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474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474B1
KR101786474B1 KR1020127025297A KR20127025297A KR101786474B1 KR 101786474 B1 KR101786474 B1 KR 101786474B1 KR 1020127025297 A KR1020127025297 A KR 1020127025297A KR 20127025297 A KR20127025297 A KR 20127025297A KR 101786474 B1 KR101786474 B1 KR 101786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topsheet
absorbent
fibers
sanitary nap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5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0424A (ko
Inventor
미치오 야스다
마유미 키무라
마사오 쿠라하시
Original Assignee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0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13/51305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1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 A61F2013/53022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with polymeric fib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생리대(1)는 표면 시트(2), 이면 시트(3), 이들 시트(2, 3)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4) 및 세컨드 시트(5)를 구비하고 있다. 표면 시트(2)와 세컨드 시트(5)는 부분적으로 고착되어 있다. 표면 시트(2)는 선형상의 엠보스(21)에 의해 구획화된 구획 영역(22)을 가지고 있으며, 수은 포로시미터(porosimeter)에 의한 구멍 직경 분포 측정에 있어서, 소정의 요건을 만족하는 시트이다. 세컨드 시트(5)는 그 구성 섬유가 합성 섬유이고, 그 두께 및 액 보유량이 소정의 요건을 만족하는 시트이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생리대, 팬티 라이너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경혈 누설이 생기지 않는 우수한 기능을 갖는 생리대으로서, 특허 문헌 1에는 흡수부의 상면에, 그물코 모양 형상으로 압축 홈이 형성된 생리대가 기재되어 있다. 확실히,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생리대는 압축 홈이 그물코 모양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경혈이 표면에서 퍼지기 어렵고, 경혈 누설이 생기기 어렵지만,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생리대에는 이른바 세컨드 시트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생리대 표면으로부터 순간적으로 경혈을 흡수하는 것이 어렵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는 톱 시트와 흡수재 코어 사이에, 레이온과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지는 스펀 레이스 부직포 시트인 액체 투과성 닦아냄 획득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비교적 얇은 생리대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3에는 액체 투과성 상부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후방 시트 사이에, 상부 시트 측에 몸체 포착 분배층과 후방 시트 측에 액체 저장층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 코어를 배치한 흡수성 물품이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 포착 분배층이, 목재 펄프 섬유를 섬유간 화학 보강제로 보강한 친수성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지는 웹이라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확실히, 특허 문헌 2의 생리대는 이른바 세컨드 시트인 액체 투과성 닦아냄 획득 시트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체액을 횡방향으로 분산할 수 있으며, 생리대의 톱 시트로부터 순간적으로 경혈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2의 생리대가 갖는 액체 투과성 닦아냄 획득 시트는 반합성 섬유인 레이온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체액의 액 남김을 일으키기 쉽고, 액체 투과성 닦아냄 획득 시트로부터 흡수재 코어로 체액을 이행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체액을 흡수재 코어에 완전하게 이행시키는데 시간이 걸리게 된다.
또한, 확실히, 특허 문헌 3의 흡수성 물품은 이른바 세컨드 시트인 몸체 포착 분배층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체액을 신속히 수집하여, 일시적으로 보유할 수 있으며, 흡수성 물품의 상부 시트로부터 순간적으로 체액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3의 흡수성 물품이 갖는 몸체 포착 분배층은 친수성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진 웹이기 때문에, 체액을 보유하게 되고, 특허 문헌 2의 생리대와 마찬가지로, 체액의 액 남김을 일으키기 쉽고, 몸체 포착 분배층으로부터 액체 저장층으로 체액을 이행하는데 시간이 걸리게 된다.
일본 특허공개 소56-109660호 공보 US4950264A US5217445A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체액이 표면에서 퍼지기 어렵고, 흡수체 이외에서의 체액의 액 남김을 저감함과 아울러, 체액의 흡수체로의 이행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피부 접촉면측에 배치된 표면 시트, 피부 비접촉면측에 배치된 이면 시트, 이들 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 및 상기 흡수체와 상기 표면 시트 사이에 배치된 세컨드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이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세컨드 시트는 부분적으로 고착되어 있다. 상기 표면 시트는 선형상의 엠보스에 의해 구획화된 다수의 구획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수은 포로시미터(porosimeter)에 의한 구멍 직경 1~600μm의 구멍 직경 분포 측정에 있어서, 구멍 직경 100μm 이하의 영역의 세공(細孔) 용량이 전체 세공 용량의 10% 이하인 시트이다. 상기 세컨드 시트는 그 구성 섬유가 합성 섬유이고, 그 두께가 0.15~0.4㎜이고 또한 그 액 보유량이 60g/㎡ 이하의 시트인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실시형태인 생리대를 표면 시트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생리대가 갖는 표면 시트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표면 시트의 피부 접촉면측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주요부를 확대한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대(1)이고, 도 1,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 접촉면측에 배치된 표면 시트(2), 피부 비접촉면측에 배치된 이면 시트(3),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4), 및 흡수체(4)와 표면 시트(2) 사이에 배치된 세컨드 시트(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부 접촉면측」이란, 생리대(1)의 구성 부재의 표리면측 중에서,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는 면측이고, 또한, 「피부 비접촉면측」이란,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면측이다. 도면에 나타낸 「Y방향」이란, 생리대(1)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이고, 「X방향」이란, Y방향에 수직인 방향이고, 생리대(1)의 폭 방향을 따른 방향이다.
도 1,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장착시의 전후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흡수체(4)와, 흡수체(4)와 대략 동일 형태 동일 사이즈의 세컨드 시트(5)를 구비하고 있다. 흡수체(4)의 피부 접촉면측에 세컨드 시트(5)가 배치되어 있다. 표면 시트(2)는 도 1,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세컨드 시트(5)의 피부 접촉면측의 전역을 피복하고 있으며, 흡수체(4) 및 세컨드 시트(5)의 길이 방향(Y방향)의 양단 및 양측 각각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을 가지고 있다. 이면 시트(3)는 도 1,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체(4)의 피부 비접촉면측의 전역을 피복하고 있으며, 흡수체(4) 및 세컨드 시트(5)의 길이 방향(Y방향)의 양단 및 양측 각각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을 가지고 있다.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체(4) 및 세컨드 시트(5)의 길이 방향(Y방향)의 양단 각각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있어서, 융착(히트 엠보스, 초음파 엠보스, 고주파 엠보스)되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체(4) 및 세컨드 시트(5)의 길이 방향(Y방향)의 양측 각각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있어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흡수체(4) 및 세컨드 시트(5)는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 사이에 끼워져 있다.
생리대(1)가 갖는 표면 시트(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형상의 엠보스(21)에 의해 구획화된 다수의 구획 영역(22)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표면 시트(2)가 구획 영역(22)를 가지고 있으므로, 하나의 구획 영역(22) 내에 흡수된 착용자의 체액이, 그 구획 영역(22)를 넘어 인접하는 다른 구획 영역(22)으로 확산되기 어렵다. 여기서, 「선형상의 엠보스」란, 그 엠보스 형상이 평면에서 보아 직선에 한정되지 않고 곡선을 포함하는 것이고, 엠보스 형상은 연속선으로, 파선 등의 간헐적인 선은 포함하지 않는 것이다. 다만, 간헐적인 선이더라도, 1㎜ 미만의 간격이라면, 실질적으로 연속선과 유사한 작용을 가지기 때문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구획화된 구획 영역(22)의 형상은 마름모형의 격자 무늬 이외에, 사각형이나 곡선으로 구획화되어도 무방하다. 격자 무늬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 시트(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형상의 엠보스(21)로서, 서로 평행하고 또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제1 선형상의 엠보스(21a)와, 서로 평행하고 또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제2 선형상의 엠보스(21b)를 가지고 있으며, 제1 선형상의 엠보스(21a)와 제2 선형상의 엠보스(21b)가 각도 α를 이루어 서로 교차하고 있다. 제1 선형상의 엠보스(21a)의 홈 폭 W1와 제2 선형상의 엠보스(21b)의 홈 폭은 동일하고, 서로 이웃하는 제1 선형상의 엠보스(21a)끼리의 간격 W2와 서로 이웃하는 제2 선형상의 엠보스(21b)끼리의 간격도 동일하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선형상의 엠보스(21a)의 홈 폭 W1는 상기 선형상의 엠보스에 있어서 구성 섬유를 확실히 고정하는 관점에서 0.1~1.5㎜, 특히 0.3~0.9㎜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선형상의 엠보스(21a)끼리의 간격 W2는 액투과와 액 빨아 올림을 양립하는 관점에서 2~14㎜, 특히 2~8㎜인 것이 바람직하다. 홈 폭 W1 및 간격 W2는 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계측된다. 선의 폭은 교점 부분부터 변화가 있어도 무방하지만, W1는 교점과 교점의 중점에서 계측된다. W2는 구획 영역(22)의 대변(對邊)끼리를 연결하는 선에서 계측된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 시트(2)는 생리대(1)에 조립되었을 때에 착용자의 피부 측을 향하는 피부 접촉면측으로부터 열 엠보스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선형상의 엠보스(21)를 형성하고 있으며, 선형상의 엠보스(21)를 형성한 부분이 오목부로 되어 있다. 선형상의 엠보스(21) 부위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구성 섬유가 두께 방향으로 열 융착되어 있다.
선형상의 엠보스(21)는 제1 선형상의 엠보스(21a)와 제2 선형상의 엠보스(21b)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시트(2)에는 선형상의 엠보스(21)에 의해 구획화된 구획 영역(22, 22…)이 형성되어 있다. 각 구획 영역(22)은 각각의 주위가 선형상의 엠보스(21)에 둘러싸인 영역이고, 평면에서 보아 마름모 형상이다. 각 구획 영역(22)의 중앙부는 상기 구획 영역(22)을 둘러싸는 선형상의 엠보스(21)(오목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융기되어 볼록부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표면 시트(2)로서는, 높은 투과성을 갖는 시트가 사용된다. 시트 중의 섬유 분포가 가져오는 공극, 특히 세공 영역이 적은 경우에 양호한 액 투과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수은 포로시미터(porosimeter)에 의한 세공 직경 1~600㎛의 세공 직경 분포 측정에 있어서, 세공 직경 100㎛ 이하의 영역의 세공 용량이 전체 세공 용량의 10% 이하의 시트이고, 상기 세공 용량이 상기 전체 세공 용량의 8% 이하인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6% 이하인 시트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세공 직경 100㎛ 이하의 영역의 세공 용량의 하한은 특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작으면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표면 시트(2)의 세공 직경 분포는 수은 압입법(JIS R 1655)에 준거하여, 수은 포로시미터(porosimeter)(시마즈 제작소 가부시키가이샤)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수은 압입법은 표면 시트(2)의 구성 섬유끼리의 사이(세공)의 크기나 그 용적을 측정함으로써, 표면 시트(2)의 물리적 형상의 정보를 얻기 위한 수법이다. 수은 압입법의 원리는 수은에 압력을 가하여 측정 대상물의 세공 중에 압입하고, 이 때에 가한 압력과 밀어넣어진(침입한) 수은 용적의 관계를 측정하는 것에 있다. 이하, 수은 포로시미터(porosimeter)를 사용하는 표면 시트(2)의 세공 직경 분포의 측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면 시트의 세공 직경 분포의 측정 방법〕
먼저, 생리대(1)(흡수성 물품)로부터 표면 시트(2)를 꺼낸다. 다음으로, 꺼낸 표면 시트(2)를 24㎜×5㎜으로 절단한다. 합계 3장 절단하고, 이들 절단 샘플을, 수은 포로시미터(porosimeter)(시마즈 제작소 가부시키가이샤)의 샘플 셀에,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여 세팅하여, 세공 직경 1~600㎛의 세공 직경 분포를 측정한다. 얻어지는 표면 시트(2)의 세공 분포 곡선(미분·적분 곡선)에 의거하여, 세공 직경 1~600㎛에 이르는 용량의 합계를 전체 세공 용량으로 하고, 세공 직경 100㎛ 이하의 영역의 세공 용량의 상기 전체 세공 용량에 대한 비율을 구한다. 또한, 얻어지는 표면 시트(2)의 세공 분포 곡선(미분·적분 곡선)에 의거하여, 세공 직경 1~100㎛의 영역의 세공 용량의 상기 전체 세공 용량에 대한 비율을 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은 포로시미터(porosimeter)에 의한 세공 직경 1~600㎛의 세공 직경 분포 측정에 있어서, 세공 직경 100㎛ 이하의 영역의 세공 용량이 상기 전체 세공 용량의 10% 이하인 표면 시트(2)로서는, 4.4dtex 이상의 비(非) 열 신장 섬유만으로 구성되는 에어 스루 부직포, 3.3dtex 이상의 열 신장 섬유로 구성되는 에어 스루 부직포, 3.3dtex 이상의 비(非) 열 신장 섬유 및 열 신장 섬유로 구성되는 에어 스루 부직포가 예시되고, 흡수성과 감촉을 양립하는 관점에서, 3.3dtex 이상의 비(非) 열 신장 섬유 및 열 신장 섬유로 구성되는 에어 스루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부직포는 또한 선상 엠보스에 의해 구획화되어 있기 때문에, 액이 표면 시트로서의 부직포 내를 확산하려고 해도, 선상 엠보스에서 확산이 억제되기 때문에, 더욱 하층으로의 액 투과성이 발휘되기 쉬워진다.
표면 시트(2)가 열 신장 섬유를 포함한 에어 스루 부직포인 경우, 표면 시트(2)는 구체적으로는 구획 영역(22) 내에 있어서, 가열에 의해 상기 열 신장 섬유의 길이가 신장하고 있으며, 구획 영역(22) 내에 있어서, 교차한 상기 열 신장 섬유끼리의 상호 교점이 열 융착에 의해 접합된 부직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열 신장 섬유는 열 융착에 의해 접합되는 열 융착성 섬유이고, 상기 열 융착은 예를 들면, 에어 스루 방식의 열 융착이다. 열 신장 섬유로서의 열 융착성 섬유는 열 융착 성분과 상기 열 융착 성분보다 융점이 높은 고융점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열 신장성 복합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고, 열 융착 성분을 시스(sheath), 고융점 성분을 코어(core)으로 하는 코어-시스형(core sheath type)의 열 신장성 복합 섬유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열 융착 성분 및 고융점 성분은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 융착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1, 폴리펜텐-1, 또는 이들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고융점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6 또는 나일론-66 등의 폴리아미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열 융착 성분과 고융점 성분의 바람직한 조합으로서는, 폴리에틸렌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저융점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과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것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는 동심(同芯) 타입 외에, 편심(偏芯) 타입의 것, 또한 섬유의 전체 둘레의 일부에 코어 성분이 노출되어 있는 것 등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열 신장성 복합 섬유는 가열에 의해 그 길이가 신장되는 섬유이고, 온도가 90℃이상, 바람직하게는 110℃~130℃에서 신장하는 섬유이다. 열 신장성 복합 섬유는 표면 시트(2)의 제조 시에 신장시킴으로써, 표면 시트(2)에 기복이 큰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표면 시트(2)로서 완성된 후에는 그 대부분이 신장된 상태로 되어 있으며, 그 상태로부터 더욱 신장되는 섬유라는 의미는 아니다. 또한, 신장 후의 열 신장성 복합 섬유도 열 신장성 복합 섬유에 포함한다.
상기 열 신장성 복합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가열에 의해 수지의 결정 상태가 변화되어 신장되거나, 또는 권축(捲縮, crimp) 가공이 실시된 섬유로서 권축이 해제되어 외관 길이가 신장되는 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열 신장성 복합 섬유로서는, 열 융착 성분의 연화점보다 10℃ 높고, 또한 융점보다 10℃ 낮은 온도에서의 신장율이 5~40%, 특히 10~30%인 것이, 섬유 병렬 기립부 또는 요철 형상을 현저히 형성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열 신장성 복합 섬유의 바람직한 예는 일본 특허공개 2005-350836호 공보의 단락 〔0024〕~〔0040〕에 기재되어 있다.
표면 시트(2)가 열 신장 섬유(열 신장성 복합 섬유)를 포함한 에어 스루 부직포인 경우의 열 신장성 복합 섬유의 비율은 감촉과 은폐성 및 높은 투과성을 발휘하는 관점에서, 표면 시트(2)의 구성 섬유 중, 40~1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70~10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5~10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열 신장성 복합 섬유 이외에 배합하는 섬유로서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비복합 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표면 시트(2)가 열 신장 섬유(열 신장성 복합 섬유)를 포함한 에어 스루 부직포인 경우에는 그 평량은 20~50g/㎡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시트(2)가 4.4dtex 이상(바람직하게는 4.4~10dtex)의 열 융착 섬유(비(非) 열 신장 섬유)만으로 구성되는 에어 스루 부직포인 경우에는 합성 섬유이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6 또는 나일론-66 등의 폴리아미드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그 평량은 20~5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생리대(1)가 갖는 세컨드 시트(5)는 그 구성 섬유가 합성 섬유이다. 이와 같이 세컨드 시트(5)가 합성 섬유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확산성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세컨드 시트(5)를 구성하는 합성 섬유는 확산성을 낮게 억제함과 아울러, 기계 적합성의 관점에서, 약친수성인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컨드 시트(5)를 구성하는 합성 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6 또는 나일론-66 등의 폴리아미드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혼합이란, 융점이 상이한 2종 이상의 수지를,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 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섬유로 하여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세컨드 시트(5)는 높은 투과성과 적당한 확산성을 갖는 시트이기 때문에, 그 두께가 0.15~0.4㎜이지만, 체액의 보유 용량을 낮게 억제하고, 높은 투과성을 발휘하는 관점에서, 0.15~0.4㎜인 것이 바람직하고, 0.2~0.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두께는 장착 상태를 고려한 관점에서, 0.5kPa 하중 하에서 측정한다.
또한, 세컨드 시트(5)는 높은 투과성과 적당한 확산성을 갖는 시트이기 때문에, 그 액 보유량이 60g/㎡ 이하의 시트이지만, 높은 투과성을 발휘하는 관점에서, 35g/㎡ 이하의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25g/㎡~5g/㎡의 시트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세컨드 시트(5)의 액 보유량의 하한은 낮을수록 바람직하다. 세컨드 시트(5)의 액 보유량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액 보유량의 측정 방법〕
생리대(1)(흡수성 물품)로부터, 세컨드 시트(5)를 꺼낸다. 다음으로, 꺼낸 세컨드 시트(5)를 사방 5㎝×5㎝로 절단한다. 이 초기의 절단 샘플의 질량을 칭량하고, 상기 절단 샘플을, 증류수 500mL가 들어간 비커 안에 넣고, 1분간 방치한다. 그 후, 절단 샘플을 꺼내고, 상기 절단 샘플을, 장대에 매단 상태에서 10분간 방치한다. 그 후, 절단 샘플을 10분간, 원심 탈수(800rpm)한 후에, 그 질량을 측정하고, 이하에 나타낸 식으로부터 액 보유량을 구한다.
액 보유량(g/㎡)={원심 탈수 후의 절단 샘플의 질량(g) - 초기의 절단 샘플의 질량(g)}/초기의 절단 샘플의 면적(㎡)
두께가 0.15~0.4㎛이고, 액 보유량이 60g/㎡ 이하라는 요건을 만족하는 세컨드 시트(5)로서는, 교차한 합성 섬유끼리의 상호 교점이 에어 스루 방식의 열 융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에어 스루 부직포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어 스루 부직포 이외에도, 두께 요건과 액 보유량 요건을 만족하면, 포인트 본드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등이어도 무방하다.
세컨드 시트(5)가 에어 스루 부직포인 경우에는 그 평량은 15~4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생리대(1)의 표면 시트(2)와 세컨드 시트(5)는 부분적으로 고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표면 시트의 들뜸을 억제하고, 표면 시트(2)와 세컨드 시트(5)의 밀착성이 향상되고, 액이 이행하기 쉬워진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세컨드 시트(5)와 흡수체(4) 사이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고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분적으로 고착이란, 점이나 선으로 이루어지는 고착부를 가지며, 상기 고착부가 시트면 전체에 분포되어 있으며, 균일하게 분포할 필요는 없지만, 고착하는 시트 사이를 전면 고착하는 것이 아닌 것을 의미한다. 상기 고착부의 면적은 피고착 시트 전면적의 10~60% 정도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접착제를 간헐적으로 도포하거나 간헐적으로 히트 씰을 실시하거나 하여, 표면 시트(2)와 세컨드 시트(5)를 부분적으로 고착하고 있다. 접착제를 간헐적으로 도포하는 경우에는 접착제를, 공지의 수단, 예를 들면, 슬롯 코트 건을 사용하여 간헐적으로 도포하거나 스파이럴 스프레이 건을 사용하여 나선 형상으로 도포하거나 스프레이 건을 사용하여 간헐적으로 안개 형상으로 도포하거나, 도트 건을 사용하여 도트 형상으로 도포하거나 하여, 표면 시트(2)와 세컨드 시트(5) 사이에 체액의 투과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표면 시트(2)와 세컨드 시트(5)를 부분적으로 접착한다. 도포하는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핫 멜트 접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핫 멜트 접착제로서는 스티렌계, 올레핀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스티렌계 핫 멜트 접착제로서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SIS), SBS의 수소 첨가물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SEBS), 및 이들 2종 이상을 블랜드한 블랜드계 핫 멜트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택(tack)력과 응집력의 밸런스를 취하기 쉬운 관점에서, 특히 SIS와 SBS의 블랜드계 핫 멜트 접착제, 또는 SIS와 SEBS의 블랜드계 핫 멜트 접착제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핫 멜트 접착제의 도포량은 3~10g/㎡인 것이 바람직하다.
간헐적으로 히트 씰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복수개의 볼록부를 갖는 열 엠보스 롤과 평탄 롤을 사용하여, 표면 시트(2)와 세컨드 시트(5)의 적층 시트를 열 엠보스 롤과 평탄 롤 사이에 반송하여, 엠보스함으로써, 표면 시트(2)와 세컨드 시트(5)를 부분적으로 융착한다. 융착함으로써 형성되는 복수개의 융착점끼리의 간격은 표면 시트(2)와 세컨드 시트(5) 사이에 적당한 밀착성을 갖게 하여 체액의 투과성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5~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대(1)이고, 제품 자체의 얇기가 요구되기 때문에, 흡수체(4)는 다주름 형상의 흡수 시트(40)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수 시트(40)는 그 표면이 다주름 형상이고, 고흡수성 폴리머를 갖는 흡수 시트이다. 흡수 시트(40)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8-246395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흡수 시트, 기류에 실어 공급한 분쇄 펄프 및 흡수성 폴리머를 퇴적시킨 후, 접착제(예를 들면 아세트산 비닐계의 접착제, PVA 등)로 고정한 건식 시트, 종이나 부직포의 사이에 핫 멜트 접착제 등을 도포한 후, 고흡수성 폴리머를 살포하여 얻어진 흡수 시트, 스펀 본드 또는 멜트 블로운 부직포 제조 공정 중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배합하여 얻어진 흡수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 시트는 한 장을 소정 형상으로 재단하여 흡수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흡수 시트를 복수장 접합하여 다층 시트로 하거나 또는 한 장의 흡수 시트를 포개어 접음과 아울러, 이들 층 사이를 접착하여 다층 시트로 하고, 이와 같이 하여 얻은 다층 시트를, 흡수 시트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에는 통상,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및 섬유 재료로 구성된 흡수 코어가 티슈 페이퍼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흡수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가 갖는 흡수 시트(40)는 흡수성을 높게 하고, 두께를 얇게 하는 관점에서, 일본 특허공개 평8-246395호 공보에 기재된 공지의 얇고 흡수성이 좋은 흡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얻어진 흡수 시트를 습윤 상태, 또는 건조된 경우는 재차 습윤시켜서, 가열된 원통형의 이른바 양키 드라이어의 롤 표면에 습윤 상태의 흡수 시트를 꽉 눌러 부착시켜서, 건조시킨 후, 블레이드를 통하여, 건조된 흡수 시트를 양키 드라이어로부터 벗겨내는 크레이프 처리를 실시하여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크레이프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흡수 시트 표면에는 육안으로 볼 수 있을 정도의 주름이 다수 형성되고, 흡수 시트(40)의 표면이 다주름 형상이 된다. 주름의 간격은 0.2㎜~2㎜가 바람직하다. 주름이 있는 흡수 시트(40)의 표면(피부 접촉면(40 a))과 세컨드 시트(5)가 적층됨으로써, 표면 시트(2)를 재빠르게 통과한 체액이 세컨드 시트(5)에서 확산되면서, 흡수성 시트(40)로 액 이행한다. 흡수 시트(40)와 세컨드 시트(5) 사이에는 주름에 의한 약간의 공간이 생김으로써, 밀착되어 있는 경우보다 세컨드 시트(5)에서의 체액 확산이 촉진되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그 결과, 세컨드 시트(5)에서 확산된 체액은 흡수 시트(40)의 비교적 많은 면적에서 흡수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흡수 시트(40)는 크레이프 처리를 실시하여 형성되고 있지만, 크레이프 처리 이외의 방법으로 건조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는 표면 시트(2) 및 세컨드 시트(5)를 투과한 체액이 흡수체(4)에 흡수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생리대(1)를 횡단면에서 보아, 표면 시트(2)의 구획 영역(22)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간격이, 흡수 시트(40)의 피부 접촉면(40a)에 있어서의 구성 섬유의 섬유간 거리의 20~180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25~160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4에 나타낸 생리대(1)의 횡단면도는 도 1에 나타낸 X1-X1선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5에 나타낸 생리대(1)의 횡단면도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X1-X1선은 생리대(1)의 중심을 통과하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이다. 표면 시트(2)의 구획 영역(22)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간격은 표면 시트(2)의 횡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관찰하고, 구획 영역(22)을 형성하는 제1 선형상의 엠보스(21a)와 제2 선형상의 엠보스(21b)의 사이,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 선형상의 엠보스(21a)의 홈에 있어서의 X방향 중심점과 제2 선형상의 엠보스(21b)의 홈에 있어서의 X방향 중심점 사이를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측정 부위는 10부위로 하고, 그 평균값을 가지고 구획 영역(22)의 폭 방향(X방향)에 있어서의 평균 간격으로 한다. 또한, 흡수 시트(40)의 피부 접촉면(40a)에 있어서의 구성 섬유의 섬유간 거리는 피부 접촉면(40a)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관찰함으로써 측정된다. 측정 부위는 10부위로 하고, 그 평균값을 가지고 피부 접촉면(40a)에 있어서의 구성 섬유의 섬유간 거리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는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시트(2), 세컨드 시트(5) 및 흡수체(4)를 일체적으로 압축하여 형성되는 방루 홈(6)을, 표면 시트(2)의 표면에, 생리대(1)의 길이 방향(Y방향)의 양 측부(1b, 1b)를 따라서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자의 체액 배설부에 접촉되는 배설부 영역(A)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2)의 양 측부에, 평면에서 보아 X방향의 외측으로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는 한 쌍의 방루 홈(6A, 6A)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설부 영역(A)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영역(B) 및 배설부 영역(A)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영역(C) 각각에, 평면에서 보아 X방향의 외측으로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는 한 쌍의 방루 홈(6B, 6B) 및 한 쌍의 방루 홈(6C, 6C)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방루 홈(6)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루 홈(6A), 방루 홈(6B) 및 방루 홈(6C) 각각이 연결되어 환형상의 전주(全周) 홈을 형성하고 있다.
생리대(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면 시트(2)와 세컨드 시트(5)가 부분적으로 고착되어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컨드 시트(5)와 흡수체(4)가 방루 홈(6)에 의해 부분적으로 고착되어 있다. 즉, 세컨드 시트(5)와 흡수체(4)는 방루 홈(6)을 제외하고 고착되어 있지 않다. 상세히 설명하면, 표면 시트(2)와 세컨드 시트(5)는 접착제를 간헐적으로 도포하거나 간헐적으로 히트 씰을 실시하거나 하여, 부분적으로 고착되어 있으며, 특히, 표면 시트(2)의 구획 영역(22)을 형성하는 선형상의 엠보스(21)(오목부)의 위치에서, 표면 시트(2)와 세컨드 시트(5)가 간헐적으로 고착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흡수체(4)의 피부 접촉면(40a)에는 크레이프 처리가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다주름 형상으로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세컨드 시트(5)와 흡수체(4)는 방루 홈(6)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레이프 처리가 실시되어 형성된 흡수 시트(40)의 피부 접촉면(40a)의 요철 형상과 세컨드 시트(5)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의 형성 재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면 시트(2), 이면 시트(3)으로서는, 통상 생리대, 팬티 라이너 등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 시트(2)로서는 친수성 및 액 투과성의 부직포나, 개공(開孔) 필름, 이들의 적층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면 시트(3)로서는 액 불투과성 또는 발수성의 수지 필름이나 수지 필름과 부직포의 적층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방루 홈(6)을 형성하는 가공법은 엠보스 가공, 히트 엠보스 가공, 초음파 엠보스 가공, 이들의 조합의 가공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생리대(1)를 사용했을 때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는 도 1,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형상의 엠보스(21)에 의해 구획화된 다수의 구획 영역(22)을 가지기 때문에 확산되기 어렵고, 또한 수은 포로시미터(porosimeter)에 의한 세공 직경 분포 측정에 있어서, 소정의 요건을 만족하는 높은 투과성을 갖는 표면 시트(2)와; 합성 섬유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낮은 확산성이고, 또한 두께 및 액 보유량이 소정의 요건을 만족하는 높은 투과성의 세컨드 시트(5)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은 상기한 바와 같이, 확산성이 낮고, 투과성이 높은 표면 시트(2)와 세컨드 시트(5)가 부분적으로 고착되어 형성되고 있으므로, 생리대(1)의 사용 시에 착용자로부터 배설된 체액이, 표면 시트(2)의 표면에서 퍼지기 어렵고, 흡수체(4) 이외의, 표면 시트(2)나 세컨드 시트(5)에서 체액의 액 남김을 저감함과 아울러, 체액의 흡수체(4)로의 이행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레이프 처리가 실시된 흡수 시트(40)를 구비하고, 세컨드 시트(5)와 흡수 시트(40)는 방루 홈(6) 이외의 부위에 있어서는 고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흡수 시트(40)의 피부 접촉면(40a)의 요철 형상과 세컨드 시트(5)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표면 시트(2) 및 세컨드 시트(5)를 투과한 체액이 세컨드 시트(5)와 흡수 시트(40) 사이에서 확산되기 쉬우므로, 다량으로 배설된 체액을 표면 시트(2)의 표면으로부터 순간적으로 이행할 수 있으며, 이행 확산된 체액을 흡수 시트(40)의 흡수 면적을 유효하게 활용하면서 흡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는 흡수성 물품(생리대(1)) 상태에서의 액 확산성의 측정에 있어서, 흡수체(4)의 액 확산 면적이 표면 시트(2)의 액 확산 면적의 1.6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 확산성의 지표인 액 확산 면적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또한, 상한값에 특히 제한은 없고, 높으면 높을수록 바람직하지만, 1.8배 정도이라면, 충분히 만족할 만한 효과가 얻어진다.
〔액 확산성의 측정 방법〕
측정은 20℃, 65% RH 환경 하에서, 1일 이상 방치한 흡수성 물품(생리대(1))을 사용하여, 이 온도 및 습도 조건 하에서 실시한다.
생리대(1)를 수평으로 배치하고, 그 위에 아크릴제의 플레이트 주입기(직경 10㎜의 구멍을 갖는다)를 배치하고, 5g/㎠의 하중을 가하여, 마혈(일본 바이오 테스트 가부시키가이샤제)를 3g 적하한 후, 다시, 3분 후 동일 위치로부터 마혈(일본 바이오 테스트 가부시키가이샤제)를 3g 적하한 직후의 표면 시트(2)에서의 확산 면적을 측정한다. 다음으로, 생리대(1)로부터 표면 시트(2) 및 세컨드 시트(5)를 신속히 제거하고, 흡수체(4)의 확산 면적을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에는 각종 카메라(촬영 데이터가 전자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에 의해, 적하 직후의 확산 상태를 기록하고, 그 확산의 윤곽을 마킹하고, 마킹한 윤곽으로부터 화상 해석 장치(NEXUS제: NEW QUBE Ver. 4.20)을 사용하여 그들의 확산 면적을 구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생리대에 조금도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에 있어서는, 도 1,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루 홈(6)을 구비하고 있지만,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방루 홈(6)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 세컨드 시트(5)와 흡수체(4)는 표면 시트(2)와 세컨드 시트(5)를 부분적으로 고착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착제나 열 융착에 의해 부분적으로 고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생리대 외에, 팬티 라이너, 실금 패드, 일회용 기저귀 등이어도 무방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을,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 1에 나타낸 생리대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예 1의 샘플로 했다. 사용한 재료는 시판의 생리대(카오 가부시키가이샤제 로리에 슈퍼슬림 가드)를 사용했다. 단, 이 생리대의 표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 및 흡수체 사이에 있는 세컨드 시트는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에,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한 표면 시트 및 세컨드 시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1의 생리대를 얻었다.
(표면 시트의 제작)
섬유 직경 4.0dtex 신장율 6%의 코어-시스형의 열 신장성 복합 섬유(코어가 폴리프로필렌, 시스가 폴리에틸렌)와, 3.3dtex의 비(非)신장의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코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시스가 폴리에틸렌)를 50wt%씩의 비율로 카드기에 통과하여 웹으로 하고, 상기 웹을, 히트 엠보스 장치에 도입하여, 상기 웹에 선형상의 엠보스(21)(제1 선형상의 엠보스(21a) 및 제2 선형상의 엠보스(21b))를 복수개 형성했다. 그 다음에, 그 웹을, 열풍 분사 장치에 도입하고, 에어 스루 가공에 의한 열풍 처리를 실시하고, 선형상의 엠보스(21)에 의해 구획화된 구획 영역(22)을 갖는 표면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표면 시트의 선형상의 엠보스(21)의 형성 패턴은 도 3에 나타낸 패턴이고, 제 1 및 제2 선형상의 엠보스(21a, 21b) 각각의 폭 W1는 0.5㎜, 제1 선형상의 엠보스(21a)끼리 사이의 간격 및 제2 선형상의 엠보스(21b)끼리 사이의 간격 W2는 6㎜, 제1 선형상의 엠보스(21a)와 제2 선형상의 엠보스(21b)가 이루는 각 α는 56°이었다. 제작된 표면 시트의 세공 직경 분포를 상술한 〔표면 시트의 세공 직경 분포의 측정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면, 세공 직경 100㎛ 이하의 영역의 세공 용량이 전체 세공 용량의 8%였다. 또한, 얻어진 표면 시트의 평량은 25g/㎡였다.
(세컨드 시트의 제작)
섬유 직경 2.2dtex의 폴리에틸렌/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복합 수지로 이루어지는 합성 섬유를 카드기에 통과하여 웹으로 하고, 상기 웹을, 열풍 분사 장치에 도입하고, 에어 스루 가공에 의한 열풍 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 롤 엠보스하여 세컨드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세컨드 시트는 그 두께가 0.2㎜이고, 그 액 보유량이 26g/㎡였다. 또한, 얻어진 세컨드 시트의 평량은 25g/㎡였다.
제작된 표면 시트와 제작된 세컨드 시트 사이에는 SEBS계의 핫 멜트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작된 표면 시트와 제작된 세컨드 시트를 부분적으로 고착했다. 핫 멜트 접착제의 도포량은 5g/㎡였다.
〔실시예 2〕
상술한 실시예 1에 있어서 사용하는 표면 시트를,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한 표면 시트로 변경하고, 또한, 흡수 시트는 시판의 생리대(카오 가부시키가이샤제 로리에 슈퍼슬림 가드)에 사용된 흡수 시트를 습윤 상태로 크레이프 처리한 것으로, 육안으로 1㎜ 간격의 주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한 이외는 상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2의 생리대를 얻었다.
(실시예 2의 생리대에 사용하는 표면 시트의 제작)
섬유 직경 4.4dtex의 폴리에틸렌/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복합 수지로 이루어지는 합성 섬유를 카드기에 통과하여 웹으로 하고, 상기 웹을, 열풍 분사 장치에 도입하고, 에어 스루 가공에 의한 열풍 처리를 실시하여, 표면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표면 시트에 형성하는 선형상의 엠보스(21)의 패턴은 실시예 1의 생리대에 사용하는 표면 시트의 패턴과 동일하였다. 제작된 표면 시트의 세공 직경 분포를 상술한 〔표면 시트의 세공 직경 분포의 측정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면, 세공 직경 100㎛ 이하의 영역의 세공 용량이 전체 세공 용량의 5%였다. 또한, 얻어진 표면 시트의 평량은 25g/㎡였다.
〔비교예 1〕
상술한 실시예 1에 있어서 사용하는 표면 시트를,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한 표면 시트로 변경하는 이외는 상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1의 생리대를 얻었다.
(비교예 1의 생리대에 사용하는 표면 시트의 제작)
섬유 직경 2.2dtex의 폴리에틸렌/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복합 수지로 이루어지는 합성 섬유를 카드기에 통과하여 웹으로 하고, 상기 웹을, 열풍 분사 장치에 도입하고, 에어 스루 가공에 의한 열풍 처리를 실시하여, 표면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표면 시트에는 선형상의 엠보스(21)를 형성하지 않고, 그 대신에, 복수개의 입체 개공을 형성했다. 입체 개공의 개공 면적율은 6%이고, 입체 개공의 형성 피치는 2㎜였다. 제작된 표면 시트의 세공 직경 분포를 상술한 〔표면 시트의 세공 직경 분포의 측정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면, 세공 직경 100㎛ 이하의 영역의 세공 용량이 전체 세공 용량의 35%였다. 또한, 얻어진 표면 시트의 평량은 25g/㎡였다.
〔비교예 2〕
상술한 실시예 1에 있어서 사용하는 표면 시트를, 평량 25g/㎡로부터 평량 30g/㎡의 표면 시트로 변경하고, 실시예 1에 있어서 사용한 세컨드 시트를 사용하지 않는 이외는 상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2의 생리대를 얻었다. 제작된 표면 시트의 세공 직경 분포를 상술한 〔표면 시트의 세공 직경 분포의 측정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면, 세공 직경 100㎛ 이하의 영역의 세공 용량이 전체 세공 용량의 8%였다.
〔평가〕
각 생리대를 사용하여 하기의 평가를 행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표면 시트 및 흡수체의 확산 면적을, 상술한 〔액 확산성의 측정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했다.
〔표면 시트의 액 남김량〕
측정은 20℃, 65% RH 환경 하에서, 1일 이상 방치한 흡수성 물품(생리대(1))을 사용하여, 이 온도 및 습도 조건 하에서 실시한다.
생리대(1)를 수평으로 배치하고, 그 위에 아크릴제의 플레이트 주입기(직경 10㎜의 구멍을 갖는다)를 배치하고, 5g/㎠의 하중을 가하여, 탈섬유 마혈(일본 바이오 테스트 가부시키가이샤제)를 3g 적하한 후, 다시 3분 후 동일 위치로부터 탈섬유 마혈(일본 바이오 테스트 가부시키가이샤제)를 3g 적하한 직후에, 표면 시트를 생리대으로부터 꺼내고, 주입 전후의 표면 시트의 무게를 측정하여, 시트 중에 잔존한 탈섬유 마혈의 중량을 측정하여 표면 시트의 액 남김량으로 했다.
〔체액의 흡수 시간〕
측정은 20℃, 65% RH 환경 하에서, 1일 이상 방치한 흡수성 물품(생리대(1))을 사용하여, 이 온도 및 습도 조건 하에서 실시한다.
생리대(1)를 수평으로 배치하고, 그 위에 아크릴제의 플레이트 주입기(직경 10㎜의 구멍을 갖는다)를 배치하고, 5g/㎠의 하중을 가하여, 마혈(일본 바이오 테스트 가부시키가이샤제)를 3g 적하한 후, 다시, 3분 후 동일 위치로부터 마혈(일본 바이오 테스트 가부시키가이샤제)를 3g 적하하고, 육안으로, 표면 시트로부터 흡수체에 마혈이 완전하게 이행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생리대의 체액의 흡수 시간으로 했다.
단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표면 시트의 확산 면적 15 14 21 18
흡수체의 확산 면적 30 30 30 28
흡수체의 확산 면적/
표면 시트의 확산 면적
2 2.12 1.42 1.55
액 남김량 mg
250 220 320 370
흡수 시간 45 40 80 52
표 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샘플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샘플에 비하여, 표면 시트의 확산 면적이 흡수체의 확산 면적보다 좁고, 표면 시트의 액 남김량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샘플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샘플에 비해, 체액의 흡수 시간도 짧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따르면, 체액이 표면에서 퍼지기 어렵고, 흡수체 이외에서의 체액의 액 남김을 저감함과 아울러, 체액의 흡수체로의 이행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4)

  1. 피부 접촉면측에 배치된 표면 시트, 피부 비접촉면측에 배치된 이면 시트, 이들 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 및 상기 흡수체와 상기 표면 시트와의 사이에 배치된 세컨드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세컨드 시트는, 핫 멜트 접착제와, 상기 표면 시트, 상기 세컨드 시트 및 상기 흡수체를 일체적으로 압축하여 형성된 환형상의 방루 홈에 의해서만 고착됨으로써, 부분적으로 고착되고 있으며,
    상기 표면 시트는 선형상의 엠보스에 의해 구획화된 다수의 구획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수은 포로시미터(porosimeter)에 의한 구멍 직경 1~600㎛의 구멍 직경 분포 측정에 있어서, 구멍 직경 100㎛ 이하의 영역의 세공(細孔) 용량이 전체 세공 용량의 10% 이하의 시트이고,
    상기 세컨드 시트는 그 구성 섬유가 합성 섬유이고, 그 두께가 0.15~0.4㎜이고 또한 그 액 보유량이 60g/㎡ 이하의 시트인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다주름 형상의 흡수 시트이고, 상기 흡수 시트와 상기 세컨드 시트가 부분적으로 고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그 구성 섬유가 열 신장 섬유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구획 영역 내에 있어서, 상기 열 신장 섬유는 가열에 의해 상기 열 신장 섬유의 길이가 신장하고 있으며, 교차한 상기 열 신장 섬유끼리의 상호 교점이 열 융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 상태에서의 액 확산성의 측정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액 확산 면적이 상기 표면 시트의 액 확산 면적의 1.6배 이상인, 흡수성 물품.
KR1020127025297A 2010-06-10 2011-05-12 흡수성 물품 KR101786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32804 2010-06-10
JP2010132804A JP5513267B2 (ja) 2010-06-10 2010-06-10 吸収性物品
PCT/JP2011/060985 WO2011155284A1 (ja) 2010-06-10 2011-05-12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424A KR20130080424A (ko) 2013-07-12
KR101786474B1 true KR101786474B1 (ko) 2017-11-15

Family

ID=45097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297A KR101786474B1 (ko) 2010-06-10 2011-05-12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513267B2 (ko)
KR (1) KR101786474B1 (ko)
CN (1) CN102834080B (ko)
TW (1) TWI555517B (ko)
WO (1) WO20111552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9337B1 (ja) 2013-06-11 2014-08-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体、及び当該吸収体を含む吸収性物品
JP2016535646A (ja) * 2013-08-26 2016-11-17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流体吸収性製品
JP2015154881A (ja) * 2014-02-21 2015-08-27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20184B2 (ja) * 2014-06-11 2018-05-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6361503A (zh) * 2015-07-21 2017-02-01 佛山市啟盛卫生用品有限公司 一种带压花锁水凹槽结构的婴儿纸尿裤
JP6629542B2 (ja) * 2015-08-04 2020-01-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07557B2 (ja) * 2015-08-27 2017-10-0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352718B1 (en) * 2015-09-22 2021-03-0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urved channels
JP6329983B2 (ja) * 2016-03-24 2018-05-2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42423B2 (ja) * 2016-03-29 2017-12-0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59540B2 (ja) * 2016-06-03 2018-01-10 花王株式会社 生理用吸収性物品
WO2017209076A1 (ja) * 2016-06-03 2017-12-07 花王株式会社 生理用吸収性物品
EP3618790A1 (en) * 2017-01-31 2020-03-1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haped nonwoven fabrics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JP2018166939A (ja) * 2017-03-30 2018-11-0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9005910A1 (en) 2017-06-30 2019-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NON-WOVEN FABRIC
WO2019005906A1 (en) 2017-06-30 2019-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FABRIC
JP7018863B2 (ja) * 2018-10-09 2022-02-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20116153A (ja) * 2019-01-24 2020-08-06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CN113260343A (zh) 2019-02-15 2021-08-13 易希提卫生与保健公司 吸收性物品
AU2019429116B2 (en) * 2019-02-15 2022-09-22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with embossed surface layer
EP3827798B1 (en) 2019-03-21 2022-06-22 Ontex BV Absorbent articles
JP7256836B2 (ja) * 2021-03-25 2023-04-1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0566A (ja) * 2003-06-16 2005-01-06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JP2009148322A (ja) * 2007-12-19 2009-07-09 Kao Corp 低拡散性透過紙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2010115479A (ja) * 2008-10-15 2010-05-27 Kao Corp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1838B2 (ja) * 2001-12-28 2005-01-1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JP4495405B2 (ja) * 2002-06-14 2010-07-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127494B2 (ja) * 2002-06-21 2008-07-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SE0300694D0 (sv) * 2003-03-14 2003-03-14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förbättrat ytmaterial
JP3989468B2 (ja) * 2004-06-14 2007-10-10 花王株式会社 立体賦形不織布
JP4535984B2 (ja) * 2005-11-08 2010-09-01 花王株式会社 凹凸構造体の製造方法
JP4834529B2 (ja) * 2006-11-30 2011-12-1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0566A (ja) * 2003-06-16 2005-01-06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JP2009148322A (ja) * 2007-12-19 2009-07-09 Kao Corp 低拡散性透過紙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2010115479A (ja) * 2008-10-15 2010-05-27 Kao Corp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34080B (zh) 2015-12-02
JP5513267B2 (ja) 2014-06-04
CN102834080A (zh) 2012-12-19
WO2011155284A1 (ja) 2011-12-15
JP2011255023A (ja) 2011-12-22
KR20130080424A (ko) 2013-07-12
TWI555517B (zh) 2016-11-01
TW201143727A (en) 201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474B1 (ko) 흡수성 물품
CN107635521B (zh) 吸收性物品
JP5374345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2011255023A5 (ko)
JP4278962B2 (ja) 吸収体及び前記吸収体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4540629B2 (ja) 吸収性物品
JP7145940B2 (ja) 吸収性物品用の層
JP5268662B2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KR20080028771A (ko) 흡수성 물품
KR20020033440A (ko) 체액 흡수성 패널
WO2009081744A1 (ja) 吸収性物品
JP4275421B2 (ja) 吸収性物品
CN108348375B (zh) 吸收性物品
JP2007175093A (ja) 吸収性物品
CN107072831B (zh) 吸收性物品
WO2016136943A1 (ja) 吸収性物品
JP4219223B2 (ja) シート材料
JP2008148819A (ja) 吸収性物品
JP2008018048A (ja) 吸収性物品
JP2017086621A (ja) 吸収性物品
JP5688265B2 (ja) 吸収性物品
JP5405798B2 (ja) 吸収性物品
JP2012090689A (ja) 吸収性物品
JP4167404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5132798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