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398B1 -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398B1
KR101756398B1 KR1020150155523A KR20150155523A KR101756398B1 KR 101756398 B1 KR101756398 B1 KR 101756398B1 KR 1020150155523 A KR1020150155523 A KR 1020150155523A KR 20150155523 A KR20150155523 A KR 20150155523A KR 101756398 B1 KR101756398 B1 KR 101756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 limit
groove
wear
limit display
displa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3257A (ko
Inventor
황도인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5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3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53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24Wear-indic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0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사이드월을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트레드부를 일주하는 그루브와, 상기 그루브의 저면에서 상기 그루브의 측벽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모 한계 표시부 및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와 인접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높이가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 마모 한계 비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히 트레드부의 마모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타이어의 마모 초기에는 타이어의 각각의 성능이 매우 우수하나, 타이어의 마모 후기에는 각 성능이 감소되어 타이어를 교환하여야만 한다. 이에 따라 타이어의 마모 한계에 따른 타이어의 교체 시점에 대하여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메인 그루브에 마모 한계 표시부를 형성하고, 트래드 표면의 고무층이 마모되면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가 노출되어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메인 그루브의 공간을 모두 막는 크기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우천시 또는 젖은 노면상의 배수에 있어서 치명적으로 타이어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발생되는 수막현상으로 인해 젖은 노면에서 차량의 조향 및 제동에 있어서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03093호 (발명의 명칭: 마모표시용 고무 조성물층을 포함하는 타이어)는 트레드의 일부에 마모 정도를 인식할 수 있는 고무층을 형성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타이어의 사용에 따른 착색 및 변색에 의해서 마모 정도를 인식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03093호 (2011.12.29)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마모경고의 시각적 인식이 강화된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행 중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고, 발열 성능이 향상된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사이드월을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트레드부를 일주하는 그루브와, 상기 그루브의 저면에서 상기 그루브의 측벽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모 한계 표시부 및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와 인접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높이가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 마모 한계 비교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와 상기 마모 한계 비교부는 상기 그루브의 측벽에 일주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와 상기 마모 한계 비교부는 랜덤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와 상기 마모 한계 비교부는 상기 그루브의 양측벽에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모 한계 비교부는 제1 비교부 및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높이가 상기 제1 비교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 제2 비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와 상기 마모 한계 비교부는 각각 상기 그루브의 폭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마모 한계 비교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과 크기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루브는 상기 트레드부의 폭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 및 상기 마모 한계 비교부는 상기 복수개의 그루브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0.5mm 내지 2.0mm 중 어느 하나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공기입 타이어는 그루브 내에 연속적으로 마모 한계 표시부가 배치되어 사용자가 타이어 교체를 효과적으로 인식 할 수 있다. 또한, 공기입 타이어는 마모 한계 표시부와 마모 한계 비교부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타이어 교체를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공기입 타이어는 소음 주파수 분산을 통한 소음레벨의 피크값을 감소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공기입 타이어는 그루브 내의 표면적 증가시키고, 그루브 내에 공기의 유동을 변화시켜서 발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트레드부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마모 한계 표시부와 마모 한계 비교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마모 한계 비교부가 마모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의 트레드부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1의 공기입 타이어의 주행시 발생하는 소음레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b는 비교 대상인 공기입 타이어의 주행시 발생하는 소음레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1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입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 사이드월(2), 비드부(3), 벨트층(4) 및 카카스층(5)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1)는 카카스층(5) 및 벨트층(4)의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된다. 트레드부(1)는 차량의 주행시에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소정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트레드부(1)는 공기입 타이어(100)의 반경방향으로 일주하는 그루브(20)와 그루브(20) 사이에 형성된 블록(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사이드월(2)은 트레드부(1)의 양단에서 연장된다. 사이드월(2)의 내측에는 카카스층(5)이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3)는 사이드월(2)의 단부에 형성되어, 타이어 휠(미도시)에 밀착된다.
벨트층(4)은 공기입 타이어(100)의 내구성 향상 시키고,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벨트층(4)은 트레드부(1)의 하측에 배치되고, 스틸 혹은 유기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벨트 코드(미도시)를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카카스층(carcass)은 공기입 타이어(100)의 골격을 구성할 수 있다. 카카스층(5)은 스틸 혹은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카커스 코드(미도시)를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트레드부(1)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트레드부(1)는 블록(10), 그루브(20), 마모 한계 표시부(30) 및 마모 한계 비교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10)은 차량의 구동시에 지면과 접촉하는 영역으로, 그루브(20)에 의해서 구획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그루브와 이웃하는 다른 그루브 사이에 블록(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20)는 트레드부(1)를 일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20)는 저면(21), 제1 측벽(22) 및 제2 측벽(23)을 구비할 수 있다. 저면(21)은 그루브(20)의 가장 낮은 부분으로 제1 측벽(22)과 제2 측벽(23) 사이에 배치된다. 저면(21)은 공기입 타이어(100)의 둘레 방향으로 일주할 수 있다. 제1 측벽(22)과 제2 측벽(23)은 블록(10)과 경계를 형성한다. 제1 측벽(22)과 제2 측벽(23)은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벽(22)과 제2 측벽(23)은 저면(21)과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그루브(20)는 트레드부(1)의 폭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루브(20)의 개수는 특정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기입 타이어의 용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6개의 그루브(20)가 트레드부(1)에 형성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마모 한계 표시부(30)는 타이어의 교체 주기를 확일할 수 있는 표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주행에 따른 블록(10)의 표면이 마모 한계 표시부(30)의 높이까지 닳으면 타이어의 교체 주기에 도달한 것을 나타낸다. 마모 한계선(L)은 마모 한계 표시부(30)의 높이를 나타낸다.
마모 한계 표시부(30)는 그루브(20)의 저면(21)에서 그루브(20)의 측벽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마모 한계 표시부(30)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가질수 있다. 마모 한계 표시부(3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0.5mm 내지 2.0mm 중 어느 하나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마모 한계 비교부(40)는 마모 한계 표시부(30)와 인접하도록 그루브(20)의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마모 한계 비교부(40)는 마모 한계 표시부(30)와 연속되도록 배치되어 그루브(20)를 따라 공기입 타이어(100)를 일주할 수 있다.
마모 한계 비교부(4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마모 한계 비교부(40)의 높이는 마모 한계 표시부(30)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마모 한계 비교부(40)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각각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마모 한계 비교부(40)는 마모 한계 표시부(30)의 높이보다 크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제1 비교부(41)와, 제1 비교부(41)의 높이보다 높이가 크게 형성된 제2 비교부(42)를 구비할 수 있다.
마모 한계 표시부(30)와 마모 한계 비교부(40)는 랜덤하게 배치될 수 있다. 마모 한계 표시부(30)와 마모 한계 비교부(40)는 그루브(20)를 따라 공기입 타이어(100)를 일주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마모 한계 표시부(30)와 마모 한계 비교부(40)는 불규칙적으로 제1 측벽(22)과 제2 측벽(23)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마모 한계 표시부(30)와 마모 한계 비교부(40)는 제1 측벽(22)이나 제2 측벽(23)에 배치되거나, 제1 측벽(22) 및 제2 측벽(23)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마모 한계 표시부(30)와 마모 한계 비교부(40)는 복수개의 그루브(2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마모 한계 표시부(30)와 마모 한계 비교부(40)는 각각의 그루브(20)에 랜덤하게 배치될 수 있다. 마모 한계 표시부(30)와 마모 한계 비교부(40)는 6개의 그루브(2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6개의 그루브(20)에 형성되는 마모 한계 표시부(30)와 마모 한계 비교부(40)의 배치는 각각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마모 한계 표시부(30)와 마모 한계 비교부(40)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마모 한계 비교부(40)가 마모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마모 한계 비교부(40)의 마모의 정도를 확인하여 타이어의 교체 주기를 확인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마모 한계 비교부(40)와 마모 한계 표시부(30)를 비교하여 타이어의 마모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차량의 주행으로, 블록(10)이 가장 먼저 닳고, 이후, 블록(10) 및 마모 한계 비교부(40)가 닳게 된다. 마모 한계 비교부(40)는 마모 한계 표시부(30) 보다 높이가 높으므로, 마모 한계 표시부(30) 보다 마모 한계 비교부(40)가 먼저 마모 된다.
도 4와 같이, 트레드부(10)의 마모로 인해 마모 한계 비교부(40)의 높이가 마모 한계 표시부(30)의 높이인 마모 한계선(L)과 비슷해지면, 사용자는 타이어의 교체가 필요한 것을 감지 할 수 있다. 마모 한계 비교부(40)는 마모 한계 표시부(30)의 비교 척도의 역할을 하여, 사용자가 마모의 정도를 쉽게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부(1)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5의 트레드부(1)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트레드부(1)는 블록(10), 그루브(20), 마모 한계 표시부(30a) 및 마모 한계 비교부(40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부(1)는 마모 한계 표시부(30a) 및 마모 한계 비교부(40a)의 형상에 특징이 있는바, 이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마모 한계 표시부(30a)와 마모 한계 비교부(40a)는 그루브(20)의 폭 방향으로 크기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마모 한계 표시부(30a)와 마모 한계 비교부(40a)는 각각 그루브(20)의 폭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모 한계 표시부(30a)의 제2 방향의 폭이 마모 한계 비교부(40a)의 제2 방향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마모 한계 표시부(30a)의 제2 방향의 폭이 마모 한계 비교부(40a)의 제2 방향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마모 한계 표시부(30a)의 폭이 제1 비교부(41a) 및 제2 비교부(42a)보다 작고, 제2 비교부(42a)가 마모 한계 표시부(30a) 및 제2 비교부(42a)보다 큰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마모 한계 표시부(30a)의 제2 방향의 폭과 마모 한계 비교부(40a)의 제2 방향의 폭이 다르면, 사용자는 마모 한계 표시부(30a)와 마모 한계 비교부(40a)를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공기입 타이어(100)의 마모가 심하면, 사용자는 마모 한계 표시부(30)와 마모 한계 비교부(40)를 구별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도 6과 같이 마모 한계 표시부(30a)의 폭이 제1 비교부(41a) 및 제2 비교부(42a)보다 작으면, 마모 한계 표시부(30a)와 제1 비교부(41a) 또는 제2 비교부(42a)와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마모 한계 표시부(30a)의 크기 차이를 이용하여 공기입 타이어(100)의 마모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7a는 도 1의 공기입 타이어(100)의 주행시 발생하는 소음레벨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7b는 비교 대상인 공기입 타이어의 주행시 발생하는 소음레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a 및 도7b를 참조하면, 마모 한계 표시부(30) 및 마모 한계 비교부(40)로 인해서 주행시 발생하는 소음이 줄어드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각 그래프의 x축은 진동수(frequency)를 나타내고, y축은 음압의 크기를 전력단위(W)로 나타낸 것이다. 도 7a와 도 7b의 각 타이어는 동일한 회전속도로 구동하였으며, 이 경우에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를 측정한 것이다. 도 7a의 공기입 타이어(100)는 마모 한계 표시부(30) 및 마모 한계 비교부(40)의 높이가 다른 경우이며, 도7b는 마모 한계 표시부(30) 및 마모 한계 비교부(40)의 높이가 같은 경우이다.
마모 한계 표시부(30)와 마모 한계 비교부(40)의 높이를 다르게 형성한 경우에는 낮은 진동수에서 낮은 크기의 음압이 발생한다. 진동수가 1000Hz의 범위에서만 약한 음압이 측정된다.(도 7a)
마모 한계 표시부 및 마모 한계 비교부의 크기가 일정한 경우에는 낮은 진동수에서 높은 크기의 음압이 발생한다. 진동수가 1162Hz에서 높은 음압이 발생하고, 진동수가 높더라도 소정의 음압이 관측된다.(도 7b)
Figure 112015108102462-pat00001
(△P는 유체의 압력 강하량, ξ는 총 저항계수, ρ는 유체의 밀도, ω는 유체의 속도)
상기의 수학식 1을 보면, 유체의 압력 강하량은 총저항 계수, 유체의 밀도, 유체의 속다가 증가하면 증가한다. 따라서 유체의 일종인 공기도 상기 수학식 1을 따른다. 공기의 음압 강하량도 공기의 저항계수가 증가하거나, 공기의 밀도가 증가하거나, 공기의 이동속도가 증가하면 증가한다. 이때, 음압 강하량이 증가하면 소음 발생이 줄어든다.
마모 한계 표시부(30) 및 마모 한계 비교부(40)의 높이가 다르면, 공기가 부딪치는 면적이 넓어 저항계수가 증가한다. 또한, 마모 한계 표시부(30) 및 마모 한계 비교부(40)의 부피로 인해 그루브(20) 내부의 공간이 줄어듦으로 공기의 밀도가 증가한다. 즉, 마모 한계 표시부(30) 및 마모 한계 비교부(40)로 인해, 저항계수가 증가하고 공기의 밀도가 증가하여 음압 강하량이 커져서 소음 레벨이 낮아진다.
또한, 마모 한계 표시부(30) 및 마모 한계 비교부(40)의 높이가 다르면, 소리의 이동이 불규칙적이고, 이러한 불규칙적인 이동이 서로 상쇄시켜서 소음 레벨이 낮아진다.
마모 한계 표시부(30) 및 마모 한계 비교부(40)의 높이가 다르면, 그루브(20)의 발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차량의 주행으로 트레드부(1)는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마찰열이 발생한다. 높이 변화가 없는 매끈한 면을 공기가 통과하면, 그루브(20)에 있는 고온의 공기는, 특히 그루브(20) 저면(21)의 공기, 그루브(20)의 상부나 외부의 공기와 혼합되지 않는다. 온도가 낮은 공기는 그루브(20)를 통과할 뿐 머무르지 않아 열교환량이 줄어든다. 그루브(20) 내부의 공기의 냉각성능이 낮으면, 열에 의한 변형으로 트레드부(1)의 내구성 저하 및 품질이 저하 될 수 있다.
마모 한계 표시부(30)와 마모 한계 비교부(40)가 공기입 타이어(100)를 일주하도록 배치되면, 공기입 타이어(100)의 회전각에 상관없이, 마모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종래에는 마모의 정도를 확인하는 지표가 그루브의 일부 위치에만 형성되어 사용자가 마모의 정도를 확인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지표가 지면과 접촉하는데 위치하거나, 차량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는 마모의 정도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공기입 타이어(100)는 마모 한계 표시부(30)와 마모 한계 비교부(40)가 그루브(20)를 따라 일주하도록 배치되어 공기입 타이어(100)의 회전에 상관없이 사용자는 마모의 정도를 확인 할 수 있다.
마모 한계 표시부(30) 및 마모 한계 비교부(40)의 높이가 다르면 그루브(20)를 통과하는 온도가 낮은 공기는 마모 한계 표시부(30) 및 마모 한계 비교부(40)와 부딪혀서 그루브(20) 내부에 머무르게 된다. 즉, 마모 한계 표시부(30) 및 마모 한계 비교부(40)는 그루브(20) 내부에 와류를 발생시켜서 그루브(20) 저면의 고온의 공기와 그루브(20) 상부의 저온의 공기가 충분한 열교환을 할 수 있다. 마모 한계 표시부(30) 및 마모 한계 비교부(40)는 그루브(20)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켜서 열에 의한 트레드부(1)의 변형을 방지 할 수 있다.
마모 한계 표시부(30a) 및 마모 한계 비교부(40a)의 폭 방향의 크기가 다르면, 유동하는 공기의 저항계수를 증가시켜서 음압 강하량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리하여, 공기입 타이어(100)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마모 한계 표시부(30a) 및 마모 한계 비교부(40a)의 폭 방향의 크기가 다르면, 그루브(20) 내부에서 발생하는 와류의 세기를 증가하여 그루브(20) 내부에서 효과적인 열교환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트레드부
2: 사이드월
10: 블록
20: 그루브
30, 30a: 마모 한계 표시부
40, 40a: 마모 한계 비교부
41, 41a: 제1 비교부
42, 42a: 제2 비교부
100: 공기입 타이어

Claims (9)

  1.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사이드월을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는,
    상기 트레드부를 일주하는 그루브;
    상기 그루브의 저면에서 상기 그루브의 측벽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그루브의 폭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측벽에서 상기 그루브의 중앙을 향하여 돌출되는 마모 한계 표시부; 및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와 인접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높이가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측벽에서 상기 그루브의 중앙을 향하여 돌출되는 마모 한계 비교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마모 한계 비교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과 크기가 다른, 공기입 타이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와 상기 마모 한계 비교부는,
    상기 그루브의 측벽에 일주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와 상기 마모 한계 비교부는 랜덤하게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와 상기 마모 한계 비교부는,
    상기 그루브의 양측벽에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한계 비교부는,
    제1 비교부; 및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높이가 상기 제1 비교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 제2 비교부;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트레드부의 폭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 및 상기 마모 한계 비교부는 상기 복수개의 그루브에 각각 배치되는, 공기입 타이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한계 표시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0.5mm 내지 2.0mm 중 어느 하나의 높이로 형성되는, 공기입 타이어.
  9. 삭제
KR1020150155523A 2015-11-06 2015-11-06 공기입 타이어 KR101756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523A KR101756398B1 (ko) 2015-11-06 2015-11-06 공기입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523A KR101756398B1 (ko) 2015-11-06 2015-11-06 공기입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257A KR20170053257A (ko) 2017-05-16
KR101756398B1 true KR101756398B1 (ko) 2017-07-11

Family

ID=5903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523A KR101756398B1 (ko) 2015-11-06 2015-11-06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3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3113A1 (de) * 2017-07-31 2019-01-31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mit einem Laufstreifen umfassend mindestens einen Abriebindik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9414A (ja) * 1999-04-08 2000-10-17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2001030721A (ja) * 1999-06-29 2001-02-06 Nokian Tyres Plc 乗物タイヤ用ウェアインジケータ
JP2006232152A (ja) * 2005-02-25 2006-09-07 Bridgestone Corp タイ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9414A (ja) * 1999-04-08 2000-10-17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2001030721A (ja) * 1999-06-29 2001-02-06 Nokian Tyres Plc 乗物タイヤ用ウェアインジケータ
JP2006232152A (ja) * 2005-02-25 2006-09-07 Bridgestone Corp 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257A (ko) 201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6227B2 (ja) 空気入りタイヤ
RU2466032C2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JP4515318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102529598B (zh) 胎面磨耗标记
JP6699192B2 (ja) 空気入りタイヤ
EP3157764B1 (en) Car tyre
JP5849600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20150321518A1 (en) Pneumatic tire
JP2009067378A (ja) 空気入りタイヤ、靴、タイヤチェーン、及び、空気入りタイヤ用加硫金型
JPWO2006134776A1 (ja) 空気入りタイヤ
JP5516500B2 (ja) 空気入りタイヤ
RU2585196C2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JP5695681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724314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107635794A (zh) 用于重型货车的包括磨损指示器的轮胎
WO2017056976A1 (ja) 空気入りタイヤ
JP6557996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140095947A (ko) 공기 타이어
KR101756398B1 (ko) 공기입 타이어
JP6900706B2 (ja) タイヤ加硫成形金型、タイヤ製造方法及び空気入りタイヤ
JP6107242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028405B2 (ja) 更生タイヤ
JP6900707B2 (ja) タイヤ加硫成形金型、タイヤ製造方法及び空気入りタイヤ
JP6388013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4113914A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