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959B1 - 견인차의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견인차의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959B1
KR101777959B1 KR1020160044120A KR20160044120A KR101777959B1 KR 101777959 B1 KR101777959 B1 KR 101777959B1 KR 1020160044120 A KR1020160044120 A KR 1020160044120A KR 20160044120 A KR20160044120 A KR 20160044120A KR 101777959 B1 KR101777959 B1 KR 101777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panel
boom
shaf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론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론특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론특장
Priority to KR1020160044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9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3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facilitating connection, e.g. hitch catchers, visual guide means, signalling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42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견인차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견인차를 견인하기 위해 차량 후부에 설치된 암프레임, 암프레임의 선단측 부위에 높이 방향으로 설치된 스윙붐과 스윙붐의 하부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폴딩붐을 구비한 견인차의 견인장치에서, 폴딩붐을 차량 후방에서 보아 좌우로 스윙 이동시키기 위해 스윙붐을 평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스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견인차의 견인장치{Traction apparatus of wrecker}
본 발명은 견인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피견인차의 하부를 들어올리는 견인장치가 승강붐을 중심으로 좌우 스윙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견인차의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견인차(wrecker)는 사고차량과 같이 자체주행이 어려운 피견인차를 견인하거나, 주차위반 차량을 견인하여 이동시키는 특수차량으로, 피견인차를 싣고 견인하는 장치나 피견인차의 전부 또는 후부를 들어올려 견인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의 견인차(10)의 후미에 장착되어 피견인차(20)의 앞바퀴를 들어올려 견인하는 견인장치(11)는 견인차(10)의 후미에 고정되어 상하 축회전하는 암프레임(12), 암프레임(12)의 선단측 부위에 장착되어 상하로 축회전하는 승강붐(13), 승강붐(13)의 선단측 부위에 장착되어 상하로 접히는 폴딩붐(14)과 폴딩붐(14)의 선단측 부위에 장착되어 피견인차(20)의 앞바퀴를 들어올려 지지하는 견인프레임(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견인차(10)를 이용하여 견인할 때, 견인차(10)를 피견인차(20)의 전방에 위치시킨 후, 견인프레임(15)이 피견인차(20)의 2개의 앞바퀴를 들어올렸다.
하지만, 피견인차(20)의 앞에 다른 차나 물건 등의 방해물이 있으면 견인차(10)를 피견인차(20)의 전방에 위치시키지 못하므로 견인하기가 매우 난감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5362호(2015.03.2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9151호(2016.03.14. 공고)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견인장치에서 승강붐을 중심으로 피견인차를 들어올리는 견인수단이 좌우 방향으로 스윙 이동함으로써, 견인차가 약간 비스듬히 정차하여도 피견인차를 용이하게 견인할 수 있도록 한 견인차용 견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용 견인장치는, 피견인차를 견인하기 위해 차량 후부에 설치된 암프레임, 암프레임의 선단측 부위에 높이 방향으로 설치된 스윙붐과 스윙붐의 하부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폴딩붐을 구비한 견인차의 견인장치에서, 폴딩붐을 차량 후방에서 보아 좌우로 스윙 이동시키기 위해 스윙붐을 평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스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윙수단은 스윙붐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스윙부를 포함하고, 이 스윙부는 스윙붐 상단측 부위에 길이방향으로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된 스윙축, 스윙축의 상부가 통과하도록 배치된 고정패널, 고정된 고정패널 위에 배치되면서 스윙축 에 고정된 연결패널과, 연결패널을 평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스윙축과 스윙붐이 회전하도록 설치된 스윙동력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스윙축의 상부가 암프레임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연결패널이 스윙축의 상면과 체결되며, 고정패널이 연결패널의 아래이면서 암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윙부는 연결패널 위에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패널을 더 포함하고, 이때 스윙동력원이 연결패널과 회전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스윙부는 연결패널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설치된 회전각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이 회전각측정부는 연결패널의 측면에 가공된 중심홈과, 이 중심홈의 위치를 감지하여 연결패널이 회전하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고정패널에 고정된 회전각측정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연결패널은 중심홈이 가공된 제1연결패널을 구비하고, 제1연결패널 위에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패널과 제1연결패널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연결패널을 선택적으로 더 구비하며, 이 다른 연결패널은 제1연결패널 또는 회전패널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스윙수단은 연결패널의 회전 가능 여부를 선택하도록 설치된 정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정지부는 연결패널에 고정된 정지브라켓, 정지브라켓 내부에 배치되면서 연결패널에 체결된 정지축과, 일단부가 고정축에 장착되면서 타단부가 고정브라켓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 핸들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정지축을 중심으로 핸들축을 축회전시켜 정지브라켓의 일측면의 낮은 턱에 얹혀지면 정지축이 연결패널과 고정패널에 함께 끼워져 연결패널의 회전이 방지되고, 핸들축이 정지브라켓의 다른 측면의 높은 턱에 얹혀지면 정지축이 연결패널에만 끼워져 연결패널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연결패널 위에 연계 고정된 회전패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ㅎ한다.
이 경우 정지브라켓이 연결패널과 회전패널 사이에 고정되고, 핸들축이 정지브라켓의 높은 턱에 얹혀지면 정지축이 연결패널과 회전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끼워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윙수단은 스윙붐의 회전 가능 여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설치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이 스토퍼는 스윙붐에 장착되어 폴딩붐을 감지하도록 설치되고, 폴딩붐이 스윙붐 측으로 접히면 스윙붐의 평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폴딩붐이 펼쳐지면 스윙붐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스윙붐은 스윙붐의 하단측 부위에 장착된 폴딩붐을 축회전시키도록 스윙축의 하측에 내장된 제2동력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견인장치는 견인차의 후부에 설치되어 쇽업소버와 함께 완충 기능을 하도록 뒷바퀴를 연결하는 뒷바퀴축에 고정된 완충스프링과, 견인차 후부의 프레임에 완충스프링측으로 고정되어 완충스프링에서 전달된 완충력을 흡수하도록 장착된 탄성 재질의 댐퍼를 구비한 완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에어스프링인 완충스프링과 댐퍼 가 양측 뒷바퀴 근처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또한, 완충수단은 견인차 후부의 프레임 또는 후부에 별도로 고정된 프레임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완충스프링과 댐퍼 사이에 개재된 한 쌍의 전달바 와, 전달바를 연결하여 설치된 지지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지지바에는 암프레임을 승강시키도록 설치된 제1동력원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이 방향으로 설치된 스윙붐을 평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폴딩붐, 제1견인프레임 및 제2견인프레임을 스윙 운동시킴으로써, 견인차와 피견인차가 다른 각도로 정차된 상태에서도 견인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지부로 스윙부의 회전을 선택함으로써, 스윙붐이 의도치 않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회전각측정부로 스윙부의 회전을 감지하여 스윙 동작 여부를 작업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토퍼로 폴딩붐을 감지하여 폴딩붐이 펼쳐진 상태에서만 스윙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견인시 차량 후부에 가해되는 출렁거림을 완충스프링과 댐퍼가 최대한 흡수할 수 있고, 출렁거림에 따라 암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제1동력원의 높이가 가변됨으로써 출렁임에 따른 추가 하중이 암프레임에 최소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종래의 견인차가 견인장치로 피견인차를 견인하는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견인차의 견인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견인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윙수단이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스윙부와 승윙붐의 연결부위가 도시된 내부도이다.
도 7과 도 8은 도 2의 정지부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스토퍼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2의 견인장치의 완충수단을 보여주기 위해 일부 구성요소가 배제된 견인차의 후미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암프레임의 승강 구조 및 완충수단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다른 각도에서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라 견인차의 견인장치(T)는 견인차(C)의 적재부에 피견인차의 앞바퀴 부위(또는 뒷바퀴 부위, 이하에서는 견인시 앞바퀴를 들어올리는 경우로 하여 설명한다)를 들어올려 견인하도록 설치된다. 이 견인장치(T)는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윈치수단(100), 견인수단(200)과 스윙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특징인 스윙수단(3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일반적인 윈치수단(100)과 견인수단(200)에 대해서는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된 각종 동력원은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일 수 있고, 기어와 모터를 연결한 장치일 수도 있다.
윈치수단(100)은 견인수단(200)에 지지된 피견인차의 앞바퀴가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견인시 피견인차의 앞바퀴에 일측 부위가 체결되는 윈치로프, 윈치로프가 감기거나 풀리는 권취드럼(미도시), 윈치로프를 권취드럼에 감거나 풀도록 설치된 윈치동력원(110)과, 견인수단(200)측에서 이어진 윈치로프를 윈치동력원(110)으로 안내하도록 설치된 윈치로프가이더(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권취드럼, 윈치동력원(110)과 윈치로프가이더(120)는 견인차(C)의 적재부에 장착될 수 있고, 설치 구조상 윈치동력원(110)은 암프레임(210)에 설치될 수 있고, 윈치로프가이더(120)는 스윙붐(22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견인수단(200)은 암프레임(210), 스윙붐(220), 폴딩붐(230), 제1견인프레임(240)과 제2견인프레임(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암프레임(210)은 견인차(C)의 적재부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이 암프레임(210)의 선단측 부위는 제1동력원(211, 도 11 참조)에의해 승강하면서 축회전하게 된다. 이때, 암프레임(210)의 선단측 부위에 결합축(212)을 구비할 수 있고, 제1동력원(211)이 승강력을 결합축(212)에 제공하여 암프레임(210)의 축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물론, 제1동력원(211)이 암프레임(210)에 직접 체결될 수도 있고, 선단측 부위 이외의 위치에 체결될 수도 있다. 다만, 암프레임(210)의 축회전 각도에 대해 최소의 힘을 소요되도록 선단측 부위에 근처에 배치되어 선단측 부위를 승강시키도록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암프레임(210)에는 윈치동력원(110) 또는 견인장치(T)의 스윙동력원(311) 또는 고정패널(313)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스윙붐(220)은 암프레임(210)의 선단측 부위에 상부가 체결되고, 하부에 축회전하여 접히는 폴딩붐(230)이 설치된다. 이 스윙붐(220)의 내부에는 폴딩붐(230)을 상하 방향으로 축회전시켜 스윙붐(220)에 인접하도록 접을 수 있도록 제2동력원(221, 도 7 참조)이 설치될 수 있다.
또, 폴딩붐(230)은 일측부가 스윙붐(220)에 장착되고, 선단측 부위가 축회전하여 스윙붐(220)에 근접 또는 멀어지도록 설치된다. 이 폴딩붐(230)의 축회전하는 선단측 부위에 피견인차의 앞바퀴를 들어올리는 제1견인프레임(240)이 대략 "T"자 형태로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1견인프레임(240)은 폴딩붐(230)의 선단측 부위에 접히거나 펼쳐져 대략 "T"자 형태가 되도록 설치되고, 폴딩붐(230)의 선단측 부위에 고정 및/또는 슬라이딩 인출 및 삽입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 제1견인프레임(240)에는 한 쌍의 제2견인프레임(250)이 제3동력원(241)에의해 축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이 제2견인프레임(250)과 제1견인프레임(240) 위에 피견인차의 앞바퀴를 올려놓고 견인하도록 제2견인프레임(250)이 제견인프레임(240)과 대략 "ㄷ"자 형태가 되도록 축회전할 수 있다.
스윙수단(300)은 도 3 내지 도 9에서 보듯이, 스윙부(310), 정지부(320)와 스토퍼(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스윙수단(300)은 스윙붐(220)을 평면상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폴딩붐(230), 제1견인프레임(240) 및 제2견인프레임(250)이 차량 후방에서 보아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각도 내에서 회전하는 스윙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스윙 이동에 대해 설명의 편의상 폴딩붐(230)이 회전하는 것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먼저, 스윙부(310)는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스윙동력원(311), 회전각측정부(312), 고정패널(313), 연결패널(314), 회전패널(315)과 스윙축(3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윙동력원(311)은 스윙붐(220)을 평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일정 각도 내에서 회전패널(315) 및/또는 연결패널(314)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된다. 일례로, 스윙동력원(311)은 암프레임(210)의 상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311a)에 일단부가 축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타단부가 회전패널(315) 및/또는 연결패널(314)의 테두리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윙동력원(311)이 회전패널(315)의 테두리 부위를 밀거나 당겨 회전패널(315)이 평면상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내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스윙동력원(311)은 구체적으로, 일측부가 고정브라켓(311a)에 제1회전축(311b)에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측부가 회전패널(315)과 연결패널(314)의 테두리 부위에 제2회전축(311c)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스윙동력원(311)은 제2회전축(311c)으로 회전패널(315)과 연결패널(314) 중 하나인 제1연결패널(314a)을 미는 동안 제1회전축(311b)을 중심으로 평면상 축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브라켓(311a)은 암프레임(2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회전각측정부(312)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스윙동력원(311)에의해 회전하는 회전패널(315) 및/또는 연결패널(314)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고, 회전패널(315) 및/또는 연결패널(314)의 회전으로 인해 폴딩붐(230)이 스윙 이동하면 이를 작업자에서 경고하도록 설치된다. 일례로, 회전각측정부(312)는 도 5에서와 같이, 연결패널(314) 중 하나인 제1연결패널(314a)의 측면 일부위에 오목하게 성형된 중심홈(312a)과, 고정패널(313) 위에 고정된 회전각측정센서(312b)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회전각측정센서(312b)는 제1보호커버(312c)가 씌워져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때, 회전각측정센서(312b)는 돌기가 탄성적으로 인출 또는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고정패널(313) 위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각측정부(312)는 회전각측정센서(312b)인 돌기가 중심홈(312a)에 끼워지고, 제1연결패널(314a)과 함께 중심홈(312a)이 이동하여 돌기가 중심홈(312a)에서 벗어나면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연결패널(314a)과 함께 스윙붐(220)이 회전하여 폴딩붐(230)이 스윙 이동 중임을 회전각측정센서(312b)가 감지하면 작업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이때, 경광등 또는 경고음으로 경고할 수 있고, 경고음의 크기는 중심홈(312a)이 돌기로부터 멀어질수록 더 커질 수도 있고, 일정 각도 이상으로 벗어나면 더 커질 수도 있다.
또한, 고정패널(313)은 암프레임(210)의 선단측 부위에 고정된다. 이 고정패널(313) 위에 암프레임(210)을 관통하는 스윙축(316)과 체결된 연결패널(314)이 배치된다.
그리고 연결패널(314)은 중심홈(312a)이 가공되면서 스윙축(316)과 체결된 제1연결패널(314a)을 구비하고, 이 제1연결패널(314a)과 상측의 회전패널(315) 사이에 제2,3,4연결패널(314b,314c,314d)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3,4연결패널(314b,314c,314d)은 제1연결패널(314a)과 회전패널(315)의 체결을 조력하면서 제1연결패널(314a)과 스윙축(316)과의 체결을 조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제2,3,4연결패널(314b,314c,314d)은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고, 전부 배제될 수도 있으며, 제1연결패널(314a) 및 회전패널(315)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회전패널(315)은 연결패널(314) 위에 고정되고, 변두리에 스윙동력원(311)이 체결되며, 스윙동력원(311)에의해 평면상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이 회전패널(315)의 상면에 윈치로프가이더(120)가 고정될 수 있다.
또, 정지부(320)는 회전패널(315) 및/또는 연결패널(314)을 고정패널(313)에 선택적으로 연결시켜 회전패널(315) 및/또는 연결패널(314)의 회전을 가능 또는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례로, 정지부(320)는 회전패널(315)과 제1연결패널(314a) 사이에 설치되고, 제1연결패널(314a) 상면 변두리에 고정된 정지브라켓(321), 정지브라켓(321)의 내부에 배치되면서 회전패널(315)과 제1연결패널(314a)을 관통하여 배치된 정지축(322)과, 정지축(322)에 일측이 고정되면서 타측이 정지브라켓(321) 외부로 돌출되고 정지축(322)을 상하 이동시켜 고정패널(313)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설치된 핸들축(3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지브라켓(321)의 일면에는 관통한 핸들축(323)이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턱이 마련되고, 다른 일면에는 관통한 핸들축(323)이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턱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서와 같이 핸들축(323)이 정지브라켓(321)의 턱에 걸려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정지축(322)이 회전패널(315) 및/또는 제1연결패널(314a)만 관통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정지축(322)을 중심으로 핸들축(323)을 축회전시켜 정지브라켓(321)의 턱에 걸려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정지축(322)이 회전패널(315) 및/또는 제1연결패널(314a)과 더불어 고정패널(313)을 관통한 상태가 된다. 즉, 핸들축(323)이 고정패널(313)을 관통하지 않은 상태가 되면 스윙동력원(311)에의해 회전패널(315)과 제1연결패널(314a)의 회전이 가능하고, 핸들축(323)이 고정패널(313)을 관통한 상태가 되면 스윙동력원(311)에의한 회전패널(315)과 제1연결패널(314a)의 회전은 방지된다. 다른 예로, 정지브라켓(321)이 회전패널(315)이나 연결패널 또는 제1연결패널(314a)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윙축(316)은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스윙동력원(311)에의한 회전패널(315) 및/또는 연결패널(314)의 회전을 스윙붐(220)에 전달하기 위한 축이다. 이 스윙축(316)의 상부는 암프레임(210)을 관통하여 연결패널(314)과 체결되고, 하부는 스윙붐(220) 내에 고정된다. 일례로, 스윙축(316)의 상면은 제1연결패널(314a)과 체결되고, 스윙축(316)의 하부는 스윙붐(220)의 내면에 고정된 결합부재(316b)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암프레임(210)을 관통하는 스윙축(316)의 상부는 암프레임(210)과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평면상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이 원활하도록 제1보호구(316a)를 통과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보호구(316a)와 스윙축(316) 사이에 스윙축(316)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보스(boss)가 설치될 수 있다. 또, 스윙축(316)의 하부는 결합부재(316b)를 관통하여 용접 또는 걸림결합 등을 포함한 통상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결합부재(316b)와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보스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된 스토퍼(330)는 폴딩붐(230)이 접혀 스윙붐(220)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는 폴딩붐(230)의 스윙 이동을 방지하고, 폴딩붐(230)이 펼쳐지면 스윙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 스토퍼(330)는 도 3과 도 9에서 보듯이 스윙붐(220)의 하단측 부위에 설치되고, 폴딩붐(230)이 펼쳐져 폴딩붐(230)의 일측부위가 감지되면 스윙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폴딩붐(230)이 접혀져 감지되지 않으면 스윙이 불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스토퍼(330)는 제2보호커버(331)가 씌워져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330)는 일례로, 탄성 삽입 및 인출되는 돌기가 폴딩붐(230)에 접촉되어 삽입되면 폴딩붐(230)이 펼쳐진 것으로 인지하여 폴딩붐(230)의 스윙 이동이 가능하도록 신호를 제공하고, 돌기가 인출되면 폴딩붐(230)이 접힌 것으로 인지하여 폴딩붐(230)의 스윙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신호는 제어판에 표시하고, 스윙동력원(311)의 작동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판은 차체에 장착될 수도 있고,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등을 포함한 전자기기가 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견인장치(T)는 도 10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완충수단(3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완충수단(340)은 견인시 견인차(C)의 후부에 전달되는 피견인차의 일부 중량을 완충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완충수단(340)은 완충스프링(341), 전달바(342), 댐퍼(343)와 지지바(3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완충스프링(341)은 견인차(C)의 후부에 전달된 피견인차의 일부 중량을 완충시킨다. 이 완충스프링(341)은 특히 견인차(C)의 후부에 제공되는 충격을 최대한 완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견인차(C)의 뒷바퀴를 연결한 뒷바퀴축(R)과 견인차(C)의 후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완충스프링(341)은 코일스프링, 판스프링일 수 있고, 에어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에어스프링에는 펌프를 포함한 동력원이 완충력에 비례하여 적절한 양의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주입되는 공기의 양은 작업자에의해 조정될 수도 있고, 하중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될 수도 있으며, 쇽업소버와 더불어 완충력을 감안하여 주입될 수 있다. 따라서, 견인시 견인차(C)의 적재부 또는 후부에 피견인차의 일부 중량이 제공되어 충격이 전달되면, 완충스프링(341)이 단독으로, 또는 뒷바퀴측의 쇽업소버(shock absorber)와 함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완충스프링(341)은 뒷바퀴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견인차(C)의 충격완화를 위해 완충스프링(341)만 설치될 수도 있고, 완충스프링(341)에서 흡수한 충격 또는 흡수하지 못한 충격의 일부를 추가 완화시키도록 완충스프링(341)과 차체 프레임 사이에 댐퍼(343) 및/또는 전달바(342)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댐퍼(343)는 견인차(C)의 후부에 제공된 충격의 일부를 추가적으로 완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댐퍼(343)는 고무를 포함한 탄성 재질로, 견인차(C)의 후부 차체 또는 후부 차체에 고정된 별도의 프레임에 고정되고, 완충스프링(341)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어 신축(伸縮)하면서 충격의 일부를 흡수하도록 설치된다. 일례로, 댐퍼(343)는 완충스프링(341)의 흡수된 충격 또는 완충스프링(341)을 통해 전달된 충격 등을 흡수할 수 있도록 완충스프링(341)의 상부와 직접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댐퍼(343)와 완충스프링(341) 사이에 전달바(342)를 개재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댐퍼(343) 역시 2개의 완충스프링(341)의 상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 전달바(342)는 댐퍼(343)와 완충스프링(341)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스프링(341)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댐퍼(343)로 전달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전달바(342)는 일측부가 견인차(C)의 후부 차체 또는 후부 차체에 고정된 별도의 부재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되고, 타측부가 댐퍼(343)와 완충스프링(341) 사이에 개재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완충스프링(341)이 신축하면서 충격을 댐퍼(343)에 전달하고, 댐퍼(343) 역시 신축하면서 충격을 완화하는 동안 댐퍼(343)와 완충스프링(341) 사이에 위치한 전달바(342)는 축회전하면서 그 높이가 변할 수 있다. 이때, 전달바(342) 역시 2쌍의 댐퍼(343)와 완충스프링(341) 사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바(344)는 암프레임(210)의 선단측 부위를 승강시키도록 설치된 제1동력원(211)이 고정 및 지지되는 부재이다. 이 지지바(344)는 뒷바퀴 양측에 장착된 전달바(342)들을 가로질러 설치된다. 즉, 전달바(342)가 완충스프링(341)과 댐퍼(343)가 충격을 완충하는 동안 축회전하는 전달바(342)의 높이 변경에 따라 지지바(344) 역시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도 변경될 수 있다. 이는, 피견인차를 견인하여 주행할 때, 견인차(C) 후부의 출렁거림에 대해 전달바(342) 및 지지바(344)와 함께 제1동력원(211)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변하도록 함으로써, 암프레임(210)의 지면으로부터의 승강 높이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반대의 경우, 제1동력원(211)이 차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암프레임(210)을 일정 높이로 상승시킨 후 유지하는 경우, 주행하는 차체가 출렁거리면 암프레임(210)의 상승 높이가 차체와 함께 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윙붐(220), 폴딩붐(230), 제1견인프레임(240)과 제2견인프레임(250)을 통해 피견인차에 고스란히 전달되어 견인수단(200)이나 피견인차에 추가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 및 최소화하기 위해 전달바(342), 지지바(344)를 통해 제1동력원(211)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견인차(C)의 출렁임에 따라 변하여 최소화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작동>
본 발명에 따른 견인장치(T)의 스윙 동작 위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즉, 폴딩붐(230), 제1견인프레임(240)과 제2견인프레임(250)이 견인하기 위해 펼쳐진 상태에서 스윙붐(220)을 평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폴딩붐(230), 제1견인프레임(240)과 제2견인프레임(250)이 차량 후방에서 보아 좌우 방향으로 스윙 운동하는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스윙 운동을 위한 작동은 작업자가 차체에 부착된 제어판 또는 스마트폰, 테블릿 등의 전자기기를 통해 작동시킬 수 있다.
먼저, 폴딩붐(230)이 지면측으로 축회전하면 스토퍼(330)가 폴딩붐(230)의 일측부를 감지하여 스윙 운동이 가능하다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신호는 작업자가 조작하는 제어판에 표시되고, 스윙동력원(311)을 작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핸들축(323)을 축회전시켜 정지축(322)과 고정패널(313)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따라서 회전패널(315) 및/또는 연결패널(314)은 고정패널(313)과의 체결이 해제되어 평면상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연결패널(314)은 제1연결패널(314a)일 수 있다.
다음으로, 스윙동력원(311)을 작동시켜 회전패널(315) 및/또는 연결패널(314)을 평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각측정센서(312b)는 연결패널(314)의 중심홈(312a)을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연결패널(314)과 함께 중심홈(312a)이 최초의 위치에서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이때, 회전각측정센서(312b)는 중심홈(312a)이 감지 범위 내에서 이탈하면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연결패널(314)과 함께 스윙축(316)이 평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스윙축(316)과 함께 스윙붐(220)이 회전한다.
다음으로, 스윙붐(220)에 체결된 폴딩붐(230)이 차량 후방에서 보아 좌우 방향으로 스윙 운동한다.
이렇게 폴딩붐(230)을 스윙 운동시킨 다음, 제1견인프레임(240)과 제2견인프레임(250)이 피견인차의 앞바퀴를 지지 및 고정하고, 제1동력원(211)으로 암프레임(210)을 상승시켜 피견인차의 앞부위를 들어올린다.
다음으로, 스윙동력원(311)을 작동시켜 회전패널(315) 및/또는 연결패널(314)을 최초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때, 회전각측정센서(312b)가 연결패널(314)의 중심홈(312a)을 감지하고, 중심홈(312a)이 최초 위치로 복귀하면 경고음 발생을 중지시킨다. 이때, 회전각측정센서(312b)는 중심홈(312a)이 감지 범위 내로 복귀하면 경고음 발생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후, 피견인차를 견인할 수 있다. 이때,의도치 않은 폴딩붐(230)의 스윙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정지부(320)의 핸들축(323) 및 정지축(322)을 조작할 수도 있고, 회전각측정센서(312b)의 신호로 스윙동력원(311)의 작동을 차단할 수도 있다.
한편, 견인장치(T)로부터 피견인차를 이탈시켜 견인이 다 끝나면, 폴딩붐(230)을 축회전시켜 스윙붐(220)에 근접하도록 접는다.
이때, 폴딩붐(230)이 접혀서 스토퍼(330)가 폴딩붐(230)을 미감지하게 되면 스윙 운동이 불가능하다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신호는 제어기에 표시되고, 스윙동력원(311)의 작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핸들축(323)을 축회전시켜 정지축(322)이 회전패널(315) 및/또는 연결패널(314)과 더불어 고정패널(313)에 체결된다. 이로 인해 회전패널(315) 및/또는 연결패널(314)의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렇게 견인장치(T)는 견인 이전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윈치수단
110:윈치동력원
120:윈치로프가이더
200:견인수단
210:암프레임
211:제1동력원
212:결합축
220:스윙붐
221:제2동력원
230:폴딩붐
240:제1견인프레임
241:제3동력원
250:제2견인프레임
300:스윙수단
310:스윙부
311:스윙동력원
311a:고정브라켓
311b:제1회전축
311c:제2회전축
312:회전각측정부
312a:중심홈
312b:회전각측정센서
312c:제1보호커버
313:고정패널
314:연결패널
314a:제1연결패널
314b:제2연결패널
314c:제3연결패널
314d:제4연결패널
315:회전패널
316:스윙축
316a:제1보호구
316b:결합부재
320:정지부
321:정지브라켓
322:정지축
323:핸들축
330:스토퍼
331:제2보호커버
340:완충수단
341:완충스프링
342:전달바
343:댐퍼
344:지지바
C:견인차
R:뒷바퀴축.

Claims (12)

  1. 피견인차를 견인하기 위해 차량 후부에 설치된 암프레임(210), 암프레임(210)의 선단측 부위에 높이 방향으로 설치된 스윙붐(220)과 스윙붐(220)의 하부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폴딩붐(230)을 구비한 견인차의 견인장치에서,
    상기 폴딩붐(230)을 차량 후방에서 보아 좌우로 스윙 이동시키기 위해 스윙붐(220)을 평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스윙수단(300);을 포함하되, 상기 스윙수단(300)은 스윙붐(220)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스윙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스윙부(310)는 스윙붐(220) 상단측 부위에 길이방향으로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된 스윙축(316), 스윙축(316)의 상부가 통과하도록 배치된 고정패널(313), 고정된 고정패널(313) 위에 배치되면서 스윙축(316)에 고정된 연결패널(314)과, 연결패널(314)을 평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스윙축(316)과 스윙붐(220)이 회전하도록 설치된 스윙동력원(3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의 견인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스윙축(316)의 상부가 암프레임(210)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연결패널(314)이 스윙축(316)의 상면과 체결되며, 고정패널(313)이 연결패널(314)의 아래이면서 암프레임(21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의 견인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스윙부(310)는 연결패널(314) 위에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패널(3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윙동력원(311)이 연결패널(314)과 회전패널(315)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의 견인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스윙부(310)는 연결패널(314)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설치된 회전각측정부(3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각측정부(312)는 연결패널(314)의 측면에 가공된 중심홈(312a)과, 이 중심홈(312a)의 위치를 감지하여 연결패널(314)이 회전하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고정패널(313)에 고정된 회전각측정센서(312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의 견인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연결패널(314)은 중심홈(312a)이 가공된 제1연결패널(314a)을 구비하고, 제1연결패널(314a) 위에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패널(315)과 제1연결패널(314a)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연결패널을 선택적으로 더 구비하며, 이 다른 연결패널은 제1연결패널(314a) 또는 회전패널(315)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의 견인장치.
  7. 피견인차를 견인하기 위해 차량 후부에 설치된 암프레임(210), 암프레임(210)의 선단측 부위에 높이 방향으로 설치된 스윙붐(220)과 스윙붐(220)의 하부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폴딩붐(230)을 구비한 견인차의 견인장치에서,
    상기 폴딩붐(230)을 차량 후방에서 보아 좌우로 스윙 이동시키기 위해 스윙붐(220)을 평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스윙수단(300);을 포함하되,
    상기 스윙수단(300)은 연결패널(314)의 회전 가능 여부를 선택하도록 설치된 정지부(3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지부(320)는 연결패널(314)에 고정된 정지브라켓(321), 정지브라켓(321) 내부에 배치되면서 연결패널(314)에 체결된 정지축(322)과, 일단부가 정지축(322)에 장착되면서 타단부가 정지브라켓(321)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 핸들축(323)을 구비하고,
    상기 정지축(322)을 중심으로 핸들축(323)을 축회전시켜 정지브라켓(321)의 일측면의 낮은 턱에 얹혀지면 정지축(322)이 연결패널(314)과 고정패널(313)에 함께 끼워져 연결패널(314)의 회전이 방지되고, 핸들축(323)이 정지브라켓(321)의 다른 측면의 높은 턱에 얹혀지면 정지축(322)이 연결패널(314)에만 끼워져 연결패널(314)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의 견인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연결패널(314) 위에 연계 고정된 회전패널(315)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정지브라켓(321)이 연결패널(314)과 회전패널(315) 사이에 고정되고, 핸들축(323)이 정지브라켓(321)의 높은 턱에 얹혀지면 정지축(322)이 연결패널(314)과 회전패널(315) 중 적어도 하나에 끼워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의 견인장치.
  9. 피견인차를 견인하기 위해 차량 후부에 설치된 암프레임(210), 암프레임(210)의 선단측 부위에 높이 방향으로 설치된 스윙붐(220)과 스윙붐(220)의 하부에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폴딩붐(230)을 구비한 견인차의 견인장치에서,
    상기 폴딩붐(230)을 차량 후방에서 보아 좌우로 스윙 이동시키기 위해 스윙붐(220)을 평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스윙수단(300);을 포함하되,
    상기 스윙수단(300)은 스윙붐(220)의 회전 가능 여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설치된 스토퍼(3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330)는 스윙붐(220)에 장착되어 폴딩붐(230)을 감지하도록 설치되고, 폴딩붐(230)이 스윙붐(220)측으로 접히면 스윙붐(220)의 평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폴딩붐(230)이 펼쳐지면 스윙붐(2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의 견인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스윙붐(220)은 스윙붐(220)의 하단측 부위에 장착된 폴딩붐(230)을 축회전시키도록 스윙축(316)의 하측에 내장된 제2동력원(22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의 견인장치.
  11. 제1항에서,
    상기 견인차(C)의 후부에 설치되어 쇽업소버와 함께 완충 기능을 하도록 뒷바퀴를 연결하는 뒷바퀴축(R)에 고정된 완충스프링(341)과, 견인차(C) 후부의 프레임에 완충스프링(341)측으로 고정되어 완충스프링(341)에서 전달된 완충력을 흡수하도록 장착된 탄성 재질의 댐퍼(343)를 구비한 완충수단(3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의 견인장치.
  12. 제11항에서,
    에어스프링인 완충스프링(341)과 댐퍼(343)가 양측 뒷바퀴 근처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고,
    상기 완충수단(340)은 견인차 후부의 프레임 또는 후부에 별도로 고정된 프레임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완충스프링(341)과 댐퍼(343) 사이에 개재된 한 쌍의 전달바(342)와, 전달바(342)를 연결하여 설치된 지지바(344)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바(344)에는 암프레임(210)을 승강시키도록 설치된 제1동력원(211)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의 견인장치.
KR1020160044120A 2016-04-11 2016-04-11 견인차의 견인장치 KR101777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120A KR101777959B1 (ko) 2016-04-11 2016-04-11 견인차의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120A KR101777959B1 (ko) 2016-04-11 2016-04-11 견인차의 견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959B1 true KR101777959B1 (ko) 2017-09-12

Family

ID=5992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120A KR101777959B1 (ko) 2016-04-11 2016-04-11 견인차의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9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2174A (zh) * 2021-12-10 2022-04-12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有限公司 牵引装置和矿用运输列车
KR20230037873A (ko) * 2021-09-10 2023-03-17 주식회사 씨엠티아이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9002A (ja) * 1998-11-26 2000-06-13 Shin Meiwa Ind Co Ltd レッカー車輌
JP2004230925A (ja) * 2003-01-28 2004-08-19 Taino Jidosha Kk レッカー車用牽引アー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9002A (ja) * 1998-11-26 2000-06-13 Shin Meiwa Ind Co Ltd レッカー車輌
JP2004230925A (ja) * 2003-01-28 2004-08-19 Taino Jidosha Kk レッカー車用牽引アー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873A (ko) * 2021-09-10 2023-03-17 주식회사 씨엠티아이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
KR102662583B1 (ko) * 2021-09-10 2024-05-07 주식회사 씨엠티아이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
CN114312174A (zh) * 2021-12-10 2022-04-12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有限公司 牵引装置和矿用运输列车
CN114312174B (zh) * 2021-12-10 2024-01-26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有限公司 牵引装置和矿用运输列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9741B2 (en) Mega elongator
US20100207355A1 (en) Lifting device for tow car
KR101777959B1 (ko) 견인차의 견인장치
EP2335952B1 (en) Drawbar for a trailer
JP2013052949A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KR101969234B1 (ko) 화물차량용 후방 안전판
JP5392103B2 (ja) 自律移動体乗降システム
JP6712970B2 (ja) 車両用突入防止装置
US20220134987A1 (en) Mechanisms for moving a pod out of a vehicle
KR101196671B1 (ko) 차량 견인 장치
JP6610088B2 (ja) 移動式クレーンに備えられたステップ機構
KR101063543B1 (ko) 교통안전 교육용 다기능 트레일러
KR101617365B1 (ko) 트레일러 견인장치
KR102143509B1 (ko) 견인프레임 절첩 기능을 가진 카라반용 견인 시스템
KR102111785B1 (ko) 충돌 방지용 차량 도어의 열림 조절장치
JP4230516B2 (ja) 車両運転体験用障害物装置
CN111845518A (zh) 吊装式清障车
KR101759177B1 (ko) 소방용 전기 구동 차량
KR101298427B1 (ko) 차량 운반용 카 캐리어의 자세안정장치
JP4192198B1 (ja) 車両運転体験用障害物装置
CN216580288U (zh) 一种清障车装置
CN220390913U (zh) 一种铰接摆动式减震结构的潜伏牵引式agv小车
KR200361054Y1 (ko) 관성 브레이크 장치를 장착한 트레일러
ES2940572T3 (es) Sistema de remolque motorizado y barra de remolque
AU2011101598A4 (en) A pivoting panel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