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6437A - 휴대용 슬로프 - Google Patents

휴대용 슬로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6437A
KR20170066437A KR1020177010214A KR20177010214A KR20170066437A KR 20170066437 A KR20170066437 A KR 20170066437A KR 1020177010214 A KR1020177010214 A KR 1020177010214A KR 20177010214 A KR20177010214 A KR 20177010214A KR 20170066437 A KR20170066437 A KR 20170066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portion
slope
plate member
plat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코 우에노
마사유키 마츠시타
하지메 나가세
요헤이 노구치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6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1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r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61D23/02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8Loading ramps; Loading docks
    • B65G69/30Non-permanently installed loading ramps, e.g. transpor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5Ramps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7Ramps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Handcar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적어도 판재 및 제1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강부는 슬로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상기 판재와 상기 제1 보강부의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보강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단면의 형상을 직사각형 형상 등으로 한 구성의 휴대용 슬로프. 건물이나, 전철용의 물체 사이에 발생하는 단차에 걸쳐서 사용하는 휴대용 슬로프에 관한 것으로, 경량이고, 또한 내하중성, 내구성이 우수하고, 또한 슬로프의 양측면에 탈륜 방호벽을 설치함으로써 휠체어 이용자가 슬로프 위를 안전성으로 반송할 수 있고, 또한 슬로프 자체가 경량이기 때문에, 그의 운반성도 우수한 휴대용 슬로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슬로프{PORTABLE SLOPE}
본 발명은 물체 사이에 발생하는 단차에 걸쳐서 사용하는 슬로프에 관한 것으로, 경량이고, 또한 내하중성, 내구성이 우수하고, 예를 들어 휠체어 이용자가 전철 승하차 시에 안전성이 우수하고, 또한 슬로프 자체의 운반성도 우수한 휴대용 슬로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공공 시설 등에서는 배리어 프리 대책으로서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고, 또한, 계단에는 그 옆에 우회로로서 슬로프가 만들어져 있는 경우도 있어, 휠체어로의 통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아직 공공 시설이나 빌딩 등의 건조물의 내외에 있어서, 많은 단차가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단차는, 통상인이라면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지만, 휠체어 사용자나 노인에게 있어서는, 넘어가기가 곤란한 경우가 있다.
배리어 프리의 사회 인프라 정비가 진행되어도, 아직 정비되지 않은 단차는 수많이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보도와 차도와의 단차, 버스의 승강구와 도로와의 단차, 도로에 만들어진 홈, 전철에 오르고 내릴 때의 차량과 홈과의 단차나 홈이 휠체어의 통행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다수의 단차가 존재한다는 상황은, 공공의 공간이나 교통 기관뿐만 아니라, 휠체어 사용자나 노인이 거주하는 개인 주거의 내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최근 들어, 가반형(可搬型)의 휴대용 슬로프를 사용하여, 필요할 때만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예를 들어 휠체어를 홈으로부터 전철의 차내로 이동시킬 때나 전철의 승강구부터 홈으로 이동시킬 때, 또는, 휠체어를 도로로부터 버스의 차내로 이동시킬 때나 버스의 승강구부터 도로로 이동시킬 때, 홈과 전철의 차내에 놓는 인도판이나 도로와 버스의 차내에 놓는 인도판이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들 슬로프는, 가반형인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경량으로 운반하기 쉬운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 인해, 금속제나 목제의 슬로프보다도, 수지제의 슬로프, 특히 경량인데다 내하중 성능이 우수한 섬유 강화 플라스틱제의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휠체어용 슬로프는, 휠체어에, 보호자가 필요한 사람 한명이 승차한 휠체어를, 보호자에 의한 협조 조종에 의해, 그 판 위로 오고 가게 하는 기구이기 때문에, 강도 부족에 의한 손상이나, 또한 탈륜에 의한 추락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슬로프의 휠체어 승입(乘入) 방향의 테두리부에 탈륜 방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해당 탈륜 방지벽은, 보호자의 잘못된 유도에 의한 휠체어의 충돌을 받는 것이 상정되기 때문에,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중요해진다. 또한 운반 중에 충돌하기 쉬운 슬로프 테두리부나 거기에 부수되는 탈륜 방지벽이 내충격 성능을 갖는 것도 중요하다.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제2011-217963호 공보)에는, 「전철의 승강구와 플랫폼의 사이에 걸쳐서 사용되는 전철 승강용 슬로프이며, 일단부측이 상기 승강구에 적재되고 또한 타단부측이 상기 플랫폼에 적재되는 길이를 갖고 또한 휠체어가 통행 가능한 폭을 갖는 판상의 슬로프 본체와, 해당 슬로프 본체의 상기 일단부측의 테두리부에 고착되고 또한 슬로프 본체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길어지는 기편(基片)의 선단부에 하방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승강구에 설치된 단차부에 걸림 결합 가능한 수하편(垂下片)을 갖는 후크 부재와, 이 후크 부재에 상기 슬로프 본체의 폭 방향을 따른 축선의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기편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길어지는 플랩을 포함하고, 슬로프 본체가 섬유 강화 수지를 포함하는 전철 승강용 슬로프가 기재되고, 「일단부측이 승강구에 적재되고 또한 타단부측이 플랫폼에 적재되는 길이를 갖고 또한 휠체어가 통행 가능한 폭을 갖는 판상의 슬로프 본체를 구비한다. 따라서, 휠체어 이용자는, 슬로프 본체 위를 주행함으로써, 플랫폼과 전철 사이를 용이하게 오고 갈 수 있는」 효과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슬로프 본체에 간단히 섬유 강화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는 것뿐이고, 경량화와 내하중성의 양립에 대한 개선의 시사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또한 슬로프 위를 반송하는 휠체어 등은 타이어의 개소에 집중적으로 하중이 걸리기 쉽고, 단순한 평판 일면만으로는 내하중성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슬로프 본체에는, 휠체어가 외측에 탈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 폭 방향의 양측 테두리부에 조금 높은 보호 벽부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 보호 벽부에 대한 내충격성에 대한 개선에 대하여 기재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2(일본 특허 공개 제2013-162818호 공보)에서는, 「발포성 수지를 포함하는 사각형의 코어재 표리 양면에,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 Plastic)제의 판재를 접착한 적어도 2매 이상의 합판을 포함하고, 합판은, 통행 방향 상하 단부 각각에 합판 자신의 단차를 해소하기 위한 테이퍼 구조(4, 5)를 갖고, 통행 방향에 대한 외측면을 프레임 부재(9)에 의해 감합시킨 구조를 갖고, 2매 이상의 합판을, 통행 방향에 대하여 병렬시켜, 합판의 대향 측면을 시트재(6)에 의해 연결시켜, 합판이 서로 중첩되도록 접는」 구성이 기재되고, 「경량으로 운반이 용이하고, 가공성이 좋고 최적의 사이즈를 용이하고 또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고정 성능이 뛰어나고, 슬로프 테두리부 및 탈륜 방지벽이 높은 내충격 성능에 의해 파손이 발생하기 어렵고, 우수한 보수 성능을 갖는」 효과가 개시되어 있다. 그 슬로프는 경질 우레탄, 폴리프로필렌 또는 아크릴 등의 발포성 수지를 포함하는 코어재의 표리 양면에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접착한 합판의 구성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구성에서는, 합판은 발포성 수지의 표리 양면에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견고하게 접착한 적층 구성이고, 적층 구성체의 제조 공정에 복수의 공정을 밟을 필요가 있는 점에서 제조 비용적인 과제가 있다. 또한, 적층 구조에 의해 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지만, 슬로프 위를 반송하는 휠체어 등은 타이어의 개소에 국소적으로 하중이 걸리기 쉽고, 간단히 평판 일면만으로의 내하중성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양측면에 설치되는 탈륜 방지벽은 합판의 양측에 접착시킬 필요가 있고, 판재과 탈륜 방지벽이 일체적으로 접하고 있는 영역은 합판의 얇은 두께만이므로, 탈륜 방지벽의 접합 강도적으로는 불충분하다.
또한, 특허문헌 3(일본 특허 공개 제2003-230600호 공보)에서는, 「물체 간에 발생하는 단차에 걸쳐서 사용되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복수 판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슬로프에 있어서, 휴대용 슬로프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판재 단부 상면에 높이 h로 탈륜 방지벽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탈륜 방지벽의 높이 h, 두께 t, 내면 압력을 일정값 내로 수렴하는」 구성이 기재되고, 이에 의해 「차륜이 올라앉은 경우에도 탈륜 방지벽이 접히기 어렵고, 또한 경량으로 용이하게 들어 나를 수 있는」 효과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의 구성에서는, 판재와 탈륜 방지벽을 일체로 성형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기재되고, 예를 들어 경질 발포 폴리우레탄 등을 포함하는 코어재의 표면에, 강화 섬유를 둘러 감아서 금형에 세팅한 후, 이 금형에 매트릭스제를 유입하여, 판재와 탈륜 방지벽이 일체로 성형되는 구성이 예시되고, 이에 의해 판재와 탈륜 방지벽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탈륜 방지벽이 보다 접히기 어려워진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에 있어서의 탈륜 방지벽의 설치 형태에서는, 판재와 탈륜 방지벽이 일체적으로 접하고 있는 영역은 판재의 얇은 두께만이므로, 탈륜 방지벽의 접합 강도적으로는 불충분하다.
또한, 특허문헌 4(일본 특허 공개 제2014-103983호 공보)에서는, 「슬로프 본체는, 골판지재를 포함하는 판상 코어와, 이 판상 코어의 적어도 상면 및 하면에 점착된 섬유 강화 수지재를 포함하는 보강층을 구비하는 휴대용 슬로프」가 기재되고, 「판상 코어로서 발포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필요한 강성 강도를 확보하면서, 추가적인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사용자로의 부담을 보다 경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4의 구성에서는, 슬로프 본체는 골판지재를 포함하는 판상 코어와, 이 판상 코어의 적어도 상면 및 하면이 점착된 섬유 강화 수지재를 포함하는 보강층 구성이고, 적층 구성체의 제조 공정에 복수의 공정을 밟을 필요가 있는 점에서 제조 비용적인 과제가 있다. 또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지만, 슬로프 위를 반송하는 휠체어 등은 타이어의 개소에 국소적으로 하중이 걸리기 쉽고, 간단히 평판 일면만으로는 내하중성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양측면에 설치되는 탈륜 방지벽은 골판지재를 포함하는 판상 코어의 양측에 접착시킬 필요가 있고, 판재와 탈륜 방지벽이 일체적으로 접하고 있는 영역은 합판의 얇은 두께만이므로, 탈륜 방지벽의 접합 강도적으로는 불충분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1796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6281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3060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03983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물체 간에 발생하는 단차에 걸쳐서 사용하는 휴대용 슬로프에 관한 것이고, 경량이고, 또한 내하중성, 내구성이 우수하고, 휠체어 이용자의 사용 시에 슬로프 상에 하중이 부하되었을 때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안전성이 우수하고, 또한 슬로프 자체의 운반성도 우수한 휴대용 슬로프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적어도 판재 및 제1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강부는 슬로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상기 판재와 상기 제1 보강부의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슬로프.
(2) 상기 제1 보강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인 (1)에 기재된 휴대용 슬로프.
(3) 상기 제1 보강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이고, 해당 사다리꼴 형상의 판재와 접하는 저각 중 적어도 하나가 30 내지 90°인 (2)에 기재된 휴대용 슬로프.
(4) 상기 제1 보강부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등각 사다리꼴 형상인 (3)에 기재된 휴대용 슬로프.
(5) 판재의 측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저각은 대략 90도인 (3) 또는 (4)에 기재된 휴대용 슬로프.
(6) 추가로 제2 보강부가 배치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휴대용 슬로프.
(7) 상기 제2 보강부가 판재와 제1 보강부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청구항 (6)에 기재된 휴대용 슬로프.
(8) 판재, 제1 보강부 및 제2 보강부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6) 또는 (7)에 기재된 휴대용 슬로프.
(9) 탈륜 방지벽이 판재의 측단부면 및 제1 보강부의 측단부면의 적어도 일부와 합치 접합하도록 배치되는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휴대용 슬로프.
(10) 상기 탈륜 방지벽은, 판재의 측단부면 및 제1 보강부의 측단부면의 전체면과 합치 접합하도록 배치되는 (9)에 기재된 휴대용 슬로프.
(11) (9) 또는 (10)에 기재된 판재, 제1 보강부 및 탈륜 방지벽은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슬로프의 제조 방법.
상술한 휴대용 슬로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물체 사이에 발생하는 단차에 걸쳐서 사용하는 휴대용 슬로프에 관한 것으로, 경량이고, 또한 내하중성, 내구성이 우수하고, 휠체어 등의 이용자가 전철 승하차 시에 안전성이 우수하고, 또한 슬로프 자체의 운반성도 우수한 휴대용 슬로프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슬로프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 상면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슬로프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 저면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슬로프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슬로프(1)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보강부 배치가 다른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 3에 도시하는 슬로프(1)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보강부가 판재와 제1 보강부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복수의 판재를 길이 방향에 대하여 병렬시켜서 판재의 대향 측면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상면측 사시도이다.
도 8은, 복수의 판재를 길이 방향에 대하여 병렬시켜서 판재의 대향 측면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있어서 제2 보강부가 판재와 제1 보강부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에 의해 어떠한 제한이 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구성은, 적어도 판재 및 제1 보강부를 포함하고, 제1 보강부는 슬로프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판재와 제1 보강부의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휴대용 슬로프의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판재 및 제1 보강부를 포함하고, 그 제1 보강부는 슬로프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됨과 함께, 판재와 제1 보강부의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슬로프를 기본 구성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건조물에 존재하는 단차나, 승용차, 전철, 버스 등의 탈것의 출입구와 지면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단차를, 휠체어 사용자가 이것을 타고 넘을 때에 사용하는 휴대용 슬로프의 경량화 및 강성의 확보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보강부는 휠체어 등의 이동 가능한 운동 물체가 통행하는 판재 표면과 반대측의 이면에 설치된다. 휠체어 등의 통행에 방해되지 않고 슬로프 자체의 강성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보강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슬로프 위를 이동하는 휠체어 등의 타이어의 개소에는 국소적으로 하중이 가해지지만,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제1 보강부의 구성으로 높은 내하중성을 갖기 때문에, 안전한 반송이 가능하다.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슬로프(이하, 간단히 「슬로프」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를 상면측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낸다.
1은 휴대용 슬로프를 나타내고, 2는 휠체어 등이 통행하는 슬로프부를 구성하는 판재를 나타낸다. 그 휴대용 슬로프(1)는, 예를 들어 전철의 승강구와 플랫폼의 사이에 걸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슬로프(1)의 상단측(3)이 전철측의 승강구에 배치되고, 슬로프(1)의 하단측(4)이 플랫폼측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슬로프(1)의 상단측(3) 및 하단측(4)에는 휠체어의 승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한 경사를 갖고, 각각 테이퍼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로프(1)의 승강구와의 접촉 위치 및/또는 플랫폼과의 접촉 위치에는, 적절히 미끄럼 방지의 고무 부재를 고착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슬로프(1)의 상단측(3) 및 하단측(4)은 경량이고 또한 저렴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2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슬로프의 저면측 사시도를, 도 3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슬로프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5는 슬로프(1)의 양쪽 측단부에 배치되는 탈륜 방지벽, 6은 제1 보강부를 나타낸다. 제1 보강부(6)는 휠체어 등의 운동 물체의 통행 방향인 판재(1)의 세로 방향과 대략 평행 방향으로 길게 연속한 형태로 배치된다. 슬로프(1) 위를 이동하는 휠체어 등의 타이어로부터의 국소적인 하중에 대하여 상단측(3) 부근으로부터 하단측(4) 부근까지 연속된 긴 구조로 함으로써, 국소적인 하중에 견딜 수 있다.
도 4에, 도 3에 도시하는 슬로프(1)의 A-A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에 있어서, 판재(2)의 상면을 휠체어 등이 이동하는 도면이다. 6a, 6b 및 6d는 제1 보강부, 7은 판재와 제1 보강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부, 5는 탈륜 방지벽을 나타낸다.
제1 보강부(6)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보강부(6)는 판재(2)의 한 면에 접합하여 배치되고, 판재(2)와 제1 보강부(6)의 사이에 중공부(7)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임으로써 국소적인 하중에 대한 높은 내하중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보강부의 판재와 접하는 저각 중 적어도 하나가 판재면 수평 방향에 대하여, 30 내지 90°를 이루는 사다리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보강부(6)가 일정 범위의 저각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함으로써, 판재(2) 위를 운동 물체가 이동할 때에 받는 하중에 대한 내하중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가 얻어진다. 30° 미만이면, 제1 보강부의 판재와 직교 방향의 길이가 짧아져, 필요한 강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90°를 초과하면 내하중성이 약해지는 경우가 있다. 도 4에 있어서, 제1 보강부(6b)에 대표 사례로서 저각을 θ로서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사다리꼴 형상이란, 사각형의 일부에서, 적어도 1조의 대변이 서로 평행한 것과 같은 도형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변에 대하여 판재(2)에 접하는 저변은 긴 정사다리꼴 형상이 바람직하다. 도 4에 있어서는 상하를 반대로 표시하고 있다. 내하중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상변에 대하여 저변이 길고, 상변과 저변이 평행이 되는 사다리꼴 형상에 의해, 판재에 하중이 부하되어, 제1 보강부에 하중이 전달되었을 때, 판재의 굽힘 변형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도 4에서는, 실시 형태의 일례로서 제1 보강부(6a)는 좌저각이 60도, 우저각이 60도인 사다리꼴 형상이고, 제1 보강부(6b)는 우저각이 60도, 좌저각이 60도인 사다리꼴 형상이고, 좌우의 제1 보강부(6a 및 6b)의 저각을 대칭으로 함으로써 하중을 받는 상태의 밸런스를 균질하게 취할 수 있다. 또한, 제1 보강부(6a)의 좌저각을 30도, 우저각을 60도로 하고, 제1 보강부(6b)의 우저각을 30도, 좌저각을 60도로 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제1 보강부(6a 및 6b)의 대칭성에 의해 하중의 밸런스를 취할 수 있다. 제1 보강부(6d)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보강부의 하나는 등각 사다리꼴인 것이 바람직하다. 판재(2)의 상면을 이동하는 운동물체로부터의 하중이 제1 보강부에 균일하게 걸려, 보다 높은 내하중성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있어서 제1 보강부(6a 또는 6b)의 좌우 저각이 동일한 각도의 사다리꼴 형상을 한 경우이다.
또한, 도 5에 제1 보강부(6)를 배치시키는 별도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보강부(6)로서 홀수개를 배치한 구성이다. 제1 보강부(6a, 6b, 6c 및 6d)를 구비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판재(2)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 부근에 제1 보강부(6a)를 설치하고, 그 제1 보강부(6a)에 대하여 별도의 제1 보강부(6b) 및 제1 보강부(6c)를 제1 보강부(6a)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설정하여 대칭 위치 구조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재(2) 상면을 일정 중량의 운동 물체가 이동할 때에 받는 하중에 대한 내하중성을 보다 견고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보강부(6a)를 등각 사다리꼴로 하고, 제1 보강부(6b 또는 6c)를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의 저각을 대칭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보강부(6a), 제1 보강부(6b) 및 제1 보강부(6c)를 모두 등각 사다리꼴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판재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제1 보강부의 판재와 접하는 저각의 하나는 대략 90도이고, 저각의 하나가 대략 90도가 되는 측면은 판재 측단부면과 동일면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보강부는 판재(2)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것이다.
제1 보강부의 저각의 하나를 대략 90도로 함으로써 탈륜 방지벽(5)과의 접합 개소가 많아짐으로써 탈륜 방지벽(5)과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4 또는 도 5에 도시하는 단면도에 있어서, 제1 보강부(6d)가 판재(2)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것이다. 그 제1 보강부(6d)의 판재(2)의 단부 외측의 저각 θ2가 대략 90도이다. 즉 판재(2)에 대하여 수직인 측면부를 갖고, 이 측면부에 판재(2)의 측단부면과 동일면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탈륜 방지벽(5)은, 판재(2)의 측단부면과 제1 보강부(6d)의 판재(2)에 대하여 수직인 측면부 모두 접합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슬로프(1)에는 탈륜 방지벽(5)이 설치되고, 탈륜 방지벽(5)은 판재 측단부면 및 제1 보강부 측단부면의 적어도 일부와 합치 접합하도록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탈륜 방지벽은 보강 부위 측면부의 전체면과 합치 접합하도록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로프(1)의 좌우 양측면에 탈륜 방지벽(5)을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탈륜 방지벽(5)에 차륜이 올라앉은 경우에도 탈륜 방지벽(5)이 접히기 어렵고, 또한 경량으로 용이하게 들어 나를 수 있다.
탈륜 방지벽(5)과 합치하는 제1 보강부(6d)의 저각 θ2의 하나는 대략 90도이고, 저각 θ2의 하나가 대략 90도가 되는 측면은 판재 측단부면과 동일면 방향에 위치함으로써, 탈륜 방지벽은 판재 측단부면과 보강부의 수직인 면과 동일면 상에 합치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탈륜 방지벽(5)이 판재(2) 측단부면과 제1 보강부(6d) 측면부와 합치 접합됨으로써, 탈륜 방지벽(5)이 판재(2) 및 제1 보강부(6d) 양쪽과 접합함으로써, 탈륜 방지벽(5)의 변형이나 파단에 대하여 내충격성이 강고해진다.
탈륜 방지벽(5)의 높이는 판재(2)의 상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는 15 내지 30mm가 바람직하다. 또한 탈륜 방지벽(5)은, 반드시 슬로프(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될 필요는 없고, 슬로프(1)의 상단측(3)이나 하단측(4)에는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대략 90도란, 설계나 생산의 여유도 등을 고려하여 ±5도는 허용할 수 있는 범위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1 보강부의 판재와 접하는 접점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 각도 중 적어도 하나가 30 내지 9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80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0도이다.
제1 보강부의 판재와 접하는 접점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 각도를 일정 범위로 함으로써 판재(2) 위를 운동 물체가 이동할 때에 받는 하중에 대한 내하중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가 얻어진다. 30° 미만이면, 제1 보강부의 판재와 직교 방향의 길이가 짧아져, 필요한 강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90도를 초과하면 내하중성이 약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판재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제1 보강부(6d)의 판재와 접하는 접점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 각도, 및 탈륜 방지벽(5)과 접하는 접점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 각도가 대략 9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탈륜 방지벽(5)과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대략 90도란, 설계나 생산의 여유도 등을 고려하여 ±5도는 허용할 수 있는 범위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추가로 제2 보강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보강부가 판재와 제1 보강부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중하중이 걸리는 운동 물체가 이동하는 경우를 상정할 때, 그 중량을 예측할 수 있으면 일정한 탄성 강도를 갖는 탄성체 부재를 추가로 배치해 둠으로써 내하중성을 보다 향상시켜, 사용 안정성을 양호화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6에 제2 보강부가 판재와 제1 보강부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1 보강부(6b)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13은, 판재(2)와 제1 보강부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7)의 내부에 제2 보강부 삽입을 위한 일정한 삽입구의 크기로 일정한 길이의 삽입 슬롯을 나타낸다. 그 삽입 슬롯(13)의 내부에 제2 보강부(14)인 일정한 길이를 갖는 긴 탄성체가 삽입되는 구성이다. 슬로프(1)는 경사진 상태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삽입 슬롯(13)의 내부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제2 보강부(14)는 충분히 고정된다.
판재, 제1 보강부 및 제2 보강부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량화 효과의 관점에서, 강화 섬유로서 비강도, 비강성이 우수한 PAN계, 피치계, 레이온계 등의 탄소 섬유를 사용한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수지로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레졸형)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도, 특히 에폭시 수지는 성형체의 역학 특성이나, 내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 강화 수지의 탄소 섬유의 중량 섬유 함유율이 15 내지 80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15중량% 미만이면, 내하중성이나 강성이 상실되어 원하는 기능을 행할 수 없다. 중량 함유량이 80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섬유 강화 수지 중에 보이드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져, 성형이 곤란해진다.
판재, 제1 보강부 및 제2 보강부를 형성하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섬유가 연속한 탄소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강화 섬유는, 슬로프를 걸치는 방향인 길이 방향으로 거의 평행, 또는 길이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각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배열을 조합했을 경우에는, 슬로프 전체로서의 굽힘 강도, 내면 압력이 향상된다.
이상의 슬로프는 1매판으로서 사용하는 상황에서 설명을 해왔지만, 슬로프는 운반의 편의상으로 적어도 각각 제1 보강부를 구비한 2개의 판재(예를 들어 판재 A 및 판재 B)의 표면끼리가 대향하여 접을 수 있도록 2매 이상의 판재를 연결시키는 구성을 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7에, 복수의 판재(예를 들어 판재 A 및 판재 B)의 표면끼리가 대향하도록 2매의 판재를, 통행 방향에 대하여 병렬시켜, 판재의 대향 측면을 시트재나 경첩에 의해 연결한 상태를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를 나타낸다. 22는 시트재나 경첩에 의해 연결된 연결 개소를 나타낸다. 도면 중 2a, 2b는 각각 판재 A, 판재 B를 나타낸다.
또한, 도 8에, 복수의 판재를 길이 방향에 대하여 병렬시켜서 판재의 대향 측면을 시트재로 연결시킨 저면도를 나타낸다. 접을 수 있도록 2매의 판재(2a와 2b)를 배치한 구성이다. 판재(2a)에는 3개의 제1 보강부(6), 판재(2b)에는 3개의 제1 보강부(6)를 배치한 구성이다.
도 9에, 도 8에 있어서의 B-B 단면도를 도시한다. 판재(2a)에는, 제1 보강부(6e, 6f 및 6g)를 배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판재(2b)에도, 제1 보강부(6e, 6f 및 6g)를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탈륜 방지벽(5)은 판재(2a)의 제1 보강부(6e)의 측면부에, 판재(2b)의 제1 보강부(6e)의 측면부에, 각각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0에, 도 9에 있어서 제2 보강부가 삽입 배치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1 보강부(6b)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판재(2a)와 제1 보강부(6f)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7)의 내부에 제2 보강부(14)의 삽입을 위한 일정한 길이의 일정한 크기의 삽입 슬롯(13)을 배치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제1 보강부를 배치한 판재를 포함하는 슬로프의 양측에 위치하는 판재 측단부면에는 탈륜 방지벽이 설치된다. 그의 설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판재, 제1 보강부 및 탈륜 방지벽을 일체로 성형하는 방법, 또는 판재와 제1 보강부를 일체로 성형한 뒤, 탈륜 방지벽을 판재 측단부면 및 보강부 측면부에 접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판재, 제1 보강부 및 탈륜 방지벽을 일체로 성형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탈륜 방지벽을 설치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점에서, 제조 비용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판재 및 제1 보강 부위와 탈륜 방지 벽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점에서 탈륜 방지벽이 보다 접히기 어려워진다. 또한, 판재, 제1 보강부, 제2 보강부의 삽입 슬롯 및 탈륜 방지벽이 일체로 성형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물체 사이에 발생하는 단차에 걸쳐서 휠체어의 주행에 사용되는 휴대용 슬로프로서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슬로프
2, 2a, 2b 판재
3 슬로프(1)의 상단측
4 슬로프(1)의 하단측
5 탈륜 방지벽
6, 6a, 6b, 6c, 6d, 6f, 6g 제1 보강부
7 판재와 제1 보강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부
13 제2 보강부의 삽입 슬롯
14 제2 보강부
15 판재의 가로 폭 길이
16 제1 보강부(6d)의 아랫변의 길이
17 제1 보강부(6b)의 아랫변의 길이
18 제1 보강부(6a)의 아랫변의 길이
19 제1 보강부(6c)의 아랫변의 길이
20 제1 보강부(6d)의 아랫변의 길이
21 판재의 상면으로부터의 제1 보강부(6b)의 높이
22 연결 개소

Claims (11)

  1. 적어도 판재 및 제1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강부는 슬로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상기 판재와 상기 제1 보강부의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슬로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인, 휴대용 슬로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이고, 해당 사다리꼴 형상의 판재와 접하는 저각 중 적어도 하나가 30 내지 90°인, 휴대용 슬로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단면의 형상이 등각 사다리꼴 형상인, 휴대용 슬로프.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판재의 측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저각은 대략 90°인, 휴대용 슬로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제2 보강부가 배치되는, 휴대용 슬로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가 판재와 제1 보강부의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휴대용 슬로프.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판재, 제1 보강부 및 제2 보강부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휴대용 슬로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탈륜 방지벽이 판재의 측단부면 및 제1 보강부의 측단부면의 적어도 일부와 합치 접합하도록 배치되는, 휴대용 슬로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탈륜 방지벽은, 판재의 측단부면 및 제1 보강부의 측단부면의 전체면과 합치 접합하도록 배치되는, 휴대용 슬로프.
  11. 판재, 제1 보강부 및 탈륜 방지벽은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9항 또는 제10항에 기재된 휴대용 슬로프의 제조 방법.
KR1020177010214A 2014-09-29 2015-08-11 휴대용 슬로프 KR201700664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98662 2014-09-29
JP2014198662A JP2016067517A (ja) 2014-09-29 2014-09-29 携帯用スロープ
PCT/JP2015/072756 WO2016051966A1 (ja) 2014-09-29 2015-08-11 携帯用スロー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437A true KR20170066437A (ko) 2017-06-14

Family

ID=55630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214A KR20170066437A (ko) 2014-09-29 2015-08-11 휴대용 슬로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275886A1 (ko)
EP (1) EP3202385A4 (ko)
JP (1) JP2016067517A (ko)
KR (1) KR20170066437A (ko)
CN (1) CN106714759A (ko)
TW (1) TW201620474A (ko)
WO (1) WO2016051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35841B2 (ja) * 2017-03-30 2019-07-03 株式会社 ダイサン 荷物積載用ボード
US20190150400A1 (en) * 2017-11-19 2019-05-23 Sudesh Kumar Sliding and stacking portable ramp
CN109625817B (zh) * 2018-12-28 2020-11-20 福州市长乐区炜辉工业设计有限公司 车站行李转运台
USD910938S1 (en) * 2019-03-26 2021-02-16 Vermont Juvenile Furniture Mfg., Inc. Pet ramp
CN113492887B (zh) * 2020-04-02 2023-01-24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用于轨道车辆的移动式坡道装置及轨道车辆
US20230220676A1 (en) 2020-06-24 2023-07-13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Portable ramp
US20230235565A1 (en) 2020-06-24 2023-07-27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Traveling assistance tool for wheelchair
US20220017314A1 (en) * 2020-07-16 2022-01-20 Motis Brands, Inc. Combination ramp and load levelers
CN112660858B (zh) * 2020-12-08 2022-07-08 中山市科力高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过渡机构
USD987916S1 (en) * 2021-07-14 2023-05-30 Hefei Haimai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Pet climbing platform
USD995955S1 (en) * 2021-10-20 2023-08-15 Ningbo Seedling Industry and Technology Pte. Ltd. Animal saving escape ramp
USD1013984S1 (en) * 2022-05-30 2024-02-06 Xiyong Han Pet ramp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4773A (en) * 1961-09-07 1965-05-25 Woodford Mfg Company Dock plate
JP2573074Y2 (ja) * 1992-03-04 1998-05-28 岡部株式会社 仮設歩道
WO1994005878A1 (en) * 1992-08-27 1994-03-17 Designatech Services Pty. Ltd. Transportable ramp
DE9301787U1 (de) * 1993-02-04 1993-04-01 Koch, Christian, 2090 Winsen Überfahrbrücke
US5781953A (en) * 1996-07-22 1998-07-21 Overhead Door Corporation Dock leveler ramp
US5913340A (en) * 1997-09-15 1999-06-22 Composite Structures, Inc. Walkway platform
US5938397A (en) * 1999-01-29 1999-08-17 Schouest; Paul Daryl Loading and unloading ramp for pickup trucks trailers and vans
JP2002306536A (ja) * 2001-04-10 2002-10-22 Aisin Keikinzoku Co Ltd 車両用スロープ装置
JP2004142509A (ja) * 2002-10-22 2004-05-20 Macgregor Kayaba Ltd ハッチカバーの補強方法及び補強構造
JP4675211B2 (ja) * 2005-10-27 2011-04-2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電車乗降用スロープ
JP5361636B2 (ja) * 2009-09-26 2013-12-04 カネソウ株式会社 床用目地カバー装置
CN201677812U (zh) * 2010-02-01 2010-12-22 李云 折叠式桥板
JP3172583U (ja) * 2011-07-13 2012-01-05 株式会社堀口工業所 超軽量携帯型スロープ
JP2013106879A (ja) * 2011-11-24 2013-06-06 Sumikei Techno Co Ltd スロープ
CN205134983U (zh) * 2015-11-26 2016-04-06 文登蓝岛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楼梯踏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02385A1 (en) 2017-08-09
JP2016067517A (ja) 2016-05-09
CN106714759A (zh) 2017-05-24
US20170275886A1 (en) 2017-09-28
EP3202385A4 (en) 2018-05-23
WO2016051966A1 (ja) 2016-04-07
TW201620474A (zh)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6437A (ko) 휴대용 슬로프
JP2016067517A5 (ko)
KR100416358B1 (ko) 플라스틱에스컬레이터계단
TWI622546B (zh) 自動走道及自動走道的自動走道板
KR101953400B1 (ko) 사람 운송 장치
EP3081449B1 (en) Floor construction for a vehicle
JP5549894B2 (ja) 携帯用スロープ
BRPI0801389B1 (pt) aperfeiçoamento em via elevada para veículo propulsionado pneumaticamente
WO2011037203A1 (ja) 車いす用スロープ
JP2014200581A (ja) 渡し板
WO2021261299A1 (ja) スロープ
JP2016067518A (ja) 携帯用スロープ
WO2021261300A1 (ja) 車椅子用走行補助具
JP2012143260A (ja) 携帯用スロープ
WO2016041638A1 (en) Gangway for connecting a first car with a second car
JP5969827B2 (ja) 渡し板
JP5779255B2 (ja) 乗客コンベア
JP6915218B2 (ja) 繊維強化樹脂製歩廊
JP6148097B2 (ja) 渡し板
CN212245850U (zh) 轿底结构和轿厢
JP5969828B2 (ja) 渡し板
JP3103514U (ja) プラットホーム用乗降補助装置
JP2014088703A (ja) 渡し板製造方法
JP7343848B2 (ja) 乗客コンベア
KR102317849B1 (ko) 단층 또는 복층의 미끄럼 방지 패턴을 갖는 상판을 구비한 복공체 및 복공체 거더와, 이의 제작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