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816A - 제습용 더스트 커버 - Google Patents
제습용 더스트 커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32816A KR20190132816A KR1020180057799A KR20180057799A KR20190132816A KR 20190132816 A KR20190132816 A KR 20190132816A KR 1020180057799 A KR1020180057799 A KR 1020180057799A KR 20180057799 A KR20180057799 A KR 20180057799A KR 20190132816 A KR20190132816 A KR 201901328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dust cover
- inner case
- blocking
- headl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05—Devices preventing the lights from becoming dirty or damaged, e.g. protection grids or cleaning by air flow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2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습용 더스트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헤드라이트에 설치되어, 헤드라이트 내부의 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용 더스트 커버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 내측에 삽입되되, 상면이 개방되고, 흡습제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개방된 상면을 차단하며, 통기성을 가지는 차단부;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는 캡;을 포함하는 제습용 더스트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헤드라이트에 설치되어, 헤드라이트 내부의 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용 더스트 커버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 내측에 삽입되되, 상면이 개방되고, 흡습제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개방된 상면을 차단하며, 통기성을 가지는 차단부;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는 캡;을 포함하는 제습용 더스트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라이트에 장착되어, 헤드라이트 내부의 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용 더스트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헤드라이트(headlights)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헤드라이트는 내부에 마련되는 광원이 점등 또는 소등됨에 따라 램프의 내부 온도가 변화된다. 즉, 광원이 점등되면 광원의 발열에 의해 헤드라이트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됨에 따라 헤드라이트 내부의 공기가 열팽창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광원의 점등시 헤드라이트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반대로 광원의 소등시 외부의 공기가 헤드라이트 내부로 유입되도록 헤드라이트의 일측에는 벤트 홀(Vent hole)이 마련된다.
벤트 홀을 통한 헤드라이트의 내부공기 배출 시점은 광원이 점등되어 헤드라이트 내부의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내부공기가 열팽창을 이루는 경우이고, 벤트 홀을 통한 외부공기의 흡입 시점은 광원이 소등되어 헤드라이트 내부의 온도가 저하되어 외부 온도와 유사하게 되는 경우이다.
그런데, 차량용 헤드라이트는 광원의 점등과 소등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벤트 홀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헤드라이트 내부로 유입되면서, 외부 공기에 포함된 습기 또한 헤드라이트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러한 습기가 배출되지 않고 수분으로 변하여 렌즈 면에 결로가 생성된다.
이와 같이 헤드라이트 내부에 결로가 생성되는 경우, 전등에서 조사되는 광이 산란, 반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용 헤드라이트의 조명 기능 및/또는 신호 기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전자 부품 누전 발생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내부로 유입된 습기를 제습하기 위해, 흡습제가 담겨있는 포 형태의 흡습포를 헤드라이트의 후면에 위치한 더스트 커버에 삽입하거나 램프 하우징 내부에 장착한다.
이러한 경우, 포 형태의 흡습포가 더스트 커버 또는 램프 하우징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한된 장착공간에 사각포 형상의 흡습포를 구겨서 넣거나, 접어서 삽입한다. 부직포 형태의 흡습포 제품의 형상을 구겨서 넣기 때문에, 구겨진 부분에 내구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차량 운행시 진동 및 환경 변화에 따른 내구성 저하로 접합 부위가 터지거나 외피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포 형태의 흡습포는 내부의 흡습제가 습기를 제습하여 부풀어 오름에 따라 터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의 헤드라이트 내부의 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용 더스트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내구성이 향상된 제습용 더스트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헤드라이트에 설치되어, 헤드라이트 내부의 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용 더스트 커버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 내측에 삽입되되, 상면이 개방되고, 흡습제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개방된 상면을 차단하며, 통기성을 가지는 차단부;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는 캡;을 포함하는 제습용 더스트 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는, 통기성 재질로 구비되는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1 차단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비통기성 재질로 구비되는 제2 차단부;로 형성되되, 상기 제2 차단부는, 하나 이상의 통기홀을 포함하는 제습용 더스트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차단부는, 외부와의 통기가 가능한 통기 영역; 및 외부와의 통기를 차단하는 비통기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통기홀은 상기 통기 영역에 형성되는 제습용 더스트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부와의 통기가 가능하도록 개방된 개방부; 및 외부와 차단되도록 폐쇄된 폐쇄부;를 포함하되, 상기 캡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캡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개방부가 상기 통기 영역을 덮는 면적이 조절되어, 상기 통기 영역이 외부에 노출되는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통기량이 조절되는 제습용 더스트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볼트부; 및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제습용 더스트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볼트부와 체결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너트부; 상기 돌기부의 상하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돌기부를 고정하는 한 쌍의 돌출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내부 케이스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삽입되는 상기 내부 케이스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제습용 더스트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가 열융착 또는 초음파에 의해 상기 내부 케이스에 융착되는 제습용 더스트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측벽의 기 설정된 높이에 설치되어, 상기 흡습제가 습기를 제습하여 상기 내부 케이스의 기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부풀어 오르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제습용 더스트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헤드라이트에 설치되어, 헤드라이트 내부의 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용 더스트 커버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되고, 흡습제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차단하며, 통기성을 가지는 차단부;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는 캡;을 포함하는 제습용 더스트 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는, 통기성 재질로 구비되는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1 차단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비통기성 재질로 구비되는 제2 차단부;로 형성되되, 상기 제2 차단부는, 하나 이상의 통기홀을 포함하는 제습용 더스트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헤드라이트 내부의 습기를 제습할 수 있다.
또한, 내구성이 향상된 제습용 헤드라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습용 더스트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제습용 더스트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 및 알람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센서부 및 알람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따른 내부 케이스가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습용 더스트 커버가 차량에 수직으로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습용 더스트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제습용 더스트 커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습용 더스트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제습용 더스트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습용 더스트 커버가 차량에 수직으로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제습용 더스트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 및 알람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센서부 및 알람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따른 내부 케이스가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습용 더스트 커버가 차량에 수직으로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습용 더스트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제습용 더스트 커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습용 더스트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제습용 더스트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습용 더스트 커버가 차량에 수직으로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습용 더스트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제습용 더스트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습용 더스트 커버(1)는 본체(10), 내부 케이스(20), 차단부(30) 및 캡(40)을 포함한다. 제습용 더스트 커버(1)는 차량의 헤드라이트에 설치되어, 헤드라이트 내부의 습기를 제습할 수 있다.
본체(10)는 더스트 커버의 외형을 이룰 수 있다. 본체(10)에는 내부 케이스(2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형태이다. 일 예로, 본체(10)는 원통형의 형태일 수 있다.
내부 케이스(20)에는 흡습제(3)가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케이스(20)는 본체(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된 형태이다. 내부 케이스(20)의 내부에는 흡습제(3)가 수용되는 내부공간(21)이 형성된다.
또한, 내부 케이스(20)의 직경은 수용공간(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수용공간(11)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케이스(20)는 본체(10) 내측에 삽입된다. 다시 말해, 내부 케이스(20)는 본체(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20)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외관이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내부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에 수용되는 흡습제(3)가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차단부(30)는 내부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면을 차단하며, 통기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차단부(30)는 내부 케이스(20)의 상단 둘레에 부착될 수 있다. 차단부(30)는 내부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면을 차단하여, 내부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에 수용된 흡습제(3)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차단부(30)는 열융착 또는 초음파를 이용한 융착에 의해 내부 케이스(20) 상단에 부착될 수 있다. 다만, 차단부(30)의 부착 방법에 있어서 열융착 및 초음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단부(30)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내부 케이스(20)에 부착될 수 있다.
캡(40)은 본체(10)의 상부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캡(40)은 본체(10)의 상부에 체결되어, 본체(10)의 개방된 부분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캡(40)은 본체(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된 내부 케이스(2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캡(40)에는 외부와의 통기가 가능하도록 개방된 개방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41)를 통해 헤드라이트 내부의 습기를 제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습용 더스트 커버(1)가 헤드라이트에 설치될 때, 캡(40)이 헤드라이트 내부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캡(40)의 개방부(41)가 헤드라이트의 내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헤드라이트 내부에 습기가 찰 경우, 제습용 더스트 커버(1)의 내부 케이스(20)에 수용된 흡습제(3)에 의해 습기가 제습될 수 있다. 이때, 개방된 형태의 개방부(41)와 통기성을 가지는 차단부(30)를 통해 흡습제(3)가 쏟아지지 않으면서, 헤드라이트 내부의 습기를 제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단부(30)는 제1 차단부(31) 및 제2 차단부(32)를 포함한다.
제1 차단부(31)는 통기성의 재질로 구비된다. 다시 말해, 제1 차단부(31)는 미세공이 형성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차단부(31)는 부직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차단부(32)는 비통기성의 재질로 구비된다. 제2 차단부(32)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같은 수지 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2 차단부(32)는 필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비통기성의 재질인 제2 차단부(32)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홀(33)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차단부(32)는 비통기성의 재질로 형성되나, 통기홀(33)이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차단부(32)는 형성된 통기홀(33)의 개수를 통해, 통기량이 조절될 수 있다.
제2 차단부(32)는 제1 차단부(31)의 하부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차단부(32)는 제1 차단부(31)의 하면에 합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 및 알람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센서부 및 알람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습용 더스트 커버(1)는 센서부(50) 및 알람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50)는 흡습제(3)가 습기를 제습하여 내부 케이스(20)의 기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부풀어 오르는 것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50)는 내부 케이스(20)의 내측벽의 기 설정된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높이는 최초에 내부 케이스(20)에 수용된 흡습제(3)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로서, 내부 케이스(20)의 내측벽에서 쌓여있는 흡습제(3)의 높이와 차단부(30) 사이의 높이일 수 있다. 일 예로, 센서부(50)는 내부 케이스(20)의 내측벽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흡습제(3)가 내부 케이스(20)에 수용될 때, 내부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에 가득 수용되지 않고, 내부공간(21)에 여유공간을 남겨두고 흡습제(3)가 수용된다. 이는, 흡습제(3)가 헤드라이트 내부의 습기를 제습하여 부풀어 오르는 것을 대비하여 여유공간을 남겨두는 것이다.
그러나, 내부 케이스(20)에 흡습제(3)의 양이 과도하게 투입된 상태에서, 흡습제(3)가 부풀어 오르는 것을 계속해서 방치하게 되면, 흡습제(3)의 부풀어 오름에 따라 차단부(30)가 파손되어 흡습제(3)가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센서부(50)는 내부 케이스(20)의 내측벽에서 차단부(30)의 하측에 설치되어, 부풀어 오름에 따라 높이가 높아진 흡습제(3)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50)는 적외선 센서, 압력센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알람부(60)는 센서부(50)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흡습제(3)의 교체 시기를 알릴 수 있다. 알람부(60)는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도록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알람부(60)는 센서부(50)로부터 신호를 감지 받으면, 초록색 또는 빨간색불빛과 같은 LED 전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람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만, 알람부(6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알람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60)에 의해 흡습제(3)가 기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부풀어 오른 경우, 사용자는 흡습제(3)의 교체 시기를 알고 미리 교체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따른 내부 케이스가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0)는 너트부(12), 돌출부(13) 및 가압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케이스(20)는 볼트부(22) 및 돌기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을 통해, 내부 케이스(20)가 본체(10)에 안정적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내부 케이스(20)의 직경이 본체(10)의 수용공간(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 내부 케이스(20)를 수용공간(11)에 고정할 수 있다.
먼저, 너트부(12)는 본체(10)의 내부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돌출부(13)는 본체(10)의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13)는 한 쌍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돌기부(23)의 상하에 위치되도록 한 쌍의 돌출부(13)가 형성된다.
가압부(14)는 본체(10)의 내측면에서 내부 케이스(20)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압부(14)는 본체(10)의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단부에서 바닥면을 향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연장될 수 있다. 또는, 가압부(14)는 본체(10)의 내측면에서 본체(10)의 바닥면을 향하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연장 형성 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14)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가압부(14)는 수용공간(11)으로 삽입되는 내부 케이스(20)를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부(14)는 단부가 수용공간(11)의 중심부를 향해 하향 경사 지도록 돌출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20)가 삽입될 때, 내부 케이스(20)가 가압부(14)의 단부를 본체(10)의 내측면을 향해 누르면서 삽입된다. 이에, 가압부(14)가 원상복귀하려는 힘에 의해, 내부 케이스(20)를 가압하며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가압부(14)는 본체(10)에 삽입되는 내부 케이스(20)의 측면을 가압하여, 내부 케이스(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14)는 돌출부(13)의 하측에 위치되어, 내부 케이스(20)의 하부를 가압하여, 내부 케이스(20)를 수용공간(11)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볼트부(22)는 내부 케이스(20)의 외부 바닥면에서 하방을 향해 설치될 수 있다. 볼트부(22)는 너트부(12)에 체결될 수 있다.
돌기부(23)는 내부 케이스(20)의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3)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내부 케이스(20)가 본체(10)에 삽입되면, 돌기부(23)는 한 쌍의 돌출부(13) 사이에 위치되어, 내부 케이스(20)가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의 수용공간(11)에 내부 케이스(20)가 삽입될 경우, 돌기부(23)가 한 쌍의 돌출부(13)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케이스(20)의 하부는 가압부(14)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케이스(20)가 본체(10)에 삽입된 후, 내부 케이스(20)를 회전 시키면 너트부(12)에 볼트부(22)가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너트부(12)와 볼트부(22), 돌출부(13)와 돌기부(23), 가압부(14)를 통해 본체(10)의 수용공간(11)에 내부 케이스(2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습용 더스트 커버가 차량에 수직으로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습용 더스트 커버(1)는 칸막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칸막이부(70)는 내부 케이스(20)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습용 더스트 커버(1)가 차량에 장착될 시,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부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에 수용된 흡습제(3)가 세워진 상태에서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칸막이부(70)는 내부 케이스(20)에 배치되어, 내부공간(21)의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즉, 칸막이부(70)는 내부 케이스(20)내의 내부공간(21)에 복수개가 이격되어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칸막이부(70)는 내부공간(21)에서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칸막이부(70)는 내부공간(21)이 벌집 구조(허니컴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칸막이부(70)에 의해 내부공간(21)에서 흡습제(3)가 수용되는 영역이 분할될 수 있다. 흡습제(3)는 칸막이부(70)에 의해 분할된 각 공간마다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습용 더스트 커버(1)를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장착하더라도, 흡습제(3)의 쏠림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습용 더스트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제습용 더스트 커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차단부(30)는 제1 차단부(31) 및 제2 차단부(32)를 포함한다.
이때, 제2 차단부(32)는 통기 영역(F1) 및 비통기 영역(F2)을 포함한다.
통기 영역(F1)은 외부와의 통기가 가능하고, 비통기 영역(F2)은 외부와의 통기가 차단된다. 일 예로, 통기 영역(F1)에는 통기홀(33)이 형성되고, 비통기 영역(F2)에는 통기홀(33)이 형성되지 않는다.
캡(40)은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캡(40)은 개방부(41) 및 폐쇄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부(41)는 외부와의 통기가 가능하도록 개방된다. 일 예로, 개방부(41)에는 외부와의 통기가 가능하도록 캡(40)에 형성된 홈일 수 있다.
폐쇄부(42)는 외부와 차단되도록 폐쇄된 부분이다.
이때, 캡(40)이 회전함에 따라, 개방부(41)가 통기 영역(F1)을 덮는 면적이 조절되어, 통기 영역(F1)이 외부에 노출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도 9a를 참조하면, 개방부(41)가 통기 영역(F1) 상에 위치되어, 개방부(41)의 면적 전체에 통기 영역(F1)이 개방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개방부(41)가 통기 영역(F1)과 비통기 영역(F2) 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경우, 개방부(41)에 의해 통기 영역(F1)의 일부와 비통기 영역(F2) 일부가 노출되고, 폐쇄부(42)에 의해 통기 영역(F1)의 다른 일부가 차단될 수 있다.
즉, 도 9a의 경우가 도 9b보다 통기 영역(F1)이 더 개방되어, 통기량이 높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캡(40)을 회전시켜, 통기 영역(F1)의 개방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습용 더스트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제습용 더스트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습용 더스트 커버(1)는 본체(10), 차단부(30) 및 캡(4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흡습제(3)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을 포함한다. 즉, 본체(10) 내부의 수용공간(11)에 흡습제(3)가 공급될 수 있다. 본체(10)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 형태일 수 있다.
차단부(30)는 본체(10)의 개방된 상면을 차단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상면 둘레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차단부(30)는 본체(10)의 상면에 열융착 또는 초음파에 의해 융착될 수 있다.
차단부(30)는 본체(10) 내부에 수용된 흡습제(3)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0)의 개방된 상면에 융착될 수 있다. 차단부(30)는 흡습제(3)의 방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헤드라이트 내부의 습기를 제습할 수 있도록 통기성을 가진다.
차단부(30)는 제1 차단부(31) 및 제2 차단부(32)를 포함한다.
제1 차단부(31)는 통기성의 재질로 구비되고, 제2 차단부(32)는 비통기성의 재질로 구비된다.
제2 차단부(32)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홀(33)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차단부(32)는 비통기성의 재질로 형성되나, 통기홀(33)이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차단부(32)는 형성된 통기홀(33)의 개수를 통해, 통기량이 조절될 수 있다.
제2 차단부(32)가 제1 차단부(31)의 하부에 위치되어, 제2 차단부(32)와 제1 차단부(31)는 하면에 합지될 수 있다.
캡(40)은 차단부(3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본체(10)의 상부에 체결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습용 더스트 커버가 차량에 수직으로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습용 더스트 커버(1)는 칸막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칸막이부(70)는 내부 케이스(20)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습용 더스트 커버(1)가 차량에 장착될 시,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부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에 수용된 흡습제(3)가 세워진 상태에서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칸막이부(70)는 내부 케이스(20)에 배치되어, 내부공간(21)의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즉, 칸막이부(70)는 내부 케이스(20)내의 내부공간(21)에서 복수개가 수직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흡습제(3)는 칸막이부(70)에 의해 분할된 각 공간마다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습용 더스트 커버(1)를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장착하더라도, 흡습제(3)의 쏠림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용 더스트 커버(1)는 단단한 재질의 본체(10) 또는 내부 케이스(20)에 흡습제(3)가 수용되어, 내구성이 향상된 제습용 더스트 커버(1)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차단부(32)의 통기홀(33) 개수를 통해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제습용 더스트 커버
3: 흡습제
10: 본체
20: 내부 케이스
30: 차단부
31: 제1 차단부
32: 제2 차단부
40: 캡
3: 흡습제
10: 본체
20: 내부 케이스
30: 차단부
31: 제1 차단부
32: 제2 차단부
40: 캡
Claims (10)
- 차량의 헤드라이트에 설치되어, 헤드라이트 내부의 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용 더스트 커버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 내측에 삽입되되, 상면이 개방되고, 흡습제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개방된 상면을 차단하며, 통기성을 가지는 차단부;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는 캡;을 포함하는 제습용 더스트 커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통기성 재질로 구비되는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1 차단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비통기성 재질로 구비되는 제2 차단부;로 형성되되,
상기 제2 차단부는,
하나 이상의 통기홀을 포함하는 제습용 더스트 커버.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단부는,
외부와의 통기가 가능한 통기 영역; 및
외부와의 통기를 차단하는 비통기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통기홀은 상기 통기 영역에 형성되는 제습용 더스트 커버.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캡은,
외부와의 통기가 가능하도록 개방된 개방부; 및
외부와 차단되도록 폐쇄된 폐쇄부;를 포함하되,
상기 캡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캡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개방부가 상기 통기 영역을 덮는 면적이 조절되어, 상기 통기 영역이 외부에 노출되는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통기량이 조절되는 제습용 더스트 커버.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볼트부; 및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제습용 더스트 커버.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볼트부와 체결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너트부;
상기 돌기부의 상하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돌기부를 고정하는 한 쌍의 돌출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내부 케이스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삽입되는 상기 내부 케이스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제습용 더스트 커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가 열융착 또는 초음파에 의해 상기 내부 케이스에 융착되는 제습용 더스트 커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측벽의 기 설정된 높이에 설치되어, 상기 흡습제가 습기를 제습하여 상기 내부 케이스의 기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부풀어 오르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제습용 더스트 커버.
- 차량의 헤드라이트에 설치되어, 헤드라이트 내부의 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용 더스트 커버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되고, 흡습제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차단하며, 통기성을 가지는 차단부;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는 캡;을 포함하는 제습용 더스트 커버.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통기성 재질로 구비되는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1 차단부의 하부에 위치되며 비통기성 재질로 구비되는 제2 차단부;로 형성되되,
상기 제2 차단부는,
하나 이상의 통기홀을 포함하는 제습용 더스트 커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7799A KR102058425B1 (ko) | 2018-05-21 | 2018-05-21 | 제습용 더스트 커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7799A KR102058425B1 (ko) | 2018-05-21 | 2018-05-21 | 제습용 더스트 커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2816A true KR20190132816A (ko) | 2019-11-29 |
KR102058425B1 KR102058425B1 (ko) | 2019-12-23 |
Family
ID=68728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7799A KR102058425B1 (ko) | 2018-05-21 | 2018-05-21 | 제습용 더스트 커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8425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5735B1 (ko) * | 2020-07-06 | 2021-04-28 | 주식회사 데시칸 | 자동차 램프용 습기 제어 성능이 탁월한 더스트 커버 |
KR20220118702A (ko) * | 2021-02-19 | 2022-08-26 | 주식회사 마노 | 차량의 승하차 안전 보조 시스템 |
KR102470788B1 (ko) * | 2022-04-13 | 2022-11-28 | 주식회사 데시칸 | 자동차 램프용 더스트 커버 |
KR20230023915A (ko) * | 2021-08-11 | 2023-02-20 | 주식회사 데시칸 | 흡습제어가 가능한 더스트 커버 |
KR20230083122A (ko) * | 2021-12-02 | 2023-06-09 | 박상우 | 헤드램프용 제습기 |
KR20230085254A (ko) * | 2021-12-06 | 2023-06-14 | (주)티케이이엔에스 | 자동차 램프용 습기 제어 모듈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0302B1 (ko) | 2016-09-20 | 2017-07-24 | 주식회사 데시칸트 |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4501B1 (ko) * | 2015-11-11 | 2017-01-10 | (주)에스와이산업 | 가구용 제습기 |
-
2018
- 2018-05-21 KR KR1020180057799A patent/KR10205842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0302B1 (ko) | 2016-09-20 | 2017-07-24 | 주식회사 데시칸트 |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5735B1 (ko) * | 2020-07-06 | 2021-04-28 | 주식회사 데시칸 | 자동차 램프용 습기 제어 성능이 탁월한 더스트 커버 |
JP2022022939A (ja) * | 2020-07-06 | 2022-02-07 | デシカーン シーオー., エルティーディー. | 卓越した湿気制御性能を有する自動車ランプ用ダストカバー |
US11534715B2 (en) | 2020-07-06 | 2022-12-27 | Desikhan Co., Ltd. | Dust cover for automotive lamps with excellent moisture control performance |
KR20220118702A (ko) * | 2021-02-19 | 2022-08-26 | 주식회사 마노 | 차량의 승하차 안전 보조 시스템 |
KR20230023915A (ko) * | 2021-08-11 | 2023-02-20 | 주식회사 데시칸 | 흡습제어가 가능한 더스트 커버 |
KR20230083122A (ko) * | 2021-12-02 | 2023-06-09 | 박상우 | 헤드램프용 제습기 |
KR20230085254A (ko) * | 2021-12-06 | 2023-06-14 | (주)티케이이엔에스 | 자동차 램프용 습기 제어 모듈 |
US11781728B2 (en) | 2021-12-06 | 2023-10-10 | Tkens Co., Ltd. | Moisture control module for automobile lamps |
KR102470788B1 (ko) * | 2022-04-13 | 2022-11-28 | 주식회사 데시칸 | 자동차 램프용 더스트 커버 |
WO2023200172A1 (ko) * | 2022-04-13 | 2023-10-19 | 주식회사 데시칸 | 자동차 램프용 더스트 커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58425B1 (ko) | 2019-1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58425B1 (ko) | 제습용 더스트 커버 | |
JP6823371B2 (ja) | 通気調湿ユニットおよび機器 | |
JP4276246B2 (ja) | 閉鎖されたランプハウジング内の通気装置 | |
US8069875B2 (en) | Ventilation member, ventilation member kit, and vented housing and vented tank using them | |
AU2006205114B2 (en) | Improved venting system for minimizing condensation in a lighting assembly | |
JP4498996B2 (ja) | 筐体の通気構造 | |
JP2007087666A (ja) | 通気部材及び通気構造 | |
JP2011519136A (ja) | ランプ包囲体用換気システム | |
US10180230B2 (en) | Vehicle lamp | |
WO2007099782A1 (ja) | 通気部材および通気構造 | |
JP4775249B2 (ja) | 車両用灯具 | |
KR101741089B1 (ko) |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 |
KR101668818B1 (ko) | 결로방지용 압력조절 벤트 | |
WO2000047932A9 (en) | Headlight assembly humidity control system | |
WO2000047932A1 (en) | Headlight assembly humidity control system | |
KR101728997B1 (ko) |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 |
GB2384197A (en) | A regenerating dehumidifier. | |
CN110056835A (zh) | 灯具以及具有该灯具的机动车辆 | |
CN109708074A (zh) | 灯具除雾结构以及具有该结构的机动车辆照明设备 | |
US20060222791A1 (en) | Moisture-permeable dehumidifying capsule | |
KR102609273B1 (ko) | 헤드램프용 제습기 | |
KR20230112883A (ko) | 차량용 제습제 케이스 | |
KR20240041095A (ko) | 자동차 램프용 케이스 일체형 흡습제 모듈 | |
JP2023111303A (ja) | 発光装置 | |
JPS62249303A (ja) | ラン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