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335B1 - 터치 패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335B1
KR101743335B1 KR1020147024960A KR20147024960A KR101743335B1 KR 101743335 B1 KR101743335 B1 KR 101743335B1 KR 1020147024960 A KR1020147024960 A KR 1020147024960A KR 20147024960 A KR20147024960 A KR 20147024960A KR 101743335 B1 KR101743335 B1 KR 101743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transparent conductive
pattern portion
conductive layer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4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6369A (ko
Inventor
세이지 우메모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6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04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in general
    • H05K2201/0108Transpa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218Conductive traces
    • H05K2201/09236Parallel layout

Abstract

투명 도전층의 표준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패턴 배선과 제어 회로의 규격화가 가능하고, 게다가 패턴 배선의 형성을 저비용으로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토탈 제조 비용과 제조 공정을 대폭 삭감할 수 있는 터치 패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등을 제공한다.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 (12a) 를 갖는 투명 도전층 (12) 이 투명 필름 기재 (11) 의 적어도 편면측의 주면에 형성된 전극 부재 (10) 와, 상기 패턴부 (12a) 의 피치에 대응하는 피치로 배치된 제 1 접속부 (21), 및 거기에서 연장되는 도전 패턴부 (22) 를 갖는 플렉서블한 배선 부재 (20) 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터치 패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TOUCH PANEL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투명 도전층이 투명 필름 기재에 형성된 전극 부재에 플렉서블한 배선 부재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터치 패널 부재, 터치 패널, 터치 패널 부재의 제조 방법, 그리고 여기에 사용하는 롤 원반 (原反)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부재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다점 입력이 가능한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 (매트릭스형의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과 같은 터치 패널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최근,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나, 매트릭스형의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은, 다점 입력 (멀티 터치) 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작성이 우수하여, 그 수요가 급속히 높아지고 있다. 이들 터치 패널에서는, 격자상의 투명 도전 패턴이 얻어지도록, 투명 필름 기재 상에 스트라이프상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층이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이 2 장 적층되거나, 또는 스트라이프상 패턴이 직교하도록 투명 필름 기재의 양면측에 투명 도전층이 형성된다. 어느 경우에도, 스트라이프상 패턴의 일단이, 배선을 권회하기 위한 패턴 배선에 접속되어 있고, 투명 필름 기재 상에 투명 도전층과 패턴 배선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구조가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체형의 투명 도전성 필름에서는, 패턴 배선이 제품별로 상이한 형상으로 투명 도전성 필름 상에 형성되어 있었다. 거기에서 터치 패널용 시트를 타발 (打拔) 하기 때문에, 투명 도전층과 패턴 배선이 형성된 영역 사이의 부분은 로스가 되어, 투명 도전성 필름의 면적 수율을 저감시키고 있었다. 또한, 제품별로 패턴 배선을 변경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제조를 위한 공정수가 소요되었다. 또한, 투명 도전층을 소정의 패턴으로 에칭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형상에 따른 마스크 등을, 제품별로 개별적으로 준비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터치 패널의 제조 비용을 증대시키고 있었다.
특히, 투명 도전성 필름 상에 형성한 금속 박막을 에칭하여 패턴 배선을 형성하는 방법에서는, 스퍼터링으로 성막하거나, 스퍼터링으로 앵커막을 형성한 후 도금으로 증막하는 방법에 의해, 금속 박막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어느 방법에서도 금속 박막을 스퍼터할 필요가 있어, 진공 프로세스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투명 도전성 필름용의 타겟 이외에 금속 타겟을 준비할 필요가 있어, 대폭적인 비용 증가의 요인이 된다. 또한, 형성된 금속막은 터치 패널 주위에 형성하는 배선부 이외에는 에칭하여 제거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에칭된 금속 이온을 포함한 폐액이 대량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환경 부하의 점에서 과제가 있다. 게다가 금속 박막의 에칭시에, ITO 막의 저항이 상승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패턴 배선을 일체적으로 형성하지 않는 투명 도전성 필름을 형성하는 기술로서, 일정 피치의 스트라이프상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층을, 장척의 투명 필름 기재에 형성한 장척의 투명 도전성 필름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의 사이즈에 맞추어 절단한 후, 패턴이 격자상이 되도록 적층한 터치 패널용 시트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스트라이프상 패턴을 갖는 터치 패널용 시트에 패턴 배선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스트라이프상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층의 피치에 맞추어 개구시킨 복수의 개구를 갖는 필름을, 터치 패널용 시트에 적층한 후, 그 개구로부터 노출되는 패턴에 접촉하도록, 도전성 잉크를 스크린 인쇄하여 패턴 배선을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8-54143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34937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29708호
그러나, 스크린 인쇄로 패턴 배선을 형성하는 방법에서는, ITO 등으로 형성된 투명 도전층의 패턴에 맞추어 은 페이스트 등을 인쇄할 필요가 있어, 정확한 위치 맞춤이 필요하여, 번잡한 공정이 된다. 또한, 인쇄한 은 페이스트는 소결이 필요하여, 고온에서의 열처리를 필요로 하고, 또한 얻어지는 패턴 배선의 저항값이 높은 것도 문제이다.
또한, 종래와 같이, 터치 패널의 설계, 형상, 배선 피치 등이 제품별로 상이한 경우, 터치 패널로부터의 신호는 터치 패널의 종류별로 상이한 것이 된다. 따라서, 터치 패널 제품별로 커스터마이즈된 IC 칩 (제어 회로) 이 필요하게 되어, 터치 패널 제품의 비용이 증대하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터치 패널 부재는, 완전하게 개별 최적이 되어 있어, 각각의 부재가 최적을 추구한 결과, 서로가 서로에게 요구하는 특성을 조정하기 때문에, 그것들을 조합한 터치 패널에 있어서는 최적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또한, 각각의 터치 패널 부재 사이에는, 전혀 호환성이 없는 것이었다. 그 때문에, 재료나 설계의 표준화는 되어 있지 않고, 토탈 비용이 증대하는 원인이 되어 있었다.
그런데, 스트라이프상 패턴을 형성한 장척의 투명 도전성 필름끼리를, 스트라이프상 패턴이 격자상이 되도록 적층한 경우, 격자상의 패턴부와 비패턴부 (개구부) 의 광학 특성 (굴절률, 투과율 등) 이 상이하기 때문에, 패턴부가 시인되기 쉬워지고, 터치 패널식 화상 표시 장치의 화상의 질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스트라이프상 패턴에 접속한 패턴 배선을 일체적으로 형성한 투명 도전성 필름을 적층한 터치 패널에서는, 적어도 일방의 스트라이프상 패턴 사이에 더미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이와 같이, 패턴 배선을 일체적으로 형성한 투명 도전성 필름에서는, 2 장을 적층할 때의 위치 맞춤이 미리 정해져 있기 때문에, 더미 패턴을 형성할 때의 자유도가 높은 것이었다.
그러나, 패턴 배선을 일체적으로 형성하지 않는 투명 도전성 필름의 경우, 더미 패턴을 형성할 때의 패턴에 대해 연구를 하지 않으면, 투명 도전성 필름의 범용성을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요컨대, 패턴에 대해 연구를 하지 않으면 터치 패널에 맞추어 절단할 때에, 절단 사이즈나 절단 위치가 제한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 도전층의 표준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패턴 배선과 제어 회로의 규격화가 가능하고, 게다가 패턴 배선의 형성을 저비용으로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토탈 제조 비용과 제조 공정을 대폭 삭감할 수 있는 터치 패널 부재,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자의 롤 원반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터치 패널의 패턴부를 시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고, 게다가 터치 패널에 맞춘 절단 사이즈나 절단 위치의 제한이 적은 롤 원반 세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하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부재는,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를 갖는 투명 도전층이 투명 필름 기재의 적어도 편면측의 주면에 형성된 전극 부재와, 상기 패턴부의 피치에 대응하는 피치로 배치된 제 1 접속부, 및 상기 제 1 접속부로부터 연장되는 도전 패턴부를 갖는 플렉서블한 배선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부재에 의하면, 투명 도전층이 투명 필름 기재에 형성된 전극 부재를, 패턴 배선을 형성하기 위한 배선 부재와는 별체로 구성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상의 패턴 배선과는 관계없이, 전극 부재를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 부재의 투명 도전층이 투명 필름 기재의 적어도 편면측의 주면에 형성되고, 게다가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를 갖기 때문에,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를 갖는 광폭의 장척체로부터 적당한 사이즈로 절단하는 것만으로, 전극 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당해 장척체를 표준화함으로써, 투명 도전층의 표준화가 가능해지고, 패턴 배선과 제어 회로의 규격화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플렉서블한 배선 부재가, 전극 부재의 패턴부의 피치에 대응하는 피치로 배치된 제 1 접속부로부터 연장되는 도전 패턴부를 갖기 때문에, 간편한 구조로 배선 부재와 전극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도전 패턴부를 갖는 플렉서블한 배선 부재는, 그 자체를 저비용으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고, 게다가 이것이 전극 부재의 제조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토탈 제조 비용과 제조 공정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부재는, 1 쌍을 적층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투명 도전층을 투명 필름 기재의 양면측에 형성함으로써, 다점 입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전극 부재의 패턴부와 상기 제 1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도전 접속부를 통하여, 간편한 구조로 배선 부재와 전극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도전층의 2 층이 상기 투명 필름 기재의 양면측에 형성되고, 양면측에 형성된 상기 패턴부가 교차하여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각각의 투명 도전층에 대하여, 상기 배선 부재와 도전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의하면, 패턴부가 교차하여 배치된 투명 도전층이, 투명 필름 기재의 양면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입력시의 위치 검출을 복수의 위치에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다점 입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 부재가 된다.
혹은, 상기 패턴부의 각각이 접촉하지 않고 교차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전극 부재가 2 층 적층되어 있음과 함께, 2 층의 투명 도전층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배선 부재와 도전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의하면, 패턴부의 각각이 접촉하지 않고 교차하여 배치된 전극 부재가 2 층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시의 위치 검출을 복수의 위치에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다점 입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 부재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2 층의 투명 도전층의 적어도 일방에는, 상기 패턴부 사이에 형성한 더미 패턴부로서, 타방의 상기 패턴부의 피치에 따른 규칙성을 갖는 더미 패턴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더미 패턴부를 형성함으로써, 2 층의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 사이를 매립하도록 더미 패턴부를 형성할 수 있고, 패턴부의 유무에 따른 투과율 등의 차이를 적게 하여, 투명 도전층을 보다 시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혹은, 상기 2 층의 투명 도전층의 일방의 상기 패턴부에는, 타방의 상기 패턴부의 피치에 따라 패턴 폭을 넓힌 복수의 폭광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2 층의 투명 도전층의 타방의 상기 패턴부에는, 상기 일방의 상기 패턴부의 피치에 따라 패턴 폭을 넓힌 복수의 폭광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복수의 폭광부를 형성함으로써, 2 층의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 사이의 개구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패턴부의 유무에 따른 투과율 등의 차이를 작게 하여, 투명 도전층을 보다 시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때, 상기 2 층의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에 형성된 상기 폭광부는, 마름모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일방의 패턴부에 형성한 마름모꼴의 폭광부와 타방의 패턴부에 형성한 마름모꼴의 폭광부에 의해, 2 층의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 사이의 개구 면적을 대부분 없앨 수 있고, 패턴부의 유무에 따른 투과율 등의 차이를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일방의 패턴부와 타방의 패턴부 사이의 평면적인 거리를 가깝게 함으로써, 위치 검출의 감도도 높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은, 상기 어느 것에 기재된 터치 패널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작용 효과에 의해, 투명 도전층의 표준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패턴 배선과 제어 회로의 규격화가 가능하고, 게다가 패턴 배선의 형성을 저비용으로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토탈 제조 비용과 제조 공정을 대폭 삭감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부재의 제조 방법은,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를 갖는 투명 도전층이 투명 필름 기재의 적어도 편면측에 형성된 장척체를 권회한 롤 원반을 준비하는 공정과, 이 롤 원반으로부터 상기 장척체를 조출 (繰出) 한 후, 상기 장척체를 절단하여,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를 갖는 투명 도전층이 투명 필름 기재의 적어도 편면측의 주면에 형성된 전극 부재를 얻는 공정과, 상기 패턴부의 피치에 대응하는 피치로 배치된 제 1 접속부, 및 제 1 접속부로부터 연장되는 도전 패턴부를 갖는 플렉서블한 배선 부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전극 부재의 패턴부와 상기 배선 부재의 제 1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터치 패널 부재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부재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투명 도전층이 투명 필름 기재에 형성된 전극 부재를, 패턴 배선을 형성하기 위한 배선 부재와는 별체로 구성하여, 후에 양자를 접속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상의 패턴 배선과는 관계없이, 전극 부재를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를 갖는 광폭의 장척체로부터 적당한 사이즈로 절단하는 것만으로,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를 갖는 투명 도전층이 투명 필름 기재의 적어도 편면측의 주면에 형성된 전극 부재를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당해 장척체를 표준화함으로써, 투명 도전층의 표준화가 가능해지고, 패턴 배선과 제어 회로의 규격화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플렉서블한 배선 부재가, 전극 부재의 패턴부의 피치에 대응하는 피치로 배치된 제 1 접속부로부터 연장되는 도전 패턴부를 갖기 때문에, 간편한 구조로 배선 부재와 전극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도전 패턴부를 갖는 플렉서블한 배선 부재는, 그 자체가 저비용으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고, 게다가 이것이 전극 부재의 제조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토탈 제조 비용과 제조 공정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얻어지는 터치 패널 부재는, 1 쌍을 적층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투명 도전층을 투명 필름 기재의 양면측에 형성함으로써, 다점 입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롤 원반의 패턴부가, 상기 장척체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향으로 패턴부가 배치됨으로써, 동작 에어리어가 사각형인 경우에, 면적 수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롤 원반으로서, 상기 투명 도전층이 투명 필름 기재의 양면측에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가 교차하여 배치된 장척체를 권회한 것을 준비함과 함께, 각각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에 대하여, 각각 준비한 상기 배선 부재의 제 1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패턴부가 교차하여 배치된 투명 도전층이, 투명 필름 기재의 양면측에 형성된 전극 부재가 얻어지기 때문에, 입력시의 위치 검출을 복수의 위치에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다점 입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 부재가 된다.
혹은, 상기 롤 원반으로서,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를 갖는 투명 도전층이 투명 필름 기재의 편면측에 형성된 장척체를 권회한 롤 원반을 2 개 준비함과 함께, 각각의 상기 롤 원반으로부터 얻어지는 상기 전극 부재를, 상기 패턴부의 각각이 접촉하지 않고 교차하여 배치되도록 첩합 (貼合) 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에 대하여, 각각 준비한 상기 배선 부재의 제 1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패턴부의 각각이 접촉하지 않고 교차하여 배치된 전극 부재가 2 층 적층된 전극 부재가 얻어지기 때문에, 입력시의 위치 검출을 복수의 위치에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다점 입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 부재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롤 원반의 양면측에 형성된, 또는 2 개의 상기 롤 원반의 편면측에 형성된, 상기 2 층의 투명 도전층의 적어도 일방에는, 상기 패턴부 사이에 형성한 더미 패턴부로서, 타방의 상기 패턴부의 피치에 따른 규칙성을 갖는 더미 패턴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척체에 이와 같은 더미 패턴부를 형성함으로써, 2 층의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 사이를 매립하도록 더미 패턴부를 형성한 전극 부재를 얻을 수 있고, 패턴부의 유무에 따른 투과율 등의 차이를 적게 하여, 투명 도전층을 보다 시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혹은, 상기 롤 원반의 양면측에 형성된, 또는 2 개의 상기 롤 원반의 편면측에 형성된, 상기 2 층의 투명 도전층의 일방의 상기 패턴부에는, 타방의 상기 패턴부의 피치에 따라 패턴 폭을 넓힌 복수의 폭광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2 층의 투명 도전층의 타방의 상기 패턴부에는, 상기 일방의 상기 패턴부의 피치에 따라 패턴 폭을 넓힌 복수의 폭광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척체에 이와 같은 복수의 폭광부를 형성함으로써, 2 층의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 사이의 개구 면적을 작게 한 전극 부재를 얻을 수 있고, 패턴부의 유무에 따른 투과율 등의 차이를 적게 하여, 투명 도전층을 보다 시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때, 상기 2 층의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에 형성된 상기 폭광부는, 마름모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일방의 패턴부에 형성한 마름모꼴의 폭광부와 타방의 패턴부에 형성한 마름모꼴의 폭광부에 의해, 2 층의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 사이의 개구 면적을 대부분 없앨 수 있고, 패턴부의 유무에 따른 투과율 등의 차이를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일방의 패턴부와 타방의 패턴부 사이의 평면적인 거리를 가깝게 함으로써, 위치 검출의 감도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롤 원반 세트는, 투명 필름 기재와, 그 투명 필름 기재의 편면측에 형성되고,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를 갖는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는 장척체를 권회한 롤 원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롤 원반 세트로서, 적어도 일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 사이의 각각에는, 더미 패턴부를 형성하고 있고, 그 더미 패턴부의 각각은, 상기 패턴부의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타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의 피치에 따른 규칙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롤 원반 세트에 의하면, 투명 도전층이 투명 필름 기재에 형성된 전극 부재를, 패턴 배선을 형성하기 위한 배선 부재와는 별체로 구성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패턴 배선과는 관계없이, 범용성이 높은 터치 패널용 전극 부재를 얻을 수 있다. 그 때, 각각의 장척체를 조출하여 적당한 사이즈로 절단하는 것만으로,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를 갖는 전극 부재의 조합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일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 사이의 각각에는, 더미 패턴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터치 패널의 패턴부를 시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더미 패턴부의 각각은, 상기 패턴부의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타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의 피치에 따른 규칙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방의 롤 원반으로부터 얻어진 전극 부재의 규칙성의 주기에 맞추어, 타방의 롤 원반으로부터 전극 부재를 절단·적층하는 것만으로, 격자상의 패턴부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더미 패턴부를 배치할 수 있다 (즉, 규칙성의 주기만 맞춰 두면, 임의의 위치에서 절단 가능해진다). 또한, 각각의 패턴부와 더미 패턴부가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절단 사이즈의 제한도 적다. 이 때문에, 터치 패널에 맞춘 절단 사이즈나 절단 위치의 제한이 적은 롤 원반 세트로 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턴부의 각각이, 동일한 형상과 규칙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의하면, 더미 패턴부를 1 피치분 어긋나게 해도, 동일한 더미 패턴부가 되기 때문에, 더미 패턴부의 각각이, 주기적으로 동일한 형상과 규칙성을 반복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절단 사이즈나 절단 위치의 제한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일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가, 일정한 선폭으로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의하면, 일정한 선폭으로 직선상으로 패턴부를 갖기 때문에, 투영형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의 입력의 검출 정밀도가 높아짐과 함께, 롤 원반 또는 전극 부재를 표준화한 경우의 제어 회로 등을, 보다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가, 장척체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타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가, 장척체의 폭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양자의 장척체를 연속적으로 적층 일체화하는 것만으로, 패턴부를 격자상으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속적인 적층 공정에 의해 생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혹은, 양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가, 장척체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연속적으로 패턴부를 스트라이프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롤 원반의 생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양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가, 장척체의 폭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연속적으로 패턴부를 스트라이프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롤 원반의 생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롤 원반 세트는, 투명 필름 기재와, 그 투명 필름 기재의 편면측에 형성되고,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를 갖는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는 장척체를 권회한 롤 원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롤 원반 세트로서, 일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에는, 타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의 피치에 따라 패턴 폭을 넓힌 복수의 폭광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타방의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에는, 상기 일방의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의 피치에 따라 패턴 폭을 넓힌 복수의 폭광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롤 원반 세트에 의하면, 투명 도전층이 투명 필름 기재에 형성된 전극 부재를, 패턴 배선을 형성하기 위한 배선 부재와는 별체로 구성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패턴 배선과는 관계없이, 범용성이 높은 터치 패널용 전극 부재를 얻을 수 있다. 그 때, 각각의 장척체를 조출하여 적당한 사이즈로 절단하는 것만으로,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를 갖는 전극 부재의 조합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일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에는, 타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의 피치에 따라 패턴 폭을 넓힌 복수의 폭광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타방의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에는, 상기 일방의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의 피치에 따라 패턴 폭을 넓힌 복수의 폭광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양방의 패턴부의 폭광부가 양방의 비패턴부를 서로 보완함으로써, 터치 패널의 패턴부를 시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해, 일방의 롤 원반으로부터 얻어진 전극 부재의 규칙성의 주기에 맞추어, 타방의 롤 원반으로부터 전극 부재를 절단·적층하는 것만으로, 양방의 비패턴부를 서로 보완하도록 패턴부를 배치할 수 있다 (즉, 규칙성의 주기만 맞춰 두면, 임의의 위치에서 절단 가능해진다). 또한, 각각의 패턴부가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절단 사이즈의 제한도 적다. 이 때문에, 터치 패널에 맞춘 절단 사이즈나 절단 위치의 제한이 적은 롤 원반 세트로 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적어도 일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의 각각은, 상기 폭광부를 구성하는 동일한 크기의 복수의 정방형이 대각 정상부에서 연결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크기의 복수의 정방형이 대각 정상부에서 연결된 형상으로 함으로써, 양방의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의 피치를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고, 종횡의 검출 정밀도를 접근시킬 수 있다. 또한, 비패턴부도 동일한 크기의 복수의 정방형이 대각 정상부에서 연결된 형상이 되기 때문에, 타방의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에 의해 당해 비패턴부를 보완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 때, 양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의 각각은, 상기 폭광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정방형이 대각 정상부에서 연결된 형상이고, 양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정방형이 대략 동일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상에 의하면, 양방의 패턴부의 폭광부가 각각의 비패턴부를 서로 보완함으로써, 대략 완전하게 비패턴부를 없앨 수 있어, 터치 패널의 패턴부를 보다 시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일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의 각각은, 상기 폭광부를 구성하는 동일한 크기의 복수의 정방형의 대각 정상부끼리를 일정폭의 패턴으로 연결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상의 경우에도, 타방의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에 의해 비패턴부를 보완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대각 정상부끼리를 일정폭의 패턴으로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가장 선폭이 좁은 부분에서 절단 등이 잘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혹은, 적어도 일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의 각각은, 1 쌍의 싸인 커브 모양의 곡선에 의해 상기 폭광부를 곡선 사이에 반복 형성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상의 경우에도, 타방의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에 의해 비패턴부를 보완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평면도, (b) 는 그 부분 확대도, (c) 는 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평면도, (b) 는 그 부분 확대도, (c) 는 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평면도, (b) 는 그 부분 확대도, (c) 는 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 는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부재의 주요부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로, (a) 는 패턴부가 마름모꼴의 폭광부를 갖는 예, (b) 는 패턴부가 싸인 커브 모양의 폭광부를 갖는 예를 나타낸다.
도 6 은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부재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부재의 적층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롤 원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사시도, (b) 는 그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 (c) 는 장척체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b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롤 원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사시도, (b) 는 그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 (c) 는 장척체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c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롤 원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사시도, (b) 는 그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 (c) 는 장척체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d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롤 원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사시도, (b) 는 그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 (c) 는 장척체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롤 원반의 주요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b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롤 원반의 주요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a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롤 원반의 주요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b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롤 원반의 주요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롤 원반의 장척체의 적층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는 얻어지는 터치 패널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평면도, (b) 는 그 부분 확대도, (c) 는 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a 는 얻어지는 터치 패널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평면도, (b) 는 그 부분 확대도, (c) 는 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b 는 얻어지는 터치 패널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평면도, (b) 는 그 부분 확대도, (c) 는 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c 는 얻어지는 터치 패널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평면도, (b) 는 그 부분 확대도, (c) 는 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4a 는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부재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b 는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부재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터치 패널 부재의 구조)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부재는, 도 1(a) ∼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도전층 (12) 이 투명 필름 기재 (11) 의 적어도 편면측의 주면에 형성된 전극 부재 (10) 와, 도전 패턴부 (22) 를 갖는 플렉서블한 배선 부재 (20) 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에 나타낸 예에서는, 투명 도전층 (12) 이 투명 필름 기재 (11) 의 편면측의 주면에 형성된 전극 부재 (10) 와 배선 부재 (20) 의 1 쌍이고, 터치 패널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터치 패널 부재는, 복수를 적층함으로써 (도 3 참조), 다점 입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 부재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 에 나타낸 예에서는, 전극 부재 (10) 와 배선 부재 (20) 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 접속부 (30) 를 구비하고 있다.
전극 부재 (10) 는,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 (12a) 를 갖는 투명 도전층 (12) 이, 투명 필름 기재 (11) 의 편면측 (도 1(c) 참조) 또는 양면측 (도 2(c) 참조) 의 주면에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투명 도전층 (12) 이 주면에 형성된다는 것은, 패턴부 (12a) 가 투명 필름 기재 (11) 의 대략 전체 (면적으로 80 %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 이상) 에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도 1 에 나타낸 예에서는, 투명 도전층 (12) 이, 전극 부재 (10) 의 장변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이 일정 폭인 패턴부 (12a) 를 가지고 있다. 전극 부재 (10) 의 외형은, 장방형 또는 정방형이 일반적이지만, 그 밖의 형상 등도 가능하다.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 (12a) 의 방향은, 장변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이어도 되지만, 동작 에어리어를 고려하면, 전극 부재 (10) 의 장변 또는 단변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부 (12a) 의 피치 (중심선끼리의 간격) 에 대해서는, 통상적으로, 정전 용량 방식에서는, 손가락의 사이즈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피치는 1 ∼ 10 ㎜ 가 바람직하고, 2 ∼ 6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패턴부 (12a) 의 1 개의 폭은, 일정할 필요는 없지만, 일정하거나 또는 주기적으로 폭이 변화하는 것 (도 5 참조) 이 바람직하다. 패턴부 (12a) 의 폭이 일정한 경우, 입력의 검출 정밀도의 관점에서 폭이 1 ∼ 10 ㎜ 가 바람직하고, 2 ∼ 5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패턴부 (12a) 의 폭이 변화하는 경우, 검출 감도의 이유에서, 피치와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공 정밀도에 따라서는 지나치게 가까우면 인접하는 패턴부와 단락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가장 넓은 부분의 폭이, 패턴부 (12a) 의 피치의 70 ∼ 98 % 가 바람직하고, 80 ∼ 95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패턴부 (12a) 의 피치, 선폭, 재질을 표준화할 수 있다. 배선폭도 표준화 (예를 들어 1 ㎜) 함으로써, ITO 등으로 성형한 패턴부 (12a) 의 단위 길이당 배선 저항도 표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극 부재 (10) 를 사용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 회로를 구성하는 IC 의 사양도 규격화할 수 있다.
또한, 1 개의 패턴부 (12a) 각각은, 직선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파형, 지그재그 형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요컨대, 본 발명에서는, 1 개의 패턴부 (12a) 의 각각이 접촉하지 않고, 파형 등의 기준이 되는 중심선이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면 된다.
투명 필름 기재 (11) 의 사이즈는, 입력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크기로서, 디스플레이의 사이즈에 따라 적절한 사이즈로 설정할 수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의 경우, 투명 도전성 필름의 시트 저항 등에서, 모바일 기기에 대한 적용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나 스마트폰의 3 인치 ∼ 5 인치 사이즈부터, 태블릿 PC 의 6 인치 ∼ 10 인치, 노트북 PC 나 모니터의 10 인치 ∼ 20 인치 정도까지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식의 경우,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배선 부재와의 접속의 관점에서 말하면, 장치 사이즈는 작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투명 도전층의 표준화가 가능해지는데, 입력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크기에 따라, 몇 단계로 나누어, 패턴부 (12a) 의 피치, 폭, 표면 저항값 등을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서블한 배선 부재 (20) 는, 상기 패턴부 (12a) 의 피치에 대응하는 피치로 배치된 제 1 접속부 (21), 및 제 1 접속부 (21) 로부터 연장되는 도전 패턴부 (22) 를 갖는다. 플렉서블한 배선 부재 (20) 는, 플렉서블 프린트 회로 기판 (FPC) 과 동일한 구조로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플렉서블한 절연 기재 (23) 에 도전 패턴부 (22) 등을 형성한 것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 1 접속부 (21) 의 피치보다, 도전 패턴부 (22) 의 피치를 좁힘으로써, 배선 밀도를 높인 부분을 형성하는 예를 나타낸다.
배선 부재 (20) 는, 전극 부재 (10) 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전극 부재 (10) 에 대하여 겹쳐서 배치된다. 배선 부재 (20) 는, 그 제 1 접속부 (21) 가 전극 부재 (10) 의 패턴부 (12a) 와 대향하도록 겹쳐서 배치된다. 겹침대의 길이는, 패턴부 (12a) 와 제 1 접속부 (21) 의 접속을 양호하게 실시하는 관점에서, 겹침대의 길이는 긴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협액자화의 관점에서 말하면, 접속부는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범위에서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적으로 0.5 ∼ 10 ㎜ 가 바람직하고, 1 ∼ 5 ㎜ 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접속부 (21) 의 선폭은,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패턴부 (12a) 와 동일한 정도의 선폭이 바람직하고, 0.3 ∼ 3 ㎜ 가 바람직하다. 또한, 배선 저항의 관점에서 말하면, 가능한 한 선폭은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 패턴부 (22) 의 제 1 접속부 (21) 와는 반대의 단부에는, 외부의 배선 기판과 접속하기 위한 외부측 접속부를 형성해도 된다. 요컨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배선 부재 (20) 는, 터치 패널과 외부의 배선 기판을 연결하는 FPC 를 겸할 수 있다.
배선 부재 (20) 는, 패턴부 (12a) 의 피치에 대응하는 피치로 배치된 제 1 접속부 (21) 를 형성하기 위하여, 전극 부재 (10) 의 표준화된 스트라이프 패턴에 대응한 피치로 제 1 접속부 (21)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배선 부재 (20) 도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의 갯수에 맞추어, 몇 단계로 나누어 제조 (규격화) 할 수 있다.
도전 접속부 (30) 는, 상기 전극 부재 (10) 의 패턴부 (12a) 와 상기 제 1 접속부 (21) 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도전 접속부 (30) 로는, 땜납 등의 솔더에 의한 접속, 이방성 도전 재료에 의한 접속, 도전성 페이스트에 의한 접속, 물리적인 접촉, 저융점 금속에 의한 융착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방성 도전 재료에 의해 도전 접속부 (30) 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방성 도전 재료는, 도전 입자가 접착제 중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고분자막으로서, 막의 두께 방향으로만 도통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방성 도전 재료를 사용한 전기적인 접속은, 전극 부재 (10) 의 패턴부 (12a) 와 배선 부재 (20) 의 제 1 접속부 (21) 사이에, 띠 형상의 이방성 도전 재료를 개재시키고, 이어서, 그것들을 열 압착하면 된다.
이방성 도전 재료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25 ∼ 50 ㎛ 정도이고, 또한, 열 압착은, 이방성 도전 재료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예를 들어, 압력 2 ∼ 4 ㎫, 온도 170 ∼ 220 ℃ 에서 가압 및 가열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도전층 (12) 의 2 층이 상기 투명 필름 기재 (11) 의 양면측에 형성되고, 양면측에 형성된 상기 패턴부 (12a) 가 교차하여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각각의 투명 도전층 (12) 에 대하여, 배선 부재 (20) 와 도전 접속부 (30) 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패턴부 (12a) 끼리가 교차하는 각도는, 45 도 이상이 바람직하지만, 85 도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도시한 예에서는, 패턴부 (12a) 끼리가 교차하는 각도가 90 도인 경우를 나타낸다.
각각의 배선 부재 (20) 는, 전극 부재 (10) 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전극 부재 (10) 에 대하여 겹쳐서 배치된다. 각각의 배선 부재 (20) 는, 그 제 1 접속부 (21) 가 전극 부재 (10) 의 양면의 패턴부 (12a) 에 대향하도록 겹쳐서 배치된다. 따라서, 일방의 배선 부재 (20) 는 제 1 접속부 (21) 와 도전 패턴부 (22) 가 하측에 배치되고, 타방의 배선 부재 (20) 는 제 1 접속부 (21) 와 도전 패턴부 (22) 가 상측에 배치된다.
전극 부재 (10) 의 장변의 일방과 단변의 일방에는, 각각의 배선 부재 (20) 와의 겹침대가 존재한다. 이들 2 개 지점의 겹침대가 존재하기 때문에, 각각의 배선 부재 (20) 는, 전극 부재 (10) 의 장변과 단변보다 짧은 범위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요컨대, 겹침대의 뒤쪽에 존재하는 패턴부 (12a) 는 사용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전극 부재 (10) 의 네 모서리의 1 개의 정상점 부근은, 양면의 패턴부 (12a) 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을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층의 전극 부재 (10) 가 적층된 구조여도 된다. 요컨대, 패턴부 (12a) 의 각각이 접촉하지 않고 교차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전극 부재 (10) 가 2 층 적층되어 있음과 함께, 2 층의 투명 도전층 (12) 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배선 부재 (20) 와 도전 접속부 (30) 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2 층의 전극 부재 (10) 의 패턴부 (12a) 가 모두 상측에 배치되는 예를 나타낸다. 양자의 적층은 투명한 접착제, 투명한 점착제, 투명한 접착 필름 등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2 개의 배선 부재 (20) 는 제 1 접속부 (21) 와 도전 패턴부 (22) 가 모두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2 층의 전극 부재 (10) 는 형상이 상이하고, 입력에 사용되는 부분의 외측에 배선 부재 (20) 와의 겹침대가 되는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하측에 배치되는 전극 부재 (10) 는, 도면의 상측으로 연장된 겹침대가 되는 부분을 형성하여, 상측에 배치되는 전극 부재 (10) 로부터, 그 겹침대가 되는 부분을 노출시키고 있다. 한편, 상측에 배치되는 전극 부재 (10) 는, 도면의 우측으로 연장된 겹침대가 되는 부분을 형성하여, 하측에 배치되는 전극 부재 (10) 와 겹치지 않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2 층의 전극 부재 (10) 가 적층되는 경우, 상측의 전극 부재 (10) 의 패턴부 (12a) 가 상측에 배치되고, 하측의 전극 부재 (10) 의 패턴부 (12a) 가 하측에 배치되도록 적층해도 된다. 이 경우, 도 2 에 나타내는 구조와 유사한 구조가 된다.
또한, 상측의 전극 부재 (10) 의 패턴부 (12a) 가 하측에 배치되고, 하측의 전극 부재 (10) 의 패턴부 (12a) 가 상측에 배치되도록 적층해도 된다. 이 경우, 패턴부 (12a) 가 접촉하지 않도록, 투명한 절연 필름을 개재시키는 등을 하여, 2 층의 전극 부재 (10) 를 접착 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극 부재 (10) 의 패턴부 (12a) 끼리를 대향시켜 적층하는 경우, 하측에 배치되는 전극 부재 (10) 는, 상측에 배치되는 전극 부재 (10) 로부터, 그 겹침대가 되는 부분을 노출시키고, 상측에 배치되는 전극 부재 (10) 는, 하측에 배치되는 전극 부재 (10) 로부터, 그 겹침대가 되는 부분을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도 4(a) ∼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층의 투명 도전층 (12) 의 적어도 일방에는, 상기 패턴부 (12a) 사이에 형성한 더미 패턴부 (12b, 12c) 로서, 타방의 상기 패턴부 (12a) 의 피치에 따른 규칙성을 갖는 더미 패턴부 (12b, 12c) 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피치에 따른 규칙성이란, 피치의 대략 정수배 (1 배, 2 배, 3 배 등) 또는 정수분의 1 (1/2 배, 1/3 배 등) 의 주기로 더미 패턴부 (12b, 12c)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가리킨다.
도 4(a)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2 층의 투명 도전층 (12) 의 일방 (앞쪽) 에만, 앞쪽의 더미 패턴부 (12b) 를 형성한 예가 나타나 있고, 도 4(b)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2 층의 투명 도전층 (12) 의 일방에 앞쪽의 더미 패턴부 (12b) 를, 타방에 뒤쪽의 더미 패턴부 (12c) 를 형성한 예가 나타나 있다. 도 4(c)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2 층의 패턴부 (12a) 에 의해 발생하는 격자의 내부에, 복수의 더미 패턴부 (12b, 12c) 를 형성한 예이다.
상기의 더미 패턴부 (12b, 12c) 는, 모두 2 층의 패턴부 (12a) 에 의해 발생하는 격자의 내부에 형성한 예를 나타내지만, 뒤쪽의 패턴부 (12a) 를 가로지르는 더미 패턴부 (12b, 12c) 를 형성해도 된다. 이로써, 피치의 대략 정수배의 규칙성을 갖는 더미 패턴부 (12b, 12c) 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도 5(a) ∼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의 패턴 폭을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2 층의 투명 도전층 (12) 의 일방의 상기 패턴부 (12a) 에는, 타방의 상기 패턴부 (12a) 의 피치에 따라 패턴 폭을 넓힌 복수의 폭광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2 층의 투명 도전층 (12) 의 타방의 상기 패턴부 (12a) 에는, 상기 일방의 상기 패턴부 (12a) 의 피치에 따라 패턴 폭을 넓힌 복수의 폭광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에 나타낸 예에서는, 투명 필름 기재 (11) 의 양면측에 2 층의 투명 도전층 (12) 이 형성되고, 그 패턴부 (12a) 에 형성된 상기 폭광부가, 마름모꼴인 경우의 예가 나타나 있다. 도 5(b) 에 나타낸 예에서는, 투명 필름 기재 (11) 의 양면측에 2 층의 투명 도전층 (12) 이 형성되고, 그 패턴부 (12a) 에 형성된 상기 폭광부가, 싸인 커브 모양인 경우의 예가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은 2 층의 투명 도전층 (12) 은, 전술한 예 (도 3 참조) 와 같이, 2 개의 전극 부재 (10) 를 적층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패턴부 (12a) 에 형성한 폭광부의 형상으로는, 마름모꼴 또는 싸인 커브 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다각형 등의 연접한 형상이어도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투명 도전층 (12) 이, 투명 필름 기재 (11) 의 편면측 또는 양면측에 직접적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7(a) ∼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도전층 (12) 과 투명 필름 기재 (11) 사이에 다른 층을 형성하거나, 투명 도전층 (12) 또는 투명 필름 기재 (11) 의 표면에 다른 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a)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투명 도전층 (12) 과 투명 필름 기재 (11) 사이에 유전체층 (13) 을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유전체층 (13) 은,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의 유무에 따른 시인성의 상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형성할 수 있다. 유전체층 (13) 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투명 도전층 (12) 과 투명 필름 기재 (11) 사이에는, 그 밖에, 하드 코트층, 유전율 조정층, 반사 방지 (저반사화) 층 등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b)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추가로 투명 도전층 (12) 의 표면에 하드 코트층 (14) 을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하드 코트층 (14) 은, 투명 기체를 개재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투명 기체를 형성하는 경우, 그 적층에는, 투명한 점착제층 등이 사용된다.
도 7(c)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추가로 투명 필름 기재 (11) 의 표면에 투명한 점착제층 (19) 을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점착제층 (19) 은, 2 개의 전극 부재 (10) 를 적층하거나, 투명 기체나 액정 셀 등의 다른 부재와 적층할 때에,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 (19) 에는, 필요에 따라 세퍼레이터가 적층된다.
(터치 패널 부재의 재료)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극 부재 (10) 는, 투명 도전층 (12) 과 투명 필름 기재 (11) 로 주로 구성되지만, 필요에 따라, 유전체층 (13), 하드 코트층 (14), 점착제층 (19), 투명 기체 등이 형성된다.
투명 필름 기재 (11) 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투명성을 갖는 각종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그 재료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세테이트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이다.
패턴부 (12a) 와 개구부 사이의 반사율 차를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투명 필름 기재 (11) 의 굴절률은, 1.4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 1.7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5 ∼ 1.7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굴절률을 상기 범위로 하는 관점에서, 투명 필름 기재 (11) 의 재료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투명 필름 기재 (11) 의 두께는, 2 ∼ 200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100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투명 필름 기재 (11) 의 두께가 2 ㎛ 미만이면, 투명 필름 기재 (11) 의 기계적 강도가 부족한 경우가 있다.
투명 필름 기재 (11) 에는, 표면에 미리 스퍼터링, 코로나 방전, 화염, 자외선 조사, 전자선 조사, 화성, 산화 등의 에칭 처리나 하도 처리를 실시하여, 필름 기재 상에 형성되는 유전체층 (13) 등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도록 해도 된다.
유전체층 (13) 의 재료로는, NaF (1.3), Na3AlF6 (1.35), LiF (1.36), MgF2 (1.38), CaF2 (1.4), BaF2 (1.3), SiO2 (1.46), LaF3 (1.55), CeF (1.63), Al2O3 (1.63) 등의 무기물 [( ) 내의 수치는 굴절률을 나타낸다] 이나, 굴절률이 1.4 ∼ 1.6 정도인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알키드 수지, 실록산계 폴리머, 유기 실란 축합물 등의 유기물, 혹은 상기 무기물과 상기 유기물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유전체층 (13) 은, 상기의 재료를 이용하여,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 등의 드라이 코팅법, 및 웨트 코팅법 (도공법) 등에 의해 제막할 수 있다.
또한, 유전체층 (13) 의 두께는, 8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투명 도전층 (12) 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전체층 (13) 보다 굴절률이 큰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투명 도전층 (12) 의 굴절률은, 통상적으로 1.95 ∼ 2.05 정도이다.
상기 투명 도전층 (12) 의 구성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인듐, 주석, 아연, 갈륨, 안티몬, 티탄, 규소, 지르코늄, 마그네슘, 알루미늄, 금, 은, 동, 팔라듐, 텅스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금속의 금속 산화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당해 금속 산화물에는, 필요에 따라, 추가로 상기 군에 나타낸 금속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산화주석을 함유하는 산화인듐 (ITO), 안티몬을 함유하는 산화주석 (ATO)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은이나 금, 동, 알루미늄 등의 양도체 금속의 나노 와이어를 도포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양도체 금속의 입자를 은염 사진법 등의 방법으로 출현시킨 것이나, 카본 나노 튜브를 분산시킨 용액을 도포 건조시켜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은염 사진법의 경우, 할로겐화은을 노광에 의해 환원하여 입자를 형성하기 때문에, 노광시에 패턴화한 광을 가함으로써, 직접 회로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투명 도전층 (12) 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그 표면 저항을 1 × 103 Ω/□ 이하의 양호한 도전성을 갖는 연속 피막으로 하는 데에는, 두께를 1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막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지면 투명성의 저하 등을 초래하기 때문에, 15 ∼ 35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30 ㎚ 의 범위 내이다. 투명 도전층의 두께가 10 ㎚ 미만이면 막 표면의 전기 저항이 높아지고, 또한 연속 피막이 잘 되지 않게 된다. 또한, 투명 도전층의 두께가 35 ㎚ 를 초과하면 투명성의 저하 등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투명 도전층 (12) 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필요로 하는 막두께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투명 도전층 (12) 을 형성한 후, 필요에 따라, 가열 어닐 처리를 실시하여 결정화할 수 있다.
또한, 에칭에 의해 투명 도전층 (12) 을 패턴화하는 경우, 먼저 투명 도전층 (12) 의 결정화를 실시하면, 에칭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투명 도전층 (12) 의 어닐 처리는, 투명 도전층 (12) 을 패턴화한 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 부재 (10) 는, 투명 필름 기재 (11) 의 편면 또는 양면에, 유전체층 (13) 및 투명 도전층 (12) 이 상기와 같이 적층되는 것이면, 그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투명 필름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투명 필름 기재 (11) 측으로부터 유전체층 (13) 을 개재하여, 투명 도전층 (12) 을 갖는 투명 도전성 필름을 제작한 후에, 필요에 따라 투명 도전층 (12) 을 에칭하여 패턴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에칭에 있어서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에 의해 패턴부 (12a) 를 덮어, 에칭액에 의해, 투명 도전층 (12) 을 에칭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투명 도전층 (12) 으로는, 산화주석을 함유하는 산화인듐, 안티몬을 함유하는 산화주석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에칭액으로는, 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산으로는, 예를 들어, 염화수소, 브롬화수소, 황산, 질산, 인산 등의 무기산, 아세트산 등의 유기산, 및 이들의 혼합물, 그리고 그들의 수용액을 들 수 있다.
2 개의 전극 부재 (10) 등을 투명한 점착제층 (19) 을 개재하여 2 장 적층하는 경우, 점착제층 (19) 으로는, 투명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비닐에테르, 아세트산비닐/염화비닐 코폴리머, 변성 폴리올레핀, 에폭시계, 불소계,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등의 고무계 등의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당한 젖음성, 응집성 및 접착성 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고,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도 우수하다는 점에서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점착제층 (19) 의 구성 재료인 점착제의 종류에 따라서는, 적당한 점착용 하도제를 사용함으로써 투묘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점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점착용 하도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 (19) 에는, 베이스 폴리머에 따른 가교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 (19) 에는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천연물이나 합성물의 수지류, 유리 섬유나 유리 비즈, 금속 가루나 그 밖의 무기 분말 등으로 이루어지는 충전제, 안료, 착색제, 산화 방지제 등의 적절한 첨가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또한 투명 미립자를 함유시켜 광 확산성이 부여된 점착제층 (19) 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점착제층 (19) 은, 통상적으로, 베이스 폴리머 또는 그 조성물을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고형분 농도가 10 ∼ 50 중량% 정도인 점착제 용액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용제로는, 톨루엔이나 아세트산에틸 등의 유기 용제나 물 등의 점착제의 종류에 따른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 (19) 의 노출면에는, 세퍼레이터가 첨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세퍼레이터를 이용하여 점착제층 (19) 을 전사하는 경우, 그와 같은 세퍼레이터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점착제층 (19) 과 접착하는 면에 이행 방지층 및/또는 이형층이 적층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퍼레이터의 총 두께는, 3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 100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제층 (19) 의 형성 후, 롤 상태로 보관하는 경우에, 롤 사이에 들어간 이물질 등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상정되는 점착제층 (19) 의 변형 (타흔) 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상기 이행 방지층으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의 이행 성분, 특히, 폴리에스테르의 저분자량 올리고머 성분의 이행을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형층으로는, 실리콘계, 장사슬 알킬계, 불소계, 황화몰리브덴 등의 적절한 박리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형성할 수 있다.
투명 기체의 외표면 등에는, 하드 코트층 (수지층) (14) 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하드 코트층 (14) 으로는, 예를 들어, 멜라민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알키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의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경화 피막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하드 코트층 (14) 의 두께는, 0.1 ∼ 30 ㎛ 가 바람직하다. 두께가 0.1 ㎛ 미만이면, 경도가 부족한 경우가 있다. 또한, 두께가 30 ㎛ 를 초과하면, 하드 코트층 (14) 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투명 기체 전체에 컬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전극 부재 (10) 에는, 추가로 시인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방현 처리층이나 반사 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드 코트층 (14) 과 동일하게 상기 투명 기체의 외표면 (점착제층 (19) 과는 반대측의 면) 에, 방현 처리층이나 반사 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 코트층 (14) 상에, 방현 처리층이나 반사 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현 처리층이나 반사 방지층은, 투명 도전층 (12)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투명 기체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90 ∼ 3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 25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체 필름으로는, 상기한 투명 필름 기재 (11) 와 동일한 재료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플렉서블한 배선 부재 (20) 는, 플렉서블한 절연 기재 (23) 와 도전 패턴부 (22) 로 주로 구성되지만, 필요에 따라, 절연 기재 (23) 와 도전 패턴부 (22) 를 접착하는 접착제층, 도전 패턴부 (22) 를 피복하는 커버 절연층, 솔더 레지스트층 등을 형성해도 된다.
플렉서블한 절연 기재 (23) 로는, 절연성 및 가요성을 갖는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테르니트릴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등의 수지 필름 등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이미드의 수지 필름이 사용된다. 또한, 절연 기재 (23) 로서 투명 필름 기재 (11) 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열 수축시의 수축량의 차이를 작게 할 수 있고,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절연 기재 (23) 의 두께는, 예를 들어, 5 ∼ 125 ㎛, 나아가 12.5 ∼ 2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에폭시-니트릴부틸 고무계 접착제, 에폭시-아크릴 고무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부티랄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등의 열경화성 접착제, 예를 들어, 합성 고무계 접착제 등의 열가소성 접착제, 예를 들어, 감압성 접착제인 아크릴계 점착제 등이 이용되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이미드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에폭시-니트릴부틸 고무계 접착제, 에폭시-아크릴 고무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가 사용된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5 ∼ 35 ㎛, 바람직하게는, 5 ∼ 20 ㎛ 이다. 도전 패턴부와 절연 기재는, 예를 들어 금속박에 액상의 수지층을 도포·경화시켜 형성할 수도 있고, 절연 기재 상에 도금 등의 방법으로 도전 패턴부가 되는 금속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들의 경우, 접착제는 불필요하다. 도금으로 도전 패턴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미리 박막의 금속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도전 패턴부 (22) 로는, 도전성을 갖는 것으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동, 크롬, 니켈,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동-베릴륨, 인청동, 철-니켈, 및 그들의 합금 등의 금속박이 이용되고, 바람직하게는, 동박이 사용된다. 또한, 도전 패턴부 (22) 의 두께는, 예를 들어, 5 ∼ 35 ㎛, 바람직하게는, 5 ∼ 18 ㎛ 이다. 단, 도금법 등으로 만드는 경우에는, 충분한 도전성이 얻어지면, 5 ㎛ 보다 얇아도 된다.
도전 패턴부 (22) 의 형성은, 공지된 방법이면 되고, 예를 들어, 서브트랙티브법 등이 사용된다. 서브트랙티브법에서는, 먼저, 도체층 상에, 포토레지스트를 적층한다. 포토레지스트의 적층은, 예를 들어, 드라이 필름 레지스트를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적층하면 된다.
이어서, 포토레지스트를, 소정의 패턴에 대응하는 포토마스크를 개재하여 노광시키고, 그 후, 포토레지스트를 현상한다. 포토레지스트의 노광 및 현상은, 공지된 방법이면 되고, 포토레지스트는, 그 노광부와 미노광부의 현상액의 용해도의 차에 의해, 소정의 레지스트 패턴으로 현상된다.
그리고, 도체층을 에칭한다. 금속박의 에칭은, 에칭액을 사용하는 공지된 웨트 에칭법이면 되고, 그 후, 포토레지스트를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도체층을 도전 패턴부 (22) 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체층의 패턴화에는, 상기한 서브트랙티브법 이외에도, 그 목적 및 용도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애디티브법이나 세미 애디티브법 등의 공지된 패터닝법을 사용해도 된다.
커버 절연층으로는, 상기와 동일한 수지가 이용되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이미드 수지가 사용된다. 또한, 커버 절연층 형성은, 용액상의 수지를 도포 또는 인쇄하여, 건조 및 경화시키거나, 혹은, 필름상의 수지를 첩착 (貼着) 하면 된다. 나아가, 감광성 수지의 용액을 도포한 후, 노광 및 현상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커버 절연층으로는, 절연 기재와 동일한 재질의 필름을 소정 영역에 접착제로 첩합해도 된다.
이 경우, 절연 기재와 커버 절연층은, 반드시 동일한 재질·두께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절연 기재에 형성한 도전 패턴부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커버 절연층으로 덮을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커버 절연층은, 그 두께가, 예를 들어 5 ∼ 125 ㎛, 바람직하게는 12.5 ∼ 25 ㎛ 이다.
(터치 패널)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부재는, 예를 들어, 정전 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등의 터치 패널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나, 다점 입력이 가능한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과 같이, 소정 형상으로 패턴화된 투명 도전층을 구비하는 터치 패널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 등에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부재에는, IC 칩 등으로 구성되는 제어 회로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어 회로는, 다른 배선 기판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당해 배선 기판에 직접 또는 다른 플렉서블 회로 기판 등을 개재하여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부재가 접속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배선 부재 (20) 는, 직접, 이것을 당해 배선 기판에 접속해도 되고, 또한, 배선 부재 (20) 에 직접, 제어 회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전극 부재 (10) 의 패턴 재료, 피치, 배선폭을 표준화함으로써, 규격화된 제어 회로, IC 칩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터치 패널 메이커는, 간단하게 칩 세트를 선택하고, 터치 패널의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터치 패널 부재의 제법)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부재는, 예를 들어 도 6(a) ∼ (d) 에 나타내는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즉, 이 제조 방법은,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를 갖는 투명 도전층이 투명 필름 기재의 적어도 편면측에 형성된 장척체를 권회한 롤 원반 (15) 을 준비하는 공정, 이 롤 원반 (15) 으로부터 상기 장척체를 조출하여, 절단에 의해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 (12a) 를 갖는 투명 도전층 (12) 이, 투명 필름 기재 (11) 의 적어도 편면측의 주면에 형성된 전극 부재 (10) 를 얻는 공정, 상기 패턴부 (12a) 의 피치에 대응하는 피치로 배치된 제 1 접속부 (21), 및 제 1 접속부 (21) 로부터 연장되는 도전 패턴부 (22) 를 갖는 플렉서블한 배선 부재 (20) 를 준비하는 공정, 상기 전극 부재 (10) 의 패턴부 (12a) 와 상기 제 1 접속부 (21) 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터치 패널 부재를 얻는 공정을 구비한다.
도시한 제조 방법의 예에서는, 도 6(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가로, 얻어진 터치 패널 부재의 복수를, 패턴부 (12a) 의 각각이 접촉하지 않고 교차하여 배치되도록 적층하는 공정을 갖는다. 이 공정은,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를 갖는 투명 도전층이 투명 필름 기재의 양면측에 형성된 장척체를 권회한 롤 원반 (15) 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적층 공정은, 상기 전극 부재 (10) 의 패턴부 (12a) 와 상기 제 1 접속부 (21) 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전에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절단 공정은, 톰슨 칼날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사이즈로 타발하는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사이즈의 장변 또는 단변에 대응하는 폭의 롤 원반 (15) 을 단변 또는 장변의 길이로 절단하는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고, 둥근 칼날, 회전 칼날, 나이프, 작두 칼날 등의 절단 칼날, 레이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어느 1 개의 터치 패널 제품에 따라 패턴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정해진 표준적인 스트라이프상 등의 패턴부 (12a) 가 형성되어 있다. 그것으로부터 소정 사이즈의 전극 부재 (10) 로 절단함으로써, 단일 또는 몇 개의 피치의 패턴부 (12a) 를 형성한 롤 원반으로부터, 다양한 형상·사이즈의 터치 패널 제품에 대응한 터치 패널 부재를 형성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전극 부재 (10) 의 표준 패턴의 형성 에어리어는, 상정되는 터치 패널 부재의 사이즈보다 충분히 크면 된다. 예를 들어, 패터닝의 상황으로부터, 1 m 정도의 길이로 나누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 제품의 사이즈가, 대략 200 ㎜ × 150 ㎜ 정도이면, 예를 들어 길이 방향으로 1 m 피치로 800 ㎜ 폭으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면, 이 1 개의 에어리어에서, 길이 방향으로 최대 5 장 내지는 6 장, 폭 방향으로 5 장 내지 4 장 형성할 수 있어, 24 장 내지 25 장의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표준화된 패턴이 연속해서 형성된 장척체로부터 터치 패널에 따른 형상으로 타발하여 전극 부재 (10) 를 형성하기 위해서, 연속해서 또는 대략 인접해서 터치 패널 부재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필름의 로스는 거의 없다.
이하, 각 공정에 대하여, 다른 실시형태도 포함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롤 원반의 준비 공정)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부재의 제조 방법은, 도 8a ∼ 도 8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 (12a) 를 갖는 투명 도전층 (12) 이 투명 필름 기재 (11) 의 적어도 편면측에 형성된 장척체 (16) 를 권회한 롤 원반 (15) 을 준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어느 예에 있어서도, 투명 필름 기재 (11) 의 편면측에 패턴부 (12a) 를 갖는 투명 도전층 (12) 이 직접 형성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도 8a 에 나타내는 예는, 투명 도전층 (12) 이 투명 필름 기재 (11) 의 편면측에 형성된 1 개의 롤 원반 (15) 을 이용하여, 터치 패널 부재를 제조하는 경우의 예이다. 이 예는, 투명 도전층 (12) 이 투명 필름 기재 (11) 의 편면측의 주면에 형성된 전극 부재 (10) 와 배선 부재 (20) 의 1 쌍이고, 터치 패널 부재를 구성하는 경우의 예이다. 이와 같은 터치 패널 부재는, 복수를 적층함으로써 (도 13b 참조), 다점 입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 부재로 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롤 원반 (15) 에 있어서의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가, 장척체 (16A) 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 (12a) 의 방향은, 장척체 (16) 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이어도 되지만, 장척체 (16) 의 제조 공정 등을 고려하면, 장척체 (16) 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의 피치 (중심선끼리의 간격) 에 대해서는, 통상적으로, 정전 용량 방식에서는, 손가락의 사이즈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피치는 1 ∼ 10 ㎜ 가 바람직하고, 2 ∼ 6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패턴부 (12a) 의 1 개의 폭은, 일정할 필요는 없지만, 일정하거나 또는 주기적으로 폭이 변화하는 것 (도 13c 참조) 이 바람직하다. 패턴부 (12a) 의 폭이 일정한 경우, 입력의 검출 정밀도의 관점에서 폭이 1 ∼ 10 ㎜ 가 바람직하고, 2 ∼ 5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패턴부 (12a) 의 폭이 변화하는 경우, 검출 감도의 이유에서, 피치와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공 정밀도에 따라서는 지나치게 가까우면 인접하는 패턴부와 단락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가장 넓은 부분의 폭이, 패턴부 (12a) 의 피치의 70 ∼ 98 % 가 바람직하고, 80 ∼ 95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패턴부 (12a) 의 피치, 선폭, 재질을 표준화할 수 있다. 배선폭도 표준화 (예를 들어 1 ㎜) 함으로써, ITO 등으로 성형한 패턴부 (12a) 의 단위 길이당 배선 저항도 표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극 부재 (10) 를 사용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 회로를 구성하는 IC 의 사양도 규격화할 수 있다.
또한, 1 개의 패턴부 (12a) 각각은, 직선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파형, 지그재그 형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요컨대, 본 발명에서는, 1 개의 패턴부 (12a) 의 각각이 접촉하지 않고, 파형 등의 기준이 되는 중심선이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면 된다.
투명 필름 기재 (11) 의 사이즈는, 입력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크기로서, 디스플레이의 사이즈에 따라 적절한 사이즈로 설정할 수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의 경우, 투명 도전성 필름의 시트 저항 등에서, 모바일 기기에 대한 적용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나 스마트폰의 3 인치 ∼ 5 인치 사이즈부터, 태블릿 PC 의 6 인치 ∼ 10 인치, 노트북 PC 나 모니터의 10 인치 ∼ 20 인치 정도까지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식의 경우,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배선 부재와의 접속의 관점에서 말하면, 장치 사이즈는 작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투명 도전층의 표준화가 가능해지는데, 입력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크기에 따라, 몇 단계로 나누어, 패턴부 (12a) 의 피치, 폭, 표면 저항값 등을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b 에 나타내는 예는, 투명 도전층 (12) 이 투명 필름 기재 (11) 의 양면측에 형성된 1 개의 롤 원반 (15) 을 이용하여, 다점 입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 부재를 제조하는 경우의 예이다. 이 경우, 롤 원반 (15) 으로서 상기 투명 도전층 (12) 이 투명 필름 기재 (11) 의 양면측에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가 교차하여 배치된 장척체 (16) 를 권회한 것을 준비한다. 이 예에서는, 각각의 상기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에 대하여, 각각 준비한 상기 배선 부재 (20) 의 제 1 접속부 (21) 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도 13a 참조).
이 예는, 투명 도전층 (12) 이 투명 필름 기재 (11) 의 양면측에 형성되는 것 이외에는, 도 8a 에 나타내는 예와 동일하다. 각각의 상기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가 교차하는 각도는, 90°이외여도 되지만, 동작 에어리어가 사각형인 경우에 면적 수율을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 패턴부 (12a) 끼리가 85 ∼ 95°로 교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c 에 나타내는 예는, 투명 도전층 (12) 이 투명 필름 기재 (11) 의 편면측에 형성된 롤 원반 (15A, 15B) 세트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 부재를 제조하는 경우의 예이고, 투명 도전층 (12) 이, 더미 패턴부 (12b, 12c) 를 추가로 갖는 예이다.
롤 원반을 세트로 사용하는 경우, 도 8c 의 (a) ∼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필름 기재 (11) 와, 그 투명 필름 기재 (11) 의 편면측에 형성되고,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 (12a) 를 갖는 투명 도전층 (12) 을 포함하는 장척체 (16A, 16B) 를 권회한 롤 원반 (15A, 15B) 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명 필름 기재 (11) 의 편면측에 패턴부 (12a) 를 갖는 투명 도전층 (12) 이 직접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일방의 롤 원반 (15A) 에 있어서의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가, 장척체 (16A) 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타방의 롤 원반 (15B) 에 있어서의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가, 장척체 (16B) 의 폭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 (12a) 의 방향은, 장척체 (16A, 16B) 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이어도 되지만, 장척체 (16A, 16B) 의 제조 공정 등을 고려하면, 장척체 (16A, 16B) 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양방의 롤 원반 (15A, 15B) 에 있어서의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가, 장척체 (16A, 16B) 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의 피치 (중심선끼리의 간격) 에 대해서는, 통상적으로, 정전 용량 방식에서는, 손가락의 사이즈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피치는 1 ∼ 10 ㎜ 가 바람직하고, 2 ∼ 6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패턴부 (12a) 의 1 개의 폭은, 일정할 필요는 없지만, 일정하거나 또는 주기적으로 폭이 변화하는 것 (도 9b 의 (a) 참조) 이 바람직하다. 패턴부 (12a) 의 폭이 일정한 경우, 입력의 검출 정밀도의 관점에서 폭이 1 ∼ 10 ㎜ 가 바람직하고, 2 ∼ 5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패턴부 (12a) 의 폭이 변화하는 경우, 검출 감도의 이유에서, 피치와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공 정밀도에 따라서는 지나치게 가까우면 인접하는 패턴부와 단락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가장 넓은 부분의 폭이, 패턴부 (12a) 의 피치의 70 ∼ 98 % 가 바람직하고, 80 ∼ 95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패턴부 (12a) 의 피치, 선폭, 재질을 표준화할 수 있다. 배선폭도 표준화 (예를 들어 1 ㎜) 함으로써, ITO 등으로 성형한 패턴부 (12a) 의 단위 길이당 배선 저항도 표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턴부 (12a) 를 갖는 롤 원반 세트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 부재를 제작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 회로를 구성하는 IC 의 사양도 규격화할 수 있다.
또한, 1 개의 패턴부 (12a) 의 각각은, 직선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파형, 지그재그 형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요컨대, 본 발명에서는, 1 개의 패턴부 (12a) 의 각각이 접촉하지 않고, 파형 등의 기준이 되는 중심선이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의 롤 원반 세트는, 도 8c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일방의 상기 롤 원반 (15A) 에 있어서의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사이의 각각에는, 더미 패턴부 (12b) 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더미 패턴부 (12b) 의 각각은, 상기 패턴부 (12a) 의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타방의 상기 롤 원반 (15B) 에 있어서의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의 피치에 따른 규칙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피치에 따른 규칙성이란, 피치의 대략 정수배 (1 배, 2 배, 3 배 등) 또는 대략 정수분의 1 (1/2 배, 1/3 배 등) 의 주기로 더미 패턴부 (12b, 12c)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가리킨다.
도 8c 의 (b)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장척체 (16A, 16B) 의 투명 도전층 (12) 의 일방 (앞쪽) 에만, 앞쪽의 더미 패턴부 (12b) 를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9a 의 (a) ∼ (c) 및 도 9b 의 (a) ∼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a 의 (a)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2 층의 투명 도전층 (12) 의 일방 (앞쪽) 에만, 2 층의 패턴부 (12a) 에 의해 발생하는 격자의 내부에, 2 개씩 앞쪽의 더미 패턴부 (12b) 를 형성한 예가 나타나 있다. 도 9a 의 (b)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2 층의 투명 도전층 (12) 의 일방에 앞쪽의 더미 패턴부 (12b) 를, 타방에 뒤쪽의 더미 패턴부 (12c) 를 형성한 예가 나타나 있다. 도 9a 의 (c)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2 층의 패턴부 (12a) 에 의해 발생하는 격자의 내부에, 복수의 앞쪽의 더미 패턴부 (12b), 뒤쪽의 더미 패턴부 (12c) 를 형성한 예이다.
상기의 더미 패턴부 (12b, 12c) 는, 모두 2 층의 패턴부 (12a) 에 의해 발생하는 격자의 내부에 형성한 예를 나타내지만, 뒤쪽의 패턴부 (12a) 를 가로지르는 더미 패턴부 (12b, 12c) 를 형성해도 된다. 이로써, 피치의 대략 정수배의 규칙성을 갖는 더미 패턴부 (12b, 12c) 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9b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층의 투명 도전층 (12) 의 일방 (앞쪽) 의 패턴부 (12a) 의 각각을, 1 개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폭이 변화하는 것으로 하고, 일정 폭의 패턴부 (12a) 과의 사이에, 대소 2 종류의 더미 패턴부 (12b) 를 형성해도 된다. 도 9b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층의 투명 도전층 (12) 의 일방 (앞쪽) 의 패턴부 (12a) 의 각각을, 주기적으로 폭이 변화하는 것으로 하고, 폭광부가 지그재그로 배치되도록 규칙성을 어긋나게 하고, 폭광부에 인접시켜, 장방형의 더미 패턴부 (12b) 를 형성해도 된다.
도 8d 에 나타내는 예는, 투명 도전층 (12) 이 투명 필름 기재 (11) 의 편면측에 형성된 롤 원반 (15A, 15B) 세트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 부재를 제조하는 경우의 예로,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가, 패턴 폭을 넓힌 복수의 폭광부 (12d, 12e) 를 갖는 예이다.
이 예는, 도 8d 의 (a) ∼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필름 기재 (11) 와, 그 투명 필름 기재 (11) 의 편면측에 형성되고,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 (12a) 를 갖는 투명 도전층 (12) 을 포함하는 장척체 (16A, 16B) 를 권회한 롤 원반 (15A, 15B) 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명 필름 기재 (11) 의 편면측에 패턴부 (12a) 를 갖는 투명 도전층 (12) 이 직접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일방의 롤 원반 (15A) 에 있어서의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가, 장척체 (16A) 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타방의 롤 원반 (15B) 에 있어서의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가, 장척체 (16B) 의 폭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 (12a) 의 방향은, 장척체 (16A, 16B) 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이어도 되지만, 장척체 (16A, 16B) 의 제조 공정 등을 고려하면, 장척체 (16A, 16B) 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양방의 롤 원반 (15A, 15B) 에 있어서의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가, 장척체 (16A, 16B) 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의 피치 (중심선끼리의 간격) 에 대해서는, 통상적으로, 정전 용량 방식에서는, 손가락의 사이즈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피치는 1 ∼ 10 ㎜ 가 바람직하고, 2 ∼ 6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패턴부 (12a) 의 각각은, 선폭이 변화하는 것으로, 복수의 폭광부 (12d) 를 주기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 때, 패턴부 (12a) 각각의 선폭으로는, 입력의 검출 정밀도와 패턴의 신뢰성의 관점에서, 가장 좁은 부분의 폭이 1 ∼ 10 ㎜ 가 바람직하고, 2 ∼ 5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가장 넓은 부분의 폭 (폭광부 (12d) 의 최대폭) 에 대해서는, 검출 감도의 이유에서, 피치와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공 정밀도에 따라서는 지나치게 가까우면 인접하는 패턴부와 단락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가장 넓은 부분의 폭이, 패턴부 (12a) 의 피치의 70 ∼ 98 % 가 바람직하고, 80 ∼ 95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패턴부 (12a) 의 피치, 선폭, 재질을 표준화할 수 있다. 이들을 표준화함으로써, ITO 등으로 성형한 패턴부 (12a) 의 단위 길이당 배선 저항도 표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턴부 (12a) 를 갖는 롤 원반 세트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 부재를 제작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 회로를 구성하는 IC 의 사양도 규격화할 수 있다.
또한, 패턴부 (12a) 의 각각은, 중심선이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면 되는데, 중심선이 직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롤 원반 세트는, 도 8d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상기 롤 원반 (15A) 에 있어서의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에는, 타방의 롤 원반 (15B) 에 있어서의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의 피치에 따라 패턴 폭을 넓힌 복수의 폭광부 (12d) 를 형성하고 있으며, 타방의 롤 원반 (15B) 에 있어서의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에는, 일방의 롤 원반 (15A) 에 있어서의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의 피치에 따라 패턴 폭을 넓힌 복수의 폭광부 (12e) 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피치에 따라 패턴 폭을 넓힌다는 것은, 피치와 대략 동일한 주기로 폭광부 (12d)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가리킨다.
도 8d 의 (b)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적어도 일방의 상기 롤 원반 (15A) 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의 각각은, 폭광부 (12d) 를 구성하는 동일한 크기의 복수의 정방형이 대각 정상부에서 연결된 형상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양방의 상기 롤 원반 (15A, 15B) 에 있어서의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의 각각은, 상기 폭광부 (12d, 12c) 를 구성하는 복수의 정방형이 대각 정상부에서 연결된 형상이고, 양방의 롤 원반 (15A, 15B) 에 있어서의 정방형이 대략 동일한 크기인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 본 발명에서는, 도 10a 의 (a) ∼ (c) 및 도 10b 의 (a) 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a 의 (a)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2 층의 투명 도전층 (12) 의 양방에, 앞쪽의 폭광부 (12d), 또는 뒤쪽의 폭광부 (12e) 를 구성하는 동일한 크기의 복수의 정방형의 대각 정상부끼리를 일정 폭의 패턴으로 연결한 형상인 패턴부 (12a) 를 형성한 예가 나타나 있다. 일정 폭의 패턴으로 연결하는 경우, 그 선폭은, 입력의 검출 정밀도와 패턴 형성의 신뢰성의 관점에서, 1 ∼ 10 ㎜ 가 바람직하고, 2 ∼ 5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 10a 의 (b)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2 층의 투명 도전층 (12) 의 일방에, 앞쪽의 폭광부 (12d) 를 구성하는 동일한 크기의 복수의 다각형 (육각형) 의 대각 정상부끼리를 일정 폭의 패턴으로 연결한 형상인 패턴부 (12a) 를 형성한 예가 나타나 있다.
도 10a 의 (c)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2 층의 투명 도전층 (12) 의 일방에, 앞쪽의 폭광부 (12d) 를 구성하는 동일한 크기의 복수의 원형 (또는 타원형) 의 대각 정상부끼리를 일정폭의 패턴으로 연결한 형상인 패턴부 (12a) 를 형성한 예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10b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일방의 롤 원반 (15A) 에 있어서의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의 각각은, 1 쌍의 싸인 커브 모양의 곡선에 의해 폭광부 (12d) 를 곡선 사이에 반복 형성한 형상으로 해도 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양방의 롤 원반 (15A, 15B) 에 있어서의 투명 도전층 (12) 에, 당해 폭광부 (12d, 12c) 를 형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1 쌍의 싸인 커브 모양의 곡선은, 양자의 위상이 대략 반파장 어긋남으로써, 폭광부 (12d) 를 곡선 사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자의 곡선은, 그 진폭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요컨대, 1 쌍의 싸인 커브 모양의 곡선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선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장척체 (16, 16A, 16B) 의 투명 도전층 (12) 이, 투명 필름 기재 (11) 에 직접적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11(a) ∼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체 (16) 등의 투명 도전층 (12) 과 투명 필름 기재 (11) 사이에 다른 층을 형성하거나, 투명 도전층 (12) 또는 투명 필름 기재 (11) 의 표면에 다른 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a)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장척체 (16) 의 투명 도전층 (12) 과 투명 필름 기재 (11) 사이에 유전체층 (13) 을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유전체층 (13) 은,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의 유무에 따른 시인성의 상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형성할 수 있다. 유전체층 (13) 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투명 도전층 (12) 과 투명 필름 기재 (11) 사이에는, 그 밖에, 하드 코트층, 유전율 조정층, 반사 방지 (저반사화) 층 등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b)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추가로 장척체 (16) 의 투명 도전층 (12) 의 표면에 하드 코트층 (14) 을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하드 코트층 (14) 은, 투명 기체를 개재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투명 기체를 형성하는 경우, 그 적층에는, 투명한 점착제층 등이 사용된다.
도 11(c)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추가로 장척체 (16) 의 투명 필름 기재 (11) 의 표면에 투명한 점착제층 (19) 을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점착제층 (19) 은, 장척체 (16A, 16B) 의 양자를 적층하거나, 2 개의 전극 부재 (10) 를 적층하거나, 투명 기체나 액정 셀 등의 다른 부재와 적층할 때에,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 (19) 에는, 필요에 따라 세퍼레이터가 적층된다.
다음으로, 롤 원반의 재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롤 원반 (15, 15A, 15B) 을 구성하는 장척체 (16, 16A, 16B) 는, 투명 도전층 (12) 과 투명 필름 기재 (11) 로 주로 구성되지만, 필요에 따라, 유전체층 (13), 하드 코트층 (14), 점착제층 (19), 투명 기체 등이 형성된다.
투명 필름 기재 (11) 의 재료, 굴절률, 두께, 유전체층 (13) 의 재료, 제막법, 두께, 투명 도전층 (12) 의 굴절률, 재료, 제막법, 두께, 점착제층 (19) 을 구성하는 점착제, 세퍼레이터, 하드 코트층 (수지층) (14) 등에 대해서는, 「터치 패널 부재의 재료」 로서, 전술한 바와 같다.
장척체 (16A, 16B) 는, 투명 필름 기재 (11) 의 편면에, 유전체층 (13) 및 투명 도전층 (12) 이 상기와 같이 적층되는 것이면, 그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투명 필름 기재 (11) 의 편면에, 투명 필름 기재 (11) 측으로부터 유전체층 (13) 을 개재하여, 투명 도전층 (12) 을 갖는 투명 도전성 필름을 제작한 후에, 필요에 따라 투명 도전층 (12) 을, 에칭하여 패턴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에칭에 있어서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에 의해 패턴부 (12a) 를 덮어, 에칭액에 의해, 투명 도전층 (12) 을 에칭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2 개의 장척체 (16A, 16B) 등을 투명한 점착제층 (19) 을 개재하여 2 장 적층하는 경우, 점착제층 (19) 으로는, 투명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전극 부재를 얻는 공정)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부재의 제조 방법은, 도 14a ∼ 도 1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 원반 (15) 으로부터 상기 장척체 (16) 를 조출한 후, 상기 장척체 (16) 를 절단하여,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 (12a) 를 갖는 투명 도전층 (12) 이 투명 필름 기재 (11) 의 적어도 편면측의 주면에 형성된 전극 부재 (10) 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전극 부재 (10) 는,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 (12a) 를 갖는 투명 도전층 (12) 이, 투명 필름 기재 (11) 의 적어도 편면측의 주면에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투명 도전층 (12) 이 주면에 형성된다는 것은, 패턴부 (12a) 가 투명 필름 기재 (11) 의 대략 전체 (면적으로 80 %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 이상) 에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도 12 에 나타낸 예에서는, 투명 도전층 (12) 이, 투명 필름 기재 (11) 의 편면측의 주면에 형성되고, 또한 투명 도전층 (12) 이, 전극 부재 (10) 의 장변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이 일정 폭인 패턴부 (12a) 를 가지고 있다. 전극 부재 (10) 의 외형은, 장방형 또는 정방형이 일반적이지만, 그 밖의 형상 등도 가능하다.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 (12a) 의 방향은, 장변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이어도 되지만, 동작 에어리어를 고려하면, 전극 부재 (10) 의 장변 또는 단변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필름 기재 (11) 의 사이즈는, 입력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크기로서, 디스플레이의 사이즈에 따라 적절한 사이즈로 설정할 수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의 경우, 투명 도전성 필름의 시트 저항 등에서, 모바일 기기에 대한 적용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나 스마트폰의 3 인치 ∼ 5 인치 사이즈부터, 태블릿 PC 의 6 인치 ∼ 10 인치, 노트북 PC 나 모니터의 10 인치 ∼ 20 인치 정도까지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식의 경우,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배선 부재와의 접속의 관점에서 말하면, 장치 사이즈는 작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투명 도전층의 표준화가 가능해지는데, 입력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크기에 따라, 몇 단계로 나누어, 패턴부 (12a) 의 피치, 폭, 표면 저항값 등을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a 에 나타낸 예에서는, 투명 도전층 (12) 이, 투명 필름 기재 (11) 의 양면측의 주면에 형성되고, 또한 투명 도전층 (12) 의 일방이 전극 부재 (10) 의 장변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패턴부 (12a) 를 갖고, 투명 도전층 (12) 의 타방이 전극 부재 (10) 의 단변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패턴부 (12a) 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전극 부재 (10) 는, 투명 도전층 (12) 이 투명 필름 기재 (11) 의 양면측에 형성된 장척체 (16) 를 소정의 사이즈로 절단하는 것만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3b 에 나타낸 예에서는, 일방의 전극 부재 (10) 의 투명 도전층 (12) 이, 전극 부재 (10) 의 장변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이 일정폭인 패턴부 (12a) 를 갖고, 타방의 전극 부재 (10) 의 투명 도전층 (12) 이, 전극 부재 (10) 의 단변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이 일정 폭인 패턴부 (12a) 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전극 부재 (10) 는, 장척체 (16A, 16B) 를 소정의 사이즈로 절단하는 것만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전극 부재 (10) 의 외형은, 장방형 또는 정방형이 일반적이지만, 그 밖의 형상 등도 가능하다.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 (12a) 의 방향은, 전극 부재 (10) 의 장변 또는 단변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c 에 나타낸 예에서는, 일방의 전극 부재 (10) 의 투명 도전층 (12) 이, 전극 부재 (10) 의 장변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이 폭광부 (12d) 를 갖는 패턴부 (12a) 를 갖고, 타방의 전극 부재 (10) 의 투명 도전층 (12) 이, 전극 부재 (10) 의 단변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이 폭광부 (12e) 를 갖는 패턴부 (12a) 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극 부재 (10) 는, 장척체 (16A, 16B) 를 소정의 사이즈로 절단하는 것만으로 제조할 수 있다.
장척체 (16) 의 절단은, 톰슨 칼날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사이즈로 타발하는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사이즈의 장변 또는 단변에 대응하는 폭의 롤 원반 (15) 을 단변 또는 장변의 길이로 절단하는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고, 둥근 칼날, 회전 칼날, 나이프, 작두 칼날 등의 절단 칼날, 레이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어느 1 개의 터치 패널 제품에 따라 패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정해진 표준적인 스트라이프상 등의 패턴부 (12a) 가 형성되어 있다. 그것으로부터 소정 사이즈의 전극 부재 (10) 로 절단함으로써, 단일 또는 몇 개의 피치의 패턴부 (12a) 를 형성한 롤 원반으로부터, 다양한 형상·사이즈의 터치 패널 제품에 대응한 터치 패널 부재를 형성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전극 부재 (10) 의 표준 패턴의 형성 에어리어는, 상정되는 터치 패널 부재의 사이즈보다 충분히 크면 된다. 예를 들어, 패터닝의 상황으로부터, 1 m 정도의 길이로 나누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 제품의 사이즈가, 대략 200 ㎜ × 150 ㎜ 정도이면, 예를 들어 길이 방향으로 1 m 피치로 800 ㎜ 폭으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면, 이 1 개의 에어리어에서, 길이 방향으로 최대 5 장 내지는 6 장, 폭 방향으로 5 장 내지 4 장 형성할 수 있어, 24 장 내지 25 장의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표준화된 패턴이 연속해서 형성된 장척체로부터 터치 패널에 따른 형상으로 타발하여 전극 부재 (10) 를 형성하기 위해서, 연속해서 또는 대략 인접해서 터치 패널 부재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필름의 로스는 거의 없다.
(배선 부재의 준비 공정)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부재의 제조 방법은, 도 14a ∼ 도 1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패턴부 (12a) 의 피치에 대응하는 피치로 배치된 제 1 접속부 (21), 및 제 1 접속부 (21) 로부터 연장되는 도전 패턴부 (22) 를 갖는 플렉서블한 배선 부재 (20) 를 준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플렉서블한 배선 부재 (20) 는, 도 12, 도 13a ∼ 도 1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패턴부 (12a) 의 피치에 대응하는 피치로 배치된 제 1 접속부 (21), 및 제 1 접속부 (21) 로부터 연장되는 도전 패턴부 (22) 를 갖는다. 플렉서블한 배선 부재 (20) 는, 플렉서블 프린트 회로 기판 (FPC) 과 동일한 구조로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플렉서블한 절연 기재 (23) 에 도전 패턴부 (22) 등을 형성한 것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 1 접속부 (21) 의 피치보다, 도전 패턴부 (22) 의 피치를 좁힘으로써, 배선 밀도를 높인 부분을 형성하는 예를 나타낸다.
배선 부재 (20) 는, 전극 부재 (10) 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전극 부재 (10) 에 대하여 겹쳐서 배치된다. 배선 부재 (20) 는, 그 제 1 접속부 (21) 가 전극 부재 (10) 의 패턴부 (12a) 와 대향하도록 겹쳐서 배치된다. 겹침대의 길이는, 패턴부 (12a) 와 제 1 접속부 (21) 의 접속을 양호하게 실시하는 관점에서, 겹침대의 길이는 긴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협액자화의 관점에서 말하면, 접속부는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범위로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적으로 0.5 ∼ 10 ㎜ 가 바람직하고, 1 ∼ 5 ㎜ 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접속부 (21) 의 선폭은,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패턴부 (12a) 와 동일한 정도의 선폭이 바람직하고, 0.3 ∼ 3 ㎜ 가 바람직하다. 또한, 배선 저항의 관점에서 말하면, 가능한 한 선폭은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 패턴부 (22) 의 제 1 접속부 (21) 와는 반대의 단부에는, 외부의 배선 기판과 접속하기 위한 외부측 접속부를 형성해도 된다. 요컨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배선 부재 (20) 는, 터치 패널과 외부의 배선 기판을 연결하는 FPC 를 겸할 수 있다.
배선 부재 (20) 는, 패턴부 (12a) 의 피치에 대응하는 피치로 배치된 제 1 접속부 (21) 를 형성하기 위하여, 전극 부재 (10) 의 표준화된 스트라이프 패턴에 대응한 피치로 제 1 접속부 (21)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배선 부재 (20) 도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의 갯수에 맞추어, 몇 단계로 나누어 제조 (규격화) 할 수 있다.
플렉서블한 배선 부재 (20) 는, 플렉서블한 절연 기재 (23) 와 도전 패턴부 (22) 로 주로 구성되지만, 필요에 따라, 절연 기재 (23) 와 도전 패턴부 (22) 를 접착하는 접착제층, 도전 패턴부 (22) 를 피복하는 커버 절연층, 솔더 레지스트층 등을 형성해도 된다. 이들에 대해서는, 「터치 패널 부재의 재료」 로서, 전술한 바와 같다.
(터치 패널 부재를 얻는 공정)
본 발명의 터치 패널 부재의 제조 방법은, 도 14a ∼ 도 1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극 부재 (10) 의 패턴부 (12a) 와 상기 배선 부재 (20) 의 제 1 접속부 (21) 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터치 패널 부재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얻어지는 터치 패널 부재는, 예를 들어, 도 12(a) ∼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도전층 (12) 이 투명 필름 기재 (11) 의 편면측의 주면에 형성된 전극 부재 (10) 와, 도전 패턴부 (22) 를 갖는 플렉서블한 배선 부재 (20) 와, 전극 부재 (10) 와 배선 부재 (20) 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 접속부 (30) 를 구비하고 있다. 도 12 에 나타낸 예에서는, 투명 도전층 (12) 이 투명 필름 기재 (11) 의 편면측의 주면에 형성된 전극 부재 (10) 와 배선 부재 (20) 의 1 쌍이고, 터치 패널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도전 접속부 (30) 는, 상기 전극 부재 (10) 의 패턴부 (12a) 와 상기 제 1 접속부 (21) 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도전 접속부 (30) 로는, 땜납 등의 솔더에 의한 접속, 이방성 도전 재료에 의한 접속, 도전성 페이스트에 의한 접속, 물리적인 접촉, 저융점 금속에 의한 융착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방성 도전 재료에 의해 도전 접속부 (30) 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방성 도전 재료는, 도전 입자가 접착제 중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고분자막으로서, 막의 두께 방향으로만 도통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방성 도전 재료를 사용한 전기적인 접속은, 전극 부재 (10) 의 패턴부 (12a) 와 배선 부재 (20) 의 제 1 접속부 (21) 사이에, 띠 형상의 이방성 도전 재료를 개재시키고, 이어서, 그것들을 열 압착하면 된다.
이방성 도전 재료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25 ∼ 50 ㎛ 정도이고, 또한, 열 압착은, 이방성 도전 재료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예를 들어, 압력 2 ∼ 4 ㎫, 온도 170 ∼ 220 ℃ 에서 가압 및 가열하면 된다.
터치 패널 부재는, 도 1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도전층 (12) 이 투명 필름 기재 (11) 의 양면측에 형성된 전극 부재 (10) 를 구비하는 구조여도 된다. 패턴부 (12a) 끼리가 교차하는 각도는, 45 도 이상이 바람직하지만, 85 도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도시한 예에서는, 패턴부 (12a) 끼리가 교차하는 각도가 90 도인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터치 패널 부재는, 도 1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층의 전극 부재 (10) 가 적층된 구조여도 된다. 이 구조는, 장척체 (16A, 16B) 를 미리 적층 일체화한 후 소정의 사이즈로 절단하는 방법, 또는 절단 후에 적층 일체화하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에서는, 패턴부 (12a) 의 각각이 접촉하지 않고 교차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전극 부재 (10) 가 2 층 적층되어 있음과 함께, 2 층의 투명 도전층 (12) 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배선 부재 (20) 와 도전 접속부 (30) 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2 층의 전극 부재 (10) 의 패턴부 (12a) 가 모두 상측에 배치되는 예를 나타낸다. 양자의 적층은 투명한 접착제, 투명한 점착제, 투명한 접착 필름 등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b 에 나타내는 터치 패널 부재를 제조하는 경우, 각각의 상기 롤 원반 (15A, 15B) 으로부터 얻어지는 상기 전극 부재 (10) 를, 상기 패턴부 (12a) 의 각각이 접촉하지 않고 교차하여 배치되도록 첩합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한다. 패턴부 (12a) 끼리가 교차하는 각도는, 45 도 이상이 바람직하지만, 85 도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도시한 예에서는, 패턴부 (12a) 끼리가 교차하는 각도가 90 도인 경우를 나타낸다.
각각의 배선 부재 (20) 는, 전극 부재 (10) 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전극 부재 (10) 에 대하여 겹쳐서 배치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2 개의 배선 부재 (20) 는 제 1 접속부 (21) 와 도전 패턴부 (22) 가 모두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2 층의 전극 부재 (10) 는 형상이 상이하고, 입력에 사용되는 부분의 외측에 배선 부재 (20) 와의 겹침대가 되는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하측에 배치되는 전극 부재 (10) 는, 도면의 상측으로 연장된 겹침대가 되는 부분을 형성하여, 상측에 배치되는 전극 부재 (10) 로부터, 그 겹침대가 되는 부분을 노출시키고 있다. 한편, 상측에 배치되는 전극 부재 (10) 는, 도면의 우측으로 연장된 겹침대가 되는 부분을 형성하여, 하측에 배치되는 전극 부재 (10) 와 겹치지 않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2 층의 전극 부재 (10) 가 적층되는 경우, 상측의 전극 부재 (10) 의 패턴부 (12a) 가 상측에 배치되고, 하측의 전극 부재 (10) 의 패턴부 (12a) 가 하측에 배치되도록 적층해도 된다.
또한, 상측의 전극 부재 (10) 의 패턴부 (12a) 가 하측에 배치되고, 하측의 전극 부재 (10) 의 패턴부 (12a) 가 상측에 배치되도록 적층해도 된다. 이 경우, 패턴부 (12a) 가 접촉하지 않도록, 투명한 절연 필름을 개재시키는 등을 하여, 2 층의 전극 부재 (10) 를 접착 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극 부재 (10) 의 패턴부 (12a) 끼리를 대향시켜 적층하는 경우, 하측에 배치되는 전극 부재 (10) 는, 상측에 배치되는 전극 부재 (10) 로부터, 그 겹침대가 되는 부분을 노출시키고, 상측에 배치되는 전극 부재 (10) 는, 하측에 배치되는 전극 부재 (10) 로부터, 그 겹침대가 되는 부분을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전극 부재 (10) 의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에는, 타방의 전극 부재 (10) 의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의 피치에 따라 패턴 폭을 넓힌 복수의 폭광부 (12d) 를 형성하고 있으며, 타방의 전극 부재 (10) 의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에는, 일방의 투명 도전층 (12) 의 패턴부 (12a) 의 피치에 따라 패턴 폭을 넓힌 복수의 폭광부 (12d) 를 형성한 터치 패널 부재를 얻을 수 있다.
10 ; 전극 부재
11 ; 투명 필름 기재
12 ; 투명 도전층
12a ; 패턴부
12b ; 더미 패턴부 (앞쪽)
12c ; 더미 패턴부 (뒤쪽)
12d ; 폭광부 (앞쪽)
12e ; 폭광부 (뒤쪽)
14 ; 하드 코트층
15, 15A, 15B ; 롤 원반
16, 16A, 16B ; 장척체
19 ; 점착제층
20 ; 배선 부재
21 ; 제 1 접속부
22 ; 도전 패턴부
23 ; 절연 기재
30 ; 도전 접속부

Claims (18)

  1. 전부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층이 투명 필름 기재의 적어도 편면측의 주면에 형성된 전극 부재와,
    상기 패턴부의 피치에 대응하는 피치로 배치된 제 1 접속부, 및 상기 제 1 접속부로부터 연장되는 도전 패턴부를 갖는 플렉서블한 배선 부재를 구비하는, 터치 패널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전극 부재의 패턴부와 상기 제 1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 접속부를 구비하는, 터치 패널 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층이 상기 투명 필름 기재의 양면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전극 부재가 2 개의 투명 도전층을 구비하고, 양면측에 형성된 상기 패턴부가 교차하여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각각의 투명 도전층에 대하여, 상기 배선 부재를 구비하는, 터치 패널 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의 각각이 접촉하지 않고 교차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전극 부재가 2 층 적층되어 있음과 함께, 2 층으로 적층된 상기 전극 부재의 2 개의 투명 도전층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배선 부재를 구비하는, 터치 패널 부재.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투명 도전층의 적어도 일방에는, 상기 패턴부 사이에 형성한 더미 패턴부로서, 타방의 상기 패턴부의 피치에 따른 규칙성을 갖는 더미 패턴부를 형성하고 있는, 터치 패널 부재.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투명 도전층의 일방의 상기 패턴부에는, 타방의 상기 패턴부의 피치에 따라 패턴 폭을 넓힌 복수의 폭광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2 층의 투명 도전층의 타방의 상기 패턴부에는, 상기 일방의 상기 패턴부의 피치에 따라 패턴 폭을 넓힌 복수의 폭광부를 형성하고 있는, 터치 패널 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에 형성된 상기 폭광부는, 마름모꼴인, 터치 패널 부재.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터치 패널 부재를 구비하는, 터치 패널.
  9. 전부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층이 투명 필름 기재의 적어도 편면측에 형성된 장척체를 권회한 롤 원반을 준비하는 공정과, 이 롤 원반으로부터 상기 장척체를 풀어낸 후, 상기 장척체를 절단하여, 전부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층이 투명 필름 기재의 적어도 편면측의 주면에 형성된 전극 부재를 얻는 공정과, 상기 패턴부의 피치에 대응하는 피치로 배치된 제 1 접속부, 및 제 1 접속부로부터 연장되는 도전 패턴부를 갖는 플렉서블한 배선 부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전극 부재의 패턴부와 상기 배선 부재의 제 1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터치 패널 부재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부재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롤 원반의 패턴부가, 상기 장척체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인, 터치 패널 부재의 제조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롤 원반으로서, 상기 투명 도전층이 투명 필름 기재의 양면측에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가 교차하여 배치된 장척체를 권회한 것을 준비함과 함께, 각각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에 대하여, 각각 준비한 상기 배선 부재의 제 1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터치 패널 부재의 제조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롤 원반으로서,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를 갖는 투명 도전층이 투명 필름 기재의 편면측에 형성된 장척체를 권회한 롤 원반을 2 개 준비 함과 함께, 각각의 상기 롤 원반으로부터 얻어지는 상기 전극 부재를, 상기 패턴부의 각각이 접촉하지 않고 교차하여 배치되도록 맞붙이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에 대하여, 각각 준비한 상기 배선 부재의 제 1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터치 패널 부재의 제조 방법.
  13. 투명 필름 기재와, 그 투명 필름 기재의 편면측에 형성되고, 전부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는 장척체를 권회한 롤 원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롤 원반 세트로서,
    적어도 일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전부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 사이의 각각에는, 더미 패턴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더미 패턴부의 각각은, 상기 패턴부의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타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의 피치의 정수배 또는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의 피치의 정수분의 1의 주기로 형성되어 있는, 롤 원반 세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턴부의 각각이, 동일한 형상과 규칙성으로 형성되어 있는, 롤 원반 세트.
  15. 제 13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가, 일정한 선폭으로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롤 원반 세트.
  16. 투명 필름 기재와, 그 투명 필름 기재의 편면측에 형성되고, 전부 일정한 피치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패턴부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는 장척체를 권회한 롤 원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롤 원반 세트로서,
    일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에는, 타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의 피치에 따라 패턴 폭을 넓힌 복수의 폭광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타방의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에는, 상기 일방의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의 피치에 따라 패턴 폭을 넓힌 복수의 폭광부를 형성하고 있는, 롤 원반 세트.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의 각각은, 상기 폭광부를 구성하는 동일한 크기의 복수의 정방형이 대각 정상부에서 연결된 형상인, 롤 원반 세트.
  18. 제 17 항에 있어서,
    양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 도전층의 패턴부의 각각은, 상기 폭광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정방형이 대각 정상부에서 연결된 형상이며, 양방의 상기 롤 원반에 있어서의 정방형이 동일한 크기인, 롤 원반 세트.
KR1020147024960A 2012-06-07 2013-06-06 터치 패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743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30032 2012-06-07
JPJP-P-2012-130032 2012-06-07
JPJP-P-2013-108227 2013-05-22
JP2013108227 2013-05-22
JPJP-P-2013-108225 2013-05-22
JP2013108225 2013-05-22
JPJP-P-2013-108231 2013-05-22
JP2013108231 2013-05-22
JPJP-P-2013-117663 2013-06-04
JP2013117663A JP6117620B2 (ja) 2012-06-07 2013-06-04 タッチパネル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PCT/JP2013/065692 WO2013183709A1 (ja) 2012-06-07 2013-06-06 タッチパネル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369A KR20140126369A (ko) 2014-10-30
KR101743335B1 true KR101743335B1 (ko) 2017-06-02

Family

ID=49712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960A KR101743335B1 (ko) 2012-06-07 2013-06-06 터치 패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301659A1 (ko)
JP (1) JP6117620B2 (ko)
KR (1) KR101743335B1 (ko)
CN (1) CN104246676B (ko)
TW (1) TWI525492B (ko)
WO (1) WO20131837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62443A1 (en) * 2013-03-14 2014-09-18 Cambrios Technologies Corporation Hybrid patterned nanostructure transparent conductors
CN104637573B (zh) * 2013-11-15 2017-01-04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导电薄膜结构
KR102313489B1 (ko) * 2015-01-21 2021-10-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318028B1 (ko) * 2015-03-13 2021-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타이저 회로 패터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67252B1 (ko) * 2015-04-16 2022-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20170293382A1 (en) * 2015-05-01 2017-10-12 Fujikura Ltd. Wiring body, wiring board, and touch sensor
CN108027677B (zh) * 2015-09-18 2021-06-25 索尼公司 导电元件及其制造方法、输入装置和电子设备
KR102543916B1 (ko) 2015-09-21 2023-06-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전자 장치
KR102040292B1 (ko) 2016-07-28 2019-11-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투명 도전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6704825B2 (ja) * 2016-09-27 2020-06-03 ホシデン株式会社 タッチ入力装置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入力装置
TWI680397B (zh) * 2018-04-03 2019-12-21 薛英家 感測板及具有感測板的顯示器
JP6658800B2 (ja) * 2018-06-12 2020-03-0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機能性細線パターン、透明導電膜付き基材、デバイス及び電子機器
CN109407883B (zh) * 2018-09-27 2022-04-26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触摸屏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3260148B (zh) * 2020-02-13 2022-11-0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KR20210118307A (ko) * 2020-03-20 2021-09-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0176A (ja) * 2010-03-30 2011-10-20 Dainippon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部材およびタッチ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8014A (en) * 1979-11-30 1981-06-26 Fujitsu Ltd Method of manufacturing transparent switch
JPS5691321A (en) * 1979-12-26 1981-07-24 Fujitsu Ltd Method of manufacturing transparent switch
JP2968283B2 (ja) * 1989-07-07 1999-10-25 株式会社ワコム 座標入力装置用タブレット
JP3698749B2 (ja) * 1995-01-11 2005-09-2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セルの作製方法およびその作製装置、液晶セルの生産システム
US20030048256A1 (en) * 2001-09-07 2003-03-13 Salmon Peter C. Computing device with roll up components
JP3922109B2 (ja) * 2001-10-17 2007-05-30 東洋紡績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ロールの製造方法
US6798642B2 (en) * 2002-01-24 2004-09-28 Toray Plastics (America), Inc. Polymer coated capacitor films
CN100548840C (zh) * 2002-07-30 2009-10-14 日立化成工业株式会社 粘接材料带连接体及粘接材料带的连接方法
JP4047102B2 (ja) * 2002-08-23 2008-02-13 シャープ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lcdモジュール
WO2006068782A2 (en) * 2004-12-22 2006-06-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sensors incorporating capacitively coupled electrodes
JP4704757B2 (ja) * 2005-01-05 2011-06-22 三菱製紙株式会社 導電性パタンを形成するための処理方法及びその処理装置
US7745733B2 (en) * 2005-05-02 2010-06-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Generic patterned conductor for customizable electronic devices
US7439962B2 (en) * 2005-06-01 2008-10-21 Synaptics Incorporated Touch pad with flexible substrate
US8026903B2 (en) * 2007-01-03 2011-09-27 Apple Inc. Double-sided touch sensitive panel and flex circuit bonding
JP4667471B2 (ja) * 2007-01-18 2011-04-13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備えたタッチパネル
TW201009667A (en) * 2008-08-21 2010-03-01 Tpo Displays Corp Touch panel and system for displaying images utilizing the same
JP5138529B2 (ja) * 2008-10-03 2013-02-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タッチパネル
JP5362397B2 (ja) * 2009-03-11 2013-12-11 グンゼ株式会社 透明面状体及び透明タッチスイッチ
WO2011001961A1 (ja) * 2009-06-30 2011-01-06 Dic株式会社 透明導電層パターンの形成方法
TWM371271U (en) * 2009-07-10 2009-12-21 Shinan Snp Taiwan Co Ltd Thin touch panel
TWI541839B (zh) * 2009-10-07 2016-07-11 Sakamoto Jun A conductive thin film structure, and a conductive thin film structure
WO2011048663A1 (ja) * 2009-10-20 2011-04-28 東洋紡績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TWI465794B (zh) * 2010-02-08 2014-12-21 Ind Tech Res Inst 觸控面板捲及其製造方法
KR101156880B1 (ko) * 2010-02-26 2012-06-20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CN102193664B (zh) * 2010-03-08 2013-08-21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触控面板卷及其制造方法
KR20110104406A (ko) * 2010-05-14 2011-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제조장치
TWI422907B (zh) * 2010-06-29 2014-01-11 Unidisplay Inc 觸控面板
KR20120032734A (ko) * 2010-09-29 2012-04-0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스크린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051447B1 (ko) * 2010-10-26 2011-07-22 한국기계연구원 인쇄기반 금속 배선을 이용한 투명전극 제조 장치
JP2012093985A (ja) * 2010-10-27 2012-05-17 Nitto Denko Corp タッチ入力機能を有する表示パネル装置と該表示パネル装置のための光学ユニット、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3167700U (ja) * 2011-02-22 2011-05-12 洋華光電股▲ふん▼有限公司 透明タッチコントロールセンサー
TWI478181B (zh) * 2011-08-31 2015-03-21 Shih Hua Technology Ltd 透明導電膜以及使用該透明導電膜的觸控面板
KR101860880B1 (ko) * 2011-11-18 2018-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817523B2 (en) * 2012-02-09 2017-11-14 Qualcomm Incorporated Capacitive touch panel for mitigating and/or exaggerating floating condition effec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0176A (ja) * 2010-03-30 2011-10-20 Dainippon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部材および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369A (ko) 2014-10-30
JP6117620B2 (ja) 2017-04-19
WO2013183709A1 (ja) 2013-12-12
TWI525492B (zh) 2016-03-11
CN104246676B (zh) 2017-08-22
JP2015004997A (ja) 2015-01-08
CN104246676A (zh) 2014-12-24
US20150301659A1 (en) 2015-10-22
TW201411442A (zh) 201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335B1 (ko) 터치 패널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TWI726322B (zh) 觸控面板及其製作方法
JP4888608B2 (ja) 導電性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タッチパネル
US9983708B2 (en)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s and touch panels having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s
CN107710119B (zh) 带圆偏光板的触摸传感器及图像显示装置
KR101873667B1 (ko) 도전막 적층체, 및 이를 이용하는 터치 패널
JP2013122745A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132623A1 (ja) 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JP2014191717A (ja)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US11630541B2 (en)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40232957A1 (en) Touch pane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308211B2 (ja) タッチパネル
US10512160B2 (en) Conductiv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6115427B2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とその製造方法
JP2014078224A (ja)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476578B2 (ja) タッチパネル
KR20130033538A (ko) 투명전극 필름의 제조 방법
KR101836232B1 (ko) 터치 패널
JP6129611B2 (ja)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KR102095374B1 (ko) 메탈메쉬 구조의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KR101370402B1 (ko) 터치패널의 전극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의 전극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