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860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860B1
KR101733860B1 KR1020150045004A KR20150045004A KR101733860B1 KR 101733860 B1 KR101733860 B1 KR 101733860B1 KR 1020150045004 A KR1020150045004 A KR 1020150045004A KR 20150045004 A KR20150045004 A KR 20150045004A KR 101733860 B1 KR101733860 B1 KR 101733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determination
abnormal vibration
reduction control
ab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3285A (ko
Inventor
노리후미 오구라
고지 히사노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43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6F37/203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Landscapes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Abstract

세탁운전시 또는 헹굼운전시에서의 이상진동 판정 정밀도를 높이도록 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 운전시 또는 헹굼 운전시에, 진동검출수단에 의한 진동검출결과가 어느 판정기준과 합치되었을 때 이상진동발생으로 판정하는 이상진동 판정수단과, 이상진동 판정수단에 의해 이상진동발생이 판정되었을 때 진동감소제어를 실행하는 진동감소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에서는 수조의 내부에 축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지향하는 회전조를 구비하고 또한 회전조의 내저부에 교반체를 구비한, 소위 세로형 세탁기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세탁기에서는 수조 내 즉 회전조 내에 물을 저류하고, 또한 세제를 넣은 상태에서 교반체를 정역 회전시키고 세탁운전을 실시한다. 또한, 헹굼운전에서도 회전조 내에 물을 저류한 상태에서 교반체를 정역 회전시킨다. 최근에는 절수(節水)의 관점에서 이들 세탁운전이나 헹굼운전에서 사용하는 물의 양을 전반적으로 적게 하고, 교반체의 회전수를 약간 높게 설정하여, 세탁운전이나 헹굼운전을 실시하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세탁기에서는 세탁상황이나 세탁기 설치상황에 따라서는 수조나 세탁기 외부상자의 진동이 커지고, 세탁기 내의 전기배선 등에 스트레스가 걸릴 우려가 있다. 그 대책으로서 수조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검출수단을 설치하고, 이러한 진동검출수단에 의한 진동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진동이 이상적으로 크다고 판정하는 이상진동 판정수단을 설치한 세탁기가 있다. 그리고, 진동이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진동감소제어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223439호
전술한 이상진동발생 패턴으로서는 여러가지 패턴이 있다. 예를 들어, 순간적으로 큰 이상진동이 발생하거나, 비교적 작은 이상진동이 몇번이나 발생한다. 또한, 이들이 번갈아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비교적 작은 이상진동은 그 후 수속(收束)되는 경우도 있다.
전술한 세탁기에서는 하나의 임계값으로 이상 진동을 판정하므로 임계값을 큰 이상 진동을 판정하기 위해 약간 크게 설정해 두면, 비교적 작은 이상진동은 이상진동발생으로 판정할 수 없다. 또한, 임계값을 비교적 작은 이상진동을 판정하기 위해 약간 작게 설정해 두면, 빈번하게 이상진동 발생 존재를 판정하고, 또한 수속할 가능성이 있는 비교적 작은 진동도 이상진동발생으로 판정한다. 이와 같이, 이상진동판정 정밀도의 신뢰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세탁 운전시 또는 헹굼 운전시에서의 이상진동판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형태의 세탁기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상기 수조의 종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회전조와, 상기 회전조의 내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교반체와, 상기 수조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검출수단과, 상기 교반체를 정역 회전시켜 세탁운전 또는 헹굼운전을 실행하는 세탁운전 제어수단과, 상기 진동검출수단에 의한 진동검출결과에 대한 판정 기준으로서 복수의 판정기준을 갖고, 상기 교반체를 정역 회전시키는 상기 교반체 회전제어 중의 상기 세탁운전시 또는 헹굼운전시에, 상기 진동검출수단에 의한 진동검출결과가 어느 상기 판정기준과 합치되었을 때 이상진동발생으로 판정하는 이상진동 판정수단과, 상기 이상진동 판정수단에 의해 이상진동발생으로 판정되었을 때 진동감소제어를 실행하는 진동감소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따르면, 세탁운전시 또는 헹굼운전시에서의 이상진동 판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세탁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2는 덮개 개방상태의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조작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전기적 구성의 블럭도이다.
도 5는 임계값, 판정기준횟수, 중량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모터의 회전수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6a는 통상제어시, 도 6b는 진동감소 제어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세탁행정의 제어내용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헹굼행정의 제어내용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감소 제어시에서의 모터의 회전수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진동감소 제어시에서의 모터의 회전수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행정의 제어내용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모터의 회전수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2a는 진동감소제어(대)시, 도 12b는 진동감소제어(중)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회전수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3a는 진동감소제어(대)시, 도 13b는 진동감소제어(중)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제6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회전수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4a는 진동감소제어(대)시, 도 14b는 진동감소제어(중)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제7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구성의 블럭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d는 각각 온도마다 임계값, 판정기준횟수, 중량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제8 실시형태에 따른 각 운전코스마다 임계값, 판정기준횟수, 중량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제9 실시형태에 따른 통상시 및 예약 설정시의 운전코스마다 임계값, 판정기준횟수, 중량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제10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0은 운전종료시의 처리 플로우차트이다.
도 21은 조작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제1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행정의 제어내용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세탁기(1)는 종축형이고, 예를 들어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이다. 이러한 건조기능은 없어도 좋다. 도 1에서 외부상자(2)는 직사각형의 상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상자(2)와, 외부상자(2)의 상부에 장착된 탑커버(3)에 의해, 세탁건조기의 외각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상자(2)의 하면에는 다리부(4)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상자(2)의 내부에는 수조(5)와, 상기 수조(5) 내에 설치된 회전조(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수조(5)와 회전조(6)는 모두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축 중심선이 상하 방향으로 지향하는 종축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수조(5)는 매달림봉(7a)을 주체로 하는 탄성 매달림 기구(7)를 통하여 외부상자(2) 내에 탄성적으로 매달려 있다. 수조(5)는 저수가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회전조(6)는 둘레벽부에 다수의 구멍부(8)를 갖고 있다. 회전조(6)의 저부에는 수조(5)에 통하는 통수부(9)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조(6)는 상단 개구부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회전 밸런서(10)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조(6)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세탁물이 수용된다. 회전조(6)는 세탁시에는 세탁조로서 탈수시에는 탈수조로서, 그리고 건조시에는 건조조로서 기능한다. 회전조(6)는 종축형상의 회전 중심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회전조(6) 내저부에는 교반체(1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수조(5)의 저부에는 배수구(5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수구(5a)에는 배수밸브(12) 및 배수관(12a)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수조(5)에는 배수구(5a)에 연통하여 수위 검지용 에어트랩(5b)이 형성되어 있다.
수조(5)의 외저부에는 모터(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13)는 아우터로터형이고, 모터(13)의 내부에 클러치(14)가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14)는 교반체(11)에 연결된 교반축(11a)과 회전조(6)에 연결된 회전축(6a)을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회전조·교반체 연결모드)와, 회전축(6a)은 고정되고 교반축(11a)만을 회전시키는 경우(교반체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배수밸브(12)와 클러치(14)는 연결구(16)에 의해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배수밸브(12)와 클러치(14)는 도 4에 도시한 클러치모터(15)에 의해 동작한다. 즉, 클러치모터(15)를 소정 동작시킴으로써 연결구(16)를 통하여 배수밸브(12)가 개방되고 또한 클러치(14)가 회전조·교반체 연결모드로 된다. 또한, 이 상태로부터 클러치 모터(15)를 소정 동작시킴으로써 연결구(16)를 통하여 배수밸브(12)가 폐쇄되고 또한 클러치(14)가 교반체 모드로 된다.
수조(5)의 상면에는 환형을 이루는 조 커버(1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 커버(18)에, 2단 접이식 내부덮개(19)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탑커버(3)에는, 내부덮개(19)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회전조(6)에 대해서 세탁물을 출입하기 위한 세탁물 출입구(20)(도 2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세탁물 출입구(20)를 개폐하는 2단 접이식 덮개(21)가 설치되어 있다.
탑커버(3)의 후부에는 건조용 온풍공급장치(22)(건조수단)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온풍공급장치(22)는 세탁기 밖의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부(22a)로부터 회전조(6) 내에 토출하기 위한 팬(23)(도 4 참조)과, 회전조(6) 내에 토출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24)(도 4 참조)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팬(23) 및 히터(24)에 의해 생성된 온풍은 토출부(22a)로부터 주로 회전조(6) 내에 공급된 후, 구멍부(8)를 통하여, 회전조(6)와 수조(5) 사이에도 공급된다. 그리고, 수조(5) 내의 온풍은 상세한 온풍경로는 도시하지 않지만, 수조(5)의 측벽에 형성된 배출덕트(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외부로 나와, 일부는 회전조(6) 내에 되돌아가고, 나머지는 기외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탑커버(3)의 후부에는 급수밸브(50)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조(6) 내(수조(5) 내)에 급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탑커버(3)의 전부(前部)의 상면에는 도 3에 도시한 조작패널(2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패널(25)에는 각각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입력부로서의, 전원의 온 스위치(26), 오프 스위치(27), 시작과 일시정지를 겸하는 시작 스위치(28), 전자동 코스 중 세탁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세탁코스 선택 스위치(29), 세탁·건조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세탁건조코스 선택 스위치(30), 건조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건조코스 선택 스위치(31), 세탁운전의 실행시간 등을 설정하기 위한 세탁운전 설정 스위치(32), 헹굼횟수 등을 선택하기 위한 헹굼운전 설정 스위치(33), 탈수시간 등을 설정하기 위한 탈수운전 설정 스위치(34), 건조시간 등을 설정하기 위한 건조운전 설정 스위치(35), 수위를 설정하기 위한 수위 설정 스위치(36), 욕조물을 사용할지의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욕조물 스위치(37), 예약운전을 설정하기 위한 예약 스위치(38), 덮개(21)를 잠그기 위한 도어록 스위치(39), 시작 스위치(28)의 주위에 배치된 환형상의 조작 다이얼(4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 패널(25)에는 각종 선택, 설정내용, 운전상황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41)가 설치되어 있다. 시작 스위치(28)는 운전정지상태에서 온 조작되면, 운전 시작 스위치로서 기능하고, 운전상태에서 온 조작되면 일시정지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1에서 수조(5)의 외면에는 수조(5)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검출수단으로서의 가속도 센서(4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42)는 진동의 크기(가속도의 크기)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 경우 이 진동의 크기는, 예를 들어 진동레벨 0~512까지 구분되어 있다.
또한, 배수구(5a)와 배수밸브(12) 사이의 배수로에는 순환펌프(43)의 흡입구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순환펌프(43)의 토출구에는 순환파이프(44)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순환 파이프(44)는 수조(5)의 측방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인도되고, 조 커버(18)를 관통하여 회전조(6) 상방을 향하고 있다. 상기 순환펌프(43)와 순환 파이프(44)로 순환기구(45)를 구성하고 있다.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도 4에서, 제어장치(46)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체로 구성된 것이고, 소프트웨어 구성에 의해 세탁기의 작동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6a)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제어수단(46a)에는 세탁운전 제어수단(46a1), 이상진동 판정수단(46a2), 진동감소 제어수단(46a3), 세탁물 중량 검출수단(46a4)이 포함된다.
이상진동 판정수단(46a2)은 가속도 센서(42)에 의한 진동검출결과에 대한 판정기준으로서 복수의 판정기준인 제1 판정기준과 제2 판정기준을 갖는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판정기준은 진동검출결과에 대하여 설정된 판정용 임계값(제1 판정기준에 있어서는 제1 판정용 임계값 A, 제2 판정기준에 있어서는 제2 판정용 임계값 B)과, 진동검출결과가 상기 판정용 임계값 이상이 된 횟수에 대해서 설정된 판정기준횟수(제1 판정기준에 있어서는 제1 판정기준횟수 M, 제2 판정기준에 있어서는 제2 판정기준횟수 N)의 조합이다.
이 경우, 각 판정기준은 서로 판정용 임계값 A, B가 다르고, 판정기준횟수(제1 판정기준에 있어서는 제1 판정기준횟수 M, 제2 판정기준에 있어서는 제2 판정기준횟수 N)도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제1 판정기준에서의 판정용 임계값인 제1 판정용 임계값 A는, 세탁물 중량이 3㎏ 이상~4㎏ 미만일 때 진동레벨 「300」으로 설정되고, 제1 판정기준에서의 판정기준횟수로서의 제1 판정기준횟수 M은 「1」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판정기준에서의 판정용 임계값으로서의 제2 판정용 임계값 B는 동일하게 세탁물 중량이 3㎏ 이상~4㎏ 미만일 때 진동레벨 「150」으로 설정되고, 제2 판정기준에서의 판정기준횟수로서의 제2 판정기준횟수 N은 「4」로 설정되어 있다. 제1 판정기준 및 제2 판정기준은 세탁물 중량에 의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르다. 판정기준은 3개 이상이어도 좋다.
즉, 판정용 임계값 A, B가 작을수록 판정기준횟수 M, N은 많아졌다는 관계성에 있다.
또한, 진동감소 제어수단(46a3), 세탁물 중량 검출수단(46a4)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제어장치(46)에는 입력측의 기구로서 각 스위치(26~39), 조작 다이얼(40), 가속도 센서(42), 수조(5) 내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검출수단으로서의 수위센서(47), 덮개(21)의 개폐(개방과 폐쇄)를 검지하는 덮개 개폐 센서(48), 모터(13)의 회전속도를 검지하는 회전센서(49), 모터(13)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는 전류센서(55)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장치(46)는 입력측의 기기로부터의 각 입력신호, 및 미리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출력측의 기기인, 표시부(41), 모터(13), 급수밸브(50), 급수밸브(12) 및 클러치(14)를 작동시키는 클러치 모터(15), 팬(23), 히터(24), 순환펌프(43), 욕조물 펌프(52), 부저(53)를 각각 구동회로(54)를 통하여 제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구동회로(54)는 각각 대응하는 기기의 구동회로를 총칭하고 있다.
제어장치(46)의 세탁운전 제어수단(46a1)이 실행하는 세탁행정 및 헹굼행정에 대해서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세탁행정에서는 세탁물 중량 검출수단(46a)에 의해 세탁물의 중량을 검출한다(단계 S10).
상기 세탁물 중량 검출은 회전조(6) 내에 세탁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모터(13)에 일정한 전력을 부여하여 교반체(11)를 회전시켜 얻어진 회전수와, 회전조(6) 내에 세탁물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모터(13)에 일정한 전력을 부여하여 교반체(11)를 회전시켜 얻어지고 있는 회전수의 비교로부터, 세탁물 중량(중량)을 검출하는 것이다. 상기 검출 데이터는 수위설정이나 이상진동판정 등에 사용된다. 이러한 중량검출에서는 중량을 1㎏ 미만, 1㎏ 이상~3㎏ 미만, 3㎏ 이상~4㎏ 미만, 4㎏ 이상~6㎏ 미만, 6㎏ 이상 중 어느 것을 검출한다.
또한, 상기 세탁물 중량검출은 모터(13)에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여 세탁물의 중량을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단계 S20)~단계 S40)에서는 급수를 실행한다. 이 급수는 배수밸브(12)를 폐색한 상태에서, 급수밸브(50)를 개방하여 회전조(6) 내(수조(5) 내)에 급수하고(단계 S20), 설정된 수위가 되면(단계 S30)에서 판단) 급수를 정지한다(단계 S40). 이 후, 세탁행정 개시로부터의 경과시간이 미리 설정된 세탁시간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50), 경과하지 않았으면(단계 S50)의 「아니오」) 가속도 센서(42)에 의한 진동검출결과(진동검출값)가 제1 판단기준 및 제2 판단기준 중 어느 것에 합치되는지의 여부를 실행한다(단계 S60).
즉, 단계 S60)로 이행하고 가속도 센서(42)에 의한 진동검출결과(진동검출값)가 제1 판정기준의 제1 판정용 임계값 A(도 5 참조) 이상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아니오」이면 진동검출결과가 제2 판정기준의 제2 판정용 임계값 B 이상이 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단계 S70). 판정용 임계값 A, B, 판정기준횟수 N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량검출결과에 대응하여 선택된다. 또한, 제1 판정기준횟수 M도 「1」 이외로 변경해도 좋다.
진동검출결과가 제2 판정기준의 제2 판정용 임계값 B 이하(단계 S70)의 「아니오」)이면, 세탁운전 제어수단(46a1)에 의한 통상제어의 세탁운전을 실행한다(단계 S80). 이 세탁운전에서는 교반체(11)를 도 6a에서 도시한 모드로 정역 회전시킨다(통상제어). 즉, 교반체(11)를 구동하는 모터(13)를, 정회전방향으로 시간(Ta)에 회전수(Ra)까지 기동하고, 상기 회전수(Ra) 상태를 시간 "Ka" 계속하고 단전한다. 그 후 휴지시간(Da)을 두고 모터(13)를 역회전방향으로 전술한 것과 동일한 패턴으로 회전시키고, 그 후 정회전, 역회전을 반복한다. 또한, 상기 세탁 운전시에는 순환펌프(43)를 구동시켜 회전조(6) 내의 물을, 수조(5) 밖으로 보내고 순환파이프(44)를 통하여, 회전조(6)의 상부로부터 회전조(6) 내의 세탁물에 뿌린다. 이에 의해 세탁물에 대한 세정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순환 파이프(43)에 의한 물의 순환에 의해 회전조(6) 내의 수위는 약간 내려간다.
진동검출결과가 제1 판정기준의 제1 판정용 임계값 A 이상(단계 S60)에서 「예」)이고 상기 이상이 된 횟수가 제1 판정기준의 제1 판정기준횟수 M인 1회(단계 S90)에서 「예」)이면, 이상진동 판정수단(46a2)에 의해 이상진동이 발생했다고 판정한다(단계 S100). 그리고 진동감소 제어수단(46a3)에 의해 진동감소제어(모터(13)의 제어변경)을 실행한다(단계 S110). 이 진동감소제어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3)의 정역회전에서의 회전수를 통상의 세탁운전시에서의 회전수 "Ra" 로부터 "Rb"까지 낮추는 제어이다. 이에 의해, 교반체(11)의 상한 회전수가 낮아지고 진동이 감소된다.
진동검출결과가 제2 판정기준의 제2 판정용 임계값 B 이상이고(단계 S70)에서 「예」), 상기 이상이 된 횟수가 제2 판정기준횟수 N(도 5 참조)이면(단계 S120)도 「예」) 이상진동 발생 존재로 판정하고, 진동감소제어를 실행한다(단계 S110).
통상제어의 세탁운전(단계 S80) 및 진동감소제어의 실행(단계 S110)의 후는 설정세탁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단계 S50)로 되돌아간다.
이 후, 다시 이상진동 발생 존재가 판정(단계 S100)되었을 때, 진동감소제어가 다시(반복) 실행된다(단계 S110). 즉, 이상진동 판정수단(46a2)에 의해 이상진동발생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이상진동 판정수단(46a2)이 이상진동 발생 부존재의 판정을 할 때까지, 진동감소 제어수단(46a3)이 진동감소제어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이상진동 발생 부존재가 판단되면(단계 S70)에서 「아니오」, 단계 S120)에서 「아니오」), 이상제어의 세탁운전으로 되돌간다(단계 S80).
설정세탁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단계 S50)에서 「예」이면, 세탁행정(세탁운전)을 종료하고(단계 S130), 다음 헹굼행정으로 이행한다. 상기 헹굼행정의 제어내용을 도 8에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에서 처음에 배수를 실행한다(단계 S140). 이 배수는 배수밸브(12)를 개방하여 회전조(6) 내의 물을 배출하고, 소정 수위인 재설정 수위가 된 바(단계 S150)에서 「예」), 탈수운전을 개시한다(단계 S160). 이 탈수운전은 시간의 진행과 함께 회전조(6)의 회전을 소정 패턴에 대응하여 기동한다. 상기 탈수운전이, 설정된 탈수시간을 경과하면(단계 S170)에서 「예」), 탈수운전을 정지한다(단계 S180). 이 때 배수밸브(12)도 폐쇄한다.
이어서, 회전조(6) 내에 물을 급수한다(단계 S190). 이 때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했을 때(단계 S200)에서 「예」), 급수를 정지한다(단계 S210). 그리고, 미리 설정된 헹굼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220), 「아니오」이면 세탁운전에서 이상진동 발생 존재의 판정결과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30). 그 결과, 세탁운전에서 이미 이상진동 발생 존재(「예」)라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최초부터 진동감소제어를 실행한다(단계 S240). 이상진동발생의 유무(단계 S230)에서 「아니오」인 경우에는 도 7에서의 단계 S60)~단계 S120)와 동일한 제어의, 단계 S250)~단계 S310)를 실행한다. 단, 단계 S270)에서는 세탁운전을 대신하여 헹굼운전을 실행하지만 운전패턴(모터제어패턴)은 동일하다. 즉, 세탁운전의 경우와 동일하게 이상진동발생의 유무를 판정하여 이상진동 발생 부존재이면 통상제어의 헹굼운전(세탁운전과 동일한 모터(13) 제어)을 실행하고, 이상진동 발생 존재이면 진동감소제어를 실행한다. 헹굼 운전시에도 순환펌프(43)에 의한 물의 순환을 실시한다.
그리고, 헹굼시간이 설정시간을 경과하지 않았으면(단계 S220)에서 「예」) 헹굼행정(헹굼운전)을 종료하고(단계 S220), 다음의 행정으로 이행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어장치(46)의 소프트웨어 구성에 의한 이상진동 판정수단(46a2)이 진동검출수단으로서의 가속도 센서(42)에 의한 진동검출결과에 대한 판정기준으로서 제1 판정기준 및 제2 판정기준을 갖고, 세탁운전시 또는 헹굼운전시에, 상기 진동검출결과가 어느 것의 판정기준과 합치되었을 때 이상진동발생으로 판정한다.
하나의 판정기준만(예를 들어 하나의 임계값만)으로 이상진동으로 판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판정기준을 큰 이상진동의 패턴을 판정하기 위해 약간 크게 설정해 두면, 비교적 작은 이상진동이 많이 발생하는 패턴에서는 이상진동발생으로 판정할 수 없다. 또한, 임계값을 단순히 작게 설정해 두면, 빈번하게 이상진동 발생 존재를 판정해 버린다. 또한, 수속할 가능성이 있는 비교적 작은 진동도 이상진동발생으로 판정한다.
이러한 점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판정기준으로서 복수의 판정기준을 설정하고, 진동검출결과가 어느 판정기준과 합치되었을 때 이상진동발생으로 판정하고 나서, 복수의 이상진동의 패턴 중 어느 것이 발생하면 이를 이상진동 발생 존재라로 판정할 수 있고, 이상진동 판정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판정기준 및 제2 판정기준을, 진동검출결과에 대하여 설정된 판정용 임계값(제1 판정기준에 있어서는 제1 판정용 임계값 A, 제2 판정기준에 있어서는 제2 판정용 임계값 B)과, 상기 진동검출결과가 상기 판정용 임계값 이상이 된 횟수에 대하여 설정된 판정기준횟수(제1 판정기준에 있어서는 제1 판정기준횟수 M, 제2 판정기준에 있어서는 제2 판정기준횟수 N)의 조합으로 했다. 또한, 각 판정기준의 판정용 임계값을 서로 다른 값으로 하고, 또한 판정용 임계값 A, B가 작을수록 판정기준횟수 M, N이 많아졌다는 관계성으로 했다. 그리고, 이상진동 판정수단(46a2)은 진동검출결과가 적어도 하나의 판정기준에서의 판정용 임계값 이상이 되고 또한 판정용 임계값 이상이 된 횟수가 상기 판정기준에서의 판정기준횟수가 되었을 때 이상진동발생으로 판정하도록 했다.
이에 따르면, 발생빈도가 적은 큰 이상진동이라는 패턴에서도, 발생빈도가 비교적 많은 작은 이상진동이라는 패턴에서도, 이상진동 발생 존재로 판정할 수 있어, 이상진동 판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이상진동 판정수단(46a2)에 의해 이상진동발생이 판정되었을 때 진동감소 제어수단(46a3)에 의해 진동감소제어를 실행하므로, 이상진동을 해소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세탁기(1) 내의 전기배선이나, 순환파이프(44) 등에 스트레스가 걸리는 것을 적게 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높은 임계값인 제1 판정용 임계값 A의 제1 판정기준횟수 M을 1로 하고, 즉 최소횟수로 하고, 작은 임계값인 제2 판정용 임계값 B의 제2 판정기준횟수 N을 1보다 많은 횟수로 했으므로, 큰 이상진동 발생시에는 바로 이를 판정할 수 있고, 또한 비교적 작은 이상진동 발생시에는 수속이 예상되지 않는 제2 판정기준횟수 N의 제2 판정용 임계값 B의 경우에 한하여 이상진동 발생 존재라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세탁운전시 및 헹굼운전시에 순환펌프(43)에 의한 물의 순환을 실시함으로써 세정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반면, 순환펌프(43)의 운전에 의해 회전조(6) 내의 수위가 저하됨으로써 진동의 발생이 많아지는 것도 예상된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상진동판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점에서, 이상진동이 발생한 상태 그대로 세탁운전이 계속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탁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세탁물 중량 검출수단(46a4)을 구비하고, 이상진동 판정수단(46a2)이 판정용 임계값 A, B 및 판정기준횟수 N을, 세탁물 중량 검출수단(46a4)에 의해 검출한 세탁물 중량에 따라서 변경하도록 했다.
이상진동의 크기나 발생빈도는 세탁물의 중량에 상관한다. 예를 들어, 세탁물 중량이 가벼운 경우, 가속도 센서(42)에 의한 진동검출결과가 커도 내부의 전기배선이나 순환파이프(44) 등으로의 영향이 작고, 세탁물량이 무거운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42)에 의한 진동검출결과가 비교적 작아도, 내부배선이나 순환파이프(44) 등으로의 영향은 크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큰 이상진동 판정용인 제1 판정용 임계값 A, 또 비교적 작은 이상진동 판정용인 제2 판정용 임계값 B 중 어떤 것도, 세탁물 중량이 가벼울수록 크게 하고 있다. 또한, 제2 판정용 임계값 B용의 제2 판정기준횟수 N도, 세탁물 중량이 가벼울수록 많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내부배선이나 순환파이프(44) 등으로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탁운전시에서 이상진동 판정수단(46a2)이 이상진동발생을 판정한 경우에는 헹굼운전시에는 최초부터 진동감소 제어수단(46a3)에 의한 진동감소제어를 실행하도록 했다.
세탁운전시에서 이상진동 판정수단(46a2)이 이상진동발생을 판정했다고 하면, 세탁운전과 거의 동일한 운전내용인 헹굼운전시에도 이상진동발생을 판정하는 확률이 높다. 이를 고려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세탁운전시에서 이상진동 판정수단(46a2)이 이상진동발생을 판정한 경우에는 헹굼운전시에는 최초부터 진동감소 제어수단(46a3)에 의한 진동감소제어를 실행함으로써, 헹굼운전에서의 이상진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상진동 판정수단(46a2)에 의해 이상진동발생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이상진동 판정수단(46a2)이 이상진동 발생 부존재의 판정을 할 때까지 진동감소제어를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이상진동을 차례로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순환기구(45)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순환기구(45)의 운전시에는 세정효과가 높아지지만, 회전조(6) 내의 수위가 감소되고 진동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상진동발생의 유무를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에 대응하여 진동감소제어를 실시하므로, 이와 같은 진동이 발생하기 쉬운 상황에서도 진동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순환기구(45)는 이를 운전하는 경우와, 운전하지 않는 경우를, 세탁운전코스에 대응하여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전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순환기구(45)를 운전하는 경우와, 하지 않는 경우에서, 한정용 임계값 A, B와, 각 임계값 A, B마다 설정된 판정기준횟수 M,N을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순환기구(45)를 운전하는 경우의 판정용 임계값 A, B 및 각 임계값 마다의 판정기준횟수 M,N을, 순환기구(45)를 운전하지 않는 경우의 판정용 임계값 A, B 및 각 임계값의 판정기준횟수 M, N보다 낮게(작게) 설정하면 좋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진동감소 제어수단(46a3)에 의한 제어내용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제1 실시형태에서의 진동감소제어는 모터(13)의 회전기동시간이 시간 "Ta"인 것에 비하여, 이 제2 실시형태에서의 진동감소제어는 모터(13)의 회전기동시간을 시간 "Tb"로 하고 있다. 상기 시간 "Tb"는 도 6a에 도시한 통상제어에서의 모터(13)의 회전수(Ra)까지의 회전기동시간(Ta)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터(13)의 기동, 즉 교반체(11)의 기동을 완만하게 할 수 있으므로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은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3 실시형태에서의 진동감소제어는 모터(13)의 휴지시간을 시간 "Db"로 하고 있다. 상기 시간(Db)은 도 6a에 도시한 통상제어에서의 모터(13)의 휴지시간(Da)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터(13)의 비구동 시간, 즉 교반체(11)의 비구동 시간이 길어져 진동이 감소된다.
도 11 및 도 12는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4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도 7의 플로우차트에 대해서, 이하의 점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즉, 가속도 센서(42)의 검출결과가 "대"인 제1 판정용 임계값 A(진동정도: 대)이고 횟수 1회(단계 S90)라는 검출내용에서 이상진동 발생 존재라고 판정한 경우(단계 S140)와, 가속도 센서(42)의 검출결과가 제1 판정용 임계값 A보다 작은 제2 판정용 임계값 B(진동정도: 중)이고 제2 판정기준횟수 N(단계 S120)이라는 검출내용에서 이상진동 발생 존재로 판정한 경우(단계 S160)에서, 진동감소제어(단계 S150), 단계 S170)의 제어내용이 다르다.
이상진동 발생 존재(진동검출결과: 대)라고 판정한 경우(단계 S140), 도 12a에 도시한 모터(13)의 상한 회전수를 "Rb"(진동감소제어(대))로 설정하고 단계 S160)에서 이상진동 발생 존재(진공검출결과: 중)로 판정한 경우에는,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3)의 상한 회전수를 "Rb"보다 약간 높은[통상제어의 상한 회전수(Ra)보다 낮음] 회전수(Rc)(진동감소제어(중))로 설정한다.
상기 제4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상진동의 크기에 대응하여 진동감소제어에서의 모터(13)의 상한 회전수를 변경함으로써, 진동감소제어를 과부족없이 실시할 수 있다.
도 13은 제5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고, 다음의 점이 제4 실시형태와 다르다. 진동검출결과: "대"에서의 이상진동 발생 존재라고 판정한 경우,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3)의 기동시간을 시간 "Tb"로 설정하고, 진동검출결과: "중"에서의 이상진동 발생 존재로 판정한 경우,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3)의 기동시간을 시간 "Tc"(Ta<Tc<Tb)로 설정한다.
상기 제5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상진동의 크기에 대응하여, 진동감소제어에서의 모터(13)의 회전기동시간을 변경함으로써, 진공감소제어를 과부족없이 실시할 수 있다.
도 14는 제6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고, 다음의 점이 제4 실시형태와 다르다. 진동검출결과: "대"에서의 이상진동 발생 존재로 판정한 경우,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3)의 휴지시간을 시간 "Db"로 설정하고, 진동검출결과: "중"에서의 이상진동 발생 존재로 판정한 경우, 도 14b에 도시한 모터(13)의 휴지시간을 시간 Dc(Da<Dc<Db)로 설정한다.
상기 제6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상 진동의 크기에 대응하여 진동감소제어에서의 모터(13)의 휴지시간을 변경함으로써, 진동감소제어를 과부족없이 실시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제7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7 실시형태에서는 세탁기(1)의 설치환경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6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온도센서(60)는 예를 들어 외부상자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상진동 판정수단(46a2)은 제1 판정용 임계값 A, 제2 판정용 임계값 B와, 제2 판정기준횟수 N를, 온도센서(60)에 의해 검출한 온도에 대응하여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경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검출온도가 10℃ 미만인 경우, 10℃ 이상 20℃ 미만인 경우, 20℃ 이상 30℃ 미만인 경우, 및 30℃ 이상인 경우에서, 중량검출결과에 대응한 각 판정용 임계값 A, B와 판정기준횟수 N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세탁기(1)의 설치환경온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가속도 센서(42)에 의한 진동검출결과가 실제 수조(5)의 진동보다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 경우, 수조(5)의 진동이 실제로는 작으므로 내부 배선이나 순환 파이프(44) 등으로의 영향은 작다.
이 점을 고려한 상기 제7 실시형태에서는 제1 판정용 임계값 A, 제2 판정용 임계값 B와, 제2 판정기준횟수 N을, 온도센서(60)에 의해 검출한 온도에 대응하여 변경하므로, 실제 수조(5)의 진동에 맞는 진동감소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1 판정기준횟수 M도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도 17은 제8 실시형태에 관하여, 다음의 점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상기 제8 실시형태에서는 제어수단(46a)이 실행하는 운전의 코스로서, 복수의 운전코스, 예를 들어 표준적인 중량으로 표준적인 포질(布質)(면이나 화학섬유혼방)의 세탁물을 세탁하는 데에 바람직한 표준 코스, 물이나 전력을 절약하는 절약 코스, 세탁물을 불려두었다가 세탁하는 불림 코스, 모포를 세탁하는 데에 적합한 모포 코스, 드라이 세탁에 바람직한 드라이 코스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상진동 판정수단(46a2)은 제1 판정용 임계값 A, 제2 판정용 임계값 B, 및 제2 판정기준횟수 N을,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코스에 대응하여 변경한다.
상기 제8 실시형태에서는 운전코스에 대응한 진동감소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1 판정기준횟수 M도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도 18은 제9 실시형태에 관하여, 다음의 점이 상기 제8 실시형태와 다르다. 이 제9 실시형태에서는 운전코스로서 통상시의 운전코스(이는 상기 표준 코스, 절약 코스, 불림 코스, 모포 코스, 드라이 코스)와, 예약 설정시의 운전 코스(이는 상기 표준 코스, 절약 코스, 불림 코스, 모포 코스, 드라이 코스에 대해서 예약 설정한 코스)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상진동 판정수단(46a2)은 제1 판정용 임계값 A, 제2 판정용 임계값 B, 및 제2 판정기준횟수 N을,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운전 코스에 대응하여 변경한다. 즉, 통상시의 운전 코스의 제1 판정용 임계값 A, 제2 판정용 임계값 B, 및 제2 판정기준횟수 N을, 예약 설정시의 운전코스에서는 낮게(작게) 설정하고 있다.
예약설정시의 운전코스가 실행되는 경우, 실행시간대가 야간이나 새벽이라는 조용한 시간대인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이상진동이 발생하면, 소음을 시끄럽게 느끼는 사용자도 많다. 이를 고려한 제9 실시형태에서는 통상시의 운전 코스의 제1 판정용 임계값 A, 제2 판정용 임계값 B, 및 제2 판정기준횟수 N에 대하여 예약 설정시의 운전 코스의 경우의 제1 판정용 임계값 A, 제2 판정용 임계값 B, 및 제2 판정기준횟수 N을 낮게(작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예약설정시의 운전코스의 실행시에, 이상진동이 작은 동안에 진동감소제어를 실행할 수 있고, 소음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판정기준횟수 M도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도 19 내지 도 21은 제10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고, 다음의 점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장치(46)는 기억수단으로서 진동감소 제어수단(46a3)이 진동감소제어를 실행한 횟수를 기억하는 불휘발성 메모리(6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표시부(41) 및 부저(53)는 알림수단에 상당한다. 제어수단(46a)은 세탁운전의 종료시에 도 20에 도시한 제어를 실행한다. 우선, 불휘발성 메모리(61)로부터 진동감소 제어수단(46a3)이 진동감소제어를 실행한 횟수를 판독한다(단계 T10). 최초의 단계에서는 실행횟수는 0이다. 다음에서 이번회의 세탁운전에서 진동감소 제어수단(46a3)이 진동감소제어를 실행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T20), 실행하고 있으면(단계 T20)의 「예」), 실행횟수를 하나 카운트(카운트업)하고(단계 T30), 카운트값을 불휘발성 메모리(61)에 기억한다(단계 T40). 그리고, 카운트값(실행횟수)이 소정 횟수 이상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T50), 소정 횟수 이상이면(단계 T50) 표시부(41)에서 알린다(단계 T60). 구체적인 알림내용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41)에 「점검」의 문자를 점멸 또는 점등 표시한다. 이 경우 부저(53)를 울리게 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점검」표시의 취지는 진동감소제어가 빈번하게 실행되는 것(이상진동발생 존재의 판정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것도 동일)은 세탁기(1)의 설치상황에 문제가 있거나, 부품열화에 의해 진동이 커진 것이 생각되므로, 그 점검을 재촉하는 의미이다. 또한, 진동감소제어의 실행횟수를 대신하여 이상진동 발생 존재 판정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이 되었을 때 알림을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도 22는 제11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1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도 7에서의 플로우차트에 대하여, 단계 S51)~단계 S56)를 설치한 점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즉, 설정세탁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단계 S50)의 판단이 「아니오」일 때, 회전조(6) 내의 수위[수위센서(47)에 의해 검출되는 수위]가 소정 수위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1). 상기 소정 수위는 비교적 낮은 수위로 설정되어 있다. 회전조(6) 내의 수위가 소정수위 미만으로 판단되면(단계 S51)에서 「예」), 가속도 센서(42)에 의한 진동검출결과가 제1 판정기준의 제1 판정용 임계값 A(판정용 임계값으로서는 제2 판정용 임계값 B보다 큼)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2). 그리고 진동검출결과가 제1 판정기준의 제1 판정용 임계값 A 이상이고, 제1 판정용 임계값 A 이상이 된 횟수가 제1 판정기준의 제1 판정기준횟수 M인 1회이면(단계 S53)에서 「예」), 이상진동 판정수단(46a2)은 이상진동이 발생했다고 판정한다(단계 S55). 그리고, 진동감소제어를 실행한다(단계 S56). 또한, 단계 S52) 또는 단계 S53)에서 「아니오」이면, 통상제어의 세탁운전을 실시한다(단계 S54).
수위가 소정 수위 이상인 경우(단계 S51)에서 「아니오」)에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진동검출결과가 제1 판정기준 및 제2 판정기준 중 어느 것에 합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에 따라서 진동감소제어 또는 통상제어를 실행한다(단계 S60)~단계 S110).
상기 제11 실시형태에서는 이상진동 판정수단(46a2)이 회전조(6) 내의 수위가 소정 수위 미만일 때에는 복수의 판정기준 중, 판정용 임계값이 큰 판정기준인 제1 판정기준을 사용하고, 수위가 소정 수위 이상일 때에는 복수의 판정기준인 제1 판정기준 및 제2 판정기준을 사용하여 이상진동발생을 판정한다.
회전조(6) 내의 수위가 적은 경우, 교반체(11)의 교반동작에 의해 세탁물이 잘 움직이고, 이를 위해 수조(5)도 움직이기 쉽다. 즉, 이상진동으로서는 큰 이상진동이 발생하기 쉽다. 여기에서, 상기 제11 실시형태에서는 적은 수위에서는 판정용 임계값이 큰 판정용 임계값 A를 갖는 제1 판정기준만을 사용하여 이상진동을 판정함으로써, 작은 이상진동에 대한 감시를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수위가 소정 수위 이상일 때에는 복수의 판정기준인 제1 판정기준 및 제2 판정기준을 사용하여 이상진동발생을 판정함으로써, 큰 이상진동도, 또한 수속하지 않고 빈발하는 작은 이상진동도 양호하게 판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 세탁기 5: 수조
6: 회전조 11: 교반체
13: 모터 41: 표시부(알림수단)
53: 부저(알림수단) 42: 가속도 센서(진동검출수단)
45: 순환기구 46: 제어장치
46a: 제어수단 46a1: 세탁운전 제어수단
46a2: 이상진동 판정수단 46a3: 진동감소 제어수단
46a4: 세탁물 중량 검출수단 60: 온도센서
61: 불휘발성 메모리(기억수단)

Claims (9)

  1.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에 상기 수조의 종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의 내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교반체,
    상기 수조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검출수단,
    상기 교반체를 정역 회전시켜 세탁운전 또는 헹굼운전을 실행하는 세탁운전 제어수단,
    상기 진동검출수단에 의한 진동검출결과에 대한 판정기준으로서 복수의 판정기준을 갖고, 상기 교반체를 정역 회전시키는 상기 교반체 회전제어 중의 상기 세탁운전시 또는 헹굼운전시에, 상기 진동검출수단에 의한 진동검출결과가 어느 상기 판정기준과 합치되었을 때 이상진동발생으로 판정하는 이상진동 판정수단, 및
    상기 이상진동 판정수단에 의해 이상진동발생으로 판정되었을 때 진동감소제어를 실행하는 진동감소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각 판정기준은 상기 진동검출결과에 대해서 설정된 판정용 임계값과, 상기 진동검출결과가 상기 판정용 임계값 이상이 된 횟수에 대해서 설정된 판정기준횟수의 조합이고,
    상기 각 판정기준은 서로 상기 판정용 임계값이 다르고, 또한 상기 판정용 임계값이 작을수록 상기 판정기준횟수가 많아지는 관계성이 있으며,
    상기 이상진동 판정수단은 상기 진동검출수단에 의한 진동검출결과가 적어도 하나의 판정기준에서의 상기 판정용 임계값 이상이 되고 또한 상기 판정용 임계값 이상이 된 횟수가 상기 판정기준에서의 상기 판정기준횟수가 되었을 때 이상진동발생으로 판정하고,
    상기 이상진동 판정수단은 상기 회전조 내의 수위가 소정 수위 미만일 때에는 상기 복수의 판정기준 중 판정용 임계값이 큰 판정기준을 사용하고, 상기 수위가 상기 소정 수위 이상일 때에는 상기 복수의 판정기준을 사용하여 이상진동발생을 판정하는, 세탁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세탁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세탁물 중량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상진동 판정수단은 상기 복수의 판정기준을, 상기 세탁물 중량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한 세탁물 중량에 따라서 변경하는, 세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세탁기 설치환경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이상진동 판정수단은 상기 복수의 판정기준을,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한 온도에 따라서 변경하는, 세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운전코스를 구비하고,
    상기 이상진동 판정수단은 상기 복수의 판정기준을, 상기 운전코스에 따라서 변경하는, 세탁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운전시에서 상기 이상진동 판정수단이 이상진동발생을 판정한 경우에는, 헹굼운전시에는 최초부터 상기 진동감소 제어수단에 의한 진동감소제어를 실행하는, 세탁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소 제어수단은 상기 이상진동 판정수단에 의해 이상진동발생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이상진동 판정수단이 이상진동 발생 부존재의 판정을 할 때까지 진동감소제어를 반복하여 실행하는, 세탁기.
  9. 제 1 항에 있어서,
    기억수단과, 알림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진동감소 제어수단이 진동감소제어를 실행한 횟수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실행한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이 되었을 때 상기 알림수단에 알리게 하는, 세탁기.
KR1020150045004A 2014-06-11 2015-03-31 세탁기 KR101733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20605A JP6472610B2 (ja) 2014-06-11 2014-06-11 洗濯機
JPJP-P-2014-120605 2014-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285A KR20150143285A (ko) 2015-12-23
KR101733860B1 true KR101733860B1 (ko) 2017-05-08

Family

ID=55076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004A KR101733860B1 (ko) 2014-06-11 2015-03-31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72610B2 (ko)
KR (1) KR101733860B1 (ko)
CN (1) CN1052973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64431B2 (ja) * 2017-04-19 2021-11-10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及び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7422305B2 (ja) * 2018-09-13 2024-01-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7270B2 (ja) * 1992-03-12 2000-12-11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JP2006311886A (ja) * 2005-05-06 2006-11-16 Sharp Corp 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8285A (ja) * 1984-10-19 1986-05-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洗濯機の運転方法
JPS6198287A (ja) * 1984-10-19 1986-05-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全自動洗濯機の運転方法
JPH08168587A (ja) * 1994-12-20 1996-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洗濯機
JP2003071181A (ja) * 2001-09-05 2003-03-11 Toshiba Corp 洗濯機
JP4141738B2 (ja) * 2002-05-21 2008-08-2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
JP2006296540A (ja) * 2005-04-18 2006-11-02 Sharp Corp 洗濯機
JP2009050639A (ja) * 2007-08-29 2009-03-12 Toshiba Corp 洗濯機
JP2011224227A (ja) * 2010-04-22 2011-11-10 Hitachi Appliances Inc 洗濯機
JP5650927B2 (ja) * 2010-05-20 2015-01-07 ハイアール グループ コーポレーション 洗濯機
JP5753974B2 (ja) * 2011-02-23 2015-07-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2012223439A (ja) * 2011-04-21 2012-11-15 Panasonic Corp 洗濯機
JP2013013603A (ja) * 2011-07-05 2013-01-24 Toshiba Corp 洗濯機
CN102888738B (zh) * 2011-07-06 2015-04-15 株式会社东芝 洗衣机
JP5788287B2 (ja) * 2011-07-06 2015-09-30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KR20130106750A (ko) * 2012-03-20 2013-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7270B2 (ja) * 1992-03-12 2000-12-11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JP2006311886A (ja) * 2005-05-06 2006-11-16 Sharp Corp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72610B2 (ja) 2019-02-20
CN105297332B (zh) 2018-08-28
CN105297332A (zh) 2016-02-03
JP2016000083A (ja) 2016-01-07
KR20150143285A (ko)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03177B2 (en) Washing machine combined with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4600221B2 (ja) ドラム式洗濯機
US20150121630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2114716A1 (ja) ドラム式洗濯機
US9970142B2 (en) Washing machine having detergent suppl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1200526A (ja) 洗濯機
JP2016043171A (ja) 洗濯機
KR101733860B1 (ko) 세탁기
KR10242821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6074196B2 (ja) 洗濯機
JP2010279410A (ja) 洗濯機
JP4497063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6235200B2 (ja) 洗濯機
JP6359623B2 (ja) 洗濯機
JP2016158745A (ja) 洗濯機
KR100873907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JP2014053208A (ja) 電気機器
JP2020103517A (ja) 洗濯機
JP2013188332A (ja) 洗濯機
JP2017108783A (ja) 衣類処理装置
KR20000055285A (ko)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JPH057690A (ja) 洗濯機の制御装置
JP2017153835A (ja) 洗濯機
JP2011083465A (ja) 洗濯機
KR101074705B1 (ko) 세제 미투입 체크용 드럼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