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275B1 - 합성 수지 조성물 및 자동차 내외장재 - Google Patents

합성 수지 조성물 및 자동차 내외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275B1
KR101777275B1 KR1020107010952A KR20107010952A KR101777275B1 KR 101777275 B1 KR101777275 B1 KR 101777275B1 KR 1020107010952 A KR1020107010952 A KR 1020107010952A KR 20107010952 A KR20107010952 A KR 20107010952A KR 101777275 B1 KR101777275 B1 KR 101777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resin
resin composition
carbon atoms
t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7169A (ko
Inventor
시게오 미조카와
요시노리 네기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ublication of KR20100087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2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C08K5/3435Piperid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08K5/134Phenols containing ester groups
    • C08K5/1345Carboxylic esters of phenol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이제까지 없었던 우수한 내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자동차 내외장재를 제공한다.
합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하기 일반식(1):
Figure 112010032126313-pct00019

의 부분 구조를 가지는 힌더드 아민 화합물(A) 0.01∼20질량부, 및
하기 일반식(2):
Figure 112010032126313-pct00020

의 벤조에이트 화합물(B) 0.01∼20질량부를, (A)/(B) 성분의 질량 비율 1/1∼1/5로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합성 수지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합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힌더드 아민 화합물(A)과 상기 벤조에이트 화합물(B)의 {(A)/(B)} 성분의 질량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2∼1/4이다.

Description

합성 수지 조성물 및 자동차 내외장재{SYNTHETIC RESIN COMPOSITION AND AUTOMOTIVE INTERIOR/EXTERIOR MATERIAL}
본 발명은, 합성 수지 조성물 및 자동차 내외장재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특정 힌더드 아민 화합물과 특정 벤조에이트 화합물을 조합함으로써 고도로 내후성이 개선된 합성 수지 조성물, 및 이 합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내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합성 수지는, 광에 의해 열화되어 장기간의 사용에 견디지 못하기 때문에, 힌더드 아민 화합물이나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함으로써 안정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힌더드 아민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5에 기재되어 있는 것 이외에, 여러 가지 화합물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등, 많은 종류의 자외선 흡수제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6에는,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로서, 페닐벤조에이트 및 알킬벤조에이트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첨가제를 병용함으로써, 고도의 안정화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것도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7∼11에는, 특정 힌더드 아민 화합물과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의 병용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공소46-4261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소48-65180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소59-62651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개평1-113368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개평2-166138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 특공소41-565호 공보 특허 문헌 7: 일본 특개평11-310667호 공보 특허 문헌 8: 일본 특개평11-106577호 공보 특허 문헌 9: 일본 특개 2000-136271호 공보 특허 문헌 10: 일본 특개 2000-159945호 공보 특허 문헌 11: 일본 특개 2004-210987호 공보 특허 문헌 11: 일본 특개 2005-054105호 공보
그러나, 자동차 내외장재 등에 있어서, 오늘날 보다 고도의 내후성이 요구되고 있어서, 이제까지의 힌더드 아민 화합물, 자외선 흡수제 또는 이것들의 병용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충분히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닌 것으로 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제까지 없었던 우수한 내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자동차 내외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특정 힌더드 아민 화합물과, 특정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의 조합에 의해, 이제까지 없었던 우수한 내후성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합성 수지 조성물은, 합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하기 일반식(1):
Figure 112010032126313-pct00001
(식에서,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4의 저급 알킬기, R은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탄소 원자수 1∼18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5∼8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냄)으로 표시되는 부분 구조를 가지는 힌더드 아민 화합물(A) 0.01∼20질량부, 및
하기 일반식(2):
Figure 112010032126313-pct00002
(식에서,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R7은 탄소 원자수 1∼30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6∼30의 아릴기, 탄소 원자수 7∼30의 알킬아릴기, 또는 탄소 원자수 7∼30의 아릴알킬기를 나타냄)으로 표시되는 벤조에이트 화합물(B) 0.01∼20질량부
를 (A)/(B) 성분의 질량 비율 1/1∼1/5로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합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힌더드 아민 화합물(A)과 상기 벤조에이트 화합물(B)의 {(A)/(B)} 성분의 질량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2∼1/4이다. 또한, 상기 힌더드 아민 화합물로서, 하기 일반식(3):
Figure 112010032126313-pct00003
(식에서, R8은 상기 R과 동일한 것을 나타냄)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적합하게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식(2)에서의 R7이 탄소 원자수 1∼30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합성 수지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적합하게 들 수 있고,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수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동차 내외장재는, 상기 합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제까지는 없었던 우수한 내후성을 가진 합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자동차 내외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합성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부텐-1, 폴리-4-메틸펜텐 등의 α-올레핀 중합체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및 이것들의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염소화폴리에틸렌, 염소화폴리프로필렌,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 염화고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에틸렌 공중합체, 염화비닐-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 염화비닐-염화비닐리덴-아세트산비닐 3원 공중합체, 염화비닐-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염화비닐-말레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염화비닐-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공중합체 등의 할로겐 함유 수지, 석유 수지, 쿠마론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아세트산비닐, 아크릴 수지, 스티렌 및/또는 -메틸스티렌과 다른 모노머(예를 들면, 무수 말레산, 페닐말레이미드, 메타크릴산메틸, 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 등)와의 공중합체(예를 들면, AS 수지, ABS 수지, MBS 수지, 내열 ABS 수지 등),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부티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직쇄 폴리에스테르,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카프로락탐 및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분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우레탄, 섬유소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및 이것들의 혼합물, 또는 페놀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블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이소프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 고무, 에틸렌-부타디엔 공중합 고무 등의 엘라스토머일 수도 있다. 상기 합성 수지 중,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본 발명의 합성 수지 조성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 수지는, 비중, 평균 분자량, 용융 점도, 모노머 조성, 용매에 대한 불용분 비율, 입체 규칙성의 유무나 종류, 중합 종료 시점에서의 형상과 크기, 중합에 사용한 촉매의 종류, 촉매 잔사의 실활 처리 및 제거 처리의 유무나 방법, 촉매 유래의 수지 중에 잔존하는 금속 종(種)이나 산 성분의 유무ㆍ종류ㆍ농도 등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부분 구조를 가진 힌더드 아민 화합물(A)에서의 R1, R2, R3 및 R4로 표시되는, 탄소 원자수 1∼4의 알킬기로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ec-부틸, tert-부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1)에서의 R로 표시되는, 탄소 원자수 1∼18의 알킬기로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2-에틸헥실, 노닐, 이소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등을 들 수 있다. 하이드록실기로 치환된 알킬기로서는, 2-하이드록시에틸, 2-하이드록시프로필, 3-하이드록시프로필, 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필 등, 상기 알킬기에 대응하는 기에 수산기가 치환된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1)에서의 R로 표시되는, 탄소 원자수 5∼8의 시클로알킬기로서는,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부분 구조를 가지는 힌더드 아민 화합물로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No. 1∼6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화합물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0032126313-pct00004
Figure 112010032126313-pct00005
상기 구체적으로 제시한 화합물 중에서, 화합물 No. 1은 특히 내후성의 부여 효과가 크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벤조에이트 화합물(B)은, 상기 일반식(2)으로 표시되고, 식에서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7은 탄소 원자수 1∼30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6∼30의 아릴기, 탄소 원자수 7∼30의 알킬아릴기 또는 탄소 원자수 7∼30의 아릴알킬기를 나타낸다. 특히 R7이 알킬기인 화합물은, 본 발명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 개량 효과가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2)에서의 R5 및 R6의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로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tert-펜틸, 헥실, 헵틸, 옥틸, 1,1,3,3-테트라메틸부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2)에서의 R7의 탄소 원자수 1∼30의 알킬기로서는,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2-에틸헥실,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2)에서의 R7의 아릴기로서는 페닐이, 알킬아릴기로서는 메틸페닐, 부틸페닐, 2,4-디-tert-부틸페닐, 2,4-디-tert-아밀페닐, 2,4-디쿠밀페닐, 2,4-디-tert-부틸-5-메틸페닐 등을 들 수 있다. 아릴알킬기로서는 페닐메틸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2)으로 표시되는 벤조에이트 화합물로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화합물 No. 7∼15 등을 들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0032126313-pct00006
Figure 112010032126313-pct00007
본 발명의 합성 수지 조성물은, 합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힌더드 아민 화합물(A) 0.01∼2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05∼10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질량부와, 벤조에이트 화합물(B) 0.01∼2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05∼10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질량부를 상기 (A) 성분과 상기 (B)성분의 질량비 1/1∼1/5, 바람직하게는 1/2∼1/4의 질량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다. 상기 힌더드 아민 화합물(A)이 0.01질량부보다 적으면, 소기의 안정화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한편 20질량부보다 많이 사용하면 블루밍(blooming)에 의해 수지 조성물의 미관을 해치게 되고, 또한 안정화 효과도 거의 향상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벤조에이트 화합물(B)이 0.01질량부보다 적으면 안정화 효과가 없고, 한편 20질량부보다 많이 사용하면 수지 물성이 저하되거나, 블루밍에 의해 수지 조성물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합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페놀계 산화방지제, 인계 산화방지제, 황계 산화방지제, 다른 자외선 흡수제, 다른 힌더드 아민 화합물, 핵형성제, 난연제, 난연조제, 에틸렌비스스테아르산 아미드 및 에루크산(erucic acid) 아미드 등의 가공성 개량제, 안료, 충전재, 가소제, 금속 비누, 하이드로탈사이트류, 대전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병용할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2,6-tert-부틸-p-크레졸,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스테아릴(3,5-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트리데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티오아세테이트, 티오디에틸렌비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4,4'-티오비스(6-tert-부틸-m-크레졸), 2-옥틸티오-4,6-디(3,5-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녹시)-s-트리아진, 2,2'-메틸렌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 비스[3,3-비스(4-하이드록시-3-tert-부틸페닐)부티르산]글리콜에스테르, 4,4'-부틸리덴비스(2,6-디-ter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6-tert-부틸-3-메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tert-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5-tert-부틸페닐)부탄), 부틸-4-메틸-6-(2-하이드록시-3-tert-부틸-5-메틸벤질)페닐]테레프탈레이트, 1,3,5-트리스(2,6-디메틸-3-하이드록시-4-tert-부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1,3,5-트리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닐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2-tert-부틸-4-메틸-6-(2-아크릴로일옥시-3-tert-부틸-5-메틸벤질)페놀, 3,9-비스[2-(3-ter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하이드로신나모일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β-(3-ter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인계 산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5-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디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모노- 및 디-노닐페닐)포스파이트, 디페닐산 포스파이트,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옥틸포스파이트, 디페닐데실포스파이트, 디페닐옥틸포스파이트, 디(노닐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페닐디이소데실포스파이트, 트리부틸포스파이트, 트리스(2-에틸헥실)포스파이트, 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포스파이트, 디부틸산 포스파이트, 디라우릴산 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트리티오포스파이트, 비스(네오펜틸글리콜)-1,4-시클로헥산디메닐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ter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5-디-ter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ter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쿠밀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테트라(C12-C15 혼합 알킬)-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닐포스파이트, 비스[2,2'-메틸렌비스(4,6-디아밀페닐)]-이소프로필리덴디페닐포스파이트, 테트라(트리데실)-4,4'-부틸리덴비스(2-tert-부틸-5-메틸페놀)디포스파이트, 헥사(트리데실)-1,1,3-트리스(2-메틸-5-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부탄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tert-부틸페닐)디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트리스(2-[(2,4,7,9-테트라키스-tert-부틸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6-일)옥시]에틸)아민, 2-(1,1-디메틸에틸)-6-메틸-4-[3-[[2,4,8,10-테트라키스(1,1-디메틸에틸)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6-일]옥시]프로필]페놀, 9,10-디하이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사이드 및 2-부틸-2-에틸프로판디올-2,4,6-트리-tert-부틸페놀모노포스파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황계 산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티오디프로피온산의 디라우릴, 디미리스틸, 미리스틸스테아릴, 디스테아릴에스테르 등의 디알킬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류 및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β-도데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폴리올의 β-알킬메르캅토프로피온산 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다.
상기 다른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 5,5'-메틸렌비스(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등의 2-하이드록시벤조페논류;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er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쿠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비스(4-tert-옥틸-6-벤조트리아졸릴페놀), 2-(2-하이드록시-3-tert-부틸-5-카르복시페닐)벤조트리아졸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에스테르, 2-[2-하이드록시-3-(2-아크릴로일옥시에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5-ter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5-ter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5-ter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tert-부틸-5-(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tert-아밀-5-(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tert-부틸-5-(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4-(2-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4-(3-메타크릴로일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4-(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의 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류; 2-(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헥실옥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옥톡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3-C12∼13 혼합 알콕시-2-하이드록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4,6-비스(4-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4-디하이드록시-3-알릴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하이드록시-3-메틸-4-헥실옥시페닐)-1,3,5-트리아진 등의 2-(2-하이드록시페닐)-4,6-디아릴-1,3,5-트리아진류; 페닐살리실레이트, 레조르시놀모노벤조에이트, 2,4-디-tert-부틸페닐-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의 벤조에이트류; 2-에틸-2'-에톡시옥사닐리드, 2-에톡시-4'-도데실옥사닐리드 등의 치환 옥사닐리드류; 에틸-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2-시아노-3-메틸-3-(p-메톡시페닐)아크릴레이트 등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류; 여러 가지 금속염 또는 금속 킬레이트, 특히 니켈 또는 크롬의 염 또는 킬레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른 힌더드 아민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스테아레이트,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스테아레이트,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벤조에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디(트리데실)-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디(도데실)-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2-부틸-2-(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2-하이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놀/숙신산디에틸 중축합물, 1,6-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헥산/디브로모에탄 중축합물, 1,6-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헥산/2,4-디클로로-6-모르폴리노-s-트리아진 중축합물, 1,6-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헥산/2,4-디클로로-6-tert-옥틸아미노-s-트리아진 중축합물, 1,5,8,12-테트라키스[2,4-비스(N-부틸-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1,5,8,12-테트라아자도데칸, 1,5,8,12-테트라키스[2,4-비스(N-부틸-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1,5,8,12-테트라아자도데칸, 1,6,11-트리스[2,4-비스(N-부틸-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아미노운데칸, 1,6(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아미노운데칸 등의 힌더드 아민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핵형성제로서는, p-t-부틸 벤조산 알루미늄, 벤조산 나트륨 등의 방향족 카르복시산 금속염; 비스(2,4-디-tert-부틸페닐)인산 나트륨, 비스(2,4-디-tert-부틸페닐)인산 리튬, 나트륨-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포스페이트 등의 산성 인산 에스테르 금속염; 디벤질리덴소르비톨, 비스(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 등의 다가 알코올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난연제로서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데카브로모디페닐에테르 등의 할로겐계 난연제; 적린, 인산멜라민 등의 무기 인 화합물, 인산트리페닐, 레조르시놀/페놀/인산 축합물, 비스페놀 A/2,6-크실레놀/인산 축합물 등의 인산에스테르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인계 난연제;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무기 난연제; 멜라민시아누레이트 등의 질소 함유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산화안티몬 등의 난연조제 및 블소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의 드립(drip) 방지제 등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료로서는, 유기, 무기 중 어느 것이라도 되고, 산화티나늄, 황화아연 등의 백색 안료; 카본 블랙 등의 흑색 안료; 산화크롬, 크롬 그린, 진 그린, 염화구리 프탈로시아닌 그린, 프탈로시아닌 그린, 나프톨 그린, 말라카이트 그린 레이크 등의 녹색 안료; 군청, 감청, 구리 프탈로시아닌 블루, 코발트 블루, 프탈로시아닌 블루, 포스트 스카이 블루, 인단스렌 블루 등의 청색 안료; 연단, 벤가라, 염기성 크롬산아연, 크롬 버밀리온 레드, 카드뮴 레드, 바랄렛, 브릴리언트 카민, 브릴리언트 스칼렛, 퀴나클리돈 레드, 리졸 레드, 버밀리온, 티오인디고 레드, 민카미야 레드 등의 적색 안료; 황연, 아연황, 황색 산화철, 티탄 옐로우, 파스트 옐로우, 한사 옐로우, 오라민레키, 벤지딘 옐로우, 인단스렌 옐로우 등의 황색 안료를 들 수 있다.
상기 충전재로서는, 유리 섬유,탈크, 실리카, 탄산칼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충전재는 수지와의 친화성을 개선하기 위해 티탄계, 실란계 등의 표면 처리제로 표면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비누로서는, 마그네슘, 칼슘, 알루미늄, 아연 등의 금속과,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등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염을 사용할 수 있다. 함수율, 융점, 입경, 지방산의 조성, 제조 방법이 알칼리 금속의 지방산염과 금속 (수)산화물의 반응에 의해 복분해법이거나, 지방산과 금속 (수)산화물의 용매 존재 또는 부재 하에서 중화 반응하는 직접법이거나 관계없이, 또한 지방산이나 금속 중 어느 하나가 과잉이더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류로서는, 천연물일 수도 있고, 합성품일 수도 있으며,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으로 변성된 것일 수도 있다. 특히, 하기 일반식(4):
ZnxMgyAl2(OH)2(x+y+2)CO3ㆍnH2O (4)
(식에서, x는 0∼3, y는 1∼6, x+y는 4∼6을 나타내고, n은 0∼10을 나타냄)으로 표시되는 조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결정수의 유무나 표면 처리의 유무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이드로탈사이트로서의 특성을 상실하지 않는 범위에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입경이 크면 분산성이 저하되어 안정화 효과가 작아지고, 또한 얻어지는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나 투명성 등의 물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 각종 배합물은, 수지의 종류나 가공 조건, 용도에 따라 배합량, 품질 등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수지로의 첨가 방법으로서는, 각 배합물을 각각 별개로 수지에 첨가하여 헨셸 믹서 등으로 혼합하고 나서 가공기에 공급하는 방법, 수지 이외의 배합물의 임의의 조합을 미리 혼합물로서 분체나 과립상으로 만든 것을 수지에 첨가하는 방법, 수지 중으로 고농도로 배합하여 마스터 펠릿으로 만든 것을 수지에 첨가하는 방법, 복수 개의 공급구를 가진 압출기로 수지와는 별도의 공급구로부터 수지에 첨가하는 방법 등, 공지의 첨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되는 수지, 충전재의 유무 등에 따라 공지의 가공 방법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합성 수지 조성물은 압출 성형, 사출 성형, 압축 성형, 적층 성형 등, 공지의 수단으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성 수지 조성물은, 후술하는 내후성의 평가에 있어서, 헤이즈(haze)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글로스(gloss)가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35 이상인 것이다. 글로스의 저하는, 표면에 크랙이 생겨 있음을 나타내고, 미관의 저하 이외에, 기계적 강도의 저하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합성 수지 조성물의 용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인 내외장재, 바람직하게는 수송 기계의 내외장재, 특히 바람직하게는, 가혹한 환경에 노출되는 자동차의 내외장재 등의 옥외 광에 노출되는 용도 등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자동차의 내외장재로서는, 범퍼, 스포일러(spoiler), 사이드 바이저(side visor), 카울 벤트 그릴(cowl vent grille), 라디에이터 그릴, 사이드 몰딩, 엔드 패널 가니쉬(end panel garnish) 등의 외장재나, 계기판, 천정, 도어, 좌석, 트렁크실 등의 내장재를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1∼1-5 및 비교예 1-1∼1-2]
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 수지(MFR=30, 밀도=0.90g/㎤, 휨 탄성률 1,700MPa) 85질량부, 탈크 15질량부, 그레이 안료(gray pigment) 3.0질량부, 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메틸]메탄 0.1질량부,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0.1질량부, 칼슘 스테아레이트 0.1질량부 및 하기 표 1에 기재된 광안정제(힌더드 아민 화합물, 자외선 흡수제: 표 1에서의 배합량의 단위는 질량부임)를 230℃에서 압출 가공하여 펠릿으로 만들고, 얻어진 펠릿을 230℃에서 사출 성형하여 두께 2mm의 시험편을 얻었다.
시험편의 내후성을 크세논 테스트(조건: UV 조사 강도 0.55W/㎡, 파장 340nm, 블랙 패널 온도 89℃, 석영 필터 사용)에 의해, 크랙 발생 시간(hr), 글로스 잔존율(%) 및 색차(ΔE)에 의해 평가했다.
글로스에 대해서는, 東京電色(株) 제조의 글로스 미터(Gloss Meter), 모델 TC-108D에 의해 측정했다(단위는 없음).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0032126313-pct00008
*1: 화합물 No. 1:
Figure 112010032126313-pct00009
*2: 화합물 No. 7:
Figure 112010032126313-pct00010
[실시예 2-1]
하기 표 2에 기재된 배합에 따라, 벤조에이트 성분(B)을 화합물 No. 13으로 대체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시험편 제조 및 내후성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2에 함께 나타낸다.
[비교예 2-1∼2-6]
표 2에 기재된 배합에 따라, 힌더드 아민 화합물 및 벤조에이트 화합물을 배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에 의해 시험편 제조 및 각각의 평가를 행했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2에 함께 나타낸다.
Figure 112010032126313-pct00011
*3: 화합물 No. 13:
Figure 112010032126313-pct00012
*4: 비교 화합물 1:
Figure 112010032126313-pct00013
*5: 비교 화합물 2:
Figure 112010032126313-pct00014
*6: 비교 화합물 3:
Figure 112010032126313-pct00015
표 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특정 힌더드 아민 화합물 및 특정 벤조에이트 화합물을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특정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내후 성능, 특히 크랙 발생 시간이 양호하여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2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특정 힌더드 아민 화합물 및 특정 벤조에이트 화합물의 조합에 의해서만,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우수한 내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자동차 내외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합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하기 일반식(3):
    Figure 112015038085497-pct00021

    (식에서, R8은 수산기로 치환되어 있거나 비치환되어 있는 탄소 원자수 1∼18의 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5∼8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냄)으로 표시되는 힌더드 아민 화합물(A) 0.01∼20질량부, 및
    하기 일반식(2):
    Figure 112015038085497-pct00017

    (식에서,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기, R7은 탄소 원자수 1∼30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6∼30의 아릴기, 탄소 원자수 7∼30의 알킬아릴기, 또는 탄소 원자수 7∼30의 아릴알킬기를 나타냄)으로 표시되는 벤조에이트 화합물(B) 0.01∼20질량부
    를 (A)/(B) 성분의 질량 비율 1/2∼1/4로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2)에서의 R7이 탄소 원자수 1∼30의 알킬기인, 합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지가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합성 수지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지가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합성 수지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수지인, 합성 수지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수지인, 합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기재된 합성 수지 조성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외장재.
  8. 제2항에 기재된 합성 수지 조성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외장재.
  9. 제3항에 기재된 합성 수지 조성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외장재.
  10. 제5항에 기재된 합성 수지 조성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외장재.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07010952A 2007-10-25 2008-10-08 합성 수지 조성물 및 자동차 내외장재 KR101777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77139A JP5283153B2 (ja) 2007-10-25 2007-10-25 合成樹脂組成物及び自動車内外装材
JPJP-P-2007-277139 2007-10-25
PCT/JP2008/068289 WO2009054267A1 (ja) 2007-10-25 2008-10-08 合成樹脂組成物及び自動車内外装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394A Division KR20150129053A (ko) 2007-10-25 2008-10-08 합성 수지 조성물 및 자동차 내외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169A KR20100087169A (ko) 2010-08-03
KR101777275B1 true KR101777275B1 (ko) 2017-09-26

Family

ID=405793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952A KR101777275B1 (ko) 2007-10-25 2008-10-08 합성 수지 조성물 및 자동차 내외장재
KR1020157031394A KR20150129053A (ko) 2007-10-25 2008-10-08 합성 수지 조성물 및 자동차 내외장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394A KR20150129053A (ko) 2007-10-25 2008-10-08 합성 수지 조성물 및 자동차 내외장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34856B2 (ko)
EP (1) EP2204420B1 (ko)
JP (1) JP5283153B2 (ko)
KR (2) KR101777275B1 (ko)
CN (1) CN101835848B (ko)
WO (1) WO20090542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11699A1 (en) 2004-03-02 2009-04-30 Adeka Corporation Weakly Basic Hindered Amines Having Carbonate Skeletons, Synthetic Resin Compositions, And Coating Compositions
JP5478012B2 (ja) * 2007-11-15 2014-04-23 株式会社Adeka 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成形品
JP5583470B2 (ja) * 2010-05-12 2014-09-03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樹脂フィルム
CN104169350B (zh) * 2012-03-16 2017-11-21 巴斯夫欧洲公司 作为阻燃剂的nor‑hals化合物
JP6143326B2 (ja) * 2013-01-25 2017-06-07 株式会社Adeka 樹脂組成物
WO2015087646A1 (ja) * 2013-12-09 2015-06-18 株式会社Adeka 塗装性を向上させた被塗装基材
JP6707348B2 (ja) * 2015-01-09 2020-06-10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感光性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色変換パネル及び表示装置
KR102588407B1 (ko) * 2017-07-06 2023-10-16 바스프 에스이 폴리에틸렌 파이프
JP7097221B2 (ja) * 2018-04-19 2022-07-07 Psジャパン株式会社 難燃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JP6602501B1 (ja) * 2019-05-10 2019-11-06 株式会社Adeka 農業用フィルム、及び植物の育成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2257A (ja) * 2005-06-09 2006-12-21 Adeka Corp アルミニウム顔料配合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1565Y1 (ko) 1964-03-23 1966-01-22
BE792043A (fr) 1971-11-30 1973-05-29 Ciba Geigy Derives de la piperidine utilisables pour stabiliser des matieres organiques
JPS5962651A (ja) 1982-10-02 1984-04-10 Adeka Argus Chem Co Ltd 高分子材料用光安定剤
EP0309402B2 (en) 1987-09-21 2002-06-12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N-substituted hindered amine stabilizers
EP0365481A1 (en) 1988-10-19 1990-04-25 Ciba-Geigy Ag Polymeric substrates stabilized with N-substituted hindered amines
JPH11106577A (ja) 1997-09-30 1999-04-20 Asahi Denka Kogyo Kk 自動車内装材
JP3987632B2 (ja) 1998-04-27 2007-10-10 株式会社Adeka 自動車内外装材
JP4076105B2 (ja) 1998-10-30 2008-04-16 株式会社Adeka 自動車内装材
JP2000159945A (ja) 1998-11-30 2000-06-13 Dainippon Ink & Chem Inc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WO2003057772A2 (en) * 2001-12-27 2003-07-17 Cytec Technology Corp. Uv stabilized thermoplastic olefins
JP2004210987A (ja) 2003-01-06 2004-07-29 Asahi Denka Kogyo Kk 耐候性の改善された成形品及びその樹脂組成物
JP4530327B2 (ja) * 2003-07-29 2010-08-25 株式会社Adeka 耐候性の改善された硫化亜鉛配合合成樹脂組成物
JP4462867B2 (ja) * 2003-08-06 2010-05-12 株式会社Adeka 耐候性の改善された合成樹脂組成物及び内外装材
US20090111699A1 (en) 2004-03-02 2009-04-30 Adeka Corporation Weakly Basic Hindered Amines Having Carbonate Skeletons, Synthetic Resin Compositions, And Coating Compositions
KR101433138B1 (ko) * 2006-12-27 2014-09-25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멀티필라멘트, 모노필라멘트, 부직포 또는 테이프
JP5224497B2 (ja) * 2007-02-22 2013-07-03 株式会社Adeka 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2257A (ja) * 2005-06-09 2006-12-21 Adeka Corp アルミニウム顔料配合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35848B (zh) 2012-07-25
WO2009054267A1 (ja) 2009-04-30
US8034856B2 (en) 2011-10-11
JP5283153B2 (ja) 2013-09-04
EP2204420A1 (en) 2010-07-07
KR20150129053A (ko) 2015-11-18
US20100249288A1 (en) 2010-09-30
EP2204420B1 (en) 2013-03-20
CN101835848A (zh) 2010-09-15
EP2204420A4 (en) 2012-04-11
JP2009102556A (ja) 2009-05-14
KR20100087169A (ko) 2010-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275B1 (ko) 합성 수지 조성물 및 자동차 내외장재
KR101516688B1 (ko) 내후성이 개선된 목질계 합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KR102181957B1 (ko) 수지 조성물
KR101602750B1 (ko) 합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자동차 내외장재
EP2980129B1 (en) Resin additive masterbatch and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to which said resin additive masterbatch has been admixed
JP4462867B2 (ja) 耐候性の改善された合成樹脂組成物及び内外装材
KR101510166B1 (ko)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성형품
EP1405887A1 (en) Ultraviolet absorber composition and resin composition stabilized with the composition
JP2006342257A (ja) アルミニウム顔料配合樹脂組成物
EP0953596B1 (en) Automobile interior or exterior trim material
JP4530327B2 (ja) 耐候性の改善された硫化亜鉛配合合成樹脂組成物
JP2004210987A (ja) 耐候性の改善された成形品及びその樹脂組成物
US6897250B1 (en) Automobile interior or exterior trim material
JPH08217924A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JP3460877B2 (ja) 合成樹脂組成物
JPH05132594A (ja) 繊維用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H08165375A (ja) 合成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574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930

Effective date: 201706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