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588B1 - 전자 부품 실장 기기의 기판 반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 부품 실장 기기의 기판 반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588B1
KR101735588B1 KR1020157020945A KR20157020945A KR101735588B1 KR 101735588 B1 KR101735588 B1 KR 101735588B1 KR 1020157020945 A KR1020157020945 A KR 1020157020945A KR 20157020945 A KR20157020945 A KR 20157020945A KR 101735588 B1 KR101735588 B1 KR 101735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printed board
downstream
upstream
moun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0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3251A (ko
Inventor
요시타카 나리타
카즈아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3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3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15Orientation; Alignment; Positio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61Accumulating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프린트 기판(2)을 수평한 제 1 방향으로 반송하는 실장 기기 컨베이어(8)와, 상류측 컨베이어(6)와, 하류측 컨베이어(7)와, 버퍼 컨베이어를 구비한다. 실장 기기 컨베이어(8)는 프린트 기판(2)을 반송 방향과는 직교하는 수평한 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상류측 컨베이어(6)는 하류측 컨베이어(7)와는 Y 방향으로 이간되어 배치된다. 버퍼 컨베이어는 프린트 기판(2)을 제 1 방향으로 반송하는 기능과 프린트 기판(2)을 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실장 기기 컨베이어(8)와 버퍼 컨베이어가 Y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들 컨베이어의 한쪽 컨베이어로부터 다른쪽의 컨베이어로 프린트 기판(2)이 갈아탄다. 프린트 기판(2)의 반입 위치와 반출 위치가 반송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기판 반송 시스템(1)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2)의 반송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전자 부품 실장 기기의 기판 반송 시스템{SUBSTRATE CONVEYING SYSTEM OF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전자 부품 실장 장치나 프린트 기판용 땝납 인쇄 장치 등에 프린트 기판을 반송하기 위한 전자 부품 실장 기기의 기판 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 부품 실장 장치나 프린트 기판용 땜납 인쇄 장치 등의 전자 부품 실장 기기에 프린트 기판을 반송하기 위한 기판 반송 시스템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기판 반송 시스템은 스크린 인쇄 장치와, 이 스크린 인쇄 장치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도포, 검사 장치 사이에 기판 분배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기판 분배 장치는 프린트 기판을 반송 방향과는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크린 인쇄 장치에 의해서 땜납이 도포된 프린트 기판은 스크린 인쇄기로부터 기판 분배 장치로 이송된다. 그리고, 이 프린트 기판은 상기 기판 분배 장치에 의해서 반송 방향과는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진 후, 상기 도포, 검사 장치로 반송된다.
일본 특허 제4883071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전자 부품 실장 기기의 기판 반송 시스템에서는 프린트 기판의 반송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 이유는, 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 장치에 있어서 인쇄 종료 후의 프린트 기판을 하류측의 기판 분배 장치로 신속하게 반출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기판 분배 장치는 프린트 기판을 도포, 검사 장치로 이송하지 않으면, 다음 프린트 기판을 스크린 인쇄 장치로부터 반입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다. 이 때문에, 상기 도포, 검사 장치에서 프린트 기판의 반입이 허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기판 분배 장치에 프린트 기판이 유지되게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린 인쇄기에서 프린트 기판이 체류하게 된다.
즉, 특허문헌 1 기재의 기판 반송 시스템에서는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의 반입과 반출을 동시에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의 반송 효율이 낮아져 버린다. 이러한 프린트 기판의 체류에 기인하는 문제는 스크린 인쇄 장치뿐만 아니라 도포, 검사 장치나 전자 부품 실장 장치 등의 다른 전자 부품 실장 기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프린트 기판의 반입 위치와 반출 위치가 반송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기판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을 효율적으로 반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자 부품 실장 기기의 기판 반송 시스템은 프린트 기판을 전자 부품 실장 기기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수평한 제 1 방향으로 반송하는 실장 기기 컨베이어와, 상기 전자 부품 실장 기기보다 상기 프린트 기판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류측 장치로부터 상기 프린트 기판을 반출시키는 상류측 컨베이어와, 상기 전자 부품 실장 기기보다 상기 프린트 기판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장치에 상기 프린트 기판을 반입시키는 하류측 컨베이어와, 상기 상류측 컨베이어와 하류측 컨베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한쪽과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버퍼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는 상기 프린트 기판을 상기 반송 방향과는 직교하는 수평한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고, 상기 상류측 컨베이어는 상기 하류측 컨베이어와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간되어 배치되고, 상기 버퍼 컨베이어는 상기 프린트 기판을 상기 제 1 방향으로 반송하는 기능과 상기 프린트 기판을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고,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와 상기 버퍼 컨베이어가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들 컨베이어의 한쪽 컨베이어로부터 다른쪽 컨베이어로 프린트 기판이 갈아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버퍼 컨베이어는 상기 하류측 컨베이어와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된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는 반출 가능한 프린트 기판을 갖고 있는 상태이며 또한 상기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가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프린트 기판을 반출하는 반출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반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버퍼 컨베이어는 상기 하류측 컨베이어와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된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는 반출 가능한 프린트 기판을 갖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프린트 기판 반출 공정의 다음 공정이 실시되는 다음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며, 상기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는 프린트 기판이 적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다음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버퍼 컨베이어는 상기 상류측 컨베이어와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된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는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가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프린트 기판을 반출하는 반출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반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버퍼 컨베이어는 상기 상류측 컨베이어와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된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는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가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전자 부품 실장 기기에 의한 작업이 실시되는 작업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작업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류측 장치로부터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로 반입되는 프린트 기판이나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하류측 장치로 반출되는 프린트 기판을 버퍼 컨베이어에 일시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프린트 기판의 반송이 적체되는 것을 버퍼 컨베이어를 이용해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린트 기판의 반입 위치와 반출 위치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기판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의 반송 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 부품 실장 기기의 기판 반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부품 실장 기기의 기판 반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제어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장 기기 컨베이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실장 기기 컨베이어와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은 실장 기기 컨베이어와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실장 기기 컨베이어와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실장 기기 컨베이어와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 부품 실장 기기의 기판 반송 시스템의 일실시형태를 도 1~도 10에 의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기판 반송 시스템(1)은 프린트 기판(2)을 상류측 장치(3)로부터 전자 부품 실장 기기(4)로 이송하며, 이 전자 부품 실장 기기(4)에 있어서 작업이 종료된 후에 전자 부품 실장 기기(4)로부터 하류측 장치(5)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프린트 기판(2)은 이 기판 반송 시스템(1)에 의해서 상기 상류측 장치(3)보다 상기 하류측 장치(5)를 향해서 수평한 제 1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이 제 1 방향을 단지 X 방향이라고 한다.
상기 상류측 장치(3)는 후술하는 전자 부품 실장 기기(4)에서 실시되는 공정의 앞 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 상류측 장치(3)는 상기 전자 부품 실장 기기(4)보다 상기 프린트 기판(2)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상류측 장치(3)는 프린트 기판(2)을 반출하기 위한 상류측 컨베이어(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류측 장치(5)는 상기 전자 부품 실장 기기(4)에서 실시되는 공정의 후 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 하류측 장치(5)는 상기 전자 부품 실장 기기(4)로부터 상기 프린트 기판(2)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하류측 장치(5)는 프린트 기판(2)을 반입하기 위한 하류측 컨베이어(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류측 컨베이어(6)는 이 하류측 컨베이어(7)와는 상기 X 방향과는 직교하는 수평한 제 2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이 제 2의 방향을 단지 Y 방향이라고 한다.
상기 전자 부품 실장 기기(4)는 프린트 기판(2)을 이용하여 어떠한 작업을 행하는 기기이다. 이 전자 부품 실장 기기(4)로서는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프린트 기판(2)에 땝납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스크린 인쇄 장치나, 프린트 기판(2)에 전자 부품을 실장하는 전자 부품 실장 장치 등이 있다. 이 전자 부품 실장 기기(4)는 프린트 기판(2)을 이 전자 부품 실장 기기(4)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상기 X 방향으로 반송하는 실장 기기 컨베이어(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장 기기 컨베이어(8)는 상기 프린트 기판(2)을 상기 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실장 기기 컨베이어(8)는 상기 Y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컨베이어(6)와 같은 위치와 상기 하류측 컨베이어(7)와 같은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전자 부품 실장 기기(4)는 실장 기기 컨베이어(8)가 Y 방향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있어서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프린트 기판(2)에 대하여 작업을 행한다. 이 작업이란 전자 부품 실장 기기(4)가, 예를 들면 전자 부품 실장 장치인 경우에는 전자 부품의 실장이다.
상기 상류측 컨베이어(6)와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8) 사이에는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류측 컨베이어(7)와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8) 사이에는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들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와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에 의해서 본 발명에서 말하는 「버퍼 컨베이어」가 구성되어 있다.
이들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와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는 상기 프린트 기판(2)을 상기 X 방향으로 반송하는 기능과, 상기 프린트 기판(2)을 상기 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들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와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는 상기 Y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컨베이어(6)와 같은 위치와 상기 하류측 컨베이어(7)와 같은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가 Y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컨베이어(6)와 동일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2)이 상류측 컨베이어(6)로부터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로 갈아탈 수 있다.
상기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가 Y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8)와 동일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2)이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로부터 실장 기기 컨베이어(8)로 갈아탈 수 있다.
상기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가 Y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8)와 동일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2)이 실장 기기 컨베이어(8)로부터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로 갈아탈 수 있다.
상기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가 Y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류측 컨베이어(7)와 동일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2)이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로부터 하류측 컨베이어(7)로 갈아탈 수 있다.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8)와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와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의 동작은 전자 부품 실장 기기(4)의 제어 장치(13)(도 3 참조)에 의해서 제어된다.
이들 컨베이어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연계해서 동작함으로써 복수의 프린트 기판(2)을 반송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도 1은 실장 기기 컨베이어(8)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2)의 반입과 반출이 동시에 행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실장 기기 컨베이어(8)로의 프린트 기판(2)의 반입은 상류측 컨베이어(6)로부터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로 이송된 프린트 기판(2)을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로부터 실장 기기 컨베이어(8)로 이송함으로써 행해진다.
실장 기기 컨베이어(8)로부터의 프린트 기판(2)의 반출은 실장 기기 컨베이어(8)로부터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로 프린트 기판(2)을 이송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1에 나타내는 「반입 위치」는 Y 방향에 있어서 상류측 컨베이어(6)와 동일한 위치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반출 위치」는 Y 방향에 있어서 하류측 컨베이어(7)와 동일한 위치이다.
실장 기기 컨베이어(8)에 반입된 프린트 기판(2)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장 기기 컨베이어(8)의 반송 방향(X 방향)의 중앙부로 이송되고, 전자 부품 실장 기기(4)에 의해서 전자 부품의 실장 등의 작업이 실시된다. 실장 기기 컨베이어(8)로부터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로 이송된 프린트 기판(2)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가 Y 방향에 있어서 하류측 컨베이어(7)와 동일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로부터 하류측 컨베이어(7)로 이송된다.
이어서, 실장 기기 컨베이어(8)와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 및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의 동작을 도 4~도 6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와, 도 7~도 10에 나타내는 모식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장 기기 컨베이어(8)가 프린트 기판(2)을 반출할 때에는 도 4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의 스텝 S1~스텝 S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가 프린트 기판(2)의 반출을 대기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제어 장치(13)가 판별한다. 하류측 컨베이어(7)에 프린트 기판(2)이 잔존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NO」라고 판별되어서 스텝 S3으로 나아간다. 실장 기기 컨베이어(8)는 스텝 S3에 있어서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가 실장 기기 컨베이어(8)의 하류측으로 이동할 때까지 대기하고, 그 후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에 프린트 기판(2)을 이송한다.
상기 스텝 S2에서 「YES」로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S4에 있어서 제어 장치(13)가 실장 기기 컨베이어(8) 내에 다음 프린트 기판(2)이 이송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 때, 도 7의 상반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장 기기 컨베이어(8) 내의 대기 위치(8a)에 다음 프린트 기판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스텝 S4에서 「NO」라고 판별되어서 스텝 S5로 나아간다. 스텝 S5에 있어서는 도 7의 하반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장 기기 컨베이어(8)가 Y 방향에 있어서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와 동일 위치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스텝 S4에서 「YES」라고 판별된 경우, 즉 도 8의 상반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장 기기 컨베이어(8) 내에 작업 종료 후의 프린트 기판(2a)과 다음에 작업이 실시되는 프린트 기판(2b)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6으로 나아간다. 스텝 S6에 있어서는 도 8의 하반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장 기기 컨베이어(8)가 Y 방향의 다음 위치로 이동한다. 이 「다음 위치」는 Y 방향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 반출 공정의 다음 공정이 실시되는 위치이다.
이 전자 부품 실장 기기(4)가 전자 부품 실장 장치인 경우의 「다음 위치」로서는, 예를 들면 프린트 기판(2)을 카메라(도시하지 않음)로 인식하는 위치가 예시된다. 또한, 이 「다음 위치」는 전자 부품 실장 기기(4)마다 다르다.
실장 기기 컨베이어(8)가 이와 같이 「다음 위치」로 이동한 후, 프린트 기판(2)의 반출을 종료한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가 Y 방향에 있어서 실장 기기 컨베이어(8)와 동일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프린트 기판(2a)이 실장 기기 컨베이어(8)로부터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로 이송된다.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는 도 5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작한다. 실장 기기 컨베이어(8)로부터 프린트 기판(2)이 이송된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는, 도 5의 플로우차트의 스텝 S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류측 컨베이어(7)와 인접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프린트 기판(2)의 반출 개시를 대기하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는 스텝 S11~스텝 S1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류측 장치(5)로부터 기판 반출 허가 신호가 제어 장치(13)에 입력된 후 제어 장치(13)에 의한 제어에 의해서 프린트 기판(2)을 반출하는 동작을 개시한다.
이 반출 동작이 완료된 후 스텝 S14에 있어서 제어 장치(13)가 실장 기기 컨베이어(8)의 위치를 확인하고, 스텝 S15에 있어서 제어 장치(13)가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를 Y 방향에 있어서 실장 기기 컨베이어(8)와 동일 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는 도 8의 상반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2)을 반출한 후, 도 8의 하반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 방향에 있어서 실장 기기 컨베이어(8)와 인접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실장 기기 컨베이어(8)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반입 위치에 위치되어 있던 경우,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는 반입 위치로 이동한다.
이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는 스텝 S16~스텝 S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 방향에 있어서 실장 기기 컨베이어(8)와 동일 위치(실장 기기 컨베이어(8)와 인접하는 위치)로 이동한 후, 실장 기기 컨베이어(8)로부터 이송된 프린트 기판(2)을 반입할 수 있는 상태에서 대기한다.
상기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는 도 6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작한다. 상류측 컨베이어(6)로부터 프린트 기판(2)이 이송된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는, 도 6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의 스텝 S100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2)을 반출하는 동작을 개시한다. 이어서, 스텝 S101에 있어서 제어 장치(13)가 실장 기기 컨베이어(8)의 위치를 확인하고, 실장 기기 컨베이어(8)가 프린트 기판(2)을 반입할 수 있는 상태로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프린트 기판(2)을 반입할 수 있는 상태」란 실장 기기 컨베이어(8)의 대기 위치(8a)에 프린트 기판(2)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고 또한 실장 기기 컨베이어(8)가 Y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반출이나 작업 등에 의해 정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9의 상반부는 실장 기기 컨베이어(8)가 반출 위치로 이동하고, 프린트 기판(2)을 하류측으로 반출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상반부는 실장 기기 컨베이어(8)가 작업 위치로 이동하고, 작업이 종료된 후에 프린트 기판(2)이 하류측으로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 장치(13)는 이와 같이 실장 기기 컨베이어(8)가 프린트 기판(2)을 반입할 수 있는 상태인 경우에, 스텝 S103에 있어서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를 Y 방향에 있어서 실장 기기 컨베이어(8)와 동일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장 기기 컨베이어(8)가 이미 인접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있던 경우에는, 이동하지 않고 그 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또한, 실장 기기 컨베이어(8)가 도 9의 상반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출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는 도 9의 하반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반출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실장 기기 컨베이어(8)가 도 10의 상반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는 도 10의 하반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작업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는 Y 방향에 있어서 실장 기기 컨베이어(8)와 동일 위치로 이동한 후, 스텝 S104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2)을 반출시키는 동작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 부품 실장 기기(4)의 기판 반송 시스템(1)에 의하면, 상기 상류측 장치(3)로부터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8)로 반입되는 프린트 기판(2)이나,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8)로부터 상기 하류측 장치(5)로 반출되는 프린트 기판(2)을 버퍼 컨베이어[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 또는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에 일시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프린트 기판(2)의 반송이 적체되는 것을 상기 버퍼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린트 기판(2)의 반입 위치와 반출 위치가 상기 Y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기판 반송 시스템(1)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2)의 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상기 버퍼 컨베이어는 상기 하류측 컨베이어(7)와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8) 사이에 설치된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8)는 반출 가능한 프린트 기판(2)을 갖고 있는 상태이며 또한 상기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가 상기 Y 방향에 있어서의 프린트 기판(2)을 반출하는 반출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Y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반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프린트 기판(2)을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로부터 하류측 컨베이어(7)로 이송하는 동작과, 프린트 기판(2)을 실장 기기 컨베이어(8)로부터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로 이송하는 동작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린트 기판(2)의 반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 가능한 전자 부품 실장 기기(4)의 기판 반송 시스템(1)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8)는 반출 가능한 프린트 기판(2)을 갖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Y 방향에 있어서의 프린트 기판 반출 공정의 다음 공정이 실시되는 다음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한 상기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는 프린트 기판(2)이 적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Y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다음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가 실장 기기 컨베이어(8)의 이동에 추종한다. 이 때문에, 전자 부품 실장 기기 내의 프린트 기판(2)은 전자 부품 실장 기기의 작업 공정이 순차 실시되는 도중에 실장 기기 컨베이어(8)로부터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로 반출된다. 따라서, 실장 기기 컨베이어(8)의 Y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가 최소한으로 되어 프린트 기판(2)의 반송이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상기 버퍼 컨베이어는 상기 상류측 컨베이어(6)와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8) 사이에 설치된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는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8)가 상기 Y 방향에 있어서의 프린트 기판(2)을 반출하는 반출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반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린트 기판(2)이 실장 기기 컨베이어(8)로부터 반출될 때에 다음 프린트 기판(2)이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로부터 실장 기기 컨베이어(8)로 이송된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실장 기기 컨베이어(8)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2)의 반입과 반출을 동시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프린트 기판(2)의 반송이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상기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는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8)가 상기 Y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전자 부품 실장 기기(4)에 의한 작업이 실시되는 작업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작업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실장 기기 컨베이어(8)에 있어서 상기 작업이 종료된 프린트 기판(2)이 반출될 때에 다음 프린트 기판(2)을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로부터 실장 기기 컨베이어(8)로 이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실장 기기 컨베이어(8)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2)의 반입과 반출을 동시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프린트 기판(2)의 반송이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와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를 구비한 기판 반송 시스템(1)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원 발명은 이러한 한정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원 발명에 의한 기판 반송 시스템(1)은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11)와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12) 중 한쪽만을 장착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1…기판 반송 시스템 2…프린트 기판
3…상류측 장치 4…전자 부품 실장 기기
5…하류측 장치 6…상류측 컨베이어
7…하류측 컨베이어 8…실장 기기 컨베이어
11…상류측 버퍼 컨베이어 12…하류측 버퍼 컨베이어

Claims (5)

  1. 프린트 기판을 전자 부품 실장 기기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수평한 제 1 방향으로 반송하는 실장 기기 컨베이어와,
    상기 전자 부품 실장 기기보다 상기 프린트 기판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류측 장치로부터 상기 프린트 기판을 반출시키는 상류측 컨베이어와,
    상기 전자 부품 실장 기기보다 상기 프린트 기판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장치에 상기 프린트 기판을 반입시키는 하류측 컨베이어와,
    상기 상류측 컨베이어와 하류측 컨베이어 중 적어도 어느 한쪽과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버퍼 컨베이어와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 및 상기 버퍼 컨베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는 상기 프린트 기판을 상기 반송 방향과는 직교하는 수평한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고,
    상기 상류측 컨베이어는 상기 하류측 컨베이어와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간되어 배치되고,
    상기 버퍼 컨베이어는 상기 프린트 기판을 상기 제 1 방향으로 반송하는 기능과, 상기 프린트 기판을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고,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와 상기 버퍼 컨베이어가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들 컨베이어의 한쪽의 컨베이어로부터 다른쪽의 컨베이어로 프린트 기판이 갈아타고,
    상기 버퍼 컨베이어는 상기 하류측 컨베이어와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된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하류 측 버퍼 컨베이어가 상기 하류측 컨베이어로 상기 프린트 기판의 반출을 대기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하류 측 버퍼 컨베이어가 상기 프린트 기판의 반출을 대기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 내에 작업 종료 후의 프린트 기판 및 다음에 작업이 실시되는 프린트 기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 내에 상기 작업 종료 후의 프린트 기판 및 상기 다음에 작업이 실시되는 프린트 기판이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를 상기 제 2 방향의 다음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프린트 기판의 반출을 종료한 상기 하류 측 버퍼 컨베이어를 상기 제 2 방향에서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와 동일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다음 위치는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 프린트 기판 반출 공정의 다음 공정이 실시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실장 기기의 기판 반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는 반출 가능한 프린트 기판을 갖고 있는 상태이고 또한 상기 하류측 버퍼 컨베이어가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프린트 기판을 반출하는 반출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반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실장 기기의 기판 반송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컨베이어는 상기 상류측 컨베이어와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된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는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가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프린트 기판을 반출하는 반출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반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실장 기기의 기판 반송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컨베이어는 상기 상류측 컨베이어와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된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상류측 버퍼 컨베이어는 상기 실장 기기 컨베이어가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전자 부품 실장 기기에 의한 작업이 실시되는 작업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작업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실장 기기의 기판 반송 시스템.
KR1020157020945A 2013-02-08 2013-02-08 전자 부품 실장 기기의 기판 반송 시스템 KR101735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53023 WO2014122769A1 (ja) 2013-02-08 2013-02-08 電子部品実装機器の基板搬送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251A KR20150103251A (ko) 2015-09-09
KR101735588B1 true KR101735588B1 (ko) 2017-05-15

Family

ID=51299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945A KR101735588B1 (ko) 2013-02-08 2013-02-08 전자 부품 실장 기기의 기판 반송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68135B2 (ko)
EP (1) EP2955987B1 (ko)
JP (1) JP6084241B2 (ko)
KR (1) KR101735588B1 (ko)
CN (1) CN104982098B (ko)
WO (1) WO20141227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3538B (zh) * 2016-01-12 2020-08-11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元件安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1958A (en) * 1978-08-24 1981-11-24 Fujitsu Limited Arrangement for automatically fabricating and bonding semiconductor devices
JPS61214926A (ja) 1985-03-20 1986-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ブル移動型作業装置
DE4327445C2 (de) * 1993-08-14 1997-09-11 Trauten Karl Lager- und Transportsystem für Lagergüter
KR100363899B1 (ko) 2000-11-24 2002-12-11 미래산업 주식회사 표면실장장치 및 그 방법
KR100363898B1 (ko) 2000-11-24 2002-12-11 미래산업 주식회사 표면실장장치 및 그 방법
JP2002208797A (ja) * 2001-01-10 2002-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実装装置の基板搬送方法
JP4644941B2 (ja) * 2001-01-18 2011-03-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
JP2002271091A (ja) * 2001-03-12 2002-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実装機
US7082680B2 (en) * 2001-11-21 2006-08-01 Mirae Corporation Mounting method of electronic components
JP2005350147A (ja) * 2004-06-08 2005-12-22 Star Techno Kk フリーフロー搬送システム
JP4676879B2 (ja) * 2005-12-29 2011-04-2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搬送機、実装機、印刷機および検査機
DE102006025240A1 (de) * 2006-05-29 2007-12-06 Eisenmann Anlagenbau Gmbh & Co. Kg Rollenbahnsystem sowie Verfahren zu dessen Steuerung
JP4833103B2 (ja) * 2007-02-05 2011-12-0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実装機
JP4582181B2 (ja) * 2008-04-08 2010-11-17 ソニー株式会社 部品実装装置、実装品の製造方法
JP4883071B2 (ja) 2008-10-03 2012-0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システム
US8955664B2 (en) * 2010-06-28 2015-02-17 Pteris Global Ltd. Belt convey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68135B2 (en) 2016-10-11
EP2955987A1 (en) 2015-12-16
JP6084241B2 (ja) 2017-02-22
KR20150103251A (ko) 2015-09-09
CN104982098A (zh) 2015-10-14
EP2955987B1 (en) 2017-01-11
CN104982098B (zh) 2017-10-24
EP2955987A4 (en) 2016-02-17
JPWO2014122769A1 (ja) 2017-01-26
US20150382519A1 (en) 2015-12-31
WO2014122769A1 (ja) 201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6567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並びに搬送装置
JP5536470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4346849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KR101878768B1 (ko) 프린트 기판용 반송장치
WO2014013537A1 (ja) 対基板作業システムおよび作業機
KR101735588B1 (ko) 전자 부품 실장 기기의 기판 반송 시스템
JP6349548B2 (ja) 部品実装ライン及び部品実装装置並びに部品実装方法
JP2005072317A (ja) 実装方法及び装置
JP2004142299A (ja) スクリーン印刷システム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5762239B2 (ja) 基板処理システム、基板供給順序決定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12023114A (ja) 部品実装システム及び部品実装システムにおける基板搬送方法
JP5243397B2 (ja) 実装基板生産装置、部品実装基板搬送装置及び実装基板生産方法
JP5279666B2 (ja) 部品実装機
JP5615025B2 (ja) 基板生産装置および基板作業装置
JP5391882B2 (ja) 搬送装置及び搬送装置制御方法
JP2003204193A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JP2008034547A (ja) 検査方法、検査処理システム、検査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処理装置及び検査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検査装置
JP2017168576A (ja) 表面実装機、プリント基板の搬送方法
JP6285827B2 (ja) 部品実装システム
JP2017130501A (ja) 部品実装方法および部品実装ライン
JP2017130502A (ja) 部品実装方法および部品実装ライン
JP2023121332A (ja) 実装システム、半田ペースト配置装置、フラックス塗布装置、および実装方法
JP2013153226A (ja) 部品実装システムにおける基板搬送方法
JP3341764B2 (ja) 電子部品実装方法
JP2010073828A (ja) 電子部品の装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