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481B1 -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 및 그 레일 장착 구조를 구비한 개폐기 - Google Patents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 및 그 레일 장착 구조를 구비한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481B1
KR101748481B1 KR1020150066219A KR20150066219A KR101748481B1 KR 101748481 B1 KR101748481 B1 KR 101748481B1 KR 1020150066219 A KR1020150066219 A KR 1020150066219A KR 20150066219 A KR20150066219 A KR 20150066219A KR 101748481 B1 KR101748481 B1 KR 101748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engaging piece
coil spring
rail engaging
accommoda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6468A (ko
Inventor
신이치 치구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6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01H71/0214Housing or casing lateral walls containing guiding grooves or special mounting facil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6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Landscapes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Patch Boards (AREA)
  • Breaker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과제] 치수가 반드시 일정하지 않은 기기 지지 레일에 기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일방(231)이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1)에 수용됨과 아울러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타방(232)이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2)에 수용되고, 또한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가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1)에서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1)와 대향함과 아울러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2)가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2)에서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2)와 대향한 상태에서,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1)에 수용된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가, 경사진 상태의 코일 스프링(12)에 의해서 레일 저부(21)를 향해 경사 방향으로 가압되는 기기의 장착 구조.

Description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 및 그 레일 장착 구조를 구비한 개폐기{DEVICE RAIL-MOUNTING STRUCTURE AND SWITCH INCLUDING DEVICE RAIL-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기기(機器) 지지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 및 그 레일 장착 구조를 구비한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配電盤)에 마련되는 차단기, 또는 각종 센서의 정보를 검출하여 제어장치에 전달하는 센서 유닛 등의 기기는, 예를 들면 박스형의 수지(樹脂) 성형으로 유닛화되며, 예를 들면 IEC 규격에 준거한 형상의 다른 복수 종류의 지지 레일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것이 많다. 덧붙여서 상기 지지 레일은, 단면(斷面)이 대략 U자 모양의 레일 본체의 양측에 해당 레일 본체를 따라서 돌출하는 한 쌍의 맞물림편(판 모양 가장자리부)을 구비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박스형의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기기는, 지지 레일을 넘어, 그 기기 본체의 레일 장착면측에 마련한 한 쌍의 맞물림 클로(claw)를 맞물림편에 각각 맞물리게 함으로써, 지지 레일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또, 덜거덕거림을 억제하기 위해 맞물림 클로에 스프링성(性)을 갖게 하여 덜거덕거림을 억제하는 방법도 검토되어 있다.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4-85413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제2003-222645호 공보
전술한 지지 레일은 IEC 규격이나 DIN 규격 등에 준거한 것이 있으며, 이들의 각 지지 레일에는 맞물림편의 두께에 차이가 있다. 이 때문에, 전술한 기기를 일방의 규격에 맞추어 지지 레일 장착 형상을 구성한 경우, 타방의 규격에 준거한 지지 레일에 장착한 경우, 덜거덕거림이 생기거나, 부착 하중이 증대하거나 하여, 최악의 경우에는 박스형의 수지 성형이 파손할 우려가 있다. 또, 특허 문헌 2와 같이 수지 부품에 스프링성을 갖게 한 구조의 것은 수지 부품의 탄성을 크게 취하지 못하고, 작은 치수 변화에 의해서 밀어붙임 하중이 크게 증대하며, 치수가 다른 레일에 대응할 수 없거나, 덜거덕거림을 흡수할 수 없었거나 하여, 대응 가능한 지지 레일의 종류에 한계가 있다고 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치수가 반드시 일정하지 않은 기기 지지 레일, 또는, 기기 지지 레일마다, 그 두께, 연장 방향의 길이 등이, 제조 오차나 규격 등에 의해서 반드시 일정하지는 않은 기기 지지 레일에 기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기기(機器)의 레일 장착 구조는, 레일 저부와, 이 레일 저부의 양측에 마련된, 상기 레일 저부와 각도를 이루어 상대적으로 평행을 이루어 연장하는 한 쌍의 레일 측벽부와, 이들 레일 측벽부의 각각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레일 저부와 대향하는 평면 상(上)에,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를 가진 기기(機器) 지지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로서,
상기 기기의 외부 케이싱에 코일 스프링 수용실이 형성되고,
이 코일 스프링 수용실에, 상기 기기 지지 레일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코일 스프링이 수용되고, 상기 기기의 외부 케이싱의 상기 기기 지지 레일의 측에, 상기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를 수용 가능한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에, 상기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일방 및 상기 코일 스프링에 대응하여 대응하는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를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상기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실에 연통한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를 형성하는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와, 상기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타방에 대응하여 대응하는 상기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를 상기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상기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를 형성하는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일방이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타방이 상기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가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서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와 대향함과 아울러 상기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가 상기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서 상기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와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 수용된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가, 상기 경사진 상태의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레일 저부를 향해 경사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레일 장착 구조는,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일방이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 수용됨과 아울러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타방이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 수용되고, 또한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가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서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와 대향함과 아울러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가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서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와 대향한 상태에서,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 수용된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가, 경사진 상태의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레일 저부를 향해 경사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치수가 반드시 일정하지 않은 기기 지지 레일, 또는, 기기 지지 레일마다, 그 두께, 연장 방향의 길이 등이, 제조 오차나 규격 등에 의해서 반드시 일정하지는 않은 기기 지지 레일에 기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기기 지지 레일에의 기기의 장착 상태의 사례를 경사진 상부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기기의 외부 케이싱 및 코일 스프링을 분해한 상태의 사례를 경사진 상부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의 III-III선에서의 단면(斷面)을 화살표 방향으로 본 종단(縱斷)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b)(c)(d)는 기기 지지 레일에의 기기의 장착 공정순으로, 기기 지지 레일과 기기의 외부 케이싱과의 위치 관계를 종단(縱斷) 측면도로 예시하는 기기의 레일 장착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기기 지지 레일에 기기를 장착한 상태하에서의 요부를 확대하여 예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기기의 외부 케이싱 및 코일 스프링을 분해한 상태의 사례를 경사진 하부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기기의 외부 케이싱 및 코일 스프링의 조립 도중의 상태의 사례를 경사진 하부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기기의 외부 케이싱 및 코일 스프링의 조립 완료 상태의 사례를 경사진 하부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개폐기를 분해한 상태의 사례를 경사진 하부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개폐기의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사례를 측면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코일 스프링과 고정 접촉자의 관계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이다.
실시 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을 도 1 내지 도 5에 의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기기(機器)의 레일 장착 구조를 예시하는 것이며, 상세하게는, 도 1은 기기가 기기 지지 레일에 장착된 모습을 경사진 측면으로부터 나타낸 도면, 도 2는 기기의 외부 케이싱이 되는 상하로 분할된 수지(樹脂) 성형품의 기기 베이스부 및 기기 커버부와 레일을 누르는 코일 스프링을 분해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서의 단면(斷面)을 도시한 화살표의 방향에서 본 도면, 도 4의 (a)(b)(c)(d)는 기기를 기기 지지 레일에 장착할 때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d)에서의 코일 스프링과 기기 지지 레일과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박스형의 외부 케이싱(1)의 안에 기기 기능부(차단기의 차단 기능부, 센서의 검출 기능부 등의 기기 기능부로,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계없고 또 주지의 기기 기능부이므로 도시를 생략하고 있음)를 내장한 기기(100)는, 통상,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長尺)인 기기 지지 레일(2)에 복수개 늘어서 장착된다. 기기 기능부는, 외부 케이싱(1)의 외부에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외부 케이싱(1)은 외부에서 기기 기능부를 고정하는 것이 된다. 즉, 외부 케이싱(1)은 기기 지지 레일(2)과 기기 기능부와의 사이에 개재하여, 기기 기능부를 기기 지지 레일(2)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구로서 기능을 한다. 따라서, 기기 기능부가, 외부 케이싱(1)의 외부에 있는 경우, 기기(100)는, 레일 장착 구조(100)라고도 말할 수 있다.
기기 지지 레일(2)은, 예를 들면 IEC 규격이나 DIN 규격 등에 준거한 것으로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장척의 금속판을 그 폭 방향으로 절곡 가공하고, 단면(斷面)이 대략 U자 모양의 장척의 레일 본체의 양측에 해당 레일 본체를 따라서 돌출하는 한 쌍의 맞물림편부(판 모양 가장자리부)(231, 232)를 마련한 형상을 가진다. 특히 한 쌍의 맞물림편부(231, 232)는, 단면(斷面)이 4각형 모양의 홈통을 형성한 레일 본체의 개구단(開口端)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기기 지지 레일(2)은, 예를 들면 복수의 기기를 수용하는 반(盤) 내의 레일 장착벽에 고정되고, 기기를 반(盤) 내에 고정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여기서, 기기 지지 레일(2)의 구조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기 지지 레일(2)은, 도 1, 도 4, 도 5에 예시와 같이, 레일 장착벽(3)에 장착되는 레일 저부(21)와, 이 레일 저부(21)의 양측에 일체로 마련된, 레일 저부(21)와 연직을 이루어 상대적으로 평행을 이루어 연장하는 한 쌍의 레일 측벽부(221, 222)와, 이들 레일 측벽부(221, 222)의 각각의 선단부로부터 일체를 이루어 레일 저부(21)와의 평행선 상(上)에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231, 232)를 가진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기기 지지 레일(2)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좋다. 기기 지지 레일(2)은, 레일 저부(21)와 이 레일 저부(21)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레일 측벽부(221, 222)를 가진다. 한 쌍의 레일 측벽부(221, 222)는, 레일 저부(21)와 각도를 이루어 상대적으로 평행을 이루어 연장하는 것이다. 도 1, 도 4, 도 5에 예시하는 한 쌍의 레일 측벽부(221, 222)는, 레일 저부(21)와 이루는 각도가 90°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기기 지지 레일(2)은, 레일 측벽부(221, 222)의 각각의 선단부로부터 레일 저부(21)와 대향하는 평면 상(上)에,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231, 232)를 가진다. 도 1, 도 4, 도 5에 예시하는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231, 232)는, 레일 저부(21)와 대향하는 평면과, 레일 저부(21)의 면이 평행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기기 지지 레일(2)에서, 레일 저부(21), 레일 측벽부(221, 222), 레일 맞물림편부(231, 232)는, 일체라도 좋고, 별체라도 좋다.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231, 232)는 기기 지지 레일(2)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기기 지지 레일(2)마다, 그 두께, 연장 방향의 길이 등이, 제조 오차나 규격 등에 의해서 반드시 일정하지는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기기(100)에서의 레일 장착 구조는, 레일 맞물림편부(231, 232)의 두께, 연장 방향의 길이 등이 반드시 일정하지는 않은 경우라도, 기기(100)를 기기 지지 레일(2)에 용이한 또한 안정된 장착이 행해지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한 경우이다. 또, 레일 저부(21)의 배면에, 기기 지지 레일(2)을 고정하는 레일 장착벽(3)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기기 지지 레일(2)은, 기기 지지 레일(2)의 양단부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기기 지지 레일(2)을 고정하는 방법은, 레일 저부(21)의 배면에 기둥이나 판재를 배치하여, 기기 지지 레일(2)을 기둥이나 판재에 고정하는 것이라도 괜찮다.
기기(100), 특히 그 외부 케이싱(1)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기(100)의 외부 케이싱(1)에 코일 스프링 수용실(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 수용실(11)에, 기기 지지 레일(2)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코일 스프링(12)이 수용되어 있다.
기기(100)의 외부 케이싱(1)의 기기 지지 레일(2)의 측에,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231, 232)를 수용 가능한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13)에,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일방(231) 및 코일 스프링(12)에 대응하여 대응하는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를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코일 스프링 수용실(11)에 연통한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1)를 형성하는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1)와,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타방(232)에 대응하여 대응하는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2)를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2)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2)를 형성하는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2)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일방(231)이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1)에 수용됨과 아울러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타방(232)이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2)에 수용되고, 또한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가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1)에서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1)와 대향함과 아울러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2)가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2)에서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2)와 대향한 상태에서,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1)에 수용된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가, 경사진 상태의 코일 스프링(12)에 의해서 레일 저부(21)를 향해 경사 방향으로 가압된다.
기기(100)의 외부 케이싱(1)이, 기기 베이스부(1b)와, 이 기기 베이스부(1b)에 대해서 기기 지지 레일(2)과 반대의 측에 위치하여 기기 베이스부(1b)에 부착되는 기기 커버부(1c)로 구성되어 있다.
기기 베이스부(1b)의 기기 지지 레일(2)과 반대의 측에 마련된 기기 베이스부측 오목부(1b01)와, 기기 커버부(1c)의 기기 지지 레일(2)의 측에 마련된 기기 커버부측 볼록부(1c01)가 감합(嵌合, 끼워 맞춤)된 상태에서, 기기 베이스부측 오목부(1b01)의 저면과 기기 커버부측 볼록부(1c01)의 선단면과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 수용실(11)이 형성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 수용실(11)이, 기기 베이스부측 오목부(1b01)의 반원홈 모양의 만곡 저면(1b01cs)과, 기기 커버부측 볼록부(1c01)의 반원홈 모양의 만곡 선단면(1c01cs)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만곡 저면(1b01cs)과 만곡 선단면(1c01cs)에 의해서, 기기(100)의 외부 케이싱(1)의 안에서의 코일 스프링(12) 자체의 위치가 정해진다.
경사진 상태의 코일 스프링(12)의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1)의 측의 단부를,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1)에 수용된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를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231)을 향해 경사 방향으로 가압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코일 스프링 위치 결정홈(111)이, 코일 스프링 수용실(11)의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1)측에 마련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2)의 코일 내 공간(12s)의 안으로 연장하는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3)가 코일 스프링 위치 결정홈(111)에 인접하여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13)에 마련되어 있다.
경사진 상태의 코일 스프링의 기기 지지 레일(2) 근처의 코일 스프링 단면(端面)(121)이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에 맞닿는 것에 의해서,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1)에 수용된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가 레일 저부(21)를 향해 경사 방향으로 가압된다.
코일 스프링(12)의 가압력에 의해서,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2)의 선단이,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2)의 바닥(1312b)에 맞닿고 있다.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1)에 수용된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가 경사진 상태의 코일 스프링(12)에 의해서 레일 저부(21)를 향해 경사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의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13)측의 면과,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13)의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측의 면과의 사이에,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와 기기(100)의 외부 케이싱(1)과의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의 연장 방향으로의 코일 스프링(12)의 가압력에 저항한 상대적 이동을 허용하는 상대적 이동 허용 간극(13g231)이 형성되어 있다.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와 기기(100)의 외부 케이싱(1)과의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의 연장 방향으로의 코일 스프링(12)의 가압력에 저항한 상대적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맞물림편부 안내 경사면(13211)이,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1)의 기기 지지 레일(2)과 반대의 측에 마련되어 있다.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1)에 수용된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가, 경사진 상태의 코일 스프링(12)에 의해서 레일 저부(21)를 향해 경사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경사진 상태의 코일 스프링(12)의 가압력 F가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에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1)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분력 F1이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와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1)를 탄성적으로 맞물리게 하여, 경사진 상태의 코일 스프링(12)의 가압력 F가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에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2)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분력 F2가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2)와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2)의 바닥(1312b)을 탄성적으로 맞닿게 한다(도 5 참조).
경사진 상태의 코일 스프링(12)의 기기 지지 레일(2)측의 단면(端面)(121)이, 그 코일 중심(12c)보다 기기 지지 레일(2)측에서,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에 맞닿는다.
기기(100)의 외부 케이싱(1)이,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가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2)의 연장 방향으로 코일 스프링(1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동시켜지고, 이 이동시켜진 상태에서 기기(100)의 외부 케이싱(1)이 이동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져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2)가 기기(100)의 외부 케이싱(1)의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2)에 감입되는 것에 의해, 기기(100)의 외부 케이싱(1)이 기기 지지 레일(2)에 장착되어 있다.
기기(100)의 외부 케이싱(1)이,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2)의 연장 방향으로 코일 스프링(1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동시켜지는 것에 의해,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2)가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2) 및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2)로부터 이탈되고,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2)의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2) 및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2)로부터 이탈한 상태에서, 이동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져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가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1) 및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1)로부터 이탈되는 것에 의해, 기기(100)의 외부 케이싱(1)이 기기 지지 레일(2)로부터 떼어 내어진다.
기기(100)의 기기 지지 레일(2)에의 장착은, 도 4의 (a)→(b)→(c)→(d)의 순서로 행해진다.
박스형의 기기(100)는, 도 4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기(100)의 외부 케이싱(1)의 레일 장착면(일반적으로는 저면)이 되는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13)에 기기 지지 레일(2)을 걸쳐 해당 기기 지지 레일(2)의 양측으로 돌출하는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1) 및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2)를 구비하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1) 및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2)와 레일 장착면(일반적으로는 저면)이 되는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13)의 저면과의 사이에,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1),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2)를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5에서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1)에는,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1)로부터 돌출하지 않은 높이로 기기(100)를 기기 지지 레일(2)에 유지하는 유지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기기 지지 레일(2)을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2)의 방향과, 기기(100)를 기기 지지 레일(2)에 대해서 덜거덕거림이 없도록 고정하기 위해서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1)의 방향의 양쪽 모두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각도로 장착된 코일 스프링(12)을 박스형의 기기(100)의 내부에 구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2)은, 기기 지지 레일(2)의 도시한 상측의 레일 맞물림편부(231)에 대해서 코일 스프링(12)의 중심(12c)이 도 5의 지면 상에서 우측이 되도록 접촉하는 위치 관계로 하고, 확실히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1)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에서, 기기(100)의 외곽이 되는 박스형의 수지 성형품인 외부 케이싱(1)은, 레일 장착벽(3)의 벽면에 평행한 면으로 분할되며, 상측의 수지 성형품의 기기 커버부(1c)와 하측의 수지 성형품의 기기 베이스부(1b)를 구비하고, 각각 도 2의 지면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빼내는 금형으로 성형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기 베이스부(1b)에는, 도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2)을 도 2의 지면 상에서 위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삽입하는 코일 스프링 가이드 구멍인 기기 베이스부측 오목부(1b01)가 구성되고, 도 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2)이 기기 베이스부(1b)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코일 스프링(12)의 일단(기기 지지 레일(2)에 가까운 측의 단부)이 걸리는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3)와, 코일 스프링(12)을 코일 스프링 수용실(11)에 조립한 후에 코일 스프링(12)의 코일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여 코일 스프링(12)의 가압 각도를 규정하는 베이스 가이드(본 실시 형태의 예에서는 코일 스프링 수용실(11)의 내주벽)를 구비하고 있다.
기기 커버부(1c)에는, 도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기기 베이스부(1b)와 조합시킨 경우에 기기 베이스부(1b)의 기기 베이스부측 오목부(가이드 구멍)(1b01)의 위치에, 코일 스프링(12)의 도 2의 지면 상에서 상부 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가이드판인 기기 커버부측 볼록부(1c01)를 구비하고 있다.
코일 스프링(12)은 코일부의 일단이 기기 베이스부(1b)의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3)에 걸어 가(假)조립되고, 기기 커버부(1c)를 기기 베이스부(1b)에 조립할 때에 기기 커버부(1c)의 기기 커버부측 볼록부(가이드판)(1c01)가 코일 스프링(12)의 코일의 타단(기기 지지 레일(2)로부터 먼 측의 단부)을 밀어 기기 베이스부(1b)의 기기 베이스부측 오목부(가이드 구멍)(1b01)를 따라서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1, 1322)와 레일 가압용의 코일 스프링(12)을 가지는 기기(10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기기 지지 레일(2)에 장착된다.
기기 지지 레일(2)에 대해서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1)에 레일 맞물림편부(231(혹은 232))를 걸고, 기기(100)를 코일 스프링(12)이 휘는 방향으로 기기(100)를 인입한다(도 4의 (a)→(b)).
다음으로,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1)의 저부와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2)의 머리 길이부의 길이 L1은, 레일 맞물림편부(231, 232)의 각 말단 사이의 길이 L2 보다도 길게 취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12)을 휘게 한 상태에서 기기(100)를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2)에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2)를 삽입하도록 회동시킨다(도 4의 (b)→(c)).
다음으로, 기기(100)의 유지를 해제함으로써 기기(100)는 코일 스프링(12)에 의해 레일 맞물림편부(232)가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2)에 들어가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2)와 맞물리고, 코일 스프링(12)에 의해 가압되어 기기(100)를 유지한다(도 4의 (c)→(d)).
코일 스프링(12)은 레일 맞물림편부(231)를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1)의 방향으로도 가압하기 때문에, 기기 지지 레일(2)은 고정이므로, 결과적으로 기기(100)는 도 5의 지면 상에서 우측 방향으로 들어 올려져, 기기 지지 레일(2)에의 장착 상태에서의 덜거덕거림이 억제된다.
또 기기 지지 레일(2)로부터의 기기(100)의 떼어냄은, 기기(100)를 코일 스프링(12)이 휘는 방향으로 당기고,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2)로부터 레일 맞물림편부(232)를 떼어내는 방향으로 기기(100)를 회동시켜, 기기(100)의 유지를 해제함으로써 떼어냄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는, 하나의 코일 스프링(12)에 의해, 기기(100)의 유지와 기기 지지 레일(2)의 덜거덕거림을 억제하기 위해, 코일 스프링(12)을 기기 지지 레일(2)에 대해서 경사지게 가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약간 관점을 바꾸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은, 장척의 레일 본체(레일 저부(21) 및 한 쌍의 레일 측벽부(221, 222))의 양측에 해당 레일 본체를 따라서 돌출하는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231, 232)를 구비한 기기 지지 레일(2)에,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박스형의 기기(100)를 장착하기 위한 레일 장착 구조이다. 기기(100)는, 그 기기(100)의 외부 케이싱(1)의 레일 장착측의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13)의 양측에 기기 지지 레일(2)을 걸쳐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231, 232)의 측부로 각각 돌출하는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와,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13)와 제1 플랜지와의 경계에 마련된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13)의 저면(기기 지지 레일(2)에의 장착면)과의 사이에 제1 간극(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1))를 형성하고 해당 간극에 삽입된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에 맞물리는 제1 클로(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1))와, 측면 투영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1 클로(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1))의 제1 간극(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1))의 위치에 배치되어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를 제2 플랜지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12)과,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13)와 제2 플랜지와의 경계에 마련된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13)의 저면(기기 지지 레일(2)에의 장착면)과의 사이에 제2 간극(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2))를 형성하고 해당 간극에 삽입된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가 코일 스프링(12)의 가압력에 의해 맞닿음, 맞물림하는 제2 클로(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2))를 구비하며, 코일 스프링(12)은,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231)를 제2 클로(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2)) 방향 뿐만 아니라, 제1 클로(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1))를 기기(100)의 위로부터 아래 방향(기기 지지 레일(2)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구성하고 있다.
코일 스프링(12)은 지지 레일(2)과 맞닿는 개소가, 코일 스프링(12)의 코일 중심(12c) 보다도 하측(기기 지지 레일(2)의 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박스형의 기기(100)를 구성하는 수지 성형품(외부 케이싱(1))은 기기 지지 레일(2)과 수평하게 대략 중앙부로부터 상부 수지 성형품(기기 커버부(1c))과 하부 수지 성형품(기기 베이스부(1b))으로 분할되며, 해당 하부 수지 성형품(기기 베이스부(1b))에 그 상부로부터 코일 스프링(12)을 가(假)삽입할 수 있는 상부 개구 부(기기 베이스부측 오목부(1b01))가 마련되고, 상부 수지 성형품(기기 커버부(1c))으로부터 측면 투영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하부 수지 성형품(기기 베이스부(1b))의 상부 개구부(기기 베이스부측 오목부(1b01))에, 상부 수지 성형품(기기 커버부(1c))의 돌출부(기기 커버부측 볼록부(1c01))가, 상부 수지 성형품(기기 커버부(1c))을 하부 수지 성형품(기기 베이스부(1b))에 조합시킬 때에 삽입되고, 코일 스프링(12)을 규정의 위치로 밀어 넣어, 위치를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 형태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를 도 6 내지 도 8에 의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외곽 수지 부품과 코일 스프링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코일 스프링과 제2 커버를 베이스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조립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장착면(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13)의 저면)에 평행한 면으로 분할된, 이른바 횡분할 구조의 케이스 구성이었지만, 본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장착면(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13)의 저면)에 수직인 면으로 분할된, 이른바 종분할 구조의 케이스 구조의 사례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100)의 외부 케이싱(1)이, 기기 베이스부(1b)와, 이 기기 베이스부의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231, 232)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여 기기 베이스부(1b)에 부착되는 제1 기기 커버부(1c1) 및 제2 기기 커버부(1c2)로 구성되며,
기기 베이스부(1b)와 제1 기기 커버부(1c1)와 제2 기기 커버부(1c2)와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 수용실(11)이, 기기 베이스부(1b)와 제1 기기 커버부(1c1)와 제2 기기 커버부(1c2)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2)의 코일 내 공간(12s)의 안으로 연장하는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3)가 코일 스프링 위치 결정홈(111)에 인접하여 기기 베이스부(1b)에 일체로 마련되고,
코일 스프링 수용실(11)의 천정면(112)에, 코일 내 공간(12s)의 안으로 연장하고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3)에 대향하는 제2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4)가 일체로 마련되고,
코일 스프링(12)의 기기 지지 레일(2)에 가까운 측의 단부가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3)에 의해서 걸려지며,
코일 스프링(12)의 기기 지지 레일(2)에 먼 측의 단부가 제2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4)에 의해서 걸려진다.
기기 베이스부(1b)에 제1 기기 커버부(1c1)가 조합시켜진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12)이 코일 스프링 수용실(11)에 삽입되고,
코일 스프링(12)이 코일 스프링 수용실(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12)의 기기 지지 레일(2)에 가까운 측의 단부가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3)에 의해서 걸려지며, 코일 스프링(12)의 기기 지지 레일(2)에 먼 측의 단부가 제2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4)에 의해서 걸려진다.  
코일 스프링(12)의 기기 지지 레일(2)에 가까운 측의 단부가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3)에 의해서 걸려지고 코일 스프링(12)의 기기 지지 레일(2)에 먼 측의 단부가 제2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4)에 의해서 걸려진 상태에서, 제2 기기 커버부(1c2)가, 제1 기기 커버부(1c1)가 부착된 기기 베이스부(1b)에 부착된다.
다음으로, 약간 관점을 바꾸어 설명한다. 박스형의 기기(100)를 구성하는 수지 성형품(외부 케이싱(1))은 도 6의 지면 상에서 바로 앞 안쪽 방향에서 두 개 혹은 그 이상으로 분할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2)을 압축하여, 기기 베이스부(1b)에서의 제1 기기 커버부(1c1)가 조합시켜지는 측(이하, 「제1 기기 커버부(1c1)측」이라고 함)으로부터, 코일 스프링(12)의 일단을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3)에 맞물리게 한다. 한편, 코일 스프링(12)의 타단은, 기기 베이스부(1b)의 제2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4)에 마련된 경사(1341)의 부근의 천정면(112)에 접촉시킨다. 이 때, 코일 스프링(12)의 타단은, 천정면(112)에 더하여, 경사(1341)에도 접촉하고 있어도 괜찮다. 경사(1341)는, 제1 기기 커버부(1c1)측을 향한 경사면이며, 제2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4)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코일 스프링(12)은,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3)와 천정면(112)과의 사이에서, 스프링의 반발력으로 가(假)고정된다. 이것을 제1 기기 커버부(1c1)측으로부터 코일 스프링(12)을 가조립한다고 한다. 제1 기기 커버부(1c1)를 부착할 때에 제1 기기 커버부(1c1)의 측면에 의해 코일 스프링(12)을 압입한다. 압입됨으로써, 코일 스프링(12)의 타단은, 경사(1341) 상(上)에서 슬라이드하고, 코일 스프링(12)은 최종 조립 위치로 유도된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12)의 타단은 최종 조립 위치까지 조립되면, 제2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4)에 맞물려진다. 기기 베이스부(1b)는, 코일 스프링(12)이 최종 조립 위치에 조립되면,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3) 및 제2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4)에 맞물려 위치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2)을 기기 베이스부(1b)에의 가조립은, 다음과 같은 구조의 기기 베이스부(1b)를 이용해도 괜찮다. 도 6에 나타내는 기기 베이스부(1b)에 추가로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3)의 기단(基端)에 천정면(112)에 상당하는 면인 기단면(基端面)과,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3)에 경사(1341)에 상당하는 경사면을 형성한 경우를 설명한다. 먼저, 코일 스프링(12)을,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3)의 기단면과 천정면(112)과의 사이에서, 스프링의 반발력으로 가고정한다. 코일 스프링(12)의 일단은,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3)의 기단면 뿐만 아니라,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3)의 경사면에 접촉하고 있어도 괜찮다. 가고정한 후에, 코일 스프링(12)은, 제1 기기 커버부(1c1)에 의해서 압입됨으로써, 코일 스프링(12)의 일단 및 타단이,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3) 및 제2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4)의 경사면을 각각 슬라이드하여 간다. 이와 같이 경사면을 슬라이드한 코일 스프링(12)은, 일단이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3)에 맞물리고, 타단이 제2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4)에 맞물리게 된다.
또, 기기 베이스부(1b)에 대해서, 코일 스프링(12)의 타단을 제2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4)에 맞물리게 하여,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3)의 기단면과 제2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4)와의 사이에서, 스프링의 반발력으로 가고정해도 괜찮다. 코일 스프링(12)의 일단은,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3)의 기단면 뿐만 아니라,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3)의 경사면에 접촉하고 있어도 괜찮다. 가고정한 후에, 코일 스프링(12)을 제1 기기 커버부(1c1)에 의해서 압입하고, 코일 스프링(12)의 일단을 슬라이드시켜, 코일 스프링(12)의 일단을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3)에 맞물리게 한다. 이 경우, 제2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4)에 경사(1341)를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기기(100)의 외곽이 되는 박스형의 수지 성형품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3) 및 제2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4)를 가지는 기기 베이스부(1b)와, 이 기기 베이스부(1b)의 편면을 덮는 제1 기기 커버부(1c1)와, 제1 기기 커버부(1c1)와는 반대의 기기 베이스부(1b)의 편면을 덮는 제2 기기 커버부(1c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1)는, 제1 기기 커버부(1c1)에 마련된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1)와, 제2 기기 커버부(1c2)에 마련된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1)로 분할되어 있다. 또, 마찬가지로,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2)는, 기기 베이스부(1b)에 마련된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2)와, 제1 기기 커버부(1c1)에 마련된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2)와, 제2 기기 커버부(1c2)에 마련된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2)로 분할되어 있다.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1)는, 제1 기기 커버부(1c1)에 마련된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1)와, 제2 기기 커버부(1c2)에 마련된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1)로 분할되어 있다. 또, 마찬가지로,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2)는, 제1 기기 커버부(1c1)에 마련된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2)와, 기기 베이스부(1b)에 마련된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2)와, 제2 기기 커버부(1c2)에 마련된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2)로 분할되어 있다.
기기(100)의 조립을 함에 있어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기기 커버부(1c2)를 기기 베이스부(1b)에 장착한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12)을,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3)와 제2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134)와의 사이에 삽입하고, 또 편측의 제1 기기 커버부(1c1)를 기기 베이스부(1b)에 장착한다.
기기(100)의 기기 지지 레일(2)에의 장착 순서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형태 3.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을 도 9, 도 10에 의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개폐기의 외곽 수지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제2 커버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코일 스프링(12)과 고정 접촉자(42)의 관계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이다.
실시 형태 2에 나타내는 장착면에 수직인 면으로 분할된, 이른바 종분할 구조의 케이스 구조를 개폐기에 적용한 사례이다. 즉, 기기(100)가 개폐기(101)인 경우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기(101)의 외부 케이싱(1)이, 기기 베이스부(1b)와, 이 기기 베이스부의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231, 232)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여 기기 베이스부(1b)에 부착되는 제1 기기 커버부(1c1) 및 제2 기기 커버부(1c2)로 구성되며,
기기 베이스부(1b)와 제1 기기 커버부(1c1)와 제2 기기 커버부(1c2)와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 수용실(11)이, 기기 베이스부(1b)와 제1 기기 커버부(1c1)와 제2 기기 커버부(1c2)에 의해 둘러싸여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외부 케이싱(1)의 내부에는, 코일 스프링 수용실(11)의 도 10에서의 지면 상(上)상측에 마련된 고정 접점(41)과, 고정 접점(41)이 마련된 고정 접촉자(42)와, 고정 접점(41)과 접촉 및 개리하는 가동 접점(43)과, 가동 접점(43)이 마련된 가동 접촉자(44)와, 가동 접촉자(44)를 회동시켜 양 접점(41, 43)을 개폐시키는 개폐 기구(46)가 배치되어 있다. 또, 개폐 기구(46)에는, 외부 케이싱(1)의 외부로 튀어나와 마련되며, 개폐 기구(46)를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핸들(45)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코일 스프링(12)은, 고정 접촉자(42)에 대해 가동 접촉자(44)와는 반대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코일 스프링(12)에서의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13)측의 단부는, 고정 접촉자(42)에서의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13)측의 단부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2)은, 고정 접촉자(42) 및 가동 접촉자(44)와, 절연벽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1) 및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1322)는 개폐기 배면측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12)이 레일 저부(21)와 이루는 제1 각도(θ1)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42)가 레일 저부(21)와 이루는 제2 각도(θ2) 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제1 각도(θ1)와 제2 각도(θ2)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내각(內角)이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코일 스프링(12)은, 고정 접촉자(42)에 대해 가동 접촉자(44)와는 반대측에 마련되며, 코일 스프링(12)이 레일 저부(21)와 이루는 제1 각도(θ1)가, 고정 접촉자(42)가 레일 저부(21)와 이루는 제2 각도(θ2) 보다 작으므로, 고정 접촉자(42)에서의 레일 저부(21)측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술의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여러 가지 형상의 기기 지지 레일에 대응하고, 또한 덜거덕거림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간이한 구조의 레일 장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12)에 의해 기기(100)의 위치 고정을 실현함과 아울러, 덜거덕거림을 방지하는 기능도 겸하여, 추가 부품이 없어 염가로 구성이 가능하다. 또, 수지의 탄성이 아니라 코일 스프링(12)의 탄성을 덜거덕거림 방지에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률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며, 치수 변화가 큰 기기 지지 레일(2)의 덜거덕거림 변화에 대해서 안정된 하중을 발휘할 수 있으며, 수지 부품을 파괴할 우려도 없다.
또, 본 발명은, 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각 실시 형태를 적절히, 변형, 생략할 수 있다.
또, 각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낸다.
1 : 기기의 외부 케이싱         
1b : 기기 베이스부
1b01 : 기기 베이스부측 오목부
1b01cs : 기기 베이스부측 오목부(1b01)의 반원홈 모양의 만곡 저면
1c : 기기 커버부
1c01 : 기기 커버부측 볼록부
1c01cs : 기기 커버부측 볼록부(1c01)의 반원홈 모양의 만곡 선단면
1c1 : 제1 기기 커버부
1c2 : 제2 기기 커버부
11 : 코일 스프링 수용실
111 : 코일 스프링 위치 결정홈
112 : 코일 스프링 수용실의 천정면
12 : 코일 스프링
12c : 코일 중심
12s : 코일 내 공간
121 : 코일 스프링 단면(端面)
13 :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
1311 :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
1312 :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
1312b :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1312)의 바닥
1321 :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
13211 : 레일 맞물림편부 안내 경사면
1322 :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
133 :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
134 : 제2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
1341 : 경사
13g231 : 상대적 이동 허용 간극
2 : 기기 지지 레일
21 : 레일 저부
221, 222 : 한 쌍의 레일 측벽부
231, 232 :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
3 : 레일 장착벽
41 : 고정 접점
42 : 고정 접촉자
43 : 가동 접점
44 : 가동 접촉자
100 : 기기
101 : 개폐기

Claims (22)

  1. 레일 저부와, 이 레일 저부의 양측에 마련된, 상기 레일 저부와 각도를 이루어 상대적으로 평행을 이루어 연장하는 한 쌍의 레일 측벽부와, 이들 레일 측벽부의 각각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레일 저부와 대향하는 평면 상(上)에,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를 가진 기기(機器) 지지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로서,
    상기 기기의 외부 케이싱에 코일 스프링 수용실이 형성되고,
    이 코일 스프링 수용실에, 상기 기기 지지 레일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코일 스프링이 수용되고,
    상기 기기의 외부 케이싱의 상기 기기 지지 레일의 측에, 상기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를 수용 가능한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에, 상기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일방 및 상기 코일 스프링에 대응하여 대응하는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를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상기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실에 연통한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를 형성하는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와, 상기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타방에 대응하여 대응하는 상기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를 상기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상기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를 형성하는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일방이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타방이 상기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가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서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와 대향함과 아울러 상기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가 상기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서 상기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와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 수용된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가, 상기 경사진 상태의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레일 저부를 향해 경사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기기의 외부 케이싱이, 기기 베이스부와, 이 기기 베이스부에 대해서 상기 기기 지지 레일과 반대의 측에 위치하여 상기 기기 베이스부에 부착되는 기기 커버부로 구성되며,
    상기 기기 베이스부의 상기 기기 지지 레일과 반대의 측에 마련된 기기 베이스부측 오목부와 상기 기기 커버부의 상기 기기 지지 레일의 측에 마련된 기기 커버부측 볼록부가 감합(嵌合)된 상태에서, 상기 기기 베이스부측 오목부의 저면과 상기 기기 커버부측 볼록부의 선단면과의 사이에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실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진 상태의 코일 스프링의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 측의 단부를,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 수용된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를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을 향해 경사 방향으로 가압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코일 스프링 위치 결정홈이,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실의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 측에 마련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코일 내 공간의 안으로 연장하는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가 상기 코일 스프링 위치 결정홈에 인접하여 상기 기기 베이스부에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기 기기 지지 레일에 가까운 측의 단부가 상기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에 의해서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실이, 상기 기기 베이스부측 오목부의 반원홈 모양의 만곡(灣曲) 저면과, 상기 기기 커버부측 볼록부의 반원홈 모양의 만곡 선단면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만곡 저면과 상기 만곡 선단면에 의해서, 상기 기기의 외부 케이싱 안에서의 상기 코일 스프링 자체의 위치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
  3. 레일 저부와, 이 레일 저부의 양측에 마련된, 상기 레일 저부와 각도를 이루어 상대적으로 평행을 이루어 연장하는 한 쌍의 레일 측벽부와, 이들 레일 측벽부의 각각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레일 저부와 대향하는 평면 상(上)에,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를 가진 기기(機器) 지지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로서,
    상기 기기의 외부 케이싱에 코일 스프링 수용실이 형성되고,
    이 코일 스프링 수용실에, 상기 기기 지지 레일을 향해 경사진 상태로 코일 스프링이 수용되고,
    상기 기기의 외부 케이싱의 상기 기기 지지 레일의 측에, 상기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를 수용 가능한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에, 상기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일방 및 상기 코일 스프링에 대응하여 대응하는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를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상기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실에 연통한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를 형성하는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와, 상기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타방에 대응하여 대응하는 상기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를 상기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상기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를 형성하는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일방이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타방이 상기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가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서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와 대향함과 아울러 상기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가 상기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서 상기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와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 수용된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가, 상기 경사진 상태의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레일 저부를 향해 경사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경사진 상태의 코일 스프링의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 측의 단부를,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 수용된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를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을 향해 경사 방향으로 가압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코일 스프링 위치 결정홈이,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실의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 측에 마련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코일 내 공간의 안으로 연장하는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가 상기 코일 스프링 위치 결정홈에 인접하여 상기 기기 베이스부에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실의 천정면에, 코일 내 공간의 안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에 대향하는 제2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기 기기 지지 레일에 가까운 측의 단부가 상기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에 의해서 걸려지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기 기기 지지 레일에 먼 측의 단부가 상기 제2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에 의해서 걸려지고,
    상기 기기의 외부 케이싱이, 기기 베이스부와, 이 기기 베이스부의 상기 한 쌍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기기 베이스부에 부착되는 제1 기기 커버부 및 제2 기기 커버부로 구성되며,
    상기 기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 기기 커버부와 상기 제2 기기 커버부와의 사이에,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실이, 상기 기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1 기기 커버부와 상기 제2 기기 커버부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코일 내 공간의 안으로 연장하는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가 상기 코일 스프링 위치 결정홈에 인접하여 상기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기 베이스부에 상기 제1 기기 커버부가 조합시켜진 상태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이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실에 삽입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이 상기 코일 스프링 수용실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기 기기 지지 레일에 가까운 측의 단부가 상기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에 의해서 걸려지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기 기기 지지 레일에 먼 측의 단부가 상기 제2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에 의해서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기 기기 지지 레일에 가까운 측의 단부가 상기 제1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에 의해서 걸려지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기 기기 지지 레일에 먼 측의 단부가 상기 제2 코일 스프링 걸림 돌기부에 의해서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제2 기기 커버부가, 제1 기기 커버부가 부착된 상기 기기 베이스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상태의 코일 스프링의 상기 기기 지지 레일 근처의 코일 스프링 단면(端面)이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에 맞닿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 수용된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가 상기 레일 저부를 향해 경사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선단이, 상기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의 바닥에 맞닿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 수용된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가 상기 경사진 상태의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레일 저부를 향해 경사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상기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 측의 면과, 상기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 오목부의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 측의 면과의 사이에,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와 상기 기기의 외부 케이싱과의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상기 연장 방향으로의 상기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한 상대적 이동을 허용하는 상대적 이동 허용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와 상기 기기의 외부 케이싱과의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상기 연장 방향으로의 상기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한 상대적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맞물림편부 안내 경사면이,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의 상기 기기 지지 레일과 반대의 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 수용된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가, 상기 경사진 상태의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레일 저부를 향해 경사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경사진 상태의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 F가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에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분력 F1이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와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를 탄성적으로 맞물리게 하고, 상기 경사진 상태의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 F가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에 상기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분력 F2가 상기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와 상기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의 바닥을 탄성적으로 맞닿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상태의 코일 스프링의 상기 기기 지지 레일의 측의 단면(端面)이, 그 코일 중심보다 상기 기기 지지 레일의 측에서,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외부 케이싱이,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가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상기 연장 방향으로 상기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동시켜지고,
    이 이동시켜진 상태에서 상기 기기의 외부 케이싱이 상기 이동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져 상기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에 상기 기기의 외부 케이싱의 상기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에 감입(嵌入)되는 것에 의해,
    상기 기기의 외부 케이싱이 상기 기기 지지 레일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외부 케이싱이, 상기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상기 연장 방향으로 상기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동시켜지는 것에 의해, 상기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가 상기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 및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타방의 레일 맞물림편부의 상기 제2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 및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로부터 이탈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져 상기 일방의 레일 맞물림편부가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수용홈부 및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에 의해,
    상기 기기의 외부 케이싱이 상기 기기 지지 레일로부터 떼어 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
  1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기기는 개폐기로서,
    고정 접점을 가지는 고정 접촉자와, 상기 고정 접점에 대해 접촉 및 개리(開離)하는 가동 접점이 마련된 가동 접촉자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고정 접촉자에 대해 상기 가동 접촉자와는 반대 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과 상기 레일 저부가 이루는 제1 각도는, 상기 고정 접촉자와 상기 레일 저부가 이루는 제2 각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고정 접촉자 및 상기 가동 접촉자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 및 상기 제2 레일 맞물림편부 걸림 돌기부가 개폐기 배면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50066219A 2014-09-25 2015-05-12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 및 그 레일 장착 구조를 구비한 개폐기 KR101748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94882A JP6218713B2 (ja) 2014-09-25 2014-09-25 機器のレール取付け構造およびそのレール取付け構造を備えた開閉器
JPJP-P-2014-194882 2014-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468A KR20160036468A (ko) 2016-04-04
KR101748481B1 true KR101748481B1 (ko) 2017-06-16

Family

ID=54319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219A KR101748481B1 (ko) 2014-09-25 2015-05-12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 및 그 레일 장착 구조를 구비한 개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18713B2 (ko)
KR (1) KR101748481B1 (ko)
CN (2) CN204720796U (ko)
TW (1) TWI6024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36543B (zh) * 2015-10-30 2019-01-01 厦门宏发开关设备有限公司 一种接触器底座的活动卡口安装结构
CN108741805B (zh) * 2018-04-30 2020-06-05 六安市科凡智造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单个拉出自动复位的柜子
JP6921315B2 (ja) * 2018-05-15 2021-08-18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2629A (ja) * 2000-07-26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回路遮断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0681U (ja) * 1982-03-17 1983-09-21 和泉電気株式会社 レ−ルへの電気器具取付装置
DE4327172C2 (de) * 1993-08-13 1997-04-10 Weigel Mesgeraete Gmbh Vorrichtung zur lösbaren Befestigung mindestens eines elektrischen Bauteils an einer Profilschiene
FR2743946B1 (fr) * 1996-01-18 1998-03-27 Schneider Electric Sa Dispositif de fixation d'un appareil electrique
US6578703B2 (en) * 2001-05-30 2003-06-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agnetic latch transport loader
US8882433B2 (en) * 2009-05-18 2014-11-11 Brooks Automation, Inc. Integrated systems for interfacing with substrate container storage systems
KR101927363B1 (ko) * 2009-05-18 2018-12-11 브룩스 오토메이션 인코퍼레이티드 기판 컨테이너 보관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일체형 시스템
JP6107115B2 (ja) * 2012-12-18 2017-04-05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気機器のレール装着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熱動形過負荷継電器
CN203158680U (zh) * 2013-04-08 2013-08-28 陕西北元化工集团有限公司 一种高温在线轨道链斗式输送机计量装置
CN203707581U (zh) * 2014-02-19 2014-07-09 艾默生网络能源(江门)有限公司 低压电气设备元器件安装装置及其固定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2629A (ja) * 2000-07-26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回路遮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67136A (ja) 2016-04-28
KR20160036468A (ko) 2016-04-04
CN106207761A (zh) 2016-12-07
JP6218713B2 (ja) 2017-10-25
TW201613449A (en) 2016-04-01
TWI602489B (zh) 2017-10-11
CN106207761B (zh) 2018-04-06
CN204720796U (zh) 201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206771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KR101748481B1 (ko)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 및 그 레일 장착 구조를 구비한 개폐기
US20070004258A1 (en) Card connector
KR101909830B1 (ko) 커넥터 부재 및 커넥터
EP3007529A1 (en) Motor control device
JP5953431B2 (ja) ブレードサーバ・スライドイン・モジュール用の装置
EP3309906B1 (en) Card connector
KR100933260B1 (ko) 잠금 구조, 이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 및 잠금 해제방법
KR101093380B1 (ko) 스위치 장치
KR101290675B1 (ko) 커넥터 장치
KR101581893B1 (ko) 커넥터 어셈블리
US20190036250A1 (en) Electromagnetic relay unit
JP4340645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TWI764299B (zh) 可程式控制器用基板及可程式控制器系統
KR20140006558A (ko) 커넥터
JP6029248B2 (ja) 電気コネクタ、その組立体及び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14175534A (ja) 筐体
US4174508A (en) Relay latching apparatus
JP2006252915A (ja) モジュラジャック
JP2015185422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SG186517A1 (en) Card connector
WO2023032594A1 (ja) 電気機器のレール取付け構造
TWI438985B (zh) 連接器及其組合
JP4056489B2 (ja)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JP5062428B2 (ja) プッシュ式メモリーカー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