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520B1 - 곡면 화상 표시 패널용 편광판 - Google Patents

곡면 화상 표시 패널용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520B1
KR101770520B1 KR1020160104185A KR20160104185A KR101770520B1 KR 101770520 B1 KR101770520 B1 KR 101770520B1 KR 1020160104185 A KR1020160104185 A KR 1020160104185A KR 20160104185 A KR20160104185 A KR 20160104185A KR 101770520 B1 KR101770520 B1 KR 101770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film
image display
glass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1753A (ko
Inventor
다카유키 나다
요시히토 혼쇼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1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C09J7/024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과제] 장기간의 사용 및/또는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의 사용에 의해서도 곡면 상태의 표시 패널로부터의 벗겨짐이나 들뜸을 억제할 수 있는 곡면 화상 표시 패널용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은, 점착층을 포함하는, 곡면 화상 표시 패널용 편광판으로서, 23 ℃, 52 %RH 에서의 평면 상태에 있어서 측정되는 상기 점착층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이 2 N/25 ㎜ 이상인,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면 화상 표시 패널용 편광판{POLARIZING PLATE FOR CURVED IMAGE DISPLAY PANEL}
본 발명은, 곡면 화상 표시 패널에 사용되는 편광판, 및 그것을 포함하는 곡면 화상 표시 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정 표시 패널,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유기 EL) 표시 패널 등의 각종 화상 표시 패널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편광판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색소가 배향 흡착된 편광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접착층을 개재하여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과 같은 보호 필름을 적층한 구성을 갖는 편광판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 3). 이와 같은 편광판은, 필요에 따라 추가로 위상차 필름이나 광학 보상 필름 등 여러 가지 광학층을 적층한 형태로, 액정 셀이나 유기 EL 표시 소자 등의 화상 표시 소자에 첩합 (貼合) 되어 화상 표시 패널을 구성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1119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06262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7-134212호
최근, 의장성의 관점에서 여러 가지 형상의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시청자로부터의 화면 중앙까지와 측단부 (側端部) 까지의 거리의 차가 작아, 화면에 대한 몰입감이 얻어지므로, 곡면 액정 텔레비전 등의 곡면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여러 가지 제품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곡면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도, 평면 화상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로 편광판을 사용할 필요가 있지만, 곡면 화상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서 상기 특허문헌 1 ∼ 3 에 개시된 종래의 편광판을 곡면 화상 표시 패널에 사용한 경우에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곡면 화상 표시 패널로부터의 편광판의 벗겨짐이나 들뜸이 생길 수 있다. 곡면 화상 표시 패널에 있어서, 편광판의 벗겨짐이나 들뜸은, 특히 오목면측 (凹面側)(시인측) 에 발생하기 쉽고, 시인 영역에 있어서의 표시 불량으로 이어진다. 또, 곡면 화상 표시 패널로부터의 편광판의 벗겨짐이나 들뜸의 발생은,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 특히 현저해진다. 이 때문에, 장시간의 사용에 의해 광원의 열에 노출되는 경우나, 고온 다습 환경이 되기 쉬운 수송 시, 또 사용하는 지역에 따라서는 보다 심각한 벗겨짐이나 들뜸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곡면 화상 표시 패널에 사용되는 편광판에 있어서 특유하게 생길 수 있는 상기 과제를 해결해, 장기간의 사용 및/또는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의 사용에 의해서도 곡면 상태의 표시 패널로부터의 벗겨짐이나 들뜸을 억제할 수 있는 곡면 화상 표시 패널용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바람직한 양태 [1] ∼ [10] 을 제공하는 것이다.
[1] 점착층을 포함하는, 곡면 화상 표시 패널용 편광판으로서, 23 ℃, 50 %RH 에서의 평면 상태에 있어서 측정되는 상기 점착층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이 2.0 N/25 ㎜ 이상인, 편광판.
[2] 점착층을 포함하는, 7000 ㎜ 이하의 평균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 화상 표시 패널용 편광판으로서, 23 ℃, 50 %RH 에서의 평면 상태에 있어서 측정되는 상기 점착층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이 2.0 N/25 ㎜ 이상인, 상기 [1] 에 기재된 편광판.
[3] 점착층을 포함하는, 7000 ㎜ 이하의 평균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 화상 표시 패널용 편광판으로서, 23 ℃, 50 %RH 에서의 곡면 상태에 있어서 측정되는 상기 점착층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이 2.5 N/25 ㎜ 이상인,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편광판.
[4] 80 ℃ 드라이, 250 시간 후의 평면 상태에 있어서 측정되는 점착층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은, 23 ℃, 50 %RH 에서의 평면 상태에 있어서 측정되는 점착층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보다 5.0 N/25 ㎜ 이상 높은,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판.
[5] 80 ℃ 드라이, 250 시간 후의 곡면 상태에 있어서 측정되는 점착층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은, 23 ℃, 50 %RH 에서의 곡면 상태에 있어서 측정되는 점착층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보다 5.0 N/25 ㎜ 이상 높은,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판.
[6] 수평 방향 길이가 320 ㎜ 이상인 곡면 화상 표시 패널용 편광판인,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판.
[7] 80 ℃ 드라이, 250 시간 후의 치수 변화율은 3.0 % 이하인,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판.
[8] 광 탄성계수의 절대값이 50 × 10-12 Pa-1 이하인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상기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판.
[9] 오목면측 편광판 및 볼록면측 (凸面側) 편광판을 포함하는 곡면 화상 표시 패널로서, 오목면측 편광판은 상기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판인 곡면 화상 표시 패널.
[10] 오목면측 편광판 및 볼록면측 편광판을 포함하는 곡면 화상 표시 패널로서, 오목면측 편광판 및 볼록면측 편광판은 상기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판인 곡면 화상 표시 패널.
본 발명에 의하면, 장기간의 사용 및/또는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의 사용에 의해서도 곡면 상태의 표시 패널로부터의 벗겨짐이나 들뜸을 억제할 수 있는 곡면 화상 표시 패널용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평균 곡률반경을 설명하기 위한 곡면 화상 표시 패널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편광판 및 곡면 화상 표시 패널의 일양태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편광판의 흡수축 방향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 는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편광판의 흡수축 방향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평면 상태」란, 만곡부를 포함하지 않아 전체적으로 평면인 상태를 의미한다. 또, 「곡면 상태」란, 측정 방법 등에 의해 특정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1 개의 호 (弧) 에 의해 전체가 만곡된 상태, 및 1 개 또는 복수개의 호에 의한 만곡부를 포함해 전체적으로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대체로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평균 곡률반경」이란, 표시 패널의 좌우 양 단부 (端部) 와 중앙부의 3 점에 있어서의 곡률반경의 평균값이다. 즉, 도 1 에 있어서, 평균 곡률반경은 (R + R + R)/3 에 의해 산출되는 값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의, 23 ℃, 50 %RH 에서의 평면 상태에 있어서 측정되는 유리에 대한 점착력 (이하,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23 ℃)」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은, 2.0 N/25 ㎜ 이상이다. 점착층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23 ℃) 이 2.0 N/25 ㎜ 미만이면, 화상 표시 패널에 대한 충분한 접착력이 얻어지지 않아, 장시간의 연속 사용, 장기간 및/또는 고온 환경하에서의 사용, 이동 및 보관 등에 있어서, 곡면 화상 표시 패널로부터의 편광판의 벗겨짐이나 들뜸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편광판에 있어서,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23 ℃) 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N/25 ㎜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4.0 N/25 ㎜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곡면 상태에 있어서 측정되는 점착층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 (이하, 「유리에 대한 점착력 (곡면, 23 ℃)」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 2.5 N/2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광판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 (곡면, 23 ℃) 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N/25 ㎜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4.5 N/25 ㎜ 이상이다. 곡면 상태에 있어서 측정되는 유리에 대한 점착력은, 평면 상태에 있어서 측정되는 유리에 대한 점착력과 반드시 동일하게 되는 것은 아니고, 또 단순한 비례 관계 등의 일정한 법칙을 갖고 변화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곡면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곡면 상태에 있어서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을 일정한 범위 내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은, 평면 상태에 있어서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에 의해서만 편광판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을 제어하는 경우와 비교해, 보다 실사용에 입각한 상태에서의 편광판의 화상 표시 소자에 대한 점착력의 제어로 이어진다. 특히 유리에 대한 점착력 (곡면, 23 ℃) 이 2.5 N/25 ㎜ 이상이면, 편광판이 곡면 화상 표시 패널에 장착된 후, 장기간의 사용 시나, 장시간 사용에 의해 광원의 열에 노출되는 경우나 고온 다습 환경이 되기 쉬운 수송 시 등의 가혹한 환경하에 있어서도, 화상 표시 패널에 대한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어, 곡면 상태의 화상 표시 패널로부터의 편광판의 벗겨짐이나 들뜸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장기간 및/또는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패널에 대한 접착력을 충분히 확보하는 관점에서는, 본 발명의 편광판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23 ℃) 과 유리에 대한 점착력 (곡면, 23 ℃) 이 모두 2.0 N/2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N/2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4.0 N/25 ㎜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곡면 화상 표시 패널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화상 표시 소자에 편광판을 첩합할 때 또는 첩합한 후에 첩합 실수가 발생한 경우, 종래의 평면 화상 표시 패널의 제조 공정과 마찬가지로 평면 상태에서 리워크 (즉, 벗겨서 패널을 재이용하는 것) 하는 경우도 있지만, 곡면 상태에서 리워크하는 것도 상정된다. 곡면 상태에서 리워크되는 경우, 곡면화된 상태에 있음으로써 이미 부하되어 있는 압축 응력에 더해, 화상 표시 패널로부터 편광판을 박리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압축 응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 때문에, 곡면 상태에서의 리워크에서는 평면 상태에서의 리워크와 비교해 곡면 화상 표시 패널로부터의 편광판의 박리가 기술적으로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고, 특히 편광판의 점착력이 높을수록 편광판을 박리하기 위해서 부하되는 압축 응력은 커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박리 시에 표시 패널을 구성하는 유리판이 깨지는 등의 위험성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유리에 대한 점착력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리워크성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편광판은, 평면 상태에서 측정되는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23 ℃) 이 20.0 N/2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 N/25 ㎜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4.0 N/25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N/25 ㎜ 이하이다. 또, 유리에 대한 점착력 (곡면, 23 ℃) 은, 바람직하게는 20.0 N/25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 N/25 ㎜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2.0 N/25 ㎜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N/25 ㎜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N/25 ㎜ 이하이다. 상기 각 유리에 대한 점착력의 상한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곡면 화상 표시 패널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편광판의 첩합 실수가 발생 또는 발견된 경우에, 용이하게 표시 패널로부터 편광판을 리워크하기 쉬워진다. 리워크성의 관점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23 ℃) 과 유리에 대한 점착력 (곡면, 23 ℃) 이 모두 20.0 N/2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23 ℃) 은, 소정 크기로 절단한 편광판을, 그 점착층을 개재하여 평평한 유리 기판에 첩부 (貼付) 하고,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실시하고, 23 ℃, 50 %RH 하, 24 시간 정치한 후, 유리 기판으로부터 편광판을 180° 방향으로 소정 속도로 박리해 측정되는 값이다. 유리에 대한 점착력 (곡면, 23 ℃) 은,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23 ℃) 의 측정 방법과 마찬가지로 해 편광판을 유리판에 첩합한 시험편을, 곡률반경 2500 ㎜ 로 가공한 금속판 상에 시험편을 따르도록 해 고정한 상태에서 23 ℃, 50 %RH 하, 24 시간 정치한 후, 편광판을 박리해 측정되는 값이다.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23 ℃) 및 유리에 대한 점착력 (곡면, 23 ℃) 의 보다 상세한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하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편광판에 있어서, 80 ℃ 드라이하에서 250 시간 후, 평면 상태에 있어서 측정되는 점착층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 (이하,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80 ℃)」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은, 7.0 N/2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N/2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1.0 N/25 ㎜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편광판에 있어서, 80 ℃ 드라이하에서 250 시간 후, 곡면 상태에 있어서 측정되는 점착층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 (이하, 「유리에 대한 점착력 (곡면, 80 ℃)」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은, 8.0 N/2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N/2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2.0 N/25 ㎜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력이 높아짐으로써 측정 시에 시험편이 파단되어, 80 ℃ 드라이하에서 250 시간 후에 측정되는 상기 각 유리에 대한 점착력을 수치로서 측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이것은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일양태이다.
80 ℃ 드라이하에서 250 시간 후에 측정되는 각 유리에 대한 점착력이 상기와 같은 값인 경우, 장기간 및/또는 고온 환경하에서의 사용 등에 있어서도, 표시 패널에 대한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고, 곡면 상태의 표시 패널로부터의 벗겨짐이나 들뜸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상기 서술한 일정 범위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23 ℃) 을 갖는 편광판에 있어서, 80 ℃ 드라이하에서 250 시간 후에 측정되는 각 유리에 대한 점착력이 상기와 같은 값인 것은 본 발명의 편광판에 있어 특히 유리하다.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80 ℃) 은,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23 ℃) 보다 5.0 N/25 ㎜ 이상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7.0 N/25 ㎜ 이상 높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 N/25 ㎜ 이상 높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유리에 대한 점착력 (곡면, 80 ℃) 은, 유리에 대한 점착력 (곡면, 23 ℃) 보다 5.0 N/25 ㎜ 이상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7.0 N/25 ㎜ 이상 높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 N/25 ㎜ 이상 높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일정 범위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23 ℃) 을 갖는 편광판에 있어서, 또한 80 ℃ 드라이하에서 250 시간 후에 측정되는 각 유리에 대한 점착력이 23 ℃, 50 %RH 하에 있어서 측정된 각 유리에 대한 점착력보다 5.0 N/25 ㎜ 이상 높으면, 화상 표시 소자에 첩합한 후의 첩합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화상 표시 소자에 첩합하고, 상온에서부터 저온 환경하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점착력을 확보하면서도, 용이하게 리워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장시간 광원의 열에 노출되는 경우나 고온 다습 환경이 되기 쉬운 수송 시, 또 장기간 및/또는 고온 환경하에서의 사용에 있어서도, 표시 패널에 대한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어, 곡면 상태의 표시 패널로부터의 벗겨짐이나 들뜸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80 ℃) 과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23 ℃) 의 차, 및 유리에 대한 점착력 (곡면, 80 ℃) 과 유리에 대한 점착력 (곡면, 23 ℃) 의 차에 대해, 그 상한은 각각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20.0 N/25 ㎜ 이하이다.
유리에 대한 점착력 (곡면, 80 ℃) 은,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23 ℃) 보다 5.0 N/25 ㎜ 이상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7.0 N/25 ㎜ 이상 높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 N/25 ㎜ 이상 높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리에 대한 점착력 (곡면, 80 ℃) 과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23 ℃) 의 차가 상기 범위 내이면, 평면 상태에서의 첩합 및 리워크가 용이하고, 곡면화 후 장기간 및/또는 고온 환경하에서의 사용 등에 있어서도, 표시 패널에 대한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어, 곡면 상태의 표시 패널로부터의 벗겨짐이나 들뜸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상기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80 ℃) 및 유리에 대한 점착력 (곡면, 80 ℃) 은, 시험편을 80 ℃, 드라이 환경하에 250 시간 정치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서술한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23 ℃) 및 유리에 대한 점착력 (곡면, 23 ℃)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점착층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은, 점착층을 구성하는 성분의 종류, 그 함유량비, 형성 조건 (건조, 활성 에너지선 조사 조건), 형성 후의 두께 등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소망하는 유리에 대한 점착력에 따라 점착층의 구성 성분, 함유량비, 형성 조건, 두께 등을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점착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구성 성분으로서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는 것, 실란계 화합물을 배합하는 것, 및 점착층의 층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에 의해 점착층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을 높게 할 수 있다. 또, 아크릴 수지를 구성하는 단량체의 종류나 그 비율, 실란계 화합물의 종류나 그 함유량을 변경함으로써 유리에 대한 점착력을 소망하는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80 ℃ 드라이하에서 250 시간 후의 치수 변화율이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치수 변화율이 3.0 % 이하인 경우, 장기간의 사용이나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도 편광판의 수축 및/또는 팽창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곡면 상태의 표시 패널로부터의 벗겨짐이나 들뜸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그 중에서도 수축률이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 %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치수 변화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즉, 치수 변화율의 하한값은 0 % 이다).
치수 변화율은, 수축 및/또는 팽창에 기여하는 편광 필름의 치수 변화를 억제함으로써 제어 가능하다. 편광 필름의 치수 변화는, 예를 들어 편광 필름의 연신 배율 등의 제조 조건이나 종류를 변경함으로써, 또 편광 필름에 인접하는 보호층의 강성을 높게 하는 것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신 배율을, 바람직하게는 8 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배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7 배 이하로 함으로써 치수 변화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치수 변화율은, 편광판을 100 ㎜ × 100 ㎜ 사이즈로 컷하고, 유리에 첩합하지 않고, 초기 치수와 80 ℃ 드라이 250 시간 후의 치수를 측정, 비교함으로써 산출한 값이다. 당연히 점착제를 개재하여 유리에 첩합한 경우의 치수 변화율은, 상기 서술한 유리 미첩합에서의 치수 변화율보다 작아진다. 점착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유리 미첩합에 있어서의 치수 변화율은, 통상 1/2 ∼ 1/15 정도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화상 표시 소자에 첩합하기 위한 점착층을 포함하고, 또한 편광판으로서 통상 갖는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한, 그 구성은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바람직한 일양태에 있어서, 편광 필름, 편광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를 개재하여 적층되는 보호층, 및 화상 표시 소자에 첩합하기 위한 점착층, 그리고 경우에 따라 광학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 및 곡면 화상 표시 패널의 일실시양태에 있어서의 구성을 도 2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편광판은, 화상 표시 소자에 인접하는 층으로부터 순서대로, 점착층 (10), 보호층 (11), 편광 필름 (12), 보호층 (11) 및 필요에 따라 광학층 (도시 생략) 을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통상 편광 필름 (12) 과 보호층 (11) 은 접착제를 개재하여 적층된다. 또, 본 발명의 곡면 화상 표시 패널은, 일실시양태에 있어서, 점착층 (10) 을 개재하여 화상 표시 소자 (3) 에 각각 첩합된 오목면측 편광판 (1) 과 볼록면측 편광판 (2) 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양태에 있어서, 오목면측 편광판 (1) 은, 화상 표시 소자 (3) 에 인접하는 층으로부터 순서대로 점착층 (10), 보호층 (11), 편광 필름 (12), 보호층 (11), 필요에 따라 표면 처리층 (13) 및/또는 광학층으로 구성되고, 볼록면측 편광판 (2) 은, 화상 표시 소자 (3) 에 인접하는 층으로부터 순서대로 점착층 (10), 보호층 (11), 편광 필름 (12), 보호층 (11) 및 필요에 따라 광학층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편광판의 각 구성 성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점착층>
점착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는, 종래 공지된 점착제를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아크릴계, 고무계, 우레탄계, 실리콘계, 폴리비닐에테르계 등의 베이스 폴리머를 갖는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열 경화형 점착제 등이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 점착력, 리워크성, 내후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한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층이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그 아크릴계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점착성 및 리워크성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편광판에 포함되는 점착층이 하기 아크릴 수지 (A)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수지 (A) 는, 식 (I) :
[화학식 1]
Figure 112016079652707-pat00001
〔식 중,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는 탄소수 1 ∼ 10 의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4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 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고, 이러한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에 더해, 분자 내에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과 적어도 1 개의 방향 고리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A-2)(이하, 「방향 고리 함유 단량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및 극성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A-3)(이하,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이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중 어느 것이어도 되는 것을 의미하고, 그 밖에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 등에 있어서의 접두어 「(메트)」도 동일한 취지이다.
아크릴 수지 (A) 의 주요한 구조 단위가 되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 의 상기 식 (I) 에 있어서,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2 는 탄소수 1 ∼ 14 의 알킬기이다. R2 로 나타내는 알킬기는, 각각의 기 중의 수소 원자가 탄소수 1 ∼ 10 의 알콕시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식 (I) 로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 중, R2 가 비치환 알킬기인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프로필,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산 n-옥틸, 및 아크릴산라우릴 등의 직사슬형의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 아크릴산이소부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및 아크릴산이소옥틸 등의 분지형의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프로필, 메타크릴산 n-부틸, 메타크릴산 n-옥틸, 및 메타크릴산라우릴 등의 직사슬형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 메타크릴산이소부틸,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및 메타크릴산이소옥틸 등의 분지형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산 n-부틸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아크릴 수지 (A) 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의 총중량에 대해 아크릴산 n-부틸이 5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R2 가 알콕시기로 치환된 알킬기, 즉 알콕시알킬기인 경우의, 식 (I) 로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 구체적으로는 아크릴산 2-메톡시에틸, 아크릴산에톡시메틸, 메타크릴산 2-메톡시에틸, 메타크릴산에톡시메틸 등이 예시된다.
이들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 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상이한 복수종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분자 내에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과 적어도 1 개의 방향 고리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방향 고리 함유 단량체)(A-2) 는,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기로서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예로서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벤조에이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식 (II) :
[화학식 2]
Figure 112016079652707-pat00002
〔식 중,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n 은 1 ∼ 8 의 정수이며, R4 는 수소 원자, 알킬기, 아르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방향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방향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 화합물을 나타내는 상기 식 (II) 에 있어서, R4 가 알킬기인 경우, 그 탄소수는 1 ∼ 9 일 수 있고, 마찬가지로 아르알킬기인 경우, 그 탄소수는 7 ∼ 11, 또 아릴기인 경우, 그 탄소수는 6 ∼ 10 일 수 있다. 탄소수 1 ∼ 9 의 알킬기로서 메틸, 부틸, 노닐 등을, 탄소수 7 ∼ 11 의 아르알킬기로서 벤질, 페네틸, 나프틸메틸 등을, 또 탄소수 6 ∼ 10 의 아릴기로서 페닐, 톨릴, 나프틸 등을 각각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식 (II) 의 방향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 화합물로는, (메트)아크릴산 2-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산 2-(2-페녹시에톡시)에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노닐페놀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 2-(o-페닐페녹시)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향 고리 함유 단량체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상이한 복수종을 조합해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메트)아크릴산 2-페녹시에틸 [상기 식 (II) 에 있어서, R4 = H, n = 1 의 화합물], (메트)아크릴산 2-(o-페닐페녹시)에틸 [상기 식 (II) 에 있어서, R4 = o-페닐, n = 1 의 화합물], 또는 (메트)아크릴산 2-(2-페녹시에톡시)에틸 [상기 식 (II) 에 있어서, R4 = H, n = 2 의 화합물] 이, 아크릴 수지 (A) 를 구성하는 방향 고리 함유 단량체 (A-2) 의 하나로서 바람직하다.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A-3) 에 있어서, 극성 관능기는, 유리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노기, 에폭시 고리를 비롯한 복소 고리기 등일 수 있다.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극성 관능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계 화합물이다. 그 예로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β-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2- 또는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 및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비닐카프로락탐, N-비닐-2-피롤리돈,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및 2,5-디하이드로푸란 등의 복소 고리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복소 고리와는 상이한 아미노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극성 관능기는, 유리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노기 또는 에폭시 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상이한 복수종을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수산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를, 아크릴 수지 (A) 를 구성하는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A-3) 의 하나로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산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에 더해, 다른 극성 관능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 예를 들어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를 병용하는 것도 유효하다.
아크릴 수지 (A) 에 있어서, 상기 식 (I) 로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 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아크릴 수지 (A) 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의 총중량에 대해 80 ∼ 96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82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또 94 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방향 고리 함유 단량체 (A-2) 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아크릴 수지 (A) 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의 총중량에 대해 3 ∼ 1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7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 중량% 이상이며,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1 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이다.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A-3) 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아크릴 수지 (A) 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의 총중량에 대해 0.1 ∼ 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상이며,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층을 구성할 수 있는 아크릴 수지 (A) 는, 상기 식 (I) 로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 방향 고리 함유 단량체 (A-2)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A-3) 과는 상이한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의 예로는, 분자 내에 지환식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스티렌계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비닐계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분자 내에 복수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식 구조란, 탄소수가 통상 5 이상, 바람직하게는 5 ∼ 7 인 시클로파라핀 구조이다. 지환식 구조를 갖는 아크릴산에스테르의 구체예로는, 아크릴산이소보르닐, 아크릴산시클로헥실, 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아크릴산시클로도데실, 아크릴산메틸시클로헥실, 아크릴산트리메틸시클로헥실, 아크릴산 tert-부틸시클로헥실, α-에톡시아크릴산시클로헥실, 아크릴산시클로헥실페닐 등을 들 수 있고, 지환식 구조를 갖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구체예로는, 메타크릴산이소보르닐,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메타크릴산시클로도데실, 메타크릴산메틸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트리메틸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 tert-부틸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페닐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단량체의 구체예로는, 스티렌 외에 메틸스티렌, 디메틸스티렌, 트리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디에틸스티렌, 트리에틸스티렌, 프로필스티렌, 부틸스티렌, 헥실스티렌, 헵틸스티렌, 및 옥틸스티렌 등의 알킬스티렌 ; 플루오로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브로모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및 요오드스티렌 등의 할로겐화스티렌 ; 또한 니트로스티렌, 아세틸스티렌, 메톡시스티렌, 디비닐벤젠 등을 들 수 있다.
비닐계 단량체의 구체예로는,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부티르산비닐, 2-에틸헥산산비닐, 및 라우르산비닐 등의 지방산 비닐에스테르 ; 염화비닐이나 브롬화비닐 등의 할로겐화비닐 ; 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비닐리덴 ; 비닐피리딘, 비닐피롤리돈, 및 비닐카르바졸 등의 함질소 방향족 비닐 ; 부타디엔, 이소프렌, 및 클로로프렌 등의 공액 디엔 단량체 ; 나아가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분자 내에 복수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의 구체예로는,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분자 내에 2 개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 ;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분자 내에 3 개의 (메트)아크릴로일 기를 갖는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식 (I) 로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 방향 고리 함유 단량체 (A-2)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A-3) 과는 상이한 단량체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에 포함되는 경우, 아크릴 수지 (A) 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 방향 고리 함유 단량체 (A-2)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A-3) 과는 상이한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는, 그 수지의 불휘발분 100 중량부에 대해 통상 0 ∼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 ∼ 10 중량부의 비율로 함유된다.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은, 상기 식 (I) 로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 방향 고리 함유 단량체 (A-2),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A-3) 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를 2 종류 이상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아크릴 수지 (A) 에, 그것과는 상이한 아크릴 수지, 예를 들어 식 (I) 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고, 극성 관능기를 포함하지 않는 아크릴 수지 등을 혼합해 사용해도 된다. 식 (I) 로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 방향 고리 함유 단량체 (A-2),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A-3) 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 (A) 는, 아크릴 수지 (A) 의 총중량에 대해 80 중량% 이상, 나아가서는 9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I) 로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A-1), 방향 고리 함유 단량체 (A-2)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A-3) 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인 아크릴 수지 (A) 는,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에 의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가 100만 ∼ 200만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고온 고습하에서의 접착성이 향상되어, 화상 표시 소자와 점착층 간에 벗겨짐이나 들뜸이 생길 가능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또한 리워크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 그 점착층에 첩합되는 편광판의 치수가 변화해도, 그 치수 변화에 점착층이 추종해 변동하기 쉬워지고, 화상 표시 소자의 둘레가장자리부의 밝기와 중심부의 밝기 간에 차가 없어져, 백색화나 색얼룩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곡면화됨으로써, 특히 오목면측 편광판에 있어서 치수 변화나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라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백색화나 색얼룩이 억제되어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 와 수평균 분자량 Mn 의 비 Mw/Mn 으로 나타내는 분자량 분포는, 3 ∼ 7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량 분포 Mw/Mn 이 3 ∼ 7 의 범위이면, 화상 표시 패널 또는 화상 표시 장치가 고온에 노출된 경우라도, 백색화 등의 문제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곡면화 후에 고온에 노출되는 경우에 높은 효과를 발휘한다.
또, 상기 아크릴 수지 (A) 는, 점착성 발현의 관점에서, 그 유리 전이 온도가 -10 ∼ -60 ℃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일반적으로 시차주사 열량계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아크릴 수지 (A) 는, 예를 들어 용액 중합법, 유화 중합법, 괴상 중합법, 현탁 중합법 등, 공지된 각종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 아크릴 수지의 제조에 있어서는, 통상 중합 개시제가 사용된다. 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아크릴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모든 단량체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해 0.001 ∼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로는, 열 중합 개시제나 광 중합 개시제 등이 사용된다. 광 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어 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프로필)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열 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4-메톡시발레로니트릴),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및 2,2'-아조비스(2-하이드록시메틸프로피오니트릴) 등의 아조계 화합물 ; 라우릴퍼옥사이드, ter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벤조일, ter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ter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er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및 (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 ;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및 과산화수소 등의 무기 과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과산화물과 환원제를 병용한 레독스계 개시제 등도, 중합 개시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 수지 (A) 의 제조 방법으로는, 용액 중합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용액 중합법의 구체예를 들어 설명하면, 원하는 단량체 및 유기 용매를 혼합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열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고, 40 ∼ 90 ℃, 바람직하게는 50 ∼ 80 ℃ 에서 3 ∼ 10 시간 교반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반응을 제어하기 위해서, 단량체나 열 중합 개시제를 중합 중에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첨가하거나, 유기 용매에 용해한 상태에서 첨가하거나 해도 된다. 여기서, 유기 용매로는, 예를 들어 톨루엔이나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 아세트산에틸이나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 프로필알코올이나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지방족 알코올류 ;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및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에 포함되는 점착층은, 아크릴 수지 (A) 와 가교제를 병용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할 수 있는 가교제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A) 중의 특히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A-3) 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반응해, 아크릴 수지를 가교시키는 화합물이다. 구체적으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지리딘계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 등이 예시된다. 이들 중,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및 아지리딘계 화합물은, 아크릴 수지 (A) 중의 극성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분자 내에 적어도 2 개 갖는다.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분자 내에 적어도 2 개의 이소시아나토기 (-NCO) 를 갖는 화합물이고, 예를 들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에, 글리세롤이나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폴리올을 반응시킨 어덕트체나,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2 량체, 3 량체 등으로 한 것도 점착제에 사용되는 가교제가 될 수 있다. 2 종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혼합해 사용할 수도 있다.
에폭시계 화합물은, 분자 내에 적어도 2 개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이고, 예를 들어 비스페놀 A 형의 에폭시 수지,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디글리시딜아닐린,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렌디아민,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2 종 이상의 에폭시계 화합물을 혼합해 사용할 수도 있다.
아지리딘계 화합물은, 에틸렌이민이라고도 불리는 1 개의 질소 원자와 2 개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지는 3 원자 고리의 골격을 분자 내에 적어도 2 개 갖는 화합물이고, 예를 들어 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트리에틸렌멜라민, 이소프탈로일비스-1-(2-메틸아지리딘), 트리스-1-아지리디닐포스핀옥사이드, 헥사메틸렌-1,6-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β-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트리스-β-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철, 구리, 아연, 주석, 티탄, 니켈, 안티몬, 마그네슘, 바나듐, 크롬, 및 지르코늄 등의 다가 금속에, 아세틸아세톤이나 아세토아세트산에틸이 배위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제 중에서도,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특히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혹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글리세롤이나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폴리올에 반응시킨 어덕트체나, 이들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2 량체, 3 량체 등으로 한 것, 이들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혼합한 것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극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A-3) 이, 유리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노기 및 에폭시 고리로부터 선택되는 극성 관능기를 갖는 경우에는 특히, 가교제로서 적어도 1 종의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로서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폴리올에 반응시킨 어덕트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2 량체, 및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3 량체, 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폴리올에 반응시킨 어덕트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2 량체, 및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3 량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을 구성하는 점착층에 있어서, 가교제는, 아크릴 수지 (A) 100 중량부에 대해 0.01 ∼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수지 (A) 100 중량부에 대해 0.1 ∼ 5 중량부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2 ∼ 3 중량부이다. 가교제의 양이 상기 범위 내이면, 점착층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고, 또 화상 표시 패널의 백색화가 눈에 띄지 않게 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에는, 실란계 화합물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가교제를 배합하기 전의 아크릴 수지에 실란계 화합물을 함유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계 화합물은 유리에 대한 점착력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실란계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유리 기판에 끼인 화상 표시 소자와 점착층의 밀착성이 향상되어, 표시 패널에 대한 높은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및/또는 고온 환경하에서의 사용에 있어서도 곡면 상태의 표시 패널로부터의 벗겨짐이나 들뜸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실란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에톡시디메틸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란계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실란계 화합물은, 실리콘 올리고머 타입의 것이어도 된다. 실리콘 올리고머를 (모노머)-(모노머) 코폴리머의 형식으로 나타내면,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및 3-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등의, 메르캅토프로필기 함유의 코폴리머 ;
메르캅토메틸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메르캅토메틸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메르캅토메틸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및 메르캅토메틸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등의, 메르캅토메틸기 함유의 코폴리머 ;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및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등의, 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기 함유의 코폴리머 ;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및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등의, 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기 함유의 코폴리머 ;
비닐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비닐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비닐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비닐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비닐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비닐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비닐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및 비닐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등의, 비닐기 함유의 코폴리머 ;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코폴리머, 및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코폴리머 등의, 아미노기 함유의 코폴리머 등.
이들 실란계 화합물은, 대부분의 경우 액체이다. 점착제에 있어서의 실란계 화합물의 배합량은, 아크릴 수지 (A) 의 불휘발분 100 중량부 (2 종류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합계량) 에 대해 통상 0.01 ∼ 1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03 ∼ 1 중량부의 비율이다. 아크릴 수지 (A) 의 불휘발분 100 중량부에 대한 실란계 화합물의 양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점착층과 화상 표시 소자의 밀착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고, 또 점착층으로부터 실란계 화합물의 블리드 아웃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에는, 대전 방지제로서 이온성 화합물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 특히, 아크릴 수지 (A) 를 구성하는 방향 고리 함유 단량체 (A-2) 가, 상기 식 (II) 로 나타내는 방향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 화합물이고, 식 (II) 중의 n 이 2 이상인 경우에는, 백색화의 억제에 유효하고, 이 단량체가 공중합된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중에 이온성 화합물을 배합함으로써, 백색화 억제 효과를 부여하면서 양호한 대전 방지성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이온성 화합물이란, 카티온과 아니온의 조합으로 존재하는 화합물이고, 카티온 및 아니온은 각각, 무기의 것이어도 되고 유기의 것이어도 되지만, 아크릴 수지 (A) 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는, 카티온 및 아니온 중 적어도 일방이 유기기를 포함하는 이온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온성 화합물을 구성하는 무기 카티온의 예로는, 리튬 카티온 [Li], 나트륨 카티온 [Na], 칼륨 카티온 [K], 세슘 카티온 [Cs] 등의 알칼리 금속 이온 ; 베릴륨 카티온 [Be2 ], 마그네슘 카티온 [Mg2 ], 칼슘 카티온 [Ca2 ] 등의 알칼리 토금속 이온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금속부식성의 관점에서, 리튬 카티온 [Li], 칼륨 카티온 [K] 또는 나트륨 카티온 [Na] 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칼륨 카티온 [K] 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온성 화합물을 구성하는 유기 카티온의 예로는, 하기 식 (III) : 으로 나타내는 피리디늄계 카티온, 하기 식 (IV) 로 나타내는 4 급 암모늄 카티온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6079652707-pat00003
식 (III) 중, R5 ∼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10 은, 탄소수 1 ∼ 16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식 (IV) 중, R11 은 탄소수 1 ∼ 12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12, R13 및 R14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 ∼ 12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식 (III) 으로 나타내는 피리디늄계 카티온은, 총탄소수가 6 이상이 되지만, 그 중에서도 총탄소수가 8 이상, 특히 10 이상인 것이, 아크릴 수지 (A) 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그 총탄소수는, 36 이하, 나아가서는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III) 으로 나타내는 피리디늄계 카티온 중에서도, 피리딘 고리의 4- 위치의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R7 이 알킬기이고, 피리딘 고리 외의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R5, R6, R8 및 R9 가 각각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한 카티온의 하나이다.
식 (III) 으로 나타내는 피리디늄계 카티온의 구체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N-메틸-4-헥실피리디늄 카티온, N-부틸-4-메틸피리디늄 카티온, N-부틸-2,4-디에틸피리디늄 카티온, N-부틸-2-헥실피리디늄 카티온, N-헥실-2-부틸피리디늄 카티온, N-헥실-4-메틸피리디늄 카티온, N-헥실-4-에틸피리디늄 카티온, N-헥실-4-부틸피리디늄 카티온, N-옥틸-4-메틸피리디늄 카티온, N-옥틸-4-에틸피리디늄 카티온, N-옥틸피리디늄 카티온 등.
상기 식 (IV) 로 나타내는 암모늄 카티온은, 테트라알킬암모늄 카티온이고, 이 테트라알킬암모늄 카티온은, 총탄소수가 20 이상, 나아가서는 22 이상인 것이, 아크릴 수지 (A) 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그 총탄소수는 36 이하, 나아가서는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IV) 로 나타내는 테트라알킬암모늄 카티온의 구체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테트라헥실암모늄 카티온, 테트라옥틸암모늄 카티온, 트리부틸메틸암모늄 카티온, 트리헥실메틸암모늄 카티온, 트리옥틸메틸암모늄 카티온, 트리데실메틸암모늄 카티온, 트리헥실에틸암모늄 카티온, 트리옥틸에틸암모늄 카티온 등.
한편, 이온성 화합물을 구성하는 아니온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클로라이드 아니온 [Cl-], 브로마이드 아니온 [Br-], 아이오다이드 아니온 [I-], 테트라클로로알루미네이트 아니온 [AlCl4 -], 헵타클로로디알루미네이트 아니온 [Al2Cl7 -],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아니온 [BF4 -],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아니온 [PF6 -], 퍼클로레이트 아니온 [ClO4 -], 나이트레이트 아니온 [NO3 -], 아세테이트 아니온 [CH3COO-],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아니온 [CF3COO-], 메탄술포네이트 아니온 [CH3SO3 -],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아니온 [CF3SO3 -],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아니온 [(FSO2)2N-],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아니온 [(CF3SO2)2N-],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메타나이드 아니온 [(CF3SO2)3C-], 헥사플루오로아세네이트 아니온 [AsF6 -],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아니온 [SbF6 -], 헥사플루오로니오베이트 아니온 [NbF6 -], 헥사플루오로탄탈레이트 아니온 [TaF6 -], (폴리)하이드로플루오로플루오라이드 아니온 [F(HF)n -] (n 은 1 ∼ 3 정도), 티오시안 아니온 [SCN-], 디시아나미드 아니온 [(CN)2N-], 퍼플루오로부탄술포네이트 아니온 [C4F9SO3 -], 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아니온 [(C2F5SO2)2N-], 퍼플루오로부타노에이트 아니온 [C3F7COO-],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트리플루오로메탄카르보닐)이미드 아니온 [(CF3SO2)(CF3CO)N-] 등.
이온성 화합물의 구체예는, 상기한 카티온과 아니온의 조합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카티온과 아니온의 조합인 이온성 화합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리튬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리튬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리튬 아이오다이드 (요오드화리튬), 리튬 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리튬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메타나이드, 나트륨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나트륨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나트륨 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나트륨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메타나이드, 칼륨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칼륨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칼륨 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칼륨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메타나이드, N-메틸-4-헥실피리디늄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N-부틸-2-메틸피리디늄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N-헥실-4-메틸피리디늄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N-옥틸-4-메틸피리디늄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N-메틸-4-헥실피리디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부틸-2-메틸피리디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헥실-4-메틸피리디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옥틸-4-메틸피리디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메틸-4-헥실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부틸-2-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헥실-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틸-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메틸-4-헥실피리디늄 퍼클로레이트, N-부틸-2-메틸피리디늄 퍼클로레이트, N-헥실-4-메틸피리디늄 퍼클로레이트, N-옥틸-4-메틸피리디늄 퍼클로레이트, 테트라헥실암모늄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트리부틸메틸암모늄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트리헥실메틸암모늄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트리옥틸메틸암모늄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테트라헥실암모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트리부틸메틸암모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트리헥실메틸암모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트리옥틸메틸암모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테트라헥실암모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트리부틸메틸암모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트리헥실메틸암모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트리옥틸메틸암모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테트라헥실암모늄 퍼클로레이트, 트리부틸메틸암모늄 퍼클로레이트, 트리헥실메틸암모늄 퍼클로레이트, 트리옥틸메틸암모늄 퍼클로레이트 등.
이들 이온성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온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우, 그 양은 아크릴 수지 (A) 100 중량부에 대해 통상 0.5 ∼ 8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8 ∼ 4 중량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층은 추가로 가교 촉매, 내후안정제, 택키파이어, 가소제, 연화제, 염료, 안료, 무기 필러, 아크릴 수지 이외의 수지 등을 함유해도 된다. 점착제에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등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과 광 개시제를 배합하고, 점착층 형성 후에 자외선을 조사해 경화시킴으로써, 보다 단단한 점착층으로 하는 것도 유용하다. 이것은 점착제 내에 제 2 가교 구조를 구현해, 내열 시 등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 점착제에 가교제와 함께 가교 촉매를 병용하면, 점착층을 단시간의 숙성으로 조제할 수 있고, 얻어지는 점착제를 포함하는 편광판에 있어서, 편광판과 점착층 간에 들뜸이나 벗겨짐이 발생하거나, 점착층 내에서 발포가 일어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리워크성도 양호해지는 경우가 있다.
가교 촉매로는, 예를 들어 헥사메틸렌디아민, 에틸렌디아민, 폴리에틸렌이민, 헥사메틸렌테트라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이소포론디아민, 트리메틸렌디아민, 폴리아미노 수지, 및 멜라민 수지 등의 아민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에 가교 촉매로서 아민계 화합물을 배합하는 경우, 가교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립자를 함유시켜 광 산란성을 나타내는 점착층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점착층에는, 산화 방지제나 자외선 흡수제 등이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자외선 흡수제에는, 살리실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이나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니켈 착염계 화합물 등이 있다.
점착층은,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점착제를 유기 용제 용액으로 하고, 그것을 적층하고자 하는 필름 또는 층 (예를 들어 편광 필름 등) 상에 다이 코터나 그라비어 코터 등에 의해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 이형 처리가 실시된 플라스틱 필름 (세퍼레이트 필름이라 불린다) 상에 형성된 시트상 점착제를, 적층하고자 하는 필름 또는 층에 전사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점착층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2 ∼ 40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35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 ∼ 30 ㎛ 의 범위 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점착층의 두께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장기간의 사용 및/또는 고온 환경하에서의 사용에 의한 벗겨짐이나 들뜸의 발생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점착층의 두께가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편광판의 두께 증가가 억제되는 결과, 곡면 상태에 있어서 점착층이 변형되기 어려워, 장기간의 사용 및/또는 고온 환경하에서의 사용에 의한 벗겨짐이나 들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화상 표시 장치의 프레임 주변에서의 표시 기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점착층은, 그 저장 탄성률이 23 ∼ 80 ℃ 에 있어서 0.10 ∼ 5.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 ∼ 1.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3 ∼ 80 ℃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이 0.10 ㎫ 이상이면, 화상 표시용 유리 셀에 편광판을 첩합한 상태의 화상 표시 패널이 고온 등에 노출되었을 때의 편광판의 수축에 의한 백색화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5 ㎫ 이하이면 점착력의 저하에 의한 내구성의 저하가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여기서, 「23 ∼ 80 ℃ 에 있어서 0.10 ∼ 5.0 ㎫ 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낸다」란, 이 범위의 어느 온도에 있어서도 저장 탄성률이 상기 범위의 값을 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저장 탄성률은 통상, 온도 상승에 수반해 점감하므로, 23 ℃ 및 80 ℃ 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이 모두 상기 범위에 들어가 있으면, 이 범위의 온도에 있어서, 점착층이 상기 범위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점착층의 저장 탄성률은, 시판되는 점탄성 측정 장치, 예를 들어 REOMETRIC 사 제조의 점탄성 측정 장치 "DYNAMIC ANALYZER RDA II" 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점착층은,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 2-페녹시에틸,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및 아크릴산의 공중합체인 아크릴 수지, 실란계 화합물, 및 가교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그리고 대전 방지 성분으로 구성된다.
<편광 필름>
본 발명의 편광판을 구성할 수 있는 편광 필름으로는, 입사하는 자연광으로부터 직선 편광을 인출하는 기능을 갖는 필름이고,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 를 들 수 있다.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 100 몰% 이고, 98 몰% 이상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알데하이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및 폴리비닐부티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 10000 이고, 1500 ∼ 5000 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한 것을, 편광 필름의 원단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된 방법으로 제막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원단 필름의 막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연신의 용이함을 고려하면, 예를 들어 10 ∼ 150 ㎛ 이고, 바람직하게는 15 ∼ 100 ㎛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80 ㎛ 이다.
편광 필름은, 통상 이와 같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1 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함으로써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1 축 연신은, 이색성 색소의 염색 전에 실시해도 되고, 염색과 동시에 실시해도 되며, 또는 염색 후에 실시해도 된다. 1 축 연신을 염색 후에 실시하는 경우에는, 이 1 축 연신은, 붕산 처리 전에 실시해도 되고, 붕산 처리 중에 실시해도 된다. 이들 복수의 단계에서 1 축 연신을 실시할 수도 있다. 1 축 연신 시에는, 주속 (周速) 이 상이한 롤 사이에서 1 축으로 연신해도 되고, 열롤을 사용하여 1 축으로 연신해도 된다. 또, 1 축 연신은, 대기중에서 연신을 실시하는 건식 연신이어도 되고, 용제를 이용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팽윤시킨 상태에서 연신을 실시하는 습식 연신이어도 된다. 연신 배율은, 편광 필름의 변형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8 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배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7 배 이하이다. 또, 연신 배율은, 편광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발현시키는 관점에서는, 4.5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편광 필름의 시간 경과적인 변형이 억제되어, 장기간 및/또는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의 사용에 있어서 곡면 화상 표시 패널로부터 편광판의 벗겨짐이나 들뜸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침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색성 색소로는, 예를 들어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가 사용된다. 이색성 염료에는, 예를 들어 C. I. DIRECT RED 39 등의 디스아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이색성 직접 염료, 트리스아조, 테트라키스아조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색성 직접 염료가 포함된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염색 처리 전에, 물에의 침지 처리를 실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해 염색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 수용액에 있어서의 요오드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질량부당 0.01 ∼ 1 질량부이고, 요오드화칼륨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질량부당 0.5 ∼ 20 질량부이다.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사용하는 경우, 염색에 사용하는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 ∼ 40 ℃ 이고, 또 이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 (염색 시간) 은, 통상 20 ∼ 1800 초이다.
이색성 색소로서 이색성 염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수용성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해 염색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 수용액에 있어서의 이색성 염료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질량부당 1 × 10-4 ∼ 1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1 × 10-3 ∼ 1 질량부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10-3 ∼ 1 × 10-2 질량부이다. 이 수용액은, 황산나트륨 등의 무기염을 염색 보조제로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색성 색소로서 이색성 염료를 사용하는 경우, 염색에 사용하는 염료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 ∼ 80 ℃ 이고, 또 이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 (염색 시간) 은, 통상 10 ∼ 1800 초이다.
이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후의 붕산 처리는,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함유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붕산 함유 수용액에 있어서의 붕산의 양은, 물 100 질량부당 통상 2 ∼ 15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5 ∼ 12 질량부이다.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붕산 함유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붕산 함유 수용액에 있어서의 요오드화칼륨의 양은, 물 100 질량부당 통상 0.1 ∼ 15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5 ∼ 12 질량부이다. 붕산 함유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은, 통상 60 ∼ 1200 초, 바람직하게는 150 ∼ 600 초, 더 바람직하게는 200 ∼ 400 초이다. 붕산 함유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50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0 ∼ 85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80 ℃ 이다.
붕산 처리 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통상 수세 처리된다. 수세 처리는, 예를 들어 붕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물에 침지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수세 처리에 있어서의 물의 온도는, 통상 5 ∼ 40 ℃ 이고, 침지 시간은, 통상 1 ∼ 120 초이다. 수세 후에는 건조 처리가 실시되고, 편광 필름이 얻어진다. 건조 처리는, 열풍 건조기나 원적외선 히터를 사용해 실시할 수 있다. 건조 처리의 온도는, 통상 30 ∼ 100 ℃, 바람직하게는 40 ∼ 95 ℃,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90 ℃ 이다. 건조 처리의 시간은, 통상 60 ∼ 600 초, 바람직하게는 120 ∼ 600 초이다.
이와 같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1 축 연신, 이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및 붕산 처리가 실시되어, 편광 필름이 얻어진다. 편광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어 5 ∼ 40 ㎛ 로 할 수 있다.
도포형의 박막 편광 필름에서는 종래 공지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편광 필름과 비교해 치수 변화율이 작기 때문에, 도포형의 박막 편광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장기간의 사용 및/또는 고온 환경하에서의 사용에 있어서의 편광판의 치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포형의 박막 편광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5838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37115, 국제 공개 제2012/147633, 국제 공개 제2014/091921 에 예시된 바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보호층>
바람직한 일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편광판은, 상기 편광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적층된 보호층을 갖는다. 보호층은, 예를 들어 편광 필름의 수축 및 팽창 방지, 온도, 습도, 자외선 등에 의한 편광 필름의 열화 방지에 기여하는 점에서, 본 발명의 편광판은 보호층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층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수분 차폐 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디아세틸셀룰로오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스티렌이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AS 수지) 등의 스티렌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머를 들 수 있다. 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염화비닐계 폴리머,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폴리머, 이미드계 폴리머, 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폴리머, 폴리페닐렌술파이드계 폴리머, 비닐알코올계 폴리머, 염화비닐리덴계 폴리머, 비닐부티랄계 폴리머, 아릴레이트계 폴리머, 폴리옥시메틸렌계 폴리머, 에폭시계 폴리머, 또는 상기 폴리머의 블렌드물 등도 보호층을 형성하는 폴리머의 예로서 들 수 있다. 보호층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 경화형,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에 의한 경화층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와의 반응성을 갖는 수산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셀룰로오스계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보호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는 500 ㎛ 이하이고, 1 ∼ 300 ㎛ 인 것이 바람직하며, 5 ∼ 20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 100 ㎛ 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보호층은, 광학 보상 기능을 부가시킨 투명 보호 필름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편광 필름의 배면측에 적층되는 외측 보호층의 두께와, 편광 필름의 시인측에 적층되는 내측 보호층의 두께는, 동일하거나, 내측 보호층보다 외측 보호층쪽이 두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특히 편광판에 열이 가해졌을 때에 외측 및 내측 보호층의 컬이 억제되거나, 또는 강성이 낮은 쪽으로 컬하기 때문에, 표시 패널로부터의 벗겨짐이나 들뜸이 잘 생기지 않는 방향으로 컬한다. 이것은 특히 오목면측에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에 인접하는 보호층의 강성을 높이는 것에 의해 편광 필름의 수축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보호층의 강성을 제어함으로써 편광판의 치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강성이란, 보호층에 사용하는 필름의 실온 (23 ℃) 하에서의 인장 탄성률 (이하 23 ℃ 탄성률) 에 막두께를 곱한 것, 및 80 ℃ 조건하의 인장 탄성률 (이하 80 ℃ 탄성률) 에 막두께를 곱한 것으로서 정의된다. 특히, 80 ℃ 탄성률에 막두께를 곱한 강성을 높임으로써, 편광판의 고온 환경하에서의 치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대표되는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는, 23 ℃ 탄성률이 3000 ∼ 5000 ㎫, 80 ℃ 탄성률이 2000 ∼ 4000 ㎫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대표되는 아크릴계 폴리머는, 23 ℃ 탄성률이 2000 ∼ 4000 ㎫, 80 ℃ 탄성률이 800 ∼ 2500 ㎫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폴리머는, 23 ℃ 탄성률이 2000 ∼ 4000 ㎫, 80 ℃ 탄성률이 1500 ∼ 3000 ㎫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에 접착되지 않는 보호층의 면은 표면 처리층을 갖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하드 코트층이나 반사 방지층, 스티킹 방지층, 안티글레어층 또는 확산층 등의 광학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하드 코트층은, 편광판 표면의 흠집 발생 방지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예를 들어 아크릴계, 실리콘계 등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의한 경도나 미끄러짐 특성 등이 우수한 경화 피막을 보호층의 표면에 부가하는 방식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은 편광판 표면에서의 외광의 반사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종래에 준한 반사 방지막 등의 형성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또, 스티킹 방지층은 인접층과의 밀착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안티글레어층은, 편광판의 표면에서 외광이 반사되어, 편광판 투과광의 시인을 저해하는 것의 방지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예를 들어 샌드블라스트 방식이나 엠보스 가공 방식에 의한 조면화 (粗面化) 방식이나 투명 미립자의 배합 방식 등의 방식에 의해, 보호층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부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면 미세 요철 구조의 형성을 위해서 함유되는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평균 입경이 0.5 ∼ 50 ㎛ 인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안티몬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을 가질 수 있는 무기계 미립자, 가교 또는 미가교의 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기계 미립자 등의 투명 미립자를 들 수 있다.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미립자의 함유량은,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일반적으로 2 ∼ 50 질량부이고, 5 ∼ 25 질량부가 바람직하다. 안티글레어층은, 편광판 투과광을 확산시켜 시각 등을 확대하기 위한 확산층 (시각 확대 기능 등) 을 겸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보호층은, 필요에 따라 공지된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첨가제로는, 이온 트랩제, 산화 방지제, 증감 보조제, 광 안정제, 점착 부여제, 열가소성 수지, 충전제, 유동 조정제, 가소제, 소포제, 색소, 대전 방지제, 및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 방지층, 스티킹 방지층, 확산층이나 안티글레어층 등은, 보호층 그 자체에 형성해 일체화시킬 수 있는 외에, 별도 광학층으로서 보호층과는 별체의 것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접착제층>
편광 필름과 보호층은, 통상 접착제를 개재하여 접착된다. 편광 필름과 보호층을 접착하는 접착제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형성되는 접착제층을 얇게 하는 관점에서, 수계의 것, 즉 접착제 성분을 물에 용해한 것, 또는 접착제 성분을 물에 분산시킨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 성분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편광 필름의 양면에 보호층을 갖는 경우, 그 접착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접착제 성분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외에, 카르복실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메틸올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아미노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여도 된다. 통상,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접착제 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수용액으로서 조제된다. 접착제 중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농도는, 물 100 질량부에 대해 통상 1 ∼ 1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1 ∼ 5 질량부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접착제 성분으로 하는 접착제에는,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글리옥살, 수용성 에폭시 수지 등의 경화성 성분 및/또는 가교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에폭시 수지로는, 예를 들어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등의 폴리알킬렌폴리아민과, 아디프산 등의 디카르복실산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폴리아미드아민에, 에피클로로하이드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폭시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폭시 수지의 시판품으로는, 「스미레즈 레진 650」(스미카 켐텍스 (주) 제조), 「스미레즈 레진 675」(스미카 켐텍스 (주) 제조), 「WS-525」(닛폰 PMC (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경화성 성분 및/또는 가교제의 첨가량 (함께 첨가하는 경우에는 그 합계량) 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통상 1 ∼ 10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1 ∼ 50 질량부이다. 상기 경화성 성분 및/또는 가교제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접착성이 향상되어,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내는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접착제 성분으로서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폴리에스테르계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와 글리시딜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계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란, 폴리에스테르 골격을 갖는 우레탄 수지이고, 그 골격 내에 소량의 이온성 성분 (친수 성분) 이 도입된 것이다. 이러한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는,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수중에서 유화해 에멀션이 되기 때문에, 수계의 접착제로서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 그 자체는 공지이고,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97504호에는, 페놀계 수지를 수성 매체 중에 분산시키기 위한 고분자 분산제의 예로서 기재되어 있고,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70140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08456호에는, 폴리에스테르계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와 글리시딜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의 혼합물을 접착제로 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편광 필름에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첩합하는 형태가 나타나 있다.
편광 필름 및/또는 이것에 첩합되는 보호층 (보호 필름) 에의 접착제의 도포는, 공지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유연법 (流延法), 메이어바 코트법, 그라비어 코트법, 콤마 코터법, 닥터 블레이드법, 다이 코트법, 딥 코트법, 분무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유연법이란, 피도포물인 필름을, 대체로 수직 방향, 대체로 수평 방향, 또는 양자 사이의 경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표면에 접착제를 흘려내려 확포 (擴布) 시키는 방법이다. 접착제를 도포한 후, 편광 필름 및 이것에 첩합되는 보호층을 중첩하고, 닙롤 등에 의해 사이에 두고 필름의 첩합을 실시한다. 닙롤을 사용한 필름의 첩합은, 예를 들어 접착제를 도포한 후, 롤 등으로 가압해 균일하게 펴서 넓히는 방법, 접착제를 도포한 후, 롤과 롤 사이로 통과시키고, 가압해 펴서 넓히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하는 롤의 재질은 금속이나 고무 등이면 된다. 또, 복수의 롤 사이로 필름을 통과시키고, 펴서 넓히는 경우, 복수의 롤은 동일한 재질이어도 되고, 상이한 재질이어도 된다.
또한, 편광 필름과 보호층의 접착면에는, 접착성 향상을 위해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플레임 (화염) 처리, 비누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적절히 실시해도 된다. 비누화 처리로는, 수산화나트륨이나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의 수용액에 침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첩합 후, 건조시켜 접착제를 경화시킴으로써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이 건조 처리는, 예를 들어 열풍을 분사함으로써 실시되고, 그 온도는 통상 40 ∼ 100 ℃ 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60 ∼ 100 ℃ 의 범위 내이다. 또, 건조 시간은 통상 20 ∼ 1200 초이다.
건조 후의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0.001 ∼ 5 ㎛ 이고, 바람직하게는 0.01 ∼ 2 ㎛, 더 바람직하게는 0.01 ∼ 1 ㎛ 이다. 접착제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충분한 접착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 외관적으로도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 후, 실온 이상의 온도에서 적어도 반일, 바람직하게는 수일간 이상의 양생을 실시해 충분한 접착 강도를 얻어도 된다. 바람직한 양생 온도는 30 ∼ 50 ℃ 의 범위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5 ∼ 45 ℃ 의 범위이다. 양생 온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롤 권취 상태에 있어서의, 이른바 「권취 조임」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양생 시의 습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대습도가 0 ∼ 70 %RH 의 범위에 있으면 된다. 양생 시간은, 통상 1 ∼ 10 일, 바람직하게는 2 ∼ 7 일이다.
또, 상기 접착제로서 광 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광 경화성 접착제로는, 예를 들어 광 경화성 에폭시 수지와 광 카티온 중합 개시제 등의 혼합물이나 광 경화성 아크릴 수지와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 등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광 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광 경화성 접착제를 경화시킨다. 활성 에너지선의 광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파장 400 ㎚ 이하에 발광 분포를 갖는 활성 에너지선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케미컬 램프, 블랙 라이트 램프, 마이크로 웨이브 여기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이 바람직하다.
광 경화성 접착제에 대한 광 조사 강도는, 광 경화성 접착제의 조성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중합 개시제의 활성화에 유효한 파장 영역의 조사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0.1 ∼ 60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000 ㎽/㎠, 더 바람직하게는 20 ∼ 500 ㎽/㎠ 이다. 그 조사 강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반응 시간을 확보할 수 있고, 또 광원으로부터 복사되는 열 및 광 경화성 접착제의 경화 시의 발열에 의한 에폭시 수지의 황변이나 편광 필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광 경화성 접착제에 대한 광 조사 시간은, 경화시키는 광 경화성 접착제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조사 강도와 조사 시간의 곱으로서 나타내는 적산 광량이 바람직하게는 10 ∼ 10000 mJ/㎡,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1000 mJ/㎡, 더 바람직하게는 80 ∼ 500 mJ/㎡ 가 되도록 설정된다. 광 경화성 접착제에 대한 적산 광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중합 개시제 유래의 활성종을 충분량 발생시켜, 경화 반응을 보다 확실하게 진행시킬 수 있고, 또 조사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지 않아, 양호한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광 경화성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경우, 예를 들어 편광 필름의 편광도, 투과율 및 색상, 그리고 보호층 및 광학층을 구성하는 각종 필름의 투명성과 같은, 편광판의 제(諸) 기능이 저하하지 않는 조건으로 경화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층>
본 발명의 편광판은, 필요에 따라 추가로 위상차 필름, 시각 보상 필름 및 휘도 향상 필름 등의 광학층을 적층하고 있어도 된다.
위상차 필름으로는, 고분자 소재를 1 축 또는 2 축 연신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복굴절성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층을 필름으로 지지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연신 처리는, 예를 들어 롤 연신법, 긴 간극을 따르는 연신법, 텐터 연신법, 튜블러 연신법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연신 배율은, 1 축 연신의 경우에는 1.1 ∼ 3 배가 일반적이다. 위상차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는 10 ∼ 200 ㎛, 바람직하게는 20 ∼ 100 ㎛ 이다.
고분자 소재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메틸비닐에테르, 폴리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술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알릴술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올레핀,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셀룰로오스계 중합체, 또는 이들의 2 원계, 3 원계 각종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블렌드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고분자 소재는 연신 등에 의해 배향물 (연신 필름) 이 된다.
액정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액정 배향성을 부여하는 공액성의 직선상 원자단 (메소겐) 이 폴리머의 주사슬이나 측사슬에 도입된 주사슬형이나 측사슬형의 여러 가지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주사슬형 액정 폴리머의 구체예로는, 굴곡성을 부여하는 스페이서부에서 메소겐기를 결합한 구조의, 예를 들어 네마틱 배향성의 폴리에스테르계 액정 폴리머, 디스코틱 폴리머나 콜레스테릭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측사슬형 액정 폴리머의 구체예로는, 폴리실록산,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말로네이트를 주사슬 골격으로 하고, 측사슬로서 공액성의 원자단으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부를 개재하여 네마틱 배향 부여성의 파라 치환 고리형 화합물 단위로 이루어지는 메소겐부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액정 폴리머는, 예를 들어 유리판 상에 형성한 폴리이미드나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박막의 표면을 러빙 처리한 것, 산화규소를 사방 (斜方) 증착한 것 등의 배향 처리면 상에 액정 폴리머의 용액을 전개해 열처리함으로써 실시된다.
위상차 필름은, 예를 들어 각종 파장판이나 액정층의 복굴절에 의한 착색이나 시각 등의 보상을 목적으로 한 것 등의 사용 목적에 따른 위상차를 갖는 것이면 되고, 2 종 이상의 위상차 필름을 적층해 위상차 등의 광학 특성을 제어한 것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광 탄성계수의 절대값이 50 × 10-12 Pa-1 이하인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탄성계수의 절대값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곡면화되어 응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복굴절이 변화하지 않아, 표시 불균일의 발생이나 경사로부터의 색미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광 탄성계수의 절대값이 40 × 10-12 Pa-1 이하인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에 있어서의 광 탄성계수의 절대값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0.1 × 10-12 Pa- 1 이다.
시각 보상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을, 화면에 대해 약간 경사진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라도, 화상이 비교적 선명하게 보이도록 시야각을 넓히기 위한 필름이다. 이와 같은 시각 보상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위상차 필름, 액정 폴리머 등의 배향 필름이나 투명 기재 상에 액정 폴리머 등의 배향층을 지지한 것 등이 있다. 통상적인 위상차 필름은, 그 면방향으로 1 축 연신된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 필름이 사용되는 것에 대해, 시각 보상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위상차 필름에는, 면방향으로 2 축으로 연신된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 필름, 면방향으로 1 축으로 연신되고, 두께 방향으로도 연신된,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제어한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나 경사 배향 필름과 같은 2 방향 연신 필름 등이 사용된다. 경사 배향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머 필름에 열수축 필름을 접착하고, 가열에 의한 그 수축력의 작용하에 폴리머 필름을 연신 처리 또는/및 수축 처리한 것이나, 액정 폴리머를 경사 배향시킨 것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의 소재 원료 폴리머로는, 앞서 위상차 필름에서 설명한 폴리머와 동일한 것이 사용되고, 액정 셀에 의한 위상차에 근거하는 시야각의 변화에 의한 착색 등의 방지나 시인이 양호한 시야각의 확대 등을 목적으로 한 것을 적절히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또, 시인이 양호한 넓은 시야각을 달성하는 관점에서, 액정 폴리머의 배향층, 특히 디스코틱 액정 폴리머의 경사 배향층으로 이루어지는 광학적 이방성층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으로 지지한 시각 보상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편광판과 휘도 향상 필름을 첩합한 편광판은, 통상 액정 셀의 이면측 사이드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휘도 향상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백라이트나 이면측으로부터의 반사 등에 의해 자연광이 입사하면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 또는 소정 방향의 원편광을 반사하고, 다른 광은 투과하는 특성을 나타내므로, 휘도 향상 필름을 편광판과 적층한 편광판은, 백라이트 등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입사시켜 소정 편광 상태의 투과광을 얻음과 함께, 상기 소정 편광 상태 이외의 광은 투과하지 않고 반사된다. 이 휘도 향상 필름면에서 반사한 광을 또한 그 후측에 형성된 반사층 등을 개재해 반전시켜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시키고, 그 일부 또는 전부를 소정 편광 상태의 광으로서 투과시켜 휘도 향상 필름을 투과하는 광의 증량을 도모함과 함께, 편광 필름에 흡수시키기 어려운 편광을 공급해, 액정 화상 표시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광량의 증대를 도모하는 것에 의해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휘도 향상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백라이트 등으로 액정 셀의 이면측으로부터 편광 필름을 통해 광을 입사시킨 경우에는, 편광 필름의 편광축에 일치하고 있지 않은 편광 방향을 갖는 광은, 거의 편광 필름에 흡수되어 버리고, 편광 필름을 투과해 오지 않는다. 즉, 사용한 편광 필름의 특성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대략 50 % 의 광이 편광 필름에 흡수되어 버리고, 그만큼 액정 화상 표시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광량이 감소해, 화상이 어두워진다. 휘도 향상 필름은, 편광 필름에 흡수되는 편광 방향을 갖는 광을 편광 필름에 입사시키지 않고, 휘도 향상 필름에서 일단 반사시키고, 또한 그 후측에 형성된 반사층 등을 개재하여 반전시켜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시키는 것을 반복해, 이 양자 사이에서 반사, 반전하고 있는 광의 편광 방향이 편광 필름을 통과할 수 있는 편광 방향이 된 편광만을 투과시켜 편광 필름에 공급하므로, 백라이트 등의 광을 효율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의 화상의 표시에 사용할 수 있어, 화면을 밝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예를 들어 편광 필름에 보호층을 접착제에 의해 첩합하고, 화상 표시 소자와 첩합되는 측의 보호층의 표면에 점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이 광학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예를 들어 보호층에 광학층을 구성하는 각종 필름을 접착제에 의해 첩합하고, 보호층과 접착한 면과 반대측의 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면 된다. 편광판을 구성하는 각 필름 및 층을 적층해 얻어지는 편광판을, 화상 표시 소자와 첩합하기 전에 원하는 곡률반경이 되도록 곡면화함으로써 본 발명의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또, 화상 표시 소자와 첩합한 후에 곡면화를 실시할 수도 있다.
화상 표시 소자와의 첩합은, 본 발명의 편광판을, 예를 들어 곡면 액정 표시 패널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점착층을 개재하여 화상 표시 소자인 액정 셀에 첩합하면 된다. 또, 곡면 유기 EL 패널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화상 표시 소자인 유기 EL 표시 소자의 시인측 표시면에 점착층을 개재하여 첩합하면 된다.
편광판의 곡면화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패널의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제작한 화상 표시 소자와 오목면측 및 볼록면측 편광판의 적층체를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프레임에 고정하고, 백라이트 유닛 상에 얹는 방법, 또는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곡면화된 백라이트 유닛 상에 상기 적층체를 얹고, 그 위로부터 프레임으로 누르는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곡면 액정 패널이나 곡면 유기 EL 패널 등의 곡면 화상 표시 패널의 편광판, 특히 곡면 액정 표시 패널의 편광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곡면 화상 표시 패널은, 통상 수직 방향 (패널의 상하 방향) 으로는 만곡되어 있지 않고, 수평 방향 (패널의 좌우 방향) 에 있어서, 시인측이 오목면이 되고, 시인측과는 반대측 (배면측) 이 볼록면이 되도록 만곡된 형상이고, 중심축이 수직 방향 (상하 방향) 인 원통의 일부를 구성하는 형상이다. 이 때문에, 곡면 화상 표시 패널에 있어서는, 화상 표시 패널이 만곡되어 있는 것에 의해 항상 압축 응력이 발생하고 있다. 압축 응력은 오목면측 (시인측) 에서 보다 커지기 때문에, 오목면측에 위치하는 편광판에서는 치수 변화가 생기기 쉬운 한편으로, 편광판을 첩합하는 화상 표시 소자는 일반적으로 유리 기판에 의해 끼여 있기 때문에 치수 변화가 생기기 어려워, 오목면측 편광판과 화상 표시 소자 간에는 수축률의 차가 발생하기 쉽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곡면 화상 표시 패널의 오목면측에서는 특히 편광판의 벗겨짐이나 들뜸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곡면 화상 표시 패널을 구성하는 오목면측 편광판 및 볼록면측 편광판 중 어느 것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지만, 곡면 상태에 있어서의 벗겨짐이나 들뜸에 대해 높은 억제 효과를 가지므로, 특히 화상 표시 패널의 오목면측에 장착되는 오목면측 편광판으로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광판을 액정 표시 패널에 사용하는 경우, 볼록면측 편광판과 오목면측 편광판은, 이들 편광판에 포함되는 각 편광 필름의 흡수축 방향 (연신 방향) 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면측 편광판에 포함되는 편광 필름의 흡수축 방향이 수평 방향이면, 볼록면측 편광판에 포함되는 편광 필름의 흡수축 방향은 수직 방향이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면측 편광판에 포함되는 편광 필름의 흡수축 방향이 수직 방향이면, 볼록면측 편광판에 포함되는 편광 필름의 흡수축 방향은 수평 방향이다. 오목면측 편광판에 포함되는 편광 필름의 흡수축 방향은, 수직 방향이어도 되고, 수평 방향이어도 되며, 수평 방향에 대해 45°의 각도 방향이어도 된다. 화상 표시 패널 제품의 대부분에서는, 오목면측 편광판에 포함되는 편광 필름의 흡수축 방향은 수평 방향이고, 특히 이 경우에 있어서 곡면화함으로써 편광판의 수축 등의 변형이 생기기 쉬워, 편광판의 벗겨짐이나 들뜸이 생기기 쉬운 것이 본 발명에 있어서 발견되어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상기 어느 흡수축 방향으로 첩합되는 경우라도, 곡면 상태에 있어서의 벗겨짐이나 들뜸에 대해 높은 억제 효과를 갖지만, 특히 흡수축 방향이 수평 방향인 오목면측 편광판으로서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오목면측 편광판 및 볼록면측 편광판을 포함하는 곡면 화상 표시 패널로서, 오목면측 편광판이 본 발명의 편광판인 곡면 화상 표시 패널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오목면측 편광판 및 볼록면측 편광판을 포함하는 곡면 화상 표시 패널로서, 오목면측 편광판 및 볼록면측 편광판이 본 발명의 편광판인 곡면 화상 표시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특히 곡률반경이 7000 ㎜ 이하인 곡면 화상 표시 패널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곡면 표시 텔레비전 등으로 대표되는 300 ∼ 7000 ㎜, 1000 ∼ 7000 ㎜, 나아가서는 2000 ∼ 6000 ㎜ 의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 화상 표시 패널에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편광판은, 곡면 상태에 있어서의 장기간 및/또는 고온 환경하에서의 사용에 있어서, 표시 패널로부터의 벗겨짐이나 들뜸의 억제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곡률반경이 보다 작은 (만곡률이 보다 큰) 곡면 화상 표시 패널에 있어서도, 퍼스널 컴퓨터나 타블렛,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등을 구성하는 곡면 화상 표시 패널에 있어서의 사용에도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편광판은, 여러 가지 화면 사이즈를 갖는 곡면 화상 표시 패널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 인치 (수평 방향 길이 : 100 ∼ 150 ㎜), 10 인치 (수평 방향 길이 : 200 ∼ 250 ㎜), 17 인치 (수평 방향 길이 : 320 ∼ 400 ㎜), 32 인치 (수평 방향 길이 : 680 ∼ 720 ㎜), 40 인치 (수평 방향 길이 : 860 ∼ 910 ㎜), 46 인치 (수평 방향 길이 : 980 ∼ 1030 ㎜), 55 인치 (수평 방향 길이 : 1180 ∼ 1230 ㎜), 65 인치 (수평 방향 길이 : 1400 ∼ 1450 ㎜), 75 인치 (수평 방향 길이 : 1600 ∼ 1700 ㎜), 85 인치 (수평 방향 길이 : 1800 ∼ 1900 ㎜) 의 화면 사이즈를 갖는 곡면 화상 표시 패널에 사용할 수 있다. 화면 사이즈가 클수록 각 구성 부재의 사이즈도 커지고, 곡면화 시에 있어서 오목면측 편광판에 압축 응력이 작용함과 함께, 편광판과 화상 표시 소자의 치수 불일치가 생김으로써, 편광판의 벗겨짐이나 들뜸이 특히 생기기 쉽다. 또한, 화면의 종횡비가 3 : 4 인 화상 표시 패널에 있어서는, 편광판의 벗겨짐이나 들뜸은 생기기 어렵지만, 화면의 종횡비가 9 : 13 ∼ 9 : 23, 바람직하게는 9 :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 : 19 이하이고, 예를 들어 9 : 16 또는 9 : 21 인 가로로 긴 화상 표시 패널에서는, 곡면화 시에 있어서 오목면측 편광판에 압축 응력이 작용함과 함께, 편광판과 화상 표시 소자의 치수의 불일치가 발생함으로써, 편광판의 벗겨짐이나 들뜸이 생기기 쉽고, 이와 같은 벗겨짐이나 들뜸은, 특히 곡면 화상 표시 패널의 코너부 및 단변부에서 현저하다는 것이 발견되어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곡면 상태에 있어서의 벗겨짐이나 들뜸에 대해 높은 억제 효과를 가지므로,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화면 사이즈, 특히 비교적 큰 화면 사이즈나 가로로 긴 곡면 화상 표시 패널용 편광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곡면 화상 표시 패널은, 장기간 및 고온 환경하, 표시 패널로부터의 편광판의 벗겨짐이나 들뜸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1. 편광 필름의 제작
평균 중합도 약 2,400, 비누화도 99.9 몰% 이상인 두께 60 ㎛ 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주) 쿠라레 제조의 상품명 「VF-PE#6000」) 을, 30 ℃ 의 순수에 침지한 후, 요오드/요오드화칼륨/물의 질량비가 0.02/2/100 인 수용액에 30 ℃ 에서 침지하였다. 그 후,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의 질량비가 12/5/100 인 수용액에 56.5 ℃ 에서 침지하였다. 계속해, 8 ℃ 의 순수를 사용하여 필름을 세정한 후, 90 ℃ 에서 건조시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한 편광 필름을 얻었다. 연신은, 주로 요오드 염색 및 붕산 처리 중에 있어서 실시하고, 토탈 연신 배율은 6.0 배였다. 이렇게 해 얻어진 편광 필름의 두께는 22 ㎛ 였다.
2. 보호층 (보호 필름) 의 제작
이하와 같이, 여러 가지 보호층 (보호 필름) 을 제작 또는 준비하였다.
(1) 아크릴 수지 필름 (2-A)
메타크릴계 수지 70 질량% 및 고무 입자 30 질량% 를 슈퍼 믹서로 혼합하면서, 그 혼합물 100 질량% 에 대해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2 질량% 를 첨가하고, 2 축 압출기로 용융 혼련해 펠릿으로 하였다. 이 펠릿을, 65 ㎜φ 1 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설정 온도 275 ℃ 의 T 형 다이를 통하여 압출하고, 경면을 갖는 2 개의 폴리싱롤로 필름을 사이에 둠으로써 냉각해, 두께 80 ㎛ 의 아크릴 수지 필름 (2-A) 를 얻었다.
또한, 상기 메타크릴계 수지로서,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메틸 = 96 %/4 % (질량비) 의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또, 상기 고무 입자로서 최내층이 메타크릴산메틸에 소량의 메타크릴산알릴을 사용하여 중합된 경질의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중간층이 아크릴산부틸을 주성분으로 하고, 또한 스티렌 및 소량의 메타크릴산알릴을 사용하여 중합된 연질의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최외층이 메타크릴산메틸에 소량의 아크릴산에틸을 사용하여 중합된 경질의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3 층 구조의 탄성체 입자이고, 중간층인 탄성체까지의 평균 입경이 240 ㎚ 인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이 고무 입자에 있어서, 최내층과 중간층의 합계 질량은, 입자 전체의 70 % 였다.
(2) 안티글레어 처리를 실시한 아크릴 수지 필름 (2-B)
상기 메타크릴계 수지 필름 (2-A) 상에, 안티글레어 처리를 실시하였다. 안티글레어 처리는, 처리 용액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 42.5 질량부, 이르가큐어 184 : 0.25 질량부, 실리콘 (레벨링제) : 0.1 질량부, 실리카 (평균 입경 1 ㎛) : 12 질량부, 표면 메타크릴로일기 수식 실리카 (표면 유기 성분 : 4.05 × 10-3 g/㎡) : 7.5 질량부, 톨루엔 : 34 질량부) 을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자외선 조사기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실시해, 두께 5 ㎛ 의 표면 처리층을 갖는 아크릴 수지 필름 (2-B)(전체 두께 : 85 ㎛) 를 얻었다.
(3) TAC 필름 (2-C)
코니카 미놀타 옵토 (주) 제조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KC6UAW」(두께 60 ㎛) 를 TAC 필름 (2-C) 로 하였다.
(4) TAC 필름 (2-D)
상기 (2-C) TAC 필름 상에, 아크릴 수지 필름 (2-B) 와 마찬가지로 해 안티글레어 처리를 실시해, 두께 5 ㎛ 의 표면 처리층을 갖는 TAC 필름 (2-D)(전체 두께 : 65 ㎛) 를 얻었다.
(5) TAC 필름 (2-E)
코니카 미놀타 옵토 (주) 제조의 셀룰로오스계 위상차 필름 「KC4CR-1」(두께 40 ㎛) 을 TAC 필름 (2-E) 로 하였다.
(6) COP 필름 (2-F)
닛폰 제온 (주) 제조의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2 축 연신 수지 필름 「제오노어 필름 ZB12」(두께 52 ㎛) 를 COP 필름 (2-F) 로 하였다.
3. 접착제의 조제
접착제로서, 이하의 배합 성분을 혼합해 얻어진 무용제형의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또한 % 는, 접착제 전체를 100 질량% 로 했을 때의 함유량 (질량%) 을 나타낸다.
·3,4-에폭시시클로헥세닐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센카르복실레이트 (다이셀 화학 공업 (주) 제조의 「셀록사이드 2021P」) : 80 %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 19 %
·트리아릴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 카티온 중합 개시제 (CPI-100P : 트리아릴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효 성분 50 % 의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용액, 산아프로 (주) 제조의 「CPI-100P」) : 1 %
4. 점착제의 조제
(1) 아크릴 수지의 조제
(1-1) 중합예 1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아세트산에틸 81.8 질량부, 아크릴산부틸 70.8 질량부, 아크릴산메틸 20.0 질량부, 아크릴산 2-페녹시에틸 8.0 질량부,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1.0 질량부 및 아크릴산 0.2 질량부를 주입하고, 질소 가스로 장치 내의 공기를 치환해 산소 불포함으로 하면서, 내온을 55 ℃ 로 상승시켰다. 그 후, 중합 개시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4 질량부를 아세트산에틸 10 질량부에 녹인 용액을 전체량 첨가하였다. 중합 개시제의 첨가 후 1 시간 이 온도를 유지하고, 이어서 내온을 54 ∼ 56 ℃ 로 유지하면서, 아세트산에틸을 첨가 속도 17.3 질량부/시간으로 반응 용기 내에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아크릴 수지의 농도가 35 질량% 가 된 시점에서 아세트산에틸의 첨가를 멈추었다. 또한 아세트산에틸의 첨가 개시부터 12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이 온도에서 보온하였다. 마지막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해, 아크릴 수지의 농도가 20 질량% 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이것을 아크릴 수지 (A1) 로 하였다.
얻어진 아크릴 수지 (A1) 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수평균 분자량을 이하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GPC 장치에, 칼럼으로서 토소 (주) 제조의 「TSKgel XL」을 4 개와 쇼와 전공 (주) 제조로 쇼코 통상 (주) 에서 판매되고 있는 「Shodex GPC KF-802」를 1 개, 합계 5 개를 직렬로 연결해 배치하고, 용출액으로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사용하여, 시료 농도 5 ㎎/㎖, 시료 도입량 100 ㎕, 온도 40 ℃, 유속 1 ㎖/분의 조건으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측정하였다.
얻어진 아크릴 수지 (A1) 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는 142만, Mw/Mn 은 4.1 이었다.
(1-2) 중합예 2
아크릴산부틸을 70.4 질량부, 아크릴산을 0.6 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상기 아크릴 수지 (A1) 의 조제 방법과 마찬가지로 해 아크릴 수지 (A2) 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아크릴 수지 (A2) 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는 150만, Mw/Mn 은 4.3 이었다.
(1-3) 중합예 3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아세트산에틸 81.8 질량부, 아크릴산부틸 59.0 질량부, 아크릴산메틸 30.0 질량부, 아크릴산 2-(2-페녹시에톡시)에틸 7.0 질량부,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3.0 질량부 및 아크릴산 1.0 질량부를 주입하고, 질소 가스로 장치 내의 공기를 치환해 산소를 불포함으로 하면서, 내온을 55 ℃ 로 상승시켰다. 그 후, 중합 개시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4 질량부를 아세트산에틸 10 질량부에 녹인 용액을 전체량 첨가하였다. 중합 개시제의 첨가 후 1 시간 이 온도를 유지하고, 이어서 내온을 54 ∼ 56 ℃ 로 유지하면서, 아세트산에틸을 첨가 속도 17.3 질량부/시간으로 반응 용기 내에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아크릴 수지의 농도가 35 질량% 가 된 시점에서 아세트산에틸의 첨가를 멈추었다. 또한 아세트산에틸의 첨가 개시부터 12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이 온도에서 보온하였다. 마지막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해, 아크릴 수지의 농도가 20 질량% 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이것을 아크릴 수지 (A3) 으로 하였다.
얻어진 아크릴 수지 (A3) 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는 135만, Mw/Mn 은 3.9 였다.
(2) 점착제의 조제
(2-1) 조제예 1
상기 중합예 1 에서 조제한 아크릴 수지 (A1)(20 질량% 아세트산에틸 용액) 의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 실란계 화합물로서 0.5 질량부의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액체)(신에츠 화학 공업 (주) 제조 KBM-403), 가교제로서 0.6 질량부의 코로네이트 HXR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 유효 성분 대략 100 질량% 의 액체, 닛폰 폴리우레탄 (주) 제조), 및 3.0 질량부의 N-옥틸-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를 혼합하였다. 이어서, 고형분 농도가 13 질량% 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해 점착제 (I) 을 얻었다.
(2-2) 조제예 2
상기 중합예 2 에서 조제한 아크릴 수지 (A2)(20 질량% 아세트산에틸 용액) 의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 실란계 화합물로서 0.5 질량부의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액체)(신에츠 화학 공업 (주) 제조 KBM-403), 가교제로서 0.5 질량부의 코로네이트 L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체의 아세트산에틸 용액, 고형분 농도 75 질량%, 닛폰 폴리우레탄 (주) 제조), 및 3.0 질량부의 N-옥틸-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를 혼합하였다. 이어서, 고형분 농도가 13 질량% 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해 점착제 (II) 를 얻었다.
(2-3) 조제예 3
상기 중합예 3 에서 조제한 아크릴 수지 (A3)(20 질량% 아세트산에틸 용액) 의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 실란계 화합물로서 0.5 질량부의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액체)(신에츠 화학 공업 (주) 제조 KBM-403), 가교제로서 0.3 질량부의 코로네이트 L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체의 아세트산에틸 용액, 고형분 농도 75 질량%, 닛폰 폴리우레탄 (주) 제조), 및 1.8 질량부의 N-옥틸-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를 혼합하였다. 이어서, 고형분 농도가 13 질량% 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해 점착제 (III) 을 얻었다.
실시예 1
TAC 필름 (2-D) 및 COP 필름 (2-F) 에, 코로나 처리기 (카스가 전기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여 미리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상기 필름의 코로나 처리면측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하고, 편광 필름에 첩합하였다. 이어서, 메탈 할라이드 램프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해, 접착제를 경화시켰다. 그 후, COP 필름 (2-F) 의 면 상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한편 조제한 점착제 (I) 을, 이형 처리가 실시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린텍 (주) 으로부터 입수한 상품명 "PLR-382051", 세퍼레이터라고 부른다] 의 이형 처리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20 ㎛ 가 되도록 도포하고, 100 ℃ 에서 1 분간 건조시켜, 점착제 시트를 제작하고, 점착제 시트의 세퍼레이터와 반대측의 면 (점착제면) 을 첩합롤에 의해 첩합한 후, 온도 23 ℃, 상대습도 65 % 의 조건에서 7 일간 양생해, 오목면측 편광판 A 를 얻었다. 이 편광판의 두께 (세퍼레이터는 제외한다) 는, 163 ㎛ 였다. 이 편광판의 80 ℃ 드라이하에서의 250 시간 후의 치수 변화율은 0.9 % 였다. 또한, 치수 변화율은, 편광판을 100 ㎜ × 100 ㎜ 사이즈로 컷하고, 유리에 첩합하지 않고 80 ℃ 드라이 250 시간 후의 치수를 측정하고, 초기 치수와 비교함으로써 산출하였다.
또, TAC 필름 (2-D) 대신에 TAC 필름 (2-C)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해 볼록면측 편광판 B 를 얻었다. 이 편광판의 두께 (세퍼레이터는 제외한다) 는, 158 ㎛ 였다. 이 편광판의 80 ℃ 드라이하에서의 250 시간 후의 치수 변화율은 0.9 % 였다.
편광판 A 를, 가로 1215 ㎜ × 세로 683 ㎜ 의 55 인치 사이즈로, 편광판 A 의 흡수축 방향이 가로 방향 (수평 방향) 이 되도록 절단하였다. 또, 편광판 B 를, 가로 1215 ㎜ × 세로 683 ㎜ 의 55 인치 사이즈로, 편광판 B 의 흡수축 방향이 세로 방향 (수직 방향) 이 되도록 절단하였다. 절단한 편광판 A 를, 첩부 장치 [클라임 프로덕츠 주식회사 제조 SEAL 방식 정밀 매엽 첩합기] 를 사용하여 편광판 최외층에 형성된 점착층에 의해 유리 패널 (코닝사 제조 「이글 XG」) 의 시인측 (오목면측) 에 첩합하였다. 동일하게 절단한 편광판 B 를 이 패널의 배면측 (볼록면측) 에 첩합해 시험용 패널을 제작하였다. 시인측 편광판이 오목면이 되고, 곡률반경이 2500 ㎜ 가 되도록 유리 패널을 구부려 프레임에 의해 고정해 곡면화하였다. 또, 오목면측 (시인측) 편광판 A 를 장변이 흡수축 방향이 되도록 150 ㎜ × 25 ㎜ 폭으로 절단하고, 별도의 유리 패널에 첩합해 유리에 대한 점착력 측정용 시험편을 준비하였다. 유리에 대한 점착력 측정용 시험편은, 평면 상태 측정용으로서 2 개, 곡면 상태 측정용으로서 2 개 각각 준비하고, 곡면 상태 측정용 시험편은 곡률반경 2500 ㎜ 의 금속판을 따르도록 고정하였다.
실시예 2
TAC 필름 (2-D) 및 TAC 필름 (2-E) 에, 코로나 처리기 (카스가 전기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여 미리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상기 필름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하고, 편광 필름에 첩합하였다. 이어서, 메탈 할라이드 램프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해, 접착제를 경화시켰다. 그 후, TAC 필름 (2-E) 의 면 상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한편 조제한 점착제 (II) 에 의해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해 점착층을 형성해 오목면측 (시인측) 편광판 C 를 얻었다. 이 편광판의 두께 (세퍼레이터는 제외한다) 는, 151 ㎛ 였다. 이 편광판의 80 ℃ 드라이하에서의 250 시간 후의 치수 변화율은 1.0 % 였다.
또, TAC 필름 (2-D) 대신에 TAC 필름 (2-C)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해 볼록면측 (배면측) 편광판 D 를 얻었다. 이 편광판의 두께 (세퍼레이터는 제외한다) 는, 146 ㎛ 였다. 이 편광판의 80 ℃ 드라이하에서의 250 시간 후의 치수 변화율은 1.0 % 였다.
오목면측 (시인측) 편광판 C 와 볼록면측 (배면측) 편광판 D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해 오목면측 (시인측) 편광판 C, 유리 패널 및 볼록면측 (배면측) 편광판 D 로 이루어지는 곡면상의 시험용 패널을 제작하였다. 또,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해, 평면 상태 및 곡면 상태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 측정용 시험편을 각각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안티글레어 처리를 실시한 아크릴 수지 필름 (2-B) 및 COP 필름 (2-F) 에, 코로나 처리기 (카스가 전기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여 미리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상기 필름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하고, 편광 필름에 첩합하였다. 이어서, 메탈 할라이드 램프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해, 접착제를 경화시켰다. 그 후, COP 필름 (2-F) 의 면 상에 점착제 (I) 에 의해 점착층을 형성해 오목면측 (시인측) 편광판 E 를 얻었다. 이 편광판의 두께 (세퍼레이터는 제외한다) 는, 183 ㎛ 였다. 이 편광판의 80 ℃ 드라이하에서의 250 시간 후의 치수 변화율은 1.6 % 였다.
또, 안티글레어 처리를 실시한 아크릴 수지 필름 (2-B) 대신에 아크릴 수지 필름 (2-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해 볼록면측 (배면측) 편광판 F 를 얻었다. 이 편광판의 두께 (세퍼레이터는 제외한다) 는, 178 ㎛ 였다. 이 편광판의 80 ℃ 드라이하에서의 250 시간 후의 치수 변화율은 1.7 % 였다.
오목면측 (시인측) 편광판 E 와 볼록면측 (배면측) 편광판 F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해, 오목면측 (시인측) 편광판 E, 유리 패널 및 볼록면측 (배면측) 편광판 F 로 이루어지는 곡면상의 시험용 패널을 제작하였다. 또,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해 평면 상태 및 곡면 상태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 측정용 시험편을 각각 제작하였다.
5. 유리에 대한 점착력의 평가
(1) 유리에 대한 점착력의 측정
(a)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23 ℃)」 및 「유리에 대한 점착력 (곡면, 23 ℃)」의 측정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에서 제작한 평면 상태 및 곡면 상태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 측정용 시험편의 각각 1 조에, 50 ℃, 5 ㎏/㎠ (490.3 ㎪) 로 20 분간의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실시한 후, 23 ℃, 50 %RH 환경하에서 24 시간 정치하고, 시마즈 제작소 제조 오토그래프 (AGS-50NX) 를 사용하여, 유리 패널과 편광판을 각각 척킹하고, 300 ㎜/분의 속도로 180° 의 방향으로 편광판을 박리하였다. 이로써 측정된 박리 강도를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23 ℃)」 및 「유리에 대한 점착력 (곡면, 23 ℃)」으로 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b)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80 ℃)」 및 「유리에 대한 점착력 (곡면, 80 ℃)」의 측정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에서 제작한 평면 상태 및 곡면 상태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 측정용 시험편의 별도의 1 조 각각에, 50 ℃, 5 ㎏/㎠ (490.3 ㎪) 로 20 분간의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실시한 후, 23 ℃, 50 %RH 환경하에서 24 시간 정치하고, 그 후 80 ℃ 드라이 환경하에 250 시간 정치하고, 시마즈 제작소 제조 오토그래프 (AGS-50NX) 를 사용하여, 유리 패널과 편광판을 각각 척킹하고, 300 ㎜/분의 속도로 180°의 방향으로 편광판을 박리하였다. 이로써 측정된 박리 강도를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80 ℃)」 및 「유리에 대한 점착력 (곡면, 80 ℃)」으로 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2) 편광판의 벗겨짐 및 들뜸에 관한 외관 평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에서 제작한 곡면상의 시험용 패널을, 23 ℃ 50 %RH 환경하에서 24 시간 정치 후, 육안에 의해 유리 패널로부터의 편광판의 벗겨짐 및 들뜸을 확인하였다. 그 후, 추가로 80 ℃ 드라이 환경하에 250 시간 정치하고, 육안에 의해 유리 패널로부터의 편광판의 벗겨짐 및 들뜸을 확인하였다. 유리 패널로부터의 편광판의 벗겨짐 및 들뜸에 관한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 : 벗겨짐이나 들뜸이 전혀 보이지 않았다.
△ : 약간의 벗겨짐이나 들뜸이 보였지만 사용상 문제 없는 범위였다.
× : 큰 벗겨짐이나 들뜸이 보였다.
Figure 112016079652707-pat00004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23 ℃) 이 2.0 N/25 ㎜ 이상, 및 유리에 대한 점착력 (곡면, 23 ℃) 이 2.5 N/25 ㎜ 이상인 실시예 1 에서는, 사용상 문제가 되는 큰 벗겨짐이나 들뜸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 23 ℃ 에 있어서의 각 유리에 대한 점착력이 보다 높은 실시예 2 에서는, 벗겨짐이나 들뜸이 전혀 생기지 않았다. 또, 80 ℃ 에 있어서의 각 유리에 대한 점착력에 있어서, 시험편이 파단되어 측정 불능이 되는 점착력을 발생시킨 실시예 1 및 2 에서는, 벗겨짐이나 들뜸의 발생 억제 효과도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유리에 대한 점착력 (평면, 23 ℃) 이 2.0 N/25 ㎜ 미만, 및 유리에 대한 점착력 (곡면, 23 ℃) 이 2.5 N/25 ㎜ 미만이었던 비교예 1 에 있어서는, 80 ℃ 에 있어서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이 일정 이상의 값이어도, 오목면측 편광판의 단변에서 50 ㎜ 정도의 유리판으로부터의 들뜸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안티글레어 처리를 실시한 아크릴 수지 필름 (2-B) 및 COP 필름 (2-F) 에, 코로나 처리기 (카스가 전기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여 미리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상기 필름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하고, 편광 필름에 첩합하였다. 이어서, 메탈 할라이드 램프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해, 접착제를 경화시켰다. 그 후, COP 필름 (2-F) 의 면 상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한편 조제한 점착제 (III) 에 의해,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점착층을 형성해 오목면측 (시인측) 편광판 G 를 얻었다. 이 편광판의 두께 (세퍼레이터는 제외한다) 는, 183 ㎛ 였다. 이 편광판의 80 ℃ 드라이하에서의 250 시간 후의 치수 변화율은 1.6 % 였다.
또, 안티글레어 처리를 실시한 아크릴 수지 필름 (2-B) 대신에 아크릴 수지 필름 (2-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해 볼록면측 (배면측) 편광판 H 를 얻었다. 이 편광판의 두께 (세퍼레이터는 제외한다) 는, 178 ㎛ 였다. 이 편광판의 80 ℃ 드라이하에서의 250 시간 후의 치수 변화율은 1.7 % 였다.
오목면측 (시인측) 편광판 G 를, 가로 1440 ㎜ × 세로 810 ㎜ 의 65 인치 사이즈로, 편광판 G 의 흡수축 방향이 가로 방향 (수평 방향) 이 되도록 절단하였다. 또, 볼록면측 (배면측) 편광판 H 를, 가로 1440 ㎜ × 세로 810 ㎜ 의 65 인치 사이즈로, 편광판 H 의 흡수축 방향이 세로 방향 (수직 방향) 이 되도록 절단하였다. 절단한 편광판 G 를, 첩부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유리 패널 (코닝사 제조 「이글 XG」) 의 시인측 (오목면측) 에 첩합하였다. 동일하게 절단한 편광판 H 를 이 패널의 배면측 (볼록면측) 에 첩합해 시험용 패널을 제작하였다. 시인측 편광판이 오목면이 되고, 곡률반경이 2500 ㎜ 가 되도록 유리 패널을 구부려 프레임에 의해 고정해 곡면화하였다. 또, 오목면측 (시인측) 편광판 G 를 장변이 흡수축 방향이 되도록 150 ㎜ × 25 ㎜ 폭으로 절단하고, 별도의 유리 패널에 첩합해 유리에 대한 점착력 측정용 시험편을 준비하였다. 유리에 대한 점착력 측정용 시험편은, 평면 상태 측정용으로서 2 개, 곡면 상태 측정용으로서 2 개 각각 준비하고, 곡면 상태 측정용 시험편은 곡률반경 2500 ㎜ 의 금속판을 따르도록 고정하였다.
상기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유리에 대한 점착력의 측정, 및 편광판의 벗겨짐 및 들뜸에 관한 외관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079652707-pat00005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3 ℃ 에 있어서의 각 유리에 대한 점착력이 보다 높은 실시예 3 에서는, 벗겨짐이나 들뜸이 전혀 생기지 않았다. 또, 80 ℃ 에 있어서의 각 유리에 대한 점착력에 있어서, 시험편이 파단되어 측정 불능이 되는 점착력을 발생시킨 실시예 3 에서는, 벗겨짐이나 들뜸의 발생 억제 효과도 더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3 의 80 ℃ 에 있어서의 각 유리에 대한 점착력 측정 시에는 시험편이 파단되기 직전에 평가용 유리 패널에도 균열이 생길 정도로 유리에 대한 점착력은 높았다.
1 : 오목면측 편광판
2 : 볼록면측 편광판
3 : 화상 표시 소자
10 : 점착층
11 : 보호층
12 : 편광 필름
13 : 표면 처리층

Claims (10)

  1. 점착층을 포함하는, 곡면 화상 표시 패널용 오목면측 편광판으로서, 23 ℃, 50 %RH 에서의 평면 상태에 있어서 측정되는 상기 점착층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이 2.0 N/25 ㎜ 이상이고, 23 ℃, 50 %RH 에서의 곡면 상태에 있어서 유리로부터 180° 방향으로 그 편광판을 박리하여 측정되는 상기 점착층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이 2.5 N/25 ㎜ 이상 5.9 N/25 ㎜ 이하인, 오목면측 편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7000 ㎜ 이하의 평균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 화상 표시 패널용 편광판인, 오목면측 편광판.
  3. 제 1 항에 있어서,
    1000 ∼ 7000 ㎜ 의 평균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 화상 표시 패널용 편광판인, 오목면측 편광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 방향 길이가 320 ㎜ 이상인 곡면 화상 표시 패널용 편광판인, 오목면측 편광판.
  5. 제 1 항에 있어서,
    80 ℃ 드라이, 250 시간 후의 평면 상태에 있어서 측정되는 점착층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은, 23 ℃, 50 %RH 에서의 평면 상태에 있어서 측정되는 점착층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보다 5.0 N/25 ㎜ 이상 높은, 오목면측 편광판.
  6. 제 1 항에 있어서,
    80 ℃ 드라이, 250 시간 후의 곡면 상태에 있어서 측정되는 점착층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은, 23 ℃, 50 %RH 에서의 곡면 상태에 있어서 측정되는 점착층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보다 5.0 N/25 ㎜ 이상 높은, 오목면측 편광판.
  7. 제 1 항에 있어서,
    80 ℃ 드라이, 250 시간 후의 치수 변화율은 3.0 % 이하인, 오목면측 편광판.
  8. 제 1 항에 있어서,
    광 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50 × 10-12 Pa-1 이하인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오목면측 편광판.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목면측 편광판을 포함하는 곡면 화상 표시 패널.
  10. 삭제
KR1020160104185A 2015-08-18 2016-08-17 곡면 화상 표시 패널용 편광판 KR101770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60878 2015-08-18
JPJP-P-2015-160878 2015-08-18
JP2016003688A JP6067895B1 (ja) 2015-08-18 2016-01-12 曲面画像表示パネル用偏光板
JPJP-P-2016-003688 2016-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753A KR20170021753A (ko) 2017-02-28
KR101770520B1 true KR101770520B1 (ko) 2017-08-22

Family

ID=57890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185A KR101770520B1 (ko) 2015-08-18 2016-08-17 곡면 화상 표시 패널용 편광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67895B1 (ko)
KR (1) KR101770520B1 (ko)
CN (1) CN106468795B (ko)
TW (1) TWI60093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359A (ko) * 2017-10-02 2020-05-2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테이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56333B (zh) * 2017-10-10 2019-12-06 惠科股份有限公司 偏光板及其制作方法、曲面显示面板
US20220305748A1 (en) * 2020-07-28 2022-09-29 Boe Technology Group Co., Ltd. Polariz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22163232A1 (ja) * 2021-01-28 2022-08-04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用粘着シート、離型フィルム付き粘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3092814A (ja) * 2021-12-22 2023-07-04 株式会社レゾナック 接着剤組成物、回路接続用接着剤フィルム、接続構造体及び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9114A (ja) 2008-09-05 2010-03-18 Shin-Etsu Chemical Co Ltd 有機ケイ素化合物、その製造方法、該有機ケイ素化合物を含む粘着剤組成物、粘着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0277063A (ja) 2009-04-27 2010-12-09 Sumitomo Chemical Co Ltd 液晶表示装置
JP5438404B2 (ja) 2009-07-09 2014-03-12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接着性粘着シート
JP2015072385A (ja) 2013-10-03 2015-04-1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セット及び前面板一体型液晶表示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6797B2 (ja) 1993-09-17 2006-02-15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
JP3487940B2 (ja) * 1995-01-24 2004-01-19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
JPH08209091A (ja) * 1995-02-08 1996-08-13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粘着剤組成物
JP3426410B2 (ja) * 1995-05-12 2003-07-14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
JPH08300544A (ja) * 1995-05-12 1996-11-19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積層体
JP3426411B2 (ja) * 1995-05-12 2003-07-14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
JP3408930B2 (ja) 1996-08-22 2003-05-19 日東電工株式会社 広視野角偏光板
JP2008134396A (ja) * 2006-11-28 2008-06-12 Kyoritsu Kagaku Sangyo Kk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TWI477827B (zh) 2009-02-10 2015-03-21 Sumitomo Chemical Co 偏光板、使用該偏光板之液晶面板及液晶顯示裝置
JP2010224102A (ja) * 2009-03-23 2010-10-07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2050049A1 (ja) * 2010-10-12 2012-04-19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光学部材用粘着剤、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150168768A1 (en) * 2012-06-29 2015-06-18 Sony Corporation Display device
CN104277720B (zh) * 2013-07-08 2017-07-21 三星Sdi株式会社 粘合剂组合物、粘合剂膜、偏振板及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9114A (ja) 2008-09-05 2010-03-18 Shin-Etsu Chemical Co Ltd 有機ケイ素化合物、その製造方法、該有機ケイ素化合物を含む粘着剤組成物、粘着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0277063A (ja) 2009-04-27 2010-12-09 Sumitomo Chemical Co Ltd 液晶表示装置
JP5438404B2 (ja) 2009-07-09 2014-03-12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接着性粘着シート
JP2015072385A (ja) 2013-10-03 2015-04-1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セット及び前面板一体型液晶表示パネ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359A (ko) * 2017-10-02 2020-05-2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테이프
KR102459827B1 (ko) 2017-10-02 2022-10-2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00930B (zh) 2017-10-01
TW201716809A (zh) 2017-05-16
CN106468795A (zh) 2017-03-01
JP2017040904A (ja) 2017-02-23
CN106468795B (zh) 2018-01-30
KR20170021753A (ko) 2017-02-28
JP6067895B1 (ja)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27691B (zh) 带粘合剂的树脂膜及使用其的光学层叠体
CN107664788B (zh) 光学层叠体
KR101597851B1 (ko) 점착제를 갖는 광학 필름과 이것을 이용한 광학 적층체
KR101770520B1 (ko) 곡면 화상 표시 패널용 편광판
KR101900982B1 (ko) 점착제 부착 광학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광학 적층체
KR20180013769A (ko) 광학 적층체
JP6206070B2 (ja) 粘着剤付き樹脂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積層体
JP6605914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剤層付光学部材
KR20150071019A (ko) 광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과 그 제조법, 광학 부재 및 액정 표시 장치
TWI782896B (zh) 黏著劑組成物、黏著劑層及附有黏著劑層之光學構件
KR102060291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그 제조 방법, 편광판,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6721341B2 (ja) 粘着剤組成物
JP2016169383A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剤層付光学部材
KR20170021755A (ko) 곡면 화상 표시 패널용 볼록면측 편광판
KR20210008003A (ko) 편광판 및 표시 장치
CN108107499B (zh) 偏振板、光学膜和图像显示装置
JP6825848B2 (ja) 曲面画像表示パネル用偏光板
JP6382873B2 (ja) 粘着剤層付光学部材
CN110709738B (zh) 带粘合剂层的偏振板
TW201721192A (zh) 複合偏光板及使用該偏光板之液晶面板
JP6691091B2 (ja) 液晶表示装置
JP6620207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剤層付光学部材
KR20210010369A (ko) 점착제층 구비 편광판
CN114106745A (zh) 粘合剂组合物及带粘合剂层的光学膜
JP2018124578A (ja) 粘着剤層付光学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