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613B1 -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613B1
KR101730613B1 KR1020150168990A KR20150168990A KR101730613B1 KR 101730613 B1 KR101730613 B1 KR 101730613B1 KR 1020150168990 A KR1020150168990 A KR 1020150168990A KR 20150168990 A KR20150168990 A KR 20150168990A KR 101730613 B1 KR101730613 B1 KR 101730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center pillar
pillar upper
upper trim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50168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2/201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 B60R22/202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the slider comprising spring-actuated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차량 중앙에 배치되는 센터필러 어퍼트림; 상기 센터필러 어퍼트림의 내측에 배치되어, 시트벨트가 인출되는 트림; 상기 센터필러 어퍼트림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시트벨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장치; 및 상기 높이 조절장치를 탄력 지지하여, 외력이 해제되었을 경우, 상기 높이 조절장치를 원래 위치에 복귀 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장치는, 잠금해제 노브; 상기 잠금해제 노브 하측에 배치되는 시트벨트 가이드유닛; 상기 센터필러 어퍼트림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잠금해제 노브의 상하 방향 이동 경로를 지지하는 레일부재; 및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Seat belts height adjust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시트벨트는 리트렉터에 소정의 길이가 감겨진 웨빙과, 이 웨빙의 감김 또는 인출시 가속도를 감지하여 웨빙을 잠금시키는 리트렉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트벨트 웨빙은 센터필러트림(앞도어와 뒷도어 사이에 부착된 내장재)에 형성된 인출구를 통하여 운전자 또는 승객쪽으로 인출되는 바, 센터필러트림의 인출구에는 시트벨트의 착용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장치(hight adjuster)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높이 조절장치는 어드저스터가 적용될 경우, 센터 필러 어퍼트림은 차체에 부착되는 트림과 시트벨트에 체결되어 강이 이동하는 커버 및 어드저스터 잠금장치 해제를 위한 노브 및 노브 자동복원을 위한 탄성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높이 조절장치는 노브를 아래로 누르면, 노브와 접촉된 어드저스터 잠금 해제장치도 같이 움직여 내려가면서,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그러면 승객은 시트벨트를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는데, 이때 시트벨트와 체결된 커버도 같이 이동하며, 사용 후 노브에서 승객이 손을 떼면 노브와 커버 사이에 연결된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으로 노브가 자동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때, 잠금장치는 시트벨트를 아래로 내리는 경우에만 적용되는 구조로서, 시트벨트를 위로 올릴 때는 노브를 작동하지 않아도 이동 가능하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높이 조절장치는 제조비용과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구조가 복잡해 기능불량이나 작동소음, 외관불량 등과 같은 품질문제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6-0068930호(2006.06.21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조립공수를 줄이고 부품비 및 제조원가를 절감함과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차량 중앙에 배치되는 센터필러 어퍼트림; 상기 센터필러 어퍼트림의 내측에 배치되어, 시트벨트가 인출되는 트림; 상기 센터필러 어퍼트림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시트벨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장치; 및 상기 높이 조절장치를 탄력 지지하여, 외력이 해제되었을 경우, 상기 높이 조절장치를 원래 위치에 복귀 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장치는, 잠금해제 노브; 상기 잠금해제 노브 하측에 배치되는 시트벨트 가이드유닛; 상기 센터필러 어퍼트림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잠금해제 노브의 상하 방향 이동 경로를 지지하는 레일부재; 및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 조절장치는 상기 센터필러 어퍼트림 내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편에 의해 이동경로가 가이드 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편은 상기 센터필러 어퍼트림 내측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은 상기 레일부재 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가이드 부재의 내측 결합되어, 상기 잠금해제 노브의 이동 시 압축되어, 상기 잠금해제 노브에 탄성 복원력을 부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어드저스터와 잠금해제장치의 형상 변경만으로 센터 필러 어퍼 트림의 필수 구성요소인 노브와 탄성부재를 제거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조립공수 저감에 따른 기능, 소음, 외관불량 등과 같은 다양한 품질문제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가 설치된 센터필러 어퍼트림의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의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 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가 설치된 센터필러 어퍼트림의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의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장치로서, 센터필러 어퍼트림(10), 높이 조절장치(20), 탄성부재(30)(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필러 어퍼트림(10)은 차량 중앙에 배치되는 것으로, 운전자 또는 보조석에 탑승하는 승객의 시트벨트가 설치되는 곳이다. 센터필러 어퍼트림(10)의 내측에는 시트벨트가 인출되는 커버부재(11)이 마련되고, 그 내측에 높이 조절장치(20)가 설치될 수 있다.
높이 조절장치(20)는 센터필러 어퍼트림(10)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시트벨트의 높이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높이 조절장치(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해제 노브(21), 시트벨트 가이드유닛(22) 레일부재(23) 및 가이드 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해제 노브(21)는 상기 레일부재(23)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25)가 센터필러 어퍼트림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편(15)에 의해 위치 가이드 되어, 상하방향의 왕복이동이 가이드 될 수 있다.
잠금해제 노브(21)는 후술할 탄성부재(30)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시트벨트의 위치를 록킹 고정하고, 사용자가 잠금해제 노브(21)에 외력을 가하면, 레일부재(23) 및 가이드 편(15)에 의해 이동 경로가 가이드 되면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편(15)은 적어도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5)의 양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시트벨트 가이드 유닛(22)은 시트벨트의 후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22a)가 돌출되어, 상기 잠금해제 노브(21)의 초기 위치에서 시트벨트를 지지하고 있는 높이 조절장치(2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레일부재(23)는 차량 프레임 또는 기타 다른 고정 부분에 위치 고정되어, 상기 레일부재(23)를 중심으로 잠금해제 노브(21) 전체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레일부재(23)에는 가이드 부재(2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정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가이드 부재(24)는 상기 잠금해제 노브(21)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부재(23)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잠금해제 노브(21)가 위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24)는 상기 레일부재(23)와 대응되는 상보적인 형상으로 마련되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탄성부재(30)는 높이 조절장치(20)를 탄력 지지하여, 외력이 해제되었을 경우, 상기 높이 조절장치(20)를 원래 위치에 복귀 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재(30)는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일단은 상기 레일부재(23) 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가이드 부재(24)의 내측 결합되어, 상기 잠금해제 노브(21)의 이동 시 압축되어, 상기 잠금해제 노브(21)에 탄성 복원력을 부가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동작을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기존의 어드져스터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잠금해제 노브(21)로 대체된다. 따라서, 잠금해제 노브(21)를 누르면 센터필러 어퍼트림(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 편(15)을 따라 내려가면서, 잠금해제 상태가 해제되어 시트벨트(미도시)를 가압하고 있는 시트벨트 가이드유닛(22)을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시트벨트 가이드유닛(22)과 함께 체결되어 있는 커버부재(11)도 함께 이동하고, 손을 떼면 잠금해제 노브(21)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탄성부재(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잠금해제 노브(21)가 초기 위치로 원상 복귀될 수 있다. 한편, 잠금해제 노브(21)는 아래로 내리는 경우에만 작동되므로, 시트벨트를 위로 올려야 할 때에는 잠금동작을 해제하지 않더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커버부재(11) 또한 삭제가 가능하다. 즉 커버부재(11)의 역할은 단순히 시트벨트를 디링으로 마련되는 시트벨트 가이드유닛(22)을 함께 움직이는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잠금해제 노브(21)의 형상을 디링으로 구성되는 시트벨트 가이드유닛(22)과 일체화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부 부품의 형상 변경만으로도 센터필러 어퍼트림(10)의 필수 구성요소들을 삭제할 수 있어 부품수 절감의 효과가 있어, 조립시간을 단축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센터필러 어퍼트림 11; 트림
20; 높이 조절장치 21; 잠금해제 노브
22; 시트벨트 가이드유닛 22a; 가압부
23; 레일부재 24; 가이드 부재
25; 가이드 플레이트

Claims (5)

  1. 차량용 시트벨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차량 중앙에 배치되는 센터필러 어퍼트림;
    상기 센터필러 어퍼트림의 내측에 배치되어, 시트벨트가 인출되는 트림;
    상기 센터필러 어퍼트림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시트벨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장치; 및
    상기 높이 조절장치를 탄력 지지하여, 외력이 해제되었을 경우, 상기 높이 조절장치를 원래 위치에 복귀 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장치는,
    잠금해제 노브;
    상기 잠금해제 노브 하측에 배치되는 시트벨트 가이드유닛;
    상기 센터필러 어퍼트림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잠금해제 노브의 상하 방향 이동 경로를 지지하는 레일부재; 및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은 상기 레일부재 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가이드 부재의 내측 결합되어, 상기 잠금해제 노브의 이동 시 압축되어, 상기 잠금해제 노브에 탄성 복원력을 부가하고,
    상기 잠금해제 노브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상기 시트벨트의 위치를 록킹 고정하고,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레일부재에 의해 이동 경로가 가이드 되면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록킹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장치는,
    상기 센터필러 어퍼트림 내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편에 의해 이동경로가 가이드 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편은,
    상기 센터필러 어퍼트림 내측에 한 쌍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KR1020150168990A 2015-11-30 2015-11-30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KR101730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990A KR101730613B1 (ko) 2015-11-30 2015-11-30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990A KR101730613B1 (ko) 2015-11-30 2015-11-30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613B1 true KR101730613B1 (ko) 2017-04-26

Family

ID=58704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990A KR101730613B1 (ko) 2015-11-30 2015-11-30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6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1365A (zh) * 2021-12-29 2022-04-01 浙江零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消音型安全带高度调节机构
KR20230011112A (ko) 2021-07-13 2023-0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KR20230142052A (ko) 2022-03-31 2023-10-11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0988A (ja) 2003-05-12 2004-11-25 Mitsubishi Motors Corp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736463B1 (ko) * 2006-08-08 2007-07-09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시트벨트 위치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0988A (ja) 2003-05-12 2004-11-25 Mitsubishi Motors Corp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736463B1 (ko) * 2006-08-08 2007-07-09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시트벨트 위치 조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112A (ko) 2021-07-13 2023-0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US11840193B2 (en) 2021-07-13 2023-12-12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seat belt
CN114261365A (zh) * 2021-12-29 2022-04-01 浙江零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消音型安全带高度调节机构
KR20230142052A (ko) 2022-03-31 2023-10-11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613B1 (ko)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KR19980058088A (ko) 자동차 암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JP2017043325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GB2505993A (en) Shoulder belt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child seat
KR20120082740A (ko) 자동차 시트의 시트레일 록킹 장치
KR101372955B1 (ko)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US20180170237A1 (en) Device for securing loaded material in a loading space of a motor vehicle
KR101593817B1 (ko) 시트쿠션의 익스텐션 장치
EP3028593B1 (en) Buckle and seatbelt device with same
KR102540479B1 (ko) 시트벨트용 센터 필러 트림 어셈블리
JP6208778B2 (ja) ハイトアジャスタ装置、ハイトアジャスタ装置を含んだシートベルト装置、およびハイトアジャスタ装置の製造方法
KR101491131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JP2012250682A (ja) スライド式アームレスト
JP5693394B2 (ja) 自動車用安全ベルト装置
KR20160013405A (ko)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KR102002710B1 (ko) 헤드레스트 가이드 어셈블리
KR101584869B1 (ko) 차량용 시트레일 레버장치
KR101739849B1 (ko) 시트벨트 높이조절장치
CN217396396U (zh) 一种车载显示装置
KR101716971B1 (ko) 시트용 워크인장치
CN110762346B (zh) 一种移动终端夹持装置及车辆
KR101826523B1 (ko) 푸쉬형 차일드 락 기능을 갖는 인사이드 핸들
US10710547B2 (en) Seat belt adjustment release mechanism
KR20180083453A (ko)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JP6594358B2 (ja) 車両のピラ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