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341B1 - 무인 반송차의 배터리 유닛 - Google Patents

무인 반송차의 배터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341B1
KR101741341B1 KR1020157003229A KR20157003229A KR101741341B1 KR 101741341 B1 KR101741341 B1 KR 101741341B1 KR 1020157003229 A KR1020157003229 A KR 1020157003229A KR 20157003229 A KR20157003229 A KR 20157003229A KR 101741341 B1 KR101741341 B1 KR 101741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e
charging
automatic guided
guid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3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1329A (ko
Inventor
도시히토 후쿠이
미츠루 히라야마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1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108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Abstract

무인 반송차의 배터리 유닛은, 무인 반송차의 차체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수용되는 배터리와, 케이스에 수용되어,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를 감시하는 충방전 모니터를 구성하는 제어 기판과, 케이스에 수용되어,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부품을 구비한다. 배터리는, 배터리 저면이 케이스 저면으로부터 이격한 상태에서 케이스 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무인 반송차의 배터리 유닛{BATTERY UNIT FOR UNPILOTED CONVEYANCE VEHICLES}
본 발명은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무인 반송차의 배터리 유닛에 관한 것이다.
공장이나 창고 내에서 사용되는 무인 반송차는 모터에 의해 주행하고, 모터의 구동원으로 되는 배터리에는 일반적으로 연축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JP1991-37967A에는, 공장이나 창고 내에 설치된 충전 스테이션에 있어서 배터리를 만충전으로 하고 나서 사용되는 무인 반송차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JP2007-74800A에는, 만충전이 아닌 부분 충전으로도 사용 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를 배터리로 하는 무인 반송차가 개시되어 있다.
JP2007-74800A에 개시된 무인 반송차는, 리튬 이온 전지로 이루어지는 배터리의 전력에 의해 주행한다. 무인 반송차의 배터리 충전은, 전지 충방전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충전 스테이션에 있어서 행해진다. 충전 스테이션에서는, 배터리의 잔류 용량이 충전 개시 용량이 되었을 때 충전이 개시되고, 배터리의 잔류 용량이 충전 정지 용량이 되었을 때 충전이 정지된다.
리튬 이온 전지를 배터리로 사용하는 무인 반송차에서는, 배터리나,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를 감시하는 충방전 모니터 등의 제어 기판, 그 외의 전기 부품을 하나로 통합해서 배터리 케이스 내에 수용함으로써, 배터리 유닛이 구성된다. 이러한 배터리 유닛에서는, 배터리 케이스 내의 습도나 온도, 기후 조건 등에 따라서는, 배터리 케이스의 내면에 결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결로가 배터리 케이스의 내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등으로 해서 배터리나 전기 부품 등에 부착되면,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케이스 내의 결로가 배터리나 전기 부품에 부착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무인 반송차의 배터리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어느 형태에 따르면, 무인 반송차의 배터리 유닛은, 무인 반송차의 차체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수용되는 배터리와, 케이스에 수용되어,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를 감시하는 충방전 모니터를 구성하는 제어 기판과, 케이스에 수용되어,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부품을 구비한다. 배터리는, 배터리 저면이 케이스 저면으로부터 이격한 상태에서 케이스 내에 배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인 반송차의 주행 경로를 예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인 반송차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충전 시에 있어서의 무인 반송차의 배터리 유닛과 충전 스테이션의 접속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무인 반송차에 탑재된 배터리 유닛의 평면도.
도 5는 배터리 유닛의 측면도.
도 6은 배터리 유닛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8은 도 6의 Ⅷ-Ⅷ선을 따르는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인 반송차의 배터리 유닛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인 반송차(1)는 부품 등이 보관되어 있는 픽킹 스테이션(PS)과 생산 라인의 조립 스테이션(BS)을 통과하도록 설정된 주회 궤도의 주행 루트(R)를 따라 주행한다. 무인 반송차(1)는 차량에 탑재된 궤도 센서에 의해 주행 루트(R)를 검출해서 주행하기 때문에, 무인 주행이 가능해지고 있다.
픽킹 스테이션(PS)에서는, 조립 스테이션(BS)에서 필요로 하는 부품이 무인 반송차(1)에 적재된다. 무인 반송차(1)는 주행 루트(R) 상을 주행하여, 적재된 부품을 조립 스테이션(BS)까지 반송한다. 조립 스테이션(BS)에서는, 무인 반송차(1)에 적재되어 있는 부품을 내린다. 그 후, 무인 반송차(1)는 다시 주행 루트(R) 상을 주행하여, 픽킹 스테이션(PS)까지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무인 반송차(1)는 픽킹 스테이션(PS)과 조립 스테이션(BS) 사이에서 순환 주행한다. 주회 궤도인 주행 루트(R)의 외측이며, 픽킹 스테이션(PS)과 조립 스테이션(BS) 사이에는, 충전 스테이션(CS)이 배치되어 있다.
충전 스테이션(CS)은, 설비측 제어 장치(2)와, 그 설비측 제어 장치(2)에 의해 제어되는 자동 충전기(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주행 루트(R)의 내측이며, 조립 스테이션(BS)의 입구 위치 및 출구 위치에는, 무인 반송차(1)와 설비측 제어 장치(2)의 신호 수수를 실행하는 지상국(4)이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인 반송차(1)는 차체(6)와, 차체(6)의 네 코너 하부에 배치된 캐스터 바퀴(9)와, 차체(6)의 전방측 하부 및 후방측 하부로부터 바닥면을 향해서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지지축(7)과, 지지축(7)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 유닛(8)과, 구동 유닛(8)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구동륜(10)과, 구동 유닛(8)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캐스터 바퀴(9)는 차량의 중량을 지지하는 차륜이며, 차량의 이동 방향으로 추종해서 선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 유닛(8)은 지지축(7)의 축 주위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구동 유닛(8)의 좌우 양측에는 구동륜(10)이 배치되어 있다. 1개의 구동 유닛(8)에 대하여 2개 배치되는 구동륜(10)은 구동 유닛(8)에 내장된 한 쌍의 구동 모터에 의해 각각 독립하여 구동된다. 또한, 구동 유닛(8)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는 브래킷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브래킷에는 주행 루트(R)를 검출하는 궤도 센서(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유닛(8)의 구동 모터를 구동시키는 전원으로서의 배터리(B)는, 배터리 유닛(5)의 배터리 케이스(BC)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차체(6)의 중앙 위치에 탑재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케이스(BC) 내에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로 이루어지는 배터리(B), 및 배터리(B)의 전력을 각 구동 유닛(8)의 구동 모터에 공급하는 파워 릴레이 등의 전기 부품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케이스(BC) 내에는, 배터리(B)의 상태를 감시하는 충방전 모니터(11), 충방전 모니터(11)의 제어 기판(11A)(도 7 참조) 및 자동 충전기(3)나 설비측 제어 장치(2)의 지상국(4)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수단(14) 등이 수용되어 있다.
배터리(B)는 3개의 전지 모듈(BM)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전지 모듈(BM)은 버스 바(BB)에 의해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전지 모듈(BM)의 수는, 3개로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된다. 전지 모듈(BM)은, 복수의 단위 셀을 직렬 접속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터리(B)는 3개의 전지 모듈(BM)로 구성되어 있고, 만충전 상태에서의 배터리(B)의 출력 전압은 25V 정도로 된다.
배터리(B)의 급전선(12)의 단부에는, 수전 컨택터(13)가 설치되어 있다. 수전 컨택터(13)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터리 케이스(BC)의 케이스벽면에 설치되어 있다. 충전 스테이션(CS)의 자동 충전기(3)가 구비하는 급전 컨택터(23)를 수전 컨택터(13)에 접속함으로써, 배터리(B)는 충전된다. 또한, 급전 컨택터(23)는, 자동 충전기(3)에 대하여 신축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충방전 모니터(11)는 배터리(B)의 충전 용량(배터리 전압), 각 단위 셀의 충전 용량(셀 전압), 각 전지 모듈(BM)의 충전 용량, 배터리(B)의 입출력의 전류량, 배터리(B)의 이상 이력 등의 각종 배터리 상태 정보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msec)마다 감시해서 기억함과 함께, 그들 배터리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충방전 모니터(11)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터리 케이스(BC)의 케이스벽면에 설치된 통신 수단(14)을 통해서, 배터리 상태 정보를 설비측 제어 장치(2)나 자동 충전기(3)로 송신한다. 배터리 유닛(5)의 통신 수단(14)과, 설비측 제어 장치(2)의 지상국(4)및 자동 충전기(3)의 통신 수단(24)은, 광 통신 등의 통신 방법을 이용해서 정보의 수수를 행한다.
충방전 모니터(11)는 배터리(B)를 구성하는 각 전지 모듈(BM)의 충전 용량(전압)이 셧 다운 임계값(예를 들어 2.8 내지 3V) 이하로 되어, 과방전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에, 배터리(B)가 이상 상태인 것을 표시함과 함께 무인 반송차(1)를 이상 정지시킨다. 셧 다운 임계값은, 무인 반송차(1)의 주행 상태 등에 따라서 변경되는 임계값이며, 통상 3.0V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무인 반송차(1)가 주행 루트(R)의 조립 스테이션(BS)을 통과하고 있을 때는, 셧 다운 임계값은 3.0V보다 낮은 설정값, 예를 들어 2.8V로 설정된다.
즉, 충방전 모니터(11)는 조립 스테이션(BS)의 입구 위치에 설치된 지상국(4)으로부터 송신된 셧 다운 금지 커맨드를, 통신 수단(14)을 통해서 수신했을 때, 셧 다운 임계값을 3.0V에서 2.8V로 변경한다. 또한, 충방전 모니터(11)는 조립 스테이션(BS)의 출구 위치에 설치된 지상국(4)으로부터 송신된 셧 다운 금지 해제 커맨드를, 통신 수단(14)을 통해서 수신했을 때, 셧 다운 임계값을 2.8V에서 3.0V로 변경한다. 이와 같이 셧 다운 임계값을 변경함으로써, 조립 스테이션(BS) 영역 내에서의 무인 반송차(1)의 이상 정지의 발생 빈도를 억제할 수 있다.
무인 반송차(1)는 배터리(B)의 전력을 이용해서 주행하기 때문에, 주행한 만큼 배터리(B)의 충전 용량(배터리 전압)은 저하된다. 그로 인해, 무인 반송차(1)를 충전 스테이션(CS)에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자동 충전기(3)에 의해 배터리(B)의 충전이 행해진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충전기(3)는 전압을 배터리(B)의 상한 전압(예를 들어 25.02V)까지 승압 가능한 직류 전원(21)과, 직류 전원(21)으로부터 배터리(B)에 공급하는 충전 전류값 및 충전 전압값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 장치(20)와, 무인 반송차(1)의 통신 수단(14)과 통신 가능한 통신 수단(24)을 구비한다. 통신 수단(24)은 무인 반송차(1)의 통신 수단(14)과의 사이에서, 각종 배터리 상태 정보를 주고받는다.
충전을 행할지 여부는, 무인 반송차(1)의 배터리(B)의 배터리 전압에 기초해서 판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충전 스테이션(CS)이, 현재의 배터리(B)의 배터리 전압이 충전을 필요로 하고 있는지 여부, 즉 배터리 전압이 충전 불필요 임계 전압보다 저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무인 반송차(1)의 배터리(B)가 자동 충전기(3)로부터 충전된다.
충전 불필요 임계 전압은, 배터리(B)의 과충전 전압과 과방전 전압 사이의 전압, 예를 들어 24.9V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충전 불필요 임계 전압보다도 배터리(B)의 배터리 전압이 낮을 때 배터리(B)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정되고, 충전 불필요 임계 전압보다도 배터리 전압이 높을 때 배터리(B)의 충전이 불필요하다고 판정된다. 또한, 과방전 전압과 충전 불필요 임계 전압의 전압차를 충분히 크게 함으로써, 배터리(B)가 과방전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배터리(B)를 보호할 수 있다.
배터리(B)의 충전 시에는, 자동 충전기(3)의 급전 컨택터(23)를 무인 반송차(1)의 수전 컨택터(13)를 향해서 신장시켜서, 급전 컨택터(23)와 수전 컨택터(13)를 접속한다. 이와 같이 급전 컨택터(23)와 수전 컨택터(13)가 접속됨으로써, 자동 충전기(3)의 직류 전원(21)으로부터 배터리(B)에 충전 전력이 공급된다. 충전 제어 장치(20)는 정전류·정전압 방식의 보통 충전을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될 뿐만 아니라, 보통 충전 시의 충전 전류보다도 큰 충전 전류를 배터리(B)에 공급하는 정전류·정전압 방식의 급속 충전을 실행할 수 있게 구성된다. 급속 충전은 단시간의 충전을 필요로 하는 무인 반송차(1)의 배터리 충전에 적합하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충전 제어 장치(20)는 급속 충전을 실행한다.
충전 제어 장치(20)는 배터리(B)가 만충전으로 되기 전에, 충전을 정지시키는 것도 가능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제어 장치(20)는 무인 반송차(1)의 배터리 전압이 충전 불필요 임계 전압까지 상승한 시점에서 배터리(B)에의 충전을 정지하는 부분 충전을 행한다. 또한, 충전 제어 장치(20)는 정전류·정전압 방식의 충전을 미리 설정한 소정 시간만큼 실행하고, 소정 시간 경과 시에 배터리(B)에의 충전을 정지하는 부분 충전을 행한다.
그런데, 무인 반송차(1)에 탑재되는 배터리 유닛(5)에서는, 배터리 케이스(BC) 내의 습도나 온도, 기후 조건 등에 따라서는, 배터리 케이스(BC)의 내면에 결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결로가 배터리 케이스(BC)의 내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등으로 해서, 배터리(B)나 전기 부품 등에 부착되면,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인 반송차(1)의 배터리 유닛(5)은 배터리 케이스(BC) 내의 결로가 배터리(B)나 전기 부품 등에 부착되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무인 반송차(1)의 차체(6)에 탑재된 배터리 유닛(5)의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인 반송차(1)의 차체(6)의 중앙 위치에는, 차량 전후 방향 등으로 연장되는 차체 프레임에 의해 구획된 탑재 스페이스(6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탑재 스페이스(6A) 내에 배터리 유닛(5)이 수납되어 있다. 배터리 유닛(5)은 도시하지 않은 고정 수단에 의해, 탑재 스페이스(6A)에 고정된다. 배터리 유닛(5)은 배터리 케이스(BC)를 갖고 있으며, 배터리 케이스(BC)는 케이스벽에 의해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충전 시에 자동 충전기(3)와 대향하는 배터리 케이스(BC)의 차량 우측면측의 케이스벽(케이스 측벽면)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6)의 탑재 스페이스(6A)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배터리 케이스(BC)의 케이스 측벽면에는, 수전 컨택터(13)와, 통신 수단(14)과, 배터리(B)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15)가 노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케이스(BC)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종벽으로서의 종벽 브래킷(25)이 설치되어 있다. 종벽 브래킷(25)은 배터리 케이스(BC)의 저면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 세워 설치하도록 고정됨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벽 부재이다. 배터리 케이스(BC)의 내부이며 종벽 브래킷(25)보다도 안측의 영역[종벽 브래킷(25)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 중 케이스 측벽면에서 먼 측의 영역]에는, 배터리(B)를 구성하는 전지 모듈(BM)이 상하 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케이스(BC)의 내부이며 종벽 브래킷(25)보다도 전방측의 영역[종벽 브래킷(25)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 중 케이스 측벽면에 가까운 측의 영역]에는, 배터리 케이스(BC)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수전 컨택터(13)나 통신 수단(14), 표시 장치(15), 파워 릴레이(26) 등의 전기 부품이 배치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벽 브래킷(25)의 상부에는, 한 쌍의 수평 빔 브래킷(27)이 설치된다. 한 쌍의 수평 빔 브래킷(27)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수평 빔 브래킷(27)의 기단부는 종벽 브래킷(25)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수평 빔 브래킷(27)의 선단은 배터리 케이스(BC)의 안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수평 빔 브래킷(27)의 상면에는 1매의 지지판재(28)가 설치되어 있고, 지지판재(28)의 상면에는 충방전 모니터(11)를 구성하는 제어 기판(11A) 등이 적재되어 있다. 또한, 수평 빔 브래킷(27)의 하방에 전지 모듈(BM)이 배치되어 있고, 지지판재(28)는 배터리(B)의 상방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3개의 전지 모듈(BM)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고, 상하에 인접하는 전지 모듈(BM)끼리 전방측 단부 사이 및 후방측 단부 사이에는 스페이서(29)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각 전지 모듈(BM)은 스페이서(29)를 통해서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전지 모듈(BM)간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에 의해, 전지 모듈(BM)의 충전이나 방전에 의한 온도 상승에 기인하는 적층 방향의 열팽창이 허용된다. 또한, 전지 모듈(BM)간의 간극을 공기가 통과하기 때문에, 전지 모듈(BM)의 온도 상승에 수반하는 방열을 촉진시킬 수 있다.
최하부에 배치되는 전지 모듈(BM)의 하면(저면)과 배터리 케이스(BC)의 저면 사이에는 이격부재인 칼라 슬리브(30)가 배치되어 있고, 최하부의 전지 모듈(BM)의 하면은 배터리 케이스(BC)의 저면으로부터 들뜬 상태로 되어 있다. 이들 3개의 전지 모듈(BM)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 구멍(32)을 갖고 있으며, 각 전지 모듈(BM)의 고정 구멍(32) 및 이격부재인 칼라 슬리브(30)를 삽입 관통하는 고정 볼트(31)에 의해 전지 모듈(BM)과 배터리 케이스(BC)가 고정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된 전지 모듈(BM)은 버스 바(BB)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최상부 및 최하부에 위치하는 전지 모듈(BM)의 출력 단자에 접속하는 버스 바(BB)는 수전 컨택터(1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최상부 및 최하부에 위치하는 전지 모듈(BM)의 출력 단자와 수전 컨택터(13)를 접속하는 버스 바(BB)는, 일부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파워 릴레이(26)를 통해서 구동 유닛(8)에 전력을 급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무인 반송차(1)의 배터리 유닛(5)에서는, 배터리 케이스(BC)의 주위 온도의 변화나 배터리 케이스(BC) 내의 습도 등의 조건에 의해, 배터리 케이스(BC)의 내면에 결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배터리 유닛(5)에서는, 배터리 케이스(BC) 내에서 최하부에 설치되는 전지 모듈(BM)은, 이격부재인 칼라 슬리브(30)를 사용해서 케이스 저면으로부터 들뜨게 해서 배치하고 있다. 그로 인해, 배터리 케이스(BC)의 내면에 생긴 결로가 배터리 케이스(BC)의 내면을 통해서 케이스 저면에 저류되었다 하더라도, 결로수가 전지 모듈(BM)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지 모듈(BM)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케이스 저면에 저류된 결로수를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무인 반송차(1)의 배터리 유닛(5)에서는, 파워 릴레이(26), 통신 수단(14), 표시 장치(15) 등의 전기 부품이나 제어 기판(11A)도 배터리 케이스(BC)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전기 부품 등에도 결로수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인 반송차(1)의 배터리 유닛(5)에서는, 배터리(B)를 구성하는 전지 모듈(BM)은, 종벽 브래킷(25), 수평 빔 브래킷(27) 및 지지판재(28)에 의해 구획 형성된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외부로부터, 특히 배터리 유닛(5)의 측면측으로부터 충격이 입력된 경우에도, 종벽 브래킷(25)에 배치된 파워 릴레이(26)나 통신 수단(14), 표시 장치(15) 등의 전기 부품, 지지판재(28)에 배치된 제어 기판(11A)이 전지 모듈(BM)에 접촉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벽 브래킷(25), 수평 빔 브래킷(27) 및 지지판재(28)에 의해 전지 모듈(BM)을 보호할 수 있어, 전지 모듈(BM)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인 반송차(1)의 배터리 유닛(5)에서는, 종벽 브래킷(25), 수평 빔 브래킷(27) 및 지지판재(28)는 전지 모듈(BM)이 배치되는 공간과, 파워 릴레이(26) 등의 전기 부품 및 제어 기판(11A)이 배치되는 공간을 분리하는 구획벽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이들 전기 부품이나 제어 기판(11A)에, 전지 모듈(BM)의 온도 변화에 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인 반송차(1)의 배터리 유닛(5)에 의하면,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Ⅰ) 무인 반송차(1)의 배터리 유닛(5)은 배터리(B)와, 배터리(B)의 충방전 상태를 감시하는 충방전 모니터(11)를 구성하는 제어 기판(11A)과, 배터리(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파워 릴레이(26) 등의 전기 부품과, 이들 구성 부품 등을 수용하는 배터리 케이스(BC)를 구비한다. 배터리(B)는, 그 저면이 배터리 케이스(BC)의 저면으로부터 이격하도록 배터리 케이스(BC) 내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배터리 케이스(BC) 내에 생긴 결로가 케이스 저면에 저류되었다 하더라도, 결로수가 배터리(B) 등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B)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 케이스 저면에 저류된 결로수를 건조시킬 수 있다.
(Ⅱ) 배터리(B)는 복수의 전지 모듈(BM)을 적층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지 모듈(BM)간에는 간극이 형성되도록 스페이서(29)가 개재 장착된다. 이에 의해, 전지 모듈(BM)의 충전이나 방전에 의한 온도 상승에 기인하는 적층 방향의 열팽창이 허용된다. 또한, 전지 모듈(BM)간의 간극을 공기가 통과하기 때문에, 전지 모듈(BM)의 온도 상승에 수반하는 방열을 촉진시킬 수 있다.
(Ⅲ) 무인 반송차(1)의 측부측 배터리 케이스(BC)의 케이스벽(측벽면)은 차체(6)의 탑재 스페이스(6A)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배터리 케이스(BC) 내에는 측벽면에 대향하도록 케이스 저면으로부터 세워 설치하는 종벽 브래킷(25)이 설치되어 있다. 종벽 브래킷(25)보다도 배터리 케이스(BC)의 안측에 배터리(B)가 배치되고, 종벽 브래킷(25)보다도 전방측에 전기 부품이 배치된다. 이로 인해, 외부에 노출되는 배터리 케이스(BC)의 측벽면으로부터 충격이 입력된 경우에도, 종벽 브래킷(25)에 배치된 파워 릴레이(26) 등의 전기 부품이 전지 모듈(BM)에 접촉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지 모듈(BM)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지 모듈(BM)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전기 부품이나 제어 기판(11A)에, 전지 모듈(BM)의 온도 변화에 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Ⅳ) 종벽 브래킷(25)의 상부에는 수평 빔 브래킷(27)이 설치되어 있고, 수평 빔 브래킷(27)에는 배터리(B)의 상방을 덮는 지지판재(28)가 배치되어 있다. 충방전 모니터(11)를 구성하는 제어 기판(11A)은, 지지판재(28)의 상면에 적재되어 있다. 이로 인해, 외부에 노출되는 배터리 케이스(BC)의 측벽면으로부터 충격이 입력된 경우에도, 지지판재(28) 위에 배치된 제어 기판(11A)이 전지 모듈(BM)에 접촉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지 모듈(BM)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지 모듈(BM)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어 기판(11A)에, 전지 모듈(BM)의 온도 변화에 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Ⅴ) 충방전 모니터(11)는 배터리(B)를 구성하는 복수의 전지 모듈(BM)의 전압을 감시하고, 어느 하나의 전지 모듈(BM)의 전압이 미리 설정한 설정 전압값 이하로 된 경우, 배터리(B)가 이상 상태인 것을 표시함과 함께 무인 반송차(1)를 이상 정지시킨다. 무인 반송차(1)가 조립 스테이션(BS)의 영역 내를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른 영역을 주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설정 전압값을 저하시킨다. 이로 인해, 무인 반송차(1)가 조립 스테이션(BS)의 영역 내를 주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무인 반송차(1)의 이상 정지의 발생 빈도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 형태의 구체적 구성에 한정한다는 취지는 아니다.
본원은 2012년 8월 2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JP2012-171715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들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Claims (5)

  1. 무인 반송차의 배터리 유닛이며,
    상기 무인 반송차의 차체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갖는 배터리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를 감시하는 충방전 모니터를 구성하는 제어 기판과,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부품과,
    상기 배터리의 저면이 상기 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이격하도록 상기 배터리의 저면과 상기 케이스의 저면 사이에 배치되는 이격 부재와,
    상기 배터리의 구멍과 상기 이격 부재를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를 상기 케이스에 고정하는 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케이스 측벽면이 외부로 노출하도록 상기 무인 반송차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는, 상기 케이스 측벽면에 대향하도록 케이스 저면으로부터 세워 설치하는 종벽 브래킷이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케이스 측벽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이며, 상기 종벽 브래킷보다도 상기 케이스의 안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 부품은, 상기 케이스 측벽면에 가까운 위치이며, 상기 종벽 브래킷보다도 상기 케이스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종벽 브래킷의 상부에는 수평 빔 브래킷이 고정되고,
    상기 수평 빔 브래킷에는 상기 배터리의 상방을 덮도록 지지판재가 배치되며,
    상기 제어 기판은 상기 지지판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무인 반송차의 배터리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리튬 이온 전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전지 모듈을 적층해서 구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상기 전지 모듈간에는, 간극이 형성되도록 스페이서가 개재 장착되는, 무인 반송차의 배터리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부재는, 통 형상의 슬리브인, 무인 반송차의 배터리 유닛.
  4. 삭제
  5. 삭제
KR1020157003229A 2012-08-02 2013-07-31 무인 반송차의 배터리 유닛 KR101741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71715 2012-08-02
JP2012171715 2012-08-02
PCT/JP2013/070739 WO2014021379A1 (ja) 2012-08-02 2013-07-31 無人搬送車のバッテリ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329A KR20150031329A (ko) 2015-03-23
KR101741341B1 true KR101741341B1 (ko) 2017-05-29

Family

ID=5002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3229A KR101741341B1 (ko) 2012-08-02 2013-07-31 무인 반송차의 배터리 유닛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698393B2 (ko)
EP (1) EP2882009B1 (ko)
JP (1) JP5994857B2 (ko)
KR (1) KR101741341B1 (ko)
CN (1) CN104508859B (ko)
BR (1) BR112015002201B1 (ko)
MX (1) MX338350B (ko)
MY (1) MY154359A (ko)
RU (1) RU2569935C1 (ko)
WO (1) WO20140213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2567B2 (en) * 2015-05-26 2019-04-30 The Aes Corporation Automated robotic battery tug
USD857072S1 (en) * 2016-01-22 2019-08-20 Symbotic, LLC Automated guided vehicle
USD879173S1 (en) * 2017-02-14 2020-03-24 Beijing Jingdong Shangke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Shuttle vehicle
USD871474S1 (en) * 2017-02-17 2019-12-31 Safelog Gmbh Automated guided vehicle
USD891493S1 (en) * 2018-05-15 2020-07-28 Beijing Jingdong Shangke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Shuttle car for automatic storage system
US11401053B2 (en) * 2018-12-20 2022-08-02 The Boeing Company Autonomous control of electric power supplied to a thruster during electric orbit raising
US11753188B2 (en) 2018-12-20 2023-09-12 The Boeing Company Optimized power balanced low thrust transfer orbits utilizing split thruster execution
US11396388B2 (en) 2018-12-20 2022-07-26 The Boeing Company Optimized power balanced variable thrust transfer orbits to minimize an electric orbit raising duration
RU2726164C1 (ru) * 2019-12-30 2020-07-09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Энергия" Аккумуляторный блок
RU2764402C1 (ru) * 2020-10-29 2022-01-1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Орион» Световая установка
RU202293U1 (ru) * 2020-11-10 2021-02-10 Сергей Андреевич Липицкий Аккумулятор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функцией диагностики и резервировани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3733A (ja) * 2005-04-07 2006-11-16 Nissan Motor Co Ltd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組電池
US20070017720A1 (en) 2005-07-25 2007-01-25 Kazuhiro Fujii Battery device of vehicle power supply
JP2008277050A (ja) 2007-04-26 2008-11-13 Toyota Motor Corp 電源装置
JP2009143446A (ja) * 2007-12-14 2009-07-02 Mitsubishi Motors Corp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ユニット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413Y2 (ja) * 1988-08-10 1995-07-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バッテリ式産業車両の水抜き構造
JP2977206B2 (ja) 1989-07-04 1999-11-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人搬送車輌用のバッテリー、バッテリーを用いた無人搬送車輌および無人搬送車輌用のバッテリーの自動充電装置並びにその自動充電方法
RU2086052C1 (ru) * 1996-01-17 1997-07-27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закрытого типа "Подольский аккумуляторный завод" Аккумуляторная батарея (вариант)
JP2006024445A (ja) 2004-07-08 2006-01-26 Toyota Motor Corp 組電池および電源装置
KR20060091948A (ko) 2005-02-16 2006-08-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 트레이
JP2007074800A (ja) 2005-09-06 2007-03-22 Tsubakimoto Chain Co 無人搬送車の電池充放電管理システム
US8026698B2 (en) * 2006-02-09 2011-09-27 Scheucher Karl F Scalable intelligent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JP4961876B2 (ja) 2006-02-15 2012-06-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冷却構造
JP2007287494A (ja) * 2006-04-18 2007-11-01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バッテリー装置
JP4812529B2 (ja) 2006-06-14 2011-1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装置および車両
KR100863729B1 (ko) 2006-09-18 2008-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인터페이스
RU2425436C2 (ru) * 2006-10-13 2011-07-27 Энердел, Инк. Батарея с устройством контроля температуры
JP5212011B2 (ja) * 2008-10-22 2013-06-19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バッテリ搭載車
KR101065306B1 (ko) * 2009-12-22 2011-09-16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9308829B2 (en) * 2011-10-28 2016-04-12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Straddle electric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3733A (ja) * 2005-04-07 2006-11-16 Nissan Motor Co Ltd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組電池
US20070017720A1 (en) 2005-07-25 2007-01-25 Kazuhiro Fujii Battery device of vehicle power supply
JP2008277050A (ja) 2007-04-26 2008-11-13 Toyota Motor Corp 電源装置
JP2009143446A (ja) * 2007-12-14 2009-07-02 Mitsubishi Motors Corp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ユニット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4021379A1 (ja) 2016-07-21
BR112015002201B1 (pt) 2021-08-10
KR20150031329A (ko) 2015-03-23
EP2882009A1 (en) 2015-06-10
MY154359A (en) 2015-06-01
US20150243949A1 (en) 2015-08-27
RU2569935C1 (ru) 2015-12-10
CN104508859A (zh) 2015-04-08
JP5994857B2 (ja) 2016-09-21
BR112015002201A2 (pt) 2017-07-04
US9698393B2 (en) 2017-07-04
EP2882009A4 (en) 2015-07-15
EP2882009B1 (en) 2017-06-28
WO2014021379A1 (ja) 2014-02-06
MX2015001432A (es) 2015-05-15
MX338350B (es) 2016-04-13
CN104508859B (zh)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341B1 (ko) 무인 반송차의 배터리 유닛
KR101540553B1 (ko) 무인 반송차의 충전 관리 시스템 및 충전 관리 방법
RU2576668C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зарядом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и управляем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9325192B2 (en) Battery charging management system for automated guided vehicle and battery charging management method for automated guided vehicle
US20170182910A1 (en) Multi-battery system for increasing the electric range
KR101592835B1 (ko) 무인 반송차의 이상 검출 시스템
JP6636793B2 (ja) 電池パック
KR101597642B1 (ko) 자기부상열차의 전원시스템
WO2014021364A1 (ja) 無人搬送車の充電管理システム
KR20120033587A (ko) 전기 자동차의 무인 충전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WO2014021414A1 (ja) 無人搬送車のバッテリー管理システム
RU2575705C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зарядом аккумулятора автоматически управляем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зарядом аккумулятора
JP2020092587A (ja) 電池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