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834B1 -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 - Google Patents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834B1
KR102425834B1 KR1020200110976A KR20200110976A KR102425834B1 KR 102425834 B1 KR102425834 B1 KR 102425834B1 KR 1020200110976 A KR1020200110976 A KR 1020200110976A KR 20200110976 A KR20200110976 A KR 20200110976A KR 102425834 B1 KR102425834 B1 KR 102425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able state
roller
way clutch
clutch brake
brak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9081A (ko
Inventor
이석민
김규석
장대진
이종원
허윤
최혁재
Original Assignee
근로복지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근로복지공단 filed Critical 근로복지공단
Priority to KR1020200110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834B1/ko
Publication of KR20220029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9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5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with knee, leg or stump re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은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하는 상기 보행보조장치의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제2 부재 간의 회전 가능 상태와 회전 불가능 상태를 선택적으로 구현하며, 상기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륜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회전되는 복수의 롤러부 및 복수의 상기 롤러부 간을 구획하며 중공을 형성하는 리테이너부를 구비하는 캐리어부; 및 상기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롤러부에 접촉하는 내륜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륜부는 상기 롤러부를 향하는 내면 상에 상기 롤러부가 억지끼움되여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경사면 및 상기 롤러부가 회전되도록 비접촉되는 회전면을 구비하는 홈면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경사면에 억지끼움 되는 경우 상기 외륜부를 기준으로 상기 내륜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를 구현하며, 상기 회전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외륜부를 기준으로 상기 내륜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상기 회전 가능 상태를 구현하며, 상기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은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 및 상기 회전 가능 상태를 선택적으로 구현하도록 상기 리테이너부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모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BRAKE MODULE}
본 발명은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보조장치의 제1 부재와 제2 부재간의 회전 운동이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보조장치는 거동이 불편한 이용자가 거동에 도움을 얻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보행보조장치는 무릎과 같은 관절과 같이 회전되는 매커니즘이 필수 구성요소로 볼 수 있다.
보행보조장치가 지면 상에서 구동되기 위해 관절처럼 회전되며 하중을 지면에 전달할 때에는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되어야 하며, 이 때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브레이크 장치가 필요하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7114(2016.06.30)호에서는 양방향 유압 브레이크 무릎관절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는 브레이크바(2)에 연동하는 브레이크(3)를 가지는 관절부(1)에 관절부결합축(11)으로 지지된 인공의지(10) 상단에서 상기 브레이크바(2)를 무릎 전방 및 후방위치에서 선택적으로 브레이크바(2)를 눌러주는 전, 후방 누름바(20,30)를 구성하여 브레이크의 기능을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전, 후방 누름바(20,30)에 하중이 집중되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구성이 높고 쉽게 회전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은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하는 상기 보행보조장치의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제2 부재 간의 회전 가능 상태와 회전 불가능 상태를 선택적으로 구현하며, 상기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륜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회전되는 복수의 롤러부 및 복수의 상기 롤러부 간을 구획하며 중공을 형성하는 리테이너부를 구비하는 캐리어부; 및 상기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롤러부에 접촉하는 내륜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륜부는 상기 롤러부를 향하는 내면 상에 상기 롤러부가 억지끼움되여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경사면 및 상기 롤러부가 회전되도록 비접촉되는 회전면을 구비하는 홈면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경사면에 억지끼움 되는 경우 상기 외륜부를 기준으로 상기 내륜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를 구현하며, 상기 회전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외륜부를 기준으로 상기 내륜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상기 회전 가능 상태를 구현하며, 상기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은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 및 상기 회전 가능 상태를 선택적으로 구현하도록 상기 리테이너부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모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에 의하면, 내구성이 높고 쉽게 회전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의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의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의 제어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회전 가능 상태와 회전 불가능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은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하는 상기 보행보조장치의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제2 부재 간의 회전 가능 상태와 회전 불가능 상태를 선택적으로 구현하며, 상기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륜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회전되는 복수의 롤러부 및 복수의 상기 롤러부 간을 구획하며 중공을 형성하는 리테이너부를 구비하는 캐리어부; 및 상기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롤러부에 접촉하는 내륜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륜부는 상기 롤러부를 향하는 내면 상에 상기 롤러부가 억지끼움되여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경사면 및 상기 롤러부가 회전되도록 비접촉되는 회전면을 구비하는 홈면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경사면에 억지끼움 되는 경우 상기 외륜부를 기준으로 상기 내륜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를 구현하며, 상기 회전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외륜부를 기준으로 상기 내륜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상기 회전 가능 상태를 구현하며, 상기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은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 및 상기 회전 가능 상태를 선택적으로 구현하도록 상기 리테이너부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모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리테이너부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 및 상기 회전 가능 상태를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리테이너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레버부,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를 구현하도록 상기 레버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 및 상기 회전 가능 상태를 구현하도록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 이상의 힘으로 상기 레버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은 상기 내륜부에 연결되며 상기 내륜부를 회전시키는 모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모터부는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인 상기 경사면에 억지끼움된 상기 롤러부가 상기 회전 가능 상태인 상기 회전면 상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내륜부를 기 설정된 범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에서 상기 회전 가능 상태로의 전환은 1차로, 상기 모터부가 상기 내륜부를 회전시킨 후, 2차로, 상기 가압부가 상기 레버부를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는 상기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의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의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의 제어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회전 가능 상태와 회전 불가능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10)은 제1 부재(P1)와 제2 부재(P2)간의 연결을 구현하되, 상기 제1 부재(P1)와 상기 제2 부재(P2)간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선택적으로 구현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10)은 보행보조장치(1)의 일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행보조장치(1)는 사용자의 하중을 전달받는 상기 제1 부재(P1) 및 상기 제1 부재(P1)로부터 하중을 전달받아 지면으로 전달하는 상기 제2 부재(P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부재(P1)와 상기 제2 부재(P2)는 상기 보행보조장치(1)의 사용자의 하중을 전달받아 그 하중을 지면으로 직/간접적으로 전달하는 부재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10)은 상기 제1 부재(P1) 및 상기 제2 부재(P2)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부재(P1)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상기 제2 부재(P2)가 회전되는 회전 가능 상태와 상대적으로 상기 제2 부재(P2)가 회전되지 않는 회전 불가능 상태를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10)은 상기 보행보조장치(1)의 일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선택적인 회전 제어가 필요한 다른 장치의 일 구성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10)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10)은 수용공간(S1)을 형성하는 외륜부(100), 상기 수용공간(S1)에 삽입되며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회전되는 복수의 롤러부(210) 및 복수의 상기 롤러부(210) 간을 구획하며 중공(S2)을 형성하는 리테이너부(220)를 구비하는 캐리어부(200) 및 상기 중공(S2)에 삽입되며 상기 롤러부(210)에 접촉하는 내륜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륜부(100)는 상기 제1 부재(P1)에 고정되는 프레임(A)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부재(P1)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프레임(A)은 상기 외륜부(1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륜부(100)는 상기 삽입공간 상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A)을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A)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캐리어부(200)는 상기 수용공간(S1) 상에 삽입되어 상기 외륜부(100)를 기준으로 상기 내륜부(300)의 회전 가능 여부를 제어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리테이너부(220)는 복수의 상기 롤러부(210)가 각각 구획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롤러부(210)의 이동을 제한하는 격벽을 형성한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내륜부(300)는 상기 중공(S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S2)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부재(P1)를 지나 상기 제2 부재(P2)에 연결된 감속기(R)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륜부(100)를 기준으로 상기 내륜부(300)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내륜부(300)의 회전은 상기 감속기(R)로 전달되고, 감속된 회전은 상기 제2 부재(P2)로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제2 부재(P2)가 상기 제1 부재(P1)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외륜부(100)는 상기 롤러부(210)를 향하는 내면 상에 상기 롤러부(210)가 억지끼움 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경사면(M1) 및 상기 롤러부(210)가 회전되도록 비접촉되는 회전면(M2)을 구비하는 홈면(M)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부(210)가 상기 경사면(M1)에 억지끼움 되는 경우, 상기 내륜부(300)는 상기 롤러부(210)와 상기 외륜부(100)의 억지끼움으로 인해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불가능 할 수 있다.
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부(210)가 상기 경사면(M1)으로부터 벗어나 상기 회전면(M2) 상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내륜부(3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상기 롤러부(210)는 상기 경사면(M1)에 억지끼움 되는 경우 상기 외륜부(100)를 기준으로 상기 내륜부(300)가 제1 방향(예를 들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를 구현하며, 상기 회전면(M2)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외륜부(100)를 기준으로 상기 내륜부(300)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상기 회전 가능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10)은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 및 상기 회전 가능 상태를 선택적으로 구현하는 제어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모듈(400)은 상기 리테이너부(22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 및 상기 회전 가능 상태를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모듈(400)은 상기 외륜부(100)와 상기 내륜부(300) 사이에 배치된 상기 리테이너부(220)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롤러부(210)를 도 5의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에서 도 6의 상기 회전 가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며, 나아가 도 6의 상기 회전 가능 상태에서 도 5의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400)은 도 5의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에 있는 상기 롤러부(210)를 도 6의 상기 회전 가능 상태로 위치 변화하기 위해, 상기 리테이너부(220)가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리테이너부(220)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테이너부(220)에 구속된 상기 롤러부(210)는 상기 리테이너부(220)의 회전에 의해 도 5의 상태에서 도 6의 상태로 위치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400)은 도 6의 상기 회전 가능 상태에 있는 상기 롤러부(210)를 도 5의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로 위치 변화하기 위해, 상기 리테이너부(220)가 상기 수용공간(S1) 상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리테이너부(220)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테이너부(220)에 구속된 상기 롤러부(210)는 상기 리테이너부(220)의 회전에 의해 도 6의 상태에서 도 5의 상태로 위치 변화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400)은 상기 리테이너부(220)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 가능 상태 및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모듈(400)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제어모듈(400)은 상기 리테이너부(2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레버부(410),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를 구현하도록 상기 레버부(410)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420) 및 상기 회전 가능 상태를 구현하도록 상기 탄성부(420)의 탄성력 이상의 힘으로 상기 레버부(410)를 가압하는 가압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레버부(410)는 상기 외륜부(100)가 형성하는 관통홀(H1)을 통해 상기 리테이너부(220)에 연결되어 상기 리테이너부(220)에 대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외력을 전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레버부(410)는 상기 롤러부(210)가 없는 상기 리테이너부(220) 상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탄성부(420)는 일단이 상기 외륜부(100)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레버부(410)를 향해 항상 미는 힘인 탄성력을 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레버부(410)는 상기 탄성부(420)에 의해 밀려, 상기 리테이너부(220)를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로 회전시키도록 가압할 수 있다.
즉, 상기 레버부(410)는 상기 탄성부(4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리테이너부(220)가 상기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가압부(430)는 상기 회전 가능 상태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탄성부(420)가 상기 레버부(410)에 가하는 탄성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레버부(410)에 외력을 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부(430)가 상기 레버부(410)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레버부(410)는 상기 탄성부(420)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기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리테이너부(220)를 가압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레버부(410)는 상기 가압부(43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리테이너부(220)가 상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압부(430)는 상기 프레임(A)에 고정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 방식의 가압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압부(430)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구성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가압부(430)가 상기 레버부(410)를 가압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탄성부(420)는 상기 레버부(410)를 상기 리테이너부(220)가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탄성력을 가해 도 5의 상태가 되며, 상기 가압부(430)가 상기 레버부(410)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가압부(430)는 상기 레버부(410)를 상기 리테이너부(220)가 상기 회전 가능 상태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외력을 가해 도 6의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10)은 상기 내륜부(300)에 연결되며 상기 내륜부(300)를 회전시키는 모터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내륜부(300)에 고정되어 상기 내륜부(300)에 회전력을 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내륜부(300)는 상기 중공(S2)에 배치되며 상기 롤러부(210)와 접촉되는 내륜연장부(310) 및 상기 내륜연장부(310)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모터부(500)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5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내륜본체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내륜연장부(310)의 단부는 상기 감속기(R)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내륜본체부(320)를 포위하면서 상기 내륜본체부(3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인 상기 경사면(M1)에 억지끼움된 상기 롤러부(210)가 상기 회전 가능 상태인 상기 회전면(M2) 상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내륜부(300)를 기 설정된 범위만큼 회전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5의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에서 도 6의 상기 회전 가능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430)가 상기 레버부(410)를 가압하여 상기 리테이너부(2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롤러부(210)가 상기 경사면(M1)에 억지끼움이 강하게 되어 상기 가압부(430)가 가하는 힘만으로 상기 롤러부(210)가 상기 경사면(M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430)가 가하는 외력은 상기 레버부(410) 및 상기 리테이너부(220)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롤러부(210)에 전달된다는 점에서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상기 모터부(500)는 도 5의 상태에 있는 상기 내륜부(300)에 상기 내륜부(300)가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거리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내륜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내륜부(300)에 의해 상기 롤러부(210)는 상기 경사면(M1)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회전 가능 상태로 위치 변화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부(500)는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에 있는 상기 롤러부(210)가 상기 회전 가능 상태로 변화되도록 상기 내륜부(300)를 소정 거리만큼만 회전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에서 상기 회전 가능 상태로의 전환은 1차로 상기 모터부(500)가 상기 내륜부(300)를 회전시킨 후, 2차로 상기 가압부(430)가 상기 레버부(410)를 가압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에서 상기 회전 가능 상태로 전환되기 위해, 우선적으로 상기 모터부(500)가 전기적 신호에 의해 순간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내륜부(3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후차적으로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가압부(430)가 상기 레버부(410)를 지속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리테이너부(220)가 상기 회전 가능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10)은 상기 가압부(430) 및 상기 모터부(500)를 구동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가압부(430) 및 상기 모터부(500)에 부여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10)은 상기 제1 부재(P1)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부재(P2)가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장치(1)는 상기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10)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외륜부
200: 캐리어부
300: 내륜부
400: 제어모듈
500: 모터부

Claims (7)

  1. 보행보조장치의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은,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하는 상기 보행보조장치의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제2 부재 간의 회전 가능 상태와 회전 불가능 상태를 선택적으로 구현하며,
    상기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륜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회전되는 복수의 롤러부 및 복수의 상기 롤러부 간을 구획하며 중공을 형성하는 리테이너부를 구비하는 캐리어부; 및
    상기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롤러부에 접촉하는 내륜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륜부는,
    상기 롤러부를 향하는 내면 상에 상기 롤러부가 억지끼움되여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경사면 및 상기 롤러부가 회전되도록 비접촉되는 회전면을 구비하는 홈면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경사면에 억지끼움 되는 경우 상기 외륜부를 기준으로 상기 내륜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를 구현하며,
    상기 회전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외륜부를 기준으로 상기 내륜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상기 회전 가능 상태를 구현하며,
    상기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은,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 및 상기 회전 가능 상태를 선택적으로 구현하는 제어모듈;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리테이너부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 및 상기 회전 가능 상태를 선택적으로 구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리테이너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레버부,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를 구현하도록 상기 레버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 및
    상기 회전 가능 상태를 구현하도록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 이상의 힘으로 상기 레버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은,
    상기 내륜부에 연결되며 상기 내륜부를 회전시키는 모터부;를 더 포함하는,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인 상기 경사면에 억지끼움된 상기 롤러부가 상기 회전 가능 상태인 상기 회전면 상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내륜부를 기 설정된 범위만큼 회전시키는,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불가능 상태에서 상기 회전 가능 상태로의 전환은,
    1차로, 상기 모터부가 상기 내륜부를 회전시킨 후,
    2차로, 상기 가압부가 상기 레버부를 가압하는,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
  7.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을 포함하는 보행보조장치.
KR1020200110976A 2020-09-01 2020-09-01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 KR102425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976A KR102425834B1 (ko) 2020-09-01 2020-09-01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976A KR102425834B1 (ko) 2020-09-01 2020-09-01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081A KR20220029081A (ko) 2022-03-08
KR102425834B1 true KR102425834B1 (ko) 2022-07-28

Family

ID=8081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976A KR102425834B1 (ko) 2020-09-01 2020-09-01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8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2096A (ja) 2009-03-05 2010-09-16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操舵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66071A4 (en) * 2008-09-15 2017-11-15 Magna Powertrain Inc. Sealed one way roller clutch
KR101123344B1 (ko) * 2009-07-28 2012-04-12 근로복지공단 굴곡방지용 원웨이 클러치 무릎보조기
JP5590986B2 (ja) * 2010-06-23 2014-09-1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5737302B2 (ja) * 2013-01-16 2015-06-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2096A (ja) 2009-03-05 2010-09-16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操舵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9081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5183B2 (ja) 補装具用のクラッチ・モジュール
US9841062B2 (en) Clutch for vehicle
US9200680B2 (en) Clutch suitable for vehicles' powered mirrors
KR101972258B1 (ko) 유압작동장치
KR102425834B1 (ko) 원웨이 클러치 브레이크 모듈
JP2019511647A (ja) 錠における電子式シリンダのための、低消費のクラッチ作動機構およびそれを作動させる方法
CN102414481A (zh) 用于动力传输单元的小角度花键联轴器
JPH06201038A (ja) 操作装置の機械的補助装置
KR20160028676A (ko) 차동기어를 이용한 가변 강성 조인트 및 방법
US5012907A (en) Transmission for separately drivable right and left wheels
US5035161A (en) Wrench
CN107360800B (zh) 一种驱动桥的三轴传动机构、驱动桥和水稻收割机
KR20210046176A (ko) 차량용 트랜스퍼 케이스
JP5759326B2 (ja) 四輪駆動車用駆動力配分装置
KR20100032505A (ko) 양방향 클러치
KR100796163B1 (ko) 차량의 전자 제어 식 액슬 모듈
JP3751418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4239406A (ja) クラッチ装置
KR101909019B1 (ko) Rc카용 트랜스미션
JP2000230584A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構造
KR101864628B1 (ko) 전기식 하지 외골격 로봇의 에너지 효율 증대를 위한 클러치 메커니즘
JP3701422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2039228A (ja) クラッチ装置
KR20000044100A (ko) 자동 클러치
CN115325020A (zh) 一种球关节装置及机械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