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1997A - 안전벨트용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안전벨트용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1997A
KR20220141997A KR1020210048193A KR20210048193A KR20220141997A KR 20220141997 A KR20220141997 A KR 20220141997A KR 1020210048193 A KR1020210048193 A KR 1020210048193A KR 20210048193 A KR20210048193 A KR 20210048193A KR 20220141997 A KR20220141997 A KR 20220141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vehicle seat
lower rail
locking system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기성
문윤호
조민규
한봉천
박수현
박승용
정도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오스템
주식회사 마노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오스템, 주식회사 마노,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8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1997A/ko
Publication of KR20220141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9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2/201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5Adaptations for 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Abstract

본 발명은 3점식 안전벨트의 높이조절장치가 내장된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백 프레임(seatback frame)의 일측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고정적으로 체결되는 로어레일(lower rail)과; 상기 로어레일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위치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로킹시스템(locking system)과; 상기 로킹시스템에 결합하는 안전벨트용 앵커(anchor)와; 상기 로어레일, 로킹시스템을 덮은 상태로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며, 상기 앵커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상하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전방의 슬라이드 개구가 형성되는 커버(cov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승용차나 승합차의 2열 또는 3열 이하의 벤치시트에 자체적으로 3점식 안전벨트의 높이조절장치를 내장함으로써 어린이 탑승자를 위한 높이에 맞추어 낮출 수 있으므로 안전벨트로 인한 2차 사고의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벨트용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VEHICLE SEAT HAVING HEIGHT ADJUSTER FOR SAFETY BEL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점식 안전벨트의 높이조절장치가 내장된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승용차나 승합차의 운전석과 보조석을 제외한 2열 또는 3열 이하의 시트(즉, 벤치시트)에서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2점식 안전벨트(10)가 적용된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어린이용 승합차량의 사고 시 탑승한 어린이들이 심각한 부상을 입는 경우가 상당수 발생함에 따라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어린이용 승합차량 등의 안전기준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르면, 승합차량의 벤치시트에 적용되는 안전벨트 사양의 경우, 기존의 허리 부분만 고정하는 2점식 안전벨트에서 허리와 어깨, 가슴을 동시에 고정하는 3점식 안전벨트(도 1의 (b) 20)로의 변경이 요구된다.
그러나, 3점식 안전벨트(20)의 경우 어깨를 지나가는 어깨벨트(21)의 상단부가 착석자, 특히 어린이의 목 부위로 지나는 경우에는 급정거나 추돌 시 심각한 상해를 입히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안전벨트로 인한 2차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벨트의 어깨벨트(2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반면, 기존의 안전벨트용 높이조절장치(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러(1)에 내장되는 형태가 일반적이었으므로 필러가 없는 후석 시트의 경우에는 적용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고, 더욱이 높이조절장치(30)가 설치되는 높이가 여전히 높은 관계로 어린이용으로 적용하기 곤란하다는 점이 문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3점식 안전벨트의 높이조절장치가 내장된 차량용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시트백 프레임(seatback frame)의 일측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고정적으로 체결되는 로어레일(lower rail)과; 상기 로어레일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위치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로킹시스템(locking system)과; 상기 로킹시스템에 결합하는 안전벨트용 앵커(anchor)와; 상기 로어레일, 로킹시스템을 덮은 상태로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며, 상기 앵커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상하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전방의 슬라이드 개구가 형성되는 커버(cov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시트는 상기 커버에 내장되되 상기 슬라이드 개구를 덮으며 상기 앵커와 함께 상하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딩 커버(sliding cov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구부림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좌우 양측단부가 각각 끼워져 승강 슬라이드 안내되는 측면 가이드홈부와, 상기 측면 가이드홈부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구부러져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승하는 슬라이드 커버가 구부러져 안내되는 상단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베젤커버(bezel cov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커버는 상기 베젤커버의 전면부에 결합하여 상기 슬라이드 개구가 형성되는 엔드커버(end cov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시트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을 구성하는 스틸파이프(steel pipe)에 서로 상하 간격을 두고 일체로 용접되는 복수의 브래킷 어태치먼트(bracket attachment)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어레일은 상기 복수의 브래킷 어태치먼트에 상,하단부가 볼트체결됨으로써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 의하면 승용차나 승합차의 2열 또는 3열 이하의 벤치시트에 자체적으로 3점식 안전벨트의 높이조절장치를 내장함으로써 어린이 탑승자를 위한 높이에 맞추어 낮출 수 있으므로 안전벨트로 인한 2차 사고의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벨트 높이조절장치의 설치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차량용 시트에 설치된 안전벨트 높이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안전벨트 높이조절장치의 조립상태에서의 주요부 확대도,
도 6은 도 3의 차량용 시트의 사용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의 뼈대를 구성하는 프레임 중 시트백 프레임(seatback frame, 101)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되는 안전벨트 높이조절장치(102)를 포함한다.
안전벨트 높이조절장치(10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프레임(101)을 구성하는 스틸파이프(steel pipe, 101a)에 상하 간격을 두고 상측에 용접되는 모서리 브래킷 어태치먼트(bracket attachment, 103)과 이에 대응하여 하측에 용접되는 얼라인(align) 브래킷 어태치먼트(104)를 매개로 시트백 프레임(101)에 상하방향으로 고정적으로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안전벨트 높이조절장치(102)는 로어레일(lower rail, 111), 로킹시스템(locking system, 112), 앵커(anchor, 113), 베젤커버(bezel cover, 114) 및 엔드커버(end cover, 115), 슬라이딩 커버(sliding cover, 116)를 포함하며, 상기 로어레일(111)의 상,하단부가 모서리 브래킷 어태치먼트(103)와 얼라인 브래킷 어태치먼트(104)에 볼트 체결됨으로써 이를 통해 시트백 프레임(101)에 고정된다.
로킹시스템(112)은 로어레일(11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승강 위치를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160243호, 한국 특허 제163490호, 미국 특허 제6,336,663호 등에 구체적으로 개시된 바와 대동소이하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앵커(113)는 로킹시스템(1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3점식 안전벨트(도 1 (b)의 20 참조)의 어깨벨트(도 1 (b)의 21 참조)가 걸리는 부분이다.
좌,우측의 베젤커버(114)는 내측에 로어레일(111), 로킹시스템(112)을 수용하고 정면(도면에서는 좌측방향)을 향해서는 슬라이딩 커버(116)가 로어레일(111)을 덮은 상태에서 승강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안내한다. 즉, 베젤(11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커버(116)의 좌,우 양측단부가 끼워져 승강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안내하는 측면 가이드홈부(114a)가 형성된다.
또한, 베젤커버(114)는 상기 측면 가이드홈부(114a)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구부러져 연장 형성되는 상단 가이드홈부(114b)가 형성됨으로써 이를 따라 상승하는 슬라이드 커버(116)가 구부러져 안내되도록 한다. 슬라이드 커버(116)는 로킹시스템(112)에 결합하는 앵커(도 4의 113)의 승강 조작에 따라 커버 내부를 덮으면서 측면 가이드홈부(114a)와 상단 가이드홈부(114b)를 따라 슬라이드된다. 이를 위해 슬라이드 커버(116)는 승용차 좌석공간에 설치되는 콘솔 박스(console box)의 덮개와 같이 어느 정도 구부림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서 베젤커버(114)의 전면(前面, 도면에서는 좌측면)으로는 엔드커버(115)가 결합하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개구(115a)를 통해 전방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앵커(113)가 내부의 로킹시스템(112)과 결합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시트(100)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커버(도 3의 115)의 전면부(前面部)가 앵커(113)와 함께 시트백쿠션(seatback cushion, 105)의 전면(前面)으로 노출되어 상기 앵커(113)에 3점식 안전벨트(20)의 어깨벨트(21)가 걸리며, 어린이(1)가 탑승하는 경우 앵커(113)의 상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어깨벨트(21)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차량용 시트(100)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후술하는 청구범위 내지 그 균등범위로 정해지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상기 설명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차량용 시트
101: 시트백 프레임
101a: 스틸파이프
102: 안전벨트 높이조절장치
103: 모서리 브래킷 어태치먼트
104: 얼라인 브래킷 어태치먼트
105: 시트백쿠션
111: 로어레일
112: 로킹시스템
113: 앵커
114: 베젤커버
114a: 측면 가이드홈부
114b: 상단 가이드홈부
115: 엔드커버
115a: 슬라이드 개구
116: 슬라이딩 커버

Claims (5)

  1.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시트백 프레임(seatback frame)의 일측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고정적으로 체결되는 로어레일(lower rail)과;
    상기 로어레일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위치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로킹시스템(locking system)과;
    상기 로킹시스템에 결합하는 안전벨트용 앵커(anchor)와;
    상기 로어레일, 로킹시스템을 덮은 상태로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며, 상기 앵커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상하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전방의 슬라이드 개구가 형성되는 커버(cov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내장되되 상기 슬라이드 개구를 덮으며, 상기 앵커와 함께 상하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딩 커버(sliding cov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구부림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좌우 양측단부가 각각 끼워져 승강 슬라이드 안내되는 측면 가이드홈부와, 상기 측면 가이드홈부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구부러져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승하는 슬라이드 커버가 구부러져 안내되는 상단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베젤커버(bezel cov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베젤커버의 전면부에 결합하여 상기 슬라이드 개구가 형성되는 엔드커버(end cov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을 구성하는 스틸파이프(steel pipe)에 서로 상하 간격을 두고 일체로 용접되는 복수의 브래킷 어태치먼트(bracket attachment)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어레일은 상기 복수의 브래킷 어태치먼트에 상,하단부가 볼트체결됨으로써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KR1020210048193A 2021-04-14 2021-04-14 안전벨트용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KR20220141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193A KR20220141997A (ko) 2021-04-14 2021-04-14 안전벨트용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193A KR20220141997A (ko) 2021-04-14 2021-04-14 안전벨트용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997A true KR20220141997A (ko) 2022-10-21

Family

ID=83805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193A KR20220141997A (ko) 2021-04-14 2021-04-14 안전벨트용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19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15173A1 (en) * 2021-07-13 2023-01-19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seat bel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15173A1 (en) * 2021-07-13 2023-01-19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seat belt
US11840193B2 (en) * 2021-07-13 2023-12-12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seat bel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47364B1 (en) Seat integrated seat belt system
US10336215B2 (en) Movable vehicle seat with integrated occupant restraint system
US5609367A (en) Adjustable three-point restraint seat belt system for children and adults
WO2005102112A2 (en) Adjustable height vehicle seat bottom
JP2010179705A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US5590907A (en)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and system
KR20220141997A (ko) 안전벨트용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KR101282527B1 (ko) 자동차용 3점식 시트벨트 웨빙의 끼임 방지구조
KR200489270Y1 (ko) 어린이 안전 벨트
KR20230011112A (ko) 시트벨트 높이 조절장치
JP4050137B2 (ja) 車両用リフタ付きシート構造
KR101382280B1 (ko) 차량용 뒷좌석 시트벨트의 웨빙 루트 조절장치
JP3649425B2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CN210707010U (zh) 一种车载安全座椅
KR200272541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
CN107554478B (zh) 包括偏转元件的机动车辆及其相关方法
JP4943364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H0537611U (ja) シートベルトの調節装置
JP4296953B2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JPH09109755A (ja) 車両用シート
KR950004350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지지구조
JPH0810041Y2 (ja) 自動車用シート
KR20210127864A (ko) 안전벨트 높이조절 기능이 있는 비상망치
KR20050120866A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버클장치
JP2020169004A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