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410A -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 및 그 하이파일직물지 - Google Patents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 및 그 하이파일직물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410A
KR20210136410A KR1020200054600A KR20200054600A KR20210136410A KR 20210136410 A KR20210136410 A KR 20210136410A KR 1020200054600 A KR1020200054600 A KR 1020200054600A KR 20200054600 A KR20200054600 A KR 20200054600A KR 20210136410 A KR20210136410 A KR 20210136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tton
dimensional pattern
parts
weight
pile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김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현 filed Critical 김종현
Priority to KR1020200054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6410A/ko
Publication of KR20210136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무늬모양 성형수단의 입체무늬모양성형 구동벨트로 하이파일(high pile)직물지의 하부를 가압하여 하이파일직물지의 상부에 돌출되어 양각으로 형성된 파일사들을 컷팅롤러로 컷팅하여 하이파일직물지의 상부에 음각으로 형성된 입체무늬모양을 연속적으로 안정적으로 대량으로 양산하도록한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 및 그 하이파일직물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 및 그 하이파일직물지{PATTERN FORMING DEVICE OF TEXTILE}
본 발명은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 및 그 하이파일직물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체무늬모양 성형수단의 입체무늬모양성형 구동벨트로 하이파일(high pile)직물지의 하부를 가압하여 하이파일직물지의 상부에 돌출되어 양각으로 형성된 파일사들을 컷팅롤러로 컷팅하여 하이파일직물지의 상부에 음각으로 형성된 입체무늬모양을 연속적으로 안정적으로 대량으로 양산하도록한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 및 그 하이파일직물지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섬유제품의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는 주로 단열에 의한 보온효과를 갖는 외에도 최근에는 축열·보온 소재를 개발되고 있다.
축열 보온 가공(thermal storage and warmth proofing)은 종래의 합성섬유 제조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축열 보온 가공제품을 개발ㆍ생산하고 있으나 합성섬유가 저렴한 가격 및 고기능성 발현으로 섬유소재의 주력 시장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여, 오리털이나 거위털은 천연소재이고 깃털 자체의 탄성이 좋아 오랜기간 사용해도 털이 뭉치지 않으며 또 솜털의 빈공간에 공기층이 많아 포근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가볍고 보온성이 뛰어나 방한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특히 겨울철 의류나 침구류에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구스다운은 가볍고 보온성이 뛰어나 솜이나 의류의 내부에 충진하는 충진재로 사용하여 아웃도어 의류가 대중화되면서 아웃도어 제품은 이미 우리 생활의 깊숙한 곳까지 들어와 있으며, 많은 언론 매체의 아웃도어 제품 바로 알기 등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소비자들은 극한의 환경을 대비한 고기능성 및 보온성의 고가 제품 보다 일상생활에 적합한 기능의 아웃도어 제품들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이런 소비 추세에 발맞춰 최근 개발되고 있는 겨울용 아웃도어 제품의 경우, 얇고 가벼우면서도 보온경량방풍 투습의 고기능성을 가지는 아웃도어 제품들이 선보여지고 있으며 그 인기는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구스다운(goose-down) 또는 덕다운(duck down)을 충진재로 사용하는경우에는 충진재로만 사용할 수 밖에 없어 구스다운을 함유한 구스다운편직물을 편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구스다운을 함유한 편직물 개발을 필요로하게 되었다
한편, 섬유산업의 발달과 함께 소비자의 욕구도 다양해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섬유재질의 향상은 물론, 그 섬유에 형성되는 무늬모양에 대한 기호특성 또한 고급화되어가면서 파일직물지의 평면적이고 단순한 무늬모양보다는 사실적이고 입체적인 질감의 무늬모양을 선호하는 추세에 있다.
일반적으로 파일직물지에 무늬모양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첫째 롤러에 염료를 직접 부여하여 염색하는 롤러무늬 염색방법과, 둘째 인쇄된 전사지의 무늬를 파일직물지에 직접 전사하여 무늬모양을 형성하는 전사무늬 형성방법 등이있다.
롤러에 염료를 직접 부여하여 염색하는 롤러무늬 염색방법은, 대량생산에 유리하나 무늬의 정밀성이 떨어지고 또 2차원적인 평면으로밖에는 연출할 수 없어 느낌이 딱딱하며 기계적인 이미지를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성을 갖는다.
또한, 전사지를 이용한 전사무늬 형성방법은, 무늬를 정밀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나 생산성이 떨어 지고 또 고가의 전사지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입체무늬모양 성형수단의 입체무늬모양성형 구동벨트로 하이파일(high pile)직물지의 하부를 가압하여 하이파일직물지의 상부에 돌출되어 양각으로 형성된 파일사들을 컷팅롤러로 컷팅하여 하이파일직물지의 상부에 음각으로 형성된 입체무늬모양을 연속적으로 안정적으로 대량으로 양산하도록한 새로운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스다운(goose-down)솜과, 아크릴(Acryl fiber)솜과, 면솜과, 레이온솜과, 폴리에스테르솜이 서로 혼합된 솜으로 제조한 슬리버(sliver)를 파일사로 하여 하이파일직물지로 편직하여 매우 가볍고, 보온성이 뛰어나고 부드럽고 터치감이 우수한 하이파일직물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하이파일(high pile)직물지의 입체무늬 성형장치에 있어서,
하이파일(high pile)직물지(a)을 공급하는 공급롤러(10)와, 상기 공급롤러(10)의 전방에 구비된 컷팅롤러(20)와, 상기 컷팅롤러(20)를 상,하로 승강시키도록 상기 컷팅롤러에 설치된 승강수단(30)과,
상기 컷팅롤러(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롤러(10)에서 공급되는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하부를 가압하도록 외측둘레면에 양각입체무늬모양(41a)이 다수개로 형성된 입체무늬모양성형 구동벨트(41)와, 상기 양각입체무늬모양(41a)들로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하부를 가압하여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상부에 형성된 파일사(a1)들이 돌출되어 양각 형성된 입체무늬모양을 상기 컷팅롤러(20)로 컷팅하여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상부에 음각형태의 입체무늬모양을 성형하고, 상기 입체무늬모양성형 구동벨트(41)의 내부 전,후방에 설치된 전,후방구동롤러(42a.42b)로 구비된 입체무늬모양 성형수단(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체무늬모양 성형수단(40)은 복수개로 설치된 지지프레임(43a,43b)과, 양 상기 지지프레임(43a,43b)는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양 상기 지지프레임(43a,43b)의 후방에 수직으로 기립형성된 수직기립부(43c)와, 양 상기 수직기립부(43c)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후방구동롤러(42b)와, 양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사이에 설치된 상기 전방구동롤러(42a)와, 상기 전,후방구동롤러(42a,42b)의 외측둘레에 감압된 상기 입체무늬모양성형 구동벨트(4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 상기 지지프레임(43a,43b)의 외측중앙에 조립공(43d)을 갖고 수평으로 설치된 조립부(43e)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43a,43b)의 전방에는 이동장공(43f)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장공(43f)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장공(43f)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이동부(43g)와, 상기 이동장공(43f)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벽(43h)과, 상기 전방벽(43h)에 형성된 나사공(43i)과, 상기 나사공(43i)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이동장공(43f)의 내부에 입출되도록 외측둘레에 나사산(n)을 형성한 이동바(43j)와, 상기 이동바(43j)의 후방은 상기 이동부(43g)의 전방과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이동바(43j)의 전방에는 핸들(43k)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입체무늬모양성형 구동벨트의 외측에 감압되는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파일사(a1)의 수직길이의 높이에 따라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파일직물지는; 구스다운(goose-down)솜과, 아크릴(Acryl fiber)솜과, 면솜과, 레이온솜과, 폴리에스테르솜이 서로 혼합된 솜으로 제조한 슬리버(sliver)를 파일사로 하고, 디티와이(DTY)사를 백그라운드사 편직한 반제품 편직물을 편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슬리버는 구스다운(goose-down)솜 1 내지 80중량부와 아크릴(Acryl fiber)솜 1 내지 2중량부와, 면솜 8 내지 10중량부와, 레이온솜 15 내지 20중량부와, 폴리에스테르솜 15 내지 20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슬리버의 구스다운(goose-down)솜을 양모(羊毛)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디.
또한, 슬리버는 낙타털솜 1 내지 80중량부와 아크릴(Acryl fiber)솜 2중량부와, 면솜 10중량부와, 레이온솜 20중량부와, 폴리에스테르솜 20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입체무늬모양 성형수단의 입체무늬모양성형 구동벨트로 하이파일(high pile)직물지의 하부를 가압하여 하이파일직물지의 상부에 돌출되어 양각으로 형성된 파일사들을 컷팅롤러로 컷팅하여 하이파일직물지의 상부에 음각으로 형성된 입체무늬모양을 연속적으로 안정적으로 대량으로 양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스다운(goose-down)솜과, 아크릴(Acryl fiber)솜과, 면솜과, 레이온솜과, 폴리에스테르솜이 서로 혼합된 솜으로 제조한 슬리버(sliver)를 파일사로 하여 하이파일직물지로 편직하여 매우가볍고, 보온성이 뛰어나고 부드럽고 터치감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의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의 측면 개략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의 입체무늬 성형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무늬모양성형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무늬모양성형수단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파일직물지에 음각입체무늬모양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파일직물지의 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의 개략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의 측면 개략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의 입체무늬 성형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무늬모양성형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무늬모양성형수단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파일직물지에 음각입체무늬모양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파일직물지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 및 그 하이파일직물지를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는 공급롤러(10)와, 컷팅롤러(20)와, 승강수단(30)과, 입체무늬모양 성형수단(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롤러(10)는 하이피일직물지(a)를 후술되는 상기 컷팅롤러(20)의 하부와 상기 입체무늬모양 성형수단(40)의 상부로 구성된다.
상기 컷팅롤러(20)는 상기 공급롤러(10)에서 공급되는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를 공급받아 상기 입체무늬모양 성형수단(40)에 의해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하부를 가압하여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상부면에 돌출 양각 형성된 입체무늬모양을 컷팅하여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상부면에 음각 입체무늬모양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컷팅롤러(20)는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상부면에 상기 입체무늬모양 성형수단(40)에 의해 형성된 다수개의 돌출 양각 형성된 양각입체무늬모양들을 컷팅하여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음각입체무늬모양들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컷팅롤러(20)는 모터(미도시)로 구동되게 구성된다.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컷팅롤러(20)를 상,하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컷팅롤러(20)를 상기 입체무늬모양 성형수단(40)에 의해 하부가 가압된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파일사(a1)들의 수직길이의 높이에 따라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입체무늬모양 성형수단(40)의 상기 입체무늬모양성형 구동벨트(41)의 외측에 감압되는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파일사(a1)의 수직길이의 높이에 따라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입체무늬모양 성형수단(40)의 상기 입체무늬모양성형 구동벨트(41)의 외측에 감압되는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파일사(a1)의 수직길이의 높이에 따라 승강되어서,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파일사(a1)의 수직길이의 높이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상기 컷팅수단(20)을 상기 승강수단(30)으로 승강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승강수단(30)은 실린더(미도시)로 구성되는데 이 실린더(미도시)는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 전동실린더로 구성된다.
상기 입체무늬모양 성형수단(40)은 상기 컷팅롤러(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롤러(10)에서 공급되는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하부를 가압하도록 외측둘레면에 양각입체무늬모양(41a)이 다수개로 형성된 입체무늬모양성형 구동벨트(41)로 구성된다.
상기 양각입체무늬모양(41a)들로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하부를 가압하여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상부에 형성된 파일사(a1)들이 돌출되어 양각 형성된 입체무늬모양을 상기 컷팅롤러(20)로 컷팅하여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상부에 음각형태의 입체무늬모양을 성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입체무늬모양성형 구동벨트(41)의 내부 전,후방에 설치된 전,후방구동롤러(42a.42b)로 구비된 입체무늬모양 성형수단(4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입체무늬모양 성형수단(40)은 복수개로 설치된 지지프레임(43a,43b)으로 구성도니다.
양 상기 지지프레임(43a,43b)는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양 상기 지지프레임(43a,43b)의 후방에 수직으로 기립형성된 수직기립부(43c)로 구성된다.
양 상기 수직기립부(43c)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후방구동롤러(42b)로 구성된다.
양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사이에 설치된 상기 전방구동롤러(42a)로 구성된다.
상기 전,후방구동롤러(42a,42b)의 외측둘레에 감압된 상기 입체무늬모양성형 구동벨트(41)로 구성된다.
또한, 양 상기 지지프레임(43a,43b)의 외측중앙에 조립공(43d)을 갖고 수평으로 설치된 조립부(43e)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양 상기 지지프레임(43a,43b)의 외측중앙에 조립공(43d)을 갖고 수평으로 설치된 조립부(43e)가 형성되는 것은, 양 상기 지지프레임(43a,43b)을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에서 손쉽게 결합 및 이탈되게 하여서,양 상기 지지프레임(43a,43b)의 사이에 설치되어 결합 및 이탈되는 입체무늬모양성형 구동벨트(41)를 손쉽게 교체하여서, 다양한 무늬 모양으로 형성된 상기 입체무늬모양성형 구동벨트(41)들로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상부면에 다양한 음각 입체무늬모양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43a,43b)의 전방에는 이동장공(43f)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장공(43f)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장공(43f)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이동부(43g)로 구성된다.
이러한,상기 이동장공(43f)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벽(43h)으로 구성된ㄷ.
상기 전방벽(43h)에 형성된 나사공(43i)과, 상기 나사공(43i)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이동장공(43f)의 내부에 입출되도록 외측둘레에 나사산(n)을 형성한 이동바(43j)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이동바(43j)의 후방은 상기 이동부(43g)의 전방과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이동바(43j)의 전방에는 핸들(43k)이 설치된 전후진이동수단(43)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전후진이동수단(43)을 양 상기 지지프레임(43a,43b)에 설치되어서, 상기 전후진이동수단(43)으로 상기 전방구동롤러(42a)를 양 상기 지지프레임(43a,43b)의 사이에서 전후진되게 하여서, 이러하게 전후진되는 상기 전방구돌러(42a)에 의해 상기 입체무늬모양성형 구동벨트(41)를 양 상기 지지프레임(43a,43b)의 사이에서 전후진시켜서,
상기 입무늬모양성형 구동벨트(41)의 길이에 따라 자유롭게 양 상기 지지프레임(43a,43b)의 사이에서 상기 전방구동롤러(42a)와 함께 전후진되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파일직물지는 구스다운(goose-down)솜과, 아크릴(Acryl fiber)솜과, 면솜과, 레이온솜과, 폴리에스테르솜이 서로 혼합된 솜으로 제조한 슬리버(sliver)를 파일사로 구성된다.
또한, 디티와이(DTY)사를 백그라운드사 편직한 반제품 편직물과 파일사를 일정하게 컷팅샤링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샤링한 반제품의 백그라운드사 부분 이면에 수지덴타를 실시하여 처음은 고온으로 순차적으로 열을 내려가면서 폴리싱하여 편직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슬리버는 구스다운(goose-down)솜 1 내지 80중량부와 아크릴(Acryl fiber)솜 2중량부와, 면솜 10중량부와, 레이온솜 20중량부와, 폴리에스테르솜 20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이파일직물지를 편직하는 구스다운과 아크릴과, 면과, 레이온과, 폴리에스테르가 균일하게 섞인 화이버를 만들고 화이버를 파일사로 디티와이(DTY)사를 백
그라운드사로 편직한 반제품 편직물을 텐타 폴리싱 아이롱실시한다.
본발명의 하이파일직물지를 편직하기 위해 구스다운(화이버)솜과 아크릴솜과, 면솜과, 레이온솜과 폴리에스테르솜을 혼합하여 균일하게 섞어 혼합된 화이버를 만들어 사용한다.
구스다운(화이버)솜은 선염하여 사용한다.
구스다운(화이버)솜의 공지의 방식으로 선염한 것을 사용하여 구스다운이 혼합된 하이파일직물지를에 다양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구스다운(화이버)솜, 아크릴솜, 폴리에스테르솜과, 면솜과, 레이온솜의 혼합은 구스다운(화이버)솜, 아크릴솜, 폴리에스테르솜, 면솜, 레이온을 각각 엷은 시트를 만들고 각각의 시트로 만든 구스다운(화이버)솜, 아크릴솜, 폴리에스테르솜, 면솜, 레이온솜을 교호적으로 적층하는데 상기 시트로 만든 구스다운(화이버)솜을 적층하는 구스다운(화이버)솜에 실리콘 대전방지제 섬유유연제 등 가공액을 적층된 구스다운(화이버)솜이 충분히 습기를 머금을 수 있을 정도로 분사한 후에 적층된 구스다운(화이버)솜을 풀어헤치고 더욱 부드러운 솜 상태인 연면(筵綿)으로 만드는 타면한 후에 타면한 구스다운(화이버)솜을 다시잘게 찢어 개면을 다수번 실시하여 완전히 개면된 구스다운(화이버)솜을 균일하게 믹싱하여 고르게 섞인 구스다운(화이버)솜을 저장보관 후에 슬리버(sliver)를 만든다.
상기와 같은 슬리버는 구스다운 1 내지 80 중량부를 혼합하는데 구스다운 1중량부이하일 경우에는 구스다운의 기능이 가볍고 보온성의 효능이 떨어지고 구스다운 80 중량부 이상일 경우에는 구스다운의 기능이 가볍고 보온성은 좋으나 제조
원가가 높아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구스다운(화아버)솜은 1 내지 8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슬리버를 만들시 구스다운에 아크릴(Acryl fiber)솜 1 내지 2중량부와, 면솜 8 내지 10중량부와, 레이온솜 15내지 20중량부와, 폴리에스테르솜 15 내지 20중량부를 혼합사용하는데. 아크릴솜 1중량부 이하 또는 면솜 8 중량부이하, 레이온솜 15중량부이하, 폴리에스테르솜 15중량부이하 혼합사용하는 경우에는 구스다운의 기능이 가볍고 보온성은 좋으나 제조원가가 높아 상품성이 떨어지고,
아크릴솜 2중량부이상 또는 면솜 10중량부이상, 레이온솜 20중량부이상, 폴리에스테르솜 20중량부이상을 혼합사용하는 경우에는 가격은 저렴하나 구스다운의 특성이 가볍고 보온성의 효능이 떨어지게 되어 슬리버는 아크릴(Acryl fiber)솜 2중량부와, 면솜 10중량부와, 레이온솜 20중량부와, 폴리에스테르솜 20중량부를 혼합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아파일 직물을 만드는 상기 슬리브는 구스다운솜를 사용하지 않고 양모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모는 공지의 양모를 사용한다.
또 하이파일 직물을 만드는 상기 슬리브는 구스다운솜 대용으로 낙타털 양털 등 다양한 동물털인 모를 가공하여 모를 첨가한 털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하아파일 직물은 낙타털 솜 1 내지 80중량부와 아크릴(Acryl fiber)솜 2중량부와, 면솜 10중량부와, 레이온솜 20중량부와, 폴리에스테르솜 20중량부로를 혼합하여 슬리버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낙타털 솜은 영하 40℃ 추운지방에 사는 낙타의 낙타털을 재료로 매우 부드러우나 열전도율과 탄성이 낮은 짧은 길이가 속털과 인장강력과 탄성이 큰 길이가 긴 털은 고유한 색과 특유의 냄새를 갖고 있어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냄새와 탈색하여 사용한다.
한편, 백그라운드사는 디티와이(DTY)사를 사용하고 공지의 구스다운이 균일하게 섞인 슬리버를 파일사로 하여 편직한다.
상기 디티와이(DTY)사를 백그라운드사로 사용하고 파일사를 편직할 경우에는 공지의 구스다운이나 낙타털이 혼합된 모를 균일하게 섞인 파일사가 편직물의 베이스가 되고 백그라운드사에 파일사로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한 디티와이사나 파일사가 백그라운드사로 견고하게 편직된 반제품 편직물이 되고 이를 후가공하게 된다.
먼저 반제품 편직물의 샤링을 실시한다. 편기에서 편직된 반제품 편직물은 파일사의 길이가 불균일하고 미스편직된 파일사를 제거하면서 파일사의 길이
를 일정하게 컷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샤링은 다수개의 칼날이 형성된 스파이널칼날(spiral knife)을 사용하여 500-800RPM 샤링을 실시하여 부드럽고 가는 파일사를 컷팅하기 위하여 고속으로 회전하는 스파이널 칼날을 사용하여 실시함으로서 파일사가 균일 하게 컷팅되게 되는 것이다.
다수개 형성된 스파이널칼날을 갖는 스파이널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샤링하는 것은 가늘고 브드러운 화이버섬유가 컷팅이 되지 않거나 샤링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떨어져 스파이널칼날이 다수개 형성된 스파이널을 사용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샤링은 미스된 파일사나 컷팅된 파일사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샤링을 실시한 반제품 편직물을 백그라운드사에 수지텐타를 실시하여 백그라운드사에 수지코팅하여 파일사가 편직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반제품 편직물의 비틀림을 잡고 편직물을 일정한 폭으로 만들기 위하여 실시한다.
반제품 편직물의 비틀림을 잡고 일정한 폭으로 만드는 것은 폴리싱등 후가공을 용이하고 균일하게 실시하여 제품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실시한다.
반제품 편직물의 백그라운드사 이면에 수지코팅을 실시한 후에는 폴리싱을 실시하여 백그라운드사 위에 수지코팅한 수지를 굳히고 파일사가 광택을 발현하기 위해 실시하는 것으로 열과 압을 가하여 실시한다.
상기 폴리싱은 다수번 실시하는데 처음은 고온으로 폴리싱하고 순차적으로 열을 내려가면서 폴리싱을 실시하여 준다.
상술하는 본 발명은 상기 입체무늬모양 성형수단(40)의 상기 입체무늬모양성형 구동벨트(41)로 상기 하이파일(high pile)직물지(a)의 하부를 가압하여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상부에 돌출되어 양각으로 형성된 파일사들을 상기 컷팅롤러(20)로 컷팅하여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상부에 음각으로 형성된 입체무늬모양을 연속적으로 안정적으로 대량으로 양산하고 구스다운(goose-down)솜과, 아크릴(Acryl fiber)솜과, 면솜과, 레이온솜과, 폴리에스테르솜이 서로 혼합된 솜으로 제조한 슬리버(sliver)를 파일사로 하여 하이파일직물지로 편직하여 매우가볍고, 보온성이 뛰어나고 부드럽고 터치감이 우수한 하이파일직물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공급롤러 20 : 컷팅롤러
30 : 승강수단 40 : 입체무늬모양 성형수단
41 : 입체무늬모양성형 구동벨트 41a : 양각입체무늬모양
42a : 전방구동롤러 42b : 후방구동롤러
43 : 전후진이동수단 43a, 43b : 지지프레임
43c : 수직기립부 43d : 조립공
43e : 조립부 43f : 이동장공
43g : 이동부 43h : 전방벽
43i : 나사공 43j : 이동바
43k : 핸들

Claims (9)

  1. 하이파일(high pile)직물지의 입체무늬 성형장치에 있어서,
    하이파일(high pile)직물지(a)을 공급하는 공급롤러(10)와, 상기 공급롤러(10)의 전방에 구비된 컷팅롤러(20)와, 상기 컷팅롤러(20)를 상,하로 승강시키도록 상기 컷팅롤러에 설치된 승강수단(30)과,
    상기 컷팅롤러(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롤러(10)에서 공급되는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하부를 가압하도록 외측둘레면에 양각입체무늬모양(41a)이 다수개로 형성된 입체무늬모양성형 구동벨트(41)와, 상기 양각입체무늬모양(41a)들로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하부를 가압하여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상부에 형성된 파일사(a1)들이 돌출되어 양각 형성된 입체무늬모양을 상기 컷팅롤러(20)로 컷팅하여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상부에 음각형태의 입체무늬모양을 성형하고, 상기 입체무늬모양성형 구동벨트(41)의 내부 전,후방에 설치된 전,후방구동롤러(42a, 42b)로 구비된 입체무늬모양 성형수단(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무늬모양 성형수단(40)은 복수개로 설치된 지지프레임(43a,43b)과, 양 상기 지지프레임(43a,43b)는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양 상기 지지프레임(43a,43b)의 후방에 수직으로 기립형성된 수직기립부(43c)와, 양 상기 수직기립부(43c)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후방구동롤러(42b)와, 양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사이에 설치된 상기 전방구동롤러(42a)와, 상기 전,후방구동롤러(42a,42b)의 외측둘레에 감압된 상기 입체무늬모양성형 구동벨트(4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양 상기 지지프레임(43a,43b)의 외측중앙에 조립공(43d)을 갖고 수평으로 설치된 조립부(43e)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43a,43b)의 전방에는 이동장공(43f)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장공(43f)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장공(43f)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이동부(43g)와, 상기 이동장공(43f)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벽(43h)과, 상기 전방벽(43h)에 형성된 나사공(43i)과, 상기 나사공(43i)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이동장공(43f)의 내부에 입출되도록 외측둘레에 나사산(n)을 형성한 이동바(43j)와, 상기 이동바(43j)의 후방은 상기 이동부(43g)의 전방과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이동바(43j)의 전방에는 핸들(43k)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 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입체무늬모양성형 구동벨트의 외측에 감압되는 상기 하이파일직물지(a)의 파일사(a1)의 수직길이의 높이에 따라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
  6. 구스다운(goose-down)솜과, 아크릴(Acryl fiber)솜과, 면솜과, 레이온솜과, 폴리에스테르솜이 서로 혼합된 솜으로 제조한 슬리버(sliver)를 파일사로 하고, 디티와이(DTY)사를 백그라운드사 편직한 반제품 편직물을 후가공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파일직물지.
  7. 제 6항에 있어서,
    슬리버는 구스다운(goose-down)솜 1 내지 80중량부와 아크릴(Acryl fiber)솜 1 내지 2중량부와, 면솜 8 내지 10중량부와, 레이온솜 15 내지 20중량부와, 폴리에스테르솜 15 내지 20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파일직물지.
  8. 제 6항에 있어서,
    슬리버의 구스다운(goose-down)솜을 양모(羊毛)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파일직물지.
  9. 제 6항에 있어서,
    슬리버는 낙타털솜 1 내지 80중량부와 아크릴(Acryl fiber)솜 2중량부와, 면솜 10중량부와, 레이온솜 20중량부와, 폴리에스테르솜 20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파일직물지.
















KR1020200054600A 2020-05-07 2020-05-07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 및 그 하이파일직물지 KR202101364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600A KR20210136410A (ko) 2020-05-07 2020-05-07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 및 그 하이파일직물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600A KR20210136410A (ko) 2020-05-07 2020-05-07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 및 그 하이파일직물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410A true KR20210136410A (ko) 2021-11-17

Family

ID=78702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600A KR20210136410A (ko) 2020-05-07 2020-05-07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 및 그 하이파일직물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64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77411B (zh) 台板式电脑簇绒机
DE102008012328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stickten Wandbelägen
CN106968064A (zh) 一种刺绣印染工艺
CN100507128C (zh) 宣纸刺绣工艺
CN112323521B (zh) 一种3d印色压花工艺
CN112176708A (zh) 一种高精度的针纺织品剪裁机
US4018066A (en) Machine for printing pile fabrics
CN102517814B (zh) 一种热切割掀布刺绣花边的制造方法
KR20210136410A (ko) 하이파일직물지의 입체무늬 연속성형장치 및 그 하이파일직물지
US2101905A (en) Pile fabric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CN108528014A (zh) 一种数码热转移印花数字喷墨印花机与印花方法
US4255150A (en) Method of printing pile fabrics
CN206591143U (zh) 一种压辊式皮标生产模具组件及一种皮标机
US36467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knitted fleeces on multineedle knitting machines
JP2014070321A (ja) エンボス加工による同時発色方法
KR101671238B1 (ko) 포장 및 장식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205522986U (zh) 一种植绒布料热印装置
CN113005613B (zh) 一种防火耐潮的丝绒生产工艺及其设备
KR20090118472A (ko) 엠보싱 직물의 전사장치
CN202552436U (zh) 全自动珠片排版机
KR101586418B1 (ko) 입체 원단의 제조 방법과 제조 장치 및 그 입체 원단
CN108556481A (zh) 一种数码热转移连续印花数字喷墨印花机与印花方法
CN2825695Y (zh) 一种长毛绒剪花装置
KR101850219B1 (ko) 직물 제조방법
CN201254652Y (zh) 实验用织物起毛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