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563B1 - 철도 차량의 루프 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 - Google Patents

철도 차량의 루프 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563B1
KR101773563B1 KR1020150147719A KR20150147719A KR101773563B1 KR 101773563 B1 KR101773563 B1 KR 101773563B1 KR 1020150147719 A KR1020150147719 A KR 1020150147719A KR 20150147719 A KR20150147719 A KR 20150147719A KR 101773563 B1 KR101773563 B1 KR 101773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small
protruding
railway car
de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7512A (ko
Inventor
송달영
Original Assignee
송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달영 filed Critical 송달영
Priority to KR1020150147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563B1/ko
Publication of KR20170047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차량의 루프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철도 차량의 루프 아우터 패널에 복수개의 돌출부와 함몰부가 상기 철도 차량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대 배치된 요철부 중 인접되게 위치된 적어도 2개의 상기 돌출부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돌출부형 논슬립부와, 상기 돌출부형 논슬립부 사이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함몰부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함몰부형 논슬립부를 포함하여, 조립자에 의한 교환 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철도 차량의 루프 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Non-slip mat for worker on loop pannel of train}
본 발명은 철도 차량의 루프 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루프 패널 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루프 패널 외관의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고, 착탈이 용이한 철도 차량의 루프 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은 승객 또는 화물을 운송 또는 운반시키는 운송수단으로서, 대도시의 경우 지하철 또는 지상철로서 널리 보급되어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철도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루프 아우터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철도 차량(1)의 상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탑승하는 객실 상부를 덮는 루프 아우터 패널(10)이 구비된다.
루프 아우터 패널(10)의 상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밟고 올라서서 작업을 할 때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돌출부 및 함몰부가 철도 차량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대 배치된 요철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라 함은 루프 아우터 패널의 상측으로 돌출된 부위를 일컫고, 함몰부라 함은 돌출부에 비하여 하방으로 함몰된 부위를 일컫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요철부(15)만으로는, 루프 아우터 패널(10)의 금속 재질 특성상 우천시 등 물기가 존재하는 경우 높은 곳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신발이 미끄러져 안전사고 발생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요철부를 덮도록 돌출부형 논슬립부 및 함몰부형 논슬립부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을 낮춤은 물론 착탈이 용이하여 조립하기 쉬운 철도 차량의 루프 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의 루프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철도 차량의 루프 아우터 패널에 복수개의 돌출부와 함몰부가 상기 철도 차량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대 배치된 요철부 중 인접되게 위치된 적어도 2개의 상기 돌출부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돌출부형 논슬립부와, 상기 돌출부형 논슬립부 사이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함몰부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함몰부형 논슬립부와, 상기 2개의 돌출부 외측에 구비된 작업 발판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작업대 논슬립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형 논슬립부는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 중 상기 철도 차량의 좌측 및 우측 중 최외측의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형 논슬립부 또는 상기 함몰부형 논슬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면에는, 소형 돌출부 및 소형 함몰부가 상기 철도 차량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대 배치된 소형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대 논슬립부의 상면에는, 소형 돌출부 및 소형 함몰부가 상기 철도 차량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대 배치된 소형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형 요철부는, 상기 작업대 논슬립부의 상면에 상기 철도 차량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형 돌출부는, 폭이 좁은 슬림 돌출부 및 상기 슬림 돌출부보다 폭이 넓은 와이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형 돌출부는, 상기 슬림 돌출부 2개와 상기 와이드 돌출부 1개가 인접하여 연속되게 반복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형 돌출부의 상면은, 산에 의하여 음각으로 부식된 부식부층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의 루프 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루프 아우터 패널의 상면에 구비된 요철부 중 일부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므로, 조립자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루프 아우터 패널의 상측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신발이 요철부 및 이에 배치되는 논슬립 매트에 의하여 미끄러짐이 방지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철도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루프 아우터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의 루프 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의 조립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 중 루프 아우터 패널의 평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의 루프 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의 루프 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의 구성 중 돌출부형 논슬립부의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의 루프 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의 루프 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의 조립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 중 루프 아우터 패널의 평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의 루프 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의 루프 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의 구성 중 돌출부형 논슬립부의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의 루프 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2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6(특히, 도 5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철도 차량의 루프 아우터 패널(110)에 복수개의 돌출부(115)와 함몰부(117)가 철도 차량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대 배치된 요철부(113) 중 인접되게 위치된 적어도 2개의 돌출부(115)의 상부를 덮는 돌출부형 논슬립부(215) 및 상기 돌출부형 논슬립부(215) 사이를 연결함과 아울러, 함몰부(117)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된 함몰부형 논슬립부(217)와, 상기 2개의 돌출부(115) 외측에 구비된 작업 발판(111)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작업대 논슬립부(211)를 포함한다.
여기서, 루프 아우터 패널(110)의 상면에 배치된 요철부(113)는, 루프 아우터 패널(110) 자체를 상측으로 밴딩함으로써 돌출부(115)를 형성할 수 있고, 돌출부(115)와 인접하는 돌출부(115) 사이를 함몰부(117)로 정의할 수 있다.
요철부(113)는, 돌출부(115)와 함몰부(117)가 철도 차량의 진행 방향 쪽으로 길게 형성되며, 이와 같은 돌출부(115)와 함몰부(117)는 교대로 복수개가 철도 차량의 진행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돌출부형 논슬립부(215)와 함몰부형 논슬립부(217)는, 상술한 요철부(113) 중 루프 아우터 패널(110)의 좌측 및 우측의 외측에 구비된 요철부(113) 일부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돌출부(115) 및 함몰부(117)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돌출부형 논슬립부(215)는, 복수개의 돌출부(115) 중 철도 차량의 좌측 및 우측 중 최외측의 2개의 돌출부(115)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작업대 논슬립부(211)는, 루프 아우터 패널(110)의 가장자리에 작업자가 밟고 올라설 수 있도록 평탄한 외관을 가지는 상기 작업 발판(111)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상기 돌출부형 논슬립부(215)와 함물부형 논슬립부(217) 및 상기 작업대 논슬립부(211)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작 과정에서 하나의 금속 판재를 밴딩시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의 루프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200)(이하, '논슬립 매트(200)'라 약칭한다)는, 요철부(113) 상면에 밀착 결합된다.
논슬립 매트(200)는, 요철부(113) 중 상술한 바와 같이 루프 아우터 패널(110)의 좌측 및 우측의 최외측에 구비된 2개의 돌출부(115)와, 2개의 돌출부(115) 사이의 1개의 함몰부(117) 및 작업 발판(111)의 상부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논슬립 매트(20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루프 아우터 패널(110)의 요철부(113) 및 작업 발판(111) 상면에 밀착된 채로 논슬립 매트(200)를 상하로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루프 아우터 패널(110)의 요철부(113)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논슬립 매트(200)에는 미도시의 다수의 체결부재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고, 루프 아우터 패널(110)의 대응 위치에도 다수의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미도시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논슬립 매트(200)가 루프 아우터 패널(110)의 상면에 체결부재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후술하는 논슬립 매트(200)의 소형 돌출부(220) 또는 소형 함몰부(223)에 형성된 부식부(230)의 마모가 발생하여 그 기능을 다한 경우 조립자에 의한 손쉬운 교체가 가능하게 한다.
돌출부형 논슬립부(215) 및 함몰부형 논슬립부(217)(이하, '요철부 논슬립부'라 칭하고 213을 지시번호로 사용하여 지시한다)와 작업대 논슬립부(211)는, 상술한 루프 아우터 패널(110)의 상면에 구비된 돌출부(115)와 함몰부(117) 및 작업 발판(111)의 상부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루프 아우터 패널(110)의 상면에 조립될 때 빈틈이 생기지 않도록 면착 결합되는 형상을 가진다.
한편, 요철부 논슬립부(213)(즉, 돌출부형 논슬립부(215) 및 함몰부형 논슬립부(2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면, 그리고 작업대 논슬립부(211)의 상면에는, 소형 돌출부(220) 및 소형 함몰부(223)가 철도 차량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교대 배치되는 소형 요철부(225)가 형성될 수 있다.
소형 돌출부(220)는, 도 5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요철부 논슬립부(213) 중 돌출부형 논슬립부(215)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예로서, 도 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돌출부형 논슬립부(215) 및 함몰부형 논슬립부(217)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소형 돌출부(220)는, 도 5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작업대 논슬립부(211)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예로서, 도 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작업대 논슬립부(211) 상면 전체에 대하여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소형 돌출부(220)는, 폭이 좁은 슬림 돌출부(221) 및 슬림 돌출부(221)보다 폭이 넓은 와이드 돌출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림 돌출부(221)은 2개가 철도 차량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2개가 배열됨과 아울러, 와이드 돌출부(222) 1개가 동일한 이격거리로 순차 배열되며, 이와 같은 2개의 슬림 돌출부(221) 및 1개의 와이드 돌출부(222)가 반복하여 순차 배열된다.
슬림 돌출부(221)과 와이드 돌출부(222)는, 돌출부형 논슬립부(215)나 함몰부형 논슬립부(217)의 상면에 또 한번의 돌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돌출된 높이 자체에 의하여 작업자의 신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슬림 돌출부(221) 및 와이드 돌출부(222)의 상면은, 도 6의 확대도에 참조된 바와 같이, 부식부(230)로서 형성될 수 있다.
부식부(230)는, 산(성물질)에 소정시간 이상 담금되거나 도포되어 슬림 돌출부(221) 및 와이드 돌출부(222)의 상면이 음각으로 부식된 부위를 말하는 것으로서, 도면에는 일정한 형태로 음각 형성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산에 대한 노출시간 및 산성도에 따라 소정의 거칠기를 가진 부식부층을 형성하면 족하다.
작업자는 1차적으로 본 발명의 논슬립 매트(200)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형 논슬립부(215) 및 함몰부형 논슬립부(217)에 의하여 신발이 걸림됨으로써 작업 안전을 보장받는데서 더 나아가, 2차적으로 본 발명의 구성 중 소형 요철부(225)에 의하여 신발이 걸림됨으로써 작업 안전을 보장받음과 동시에, 3차적으로 본 발명의 구성 중 부식부(230)에 의하여 신발과의 마찰이 발생함으로써 작업 안전을 확실하게 보장받을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한편, 소형 돌출부(220)는, 일반 성인으로 상정되는 작업자의 신발 폭이 대략 10cm라고 가정하여, 도면번호가 지시되지 않았으나, 적어도 하나의 길이가 5cm를 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소형 돌출부(220)와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소형 돌출부(220) 사이의 이격된 부위에 신발이 걸림됨으로써 소형 돌출부(220)의 길이방향 미끄러짐이 더욱 방지되는 이점을 가진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차량의 루프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10: 루프 아우터 패널 113: 요철부
115: 돌출부 117: 함몰부
200: 논슬립 매트 215: 돌출부형 논슬립부
217: 함몰부형 논슬립부 220: 소형 돌출부
221: 슬림 돌출부 222: 와이드 돌출부
223: 소형 함몰부 225: 소형 요철부
230: 부식부

Claims (7)

  1. 철도 차량의 루프 아우터 패널에 복수개의 돌출부와 함몰부가 상기 철도 차량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대 배치된 요철부 중 인접되게 위치된 적어도 2개의 상기 돌출부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되 상기 돌출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형 논슬립부와;
    상기 돌출부형 논슬립부 사이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함몰부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되 상기 함몰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함몰부형 논슬립부와;
    상기 돌출부 외측에 구비된 작업 발판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작업대 논슬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형 논슬립부 또는 상기 함몰부형 논슬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면에는, 소형 돌출부 및 소형 함몰부가 상기 철도 차량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대 배치된 소형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작업대 논슬립부의 상면에는, 소형 돌출부 및 소형 함몰부가 상기 철도 차량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대 배치되되, 소정거리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되는 소형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소형 돌출부의 상면은, 산에 의하여 음각으로 부식된 부식부층을 가지는 철도 차량의 루프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형 논슬립부는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 중 상기 철도 차량의 좌측 및 우측 중 최외측의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덮도록 배치되는 철도 차량의 루프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형 돌출부는,
    폭이 좁은 슬림 돌출부 및 상기 슬림 돌출부보다 폭이 넓은 와이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형 돌출부는, 상기 슬림 돌출부 2개와 상기 와이드 돌출부 1개가 인접하여 연속되게 반복 배열되는 철도 차량의 루프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
  7. 삭제
KR1020150147719A 2015-10-23 2015-10-23 철도 차량의 루프 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 KR101773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719A KR101773563B1 (ko) 2015-10-23 2015-10-23 철도 차량의 루프 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719A KR101773563B1 (ko) 2015-10-23 2015-10-23 철도 차량의 루프 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512A KR20170047512A (ko) 2017-05-08
KR101773563B1 true KR101773563B1 (ko) 2017-08-31

Family

ID=5976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719A KR101773563B1 (ko) 2015-10-23 2015-10-23 철도 차량의 루프 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5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708Y1 (ko) * 1995-12-22 2001-04-02 정훈보 전동차의 지붕의 작업 발판과 빗물 홈통 구조
JP2006348580A (ja) * 2005-06-16 2006-12-28 Sefuto Green Engineering Kk 屋根工事用足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708Y1 (ko) * 1995-12-22 2001-04-02 정훈보 전동차의 지붕의 작업 발판과 빗물 홈통 구조
JP2006348580A (ja) * 2005-06-16 2006-12-28 Sefuto Green Engineering Kk 屋根工事用足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512A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563B1 (ko) 철도 차량의 루프 패널 작업용 논슬립 매트
US20170292277A1 (en) Floor covering with replaceable floorboards
JP4913653B2 (ja) 乗降口表示具
EP4074624A3 (en) Modular skid assemblies
JP4876849B2 (ja) 乗客コンベアのスカートガード安全装置
JP2007153599A (ja) 乗客コンベアの床板
JP5553418B2 (ja) プラットホーム縁端構造
JP2011184168A (ja) 乗客コンベア
JP3195360U (ja) 鋼製階段用防滑マット
KR101187982B1 (ko) 작업용 안전발판
KR101870539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760207B1 (ko) 중장비용 슬립방지수단
JP2007331903A (ja) 乗客コンベアの櫛板
JP2010184789A (ja) 乗客コンベア
JP5634884B2 (ja) 乗客コンベヤの乗降口装置
JP7001972B2 (ja) コムプレート具及びマンコンベヤ
KR101276296B1 (ko) 미끄럼 방지용 줄사다리 발판고정기구
JP2019218188A (ja) 踏段および乗客コンベア
KR20050098693A (ko)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US20180106108A1 (en) Securely-attachable durable metal step cover with traction surface for enhancing safety of railroad car sill steps
JP4611719B2 (ja) 建設機械の滑り止め構造
JP6919669B2 (ja) コムプレート具、マンコンベヤ及び櫛板具
KR102220464B1 (ko) 논슬립패드가 결합되는 계단용 결합판
JP6924415B2 (ja) コムプレート具、マンコンベヤ及び櫛板具
JP7004223B2 (ja) コムプレート具、マンコンベヤ及び櫛板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