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112A -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112A
KR20230011112A KR1020210091732A KR20210091732A KR20230011112A KR 20230011112 A KR20230011112 A KR 20230011112A KR 1020210091732 A KR1020210091732 A KR 1020210091732A KR 20210091732 A KR20210091732 A KR 20210091732A KR 20230011112 A KR20230011112 A KR 20230011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cover
sliding rail
seat belt
adjus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1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1112A/ko
Priority to US17/697,662 priority patent/US11840193B2/en
Priority to DE102022203050.8A priority patent/DE102022203050A1/de
Publication of KR20230011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2/201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8Adaptations for seat belts characterised by guiding means for children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60N2002/28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60R2022/266Rear seats, e.g. ben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 승객의 체형에 따라 3점식 시트벨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성인 승객은 물론, 어린이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시트백의 측부에 상하로 설치된 슬라이딩레일; 상기 어깨벨트가 걸려지도록 벨트링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슬라이딩레일의 최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벨트링이 시트백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belt}
본 발명은 어린이 승객의 체형에 따라 3점식 시트벨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성인 승객은 물론, 어린이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를 태우는 통학 차량의 경우, 어린이 체형에 맞추어 조절이 가능한 시트벨트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현재는 대부분 2점식 시트벨트가 적용되어 있어 사고시 상해 위험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기존의 3점식 시트벨트를 사용하기 위한 방안이 강구되고 있고, 대표적으로 클립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시트벨트와, 부스터 타입의 시트벨트를 들 수 있다.
클립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시트벨트는, 기존의 3점식 시트벨트에서 어깨벨트가 걸려지는 부분에 클립을 고정함으로써, 어깨벨트가 걸려지는 부분의 높이를 낮추게 되고, 이에 시트벨트를 어린이 체형에 맞출 수 있다.
하지만, 클립을 이용하는 방식은 시트벨트를 성인이나 어린이 모두가 이용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클립의 체결강도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사고시 어린이 승객의 안전을 담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부스터 타입의 시트벨트는, 작은 체형의 승객에 맞추어 시트쿠션을 접어 올려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좌우측 좌석 사이에 센터 좌석이 놓여지는 시트의 경우, 좌우측 좌석에는 부스터 시트벨트의 적용이 가능한 반면, 센터 좌석에는 부스터 시트벨트를 적용하기 어렵고, 또한 승객의 체형 별로 다단 조절이 어려운 문제도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730613 B1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어린이 승객의 체형에 따라 3점식 시트벨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성인 승객은 물론, 어린이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자율주행차량의 다기능 시트(탈착, 스위블, 롱슬라이딩)에서 시트벨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시트백의 측부에 상하로 설치된 슬라이딩레일; 상기 어깨벨트가 걸려지도록 벨트링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슬라이딩레일의 최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벨트링이 시트백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벨트링이 슬라이더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상단이 슬라이딩레일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까지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상단을 덮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최상단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동반슬라이딩구간에서 커버가 슬라이더에 지지되어 함께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레일이 고정된 시트백프레임에 하향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동반슬라이딩구간을 따라 하향 이동하는 커버가 하향스토퍼에 걸려져 커버의 하향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레일이 고정된 시트백프레임에 상향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동반슬라이딩구간을 따라 상향 이동하는 커버가 상향스토퍼에 걸려져 커버의 상향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커버가 하향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상단에 연장 구비되고, 하단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트백의 후방으로 폴딩되는 폴딩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가 폴딩레일에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더가 폴딩레일과 함께 후방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상단과 폴딩레일을 덮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트백의 후방으로 회전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폴딩레일에 위치한 상태에서 커버가 슬라이더 및 폴딩레일과 함께 후방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전방이 개방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상하부에 스크린이 고정되어 슬라이딩레일 전방의 개방구간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다.
상기 커버의 내부에 가이드롤러가 좌우로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더 상단에 상부 스크린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 스크린이 커버의 천장면과 가이드롤러 사이에서 슬라이더의 슬라이딩과 함께 진출입되어 슬라이더 상부의 개방구간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하단에 제1하부 스크린이 결합되고; 상기 제1하부 스크린의 하부에 제2하부 스크린이 구비되며; 상기 제1하부 스크린이 제2하부 스크린 전면에 겹쳐진 상태에서 슬라이더의 슬라이딩과 함께 이동되어 슬라이더 하부의 개방구간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제1록킹부가 복수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제1록킹부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제2록킹부가 형성되어 슬라이더의 상하방향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승객의 체형에 맞추어 시트벨트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함으로써, 승객의 체형에 관계없이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높이 조절장치가 차체가 아닌 시트백의 측면에 설치됨으로써, 기존 차량의 시트는 물론, 자율주행차량의 다기능 시트에도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가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a,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슬라이더와 슬라이딩레일 간의 결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3b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커버의 상하 슬라이딩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커버의 배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커버의 슬라이딩구간을 제한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a, 7b, 7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슬라이더의 슬라이딩레일 및 폴딩레일 간의 결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폴딩레일이 폴딩되는 작동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 9a, 9b, 9c는 도 7a, 7b, 7c에 커버가 결합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가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슬라이더(200)와 슬라이딩레일(100) 간의 결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는, 시트백(10) 측부에 상하로 설치된 슬라이딩레일(100); 어깨벨트(B)가 걸려지도록 벨트링(210)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레일(10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슬라이딩레일(100)의 최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벨트링(210)이 시트백(10)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더(200);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예컨대, 시트백(10)의 측부에는 성인 승객 기준으로 벨트링(210)이 마운팅되는 앵커영역이 설정되는데, 어린이 승객에 적용되는 벨트링(210)의 마운팅 위치는 상기 앵커영역보다 낮게 설정되어야 한다.
이에, 상기 슬라이딩레일(100)의 상하 길이범위는 성인 승객 기준의 앵커영역과 어린이 승객 모두를 만족하도록 설치되며, 전좌석에 설치가 가능하다. 도면과 같이 좌우측 좌석 사이에 센터 좌석이 있는 시트의 경우, 좌우측 좌석의 시트백(10) 외측면과 센터 좌석의 시트백(10) 일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레일(100)은 시트백(10)의 골격을 형성하는 시트백(10)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되고, 슬라이더(200)가 상기 슬라이딩레일(100)의 전면에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벨트링(210)이 슬라이더(200)의 전단에 결합되어 상기 벨트링(210)에 어깨벨트(B)가 걸려진다.
특히, 상기 슬라이더(200)가 슬라이딩레일(100)의 최상단 위치까지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벨트링(210)이 슬라이딩레일(100)의 최상단보다 높게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슬라이더(200)가 슬라이딩레일(100)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벨트링(21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됨으로써, 성인 기준의 앵커영역보다 낮은 위치에서 어깨벨트(B)가 걸려지게 되고, 이에 어린이 승객의 체형에 따라 3점식 시트벨트의 높이가 조절되어 어린이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200)가 슬라이딩레일(100)의 최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벨트링(210)의 높이가 높아지게 됨으로써, 성인 기준의 앵커영역 내에서 어깨벨트(B)가 걸려지게 되고, 이에 일반 성인 승객의 체형에 따라 시트벨트를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승객의 체형에 맞추어 시트벨트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함으로써, 승객의 체형에 관계없이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더욱이, 높이 조절장치가 차체가 아닌 시트백(10)의 측면에 설치됨으로써, 기존 차량의 시트는 물론, 자율주행차량의 다기능 시트(탈착, 스위블, 롱슬라이딩)에도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더불어,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벨트링(210)이 슬라이더(20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200)의 상단이 슬라이딩레일(100)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까지 슬라이딩되는 구조가 된다.
즉, 상기 벨트링(210)이 슬라이더(200)의 상단에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더(200)가 슬라이딩레일(100)의 최상단 위치로 슬라이딩되면, 벨트링(210)의 높이가 슬라이딩레일(100)의 상단보다 더 높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어깨벨트(B)가 걸려지는 벨트링(210)의 높이가 높아지게 됨으로써, 시트벨트의 높이를 높여 성인 승객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특히 어린이 승객의 경우 슬라이더(200)가 슬라이딩레일(100)의 최상단에서 하부로 이동됨으로써, 슬라이더(200)의 높이만큼 시트백(10) 상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감소시켜, 높이 조절장치로 인해 운전자의 후방 시계를 가리는 것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한편, 도 3a, 3b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커버(300)의 상하 슬라이딩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커버(300)의 배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레일(100)의 상단을 덮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이에, 상기 슬라이더(200)의 최상단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동반슬라이딩구간(IS)에서 커버(300)가 슬라이더(200)에 지지되어 함께 상하로 슬라이딩된다.
즉, 상기 커버(300)에 의해 슬라이딩레일(100)의 상단부분을 마감하여 시트백(10)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레일(100)과 시트백프레임(12)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커버레일(18)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300)의 배면 양측에는 커버레일(18)의 양측에 가이드되는 커버가이드(320)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300)가 커버레일(18)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즉, 슬라이딩레일(100)의 하단에서 슬라이더(200)가 상향 이동시, 슬라이더(200)만 단독으로 이동되고, 슬라이더(200)의 상향 이동 중 슬라이더(200)가 슬라이딩레일(100)의 일정 높이에서 커버(300)에 접촉되면 슬라이더(200)가 커버(300)를 밀어 올려 슬라이더(200)와 커버(300)가 동시에 슬라이딩레일(100)의 최상단까지 상향 이동된다.
이어서, 슬라이딩레일(100)의 최상단에서 슬라이더(200)가 하향 이동시, 슬라이더(200)와 커버(300)가 동시에 하향 이동되고, 하향 이동과정에서 커버(300)가 일정 높이에서 멈추게 되면 슬라이더(200)만 단독으로 슬라이딩레일(100)의 최하단까지 하향 이동된다.
즉, 상기 슬라이더(200)와 커버(300)가 슬라이딩레일(100) 상부에 설정된 동반슬라이딩구간(IS) 에서는 동시에 이동되고, 동반슬라이딩구간(IS)의 하부 구간에서는 슬라이더(200)만 단독으로 이동된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커버(300)의 슬라이딩구간을 제한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레일(100)이 고정된 시트백프레임(12)에 하향스토퍼(14)가 구비되고; 상기 동반슬라이딩구간(IS)을 따라 하향 이동하는 커버(300)가 하향스토퍼(14)에 걸려져 커버(300)의 하향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슬라이딩레일(100)이 고정된 시트백프레임(12)에 상향스토퍼(16)가 구비되고; 상기 동반슬라이딩구간(IS)을 따라 상향 이동하는 커버(300)가 상향스토퍼(16)에 걸려져 커버(300)의 상향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즉, 커버(300)의 하단이 하향스토퍼(14)에 상면에 걸려지고, 상향스토퍼(16)의 하부에서 커버(300)의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부분(302)에 상향스토퍼(16)의 밑면이 걸려지게 됨으로써, 커버(300)가 하향스토퍼(14)와 상향스토퍼(16) 사이에서 움직이게 되고, 이에 커버(300)가 과도하게 하방 이동되거나 상방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도 5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커버(300)가 하향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00);을 더 포함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스프링(400)은 코일 형상으로 형성된 인장스프링일 수 있는 것으로, 상단이 커버(300)에 걸려지고, 하단이 시트백프레임(12)에 걸려질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레인의 최상단에서 슬라이더(200)의 하향 이동시, 커버(300)가 인장스프링의 힘에 의해 하부로 당겨지게 됨으로써, 커버(300)가 동반슬라이딩구간(IS)에서 하향 이동된다.
한편, 도 7a, 7b, 7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슬라이더(200)의 슬라이딩레일(100) 및 폴딩레일(110) 간의 결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폴딩레일이 폴딩되는 작동을 개략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레일(100)의 상단에 연장 구비되고, 하단의 힌지축(H)을 중심으로 시트백(10)의 후방으로 폴딩되는 폴딩레일(110);을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즉, 슬라이더(200)가 슬라이딩레일(100)의 하부에 위치한 경우 폴딩레일(110)을 후방으로 폴딩시키게 된다.
따라서, 어린이 승객의 체형에 맞추어 시트벨트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시트백(10) 상부로 폴딩레일(110)이 돌출되지 않아 운전자의 후방 시야를 확보하게 된다.
더불어, 도 7b 및 도 7c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200)가 폴딩레일(110)에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더(200)가 폴딩레일(110)과 함께 후방으로 폴딩되는 구조가 된다.
즉, 상기 폴딩레일(110)이 상방을 향하도록 펼쳐진 상태에서 슬라이더(200)가 슬라이딩레일(100)과 폴딩레일(110)을 따라 상향 이동됨으로써, 슬라이더(200)가 폴딩레일(110)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폴딩레일(110)이 후방으로 폴딩되면, 폴딩레일(110) 상에 위치한 슬라이더(200)가 폴딩레일(110)과 함께 후방으로 폴딩되고, 슬라이더(200)에 구비된 벨트링(210)이 상방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성인 승객의 체형에 맞추어 시트벨트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도 시트백(10) 상부로 폴딩레일(110)이 돌출되지 않아, 운전자의 후방 시야를 확보하게 된다.
아울러, 도 9a, 9b, 9c는 도 7a, 7b, 7c에 커버(300)가 결합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레일(100)의 상단과 폴딩레일(110)을 덮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힌지축(H)을 중심으로 시트백(10)의 후방으로 회전되는 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이에, 상기 슬라이더(200)가 폴딩레일(110)에 위치한 상태에서 커버(300)가 슬라이더(200) 및 폴딩레일(110)과 함께 후방으로 폴딩되는 구조가 된다.
즉, 상기 커버(300)에 의해 폴딩레일(110)과 슬라이딩레일(100)의 상단부분을 마감하여 시트백(10)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300)가 폴딩레일(110)에 결합됨으로써, 폴딩레일(110)이 폴딩되면 폴딩레일(110)과 커버(300)가 함께 폴딩된다.
즉, 슬라이딩레일(100)의 하단에서 슬라이더(200)가 상향 이동되어 폴딩레일(110) 상에 슬라이더(200)가 위치하면, 슬라이더(200)를 후방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슬라이더(200)와 폴딩레일(110)이 후방으로 폴딩되면서, 폴딩레일(110)에 결합된 커버(300) 역시 함께 후방으로 회전되고, 슬라이더(200)에 구비된 벨트링(210)이 상방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성인 승객의 체형에 맞추어 시트벨트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시트백(10) 상부로 돌출되는 커버(300)의 돌출량을 최소화하여 운전자의 후방 시야를 확보하게 된다.
물론, 슬라이더(200)가 슬라이딩레일(100)의 하부에 위치한 경우에도 폴딩레일(110)을 후방으로 폴딩시키게 된다.
따라서, 어린이 승객의 체형에 맞추어 시트벨트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시트백(10) 상부로 돌출되는 커버(300)의 돌출량을 최소화하여 운전자의 후방 시야를 확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 구조 모두에서, 상기 슬라이딩레일(100)의 전방이 개방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200)의 상하부에 스크린(500)이 고정되어 슬라이딩레일(100) 전방의 개방구간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형성된다.
즉, 슬라이더(200)에 스크린(500)이 고정되고, 상기 스크린(500)이 슬라이더(200)와 함께 이동됨으로써, 스크린(500)에 의해 슬라이더(200) 상하부에 위치한 슬라이딩레일(100) 및 폴딩레일(11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린(500)은 상부 스크린(510)과 하부 스크린으로 나뉠 수 있고, 상부 스크린(510)에 의해 슬라이더(200)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300)의 내부에 가이드롤러(310)가 좌우로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더(200) 상단에 상부 스크린(510)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 스크린(510)이 커버(300)의 천장면과 가이드롤러(310) 사이에서 슬라이더(200)의 슬라이딩과 함께 진출입되어 슬라이더(200) 상부의 개방구간을 덮는 구조가 된다.
예컨대, 상기 가이드롤러(310)는 커버(300)의 전후로 복수 구비되어 상부 스크린(510)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게 된다.
즉, 슬라이더(200)가 상부로 이동되면 상부 스크린(510)이 커버(300)와 가이드롤러(310) 사이에서 가이드되어 커버(300)의 후방을 향해 들어가게 된다.
반대로, 슬라이더(200)가 하부로 이동되면 상부 스크린(510)이 커버(300)와 가이드롤러(310) 사이에서 가이드되면서 커버(300)의 전방을 향해 빠져나오게 됨으로써, 상부 스크린(510)에 의해 슬라이더(200) 상부에 위치한 레일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더불어, 슬라이더(200)의 하부는 하부 스크린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더(200) 하단에 제1하부 스크린(520a)이 결합되고; 상기 제1하부 스크린(520a)의 하부에 제2하부 스크린(520b)이 구비되며; 상기 제1하부 스크린(520a)이 제2하부 스크린(520b) 전면에 겹쳐진 상태에서 슬라이더(200)의 슬라이딩과 함께 이동되어 슬라이더(200) 하부의 개방구간을 덮는 구조가 된다.
예컨대, 하부 스크린은 제1하부 스크린(520a)과 제2하부 스크린(520b)으로 구성되어 제2하부 스크린(520b)이 제1하부 스크린(520a)의 전단에서 상하 이동되는 구조가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하부 스크린(520a)은 시트백프레임(12)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2하부 스크린(520b)은 슬라이더(200)와 결합되면서 제1하부 스크린(520a)에 대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슬라이더(200)가 상부로 이동되면 제2하부 스크린(520b)이 제1하부 스크린(520a)에 가이드되면서 상부로 이동되어 슬라이더(200)의 하부를 가리게 된다.
반대로, 슬라이더(200)가 하부로 이동되면 제2하부 스크린(520b)이 제1하부 스크린(520a)에 가이드되면서 하부로 이동되어 슬라이더(200)의 하부를 가리게 된다.
따라서, 하부 스크린에 의해 슬라이더(200) 하부에 위치한 레일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딩레일(100)을 따라 제1록킹부(100a)가 복수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200)에 상기 제1록킹부(100a)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제2록킹부(200a)가 형성되어 슬라이더(200)의 상하방향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예컨대, 상기 제1록킹부(100a)가 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록킹부(200a)가 상기 홀에 끼워지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더(200)가 슬라이딩레일(100)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더(200)에 형성된 제2록킹부(200a)가 슬라이딩레일(100)에 형성된 제1록킹부(100a)에 끼워지면, 해당 위치에서 슬라이더(20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어깨벨트(B)의 위치를 다단으로 조절 가능함으로써, 승객의 체형 별로 시트벨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승객의 체형에 관계없이 쉽고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적용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의 작동관계와 그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제1실시예 구조를 예시하여 살펴보면, 어린이 승객이 탑승한 경우 도 3a에서 슬라이더(200)를 하부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 3b와 같이 슬라이더(200)가 슬라이딩레일(100)을 따라 하향 이동되고, 슬라이더(200)의 이동과 동시에 스프링(400)의 힘에 의해 커버(300) 역시 하향 이동된다.
이처럼 슬라이더(200)와 커버(300)가 동시에 하향 이동되는 과정에서, 커버(300)가 하향스토퍼(14)에 걸려지게 되면 커버(300)는 멈추게 되고, 슬라이더(200)는 계속해서 하향 이동된다.
그리고, 제1록킹부(100a)와 제2록킹부(200a)에 의해 슬라이더(200)를 어린이 승객의 체형에 맞는 높이에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어깨벨트(B)의 높이가 어린이 승객의 체형에 맞게 낮추어지게 됨으로써, 3점식 시트벨트의 높이가 어린이 승객의 체형에 따라 조절되어 어린이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아울러, 슬라이더(200)가 도 3b에 위치한 상태에서 성인 승객이 탑승하게 되면, 슬라이더(200)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 3a와 같이 슬라이더(200)가 슬라이딩레일(100)을 따라 상향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슬라이더(200)가 커버(300)에 접촉되면 커버(300)를 함께 밀어올리게 되어, 슬라이더(200)와 커버(300)가 동시에 상향 이동된다.
그리고, 제1록킹부(100a)와 제2록킹부(200a)에 의해 슬라이더(200)를 성인 승객의 체형에 맞는 높이, 예를 들어 슬라이딩레일(100)의 최상단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어깨벨트(B)의 높이가 성인 승객의 체형에 맞게 높아지게 됨으로써, 3점식 시트벨트의 높이가 성인 승객의 체형에 따라 조절되어 어린이 승객 뿐만 아니라 성인 승객 역시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한편, 제2실시예 구조를 예시하여 살펴보면, 어린이 승객이 탑승한 경우 도 7c 및 도 9c에서 후방으로 폴딩된 커버(300)를 전방으로 회전하여 세우게 된다.
그러면, 도 9b와 같이 슬라이더(200)와 내부의 폴딩레일(110)이 함께 세워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200)를 하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도 9a와 같이 슬라이더(200)가 폴딩레일(110)에서 벗어나면서 슬라이딩레일(100)을 따라 하향 이동된다.
이어서, 제1록킹부(100a)와 제2록킹부(200a)에 의해 슬라이더(200)를 어린이 승객의 체형에 맞는 높이에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어깨벨트(B)의 높이가 어린이 승객의 체형에 맞게 낮추어지게 됨으로써, 3점식 시트벨트의 높이가 어린이 승객의 체형에 따라 조절되어 어린이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참고로, 도 9a에서 커버(300)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커버(300)와 함께 도 7a와 같이 폴딩레일(110)이 후방으로 폴딩됨으로써, 시트백(10) 상단으로 돌출되는 커버(300)의 돌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어린이 승객의 체형에 맞추어 어깨벨트(B)의 높이가 낮추어진 상태에서 성인 승객이 탑승하는 경우, 도 7a에서 후방으로 폴딩된 커버(300)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세우게 된다.
그러면, 도 8과 같이 커버(300)와 함께 내부의 폴딩레일(110)이 세워지게 된다.(다만, 도 7b는 폴딩레일(110)이 세워지기 전의 상태임)
이 상태에서, 슬라이딩레일(100)과 폴딩레일(110)을 따라 슬라이더(200)를 상향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슬라이더(200)가 폴딩레일(110)에 위치된다.
이어서, 제1록킹부(100a)와 제2록킹부(200a)에 의해 슬라이더(200)를 성인 승객의 체형에 맞는 높이, 예를 들어 폴딩레일(110)의 최상단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300)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도 7c와 같이 슬라이더(200)와 내부의 폴딩레일(110)이 함께 후방으로 폴딩된다.
따라서, 어깨벨트(B)의 높이가 성인 승객의 체형에 맞게 높아지게 됨으로써, 3점식 시트벨트의 높이가 성인 승객의 체형에 따라 조절되어 어린이 승객 뿐만 아니라 성인 승객 역시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승객의 체형에 맞추어 시트벨트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함으로써, 승객의 체형에 관계없이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더욱이, 높이 조절장치가 차체가 아닌 시트백(10)의 측면에 설치됨으로써, 기존 차량의 시트는 물론, 자율주행차량의 다기능 시트(탈착, 스위블, 롱슬라이딩)에도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시트백
12 : 시트백프레임
14 : 하향스토퍼
16 : 상향스토퍼
18 : 커버레일
100 : 슬라이딩레일
100a : 제1록킹부
110 : 폴딩레일
200 : 슬라이더
200a : 제2록킹부
210 : 벨트링
300 : 커버
310 : 가이드롤러
320 : 커버가이드
400 : 스프링
500 : 스크린
510 : 상부 스크린
520a : 제1하부 스크린
520b : 제2하부 스크린
B : 어깨벨트
H : 힌지축
IS : 동반슬라이딩구간

Claims (13)

  1. 시트백의 측부에 상하로 설치된 슬라이딩레일;
    상기 어깨벨트가 걸려지도록 벨트링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슬라이딩레일의 최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벨트링이 시트백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트링이 슬라이더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상단이 슬라이딩레일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까지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상단을 덮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최상단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동반슬라이딩구간에서 커버가 슬라이더에 지지되어 함께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레일이 고정된 시트백프레임에 하향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동반슬라이딩구간을 따라 하향 이동하는 커버가 하향스토퍼에 걸려져 커버의 하향 이동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레일이 고정된 시트백프레임에 상향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동반슬라이딩구간을 따라 상향 이동하는 커버가 상향스토퍼에 걸려져 커버의 상향 이동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하향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상단에 연장 구비되고, 하단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트백의 후방으로 폴딩되는 폴딩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폴딩레일에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더가 폴딩레일과 함께 후방으로 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상단과 폴딩레일을 덮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트백의 후방으로 회전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폴딩레일에 위치한 상태에서 커버가 슬라이더 및 폴딩레일과 함께 후방으로 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10.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전방이 개방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상하부에 스크린이 고정되어 슬라이딩레일 전방의 개방구간을 전체적으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부에 가이드롤러가 좌우로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더 상단에 상부 스크린이 고정되며;
    상기 상부 스크린이 커버의 천장면과 가이드롤러 사이에서 슬라이더의 슬라이딩과 함께 진출입되어 슬라이더 상부의 개방구간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하단에 제1하부 스크린이 결합되고;
    상기 제1하부 스크린의 하부에 제2하부 스크린이 구비되며;
    상기 제1하부 스크린이 제2하부 스크린 전면에 겹쳐진 상태에서 슬라이더의 슬라이딩과 함께 이동되어 슬라이더 하부의 개방구간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제1록킹부가 복수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제1록킹부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제2록킹부가 형성되어 슬라이더의 상하방향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KR1020210091732A 2021-07-13 2021-07-13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KR20230011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732A KR20230011112A (ko) 2021-07-13 2021-07-13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US17/697,662 US11840193B2 (en) 2021-07-13 2022-03-17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seat belt
DE102022203050.8A DE102022203050A1 (de) 2021-07-13 2022-03-29 Vorrichtung zur einstellung der höhe eines sicherheitsgur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732A KR20230011112A (ko) 2021-07-13 2021-07-13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112A true KR20230011112A (ko) 2023-01-20

Family

ID=8454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732A KR20230011112A (ko) 2021-07-13 2021-07-13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40193B2 (ko)
KR (1) KR20230011112A (ko)
DE (1) DE1020222030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7391B1 (en) * 2022-05-20 2023-07-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belt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0613B1 (ko) 2015-11-30 2017-04-26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5908A (en) * 1992-03-16 1993-11-3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Height adjuster for D-ring
US5722731A (en) * 1995-10-25 1998-03-03 Chang; Chung L. Vehicle seat and seat belt arrangement
US6145881A (en) * 1999-01-15 2000-11-14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Seatback mounted seat belt tensioner
JP4727081B2 (ja) * 2001-07-30 2011-07-20 株式会社ニフコ シートベルトガイド
US7513531B2 (en) * 2005-10-04 2009-04-07 Takata Seat Belts, Inc. Simplified height adjuster for D-ring
US20080136141A1 (en) * 2006-12-12 2008-06-12 Tk Holdings, Inc. Snap-on Guide Loop Assembly
US8002358B2 (en) * 2007-06-18 2011-08-23 Tk Holdings Inc. Seatbelt system
DE102009037994B3 (de) * 2009-08-20 2011-04-14 Grammer Ag Fahrzeugsitz mit höhenverstellbarem Sicherheitsgurt
JP6160530B2 (ja) * 2014-03-24 2017-07-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KR20220141997A (ko) * 2021-04-14 2022-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안전벨트용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0613B1 (ko) 2015-11-30 2017-04-26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15173A1 (en) 2023-01-19
DE102022203050A1 (de) 2023-01-19
US11840193B2 (en) 202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89173B (zh) 带有安全带的儿童座椅及其制造方法
RU2334631C2 (ru) Детское сиденье для автомобилей
KR20200086345A (ko) 승차인 구속 장치
US8777322B2 (en) Child-restraint harness for juvenile vehicle seat
JP6368010B2 (ja) シートベルトシステム用ウェビング調節装置
US4655506A (en) Child's car seat restraint system
KR20140031142A (ko) 개선된 설치를 위한 벨트 텐셔닝기구를 구비한 차일드시트
WO2005102112A2 (en) Adjustable height vehicle seat bottom
US20220185153A1 (en) Child restraint base and child restraint system
DE202020105184U1 (de) Rampe einer Vorhangairbagvorrichtung und Vorhangairbagvorrichtung mit dieser
US10315539B2 (en) Child restraint with vehicle seatbelt management system
US20140367946A1 (en) Vehicle pillar trim assembly
KR20230011112A (ko)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CN100493954C (zh) 儿童座椅
US10065597B2 (en) Self-adjusting safety belt system for occupants of varying sizes
JPS6056653A (ja) 三点自動抑制システム
KR20220141997A (ko) 안전벨트용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US4256330A (en) Passive seat belt system
KR102201179B1 (ko) 차량 좌석의 등받이와 안전시트 등받이 사이의 공간이 벌이지지 않게 고정되어 안전성이 향상된 안전시트.
CN210707010U (zh) 一种车载安全座椅
KR0138217Y1 (ko) 자동차용 시이트의 헤드 레스트
KR200223606Y1 (ko) 차량시트의 유아보호 장치
WO2020019150A1 (en) Child safety seat
US4997204A (en) Passive safety harness
KR200150167Y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높이 조절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