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826B1 - 엔진 - Google Patents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826B1
KR101747826B1 KR1020157019266A KR20157019266A KR101747826B1 KR 101747826 B1 KR101747826 B1 KR 101747826B1 KR 1020157019266 A KR1020157019266 A KR 1020157019266A KR 20157019266 A KR20157019266 A KR 20157019266A KR 101747826 B1 KR101747826 B1 KR 101747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fuel injection
cooling water
pressure
eg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9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2339A (ko
Inventor
아쯔히토 이와세
토모히로 오타니
야스아키 오쿠
유키 후지모토
토모히로 후쿠다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81650A external-priority patent/JP607585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81651A external-priority patent/JP5998042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2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47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 F02D41/0077Control of the EGR valve or actuator, e.g. duty cycle, closed loop control of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41/40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with means for controlling injection timing or duration
    • F02D41/401Controlling injection 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47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 F02D41/005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according to engine operating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47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 F02D41/005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according to engine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052Feedback control of engine parameters, e.g. for control of air/fuel ratio or intake air amou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47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 F02D41/0065Specific aspects of external EG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8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warming-u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05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2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low pressure type
    • F02D41/34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low pressure type with means for controlling injection timing or duration
    • F02D41/345Controlling injection 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47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 F02D41/0065Specific aspects of external EGR control
    • F02D2041/0067Determining the EGR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21Engin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6Fuel or fuel supply system parameters
    • F02D2200/0614Actual fuel mass or fuel injection amou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6Fuel or fuel supply system parameters
    • F02D2200/0618Actual fuel injection timing or delay, e.g. determined from fuel pressure dr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10Parameters related to the engine output, e.g. engine torque or engine speed
    • F02D2200/101Engin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47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 F02D41/0065Specific aspects of external EGR control
    • F02D41/0072Estimating, calculating or determining the EGR rate, amount or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 Y02T10/4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시동성이 향상됨과 함께, 운전 환경 및 사용 양태에 상관없이 운전 상태가 안정되는 엔진(1)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즉, 엔진(1)의 목표 회전수(Nt) 및 연료 분사량인 기준 분사량(Qs)에 기초하여 기준 분사 시기(ITs)를 산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정량에 따라 기준 분사 시기(ITs)를 보정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엔진(1)으로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엔진(1)의 목표 회전수(Nt), 기준 분사량(Qs) 및 냉각수 온도(Tm)에 기초하여 냉각수 보정량(Wc)을 산출하고, 냉각수 온도(Tm)가 제1 소정 온도(Tm1) 미만인 경우에 냉각수 보정량(Wc)에 따라서만 기준 분사 시기(ITs)를 보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엔진{ENGINE}
본 발명은 엔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 분사 제어 장치를 구비한 엔진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젤 엔진은 냉태 시동시에 연료의 기화가 촉진되지 않고 시동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냉태 시동시에 연료 분사 시기를 의도적으로 진각시키도록 보정하는 연료 분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소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냉각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진각시키도록 보정함으로써 엔진의 시동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연료 분사 제어 장치는, 엔진의 시동시에 냉각수 온도가 소정 온도 이하인 경우에 분사 시기를 진각시키는 보정(진각 보정)을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흑연의 발생 등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냉각수 온도 이외의 지표에 따라 분사 시기를 진각 보정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엔진의 운전 환경에 따라서는, 냉각수 온도뿐만 아니라 복수의 지표에 따라 분사 시기가 과잉으로 진각 보정되어 엔진의 운전 상태가 불안정해지거나 엔진 스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32326호 공보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상황을 감안한 것으로, 시동성이 향상됨과 함께 운전 환경 및 사용 양태에 상관없이 운전 상태가 안정되는 엔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엔진의 목표 회전수 및 연료 분사량에 기초하여 기준 분사 시기를 산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정량에 따라 기준 분사 시기, 연료 분사압, 연료 분사 간격 또는 연료 분사량을 보정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엔진으로서, 제어 수단은, 엔진의 목표 회전수, 연료 분사량 및 냉각수 온도에 기초하여 냉각수 보정량을 산출하고, 냉각수 온도가 제1 소정 온도 미만인 경우에 냉각수 보정량에 따라서만 기준 분사 시기, 연료 분사압, 연료 분사 간격 또는 연료 분사량을 보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냉각수 온도가 제2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냉각수 보정량 이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정량에 따라 상기 기준 분사 시기, 상기 연료 분사압, 상기 연료 분사 간격 또는 상기 연료 분사량을 보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외기 온도에 따라 상기 제1 소정 온도와 상기 제2 소정 온도를 설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수 온도의 영향이 큰 조건하에서는, 냉각수 보정량에 따른 보정을 우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동성이 향상됨과 함께 운전 환경 및 사용 양태에 상관없이 운전 상태가 안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수 온도의 영향이 작은 조건하에서는, 냉각수 보정량에 따른 보정을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시동성이 향상됨과 함께, 운전 환경 및 사용 양태에 상관없이 운전 상태가 안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 시동시의 외기 온도에 따라 냉각수 온도에 기초하는 보정 조건이 변경된다. 이에 따라, 시동성이 향상됨과 함께 운전 환경 및 사용 양태에 상관없이 운전 상태가 안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분사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엔진의 시동 이후의 냉각수 온도와 분사 시기의 보정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분사 제어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의 분사 시기를 보정하는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분사 제어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의 분사압을 보정하는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분사 제어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의 분사 간격을 보정하는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분사 제어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의 분사량을 보정하는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분사 제어 장치의 제2 실시 형태의 분사 시기를 보정하는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엔진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엔진의 선택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엔진의 소정 조건에서의 EGR 장치의 유효 통로 단면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엔진의 제3 실시 형태의 EGR 장치의 유효 통로 단면적을 산출하는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는 엔진의 동일 차압의 경우의 각 소정 조건에서 EGR 장치의 유효 통로 단면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엔진의 제4 실시 형태의 EGR 장치의 유효 통로 단면적의 임계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엔진의 제4 실시 형태의 EGR 장치의 유효 통로 단면적을 산출하는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엔진(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1)은 디젤 엔진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기통(3·3·3·3)을 가지는 직렬 4기통 엔진이다.
엔진(1)은 흡기관(2)을 통하여 공급되는 외기와 연료 분사 밸브(4·4·4·4)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기통(3·3·3·3)의 내부에서 혼합하여 연소시킴으로써 출력축을 회전 구동시킨다. 엔진(1)은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배기를 배기관(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엔진(1)은 연료 분사 밸브(4·4·4·4)로부터 분사되는 연료 분사량을 제어하는 연료 분사 제어 장치(10), 엔진(1)을 제어하는 ECU(18)를 구비한다.
연료 분사 제어 장치(10)는 연료 분사를 제어하는 것이다. 연료 분사 제어 장치(10)는 엔진(1)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검출부(11), 액셀 페달(7)의 조작량(S)을 검출하는 조작량 검출부(12), 대기압(P) 및 외기 온도(To)를 검출하는 대기압·외기 온도 검출부(13), 흡기의 유량을 검출하는 흡기 유량 검출부(14), 엔진(1)의 냉각수 온도(Tm)를 검출하는 냉각수 온도 검출부(15), 연료 분사압(Fp)을 검출하는 연료 분사압 검출부(16), 연료 분사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인 연료 분사 제어부(17)를 구비한다.
엔진 회전수 검출부(11)는 엔진(1)의 회전수(N)를 검출하는 것이다. 엔진 회전수 검출부(11)는 로터리 엔코더로 구성되며 엔진(1)의 출력축에 마련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 엔진 회전수 검출부(11)를 로터리 엔코더로 구성하고 있으나, 회전수(N)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조작량 검출부(12)는 액셀 페달(7)의 조작량(S)을 검출하는 것이다. 조작량 검출부(12)는 스트로크 센서 또는 각도 센서로 구성되며, 액셀 페달(7)의 출력 레버에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조작량 검출부(12)를 스트로크 센서 또는 각도 센서로 구성하고 있으나, 조작량(S)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대기압·외기 온도 검출부(13)는 대기압(P) 및 외기 온도(To)를 검출하는 것이다. 대기압·외기 온도 검출부(13)는 대기압 센서 및 온도 센서 등으로 구성되며 대기압(P) 및 외기 온도(To)가 측정 가능한 지점에 마련된다.
흡기 유량 검출부(14)는 엔진(1)의 흡기 유량(F)을 검출하는 것이다. 흡기 유량 검출부(14)는 유량 센서 등으로 구성되며 엔진(1)의 흡기관(2)에 설치된다.
냉각수 온도 검출부(15)는 엔진(1)의 냉각수 온도(Tm)를 검출하는 것이다. 냉각수 온도 검출부(15)는 온도 센서 등으로 구성되며 엔진(1)의 냉각수의 열교환을 하는 라디에이터(6)에 배치된다.
연료 분사압 검출부(16)는 연료 분사 밸브(4·4·4·4)의 연료 분사압(Fp)을 검출하는 것이다. 연료 분사압 검출부(16)는 압력 센서 등으로 구성되며 연료 분사 밸브(4·4·4·4)에 연료를 공급하는 도시 생략한 연료관에 배치된다.
제어 수단인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연료의 분사를 제어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프로그램이나, 조작량(S)에 기초하여 엔진(1)의 목표 회전수(Nt)를 산출하기 위한 회전수맵(M1), 목표 회전수(Nt) 및 냉각수 온도(Tm)에 기초하여 기준 분사량(Qs)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 연료 분사량맵(M2), 목표 회전수(Nt) 및 기준 분사량(Qs)에 기초하여 연료의 기준 분사 시기(ITs)를 산출하기 위한 기준 분사 시기 맵(M3), 목표 회전수(Nt) 및 기준 분사량(Qs)에 기초하여 기준 냉각수 보정량(Wcs)을 산출하기 위한 냉각수 보정량맵(M4), 냉각수 온도(Tm)에 기초하여 냉각수 온도 보정 계수(Tmf)를 산출하기 위한 냉각수 온도 보정맵(M5), 목표 회전수(Nt) 및 기준 분사량(Qs)에 기초하여 기준 대기압 보정량(Pcs)을 산출하기 위한 대기압 보정량맵(M6), 대기압(P)에 기초하여 대기압 보정 계수(Pf)를 산출하기 위한 대기압 보정맵(M7), 목표 회전수(Nt) 및 기준 분사량(Qs)에 기초하여 연료의 기준 분사 압력(IPs)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 분사 압력맵(M8), 목표 회전수(Nt) 및 기준 분사량(Qs)에 기초하여 연료의 기준 분사 간격(IIs)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 분사 간격맵(M9), 목표 회전수(Nt) 및 기준 분사량(Qs)에 기초하여 연료의 기준 분사량(IVs)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 분사량맵(M10) 등을 기억한다.
목표 회전수(Nt)는 액셀 페달(7)이 조작량(S)만큼 조작된 경우, 무부하 상태 에서 엔진(1)이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회전수이다.
기준 분사량(Qs)은 엔진(1)으로부터의 흑연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냉각수 온도(Tm)일 때 목표 회전수(Nt)에서 기준이 되는 연료 분사량이다.
기준 분사 시기(ITs)는 엔진(1)의 시동성의 향상(엔진 스톨의 방지) 및 흑연의 발생을 억제하는 목표 회전수(Nt), 기준 분사량(Qs)에서 기준이 되는 연료 분사 시기이다.
기준 냉각수 보정량(Wcs)은 목표 회전수(Nt), 기준 분사량(Qs)에서 냉각수 보정을 할 때의 기준이 되는 보정량이다.
냉각수 온도 보정 계수(Tmr)는 냉각수 온도(Tm)에서 냉각수 보정량(Wc)을 산출하기 위한 보정 계수이다.
기준 대기압 보정량(Pcs)은 목표 회전수(Nt), 기준 분사량(Qs)에서 대기압 보정을 할 때의 기준이 되는 보정량이다.
대기압 보정 계수(Pf)는 대기압(P)에서 대기압 보정량(Pc)을 산출하기 위한 보정 계수이다.
기준 분사 압력(IPs)은 엔진(1)의 시동성의 향상 및 흑연의 발생을 억제하는 목표 회전수(Nt), 기준 분사량(Qs)의 기준이 되는 연료의 분사 압력이다.
기준 분사 간격(IIs)은 엔진(1)의 시동성의 향상 및 흑연의 발생을 억제하는 목표 회전수(Nt), 기준 분사량(Qs)의 기준이 되는 연료의 분사 간격이다.
기준 분사량(IVs)은 엔진(1)의 시동성의 향상 및 흑연의 발생을 억제하는 목표 회전수(Nt), 기준 분사량(Qs)의 기준이 되는 연료의 분사량이다.
제1 소정 온도(Tm1)는 엔진(1)의 시동성의 향상 및 흑연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냉각수 보정에 따라서만 기준 분사 시기(ITs)를 보정하는 냉각수의 임계값이다.
제2 소정 온도(Tm2)는 엔진(1)의 시동성의 향상 및 흑연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냉각수 보정 이외의 보정에 따라 기준 분사 시기(ITs)를 보정하는 냉각수의 임계값이다.
ECU(18)는 엔진(1)을 제어하는 것이다. ECU(18)에는 엔진(1)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저장된다. ECU(18)는 CPU, ROM, RAM, HDD 등이 버스에 의해 접속되는 구성이어도 되고, 또는 LSI 등의 하나의 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ECU(18)는 연료 분사 제어부(17)를 구비한다.
연료 분사 제어부(17)(ECU(18))는 연료 분사 밸브(4·4·4·4)와 접속되며, 연료 분사 밸브(4·4·4·4)를 제어할 수 있다.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엔진 회전수 검출부(11)에 접속되며, 엔진 회전수 검출부(11)가 검출하는 회전수(N)를 취득할 수 있다.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조작량 검출부(12)에 접속되며, 조작량 검출부(12)가 검출하는 조작량(S)을 취득할 수 있다.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대기압·외기 온도 검출부(13)에 접속되며, 대기압·외기 온도 검출부(13)가 검출하는 대기압(P) 및 외기 온도(To)를 취득할 수 있다.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흡기 유량 검출부(14)에 접속되며, 흡기 유량 검출부(14)가 검출하는 흡기 유량(F)을 취득할 수 있다.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냉각수 온도 검출부(15)에 접속되며, 냉각수 온도 검출부(15)가 검출하는 냉각수 온도(Tm)를 취득할 수 있다.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연료 분사압 검출부(16)에 접속되며, 연료 분사압 검출부(16)가 검출하는 연료 분사압(Fp)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취득한 조작량(S)에 기초하여 회전수맵(M1)으로부터 목표 회전수(Nt)를 산출할 수 있다.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취득한 흡기 유량(F) 및 대기압(P)에 기초하여 공기 과잉률(λ)을 산출할 수 있다.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취득한 냉각수 온도(Tm) 및 산출한 목표 회전수(Nt)에 기초하여 기준 연료 분사량맵(M2)으로부터 기준 분사량(Qs)을 산출할 수 있다.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목표 회전수(Nt) 및 기준 분사량(Qs)에 기초하여 기준 분사 시기맵(M3)으로부터 기준 분사 시기(ITs)를 산출할 수 있다.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목표 회전수(Nt) 및 기준 분사량(Qs)에 기초하여 냉각수 보정량맵(M4)으로부터 기준 냉각수 보정량(Wcs)을 산출할 수 있다.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취득한 냉각수 온도(Tm)에 기초하여 냉각수 온도 보정맵(M5)으로부터 냉각수 온도 보정 계수(Tmf)를 산출할 수 있다.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목표 회전수(Nt) 및 기준 분사량(Qs)에 기초하여 대기압 보정량맵(M6)으로부터 기준 대기압 보정량(Pcs)을 산출할 수 있다.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취득한 대기압(P)에 기초하여 대기압 보정맵(M7)으로부터 대기압 보정 계수(Pf)를 산출할 수 있다.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목표 회전수(Nt) 및 기준 분사량(Qs)에 기초하여 기준 분사 압력맵(M8)으로부터 기준 분사 압력(IPs)을 산출할 수 있다.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목표 회전수(Nt) 및 기준 분사량(Qs)에 기초하여 기준 분사 간격맵(M9)으로부터 기준 분사 간격(IIs)을 산출할 수 있다.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목표 회전수(Nt) 및 기준 분사량(Qs)에 기초하여 기준 분사량맵(M10)으로부터 기준 분사량(IVs)을 산출할 수 있다.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기준 냉각수 보정량(Wcs)과 냉각수 온도 보정 계수(Tmf)로부터 냉각수 보정량(Wc)을 산출할 수 있다.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기준 대기압 보정량(Pcs)과 대기압 보정 계수(Pf)로부터 대기압 보정량(Pc)을 산출할 수 있다.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냉각수 보정량(Wc) 및 대기압 보정량(Pc)에 따라 기준 분사 시기(ITs)를 적절한 분사 시기에 진각 보정 또는 지각 보정할 수 있다.
ECU(18)는 연료 분사 제어부(17)를 통하여 취득한 조작량(S), 회전수(N), 목표 회전수(Nt), 기준 분사량(Qs), 기준 분사 시기(ITs)에 기초하여 엔진(1)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엔진(1)의 시동 후의 연료 분사 제어부(17)의 분사 시기를 보정하는 제어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엔진(1)이 시동하고 나서부터 냉각수 온도(Tm, 도 2의 선 A 참조)가 제1 소정 온도(Tm1)에 도달할 때까지 기준 분사 시기(ITs, 도 2의 선 B 참조)를 냉각수 보정량(Wc)으로 진각 보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엔진(1)이 시동하고 나서 냉각수 온도(Tm)가 제1 소정 온도(Tm1)에 도달한 후 제2 소정 온도(Tm2)에 도달할 때까지 기준 분사 시기(ITs)를 냉각수 보정량(Wc) 및 대기압 보정량(Pc)으로 진각 보정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엔진(1)이 시동하고 나서 냉각수 온도(Tm)가 제2 소정 온도(Tm2)에 도달하면 기준 분사 시기(ITs)를 대기압 보정량(Pc)으로 진각 보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냉각수 보정량(Wc) 이외의 보정량을 대기압 보정량(Pc)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3을 이용하여 연료 분사 제어부(17)의 분사 시기를 보정하는 제어 상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1)의 시동 후 단계 S110에서, 연료 분사 제어 장치(10)의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조작량 검출부(12)가 검출하는 조작량(S), 대기압·외기 온도 검출부(13)가 검출하는 대기압(P) 및 외기 온도(To), 흡기 유량 검출부(14)가 검출하는 흡기 유량(F) 및 냉각수 온도 검출부(15)가 검출하는 냉각수 온도(Tm)를 취득하고, 단계를 S120으로 이행시킨다.
단계 S120에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취득한 조작량(S)에 기초하여 회전수맵(M1)으로부터 목표 회전수(Nt)를 산출하고, 취득한 냉각수 온도(Tm) 및 산출한 목표 회전수(Nt)에 기초하여 기준 연료 분사량맵(M2)으로부터 기준 분사량(Qs)를 산출하고, 단계를 S130으로 이행시킨다.
단계 S130에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목표 회전수(Nt) 및 기준 분사량(Qs)에 기초하여 기준 분사 시기맵(M3)으로부터 기준 분사 시기(ITs)를 산출하고, 단계를 S140으로 이행시킨다.
단계 S140에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목표 회전수(Nt) 및 기준 분사량(Qs)에 기초하여 냉각수 보정량맵(M4)으로부터 기준 냉각수 보정량(Wcs)을 산출하고, 냉각수 온도(Tm)에 기초하여 냉각수 온도 보정맵(M5)으로부터 냉각수 온도 보정 계수(Tmf)를 산출하고, 단계를 S150으로 이행시킨다.
단계 S150에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목표 회전수(Nt) 및 기준 분사량(Qs)에 기초하여 대기압 보정량맵(M6)으로부터 기준 대기압 보정량(Pcs)을 산출하고, 취득한 대기압(P)에 기초하여 대기압 보정맵(M7)으로부터 대기압 보정 계수(Pf)를 산출하고, 단계를 S160으로 이행시킨다.
단계(S160)에 있어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기준 냉각수 보정량(Wcs) 및 냉각수 온도 보정 계수(Tmf)에 기초하여 냉각수 보정량(Wc)을 산출하고, 산출한 기준 대기압 보정량(Pcs) 및 대기압 보정 계수(Pf)에 기초하여 대기압 보정량(Pc)을 산출하고, 단계를 S170으로 이행시킨다.
단계 S170에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취득한 냉각수 온도(Tm)가 제1 소정 온도(Tm1)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그 결과, 취득한 냉각수 온도(Tm)가 제1 소정 온도(Tm1) 이상으로 판정된 경우,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단계를 S180으로 이행시킨다.
한편, 취득한 냉각수 온도(Tm)가 제1 소정 온도(Tm1) 미만으로 판정된 경우,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단계를 S280으로 이행시킨다.
단계 S180에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취득한 냉각수 온도(Tm)가 제2 소정 온도(Tm2)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그 결과, 취득한 냉각수 온도(Tm)가 제2 소정 온도(Tm2) 이상으로 판정된 경우,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단계를 S190으로 이행시킨다.
한편, 취득한 냉각수 온도(Tm)가 제2 소정 온도(Tm2) 미만으로 판정된 경우,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단계를 S390으로 이행시킨다.
단계 S190에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기준 분사 시기(ITs)를 산출한 대기압 보정량(Pc)으로 보정하고, 단계를 S110으로 되돌린다. 즉,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기준 분사 시기(ITs)의 보정에 냉각수 보정량(Wc)을 이용하지 않는다.
단계 S280에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기준 분사 시기(ITs)를 냉각수 보정량(Wc)으로 보정하고, 단계를 S110으로 되돌린다. 즉,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기준 분사 시기(ITs)의 보정에 대기압 보정량(Pc)을 이용하지 않는다.
단계 S390에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기준 분사 시기(ITs)를 냉각수 보정량(Wc) 및 대기압 보정량(Pc)으로 보정하고, 단계를 S110으로 되돌린다.
이에 따라, 엔진(1)은 냉각수 온도(Tm)가 엔진(1)의 시동성이나 흑연의 발생에 대해 온도의 영향이 큰 제1 소정 온도(Tm1) 미만인 경우, 냉각수 보정량(Wc)에 따라서만 기준 분사 시기(ITs)를 보정한다. 이 결과, 냉각수 보정량(Wc)과 대기압 보정량(Pc)의 합에 따른 과잉 진각 보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엔진(1)은 냉각수 온도(Tm)가 엔진(1)의 시동성이나 흑연의 발생에 대해 대기압 및 온도의 영향이 큰 제1 소정 온도(Tm1) 이상 제2 소정 온도(Tm2) 미만인 경우, 냉각수 보정량(Wc) 및 대기압 보정량(Pc)에 따라 기준 분사 시기(ITs)를 보정한다. 이 결과, 냉각수 보정량(Wc)과 대기압 보정량(Pc)에 따라 적절한 진각 보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엔진(1)은 냉각수 온도(Tm)가 엔진(1)의 시동성이나 흑연의 발생에 대해 대기압의 영향이 큰 제2 소정 온도(Tm2) 이상인 경우, 대기압 보정량(Pc)에 따라 기준 분사 시기(ITs)를 보정한다. 이 결과, 냉각수 보정량(Wc)과 대기압 보정량(Pc)의 합에 따른 과잉 진각 보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2 소정 온도(Tm2) 이상인 경우, 대기압 보정량(Pc)에 따라 기준 분사 시기(ITs)를 보정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대기압 보정량(Pc)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보정량(예를 들면, 외기 온도, 윤활유 온도, 엔진(1)의 시동으로부터 경과 시간 등)이면 된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엔진(1)의 시동 후의 연료 분사 제어부(17)의 분사 압력을 보정하는 제어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점에 대해서는 그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단계 S110 내지 S120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제어를 한다.
단계 S131에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목표 회전수(Nt) 및 기준 분사량(Qs)에 기초하여 기준 분사 압력맵(M8)으로부터 기준 분사 압력(IPs)을 산출하고, 단계를 S140으로 이행시킨다.
단계 S140 내지 S180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제어를 한다.
단계 S191에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기준 분사 압력(IPs)을 산출한 대기압 보정량(Pc)으로 보정하고, 단계를 S110으로 되돌린다. 즉,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기준 분사 압력(IPs)의 보정에 냉각수 보정량(Wc)을 이용하지 않는다.
단계 S281에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기준 분사 압력(IPs)을 냉각수 보정량(Wc)으로 보정하고, 단계를 단계 S110으로 되돌린다. 즉,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기준 분사 압력(IPs)의 보정에 대기압 보정량(Pc)을 이용하지 않는다.
단계 S391에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기준 분사 압력(IPs)을 냉각수 보정량(Wc) 및 대기압 보정량(Pc)으로 보정하고, 단계를 S110으로 되돌린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엔진(1)의 시동 후의 연료 분사 제어부(17)의 분사 간격을 보정하는 제어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점에 대해서는 그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단계 S110 내지 S120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제어를 한다.
단계 S132에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목표 회전수(Nt) 및 기준 분사량(Qs)에 기초하여 기준 분사 간격맵(M9)으로부터 기준 분사 간격(IIs)을 산출하고, 단계를 S140으로 이행시킨다.
단계 S140 내지 S180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제어를 한다.
단계 S192에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기준 분사 간격(IIs)을 산출한 대기압 보정량(Pc)으로 보정하고, 단계를 S110으로 되돌린다. 즉,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기준 분사 간격(IIs)의 보정에 냉각수 보정량(Wc)을 이용하지 않는다.
단계 S282에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기준 분사 간격(IIs)을 냉각수 보정량(Wc)으로 보정하고, 단계를 S110으로 되돌린다. 즉,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기준 분사 간격(IIs)의 보정에 대기압 보정량(Pc)을 이용하지 않는다.
단계 S392에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기준 분사 간격(IIs)을 냉각수 보정량(Wc) 및 대기압 보정량(Pc)으로 보정하고, 단계를 S110으로 되돌린다.
이하,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엔진(1)의 시동 후의 연료 분사 제어부(17)의 분사량을 보정하는 제어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점에 대해서는 그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단계 S110 내지 S120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제어를 한다.
단계 S132에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목표 회전수(Nt) 및 기준 분사량(Qs)에 기초하여 기준 분사량맵(M10)으로부터 기준 분사량(IVs)을 산출하고, 단계를 S140으로 이행시킨다.
단계 S140 내지 S180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제어를 한다.
단계 S192에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기준 분사량(IVs)을 산출한 대기압 보정량(Pc)으로 보정하고, 단계를 S110으로 되돌린다. 즉,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기준 분사량(IVs)의 보정에 냉각수 보정량(Wc)을 이용하지 않는다.
단계 S282에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기준 분사량(IVs)을 냉각수 보정량(Wc)으로 보정하고, 단계를 S110으로 되돌린다. 즉,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기준 분사량(IVs)의 보정에 대기압 보정량(Pc)을 이용하지 않는다.
단계 S392에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산출한 기준 분사량(IVs)을 냉각수 보정량(Wc) 및 대기압 보정량(Pc)으로 보정하고, 단계를 S110으로 되돌린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엔진(1)은 엔진(1)의 목표 회전수(Nt) 및 연료 분사량인 기준 분사량(Qs)에 기초하여 기준 분사 시기(ITs)를 산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정량에 따라 기준 분사 시기(ITs), 연료 분사압(IPs), 연료 분사 간격(IIs) 또는 연료 분사량(IVs)을 보정하는 제어 수단인 연료 분사 제어부(17)를 구비하는 연료 분사 제어 장치(10)로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엔진(1)의 목표 회전수(Nt), 기준 분사량(Qs) 및 냉각수 온도(Tm)에 기초하여 냉각수 보정량(Wc)을 산출하고, 냉각수 온도(Tm)가 제1 소정 온도(Tm1) 미만인 경우에 냉각수 보정량(Wc)에 따라서만 기준 분사 시기(ITs), 연료 분사압(IPs), 연료 분사 간격(IIs) 또는 연료 분사량(IVs)을 보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냉각수 온도(Tm)의 영향이 큰 조건하에서, 냉각수 보정량(Wc)에 의한 보정을 우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동성이 향상됨과 함께 운전 환경 및 사용 양태에 상관없이 운전 상태가 안정된다.
또한, 연료 분사 제어부(17)는 냉각수 온도(Tm)가 제2 소정 온도(Tm2) 이상인 경우, 냉각수 보정량(Wc) 이외의 보정 계수의 하나인 대기압 보정량(Pc)에 따라 기준 분사 시기(ITs)를 보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냉각수 온도(Tm)의 영향이 작은 조건하에서, 냉각수 보정량(Wc)에 따른 보정을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시동성이 향상됨과 함께, 운전 환경 및 사용 양태에 상관없이 운전 상태가 안정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제2 실시 형태인 엔진(1)에 대해 설명한다. 엔진(1)은 연료 분사 제어 장치(19)를 구비한다. 연료 분사 제어 장치(19)는 연료 분사 제어부(20)를 구비하고, 외기 온도(To)에 따라 제1 소정 온도(Tm1) 및 제2 소정 온도(Tm2)를 산출하는 것이다. 한편,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 연료 분사 제어부(17)의 기준 분사 시기, 연료 분사압, 연료 분사 간격 또는 연료 분사량의 제어 상태 중, 기준 분사 시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미 설명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점에 대해서는 그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 분사 제어부(20)는 외기 온도(To)로부터 제1 소정 온도(Tm1) 및 제2 소정 온도(Tm2)를 산출하는 소정 온도 산출맵(M11)을 기억한다. 연료 분사 제어부(20)는 이러한 프로그램 등에 따라 소정의 연산을 하고, 그 연산의 결과를 기억한다.
연료 분사 제어부(20)는, 취득한 외기 온도(To)에 기초하여 소정 온도 산출 맵(M11)으로부터 제1 소정 온도(Tm1) 및 제2 소정 온도(Tm2)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연료 분사 제어 장치(19)의 엔진(1)의 시동 후의 연료 분사 제어의 양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S135에서 연료 분사 제어부(20)는 취득한 외기 온도(To)에 기초하여 소정 온도 산출맵(M11)으로부터 제1 소정 온도(Tm1) 및 제2 소정 온도(Tm2)를 각각 산출하고, 단계를 S140으로 이행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소정 온도(Tm1) 및 제2 소정 온도(Tm2) 중 어느 하나를 외기 온도(To)에 기초하여 산출한 값으로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엔진(1)에서, 제어 수단인 연료 분사 제어부(20)는 외기 온도(To)에 따라 제1 소정 온도(Tm1)와 제2 소정 온도(Tm2)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엔진(1) 시동시의 외기 온도(To)에 따라 냉각수 온도(Tm)에 기초하는 보정 조건이 변경된다. 이에 따라, 시동성이 향상됨과 함께 운전 환경 및 사용 양태에 상관없이 운전 상태가 안정된다.
이하, 도 8을 이용하여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엔진(21)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21)은 디젤 엔진(21)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기통(23·23·23·23)을 가지는 직렬 4기통 엔진(21)이다.
엔진(21)은, 흡기관(22)을 통하여 기통(23)의 내부에 공급되는 흡기와, 연료 분사 밸브(24·24·24·24)로부터 기통(23)의 내부에 공급되는 연료를 기통(23·23·23·23)의 내부에서 혼합하여 연소시킴으로써 출력축을 회전 구동시킨다. 엔진(21)은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배기를 배기관(2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엔진(21)은 엔진 회전수 검출 센서(26), 연료 분사 밸브(24)의 분사량 검출 센서(27), EGR 장치(28) 및 제어 장치인 ECU(35)를 구비한다.
엔진 회전수 검출 센서(26)는 엔진(21)의 회전수(N)를 검출하는 것이다. 엔진 회전수 검출 센서(26)는 센서와 펄서로 구성되며, 엔진(21)의 출력축에 마련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 엔진 회전수 검출 센서(26)를 센서와 펄서로 구성하고 있으나, 회전수(N)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분사량 검출 센서(27)는 연료 분사 밸브(24)로부터 분사되는 연료의 분사량(f)을 검출하는 것이다. 분사량 검출 센서(27)는 도시생략한 연료 공급관의 중간부에 마련된다. 분사량 검출 센서(27)는 유량 센서로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 분사량 검출 센서(27)를 유량 센서로 구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연료의 분사량(f)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EGR 장치(28)는, 배기의 일부를 흡기로 환류하는 것이다. EGR 장치(28)는 EGR 관(29), EGR 밸브(30), 흡기압 검출 센서(31), 배기압 검출 센서(32), EGR 가스 온도 검출 센서(33), 개도 검출 센서(34), EGR 제어부인 ECU(35)를 구비한다.
EGR 관(29)은 배기를 흡기관(22)으로 안내하기 위한 관이다. EGR 관(29)은 흡기관(22)과 배기관(25)을 연통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배기관(25)을 통과하는 배기의 일부가 EGR 관(29)을 통하여 흡기관(22)으로 안내된다. 즉, 배기의 일부가 EGR 가스로서 흡기로 환류 가능하게 구성된다(이하, 간략히 「EGR 가스」라고 한다).
EGR 밸브(30)는 EGR 관(29)를 통과하는 EGR 가스의 유량을 제한하는 것이다. EGR 밸브(30)는 노멀 클로즈드 타입의 전자식 유량 제어 밸브로 구성된다. EGR 밸브(30)는 EGR 관(29)의 중간부에 마련된다. EGR 밸브(30)는 후술하는 ECU(35)로부터의 신호를 취득하여 EGR 밸브(30)의 개도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 EGR 밸브(30)를 노멀 클로즈드 타입의 전자식 유량 제어 밸브로 구성하고 있으나, EGR 가스의 유량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차압 검출 수단을 구성하는 흡기압 검출 센서(31)는 흡기압(P1)을 검출하는 것이다. 흡기압 검출 센서(31)는 흡기압(P1)을 검출할 수 있는 흡기관(22)의 중간부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차압 검출 수단을 구성하는 배기압 검출 센서(32)는 배기압(P2)을 검출하는 것이다. 배기압 검출 센서(32)는 배기압(P2)을 검출 가능한 배기관의 중간부에 배치된다.
EGR 가스 온도 검출 센서(33)는 EGR 가스 온도(Tegr)를 검출하는 것이다. EGR 가스 온도 검출 센서(33)는 열전대로 구성된다. EGR 가스 온도 검출 센서(33)는 EGR 가스 온도(Tegr)를 검출할 수 있는 EGR 관(29)의 중간부에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 EGR 가스 온도 검출 센서(33)를 열전대로 구성하고 있으나, EGR 가스 온도(Tegr)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개도 검출 센서(34)는, EGR 밸브 개도(G)를 검출하는 것이다. 개도 검출 센서(34)는 위치 검출 센서로 구성된다. 개도 검출 센서(34)는 EGR 밸브(30)에 마련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 개도 검출 센서(34)를 위치 검출 센서로 구성하고 있으나, EGR 밸브 개도(G)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ECU(35)는 엔진(21)을 제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엔진(21) 본체나 EGR 장치(28)를 제어한다. ECU(35)에는 엔진(21)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저장된다. ECU(35)는 CPU, ROM, RAM, HDD 등이 버스로 접속되는 구성이어도 되고, 또는 LSI 등의 하나의 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ECU(35)는 연료 분사 밸브(24·24·24·24)와 접속되며, 연료 분사 밸브(24·24·24·24)를 제어할 수 있다.
ECU(35)는 엔진 회전수 검출 센서(26)에 접속되며, 엔진 회전수 검출 센서(26)가 검출하는 회전수(N)를 취득할 수 있다.
ECU(35)는 분사량 검출 센서(27)에 접속되며, 분사량 검출 센서(27)가 검출하는 분사량(f)을 취득할 수 있다.
ECU(35)는 EGR 밸브(30)와 접속되며, EGR 밸브(3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ECU(35)는 차압 검출 수단인 흡기압 검출 센서(31) 및 배기압 검출 센서(32)에 접속되며, 흡기압 검출 센서(31)가 검출하는 흡기압(P1) 및 배기압 검출 센서(32)가 검출하는 배기압(P2)을 취득하고, EGR 차압(ΔP), 흡배기 압력비(π)를 산출할 수 있다.
ECU(35)는 EGR 가스 온도 검출 센서(33)에 접속되며, EGR 가스 온도 검출 센서(33)가 검출하는 EGR 가스 온도(Tegr)를 취득할 수 있다.
ECU(35)는 개도 검출 센서(34)에 접속되며, 개도 검출 센서(34)가 검출하는 EGR 밸브 개도(G)를 취득할 수 있다.
ECU(35)에는 EGR 밸브 개도(G)와 EGR 차압(ΔP)에 기초하여 EGR 장치(28)의 유효 통로 단면적(Ared)을 산출하기 위한 유효 통로 단면적맵(R1·R2···Rn)(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효 통로 단면적맵(R1·R2·R3·R4))이 저장된다. 또한, 회전수(N)와 분사량(f)에 기초하여 유효 통로 단면적맵(R1·R2·R3·R4) 중 하나의 유효 통로 단면적맵(Rx)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맵(Ry)이 저장된다.
ECU(35)는 취득한 회전수(N) 및 분사량(f)에 기초하여 선택맵(Ry)으로부터 하나의 유효 통로 단면적맵(Rx)을 선택할 수 있다. 흡기압(P1), 배기압(P2), EGR 가스 온도(Tegr), EGR 밸브 개도(G)에 기초하여 선택한 하나의 유효 통로 단면적맵(Rx)으로부터 유효 통로 단면적(Ared)을 산출하여, EGR 밸브(3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엔진(21)의 EGR 장치(28)에서의 EGR 가스 중량(Megr)을 산출하기 위한 제어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ECU(35)는 취득한 흡기압(P1) 및 배기압(P2)에 기초하여 이하의 수학식 1에 나타낸 EGR 차압(ΔP)을 산출하고, 이하의 수학식 2에 나타낸 흡배기 압력비(π)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ECU(35)는 취득한 회전수(N) 및 분사량(f)에 기초하여 선택맵(Ry)으로부터 유효 통로 단면적맵(Rx)을 선택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ECU(35)는 산출한 EGR 차압(ΔP) 및 취득한 EGR 밸브 개도(G)에 기초하여 선택한 유효 통로 단면적맵(Rx)으로부터 유효 통로 단면적(Ared)을 산출한다. 그리고, ECU(35)는 취득한 배기압(P2) 및 EGR 가스 온도(Tegr), 산출한 흡배기 압력비(π) 및 유효 통로 단면적(Ared), 상수인 배기 비열(κ) 및 기체 상수(R)에 기초하여 이하의 수학식 3에 나타낸 EGR 가스 중량(Megr)을 산출한다.
Figure 112015068922265-pct00001
Figure 112015068922265-pct00002
Figure 112015068922265-pct00003
다음으로, 엔진(21)의 EGR 장치(28)의 EGR 가스 중량(Megr)을 산출하는 제어 상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S410에서 ECU(35)는 엔진 회전수 검출 센서(26)가 검출하는 회전수(N), 분사량 검출 센서(27)가 검출하는 분사량(f), 개도 검출 센서(34)가 검출하는 EGR 밸브 개도(G), 흡기압 검출 센서(31)가 검출하는 흡기압(P1) 및 배기압 검출 센서(32)가 검출하는 배기압(P2) 및 EGR 가스 온도 검출 센서(33)가 검출하는 EGR 가스 온도(Tegr)를 취득하고, 단계를 S420으로 이행시킨다.
단계 S420에서, ECU(35)는 취득한 흡기압(P1) 및 배기압(P2)으로부터 EGR 차압(ΔP)과 흡배기 압력비(π)를 산출하고, 단계를 S430으로 이행시킨다.
단계 S430에서, ECU(35)는 취득한 회전수(N) 및 분사량(f)에 기초하여 선택맵(Ry)으로부터 하나의 유효 통로 단면적맵(Rx)을 선택하고, 단계를 S440으로 이행시킨다.
단계 S440에서, ECU(35)는 산출한 EGR 차압(ΔP) 및 취득한 EGR 밸브 개도(G)에 기초하여 유효 통로 단면적맵(Rx)으로부터 유효 통로 단면적(Ared)을 산출하고, 단계를 단계 S450으로 이행시킨다.
단계 S450에서, ECU(35)는 취득한 흡기압(P1), EGR 가스 온도(Tegr), 산출한 흡배기 압력비(π), 유효 통로 단면적(Ared), 정수인 배기 비열(κ) 및 기체 정수(R)로부터 EGR 가스 중량(Megr)을 산출하고, 산출한(EGR) 가스 중량(Megr)에 기초하여 EGR 밸브 개도(G)를 제어한다. ECU(35)는 단계를 S410으로 이행시킨다.
즉,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EGR 장치(28)는 엔진(21)의 회전수(N) 및 분사량(f) 상태가 다른 경우, EGR 차압(ΔP) 및 EGR 밸브 개도(G)가 동일하더라도 유효 통로 단면적(Ared)이 다른 값이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ECU(35)는 회전수(N) 및 분사량(f) 상태에 기초하여 최적의 유효 통로 단면적 맵(Rx)을 선택하도록 제어한다(도 9 참조).
이에 따라, 엔진(21)의 운전 상태가 다르더라도 EGR 차압(ΔP) 및 EGR 밸브 개도(G)에 기초하여 EGR 가스 중량(Megr)이 산출된다. 따라서, EGR 장치(28)에 의한 질소 산화물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적절히 발휘된다.
이상과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엔진(21)은 배기의 일부를 EGR 가스로서 흡기로 환류시키는 EGR 장치(28)를 구비하는 엔진(21)으로서, EGR 가스 중량(Megr)을 제한하는 EGR 밸브(30)와, 흡기압(P1)과 배기압(P2)의 차압을 검출하는 차압 검출 수단인 흡기압 검출 센서(31) 및 배기압 검출 센서(32)와, EGR 밸브(30)의 EGR 밸브 개도(G)를 변경하여 EGR 가스 중량(Megr)을 조정하는 제어 장치인 ECU(35)를 구비하고, ECU(35)는 EGR 밸브 개도(G)와 EGR 차압(ΔP)으로부터 EGR 장치(28)의 유효 통로 면적(Ared)을 산출하는 유효 통로 단면적맵(Rx)을 복수 구비하고, 복수의 유효 통로 단면적맵(R1·R2·R3·R4) 중 선택된 하나의 유효 통로 단면적맵(Rx)으로부터 유효 통로 단면적(Ared)을 산출하는 것이다.
또한, ECU(35)는 엔진(21)의 회전수(N)와 분사량(f)에 기초하여, 복수의 유효 통로 단면적맵(R1·R2·R3·R4)으로부터 하나의 유효 통로 단면적맵(Rx)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유효 통로 단면적 맵(R1·R2·R3·R4) 중에서 엔진(21)의 운전 상태에 대응한 유효 통로 단면적맵(Rx)이 선택된다. 이에 따라, 운전 상태에 기초한 EGR 가스 중량(Megr)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도 13 및 도 14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엔진(21)의 제4 실시 형태인 엔진(21)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점에 대해서는 그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ECU(35)는 배기압(P2)과 흡배기 압력비(π)에 기초하여 EGR 장치(28)의 유효 통로 단면적(Ared)을 산출하기 위한 유효 통로 단면적 맵(R1·R2··Rn)(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효 통로 단면적맵(R1·R2·R3·R4)) 중 하나의 유효 통로 단면적맵(Rx)을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엔진(21)의 EGR 장치(28)의 EGR 가스 중량(Megr)을 산출하기 위한 제어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ECU(35)는 취득한 배기압(P2) 및 산출한 흡배기 압력비(π)에 기초하여 EGR 장치(28)의 유효 통로 단면적(Ared)을 산출하기 위하여 적절한 유효 통로 단면적맵(Rx)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ECU(35)는 흡배기 압력비(π)가 소정값(X)보다 크고 배기압(P2)가 소정값(Y)보다 큰 경우(도 13에서 영역 D), 유효 통로 단면적맵(R4)을 선택한다. 또한, ECU(35)는 흡배기 압력비(π)가 소정값(X)보다 크고 배기압(P2)이 소정값(Y) 이하인 경우(도 13에서 영역 C), 유효 통로 단면적맵(R3)을 선택한다. 또한, ECU(35)는 흡배기 압력비(π)가 소정값(X) 이하이며 배기압(P2)이 소정값(Y)보다 큰 경우(도 13에서 영역 B), 유효 통로 단면적맵(R2)을 선택한다. 또한, ECU(35)는 흡배기 압력비(π)가 소정값(X) 이하이며 배기압(P2)이 소정값(Y) 이하인 경우(도 13에서 영역 A), 유효 통로 단면적맵(R1)을 선택한다.
다음으로, 엔진(21)의 EGR 장치(28)에서의 EGR 가스 중량(Megr)을 산출하기 위한 제어 상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계 S410 내지 단계 S420에서, ECU(35)는 상술한 제어와 동일한 제어를 한다.
단계 S431에서, ECU(35)는 흡배기 압력비(π)가 소정값(X)보다 큰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그 결과, 흡배기 압력비(π)가 소정값(X)보다 크다고 판정된 경우, ECU(35)는 단계를 S432로 이행시킨다.
한편, 흡배기 압력비(π)가 소정값(X)보다 크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ECU(35)는 단계를 S532로 이행시킨다.
단계 S432에서, ECU(35)는 배기압(P2)이 소정값(Y)보다 큰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그 결과, 배기압(P2)이 소정값(Y)보다 크다고 판정된 경우, ECU(35)는 단계를 S433으로 이행시킨다.
한편, 배기압(P2)가 소정값(Y)보다 크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ECU(35)는 단계를 S733로 이행시킨다.
단계 S433에서, ECU(35)는 유효 통로 단면적맵(R4)을 선택하고, 단계를 S440으로 이행시킨다.
단계 S440 내지 단계 S450에서, ECU(35)는 상술한 제어와 동일한 제어를 한다.
단계 S532에서, ECU(35)는 배기압(P2)이 소정값(Y)보다 큰지 아닌지 판정한다.
그 결과, 배기압(P2)이 소정값(Y)보다 크다고 판정된 경우, ECU(35)는 단계를 단계 S533으로 이행시킨다.
한편, 배기압(P2)가 소정값(Y)보다 크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ECU(35)는 단계를 S633으로 이행시킨다.
단계 S533에서, ECU(35)는 유효 통로 단면적맵(R2)을 선택하고, 단계를 S440으로 이행시킨다.
단계 S633에서, ECU(35)는 유효 통로 단면적맵(R1)을 선택하고, 단계를 S440으로 이행시킨다.
단계 S733에서, ECU(35)는 유효 통로 단면적맵(R3)을 선택하고, 단계를 S440으로 이행시킨다.
이상과 같이,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엔진(21)은, ECU(35)는 흡기압(P1)과 배기압(P2)의 흡배기 압력비(π) 및 배기압(P2)에 기초하여 복수의 유효 통로 단면적맵(R1·R2·R3·R4)으로부터 하나의 유효 통로 단면적맵(Rx)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유효 통로 단면적맵(R1·R2·R3·R4) 중에서 엔진(21)의 운전 상태에 대응한 유효 통로 단면적맵(Rx)가 선택된다. 이에 따라, 운전 상태에 기초한 EGR 가스 중량(Megr)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료 분사 제어 장치를 구비한 엔진에 이용할 수 있다.
  1: 엔진 10: 연료 분사 제어 장치
  16: 연료 분사 제어부 Nt: 목표 회전수
P: 대기압 Tm: 냉각수 온도
  Qs: 기준 최대 분사량 ITs: 기준 분사 시기
  Wc: 냉각수 보정량 Tm1: 제1 소정 온도
  21: 엔진 28: EGR 장치
  30: EGR 밸브 31: 흡기압 검출 센서
  32: 배기압 검출 센서 35: ECU
  Megr: EGR 가스 중량 G: EGR 밸브 개도
  ΔP: EGR 차압 Ared: 유효 통로 면적
  Rx: 유효 통로 단면적맵

Claims (3)

  1. 배기의 일부를 EGR 가스로서 흡기로 환류시키는 EGR 장치를 구비하는 엔진으로서,
    EGR 가스 중량을 제한하는 EGR 밸브,
    엔진의 흡기압과 배기압 차이인 EGR차압을 검출하는 차압 검출 수단, 및
    EGR 밸브의 EGR 밸브 개도를 변경하여 EGR 가스 중량을 조정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EGR 밸브 개도 및 상기 EGR 차압으로부터 EGR 장치의 유효 통로 단면적을 산출하는 유효 통로 단면적맵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흡기압과 상기 배기압의 압력비인 흡배기 압력비 및 배기압에 기초하여, 상기 흡배기 압력비와 소정값의 대소를 판정하고, 상기 배기압과 소정값의 대소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유효 통로 단면적맵으로부터 하나의 유효 통로 단면적맵을 선택하고,
    복수의 유효 통로 단면적맵 중 선택된 하나의 유효 통로 단면적맵으로부터 유효 통로 단면적을 산출하는 엔진.
  2. 삭제
  3. 삭제
KR1020157019266A 2012-12-25 2013-09-10 엔진 KR1017478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81650 2012-12-25
JP2012281650A JP6075852B2 (ja) 2012-12-25 2012-12-25 エンジン
JPJP-P-2012-281651 2012-12-25
JP2012281651A JP5998042B2 (ja) 2012-12-25 2012-12-25 エンジン
PCT/JP2013/074322 WO2014103439A1 (ja) 2012-12-25 2013-09-10 エンジ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339A KR20150092339A (ko) 2015-08-12
KR101747826B1 true KR101747826B1 (ko) 2017-06-15

Family

ID=51020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9266A KR101747826B1 (ko) 2012-12-25 2013-09-10 엔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644567B2 (ko)
EP (1) EP2940276A4 (ko)
KR (1) KR101747826B1 (ko)
CN (1) CN104884775B (ko)
WO (1) WO2014103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4775B (zh) * 2012-12-25 2018-05-08 洋马株式会社 发动机
IT201700062336A1 (it) * 2017-06-07 2018-12-07 Magneti Marelli Spa Metodo per controllare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JP6973187B2 (ja) * 2018-03-06 2021-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料噴射時期制御装置
US11143124B2 (en) * 2020-02-20 2021-10-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calibr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0024A (ja) * 2003-11-07 2005-06-02 Hitachi Ltd 電子式egrガス制御装置
JP2010156312A (ja) * 2009-01-05 2010-07-15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2031740A (ja) * 2010-07-28 2012-02-16 Yanmar Co Ltd エンジン装置の排気ガス再循環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6527A (ja) * 1988-11-17 1990-05-25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燃料制御装置
JPH0823324B2 (ja) * 1989-05-22 1996-03-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ンの燃料制御装置
JPH06336957A (ja) * 1993-05-31 1994-12-06 Nissan Motor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egr制御装置
JP3185602B2 (ja) 1995-05-15 2001-07-1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筒内噴射型火花点火式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H10141150A (ja) * 1996-11-13 1998-05-26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の排気還流制御装置の故障診断装置
JPH11148411A (ja) * 1997-11-19 1999-06-02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制御装置
JP3551060B2 (ja) 1999-02-02 2004-08-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ーモスタットの異常検出装置
JP3633343B2 (ja) * 1999-02-23 2005-03-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3680639B2 (ja) * 1999-06-15 2005-08-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3687485B2 (ja) 2000-05-12 2005-08-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001355492A (ja) * 2000-06-09 2001-12-26 Nissan Motor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料噴射時期制御装置
JP4457510B2 (ja) 2001-03-07 2010-04-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排気還流装置の異常検出装置
JP3788424B2 (ja) * 2002-03-29 2006-06-21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故障診断装置
JP3829786B2 (ja) * 2002-10-01 2006-10-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空気供給装置
JP4168809B2 (ja) * 2003-04-03 2008-10-2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Egr付き排気過給エンジン
JP2005009354A (ja) * 2003-06-17 2005-01-13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制御装置
JP2005120942A (ja) * 2003-10-17 2005-05-12 Nissan Motor Co Ltd 直噴火花点火式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7023973A (ja) * 2005-07-20 2007-02-01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7032326A (ja) 2005-07-25 2007-02-08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4226580B2 (ja) * 2005-09-02 2009-02-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8002332A (ja) * 2006-06-21 2008-01-10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4434241B2 (ja) * 2007-07-06 2010-03-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停止始動制御装置
JP5094539B2 (ja) * 2008-05-12 2012-12-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US7873464B2 (en) * 2009-04-01 2011-01-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Block heater usage detection and coolant temperature adjustment
JP2011043150A (ja) * 2009-08-24 2011-03-03 Daihatsu Motor Co Ltd 制御装置
JP5939031B2 (ja) * 2012-05-23 2016-06-22 スズキ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CN104884775B (zh) * 2012-12-25 2018-05-08 洋马株式会社 发动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0024A (ja) * 2003-11-07 2005-06-02 Hitachi Ltd 電子式egrガス制御装置
JP2010156312A (ja) * 2009-01-05 2010-07-15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2031740A (ja) * 2010-07-28 2012-02-16 Yanmar Co Ltd エンジン装置の排気ガス再循環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95034A1 (en) 2016-07-07
CN104884775B (zh) 2018-05-08
EP2940276A4 (en) 2016-12-07
US20170204798A1 (en) 2017-07-20
WO2014103439A1 (ja) 2014-07-03
KR20150092339A (ko) 2015-08-12
CN104884775A (zh) 2015-09-02
US9915213B2 (en) 2018-03-13
US9644567B2 (en) 2017-05-09
EP2940276A1 (en)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8775B2 (en) Detection of a humidity sensor failur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966304B2 (en) Estimation of oil-diluting fuel quantity of engine
JP4614104B2 (ja) 内燃機関の吸入空気量検出装置
US9222431B2 (en) Estimating a fuel leakage quantity of an injection valve during a shut-down time of a motor vehicle
KR101747826B1 (ko) 엔진
JP2008101591A (ja) 内燃機関の着火時期制御装置
US11112333B2 (en) Sensor failure diagnostic apparatus
US9810171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n offset of a manifold pressure sensor
JP2004508488A (ja) NOx質量流量を決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6918362B2 (en) Engine with variable cam timing and control advantageously using humidity sensor
JP4752636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9435283B2 (en) Method for inferring barometric pressure at low throttle angles
US6850834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degradation of EGR flow delivery
KR101998932B1 (ko) 엔진
JP2010106734A (ja) 内燃機関のegr制御方法及び内燃機関
US7243019B2 (en) EGR fuzzy logic pintle positioning system
JP5998042B2 (ja) エンジン
JP5937913B2 (ja) エンジン
CN113404602A (zh) 一种计算主动净化系统中的空气量的方法
JP2009150239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4029784B2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クリアランス量推定装置
US9856807B2 (en)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control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9317568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異常検出装置
JP2007063994A (ja) 内燃機関のバルブ温度推定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バルブクリアランス量推定装置
JP4613893B2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触媒温度推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