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304B1 -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 Google Patents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304B1
KR101760304B1 KR1020160120272A KR20160120272A KR101760304B1 KR 101760304 B1 KR101760304 B1 KR 101760304B1 KR 1020160120272 A KR1020160120272 A KR 1020160120272A KR 20160120272 A KR20160120272 A KR 20160120272A KR 101760304 B1 KR101760304 B1 KR 101760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wax
present
hygroscopic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형신종
성민재
김종협
유무림
원경대
박윤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시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시칸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시칸트
Priority to KR1020160120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162Calcium, strontium or barium halides, e.g. calcium, strontium or barium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166Magnesium halide, e.g. magnesium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0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Magnesia, i.e. magnesium ox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며, 흡습성 및 내방출성이 우수하고, 흡습 팽창 시 연질형인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내방출성 흡습제는 흡습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 램프의 운전환경인 고온 저습의 환경 조건에서 내방출성이 우수하고, 흡습 팽창 시 연질의 상태로 인하여 더스트 커버와 같은 램프 용기에 파손 및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특성을 가지므로, 자동차 램프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Anti-release moisture absorbent and absorbent produc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친환경적이며, 흡습성 및 내방출성이 우수하고, 흡습 팽창 시 연질형인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자동차 운송 및 보관 시 헤드램프, 리어램프 및 안개등 등의 결로의 문제점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산업적 손실이 증대되고 있다.
자동차의 램프는 우천 시와 같이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부품 내외부의 온도차가 큰 경우, 램프 렌즈 온도가 낮아지게 되면, 램프 내부의 수분이 응축되어 렌즈 내부 표면에 미세한 물방울이 맺혀 김이 서리게 된다. 이로 인한 광산란 현상은 자동차 안전 운행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현 자동차 산업은 방담코팅제와 벤토나이트계 흡습제를 더스트 커버와 같은 램프 하우징 내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왔다. 하지만 방담코팅제는 옥외의 자외선, 온도와 습도 등에 의해서 백화나 흐름 현상과 같은 열화가 발생하며, 이러한 경우 자동차 램프 모듈을 교체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일반 벤토나이트계 흡습제는 일정 수분을 흡습한 후, 램프의 가동 시 고온 저습의 환경에서 수분을 재방출하여 램프 렌즈의 내부 표면의 결로 현상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방담코팅제와 벤토나이트계 흡습제의 사용에 따른 상기의 문제들로 인하여 자동차 램프 모듈에 대한 교체 비용이 발생하고, 기능적 품질과 소비자 품질의 저하가 발생한다. 따라서 기존 흡습제의 결로 문제 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주행 환경인 고온 저습의 환경에서도 수분의 방출을 최소화하거나 수분을 흡습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의 흡습제가 요구된다.
또한 종래부터 당업계에서 문제가 되었듯이,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가 흡습 후 팽창 경화하는 특성을 갖게되면, 물리적 팽창에 의해서 제한된 공간을 갖는 램프의 더스트 커버를 파손하거나 변형할 수 있다. 또한 팽창 시 흡습제 제품의 포장재의 파손에 의해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스폰지와 같은 연질로 팽창하는 특성이 필요하며, 이러한 특성도 함께 보유하는 새로운 기능의 흡습제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5882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173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0972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84019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274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151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702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899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724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2613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친환경적이며, 흡습성 및 내방출성이 우수하고, 흡습 팽창 시 연질형인 내방출성 흡습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흡습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고온 저습의 환경 조건에서 흡습된 수분의 재방출을 최소화하며, 또한 흡습 팽창에 의하여 스폰지와 같은 연질의 특성을 갖는 내방출성 흡습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상기 내방출성 흡습제를 포함하는 흡습제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일 실시예는 내방출성 흡습제를 제공한다. 상기 내방출성 흡습제는 (A)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및 탄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습물질; (B) 산화마그네슘 및 산화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화성 무기물; 및 (C) 전분 및 2-프로펜산 나트륨 2-프로펜아마이드 중합체(SODIUM 2-PROPENOATE 2-PROPENAMIDE 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분자 첨가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방출성 흡습제는 (A) 상기 흡습물질 10 중량% 내지 70 중량%; (B) 상기 경화성 무기물 10 중량% 내지 50 중량%; 및 (C) 상기 고분자 첨가제 5 중량% 내지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C) 상기 고분자 첨가제는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폴리아미드 왁스, 카노바 왁스, 파라핀 왁스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고분자 왁스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방출성 흡습제는 자동차 램프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방출성 흡습제를 포함하는 흡습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습제품은 통기성 포장재 내에 충전된 본 발명의 내방출성 흡습제를 포함하며, 상기 통기성 포장재의 포장필름은 합성라텍스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통기성 필름 상에 형성된 이중막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합성라텍스는 아크릴 라텍스 점착제 및 아크릴 라텍스 수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기성 필름은 타이벡(Tyvek)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방출성 흡습제는 흡습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고온 저습의 환경 조건에서 흡습된 수분의 재방출을 최소화하며, 또한 흡습 팽창 시 스폰지와 같은 연질의 특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방출성 흡습제는 자동차 램프의 운전환경인 고온 저습 조건에서 내방출성이 우수하며, 흡습 팽창 시 연질의 상태로 인하여 더스트 커버와 같은 램프 용기에 파손 및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특성을 가지므로, 자동차 램프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습제품에 포함되는 통기성 포장재의 포장필름의 일 양태를 나타내며, 코팅층(200)이 통기성 필름(100) 상에 형성된 이중막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내방출성 흡습제의 시간에 따른 흡습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흡습제 시편의 흡습 포화 후 내용물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4와 비교예 2에 따른 흡습제 시편의 흡습 포화 후 내용물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포함한 구체예 또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내방출성 흡습제)
본 발명은 (A)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및 탄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습물질; (B) 산화마그네슘 및 산화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화성 무기물; 및 (C) 전분 및 2-프로펜산 나트륨 2-프로펜아마이드 중합체(SODIUM 2-PROPENOATE 2-PROPENAMIDE 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분자 첨가제;를 포함하는 내방출성 흡습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내방출성 흡습제는 바람직하게 (A) 상기 흡습물질 10 중량% 내지 70 중량%; (B) 상기 경화성 무기물 10 중량% 내지 50 중량%; 및 (C) 상기 고분자 첨가제 5 중량% 내지 50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내방출성 흡습제에 있어서, 흡습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A)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및 탄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습물질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생석회 등의 흡습물질을 추가로 포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A) 상기 흡습물질에 있어서는, 우수한 흡습성과 내방출성의 측면에서 염화마그네슘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내방출성 흡습제는 (A)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및 탄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습물질을 바람직하게 10 중량% 내지 70 중량%으로 포함한다. (A) 상기 흡습물질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제조된 흡습제의 흡습력의 저하가 문제될 수 있으며, (A) 상기 흡습물질의 함량이 7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수분 흡습으로 인하여 제조된 흡습제가 액상화되어 제품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상기 내방출성 흡습제에 있어서, 제조된 흡습제가 흡습 후 조해성에 의해서 액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B) 산화마그네슘 및 산화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화성 무기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B) 상기 경화성 무기물로 산화마그네슘의 경우, 상업화된 예로 KONOSHIMA CHEMICAL사의 STARMAG 5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내방출성 흡습제는 (B) 산화마그네슘 및 산화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화성 무기물을 바람직하게 10 중량% 내지 50 중량%으로 포함한다. (B) 상기 경화성 무기물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조해성 흡습제의 분리를 억제할 수 없으며, (B) 상기 경화성 무기물의 함량이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품의 흡습율 저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내방출성 흡습제에 있어서, 흡습 팽창 후 스폰지와 같은 연질의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C) 전분 및 2-프로펜산 나트륨 2-프로펜아마이드 중합체(SODIUM 2-PROPENOATE 2-PROPENAMIDE 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고분자 첨가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내방출성 흡습제는 (C) 전분 및 2-프로펜산 나트륨 2-프로펜아마이드 중합체(SODIUM 2-PROPENOATE 2-PROPENAMIDE 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고분자 첨가제를 바람직하게 5 중량% 내지 50 중량%으로 포함한다. (C) 상기 고분자 첨가제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흡습 팽창에 의하여 흡습제가 경질화되는 문제를 개선하기 어려우며, (C) 상기 고분자 첨가제의 함량이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품의 흡습율 저하 및 내방출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내방출성 흡습제에 있어서, (C) 상기 고분자 첨가제는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폴리아미드 왁스, 카노바 왁스, 파라핀 왁스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고분자 왁스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왁스로 폴리에틸렌 왁스의 경우, 상업화된 예로 SFC사의 LH 120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왁스는, 예를 들어 자동차 램프 내부의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와 같이 내방출성 흡습제의 환경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 고점도의 액상으로 변화하여 흡습된 수분의 방출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며 또한 제품의 흡습율을 조절하는 기능을 병행한다.
본 발명의 상기 내방출성 흡습제는 (A) 상기 흡습물질; (B) 상기 경화성 무기물; 및 (C) 상기 고분자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서, 흡습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고온 저습의 환경 조건에서 흡습된 수분의 재방출을 최소화하며, 또한 흡습 팽창에 의하여 스폰지와 같은 연질의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상기 내방출성 흡습제는 자동차 램프의 운전환경인 50~80℃의 고온 범위에서 흡습된 수분이 재방출되지 않는 내방출성이 안정적으로 우수하며, 또한 흡습 팽창 시 연질의 특성으로 인하여 더스트 커버와 같은 램프 용기에 파손 및 변형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자동차 헤드램프, 리어램프 또는 안개등 등의 자동차 램프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내방출성 흡습제는 포장된 각종 물품 예컨대, 통기성 포장재 내 등에 사용될 수 있다.
(흡습제품)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 본 발명의 내방출성 흡습제를 포함하는 흡습제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흡습제품은 통기성 봉투, 용기, 자루 또는 포장재 내에 충전된 본 발명의 내방출성 흡습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흡습제품에 포함되는 통기성 포장재는 포장필름을 이용한 것으로, 포장재의 형상이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적의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포장재를 열씰링(heat-sealing) 하는 것을 통하여, 포장재 내에 본 발명의 내방출성 흡습제를 넣고 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습제품에 포함되는 통기성 포장재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두 장의 포장필름을 포함하며, 포장재의 형상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274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93059 및 일본공개특허 제2010-076826 등에 의하여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들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한 두 장의 포장필름을 대향시키고, 대향되어 마주보는 두 장의 포장필름 사이에 흡습제를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습제품에 포함되는 통기성 포장재의 포장필름은 통기성 필름의 단층막 또는 적층체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습제품에 포함되는 통기성 포장재의 포장필름에 있어, 상기 포장필름은 합성라텍스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통기성 필름 상에 형성된 이중막 구조일 수 있다. 도 1은 상기 이중막 구조를 나타내며, 코팅층(200)이 통기성 필름(100) 상에 형성된 형태이다. 상기 포장필름의 구조가 상기 이중막 구조이면, 통기성 포장재의 내열성이 양호한 장점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 때 합성라텍스 30 내지 40 중량%,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VA: Ethylene-vinyl acetate) 물질 2 내지 10 중량%, 용매 50 내지 60 중량%, 및 기타 물질 1 내지 5 중량%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통기성 필름 상에 공지의 방법으로 도포하는 과정을 거쳐 상기 이중막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코팅액을 도포 후 필요에 따라 공지의 방법에 의한 건조 과정도 거칠 수 있다.
상기 코팅층(200)을 형성하기 위한 합성라텍스는 바람직하게 아크릴 라텍스 점착제 및/또는 아크릴 라텍스 수지에 해당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적절한 제원을 채택하는 한 별도의 제한은 없다. 상기 코팅층(200)을 형성하기 위한 EVA 물질은 바람직하게 EVA를 포함한 핫멜트 접착제에 해당하며, 역시 당업자에게 공지된 적절한 제원이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200)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액의 성분으로 기타 물질은 경화제, 무기필러 및/또는 첨가제 수지이며, 경화제로는 예시적으로 아민계 경화제, 산 무수물계 경화제, 페놀계 경화제 및 디시안 디아미드계 경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무기필러로는 예시적으로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탈크, 운모, 고령토, 흑연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첨가제 수지로는 예시적으로 테르펜 페놀수지, 수첨 로진, 석유수지, 크실렌수지 및 쿠마론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200)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액의 성분으로 용매는 예시적으로 톨루엔, 아세톤 및 메틸에틸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200)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3 μm 내지 20 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5 μm 내지 10 μm에 해당한다. 코팅층이 3 μm 미만의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포장재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코팅층이 20 μm를 초과하는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포장기 가공 시 롤러부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포장재의 투습도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습제품에 포함되는 통기성 포장재의 포장필름의 통기성 필름에 있어, 상기 통기성 필름은 타이벡(Tyvek),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부직포,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부직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부직포, 종이 및 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포장재에 양호한 내열성을 부여하는 측면에서는, 타이벡(Tyvek)으로 이루어진 통기성 필름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흡습제품에 포함되는 통기성 포장재의 포장필름은 바람직하게 타이벡(Tyvek)으로 이루어진 통기성 필름(100) 상에 코팅층(200)이 형성된 이중막 구조일 수 있다.
(실험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내방출성 흡습제의 제원 및 물성 측정 방법은 하기와 같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된 재료의 제원은 하기 표 1과 같다.
구분 화합물 제조사 상품명 화합물의 물성
A 염화마그네슘 Aldrich - 순도 94%
B 산화마그네슘 KONOSHIMA CHEMICAL사 STARMAG 50 입도 : 30μm
C-1 2-프로펜산 나트륨 2-프로펜아마이드 중합체 Aldrich - 음이온형
C-2 전분 큐원 전분 -
C-3 폴리에틸렌 왁스 SFC사 LH1200 연화점 : 109±3℃
(안정성)
안정성은 50℃ 온도 및 95% 상대습도 하에서 항온항습기에서 20일 동안 노출시킨 후 시편의 내용물의 상분리, 연질 및 경질 상태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흡습율)
항온항습기를 이용하여 50±2 ℃ 온도 및 95±5 % 상대습도 하에서 시편을 20일간 노출시킨 후 흡습율을 측정하며, 흡습율은 하기의 식으로 계산된다.
Figure 112016091162820-pat00001

(내방출성)
시편을 23±2 ℃ 온도 및 50±5 % 상대습도 하에서 48시간 흡습시킨 후, 50±2 ℃ 및 70±2 ℃의 오븐에서 2시간 건조 시킨 후 각각의 건조 온도에서의 흡습율을 측정한다. 초기 흡습을 진행하고 이후 건조를 거침으로서, 초기와 건조 후의 흡습율을 각각 측정하며, 내방출성은 하기의 식으로 계산된다. 일예로 내방출성 90%은 초기에 흡습한 수분의 90%가 건조 후에 잔류하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6091162820-pat00002

(포장재의 내열성)
시편의 포장재의 내열성은 120±2 ℃의 오븐에서 500시간 노출시킨 후 포장재의 파손여부와 열씰링부의 파손상태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 : 매우 양호 (열노화 후 포장재와 열씰링부의 파손이 없는 경우 )
△ : 보통 (열노화 후 포장재와 열씰링부의 파손이 일부 발생한 경우)
× : 나쁨 (열노화 후 포장재와 열씰링부의 파손이 심한 경우)
[실시예 1 내지 5]
혼합기를 이용하여 하기 표 2의 중량%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실시예 1 내지 5의 흡습제 25g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길이 100mm와 너비 100mm의 통기성 포장재에 실시예 1 내지 5의 흡습제를 투입한 후, 열씰링기를 이용하여 120℃의 온도에서 가공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시편에 있어서는, 핫멜트 코팅액[주식회사 다경코팅 제공: 아크릴 라텍스 점착제(투명 군집체) 25 중량%, 아크릴 라텍스(수지) 8 중량%, EVA를 포함한 핫멜트 접착제 8 중량%, 톨루엔 55 중량%, 경화제 4 중량%]을 타이벡 필름 상에 도포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거쳐 형성된 이중막 구조(합성라텍스/타이벡: 코팅층 두께 5 μm)를 포장재에 적용시켰다.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시편들의 물성으로 흡습율, 내방출성, 내용물의 안정성 및 포장재의 내열성을 상기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내지 2]
표 2의 중량%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의 흡습율, 내방출성, 내용물의 안정성 및 포장재의 내열성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함량(중량%)
A B C-1 C-2 C-3
실시예 1 40 20 20 - 20
실시예 2 40 20 40 - -
실시예 3 50 12.5 37.5 - -
실시예 4 50 12.5 18.75 - 18.75
실시예 5 40 20 - 40 -
비교예 1 50 50 - - -
비교예 2 40 40 - - 20
흡습율(%) 내방출성(%) 안정성 포장재의 내열성
50±2 ℃ 70±2 ℃
실시예 1 175.40 102.11 100.82 상분리 없음, 연질 고체
실시예 2 181.34 102.17 99.55 상분리 없음, 연질 고체
실시예 3 219.46 103.26 101.46 상분리 없음, 연질 고체
실시예 4 218.92 103.59 101.37 상분리 없음, 연질 고체
실시예 5 180.5 95.70 81.70 상분리 발생, 연질 고체
비교예 1 181.4 103.50 101.40 일부 상분리 발생, 경질 고체
비교예 2 152.91 102.47 100.74 상분리 없음, 경질 고체
상기 표 2 및 표 3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흡습율은 비교예들에 대비하여 동등 이상으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50±5 % 상대습도의 저습 조건 하에서, 50±2 ℃에서 70±2 ℃로 온도 조건의 변화에 의하여도, 우수한 내방출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방출성 흡습제는 80 ℃에 가까워지는 승온된 고온 조건으로 진행되더라도, 우수한 내방출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서 계속적인 흡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실시예들에 따른 본 발명의 내방출성 흡습제는 자동차 램프의 운전환경인 고온(50~80℃의 범위) 및 저습 환경하에서 흡습된 수분의 재방출을 최소화함으로서 계속적인 흡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자동차 헤드램프, 리어램프 또는 안개등 등의 자동차 램프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도 확인된다.
또한 도 2에 의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본 발명의 내방출성 흡습제는 한 달에 가까운 흡습 환경 하에서도 지속적으로 흡습율이 상승하므로, 장기 사용 안정성이 비교예의 내방출성 흡습제 보다 우수할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본 발명의 내방출성 흡습제는 흡습 팽창 시 연질 고체 상태임이 확인되나, 비교예들에 따른 내방출성 흡습제는 흡습 팽창 시 경질 고체 상태인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방출성 흡습제는 흡습 팽창 시 연질의 상태로 인하여 더스트 커버와 같은 램프 용기에 파손 및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특성을 가지므로, 우수한 흡습성 및 내방출성과 결합하여 자동차 헤드램프, 리어램프 또는 안개등 등의 자동차 램프용으로 더욱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8)

  1. (A)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및 탄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습물질 10 중량% 내지 70 중량%;
    (B) 산화마그네슘 및 산화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화성 무기물 10 중량% 내지 50 중량%; 및
    (C) 전분 및 2-프로펜산 나트륨 2-프로펜아마이드 중합체(SODIUM 2-PROPENOATE 2-PROPENAMIDE 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분자 첨가제 5 중량% 내지 50 중량%;
    를 포함하는 자동차 램프용 내방출성 흡습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C) 상기 고분자 첨가제는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폴리아미드 왁스, 카노바 왁스, 파라핀 왁스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고분자 왁스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자동차 램프용 내방출성 흡습제.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3항의 자동차 램프용 내방출성 흡습제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품은 통기성 포장재 내에 충전된 제 1항 또는 제 3항의 자동차 램프용 내방출성 흡습제를 포함하며,
    상기 통기성 포장재의 포장필름은 합성라텍스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통기성 필름 상에 형성된 이중막 구조인 흡습제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라텍스는 아크릴 라텍스 점착제 및 아크릴 라텍스 수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인 흡습제품.

  8. 삭제
KR1020160120272A 2016-09-20 2016-09-20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101760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272A KR101760304B1 (ko) 2016-09-20 2016-09-20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272A KR101760304B1 (ko) 2016-09-20 2016-09-20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0304B1 true KR101760304B1 (ko) 2017-07-24

Family

ID=59429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272A KR101760304B1 (ko) 2016-09-20 2016-09-20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30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21984A1 (en) * 2019-04-10 2020-10-14 DesiKhan Co., Ltd. Moisture absorbent pack for vehicle lamp having improved durability
KR20200121132A (ko) * 2019-04-15 2020-10-23 (주)업산씨엠티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20200128290A (ko) * 2019-05-02 2020-11-12 씨에스씨주식회사 자동차 램프용 친환경 흡습제
WO2021085805A1 (ko) * 2019-10-29 2021-05-06 (주)티케이이엔에스 내방출성 경질 흡습제 조성물
WO2021085804A1 (ko) * 2019-10-29 2021-05-06 (주)티케이이엔에스 내방출성 연질 흡습제 조성물
KR20210050205A (ko) * 2019-10-28 2021-05-07 주식회사 데시칸 용출 안정성이 개선된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EP3936759A1 (en) * 2020-07-06 2022-01-12 DesiKhan Co., Ltd. Dust cover having excellent moisture control performance
WO2022050506A1 (ko) * 2020-09-02 2022-03-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누액방지 고성능 흡습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30100A (ko) * 2020-09-02 2022-03-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83122A (ko) 2021-12-02 2023-06-09 박상우 헤드램프용 제습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4017B2 (ja) * 1993-03-23 2000-02-28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内視鏡の流体供給装置
JP2005238760A (ja) * 2004-02-27 2005-09-08 Shin Etsu Polymer Co Ltd 吸湿性パッキング材
JP2014221514A (ja) * 2013-05-13 2014-11-2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吸湿性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4017B2 (ja) * 1993-03-23 2000-02-28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内視鏡の流体供給装置
JP2005238760A (ja) * 2004-02-27 2005-09-08 Shin Etsu Polymer Co Ltd 吸湿性パッキング材
JP2014221514A (ja) * 2013-05-13 2014-11-2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吸湿性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21984A1 (en) * 2019-04-10 2020-10-14 DesiKhan Co., Ltd. Moisture absorbent pack for vehicle lamp having improved durability
CN111804127A (zh) * 2019-04-10 2020-10-23 株式会社帝湿勘 具有良好长期耐久性的用于汽车车灯的吸湿袋
US11358122B2 (en) 2019-04-10 2022-06-14 Desikhan Co., Ltd. Moisture absorbent pack for vehicle lamp
KR20200121132A (ko) * 2019-04-15 2020-10-23 (주)업산씨엠티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102176995B1 (ko) * 2019-04-15 2020-11-10 (주)업산씨엠티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102401294B1 (ko) * 2019-05-02 2022-05-26 씨에스씨주식회사 자동차 램프용 친환경 흡습제
KR20200128290A (ko) * 2019-05-02 2020-11-12 씨에스씨주식회사 자동차 램프용 친환경 흡습제
KR20210050205A (ko) * 2019-10-28 2021-05-07 주식회사 데시칸 용출 안정성이 개선된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102298020B1 (ko) * 2019-10-28 2021-09-06 주식회사 데시칸 용출 안정성이 개선된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WO2021085804A1 (ko) * 2019-10-29 2021-05-06 (주)티케이이엔에스 내방출성 연질 흡습제 조성물
WO2021085805A1 (ko) * 2019-10-29 2021-05-06 (주)티케이이엔에스 내방출성 경질 흡습제 조성물
US11400431B2 (en) 2019-10-29 2022-08-02 Tkens, Co., Ltd. Composition for soft anti-release moisture absorbent
EP3936759A1 (en) * 2020-07-06 2022-01-12 DesiKhan Co., Ltd. Dust cover having excellent moisture control performance
US11534715B2 (en) 2020-07-06 2022-12-27 Desikhan Co., Ltd. Dust cover for automotive lamps with excellent moisture control performance
WO2022050506A1 (ko) * 2020-09-02 2022-03-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누액방지 고성능 흡습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30100A (ko) * 2020-09-02 2022-03-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12970B1 (ko) * 2020-09-02 2022-06-2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83122A (ko) 2021-12-02 2023-06-09 박상우 헤드램프용 제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304B1 (ko)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101760302B1 (ko)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101825698B1 (ko) 자동차 램프용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102043286B1 (ko) 천공필름을 이용한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102257853B1 (ko) 장기 내구성이 양호한 자동차 램프용 복합흡습제품
KR102413339B1 (ko) 내구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고성능 흡습제
KR20200119636A (ko) 장기 내구성이 양호한 램프용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US11400431B2 (en) Composition for soft anti-release moisture absorbent
US11358122B2 (en) Moisture absorbent pack for vehicle lamp
JP7349771B2 (ja) 保冷容器および生鮮物の輸送方法
JP7228329B2 (ja) 臭気吸着性能を有する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6421404B2 (ja) 医薬品包装体
TWI604150B (zh) Vacuum heat insulation material and heat insulation box
KR102286558B1 (ko) 고성능 흡습제
KR102298020B1 (ko) 용출 안정성이 개선된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102340389B1 (ko)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102197666B1 (ko) 내방출성 경질 흡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JP2013202506A (ja) 吸湿シート及びシート状乾燥剤
KR102251853B1 (ko) 내방출성 연질 흡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JP2019177919A (ja) 臭気吸着シーラントフィルムと、該臭気吸着シーラントフィルムから作製された包装材料及び包装袋
KR102175506B1 (ko) 방담성 및 열융착 접착강도가 우수한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
JP2019064633A (ja) 液体内容物包装用の積層体、及び液体内容物用包装材料、液体内容物用包装体
JP7127265B2 (ja) 液体内容物包装用の積層体、及び液体内容物用包装材料、液体内容物用包装体
JP7275502B2 (ja) 液体内容物包装用の消臭積層体
KR20220041275A (ko)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