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106B1 -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106B1
KR101747106B1 KR1020110058963A KR20110058963A KR101747106B1 KR 101747106 B1 KR101747106 B1 KR 101747106B1 KR 1020110058963 A KR1020110058963 A KR 1020110058963A KR 20110058963 A KR20110058963 A KR 20110058963A KR 101747106 B1 KR101747106 B1 KR 101747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eel
inner ring
outer ring
way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9650A (ko
Inventor
켄타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10139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6Ratchet-type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A01K89/01085Guiding members on rotor forward of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7Anti-revers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903Drive mechanism details with yieldable drive coupling, e.g. friction or fluid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 F16D41/06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all members having the same size and only one of the two surfaces being cylindrical
    • F16D41/067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all members having the same size and only one of the two surfaces being cylindrical and the members being distributed by a separate cage encircling the axis of rot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iction Gearing (AREA)

Abstract

<과제>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에 있어서, 회전 필링(feeling)의 저하를 가급적 억제하여 롤러를 슬립하기 어렵게 한다.
<해결 수단>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32)는, 외륜(外輪, 42)과 내륜(內輪, 43)과 제1 롤러(44a)와 제2 롤러(44b)와 캠면(45)을 구비하고 있다. 외륜(42)은, 로터(3)에 계합(係合)한다. 내륜(43)은, 제동부(16)에 계합한다. 제1 롤러(44a)는, 외륜(42)과 내륜(43)의 사이에 배치되고, 외륜(42) 및 내륜(43)에 접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롤러이다. 제2 롤러(44b)는, 외륜(42)과 내륜(43)의 사이에 배치되고, 외륜(42) 및 내륜(43)에 접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롤러이다. 제1 롤러(44a)와 제2 롤러(44b)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1 롤러(44a)는, 제2 롤러(44b)보다 마찰 계수가 높다. 캠면(45)은, 제1 롤러(44a) 및 제2 롤러(44b)가 물리는 면이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TCH FOR FISHING REEL}
본 발명은, 원웨이 클러치, 특히 낚시용 릴에 이용되는 롤러를 이용한 원웨이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릴에는, 원웨이 클러치가 넓게 채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양베어링 릴 및 편베어링 릴에서는, 드래그(drag)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핸들축에 원웨이 클러치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스피닝 릴에서는, 로터의 역회전을 허가 및 금지하기 위하여 로터에 원웨이 클러치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레버 브레이크형의 스피닝 릴에서는, 로터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만 연동하여 제동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로터에 원웨이 클러치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원웨이 클러치에 있어서, 신속하게 로터의 역회전을 금지하기 위하여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를 채용한 스피닝 릴이 종래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원웨이 클러치는, 릴 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외륜(外輪)과, 로터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내륜(內輪)과, 외륜과 내륜의 사이에 배치된 롤러를 가지고 있다. 종래의 원웨이 클러치는, 내륜 아이들링(idling)형의 것이며, 외륜의 내주면(內周面)에는, 내륜과의 간극(間隙)이 롤러의 내경(內徑)보다 작은 상태로부터 큰 상태로 변화하는 캠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를 채용하는 것에 의하여, 멈춤쇠식의 원웨이 클러치에 비하여 로터의 역회전을 순시(瞬時)에 금지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보 제3438949호 명세서
그러나,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는, 역회전 금지 시에 롤러가 캠면에 잘 먹혀들지 않고, 롤러가 슬립(slip)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모든 롤러를 마찰 계수가 높은 미끄러지기 어려운 재질의 롤러를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미끄러지기 어려운 재질의 롤러는 강도적(强度的)으로 약하여 원웨이 클러치의 허용 전달 토크(torque)가 작아진다. 게다가, 원웨이 클러치의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의 드래그 토크(drag torque)가 증대하여, 클러치 오프 시의 핸들의 회전이 무거워져 회전 필링(feeling)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에 있어서, 회전 필링의 저하를 억제하여 롤러를 슬립하기 어렵게 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원웨이 클러치는, 낚시용 릴에 이용되는 원웨이 클러치이다. 원웨이 클러치는, 외륜과 내륜과 제1 롤러와 제2 롤러와 캠면을 구비하고 있다. 외륜은, 낚시용 릴의 제1 부품에 계합(係合, 걸어 맞춤)한다. 내륜은, 낚시용 릴의 제2 부품에 계합한다. 제1 롤러는, 외륜과 내륜의 사이에 배치되고, 외륜 및 내륜에 접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롤러이다. 제2 롤러는, 외륜과 내륜의 사이에 배치되고, 외륜 및 내륜에 접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롤러이다. 제1 롤러와 제2 롤러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1 롤러는, 제2 롤러보다 마찰 계수가 높다. 캠면은, 외륜의 내주면 및 내륜의 외주면(外周面)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되고, 제1 롤러 및 제2 롤러가 물리는 면이다. 제1 롤러는, 제2 롤러보다 외경(外徑)이 크다.
이 원웨이 클러치에서는, 내륜과 외륜의 사이에 배치되는 롤러를 2종류 준비하고, 제1 롤러는 제2 롤러보다 마찰 계수가 높은 것이다. 여기에서는, 제1 롤러의 마찰 계수가 높기 때문에 캠면에 물릴 때에 제1 롤러가 슬립하기 어려워진다. 게다가, 마찰 계수가 작아 미끄러지기 쉬운 제2 롤러가 있기 때문에, 클러치 오프 시의 핸들의 회전이 무거워지기 어려워져, 회전 필링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마찰 계수가 높은 제1 롤러의 외경이 제2 롤러보다 크기 때문에, 미끄러지기 어려운 제1 롤러가 제2 롤러보다 먼저 확실하게 캠면에 물린다. 이 때문에, 한층 더 신속하게 클러치가 동작하고 또한 제1 롤러의 슬립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조립 시의 혼입을 막을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는, 발명 1에 기재된 클러치에 있어서, 제1 롤러의 외경은, 제2 롤러의 외경의 100.5퍼센트 이상 102.5퍼센트 이하의 범위이다. 이 경우에는, 제1 롤러와 제2 롤러의 외경의 차가 작기 때문에, 제1 롤러가 캠면에 물린 후, 제2 롤러가 캠면에 물리기 쉬워진다.
발명 3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클러치에 있어서, 제1 롤러는, 제2 롤러보다 영률(Young's modulus)이 작기 때문에 탄성 변형이 커지고, 탄성 변형에 의하여 캠면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외관의 마찰 계수가 커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실제의 마찰 계수가 아니라 탄성 변형에 의한 외관의 마찰 계수에 의하여 제1 롤러의 마찰 계수가 제2 롤러보다 커지고 있기 때문에, 금속 등의 인장강도(引張强度, tensile strength)가 큰 재질을 사용하여도 마찰 계수를 높게 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는, 발명 3에 기재된 클러치에 있어서, 제1 롤러는 β티탄 합금제이며, 제2 롤러는 스테인리스 합금제이다.
이 경우에는, 방청(
Figure 112011045967119-pat00001
, 녹슴 방지) 성능이 높은 합금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마찰 계수가 달라도 롤러가 녹슬기 어려워진다.
발명 5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클러치에 있어서, 캠면은, 외륜의 내주면에 외륜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半徑)이 서서히 작아지는 맞물림 면을 가진다. 내륜은, 외주면이 원통면이다. 이 경우에는, 외륜 아이들링형의 원웨이 클러치에 있어서, 제1 롤러가 슬립하기 어려워진다.
발명 6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클러치에 있어서, 캠면은, 내륜의 외주면에 내륜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이 서서히 커지는 맞물림 면을 가진다. 외륜은, 내주면이 원통면이다. 이 경우에는, 내륜 아이들링형의 원웨이 클러치에 있어서, 제1 롤러가 슬립하기 어려워진다.
발명 7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클러치에 있어서, 낚시용 릴은, 낚싯줄이 스풀의 줄 감기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방출되는 스피닝 릴이다. 외륜은, 스피닝 릴의 제1 부품으로서의 로터에 계합하고, 내륜은, 스피닝 릴의 제2 부품으로서의 로터의 제동부에 계합한다
이 경우에는, 로터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만 로터 제동 부재로 전달하는 레버 브레이크형의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의 제1 롤러가 슬립하기 어려워진다.
발명 8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클러치에 있어서, 낚시용 릴은, 낚싯줄이 스풀의 줄 감기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방출되는 스피닝 릴이다. 외륜은, 스피닝 릴의 제1 부품으로서의 릴 본체에 계합하고, 내륜은, 스피닝 릴의 제2 부품으로서의 피니언 기어에 계합한다.
이 경우에는, 프런트 드래그(front drag) 또는 리어 드래그(rear drag)형의 스피닝 릴의 로터의 역회전을 금지하는 원웨이 클러치의 제1 롤러가 슬립하기 어려워진다.
발명 9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클러치에 있어서, 낚시용 릴은, 낚싯줄이 스풀의 회전 방향으로 방출되는 양베어링 릴이다. 외륜은, 양베어링 릴의 제1 부품으로서의 릴 본체에 계합하고, 내륜은, 양베어링 릴의 제2 부품으로서의 핸들축에 계합한다.
이 경우에는, 양베어링 릴의 스풀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원웨이 클러치의 제1 롤러가 슬립하기 어려워진다.
발명 10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클러치에 있어서, 낚시용 릴은, 낚싯줄이 스풀의 회전 방향으로 방출되는 편베어링 릴이다. 외륜은, 편베어링 릴의 제1 부품으로서의 스풀에 계합하고, 내륜은, 편베어링 릴의 제2 부품으로서의 드래그 기구에 계합한다.
이 경우에는, 편베어링 릴의 스풀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원웨이 클러치의 제1 롤러가 슬립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롤러의 마찰 계수가 높기 때문에 캠면에 물릴 때에 제1 롤러가 슬립하기 어려워진다. 게다가, 마찰 계수가 작아 미끄러지기 쉬운 제2 롤러가 있기 때문에, 클러치 오프 시의 핸들의 회전이 무거워지기 어려워져, 회전 필링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채용된 스피닝 릴의 단면도.
도 2는 그 레버 브레이크 기구의 단면 부분도.
도 3은 그 원웨이 클러치의 정면도.
도 4는 제2 실시예를 채용한 역회전 방지 기구의 단면 부분도.
도 5는 그 원웨이 클러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채용된 양베어링 릴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채용된 편베어링 릴의 정면도.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대의 긴쪽 방향을 따르는 제1 축(X) 둘레에 낚싯줄을 감는 레버 브레이크형의 릴이다. 스피닝 릴은, 핸들 조립체(1)를 구비한 릴 본체(2)와, 릴 본체(2)의 전부(前部)에 제1 축(X)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터(3)와, 로터(3)의 전부에 배치된 낚싯줄을 감는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2)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제이다. 릴 본체(2)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전후로 긴 장대 장착부(2c)와, 장대 장착부(2c)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릴 보디(2a)와, 장대 장착부(2c)와 릴 보디(2a)를 연결하는 다리부(2b)를 가지고 있다. 릴 보디(2a)는, 내부에 기구 장착 공간을 가지고, 다리부(2b)와 일체 형성되어 측부가 개구(開口)하고 있다. 릴 보디(2a)의 개구는, 덮개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막혀있다. 릴 보디(2a)의 전부에는, 취부(取付) 플랜지붙이의 금속제의 통상(筒狀)의 취부 부재(2e)가 장착되어 있다. 다리부(2b)의 전면(前面)에는, 후술하는 제동 레버(17)를 수납하기 위한 장착 홈(2g)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 홈(2g)은, 단면이 대체로 초승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 홈(2g)에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 수지 절연체제의 시트 부재(7)가 장착되어 있다.
릴 보디(2a)의 내부에는, 로터 구동 기구(5)와 레버 브레이크 기구(6)와 오실레이팅 기구(20)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핸들 조립체(1)에 연동하여 로터(3)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레버 브레이크 기구(6)는, 로터(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역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20)는, 핸들 조립체(1)의 회전에 연동하여 스풀축(8)을 통하여 스풀(4)을 전후로 왕복 이동시키는 기구이다.
로터(3)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제이며,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터(3)는, 원통부(3a)와, 원통부(3a)의 측방(側方)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암부(3b) 및 제2 암부(3c)를 가지고 있다. 원통부(3a)의 전벽(前壁, 3d)의 중앙부에는 관통 구멍(3e)을 가지는 보스부(3f)가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3e)에 후술하는 스풀축(8) 및 피니언 기어(12)가 관통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암부(3b)의 선단(先端)과 제2 암부(3c)의 선단부에는, 베일 암(9)이 요동(搖動, 흔들려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베일 암(9)에 의하여 낚싯줄이 스풀(4)로 안내된다.
스풀(4)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의 것이다. 스풀(4)은, 로터(3)의 제1 암부(3b)와 제2 암부(3c)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4)은, 스풀축(8)의 선단에 원터치 착탈(着脫) 기구(48)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고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스풀 본체(22)와, 스풀 본체(22) 내에 배치된 드래그 기구(23)와, 스풀 본체(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풀 통부(24)를 가지고 있다. 스풀 본체(22)는, 통상(筒狀)의 줄 감기 몸통부(22a)와, 줄 감기 몸통부(22a)의 후단부(後端部)에 줄 감기 몸통부(22a)보다 대경(大徑)으로 형성된 통상의 스커트부(22b)와, 줄 감기 몸통부(22a)의 전부에 전방으로 경사하여 형성된 플랜지부(22c)를 가지고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핸들 조립체(1)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마스터 기어축(10)과, 마스터 기어축(10)과 함께 회전하는 마스터 기어(11)와, 마스터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마스터 기어축(10)은, 마스터 기어(11)와 일체로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스터 기어축(10)은, 릴 보디(2a) 및 덮개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마스터 기어축(10)은 핸들 조립체(1)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피니언 기어(12)의 전부(12a)는 로터(3)의 관통 구멍(3e)을 관통하여 스풀(4)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의 전부(12a)에서, 로터(3)는 너트(13)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12)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중간부와 후부(後部)에서 베어링(14a, 14b)에 의하여 릴 보디(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에서 베어링(14c)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너트(13)는, 리테이너(36, retainer)에 의하여 느슨함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너트(13)는, 베어링(13a)에 의하여 스풀축(8)에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12)의 내주면과 스풀축(8)의 외주면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20)는, 트래버스(traverse) 캠식의 것이며,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20a)와, 릴 보디(2a)에 스풀축(8)과 평행한 축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나축(螺軸, 20b, 왕복 나선상 홈(교차하는 나선상 홈)이 형성된 축)과, 나축(20b)의 회전에 의하여 전후 이동하는 슬라이더(20c)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20c)에 스풀축(8)의 후단부가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레버 브레이크 기구의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터 제동 장치인 레버 브레이크 기구(6)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부(16)와, 제동부(16)의 제동력을 조정 조작하기 위한 제동 레버(17)와, 제동 레버(17)를 압박하는 코일 용수철의 형태의 용수철 부재(19)와, 제동 레버(17)에 의하여 소정 제동 상태와 제동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한 소정 제동부(21)를 가지고 있다. 용수철 부재(19)는, 제동 레버(17)를 장대 장착부(2c)로부터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압박한다.
<제동부의 구성>
제동부(16)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 레버(17)의 선단이 압접(壓接)되어 제동되는 제동면(41a)을 가지는 제동부 본체(31)와, 로터(3)와 제동부 본체(31)를 로터(3)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연결·차단하는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32)를 가지고 있다.
제동부 본체(31)는, 로터(3)의 원통부(3a)의 내주 측에 로터(3)와 동심에 배치된 통상 부재(40)와, 통상 부재(40)의 내주면에 고정된 제동 원통(41)을 가지고 있다.
통상 부재(4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3a)의 내주 측에 동심에 배치되는 외통부(40a)와, 외통부(40a)의 내주 측에 배치된 내통부(40b)와, 외통부(40a)와 내통부(40b)를 연결하는 원판부(40c)를 가지는 이중 통상 부재이다. 외통부(40a)의 외주면에는, 소정 제동부(21)를 구성하는 마찰 링(30)이 장착되는 환상(環狀) 홈(40d)이 예를 들어 2개가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내통부(40b)는, 취부 부재(2e)에 고정된 베어링 멈춤 링(54)의 외주면에 베어링(14d)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내통부(40b)는, 베어링(14d)의 앞쪽으로부터 한층 더 직경 방향 내방(內方)으로 연장되어 있고, 보스부(3f)의 외주 측에 통상으로 대향하고 있다. 이 보스부(3f)와 내통부(40b)의 대향 부분의 사이에 탄성체제의 실(seal) 부재(86)가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로터(3)의 보스부(3f)와 통상 부재(40)의 간극으로부터 베어링(14c, 14d) 및 릴 본체(2)의 내부로 액체가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베어링 멈춤 링(54)은, 취부 부재(2e)의 선단 내주면에 틀어 넣음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 멈춤 링(54)과 피니언 기어(12)의 사이에 베어링(14c)이 배치되어 있다. 베어링(14c)은, 피니언 기어(12)를 지지하는 것과 함께, 베어링 멈춤 링(54)을 빠짐 방지하는 기능도 하고 있다. 베어링(14c와 14a)의 사이에는, 통상의 베어링 칼라(collar)(87)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베어링(14c)의 후부가 위치 결정된다. 베어링(14c)의 전부는, 로터(3)의 보스부(3f)에 접촉하여 위치 결정되고 있다.
제동 원통(41)은, 외통부(40a)의 내주면으로부터 내통부(40b)를 거쳐 베어링(14d)의 후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베어링(14d)의 외륜은, 통상 부재(40)와 제동 원통(41)에 의하여 끼어 있다. 제동 원통(41)은, 외통부(40a)를 따른 내주면이 제동면(41a)으로 되어 있다. 제동 원통(41)은, 중심 구멍(41b)을 가지는 금속제의 바닥이 있는 통상 부재이며, 원판부(40c)에 고정 볼트(49)에 의하여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중심 구멍(41b)은, 취부 부재(2e)의 외주 측에 대향하도록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동 원통(41)의 제동면(41a)에 제동 레버(17)의 선단이 당접(當接, 부딪는 상태로 접함)하여 통상 부재(40)를 제동한다. 제동 원통(41)의 중심 구멍(41b)과 취부 부재(2e)의 사이에는 탄성체제의 실 부재(88)가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베어링(14d)으로의 액체의 침입이 방지되고 있다. 나아가, 베어링(14d)을 통하여 릴 본체(2) 내부로의 액체의 침입도 방지되고 있다.
원웨이 클러치(32)는 외륜 아이들링형의 롤러 클러치이며, 로터(3)가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만 로터(3)와 제동부 본체(31)의 통상 부재(40)를 연결하고, 로터(3)에 연동하여 통상 부재(40)를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로터(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에는, 로터(3)와 통상 부재(40)는 차단되고, 로터(3)로부터 통상 부재(40)로 회전이 전달되지 않는다.
원웨이 클러치(3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륜(42)과, 내륜(43)과, 제1 롤러(44a) 및 제2 롤러(44b)와, 캠면(45)을 가지고 있다. 외륜(42)은, 제1 부품의 일례인 로터(3)의 원통부(3a)의 내주면(3g)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링상의 부재이다. 외륜(42)의 외주면에는, 직경 방향 외방(外方)으로 약간 돌출하는 복수의 계지(係止, 서로 걸려 고정되는 것) 돌기(42a)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부등(不等)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륜(43)은, 제2 부품의 일례인 제동부(16)의 통상 부재(40)의 원판부(40c)에 제동 원통(41)을 고정하는 고정 볼트(49)에 의하여 고정된 링상의 부재이다. 원판부(40c)에는, 내륜(43)을 중심 맞춤하기 위한 중심 맞춤 통부(40e)가 형성되고, 내륜(43)은, 중심 맞춤 통부(40e)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있다.
도 3에 오른쪽 아래로 내려가도록 그려진 해칭으로 도시한 제1 롤러(44a) 및 왼쪽 아래로 내려가도록 그려진 해칭으로 도시한 제2 롤러(44b)는, 외륜(42) 및 내륜(43)에 접촉 가능하고, 각각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롤러(44a)와 제2 롤러(44b)는, 각각 5개 설치되고,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제1 롤러(44a)는, 예를 들어 β티탄 합금제이다. 제2 롤러(44b)는, 예를 들어 SUS440C 등의 스테인리스 합금제이다. 캠면(45)은, 내륜(43)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에 있어서, 내륜(43)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서서히 커지는 맞물림 면(45a)을 가지고 있다. 제1 롤러(44a)는, 제2 롤러(44b)보다 마찰 계수가 크다. 구체적으로는, β티탄 합금은, 스테인리스 합금보다 영률이 작기 때문에, 탄성 변형이 커지고, 탄성 변형에 의하여 캠면(45)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제1 롤러(44a)의 외관의 마찰 계수가 제2 롤러(44b)보다 커지고 있다.
캠면(45)은, 제1 실시예에서는, 내륜(43)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캠면(45)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내륜(43)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이 서서히 커지는 맞물림 면(45a)을 가지고 있다.
또한, 원웨이 클러치(32)는, 제1 롤러(44a) 및 제2 롤러(44b)를,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기 위한 리테이너(46)를 가지고 있다. 리테이너(46)는, 제1 롤러(44a) 및 제2 롤러(44b)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예를 들어 10개)의 돌출부(46a)를 가지고, 돌출부(46a)와 제1 롤러(44a) 및 제2 롤러(44b)의 사이에는, 제1 롤러(44a) 및 제2 롤러(44b)를 클러치 온(연결) 방향으로 압박하는 복수(예를 들어 10개)의 용수철 부재(47)가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로터(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롤러(44a) 및 제2 롤러(44b)는, 용수철 부재(47)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크랙 오프 방향(도 3 시계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여, 캠면(45)에 접촉하지 않고 클러치 오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로터(3)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은 제동부 본체(31)로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로터가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내륜(43)이 도 3에 화살표 A로 도시하는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롤러(44a) 및 제2 롤러(44b)가 용수철 부재(47)의 압박력에 의하여 같은 방향으로 굴러, 캠면(45)과 외륜(42)의 사이에 물린다. 이때, 제1 롤러(44a)의 마찰 계수가 제2 롤러(44b)의 마찰 계수보다 크기 때문에, 제1 롤러(44a)가 슬립하기 어려워지고, 신속히 클러치 온 상태가 되어, 로터(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제동부 본체(31)로 전달된다.
<제동 레버의 구성>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 레버(17)는, 제1 축(X)과 어긋나는 제2 축(Y) 방향으로 릴 본체(2)의 다리부(2b)에 장착된 지지축(33)에 의하여 릴 본체(2)에 제2 축(Y) 둘레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동 레버(17)는, 용수철 부재(19)에 의하여 장대 장착부(2c)와 이반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다리부(2b)의 전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 홈(2g)이 형성되고, 장착 홈(2g)에는, 시트 부재(7)가 장착되어 있다. 시트 부재(7)는, 지지축(33)에 의하여 장착 홈(2g)에 대하여 빠짐 방지되어 있다.
제동 레버(17)는, 도 1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소정 제동 위치와, 제동 해제 위치보다 장대 장착부(2c)에 접근한 이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제동 위치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릴 본체(2)에 취부되어 있다. 덧붙여, 제동 레버(17)는, 통상(通常)은, 용수철 부재(19) 및 소정 제동부(21)의 기구에 의하여 도 1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제동 해제 위치와 일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소정 제동 위치 중 어느 한 쪽에 보지(保持)된다.
제동 레버(17)는, 제동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7a)와, 다리부(2b)의 장착 홈(2g)에 지지축(33)에 의하여 제2 축(Y) 둘레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장착부(17b)와, 장착부(17b)로부터 연장되어 제동부(16)에 제동 작용하는 제동 작용부(17c)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17a)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재이고, 단조(鍛造)에 의하여 제조되어 있다. 조작부(17a)는, 장착부(17b)에 복수(예를 들어 2개)의 볼트 부재(90)에 의하여 장착부(17b)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장착부(17b) 및 제동 작용부(17c)는, C자상으로 만곡(彎曲)하여 일체 형성된,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합금제의 판상(板狀)의 부재이다. 장착부(17b)는, 시트 부재(7) 내에 배치되어 릴 본체(2)의 다리부(2b)에는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마그네슘 합금제의 릴 본체(2)의 전해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제동 작용부(17c)의 선단은, 제동 원통(41)의 내주 측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선단에 제동 원통(41)의 내주면에 접촉 가능한 제동 슈(34)가 착탈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제동 슈(34)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계 합성 수지나 폴리아세탈 등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이다. 제동 슈(34)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 레버(17)의 요동에 의하여 제동 원통(41)을 직경 방향 외방으로 압압(押壓, 내리 누르는 것)한다.
제동 레버(17)는, 아무것도 조작되지 않으면 용수철 부재(19)에 의하여 압박되어, 도 1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 해제 위치에 배치되어 제동 슈(34)가 제동 원통(41)으로부터 이반하고 있다.
용수철 부재(19)는, 시트 부재(7)에 수용되어, 장착부(17b)와 릴 본체(2)의 다리부(2b)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용수철 부재(19)는, 제동 레버(17)를 제동 해제 측을 향하여 도 1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동 상태로부터 제동 레버(17)에서 손을 떼면, 로터(3)는 제동 해제 상태가 된다.
<릴의 동작 및 조작>
캐스팅 시에는 베일 암(9)을 줄 개방 자세 측으로 넘어뜨리고, 캐스팅 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4)의 외주로부터 낚싯줄이 방출된다. 줄 감기 시에는, 핸들 조립체(1)를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베일 암(9)이 도시하지 않는 되돌림 기구에 의하여 줄 감기 자세로 돌아온다. 핸들 조립체(1)의 회전력은, 마스터 기어축(10), 마스터 기어(11)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12)의 전부(12a)를 통하여 로터(3)로 전달된다. 이때 로터(3)는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원웨이 클러치(32)는 클러치 오프 상태가 되고, 로터(3)의 회전력은 통상 부재(40)로는 전달되지 않는다. 피니언 기어(12)가 회전하면, 스풀축(8)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제동 레버(17)를 아무것도 조작하지 않으면, 제동 레버(17)는 용수철 부재(19) 및 소정 제동부(21)의 작용에 의하여 압압되어 제동 해제 위치 또는 소정 제동 위치에 배치된다.
로터(3)를 역회전시켜 물고기와 릴링할 때에는, 제동 레버(17)를 예를 들어 검지 손가락에 의하여 장대 장착부(2c) 측으로 끌어들이는 조작을 하여 제동력을 조정한다.
낚싯줄이 물고기에 의하여 끌려 로터(3)가 줄 방출 방향으로 역회전하면, 원웨이 클러치(32)가 클러치 온 상태가 되어, 로터(3)의 회전력이 통상 부재(40)로 전달되고, 나아가 제동 원통(41)으로 전달되어, 레버 브레이크 기구(6)가 제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줄 방출 방향으로 로터(3)가 회전할 때, 원웨이 클러치(32)에서는, 제1 롤러(44a) 및 제2 롤러(44b)가 캠면(45)을 따라 이동하고, 외륜(42)과 캠면(45)의 사이에 물려, 내륜(43)과 외륜(42)이 로크(lock)된다. 이것에 의하여, 클러치 온 상태가 되어, 로터(3)의 회전이 제동 원통(41)으로 전달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는, 프런트 드래그형의 스피닝 릴의 로터(103)의 역회전을 금지 및 허가하는 역회전 방지 기구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내륜 아이들링형의 원웨이 클러치를 사용한 예를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역회전 방지 기구(150)는,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132)와, 원웨이 클러치(132)를 역회전 허가 상태와 역회전 금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기구(152)를 구비하고 있다. 원웨이 클러치(132)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부품으로서의 릴 본체에 클러치 케이스(153)를 통하여 계합하는 외륜(142)과, 제2 부품으로서의 피니언 기어(112)에 계합하는 내륜(143)과, 제1 롤러(144a) 및 제2 롤러(144b)와, 캠면(145)과, 리테이너(146)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케이스(153)는, 릴 본체(102)의 전부에 나사 부재(16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외륜(142)은, 클러치 케이스(153)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내륜(143)은, 피니언 기어(112)에 형성된 평행한 두 면을 가지는 회전 멈춤부(112b)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12)는, 전부(112a)에서 로터(103)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1 롤러(144a) 및 제2 롤러(144b)는, 외륜(142)과 내륜(143)의 사이에 배치되고, 외륜(142) 및 내륜(143)에 접촉 가능하다. 캠면(145)은, 제2 실시예에서는, 외륜(142)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롤러(144a)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β티탄 합금제이며, 제2 롤러(144b)는, 스테인리스 합금제이다. 제1 롤러(144a)의 외경은 제2 롤러(144b)의 외경보다 크다. 제1 롤러(144a)의 외경은 제2 롤러(144b)의 외경의 100.5퍼센트 이상 102.5퍼센트 이하의 범위이다. 캠면(145)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외륜(142)의 중심으로부터 서서히 반경이 작아지는 맞물림 면(145a)을 가지고 있다. 리테이너(146)는, 전환 기구(152)에 계합하여, 전환 기구(152)에 의하여 도 5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역회전 금지 위치와 이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역회전 허가 위치로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함)한다.
전환 기구(152)는, 리테이너(146)를 회동시키는 캠 홈을 가지는 캠 판(152a)과, 릴 본체(102)의 하부에 배치된 전환 레버(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전환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캠 판(152a)을 통하여 리테이너(146)를 역회전 허가 위치와 역회전 금지 위치로 회동시켜, 원웨이 클러치(132)를 역회전 허가 상태와 역회전 금지 상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역회전 방지 기구(150)에서는, 역회전 금지 상태 시에 로터(103)가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피니언 기어(112)를 통하여 원웨이 클러치(132)의 내륜(143)이 화살표 B로 도시하는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지만, 제1 롤러(144a) 및 제2 롤러(144b)가 맞물림 면(145a)에 물려, 내륜(143)과 외륜(142)이 로크되어, 로터의 역회전이 신속히 저지된다. 이때에도, 제1 롤러(144a)의 슬립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는, 양베어링 릴의 핸들축의 역회전을 금지하여 드래그 기구를 작동시키는 원웨이 클러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양베어링 릴은, 릴 본체(201)와, 릴 본체(20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줄 감기용의 스풀(203)과, 릴 본체(201)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축(204)과, 핸들축(204)의 선단에 장착된 핸들(205)을 가지고 있다.
릴 본체(201)는, 제1 측판(209a) 및 제2 측판(209b)을 가지는 프레임(209)과, 프레임(209)의 양 측방을 덮는 제1 측 커버(210a) 및 제2 측 커버(210b)를 가지고 있다.
스풀(203)은, 제1 측판(209a)과 제2 측판(209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203)은, 핸들축(204)과 회전 전달 기구(23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회전 전달 기구(230)는, 스풀(20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231)를 가지고 있다.
핸들축(204)은, 제2 측 커버(210b)와 제2 측판(209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측 커버(210b) 내에 있어서, 핸들축(204)의 외주 측에 원웨이 클러치(232)가 배치되어 있다.
원웨이 클러치(232)는, 내륜 아이들링형의 롤러 클러치이고, 도 5에 도시한 원웨이 클러치와 마찬가지의 구조이다. 원웨이 클러치(232)는, 핸들축(204)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고 드래그 기구(231)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원웨이 클러치(232)는, 외륜(242)이 제1 부품으로서의 릴 본체(201)의 제2 측 커버(210b)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고 있다. 내륜(243)은, 제2 부품으로서의 핸들축(204)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외륜(242)과 내륜(243)의 사이에 침상(針狀)의 제1 롤러(244a)와 제2 롤러(244b)가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제1 롤러(244a)와 제2 롤러(244b)는 같은 외경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원웨이 클러치(232)는, 낚싯줄의 채비에 물고기가 걸려 스풀(203)이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핸들축(204)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순시에 저지하고, 드래그 기구(231)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의 원웨이 클러치(232)여도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는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에서는, 편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를 작동시키는 원웨이 클러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편베어링 릴은, 릴 본체(301)와, 릴 본체(30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303)을 가지고 있다.
릴 본체(301)는, 원형의 측판(309a)과, 측판(309a)의 대향하는 외주부로부터 연장되는 상(上) 보호부(309b) 및 하(下) 보호부(309c)를 가지고 있다. 측판(309a)의 중심부에는, 스풀축(305)이 고정되어 있다.
측판(309a)의 내측면에 있어서, 스풀축(305)의 직경 방향 외방에는, 드래그 기구(331)가 설치되어 있다.
스풀(303)은, 스풀축(30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303)과 스풀축(305)의 사이에 원웨이 클러치(332)가 장착되어 있다. 스풀(303)의 외측면에는, 핸들 손잡이(306)가 장착되어 있다.
원웨이 클러치(332)는, 내륜 아이들링형의 롤러 클러치이며, 도 5에 도시한 원웨이 클러치와 마찬가지의 구조이다. 원웨이 클러치(332)는, 스풀(303)이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회전을 드래그 기구(331)로 전달하여 드래그 기구(331)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원웨이 클러치(332)는, 외륜(342)이 제1 부품으로서의 스풀(303)의 내주면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고 있다. 내륜(343)은, 제2 부품으로서의 드래그 기구(331)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외륜(342)과 내륜(343)의 사이에 침상의 제1 롤러(344a)와 제2 롤러(344b)가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제1 롤러(344a)와 제2 롤러(344b)는 같은 외경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원웨이 클러치(332)는, 낚싯줄의 채비에 물고기가 걸려 스풀(303)이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풀(30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순시에 드래그 기구(331)로 전달되어 드래그 기구(331)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의 원웨이 클러치(332)여도 제1 실시예로부터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는다.
<특징>
(A) 원웨이 클러치(32, 132, 232, 또는 332)는, 낚시용 릴에 이용되는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이다. 원웨이 클러치(32, 132, 232, 또는 332)는, 외륜(42, 142, 242, 또는 342)과 내륜(43, 143, 243, 또는 343)과 제1 롤러(44a, 144a, 244a, 또는 344a)와 제2 롤러(44b, 144b, 244b, 또는 344b)와 캠면(45, 145)을 구비하고 있다.
외륜(42)은, 낚시용 릴의 제1 부품(로터(3), 릴 본체(102, 201), 또는 스풀(303))에 계합한다. 내륜(43)은, 낚시용 릴의 제2 부품(제동부(16), 피니언 기어(112), 핸들축(204), 또는 드래그 기구(331))에 계합한다. 제1 롤러(44a)는, 외륜(42)과 내륜(43)의 사이에 배치되고, 외륜(42) 및 내륜(43)에 접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롤러이다. 제2 롤러(44b)는, 외륜(42)과 내륜(43)의 사이에 배치되고, 외륜(42) 및 내륜(43)에 접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롤러이다. 제1 롤러(44a)와 제2 롤러(44b)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1 롤러(44a)는, 제2 롤러(44b)보다 마찰 계수가 높다. 캠면(45)은, 외륜(42)의 내주면 및 내륜(43)의 외주면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되고, 제1 롤러(44a) 및 제2 롤러(44b)가 물리는 면이다.
이 원웨이 클러치(32)에서는, 외륜(42)과 내륜(43)의 사이에 배치되는 롤러를 2종류 준비하고, 제1 롤러(44a)는 제2 롤러(44b)보다 마찰 계수가 높은 것이다. 여기에서는, 제1 롤러(44a)의 마찰 계수가 높기 때문에 캠면(45)에 물릴 때에 제1 롤러(44a)가 슬립하기 어려워진다. 게다가, 마찰 계수가 작아 미끄러지기 쉬운 제2 롤러(44b)가 있기 때문에, 클러치 오프 시의 핸들 조립체(1)(또는 핸들축(204))의 회전이 무거워지기 어려워져, 회전 필링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롤러(44b)는, 마찰 계수는 낮지만 강도가 높은 것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롤러 전체의 강도의 저하를 가급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B) 원웨이 클러치(132)에 있어서, 제1 롤러(144a)는, 제2 롤러(144b)보다 외경이 크다. 이 경우에는, 마찰 계수가 높은 제1 롤러(144a)의 외경이 제2 롤러(144b)보다 크기 때문에, 미끄러지기 어려운 제1 롤러(144a)가 제2 롤러(144b)보다 먼저 확실하게 캠면(145)에 물린다. 이 때문에, 한층 더 신속하게 원웨이 클러치(132)가 동작하고 또한 제1 롤러(144a)의 슬립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조립 시의 혼입을 막을 수 있다.
(C) 원웨이 클러치(132)에 있어서, 제1 롤러(144a)의 외경은, 제2 롤러(144b)의 외경의 100.5퍼센트 이상 102.5퍼센트 이하의 범위이다. 이 경우에는, 제1 롤러(144a)와 제2 롤러(144b)의 외경의 차가 작기 때문에, 제1 롤러(144a)가 캠면(145)에 물린 후, 제2 롤러(144b)가 캠면(145)에 물리기 쉬워진다.
(D) 원웨이 클러치(32, 132, 232, 또는 332)에 있어서, 제1 롤러(44a, 144a, 244a, 또는 344a)는, 제2 롤러(44b, 144b, 244b, 또는 344b)보다 영률이 작기 때문에 탄성 변형이 커지고, 탄성 변형에 의하여 캠면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외관의 마찰 계수가 커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실제의 마찰 계수가 아니라 탄성 변형에 의한 외관의 마찰 계수에 의하여 제1 롤러(44a, 144a, 244a, 또는 344a)의 마찰 계수가 제2 롤러(44b, 144b, 244b, 또는 344b)보다 커지고 있기 때문에, 금속 등의 인장강도가 큰 재질을 사용하여도 마찰 계수를 높일 수 있다.
(E) 원웨이 클러치(32, 132, 232, 또는 332)에 있어서, 제1 롤러(44a, 144a, 244a, 또는 344a)는 β티탄 합금제이고, 제2 롤러(44b, 144b, 244b, 또는 344b)는 스테인리스 합금제이다.
이 경우에는, 방청 성능이 높은 합금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마찰 계수가 달라도 롤러가 녹슬기 어려워진다.
(F) 원웨이 클러치에 있어서, 캠면(45)은, 내륜(43)의 외주면에 내륜(43)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이 서서히 작아지는 맞물림 면(45a)을 가진다. 외륜(42)은, 내주면이 원통면이다. 이 경우에는, 외륜 아이들링형의 원웨이 클러치에 있어서, 제1 롤러(44a)가 슬립하기 어려워진다.
(G) 원웨이 클러치(132)에 있어서, 캠면(145)은, 외륜(142)의 내주면에 외륜(143)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이 서서히 커지는 맞물림 면(145a)을 가진다. 내륜은, 외주면이 원통면이다. 이 경우에는, 내륜 아이들링형의 원웨이 클러치(132, 232, 332)에 있어서, 제1 롤러(144a, 244a, 344a)가 슬립하기 어려워진다.
(H) 원웨이 클러치(32)에 있어서, 낚시용 릴은, 낚싯줄이 스풀(4)의 줄 감기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방출되는 스피닝 릴이다. 외륜(42)은, 스피닝 릴의 제1 부품으로서의 로터(3)에 계합하고, 내륜(43)은, 스피닝 릴의 제2 부품으로서의 로터의 제동부(16)에 계합한다.
이 경우에는, 로터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만 로터의 제동부(16)로 전달하는 레버 브레이크형의 스피닝 릴의 원웨이 클러치(32)의 제1 롤러(44a)가 슬립하기 어려워진다.
(I) 원웨이 클러치(132)에 있어서, 낚시용 릴은, 낚싯줄이 스풀의 줄 감기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방출되는 스피닝 릴이다. 외륜(142)은, 스피닝 릴의 제1 부품으로서의 릴 본체(102)에 계합하고, 내륜(143)은, 스피닝 릴의 제2 부품으로서의 피니언 기어(112)에 계합한다.
이 경우에는, 프런트 드래그 또는 리어 드래그형의 스피닝 릴의 로터(103)의 역회전을 금지하는 원웨이 클러치(132)의 제1 롤러(144a)가 슬립하기 어려워진다.
(J) 원웨이 클러치(232)에 있어서, 낚시용 릴은, 낚싯줄이 스풀(203)의 회전 방향으로 방출되는 양베어링 릴이다. 외륜(242)은, 양베어링 릴의 제1 부품으로서의 릴 본체(201)에 계합하고, 내륜(243)은, 양베어링 릴의 제2 부품으로서의 핸들축(204)에 계합한다.
이 경우에는, 양베어링 릴의 스풀(203)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231)를 작동시키기 위한 원웨이 클러치(232)의 제1 롤러(244a)가 슬립하기 어려워진다.
(K) 원웨이 클러치(332)에 있어서, 낚시용 릴은, 낚싯줄이 스풀(303)의 회전 방향으로 방출되는 편베어링 릴이다. 외륜(342)은, 편베어링 릴의 제1 부품으로서의 스풀(303)에 계합하고, 내륜(343)은, 편베어링 릴의 제2 부품으로서의 드래그 기구(331)에 계합한다.
이 경우에는, 편베어링 릴의 스풀(303)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331)를 작동시키기 위한 원웨이 클러치(332)의 제1 롤러(344a)가 슬립하기 어려워진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롤러와 제2 롤러를 같은 수로 번갈아 배치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롤러와 제2 롤러의 수를 바꾸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롤러 전체의 수가 6개인 경우, 제1 롤러(또는 제2 롤러)를 2개로 하고, 제2 롤러(또는 제1 롤러)의 수를 4개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1개의 제1 롤러(또는 제2 롤러)와 2개의 제2 롤러(또는 제1 롤러)를 번갈아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롤러의 재질을 β티탄제로 하여 마찰 계수를 높였지만, 마찰 계수를 높이기 위한 연구는 재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같은 재질이어도 표면 처리나 조가공(粗加工, crude processing)에 의하여 마찰 계수를 높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낚시용 릴로서 스피닝 릴, 양베어링 릴 및 편베어링 릴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동 릴 또는 스핀 캐스트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2 : 릴 본체
3 : 로터
16 : 제동부
32 : 원웨이 클러치
42 : 외륜
43 : 내륜
44a : 제1 롤러
44b : 제2 롤러
45 : 캠면
45a : 맞물림 면
46 : 리테이너
103 : 로터
112 : 피니언 기어
132 : 원웨이 클러치
142 : 외륜
143 : 내륜
144a : 제1 롤러
144b : 제2 롤러
145 : 캠면
145a : 맞물림 면
201 : 릴 본체
204 : 핸들축
231 : 드래그 기구
232 : 원웨이 클러치
242 : 외륜
243 : 내륜
244a : 제1 롤러
244b : 제2 롤러
303 : 스풀
305 : 스풀축
331 : 드래그 기구
332 : 원웨이 클러치
342 : 외륜
343 : 내륜
344a : 제1 롤러
344b : 제2 롤러

Claims (11)

  1. 낚시용 릴에 이용되는 원웨이 클러치이고,
    상기 낚시용 릴의 제1 부품에 계합(係合)하는 외륜(外輪)과,
    상기 낚시용 릴의 제2 부품에 계합하는 내륜(內輪)과,
    상기 외륜과 상기 내륜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외륜 및 상기 내륜에 접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롤러와,
    상기 외륜과 상기 내륜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외륜 및 상기 내륜에 접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롤러와,
    상기 외륜의 내주면(內周面) 및 상기 내륜의 외주면(外周面)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가 물리는 캠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제2 롤러보다 마찰 계수가 높고,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제2 롤러보다 외경(外徑)이 큰,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의 외경은, 상기 제2 롤러의 외경의 100.5퍼센트 이상 102.5퍼센트 이하의 범위인,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제2 롤러보다 영률(Young's modulus)이 작기 때문에 탄성 변형이 커지고, 탄성 변형에 의하여 상기 캠면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외관의 마찰 계수가 커지고 있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는 β티탄 합금제이고, 상기 제2 롤러는 스테인리스 합금제인,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은, 상기 내륜의 외주면에 상기 내륜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半徑)이 서서히 커지는 맞물림 면을 가지고,
    상기 외륜은, 내주면이 원통면인,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은, 상기 외륜의 내주면에 상기 외륜의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이 서서히 작아지는 맞물림 면을 가지고,
    상기 내륜은, 외주면이 원통면인,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용 릴은, 낚싯줄이 스풀의 줄 감기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방출되는 스피닝 릴이며,
    상기 외륜은, 상기 스피닝 릴의 상기 제1 부품으로서의 로터에 계합하고, 상기 내륜은, 상기 스피닝 릴의 제2 부품으로서의 로터의 제동부에 계합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용 릴은, 낚싯줄이 스풀의 줄 감기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방출되는 스피닝 릴이며,
    상기 외륜은, 상기 스피닝 릴의 상기 제1 부품으로서의 릴 본체에 계합하고,
    상기 내륜은, 상기 스피닝 릴의 상기 제2 부품으로서의 피니언 기어에 계합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용 릴은, 낚싯줄이 스풀의 회전 방향으로 방출되는 양베어링 릴이며,
    상기 외륜은, 상기 양베어링 릴의 상기 제1 부품으로서의 릴 본체에 계합하고,
    상기 내륜은, 상기 양베어링 릴의 상기 제2 부품으로서의 핸들축에 계합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용 릴은, 낚싯줄이 스풀의 회전 방향으로 방출되는 편베어링 릴이며,
    상기 외륜은, 상기 편베어링 릴의 상기 제1 부품으로서의 상기 스풀에 계합하고,
    상기 내륜은, 상기 편베어링 릴의 상기 제2 부품으로서의 드래그 기구에 계합하는,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11. 삭제
KR1020110058963A 2010-06-23 2011-06-17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KR101747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42226A JP5590986B2 (ja) 2010-06-23 2010-06-23 釣り用リールの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JP-P-2010-142226 2010-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650A KR20110139650A (ko) 2011-12-29
KR101747106B1 true KR101747106B1 (ko) 2017-06-14

Family

ID=44118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963A KR101747106B1 (ko) 2010-06-23 2011-06-17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746603B2 (ko)
EP (1) EP2399455B1 (ko)
JP (1) JP5590986B2 (ko)
KR (1) KR101747106B1 (ko)
CN (1) CN102293186B (ko)
MY (1) MY164671A (ko)
SG (1) SG177061A1 (ko)
TW (1) TWI5666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937B1 (ko) * 2012-02-28 2014-04-0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하이브리드 수직축 풍력 발전기
US8745867B1 (en) * 2013-01-14 2014-06-10 Kit Masters Modular viscous fan clutch system
JP6261884B2 (ja) * 2013-06-05 2018-01-17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そのロータ制動装置の制動操作レバー
JP6227353B2 (ja) * 2013-09-27 2017-11-08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ローラクラッチ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6247115B2 (ja) * 2014-02-27 2017-12-13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368515B2 (ja) * 2014-03-25 2018-08-0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488098B2 (ja) * 2014-10-10 2019-03-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DE102015203922A1 (de) * 2015-03-05 2016-09-0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reilaufeinrichtung für ein Automatikgetriebe
US10010061B2 (en) * 2015-03-18 2018-07-03 Shimano Inc. Spinning reel
TWM537531U (zh) * 2016-06-16 2017-03-01 Yuan Hong Bicycle Parts Co Ltd 無聲花轂結構
JP2018113917A (ja) * 2017-01-19 2018-07-2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10785970B1 (en) * 2017-09-06 2020-09-29 Thomas Sandstrom Spinning type fishing reel with bi-directionally rotating rotor with drag control to prevent line twist
JP7065598B2 (ja) * 2017-12-27 2022-05-1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2425834B1 (ko) * 2020-09-01 2022-07-28 근로복지공단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5682A (ja) 2001-10-25 2003-05-07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5299743A (ja) 2004-04-08 2005-10-27 Nsk Ltd 一方向ローラクラッチおよび一方向ローラ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2005326000A (ja) 2004-04-13 2005-11-24 Nsk Ltd 一方向クラッチおよび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2007205564A (ja) 2006-01-06 2007-08-16 Toyota Motor Corp 摺動部材及びクラッチ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9336U (ja) * 1983-09-12 1985-04-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オ−バランニングクラツチ
JPS60117866A (ja) * 1983-11-29 1985-06-25 Toshiba Corp 画情報読取装置
JP3438949B2 (ja) 1994-06-27 2003-08-1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US5921492A (en) * 1995-09-07 1999-07-13 Bauer; John M. Large arbor fishing reel embodying recessed drag control knob and zero backlash drag engagement clutch
JP2000120730A (ja) * 1998-10-19 2000-04-25 Ntn Corp 一方向クラッチ
US6354526B1 (en) * 1999-03-12 2002-03-12 Shimano Inc. Single bearing fishing reel and sounding mechanism
US20020063180A1 (en) * 2000-10-16 2002-05-30 Daiwa Seiko, Inc. Reversed rotation preventive device
JP2003079289A (ja) * 2001-09-10 2003-03-18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ワンウェイクラッチ
WO2003061372A2 (en) * 2002-01-24 2003-07-31 W.C. Bradley/Zebco Holdings, Inc. Modular fly fishing reel
US6641071B1 (en) * 2002-06-18 2003-11-04 Shih-Yuan Yeh Fishing reel with a unidirectional control device
US7374118B2 (en) * 2002-10-18 2008-05-20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EP2085467B1 (en) 2002-10-29 2013-12-11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Lutzomyia Longipalpis polypeptides and methods of use
US7383008B2 (en) * 2003-01-28 2008-06-03 Seiko Epson Corporation Fixing rubber roller,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JP2004350614A (ja) * 2003-05-30 2004-12-16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US7084035B2 (en) * 2004-04-13 2006-08-01 Ricoh Company, Ltd. Semiconductor device placing high, medium, and low voltage transistors on the same substrate
US7306179B2 (en) * 2006-01-31 2007-12-11 Svs Engineering Llc Fishing reel
DE602007003080D1 (de) * 2006-03-10 2009-12-17 Georgi Chivarov Angelrolle zum fliegenfischen
JP4016053B2 (ja) * 2006-07-06 2007-12-05 株式会社シマノ 魚釣り用リール
JP4863891B2 (ja) * 2007-01-23 2012-01-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4921188B2 (ja) * 2007-01-25 2012-04-25 株式会社シマノ 片軸受リール
JP5153269B2 (ja) * 2007-09-05 2013-02-27 株式会社シマノ ローラクラッチ
JP2009261368A (ja) * 2008-04-28 2009-11-12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およびスリーブ状軸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5682A (ja) 2001-10-25 2003-05-07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5299743A (ja) 2004-04-08 2005-10-27 Nsk Ltd 一方向ローラクラッチおよび一方向ローラ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2005326000A (ja) 2004-04-13 2005-11-24 Nsk Ltd 一方向クラッチおよび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2007205564A (ja) 2006-01-06 2007-08-16 Toyota Motor Corp 摺動部材及びクラ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99455A3 (en) 2012-12-05
US20110315801A1 (en) 2011-12-29
MY164671A (en) 2018-01-30
TWI566694B (zh) 2017-01-21
JP2012007643A (ja) 2012-01-12
CN102293186A (zh) 2011-12-28
CN102293186B (zh) 2015-05-13
JP5590986B2 (ja) 2014-09-17
KR20110139650A (ko) 2011-12-29
TW201210474A (en) 2012-03-16
EP2399455B1 (en) 2017-05-17
US8746603B2 (en) 2014-06-10
EP2399455A2 (en) 2011-12-28
SG177061A1 (en) 201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106B1 (ko) 낚시용 릴의 원웨이 클러치
JP2012007643A5 (ko)
JP3961757B2 (ja) 釣り用リールの部品支持構造
KR101408081B1 (ko) 롤러 클러치
KR101010970B1 (ko)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
US8490909B2 (en) Dual-bearing reel drag sound producing device
KR20110019714A (ko) 스피닝 릴의 스풀 연결 구조
US8882013B2 (en) Torque limiting device for fishing reel
CN107125219B (zh) 双轴承渔线轮
US8840053B2 (en) Handle assembly for dual-bearing reel and dual-bearing reel
EP2711590B1 (en) Drive gear
KR102138734B1 (ko) 양 베어링 릴
EP1181864B1 (en) Dual-Bearing reel spool-locking mechanism
KR102243481B1 (ko) 양 베어링 릴
JP4384936B2 (ja) 両軸受リール
KR101946285B1 (ko) 양 베어링 릴 및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
US9901086B1 (en) Brake mechanism of fishing reel
US9992984B2 (en) Fishing reel
CN108935358B (zh) 双轴承绕线轮
JP6636748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6856738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1072266A (ja) 魚釣用リール
JP400235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EP3342286A1 (en) Brake mechanism of fishing reel
JP200416664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