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100A -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100A
KR20220030100A KR1020200111879A KR20200111879A KR20220030100A KR 20220030100 A KR20220030100 A KR 20220030100A KR 1020200111879 A KR1020200111879 A KR 1020200111879A KR 20200111879 A KR20200111879 A KR 20200111879A KR 20220030100 A KR20220030100 A KR 20220030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cium
chloride
magnesium chloride
calcium chloride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2970B1 (ko
Inventor
남병욱
배진우
이종인
오승주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11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970B1/ko
Priority to CN202080102040.0A priority patent/CN115916394A/zh
Priority to PCT/KR2020/017181 priority patent/WO2022050506A1/ko
Priority to US18/011,196 priority patent/US20230226517A1/en
Priority to EP20952604.5A priority patent/EP4209267A1/en
Publication of KR20220030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9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01J20/041Oxides or hydr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01J20/046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containing halogens, e.g. ha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85Chemical treatments not covered by groups B01J20/3007 - B01J20/3078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은, 염화칼슘(CaCl2); 염화마그네슘(MgCl2) 및 금속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산화물은 산화칼슘(CaO)일 수 있다.

Description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Hygroscopic agent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흡습제는 수분에 대한 친화력이 높은 물질을 포함하여 공기 중의 물을 흡수하는 기능을 갖는 물질이다. 흡습제는 주로 염화칼슘을 포함하며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제, 건조제 및 겨울철 빙판 발생을 방지하는 제설제로 사용된다.
그러나, 염화칼슘을 포함하는 종래의 흡습제는 흡수한 수분이 세어 나가는 누액현상이 발생하여 주변의 물건이 젖어버리고, 이로 인해 전자, 정밀, 광학제품 등에서는 부식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선행기술문헌인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1994-0002336호는 값싸고 우수한 흡수성을 갖는 흡습제를 제공하기 위해 염화칼슘, 광물, 산화물 및 기타 첨가물을 혼합하고, 각 성분의 함량을 한정하고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1994-0002336호
본 발명은 높은 수분 흡습력을 가진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조 비용을 낮춰 경제적이다.
또한, 수분경화반응으로 인해 누액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은, 염화칼슘(CaCl2); 염화마그네슘(MgCl2) 및 금속산화물;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산화물은 산화칼슘(CaO)일 수 있다.
상기 염화칼슘 및 염화마그네슘의 질량비는 1:1 내지 1:1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및 금속산화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포함된 금속산화물을 수화반응 시켜 금속수산화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산화물은 산화칼슘(CaO)이고, 상기 금속수산화물은 수산화칼슘(Ca(OH)2)일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염화칼슘 및 염화마그네슘의 질량비는 1:1 내지 1:1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은 높은 수분 흡습력을 가진다.
또한, 제조 비용을 낮춰 경제적이다.
또한, 수분경화반응으로 인해 누액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은, 염화칼슘(CaCl2); 염화마그네슘(MgCl2) 및 금속산화물;을 포함한다.
염화칼슘(CaCl2) 및 염화마그네슘(MgCl2)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염화칼슘(CaCl2) 및 염화마그네슘(MgCl2)은 물을 흡수하는 수분 흡습력을 가지고 있다.
상기 염화칼슘 및 염화마그네슘의 질량비는 1:1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하게는 1:2.3 내지 1:9.5, 가장 바람직하게는 1:8.5 내지 1:9.5일 수 있다. 염화칼슘의 함량 너무 높은 경우에는 수분 흡습력이 감소할 수 있고, 염화마그네슘의 함량이 너무 높은 경우에는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금속산화물은 산화칼슘(CaO), 산화마그네슘(MgO) 등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산화칼슘(CaO)일 수 있다. 산화마그네슘(MgO)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경화 속도가 산화칼슘(CaO)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느리며, 일부 경화가 되지 않는 물질이 잔존하여 품질이 하락할 수 있다. 산화칼슘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금속산화물은 염화칼슘(CaCl2) 및 염화마그네슘(MgCl2)과 함께 혼합되어 혼합물을 고체로 만드는 기능을 수행하며, 누액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염화칼슘과 염화마그네슘의 합 및 금속산화물의 질량비는 1:0.5 내지 1:4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2일 수 있다. 금속산화물의 함량이 너무 낮은 경우에는 고체화가 잘 되지 않거나 누액 방지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금속산화물의 함량이 너무 높은 경우에는 수분 흡습력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및 금속산화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포함된 금속산화물을 수화반응 시켜 금속수산화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및 금속산화물에 관한 내용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혼합방법은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및 금속산화물을 혼합하여 균일하게 분산시켜 주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혼합물에 포함된 금속산화물을 수화반응 시켜 금속수산화물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금속산화물은 염화칼슘 및 염화마그네슘이 흡수한 물에 의해 수화반응이 발생하여 금속수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공기 중의 수분을 염화칼슘 및 염화마그네슘와 접촉시키고 상기흡수된 수분과 금속산화물을 고온 분위기에서 수화반응시킴으로써 혼합물을 고체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염화칼슘 및 염화마그네슘은 수분을 흡수하여 각각 염화칼슘 수화물인 CaCl2·H2O 및 염화마그네슘 수화물인 MgCl2·H2O가 생성된다. 금속산화물, 예를 들면 산화칼슘은 염화칼슘 수화물 및 염화마그네슘 수화물의 H2O와 반응하여 수산화칼슘(Ca(OH)2)이 생성된다.
본 단계는 일정한 습도 및 온도 분위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습도는 80 내지 95% RH, 온도는 40 내지 60℃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화반응이 안정적인 속도로 진행될 수 있고, 고체화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잔존물이 남거나 생성물이 부스러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수분 흡습률 측정
수분을 흡수하는 능력인 수분 흡습률은 시료 초기의 무게 및 수분과 반응한 후의 시료 무게를 측정하여 아래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수분 흡습률(%) = ((W1 - W0) / W0) X 100
W0: 수분과 반응하기 전의 시료 무게
W1: 수분과 반응한 후의 시료 무게
실시 예1
염화칼슘 0.5g 및 염화마그네슘 4.5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무게를 측정한 후, 이를 항온항습기에 넣고 50℃, 90% RH 조건에서 120시간 동안 유지하여 수분과 반응시킨 후 무게를 측정하여 수분 흡습률을 계산하였다.
실시 예2
혼합물 제조 시 염화칼슘 1.5g 및 염화마그네슘 3.5g을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수분 흡습률을 계산하였다.
실시 예3
혼합물 제조 시 염화칼슘 2.5g 및 염화마그네슘 2.5g을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수분 흡습률을 계산하였다.
실시 예4
혼합물 제조 시 염화칼슘 3.5g 및 염화마그네슘 1.5g을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수분 흡습률을 계산하였다.
실시 예5
혼합물 제조 시 염화칼슘 4.5g 및 염화마그네슘 0.5g을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수분 흡습률을 계산하였다.
비교 예1
혼합물 제조 시 염화마그네슘 없이 염화칼슘 5g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수분 흡습률을 계산하였다.
비교 예2
혼합물 제조 시 염화마그네슘 없이 염화칼슘 10g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수분 흡습률을 계산하였다.
비교 예3
혼합물 제조 시 염화마그네슘 없이 염화칼슘 20g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수분 흡습률을 계산하였다.
비교 예4
혼합물 제조 시 염화마그네슘 없이 염화칼슘 40g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수분 흡습률을 계산하였다.
비교 예5
혼합물 제조 시 염화칼슘 없이 염화마그네슘 5g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수분 흡습률을 계산하였다.
비교 예6
혼합물 제조 시 염화칼슘 없이 염화마그네슘 10g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수분 흡습률을 계산하였다.
비교 예7
혼합물 제조 시 염화칼슘 없이 염화마그네슘 20g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수분 흡습률을 계산하였다.
비교 예8
혼합물 제조 시 염화칼슘 없이 염화마그네슘 40g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수분 흡습률을 계산하였다.
실시 예1 내지 5 및 비교 예1 내지 8의 수분 흡습률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염화칼슘(g) 염화마그네슘(g) 수분 흡습률(%)
실시 예1 0.5 4.5 473
실시 예2 1.5 3.5 454
실시 예3 2.5 2.5 438
실시 예4 3.5 1.5 425
실시 예5 4.5 0.5 412
비교 예1 5 0 394
비교 예2 10 0 408
비교 예3 20 0 416
비교 예4 40 0 420
비교 예5 0 5 410
비교 예6 0 10 425
비교 예7 0 20 442
비교 예8 0 40 460
염화칼슘 및 염화마그네슘을 혼합하여 혼합물 5g을 이용하여 측정한 실시 예1 내지 5와, 염화칼슘 5g만을 사용하여 측정한 비교 예1, 염화마그네슘 5g만을 사용하여 측정한 비교 예5를 비교하면, 염화칼슘 및 염화마그네슘을 혼합한 경우의 수분 흡습률이 모두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염화칼슘 및 염화마그네슘의 질량비가 1:1 내지 1:9인 경우(실시 예1 내지 3)가 비교 예1 및 5에 비하여 수분 흡습률이 현저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고체형 흡습제의 제조
염화칼슘 및/또는 염화마그네슘에 산화칼슘을 첨가하여 고체형 흡습제를 제조하고, 각각의 수분 흡습률을 측정하였다.
실시 예6
염화칼슘 0.5g, 염화마그네슘 4.5g 및 산화칼슘 20g을 혼합물을 제조하고 무게를 측정하였다. 이후, 이를 항온항습기에 넣고 50℃, 90% RH 조건에서 120시간 동안 유지하여 고체형 흡습제를 제조하고 무게를 측정하였다.
실시 예7
혼합물 제조 시 염화칼슘 1g, 염화마그네슘 9g 및 산화칼슘 20g을 넣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고체형 흡습제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8
혼합물 제조 시 염화칼슘 2g, 염화마그네슘 18g 및 산화칼슘 20g을 넣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고체형 흡습제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9
혼합물 제조 시 염화칼슘 4g, 염화마그네슘 36g 및 산화칼슘 20g을 넣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고체형 흡습제를 제조하였다.
비교 예9
혼합물 제조 시 염화마그네슘 없이 염화칼슘 5g 및 산화칼슘 20g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고체형 흡습제를 제조하였다.
비교 예10
혼합물 제조 시 염화마그네슘 없이 염화칼슘 10g 및 산화칼슘 20g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고체형 흡습제를 제조하였다.
비교 예11
혼합물 제조 시 염화마그네슘 없이 염화칼슘 20g 및 산화칼슘 20g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고체형 흡습제를 제조하였다.
비교 예12
혼합물 제조 시 염화마그네슘 없이 염화칼슘 40g 및 산화칼슘 20g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고체형 흡습제를 제조하였다.
비교 예13
혼합물 제조 시 염화칼슘 없이 염화마그네슘 5g 및 산화칼슘 20g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고체형 흡습제를 제조하였다.
비교 예14
혼합물 제조 시 염화칼슘 없이 염화마그네슘 10g 및 산화칼슘 20g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고체형 흡습제를 제조하였다.
비교 예15
혼합물 제조 시 염화칼슘 없이 염화마그네슘 20g 및 산화칼슘 20g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고체형 흡습제를 제조하였다.
비교 예16
혼합물 제조 시 염화칼슘 없이 염화마그네슘 40g 및 산화칼슘 20g만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고체형 흡습제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6 내지 9 및 비교 예9 내지 16의 수분 흡습률은 아래의 표 2와 같다.
염화칼슘(g) 염화마그네슘(g) 산화칼슘(g) 수분 흡습률(%)
실시 예6 0.5 4.5 20 254
실시 예7 1 9 20 312
실시 예8 2 18 20 330
실시 예9 4 36 20 368
비교 예9 5 0 20 187
비교 예10 10 0 20 219
비교 예11 20 0 20 240
비교 예12 40 0 20 276
비교 예13 0 5 20 210
비교 예14 0 10 20 247
비교 예15 0 20 20 270
비교 예16 0 40 20 308
실시 예6 내지 9와, 비교 예9 내지 16을 비교하면, 염화칼슘 및/또는 염화마그네슘의 총 함량이 동일한 경우 실시 예의 수분 흡습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염화칼슘(CaCl2);
    염화마그네슘(MgCl2) 및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은 산화칼슘(CaO)인,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칼슘 및 염화마그네슘의 질량비는 1:1 내지 1:10인,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칼슘 및 염화마그네슘의 질량비는 1:2.3 내지 1:9인,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칼슘과 염화마그네슘의 합 및 금속산화물의 질량비는 1:3 내지 1:5인,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
  6.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및 금속산화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포함된 금속산화물을 수화반응 시켜 금속수산화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은 산화칼슘(CaO)이고, 상기 금속수산화물은 수산화칼슘(Ca(OH)2)인,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염화칼슘 및 염화마그네슘의 질량비는 1:2 내지 1:10인,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염화칼슘 및 염화마그네슘의 질량비는 1:2.3 내지 1:9인,고체형 흡습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00111879A 2020-09-02 2020-09-02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12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879A KR102412970B1 (ko) 2020-09-02 2020-09-02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202080102040.0A CN115916394A (zh) 2020-09-02 2020-11-27 防止漏液高性能吸湿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PCT/KR2020/017181 WO2022050506A1 (ko) 2020-09-02 2020-11-27 누액방지 고성능 흡습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8/011,196 US20230226517A1 (en) 2020-09-02 2020-11-27 Leakage-preventing high performance desiccant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EP20952604.5A EP4209267A1 (en) 2020-09-02 2020-11-27 Leakage-preventing high performance desiccant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879A KR102412970B1 (ko) 2020-09-02 2020-09-02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100A true KR20220030100A (ko) 2022-03-10
KR102412970B1 KR102412970B1 (ko) 2022-06-24

Family

ID=80816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879A KR102412970B1 (ko) 2020-09-02 2020-09-02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9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336A (ko) 1992-07-30 1994-02-17 안기주 집진더스트를 원료로하는 마찰재용 분철조성물과 환원처리방법
JP2005052816A (ja) * 2003-08-04 2005-03-03 Hideo Nakazawa 除湿機
KR101276753B1 (ko) * 2012-11-20 2013-06-20 주식회사 러스트케미칼 고성능 수분 흡습 기능을 지닌 기화성 방청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760304B1 (ko) * 2016-09-20 2017-07-24 주식회사 데시칸트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336A (ko) 1992-07-30 1994-02-17 안기주 집진더스트를 원료로하는 마찰재용 분철조성물과 환원처리방법
JP2005052816A (ja) * 2003-08-04 2005-03-03 Hideo Nakazawa 除湿機
KR101276753B1 (ko) * 2012-11-20 2013-06-20 주식회사 러스트케미칼 고성능 수분 흡습 기능을 지닌 기화성 방청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760304B1 (ko) * 2016-09-20 2017-07-24 주식회사 데시칸트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970B1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3543A (en) Method of producing hardened inorganic products
Odler et al. Hydration of tricalcium silicate at elevated temperatures
KR102412970B1 (ko) 고체형 흡습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462030A (en) Oxychloride cementatory material
WO2019182270A1 (ko) 장기 보관성이 향상된 수화열 저감제.
KR100597712B1 (ko) 콘크리트용 액상형 수축저감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콘크리트 조성물
DE2745750C3 (de) Zementfreies Mörtelmischung und ihre Verwendung
CN115772022A (zh) 一种改性镁水泥及其制备方法
JPH02164754A (ja) 収縮低減用セメント添加剤
CN110759660B (zh) 一种磷酸镁水泥修补砂浆用外加剂及其制备方法
JP4336793B2 (ja) 水硬性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水硬性建築材料
EP4209267A1 (en) Leakage-preventing high performance desiccant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2465913B1 (ko) 누액방지 흡습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9694216B (zh) 一种膨胀珍珠岩外墙保温板的防渗水粘结材料及其制备方法
JP2714668B2 (ja) 湿度調節材料
CN113603382B (zh) 一种用于制作混凝土的改性石灰石粉
JP2001323637A (ja) ホルムアルデヒド捕捉性石膏系建材
ES270521A1 (es) Procedimiento de obtención de composiciones refractarias a base de sílice
CN114133198B (zh) 石膏缓凝剂、高稳定半水石膏及抑制半水石膏转化的方法
CN115093138B (zh) 一种适用于硅热法炼镁镁渣基胶凝材料的外加剂及其应用
JP7474275B2 (ja) Co2固定化材及びco2固定化物の製造方法
JPS605526B2 (ja) リン酸‐シリカ組成物の貯蔵安定性を改良する方法
SU937408A1 (ru) Сырьева смесь дл изготовлени теплоизол 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KR20050056186A (ko) 액상 규산소다를 이용한 무기 바인더의 제조방법
JPS63236741A (ja) 吹付け用急結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