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8693A -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 Google Patents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8693A
KR20050098693A KR1020040024216A KR20040024216A KR20050098693A KR 20050098693 A KR20050098693 A KR 20050098693A KR 1020040024216 A KR1020040024216 A KR 1020040024216A KR 20040024216 A KR20040024216 A KR 20040024216A KR 20050098693 A KR20050098693 A KR 20050098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train
safety
plate portion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복
Original Assignee
유승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복 filed Critical 유승복
Priority to KR1020040024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8693A/ko
Publication of KR20050098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69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4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 B23Q5/38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 B23Q5/40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by feed shaft, e.g. lead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4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 B23Q5/36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in which a servomotor forms an essential el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장의 선로측 단부에 고정결합되는 고정판부와; 상기 고정판부로부터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틈새를 줄일 수 있도록 돌출되고 상기 고정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게 상기 고정판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틈새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구조가 단순하고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여 열차의 출입구와 승강장 사이의 틈새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저렴한 가격으로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SAFETY FOOT-PLATE FOR PLATFORM OF TRAIN}
본 발명은,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하고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여 열차의 출입구와 승강장 사이의 틈새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저렴한 가격으로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로를 따라 운행되는 열차의 역사에는 승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선로의 주변에 선로를 따라 직선 또는 곡선 형태의 승강장이 구비되어 있다. 상대적으로 출퇴근 등 단거리 이용 승객이 많은 전철 또는 지하철의 경우, 승강장은 승객의 편의를 위해, 통상 차량의 출입구의 바닥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열차 승강장의 선로측 단부는 열차가 폭방향을 따라 유동되는 경우, 열차와 승강장간의 충돌이 발생되지 않도록 선로로부터 소정의 안전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열차의 정차시 열차의 출입구와 승강장의 선로측 단부 사이에는 불가피하게 틈새가 발생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열차 승강장에 있어서는, 승강장과 열차의 출입구 사이에는 틈새를 차단할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여, 승객의 승하차시 승객의 발이 틈새에 빠질 우려가 크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고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여 열차의 출입구와 승강장 사이의 틈새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저렴한 가격으로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승강장의 선로측 단부에 고정결합되는 고정판부와; 상기 고정판부로부터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틈새를 줄일 수 있도록 돌출되고 상기 고정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게 상기 고정판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틈새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부 및 상기 틈새차단부는 고무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부 및 상기 틈새차단부의 내부에는 미연신사로 형성된 코드가 매입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판부는 상기 열차의 출입구의 폭에 비해 축소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출입구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틈새차단부는 서로 다른 돌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틈새차단부의 상면은 상기 승강장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틈새차단부의 상면에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틈새차단부의 상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패드를 더 포함하도록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패드의 상면에는 요철단면형상의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부에는 상기 승강장에 일체로 결합되는 고정볼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볼트공이 관통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틈새차단부는 중공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틈새차단부의 상기 선로측 단부에 결합되는 전면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상기 전면패드는 상기 틈새차단부의 돌출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장의 상면에 면접촉되고 상기 고정판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상판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고정판부 및 상기 상판부는 서로 요철 맞물림 결합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부의 상측에 층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상부커버의 상면에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의 사용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의 틈새차단부의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은, 열차 승강장(10)의 선로측 단부에 면접촉되게 배치되어 일체로 고정 결합되는 고정판부(21)와, 고정판부(21)의 선로측 판면으로부터 차량을 향해 돌출되고 고정판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배치되도록 고정판부(21)에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틈새차단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정판부(21) 및 틈새차단부(31)는, 각각 외관을 형성하는 고무부재(22a)와, 고무부재(22a)의 내부에 강도 보강을 위해 매입된 코드(cord)(22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코드(22b)는 나일론, 레이욘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섬유사 또는 금속사 등의 미연신사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판부(21)는 열차(12)의 출입구(13)의 폭(W)에 비해 축소된 길이(L)를 가지도록 하고, 상하 폭은 승강장(10)의 선로측 단부의 상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판부(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12)의 출입구(13) 당 대략 4개가 부착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L)로 구성되어 있으며, 4개 부착시 전체 길이는 여유 폭을 고려하여 열차(12)의 출입구(13)의 폭(W)에 비해 큰 폭(W2)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고정판부(21)의 선로측 판면에는 열차(12)와 승강장(1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돌출되고 고정판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의 틈새차단부(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틈새차단부(31)의 상면은 승강장(10)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소정의 기울기(θ)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판부(21)에는 승강장(10)의 선로측 단부에 일체로 고정결합되는 고정볼트(15)가 통과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여 복수의 볼트공(2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틈새차단부(31)는 고정판부(21) 1개에 대해 6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볼트공(23)은 고정판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에서 각 첫번째 및 두번째 틈새차단부(31) 사이에 각각 상하 한 쌍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틈새차단부(31)는 고정판부(21)에 대한 틈새차단부(31)의 탄성변형정도, 재료의 소비량, 발과의 접촉면적 및 지지강도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 크기 및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새차단부(31)의 탄성변형이 용이할 수 있도록 평면투영시 고정판부(21)측에 공동이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새차단부(31)가 돌출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의 (e), (f) 및 (g)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공동이 형성된 중공체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h) 및 (i)에 도시 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부가 절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부(21) 및/또는 틈새차단부(31)의 상면에는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도록 요철단면형상의 미끄럼방지부(33)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열차(12)의 각 출입구(13)에 대응되는 승강장(10)의 선로측 단부에 고정볼트(15)를 매입되도록 설치하고, 각 고정판부(21)의 배면에 접착제(미도시)를 도포하여 각 고정볼트(15)의 단부가 볼트공(23)을 통과하도록 결합한 상태에서 승강장(10)의 선로측 단부에 고정판부(21)가 접착되도록 한다. 각 고정볼트(15)에 와셔(16)를 결합한 후 고정볼트(15)의 수나사부에 너트(17)를 체결하면 설치 작업이 완료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은, 승강장(10)의 선로측 단부에 면접촉되게 배치되어 일체로 고정 결합되는 고정판부(21)와, 고정판부(21)의 선로측 판면에 열차(12)와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돌출되고 고정판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틈새차단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정판부(2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장(10)에 매입 설치되는 고정볼트(15)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볼트공(23)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의 틈새차단부(31)는, 승강장(10)이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된 경우, 직선형의 열차(12)와 승강장(10) 사이의 틈새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서로 다른 돌출 길이(l)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C-C선에 따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의 설치상태의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은, 승강장(10)의 선로측 단부면에 면접촉되게 일체로 고정 결합되는 고정판부(21)와, 고정판부(21)의 선로측 판면으로부터 열차(12)와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돌출되는 복수의 틈새차단부(31)와, 각 틈새차단부(31)의 상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패드(4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정판부(21)에는 승강장(10)의 고정볼트(15)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볼트공(23)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도록 요철단면형상을 가지는 미끄럼방지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판부(21)의 선로측 판면에는 고정판부(21)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차를 두고 하측에 열차(12)와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돌출되는 복수의 틈새차단부(31)가 형성되어 있다.
각 틈새차단부(31)는 돌출방향을 따라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고 내부에 상향 개구된 공동(35)이 형성된 중공체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패드(41)는 각 틈새차단부(31)의 평면형상에 대응되게 돌출방향을 따라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면에는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도록 요철단면형상의 미끄럼방지부(42b)가 형성되어 있다. 각 상부패드(41)의 저부에는 각 틈새차단부(31)의 공동(35)에 소정의 죔새를 가지고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된 삽입부(42a)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 상부패드(41)의 상면은 틈새차단부(31)와의 결합시 상면이 승강장(10)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소정의 기울기(θ)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고정판부(21)의 배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볼트공(23)에 고정볼트(15)가 삽입되도록 한 후, 고정판부(21)를 승강장(10)의 선로측 단부에 결합되도록 한다. 고정볼트(15)에 와셔(16)를 개재하여 너트(17)를 체결하면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사용도중 상부패드(41)에 마모 또는 손상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해당 상부패드(41)를 틈새차단부(31)로부터 분리 제거하고, 새로운 상부패드(41)로 교체하면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결합상태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은, 승강장(10)의 선로측 단부에 면접촉되어 일체로 고정결합되는 고정판부(21)와, 고정판부(21)의 선로측 판면으로부터 열차(12)와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돌출되는 복수의 틈새차단부(31)와, 틈새차단부(31)의 돌출방향을 따라 각 틈새차단부(31)의 단부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전면패드(5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전면패드(51)는 틈새차단부(31)에 결합시 차량(12)과의 사이에 형성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틈새에 대응되게 틈새차단부(31)의 돌출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두께(t)를 가지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면패드(51)의 일측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그 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걸림턱(54)을 구비한 한 쌍의 결합돌기(53)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틈새차단부(31)에는 각 결합돌기(53)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수용홈(3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승강장(10)이 곡선으로 형성되어 열차(12)와 승강장(10)의 선로측 단부 사이의 틈새의 폭이 서로 같지 아니한 경우, 적절한 두께(t)를 가지는 전면패드(51)를 해당 틈새차단부(31)에 결합하면 틈새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은, 승강장(10)의 선로측 단부에 면접촉되어 일체로 고정결합되는 고정판부(21)와, 고정판부(21)의 선로측 판면으로부터 열차(12)와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돌출되는 복수의 틈새차단부(31)와, 각 틈새차단부(31)의 돌출방향을 따라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전면패드(51)와, 각 틈새차단부(31)의 상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상부패드(4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전면패드(51)는 틈새차단부(31)의 돌출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두께(t)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된 한 쌍의 결합돌기(53)가 형성되어 있다.
각 틈새차단부(31)의 돌출 방향을 따라 전면부에는 전면패드(51)의 각 결합돌기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수용홈(37)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상부패드(41)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함몰된 삽입홈(3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각 상부패드(41)는 각 틈새차단부(31) 및 전면패드(51)의 각 상면에 대응되게 서로 다른 길이(m)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도록 요철단면형상의 미끄럼방지부(4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상부패드(41)의 저면에는 각 틈새차단부(31)의 삽입홈(38)에 소정의 죔새를 가지고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된 삽입부(42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승강장(10)의 선로측 단부에 고정판부(21)를 결합하고, 열차(12)와의 틈새에 대응되게 적절한 두께(t)를 가지는 전면패드(51)를 틈새차단부(31)에 결합한다. 틈새차단부(31)와 전면패드(51)의 돌출폭에 대응되는 길이(m)를 가지는 상부패드(41)를 선택하여 틈새차단부(31)의 상면에 결합하면 된다. 한편, 사용도중 상부패드(41)의 마모 또는 손상이 발생될 경우, 해당 상부패드(41)를 교체하면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의 사시도이고, 도 14 내지 도 16은 각각 도 13의 D-D, E-E 및 F-F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은, 승강장(10)의 선로측 단부에 면접촉되게 일체로 고정 결합되는 고정판부(21)와, 고정판부(21)의 선로측 판면으로부터 차량(12)과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돌출되는 복수의 틈새차단부(31)와, 틈새차단부(31)의 상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상부패드(41)와, 고정판부(21)의 상부연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승강장(10)의 상면에 면접촉되게 결합되는 상판부(61)와, 상판부(61)의 상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커버(7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정판부(21)의 선로측 판면에는 복수의 틈새차단부(31)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틈새차단부(31)는 상향 개구된 공동(35)이 형성된 중공체로 형성되어 있다. 틈새차단부(31)의 상측에는 저부에 삽입부(42a)가 형성된 상부패드(41)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각 상부패드(41)의 상면에는 요철단면형상의 미끄럼방지부(4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판부(21)의 상부연부에는 승강장(10)의 상면에 면접촉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절곡된 상판부(6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판부(61)의 상면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상향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절곡되고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부커버(71)와 맞물림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리브(63)가 형성되어 있다. 상판부(61)의 저면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돌기(64)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부커버(71)의 저부에는 결합리브(6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리브수용홈(73)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도록 요철단면형상을 가지는 미끄럼방지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커버(71)의 판면에는 교체시 상판부(61)로부터 상부커버(71)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복수의 공구삽입홀(75)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공구삽입홀(75)은 두께방향을 따라 저부영역이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고정판부(21) 및 상판부(61)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하여 승강장(10)의 선로측 단부 및 상면에 이들을 각각 결합 고정되도록 한다. 리브수용홈(73)이 결합리브(63)의 일측에 서로 결합가능하게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선로측으로부터 상부커버(71)를 슬라이딩 결합하고, 각 틈새차단부(31)의 상측에 상부패드(41)를 삽입하면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시간이 경과되어 상부커버(71)의 마모 또는 손상이 있는 경우, “L”형상의 공구(미도시)를 공구삽입홀(75)에 삽입하여 상측으로 당기면 상부커버(71)는 간단히 분리 제거되며, 새로운 상부커버(71)를 선로측으로부터 슬라이딩 삽입하여 결합하면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은, 승강장(10)의 선로측 단부에 면접촉되게 고정결합되는 고정판부(21)와, 고정판부(21)의 선로측 판면으로부터 선로측으로 소정 돌출되게 고정판부(21)에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틈새차단부(31)와, 틈새차단부(31)의 상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상부패드(41)와, 승강장(10)의 상면에 면접촉되게 결합되고 고정판부(21)와 맞물림 결합되는 상판부(61)와, 상판부(61)의 상면에 층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커버(7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정판부(21)의 상부연부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승강장(10)측으로 절곡 연장된 상면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부(25)에는 상판부(61)와 맞물림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턱(26)이 형성되어 있다. 상면부(25) 및 상부커버(71)의 각 상면에는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도록 요철단면형상을 가지는 미끄럼방지부(27,7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판부(61)의 상면에는 고정판부(21)의 상면부(25)와 서로 맞물림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턱(65)이 형성되어 있으며, 폭방향을 따라 걸림턱(65)의 일측에는 상부커버(71)와 맞물림 결합될 수 있게 내측에 더브테일그루브(67)가 형성되도록 돌출된 한 쌍의 결합돌기(66)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부커버(71)의 저부에는 상판부(61)의 결합돌기(66)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돌기수용홈(7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판부(61)를 승강장(10)의 상면에 결합하고, 고정판부(21)의 상면부(25)와 상판부(61)가 맞물림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판부(21)를 승강장(10)의 선로측 단부에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 상판부(61)의 상측에 상부커버(71)를 결합하고, 틈새차단부(31)의 상면에 해당 상부패드(41)를 결합하면 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부커버 및 상부패드의 재질에 대해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아니하고 있지만, 내마모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부재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장의 선로측 단부에 고정결합되는 고정판부와, 고정판부로부터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틈새를 줄일 수 있도록 돌출되고 고정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게 고정판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틈새차단부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열차의 출입구와 승강장 사이의 틈새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평단면도,
도 3은 도 1의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의 사용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의 틈새차단부의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C-C선에 따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의 설치상태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의 분리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결합상태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의 사시도,
도 14 내지 도 16은 각각 도 13의 D-D, E-E 및 F-F선에 따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승강장 12 : 열차
13 : 출입구 15 : 고정볼트
21 : 고정판부 22a : 고무부재
22b : 코드 23 : 볼트공
31 : 틈새차단부

Claims (16)

  1. 승강장의 선로측 단부에 면접촉되게 배치되어 상기 승강장의 선로측 단부에 일체로 고정결합되는 고정판부와; 상기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틈새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부의 선로측 판면으로부터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상기 고정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틈새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부 및 상기 틈새차단부는 고무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부 및 상기 틈새차단부의 내부에는 미연신사로 형성된 코드가 매입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부는 상기 열차의 출입구의 폭에 비해 축소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출입구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차단부는 서로 다른 돌출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차단부의 상면은 상기 승강장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차단부의 상면에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차단부의 상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드의 상면에는 요철단면형상의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부에는 상기 승강장에 일체로 결합되는 고정볼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볼트공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차단부는 중공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차단부의 상기 선로측 단부에 결합되는 전면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드는 상기 틈새차단부의 돌출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의 상면에 면접촉되고 상기 고정판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상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부 및 상기 상판부는 서로 요철 맞물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의 상측에 층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의 상면에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KR1020040024216A 2004-04-08 2004-04-08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KR20050098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216A KR20050098693A (ko) 2004-04-08 2004-04-08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216A KR20050098693A (ko) 2004-04-08 2004-04-08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693A true KR20050098693A (ko) 2005-10-12

Family

ID=37278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216A KR20050098693A (ko) 2004-04-08 2004-04-08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869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684B1 (ko) * 2006-03-20 2007-04-12 대륙화학공업 주식회사 톨부스용 충격방지장치
CN102398603A (zh) * 2010-09-15 2012-04-04 溧阳市振大铁路设备有限公司 地铁站用橡胶梳
KR102522765B1 (ko) * 2022-12-16 2023-04-18 김인춘 승객의 발빠짐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안전발판
KR102627827B1 (ko) * 2023-10-24 2024-01-23 대명알앤텍(주) 승강장 연단 친환경 고무 마감재의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684B1 (ko) * 2006-03-20 2007-04-12 대륙화학공업 주식회사 톨부스용 충격방지장치
CN102398603A (zh) * 2010-09-15 2012-04-04 溧阳市振大铁路设备有限公司 地铁站用橡胶梳
KR102522765B1 (ko) * 2022-12-16 2023-04-18 김인춘 승객의 발빠짐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철 승강장용 안전발판
KR102627827B1 (ko) * 2023-10-24 2024-01-23 대명알앤텍(주) 승강장 연단 친환경 고무 마감재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5211B2 (ja) 電車乗降用スロープ
KR20170066437A (ko) 휴대용 슬로프
KR101066890B1 (ko)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
ES2816052T3 (es) Suelo modular para proporcionar soporte a vehículos y multitudes sobre una subsuperficie blanda o desigual, y tabla, método de instalación y método de producción para el mismo
KR20050098693A (ko) 열차 승강장용 안전발판
KR200407616Y1 (ko)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한 자동차 보조매트
KR200451675Y1 (ko) 안전보호구용 계단커버
JPH05287710A (ja) プラットホ−ム先端材
CN210973516U (zh) 一种梯级侧边条及自动扶梯
KR20190048692A (ko) 바퀴 고임 장치
JP4675473B2 (ja) 取り外し可能な境界画定インサートを有するエスカレータ踏段
KR200370524Y1 (ko) 철도 차량의 논슬립 연결 발판
KR200170759Y1 (ko) 계단용 논슬립
JP3705338B2 (ja) 建設機械の機体上面滑り止め構造
CN110615346A (zh) 一种梯级侧边条及自动扶梯
KR20090109517A (ko) 계단용 조립식 자전거 블록
KR200423161Y1 (ko) 계단용 논슬립
KR20120013794A (ko) 에스컬레이터 계단
JP2010184789A (ja) 乗客コンベア
JPH09240974A (ja) エスカレータの踏段
JP2019218188A (ja) 踏段および乗客コンベア
JP5694756B2 (ja) ホーム先端転落防止材
CN110678607A (zh) 具有带凸缘轮的轨道交通工具的轨道组件
KR100910185B1 (ko) 승강기 도어슈의 보강장치
JP3103514U (ja) プラットホーム用乗降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