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377B1 - 입체 원단 제조 장치 및 그 입체 원단 - Google Patents

입체 원단 제조 장치 및 그 입체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377B1
KR101747377B1 KR1020150157325A KR20150157325A KR101747377B1 KR 101747377 B1 KR101747377 B1 KR 101747377B1 KR 1020150157325 A KR1020150157325 A KR 1020150157325A KR 20150157325 A KR20150157325 A KR 20150157325A KR 101747377 B1 KR101747377 B1 KR 101747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drum
fabric
rollers
heat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4758A (ko
Inventor
신성재
신오재
Original Assignee
아성기계 주식회사
신성재
신오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성기계 주식회사, 신성재, 신오재 filed Critical 아성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7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377B1/ko
Publication of KR20170054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17Flat presses, pressing plates or heating devices for pressing pl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31Methods for making patterns on fabrics, e.g. by application of powder dye, moiréing, embo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일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파일 원단에 대하여 패턴을 열 변형 성형하는 패턴 롤러를 포함하는 패턴 성형부와, 패턴이 성형된 입체 원단을 배출 수집하는 수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입체 원단 제조 장치에 있어서, 패턴 성형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 패턴을 관통 천공하여 이루어지는 패턴 드럼(20)과 상기 패턴 드럼(20)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패턴 드럼 지지 롤러(21, 23)를 형성하고 수직 상부에 지지 롤러(25)를 형성하여 이루고, 상기 패턴 드럼(20)의 하부에는 드럼(20)을 지지하며 발열을 이루는 제 1, 2 발열 롤러(31, 33)를 형성하여 상기 패턴 드럼(20)의 자전을 지지하도록 이루고, 상기 파일 원단에 열 변형을 이루는 열원으로써 패턴 드럼과 분리하여 마련된 상기 제 1, 2 발열 롤러(31, 33)와 이 발열 롤러 하부로는 제 3 발열 롤러(35)를 형성하고 상기 발열 롤러(31, 33, 35)들을 등속으로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37)를 형성하여 구동모터 스프라켓과 상기 발열 롤러들을 체인(38)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발열 구동부(30)와, 상기 발열 롤러(31, 33) 일 표면을 순차적으로 감싸 경유하여 폐 루프를 이루며 파일 원단에 패턴 성형 열을 전달하는 벨트(40)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체 원단 제조 장치 및 그 입체 원단{Three-dimensional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three-dimensional fabric}
본 발명은 입체 원단 제조 장치 및 그 입체 원단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원단의 표면에 외부 열원의 전도를 이루어 소망하는 패턴으로 입체감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입체 원단 제조 장치 및 그 입체 원단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원단의 표면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융착 시키는 것과, 이 융착을 일정 패턴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원단의 표면에 입체적인 패턴을 부가하여 입체 원단을 제작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 특허 2009-118472호의 "엠보싱 직물의 전사장치"는 직물의 표면에 엠보싱(embossing)을 가하는 동시에 다양한 컬러로 전사가 되도록 하는 엠보싱 직물의 전사장치로 원단 공급부와 원단 수거부 사이에 2개의 받침 롤러와 엠보싱롤러를 구성하고, 받침 롤러를 감싸 회전하도록 받침벨트를 연결하며, 전사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전사지 공급롤러를 거치하고 전사지 수거롤러를 구성하여 전사지가 원단과 함께 엠보싱롤러와 받침벨트 사이를 통과하도록 구성하여 원단이 엠보싱 롤러 패턴으로 부분적인 열 융착 변형을 이루어 엠보싱 원단을 제조하는 것이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405010호의 "2회 가압 무늬 성형기"에 의하면 합성섬유 직물지에 엠보싱(embossing) 무늬를 형성할 때 엠보스 로울러 상하에 동일한 가압 로울러를 설치하여 2회 가압이 가능케 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무늬를 얻을 수 있게 한 무늬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물공급부와 직물 권취부 사이에 엠보스성형장치를 장치하여 공급된 직물지에 엠보싱무늬를 성형시키는 공지된 것에 있어서, 성형장치는 표면에 엠보싱용 무늬가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가열장치(예:전기히터등)가 구비된 엠보스로울러를 일정위치에 장치하고 그 하측에는 승강수단에 의하여 수직으로 승강되는 승강기구가 장치되어 그 축부에 회전축이 지지되고 종이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일정 쿠션이 유지되는 하측 가압 로울러를 장치하고 상측에는 승강수단에 의하여 수직으로 승강되는 승강기구가 장치되어 그 축부에 회전축이 지지되고 종이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일정쿠션이 유지되는 상측 가압로울러를 장치하여 하측 가압로울러와 엠보스로울러 및 상측 가압로울러 사이로 직물지가 통과되면서 2회 가압으로 무늬가 형성되게 한 무늬성형장치로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 기술들에 의하면 열 융착에 의한 변형이 용이한 원단(주로 파일원단 등)을 로울러 이송하면서 히터가 내장된 엠보싱 로울러를 경유하면서 엠보싱 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원단 표면에 성형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파일 원단은 베이스 직물 상에 무수히 많은 파일 사를 돌출되도록 이루어 촉감이 부드럽고 보온성이 높은 인조 털과 같은 원단으로 주로 제작된다.
상기 파일 원단(Woven Pile fabrics)은 2조의 경사와 1조의 위사로 직조되는 경파일 직물인 벨벳, 벨루어, 파일플러시, 프리즈 등이 있으며, 2조의 위사와 1조의 위사로 직조되는 위파일 직물인 벨베틴, 코듀로이 등이 있고, 직물, 편성물 또는 웹으로 된 베이스 직물 상에 파일을 심어 파일 상부를 커팅하여 직물을 만드는 터프트 파일직물 및 바탕천 위에 접착제를 뿌린 후 짧은 섬유를 뿌려 만들거나 정전기를 이용해 짧은 섬유를 수직으로 배열하여 접착제가 코팅된 부분에 부착하여 만들어 벨벳이나 스웨이드 효과를 내는 입체감의 무늬를 제공하는 플로크 파일 직물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파일 원단들은 직조 방법에 따라서는 위사가 존재하는 부분과 존재하지 않는 부분으로 구분하여 특정한 무늬를 형성할 수는 있으나 베이스 직물이 노출되므로 벽 장식과 같이 특정한 용도 이외에 범용적인 직물로 사용하기는 곤란하며 따라서 베이스 직물의 노출이 없이 촘촘히 직조된 파일 원단의 표면에 후 가공을 가하여 특정 패턴을 엠보싱 형성하는 것이 전술한 종래 기술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종래 기술들과 다른 모든 공지된 기술들은 도 1, 2 도시와 같이 파일 원단의 표면을 이루는 첨모(Cut Pile 또는 Looped Pile)에 특정 패턴을 형성하여 입체감을 주기 위해 엠보싱 로울러(1) 표면에 파일 원단(10)의 첨모(11)를 대향시키고 엠보싱 로울러(1) 내부에는 히터(3)를 내장하여 가열 상태를 조성하며, 엠보싱 로울러(1)에 접하는 가압 로울러(2) 사이를 통과시키는 것과, 상기 두 로울러 사이를 통과할 때 엠보싱 로울러에 원단이 가압, 가열되는 것에 의해 엠보싱 로울러(1)의 돌출 패턴(5)이 첨모를 눌러 열변형 시키는 것에 의해 파일 원단(10)에는 전사된 패턴(13)이 형성하는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엠보싱 로울러(1)는 돌출 패턴(5)과 요입 패턴(6)으로 양, 음각한 로울러가 사용되는데 내장 히터(3)의 발열은 돌출 및 요입 패턴(5, 6)에 동시에 가해지므로 요입 패턴(6)에 삽입된 첨모(11) 역시 열적 영향을 받게 되므로 열 변형이 초래되고 따라서 첨모 단부에 소망하지 않는 웨이브(그슬림)가 잔존하는 훼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엠보싱 로울러는 그 축경과 길이가 상당하여 중량이 매우 무거우므로 취급이 어렵고 동시에 음양각의 패턴을 형성하는 것도 매우 어려운 가공 공정을 수반하므로 다양한 패턴을 쉽게 변경하여 원단을 제작하기에는 비용이 과하게 상승하여 다품종 소량 생산을 어렵게 하고 있다.
KR 2009-0118472 A KR 0405010 Y1 KR 0390025 B1 KR 0222487 Y1 KR 0462870 Y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이 갖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파일 원단의 표면을 가열, 가압하여 일정 패턴을 형성함에 있어 원단의 첨모 부분에는 열을 배제하고 원단의 베이스 직물 측으로부터 열을 가하여 열 변형에 의한 패턴을 형성하므로 가열 가압된 패턴을 제외한 첨모 부분에 열 변형을 방지하도록 이루어 고 품질의 원단을 제조할 수 있는 입체 원단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은 입체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드럼을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 패턴 드럼의 자중을 대폭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패턴 드럼 교체가 극히 손쉽게 이루어져 공정 작업성이 대폭 향상된 입체 원단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은 패턴 드럼을 중심으로 수평과 수직 상부에 패턴 드럼을 지지하는 위치 가변형의 지지 롤러를 형성하여 직경이 다른 패턴 드럼을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 설비 운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입체 원단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파일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파일 원단에 대하여 패턴을 열 변형 성형하는 패턴 롤러를 포함하는 패턴 성형부와, 패턴이 성형된 입체 원단을 배출 수집하는 수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입체 원단 제조 장치에 있어, 패턴 드럼은 원통형으로 이루어 패턴을 천공하여 이루고 이 패턴 드럼에 파일 원단의 첨모 부분을 접하여 공급하는 것과, 파일 원단 첨모의 배면부 베이스 직물 부분으로부터 첨모의 열변형 열원을 공급하는 것에 의하여 패턴 드럼의 천공부위를 제외한 드럼의 표면과 접하는 첨모가 원단 배면으로부터 가해진 열에 간접 열에 의해 열 변형을 이루어 패턴 무늬와 동일하게 요입되는 패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중공 파이프 형태의 패턴 드럼과, 상기 패턴 드럼과 분리 이격하여 하부에는 드럼을 지지하며 발열을 이루는 제 1, 2 발열 롤러를 형성하고 수평 방향으로 상기 패턴 드럼 지지 롤러를 형성하여 이루며 상부에 지지 롤러를 형성하여 상기 패턴 드럼의 자전을 지지하도록 이루어고, 상기 제 1, 2 발열 롤러 하부에 이격하여 제 3 발열 롤러를 형성하여 상기 제 1 ~ 3 발열 롤러를 순차적으로 감싸 경유하여 패턴 드럼 하측 일부와 접하는 폐 루프를 이루는 벨트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벨트는 바람직하기로는 테프론 또는 카본 벨트로 이루어지며 제 1 ~ 제 3 발열 롤러를 경유하면서 열 전도를 이루고 벨트에 전도된 열은 파일 원단의 배면 베이스 직물 측으로부터 대향 위치의 패턴 드럼에 전도되도록 이루어 간접 열에 의해 패턴 드럼과 접하는 파일 원단의 첨모 부분이 열 변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패턴 드럼은 원통형으로 이루어 패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천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턴 드럼은 판재로 이루어 패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천공하고 밴딩하여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벨트는 장력 유지 롤러에 의하여 장력을 유지하며 장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구동모터의 체인 구동에 의해 상기 제 1 ~ 제 3 발열 롤러가 회전 구동하면서 벨트 구동을 이루는 구동 수단을 마련한다.
상기 패턴 드럼은 파일 원단을 개재한 벨트 구동에 의해 지지 롤러들에 감싸여 자전을 이루도록 마련한다.
상기 열 전도된 벨트와 이 벨트 구동에 의해 정 위치에서 자전을 이루는 패턴 드럼과, 패턴 드럼과 지지 롤러 사이에 압착 이송되는 파일 원단의 첨모 부분에 드럼의 패턴과 동일한 패턴이 열 변형에 의해 이루어지면서 입체감을 갖는 패턴을 형성하는 것에 의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일 원단의 표면을 가열, 가압하여 일정 패턴을 형성함에 있어 원단의 첨모 부분에는 열을 배제하고 원단의 베이스 직물 측으로부터 열을 가하여 열 변형에 의한 패턴을 형성하므로 가열 가압된 패턴을 제외한 첨모 부분에 열 변형을 방지하므로 고 품질의 원단을 제조하는 효과가 있고, 입체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드럼을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 패턴 드럼의 자중을 대폭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패턴 드럼 교체가 극히 손쉽게 이루어져 공정 작업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패턴 드럼을 판재로 이루고 판재에 프레스나 레이저 절단 가공에 의해 패턴을 형성하고 원형으로 감아 파이프 형상을 이루는 경우 패턴 가공이 무한하고 용이하여 제작 시간과 경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패턴 드럼을 중심으로 수평과 수직 상부에 패턴 드럼을 지지하는 위치 가변형의 지지 롤러를 형성하여 직경이 다른 패턴 드럼을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 설비 운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의 여러 우수한 효과를 갖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파일 원단에 입체감을 형성하는 장치의 요부 구성도.
도 2는 종래 엠보싱 롤러를 도시한 외형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의 장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의 장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패턴 드럼을 발췌 도시한 외형 사시도.
도 6는 도 4 발명의 패턴 열 성형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작된 입체 원단.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살펴본다.
파일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파일 원단에 대하여 패턴을 열 변형 성형하는 패턴 롤러를 포함하는 패턴 성형부와, 패턴이 성형된 입체 원단을 배출 수집하는 수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입체 원단 제조 장치에 있어, 패턴 성형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 패턴을 관통 천공하여 이루어지는 패턴 드럼(20)과 상기 패턴 드럼(20)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패턴 드럼 지지 롤러(21, 23)를 형성하고 수직 상부에 지지 롤러(25)를 형성하여 이루고, 상기 패턴 드럼(20)의 하부에는 드럼(20)을 지지하며 발열을 이루는 제 1, 2 발열 롤러(31, 33)를 형성하여 상기 패턴 드럼(20)의 자전을 지지하도록 이루고, 상기 파일 원단에 열 변형을 이루는 열원으로써 패턴 드럼과 분리하여 마련된 상기 제 1, 2 발열 롤러(31, 33)들을 등속으로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37)를 형성하여 구동모터 스프라켓과 상기 발열 롤러들을 체인(38)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발열 구동부(30)를 이루어 상기 드럼(20)과 발열 롤러(31) 사이로 파일 원단을 공급하여 상기 제 1, 2 발열 롤러(31, 33)와 드럼(20) 사이에서 열 변형을 이루어 파일 원단 첨모 패턴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도 3 발명에 발열 롤러와 열 전도 벨트를 더 부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파일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파일 원단에 대하여 패턴을 열 변형 성형하는 패턴 롤러를 포함하는 패턴 성형부와, 패턴이 성형된 입체 원단을 배출 수집하는 수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입체 원단 제조 장치에 있어, 패턴 성형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 패턴을 관통 천공하여 이루어지는 패턴 드럼(20)과 상기 패턴 드럼(20)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패턴 드럼 지지 롤러(21, 23)를 형성하고 수직 상부에 지지 롤러(25)를 형성하여 이루고, 상기 패턴 드럼(20)의 하부에는 드럼(20)을 지지하며 발열을 이루는 제 1, 2 발열 롤러(31, 33)를 형성하여 상기 패턴 드럼(20)의 자전을 지지하도록 이루고, 상기 파일 원단에 열 변형을 이루는 열원으로써 패턴 드럼과 분리하여 마련된 상기 제 1, 2 발열 롤러(31, 33)와 이 발열 롤러 하부로는 제 3 발열 롤러(35)를 형성하고 상기 발열 롤러(31, 33, 35)들을 등속으로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37)를 형성하여 구동모터 스프라켓과 상기 발열 롤러들을 체인(38)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발열 구동부(30)와, 상기 발열 롤러(31, 33, 35) 일 표면을 순차적으로 감싸 경유하여 폐 루프를 이루며 파일 원단에 패턴 성형 열을 전달하는 벨트(4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패턴 드럼(20)은 도 5 도시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 패턴(21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관통한 천공부(212)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데 패턴 드럼은 판재로 이루어 패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천공하고 밴딩하여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원통형 소재에 천공부(212)를 천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패턴 드럼을 판재로 가공하고 패턴이 가공된 판재를 드럼 형태로 밴딩하는 경우 원통형 파이프에 패턴을 천공하는 경우에 비해 제작이 간편하다.
상기 발열 롤러(31, 33, 35)들을 경유하여 열 전도 받고 전도된 잠열을 파일 원단에 간접 열로 전달하는 상기 벨트(40)는 바람직 하기로는 테프론 또는 카본 벨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벨트(40)는 제 1 ~ 제 3 발열 롤러를 경유하면서 열 전도를 이루고 벨트에 전도된 열은 파일 원단의 배면 베이스 직물 측으로부터 대향 위치의 패턴 드럼에 전도되도록 이루어 간접 열에 의해 패턴 드럼과 접하는 파일 원단의 첨모 부분이 열 변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벨트(40)는 장력 유지 롤러(47)에 의하여 벨트 장력을 조절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패턴 드럼(20)은 파일 원단을 개재한 벨트 구동에 의해 지지 롤러들에 감싸여 자전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상기 지지 롤러(21, 23)는 각각 상하, 좌우 방향으로 패턴 드럼(20)과 밀착 유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부의 지지 롤러(25)는 상하 방향으로 밀착 유격을 조절하는 실린더(250)를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체인(38)은 각 발열 롤러의 축 일단에 마련된 스프라켓에 걸어 회전하도록 이루며 롤러 중앙의 긴 경간에는 벨트(40)를 감아 이루어지는데 이는 별도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며 체인과 벨트의 간섭을 배제하여야 함은 극히 당연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4 도시의 본 발명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동일 부재에 대하여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미 설명 부호 470은 장력을 조절하는 실린더로서 각 롤러에 위치를 변경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작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일 원단(10)은 별도의 직물 또는 함께 직조한 경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직물(12) 상에 위사를 심거나 직조하여 그 상부를 컷팅하는 것에 의해 극세사 형태로 위사 일면이 분리되면서 첨모(11)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작되고 촉감 및 보온성이 우수하여 폭 넓게 사용된다.
이러한 첨모(11)의 표면에 단조로움을 탈피하기 위해 첨모 일부를 열 변형시켜 압착케하여 입체 원단을 제조하는데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직조된 파일 원단(10)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입체 패턴을 열 변형 성형하여 완성된 입체 원단을 배출 수집하는 일련의 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 파일 원단(10)은 여러 가이드 롤러에 안내되어 제 1 발열 롤러(31)와 패턴 드럼(20) 사이로 투입된다.
이때 파일 원단의 첨모(11)는 패턴 드럼(20)을 향하도록 공급한다.
패턴 드럼(20)은 소망하는 패턴을 관통 천공한 원통형 드럼으로 이루어져 관통공으로 통과된 첨모는 열 변형에서 배제되고 패턴 드럼 표면에 접하는 일부분의 첨모는 가압 이송되면서 드럼(20)의 패턴과 동일한 패턴으로 열 성형된 입체 원단을 얻는다.
도 3 발명의 경우 발열 드럼(31, 33)에 의해 드럼(20)의 외부에서 파일 원단의 배면 즉 베이스 직물(12) 부분으로 열 전도가 이루어지는 점과 도 4 발명의 벨트(40)에 의해 발열 드럼들을 경유한 벨트 잠열을 드럼 측으로 전도하는 점만이 상이할 뿐 첨모의 배면으로부터 성형 열을 공급하도록 하는 점은 동일하고 효과도 유사하다.
도 4 발명은 상기 도 3 발명과 같이 상기 파일 원단(10)은 여러 가이드 롤러에 안내되어 제 1 발열 롤러(31)와 패턴 드럼(20) 사이로 투입된다.
이때 파일 원단의 첨모(11)는 패턴 드럼(20)을 향하도록 공급한다.
패턴 드럼(20)은 소망하는 패턴을 관통 천공한 원통형 드럼으로 이루어져 관통공으로 통과된 첨모는 열 변형에서 배제되고 패턴 드럼 표면에 접하는 일부분의 첨모는 가압 이송되면서 드럼(20)의 패턴과 동일한 패턴으로 열 성형된 입체 원단을 얻는다.
여기서 패턴 드럼(20)과 분리 구성한 외부의 열원인 제 1 내지 제 3 발열 롤러(31, 33, 35)를 휘돌아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벨트(40)는 상기 파일 원단(10)의 베이스 직물(12) 부분에 접하여 가압되는데 상기 발열 롤러들을 경유하면서 열 전도가 이루어지고 그 잠열을 베이스 직물(12) 부분을 통해 패턴 드럼(20)에 간접 열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해당 부분의 첨모(11)는 열 변형이 이루어지므로 열 변형되지 아니한 첨모에 비해 표고가 낮아지며 그 표고 차이에 의해 첨모 표면에는 입체감을 주는 패턴이 성형된 입체 원단이 제작된다.
상기 패턴 드럼(20)은 교체 가능하며 드럼의 교체와 투입 원단 변경에 의한 두께 변동이 있을 경우에는 지지 롤러(21, 23, 25)의 위치 설정을 변경하여 드럼의 직경과 원단의 두께에 맞추어 조절한다.
상기 지지 롤러(25)의 실린더(250)는 원단 작업 간에 유격 조절을 연속적으로 이루도록 작용한다.
상기 벨트(40)는 폐 루프로 이루어지며 제 1 ~ 3 발열 롤러(31, 33, 35)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구동 모터(37)의 체인(38)으로 상기 발열 롤러들을 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해 연속적으로 잠열을 흡수하고 파일 원단 측으로 잠열을 방출하는 것으로 그 장력은 장력 유지 롤러(47)에 의해 조절되도록 작용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작되는 입체 원단은 도 7 도시와 같이 제조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패턴은 허니콤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며 불규칙한 물결 패턴이나 동물 형상, 기하 도형 등 그 패턴은 패턴 드럼을 이루는 판재를 관통하는 천공부의 선택적인 가공에 의해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패턴은 레이저 가공이나 프레스 가공에 의해 쉽게 선택되고 변경될 수 있어 패턴을 선택하고 가공하여 부가하는 모든 공정이 극히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으며, 패턴 드럼은 교체 가능하며 중량이 가벼워 교체가 용이하므로 다품종 생산에 있어서도 극히 대응이 용이한 등의 여러 우수한 효과를 갖으며 특히 첨모의 열 변형 부분을 제한적으로 확실하게 경계 지음으로 완성된 입체 원단의 소망하지 않는 표면에 열적 변형 발생되는 폐단이 방지되는 매우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
10 : 파일 원단 11 : 첨모
12 : 베이스 직물 20 : 패턴 드럼
21, 23, 25 : 지지 롤러 30 : 발열 구동부
31, 33, 35 : 제 1 ~ 3 발열 롤러 37 : 구동 모터
38 : 체인 40 : 벨트
47 : 장력 유지 롤러 210 : 패턴
212 : 천공부

Claims (6)

  1. 파일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파일 원단에 대하여 패턴을 열 변형 성형하는 패턴 롤러를 포함하는 패턴 성형부와, 패턴이 성형된 입체 원단을 배출 수집하는 수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입체 원단 제조 장치에 있어서,
    패턴 성형부는 판재로 이루어 패턴(21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관통한 천공부(212)를 형성하고 밴딩하여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패턴 드럼(20),
    상기 패턴 드럼(20)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패턴 드럼 지지 롤러(21, 23)를 형성하고 수직 상부에 지지 롤러(25)를 형성하여 이루고,
    상기 패턴 드럼(20)의 하부에는 드럼(20)을 지지하며 발열을 이루는 제 1, 2 발열 롤러(31, 33)를 형성하여 상기 패턴 드럼(20)의 자전을 지지하도록 이루고,
    상기 파일 원단에 열 변형을 이루는 열원으로써 패턴 드럼과 분리하여 마련된 상기 제 1, 2 발열 롤러(31, 33)와 이 발열 롤러 하부로는 제 3 발열 롤러(35)를 형성하고 상기 발열 롤러(31, 33, 35)들을 등속으로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37)를 형성하여 구동모터 스프라켓과 상기 발열 롤러들을 체인(38)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발열 구동부(30)와,
    상기 발열 롤러(31, 33, 35) 일 표면을 순차적으로 감싸 경유하여 폐 루프를 이루며 파일 원단에 패턴 성형 열을 전달하도록 테프론 또는 카본 벨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벨트(40)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원단 제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파일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파일 원단에 대하여 패턴을 열 변형 성형하는 패턴 롤러를 포함하는 패턴 성형부에 의해 패턴이 성형 된 입체 원단에 있어서,
    패턴 성형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 패턴을 관통 천공하여 이루어지는 패턴 드럼(20)과 상기 패턴 드럼(20)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패턴 드럼 지지 롤러(21, 23)를 형성하고 수직 상부에 지지 롤러(25)를 형성하여 이루고,
    상기 패턴 드럼(20)의 하부에는 드럼(20)을 지지하며 발열을 이루는 제 1, 2 발열 롤러(31, 33)를 형성하여 상기 패턴 드럼(20)의 자전을 지지하도록 이루고,
    상기 파일 원단에 열 변형을 이루는 열원으로써 패턴 드럼과 분리하여 마련된 상기 제 1, 2 발열 롤러(31, 33)와 이 발열 롤러 하부로는 제 3 발열 롤러(35)를 형성하고 상기 발열 롤러(31, 33, 35)들을 등속으로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37)를 형성하여 구동모터 스프라켓과 상기 발열 롤러들을 체인(38)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발열 구동부(30)와,
    상기 발열 롤러(31, 33) 일 표면을 순차적으로 감싸 경유하여 폐 루프를 이루며 파일 원단에 패턴 성형 열을 전달하는 벨트(40)를 결합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원단.
KR1020150157325A 2015-11-10 2015-11-10 입체 원단 제조 장치 및 그 입체 원단 KR101747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325A KR101747377B1 (ko) 2015-11-10 2015-11-10 입체 원단 제조 장치 및 그 입체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325A KR101747377B1 (ko) 2015-11-10 2015-11-10 입체 원단 제조 장치 및 그 입체 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758A KR20170054758A (ko) 2017-05-18
KR101747377B1 true KR101747377B1 (ko) 2017-06-14

Family

ID=59048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325A KR101747377B1 (ko) 2015-11-10 2015-11-10 입체 원단 제조 장치 및 그 입체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3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8887B (zh) * 2019-04-23 2024-05-24 佛山市高明区捷丰裕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新型板材压纹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174B1 (ko) 2014-04-04 2014-09-23 이현당 롤러타입 엠보싱 성형장치의 파이프 타공형 엠보싱롤러
KR101457074B1 (ko) * 2014-02-24 2014-10-31 윤백호 멀티 롤러를 구비한 엠보싱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074B1 (ko) * 2014-02-24 2014-10-31 윤백호 멀티 롤러를 구비한 엠보싱 장치
KR101430174B1 (ko) 2014-04-04 2014-09-23 이현당 롤러타입 엠보싱 성형장치의 파이프 타공형 엠보싱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758A (ko) 201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025B1 (ko) 회전체형 니들펀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회전체형 섬유제품 제조 방법과 그 섬유조성물
US2752279A (en) Embossed laminated foam rubber and fabric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454138Y1 (ko) 인조피혁 엠보싱 가공장치
EP29523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loop member of a hook-and-loop fastener assembly
KR101230408B1 (ko) 엠보 성형장치
KR100843299B1 (ko) 직물 엠보싱 장치
KR101747377B1 (ko) 입체 원단 제조 장치 및 그 입체 원단
US3957555A (en) Method of making pile fabric having an adhesive substrate
KR101586418B1 (ko) 입체 원단의 제조 방법과 제조 장치 및 그 입체 원단
US2101905A (en) Pile fabric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CN102454050A (zh) 粘扣带用毛面的制造方法,制造设备及粘扣带用毛面
ITMI970458A1 (it)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un elemento decorativo su prodotti tessili come pure semiprodotti e materiali di partenza per
KR101671238B1 (ko) 포장 및 장식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197062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pile fabrics
US3607564A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textile materials which are not knotted and are not woven
KR20090118472A (ko) 엠보싱 직물의 전사장치
KR101858130B1 (ko) 불규칙망사형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0978908B1 (ko) 직물 엠보싱 장치
KR100812294B1 (ko) 시트상 재료의 천공 또는 엠보싱 장치
KR20120021995A (ko) 직물지의 무늬 형성장치
KR200392726Y1 (ko) 로토큐어를 이용하여 고무테이프를 엠보싱 성형함에 있어서엠보싱면에 미세돌기의 동시 성형장치
KR20210136410A (ko)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 및 그 하이파일직물지
KR20080108801A (ko) 엠보싱 직물의 전사장치
JP3129041U (ja) 毛布
JP5255373B2 (ja) 皮革様シートへの型押し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