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354B1 - 풋웨어의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풋웨어의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354B1
KR101735354B1 KR1020157031310A KR20157031310A KR101735354B1 KR 101735354 B1 KR101735354 B1 KR 101735354B1 KR 1020157031310 A KR1020157031310 A KR 1020157031310A KR 20157031310 A KR20157031310 A KR 20157031310A KR 101735354 B1 KR101735354 B1 KR 101735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stitch
toe
sole
stit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108A (ko
Inventor
가즈미 니시노
다카시 기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50137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 A43B1/0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braided, knotted, knitted or croche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8Gussets, e.g. pouches or heel or toe por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Shape features
    • D10B2403/033Three dimensional fabric, e.g. forming or comprising cavities in or protrusions from the basic planar configuration, or deviations from the cylindrical shape as generally imposed by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32Three dimensional fabric, e.g. forming or comprising cavities in or protrusions from the basic planar configuration, or deviations from the cylindrical shape as generally imposed by the fabric forming process with gussets folding into three dimensional shape, e.g. seat cov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10B2501/021Hosiery; Panti-hos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횡편기를 사용하여 발등측의 스티치방향이 발바닥측의 스티치방향과 직교하는 신규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솔부(4)에서는, 발가락 선단부(2)의 일부가 되는 BB의 스티치열을 편성폭방향의 일방(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솔부(4)의 좌변 및 우변에 커버부(3)가 연속하는 걸림 스티치(8)를 형성하고 있다. 또 커버부(3)에서는, 발가락 선단부(2)의 FB의 스티치열과,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솔부(4)의 좌변(12) 및 우변(13)에 걸림 스티치(8)를 형성한 발가락 선단부(2)의 BB의 스티치열과, 상기 걸림 스티치(8)의 스티치열에 연속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하면서 코줄임 편성을 함으로써 입체적인 커버부(3)를 형성한다.

Description

풋웨어의 편성방법{METHOD FOR KNITTING FOOTWEAR}
본 발명은 풋웨어(footwear)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후(前後)에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로 슈즈(shoes)나 양말 등의 풋웨어가 편성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서는, 전후 니들베드의 편침으로 편성되는 각각의 편성포가 양단(兩端)에서 연결되어, 무봉제의 통 모양 편성포로서 양말이 형성되어 있다. 이 양말은, 코스방향(course方向)으로 주회(周回)하는 스티치열(stitch列)이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연속하고, 통 모양 편성에 의한 제1통 모양부와 제2통 모양부가 발끝과 발목을 덮는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스티치방향은 발가락 선단에서부터 발 삽입구를 향하여, 또는 그 역방향이 된다. 또한 그들 통 모양부의 사이에는, 급사(給絲)의 방향을 앞쪽 니들베드와 뒤쪽 니들베드에서 교대로 반전시키는 C자 모양 편성에 의하여 발뒤꿈치부가 형성된다.
: 국제공개 제08/078623호 팸플릿
특허문헌1에는 양말이 나타나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발가락 선단과 발 삽입구 사이를 주회하여 편성하는 통 모양 편성포이며 스티치의 방향은 일방향(一方向)이 된다. 그와 같은 통 모양 편성과는 달리, 발바닥에 병행되는 패턴(pattern)의 방향이나 편성포의 신축방향에 변화를 주기 위하여 발등측의 커버부의 스티치방향(stitch方向)이 발바닥의 스티치방향과 직교(直交)하는 신규의 편성포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횡편기를 사용하여 발등측의 커버부의 스티치방향이 발바닥의 스티치방향과 직교하는 신규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트랜스퍼가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하고, 발가락 선단부와 발등측의 커버부 및 발바닥측의 솔부를 일체화한 어퍼부를 구비하는 풋웨어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전후의 니들베드를 사용하여 발가락 선단부를 편성하는 공정1과, 발가락 선단부의 일부의 스티치를 결합하는 일방의 니들베드의 스티치열에 계속하여 새로운 스티치열을 편성함과 아울러 상기 새로운 스티치열을 편성폭방향의 일방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이동에 의하여 공침이 된 편침과, 이동시킨 새로운 스티치열의 이동방향의 단부에 대향하는 공침에, 솔부의 좌변 및 우변이 되는 걸림 스티치를 형성하는 것을 반복하여 솔부를 편성하는 공정2와, 솔부를 구성하는 일부의 스티치를 대향하는 니들베드로 트랜스퍼하는 공정3과, 솔부의 외주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스티치에 대하여, 웨일방향을 향하여 통 모양 또는 C자 모양으로 새로운 스티치열의 편성을 반복함으로써 커버부를 편성하는 공정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정4에서의 커버부의 편성은, 전후 니들베드에 결합하는 각각의 스티치열의 단부의 스티치에 대하여 코줄임 편성을 하여, 발가락 선단부로부터 발 삽입구에 이르는 커버부의 경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정2에서의 솔부의 종단 근방의 편성에서는, 새로운 스티치열을 편성할 때에 솔부의 좌변 및 우변의 단부의 스티치를 줄이는 것을 반복하면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부의 편성은 비열융착사와 열융착사를 포함하는 편사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적어도 커버부의 일부는 비열융착사만을 사용하여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등측의 커버부의 스티치방향이 발바닥의 스티치방향과 직교하는 풋웨어의 편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전후 니들베드에 결합하는 각각의 스티치열의 단부의 스티치에 대하여 코줄임 편성을 하여 발가락 선단부로부터 발 삽입구에 이르는 커버부의 경사를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발에 피트되는 풋웨어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솔부의 종단 근방의 코줄임 편성으로 솔부를 성형함으로써, 피트되는 발뒤꿈치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열융착사와 열융착사를 포함하는 편사로 견고한 어퍼부를 형성할 때에 비열융착사만을 사용하여 편성하는 커버부의 일부의 영역이 단단해지지 않기 때문에, 그 장소가 구부리기 쉬워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풋웨어(10)의 화상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풋웨어(10)의 편성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풋웨어(10)의 편성순서에 있어서의 전반부분을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풋웨어(10)의 편성순서에 있어서의 후반부분을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이하에 도1의 풋웨어(footwear)(10)의 화상 및 도2의 편성개략도, 도3과 도4의 편성공정도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의 풋웨어(10)의 편성방법을 설명한다. 사용하는 횡편기(橫編機)는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는 2베드 횡편기이며, 편침을 1개씩 걸러서 사용하는 드로오프(draw-off) 상태에서 편성한다. 또 설명의 편의상, 편성공정도에 있어서의 편침의 개수는 도1의 풋웨어(10)보다도 적게 하고 있다. 도3과 도4에서는 도면 중 좌측의 숫자는 편성스텝(S)을, 도면 중 상하방향의 화살표와 꺾인 화살표는 트랜스퍼(transfer) 방향을 나타낸다. FB는 앞쪽 니들베드를, BB는 뒤쪽 니들베드를 나타낸다. 대문자(V′∼EE)는 FB의 편침을, 소문자(v′∼ee)는 BB의 편침을 나타낸다. 또한 검은색 동그라미 표시는 그 편성스텝에서 형성되는 스티치를, 동그라미 표시는 편침에 결합된 스티치(stitch)를, 2중 동그라미 표시는 편침에 결합된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를, ∨ 표시는 걸림 스티치를 나타낸다.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풋웨어(10)를 나타내는 화상이다. 풋웨어(10)는, 2개의 발가락부(6, 7)로 이루어지는 발가락 선단부(2)가 버선 형상을 하고 있고, 커버부(cover部)(3)의 스티치방향이 솔부(sole部)(4)와 직교한다. 또한 커버부(3)와 솔부(4)의 편사의 색도 다르다. 또한 커버부(3)를 편성할 때에, 발등측의 전후 니들베드에 결합하는 각각의 편성포 단부(端部)의 스티치에 대하여 코줄임 편성(narrowing 編成)을 하고, 발 삽입구(5)의 전방부(前方部)로부터 발가락 사이 부분을 향하여 커버부(3)의 센터라인(center line)(9)이 형성된다.
도2는 풋웨어(10)의 편성개략도이다. 편성되는 발가락 선단부(2), 솔부(4), 커버부(3)의 각 영역의 편성 경과를 각각 (A)∼(C)에 나타낸다. 발가락 선단부(2), 솔부(4), 커버부(3)의 각 영역을 순차적으로 편성하여 접합함으로써 일체화한 어퍼부(upper部)(1)를 형성할 수 있다. 도면 중에 있어서, 각 영역의 편성방향(웨일방향)은 화살표로 나타낸다. (A)에서는, 엄지발가락용 발가락부(6)와 엄지발가락 이외의 발가락부(7)를 구성하는 발가락 선단부(2)가 두툼한 버선 형상이지만, 발가락 선단부가 나누어져 있지 않거나 5개의 발가락부를 구비하는 형상이더라도 좋다.
도2의 (B)는, (A)에 대하여 솔부(4)의 추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도3에 나타내는, 발가락 선단부(2)의 일부가 되는 FB의 시단 스티치열(始端 stitch列)(16f)은 그대로 FB의 편침에 결합되고, BB의 시단 스티치열(16b)은 편성폭방향의 일방(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솔부(4)의 편성과, 커버부(3)가 연속하는 좌변(12) 및 우변(13)의 형성을 하여, 종단 스티치열(終端 stitch列)(17)에 도달한다. (C)는, (B)에 대하여 커버부(3)의 추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가락 선단부(2)의 FB의 시단 스티치열(16f)과, 우측방향으로 이동한 BB의 편침에 결합하는 종단 스티치열(17), 또한 좌변(12) 및 우변(13)으로 하여 나타내는 스티치열에 계속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하면서 발뒤꿈치부(11) 근방에서 발뒤꿈치의 형상에 맞추기 위하여 코줄임 편성을 함으로써 입체적인 커버부(3)를 형성한다. 그 때에, 발등측의 편성포 단부의 스티치에 대하여 발등측에 경사가 생기도록 코줄임 편성을 함으로써, 발 삽입구(5)의 전방부로부터 발가락 선단부(2)를 향하여 코줄임 편성의 더블 스티치에 의한 센터라인(9)이 형성된다.
도3은, 풋웨어(10)의 편성순서에 있어서의 전반부분을 나타내는 편성도이다. S1에서는, 발가락 선단부(2)가 되는 엄지발가락용 발가락부(6)와 엄지발가락 이외의 발가락부(7)의 편성을 시작한다. 앞쪽 니들베드(FB)와 뒤쪽 니들베드(BB)(이후에는 FB, BB로 나타낸다)의 편침(A, b, C, d)과 편침(E, f, G, h, I, j, K, l)에 서로 다른 급사구(給絲口)로부터 급사하여 걸림 스티치를 형성하고, 엄지발가락용 발가락부(6)의 편성 시작부(14)와 엄지발가락 이외의 발가락부(7)의 편성 시작부(15)를 형성한다. FB측은 발등측, BB측은 발바닥측의 스티치이다.
S2에서는, S1에서 편성을 시작한 발가락부(6)와 발가락부(7)의 각 편성 시작부(14, 15)에 대하여 각각 통 모양 편성을 하고, 주회(周回)하는 편성횟수에 의하여 발가락부의 길이를 조정한다. 엄지발가락용 발가락부(6)는 FB의 편침(C, A), BB의 편침(b, d)에 결합하는 스티치에 계속되는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한다. 엄지발가락 이외의 발가락부(7)는 FB의 편침(K, I, G, E)과 BB의 편침(f, h, j, l)에 결합하는 스티치에 계속되는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급사구를 사용하여 동시에 2개의 발가락부를 편성하였지만, 1개의 급사구로 발가락부(6)를 먼저 형성하고, 이어서 발가락부(7)를 형성하여도 좋다.
S3은, 발가락부(6)와 발가락부(7)를 연결하는 편성이다. FB의 편침(K, I, G, E, C, A)과 BB의 편침(b, d, f, h, j, l)에 결합하는 스티치에 계속되는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한다. 2개의 발가락부의 인접하는 스티치를 포개거나 그 경계를 넘어 턱 편성(tuck 編成)을 하면, 발가락 사이 부분에 구멍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BB의 편침(b, d, f, h, j, l)에 결합하는 스티치는, 솔부(4)의 시단이 되는 시단 스티치열(16b)이 된다. 또 S1∼S3의 편성에 의하여 도2의 (A)에서 나타내는 부분의 발가락 선단부(2)를 편성할 수 있다.
S4에서는, 발가락 선단부(2)의 일부의 스티치열이 되는 BB의 편침(b, d, f, h, j, l)에 결합하는 스티치, 즉 솔부(4)의 시단이 되는 시단 스티치열(16b)의 스티치를 FB의 공침(空針)을 경유하여 각각 BB의 편침(d, f, h, j, l, n)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 후에, 공침이 된 BB의 편침(b)과 편침(n)에 대향하는 FB의 편침(M)에는 걸림 스티치(8)를, BB의 편침(d, f, h, j, l, n)에 결합하는 스티치에는 연속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한다. 편침(b)에 형성된 걸림 스티치(8)는 솔부(4)의 우변(右邊)(13)을 형성하는 최초의 스티치가 되고, 편침(M)에 형성된 걸림 스티치(8)는 솔부(4)의 좌변(左邊)(12)을 형성하는 최초의 스티치가 된다.
S5는, S4와 동일한 편성을 5회 더 반복하고 솔부(4)를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원하는 솔부(4)의 길이를 얻는 상태를 나타낸다. 솔부(4)의 시단이 되는 BB의 시단 스티치열(16b)에 연속하여 편성하는 새로운 스티치열(16b′)은 스티치 수의 증감을 하지 않고 솔부(4)의 종단 근방까지 동일한 스티치 수로 이동해 간다. S6에서는, S3∼S5까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같은 수의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해온 BB의 시단 스티치열(16b)에 연속하여 편성하는 새로운 스티치열(16b′)에 계속하여, 발뒤꿈치의 형상에 맞게 하기 위하여 양 끝의 2개의 스티치(편침(p, z))를 미스 편성(miss 編成) 함으로써 편성하는 스티치를 줄이고 있다. 발뒤꿈치부(11)를 형성함에 있어서, 솔부(4)의 종단 근방이 되는 장소를 성형하기 위한 편성이다. 편침(r, t, v, x)에 결합하는 스티치에 계속되는 새로운 스티치열(16b′)과, BB의 편침(n)과 FB의 편침(Y)에 걸림 스티치(8)를 편성한다.
S7에서는, 솔부(4)의 좌변(12) 및 우변(13)이 되는 걸림 스티치(8)를 포함하는 솔부(4)의 외주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스티치에 계속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한다. FB의 편침(Y)으로부터 편침(A)을 향하여 편침을 1개씩 걸러서 결합하는 스티치에 계속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하고, BB의 편침(b)으로부터 편침(z)을 향하여 편침을 1개씩 걸러서 결합하는 스티치에 계속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한다. 이들 S4∼S7의 편성에 의하여, 도2의 (B)에 추가한 솔부(4)를 편성할 수 있다. FB의 편침(A, C, E, G, I, K)에는 발등측으로서의 FB의 시단 스티치열(16f)에 연속하여 편성되는 새로운 스티치열(16f′)이, BB의 편침(p, r, t, v, x, z)에는 발뒤꿈치부(11) 측으로서의 새로운 스티치열(16b′)이, BB의 편침(b, d, f, h, j, l, n)에는 솔부(4)의 우변(13)의 스티치열이, FB의 편침(M, O, Q, S, U, W, Y)에는 솔부(4)의 좌변(12)의 스티치열이 결합되어 있다.
도4는, 풋웨어(10)의 편성순서에 있어서의 후반부분을 나타내는 편성도이다. S8에서는, S7의 통 모양 편성포를 시계방향으로 회전(rotation) 시키는 편성을 나타낸다. 즉 FB에는 발등측의 스티치열(16f′)과 솔부(4)의 좌변(12)의 스티치열이, BB에는 발뒤꿈치부(11) 측의 스티치열(16b′)과 솔부(4)의 우변(13)의 스티치열이 결합되고, 발등측이 정면(FB측)을 향하고 있는 상태이지만, 통 모양 편성포의 좌우 양단(兩端)에서 편성포를 시계방향으로 트랜스퍼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발등측의 스티치열(16f′)을 전후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이동하고 있다. BB를 우측방향으로 바늘 1개만큼 래킹(racking)하고, FB의 편침(A)에 결합하는 스티치를 편침(z′)으로 트랜스퍼하고, BB의 편침(z)에 결합하는 스티치를 편침(AA)로 트랜스퍼한다. 동일한 편성을 2회 반복함으로써, 상기 발등측의 스티치열(16f′)이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되고, 발등측의 스티치열이 FB와 BB에 3개씩 균등하게 배치된다. 이 때에, BB의 발뒤꿈치부(11) 측의 스티치열(16b′)도 FB와 BB에 3개씩 균등하게 배치된다. 즉 커버부(3)의 센터라인(9)의 위치가 FB의 편침(E)과 편침(G) 사이에서 FB와 BB의 사이로 이동하게 된다.
S9에서는, 상기 S8의 회전에 의하여 발등측의 스티치열(16f′)과 발뒤꿈치부(11) 측의 스티치열(16b′)이 FB와 BB에 균등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코줄임 편성으로 발의 형상에 맞추는 편성을 한다. S7로부터 전후의 편성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또한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의 좌측방향 측에서는, 전후 니들베드에 결합하는 각각의 스티치열의 단부의 스티치에 대하여 코줄임 편성을 함으로써 발등측의 경사를 만든다. 그 결과, 코줄임 편성의 더블 스티치에 의한 센터라인(9)이 형성된다. 니들베드의 우측방향 측에서는, 발뒤꿈치부(11)에 따른 형상을 코줄임 편성으로 형성한다. 이들의 편성에 의하여 발에 피트되는 풋웨어(10)를 얻을 수 있다. 발등측에서는 BB의 편침(v′)에 결합하는 스티치를 편침(x′)으로, FB의 편침(G)에 결합하는 스티치를 편침(I)으로 이동하여 더블 스티치로 한다. 또 발뒤꿈치부(11) 측에서는, BB의 편침(t)에 결합하는 스티치를 편침(r)으로, FB의 편침(EE)에 결합하는 스티치를 편침(CC)으로 이동하여 더블 스티치로 한다.
S10에서는, 상기 S9의 코줄임 편성으로 형성된 더블 스티치도 포함하여 발 삽입구(5)를 향하여 웨일방향으로 편성한다. FB의 편침(CC)으로부터 편침(I)을 향하여 편침을 1개씩 걸러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하고, BB의 편침(x′)으로부터 편침(r)을 향하여 편침을 1개씩 걸러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한다. S11은, S9 및 S10과 동일한 편성을 3회 반복한 상태를 나타낸다. 니들베드의 좌측방향 측에서는 발등측의 경사를 만들고, 니들베드의 우측방향 측에서는 발뒤꿈치부(11)를 형성한다. S12에서는, 원하는 발 삽입구(5) 구경(口徑)의 스티치 수까지 코줄임 편성을 한 후에 통 모양 편성을 한다. 이 S12의 통 모양 편성을 반복하고, 종단부의 스티치를 공지의 코빼기(bind-off)로 풀림 방지 처리를 한다. S8∼S12의 편성에 의하여, 도2(C)에서 추가한 부분을 편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소재(편사)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도2의 (A)∼(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편성영역을 독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각 편사나 편성방법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편성공정도는 플레인 스티치 조직(plain stitch 組織)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솔부(4)는 흡습(吸濕)·항균소재(抗菌素材)를 사용하여 양면 조직으로 두툼하게 하거나, 커버부(3)에서는 메쉬 조직(mesh 組織)으로 통기(通氣)를 좋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비열융착사(非熱融着絲)와 열융착사(熱融着絲)를 포함한 편사를 사용하여 슈즈 어퍼(shoes upper)로서의 사용도 가능하다. 열융착을 함으로써 견고한 어퍼를 형성할 수 있지만, 이 때에 커버부(3)의 스티치방향이 발 삽입구의 방향을 향하는 주회편성(circling knitting)을 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발목 근방의 위치를 열융착하지 않는 비열융착사로 편성한다. 발의 움직임에 따라 구부리기 쉬운 슈즈를 형성할 수 있다.
1 : 어퍼부
2 : 발가락 선단부
3 : 커버부
4 : 솔부
5 : 발 삽입구
6, 7 : 발가락부

Claims (4)

  1.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고, 발가락 선단부(2)와 발등측의 커버부(3) 및 발바닥측의 솔부(sole部)(4)를 일체화한 어퍼부(upper部)(1)를 구비하는 풋웨어(footwear)(10)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전후의 니들베드를 사용하여 발가락 선단부(2)를 편성하는 공정1과,
    발가락 선단부(2)의 일부의 스티치(stitch)를 결합하는 일방(一方)의 니들베드의 스티치열에 계속하여 새로운 스티치열을 편성함과 아울러 상기 새로운 스티치열을 편성폭방향의 일방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이동에 의하여 공침(空針)이 된 편침과, 이동시킨 새로운 스티치열의 이동방향의 단부(端部)에 대향(對向)하는 공침에, 솔부(4)의 좌변(左邊)(12) 및 우변(右邊)(13)이 되는 걸림 스티치(8)를 형성하는 것을 반복하여 솔부(4)를 편성하는 공정2와,
    솔부(4)를 구성하는 일부의 스티치를 대향하는 니들베드로 트랜스퍼하는 공정3과,
    솔부(4)의 외주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스티치에 대하여, 웨일방향(wale方向)을 향하여 통 모양 또는 C자 모양으로 새로운 스티치열의 편성을 반복함으로써 커버부(3)를 편성하는 공정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10)의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4에서의 커버부(3)의 편성은, 전후 니들베드에 결합하는 각각의 스티치열의 단부의 스티치에 대하여 코줄임 편성(narrowing 編成)을 하여, 발가락 선단부(2)로부터 발 삽입구(5)에 이르는 커버부(3)의 경사(9)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10)의 편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2에서의 솔부(4)의 종단(終端) 근방의 편성에서는, 새로운 스티치열을 편성할 때에 솔부(4)의 좌변(12) 및 우변(13)의 단부의 스티치를 줄이는 것을 반복하면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10)의 편성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부(1)의 편성은 비열융착사(非熱融着絲)와 열융착사(熱融着絲)를 포함하는 편사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적어도 커버부(3)의 일부는 비열융착사만을 사용하여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10)의 편성방법.
KR1020157031310A 2013-04-04 2014-03-28 풋웨어의 편성방법 KR101735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78359 2013-04-04
JPJP-P-2013-078359 2013-04-04
PCT/JP2014/059117 WO2014162995A1 (ja) 2013-04-04 2014-03-28 フ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108A KR20150137108A (ko) 2015-12-08
KR101735354B1 true KR101735354B1 (ko) 2017-05-15

Family

ID=51658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310A KR101735354B1 (ko) 2013-04-04 2014-03-28 풋웨어의 편성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51096B2 (ko)
EP (1) EP2982787B1 (ko)
JP (1) JP6017022B2 (ko)
KR (1) KR101735354B1 (ko)
CN (1) CN105074070B (ko)
BR (1) BR112015024657A2 (ko)
TW (1) TWI596249B (ko)
WO (1) WO20141629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92102B (zh) * 2013-04-15 2017-07-21 島精機製作所股份有限公司 鞋面之製造方法及鞋面
EP3354779B1 (en) * 2014-03-04 2022-05-18 Ecofibre Limited Knitted shoe componen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934257B1 (ko) * 2014-10-17 2019-01-0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포의 편성방법
US10130142B2 (en) * 2015-04-14 2018-11-2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knitted component having biased inter-toe member
CN108779591B (zh) * 2016-01-15 2021-03-09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制造具有针织部件的鞋类鞋面的方法
US20170258710A1 (en) * 2016-03-11 2017-09-14 Intelgenx Corp. Montelukast transmucosal film
US10842228B2 (en) * 2016-11-22 2020-11-24 Wholeknit International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hoe embryo tailored from tubular fabric and associated shoe embryo
JP6230733B1 (ja) * 2017-01-12 2017-11-15 ニッティド株式会社 フットカバーの編成方法、及びフットカバー
TWI632265B (zh) * 2017-03-10 2018-08-11 薩摩亞商紘織國際有限公司 Method for integrally weaving an extended shoe with a flat knitting machine
JP7233330B2 (ja) * 2019-07-22 2023-03-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袋状編地の編成方法、及び袋状編地
CN110607601B (zh) * 2019-10-24 2020-09-04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3d鞋面的编织方法
CN113604951B (zh) * 2021-09-07 2022-10-25 江南大学 一种全成形立方体盒状织物的织造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3172A1 (ja) 2007-05-18 2008-11-27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3次元編物の編成方法とこれを用いた3次元編物
JP2011246826A (ja) 2010-05-24 2011-12-08 Knitido Kk 部分的に締め込み部を形成した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EP2518198B1 (en) 2011-04-28 2015-06-03 Shima Seiki Mfg., Ltd. Knitt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and tubular knitted fabric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13504A1 (de) * 1988-04-22 1989-11-02 Stoll & Co H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intarsien-gestrickstuecken und flachstrickmaschine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JP2706760B2 (ja) * 1994-10-07 1998-0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成方法
US5682771A (en) * 1996-03-12 1997-11-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Knitted cover
FR2779747B1 (fr) * 1998-06-15 2000-08-18 Terrot Procede de fabrication d'un article tricote et article ainsi obtenu
US7059156B2 (en) * 2002-08-06 2006-06-13 Takeda Leg Wear Co., Ltd. Method for knitting socks
JP4559053B2 (ja) * 2003-10-10 2010-10-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高サポート特性を有するシームレス手袋。
JP4353765B2 (ja) * 2003-10-10 2009-10-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突起部を有す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突起部を有する筒状編地。
JP2007016351A (ja) * 2005-07-07 2007-01-25 Shima Seiki Mfg Ltd 箱型編地の編成方法
CN101568676B (zh) * 2006-12-22 2011-06-15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袜子后跟部的编织方法
JP5596014B2 (ja) * 2009-02-25 2014-09-2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5269835B2 (ja) * 2010-06-11 2013-08-21 岡本株式会社 靴下
JP5774354B2 (ja) * 2011-04-13 2015-09-0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2012233280A (ja) * 2011-04-29 2012-11-29 Shima Seiki Mfg Ltd 踵付き靴下の編成方法、および踵付き靴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3172A1 (ja) 2007-05-18 2008-11-27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3次元編物の編成方法とこれを用いた3次元編物
JP2011246826A (ja) 2010-05-24 2011-12-08 Knitido Kk 部分的に締め込み部を形成した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EP2518198B1 (en) 2011-04-28 2015-06-03 Shima Seiki Mfg., Ltd. Knitt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and tubular knitted fab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4162995A1 (ja) 2017-02-16
CN105074070A (zh) 2015-11-18
EP2982787A1 (en) 2016-02-10
TWI596249B (zh) 2017-08-21
CN105074070B (zh) 2017-01-18
EP2982787B1 (en) 2018-01-10
BR112015024657A2 (pt) 2017-07-18
KR20150137108A (ko) 2015-12-08
US9551096B2 (en) 2017-01-24
TW201502330A (zh) 2015-01-16
JP6017022B2 (ja) 2016-10-26
US20160017524A1 (en) 2016-01-21
EP2982787A4 (en) 2016-11-09
WO2014162995A1 (ja) 2014-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354B1 (ko) 풋웨어의 편성방법
JP6053926B2 (ja) シューズアッパーの製造方法、およびシューズアッパー
JP5596014B2 (ja) 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CN107920629B (zh) 具备双层结构的针织物的鞋类
JP6516563B2 (ja) シューズアッパーの編成方法
KR101934264B1 (ko) 풋웨어의 편성방법, 풋웨어의 제조방법 및 풋웨어
KR101296782B1 (ko) 통모양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TWI640261B (zh) 鞋面及鞋面之編織方法
JP6596011B2 (ja) 足被覆衣類、そのような足被覆衣類の製造方法、およびニットウエアまたは靴下類のための環状機械
US20180199668A1 (en)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joining method
KR101753631B1 (ko) 풋웨어의 편성방법
EP3239375A1 (en) Shoe body-forming pie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44254B1 (ko)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CN107637908B (zh) 鞋体形成件及其制造方法
JP2009144292A (ja) 指袋付き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CN109380775B (zh) 带有趾套的袜子
JP2012031529A (ja) 指袋付き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JP6920696B2 (ja) くつ下及びくつ下製造方法
KR101690919B1 (ko) 발가락 양말
JP3174600U (ja) 足底面にスリットを設けてなる靴下
JP2011104180A (ja) 足指サポーター
JP2013002008A (ja) つまずき防止用靴下およびその編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