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506B1 - 방담성 및 열융착 접착강도가 우수한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 - Google Patents

방담성 및 열융착 접착강도가 우수한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506B1
KR102175506B1 KR1020190131324A KR20190131324A KR102175506B1 KR 102175506 B1 KR102175506 B1 KR 102175506B1 KR 1020190131324 A KR1020190131324 A KR 1020190131324A KR 20190131324 A KR20190131324 A KR 20190131324A KR 102175506 B1 KR102175506 B1 KR 102175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intermediate layer
parts
density pol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비스
정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비스, 정의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비스
Priority to KR1020190131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32B3/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of hollow pieces, e.g. tubes; of pieces with channels or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0/00Agriculture-related art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외부를 향하는 상부층(10), 다수 개의 에어캡(60)이 형성되어 있는 제1중간층(20) 및 제3중간층(40), 상기 제1중간층(20)과 제3중간층(40) 사이에 삽입되는 제2중간층(30), 비닐하우스의 내부를 향하는 하부층(50)을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10)과 제2중간층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40 내지 60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20 내지 40 중량%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상부층용 및 제2중간층용 시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1중간층(20) 및 제3중간층(40)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10 내지 30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10 내지 30 중량%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5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는 제1중간층용 및 제3중간층용 시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하부층(50)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20 내지 40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40 내지 60 중량%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하부층용 시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상부층(10)과 제2중간층(30)은 상기 상부층용과 제2중간층용 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외선(UV) 흡수 및 차단제 1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층(50)은 상기 하부층용 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외선(UV) 흡수 및 차단제 1 내지 15 중량부 및 방담제 1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담제는 C8 내지 C18의 알킬 술포아세테이트, 솔비탄 지방산 에스터 및 글라이세린 지방산 에스터를 1: 2: 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이고,
상기 하부층(50)은 상기 하부층용 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톡시기를 갖는 메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 5 내지 2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방담성 및 열융착 접착강도가 우수한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FIVE LAYER HEAT INSULATION SHEET HAVING EXCELLENT ANTI-FOGGING PROPERTY AND MELT ADHESION STRENGTH FOR VINYL HOUSE}
본 발명은 방담성이 우수하고, 우수한 단열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열융착 접착강도가 우수한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에 관한 것이다.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는 투광성, 보온성, 내후성 등과 같은 기능을 갖춤으로써, 비닐하우스 외부 환경의 변화로부터 작물을 보호하고 고품질, 고소득의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에어캡(air cap)을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는 기포가 들어간 필름의 일종으로 원래는 미국의 Sealed Air Corporation 회사 제품에 대하여 붙여진 이름이지만 최근에는 기포가 들어간 필름의 대명사처럼 쓰이고 있다. 이러한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의 일반적인 구조는 2장의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필름을 포개어 그 사이에 공기의 거품을 가둔 것이다. 이러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필름을 주체로 한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는 밀도가 염화비닐 수지보다 작기 때문에 가볍고, 소각해도 유독 가스의 발생이 적으며, 또한 인플레이션 성형법에 의해 폭 이음을 위한 접착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는 광폭 필름을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 것 등 때문에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즉,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은 단열성이 우수하여 비닐하우스에서 키우는 농작물에 필요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보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의 내면은 외부와 차단되고 외부와의 온도차 등에 의해 물방울이 맺힐 수 있다. 이와 같이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의 내면에 형성된 물방울은 비닐 하우스 내부의 농산물에 손상을 가져오거나 비닐 하우스의 광 투과도를 감소시켜 농산물의 생육 촉진을 저해할 수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8833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7035787호 등에서는 하우스 내측 필름 표면을 방담(防曇)제로 코팅하여, 장기간의 방담성 부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담제 코팅 타입은, 방담성의 지속성에 있어서 우수하지만, 방담성의 발현에 시간이 걸리고, 필름을 하우스에 전장한 직후의 초기의 방담성이 뒤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는 긴 길이와 규격화된 폭을 갖도록 제조되기 때문에, 비닐하우스에 설치시 길이방향으로 일부분을 중첩 배치한 상태에서 중첩 부위를 접착제를 매개로 이음 접착한 후 비닐하우스를 완전히 감싸도록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비닐하우스에 설치되는 단열시트의 중첩 부위는 계절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라 쉽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단열시트의 중첩 부위를 이음 접착하는 접착제는 계절에 의해 반복으로 변화되는 온도의 영향을 받아 접착력이 쉽게 상실됨으로써, 중첩 부위에 대한 견고한 접착력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를 열융착으로 접착하는 경우에도 기포가 들어간 필름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열융착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열융착 후, 중첩부위의 강도가 떨어지거나, 단열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883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3571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223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7855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87726호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초기의 방담성과 방담성의 지속성이 우수하고, 크기가 규격화된 수 개의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를 중첩하여 접착시, 우수한 단열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열융착 접착강도가 우수한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비닐하우스의 외부를 향하는 상부층, 다수개의 에어캡이 형성되어 있는 제1중간층 및 제3중간층, 그리고 그 사이의 제2중간층, 비닐하우스의 내부를 향하는 하부층을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과 제2중간층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40 내지 60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20 내지 40 중량%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상부층 및 제2중간층용 시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1중간층과 제3중간층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10 내지 30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10 내지 30 중량%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5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는 제1중간층용 및 제3중간층용 시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하부층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20 내지 40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40 내지 60 중량%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하부층(3)용 시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상부층과 제2중간층은 상부층용 및 제2중간층용 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외선(UV) 흡수 및 차단제 1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층은 하부층용 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외선(UV) 흡수 및 차단제 1 내지 15 중량부 및 방담제 1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방담제는 C8 내지 C18의 알킬 술포아세테이트, 솔비탄 지방산 에스터 및 글라이세린 지방산 에스터를 1: 2: 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이고; 상기 하부층은 하부층용 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톡시기를 갖는 메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 5 내지 2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상부층 및 제2중간층, 제1중간층 및 제3중간층, 하부층(3)에 포함되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은 용융지수가 0.1 내지 1.7 g/10분인 것이고, 밀도가 0.920 내지 0.936 g/㎤인 것이고; 상기 상부층 및 제2중간층, 제1중간층 및 제3중간층, 하부층(3)에 포함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는 용융지수가 0.5 내지 2.0 g/10분인 것이고, 밀도가 0.920 내지 0.928 g/㎤인 것이고; 상기 상부층 및 제2중간층과 하부층에 포함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는 용융지수가 0.5 내지 2.0 g/10분이고, 밀도가 0.920 내지 0.928 g/㎤인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을 0.1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것이고; 상기 상부층 및 제2중간층과 하부층에 포함되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는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0.1 내지 25 중량%인 것이고; 상기 제1중간층 및 제3중간층에 포함되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는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30 내지 50 중량%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중간층을 향하는 상부층의 일면 및 제3중간층을 향하는 하부층의 일면은 발포되어 미세기공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상부층 및 제2중간층, 제1중간층 및 제3중간층, 하부층의 두께 비율은 각각 2:1:2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상부층 및 제2중간층은 상부층용 및 제2중간층용 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멜라민 수지 5 내지 20 중량부 및 발포제 0.1 내지 2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하부층은 하부층용 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톡시기를 갖는 메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 5 내지 20 중량부 및 발포제 0.1 내지 2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는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 자체가 방담제를 함유하여, 초기의 방담성과 방담성의 지속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와 동시에, 둘 이상의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를 각각 열융착하는 경우, 우수한 열융착 접착강도를 갖고, 우수한 단열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접착 후, 접착부의 일체성이 뛰어나, 열융착 접착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단열 특성을 유지할 수 있어, 겨울에는 보온효과를 얻을 수 있고, 여름에는 보냉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두 개의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가 중첩 고정된 모습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상부층의 발포된 일면 및 하부층의 발포된 일면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외부를 향하는 상부층(10) 및 중간에 삽입되는 제2중간층(30)과, 다수 개의 에어캡(60)이 형성되어 있는 제1중간층(20) 및 제3중간층(40) 과, 비닐하우스의 내부를 향하는 하부층(50)을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비닐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는 위로부터 아래를 향해 상부층(10), 제1중간층(20), 제2중간층(30), 제3중간층(40), 하부층(50)이 차례로 적층 조합되면서 5층 단열시트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10)과 제2중간층(30)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40 내지 60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20 내지 40 중량%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상부층용 및 제2중간층용 시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1중간층(20) 및 제3중간층(40)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10 내지 30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10 내지 30 중량%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5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는 제1중간층용 및 제3중간층용 시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하부층(50)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20 내지 40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40 내지 60 중량%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하부층용 시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층(10) 및 제2중간층(20)은 상기 상부층용 및 제2중간층용 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외선(UV) 흡수 및 차단제 1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층(50)은 하부층용 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외선(UV) 흡수 및 차단제 1 내지 15 중량부 및 방담제 1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의 사시도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한, 상기 도 1에 도시된 A-A의 단면도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는 비닐하우스의 내부를 향하는 하부층(50) 자체가 방담제를 함유함으로써, 종래의 별도의 방담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초기의 방담성과 방담성의 지속성이 더욱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만을 포함하는 하부층이 방담제를 함유하는 경우와 비교하여도 초기의 방담성과 방담성의 지속성이 매우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방담제는 C8 내지 C18의 알킬 술포아세테이트, 솔비탄 지방산 에스터 및 글라이세린 지방산 에스터를 1: 2: 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이고; 상기 하부층(50)은 상기 하부층용 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톡시기를 갖는 메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 5 내지 20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방담제가 상기 하부층(50)의 표면에 매우 견고하게 분포하고, 고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초기의 방담성과 방담성의 지속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트의 열융착 후에도 열융착된 시트 부위에 상기 방담성의 효과가 저하되지 않고 우수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는 둘 이상의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를 각각 열융착하는 경우, 우수한 접착강도를 갖고, 우수한 단열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크기가 규격화된 수 개의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를 각각 열융착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충격에 의하여 시트에 구멍이 생긴 경우, 이를 보수하기 위하여, 열융착하는 경우에도 매우 유용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는 열융착으로 용이하고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기 때문에 히팅롤러 뿐만 아니라, 열풍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물리적인 충격에 의하여 시트에 구멍이 생긴 경우에 이를 보수하기 위하여, 열융착하는 경우에 열풍을 이용하여 용이하고 견고하게 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는 크기가 규격화된 수 개의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를 각각 열융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열융착은 각각의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의 하부층(50)과 상부층(10)이 마주보도록 중첩 고정한 후, 열풍에 의하여 용융된 상기 중첩부를 가압하고 접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첩부의 중첩되는 너비는 10 내지 50 cm 범위로 중첩 고정한 후, 접합함으로써, 우수한 열융착 접착강도를 갖고, 우수한 단열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두 개의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가 중첩 고정된 모습의 단면도는 도 3에 나타내었다. 이러한 경우,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의 대형화와 대량생산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경우, 방담제를 함유하는 하부층(50)이 비닐하우스의 내부를 향하도록 접합됨으로써,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의 초기 방담성과 방담성의 지속성이 우수한 효과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용 및 제2중간층용 시트 조성물은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의 차열성과 내후성을 향상시키고, 자외선(UV) 흡수 및 차단제와의 혼화성, 가공성 및 상기 제1중간층(20) 및 제3중간층(40) 또는 이어 붙혀지는 5층 단열시트의 하부층(50)과 열융착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를 50: 30: 20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작하다. 이때, 상기 상부층(10) 및 제2중간층(30)은 상기 상부층용 및 제2중간층용 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외선(UV) 흡수 및 차단제 1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자외선 노출에 의한 폴리머 분해를 억제시켜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의 사용 수명을 더욱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상부층용 및 제2중간층 시트 조성물에 포함되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옥텐(옥탄가 35% 이상)을 함유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옥텐 LLDPE)을 사용하여,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에 보다 우수한 인장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중간층용 및 제3중간층용 시트 조성물은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에 기포를 부여하면서 열융착이 더욱 용이하고 견고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를 20: 20: 60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층(50)용 시트 조성물은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의 차열성과 내후성을 향상시키고, 자외선(UV) 흡수 및 차단제, 및 방담제와의 혼화성, 가공성 및 상기 제3중간층(40) 또는 이어 붙혀지는 5층 단열시트의 상부층(19)과 열융착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를 30: 50: 20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작하다. 이때, 상기 하부층(50)은 상기 하부층용 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외선(UV) 흡수 및 차단제 1 내지 15 중량부 및 방담제 1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자외선 노출에 의한 폴리머 분해를 억제시켜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의 사용 수명을 더욱 연장할 수 있고, 농업용 필름의 내외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로점을 방지하고, 박무현상을 방지하며, 초기의 방담성과 방담성의 지속성이 더욱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층(10) 및 제2중간층(30), 제1중간층(20) 및 제3중간층(40) 및 하부층(40)에 포함되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은 용융지수가 0.1 내지 1.7 g/10분인 것이고, 밀도가 0.920 내지 0.936 g/㎤인 것을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층(10) 및 제2중간층(30), 제1중간층(20) 및 제3중간층(40) 및 하부층(40)에 포함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는 용융지수가 0.5 내지 2.0 g/10분인 것이고, 밀도가 0.920 내지 0.928 g/㎤인 것을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하부층(40)에 포함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는 상기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80 내지 99.9 중량%와; 용융지수가 0.5 내지 2.0 g/10분이고, 밀도가 0.920 내지 0.928 g/㎤인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을 0.1 내지 2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은 음이온으로 전환된 시클로펜타디엔(cyclopentdienyl anions)들 사이에 샌드위치(sandwich)처럼 껴있는 양이온으로 전환된 금속인 메탈로센(metallocene)의 촉매하에서 중합시킨 에틸렌 공중합체(ethylene copolymer)로서 인장강도가 높고 압출이 용이한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층(10)과 제2중간층(30), 그리고 하부층(50)에 포함되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는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0.1 내지 25 중량%인 것이고; 상기 제1중간층(20) 및 제3중간층(40)에 포함되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는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30 내지 50 중량%인 것을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를 중첩하여 접착시, 열융착으로 더욱 용이하고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접착 후, 접착부의 일체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상기 자외선(UV) 흡수 및 차단제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보다 구체적으로,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및 2-(3'-알릴-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을 2: 1: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방담제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보다 구체적으로, C8 내지 C18의 알킬 술포아세테이트, 솔비탄 지방산 에스터 및 글라이세린 지방산 에스터를 1: 2: 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상부층용 및 제2중간층용, 제1중간층용 및 제3중간층용, 하부층용 시트 조성물은 각각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들면, 산화방지제, 슬립제, 블로킹방지제, 내후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화방지제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보다 구체적으로, 벤조프로파노산(Benzenepropanoic acid)을 사용하여, 시트 가공시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 및 열화 반응을 억제시켜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의 사용 수명을 더욱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슬립제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보다 구체적으로, 플로오르 아크릴레이트 및 스테아라마이드를 1: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여,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의 표면에 이물질이 달라붙는 현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고, 둘 이상의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가 중첩된 경우, 이들의 박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블로킹방지제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보다 구체적으로,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무기입자를 스테아린산 아미드, 에틸렌 비스 스테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기물에 1: 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여, 우수한 블로킹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내후제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보다 구체적으로,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를 사용하여,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의 내후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상부층용 및 제2중간층용, 제1중간층용 및 제3중간층용, 하부층용 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첨가제는 각각 1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어,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중간층(20)을 향하는 상부층(10)의 일면 및 상기 제3중간층(40)을 향하는 하부층(50)의 일면은 발포되어 미세기공(70)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여,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의 단열특성과 열융착에 의한 접착특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상부층(10)의 발포된 일면 및 하부층(50)의 발포된 일면을 갖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의 단면도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때, 두께가 동일한 상부층(10)과 제2중간층(30), 두께가 동일한 제1중간층(20)과 제3중간층(40), 하부층(50)의 두께 비율은 각각 2:1:2인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상부층(10) 및 제2중간층(30)은 상기 상부층용 및 제2중간층용 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멜라민 수지 5 내지 20 중량부 및 발포제 0.1 내지 2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하부층(50)은 상기 하부층용 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톡시기를 갖는 메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 5 내지 20 중량부 및 발포제 0.1 내지 2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여, 발포에 의한 미세기공(70)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바,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하부층(50)에 포함되는 메톡시기를 갖는 메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담제를 견고하게 고착시킴으로써, 우수한 방담성 효과를 동시에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발포제로 부탄, 펜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는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 자체가 방담제를 함유하여, 초기의 방담성과 방담성의 지속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와 동시에, 둘 이상의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를 각각 열융착하는 경우, 우수한 열융착 접착강도를 갖고, 우수한 단열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접착 후, 접착부의 일체성이 뛰어나, 열융착 접착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단열 특성을 유지할 수 있어, 겨울에는 보온효과를 얻을 수 있고, 여름에는 보냉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비닐하우스의 외부를 향하는 상부층(10), 제1중간층(20)과 제3중간층(40) 사이에 삽입되어 접합되는 제2중간층(30), 다수 개의 에어캡(60)이 형성되어 있는 제1중간층(20) 및 제3중간층(40), 비닐하우스의 내부를 향하는 하부층(50)을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을 제작하였다.
상기 상부층용과 제2중간층용 시트 조성물은 용융지수가 약 0.5g/10분인 것이고, 밀도가 0.932g/㎤인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용융지수가 약 1.8g/10분인 것이고, 밀도가 0.925g/㎤인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20 중량%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를 50: 30: 20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상부층용 및 제2중간층용 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외선(UV) 흡수 및 차단제 12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자외선(UV) 흡수 및 차단제는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및 2-(3'-알릴-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을 2: 1: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제1중간층용 및 제3중간층용 시트 조성물은 용융지수가 0.1 내지 1.7 g/10분인 것이고, 밀도가 0.920 내지 0.936 g/㎤인 선형저밀도 폴리에용융지수가 약 0.5g/10분인 것이고, 밀도가 0.932g/㎤인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용융지수가 약 1.8g/10분인 것이고, 밀도가 0.925g/㎤인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45 중량%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를 20: 20: 60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하부층용 시트 조성물은 용융지수가 약 0.5g/10분인 것이고, 밀도가 0.932g/㎤인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용융지수가 약 1.8g/10분인 것이고, 밀도가 0.925g/㎤인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과, 용융지수가 0.5 내지 2.0 g/10분이고, 밀도가 0.920 내지 0.928 g/㎤인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을 8:2 중량비율로 혼합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20 중량%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를 30: 50: 20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하부층(3)용 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외선(UV) 흡수 및 차단제 8 중량부, 방담제 15 중량부, 및 메톡시기를 갖는 메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 2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자외선(UV) 흡수 및 차단제는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및 2-(3'-알릴-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을 2: 1: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방담제는 도데실 술포아세테이트, 솔비탄 지방산 에스터 및 글라이세린 지방산 에스터를 1: 2: 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 2매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겹쳐놓은 후, 열풍을 이용하여 열융착하는 함으로써, 열융착된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를 제작하였다. 이때, 상기 열융착된 부분은 물성평가를 위하여, 가로×세로가 2m×3m 되도록 하였다.
<비교예 1>
하부층용 시트 조성물로서 용융지수가 약 1.8g/10분인 것이고, 밀도가 0.925g/㎤인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20 중량%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를 70: 30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하부층용 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외선(UV) 흡수 및 차단제 8 중량부 및 방담제 1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 2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를 제작하였다.
<시험예>
1) 방담성의 평가
1-1) 초기 방담성
결로되기 어려운 조건에서의 물방울이 흐르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방담성의 판단 기준으로 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을 넣은 수조의 상부에,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를 상기 하부층(50)이 수조 내부를 향해 배치하고, 외(外)기온을 15℃, 수조내 기온을 25℃로 유지하며, 소정 시간 경과 시점에서의 방담성의 발현 속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물방울이 흐르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에 따라, 다음의 평가기준에 의해 방담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물방울이 흐르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이 60분보다 짧은 것.
△: 물방울이 흐르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이 60분 이상 150분보다 짧은 것.
×: 물방울이 흐르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이 150분 이상의 것.
1-2) 방담 지속성
외기온을 23℃, 수조 내 수온을 50℃로 유지하고, 1개월 경과 시점에서의 방담성의 발현 속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물방울이 흐르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에 따라, 상기 평가기준에 의해 방담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초기 방담성 ×
방담 지속성 × ×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는 초기의 방담성과 방담성의 지속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열융착으로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 2매를 접착시킨 경우에도, 상기 우수한 초기의 방담성과 방담성의 지속성을 우수하게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러나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는 초기의 방담성은 우수하지만, 방담성의 지속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2에서 제조된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는 열융착 과정을 거치면서 초기의 방담성과 방담성의 지속성이 모두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시트물성평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시트물성(인장강도, 파열강도, 내후성)을 평가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방법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인장강도(N) KS K 0521 1,000 1,200 850 900
파열강도(kPa) KS K 0351 2,000 2,250 1,580 1,650
내후성(신장잔율,%) KPS M 1004 : 2009 80% 55% 50% 35%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는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와 비교하여, 우수한 시트물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열융착으로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 2매를 접착시킨 경우, 더욱 우수한 인장강도 및 파열강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상부층
20 : 제1중간층
30 : 제2중간층
40 : 제3중간층
50 : 하부층
60 : 에어캡
70 : 미세기공

Claims (4)

  1. 비닐하우스의 외부를 향하는 상부층(10), 다수 개의 에어캡(60)이 형성되어 있는 제1중간층(20) 및 제3중간층(40), 상기 제1중간층(20)과 제3중간층(40) 사이에 삽입되는 제2중간층(30), 비닐하우스의 내부를 향하는 하부층(50)을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10)과 제2중간층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40 내지 60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20 내지 40 중량%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상부층용 및 제2중간층용 시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1중간층(20) 및 제3중간층(40)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10 내지 30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10 내지 30 중량%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5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는 제1중간층용 및 제3중간층용 시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하부층(50)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20 내지 40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40 내지 60 중량%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하부층용 시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상부층(10)과 제2중간층(30)은 상기 상부층용과 제2중간층용 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외선(UV) 흡수 및 차단제 1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층(50)은 상기 하부층용 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외선(UV) 흡수 및 차단제 1 내지 15 중량부 및 방담제 1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담제는 C8 내지 C18의 알킬 술포아세테이트, 솔비탄 지방산 에스터 및 글라이세린 지방산 에스터를 1: 2: 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이고,
    상기 하부층(50)은 상기 하부층용 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톡시기를 갖는 메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 5 내지 2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10) 및 제2중간층(30), 제1중간층(20) 및 제3중간층(40), 하부층(50)에 포함되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은 용융지수가 0.1 내지 1.7 g/10분인 것이고, 밀도가 0.920 내지 0.936 g/㎤인 것이고;
    상기 상부층(10) 및 제2중간층(30), 제1중간층(20) 및 제3중간층(40), 하부층(50)에 포함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는 용융지수가 0.5 내지 2.0 g/10분인 것이고, 밀도가 0.920 내지 0.928 g/㎤인 것이고;
    상기 하부층(50)에 포함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는 용융지수가 0.5 내지 2.0 g/10분이고, 밀도가 0.920 내지 0.928 g/㎤인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mLLDPE)을 0.1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것이고;
    상기 상부층(10) 및 제2중간층(30)과 하부층(50)에 포함되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는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0.1 내지 25 중량%인 것이고;
    상기 제1중간층(20)과 제3중간층(40)에 포함되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는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30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중간층(20)을 향하는 상부층(10)의 일면 및 제3중간층(40)을 향하는 하부층(50)의 일면은 발포되어 미세기공(70)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상부층(10) 및 제2중간층(30), 제1중간층(20) 및 제3중간층(40), 하부층(50)의 두께 비율은 각각 2: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10) 및 제2중간층(30)은 상기 상부층용 및 제2중간층용 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멜라민 수지 5 내지 20 중량부 및 발포제 0.1 내지 2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하부층(50)은 상기 하부층용 시트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톡시기를 갖는 메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 5 내지 20 중량부 및 발포제 0.1 내지 2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
KR1020190131324A 2019-10-22 2019-10-22 방담성 및 열융착 접착강도가 우수한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 KR102175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324A KR102175506B1 (ko) 2019-10-22 2019-10-22 방담성 및 열융착 접착강도가 우수한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324A KR102175506B1 (ko) 2019-10-22 2019-10-22 방담성 및 열융착 접착강도가 우수한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506B1 true KR102175506B1 (ko) 2020-11-09

Family

ID=7342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324A KR102175506B1 (ko) 2019-10-22 2019-10-22 방담성 및 열융착 접착강도가 우수한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50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087A (ko) * 2001-09-20 2001-11-23 최형산 농업용 비닐하우스의 다층 필름 제조방법
KR20070015972A (ko) * 2007-01-17 2007-02-06 안병석 파렛트 포장용 비닐 포장재
KR20100055876A (ko) * 2008-11-18 2010-05-27 나근택 적층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KR20130072230A (ko) 2013-06-08 2013-07-01 백지현 에어 캡 비닐 하우스
KR20150035719A (ko) 2012-07-13 2015-04-07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농업용 다층 필름
KR20150078553A (ko) 2013-12-31 2015-07-08 김종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와 이의 제조방법
KR20150087726A (ko) 2014-01-22 2015-07-30 김주환 비닐하우스용 재활용 단열비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087A (ko) * 2001-09-20 2001-11-23 최형산 농업용 비닐하우스의 다층 필름 제조방법
KR20070015972A (ko) * 2007-01-17 2007-02-06 안병석 파렛트 포장용 비닐 포장재
KR20100055876A (ko) * 2008-11-18 2010-05-27 나근택 적층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KR101048833B1 (ko) 2008-11-18 2011-07-13 나근택 적층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비닐 하우스
KR20150035719A (ko) 2012-07-13 2015-04-07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농업용 다층 필름
KR20130072230A (ko) 2013-06-08 2013-07-01 백지현 에어 캡 비닐 하우스
KR20150078553A (ko) 2013-12-31 2015-07-08 김종암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와 이의 제조방법
KR20150087726A (ko) 2014-01-22 2015-07-30 김주환 비닐하우스용 재활용 단열비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83989C (en) Multilayered film
KR101760304B1 (ko)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US20130164551A1 (en) Clear transparent anti-fog multi-layer film
EP2619008B1 (en) Condensation control film
ES2542029T3 (es) Película multicapa de alta resistencia a la perforación y al desgarre
BRPI0617954A2 (pt) péletes de polìmero termoplástico, método para a fabricação de um objeto polimérico e vidro laminado
JP2015528880A (ja) 破裂不良が改善された真空断熱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131517A (ko) 폴리에틸렌계 필름
SK54594A3 (en) Flexible by heat-connectable multilayer foil from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clothing internal layer
KR102175506B1 (ko) 방담성 및 열융착 접착강도가 우수한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
KR101831240B1 (ko)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
KR102047870B1 (ko) 방담성 및 열융착 접착강도가 우수한 비닐 하우스용 단열시트
KR20220041275A (ko) 비닐 하우스용 5층 단열시트
JP4802693B2 (ja) 包装用フィルム及び包装体
JP2006248043A (ja) 農業用フィルム
KR20190058207A (ko)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산업용 필름 제조방법
JP6721773B1 (ja) 包装用積層体及び包装体
JP5459819B2 (ja) 農業用フィルム
EP0919368B1 (en) Anti-sticking multi-layered film
JP2006289671A (ja) 農業用フィルム
RU2446954C2 (ru) Пятислойная барьерная пленка, способ сваривания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для упаков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JP2018193503A (ja) 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EP4046795A1 (en) Multilayer polymer packaging liner
JP2000354426A (ja) 5層構造の防曇性オレフィン系農業用フイルム
JP2013192488A (ja) 農業用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