なリポソ−ムの作製法
WO2018020903A1 (ja) 皮膚外用剤
JP6883723B2 (ja) リポソーム、リポソーム液及び化粧料、並びに上記リポソームを製造する方法
JPH03197408A (ja) リポソーム及びリン脂質分散液の安定化法
JP5900906B2 (ja) 化粧料基剤の製造方法および皮膚化粧料
EP0461333B1 (en) Phospholipidic liposomes containing active principles an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5756602B2 (ja) ゼラチンおよび/またはエラスチン構成ポリペプチドで修飾されたリポソームからなる化粧料基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化粧料
JP5220998B2 (ja) リポソームを含有するw/o/w型皮膚又は頭皮用外用剤
JP2007022931A (ja) 皮膚保護化粧料
JP4246150B2 (ja) 皮膚化粧料組成物
JP6411050B2 (ja) リポソーム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KR20050078283A (ko) 해양생물-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조성물
JP2000229811A (ja) 皮膚外用剤
JP3904357B2 (ja) 合成界面活性剤を含有しない化粧料用乳化物の製造法
JP2002087928A (ja) 化粧用保湿剤および化粧料
JP2002087947A (ja) 皮膚化粧料
JP2021038178A (ja) ベシクル組成物、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