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583B1 -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583B1
KR102662583B1 KR1020210120962A KR20210120962A KR102662583B1 KR 102662583 B1 KR102662583 B1 KR 102662583B1 KR 1020210120962 A KR1020210120962 A KR 1020210120962A KR 20210120962 A KR20210120962 A KR 20210120962A KR 102662583 B1 KR102662583 B1 KR 102662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arm
support
cylind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7873A (ko
Inventor
양석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티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티아이
Priority to KR1020210120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583B1/ko
Publication of KR20230037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60P3/12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only part of the vehicle, e.g. front- or rear-axle
    • B60P3/12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only part of the vehicle, e.g. front- or rear-axle on a tow do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42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 B60D1/4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vertically
    • B60D1/465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vertically comprising a lifting mechanism, e.g. for coupling while lif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견인차량의 후륜 상측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틸팅 실린더와; 상기 프레임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틸팅 실린더의 로드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틸팅되며 하단 양측면에 지지롤러가 설치된 아우터 붐과, 상기 아우터 붐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너 붐으로 이루어진 붐대와; 상기 이너 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붐 실린더와; 상기 붐대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회전핀을 중심으로 상기 이너 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시에 내측면이 상기 지지롤러에 접촉되는 회전 가이드캠이 하단 양측면에 구비된 암 부재와; 상기 암 부재의 상단에 구비되어 피견인 차량의 전륜이 안착되는 바퀴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피견인 차량이 가하는 하중에 의해 암 부재가 비틀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Lifting device mounted on tow vehicle}
본 발명은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견인 차량의 하중에 의해 리프팅 장치가 비틀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렉커차(wrecker car)라고 불리는 견인차량은 사고차량과 같이 자체주행이 어려운 피견이나 주차위반 차량을 견인하여 이동시키는 특수차량으로, 피견인 차량의 전륜을 리프팅 장치로 들어 올려 특정 장소로 이동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견인차는 한국등록특허 10-1505362에 제시되어 있는 것처럼 절곡된 암프레임(10)의 선단이 견인차량의 후륜 앞쪽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바퀴받침수단(50)이 피견인차량의 전륜을 들어 올렸을 때 암프레임(10)의 회동점이 너무 앞쪽에 위치한 관계로 피견인 차량의 하중에 의해 암프레임(10)이 변형되거나 회동점 주위의 구성요소들이 훼손될 수 있는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10-150536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피견인 차량을 리프팅하여 들어 올릴 때 피견인 차량이 붐대나 암 부재에 가하는 하중에 의해 붐대나 암 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는 견인차량의 후륜 상측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틸팅 실린더와; 상기 프레임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틸팅 실린더의 로드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틸팅되며 하단 양측면에 지지롤러가 설치된 아우터 붐(outer boom)과, 상기 아우터 붐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너 붐(inner boom)으로 이루어진 붐대와; 상기 이너 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붐 실린더와; 상기 붐대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회전핀을 중심으로 상기 이너 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시에 내측면이 상기 지지롤러에 접촉되는 회전 가이드캠이 하단 양측면에 구비된 암 부재와; 상기 암 부재의 상단에 구비되어 피견인 차량의 전륜이 안착되는 바퀴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암 부재는 상기 이너 붐과 회전핀으로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회전하고, 양측면에 상기 회전 가이드캠이 구비된 아우터 암(outer arm)과; 상기 아우터 암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바퀴 받침부가 상단에 구비된 이너 암(inner arm);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 암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암 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핀은 상기 지지롤러보다 후방측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는 견인차량의 후륜 상측에 설치된 프레임의 후방에 붐대와 암 부재가 배치되고 붐대와 암 부재를 연결하는 회전핀을 중심으로 암 부재가 회전하게 되어 회전중심이 견인차량의 후륜 뒤쪽에 위치되므로, 피견인 차량과 암 부재의 회전중심간의 거리가 멀지 않아서 피견인 차량이 가하는 하중에 의해 암 부재가 비틀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앞뒤로 직립 설치되는 붐대와 암 부재의 연결에 의해 리프팅 장치가 구성되므로, 종래의 리프팅 장치보다 컴팩트(compact)하게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의 설치모습을 보인 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를 보인 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의 작동모습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의 설치모습을 보인 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를 보인 도이며,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의 작동모습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되는 틸팅 실린더(20)와,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붐대(30)와, 상기 붐대(30)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암 부재(40)와, 상기 암 부재(40)에 구비되는 바퀴 받침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다수의 각관이 가로 세로 방향으로 연결되고 여기에 패널이 조합된 만들어진 것으로서, 견인차량(C)의 차체에 연결되되 견인차량(C)의 후륜(C1) 상측에 설치되며,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틸팅 실린더(20)는 프레임(10)의 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한 쌍이 구비되는데, 이 틸팅 실린더(20)의 로드(21) 끝단은 붐대(30)의 하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틸팅 실린더(20)의 로드(21)가 전진하거나 후진하면 붐대(30)는 틸팅 실린더(20)의 로드(21)와 붐대(30)의 연결점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일정각도 틸팅된다.
상기 붐대(30)는 아우터 붐(outer boom,31)과, 상기 아우터 붐(31)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너 붐(inner boom,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아우터 붐(31)은 하부 양측이 틸팅 실린더(20)의 로드(21) 끝단에 핀결합 방식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틸팅 실린더(20)의 로드(21)가 전진을 하거나 후진을 함으로써 아우터 붐(31)은 전후방향으로 틸팅된다. 부연하면 틸팅 실린더(20)의 로드(21)가 전진을 하면 틸팅 실린더(20) 로드(21)와의 연결점 위쪽은 견인차량(C) 쪽으로 기울어지고, 로드(21)와의 연결점 아래쪽은 피견인 차량 쪽으로 기울어진다.
더불어, 아우터 붐(31)은 아래쪽 면이 개방되어 있고, 위쪽은 막혀 있으며, 피견인 차량을 바라보는 측면의 하부에는 절개홈(3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아우터 붐(31)의 양측면 하단부에는 지지롤러(31b)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너 붐(32)은 아우터 붐(3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아우터 붐(31) 내부에서 상하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이너 붐(32)은 하부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32a)를 포함하는데, 이 돌출부(32a)는 아우터 붐(31)에 형성된 절개홈(31a)을 관통하여 이너 붐(32)이 아우터 붐(31) 내에서 상하이동할 때 절개홈(31a) 내에서 상하로 이동한다.
한편, 이너 붐(3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력은 붐 실린더(60)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붐 실린더(60)는 붐대(3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몸체(61) 부분이 아우터 붐(31)의 내측면 상부에 연결되고 로드(62) 부분이 이너 붐(32)의 내측면 하부에 연결되어, 로드(62)가 몸체(61) 밖으로 전진하면 이너 붐(32)은 하측으로 이동하고, 로드(62)가 몸체(61) 안으로 후진하면 이너 붐(32)은 상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암 부재(40)는 회전핀(41a)을 중심으로 이너 붐(3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시에 내측면이 지지롤러(31b)에 접촉되는 회전 가이드캠(41b)이 하단 양측면에 구비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암 부재(40)는 아우터 암(outer arm,)과, 상기 아우터 암(41)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너 암(inner arm,)으로 구성된다.
상기 아우터 암(41)은 하부 양측이 회전핀(41a)으로 이너 붐(32)과 연결되어 회전핀(41a)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하고, 양측면에 회전 가이드캠(41b)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 가이드캠(41b)은 아우터 암(41)의 하부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회전핀(41a)이 설치된 지점의 아래쪽에 구비된다. 이러한 회전 가이드캠(41b)은 내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데, 암 부재(40)가 회전핀(41a)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을 할 때 이 회전 가이드캠(41b)의 곡선 내측면이 지지롤러(31b)에 접촉된다.
한편, 회전핀(41a)은 아우터 붐(31)의 절개홈(31a) 밖으로 나와 있는 이너 붐(32)의 돌출부(32a)와 그 양쪽에 위치한 아우터 암(41)의 양측면을 관통하므로, 회전핀(41a)과 지지롤러(31b)의 위치를 봤을 때 회전핀(41a)은 지지롤러(31b)의 위쪽에 위치되면서 지지롤러(31b)보다 후방측에 위치된다.
상기 이너 암(42)은 아우터 암(4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아우터 암(41) 내부에서 상하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이너 암(42)의 상단에는 바퀴 받침부(50)가 구비된다.
한편, 이너 암(4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력은 암 실린더(70)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암 실린더(70)는 암 부재(4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몸체(71) 부분이 아우터 암(41)의 내측면 하부에 연결되고 로드(72) 부분이 이너 암(42)의 내측면 상부에 연결되어, 로드(72)가 몸체(71) 밖으로 전진하면 이너 암(42)은 상측으로 이동하고, 로드(72)가 몸체(71) 안으로 후진하면 이너 암(42)은 하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바퀴 받침부(50)는 암 부재(40)의 이너 암(42)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피견인 차량의 전륜이 안착된다.
이러한 바퀴 받침부(50)는 이너 암(42)에 연결되는 체결부(51)와, 상기 체결부(51)에 설치되어 피견인 차량의 전륜 앞부분을 지지하는 전방 지지부(52)와, 상기 전방 지지부(5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피견인 차량의 전륜 뒷부분을 지지하는 한 쌍의 후방 지지부(53)와, 상기 전방 지지부(52) 내부에 설치되고 후방 지지부(53)를 회동시키는 한 쌍의 지지부 실린더(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바퀴 받침부(50)는 지면쪽으로 암 부재(40)가 회동하면 후방 지지부(53) 역시 자중에 의해 지면쪽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지지부 실린더(54)의 로드(54a)가 전진하여 후방 지지부(53)를 회동시킴으로써 전방 지지부(52)와 후방 지지부(53)가 평행이 되게 한다. 이렇게 되면 전방 지지부(52)와 후방 지지부(53)가 피견인 차량의 전륜 앞 뒤쪽을 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붐 실린더(60)를 작동시켜 이너 붐(32)을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바퀴 받침부(50)가 피견인 차량의 전륜을 위쪽으로 리프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의 작동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틸팅 실린더(20)를 작동시키면 붐대(30)가 피견인 차량 쪽으로 기울어지고, 암 부재(40)도 붐대(30)와 함께 피견인 차량 쪽으로 기울어진다.
이 상태에서 붐 실린더(60)를 작동시키면 이너 붐(32)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암 부재(40)도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자중에 의해 지면 쪽으로 회전한다.
이때, 암 부재(40)의 회전 가이드캠(41b) 내측면은 붐대(30)의 지지롤러(31b)와 접촉되면서 회전한다.
지면이 경사져서 평탄하지 않다면 틸팅 실린더(20)를 적절하게 조작하여 암 부재(40)와 바퀴 받침부(50)가 지면과 평행이 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견인차량의 후진시켜 피견인 차량의 아래쪽에 바퀴 받침부(50)를 밀어 넣고, 지지부 실린더(54)를 작동시켜 전방 지지부(52)와 후방 지지부(53)가 피견인 차량의 전륜 앞뒤를 지지한다.
이후 붐 실린더(60)를 작동시켜 이너 붐(32)을 위쪽으로 이동시켜 암 부재(40)와 바퀴 받침부(50)를 위쪽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피견인 차량의 전륜을 리프팅한다.
이후 암 실린더(70)를 작동시켜 이너 암(42)과 바퀴 받침부(50)를 후방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견인차량(C)과 피견인 차량의 거리를 조금 더 이격시킨 후 견인차량(C)을 앞으로 전진시킨다.
10: 프레임 20: 틸팅 실린더
21: 로드 30: 붐대
31: 아우터 붐 31a: 절개홈
31b: 지지롤러 32: 이너 붐
32a: 돌출부 40: 암 부재
41: 아우터 암 41a: 회전핀
41b: 회전 가이드캠 42: 이너 암
50: 바퀴 받침부 51: 체결부
52: 전방 지지부 53: 후방 지지부
54: 지지부 실린더 54a: 로드
60: 붐 실린더 61: 몸체
62: 로드 70: 암 실린더
71: 몸체 72: 로드
C: 견인차량 C1: 후륜

Claims (4)

  1. 견인차량(C)의 후륜(C1) 상측에 설치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되는 틸팅 실린더(20)와;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틸팅 실린더(20)의 로드(2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틸팅되며 하단 양측면에 지지롤러(31b)가 설치된 아우터 붐(outer boom,31)과, 상기 아우터 붐(31)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너 붐(inner boom,32)으로 이루어진 붐대(30)와; 상기 이너 붐(3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붐 실린더(60)와; 상기 붐대(30)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회전핀(41a)을 중심으로 상기 이너 붐(3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며 양측면에 상기 지지롤러(31b)에 접촉되는 회전 가이드캠(41b)이 구비된 아우터 암(outer arm,41)과, 상기 아우터 암(41)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퀴 받침부(50)가 상단에 구비된 이너 암(inner arm,42)으로 구성된 암 부재(40)와; 상기 암 부재(40)의 상단에 구비되어 피견인 차량의 전륜이 안착되는 바퀴 받침부(50)와; 몸체(71) 부분이 아우터 암(41)의 내측면 하부에 연결되고 로드(72) 부분이 이너 암(42)의 내측면 상부에 연결되어, 로드(72)가 몸체(71) 밖으로 전진하면 이너 암(42)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로드(72)가 몸체(71) 안으로 후진하면 이너 암(42)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암 실린더(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너 붐(32)은 하부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32a)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32a)는 아우터 붐(31)의 측면 후부에 형성된 절개홈(31a)을 관통하여 이너 붐(32)이 아우터 붐(31) 내에서 상하이동할 때 절개홈(31a)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회전핀(41a)은 아우터 붐(31)의 절개홈(31a) 밖으로 나와 있는 이너 붐(32)의 돌출부(32a)와 그 양쪽에 위치한 아우터 암(41)의 양측면을 관통하고 상기 지지롤러(31b)의 위쪽에 위치되면서 지지롤러(31b)보다 후방측에 위치되며,
    상기 바퀴 받침부(50)는 이너 암(42)에 연결되는 체결부(51)와, 상기 체결부(51)에 설치되어 피견인 차량의 전륜 앞부분을 지지하는 전방 지지부(52)와, 상기 전방 지지부(5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피견인 차량의 전륜 뒷부분을 지지하는 한 쌍의 후방 지지부(53)와, 상기 전방 지지부(52) 내부에 설치되고 후방 지지부(53)를 회동시키는 한 쌍의 지지부 실린더(5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120962A 2021-09-10 2021-09-10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 KR102662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962A KR102662583B1 (ko) 2021-09-10 2021-09-10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962A KR102662583B1 (ko) 2021-09-10 2021-09-10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873A KR20230037873A (ko) 2023-03-17
KR102662583B1 true KR102662583B1 (ko) 2024-05-07

Family

ID=85872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962A KR102662583B1 (ko) 2021-09-10 2021-09-10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5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6766A (ja) * 2010-01-12 2010-04-08 Autech Japan Inc 車両用昇降装置
KR101777959B1 (ko) * 2016-04-11 2017-09-12 주식회사 새론특장 견인차의 견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362B1 (ko) 2014-01-29 2015-03-23 손영철 견인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6766A (ja) * 2010-01-12 2010-04-08 Autech Japan Inc 車両用昇降装置
KR101777959B1 (ko) * 2016-04-11 2017-09-12 주식회사 새론특장 견인차의 견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873A (ko) 202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5635A (en) Load lifting unit for a lift truck
FR2682156A1 (fr) Engin mobile de forage.
NO124064B (ko)
JPH06344922A (ja) パレットリフトトラック
KR102662583B1 (ko) 견인차량에 장착되는 리프팅 장치
KR102038526B1 (ko) 틸팅 및 롤링 가능한 작업대를 갖는 고소작업차
KR101832146B1 (ko) 접이식 원격조정 지게차
JP6673730B2 (ja) ユーティリティー・ビークル用のジャッキング・システム
KR102619055B1 (ko) 로더 승강 어셈블리 작업 장치
CN212313299U (zh) 叉车式agv小车
NO180574B (no) Oppretterbenk for personbiler
JP4851014B2 (ja) 車両整備用リフト
WO1988006567A1 (en) Device in a fork truck
CN208393412U (zh) 一种折叠式过槛手推车
JP3606840B2 (ja) ジャッキ
KR20200113968A (ko) 차량정비시 차종에 따른 리프팅 장치
JP2553914B2 (ja) 垂直昇降ジャッキ
JP5193507B2 (ja) ガレージジャッキ
KR101417683B1 (ko) 견인차량의 붐대 승하강 구조
KR101014460B1 (ko) 차량용 나사잭
KR101553634B1 (ko) 차량견인용 언더리프트장치의 무게분산 링크구조
CN217631903U (zh) 一种轮拖机机罩铰链机构
JP2696349B2 (ja) レツカー車
CN105544995B (zh) 墙板安装车
JP3227195U (ja) 自動車用ジャッ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