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3122A - 헤드램프용 제습기 - Google Patents

헤드램프용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3122A
KR20230083122A KR1020210171241A KR20210171241A KR20230083122A KR 20230083122 A KR20230083122 A KR 20230083122A KR 1020210171241 A KR1020210171241 A KR 1020210171241A KR 20210171241 A KR20210171241 A KR 20210171241A KR 20230083122 A KR20230083122 A KR 20230083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jig
dust cover
desiccant
permeabl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9273B1 (ko
Inventor
박상우
김용담
Original Assignee
박상우
김용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우, 김용담 filed Critical 박상우
Priority to KR1020210171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273B1/ko
Publication of KR20230083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3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F21S45/33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d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3Drying gases or vapours b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8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as drying ag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램프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램프하우징에 구비되는 더스트커버; 상기 더스트커버 내부에 분말 형태로 충전되는 제습제; 및 상기 제습제를 고정하는 고정지그;를 포함하며, 분말 형태의 제습제를 상기 더스트커버에 충전하여 공간 활용도가 높고 조립 공정이 간단하며 제습제의 누출을 방지하는 고정지그의 파손을 방지와 헤드램프에 결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헤드램프용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램프용 제습기{Dehumidifier for Headlamp}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램프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램프하우징에 구비되는 더스트커버; 상기 더스트커버 내부에 분말 형태로 충전되는 제습제; 및 상기 제습제를 고정하는 고정지그;를 포함하며, 분말 형태의 제습제를 상기 더스트커버에 충전하여 공간 활용도가 높고 조립 공정이 간단하며 고정지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헤드램프용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헤드램프(Headlamp)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의 헤드램프는 내부에 마련되는 광원이 점등 또는 소등됨에 따라 램프의 내부 온도가 변화된다. 즉, 광원이 점등되면 광원의 발열에 의해 헤드램프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됨에 따라 헤드램프 내부의 공기가 열팽창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헤드램프는 점등시 내부 온도의 상승과 함께 팽창되는 내부공기 압력을 해소하기 위하여 밀폐구조가 아니라 통기를 위한 개방 구조를 취하고 있다.
광원의 점등시 헤드라이트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반대로 광원의 소등시 외부의 공기가 헤드램프 내부로 유입되도록 헤드램프의 일측에는 벤트 홀(Vent hole)이 마련된다.
벤트 홀을 통한 헤드램프의 내부공기 배출 시점은 광원이 점등되어 헤드램프 내부의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내부공기가 열팽창을 이루는 경우이고, 벤트 홀을 통한 외부공기의 흡입 시점은 광원이 소등되어 헤드램프 내부의 온도가 저하되어 외부 온도와 유사하게 되는 경우이다.
그런데, 차량의 헤드램프는 광원의 점등과 소등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벤트 홀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헤드램프 내부로 유입되면서, 외부 공기에 포함된 습기 또한 헤드램프 내부로 유입된다.
우천 시와 같이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부품 내외부의 온도차가 큰 경우, 램프 렌즈 온도가 낮아지게 되면, 램프 내부의 수분이 응축되어 렌즈 내부 표면에 미세한 물방울이 맺혀 김이 서리게 된다. 이로 인한 광산란 현상은 자동차 안전 운행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필연적으로 램프 내외부의 온도 및 습도 차이 문제로 결로현상이 반복되고 결로 상태가 해소되지 않는 경우에는 램프 본연의 특성(조사각 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어 안전에 악역향을 미치고 전기적인 절연을 해치게 되어 추가적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차량용 헤드램프 내부로 유입된 습기를 제습하기 위해, 흡습제가 담겨있는 포 형태의 흡습포를 헤드램프의 후면에 위치한 더스트 커버에 삽입하거나 램프하우징 내부에 장착한다.
이러한 경우, 포 형태의 흡습포가 더스트 커버 또는 램프하우징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한된 장착공간에 사각포 형상의 흡습포를 구겨서 넣거나, 접어서 삽입한다. 부직포 형태의 흡습포 제품의 형상을 구겨서 넣기 문에, 구겨진 부분에 내구성이 떨어진다.
이후 흡습제가 흡습 후 팽창 경화하는 특성을 갖게되면, 물리적 팽창에 의해서 제한된 공간을 갖는 램프의 더스트 커버를 파손하거나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진동으로 인하여 제습제와 투습지와의 마찰로 인하여 투습지가 마모되어 찢어지는 경우와 팽창 시 흡습제 제품의 포장재의 파손에 의해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헤드램프 내의 습기를 제거하여 결로현상을 방지하며, 더스트커버 내의 제습제가 습기를 흡습함에 따라 팽창 하더라도 더스트커버가 파손되지 않으며, 투습지의 마모로 인한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연한을 충족시킬 수 있는 고품질의 헤드램프용 제습기의 개발이 대두된다.
KR 10-1760304 (B1) 2017.07.17. KR 10-2021-0042839 (A) 2021.04.2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더스트커버 내에 제습제를 분말 형태로 충전하여 상기 더스트커버 내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램프하우징의 설치시에 더스트커버의 상면에 밀봉되도록 부착된 차단필름만 제거하여 부착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품질이 향상된 헤드램프용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더스트커버 내,외부로 공기가 통과되는 투습지의 외측에 투습지 보호지그와 고정지그를 배치하여 상기 투습지를 견고하게 지지, 보호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헤드램프용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투습지의 내측에 일정 경도를 가진 마모방지지그를 배치하여 자동차 진동에 의한 상기 제습제의 흡습전 분말 형태와 흡습후의 딱딱하게 변환된 제습제와 투습지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투습지의 손상을 방지하므로 제습제가 더스트커버 외부로 누출되지 않으며, 상기 마모방지지그에 다수의 통과홀을 형성하여 투습지 내,외측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통기성을 보존할 수 있는 헤드램프용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습제가 흡습함에 따라 부피가 팽창할 시에 고정지그가 상기 더스트커버 외부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로 팽창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제습제를 더스트커버 내부 공간의 일부에만 충전되도록 하여 상기 제습제의 최대 팽창시에도 더스트커버의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품질이 향상된 헤드램프용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램프에 장착되어 헤드램프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에 있어서, 램프하우징에 장착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중공인 내부에 분말 형태의 제습제(500)를 수용하는 더스트커버(100);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으며,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내,외부로 공기가 통과되는 재질의 투습지(300); 상기 투습지(300)의 내측면 및 외측면과 접촉되며, 외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통과홀(450)이 형성되고, 일정 경도로 형성되어 상기 제습제(500)가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내부공간에서 팽창되도록 유도하는 마모방지지그(400); 및 상기 투습지(300)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마모방지지그(400)를 지지하며, 외부 공기가 상기 더스트커버(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개방부(210)가 형성된 고정지그(200);를 포함하는, 헤드램프용 제습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습제(500)가 충전된 상기 더스트커버(100) 내부에는 상기 제습제(500)가 충전되지 않은 여유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습제(500)의 흡습시에 상기 제습제(500)의 부피는 상기 고정지그(200)의 내측 공간에서 팽창하되 최대 부피는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내부 공간보다 작다.
상기 마모방지지그(400)는, 상기 투습지(300) 내측면에 배치되는 내측지그(410)와, 상기 투습지(300) 외측면에 배치되는 외측지그(420)를 포함하되, 상기 내측지그(410)에는 복수개의 위치고정돌기(430)가 돌출되어 상기 투습지(300)의 투습지홈(310)을 관통하여 상기 외측지그(420)의 위치고정홈(440)과 암수결합된다.
외부의 공기는 상기 고정지그(200)의 개방부(210)와 투습지(300) 및 상기 통과홀(450)을 통과하여 상기 더스트커버(100)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제습제(500)는 차량진동으로 투습지(300)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내측지그(410)와 마찰된다.
상기 고정지그(200)는 초음파 융착으로 상기 더스트커버(100)와 결합된다.
상기 제습제(500)는 흡습제 50~60중량%, 경화제 30~40중량% 및 왁스 5~1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흡습제는,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5~15중량% 및 염화마그네슘(magnesium chloride) 및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중 어느 하나 이상 85~9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경화제는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및 산화칼슘(calcium oxid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투습지(30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중 어느 하나의 통기성 필름에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성분을 함유한 2성분 부직포를 열접착한 통기성 포장지;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통기성 포장지에 아크릴라텍스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 중 어느 하나를 코팅하여 제조한 것; 으로 구성된 군으로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 마모방지지그(400), 투습지(300) 및 고정지그(200)의 투습도는 1,000~6,000g/㎡·24hr (JIS Z 0208)이며, 상기 마모방지지그(400), 투습지(300) 및 고정지그(200)의 내방출율은 0.5% 미만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용 제습기는 더스트커버 내에 제습제를 분말 형태로 충전하여 상기 더스트커버 내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램프하우징의 설치시에 더스트커버의 상면에 밀봉되도록 부착된 차단필름만 제거하여 부착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품질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더스트커버 내,외부로 공기가 통과되는 투습지의 외측에 투습지 보호지그와 고정지그를 배치하여 상기 투습지를 견고하게 지지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투습지의 내측에 일정 경도를 가진 투습지 마모방지지그를 배치하여 자동차 진동에 의한 상기 제습제의 흡습전 분말 형태와 흡습후의 딱딱하게 변환된 제습제가 투습지와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투습지의 손상을 방지하므로 제습제가 더스트커버 외부로 누출되지 않으며, 상기 마모방지지그에 다수의 통과홀을 형성하여 투습지 내,외측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통기성을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습제의 흡습시에 부피가 팽창할 시에 고정지그가 상기 더스트커버 외부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로 팽창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제습제를 더스트커버 내부 공간의 일부에만 충전되도록 하여 상기 제습제의 최대 팽창시에도 더스트커버의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품질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헤드램프용 제습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헤드램프용 제습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헤드램프용 제습기에 따른 더스트커버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지지대가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b)는 지지대와 격벽이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헤드램프용 제습기에 따른 제습제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제습제의 부피가 최소로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 (b)는 제습제의 부피가 최대로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내측은 더스트커버(100)의 내부 공간을 향한 방향을 의미하며, 외측은 이와는 반대로 더스트커버(100)의 흡습 대상이 되는 습기를 머금은 공기가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용 제습기는 헤드램프 내부로 유입된 습기를 제거하여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면이 개방되며, 중공인 내부에 분말 형태의 제습제(500)를 수용하는 더스트커버(100);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으며,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내,외부로 공기가 통과되는 재질의 투습지(300);
상기 투습지(300)의 내측면 및 외측면과 접촉되며, 외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통과홀(450)이 형성되고, 일정 경도로 형성되어 상기 제습제(500)가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내부공간에서 팽창되도록 유도하는 마모방지지그(400); 및
상기 투습지(300)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마모방지지그(400)로 지지하며, 외부 공기가 상기 더스트커버(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개방부(210)가 형성된 고정지그(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용 제습기는 결로현상을 방지하여 램프의 기능을 보존,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램프하우징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어 램프하우징 내부 공기중의 습기를 흡습하기 위한 제습기이다.
상기 램프하우징은 차량의 헤드램프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헤드램프 내부에 제습제(500)에 의해 제습의 대상이 되는 습기가 존재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종래에는 제습제(500)를 충전한 부직포를 더스트커버(100)에 구겨넣어 제습기능을 수행하고 더스트커버(100)는 부직포를 보호하기 위함이었으나, 본 발명은 더스트커버(100)에 분말 형태의 제습제(500)를 충전하여 더스트커버(100) 자체가 제습기가 되어 흡습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습기는 분말 형태의 제습제(500)를 수용하는 더스트커버(100)가 구비되며,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되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내,외부를 통기하고 제습제(500)가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투습지(300)가 구비된다. 상기 투습지(300)의 외측에는 상기 투습지(300)를 보호하는 외측지그(420) 및 외측지그(420)를 고정하는 고정지그(200)가 배치되어, 상기 더스트커버(100) 내의 제습제(500)가 습기를 흡습, 팽창에 따라 상기 투습지(300)를 더스트커버(100)의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지그(200)의 외측에는 외부 공기가 더스트커버(100) 내,외로 통기되는 것을 차단하는 밀폐성의 차단필름(600)이 부착된다. 본 발명의 제습기가 조립 완료 후 운반시에 상기 차단필름(600)으로 인해 제습제(500)의 흡습이 중단되며, 제습의 대상이 되는 램프하우징에 장착시에 상기 차단필름(600)을 제거하여 투습지(300)의 통기성을 확보하여 상기 램프하우지 내의 습기를 흡습하여 결로현상을 방지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커버(100)는 제습제(500)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로, 상면은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를 받아들이고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제습제(500)를 수용한다.
상기 더스트커버(100)는 램프하우징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어 흡습을 수행할 수 있으며, 램프하우징의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더스트커버(100)는 상면이 개방되며 저면이 밀폐되고, 측면은 밀폐된 내주연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더스트커버(100)는 램프하우징에 배치될 시에 상,저면이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세워서 장착된다.
상기 더스트커버(100)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습기의 외형을 이룬다.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내부에는 분말 형태의 제습제(500)가 수용된다. 종래의 제습제(500)는 부직포 내부에 담기고 부직포를 구겨서 상기 더스트커버(100) 내부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더스트커버(100) 내부의 공간활용도가 높지 않아 효율이 떨어지며 제습제(500)의 흡습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면서 부직포의 절곡된 부위의 가압력이 커져 부직포의 내구성이 떨어져 파손되어 제습제(500)가 누출될 가능성과 제습제(500)를 고정하는 핀을 파손시켜 제습제(500) 자체가 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습제(500)는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내부에 부직포없이 분말 형태로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더스트커버(100)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부직포 내부에 담기지 않기 때문에 부직포가 터지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제습제(500)는 분말형태이며 흡습시에 부피가 팽창하면서 딱딱하게 굳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습제(500)가 상기 더스트커버(100) 내부공간에 꽉 차도록 충전되는 것이 아닌, 제습제(500)의 팽창율을 고려하여 상기 더스트커버(100) 내부공간의 일부만 부피가 차치하도록 충전된다.
상기 더스트커버(100)는 수직방향으로 세워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제습제(500)는 세워진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하부에서 일정 높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습제(500)는 흡습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최소높이를 형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제습제(500)가 흡습시에 부피가 팽창하여 상기 제습제(500)가 형성하는 높이가 상승한다. 상기 제습제(500)가 최대로 흡습시에 최대의 부피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습제(500)가 상기 더스트커버(100) 내에서 형성하는 최대높이는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직경을 초과하지 않는다. 즉, 도 4(a)처럼, 상기 제습제(500)의 최대 부피는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내부공간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습제(500)가 더스트커버(100) 내부공간에 충전될 시에 제습제(500)가 흡습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더스트커버(100) 내에 제습제(500)가 충전되지 않은 여유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습제(500)의 흡습이 이루어지면서 제습제(500)의 부피가 팽창하는데, 이때 제습제(500)의 최대부피는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내부공간보다 작다.
상기 제습제(500)가 상기 더스트커버(100) 내에 충전되는 비율은 제습제(500)의 흡습시에 부피 팽창을 고려하여 50~70%로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습제(500)가 충전되지 않은 이외의 여유공간은 상기 제습제(500)의 부피팽창시에 팽창된 만큼의 부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습제(500)의 부피팽창시에 여유공간으로 부피가 팽창하므로 제습제(500)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도 상기 더스트커버(100)는 손상되지 않아 내구성이 확보된다.
상기 더스트커버(100) 내부공간은 상기 제습제(500)의 수용시에 내부공간을 분리하기 위해 격벽(1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벽(120)은 단일 또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어,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내부공간이 상기 격벽(120)에 의해 2등분, 4등분 또는 그 이상으로 분리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습제(500)는 격벽(120)에 의해 분리된 내부 공간에 충전되되, 각 분리된 공간에 충전되는 비율이 편향되지 않고 균등하도록 충전된다. 따라서 제습제(500)의 흡습시에 부피가 커지더라도 분리된 모든 공간에서 제습제(500)가 차지하는 공간의 비율이 균일하여, 충전이 편향된 제습제(500)의 팽창에 의한 상기 격벽(120) 또는 더스트커버(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격벽(120)은 후술할 마모방지지그(400)를 지지하도록 받침대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격벽(120)의 상면에 마모방지지그(400)의 저면이 접촉되어 지지된다.
또는,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내주연을 이루는 측면에 내측 중앙부를 향하도록 약간 돌출되는 지지대(110)가 형성되어 마모방지지그(400)를 받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10)는 내주연의 측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되 상호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10)의 상면에 마모방지지그(400)의 저면이 접촉되어 지지된다.
또는 상기 격벽(120)과 지지대(110)가 같이 형성되어, 마모방지지그(400)를 지지할 수도 있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개방된 상면에는 내부에 담긴 제습제(500)가 쏟아지지 않도록 방지하며 상기 더스트커버(100) 내,외부로 통기되도록 하는 투습지(300)가 구비된다.
상기 투습지(300)는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일면을 덮을 수 있도록 원형으로서, 통기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된다.
램프하우징의 내부의 습기는 더스트커버(100) 내부에 충전된 제습제(500)에 의해 흡습된다. 상기 제습제(500)는 더스트커버(100) 내에 구비되므로 상기 제습제(500)는 램프하우징 내의 습기가 함유된 공기와 접촉하여 흡습한다.
램프하우징의 공기는 상기 투습지(300)를 통과하여 더스트커버(100) 내부로 이동하고, 상기 제습제(500)가 투습지(300)를 통과한 공기와 접촉되어 흡습하면서 부피가 팽창한다.
상기 제습제(500)의 흡습으로 부피가 팽창시에 상기 더스트커버(100) 내 여유공간으로 팽창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더스트커버(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고 있는 투습지(300)를 더스트커버(100) 외측방향으로 압박하면서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습지(300)의 손상을 방지하고 팽창되는 제습제(500)의 가압을 지지하기 위해 고정지그(200)가 상기 투습지(300)를 보호하는 외측지그(420)의 외면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지그(20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투습지(300)와 외측지그(420)를 지지하기 위해 일정 경도를 보강할 수 있는 형상설계와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지그(200)에는 일정 경도를 지니되, 상기 투습지(300)를 통해 공기가 통기되기 위해 개방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개방부(210)의 면적은 제습제(500)의 흡습 성능과 투습지(300)의 통기성과 상기 고정지그(200) 경도 보강을 위한 형상 설계 등을 고려하여 일정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지그(200)는 상기 투습지(300)를 보호하는 외측 지그(420)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습제(500)가 흡습하여 부피가 팽창시에 더스트커버(100) 상면으로의 팽창을 저지하며 상기 더스트커버(100) 내 여유공간으로의 팽창을 유도한다.
따라서 상기 투습지(300)가 제습제(500)의 팽창에 따른 가압을 받더라도 상기 외측지그(420)와 고정지그(200)가 투습지(300)를 향한 팽창을 저지하므로 투습지(300)에 가해지는 인장응력이 감소되어 찢어짐과 같은 손상의 우려가 최소화된다.
상기 고정지그(200)는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 더스트커버(100) 상면의 내주연을 따라서 상기 고정지그(200)가 삽입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더스트커버(100)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더스트커버(100)의 내주연에는 이와 부합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나사체결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고정지그(200)가 더스트커버(100)에 결합되는 방법은 초음파 융착으로 결합될 수 있다. 고정지그(200)를 더스크 커버에 단단히 결합할 수만 있다면 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고정지그(200)와 더스트커버(100)의 결합부위에 열을 가하여 녹이고 결합부위끼리 맞닿도록 접촉시킨 후, 마찰가열에 의한 초음파 융착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적당하다. 이때, 상기 고정지그(200)와 더스트커버(100) 중 어느 하나에, 또는 모두에 융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융착 산(비드)을 만들 수 있다.
상기 고정지그(200)가 상기한 방법으로 더스트커버(100)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투습지(300)를 보호하는 외측지그(420)를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팽창하는 제습제(500)의 가압력에 의해 투습지(300)가 찢어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한다.
제습제(500)가 흡습하면 부피가 팽창할 뿐만 아니라 경도도 강해져 딱딱해진다. 분말형태 제습제(500)가 흡습하면서 부피 팽창과 딱딱하게 변하게 되는데, 차량 진동에 따라 제습제(500)와 접촉하는 투습지(300)는 마찰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약화될 수 있다.
상기 제습제(500)가 투습지(300)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서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습지(300)의 내측에 내측지그(410)가 구비된다. 상기 내측지그(410)는 일정 경도를 가져 다소 딱딱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개방된 상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지그(410)는 투습지(300)의 내측에 배치되므로 상기 투습지(300)의 내측면과 접촉된다.
상기 내측지그(410)에는 제습제(500)가 투습지(30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투습지(300)의 내측에 구비되되, 제습제(500)의 원활한 흡습기능을 발휘하도록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수의 통과홀(450)이 형성된다. 상기 통과홀(450)을 통하여 공기가 통과할 수 있으며, 제습제(500)의 흡습기능을 도울 수 있다.
따라서, 램프하우징 내의 습기를 함유한 공기는 고정지그(200)의 개방부(210), 외측지그(420)의 통과홀(450), 투습지(300) 및 내측지그(410)의 통과홀(450)을 통과하여 더스트커버(100)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며, 제습제(500)와 접촉되어 습기가 제습제(500)에 의해 흡수된다. 또한, 제습제(500)의 습기가 방출될 시에는 위와는 역순으로 더스트커버(100) 내부에서 내측지그(410)의 통과홀(450), 투습지(300), 외측지그(420)의 통과홀(450) 및 고정지그(200)의 개방부(210)를 통과하여 램프하우징으로 방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내측지그(410)와 외측지그(420)는 그 사이에 얇은 투습지(300)만이 존재하므로 통과홀(450)이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통과홀(450)의 위치가 동일하게 배치되기 위해서는 동일한 위치에 통과홀(450)이 형성된 외측지그(420)에서 통과홀(450)를 제조하고, 이러한 내측지그(410)와 외측지그(420)가 차량의 이동시의 진동에도 위치 변경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도 2와 같이, 내측지그(410)의 상면에 위치고정돌기(430)을 형성시키고, 외측지그(420)의 대응되는 곳에 위치고정홈(440)을 두어 서로 암수결합되게 배치한다.
본 발명은 내측지그(410)와 외측지그(420)을 통칭하여 마모방지지그(400)라 한다. 마모방지지그(400)는 그 내부에 투습지(300)가 배치되어 암수결합되므로, 투습지에 위치고정돌기(430)가 관통되는 투습지홈(310)을 형성시킨다.
투습지(300)는 그 양면에 마모방지지그(400)가 형성되어 제습제(500)의 경도 변경과 자동차의 진동에도 마모되지 않고, 또한 제습제(500)의 팽창에도 견고하게 지지되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즉, 상기 마모방지지그(400)가 구비된 더스트커버(100)에서, 내측지그(410)에 의하여 자동차 진동에 의한 분말형 상기 제습제(500)가 투습지(300)와 마찰을 최소화하며, 흡습함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며, 상기 고정지그(200)와 외측지그(420)에 의해 제습제(500)의 가압력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며, 상기 마모방지지그(400)에 의해 제습제(500)와의 접촉이 최소화된다.
상기 제습제(500)는 고정지그(200) 및 마모방지지그(400)에 의해 더스트커버(100) 외측으로의 팽창이 제한되고 내부공간으로 팽창된다. 또한 자동차 진동으로 인한 제습제(500)와 투습지(300) 직접적인 마찰이 상기 내측지그(410)에 의해 제습제(500)가 투습지(300)와의 접촉이 최소화되어 투습지(300)의 마모 발생이 최소화되어 손상이 방지되므로 제습제(500)가 투습지(300) 마모로 인하여 더스트커버(100) 외측으로 누출되지 않는다. 즉, 자동차 진동으로 인하여 제습제(500)는 마모방지지그(400)와 마찰을 일으킨다.
상기 마모방지지그(400)의 통과홀(450)의 갯수와 크기는 제습제(500)의 흡습성능과 투습지(300)의 통기성 및 고정지그(200)의 개방부(210) 면적과 차량 진동으로 인한 투습지(300)의 마찰력 최소를 고려하여 적절한 설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모방지지그(400)는 더스트커버(100) 내에 형성된 격벽(120)의 상면과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또는 더스트커버(100)의 지지대(110)에 걸쳐져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격벽(120)과 지지대(110) 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지지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지그(200)의 외측에는 차단필름(600)이 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차단필름(600)은 상기 더스트커버(100) 내,외부로의 통기를 차단하여 제습제(500)의 성능을 보존할 수 있다.
상기 램프하우징에 본 발명의 제습기가 장착되기 전에 차단필름(600)이 부착되어 제조되며, 제조 이후 램프하우징에 장착하기 전까지 운반시에 상기 차단필름(600)이 부착된 상태로 이동되므로 제습기의 성능이 보존되므로 보관 및 운반할 시에 관리가 용이하다.
상기 램프하우징에 장착될 시에 상기 차단필름(600)을 떼어 제거한 후 장착되며, 제습제(500)가 습기의 흡수 및 방출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용 제습기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제조공정에서 상기 더스트커버(100)는 차단필름(600)이 부착되어 밀폐된 채 보관 및 운반이 이루어지며, 상기 램프하우징에 장착시에 상기 차단필름(600)을 제거한다.
상기 차단필름(600)의 제거로 통기성이 형성되므로, 상기 램프하우징의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를 함유한 공기는 고정지그(200)의 개방부(210), 외측지그(420), 투습지(300), 내측지그(410)를 통과하여 더스트커버(100) 내의 제습제(500)와 접촉되어 습기가 제습제(500)에 흡수된다.
흡습함에 따라 상기 제습제(500)는 부피가 팽창하게 되는데, 고정지그(200)에 의해 더스트커버(100) 외측으로의 팽창이 제한되고 더스트커버(100) 내의 여유공간으로 팽창되며, 상기 내측지그(410)와 접촉되어 마찰하면서 팽창한다. 따라서 상기 투습지(300)와 제습제(500)와의 마찰이 최소화되어 상기 투습지(300)의 손상이 방지되므로 투습지(300)가 찢어지는 등의 손상이 방지된다.
상기 제습제(500)의 팽창시에 최대부피는 상기 더스트커버(100) 내의 공간으로 한정되므로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최대부피로 팽창한 제습제(500)는 딱딱하게 굳어도 상기 내측지그(410)에 의해 투습지(300)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다.
상기 제습제(500)에 함유된 습기의 방출시에, 상기 내측지그(410), 투습지(300), 외측지그(420) 및 고정지그(200)를 통과하여 램프하우징으로 습기가 이동된다.
본 발명의 헤드램프용 제습기는 상기 램프하우징 내의 습도를 조절함으로써 기온차가 크게 나더라도 결로현상을 방지하여 또렷하게 빛을 투사할 수 있어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한 운행을 도울 수 있다.
또한, 분말 형태의 제습제(500)가 더스트커버(100)에 담기므로 제습제(500)의 성능이 향상되며, 더스트커버(100) 내부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습제(500)의 팽창에 의한 가압력이 고정지그(200) 및 마모방지지그(400)에 의해 지지되므로 투습지(300)의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습제(500)의 소재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습제(500)는 흡습제 50~60중량%, 경화제 30~40중량% 및 왁스 5~1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흡습제는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5~15중량% 및
염화마그네슘(magnesium chloride) 및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중 어느 하나 이상 85~9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경화제는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및 산화칼슘(calcium oxid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습제(500) 100중량부에 흡습향상제 1~5중량부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흡습향상제는 탄산칼륨(potassium carbonate) 30~40중량%,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20~30중량%, 수산화칼륨 20~30중량%, 2-프로펜산 나트륨 2-프로펜아마이드 중합체(SODIUM 2-PROPENOATE 2-PROPENAMIDE POLYMER) 5~10중량% 및 고구마순발효분말 0.1~1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고구마순발효분말은,
고구마순을 100~110℃에서 1~2시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상기 증숙된 고구마순을 10~15℃에서 1~2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고구마순 100중량부에 알룰로스 1~5중량부 및 진피추출액 40~50중량부를 가하고 1.2~1.6기압, 80~90℃에서 3~4시간 동안 추출하여 고구마순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고구마순추출액 100중량부에 복분자종균 1~5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 1~5중량부 및 자일로스 1~5중량부를 가하고 20~24℃에서 12~14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고구마순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고구마순발효액을 동결건조한 후 분말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진피추출액은 진피 100중량부에 95%(v/v) 에탄올 500~600중량부를 가하고 25~27℃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여과하여 제조한다.
상기 복분자종균은,
복분자 100g에 100㎖의 멸균수를 가하고 마쇄기로 분쇄한 다음 착즙한 후 여과하여 복분자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옥수수가루 및 갈락토오스를 중량비 1:1로 배합하여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배지 100중량부에 상기 복분자 추출액 50중량부를 가하고 20~22℃에서 20~22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투습지(300)의 소재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투습지(30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중 어느 하나의 통기성 필름에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성분을 함유한 2성분 부직포를 열접착한 통기성 포장지;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통기성 포장지에 아크릴라텍스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 중 어느 하나를 코팅하여 제조한 것;
으로 구성된 군으로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 마모방지지그(400), 투습지(300) 및 고정지그(200)가 하나로 된 상태의 투습도는 1,000~6,000g/㎡·24hr (JIS Z 0208) 인 것이 바람직하다.
JIS Z 0208은 투습도 측정방법이다.
상기 마모방지지그(400), 투습지(300) 및 고정지그(200)가 하나로 된 상태의 내방출율은 0.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모방지지그(400), 투습지(300) 및 고정지그(200)가 하나로 된 상태의 내방출율이 0.5% 이상이면 램프용 제습제가 흡습한 습기의 발산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흡습제 55중량%, 경화제 35중량% 및 폴리에틸렌 왁스 10중량%를 혼합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형성 후, 혼합 조성물을 평균온도 120℃로 가열된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가열 및 용융시켜 펠렛화함으로 과립형 제습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과립형 제습제를 분쇄기로 분쇄함으로 분말형 제습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흡습제는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10중량% 및 염화마그네슘(magnesium chloride) 9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경화제는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을 사용하였다.
이어서 길이 100㎜와 너비 100㎜의 투습지에 상기 제습제를 투입한 후, 열씽링기를 이용하여 120℃의 온도에서 가공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투습지는 HDPE 통기성 포장지에 아크릴라텍스 수지를 코팅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제습제 100중량부에 흡습향상제 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였다.
상기 흡습향상제는 탄산칼륨(potassium carbonate) 40중량%,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25중량%, 수산화칼륨 25중량%, 2-프로펜산 나트륨 2-프로펜아마이드 중합체(SODIUM 2-PROPENOATE 2-PROPENAMIDE POLYMER) 9중량% 및 고구마순발효분말 1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고구마순발효분말은, 고구마순을 100℃에서 1시간 동안 증숙하고, 상기 증숙된 고구마순을 15℃에서 1일 동안 숙성하고, 상기 숙성된 고구마순 100중량부에 알룰로스 5중량부 및 진피추출액 50중량부를 가하고 1.2기압, 8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여 고구마순추출액을 수득하고, 상기 고구마순추출액 100중량부에 복분자종균 5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 5중량부 및 자일로스 5중량부를 가하고 24℃에서 14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고구마순발효액을 제조하고, 상기 고구마순발효액을 동결건조한 후 분말화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진피추출액은 진피 100중량부에 95%(v/v) 에탄올 600중량부를 가하고 25℃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복분자종균은, 복분자 100g에 100㎖의 멸균수를 가하고 마쇄기로 분쇄한 다음 착즙한 후 여과하여 복분자 추출액을 제조하고, 옥수수가루 및 갈락토오스를 중량비 1:1로 배합하여 배지를 제조하고, 상기 배지 100중량부에 상기 복분자 추출액 50중량부를 가하고 22℃에서 20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염화마그네슘 35중량%, 산화마그네슘 39중량%, 폴리에틸렌 왁스 10중량%, 저밀도폴리에틸렌수지 15중량%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중량%를 혼합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형성 후, 혼합 조성물을 평균온도 120℃로 가열된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가열 및 용융시켜 펠렛화함으로 과립형 흡습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과립형 흡습제를 분쇄기로 분쇄함으로 분말형 흡습제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길이 100㎜와 너비 100㎜의 통기성 포장재에 상기 흡습제를 투입한 후, 열씽링기를 이용하여 120℃의 온도에서 가공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통기성 포장재는 고밀도폴리에틸렌 부직포에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필름을 열 합지 후 합지 형태의 필름에 천공을 형성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2의 시편 및 비교예 1의 시편에 대해 흡습율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항온항습기를 이용하여 50±2℃ 온도 및 95±5% 상대습도 하에서 시편을 7일간 노출시킨 후 흡습율을 측정하며, 흡습율은 하기의 식으로 계산된다.
흡습율(%) = (일정시간 노출 후의 최종무게 - 초기무게) X 100 / 초기무게
구분 흡습율(%)
실시예 1 174
실시예 2 187.6
비교예 1 137.2
표 1에 의하면, 실시예 1, 2 시편의 흡습율은 비교예 1 시편의 흡습율에 대비하여 현저히 개선된 흡습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마모방지지그(400), 실시예 1의 투습지(300) 및 고정지그(200)가 하나로 된 상태의 시편의 내방출율을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시편을 23±2℃ 온도 및 50±5% 상대습도 하에서 48시간 흡습시킨 후 흡습량, 이를 다시 70±2℃로 설정된 오븐에서 12 시간 건조 시키고 각각의 건조 온도에서의 흡습량을 측정하였다. 즉, 초기 흡습을 진행하고 이후 건조를 함으로서, 초기와 건조 후의 흡습량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내방출율은 하기의 식에 각각의 흡습량을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내방출율(%)=(48시간흡습량(g)-12시간건조후중량(g))X100/48시간 흡습량(g)
구분 시편
초기(g) 36.73
48시간 흡습후(g) 42.81
12시간 건조후(g) 42.71
내방출율(%) 0.23
표 2에 의하면, 마모방지지그(400), 실시예 1의 투습지(300) 및 고정지그(200)가 하나로 된 상태의 내방출율은 0.23%로서, 0.5% 미만의 기준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100:더스트커버 110:지지대 120:격벽
200:고정지그 210:개방부
300:투습지 310:투습지홈
400:마모방지지그
410:내측지그 420:외측지그
430:위치고정돌기 440: 위치고정홈
450:통과홀 500:제습제 600:차단필름

Claims (7)

  1. 차량의 헤드램프에 장착되어 헤드램프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에 있어서,
    램프하우징에 장착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중공인 내부에 분말 형태의 제습제(500)를 수용하는 더스트커버(100);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으며,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내,외부로 공기가 통과되는 재질의 투습지(300);
    상기 투습지(300)의 내측면 및 외측면과 접촉되며, 외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통과홀(450)이 형성되고, 일정 경도로 형성되어 상기 제습제(500)가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내부공간에서 팽창되도록 유도하는 마모방지지그(400); 및
    상기 투습지(300)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마모방지지그(400)를 지지하며, 외부 공기가 상기 더스트커버(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개방부(210)가 형성된 고정지그(200);를 포함하는,
    헤드램프용 제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제(500)가 충전된 상기 더스트커버(100) 내부에는 상기 제습제(500)가 충전되지 않은 여유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습제(500)의 흡습시에 상기 제습제(500)의 부피는 상기 고정지그(200)의 내측 공간에서 팽창하되 최대 부피는 상기 더스트커버(100)의 내부 공간보다 작은,
    헤드램프용 제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방지지그(400)는,
    상기 투습지(300) 내측면에 배치되는 내측지그(410)와,
    상기 투습지(300) 외측면에 배치되는 외측지그(420)를 포함하되,
    상기 내측지그(410)에는 복수개의 위치고정돌기(430)가 돌출되어 상기 투습지(300)의 투습지홈(310)을 관통하여 상기 외측지그(420)의 위치고정홈(440)과 암수결합되는,
    헤드램프용 제습기.
  4. 제3항에 있어서,
    외부의 공기는 상기 고정지그(200)의 개방부(210)와 투습지(300) 및 상기 통과홀(450)을 통과하여 상기 더스트커버(100)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제습제(500)는 차량진동으로 투습지(300)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내측지그(410)와 마찰되는,
    헤드램프용 제습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200)는 초음파 융착으로 상기 더스트커버(100)와 결합되는,
    헤드램프용 제습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제(500)는 흡습제 50~60중량%, 경화제 30~40중량% 및 왁스 5~1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흡습제는,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에틸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5~15중량% 및
    염화마그네슘(magnesium chloride) 및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중 어느 하나 이상 85~9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경화제는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및 산화칼슘(calcium oxid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투습지(30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중 어느 하나의 통기성 필름에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성분을 함유한 2성분 부직포를 열접착한 통기성 포장지;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통기성 포장지에 아크릴라텍스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 중 어느 하나를 코팅하여 제조한 것;
    으로 구성된 군으로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헤드램프용 제습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방지지그(400), 투습지(300) 및 고정지그(200)의 투습도는 1,000~6,000g/㎡·24hr (JIS Z 0208)이며,
    상기 마모방지지그(400), 투습지(300) 및 고정지그(200)의 내방출율은 0.5% 미만인,
    헤드램프용 제습기.
KR1020210171241A 2021-12-02 2021-12-02 헤드램프용 제습기 KR102609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241A KR102609273B1 (ko) 2021-12-02 2021-12-02 헤드램프용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241A KR102609273B1 (ko) 2021-12-02 2021-12-02 헤드램프용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3122A true KR20230083122A (ko) 2023-06-09
KR102609273B1 KR102609273B1 (ko) 2023-12-01

Family

ID=86765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241A KR102609273B1 (ko) 2021-12-02 2021-12-02 헤드램프용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27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619B1 (ko) * 2016-05-19 2017-03-17 박용국 제습장치
KR20170080045A (ko) * 2015-12-31 2017-07-1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1760304B1 (ko) 2016-09-20 2017-07-24 주식회사 데시칸트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20190132816A (ko) * 2018-05-21 2019-11-29 김영수 제습용 더스트 커버
KR20200124652A (ko) * 2018-06-05 2020-11-03 판아시안 마이크로벤트 테크 (지앙수) 코퍼레이션 밸브 플레이트 구조의 적외선 복사 건조 및 배기 기능을 가진 차량용 램프 리어 커버
KR20210042839A (ko) 2019-10-10 2021-04-20 주식회사 데시칸 내구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고성능 흡습제
KR102245735B1 (ko) * 2020-07-06 2021-04-28 주식회사 데시칸 자동차 램프용 습기 제어 성능이 탁월한 더스트 커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0045A (ko) * 2015-12-31 2017-07-1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1717619B1 (ko) * 2016-05-19 2017-03-17 박용국 제습장치
KR101760304B1 (ko) 2016-09-20 2017-07-24 주식회사 데시칸트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20190132816A (ko) * 2018-05-21 2019-11-29 김영수 제습용 더스트 커버
KR20200124652A (ko) * 2018-06-05 2020-11-03 판아시안 마이크로벤트 테크 (지앙수) 코퍼레이션 밸브 플레이트 구조의 적외선 복사 건조 및 배기 기능을 가진 차량용 램프 리어 커버
KR20210042839A (ko) 2019-10-10 2021-04-20 주식회사 데시칸 내구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고성능 흡습제
KR102245735B1 (ko) * 2020-07-06 2021-04-28 주식회사 데시칸 자동차 램프용 습기 제어 성능이 탁월한 더스트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273B1 (ko)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92673B1 (en) Desiccant entrained polymer
US6130263A (en) Desiccant entrained polymer
EP1092120B1 (en) Modified polymers having controlled transmission rates
US6080350A (en) Dessicant entrained polymer
US6174952B1 (en) Monolithic polymer composition having a water absorption material
US6221446B1 (en) Modified polymers having controlled transmission rates
US20050089687A1 (en) Absorbent polymeric composition
KR102058425B1 (ko) 제습용 더스트 커버
KR20230083122A (ko) 헤드램프용 제습기
KR102281021B1 (ko) 자동차 헤드라이트 결로방지 제습제 및 제습제품
KR102233831B1 (ko) 흡습성과 내방출성이 개선된 자동차 램프용 조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습 제품
AU742886B2 (en) A method of making a desiccating container with an insert from desiccant bearing material
KR20240041095A (ko) 자동차 램프용 케이스 일체형 흡습제 모듈
JP2001219969A (ja) 通気性を有する気泡シート
JPH04221144A (ja) 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